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10963A -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10963A
KR20070010963A KR1020050065981A KR20050065981A KR20070010963A KR 20070010963 A KR20070010963 A KR 20070010963A KR 1020050065981 A KR1020050065981 A KR 1020050065981A KR 20050065981 A KR20050065981 A KR 20050065981A KR 20070010963 A KR20070010963 A KR 20070010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eproductive
cocoa
rice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8440B1 (ko
Inventor
오덕환
최재호
오용환
Original Assignee
오덕환
주식회사 쓰리앤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덕환, 주식회사 쓰리앤포 filed Critical 오덕환
Priority to KR102005006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48440B1/ko
Publication of KR2007001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1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8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8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생식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면역 세포의 증식효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효과, 항 바이러스능과 세포매개성 면역능을 갖는 TNF-α 생성 증가효과를 갖는 생식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별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사상체질, 생식 약학조성물, 면역, 항바이러스, 암세포, 산화질소

Description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uncooked vegetables for immune activity}
도 1은 태음인의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림프구에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활성을 측정한 도이고,
도 2는 소양인의 혈액으로부터 분리한 림프구에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활성을 측정한 도이며,
도 3은 태음인의 면역세포에 LPS를 처리하고,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세포의 증식능을 측정한 도이고,
도 4는 소양인의 면역세포에 LPS를 처리하고,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세포의 증식능을 측정한 도이며,
도 5는 태음인의 면역세포에 conA를 처리하고,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세포의 증식능을 측정한 도이고,
도 6은 소양인의 면역세포에 conA를 처리하고,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세포의 증식능을 측정한 도이며,
도 7은 태음인의 면역세포에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대식세포에서의 NO생성량을 측정한 도이고,
도 8은 소양인의 면역세포에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대식세포에서의 NO생성량을 측정한 도이며,
도 9는 태음인의 면역세포에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한 도이고,
도 10은 소양인의 면역세포에 체질 생식 추출물을 투여한 후, TNF-α의 분비량을 측정한 도이다.
본 발명은 면역 증강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의 약학적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및 소음인의 4가지 사상 체질로 구분되는 각 체질에 맞는 체질 생식 추출물이 면역 세포의 증식효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효과, 항 바이러스능과 세포매개성 면역능을 갖는 TNF-α 생성 증가효과를 갖는 면역 증강용 체질 생식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들의 경향은 이전과는 달리 건강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흐르고 있다. 또한 건강에 대한 일반인의 관심이 고조되고 식품이 원인이 되는 질병인 비만, 암, 당뇨 등의 성인병이 급증하면서 식품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다. 특히 건강에 대해서도 과거 ‘단순질병치료’에서 ‘질병예방’으로 인식이 변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식품이 가지고 있는 영양성분의 파괴를 최소화하여 섭취하는 생식에 대한 관심도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박미현, 생식업계의 현황과 전망, 식품산업과 영양, 7(3), pp.1~3, 2002 ; 이상윤, 시판 생식의 일반 제조공정, 식품산업과 영양, 7(3), pp.11~15, 2002). 생식[生食 : (사전의미) 열을 가하지 않은 음식]에 대해서 정확하게 규정된 정의는 아직 없지만 화식(火食)과는 반대되는 의미의 식품으로 정의되어 있다. 생식은 곡류, 두류(豆類), 과채류(果菜類), 해조류(海藻類), 버섯류 등의 원료를 사용, 가열처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저온건조해 분말화하여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제품이다. 이처럼 생식은 식품에 열을 직접 가하지 않아 식품이 가지고 있는 섬유질, 효소, 비타민, 미네랄 등의 영양소 파괴나 변형이 없고, 전곡(全穀)을 그대로 섭취하기 때문에 가공과정 중에 파괴되는 미량성분까지도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을 살릴 수 있다. 또한 자연그대로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저온 건조과정인 동결건조를 이용함으로써 맛과 색, 향 등의 풍미 유지와 열에 의해 쉽게 파괴되는 엽록소의 양을 최소화하여 가공된 생식 제품을 통해 엽록소를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박미현, 생식업계의 현황과 전망, 식품산업과 영양, 7(3), pp.1~3, 2002 ; 이상윤, 시판 생식의 일반 제조공정, 식품산업과 영양, 7(3), pp.11~15, 2002).
한의학에 있어서의 면역은 18세기 「면역류방(免疫類方)」에 전염병을 면하게 한다는 의미로 처음 사용되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황제내경(黃帝內經)」에서 “정기존내(正氣存內) 사불가간(邪不可干)”, “풍우한역부득허(風雨寒熱不得 虛) 사불가능독상인(邪不能獨傷人)” 등이라 한 것으로 보아 18세기 이전부터 면역이라는 개념이 인식되어 왔음을 알 수 있고, 현대에서도 역병의 위해를 면제하는 정기(正氣)와 사기(邪氣)의 상쟁(相爭) 및 인체의 정상적인 활동능력과 면역방제능력(免疫防除能力)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는 오늘날 서양의학에서 언급하는 자기(自己)와 비자기(非自己)의 개념으로 정기와 사기로 비교되어 설명할 수 있다. 따라서 면역이란 인체 내에서 외부로부터 어떤 요인으로 인해서든지 침입하는 미생물 동종의 조직, 이물, 변이세포, 불필요한 산물 등이 발생하면 면역계에 관여하여 변이산물은 물론 새로이 생긴 변이세포를 비자기인 항원으로 인식, 반응하여 항체를 생성하여 개체의 항상성을 유지하려는 현상을 말하며(진천식 외, 면역세포 및 종양세포에 미치는 단삼의 효과, 대한 동의병리학회지, 제12권 2호, pp.125~131, 1998), 면역조절물질은 생체 내의 면역세포들을 비 특이적으로 자극해서 생체의 면역기능을 활성 또는 증진시켜 생체의 방어력을 증강시키는 물질을 말한다(조성기 외, 해바라기를 주원료로 한 복합조성물(헤바톤, HYEBATON)의 면역활성 증진효과와 당뇨 및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식품 산업과 영양, 7(3), pp.27~34, 2002). 면역계는 출생과 더불어 개체가 생존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보유되고 있으면서 생체 내, 외부로부터 출현하는 각종 병원체 등의 이물질들을 백혈구가 비자기로 인식하여 그것을 파괴하고, 소멸시켜 개체를 효과적으로 방어하는 생체방어체계로서 호중구와 대식세포 등의 식세포와 종양세포 상해활성을 가진 NK 세포 등이 담당하는 선천성 자연 면역과 면역계를 총괄하는 T림프구, 항체생성세포인 B림프구 등이 반응의 주역인 특이 획득 면역의 두 가지로 대별되며 B림프구는 다시 T림프구 등의 면역세포가 반 응을 담당하는 세포성 면역과 항체와 각종 세포의 신호전달분자인 시토카인(cytokine) 등의 분자들이 반응을 담당하는 체액성 면역이라 부른다(김종석 외, 산딸나무열매 추출물의 면역조절기능, 한약작회, 10(5),pp.327~332, 2002). 따라서 면역계에서 면역 초기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세포가 대식세포(Macrophage)이며 일반적으로 면역 활성을 보기 위한 표적세포로 이용되는 것이 대식세포주이며, 이 대식세포에 의하여 활성화된 면역 반응 산물이 T 세포를 활성화하고 이런 과정에 기인하며 다른 면역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대식세포는 항원의 침입 시 면역반응으로 침입한 항원을 잡아먹는 식세포 작용을 하는데, 항원은 대식세포 내 살균작용에 의해 사멸 및 분해되며, 이때 대식세포가 분비하는 물질은 여러 가지가 알려져 있지만, 그 중 하나가 NO(Nitric Oxide)이다(Panossian AG,et al., Phytomedicine, 6, pp.17~26, 1999 ; Bredt DS. et al., Annu Rev Biochem, 63, pp.175~195, 1994). NO(Nitric Oxide)는 cNOS와 iNOS의 2종류가 있으며 cNOS는 혈관내피(vascular endothelium) 및 뇌에서, iNOS는 활성화된 대식세포 및 여러 세포에서 발견되었다. 대식세포가 생산하는 NO는 생체 내에서 암세포를 공격하여 상해시키는 암 면역의 이펙터(effector),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진천식 외, 면역세포 및 종양세포에 미치는 단삼의 효과, 대한 동의병리학회지, 제12권 2호, pp.125~131, 1998). 또한 NO는 생체 내에서 혈관확장 시약, 신경전달물질로서의 작용 외에 세균이나 암세포에 대한 비 특이적 면역반응의 효능물질로 잘 알려져 있다(권 진, et al., KOREAN J. FOOD SCI. TECHNOL, 33, pp.384~388, 2001).
면역반응에서의 세포 상호 작용은 수용체간의 직접적인 상호작용에 의하여 나타나기도 하지만 직접적인 상호작용과 더불어 세포가 분비해낸 단백질에 의하여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이들 단백질들은 어떤 세포에 의해 만들어져 그 세포 밖으로 분비되며 다시 자신이나 이웃한 세포 또는 먼 곳에 있는 세포에 작용한다. 이들 단백질들은 작용한 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유도하기도 하며, 기능과 활성의 변화를 유도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시토카인(cytokine)이라도 부르며, 이러한 시토카인은 여러 가지 면역세포들에 의하여 만들어지며, 여러 가지 면역세포의 활성화(activation), 성장(growth), 분화(differentiation)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자연면역과 획득면역 반응에 관여할 뿐만 아니라 면역세포의 성숙에서도 중요한 작용을 나타낸다.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TNF-α)는 활성화된 대식세포로부터 생산되는 물질로서 특정 암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과 항바이러스 작용이 있고, 급성 및 만성 염증 질환에서 일어나는 생체반응에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이토카인으로 알려져 있다(Haberhausen, et al., J. Clin . Microbiol, 36, pp.628~633, 1998). 또한 TNF-α는 그람음성세균 감염에 의해서 만들어지는데, 세균의 세포막에 있는 내독소인 LPS에 의해 활성화된 림프구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LPS의 양이 적은 경우에는 TNF-α가 적은 양이 생성되어 백혈구나 혈관세포에 작용하여 국소적인 염증반응이 나타나 항원이 제거된다. 낮은 양의 TNF-α는 염증반응에서 백혈구들이 혈관내피 세포에 부착하는 것을 촉진하며, 염증세포들의 미생물 살해능을 증가시키며, 단핵 식세포에 작용하여 여러 가지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시토카인을 생산하게 만들어 염증반응을 촉진한다. 또한 T 세포와 B 세포의 활성화에 보조 촉진제로 작용하기도 한다. TNF-α는 군집 촉진 요소(CSF)의 합성을 유도할 수도 있으며 종양세포에 작용하여 세포자살을 유도하기도 한다.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 등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TNF-α, IL-6 등이 분비되고 이들은 면역조절, 항미생물 및 항종양 작용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 중 TNF-α는 생체 내에서 표적 세포의 괴사, NK 세포의 활성화 및 항바이러스능을 가지며, 세포 매개성 면역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ibbs, Jr. et al., Biochem . Biophy . Res. Commun. 157, pp.87~94, 1988 ; Adams, L. B. et al., J. Immunol . 144, p2725, 1990).
한의학에서 말하는 체질에 따라 음식을 달리해야 하는 사상 체질과 체질음식 즉 음식섭생(飮食攝生)에 준해 각 체질에 맞는 원료를 사용, 제품화한 것이 맞춤형 체질별 생식이다. 따라서 각 체질에 맞게 원료를 사용한 체질별 생식이 각 체질별로 면역 활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체질별 생식 조성물을 각 체질에 적용하여 T 세포와 B 세포의 활성을 관찰하는 동시에 대식세포에서 분비되는 NO와 시토카인(cytokine(TNF-α))의 양을 측정하여 유의성 있는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면역세포를 증가시키고,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산화질소(Nitric Oxide)를 생성시키며, 항바이러스능과 세포매개성 면역능을 갖는 TNF-α 를 생성시킴으로써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생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체질별 약학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쌀, 보리, 메밀, 백태, 황태, 바나나, 가지, 결명자, 녹두, 녹차잎, 다시마, 대추, 들깨, 땅콩, 미역, 멸치, 북어, 새우, 신선초, 아가리쿠스, 알로에, 양배추, 체리, 케일, 팥, 호박, 죽염, 포도당, 계피 및 코코아 배합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쌀 0∼30, 보리 15∼19, 메밀 0∼10, 백태 10∼15, 황태 7∼15, 바나나 5∼10, 가지 0∼5, 결명자 0∼1, 녹두 0∼4, 녹차잎 0∼1, 다시마 0∼2, 대추 1∼1.6, 들깨 0∼5, 땅콩 0∼5, 미역 0∼2, 멸치 0∼1.5, 북어 1∼2, 새우 0∼1.5, 신선초 0∼5, 아가리쿠스 0∼0.5, 알로에 0∼1, 양배추 0∼5, 체리 0∼3, 케일 0∼2, 팥 0∼5, 호박 0∼5, 죽염 0.2∼0.3, 포도당 0∼10, 계피 0∼0.5 및 코코아 0∼10 중량비(%)로 구성되는 생식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태양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쌀, 조, 현미, 옥수수, 수수, 율무, 감자, 당근, 목이버섯, 표고버섯, 두충잎, 마늘, 무우, 밤, 솔잎, 부추, 양파, 은행, 파, 잣, 흑태, 호두, 구기자, 누에, 녹각, 아가리쿠스, 코코아, 레몬, 계피, 포도당, 코코아 및 죽염 배합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쌀 0∼25, 조 5∼10, 현미 12∼20, 옥수수 12∼20, 수수 0∼10, 율무 0∼10, 감자 0∼5, 당근 5∼10, 목이버섯 0∼2, 표고버섯 2∼2.6, 두충잎 0∼3, 마늘 0∼1.1, 무우 0∼5, 밤 1∼5.6, 솔잎 0∼3, 부추 0∼1, 양파 1.6∼3, 은행 0∼1.2, 파 0∼2, 잣 0∼3, 흑태 0∼8, 호두 0∼1, 구기자 0∼1, 누에 0∼1.5, 녹각 0∼1, 아가리쿠스 0∼1, 코코아 0∼10, 레몬 0∼1.5, 계피 0∼0.5, 포도당 0∼10, 코코아 0∼10 및 죽염 0.3 중량비(%)로 구성되는 생식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태음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보리, 쌀, 흑태, 녹두, 메밀, 통밀, 팥, 가지, 결명자, (늙은)호박, 다시마, 대추, 들깨, 더덕, 들깨잎, 땅콩, 미역, 멸치, 뽕잎, 양배추, 신선초, 아가리쿠스, 알로에, 강낭콩, 케일, 해바라기씨, 죽염, 코코아, 포도당, 계피, 체리 및 상황버섯 배합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보리 15∼23, 쌀 0∼25, 흑태 15∼20, 녹두 5∼10, 메밀 2∼8, 통밀 0∼12, 팥 0∼5, 가지 0∼5, 결명자 0∼1, (늙은)호박 0∼5, 다시마 1.6∼5, 대추 0∼1.5, 들깨 0∼3, 더덕 0∼1, 들깨잎 0∼3, 땅콩 0∼8, 미역 0∼1.8 멸치 0∼1.8, 뽕잎 0∼3 양배추 0∼5, 신선초 0∼2, 아가리쿠스 0∼0.5, 알로에 0∼1, 강낭콩 0∼5, 케일 1∼2, 해바라기씨 0∼4, 죽염 0.1∼0.2, 코코아 0∼10, 포도당 0∼10, 계피 0∼0.5, 체리 0∼3 및 상황버섯 0∼0.5 중량비(%)로 구성되는 생식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쌀, 수수, 조, 율무, 옥수수, 감자, 무우, 당근, 파, 마늘, 치커리, 두충잎, 쑥, 버섯, 파래, 계피, 밤, 은행, 산약, 호두, 레몬, 참깨, 코코아, 화분, 포도당 및 죽염 배합 추출물, 바람직하게는 쌀 18∼30, 수수 10∼20, 조 6∼12, 율무 6∼15, 옥수수 0∼20, 감자 3∼5, 무우 0∼3, 당근 0∼5, 파 1.1∼3.7, 마늘 0∼1, 치커리 0∼0.5, 두충잎 0∼2, 쑥 0∼3, 버섯 0∼1, 파래 0∼1, 계피 0∼0.5, 밤 0∼5, 은행 0∼1.1, 산약 0∼1, 호두 0∼2, 레몬 0∼2, 참깨 0∼4.6, 코코아 0∼10, 화분 0∼2, 포도당 0∼10 및 죽염 0.3 중량비(%)로 구성되는 생식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음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생식 추출물들은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산화질소를 생성시키고, 항 바이러스능과 세포매개성 면역능을 갖는 TNF-α를 생성시킴으로써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상기 생식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체질별 생식 추출물은 플라스크 내 200g의 체질별 시료를 넣고 시료 중량의 5배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배의 물, 에탄올, 메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또는 약 1:0.1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1:0.2 내지 1:5의 혼합비(㎏/ℓ)를 갖는 이들의 혼합용매, 더욱 바람직하게는 70% 에틸 알콜을 가하여 10 내지 45℃,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수욕 상에서 12 내지 36시간,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30시간 1 내지 3회 반복 추출한 후 감압여과장치로 여과하고, 여액을 회전 진공 증발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본 발명의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조공정으로 얻어진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 증강용 약학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체질별 생식 추출물은 면역 세포의 증식효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효과, 항 바이러스능과 세포매개성 면역능을 갖는 TNF-α 생성 증가효과를 갖는바, 면역 증강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면역 증강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 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체질별 생식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 (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질별 생식 추출물은 면역 증강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본 생식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체질별 생식 추출물은 독성 및 부작용은 거의 없으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체질별 생식 추출물은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생식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50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3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0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생식조성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추출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참고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태양인 체질 생식 조성물의 제조
쌀 0∼30, 보리 15∼19, 메밀 0∼10, 백태 10∼15, 황태 7∼15, 바나나 5∼10, 가지 0∼5, 결명자 0∼1, 녹두 0∼4, 녹차잎 0∼1, 다시마 0∼2, 대추 1∼1.6, 들깨 0∼5, 땅콩 0∼5, 미역 0∼2, 멸치 0∼1.5, 북어 1∼2, 새우 0∼1.5, 신선초 0∼5, 아가리쿠스 0∼0.5, 알로에 0∼1, 양배추 0∼5, 체리 0∼3, 케일 0∼2, 팥 0∼5, 호박 0∼5, 죽염 0.2∼0.3, 포도당 0∼10, 계피 0∼0.5 및 코코아 0∼10 중량비(%)로 구성되는 200g의 시료를 넣고, 시료 중량 10배량의 70% 에틸 알콜을 가하 여 25℃ 수욕 상에서 24시간 2회 반복 추출한 후 감압여과장치로 여과하였다. 여액을 회전 진공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한 후, 동결 건조하여 4℃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위와 같이 조제된 태양인 생식 추출물은 실험 시 RPMI 1640 배지로 적정 농도 희석하여, 무균상태로 적용하기 위하여 무균 여과지(0.45㎛, Millipore 막)로 여과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태음인 체질 생식 조성물의 제조
쌀 0∼25, 조 5∼10, 현미 12∼20, 옥수수 12∼20, 수수 0∼10, 율무 0∼10, 감자 0∼5, 당근 5∼10, 목이버섯 0∼2, 표고버섯 2∼2.6, 두충잎 0∼3, 마늘 0∼1.1, 무우 0∼5, 밤 1∼5.6, 솔잎 0∼3, 부추 0∼1, 양파 1.6∼3, 은행 0∼1.2, 파 0∼2, 잣 0∼3, 흑태 0∼8, 호두 0∼1, 구기자 0∼1, 누에 0∼1.5, 녹각 0∼1, 아가리쿠스 0∼1, 코코아 0∼10, 레몬 0∼1.5, 계피 0∼0.5, 포도당 0∼10 및 코코아 0∼10, 죽염 0.3 중량비(%)로 구성되는 200g의 시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소양인 체질 생식 조성물의 제조
보리 15∼23, 쌀 0∼25, 흑태 15∼20, 녹두 5∼10, 메밀 2∼8, 통밀 0∼12, 팥 0∼5, 가지 0∼5, 결명자 0∼1, (늙은)호박 0∼5, 다시마 1.6∼5, 대추 0∼1.5, 들깨 0∼3, 더덕 0∼1, 들깨잎 0∼3, 땅콩 0∼8, 미역 0∼1.8 멸치 0∼1.8, 뽕잎 0∼3 양배추 0∼5, 신선초 0∼2, 아가리쿠스 0∼0.5, 알로에 0∼1, 강낭콩 0∼5, 케 일 1∼2, 해바라기씨 0∼4, 죽염 0.1∼0.2, 코코아 0∼10, 포도당 0∼10, 계피 0∼0.5, 체리 0∼3 및 상황버섯 0∼0.5 중량비(%)로 구성되는 200g의 시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양인 생식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소음인 체질 생식 조성물의 제조
쌀 18∼30, 수수 10∼20, 조 6∼12, 율무 6∼15, 옥수수 0∼20, 감자 3∼5, 무우 0∼3, 당근 0∼5, 파 1.1∼3.7, 마늘 0∼1, 치커리 0∼0.5, 두충잎 0∼2, 쑥 0∼3, 버섯 0∼1, 파래 0∼1, 계피 0∼0.5, 밤 0∼5, 은행 0∼1.1, 산약 0∼1, 호두 0∼2, 레몬 0∼2, 참깨 0∼4.6, 코코아 0∼10, 화분 0∼2, 포도당 0∼10 및 죽염 0.3 중량비(%)로 구성되는 200g의 시료를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소음인 생식 추출물을 제조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참고예 1. 혈액 내의 면역세포 분리
태음인과 소양인 각각 2명으로부터 50 ㎖의 혈액을 채취하여 두 개의 50 ㎖-원추형 튜브에 나눈 후, 동량의 DPBS(Mg2 +, Ca2 + without, Dulbecco's Phosphate Buffered Saline, CAMBREX) 25 ㎖씩 넣어 잘 섞이도록 혼합한 다음, 다시 2개의 50 ㎖-원추형 튜브에 나눈 후, 혈액과 DPBS 혼합층이 피콜(ficoll ; Amersham Biosciences) 층 위에 있을 수 있도록 피콜을 원추형 튜브 아래로 조심스럽게 넣어준 후, 1,400rpm으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면역세포와 단핵세포층을 얻었다. DPBS 로 3회 세척, 원심분리하여 순수한 물질을 얻은 후 RPMI 1640 배지와 혼합하여 세포 배양 접시에 분주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배양(37℃, CO2 5.0%) 하였다. 1시간 배양 후, 면역세포를 분리하여 RPMI 1640 배지로 3회 세척하여 모아 따로 배양하고, 단핵세포는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GM-CSF 10 ㎕를 첨가하여 배양한 후, NO 생성 효과와 TNF-α 분비 효과를 각각 실험하여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각 체질의 생식 추출물에 대한 면역활성
실험에 사용한 MTT법은 모스만(Mosmann)이 개발하여(Mosmann, T, J. Immunol. methods. 65. pp55~63, 1983), 코트닉(Kotnik)등이 변형시킨 방법으로(Kotnik, V. et al., J. Immunol . methods. 129, p23, 1990),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태음군 2인과 소양군 2인의 면역세포 부유액 100㎕(5× 106 세포/㎖)를 접종한 후,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각각 최종 농도 100 ㎍/㎖, 250㎍/㎖, 500㎍/㎖, 1000㎍/㎖로 만들어 배지로 희석하여 100 ㎕씩 넣고 48시간 배양하였다(37℃, CO2 5.0%). 배양 종료 4시간 전에 5 ㎎/㎖의 농도로 DPBS-A에 희석한 MTT용액 20 ㎕를 각 웰에 첨가하고, 0.1N HCl에 용해시킨 10% SDS 100 ㎕ 용해시켜 12시간 동안 빛을 차단한 후 각 웰의 흡광도를 엘리사 리더(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70nm에서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태음인 A와 B, 모두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다른 생식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하게 림프구의 세포 활성이 증진되었다. 세포 활성은 100 ㎍/㎖, 250 ㎍/㎖, 500 ㎍/㎖의 농도 순으로 증진되었으며, 특히 500 ㎍/㎖의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태음인 A와 B 모두 O.D.값이 0.48과 0.49로 나타나 소양인 생식 추출물에서의 0.34 와 0.3보다 각각 약 41%, 63%의 활성이 증진된 결과를 보였다. 태음인의 경우 4가지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활성은 태음인 생식 추출물, 소음인 생식 추출물, 소양인 생식 추출물, 태양인 생식 추출물의 순으로 태음인 생식 추출물의 활성이 증진된 결과를 보였으며, 특히 음인 생식 추출물 처리구에서 양인 생식 추출물 처리구에 비해 현저한 세포 활성을 보였다.
한편, 소양인의 경우에도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A와 B 모두 소양인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림프구의 세포 활성이 다른 체질별 생식 추출물에 비하여 증진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소양인에서도 태음인과 결과와 마찬가지로 세포 활성은 농도 의존적으로 증진되었으며, 500 ㎍/㎖의 소양인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소양인 A, B에서 O.D.값이 0.45와 0.47로 나타나 태음인 생식 추출물에서의 0.35, 0.33보다 약 32%, 42%의 활성이 증진된 결과를 보였다. 소양인의 경우에도 4가지 체질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활성은 소양인 생식 추출물, 태양인 생식 추출물, 태음인 생식 추출물, 소음인 생식 추출물의 순으로 소양인 생식 추출물에서의 활성이 증진된 결과를 보였다.
상기 실험 결과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세포 활성은 각 생식 추출물 처리구의 농도별로 증가 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1000 ㎍/㎖ 처리구에서는 500 ㎍/㎖ 처리구보다 활성이 저하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500 ㎍/㎖까지는 에틸 알콜에 용 해되어 세포 속으로 흡수가 잘 되어 활성을 나타낸 반면에 1000 ㎍/㎖는 용해되지 않아 세포 속으로 흡수되기 어려웠기 때문에 뚜렷한 활성을 보여주지 못한 결과라고 사료되어, 면역 세포 증식능과 NO 생성능, TNF-α 분비능 실험에서는 1000㎍/㎖ 처리구를 제외시켰다.
실험예 2. 체질별 생식에 의한 각 체질군의 면역세포 증식능 측정
상기 참고예 1에서 분리한 면역세포를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2-1. B 세포의 활성 측정
면역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각 체질별 생식 추출물의 면역세포 증식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태음인 면역세포와 소양인 면역세포 부유액을 각각 5× 105 cells/㎖이 되도록 조제하여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250㎕, 500㎕씩 분주한 후, B세포 유사분열 물질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 LPS)를 최종농도 10 ㎍/㎖로 조제하여 50 ㎕씩 웰위에 각각 분주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생식추출물 대신 RPMI 1640 배지를 첨가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생식추출물을 첨가하여 37℃, CO2 5.0%의 조건에서 44시간 배양한 후, MTT법으로 처리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B세포를 활성화하는 LPS를 처리한 결과, 도 3에서 태음인 A와 B의 면역세포에 LPS와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O.D.값이 각각 태음인 A가 1.25, 태음인 B가 1.30으로 LPS만 단독 처리한 1.0, 1.15에 비해 태음인 생식 추출 물에 의한 면역세포의 증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양인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에는 LPS만 단독 처리한 1.0, 1.15보다 낮은 0.72, 0.85의 결과를 보였다. 또한 태음인의 경우 LPS와 4가지 체질 생식 추출물을 모두 처리하였을 때 면역세포 증식은 태음인 생식 추출물, 소음인 생식 추출물, 소양인 생식 추출물, 태양인 생식 추출물 순으로 태음인 생식 추출물에서의 면역세포 증식이 높았으며 음인 생식 추출물이 양인 생식 추출물에 비해 더 높은 세포 증식을 나타냈다.
도 4의 소양인 A 와 B의 결과에서는 LPS와 소양인 생식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O.D.값은 소양인 A가 0.85, 소양인 B가 0.95로 LPS만 단독처리한 각각 1.0보다 낮았지만 LPS단독 투여에 의해 세포가 증식된 값에 가까운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는 소양인 A와 B가 각각 0.63과 0.58로 소양인 생식 추출물 처리구의 값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소양인의 경우도 또한 LPS와 4가지 체질 생식 추출물을 모두 처리하였을 때 소양인 생식 추출물, 태양인 생식 추출물, 태음인 생식 추출물, 소음인 생식 추출물의 순으로 소양인 생식 추출물에서의 면역세포 증식이 높았다.
2-2. T 세포의 활성 측정
면역세포의 증식에 미치는 각 체질별 생식 추출물의 면역세포 증식효과를 탐색하기 위하여 태음인 면역세포와 소양인 면역세포 부유액을 각각 5× 105 cells/㎖이 되도록 조제하여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00㎕, 250㎕, 500㎕씩 분주한 후, T세포 유사분열 물질인 콘카나발린(concanavalin A; con A)을 최종농도 10 ㎍/㎖로 조제하여 50 ㎕씩 웰위에 각각 분주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생식 추출물 대신 RPMI 1640 배지를 첨가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생식 추출물을 첨가하여 37℃, CO2 5.0%의 조건에서 44시간 배양한 후, MTT법으로 처리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냈다.
도 5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태음인 A와 B의 면역세포에 conA와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의 O.D.값은 각각 0.75와 1.0으로 conA만 단독 처리한 0.8과 0.9의 값에 가까운 세포 증식효과를 보였다. 양인 생식 추출물을 태음인의 면역세포에 처리하였을 때 태양인 생식 추출물 처리시 0.55 및 0.53과 소양인 생식 추출물 처리시 0.64 및 0.61로 태음인 생식 추출물에 비해 낮은 증식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태음인 conA와 3가지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세포 증식효과는 태음인 생식 추출물, 소음인 생식 추출물, 태양인 생식 추출물, 소양인 생식 추출물 순으로 음인 생식 추출물이 양인 생식 추출물에 비해 높은 세포 증식을 나타냈다.
도 6에 나타난 소양인 A와 B의 결과, 각각의 면역세포에 conA와 소양인 생식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0.7과 0.69로 conA만 단독 처리한 각각 0.8에 가까운 세포 증식 결과를 보였으며,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의 0.52 및 0.49로 소양인 생식 추출물의 값과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소양인의 경우에도 conA와 4가지 체질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소양인 생식 추출물, 태양인 생식 추출물, 태음인 생식 추출물, 소음인 생식 추출물의 순으로 소양인 생식 추출물에서의 면역 세포의 증식이 높았다.
본 실험예 2의 결과, 면역 세포의 증식효과는 각 생식 추출물의 농도별로 증가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각 체질에 맞는 체질 생식 추출물이 세포 증식에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LPS와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께 처리했을 때에 음인에서는 음인 생식 추출물이, 양인에서는 양인 생식 추출물에 의한 세포 증식이 높은 결과를 보였지만, 소양인 A와 B의 경우에는 태음인 A와 B에 비해 모두 LPS 단독 처리구보다 낮은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실험에 사용된 세포의 경우, 다른 표준 세포주가 아닌 사람별, 체질별로 틀린 비표준 세포주를 사용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실험예 3. 대식세포(Macrophage)에서의 산화질소 생성능의 측정
대식세포로부터 생성되는 NO(nitric oxide)를 측정하기 위해서 96-웰 플레이트에 대식세포를 5× 105 세포/㎖로 조제하여 100 ㎕씩 각 웰에 분주하고 2시간 동안 전 배양을 하여 비부착세포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체질별 생식추출물을 각 농도별 (100 ㎍/㎖, 250 ㎍/㎖, 500 ㎍/㎖) 조제하여 희석한 후, 각 웰에 20 ㎕씩 주입하였고, 동시에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2 ㎍/㎖ 넣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37℃, CO2 5.0%). 배양한 후에 생성된 산화질소(NO)의 양을 그리에스(Griess)법으로 측정하였다(Rockett, K. A. et al.,. Infec. Immunity. 59(9). p3280, 1990). 대식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일정 시간 경과 후 자발적으로 산화되어 NO2-와 NO3- 상태로 전환되어 축적된다. 따라서 생성되는 질소 반응 생성 중간물(reactive nitrogen intermediate)중 NO3-는 환원효소로 전환시켜야 정확 하지만 보통은 NO2-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이를 발색시켜 딩(Ding)등의 방법으로 간접적으로 정량하였다(Ding, et al.,. J. Immunol ., 144, pp.2407~2413, 1988). 간략하면 배지 100 ㎕와 그리에스 시약(1% sulfanilamide + 0.2% N-naphthylethylenediamine 2HCl + 2.5% H3PO4) 100 ㎕를 혼합하여 새로운 96-웰 플레이트에 넣고 570nm에서 엘리사 리더(ELISA reader; Bio-Tek instrument, Inc. Ceres UV. HDi)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대식세포에서 생성하는 NO의 양을 측정하기 위해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는 LPS만 넣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고 각각 체질별 면역세포에 LPS와 체질별 생식추출물을 농도별로 넣은 것을 실험군으로 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한 결과를 다음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LPS만을 단독으로 처리한 대조군과 LPS와 생식추출물을 함께 처리한 실험군에서 모두 NO가 생성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각 체질에서 NO 생성효과 역시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도 7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태음인의 경우에서 A와 B 모두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대조군을 포함하여 다른 생식 추출물에 비해 높은 NO 생성효과를 보였다. 500 ㎍/㎖의 태음인 생식 추출물 처리 결과 3.8 μM과 4.0 μM로 나타난 반면, 소양인 생식 추출물 처리 결과는 2.5 μM, 2.7 μM로 나타났다. 태음인의 경우 LPS 단독 처리구와 LPS와 4가지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태음인 생식 추출물, 소음인 생식 추출물, 태양인 생식 추출물, 소양인 생식 추출물, 대조군의 순으로 태음인 생식 추출물의 NO 생성량이 증진되는 결과로 볼 때, 태음인에서 음인 생식 추출물이 양인 생식 추출물보다 많은 NO를 증진시켰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소양인 A와 B를 모두 소양인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때, 다른 체질생식 추출물에 비해 높은 NO 생성효과를 보였다. 500 ㎍/㎖의 소양인 생식 추출물 처리 결과 3.8 μM과 3.9 μM로 나타난 반면, 태음인 2.9 μM, 3.0 μM로 나타났다. 소양인의 경우 LPS 단독 처리구와 LPS와 4가지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소양인 생식 추출물, 태양인 생식 추출물, 태음인 생식 추출물, 소음인 생식 추출물, 대조군의 순으로 소양인의 NO 생성량이 증진되는 결과로 볼 때, 소양인에서 양인 생식 추출물이 음인 생식 추출물보다 많은 NO를 증진시켰다.
상기에서 보여 지는 바와 같이 NO 생성량은 LPS 단독 처리보다 체질별 생식 추출물에 의해 더 활성화되는 결과를 보였으며, 전체적인 증가 양상으로 보아 체질별 생식 추출물에는 NO를 증가시키는 물질이 포함되어 있다고 사료되며, 이와 같이 체질별 생식 추출물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시토카인을 분비시켜, 이들의 자극에 의하여 NOS를 발현 유도시켜 분비된 NO는 표적 세포에 작용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4. 대식세포 내의 시토카인 ( TNF -α) 분비능 측정
대식세포에서의 약물 처리 농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항암활성과 관련된 TNF-α의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각 체질에 대하여 농도 100 ㎍/㎖, 250 ㎍/㎖, 500 ㎍/㎖를 대식세포 배양액(5× 105 cells/㎖)에 처리하여 일정시간 경과 후 농도별로 TNF-α의 생성량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종양괴사인자(TNF-α)의 측정은 엘리사 키트(ELISA kit; Human Biotrak ELISA System, Amersham Biosciences)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키트에서 제공된 엘리사 희석용액 50 ㎕를 96-웰 플레이트에 분주한 후, 배양액 시료 또는 키트에서 제공된 표준 용액을 각각 50 ㎕씩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 있는 반응액을 흡기기(aspirator)를 이용하여 제거하고 PBS로 3회 세척한 후, 미리 혼합된 반응용액 스트렙타비딘(streptavidin)-HRP(효소를 접합한 겨자무과 산화효소) 100 ㎕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30분 배양하였다. 흡기기를 이용하여 96-웰 플레이트 내의 반응액을 제거하고 3회 세척하였다. 기질로 사용한 테트라메틸벤지딘(TMB) 100 ㎕를 96-웰 플레이트에 가한 후 빛이 없는 상온에서 30분 동안 배양하였다. 각 웰에 반응정지용액 50 ㎕를 가한 후 엘리사 리더(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는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넣은 모든 실험군에서 생식 추출물을 넣지 않은 대조군보다 많은 양의 TNF-α가 생성되는 결과를 보였고, TNF-α 생성량 또한 농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태음인은 태음인 생식 추출물에서, 소양인은 소양인 생식 추출물에서 다른 생식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보다 현저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도 9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태음인 A와 B의 경우,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투여했을 때 410 pg/㎖, 425 pg/㎖로 생식 추출물을 전혀 투여하지 않은 대조군 247 pg/㎖, 253 pg/㎖에 비해 약 60% 증가하였고, 태양인 생식 추출물과 소양인 생식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에는 평균 305 pg/㎖과 300 pg/㎖로 대조군에 비해 TNF-α의 분비량은 증가하였으나 태음인에 맞는 태음인 생식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에 비해 적은 분비량을 보였다. 도 10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소양인 A와 B의 경우도 태음인의 결과와 마찬가지로, 소양인 생식 추출물에서 390 pg/㎖와 405 pg/㎖로 대조군 240 pg/㎖, 255 pg/㎖보다 많은 양의 TNF-α분비능을 보여주었으며, 또한 태음인 생식 추출물 약 318 pg/㎖, 소음인 생식 추출물 약 315 pg/㎖에 비해 약 22%에서 약 28% 정도 TNF-α의 분비능이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NO의 생성능이 높았던 시료와 농도에서 TNF-α의 생성능이 높게 나타났으며, TNF-α가 대식세포의 NO 생성을 위한 자극제로 알려져 있으므로(Bendtzen, K. Immunol . Letters. 19, pp183-192, 1988), 생식 추출물에 의해 활성화된 대식세포가 분비한 TNF-α는 NO 생성을 위한 세포 내의 정보전달의 기능을 수행할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예 5. 급성독성실험
6 주령의 특정병원체부재(specific pathogen-free, SPF) SD계 랫트를 사용하여 급성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각 그룹 당 2마리씩의 동물에 본 발명의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100 ㎎/㎏의 용량으로 1회 경구투여 하였다. 실험 물질 투여 후 동물의 폐사여부, 임상증상 및 체중변화를 관찰하고 혈액학적 검사와 혈액생화학적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부검하여 육안으로 강장기와 흉강 장기의 이상여부를 관찰하였 다.
그 결과, 실험 물질을 투여한 모든 동물에서 특기할 만한 임상증상이나 폐사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혈액검사, 혈액생화학 검사 및 부검 소견 등에서도 독성변화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은 랫트에서 각각 100 ㎎/㎏까지도 독성변화를 나타내지 않았으며, 경구투여 최소치사량(LD50)은 100 ㎎/㎏이상인 안전한 물질로 판단되었다.
본 발명의 체질별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체질별 생식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체질별 생식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체질별 생식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체질별 생식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체질별 생식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체질별 생식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체질별 생식 추출물 100 ㎎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 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체질 생식 추출물은 면역 세포의 증식효과, 암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산화질소(Nitric Oxide) 생성효과, 항 바이러스능과 세포매개성 면역능을 갖는 TNF-α 생성 증가효과가 뛰어난바, 면역 증강을 위한 체질별 생식 약학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8)

  1. 쌀, 보리, 메밀, 백태, 황태, 바나나, 가지, 결명자, 녹두, 녹차잎, 다시마, 대추, 들깨, 땅콩, 미역, 멸치, 북어, 새우, 신선초, 아가리쿠스, 알로에, 양배추, 체리, 케일, 팥, 호박, 죽염, 포도당, 계피 및 코코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태양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쌀 0∼30, 보리 15∼19, 메밀 0∼10, 백태 10∼15, 황태 7∼15, 바나나 5∼10, 가지 0∼5, 결명자 0∼1, 녹두 0∼4, 녹차잎 0∼1, 다시마 0∼2, 대추 1∼1.6, 들깨 0∼5, 땅콩 0∼5, 미역 0∼2, 멸치 0∼1.5, 북어 1∼2, 새우 0∼1.5, 신선초 0∼5, 아가리쿠스 0∼0.5, 알로에 0∼1, 양배추 0∼5, 체리 0∼3, 케일 0∼2, 팥 0∼5, 호박 0∼5, 죽염 0.2∼0.3, 포도당 0∼10, 계피 0∼0.5, 코코아 0∼10 중량비(%)로 구성되는 생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태양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
  3. 쌀, 조, 현미, 옥수수, 수수, 율무, 감자, 당근, 목이버섯, 표고버섯, 두충잎, 마늘, 무우, 밤, 솔잎, 부추, 양파, 은행, 파, 잣, 흑태, 호두, 구기자, 누에, 녹각, 아가리쿠스, 코코아, 레몬, 계피, 포도당, 코코아 및 죽염 추출물을 유효성 분으로 함유하는 태음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쌀 0∼25, 조 5∼10, 현미 12∼20, 옥수수 12∼20, 수수 0∼10, 율무 0∼10, 감자 0∼5, 당근 5∼10, 목이버섯 0∼2, 표고버섯 2∼2.6, 두충잎 0∼3, 마늘 0∼1.1, 무우 0∼5, 밤 1∼5.6, 솔잎 0∼3, 부추 0∼1, 양파 1.6∼3, 은행 0∼1.2, 파 0∼2, 잣 0∼3, 흑태 0∼8, 호두 0∼1, 구기자 0∼1, 누에 0∼1.5, 녹각 0∼1, 아가리쿠스 0∼1, 코코아 0∼10, 레몬 0∼1.5, 계피 0∼0.5, 포도당 0∼10, 코코아 0∼10, 죽염 0.3 중량비(%)로 구성되는 생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태음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
  5. 보리, 쌀, 흑태, 녹두, 메밀, 통밀, 팥, 가지, 결명자, (늙은)호박, 다시마, 대추, 들깨, 더덕, 들깨잎, 땅콩, 미역, 멸치, 뽕잎, 양배추, 신선초, 아가리쿠스, 알로에, 강낭콩, 케일, 해바라기씨, 죽염, 코코아, 포도당, 계피, 체리 및 상황버섯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리 15∼23, 쌀 0∼25, 흑태 15∼20, 녹두 5∼10, 메밀 2∼8, 통밀 0∼12, 팥 0∼5, 가지 0∼5, 결명자 0∼1, (늙은)호박 0∼ 5, 다시마 1.6∼5, 대추 0∼1.5, 들깨 0∼3, 더덕 0∼1, 들깨잎 0∼3, 땅콩 0∼8, 미역 0∼1.8 멸치 0∼1.8, 뽕잎 0∼3 양배추 0∼5, 신선초 0∼2, 아가리쿠스 0∼0.5, 알로에 0∼1, 강낭콩 0∼5, 케일 1∼2, 해바라기씨 0∼4, 죽염 0.1∼0.2, 코코아 0∼10, 포도당 0∼10, 계피 0∼0.5, 체리 0∼3, 상황버섯 0∼0.5 중량비(%)로 구성되는 생식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양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
  7. 쌀, 수수, 조, 율무, 옥수수, 감자, 무우, 당근, 파, 마늘, 치커리, 두충잎, 쑥, 버섯, 파래, 계피, 밤, 은행, 산약, 호두, 레몬, 참깨, 코코아, 화분, 포도당 및 죽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음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쌀 18∼30, 수수 10∼20, 조 6∼12, 율무 6∼15, 옥수수 0∼20, 감자 3∼5, 무우 0∼3, 당근 0∼5, 파 1.1∼3.7, 마늘 0∼1, 치커리 0∼0.5, 두충잎 0∼2, 쑥 0∼3, 버섯 0∼1, 파래 0∼1, 계피 0∼0.5, 밤 0∼5, 은행 0∼1.1, 산약 0∼1, 호두 0∼2, 레몬 0∼2, 참깨 0∼4.6, 코코아 0∼10, 화분 0∼2, 포도당 0∼10, 죽염 0.3 중량비(%)로 구성되는 생식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음인의 면역 증강을 위한 약학조성물.
KR1020050065981A 2005-07-20 2005-07-20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KR1007484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81A KR100748440B1 (ko) 2005-07-20 2005-07-20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5981A KR100748440B1 (ko) 2005-07-20 2005-07-20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10963A true KR20070010963A (ko) 2007-01-24
KR100748440B1 KR100748440B1 (ko) 2007-08-10

Family

ID=38012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5981A KR100748440B1 (ko) 2005-07-20 2005-07-20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484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687A1 (en) * 2007-12-07 2009-06-11 Hankook Pharm. Co., Inc. 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trasplant rejection containing the phellinus linteus mycelli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443510B1 (ko) * 2013-03-25 2014-09-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9724416B2 (en) 2012-05-17 2017-08-08 Unique Medicare Co., Lt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s, photosensitizer irradiated with light and peptide, and method using same
KR101895158B1 (ko) * 2017-03-28 2018-09-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두충과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720B1 (ko) * 2002-05-09 2005-10-10 한국원자력연구소 유해활성산소 및 방사선에 의한 생체손상 억제효과와면역활성 증진효과를 갖는 프로폴리스 함유 복합조성물 및그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72687A1 (en) * 2007-12-07 2009-06-11 Hankook Pharm. Co., Inc. Composition for inhibition of trasplant rejection containing the phellinus linteus mycelli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US9724416B2 (en) 2012-05-17 2017-08-08 Unique Medicare Co., Ltd. Composition for improving 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as active ingredients, photosensitizer irradiated with light and peptide, and method using same
KR101443510B1 (ko) * 2013-03-25 2014-09-19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95158B1 (ko) * 2017-03-28 2018-09-04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두충과 누에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48440B1 (ko) 200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02423A1 (en) Remedies
KR101959986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WO2004100969A1 (ja) 治療剤
KR100748440B1 (ko)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JPWO2004112817A1 (ja) セリ科植物由来抽出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2315959B1 (ko) 새싹귀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0921909B1 (ko) 조혈모세포 증식을 갖는 더덕의 부탄올 분획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1018403B1 (ko) 콩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통풍 예방,지연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704123B1 (ko) 활성아민 함유 봉독의 분리 방법 및 그의 식품 조성물
KR20180042936A (ko) 치마버섯 분리 균사체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숙취해소 및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692889B1 (ko) 두메닥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70923B1 (ko) 블루베리 및 흑미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면역 증진용 조성물
KR10225213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력 증강용 조성물
KR100919134B1 (ko) 항비만 효능을 나타내는 저극성 진세노사이드를 고농도로 함유하는 인삼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80095581A (ko) 발효청국장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1370428B1 (ko) 기능성 한방 팽이버섯 음료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8083764A (ja) ハマアザミ抽出物を含有する免疫調節用組成物
KR20130071203A (ko) 변비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62893B1 (ko) 갈색거저리 또는 번데기를 이용하여 배양된 동충하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711397B1 (ko) 가시여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684574B1 (ko) 구척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암제 유도 조혈 독성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KR101832357B1 (ko) 콩나물 유래 면역증강용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53145A (ko) 방사무늬김의 펩신 처리물을 이용한 면역증진용 조성물
KR102531295B1 (ko) 곤드레 착즙액을 포함하는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면역기능 증진용 식품 조성물
KR101338532B1 (ko) 해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대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