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2232A - 전자 회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전자 회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2232A
KR20070012232A KR1020060067933A KR20060067933A KR20070012232A KR 20070012232 A KR20070012232 A KR 20070012232A KR 1020060067933 A KR1020060067933 A KR 1020060067933A KR 20060067933 A KR20060067933 A KR 20060067933A KR 20070012232 A KR20070012232 A KR 200700122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period
terminal
driving
pot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9288B1 (ko
Inventor
다카시 미야자와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10862A external-priority patent/JP465580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4496A external-priority patent/JP5011682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12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2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9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9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04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08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ontrolled by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 H03F2200/303Indexing scheme relating to amplifiers the loading circuit of an amplifying stage comprising a diode or diode coupled transistor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소자가 구동되는 기간을 충분히 확보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주사선(13) 및 기준 신호선(17)의 세트와 데이터선(15)의 교차에는 단위 회로(U)가 배치된다. 단위 회로(U)는 구동 전류(Sdr)에 따라 구동되는 전기 광학 소자(35)와, 입력단(T)의 전위(Va)에 따른 시간 길이에 걸쳐 구동 전류(Sdr)를 출력하는 인버터(34)와, 입력단(T)에 접속된 제 1 전극(E1)과 기준 신호선(19)에 접속된 제 2 전극(E2)을 갖는 용량 소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주사선(13) 각각은 제 1 기간마다 차례로 선택되고, 이 선택된 주사선(13)에 대응하는 단위 회로(U)의 입력단(T)에 데이터 전위(Vdata)가 공급된다. 각 기준 신호선(19)에는 상기 기준 신호선(19)에 대응한 주사선(13)이 선택되는 제 1 기간에서 저(低)전위를 유지하는 동시에 기준 신호선(19)마다 상이한 제 2 기간에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전위가 변화되는 기준 신호(W[i])가 공급된다.
주사선, 기준 신호선, 입력단, 데이터선, 단위 회로

Description

전자 회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ELECTRONIC CIRCUIT, ELECTRONIC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NIC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주사 신호(Y[i]) 및 기준 신호(W[i])의 파형을 나타낸 타이밍차트.
도 3은 1개의 단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4는 전위(Va)와 구동 전류(Sdr)의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차트.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전자 장치에서의 1개의 단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기준 신호(W[i])의 파형을 나타낸 타이밍차트.
도 7은 변형예에 따른 단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9는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10은 1개의 단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1은 기입 기간에서의 단위 회로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12는 구동 기간에서의 단위 회로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단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4는 제 4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15는 초기화 기간에서의 단위 회로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16은 제 4 실시예의 변형예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단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18은 제 5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19는 초기화 기간에서의 단위 회로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단위 회로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
도 21은 제 6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
도 22는 초기화 기간에서의 단위 회로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형태(퍼스널 컴퓨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형태(휴대 전화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의 형태(휴대 정보 단말)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 : 전자 장치 10 : 소자 어레이부
13 : 주사선 15 : 데이터선, 신호선
17 : 전압 공급선 19 : 기준 신호선
23 : 주사선 구동 회로
25 : 데이터선 구동 회로, 신호선 구동 회로 27 : 전압 제어 회로
29 : 신호 생성 회로 37 : 트랜지스터
33 : 용량 소자 34 : 인버터
T : 인버터의 입력단(入力端) 35 : 전기 광학 소자
Y[i] : 주사 신호 X[j] : 데이터 신호
Vdata : 데이터 신호의 전위 W[i] : 기준 신호
Sdr : 구동 전류 Va : 인버터의 입력단의 전위
본 발명은 유기 발광 다이오드(이하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라고 함) 소자, 액정 소자, 전기 영동(泳動) 소자, 일렉트로크로믹(electrochromic) 소자, 전자 방출 소자, 저항 소자 등 각종 피(被)구동 소자의 거동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피구동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피구동 소자인 OLED 소자를 포함하는 복수의 단위 회로를 면 형상으로 배열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각 단위 회로는 OLED 소자에 공급되는 전류를 게이트의 전압에 따라 제어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이 구동 트랜지스터를 다이오드 접속하기 위한 리셋(reset) 트랜지스터와, OLED 소자로의 전류 공급의 가부(可否)를 전환하는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각 단위 회로에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의 오차(편차)를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피구동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종래부터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2에는 각 화소의 OLED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신호(예를 들어 전류 신호)의 펄스 폭을 제어함으로써 다(多)계조를 표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 구성에서는, 각 화소의 계조를 지정하는 데이터 신호와 삼각파(三角波) 등 경시적(經時的)으로 레벨이 변화되는 신호(이하 「기준 신호」라고 함)의 비교 결과에 따라 구동 신호의 펄스 폭이 화소마다 제어된다.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2003-122301호 공보(도 1)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2003-223137호 공보(단락 [0014] 및 도 2)
그런데, 1개의 단위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총수(總數)는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트랜지스터의 총수가 많을수록 단위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져 제조 비용이 증대하기 때문이다. 또한, 단위 회로를 화소로서 이용한 전기 광학 장치에서는 트랜지스터의 총수가 많을수록 개구율이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 하에서 각 단위 회로의 트랜지스터 총수를 저감하는데는 한계가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의 구성에서는, 단위 회로에 데이터가 기입되는 기간에서 OLED 소자를 소등(消燈)시키기 위해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가 불가결하다.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예를 들어 각 단위 회로의 구성을 간소화하기 때문에 효과적이다.
특허문헌 2에 개시된 구성에서는, 1프레임이 주사 기간과 발광 기간으로 구분되고, 주사 기간에서 모든 화소에 데이터 신호가 공급된 후, 발광 기간에서의 기준 신호의 공급에 의해 모든 화소의 OLED 소자가 일제히 구동된다(특히 특허문헌 2 의 도 2 참조). 이와 같이 1프레임 내에 주사 기간과 발광 기간이 별개로 설정되는 구성에서는, 예를 들어 발광 기간의 시간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발광 기간의 시간 길이가 불충분하면 각 OLED 소자의 휘도가 부족하여 표시가 어두워지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발광 기간의 시간 길이가 짧으면 구동 신호의 펄스 폭(특히 저(低)휘도에 대응한 펄스 폭)을 짧게 해야만 한다. 그러나, 특히 OLED 소자 등의 전기 광학 소자는 단기간에서의 전류 집중(예를 들어 스파이크(spike) 형태의 전류 공급)에 의해 특성 열화(劣化)가 진행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의 구성에서는 데이터 신호가 용량 소자의 한쪽 전극에 공급된다. 이 구성에서는, 데이터 신호 공급 시에서의 용량 소자의 다른쪽 전극의 전위를 정확하게 설정하기 위해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 1 배선(예를 들어 도 1의 주사선(13))과,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배선(예를 들어 도 1의 데이터선(15))과,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단위 회로와,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에 기준 신호(예를 들어 각 실시예에서의 기준 신호 W[1] 내지 W[m])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신호선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 각각은,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 소자(예를 들어 도 3의 전기 광학 소자(35))와,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도 3의 인버터(34), 또는 도 7의 인버터(34)와 트랜지스터(39)의 세트)과, 상기 구동 수단에 포함되는 입력단(入力端)(예를 들어 도 3의 입력단(T))과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 중 1개의 제 2 배선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도 3의 트랜지스터(31))와, 상기 입력단에 접속된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중 1개의 기준 신호선에 접속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전하를 축적하는 용량 소자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기간에서 구동 수단의 입력단에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제 2 배선으로부터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이 제 1 기간의 경과 후에 기준 신호가 변화되면, 용량 소자에서의 용량 커플링에 의해, 입력단의 전위가 그 직전의 제 1 기간에서의 데이터 신호의 전위로부터 기준 신호의 변동분만큼 변화된다. 따라서, 입력단의 전위에 따른 길이의 구동 기간에서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피구동 소자는 데이터 신호에 따른 상태로 구동된다. 그리고, 용량 소자의 제 2 전극의 전위는 기준 신호선에 의해 직접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용량 소자의 2개의 전극의 전위를 단시간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등의 이점(利點)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의 제 1 배선(예를 들어 도 1의 주사선(13))과, 복수의 제 1 배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배선(예를 들어 도 1의 데이터선(15))과, 복수의 제 1 배선과 복수의 제 2 배선의 교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복수의 단위 회로와, 복수의 제 1 배선 각각을 제 1 기간마다 선택하는 선 택 회로(예를 들어 도 1의 주사선 구동 회로(23))와, 각 제 1 기간에서 복수의 제 2 배선 각각에 데이터 전위를 공급하는 데이터 공급 회로(예를 들어 도 1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25))와, 복수의 기준 신호선 각각에 대하여 상기 기준 신호선에 대응한 제 1 배선이 선택되는 제 1 기간에서 정전위(定電位)를 유지하는 동시에, 기준 신호선마다 상이한 기간에서 경시적으로 전위가 변화되는 기준 신호(예를 들어 각 실시예에서의 기준 신호 W[1] 내지 W[m])를 출력하는 신호 생성 회로를 구비한다. 또한, 복수의 단위 회로 각각은,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 소자(예를 들어 도 3의 전기 광학 소자(35))와, 입력단(예를 들어 도 3의 입력단(T))의 전위에 따른 길이의 기간에서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를 피구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수단(예를 들어 도 3의 인버터(34), 또는 도 7의 인버터(34)와 트랜지스터(39)의 세트)과, 상기 단위 회로에 대응한 제 1 배선이 선택되는 제 1 기간에서 입력단과 제 2 배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도 3의 트랜지스터(31))와, 입력단에 접속된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중 1개의 기준 신호선에 접속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전하를 축적하는 용량 소자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기간에서 구동 수단의 입력단에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고, 이 제 1 기간 경과 후의 제 2 기간에서 기준 신호가 경시적으로 변화되면, 용량 소자에서의 용량 커플링에 의해, 입력단의 전위가 그 직전의 제 1 기간에서의 데이터 전위로부터 기준 신호의 변동분만큼 변화된다. 따라서, 입력단의 전위에 따른 길이의 기간에서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피구동 소자는 데이터 전위에 따른 상태로 구동된다. 그리고, 용량 소자의 제 2 전극의 전위는 기준 신호선에 의해 직접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용량 소자의 2개의 전극의 전위를 단시간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등의 이점을 갖는다.
여기서, 기준 신호의 전위가 경시적으로 변화되는 제 2 기간은 기준 신호선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서로 타이밍이 상이하다. 따라서, 제 1 기간에서 1개의 단위 회로의 데이터 전위가 공급되면, 다른 단위 회로에 대한 데이터 전위의 공급을 기다리지 않고 상기 1개의 단위 회로의 피구동 소자가 차례로 구동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전위의 공급이 완료된 단위 회로로부터 차례로 피구동 소자가 구동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모든 단위 회로에 데이터 전위를 공급하는 기간과 모든 OLED 소자를 일제히 발광시키는 기간이 별개로 설정된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각 단위 회로의 피구동 소자가 구동되는 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기준 신호는 데이터 신호의 기입을 행하는 제 1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정전위를 유지하고, 또한 적어도 구동 기간에서 경시적으로 전위가 변화되는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그 이외의 기간에서의 기준 신호의 전위나 그 변화의 형태는 피구동 소자의 구동 형태나 기능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 1 기간과 기준 신호의 전위가 경시적으로 변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의 간격도 피구동 소자의 구동 형태나 기능 등에 따라 적절히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각각의 전위는 소정의 주기로 변화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 각각을 선택 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제 1 배선이 선택되는 순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에 대하여 차례로 상기 기준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생성 회로를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각 기준 신호의 제 2 기간을 충분한 시간 길이로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제 1 배선의 선택 순서와 각 제 1 배선에 대응하는 기준 신호선에 대해서 제 2 기간이 도래하는 순서가 반드시 합치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상기 1개의 제 2 배선과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제 1 기간에서 상기 입력단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입력단의 전위가 설정된다. 그리고, 상기 피구동 소자에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공급하는 구동 기간의 길이는 상기 제 1 기간에서 설정된 상기 입력단의 전위에 대응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가 피구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기간의 시간 길이를 데이터 신호에 따라 설정할 수 있다. 이들 형태에 있어서, 입력단은 피구동 소자에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가 공급되는 구동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부유(floating) 상태로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전극의 전하 누설이 방지되기 때문에, 기준 신호의 경시적인 변화에 따라 입력단의 전위를 확실하게 변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 구동 수단은 상기 입력단의 전위가 소정 전위를 상회(上回)하는 기간 및 상기 입력단의 전위가 소정 전위를 하회(下回)하는 기간에서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한다. 예를 들어 구동 수단은 입력단의 전위가 소정의 전위(각 실시예에서의 임계값 전압(Vth))를 상회할 때에 구동 전압이나 구동 전류를 출력하고, 입력단의 전위가 소정 의 전위를 하회할 때에 구동 전압이나 구동 전류의 출력을 정지시킨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전기 광학 소자가 2치적으로 구동되기 때문에, 단위 회로의 각부(各部)나 피구동 소자의 특성 편차에 기인한 피구동 소자의 구동 상태(예를 들어 발광 소자의 휘도 레벨)의 편차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형태에서의 구동 수단의 전형적인 예는 인버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는 상기 제 1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단의 전위가 설정될 때에는 적어도 제 1 전위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 2 기간 개시 시에서의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는 상기 제 1 전위이고,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2 기간 내에 상기 제 1 전위와는 상이한 전압 레벨을 갖는 제 2 전위로 되며, 상기 제 2 기간 종료 시에서의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는 상기 제 1 전위이다.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 2 기간 내에서의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 변화는 상기 제 2 전위로 된 시점을 중점(中點)으로 하여 선대칭(線對稱)이다. 즉, 기준 신호는 제 2 기간의 시점(始點)과 종점(終點)의 중점(예를 들어 도 2나 도 4의 중점 tc)을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인 파형(전형적으로는 삼각파)으로 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피구동 소자가 실제로 구동되는 기간(예를 들어 전기 광학 소자가 발광하는 기간)의 시간축 상의 중심(重心)을 데이터 신호에 관계없이 제 2 기간의 중점으로 할 수 있다. 다만, 기준 신호선의 전위의 변화 형태(기준 신호의 파형)는 엄밀하게 선대칭일 필요는 없다. 즉, 각각이 별개의 데이터 신호에 대응하는 복수의 구동 기간 중 시간 길이가 제로(zero)인 구동 기간을 제외하고 최단 (最短) 구동 기간이 그 이상의 시간 길이의 구동 기간과 제 2 기간의 시간축 상에서 중복되도록 각 기준 신호선의 전위(즉, 기준 신호)를 설정하면 된다. 예를 들어 도 4의 예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계조 G0 내지 G3 중 구동 전류(Sdr)가 흐르는 구동 기간이 제로가 아닌 최단 시간 길이로 되는 계조 G1에 대해서는, 구동 기간이 계조 G2 또는 계조 G3의 구동 기간(계조 G1에 대응하는 구동 기간보다도 긴 구동 기간)에 대하여 제 2 기간 Pb[i]의 시간축 상에서 중복되도록 기준 신호가 생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기준 신호선은 복수의 제 2 배선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 구성에 의하면, 1개의 제 1 배선에 공통으로 접속된 각 단위 회로에 대하여, 상기 제 1 배선을 따라 연장되는 단순한 형상의 기준 신호선을 통하여 공통의 기준 신호를 확실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 각각은, 상기 1개의 제 2 배선과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상기 입력단에 공급하는 제 1 기간에 앞서 상기 입력단을 소정의 전위로 설정하는 리셋 수단(예를 들어 도 5의 트랜지스터(37))을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기간에 앞서 입력단이 소정의 전위로 초기화되기 때문에, 제 1 기간에서 신속하고 확실하게 입력단의 전위를 데이터 전위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각 형태의 전자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이용된다. 이 전자 기기의 전형적인 예는 전자 장치를 표시 장치로서 이용한 기기이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 등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 치의 용도는 화상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선의 조사에 의해 감광체 드럼 등의 상담지체(像擔持體)에 잠상(潛像)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장치(노광 헤드)로서도 본 발명의 전자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피구동 소자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이 피구동 소자의 전형적인 예는 전기 에너지의 부여(예를 들어 전계(電界)의 인가)에 의해 휘도나 투과율과 같은 광학적인 성상(性狀)이 변화되는 전기 광학 소자(예를 들어 OLED 소자 등의 발광 소자)이다. 본 발명은 전기 광학 소자의 구동에 전용(專用)되는 전기 광학 장치로서도 특정된다. 이 전기 광학 장치는 복수의 주사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단위 회로와,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에 기준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신호선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 각각은,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광학 소자와,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에 포함되는 입력단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1개의 데이터선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입력단에 접속된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중 1개의 기준 신호선에 접속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전하를 축적하는 용량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기간의 길이는, 제 1 기간 내에 상기 1개의 데이터선과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가 상기 입력단에 공급됨으로써 설정된 상기 입력단의 전위에 대응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 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도 실시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구동 방법은,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제 1 배선 및 복수의 제 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단위 회로와, 복수의 기준 신호선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 각각이,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피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소자에 포함되는 입력단에 접속된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중 1개의 기준 신호선에 접속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전하를 축적하는 용량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으로서, 제 1 기간에서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 중 1개의 제 2 배선으로부터 상기 입력단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입력단의 전위를 설정하고,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각각의 전위를 소정의 주기로 변화시킨다. 이 방법에 의해서도, 본 발명의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단위 회로와, 전압 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회로는, 제어 단자(예를 들어 게이트)와 제 1 단자(소스 및 드레인 중 한쪽)와 상기 전압 공급선에 접속된 제 2 단자(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쪽)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導通) 상태가 설정되는 구동 트랜지스 터와, 피구동 소자(예를 들어 도 10의 전기 광학 소자(11))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도 10의 트랜지스터(T1))와, 제 1 전극(예를 들어 도 10의 제 1 전극(Ea))과 제 2 전극(예를 들어 도 10의 제 2 전극(Eb)) 사이에 유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전극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극이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예를 들어 도 10의 용량 소자(C))를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 및 구동 전압 중 적어도 한쪽의 레벨이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에 따라 설정된다.
이 구성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와 제 1 단자 및 제 2 단자 중 한쪽이 제 1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됨으로써 구동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의 오차가 보상되는 한편,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압이 용량 소자에서의 용량 커플링에 의해 신호선의 전압에 따른 전압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매우 간소한 구성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의 오차(1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과 설계값의 상이, 또는 복수의 단위 회로를 포함하는 구성에서는 각 단위 회로에서의 구동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의 상이)를 보상하면서 피구동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본 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에서는, 신호선과 제 2 전극 사이에 양자(兩者)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신호선의 전압을 제 2 전극에 공급할지의 여부를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를 배치할 수도 있지만, 단위 회로의 간소화를 촉진한다 는 관점에서 보면, 제 2 전극은 신호선에 대하여 직접(즉, 스위칭 소자를 개재시키지 않고)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제 1 기간(예를 들어 도 9의 기입 기간 Pwrt)에서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에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기간에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신호선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예를 들어 도 9의 데이터 전압(Vdata))가 공급되며, 제 2 기간(예를 들어 도 9의 구동 기간 Pdrv)에서 상기 제 2 기간 내에서 경시적으로 변화되는 제어 신호(예를 들어 도 9의 제어 전압(Vctl))가 상기 제 2 전극에 공급된다.
이 형태 하에서는, 제 1 기간에 데이터 신호가 제 2 전극으로 유지되고, 제 2 기간에서 제 2 전극의 전압이 경시적으로 변화된다. 그리고, 제 1 전극의 전압(즉,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의 전압)은, 용량 소자에서의 용량 커플링에 의해, 데이터 신호와 제어 신호의 레벨의 차분값에 따른 전압값만큼 변동된다. 따라서, 본 형태에 의하면, 데이터 신호에 따른 시간 길이에 걸쳐 피구동 소자를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 2 기간에서 제 1 전극이 부유 상태로 되는 구성을 채용하면, 제 1 전극에 축적된 전하의 누설이 억제되기 때문에, 제 1 전극의 전압을 높은 정밀도에 의해 데이터 신호에 따른 전압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의 구동 회로에 있어서, 데이터 신호를 단위 회로에 공급하는 회로와 제어 신호를 단위 회로에 공급하는 회로는 서로 이간(離間)된 별개의 회로로서 전자 장치에 실장될 수도 있고, 양쪽이 단일 회로(예를 들어 IC 칩)에 탑재된 형태로 전자 장치에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 신호를 단위 회로에 공급하기 위한 배선으로서 신호선이 겸용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고, 신호선과는 별개의 배선을 통하여 제어 신호가 단위 회로에 공급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는,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복수의 전압값 중 어느 것으로 설정하는(예를 들어 전압 공급선과 소정 전위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전압 제어 회로를 더 구비한다. 이 형태에서의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상기 제 1 단자보다도 저위(低位)의 제 1 전압값(예를 들어 전압값(Vss))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상기 제 1 단자보다도 고위(高位)의 제 2 전압값(예를 들어 전압값(Vdd))으로 설정한다.
이 구성에서는, 제 1 기간 중 적어도 일부(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단자 또는 제 2 단자가 제어 단자에 접속되는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는 전압 공급선의 전압이 제 1 단자보다도 저위의 제 1 전압값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이 기간에서는, 전압 공급선의 전압이 제 2 전압값으로 설정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피구동 소자에 부여되는 전기 에너지(피구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 또는 구동 전압)가 저감된다. 따라서, 피구동 소자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부여 가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서의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가 배치되어 있지 않아도, 원리적으로는 제 1 기간 내에서의 피구동 소자로의 전기 에너지 공급을 억제(이상적으로는 정지)할 수 있다. 다만,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가 원리적으로는 불필요하다고 하더라도, 이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가 배치된 구성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제외하는 취지는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구성에서도, 피구동 소자가 구동되는 기간을 보다 확실하게 규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특허문헌 1의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와 같이, 피구동 소자에 대한 전기 에너지의 부여 가부를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가 배치될 수도 있다.
그런데, 단위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특히 구동 트랜지스터)로서는, 예를 들어 각종 반도체 재료(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 미(微)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로 이루어지는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트랜지스터(전형적으로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채용할 수 있다. 반도체층이 예를 들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된 트랜지스터는, 이것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항상 고정되어 있으면 임계값 전압이 경시적으로 변동되어 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형태에 의하면, 제 1 기간에서는 전류(예를 들어 도 11의 전류(I0))가 제 1 단자로부터 제 2 단자를 경유하여 전압 공급선에 유입되는 한편, 제 2 기간에서는 전류가 제 2 단자로부터 제 1 단자를 경유하여 피구동 소자에 공급된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제 1 기간과 제 2 기간에서 역전(逆轉)되기 때문에, 본 형태에 의하면, 구동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일지라도, 그 임계값 전압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환언하면, 구동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에 대하여 본 형태는 특히 적합하게 채용된다고 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단위 회로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 랜지스터뿐이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위 회로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를 구동 트랜지스터와 스위칭 트랜지스터라는 2개의 트랜지스터로 삭감하면서, 구동 트랜지스터의 임계값 전압의 오차를 보상할 수 있다. 또한, 이 형태의 구체적인 예는 제 3 실시예(도 10)로서 후술된다.
더 구체적인 형태에 있어서, 구동 소자는 제 1 단자의 전압값이 소정의 전압값을 상회하면 구동되고, 제 1 전압값은 제 1 기간에서의 제 1 단자의 전압값이 소정의 전압값보다도 저위로 되도록 결정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기간에서의 제 1 단자의 전압값이 소정의 전압값보다도 저위로 되기 때문에, 발광 제어 트랜지스터가 배치되지 않는 구성일지라도, 제 1 기간에서의 피구동 소자의 구동(예를 들어 발광)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그런데,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 1 단자는 노이즈 등 다양한 외적 요인에 의해 우발적으로 전압값이 변동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이 변동 후의 전압값에 따라서는(예를 들어 제 1 단자의 전압값이 제 2 전압값 이하로 된 경우 등), 피구동 소자를 구동하는 소기의 상태로 복귀하는 것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더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단위 회로는 제 1 단자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제 1 리셋 수단을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단자의 전압값이 우발적으로 변동된 경우일지라도, 제 1 단자의 전압은 제 1 리셋 수단에 의해 소기의 전압값으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피구동 소자에 대한 소기의 구동이 가능해지는 전압값으로 제 1 전압의 전압을 재설정함으로써 피구동 소자의 안정적인 구동이 실현된다. 또한, 리셋 수단에 의해 제 1 단자의 전압이 소정의 전압값으로 설정되는 타이밍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각 제 1 기간의 개시 전 등 소정의 주기로 제 1 단자의 전압값을 설정할 수도 있고, 전원을 투입하기 위한 조작자(操作子) 등 각종 조작자가 이용자에 의해 조작된 경우에 제 1 단자의 전압값이 설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리셋 수단은 제 1 단자와 전압 공급선을 초기화 기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도 13의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고, 전압 제어 회로는 초기화 기간에서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제 2 전압값으로 설정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제 1 단자의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해 전압 공급선을 겸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전압 공급선과는 별개의 배선이 제 1 단자의 전압값의 리셋에 사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자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또한, 이 형태의 구체적인 예는 제 2 실시예로서 후술된다.
또는, 제 1 리셋 수단이 제 1 단자와 정전압이 공급되는 급전선을 초기화 기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도 17의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하고, 전압 제어 회로가 초기화 기간에서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제 1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형태에 의하면, 초기화 기간에서 전압 공급선의 전압이 제 1 전압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초기화 기간에서의 피구동 소자의 구동(예를 들어 발광)을 확실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형태의 구체적인 예는 제 3 실시예로서 후술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있어서, 단위 회로는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제 2 리셋 수단을 포함한다. 이 형태에 의하 면,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이 소기의 전압값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그 직전에서의 제어 단자의 상황에 관계없이, 구동 트랜지스터의 제어 단자의 전압값을 높은 정밀도에 의해 소기값으로 설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 2 리셋 수단은 제어 단자와 전압 공급선을 초기화 기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3 스위칭 소자(예를 들어 도 20의 트랜지스터(T3))를 포함하고, 전압 제어 회로는 초기화 기간에서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제 2 전압값으로 설정한다. 이 형태에 의하면, 초기화 기간에서 제어 단자의 전압이 제 2 전압값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어 단자의 전압값을 리셋하기 위해 전압 공급선이 겸용되기 때문에, 전압 공급선과는 별개의 배선이 제 1 단자의 전압값의 리셋에 사용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자 장치의 구성이 간소화된다. 또한, 이 형태의 구체적인 예는 제 6 실시예로서 후술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는 각종 전자 기기에 이용된다. 이 전자 기기의 전형적인 예는 전자 장치를 표시 장치로서 이용한 기기이다. 이러한 전자 기기로서는, 퍼스널 컴퓨터나 휴대 전화기 등이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용도는 화상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선의 조사에 의해 감광체 드럼 등의 상담지체에 잠상을 형성하기 위한 노광 장치(노광 헤드)로서도 본 발명의 전자 장치를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피구동 소자는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한다. 이 피구동 소자의 전형적인 예는 전기 에너지의 부여에 의해 휘도나 투과율과 같은 광학적인 성상(계조)이 변화되는 전기 광학 소자이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기 광학 장치는 이상의 각 형태의 전자 장치가 전기 광학 소자의 구동에 전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 전기 광학 장치(예를 들어 전기 광학 소자로서 발광 소자가 채용된 발광 장치)는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단위 회로와, 전압 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회로는, 제어 단자와 제 1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에 접속된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가 설정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 광학 소자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전극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극이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 및 구동 전압 중 적어도 한쪽의 레벨이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에 따라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전자 장치에 대해서 이상에 열거한 각 형태는 이 전기 광학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전자 회로는 피구동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이며,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단위 회로와, 전압 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회로는, 제어 단자와 제 1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에 접속된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가 설정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 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전극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극이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 및 구동 전압 중 적어도 한쪽의 레벨이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에 따라 설정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술한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이 전자 회로에서 피구동 소자의 유무는 불문한다. 또한, 전자 장치에 대해서 이상에 열거한 각 형태는 이 전자 회로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형태는 상술한 각 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이다. 이 구동 방법은, 제어 단자와 제 1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에 접속된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가 설정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피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단위 회로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제 1 기간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 1 기간 내에 상기 신호선을 통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제 2 기간에 상기 제 2 기간 내에서 경시적으로 변화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전극에 공급한다. 이 방법에 의해서도, 이상의 각 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전자 장치에 대해서 이상에 열거한 각 형태는 이 구동 방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A :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예시된 전자 장치(D)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되는 전기 광학 장치이며, 복수의 단위 회로(U)가 면 형상으로 배열된 소자 어레이부(10)와, 각 단위 회로(U)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주사선 구동 회로(23)·데이터선 구동 회로(25)·신호 생성 회로(27))를 포함한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23)와 데이터선 구동 회로(25)와 신호 생성 회로(27)는 각각이 독립된 회로로서 전자 장치(D)에 실장될 수도 있고, 이들 회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단일 회로로서 전자 장치(D)에 실장될 수도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 어레이부(10)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m개의 주사선(13)과, 각 주사선(13)과 짝을 이루어 X방향으로 연장되는 m개의 기준 신호선(17)과, X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n개의 데이터선(15)이 형성된다(m 및 n은 모두 자연수). 각 단위 회로(U)는 주사선(13) 및 기준 신호선(17)의 짝과 데이터선(15)의 교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단위 회로(U)는 세로 m행×가로 n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주사선 구동 회로(23)는 m개의 주사선(13) 각각을 차례로 선택하기 위한 회로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사선 구동 회로(23)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1F)마다 설정되는 소정의 기간(이하 「제 1 기간」이라고 함) Pa[1] 내지 Pa[m] 각각에서 차례로 하이(high) 레벨로 되는 주사 신호 Y[1] 내지 Y[m]을 생성하여 각 주사선(13)에 출력한다. 제 i 행째(i는 1≤i≤m을 충족시키는 정수)의 주사선(13)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Y[i])는 1프레임(1F) 중 제 i 번째의 제 1 기간 Pa[i]에서 하이 레벨로 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 로우(low) 레벨을 유지하는 신호이다. 주사 신호(Y[i])의 하이 레벨로의 천이(遷移)는 제 i 행의 선택을 의미한다.
도 1의 데이터선 구동 회로(25)는 주사선 구동 회로(23)가 선택한 주사선(13)에 대응하는 1행분(n개)의 단위 회로(U) 각각에 각 데이터선(15)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 X[1] 내지 X[n]을 공급한다. 제 i 행의 주사선(13)이 선택되는 제 1 기간 Pa[i]에서 제 j 열째(j는 1≤j≤n을 충족시키는 정수)의 데이터선(15)에 공급되는 데이터 신호(X[j])는 제 i 행에 속하는 제 j 열째의 단위 회로(U)에 지정된 계조(휘도)에 대응하는 전위(Vdata)로 된다. 각 단위 회로(U)의 계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다.
신호 생성 회로(27)는 기준 신호 W[1] 내지 W[m]을 생성하여 m개의 기준 신호선(17) 각각에 출력하는 회로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신호(W[i])는 주사 신호(Y[i])가 하이 레벨로 되는 제 1 기간 Pa[i]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 전위(VH)를 유지하고, 이 제 1 기간 Pa[i] 경과 후의 소정의 기간(이하 「제 2 기간」이라고 함) Pb[i]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에 걸쳐 경시적으로 전위가 변동되는 신호이다.
본 실시예에서의 기준 신호(W[i])는 제 2 기간 Pb[i]의 중점 tc(즉, 제 2 기간 Pb[i]의 시점 및 종점의 양쪽으로부터 동일한 시간 길이의 시점)로부터 시점까지의 파형과 중점 tc로부터 종점까지의 파형이 상기 중점 tc를 기준으로 하여 선대 칭으로 되는 삼각파이다. 즉, 기준 신호(W[i])는 제 2 기간 Pb[i]의 시점으로부터 상기 제 2 기간 Pb[i]의 중점 tc에 걸쳐 전위(VH)로부터 이것보다도 저위의 전위(VL)까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저하되어 가고, 중점 tc로부터 종점에 걸쳐 전위(VL)로부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상승하여 전위(VH)에 도달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신호 W[1] 내지 W[m]의 각각은 위상(位相)이 상이하다. 즉, 기준 신호 W[1] 내지 W[m]이 변동되는 제 2 기간 Pb[1] 내지 Pb[m] 각각의 시기는 기준 신호선(17)마다(행마다) 개별적으로 설정되어 서로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기준 신호선(17)에 공급되는 기준 신호 W[1] 내지 W[m]으로 규정되는 제 2 기간 Pb[1] 내지 Pb[m] 각각은 상기 기준 신호선(17)에 대응하는 주사 신호 Y[1] 내지 Y[m] 각각이 하이 레벨로 되는 순서에 의해 차례로 도래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준 신호(W[i])는 차행(次行)의 주사 신호(Y[i+1])의 하이 레벨로의 천이와 병행하여 전위(VH)로부터 전위(VL)까지의 범위 내에서 변동된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각 단위 회로(U)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3에서는 제 i 행의 제 j 열째에 위치하는 1개의 단위 회로(U)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그 이외의 단위 회로(U)도 동일한 구성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회로(U)는 트랜지스터(31)와 용량 소자(33)와 인버터(34)와 전기 광학 소자(35)를 포함한다. 전기 광학 소자(35)는 유기 EL 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양극(陽極)과 음극(陰極) 사이에 개재시킨 OLED 소자이며, 인버터(34)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Sdr)의 전류 레벨에 따른 휘도 레벨로 발광한다. 또한, 휘도 레벨의 시간에 따른 적분값이 휘도에 상당한다.
인버터(34)는 p채널형 트랜지스터(341)와 n채널형 트랜지스터(342)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341)의 소스는 고위 측의 전원 전위(Vdd)가 공급되는 전원선에 접속된다. n채널형 트랜지스터(342)의 소스는 저위 측의 전원 전위(이하 「접지 전위」라고 함)(Vss)가 공급되는 접지선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341) 및 트랜지스터(342) 각각의 드레인은 전기 광학 소자(35)의 양극에 대하여 공통으로 접속된다. 또한, 트랜지스터(341) 및 트랜지스터(342) 각각의 게이트는 입력단(T)에서 서로 접속된다.
인버터(34)의 입력단(T)의 전위(Va)가 소정 전위(이하에서는 단순히 「임계값 전압」이라고 함)(Vth)를 하회할 경우에는, 트랜지스터(341)가 온(on) 상태로 되어 구동 전류(Sdr)가 전기 광학 소자(35)에 공급된다. 이 구동 전류(Sdr)는 전기 광학 소자(35)를 발광시키는 전류이다. 이것에 대하여, 전위(Va)가 임계값 전압(Vth)을 상회할 경우에는, 트랜지스터(341)가 오프(off) 상태로 되어 트랜지스터(342)가 온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전기 광학 소자(35)에 대한 구동 전류(Sdr)의 공급은 정지된다.
도 3의 용량 소자(33)는 인버터(34)의 입력단(T)에 접속된 제 1 전극(E1)과 기준 신호선(17)에 접속된 제 2 전극(E2)을 포함하고, 제 1 전극(E1)과 제 2 전극(E2) 사이에 전하를 축적한다. 또한, n채널형 트랜지스터(31)는 인버터(34)의 입력단(T)과 데이터선(15)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의 전기적인 접속(도통 및 비(非)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이다. 트랜지스터(31)의 게이트는 주사선(13)에 접속 된다. 따라서, 주사 신호(Y[i])가 하이 레벨로 되는 제 1 기간 Pa[i]에서 트랜지스터(31)는 온 상태로 되고, 주사 신호(Y[i])가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기간에서 트랜지스터(31)는 오프 상태로 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D)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i 행에 속하는 제 j 열째의 단위 회로(U)의 동작을 제 1 기간 Pa[i]과 제 2 기간 Pb[i]으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a) 제 1 기간 Pa[i]
제 1 기간 Pa[i]에서는 주사 신호(Y[i])가 하이 레벨로 천이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31)가 온 상태로 되어 입력단(T)과 데이터선(15)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인버터(34)의 입력단(T)에는 데이터선(15)으로부터 데이터 신호(X[j])의 전위(Vdata)가 공급되고, 이 전위(Vdata)에 따른 전하가 용량 소자(33)에 유지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량 소자(33)의 제 2 전극(E2)에 공급되는 기준 신호(W[i])는 제 1 기간 Pa[i]에서 정전위(전위(VH))를 유지하기 때문에, 입력단(T)의 전위(Va)는 단위 회로(U)의 계조에 따른 전위(Vdata)로 유지된다.
(b) 제 2 기간 Pb[i]
제 1 기간 Pa[i]이 경과하여 주사 신호(Y[i])가 로우 레벨로 되면 트랜지스터(31)는 오프 상태로 천이되기 때문에, 입력단(T)은 데이터선(15)으로부터 전기적으로 절연되어 부유 상태로 된다. 이 상태는 제 2 기간 Pb[i]에서도 유지된다. 따라서, 용량 소자(33)의 제 2 전극(E2)에 공급되는 기준 신호(W[i])가 제 2 기간 Pb[i]에서 전위(VH)로부터 전위(VL)까지의 범위 내에서 변동되면, 용량 소자(33)에 서의 용량 커플링에 의해, 입력단(T)의 전위(Va)(제 1 전극(E1)의 전위)는 직전의 제 1 기간 Pa[i]에서 설정된 전위(Vdata)로부터 기준 신호(W[i])의 변화분만큼 변동된다.
도 4는 입력단(T)의 전위(Va)와 인버터(34)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전류(Sdr)의 관계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4에서는, 단위 회로(U)에 각 계조(G0 내지 G3)가 지정되었을 때의 전위(Va)의 파형이 병기(倂記)되어 있다. 또한, 도 4의 전위 V0 내지 V3은 각 계조 G0 내지 G3 각각이 지정되었을 때의 데이터 신호(X[j])의 전위(Vdata)(즉, 제 1 기간 Pa[i]에서 설정된 전위(Va))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단(T)의 전위(Va)는 제 2 기간 Pb[i]에서의 기준 신호(W[i])의 변동에 따라 ΔV(=VH-VL)만큼 변화된다. 제 2 기간 Pb[i]의 시점에서 전위(Va)는 계조에 따른 전위(Vdata)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 2 기간 Pb[i] 중 입력단(T)의 전위(Va)가 인버터(34)의 임계값 전압(Vth)을 하회하는 기간(이하 「구동 기간」이라고 함)은, 그 직전의 제 1 기간 Pa[i]에서 데이터선(15)으로부터 공급된 전위(Vdata)에 따른 시간 길이로 된다. 예를 들어 계조 G1에 대응하는 전위(Vdata)(V1)는 계조 G2에 대응하는 전위(Vdata)(V2)보다도 고위이기 때문에, 계조 G2가 지정되었을 때에 전위(Va)가 임계값 전압(Vth)을 하회하는 시간 길이는 계조 G1이 지정되었을 때에 전위(Va)가 임계값 전압(Vth)을 하회하는 시간 길이보다도 길다. 또한, 계조 G0이 지정된 경우에 전위(Va)는 제 2 기간 Pb[i]의 전구간에 걸쳐 임계값 전압(Vth)을 상회한다.
입력단(T)의 전위(Va)는 이상과 같이 변동되기 때문에, 데이터 신호(X[j])에 따른 시간 길이(펄스 폭)의 구동 기간에서 구동 전류(Sdr)가 인버터(34)로부터 전기 광학 소자(35)에 공급되고, 그 나머지 기간에서는 전기 광학 소자(35)에 대한 구동 전류(Sdr)의 공급이 정지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조 G2가 지정되었을 때에 전기 광학 소자(35)에 구동 전류(Sdr)가 공급되는 구동 기간은 계조 G1이 지정되었을 때에 구동 전류(Sdr)가 공급되는 구동 기간보다도 길다. 또한, 계조 G0이 지정된 경우에는 제 2 기간 Pb[i]의 전구간에 걸쳐 전기 광학 소자(35)에 대한 구동 전류(Sdr)의 공급이 정지된다. 전기 광학 소자(35)는 구동 전류(Sdr)의 공급에 의해 발광하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신호(X[j])의 전위(Vdata)에 따른 시간 밀도로 전기 광학 소자(35)가 발광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전기 광학 소자(35)의 계조가 단위 회로(U)마다 제어된다.
이상에서는 1개의 단위 회로(U)의 동작을 설명했지만, 동일한 동작이 행 단위로 각 단위 회로(U)에서 실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단(T)에 대한 전위(Vdata)의 공급(제 1 기간 Pa[i])과 기준 신호(W[i])에 따른 전위(Va)의 변동(제 2 기간 Pb[i])이 각 행의 단위 회로(U)마다 별개의 타이밍에서 차례로 실시된다. 따라서, 제 1 기간 Pa[i]에서 1개의 단위 회로(U)에 데이터 신호(X[j])가 공급되면(즉, 입력단(T)에 전위(Vdata)가 공급되면), 그 이외의 각 단위 회로(U)에 대한 데이터 신호(X[j])의 공급을 기다리지 않고 전기 광학 소자(35)가 차례로 구동된다. 환언하면, 데이터 신호(X[j])의 공급이 완료된 단위 회로(U)로부터 차례로 전기 광학 소자(35)가 발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전류(Sdr)의 공급과 정지에 의 해 2치적으로 전기 광학 소자(35)가 구동되기 때문에, 전기 광학 소자(35)에 공급되는 전류(또는 전기 광학 소자(35)에 인가되는 전압)를 각 계조에 대응하여 단계적으로 제어하는 구성과 비교하여, 전기 광학 소자(35)나 인버터(34)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특성 편차의 영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용량 소자(33)의 제 2 전극(E2)의 전위가 기준 신호선(17)에 의해 직접적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용량 소자(33)의 각 전극의 전위를 단시간에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모든 단위 회로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주사 기간과 모든 OLED 소자를 일제히 발광시키는 발광 기간이 별개로 설정되는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각 전기 광학 소자(35)가 발광하는 기간을 장기(長期)로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전기 광학 소자(35)를 충분한 휘도로 발광시킬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성과 비교하여 구동 전류(Sdr)의 펄스 폭을 길게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 광학 소자(35)에 대한 순간적인 전류의 집중(스파이크 형태의 전류 공급)을 회피하여 전기 광학 소자(35)의 특성 열화를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B : 제 2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공통 부호를 첨부하여 각각의 상세한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D)의 1개의 단위 회로(U)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위 회로(U)는 도 3에 예시한 제 1 실시예의 구성에 n채널형 트랜지스터(37)가 추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트랜지스터(37)는 인버터(34)의 입력단(T)과 출력단(出力端)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의 전기적인 접속(도통 및 비도통)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이다.
트랜지스터(37)의 게이트는 리셋 신호 R[i]가 공급되는 배선에 접속된다. 리셋 신호 R[i]는 주사 신호(Y[i])가 하이 레벨로 되는 제 1 기간 Pa[i]의 개시 전의 기간에서 하이 레벨로 되고, 그 이외의 기간에서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신호이다. 즉, 리셋 신호 R[1] 내지 리셋 신호 R[m]은 각 행이 선택되는 순서에 의해 차례로 하이 레벨로 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리셋 신호 R[i]가 하이 레벨로 되면, 트랜지스터(37)가 온 상태로 천이되어 인버터(34)의 입력단(T)과 출력단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인버터(34)의 입력단(T) 및 출력단의 양쪽 전위는 전원 전위(Vdd)와 p채널형 트랜지스터(341)의 임계값 전압(Vth_P)의 차분값(Vdd-Vth_P)에 수렴된다. 이와 같이 제 1 기간 Pa[i]에 앞서 입력단(T)의 전위(Va)를 소정값으로 설정함으로써, 제 1 기간 Pa[i]에서 입력단(T)의 전위(Va)를 신속하고 확실하게 전위(Vdata)로 설정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전기 광학 소자(35)와 인버터(34)의 출력단 사이의 전위가 소정값으로 초기화되기 때문에, 전기 광학 소자(35)의 응답에 필요한 시간을 복수의 단위 회로(U)에 걸쳐 균일화할 수 있다.
<C : 변형예>
이상의 각 형태에는 다양한 변형을 부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형태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이하의 각 형태를 적절히 조합시킬 수도 있다.
(1) 변형예 1
각 실시예에서는 제 2 기간 Pb[i]에서의 기준 신호(W[i])가 삼각파로 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제 2 기간 Pb[i]에서의 기준 신호(W[i])의 파형은 적절히 변경된다. 예를 들어 각 실시예에서는 제 2 기간 Pb[i]의 중점 tc를 기준으로 하여 파형이 선대칭으로 되는 기준 신호(W[i])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에서 기준 신호(W[i])의 대칭성이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램프파나 톱니파(sawtooth wave)나 멀티램프파(계단파) 등 다양한 파형이 제 2 기간 Pb[i] 내의 기준 신호(W[i])에 적용된다. 또한, 전위가 직선적으로 변화되는 파형뿐만 아니라 정현파(正弦波) 등 곡선적으로 변화되는 파형을 제 2 기간 Pb[i]에서의 기준 신호(W[i])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기준 신호(W[i])가 제 2 기간 Pb[i]에 삼각파의 1주기분의 파형으로 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삼각파나 이상에 예시한 램프파나 톱니파 등 다양한 단위 파형의 복수를 제 2 기간 Pb[i] 내에 연속시킨 파형(즉, 전위의 상승과 하강을 복수회에 걸쳐 반복하도록 복수의 단위 파형을 시간축 상에 배열한 파형)을 기준 신호(W[i])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 2 기간 Pb[i] 내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전위가 변동되는 기준 신호(W[i])를 전기 광학 소자(35)의 구동 형태나 기능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제 2 기간 Pb[i]가 개시되면 입력단(T)의 전위(Va)가 제 1 기간 Pa[i]에서의 전위(Vdata)로부터 변동되기 시작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제 2 기간 Pb[i]의 시점 및 종점에서 입력단(T)의 전위(Va)가 변동되도록 기준 신호(W[i])의 파형을 선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예시된 기준 신호(W[i]) 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6의 기준 신호(W[i])는 제 2 기간 Pb[i]의 시점에서 변화량 Vd만큼 전위가 상승하는 동시에 제 2 기간 Pb[i]의 종점에서 변화량 Vd만큼 전위가 하강하고, 또한 제 2 기간 Pb[i]의 시점으로부터 종점까지에 걸쳐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게 전압 ΔV의 범위 내에서 전위가 하강 및 상승한다. 입력단(T)의 전위(Va)는 이 기준 신호(W[i])의 파형에 따라 변동된다. 즉,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위(Va)는 첫째로 제 2 기간 Pb[i]의 시점에서 전위(Vdata)로부터 변화량 Vd만큼 상승하고, 둘째로 시점으로부터 중점 tc까지의 구간에서 변화량 ΔV만큼 하강하는 동시에 중점 tc로부터 종점까지의 구간에서 변화량 ΔV만큼 상승하며, 셋째로 제 2 기간 Pb[i]의 종점에서 Vd만큼 하강하여 전위(Vdata)로 된다. 이 구성에서도, 각 실시예와 동일하게 데이터 신호(X[j])에 따른 시간 길이에 걸쳐 구동 전류(Sdr)가 인버터(34)로부터 출력된다.
(2) 변형예 2
단위 회로(U)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 3의 예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 트랜지스터의 도전형은 도 3의 예시로부터 임의로 변경된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인버터(34)의 출력단과 전기 광학 소자(35)의 양극이 직접 접속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버터(34)의 출력단에 n채널형 트랜지스터(39)의 게이트가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트랜지스터(39)는 구동 전류(Sdr)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이며, 전원 전위(Vdd)가 공급되는 전원선과 전기 광학 소자(35)의 양극 사이에 삽입된다. 트랜지스터(341)가 온 상태로 되어 인버터(34)로부터 전원 전위(Vdd)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39)는 온 상태로 천이된다. 이 때 , 전기 광학 소자(35)에는 구동 전류(Sdr)가 흘러 발광한다. 이것에 대하여, 인버터(34)로부터 접지 전위(Vss)가 출력되면 트랜지스터(39)는 오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전류 공급이 정지되어 전기 광학 소자(35)는 소등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구동 전류(Sdr)를 출력하기 위한 수단(본 발명에서의 구동 수단)은 인버터(34)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3, 도 5 및 도 7의 인버터(34) 대신에, 입력단(T)의 전위(Va)와 소정 전위를 비교하여 그 결과에 따른 구동 전류(Sdr)를 출력하는 비교기(comparator)를 설치할 수도 있다. 이 비교기는 예를 들어 전위(Va)가 소정 전위를 하회할 경우에는 전원 전위(Vdd)를 출력하는 동시에 전위(Va)가 소정 전위를 상회할 경우에는 접지 전위(Vss)를 출력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전기 광학 소자(35)에 공급되는 신호는 전류 신호(각 실시예에 예시한 구동 전류(Sdr))일 수도 있고, 전압 신호일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구동 수단은 입력단(T)의 전위(Va)에 따른(보다 구체적으로는 전위(Va)와 소정 전위의 대소(大小)에 따른) 구동 신호(구동 전류(Sdr)나 구동 전압)를 출력하는 요소이면 되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구성의 여하는 불문한다.
(3) 변형예 3
각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주사선(13) 각각에 대응하도록(즉, 각 행마다) 기준 신호선(17)이 형성된 구성을 예시했지만, 주사선(13)과 기준 신호선(17)의 대응 관계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m개의 주사선(13)을 소정 개수마다 구분 한 그룹의 각각에 대응하도록 기준 신호선(17)이 형성되고, 각 기준 신호선(17)이 1개의 그룹에 속하는 각 단위 회로(U)에 접속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구성에서는 데이터 신호(X[j])의 공급이 각 행마다 실행되는 한편, 기준 신호(W[i])의 변동에 의한 전기 광학 소자(35)의 구동은 그룹마다 실행된다.
(4) 변형예 4
제 2 실시예에서는 제 1 기간 Pa[i]에 앞서 인버터(34)의 입력단(T)을 그 출력단에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인버터(34)의 입력단(T)의 접속처는 적절히 변경된다. 예를 들어 소정 전위로 유지되는 배선과 인버터(34)의 입력단(T) 사이에 트랜지스터(37)를 개재시킨 구성으로 하고, 제 1 기간 Pa[i]에 앞서 트랜지스터(37)를 온 상태로 함으로써 인버터(34)의 입력단(T)을 소정 전위로 초기화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5) 변형예 5
이상의 형태에서는 전기 광학 소자(35)로서 OLED 소자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 채용되는 전기 광학 소자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OLED 소자 대신에, 무기 EL 소자나, 필드·이미션(FE) 소자, 표면 도전형 이미션(SE: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소자, 탄도(彈道) 전자 방출(BS:Ballistic electron Surface emitting) 소자,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와 같은 다양한 자발광 소자, 더 나아가서는 전기 영동 소자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등 다양한 전기 광학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 칩 등의 센싱(sensing) 장치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피구동 소자는 전기 에너지의 부 여에 의해 구동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발광 소자 등의 전기 광학 소자는 피구동 소자의 예시에 불과하다.
<A : 제 3 실시예>
도 8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에 예시된 전자 장치(D)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디바이스로서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되는 전기 광학 장치이며, 복수의 단위 회로(U)가 면 형상으로 배열된 소자 어레이부(10)와, 각 단위 회로(U)를 구동하기 위한 주사선 구동 회로(23) 및 신호선 구동 회로(25)와, 각 단위 회로(U)에 전압(A)을 공급하기 위한 전압 제어 회로(27)를 포함한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23)와 신호선 구동 회로(25)와 전압 제어 회로(27)는 각각이 별개의 회로로서 전자 장치(D)에 실장될 수도 있고, 이들 회로의 일부 또는 전부가 단일 회로로서 전자 장치(D)에 실장될 수도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자 어레이부(10)에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m개의 주사선(13)과, X방향과 직교하는 Y방향으로 연장되는 n개의 신호선(데이터선)(15)이 형성된다(m 및 n은 모두 자연수). 각 단위 회로(U)는 주사선(13)과 신호선(15)의 교차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따라서, 이들 단위 회로(U)는 세로 m행×가로 n열의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다.
소자 어레이부(10)에는 각 주사선(13)과 짝을 이루어 X방향으로 연장되는 m개의 전압 공급선(17)이 형성된다. 이들 전압 공급선(17)은 전압 제어 회로(27)의 출력단에 대하여 공통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전압 제어 회로(27)로부터 출력되는 전압(A)은 각 전압 공급선(17)을 통하여 복수의 단위 회로(U)에 공통으로 공급된 다.
도 9는 전자 장치(D)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프레임(1F)이 기입 기간 Pwrt와 구동 기간 Pdrv로 구분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입 기간 Pwrt의 시간 길이와 구동 기간 Pdrv의 시간 길이가 대략 일치하는 경우를 예시하지만, 각 기간의 시간 길이의 비율은 임의로 변경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 제어 회로(27)는 각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을 기입 기간 Pwrt에서 전압값(Vss)으로 설정하고, 그 직후의 구동 기간 Pdrv에서 전압값(Vdd)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전압값(Vss)은 각부의 전압의 기준으로 되는 전위(접지 전위)이다. 전압값(Vdd)은 전압값(Vss)보다도 고위의 전압(예를 들어 전원 전위의 고위 측)이다.
도 8의 주사선 구동 회로(23)는 기입 기간 Pwrt 내에 m개의 주사선(13) 각각을 소정의 순서에 의해 차례로 선택(복수의 단위 회로(U)를 행 단위로 선택)하기 위한 회로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주사선 구동 회로(2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입 기간 Pwrt 내의 각 수평 주사 기간(1H)에서 차례로 하이 레벨로 되는 주사 신호 S[1] 내지 S[m]을 생성하여 각 주사선(13)에 출력한다. 제 i 행째(i는 1≤i≤m을 충족시키는 정수)의 주사선(13)에 공급되는 주사 신호(S[i])는 기입 기간 Pwrt 중 제 i 번째의 수평 주사 기간(1H)에서 하이 레벨로 되고, 그 이외의 기간(구동 기간 Pdrv를 포함함)에서 로우 레벨을 유지하는 신호이다. 주사 신호(S[i])의 하이 레벨로의 천이가 제 i 행의 선택을 의미한다.
한편, 도 8의 신호선 구동 회로(25)는 주사선 구동 회로(23)가 선택한 주사선(13)에 대응하는 1행분(n개)의 단위 회로(U) 각각에 각 신호선(15)을 통하여 신호 D[1] 내지 D[n]을 공급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j 열째(j는 1≤j≤n을 충족시키는 정수)의 신호선(15)에 공급되는 신호 D[j]는 기입 기간 Pwrt에서 데이터 전압(Vdata)으로 되고, 구동 기간 Pdrv에서 제어 전압(Vctl)으로 되는 전압 신호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데이터 전압(Vdata)은 각 단위 회로(U)에 지정된 계조(휘도)에 따라 수평 주사 기간마다 차례로 변화된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신호 D[j]의 데이터 전압(Vdata)은 기입 기간 Pwrt 중 제 i 번째의 수평 주사 기간에서 제 i 행에 속하는 제 j 열째의 단위 회로(U)에 지정된 계조에 대응하는 전압값으로 된다. 각 단위 회로(U)의 계조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계조 데이터에 의해 지정된다.
한편, 제어 전압(Vctl)은 구동 기간 Pdrv 내에서 경시적으로 전압값이 변화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제어 전압(Vctl)은 구동 기간 Pdrv의 중점 tc(즉, 구동 기간 Pdrv의 시점 및 종점의 양쪽으로부터 동일한 시간 길이의 시점)로부터 시점까지의 파형과 중점 tc로부터 종점까지의 파형이 상기 중점 tc를 기준으로 하여 선대칭으로 되는 삼각파이다. 즉, 제어 전압(Vctl)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기간 Pdrv의 시점으로부터 중점 tc에 걸쳐 전압값(VL)으로부터 이것보다도 고위의 전압값(VH)까지 시간의 경과와 함께 직선적으로 상승하여 가고, 중점 tc로부터 종점에 걸쳐 전압값(VH)으로부터 시간의 경과와 함께 직선적으로 저하되어 전압값 (VL)에 도달한다.
다음으로, 도 10을 참조하여 각 단위 회로(U)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도 10에서는 제 i 행의 제 j 열째에 위치하는 1개의 단위 회로(U)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그 이외의 단위 회로(U)도 동일한 구성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위 회로(U)는 전기 광학 소자(11)와 구동 트랜지스터(Tdr)와 트랜지스터(T1)와 용량 소자(C)를 포함한다. 이 중 전기 광학 소자(11)는 전자 장치(D)에서 구동의 대상으로 되는 요소(피구동 소자)이다. 본 실시예의 전기 광학 소자(11)는 이것에 공급되는 전류(이하 「구동 전류」라고 함)에 따른 휘도로 발광하는 전류 구동형 발광 소자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소자(11)로서, 유기 EL(Electro Luminescent) 재료로 이루어지는 발광층을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시킨 OLED 소자를 채용하고 있다. 각 단위 회로(U)에서의 전기 광학 소자(11)의 음극은 공통으로 접지(전압값(Vss))된다. 전기 광학 소자(11)는 임계값 전압(Vth_EL)을 상회하는 순(順)방향의 전압 인가에 의해 발광한다.
도 10의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구동 전류의 전류값을 제어하기 위한 n채널형 트랜지스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소스와 드레인 사이의 전기적인 도통 상태가 게이트의 전압(이하 「게이트 전압」이라고 함)(Vg)에 따라 변화됨으로써 게이트 전압(Vg)에 따른 전류 레벨을 갖는 구동 전류(I1)를 생성한다. 따라서, 전기 광학 소자(11)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도통 상태에 따른 휘도(즉, 게이트 전압(Vg)에 따른 휘도)로 구동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및 드레인 각각의 전압값 의 고저(高低)는 차례로 역전되기 때문에, 엄밀한 의미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과 소스는 수시로 교체된다. 그러나, 이하에서는 전기 광학 소자(11)에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통하여 구동 전류(I1)가 공급될 때의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각 단자의 전압 고저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트랜지스터(Tdr) 중 전기 광학 소자(11) 측의 단자를 「소스(S)」로 표기하는 동시에 그 반대측의 단자를 「드레인(D)」으로 표기한다.
이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전기 광학 소자(11)와 전압 공급선(17) 사이에 개재된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은 전압 공급선(17)에 접속되고, 그 소스는 전기 광학 소자(11)의 양극에 접속된다.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는 전기 광학 소자(11)에 대하여 직접 접속된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로부터 전기 광학 소자(11)의 양극에 이르는 구동 전류(I1)의 경로 상에는 어떠한 스위칭 소자도 개재되지 않는다.
트랜지스터(T1)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소스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n채널형 트랜지스터이다. 이 트랜지스터(T1)의 게이트는 주사선(13)에 접속된다. 따라서, 주사 신호(S[i])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기간(제 i 번째의 수평 주사 기간)에서는 트랜지스터(T1)가 온 상태로 천이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가 다이오드 접속되고, 주사 신호(S[i])가 로우 레벨로 천이되면 트랜지스터(T1)가 오프 상태로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다이오드 접속은 해제된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량 소자(C)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전극(Ea) 및 제 2 전극(Eb)과, 양 전극의 간극(間隙)에 개재되는 유전체를 포함한다. 제 1 전극(Ea)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에 접속된다. 제 2 전극(Eb)은 신호선(15)에 접속된다. 이 용량 소자(C)는 제 1 전극(Ea)과 제 2 전극(Eb)의 전위차(즉, 신호선(15)과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의 전위차)에 따른 전하를 유지하기 위한 수단이다.
다음으로,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서 전자 장치(D)의 구체적인 동작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제 i 행에 속하는 제 j 열째의 단위 회로(U)의 동작을 기입 기간 Pwrt와 구동 기간 Pdrv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a) 기입 기간 Pwrt(도 11)
기입 기간 Pwrt에서 주사 신호(S[i])가 하이 레벨로 천이되면, 트랜지스터(T1)가 온 상태로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와 게이트가 전기적으로 접속(다이오드 접속)된다. 한편, 기입 기간 Pwrt에서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은 전압값(Vss)을 유지한다. 즉,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나 게이트의 전압값보다도 저위로 되기 때문에, 기입 기간 Pwrt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류(I0)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로부터 트랜지스터(T1) 및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및 드레인을 이 순서로 경유하여 전압 공급선(17)에 유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소자(11)의 임계값 전압(Vth_EL)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임계값 전압(Vth_TR)보다도 커지도록 전기 광학 소자(11) 및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구조나 재료가 선정되어 있다. 즉, 기입 기간 Pwrt에서의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압(Vss+Vth_TR)은 전기 광학 소자(11)의 임계값 전압(Vth_EL)을 하회한다. 따라서, 기입 기간 Pwrt에서 전기 광학 소자(11)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고, 이것에 의해 전기 광학 소자(11)는 소등된다.
이상과 같이 구동 트랜지스터(Tdr)에 전류(I0)가 흐르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환언하면, 제 1 전극(Ea)의 전압)은 주사 신호(S[i])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수평 주사 기간 내에 전압값(Vss)과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임계값 전압(Vth_TR)의 가산치(Vss+Vth_TR)에 수렴된다. 한편, 이 수평 주사 기간에서 제 1 전극(Ea)에는 신호 D[j]의 데이터 전압(Vdata)이 공급되어 있다. 이러한 전압의 관계가 유지된 채 수평 주사 기간이 경과하여 주사 신호(S[i])가 로우 레벨로 천이되면, 트랜지스터(T1)가 오프 상태로 되어 용량 소자(C)의 제 1 전극(Ea)은 부유 상태로 된다. 따라서, 주사 신호(S[i])가 로우 레벨로 천이된 시점에서의 제 1 전극(Ea)(Vss+Vth_TR)과 제 2 전극(Eb)(Vdata)의 전위차가 용량 소자(C)에 유지된다.
기입 기간 Pwrt에서는, 이상과 같이 데이터 전압(Vdata)과 임계값 전압(Vth_TR)에 따른 전하를 용량 소자(C)에 축적하기 위한 동작이 제 1 행째로부터 제 n 행째의 각 단위 회로(U)에 대해서 수평 주사 기간마다 차례로 반복된다.
(b) 구동 기간 Pdrv(도 12)
구동 기간 Pdrv에서 주사 신호 S[1] 내지 S[m]은 로우 레벨을 유지하기 때문에, 모든 단위 회로(U)의 트랜지스터(T1)는 오프 상태로 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다이오드 접속은 해제된다. 따라서, 모든 단위 회로(U)에서의 용량 소자 (C)의 제 1 전극(Ea)은 부유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구동 기간 Pdrv에서 전압 제어 회로(27)는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을 전압값(Vdd)으로 유지한다.
이상의 상황에 있어서, 각 단위 회로(U)의 용량 소자(C)의 제 2 전극(Eb)에는 경시적으로 변화되는 제어 전압(Vctl)이 각 신호선(15)을 통하여 공급된다. 여기서, 제 1 전극(Ea)은 부유 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즉, 제 1 전극(Ea)의 전압)은, 용량 소자(C)에 의한 용량 커플링에 의해, 제 2 전극(Eb)의 전압 변동에 따른 전압값 ΔV만큼 변화된다. 이 제 1 전극(Ea)의 전압 변화와 구동 전류(I1)의 관계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구동 기간 Pdrv에서 제 2 전극(Eb)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Vctl)이 직전의 기입 기간 Pwrt에서 인가되어 있던 데이터 전압(Vdata)보다도 고위로 되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제 1 전극(Ea)의 전압)은 기입 기간 Pwrt에서 설정된 전압값(Vss+Vth_TR)으로부터 제어 전압(Vctl)과 데이터 전압(Vdata)의 차분(差分)에 상당하는 전압값 ΔV만큼 상승한다. 이 때,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온 상태(도통 상태)로 되기 때문에,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전류(I1)가 전압 공급선(17)으로부터 구동 트랜지스터(Tdr)를 경유하여 전기 광학 소자(11)에 공급된다. 그리고, 이 구동 전류(I1)의 공급에 의해 전기 광학 소자(11)는 발광한다.
한편, 구동 기간 Pdrv에서 제 2 전극(Eb)에 인가되는 제어 전압(Vctl)이 직전의 기입 기간 Pwrt에서 인가되어 있던 데이터 전압(Vdata)보다도 저위로 되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은 기입 기간 Pwrt에서 설정된 전압값(Vss+Vth_TR)으로부터 데이터 전압(Vdata)과 제어 전압(Vctl)의 차분에 상당하는 전압값 ΔV만큼 하강한다. 이 때,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오프 상태(비도통 상태)로 되기 때문에, 전압 공급선(17)으로부터 전기 광학 소자(11)에 이르는 경로가 차단되어 전기 광학 소자(11)는 소등된다.
이와 같이, 구동 기간 Pdrv에서의 각 단위 회로(U)의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제어 전압(Vctl)이 데이터 전압(Vdata)보다도 고위로 되는 기간에서 온 상태로 되고, 제어 전압(Vctl)이 데이터 전압(Vdata)보다도 저위로 되는 기간에서 오프 상태로 된다. 즉, 각 단위 회로(U)의 전기 광학 소자(11)는 구동 기간 Pdrv 중 데이터 전압(Vdata)의 전압값에 따른 시간 길이의 기간에서 발광하는 동시에, 그 구동 기간 Pdrv의 나머지 기간에서 소등된다. 따라서, 각 전기 광학 소자(11)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계조(구동 기간 Pdrv에서의 휘도의 적분값)로 제어된다(펄스 폭 변조에 의한 계조 제어).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입 기간 Pwrt에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이 임계값 전압(Vth_TR)에 따른 전압값으로 설정된다. 환언하면,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임계값 전압(Vth_TR)의 고저에 관계없이, 도통 상태와 비도통 상태의 경계 상태로 강제적으로 이행된다. 따라서, 구동 기간 Pdrv 중 구동 트랜지스터(Tdr)가 온 상태로 되어 전기 광학 소자(11)에 구동 전류(I1)가 공급되는 시간 길이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라 결정되고,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임계값 전압(Vth_TR)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구동 트 랜지스터(Tdr)의 임계값 전압(Vth_TR)의 오차(설계값과의 상이)를 보상하여 전기 광학 소자(11)를 높은 정밀도에 의해 소기의 계조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1개의 단위 회로(U)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의 총수는 「2」이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임계값 전압의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1개의 단위 회로당 적어도 3개의 트랜지스터가 불가결한 특허문헌 1의 구성과 비교하여, 전자 장치(D)의 구성의 간소화나 제조 비용의 저감이 실현되고, 더 나아가서는 각 단위 회로(U)의 개구율(단위 회로(U)가 분포되는 영역 중 전기 광학 소자(11)로부터의 방사광이 출사(出射)되는 영역의 비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그런데, 단위 회로(U)를 구성하는 각 트랜지스터(특히 구동 트랜지스터(Tdr))로서는, 예를 들어 다결정 실리콘, 미결정 실리콘, 단결정 실리콘 또는 비정질 실리콘을 반도체층의 재료로서 채용한 박막 트랜지스터나, 벌크(bulk) 실리콘으로 형성된 트랜지스터를 채용할 수 있다. 이들 트랜지스터 중 특히 반도체층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형성된 트랜지스터는, 이것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항상 고정되어 있으면 임계값 전압이 경시적으로 변동되어 가는 것이 알려져 있다.
본 실시예의 구성 하에서는, 구동 기간 Pdrv에서는 구동 전류(I1)가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으로부터 소스를 향하여 흐르는 것에 대하여, 기입 기간 Pwrt에서는 도 11과 같이 전류(I0)가 소스로부터 드레인을 향하여 흐른다. 즉, 구동 트랜지스터(Tdr)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이 기입 기간 Pwrt와 구동 기간 Pdrv에서 역전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반도체층이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지는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 트랜지스터(Tdr)에 채용한 구성 하에서, 그 임계값 전 압(Vth_TR)의 경시적인 변동을 억제할 수 있다.
<B : 제 4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에서는 기입 기간 Pwrt에서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을 전압값(Vss)으로 저하시킴으로써 전류(I0)를 발생시키고, 이것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을 임계값 전압(Vth_TR)에 따른 전압값(Vss+Vth_TR)에 수렴시키는 구성을 예시했다. 그러나, 노이즈 등 어떠한 외란(外亂)에 의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압이 우발적으로 전압값(Vss) 이하로 저하되면, 전압(A)을 전압값(Vss)으로 저하시켜도 전류(I0)가 발생하지 않고, 그 결과, 게이트 전압(Vg)이 임계값 전압(Vth_TR)에 따른 전압값에 수렴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전압이 전류(I0)를 발생시킬 수 있는 전압값으로 강제적으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중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각각에 공통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3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위 회로(U)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위 회로(U)는 도 10의 각 요소에 더하여 p채널형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이 트랜지스터(T2)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와 전기 광학 소자(11)의 접속점 N(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소스 또는 전기 광학 소자(11)의 양극)의 전압(Vn)을 전압값(Vdd)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며, 접속점 N과 전압 공급선(17) 사이에 삽입된다.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는 주사선(13)과 짝을 이루어 X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셋 신호선(141)에 접속된다. 각 행의 리셋 신호선(141)에는 주사선 구동 회로(23)로부터 공통의 리셋 신호(RSa)가 공급된다. 다만, 리셋 신호(RSa)를 생성하여 각 리셋 신호선(141)에 출력하는 회로가 주사선 구동 회로(23)와는 별개로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D)의 동작을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1개의 프레임(1F)은 기입 기간 Pwrt 및 구동 기간 Pdrv에 더하여 기입 기간 Pwrt의 직전의 초기화 기간 Prs1을 포함한다. 각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은 기입 기간 Pwrt에서 전압값(Vss)으로 설정되고, 초기화 기간 Prs1 및 구동 기간 Pdrv에서는 전압값(Vdd)으로 설정된다.
각 리셋 신호선(141)에 공급되는 리셋 신호(RSa)는 초기화 기간 Prs1 내에서 로우 레벨로 되고, 그 이외의 기간(기입 기간 Pwrt나 구동 기간 Pdrv)에서 하이 레벨을 유지한다. 또한, 주사선 구동 회로(23)는 초기화 기간 Prs1 내에서 모든 주사 신호 S[1] 내지 S[m]을 일제히 하이 레벨로 천이시킨다. 기입 기간 Pwrt나 구동 기간 Pdrv에서의 주사 신호 S[1] 내지 S[m]의 파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15는 초기화 기간 Prs1에서의 1개의 단위 회로(U)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화 기간 Prs1에서는 하이 레벨의 주사 신호(S[i])에 의해 트랜지스터(T1)가 온 상태를 유지하는 동시에 로우 레벨의 리셋 신호(RSa)에 의해 트랜지스터(T2)가 온 상태를 유지한다. 즉, 접속점 N과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는 트랜지스터(T2)를 통하여 전압 공급선(17)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때,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은 전압값(Vdd)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초기화 기간 Prs1에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점 N의 전압(Vn) 및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이 강제적으로 전압값(Vdd)으로 설정된다. 초기화 기간 Prs1은 트랜지스터(T1) 및 트랜지스터(T2)가 온 상태로 되고 나서 접속점 N의 전압(Vn)이 전압값(Vdd)에 도달하는데 충분한 시간 길이로 설정된다.
기입 기간 Pwrt 및 구동 기간 Pdrv에서의 동작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기입 기간 Pwrt의 직전의 초기화 기간 Prs1에서, 접속점 N의 전압(Vn)이 기입 기간 Pwrt에서의 전압 공급선(17)의 전압값(Vss)과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임계값 전압(Vth_TR)의 가산치보다도 고위인 전압값(Vdd)으로 설정되기 때문에, 초기화 기간 Prs1에 앞서 전압(Vn)이 전압값(Vss) 이하로 저하되었다고 하여도, 기입 기간 Pwrt에서는 전류(I0)를 구동 트랜지스터(Tdr)로부터 전압 공급선(17)을 향하여 적당히 흐르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에 더하여, 노이즈 등의 외란의 영향을 저감하여 안정적인 동작이 실현된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초기화 기간 Prs1에서는, 전압(Vn)의 전압값(Vdd)이 임계값 전압(Vth_EL)을 상회하기 때문에 전기 광학 소자(11)는 발광한다. 그러나, 초기화 기간 Prs1의 시간 길이는 기입 기간 Pwrt나 구동 기간 Pdrv와 비교하여 충분히 짧게 하면, 이 초기화 기간 Prs1에서의 전기 광학 소자(11)의 발광은 실제로 관찰자가認)하는 계조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화 기간 Prs1이 각 기입 기간 Pwrt의 직전으로 설정되는 경우를 예시했지만, 초기화 기간 Prs1의 타이밍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프레임마다 초기화 기간 Prs1이 마련되어 전압(Vn)이 초기화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화 기간 Prs1에서 하이 레벨로 상승하는 시점으로부터 제 i 번째의 수평 주사 기간의 종점에서 로우 레벨로 하강하는 시점까지 주사 신호(S[i])가 하이 레벨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 i 행째의 단위 회로(U)의 용량 소자(C)에 유지되는 전하량은 주사 신호(S[i])가 로우 레벨로 하강한 시점(즉, 제 i 번째의 수평 주사 기간의 종점)에서 확정된다. 따라서, 도 16에 나타낸 구동 방법에 의해서도, 제 3 실시예나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임계값 전압(Vth_TR)의 오차를 보상하면서 전기 광학 소자(11)를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계조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방법에 의하면, 도 14의 방법과 비교하여 주사 신호(S[i])의 레벨을 변동시키는 횟수가 삭감되기 때문에, 주사선 구동 회로(23)에 의해 소비되는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한편, 도 14의 방법에 의하면, 초기화 기간 Prs1 및 기입 기간 Pwrt 각각에서의 주사 신호(S[i])의 펄스 폭을 모든 행에 대해서 동일한 값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주사 신호(S[i])를 생성하기 위한 구성이 간소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C : 제 5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서는 접속점 N의 전압(Vn)을 전압값(Vdd)으로 설정하기 위해 전압 공급선(17)이 겸용되는 구성을 예시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전압 공급선(17)과는 별개의 배선에 접속점 N을 도통시킴으로써 전압(Vn)이 강제적 으로 소정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 중 제 3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각각에 공통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17은 본 실시예에서의 단위 회로(U)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의 단위 회로(U)는 접속점 N의 전압(Vn)을 소정값(여기서는 Vdd)으로 설정하기 위한 트랜지스터(T2)를 포함한다. 이 트랜지스터(T2)는 접속점 N과 급전선(18) 사이에 삽입된다. 급전선(18)은 주사선(13)과 짝을 이루어 X방향으로 연장되는 배선이다. 각 행의 급전선(18)의 전압은 전압 제어 회로(27)에 의해 항상 전압값(Vdd)으로 고정된다. 또한, 급전선(18)에 전압(Vdd)을 공급하는 회로가 전압 제어 회로(27)와는 별개로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트랜지스터(T2)의 게이트는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리셋 신호선(141)에 접속된다.
도 18은 본 실시예의 전자 장치(D)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제 4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실시예에서의 1개의 프레임(1F)은 기입 기간 Pwrt 및 구동 기간 Pdrv에 더하여 기입 기간 Pwrt의 직전의 초기화 기간 Prs1을 포함한다. 각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은 구동 기간 Pdrv에서 전압값(Vdd)으로 설정되고, 초기화 기간 Prs1 및 기입 기간 Pwrt에서 전압값(Vss)으로 설정된다. 한편, 주사 신호(S[i]) 및 리셋 신호(RSa)의 파형은 제 4 실시예(도 14)와 동일하다. 다만, 도 16에 예시한 파형의 주사 신호 S[1] 내지 S[m]을 채용할 수도 있다.
도 19는 초기화 기간 Prs1에서의 1개의 단위 회로(U)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화 기간 Prs1에서 트랜지스터(T1) 및 트랜지스터(T2)가 온 상태로 천이되면, 접속점 N과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가 트랜지스터(T2)를 통하여 급전선(18)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급전선(18)의 전압은 전압값(Vdd)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초기화 기간 Prs1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속점 N의 전압(Vn) 및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이 강제적으로 전압값(Vdd)으로 설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해서도 제 4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화 기간 Prs1에서의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을 전압값(Vss)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 4 실시예와는 달리, 초기화 기간 Prs1에서 접속점 N을 전압값(Vdd)으로 설정하기 위한 급전선(18)이 전압 공급선(17)과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초기화 기간 Prs1에서 전압 공급선(17)이 전압값(Vss)으로 설정되기 때문에(도 19 참조), 초기화 기간 Prs1에서 전기 광학 소자(11)에 구동 전류(I1)는 공급되지 않는다. 환언하면,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 기간 Pdrv의 종점에서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이 전압값(Vss)으로 저하됨으로써 전기 광학 소자(11)의 발광은 정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초기화 기간 Prs1에서도 전기 광학 소자(11)가 발광할 수 있는 제 4 실시예와 비교하여, 각 전기 광학 소자(11)가 발광하는 기간을 높은 정밀도로 규정하여 각각을 소기의 계조로 제어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다만, 제 4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접속점 N의 전압(Vn)을 전압값(Vdd)으로 설정하기 위해 전압 공급선(17)이 겸용되기 때문에, 전압(Vn)의 초기화에 전용되는 급전선(18)은 불필요하다. 따라서, 단위 회로(U)의 구성이 간소화된다는 이점이 있다.
<D : 제 6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3 실시예의 구성 하에서는, 기입 기간 Pwrt에서 용량 소자(C)에 축적된 전하가 그 다음 프레임에서의 기입 기간 Pwrt의 시점까지 잔존한다. 따라서, 어느 프레임의 기입 기간 Pwrt에서 용량 소자(C)에 축적되는 전하량(또는 게이트 전압(Vg))이 그 직전의 프레임의 기입 기간 Pwrt에서 용량 소자(C)에 유지된 전하량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기입 기간 Pwrt에 앞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이 강제적으로 소정값으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 중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요소에 대해서는 각각에 공통 부호를 첨부하여 설명을 적절히 생략한다.
도 2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단위 회로(U)의 구성을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위 회로(U)는 도 10의 각 요소에 더하여 p채널형 트랜지스터(T3)를 포함한다. 이 트랜지스터(T3)는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을 전압값(Vdd)으로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며, 전압 공급선(17)과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사이에 삽입된다. 트랜지스터(T3)의 게이트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리셋 신호선(142)에 접속된다. 각 행의 리셋 신호선(142)에는 주사선 구동 회로(23)로부터 공통의 리셋 신호(RSb)가 공급된다. 또한, 리셋 신호(RSb)를 생성하여 각 리셋 신호선(142)에 출력하는 회로가 주사선 구동 회로(23)와는 별개로 설치된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도 2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D)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프레임은 기입 기간 Pwrt의 직전에 초기화 기간 Prs2를 포함한다. 각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은, 제 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입 기간 Pwrt에서 전압값(Vss)으로 설정되는 동시에 초기화 기간 Prs2 및 구동 기간 Pdrv에서 전압값(Vdd)으로 설정된다. 한편, 리셋 신호(RSb)는 초기화 기간 Prs2에서 로우 레벨로 천이되는 동시에 그 이외의 기간에서 하이 레벨을 유지한다. 또한, 주사 신호 S[1] 내지 S[m]의 파형은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도 22는 초기화 기간 Prs2에서의 단위 회로(U)의 상태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초기화 기간 Prs2에서는 리셋 신호(RSb)가 로우 레벨로 천이되기 때문에, 트랜지스터(T3)가 온 상태로 천이되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와 전압 공급선(17)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게이트 전압(Vg)은 그 시점에서 전압 공급선(17)에 공급되어 있는 전압값(Vdd)으로 설정된다. 기입 기간 Pwrt 및 구동 기간 Pdrv의 동작은 제 3 실시예와 동일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기입 기간 Pwrt에 앞서 게이트 전압(Vg)이 전압값(Vdd)으로 초기화되기 때문에, 이전의 프레임에서 용량 소자(C)에 축적된 전하량에 관계없이, 각 기입 기간 Pwrt에서는 데이터 전압(Vdata)에 따른 전하를 정확하게 용량 소자(C)에 축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 실시예와 비교하여, 각 전기 광학 소자(11)를 높은 정밀도에 의해 소기의 계조로 제어할 수 있다.
<E : 변형예>
이상의 각 형태에는 다양한 변형을 부가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변형의 형태 를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이하의 각 형태를 적절히 조합시킬 수도 있다.
(1) 변형예 1
구동 기간 Pdrv에서의 신호 D[1] 내지 D[n]의 파형(제어 전압(Vctl)의 파형)은 적절히 변경된다. 예를 들어 각 실시예에서는 구동 기간 Pdrv의 중점 tc를 기준으로 하여 파형이 선대칭으로 되는 삼각파를 예시했지만, 예를 들어 램프파나 톱니파나 멀티램프파(계단파) 등 다양한 파형이 제어 전압(Vctl)으로서 채용된다. 또한, 전압값이 직선적으로 변화되는 파형뿐만 아니라 정현파 등 곡선적으로 변화되는 파형을 제어 전압(Vctl)으로서 채용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구동 기간 Pdrv에서의 제어 전압(Vctl)이 삼각파의 1주기분의 파형으로 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삼각파나 이상에 예시한 램프파나 톱니파 등 다양한 단위 파형의 복수를 구동 기간 Pdrv 내에서 연속시킨 파형(즉, 전압의 상승과 하강을 복수회에 걸쳐 반복하는 파형)을 제어 전압(Vctl)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전자 장치(D)에서는, 구동 기간 Pdrv 내에서 시간의 경과와 함께 전압이 변동되는 다양한 파형을 제어 전압(Vctl)으로서 채용할 수 있다.
(2) 변형예 2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에서는 초기화 기간 Prs1에서 접속점 N의 전압(Vn)이 전압값(Vdd)으로 설정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초기화 기간 Prs1에서 전압(Vn)으로 설정되는 전압값은 적절히 변경된다. 다만,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이 전압값(Vss)으로 되는 기입 기간 Pwrt에서 전류(I0)를 확실히 흐르게 한다는 관점에서 보면, 초기화 기간 Prs1에서의 전압(Vn)은 전압값(Vss)과 구동 트랜지스 터(Tdr)의 임계값 전압(Vth_TR)의 가산치(Vss+Vth_TR)보다도 고위의 전압값으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 6 실시예에서는 초기화 기간 Prs2에서 게이트 전압(Vg)이 전압값(Vdd)으로 설정되는 구성을 예시했지만, 이 초기화 기간 Prs2에서 게이트 전압(Vg)에 설정되는 전압값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초기화 기간 Prs2에서의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을 전압값(Vss)으로 하고, 초기화 기간 Prs2에서 게이트 전압(Vg)이 전압값(Vss)으로 설정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3) 변형예 3
각 단위 회로(U)의 구성은 적절히 변경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각 실시예의 단위 회로(U)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의 도전형은 임의적이다. 예를 들어 제 3 실시예의 트랜지스터(T1)를 p채널형으로 할 수도 있고, 제 4 실시예 및 제 5 실시예의 트랜지스터(T2)나 제 6 실시예의 트랜지스터(T3)를 n채널형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구동 트랜지스터(Tdr)가 n채널형인 구성을 예시했지만, 구동 트랜지스터(Tdr)는 p채널형일 수도 있다. p채널형 구동 트랜지스터(Tdr)가 채용된 구성에서는, 전압 공급선(17)의 전압(A)을 기입 기간 Pwrt와 구동 기간 Pdrv에서 변화시키지 않아도 각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효과가 나타난다. 이 구성에 있어서, 기입 기간 Pwrt(전압(A)은 구동 기간 Pdrv와 동일하게 전압값(Vdd))에서 트랜지스터(T1)가 온 상태로 천이되면, 구동 트랜지스터(Tdr)의 드레인의 전압(즉, 전기 광학 소자(11)의 양극)은 전압값(Vdd)으로부터 임계값 전압(Vth_TR)을 감산(減算)한 수치(Vdd-Vth_TR)로 설정된다.
(4) 변형예 4
이상의 형태에서는 전기 광학 소자(11)로서 OLED 소자를 예시했지만, 본 발명의 전자 장치에 채용되는 전기 광학 소자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OLED 소자 대신에, 무기 EL 소자나, 필드·이미션(FE) 소자, 표면 도전형 이미션(SE: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소자, 탄도 전자 방출(BS:Ballistic electron Surface emitting) 소자, LED(Light Emitting Diode) 소자와 같은 다양한 자발광 소자, 더 나아가서는 전기 영동 소자나 일렉트로크로믹 소자, 액정 소자 등 다양한 전기 광학 소자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이오 칩 등의 센싱 장치에도 적용된다. 본 발명의 피구동 소자는 전기 에너지의 부여에 의해 구동되는 모든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이며, 발광 소자 등의 전기 광학 소자는 피구동 소자의 예시에 불과하다.
<F : 응용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3은 상술한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전자 장치(D)를 표시 장치로서 채용한 모바일형 퍼스널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퍼스널 컴퓨터(2000)는 표시 장치로서의 전자 장치(D)와 본체부(2010)를 구비한다. 본체부(2010)에는 전원 스위치(2001) 및 키보드(20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자 장치(D)는 전기 광학 소자(11)에 OLED 소자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시야각이 넓어 보기 쉬운 화면 을 표시할 수 있다.
도 24에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D)를 적용한 휴대 전화기의 구성을 나타낸다. 휴대 전화기(3000)는 복수의 조작 버튼(3001) 및 스크롤 버튼(3002), 표시 장치로서의 전자 장치(D)를 구비한다. 스크롤 버튼(3002)을 조작함으로써, 전자 장치(D)에 표시되는 화면이 스크롤된다.
도 25에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D)를 적용한 휴대 정보 단말(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의 구성을 나타낸다. 정보 휴대 단말(4000)은 복수의 조작 버튼(4001) 및 전원 스위치(4002), 표시 장치로서의 전자 장치(D)를 구비한다. 전원 스위치(4002)를 조작하면, 주소록이나 일정표와 같은 각종 정보가 전자 장치(D)에 표시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전기 광학 장치)가 적용되는 전자 기기로서는, 도 23 내지 도 25에 나타낸 것 이외에, 디지털 스틸 카메라, 텔레비전, 비디오 카메라, 카 네비게이션 장치, 소형 무선 호출기(pager), 전자수첩, 전자종이, 전자계산기, 워드프로세서, 워크스테이션, 텔레비전 전화, POS 단말,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비디오 플레이어, 터치 패널을 구비한 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장치의 용도는 화상의 표시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광기입형 프린터나 전자 복사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용지 등의 기록재에 형성되어야 할 화상에 따라 감광체를 노광하는 기입 헤드가 사용되지만, 이러한 기입 헤드로서도 본 발명의 전자 장치는 이용된다. 본 발명에서의 단위 회로는, 표시 장치의 화소를 구성하는 회로(소위 화소 회로) 이외에, 화상 형성 장치에서의 노광 단위로 되는 회로도 포함하는 개념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 광학 소자가 구동되는 기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Claims (31)

  1.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제 2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과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단위 회로와,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에 기준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신호선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 각각은,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피(被)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에 포함되는 입력단(入力端)과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 중 1개의 제 2 배선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입력단에 접속된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중 1개의 기준 신호선에 접속된 제 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전하를 축적하는 용량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은 상기 복수의 제 2 배선과 교차하는 전자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각각의 전위는 소정의 주기로 변화되는 전자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 1 배선 각각을 선택하는 선택 회로와,
    상기 제 1 배선이 선택되는 순서에 의해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에 대하여 차례로 상기 기준 신호를 공급하는 신호 생성 회로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기간에서, 상기 1개의 제 2 배선과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상기 입력단에 공급함으로써 상기 입력단의 전위가 설정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기간의 길이는 상기 제 1 기간에서 설정된 상기 입력단의 전위에 대응하는 전자 장치.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의 전위는 상기 제 1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의해 설정된 전위로부터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 변화에 따라 변동되는 전자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단은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가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부유(floating) 상태로 되는 전자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제 1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의해 설정된 상기 입력단의 전위가 소정 전위를 상회(上回)하는 기간 및 상기 입력단의 전위가 소정 전위를 하회(下回)하는 기간 중 어느 한쪽에서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하는 전자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는 상기 제 1 기간에서 상기 데이터 신호에 의해 상기 입력단의 전위가 설정될 때에는 적어도 제 1 전위로 설정되어 있으며,
    제 2 기간 개시 시에서의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는 상기 제 1 전위이고,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은 상기 제 2 기간 내에 상기 제 1 전위와는 상이한 전압 레벨을 갖는 제 2 전위로 되며,
    상기 제 2 기간 종료 시에서의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는 상기 제 1 전위인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기간 내에서의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의 전위 변화는 상기 1개의 기준 신호선이 상기 제 2 전위로 된 시점을 중심으로 하여 선대칭(線對稱)인 전자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 각각은, 상기 1개의 제 2 배선과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를 상기 입력단에 공급하는 제 1 기간에 앞서 상기 입력단을 소정의 전위로 설정하는 리셋(reset)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13. 복수의 주사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교차하는 복수의 데이터선과,
    상기 복수의 주사선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의 교차에 대응하여 배치된 복수의 단위 회로와,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에 기준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기준 신호선을 구비하며,
    상기 복수의 단위 회로 각각은,
    구동 전압 또는 구동 전류의 공급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 광학 소자와,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수단과,
    상기 구동 수단에 포함되는 입력단과 상기 복수의 데이터선 중 1개의 데이터선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스위칭 소자와,
    상기 입력단에 접속된 제 1 전극과 상기 복수의 기준 신호선 중 1개의 기준 신호선에 접속된 제 2 전극을 갖고, 상기 제 1 전극과 상기 제 2 전극 사이에 전하를 축적하는 용량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 전압 또는 상기 구동 전류를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하는 구동 기간의 길이는, 제 1 기간 내에 상기 1개의 데이터선과 상기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데이터 신호가 상기 입력단에 공급됨으로써 설정된 상기 입력단의 전위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14. 제 1 항에 기재된 전자 장치 또는 제 13 항에 기재된 전기 광학 장치를 구비한 전자 기기.
  15. 피구동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전자 회로로서,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단위 회로와,
    전압 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회로는,
    제어 단자와 제 1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에 접속된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導通) 상태가 설정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전극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극이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 및 구동 전압 중 적어도 한쪽의 레벨이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회로.
  16.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단위 회로와,
    전압 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회로는,
    제어 단자와 제 1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에 접속된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가 설정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피구동 소자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전극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극이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피구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 및 구동 전압 중 적어도 한쪽의 레벨이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전극은 상기 신호선에 대하여 직접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6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제 1 기간에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이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 1 기간에 상기 제 2 전극에 상기 신호선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가 공급되며,
    제 2 기간에 상기 제 2 기간 내에서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화되는 제어 신호 가 상기 제 2 전극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전극은 상기 제 2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부유 상태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복수의 전압값 중 어느 것으로 설정하는 전압 제어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제 1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상기 제 1 단자보다도 저위(低位)의 제 1 전압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 2 기간 중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상기 제 1 단자보다도 고위(高位)의 제 2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스위칭 소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이며,
    상기 단위 회로에 포함되는 트랜지스터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와 상기 스위칭 트랜지스터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피구동 소자는 상기 제 1 단자의 전압값이 소정의 전압값을 상회하면 구동되고,
    상기 제 1 전압값은 상기 기입 기간에서의 상기 제 1 단자의 전압값이 상기소정의 전압값보다도 저위로 되도록 결정되어 있는 전자 장치.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회로는 상기 제 1 단자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제 1 리셋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셋 수단은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을 초기화 기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상기 제 2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리셋 수단은 상기 제 1 단자와 정전압이 공급되는 급전선을 초기화 기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2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상기 제 1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27.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회로는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을 소정의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제 2 리셋 수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리셋 수단은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을 초기화 기간에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제 3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전압 제어 회로는 상기 초기화 기간에서 상기 전압 공급선의 전압을 상기 제 2 전압값으로 설정하는 전자 장치.
  29. 제 16 항에 기재된 전자 장치를 구비하는 전자 기기.
  30. 신호선과,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단위 회로와,
    전압 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회로는,
    제어 단자와 제 1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에 접속된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가 설정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전기 광학 소자와,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와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의 전기적인 접속을 제어하는 제 1 스위칭 소자와,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에 유전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 1 전극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에 접속되고, 상기 제 2 전극이 상기 신호선에 접속된 용량 소자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광학 소자에 공급되는 구동 전류 및 구동 전압 중 적어도 한쪽의 레벨이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광학 장치.
  31. 제어 단자와 제 1 단자와 상기 전압 공급선에 접속된 제 2 단자를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제어 단자의 전압에 따라 상기 제 1 단자와 상기 제 2 단자 사이의 도통 상태가 설정되는 구동 트랜지스터와, 피구동 소자를 포함하는 단위 회로를 구비한 전자 장치를 구동하는 방법으로서,
    제 1 기간에 상기 제 1 단자 및 상기 제 2 단자 중 어느 한쪽과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상기 제어 단자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상기 제 1 기간 내에 상기 신호선을 통하여 상기 제 2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며,
    제 2 기간에 상기 제 2 기간 내에서 경시적으로 변화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제 2 전극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060067933A 2005-07-21 2006-07-20 전자 회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 기기 KR1007992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10862A JP4655800B2 (ja) 2005-07-21 2005-07-21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5-00210862 2005-07-21
JP2005254496A JP5011682B2 (ja) 2005-09-02 2005-09-02 電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5-00254496 2005-09-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2232A true KR20070012232A (ko) 2007-01-25
KR100799288B1 KR100799288B1 (ko) 2008-01-30

Family

ID=37678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933A KR100799288B1 (ko) 2005-07-21 2006-07-20 전자 회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7639211B2 (ko)
KR (1) KR100799288B1 (ko)
TW (1) TW20071740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490858A1 (en) 2004-12-07 2006-06-07 Ignis Innovation Inc. Driving method for compensated voltage-programming of amoled displays
KR20080032072A (ko) 2005-06-08 2008-04-14 이그니스 이노베이션 인크. 발광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및 시스템
US7639211B2 (en) * 2005-07-21 2009-12-29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circuit, electronic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nic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JP2009516229A (ja) * 2005-11-16 2009-04-16 ポリマー、ビジョン、リミテッド 強誘電薄膜トランジスタに基づくピクセルを有する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ディスプレイをアドレス指定するための方法
US9489891B2 (en) 2006-01-09 2016-11-08 Ignis Innov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an active matrix display circuit
WO2007079572A1 (en) 2006-01-09 2007-07-19 Ignis Innov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an active matrix display circuit
US9269322B2 (en) 2006-01-09 2016-02-23 Ignis Innovation Inc. Method and system for driving an active matrix display circuit
US7429726B2 (en) * 2006-09-19 2008-09-30 Tpo Displays Corp. Image displaying and capturing devices
JP5308656B2 (ja) * 2007-12-10 2013-10-09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画素回路
JP5352101B2 (ja) * 2008-03-19 2013-11-27 グローバル・オーエルイーディー・テクノロジー・リミテッド・ライアビリティ・カンパニー 表示パネル
JP2009237041A (ja) * 2008-03-26 2009-10-15 Sony Corp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JP5466694B2 (ja) 2008-04-18 2014-04-09 イグニス・イノベーション・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発光デバイス・ディスプレイ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駆動方法
CA2637343A1 (en) 2008-07-29 2010-01-29 Ignis Innovation Inc. Improving the display source driver
US9370075B2 (en) 2008-12-09 2016-06-14 Ignis Innovation Inc. System and method for fast compensation programming of pixels in a display
JP5329327B2 (ja) 2009-07-17 2013-10-3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画像表示装置
KR101709749B1 (ko) * 2009-09-16 2017-03-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
TWI528342B (zh) * 2009-09-16 2016-04-01 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US8283967B2 (en) 2009-11-12 2012-10-09 Ignis Innovation Inc. Stable current source for system integration to display substrate
JP2011118020A (ja) * 2009-12-01 2011-06-16 Sony Corp 表示装置、表示駆動方法
CA2687631A1 (en) 2009-12-06 2011-06-06 Ignis Innovation Inc Low power driving scheme for display applications
TWI446230B (zh) * 2010-03-01 2014-07-21 Novatek Microelectronics Corp 感測驅動裝置、觸控感測系統及感測驅動方法
CN102193668B (zh) * 2010-03-11 2015-11-25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感测驱动装置、触控感测系统及感测驱动方法
CA2696778A1 (en) 2010-03-17 2011-09-17 Ignis Innovation Inc. Lifetime, uniformity, parameter extraction methods
TWI421836B (zh) * 2010-05-12 2014-01-01 Au Optronics Corp 顯示裝置及其顯示方法以及電流驅動元件的驅動電路
US8698852B2 (en) 2010-05-20 2014-04-1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KR20120074847A (ko) * 2010-12-28 2012-07-06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화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9886899B2 (en) 2011-05-17 2018-02-06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US20140368491A1 (en) 2013-03-08 2014-12-18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US9351368B2 (en) 2013-03-08 2016-05-24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US9881587B2 (en) 2011-05-28 2018-01-30 Ignis Innovati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operating pixels in a display to mitigate image flicker
US9299290B2 (en) 2011-11-24 2016-03-29 Joled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747834B2 (en) 2012-05-11 2017-08-29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including feedback capacitors and reset capacitors, and display systems therefore
US9336717B2 (en) 2012-12-11 2016-05-10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US9786223B2 (en) 2012-12-11 2017-10-10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US9721505B2 (en) 2013-03-08 2017-08-01 Ignis Innovation Inc. Pixel circuits for AMOLED displays
CA2894717A1 (en) 2015-06-19 2016-12-19 Ignis Innovation Inc. Optoelectronic device characterization in array with shared sense line
CA2873476A1 (en) 2014-12-08 2016-06-08 Ignis Innovation Inc. Smart-pixel display architecture
CA2886862A1 (en) 2015-04-01 2016-10-01 Ignis Innovation Inc. Adjusting display brightness for avoiding overheating and/or accelerated aging
US10657895B2 (en) 2015-07-24 2020-05-19 Ignis Innovation Inc. Pixels and reference circuits and timing techniques
US10373554B2 (en) 2015-07-24 2019-08-06 Ignis Innovation Inc. Pixels and reference circuits and timing techniques
CA2898282A1 (en) 2015-07-24 2017-01-24 Ignis Innovation Inc. Hybrid calibration of current sources for current biased voltage progra mmed (cbvp) displays
CA2908285A1 (en) 2015-10-14 2017-04-14 Ignis Innovation Inc. Driver with multiple color pixel structure
TWI623927B (zh) * 2017-07-20 2018-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及其畫素的驅動方法
KR102480481B1 (ko) * 2017-09-22 2022-12-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WO2020027107A1 (ja) 2018-07-31 2020-02-06 日亜化学工業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TWI735333B (zh) * 2020-09-09 2021-08-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TWI780882B (zh) * 2021-08-30 2022-10-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發光二極體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WO2024016350A1 (zh) * 2022-07-22 2024-01-2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像素驱动电路及其驱动方法、显示面板、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52789A (en) 1997-04-14 1999-09-14 Sarnoff Corporation 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moled) display pixel structure and data load/illuminate circuit therefor
KR100634752B1 (ko) * 1999-12-11 2006-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전계 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GB2367413A (en) * 2000-09-28 2002-04-03 Seiko Epson Corp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JP3819723B2 (ja) 2001-03-30 2006-09-1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3899886B2 (ja) * 2001-10-10 2007-03-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画像表示装置
JP4397555B2 (ja) * 2001-11-30 2010-01-1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電子機器
JP3854161B2 (ja) 2002-01-31 2006-12-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表示装置
JP2003316321A (ja) 2002-04-25 2003-11-07 Dainippon Printing Co Ltd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7184034B2 (en) * 2002-05-17 2007-02-27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JP4232520B2 (ja) * 2002-06-28 2009-03-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2004246320A (ja) 2003-01-20 2004-09-02 Sanyo Electric Co Ltd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駆動型表示装置
CN100357999C (zh) 2003-04-24 2007-12-26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有机发光二极管的驱动电路
JP2004341144A (ja) 2003-05-15 2004-12-02 Hitachi Ltd 画像表示装置
JP2005099715A (ja) 2003-08-29 2005-04-14 Seiko Epson Corp 電子回路の駆動方法、電子回路、電子装置、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子装置の駆動方法
JP5051565B2 (ja) 2003-12-10 2012-10-17 奇美電子股▲ふん▼有限公司 画像表示装置
JP4854182B2 (ja) * 2004-04-16 2012-01-18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6293344A (ja) 2005-03-18 2006-10-26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並びに電子機器
US8681077B2 (en) 2005-03-18 2014-03-2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thereof
US7639211B2 (en) * 2005-07-21 2009-12-29 Seiko Epson Corporation Electronic circuit, electronic device, method of driving electronic device,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018078A1 (en) 2007-01-25
US8144081B2 (en) 2012-03-27
US7639211B2 (en) 2009-12-29
KR100799288B1 (ko) 2008-01-30
US20070040104A1 (en) 2007-02-22
TW200717406A (en) 2007-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99288B1 (ko) 전자 회로, 전자 장치, 전자 장치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장치 및 전자 기기
JP4655800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736740B1 (ko) 전자 장치, 그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 기기
US7760163B2 (en) Electro-optical device, drive circuit, driving method, and electronic apparatus
JP4259592B2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4293227B2 (ja) 電子回路、電子装置、そ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720100B2 (ja) 発光装置、画素回路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US20080043005A1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20070120450A (ko) 전자 회로, 그 구동 방법, 전자 장치 및 전자 기기
KR20080082464A (ko) 화소 회로의 구동 방법, 전기 광학 장치 및 전자기기
JP2006154730A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画素回路および電子機器
JP5011682B2 (ja) 電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392963B2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5821226B2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2010286541A (ja) 発光装置、電子機器、および発光装置の駆動方法
JP2006349794A (ja) 電子回路、その駆動方法、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10281867A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および電気光学装置の駆動方法
JP4826158B2 (ja) 電気光学装置
JP5124955B2 (ja) 電気光学装置、その駆動方法、および電子機器
JP4984520B2 (ja) 電子回路、電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103737B2 (ja) 電子回路、電子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5494684B2 (ja) 電子回路の駆動方法
JP2012113195A (ja)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2008233461A (ja) 画素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