KR100592684B1 - 감속기 - Google Patents

감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2684B1
KR100592684B1 KR1020050023290A KR20050023290A KR100592684B1 KR 100592684 B1 KR100592684 B1 KR 100592684B1 KR 1020050023290 A KR1020050023290 A KR 1020050023290A KR 20050023290 A KR20050023290 A KR 20050023290A KR 100592684 B1 KR100592684 B1 KR 100592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member
reducer
gear case
gear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44488A (ko
Inventor
다카시 하가
미츠히로 다무라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4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44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2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2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25/00Miscellaneous fancy ware for personal wear, e.g. pendants, crosses, crucifixes, ch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02Details
    • H05K1/0213Electrica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1/0254High voltage adaptations; Electrical insulation details; Overvoltage or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 Arrangements for regulating voltages or for using plural voltages
    • H05K1/0257Overvoltage protection
    • H05K1/0259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9Gearing
    • Y10T74/19219Interchangeably locked
    • Y10T74/19233Plurality of counter sha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베어링에 스러스트 부하를 주지 않고, 또한, 기어 케이스의 축방향길이를 증대시키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중간축에 대하여 마찰부하를 부여할 수 있는 다단(多段)변속기를 얻는다.
다단(多段)감속기(40)는, 베어링 하우징(58A)에 수용된 베어링(56A)에 의해서 지지된 제1중간축(46)을 구비한다. 이 제1중간축(46)의 단부(端部)(46A)를, 그 제1중간축(46)을 지지하는 베어링(56A)의 베어링 하우징(58A)을 관통하여 이 베어링 하우징(58A) 밖을 향하도록 한다. 기어 케이스(42)의 내면(42A)과 베어링 하우징(58A)에 끼워서 지지되는 탄성부재(86)를, 제1중간축(46)의 단부(46A)에 배치하여, 제1중간축(46)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의 가압력을 부여한다.
감속기, 베어링, 하우징, 탄성부재, 기어, 변속기

Description

감속기{Reduc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적용된 다단(多段)감속기의 전체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제1중간축의 단부 부근의 확대도.
도 3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변형태양을 나타낸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예를 나타낸 도 2 상당의 확대도.
도 5는, 종래의 마찰부하의 부여구조의 예를 나타낸 도 2 상당의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40 : 다단감속기
42 : 기어 케이스
44 : 입력축
46 : 제1중간축
46A : 단부(端部)
48 : 제2중간축
50 : 출력축
52 : 모터축
54 : 제1피니언
56A, 56B : 베어링
58A, 58B : 베어링 하우징
58A1 : 외측면
60 : 제1기어
62 : 제2피니언
66A, 66B : 베어링
68A, 68B : 베어링 하우징
70 : 제2기어
72 : 제3피니언
76A, 76B : 베어링
78A, 78B : 베어링 하우징
80, 82 : 마찰부하의 부여기구
84 : 관통공(貫通孔)
86 : 탄성부재
88 : 링부
88A : 단부
90 : 원판부
90A : 외주단부
92 : 확개부(擴開部)
본 발명은, 이른바 이(齒) 부딪히는 소리를 저감가능한 감속기 및 그 감속기용 마찰부하 부여(附與)부재에 관한 것이다.
기어감속기에 있어서는, 각 기어 사이에 「유격」이 마련되어 있다. 이 유격은, 기어끼리 원활하게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불가결한 것이다. 그러나, 이 유격이 존재하는 까닭에, 경부하 운전시에 이른바 「이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부딪히는 소리란, 모터의 진동이나 맥동, 혹은 구동대상 측의 부하의 변동 등에 기인하여, 구동측 기어의 치면과 종동측 기어의 치면이 서로 접촉ㆍ이반을 되풀이함으로써 발생하는 노이즈이다.
이와 같은 이 부딪히는 소리를 저감하기 위해서, 예컨대 특허문헌 1에 있어서, 기어축에 경미한 마찰부하를 더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기어축에 마찰부하를 더하면, 종동측 기어의 치면이 구동측 기어의 치면으로부터 떨어지기 어렵게 되므로, 이 부딪히는 소리의 발생을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에 있어서는, 기어축에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해서, 예컨대 도 5(A), 혹은 (B)에 나타난 바와 같은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도 5(A)에 나타낸 구성은, 중간축(10)의 베어링(12)을 수용한 베어링 하우징(14)을 기어 케이스(16)의 내측방향으로 뻗게 하고, 이 연장부(14a)와 중간축(10) 사이에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오일 실(20)을 개재시킨 것이다. 연장부(14a)는, 오일 실(20)을 수용하기 위해서, 베어링 하우징(14)에 있어서 베어링(12)이 수용되 어 있는 부분보다도 대경(大徑)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5(B)에 나타낸 구성은, 베어링(12)의 베어링 하우징(30)의 일부를 기어 케이스(16)측으로 확장하고, 이 확장부(30A) 내측의 공간에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O링(32)을 수용하도록 한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2-115754호 공보
그러나, 상기 도 5(A)에 나타난 구성은, 베어링(12)보다도 기어측으로 베어링 하우징(14)의 대경(大徑)의 연장부(14a)가 뻗어 있게 되기 때문에, 다른 기어와의 위치적인 간섭을 일으키기 쉽다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다단(多段)감속기와 같이, 기어 케이스(16) 속에 많은 기어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마찰부하 부여를 위한 오일 실(20)의 배치공간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많다.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오일 실(20)을 배치하기 위해서 기어 케이스(16)의 축방향길이를 증대시킨다는 설계는, 통상은 받아들이기 어렵다.
도 5(B)에 나타난 구성도, 각(角)치수가 작은 경우 스페이스의 확보가 어려워서, 원하는 크기의 오링(32)을 수용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링(32)의 축방향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져 있지 않고, 베어링(12)과 베어링 하우징(30) 사이에 수용되어 있을 뿐이었기 때문에, 이 내륜(12A)에 오링(32)의 변형에 수반하는 스러스트 하중이 더해질 가능성도 있었다. 베어링(12)이 그 내륜(12A)에만 축방향의 부하가 걸린 상태로 회전하면, 내외륜의 원활한 상대회전이 저해되어, 수명저하를 피할 수 없다.
오링(32)의 축방향의 영향이 베어링(12)에 확실하게 미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오링(32)과 베어링(12)의 사이에 오링(32) 전용의 위치결정부(스러스트 받이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어서, 구조가 보다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기어 케이스(16)의 축방향길이가 증대되어 버린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간단한 구성으로 축에 대하여 마찰부하를 부여할 수 있는 변속기 및 그를 위해서 사용가능한 마찰부하 부여부재를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기어 케이스 내에 있어서 복수의 축을 가지는 감속기에 있어서, 고정부재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부재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부재에 끼워져, 그 축의 반지름방향으로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여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기어 케이스 내에 있어서의 특정 축에 대하여, 소정 고정부재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소정 부재에 끼워짐으로써 그 특정 축의 반지름방향으로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여수단을 배치하였다. 따라서, 간단한 구성으로 이 부딪히는 소리 경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을 구현하는 구체적인 구성은, 다양하게 생각될 수 있는데, 예컨대, 기어 케이스 내에 있어서 베어링 하이징에 수용된 베어링에 의해서 지지된 복수의 축을 구비한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의 단부(端部) 를, 그 축을 지지하는 상기 베어링의 베어링 밖을 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 케이스의 내면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에 끼워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축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의 가압력을 부여가능한 탄성부재를, 이 축의 상기 단부에 배치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구성예에 의하면, 축의 단부를, 베어링 하우징을 관통하여 베어링 하우징 밖, 즉 기어 케이스 측을 향하도록 하여, 이 단부에 있어서, 기어 케이스의 내면과 베어링 하우징으로 탄성부재를 끼워 지지함으로써, 중간축에 대한 반지름방향의 가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기어 케이스 및 베어링 하우징은 종래 존재하는 부재이고, 그 사이에는 약간의 공간이 실제 존재하고 있다. 이 공간을 탄성부재의 배치공간으로서 이용하도록 하면, 탄성부재를 배치할 때에, 이 탄성부재와 기어가 간섭할 우려가 없어서, 기어 케이스의 치수를 축방향으로 연장할 필요가 없다.
더욱이, 탄성부재를 배치하기 위해서, 별도의 위치결정부재(스러스트 받이부) 등을 배치할 필요가 없고, 또한 베어링에 탄성부재에 의한 스러스트 힘을 더하는 경우도 없다. 즉, 일반적으로, 축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의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그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의 반지름방향 외측에 그 반력을 받는 부재가 필요함과 동시에, 탄성부재의 축방향의 위치결정을 행하기 위한 부재가 이 탄성부재의 축방향 양측에 필요하다. 예컨대 O링은, 이 종류의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탄성부재로서 적합하지만, O링의 축방향의 위치결정을(상기 종래기술과 같이) 베어링의 내륜에 받아 지지하도록 하게 하면, 이 베어링의 내륜에 스러 스트 부하가 걸려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이 구성예에 의하면, 탄성부재의 변형 반력을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서 받을 수 있으므로, 베어링에는 탄성부재에 의한 스러스트힘의 영향이 미치지 않는다. 따라서 베어링 자체는 매우 원활한 상태로 회전할 수 있어서, 높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도 기어 케이스도, 이미 존재하는 부재이므로, 위치결정용 부재를 별도로 배치할 필요도 없다.
<실시예>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가 적용된 다단(多段)감속기의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 다단감속기(40)는, 입력축(44), 제1, 제2중간축(46, 48), 및 출력축(50)을 구비한다.
입력축(44)은, 이 실시형태에서는,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모터축(52)이 그대로 겸용되고, 편측 지지 상태로 기어 케이스(42) 내를 향하고 있다. 입력축(44)의 선단에는 제1피니언(54)이 직접 기어컷팅 형성되어 있다. 기어 케이스(42)는, 그 골격을 형성하는 측판(側板)(42A)과 볼트(45)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중간축(46)은, 한 쌍의 베어링(56A, 56B)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56A, 56B)은, 각각 베어링 하우징(58A, 58B)에 수용되어 있다. 제1중간축(46)에는 제1피니언(54)과 맞물리는 제1기어(60), 및 제2피니언(62)이 설치되어 있다.
제2중간축(48)은, 한 쌍의 베어링(66A, 66B)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66A, 66B)은, 각각 베어링 하우징(68A, 68B)에 수용되어 있다. 제2중간축(48)에는 제2피니언(62)과 맞물리는 제2기어(70), 및 제3피니언(72)이 설치되어 있다.
출력축(50)은, 한 쌍의 베어링(76A, 76B)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베어링(76A, 76B)은, 각각 베어링 하우징(78A, 78B)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78A, 78B) 중, 출력축(50)이 기어 케이스(42) 밖으로 돌출하고 있는 측의 베어링 하우징(78A)은, 기어 케이스(42) 자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베어링(76A, 76B) 중, 베어링 하우징(78A)측의 베어링(76A)이 특히 큰 것은, 출력축(50)에 걸리는 레이디얼 하중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출력축(50)에는 출력기어(7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제1중간축(46) 및 제2중간축(48)의 쌍방에 마찰부하의 부여기구(80, 82)를 부설(附設)하고 있다. 2개의 부여기구(80, 82)는, 각각 탄성부재(86, 87)를 구비한다. 이 2개의 부여기구(80, 82)는, 기본적으로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부여기구(80)에 주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확대하여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중간축(46)의 한쪽(도 1의 우측)의 베어링 하우징(58A)은, 반지름방향 중앙부에 관통공(84)을 구비한다. 제1중간축(46)의 단부(46A)는, 이 관통공(84)을 관통하여 베어링 하우징(58A)의 외측, 즉 기어 케이스(42)측을 향하고 있다. 이 단부(46A)에 제1중간축(46)에 마찰부하를 부여하기 위한 상기 탄성부재(마찰부하 부여부재)(86)가 배치되어 있다.
탄성부재(86)는, 축방향으로 뻗는 링부(88), 이 링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지름방향으로 뻗는 원판부(판상부(板狀部))(90), 및 이 판상부와 연속하여 형성된 확개부(擴開部)(92)를 구비하고, 기어 케이스(42)의 내면(42B)과 베어링 하우징(58A)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이때, 기어 케이스(42)는 고정부재이고, 베어링하우징(58A)은 이동가능한 부재로서, 상기 탄성부재(86)가 변형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링부(88), 원판부(90), 확개부(92) 모두 탄성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링부(88)는, 제1중간축(46)의 단부(46A)의 외주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뻗고, 내경이 제1중간축(46)의 외경보다도 크게 설정된 링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원판부(90)는, 이 링부(88)의 기어 케이스(42) 측의 단부(88A)로부터 베어링 하우징(58A)의 외측면(58A1)을 따라서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원판상으로 뻗어 있다. 상기 확개부(92)는, 원판부(90)의 외주단부(90A)로부터 기어 케이스(42)측을 향하여 확개하고, 그 외주둘레(92A)가 기어 케이스(42)의 내면(42B)과 접촉하고 있다.
탄성부재(86)는, 이 형상 및 배치태양에 의해서, 확개부(92)의 외주둘레(92A)가 역점(力點), 원판부(90)의 외주단부(90A)가 지점(支點), 링부(88)의 단부(88B)가 작용점(作用點)으로서 기능하는 「지레」를 구성한다.
다음으로, 이 다단감속기(40)의 작용을 설명한다.
입력축(44)(모터축(52))으로부터 입력된 동력은, 제1피니언(54), 제1기어(60), 제2피니언(62), 제2기어(70), 제3피니언(72), 및 출력기어(75)를 경유하여 출력축(50)에 전달된다.
여기서, 제1중간축(46) 및 제2중간축(48)에 대한 마찰부하의 부여는, 이하와 같이 하여 행하여진다.
도 3(A)는, 측판(42A)이 기어 케이스(42)에 대하여 볼트(45)(도 1 참조)에 의해서 아직 조여 넣어지지 않은 상태, 즉 탄성부재(86)가 아직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탄성부재(86)는 제1중간축(46)의 단부 (46A)의 외주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을 뿐이고, 특히 가압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 상태 하에서 측판(42A)을 볼트(45)에 의해서 기어 케이스(42)에 조여가면, 기어 케이스(42)의 내면(42B)과 베어링 하우징(58A)의 거리가 축소되어, 탄성부재(86)는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형한다. 그 결과, 확개부(92)의 외주둘레(92A)가 역점, 원판부(90)의 외주단부(90A)가 지점, 링부(88)의 단부(88B)가 작용점이 되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서, 링부(88)의 기어 케이스(42)측의 단부(88A)가 들어올려져서, 이 링부(88)의 베어링(56A)측에 단부(88B)가 제1중간축(46)의 단부(46A)의 외주에 밀어붙여지는 태양이 형성된다.
이 결과, 제1중간축(46)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의 마찰부하가 부여되고, 이 제1중간축(46)이 회전할 때에, 이 부분에 있어서 소정의 회전저항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제1중간축(46) 상에 설치되어 있는 제1기어(60)는, 항상 제1피니언(54)에 대하여 회전부하를 부여하면서 회전하게 되어, 제1피니언(54)측으로부터의 구동력에 다소의 맥동 등이 있어도, 제1기어(60)는 제1피니언(54)과 이반하지 않도록 된다. 이 때문에 제1피니언(54) 및 제1기어(60)의 맞물림 부분에 있어서 이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완전히 마찬가지의 작용이 제2중간축(48)에 있어서의 마찰부하의 부여기구(82)에 있어서도 이루어지므로, 제2피니언(62)과 제2기어(70)의 맞물림부분에 대해서도, 이 맞물림부분에 있어서 이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어 케이스(42)의 측판(42A)에 대하여 볼트(45)에 의한 설치기구를 이용하여 탄성부재(86)를 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설치가 용이하며, 또한 특별한(별도의) 이동기구 등은 불필요하다.
또한, 탄성부재(86)의 변형력은, 목적으로 하는 제1중간축(46)의 단부(46A) 이외에, 기어 케이스(42) 및 베어링 하우징(58A)에 걸릴 뿐이고, 베어링(56A)에는 전혀 걸리지 않는다. 그 때문에, 베어링(56A)은 스러스트 부하가 더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중간축(46)을 회전 지지할 수 있어서, 높은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다.
더욱이, 탄성부재가 변형함으로써 발생하는 스러스트 부하는, 제1중간축(46)에도 더해지지 않으므로, 이 제1중간축(46)을 통하여 반대측의 베어링(56B)에 스러스트 부하가 걸릴 우려도 없다.
또한, 탄성부재의 확개부(92)의 외주둘레(92A)나 링부(88)를 소정 길이로 컷하거나, 깎거나 함으로써, 현장 사이드에서 부여하는 마찰부하를 경감하는 방향의 조정을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의 탄성부재의 구체적인 형상, 혹은 배치의 방법은, 특히 상기 실시형태의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컨대, 탄성부재의 특정부분을 지점(支點)으로 하고, 탄성부재가 기어 케이스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역점(力點)으로 했을 때에, 탄성부재의 일부가 작용점(作用點)으로서 중간축의 단부 외주에 작용하는 것과 같은 「지레」를 구성하는 형상의 탄성부재를 준비하면, 본 발명을 보다 간이하게 실현하는 탄성부재가 될 수 있다. 이때,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면, 혹은 베어링 하우징의 관통공의 내주면 등이 이 지점(支點)을 제공하기 위해서 양호하게 기능할 것이다.
또한, 예컨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어링 하우징(158A)에 기어 케이스(142)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158A2)를 형성하도록 한 경우에는, 탄성부재(186)가, 제1중간축(146)의 단부(146A)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158A)의 외측면(158A1)과 이 돌기부(158A2)에 접촉하면서, 기어 케이스(142)측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서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변형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 탄성부재(186)로서는 O링과 같은 보다 단순한 형상의 것을 준비하는 것만으로도 족하다.
그리고, 베어링 하우징의 돌기부는, 도 4의 예에서는 이 베어링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었지만, 별개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한, 베어링 하우징측으로부터 돌기부를 돌출시키는 대신에, 기어 케이스측으로부터 어떠한 돌기부를 돌출ㆍ형성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이 부딪히는 소리가 발생하게 되는 다단변속기에 대하여, 그 이 부딪히는 소리보다 저감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간단한 구성으로 감속기의 특정 축에 대하여 마찰부하를 부여할 수 있어서, 이 부딪히는 소리를 낮은 코스트로 경감할 수 있다.

Claims (8)

  1. 기어 케이스(42,142) 내에 있어서 복수의 축(46,48,50,146)을 가지는 감속기(40)에 있어서,
    고정부재(42,142)와,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부재(58A,68A,158A)를 구비하며, 또한,
    상기 복수의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46,48,146)에 대하여, 상기 고정부재(42,142)와 상기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 부재(58A,68A,158A)에 끼워져, 그 축(46,48,146)의 반지름방향으로 마찰력을 부여하는 마찰부여부재(86,87,18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2. 기어 케이스(42,142) 내에 있어서 베어링 하우징(58A,58B,68A,68B,78A,78B,158A)에 수용된 베어링(56A,56B,66A,66B,76A,76B)에 의해서 지지된 복수의 축(46,48,50,146)을 구비한 감속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축 중, 적어도 하나의 축(46,48,146)단부(端部)(46A,146A)를, 그 축을 지지하는 상기 베어링(56A,66A) 밖을 향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기어 케이스(42,142)의 내면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58A,68A,158A)에 끼워서 지지됨으로써 상기 축(46,48,146)에 대하여 반지름방향의 가압력을 부여가능한 탄성부재(86,87,186)를, 이 축의 상기 단부(46A,146A)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6)가,
    탄성부재(86)의 상기 기어 케이스(42)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역점(力點)(92A), 탄성부재의 상기 베어링 하우징(58A)에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지점(支點)(90A)으로 했을 때에, 탄성부재의 일부가 작용점(作用點)(88B)으로서 상기 중간축(46,48)단부(46A) 외주에 작용하게 되는, 지레를 구성하는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86)가,
    상기 축의 단부의 외주를 따라서 축방향으로 뻗는 링부(88)와,
    이 링부의 상기 기어 케이스(42)측의 단부(88A)로부터 상기 베어링 하우징(58A)외측면(58A1)을 따라서 반지름방향 외측으로 뻗는 판부(板部)(90)와,
    이 판부의 외주(90A)로부터 기어 케이스(42)측을 향하여 이 기어 케이스(42)와 접촉가능하게 확개(擴開)하는 확개부(92)를 연속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158A)이 상기 기어 케이스(142)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기부(158A2)를 가지고,
    상기 탄성부재(186)가, 상기 축(146)단부(146A)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하우징의 외측면(158A1)과 이 돌기부(158A2)에 접촉하면서, 기어 케이스(142)측으로부터의 가압력에 의해서 반지름방향 내측으로 변형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186)가 O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 케이스(42)볼트(45)를 통하여 설치가능하게 되어, 이 볼트(45)를 조일 때에, 이 기어 케이스(42)의 내면과 상기 베어링 하우징(58A,68A)의 거리가 축소됨으로써, 상기 탄성부재(86,87)가 변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
  8. 축방향으로 뻗는 링부(88)와,
    이 링부와 연속하여 형성되고 지름방향으로 뻗는 판상부(板狀部)(90)와,
    이 판상부와 연속하여 형성된 확개부(92)를 가지는 탄성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속기용 마찰부하 부여부재(86).
KR1020050023290A 2004-03-22 2005-03-21 감속기 KR100592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83535A JP4353837B2 (ja) 2004-03-22 2004-03-22 減速機及び減速機用摩擦負荷付与部材
JPJP-P-2004-00083535 2004-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44488A KR20060044488A (ko) 2006-05-16
KR100592684B1 true KR100592684B1 (ko) 2006-06-28

Family

ID=34983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290A KR100592684B1 (ko) 2004-03-22 2005-03-21 감속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06558B2 (ko)
JP (1) JP4353837B2 (ko)
KR (1) KR100592684B1 (ko)
CN (1) CN100350176C (ko)
DE (1) DE102005012919B4 (ko)
TW (1) TWI2723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338815B (zh) * 2007-07-06 2011-03-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空调滑动门防振传动装置
JP5312983B2 (ja) * 2009-02-27 2013-10-09 株式会社マキタ 電動工具の減速機構
JP5519337B2 (ja) * 2010-03-04 2014-06-11 Ntn株式会社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
JP6017970B2 (ja) * 2013-01-09 2016-11-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燃機関のバランサ装置
JP2017053408A (ja) * 2015-09-08 2017-03-16 アイシン・エーアイ株式会社 車両用駆動力伝達装置のリバース機構
IT201800003467A1 (it) * 2018-03-13 2019-09-13 Rossi S P A Gruppo di trasmissione con rotismo ordinario e asse di uscita verticale.
CN110762185A (zh) * 2018-07-26 2020-02-07 江苏泰隆减速机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钢渣车的减速机
CN109611517B (zh) * 2018-12-04 2019-12-06 汉威广园(广州)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变速箱传动系统
JP7251282B2 (ja) 2019-04-16 2023-04-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歯車装置及び印刷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253904A (en) * 1936-12-07 1941-08-26 Kupper Asbest Co Gustav Bach Packing ring
US3689084A (en) * 1970-10-05 1972-09-05 Richard W Smedley Auxiliary oil seal
JPS571185A (en) * 1980-06-03 1982-01-06 Mitsubishi Electric Corp Elevator device
US5387040A (en) * 1993-04-30 1995-02-07 Reliance Electric Industrial Company Sealing system
US6186507B1 (en) * 1997-09-25 2001-02-13 Michael R. Oldenburg Retrofittable severe duty seal for a shaft
JP2002115754A (ja) * 2000-10-06 2002-04-19 Oriental Motor Co Ltd 歯車減速機
JP4458656B2 (ja) * 2000-11-20 2010-04-28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シールチェーン
JP4616984B2 (ja) * 2000-11-24 2011-01-19 シチズンマイクロ株式会社 減速装置
JP3806312B2 (ja) * 2001-04-25 2006-08-09 ファナック株式会社 スピンドルスルークーラントにおける主軸保護構造
JP2003113928A (ja) * 2001-10-02 2003-04-18 Sumitomo Heavy Ind Ltd スラスト荷重を受ける減速機
US7059608B2 (en) * 2002-03-13 2006-06-13 Ashbridge & Roseburgh Inc. Installation and deployment sleeves for lip seals
DE20216504U1 (de) * 2002-10-25 2003-03-06 Rietschle Werner Gmbh & Co Kg Verdrängermaschine mit gegensinnig laufenden Rotoren
JP4731490B2 (ja) * 2003-11-18 2011-07-27 ジーケーエヌ・ドライブライン・ノースアメリ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等速ジョイント出力を有するトルク伝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5273678A (ja) 2005-10-06
TWI272352B (en) 2007-02-01
TW200532125A (en) 2005-10-01
DE102005012919B4 (de) 2017-07-20
US7506558B2 (en) 2009-03-24
CN1673579A (zh) 2005-09-28
JP4353837B2 (ja) 2009-10-28
US20050204844A1 (en) 2005-09-22
DE102005012919A1 (de) 2005-10-13
CN100350176C (zh) 2007-11-21
KR20060044488A (ko) 2006-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92684B1 (ko) 감속기
JP4442421B2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JP4762643B2 (ja) センタークランク式偏心揺動型減速機
US8360927B2 (en) Vehicle power transmission device
JP5816584B2 (ja) 動力伝達装置
JP2008278656A (ja) ハイポイドギヤモー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015004B1 (ko) 유성 기어 구동 장치
JP2007127156A (ja) 遊星歯車動力伝達装置
JP2007127165A (ja) 遊星回転体の支持構造
KR102644551B1 (ko) 유성감속장치
WO2020145244A1 (ja) 転がり軸受
JP2008025815A (ja) 遊星歯車装置
US20070034035A1 (en) Pinion motor
JP2010180976A (ja) デファレンシャル装置
JP2006183707A (ja) 遊星歯車装置
JP2004189039A (ja) 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CN112368491A (zh) 减速装置
JP4576162B2 (ja) 減速機シリーズ
JP2020029944A (ja) 遊星式動力伝達装置
JP2006132550A (ja) 無段変速機の組立構造および組立方法
JP2006183848A (ja) 動力伝達装置
JP7467046B2 (ja) 歯車装置
JP2005048907A (ja) 歯車機構の入力部材及び連結部構造
JP2010249244A (ja) ベルト式無段変速機
JP2007255458A (ja) 滑り軸受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