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3247A - 승강실을 구동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가진 장치 및 대응지지 수단 - Google Patents

승강실을 구동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가진 장치 및 대응지지 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3247A
KR20070013247A KR1020060069920A KR20060069920A KR20070013247A KR 20070013247 A KR20070013247 A KR 20070013247A KR 1020060069920 A KR1020060069920 A KR 1020060069920A KR 20060069920 A KR20060069920 A KR 20060069920A KR 20070013247 A KR20070013247 A KR 20070013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ans
drive pulley
safety
support unit
lif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9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70849B1 (ko
Inventor
에른스트 아흐
Original Assignee
인벤티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5448314&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70013247(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인벤티오 아게 filed Critical 인벤티오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1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3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6Arrangements of ropes or cables
    • B66B7/062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8Adaptations of mechanically-operated limit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5/00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 D07B5/005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 D07B5/006Making ropes or cables from special materials or of particular form characterised by their outer shape or surface properties by the properties of an outer surface polymeric coat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07Elevators

Abstract

승강실 (11) 을 구동하기 위한 피동의 구동 풀리 (16) 및 지지 수단 (13) 을 가진 승강 장치 (10). 상기 지지 수단 (13) 은 상기 구동 풀리 (16) 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핑하고, 안전부 (17) 를 구비하며, 이 안전부 (17) 는 상한 위치 (X) 를 오버런한 이후의 승강실 (11) 또는 평형추 (12) 가 승강로 상단부 (14.1) 에 접근할 때, 상기 안전부 (17) 가 상기 구동 풀리 (16) 와 상호작용을 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안전부 (17) 는 상기 구동 풀리 (16) 와 상기 지지 수단 (13)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인하여 슬립핑(slipping)이 이루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승강실을 구동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가진 장치 및 대응 지지 수단{INSTALLATION WITH SUPPORT MEANS FOR DRIVING A LIFT CAGE, AND CORRESPONDING SURPORT MEANS}
본 발명은 아래의 실시예 및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1a 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실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승강실이 승강로의 하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b 는 도 1a 에 따른 승강실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승강실이 승강로의 상단부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도면이다.
도 1c 는 도 1a 에 따른 승강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승강실이 오버런 (overrun)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승강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제 1 벨트형 지지 수단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벨트형 지지 수단의 일부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승강 장치 11 : 승강실
11.1 : 완충기 11.2 : 승강실 롤러
12 : 평형추 12.1 : 평형추 완충기
12.2 : 평형추 롤러 13 : 지지 수단
14 : 승강로 14.1 : 승강로 상단부
14.2 : 승강로 하단부 15 : 구동기
16 : 구동 풀리 17 : 안전부
X : 상한 위치 W : 상한 위치
본 발명은 승강실을 구동하는 수단을 갖는 청구항 1 의 전제부에 따른 승강 장치, 및 청구항 10의 전제부에 따른 대응 지지 수단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장치에서의 오버런을 방지하는 청구항 12 에 따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승강 장치는 승강실을 지지하고 운전 중에 설정할 수 있는 지지 수단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통상 지지 수단은 구동기에 의해 피동되는 구동 풀리를 중심으로 구동된다. 대부분의 경우, 하나 이상의 평형추가 제공되며, 운전중 구동기가 구동 풀리를 설정하는 대로 승강실과 평형추는 반대로 움직인다. 구동 풀리와 지지 수단 사이의 견인력은, 승강실이 적재가 되었을 때조차 구동 풀리의 회전이 가능한 한 슬립(slip)이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지지 수단의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설계된다.
오늘날 승강 장치의 승강실은 종래의 장치보다 더 가벼워졌다. 따라서, 구동제어의 고장인 경우에, 평형추가 이미 완충기와 반대로 움직이고 더 이상 승강실을 들어 올리는데 기여하지 못하면, 구동 풀리가 구동되고, 그 후에 텅 빈, 또는 거의 텅 빈 승강실이 승강로 상단부의 방향으로 옮겨지는 위험이 존재한다. 따라서, 예컨대, 이 공간은 잡힐 것에 대항하기 위해 모인 인원을 보호하는 보호공간으로 정의하기 때문에, 승강실과 승강로 단부 사이의 공간은 항상 보장되어야 한다. 이 보호 공간으로의 승강실의 관통은 방지되어야 한다. 현대의 지지 수단은 높은 마찰계수 때문에 높은 마찰 정도를 가능하게 하는 덮개 또는 표면 윤곽이 제공되는 사실 때문에 이 문제가 증폭되었다.
따라서, 구동기 제어의 고장, 승강 장치의 오작동이나 다른 고장의 경우에, 텅 빈 또는 거의 텅 빈 승강실이 끌려 올라가는 것('오버런' 이라고 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만든 승강 장치에서 사용하기 위한 확실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또한 승강로에서 평형추의 오버런을 방지하는데 유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이 과제는 청구항 1 의 특징에 의한 승강 장치에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이 과제는 청구항 10 의 특징에 의한 지지 수단에서 달성된다.
이 과제는 청구항 12 인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청구항 1 의 종속항인 청구항 2 내지 8 에 의해, 청구항 9 의 종속항 청구항 10 에 의해, 청구항 11 의 종속항 청구항 12 에 의해 정의된다.
동일 및 유사 또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구성 요소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가 도 1a ~ 도 1c 에 도시되어 있다. 도 1a ~ 도 1c 에 도시된 실시형태는, 지지 수단 (13) 에 의해 아래에 루핑되고, 지지되고, 이동되는 승강실 (11) 을 포함하는 종래의 승강 장치 (10) 이다. 지지 수단 (13) 은 승강로 (14) 내에 또는 승강로에 두 개의 자유 단부에서 체결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체결점은 F 로 도시된다. 지지 수단 (13) 은 제 1 체결점 (F) 으로부터 승강로 (14) 를 따라 하방으로 구동된다. 그 후, 지지 수단은 롤러 (11.2) 를 갖는 승강실 (11) 아래에 루핑된다. 승강실 (11) 의 다른 측에서, 지지 수단 (13) 은 상방으로 구동되고, 예컨대, 모터 (15) 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구동 풀리 (16) 둘레에 루핑된다. 구동 풀리 (16) 로부터 나온 지지 수단 (13) 은 다시 하방으로 구동되고, 평형추 (12) 가 매달려 있는 평형추 롤러 (12.2) 둘레에 루핑되고, 거기로부터 제 2 체결점 (F) 까지 형성된다.
실시형태의 도시에서, 구동부를 지탱할 수 있는. 브릿지 또는 빔 형태의 승강로 천장 (14.1) 이 승강로 상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서, 승강실 (11) 이 움직일 수 있는 영역은 상방에서 제한되며, 이는 승강로 (14) 에서 오버런 이 되지 않도록 정해진 상한 위치(도 1b및 1c 에서 X 로 도시)이다. 본 발명은 엔진룸을 가진 승강기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엔진룸을 갖지 않은 승강기에도 똑같이 쓰일 수 있다. 또한, 승강실 (11) 을 위한 완충기 (11.1) 및 평형추 (12) 를 위한 완충기 (12) 가 제공된다.
도 1a ~ 1c 에서, 지지 수단 (13) 은 안전부 (17) 를 포함하며, 상한 위치 (X) 를 오버런한 이후의 승강실 (11) 이 승강로 상단부 (14.1) 에 접근하거나 상한 위치 (W) 를 오버런한 이후의 평형추 (12) 가 승강로 상단부 (14.1) 에 접근하는 경우에, 안전부 (17) 가 구동 풀리 (16) 와 상호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부 (17) 는 구동 풀리 (16) 와 지지 수단 (13) 사이의 상호작용에 기인하는 슬립핑이 유발되도록 구성된다. 그로 인해 승강로의 상한점으로의 승강실 운행이 불가능하게 된다. 아래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승강실 (11) 의 오버런에 관한 것이다. 특별한 언급 없이 의미가 이해되는 점으로, 평형추 (12) 의 오버런이 또한 반대 방향으로 된다는 것이다.
슬립핑은 실질적인 움직임을 생성하는 구동 풀리 (16) 에서 정지하는 지지 수단 (13) 없이 구동 풀리 (16) 가 회전하는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다. 구동 풀리 (16) 와 지지 수단 (13) 또는 안전부 (17) 사이에서 나타나는 마찰력은 지지 수단 (13) 을 움직이는데 충분하지 않다. 이러한 슬립핑 상태는 또한 높은 슬립으로 불릴 수 있다.
슬립에 의해서, 다른 요소 (이 경우, 구동 풀리 (16)) 와 실질적으로 동시에 움직이는(또한, 움직임이 동시관계를 벗어나는 경우의) 기술적 요소의 거동이 나타 난다. 그 경우에 피동 요소는 통상적으로 항상 구동 요소보다 얼마간 늦게 실행된다. 승강 장치의 정상작동에서 이런 슬립은 아주 적다.
이하, 오버런 방지 기능을, 도 1a 및 1b 에 나타난 두 개의 정상상태와 대조함으로써 상한 위치 (X) 를 오버런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도 1c 를 참조로 하여 지금부터 설명된다.
도 1c 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 장치 (10) 의 경우에, 승강실 (11) 이 상한위치 (X) 를 오버런하는 순간의 개략도이다. 예를 들면, 이는 승강실 (11) 이 상한부에 접근할 때 통상의 방법으로 정지할 수 없고 구동이 불완전하기 때문에 발생한다. 구동기 (15) 가 구동되면, 구동 풀리 (16) 는 지지 수단 (13) 을 끌어 당기고, 따라서 승강실 (11) 은 또한 상방으로 나아간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수단 (13) 은, 승강실 (11) 이 승강로 상단부(예를 들면, 14.1)에 접근하면 이 안전부 (17) 가 구동 풀리 (16) 와 상호작용하도록 설치되어 있는 안전부 (17) 를 가진다. 도 1c 에는 지지 수단의 안전부 (17) 가 이미 구동 풀리 (16) 위에서 구동하는 상태가 나타나 있다. 안전부 (17) 가 의도적으로 구동 풀리 (16) 와 지지 수단 (13) 사이의 슬립의 높은 각도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기는 더 이상 승강실 (11) 이 상방으로 나아가게 움직이는 위치에 있지 않다.
그런 경우에 안전부 (17) 는 슬립핑이 다음의 전제조건 하에서 발생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1) 평형추 (12) 가 평형추 완충기 (12.1) 에 놓여 지기 때문에, 승강실 (11) 이 상한 위치 (X) 를 오버런한 이후에 평형추 (12) 는 더 이상 지지 수단 (13) 을 끌어당기지 않는다. 도 1c 는 완충기 (12.1) 위로의 평형추 (12) 의 설정으로부터, 장력이 줄 (13.1) 에 더 이상 작용하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
(2) 승강실 (11) 은 지지 수단 줄 (13.2) 에서 무게중심 (G) 이 하방을 향하게 하는 일정의 최소 총중량을 부과한다.
이는, 안전부 (17) 가 빈 승강실 (11) 또는 가벼운 짐이 실린 승강실 (11) 에서 조차, 안전부 (17) 가 구동 풀리 (16) 와의 상호작용이 실행되자마자, 강한 슬립이 설정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이 지점에서 평형추 (12) 는 평형추 완충기 (12.1) 에 놓여 지고, 이어서 평형추 (12) 측에 있는 지지 수단 줄 (13.1) 의 질량이 구동 풀리 (16) 의 평형추 (12) 측으로만 작용하기 때문에, 안전부 (17) 와 구동 풀리 (16) 사이의 최대 허용 마찰계수는 빈 승강실 (11) 의 중량과 평형추 (12) 측의 지지 수단 줄 (13.1) 의 중량의 비로부터 구해진다. 그런 경우에는, 현가장치(suspension), 루핑 각도(looping angle) 등의 각 방법이 명확히 고려되어야 한다. 안전부 (17) 는 유사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승강 장치 (10) 가 도 2 에 나타나 있다. 이 경우에, 지지 수단 (13) 은 승강실 (11) 의 한 끝단 (F1) 과 평형추 (12) 의 다른 끝단 (F2) 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승강 장치 (10) 는 승강실 (11) 의 아래 매달림(underslinging) 을 가지고 있지 않다.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수단 (13) 은 또한 이러한 형태의 구성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부 (17) 가 지지 수단의 끝단 (F1) 의 앞의 공간 (A) 에 위치한 지지 수단 (13) 중 하나 이상의 지점에 제공된다. 공간 (A) 은 승강 장치의 사양에 따른다. 이용가능한 승강로 정상 높이, 구동기의 배열과 구성 또는 운행 속도뿐만 아니라, 더 많은 데이터가 결정적으로 이 공간 (A) 을 결정한다.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 2 안전부 (17) 는 지지 수단의 끝단 (F2) 으로부터 비교적 떨어져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승강실 (11) 이 승강실 측의 완충기 (11.1) 에 놓여질 때, 승강로 정상에서 평형추 (12) 의 오버런이 확실하게 방지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안전부 (17) 는 구동 풀리 (16) 의반경 (R) 의 최소 3.14(B) 배에 대응하는 길이 (L) (지지 수단 (17) 의 세로축 Y 에 평행)를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수치는 지지 수단 (13) 이 구동 풀리둘레에 180°로 루핑된 승강 장치의 경우에만 적용되는 것이다. 안전부 (17) 의 길이 (L) 의 결정은 구동 풀리 반경 (R), 구동 풀리의 루핑 각도, 허용가능한 오버런 운행, 완충기 충격과 동적인 정지 경로뿐만 아니라 안전 마진(margin)을 고려해서 이루어진다. 안전부 (17) 의 길이 (L) 는 모든 경우에 안전부 (17) 와 나머지 지지 수단부 사이의 동적 작용으로 인해, 지지 수단이 전후로 동요하지 않도록 고안된다. 구체적인 예에서, 구동 풀리 반경 (R) 35 mm 에 대해서 안전부 (17) 의 길이는 200 mm 이다.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벨트형 지지 수단 (13)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피복 없는 강 케이블 등의 케이블형 지지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벨트형 지지 수단 (13) 이 사용되면, 이러한 지지 수단은 일측에 표면구조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리브를 가진다.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트형 지지 수단 (13) 은 지지 수단 (13) 의 세로축 (Y) 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다수의 세로방향 리브 (13.3) 를 갖는 다중-V-구조를 가진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리브는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다른 구조로 되거나 전혀 없다. 도 3 에서는 세로방향 리브 (13.5) 중 하나가 지지 수단 (13) 의 전체 길이(안전부 (17) 의 길이 (L) 을 포함하는)에 걸쳐 형성된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다른 세로방향 리브는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중단되어 있다. 이러한 지지 수단 (13) 의 실시형태를 통해서, 한편으로는 지지 수단 (13) 의 안전부 (17) 가 구동 풀리 (16) 와 상호작용할 때, 세로방향 리브에 의해 측면 안내가 충분히 보장되고, 다른 한편으로, 구동 풀리 (16) 와 안전부 (17) 사이의 견인력이 지지 수단 (13) 의 다른 부분과 구동 풀리 (16) 사이의 견인력보다 더 작기 때문에, 고의로 유발된 슬립으로 인한 지지 수단의 '의도된 슬립핑'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벨트형 지지 수단 (13) 이 도 4 에 나타나 있다. 도시된 지지 수단 (13) 은 지지 수단 (13) 의 세로방향 (Y) 에 수직으로 제공되는 톱니 (13.6) 를 가진 톱니형 벨트이다. 길이 (L) 를 가진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지지 수단 (13) 의 표면구조는, 안전부 (17) 가 구동 풀리 (16) 위에서 구동될 때, 구동 풀리 (16) 와 지지 수단 (13) 사이의 견인력을 줄이도록 변형되어 있다. 도시된 예에서, 톱니형 벨트의 톱니 (13.6) 는 그들의 톱니 높이가 줄여졌거나 거의 제거되어 있다.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벨트형 지지 수단 (13) 은 안전부 (17) 의 영역에 마찰감소 코팅을 포함한다. 게다가, 이러한 수단에 의해 견인력은 오버런을 하는 경우에 슬립핑을 유발하도록 선택적으로 줄여질 수 있다.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표면구조뿐만 아니라 표면특성(예를 들면, 슬라이드 수단 등과 같은 마찰 감소 코팅의 도포에 의해)이 변하게 되는 벨트형 지지 수단 (13) 이 특히 바람직하다.
따라서, 지지 수단 (13) 에 양호하게 접착하고 안전부 (17) 에서의 표면특성을 변화시키는, 슬라이드 수단을 분무 등에 의해 도포할 수 있다. 유리하게도, 지지 수단 (13) 의 인접한 영역은 사전에 보호 테이프나 형판에 의해 덮여 있다. 보호 테이프나 형판은 부착된 슬라이드 수단의 소정의 건조시간이 지난 후에 다시 제거될 수 있다.
승강 장치의 조립 후에 그 장치가 지지 수단 (13) 에서 안전부 (17) 의 위치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 측정되거나 조사될 수 있기 때문에, 이 방법이 특히 유리하다. 설명했듯이, 안전부가 제자리에 생성될 수 있고 슬라이드(slide) 수단의 건조 후에 시험 될 수 있다.
케이블형 지지 수단 (13) 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안전부 (17) 의 부분에서 마찰감소 코팅을 포함하는 지지 수단 (13) 이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라 특히 승강 장치 (10) 에 사용하기 위해 구성된 지지 수단 (13) 이 또한 제공된다. 상기 언급된 요소 (승강실의 중량, 구동 풀리 (16) 둘레의 루핑, 구동 풀리 (16) 의 특성 등)는 지지 수단 (13) 의 설계시 고려되어야 한다. 오버런의 경우에 안전 작동을 보장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지지 수단 (13) 은 안전부 (17) 를 포함하고,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지지 수단 (13) 의 다른 길이 부분과 다른 표면특성 및/또는 표면구조를 가진다.
안전부 (17) 의 길이 (L) 은 지지 수단 (13) 의 세로방향 축 (Y) 에 평행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 (L) 와 지지 수단 (13) 전체 길이 사이의 비는 이송 높이, 승강 완충기의 형태, 및 구동 풀리의 반경 (R) 에 따른다. 따라서, 예를 들면, 20 m 의 이송 높이를 갖는 경우에, 승강실이 아래에 매달려 있을 때(도 2 참고) 지지 수단 (13) 은 대략 50 m 이다. 35 mm 구동 풀리 반경을 갖는 경우에, 안전부 (17) 의 길이 (L) 는 대략 200 mm 가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예에서, 안전부 (17) 와 지지 수단(13) 의 전체 길이 사이의 길이 비는 0.2/50 = 0.4 % 이다.
하지만, 이러한 고려와 함께, 안전부 (17) 의 사용이나 제공으로 인해 지지 수단 (13) 의 적하용량(load-bearing capacity) 이 위험해지지 않도록 고려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3 에 나타난 바와 같이, 벨트형 지지 수단 (13) 에는, 예를 들어 강 케이블 (13.4) 또는 강 스트랜드가 장착될 수 있다.
그로 인해서 본 발명은, 긴급상황에서, 즉, 상한 위치 (X) 를 오버런하는 경우에, 안전부 (17) 가 형성된 지지 수단의 영역이 구동 풀리와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정상작동시 안전부 (17) 은 결코 구동 풀리 (16) 상에서 작동하지 않는다.
승강 장치는, 안전부 (18) 와 구동 풀리 (16) 사이의 상호작용이 발생하자마자, 구동시간 제어 및/또는 슬립핑 제어 및/또는 토크 감시 또는 다른 안전 회로를 통해서 구동이 멈추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갑작스런 토크 의 변화 - 구동 용량이 갑자기 변하기 때문에 - 로 인해서 모터 전류가 급격하고 변하고 구동을 정지하는 경우에 토크 감시가 감지된다. 이러한 추가적인 측정을 통해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안전부 (17) 의 배열을 통해서, 승강 장치는, 예를 들어 구동부와 지지 수단의 과열과 같은 다른 손상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전부 (17) 없는 승강 장치의 경우에 구동 풀리 (16) 의 슬립핑이 있으면, 어떠한 환경에서 구동 풀리에 대한 지지 수단의 접촉부에서, 지지 수단의 덮개가 녹을 수 있는, 지지 수단의 영역이 단시간에 강하게 가열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도시된 마찰감소 측정이 된 안전부 (17) 의 구성은 운동과 그에 따른 열 부하를 두드러지게 감소시킨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기 제어의 고장, 승강 장치의 오작동이나 다른 고장의 경우에, 텅 빈 또는 거의 텅빈 승강실이 끌려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로에서 평형추 (12) 의 오버런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4)

  1. 지지 수단 (13) 과 이 지지 수단 (13) 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 풀리 (16)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수단 (13) 은 구동 풀리 (16)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핑하는 승강 장치 (10) 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은 안전부 (17) 를 포함하고, 상기 안전부 (17) 는 상기 구동 풀리 (16) 와 지지 수단 (13) 의 상기 안전부 (17)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슬립핑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은 상기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의 다른 길이부와 다른 표면특성 및/또는 표면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 (17) 는 상기 지지 수단 (13) 의 세로축에 평행하고 구동 풀리 (16) 의 반경 (R) 의 3.14 (B) 배 이상의 길이 (L) 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은 벨트형 지지 수단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은 케이블형 지지 수단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형 지지 수단 (13) 은 표면구조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리브를 가지고, 상기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 리브를 상기 안전부 (17) 에서 다른 구성을 가지거나 또는 완전히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7. 제 4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형 지지 수단 (13) 은 상기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마찰감소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형 지지 수단 (13) 은 상기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마찰감소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전부 (17) 는 상한 위치 (X) 를 오버런한 이후의 상기 승강실 (11) 또는 상한 위치 (W) 를 오버런한 이후의 평형추 (12) 가 승강로 상단부에 접근하면 상기 구동 풀리 (16) 와 상호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
  10. 승강 장치 (10) 에 사용하기 위한 지지 수단 (13) 으로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은 구동된 구동 풀리 (16)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핑하고 상기 구동 풀리 (16) 가 상기 지지 수단 (13) 을 구동하는 지지수단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은 상기 구동 풀리 (16) 와 상기 지지 수단 (13) 의 상기 안전부 (17)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미끄러짐을 유발하는 안전부 (17)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수단 (13) .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은,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리브는 상기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다른 구성을 가지거나 완전히 없게 되고, 표면구조로서 세로방향 또는 가로방향의 리브를 가지는 벨트형 지지 수단 (13) , 또는
    상기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마찰감소 코팅을 포함하는 벨트형 지지 수단 (13) , 또는
    상기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마찰감소 코팅을 포함하는 케이블형 지지 수단 (1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지 수단 (13) .
  12. 지지수단 및 이 지지 수단 (13) 을 구동하기 위해서 구동된 구동 풀리 (16) 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수단 (13) 은 상기 구동 풀리 (16) 의 둘레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루핑하는 승강 장치 (10) 에서의 오버런을 방지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지지 수단 (13) 에서 안전부 (17) 를 설치하는 단계,
    테이프 또는 형판을 통해서 상기 지지 수단 (13) 의 일부를 덮고, 이 보호 테이프 또는 형판에 의해 덮이는 부분은 상기 안전부 (17) 에 인접하게 되는 단계,
    상기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상기 지지 수단 (13) 에 부착되는 슬라이드 수단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테이프 또는 상기 형판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에서의 오버런 방지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수단은 분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에서의 오버런 방지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부 (17) 는 상한 위치 (X) 를 오버런한 이후의 승강실 (11) 또는 상한 위치 (W) 를 오버런한 이후의 평형추 (12) 가 승강로 상단부 (14.1) 에 접근하면 상기 안전부 (17) 가 구동 풀리 (16) 와 상호작용을 하고, 상기 구동 풀리 (16) 와 상기 지지 수단 (13) 사이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안전부 (17) 의 영역에서 슬립핑을 유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 장치 (10) 에서의 오버런 방지 방법.
KR1020060069920A 2005-07-25 2006-07-25 승강실을 구동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가진 장치 및 대응 지지 수단 KR1012708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5106.804.7 2005-07-25
EP05106804 2005-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3247A true KR20070013247A (ko) 2007-01-30
KR101270849B1 KR101270849B1 (ko) 2013-06-05

Family

ID=35448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9920A KR101270849B1 (ko) 2005-07-25 2006-07-25 승강실을 구동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가진 장치 및 대응 지지 수단

Country Status (21)

Country Link
US (1) US7207420B2 (ko)
EP (1) EP1748016B1 (ko)
JP (1) JP2007031149A (ko)
KR (1) KR101270849B1 (ko)
CN (1) CN100579885C (ko)
AR (1) AR054177A1 (ko)
AT (1) ATE502891T1 (ko)
AU (1) AU2006203139B2 (ko)
BR (1) BRPI0602455A (ko)
CA (1) CA2553299C (ko)
DE (1) DE502006009139D1 (ko)
ES (1) ES2363369T3 (ko)
HK (1) HK1103388A1 (ko)
MX (1) MXPA06008176A (ko)
MY (1) MY142343A (ko)
NO (1) NO20063400L (ko)
NZ (1) NZ548720A (ko)
PL (1) PL1748016T3 (ko)
SG (1) SG129353A1 (ko)
TW (1) TW200710013A (ko)
ZA (1) ZA20060501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86957A1 (de) 2006-08-11 2008-02-13 Inventio Ag Aufzugriemen für eine Aufzuganlag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Aufzugriemens
DE202008001786U1 (de) 2007-03-12 2008-12-24 Inventio Ag Aufzugsanlage, Tragmittel für eine Aufzugsanlage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Tragmittels
JP4474432B2 (ja) 2007-03-27 2010-06-02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US8297413B2 (en) 2007-06-21 2012-10-3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afety device for elevator and rope slip detection method using drive sheave acceleration
CH705350A1 (de) * 2011-08-09 2013-02-15 Brugg Drahtseil Ag Zugorgan mit einer Kraftübertragungsoberfläche mit unterschiedlichen Reibeigenschaften.
EP2958843B1 (en) * 2013-02-22 2017-08-02 KONE Corporation Method and arrangement for monitoring the safety of a counterweighted elevator
CN112551308B (zh) * 2014-04-01 2022-08-02 奥的斯电梯公司 用于电梯系统的沟槽带
CN104192674B (zh) * 2014-08-01 2017-06-20 杭州西奥电梯有限公司 一种电梯曳引悬挂系统
EP2990370B1 (en) * 2014-09-01 2017-06-14 KONE Corporation Elevator
CN106144856A (zh) * 2016-08-24 2016-11-23 森赫电梯股份有限公司 一种曳引式钢带驱动悬挂式无机房乘客电梯
US11407616B2 (en) * 2020-01-24 2022-08-0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belt surface protection for installation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55072A (en) * 1955-06-28 1958-10-07 George C Taylor Hoist
US4892510A (en) * 1985-03-04 1990-01-09 Bando Chemical Industries, Ltd. V-ribbed belt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H0687574A (ja) * 1992-09-10 1994-03-29 Hitachi Ltd エレベータの端階安全装置
WO2001083352A2 (de) * 2000-05-01 2001-11-08 Inventio Ag 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position einer aufzugkabine
JP4862244B2 (ja) * 2001-07-13 2012-01-25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装置
JP2003073045A (ja) * 2001-08-30 2003-03-12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の終点スイッチ
DE50207508D1 (de) * 2002-09-07 2006-08-24 Contitech Antriebssysteme Gmbh Keilrippenriemen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0849B1 (ko) 2013-06-05
CA2553299C (en) 2013-10-08
AR054177A1 (es) 2007-06-06
PL1748016T3 (pl) 2011-08-31
ZA200605012B (en) 2007-09-26
ES2363369T3 (es) 2011-08-02
AU2006203139A1 (en) 2007-02-08
CA2553299A1 (en) 2007-01-25
ATE502891T1 (de) 2011-04-15
US20070034452A1 (en) 2007-02-15
CN1903691A (zh) 2007-01-31
MXPA06008176A (es) 2007-01-24
US7207420B2 (en) 2007-04-24
NO20063400L (no) 2007-01-26
NZ548720A (en) 2007-09-28
AU2006203139B2 (en) 2011-08-18
JP2007031149A (ja) 2007-02-08
SG129353A1 (en) 2007-02-26
EP1748016A1 (de) 2007-01-31
EP1748016B1 (de) 2011-03-23
CN100579885C (zh) 2010-01-13
MY142343A (en) 2010-11-15
BRPI0602455A (pt) 2007-03-13
DE502006009139D1 (de) 2011-05-05
HK1103388A1 (en) 2007-12-21
TW200710013A (en) 2007-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0849B1 (ko) 승강실을 구동하기 위한 지지 수단을 가진 장치 및 대응 지지 수단
US7117978B2 (en) Dampening device for an elevator compensating cable and associated system and method
EP1357075B1 (en) Cage device for double deck elevators
EP1367017B1 (en) Elevator
WO201105502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ducing the swinging of the ropes of an elevator, and an elevator
KR101045224B1 (ko) 엘리베이터
JP3991657B2 (ja) エレベータ
JP4862296B2 (ja) エレベータの検査方法
JP3413868B2 (ja) リニアモータ駆動方式エレベータ装置
KR100645666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465806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6670773B2 (ja) エレベータ用ガバナロープの振れ抑制ガイド装置
KR100627540B1 (ko) 엘리베이터 장치
US20060243540A1 (en) Elevator
JPH1087228A (ja) エレベータ
EP1325881A1 (en) Elevator device
KR102179010B1 (ko) 케이지의 추락방지 장치
JP6849748B2 (ja) エレベータの主索振れ止め装置
KR102507242B1 (ko) 엘리베이터의 서스펜션 설비의 장력을 최적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44989B1 (ko) 엘리베이터 장치
JP2010095355A (ja)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JP2005075575A (ja) エレベータ装置
JP3121216U (ja) 昇降機
JPH082844A (ja) エレベーター釣合鎖用安全装置
JP2003020177A (ja) 機械室レス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