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3510B1 -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3510B1
KR101443510B1 KR1020130031361A KR20130031361A KR101443510B1 KR 101443510 B1 KR101443510 B1 KR 101443510B1 KR 1020130031361 A KR1020130031361 A KR 1020130031361A KR 20130031361 A KR20130031361 A KR 20130031361A KR 101443510 B1 KR101443510 B1 KR 101443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luenza virus
virus infection
chicory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1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택중
박준수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31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3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3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lung or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ir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nc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커리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건강기능식품, 위생용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uenza virus infection diseases comprising extract of Cichorium intybus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치커리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건강기능식품, 위생용품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급성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는 전염성이 매우 강한 바이러스로 심각한 호흡기 증상을 유발하는 바이러스 중 하나이며, 매년 새로운 항원 변이주가 출현한다. 특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 최근까지 문제가 되고 있는 조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대변이가 일어나 닭, 칠면조, 오리 및 야생조류 등 여러 종류의 조류를 감염시키며 빠른 전파로 인해 닭이 감염되면 80% 이상이 폐사하므로 전 세계적으로 양계산업에 가장 큰 피해와 위협을 주는 바이러스 질환이다.
인플루엔자(influenza)는 주로 공기를 통해 호흡기로 전염되며, 15일간의 잠복기를 거쳐 열과 함께 심한 근육통이 생기는 등 전신증상을 일으킨다. 콧물이 나고 목구멍이 따가우며, 기도가 막히고 가래가 나오기도 하며, 특히 팔, 다리, 허리 등의 근육통과 소화불량과 같은 위장관 증상이 동반되는 질병이다. 또한, 후유증으로 경련, 혼수상태, 급성기관지염, 폐렴을 일으킨다.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르기 까지 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소믹소 계통(Family Orthomyxoviridae)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로서 매트릭스 단백질과 뉴클레오캡시드 단백질의 항원성에 따라 A형, B형, C형 바이러스로 분류된다. 그 중 B형과 C형은 사람에서만 감염이 확인되고 있으며, A형은 사람, 말, 돼지, 기타 포유류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가금과 야생조류에서 감염이 확인되고 있다. 이중 문제가 되는 것은 A형과 B형이다.
이들 바이러스 표면에는 당단백질인 적혈구 응집소(Hamagglutinin, HA)와 뉴라미니데이즈(Neuraminidase, NA)라는 두 종류의 표면 항원이 존재하고 내부에는 8개의 분절되어진 RNA가 존재한다. 헤마글루티닌(Hemagglutinin)은 머리와 줄기로 구성되어져 있는 트라이머(trimer) 형태이며 이중 머리 부분이 대부분의 항원변이와 관련되어 있으며 숙주세포의 표면에 있는 말단 시알산 잔기와 결합하여 바이러스를 부착시키고 순차적으로 바이러스가 숙주세포로 침투가 가능하게 한다.
인플루엔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한 급성 호흡기 감염증으로, 주기적으로 약간의 변형이 일어나 매년 늦가을에서 겨울, 전체 인구의 약 10% 이상이 감염되어 주로 노약자와 만성 질환자의 사망률이 증가하고 있고, 이 바이러스는 10~40년마다 큰 변화(항원 대변이)를 보여 대부분의 인류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바이러스로 변하고 대부분의 사람이 면역력을 가지지 못하여 바이러스의 사람과 사람 간에 전파가 이루어지면서 전체 인구의 20~50% 이상이 감염되고 치명률이 높은 대유행을 유발하고 있다.
동물로부터 유래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력을 가질 경우 막대한 피해를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통제는 동물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통제와도 직,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위와 같은 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치료제 및 백신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실제로 상용화되어 사람과 동물에게 적용되고 있다.
치료제로서는 아만타딘(amantadine)과 리만타딘(rimantadine), 자나미비르(zanamivir) 그리고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가 사용되고 있지만 내성균주의 출현, 구토와 현기증 등의 현재까지 개발되어진 항바이러스들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고 있으며, 그 응용에 대한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또한, 백신은 사독백신과 유전자재조합 백신으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변이가 쉽게 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특성상 과거에 분리된 균주로는 최근의 균주에 대한 방어능이 감소한다는 단점이 있고, 유행하는 바이러스의 형과 백신의 바이러스가 맞지 않으면 효과가 적으면 여러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감염 억제 효과가 뛰어나고 안정성이 우수한 새로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제제의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치커리(Cichorium intybus)는 쌍떡잎식물로 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식물이다. 뿌리는 다육질이고 길며, 줄기는 높이가 50~150 cm이고 단단하며 가지가 갈라지고 털이 있다. 뿌리에서 나온 잎은 아래쪽을 향하고 깃꼴로 갈라진다. 갈라진 조각은 밑 부분이 점차 좁아지고 날개와 같은 잎자루가 있으며, 끝에 달린 조각은 크고 옆에 달린 조각은 삼각형이다. 줄기에 달린 잎은 바소꼴의 달걀 모양 또는 바소꼴이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며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하늘색으로 피고 줄기 윗부분 잎겨드랑이와 줄기 끝에 설상화가 두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총포는 원기둥 모양이고 총포 조각은 2개로 갈라진다. 품종에 따라 흰색 또는 엷은 붉은 색의 꽃도 있다.
치커리는 간장 개선과 시력 회복에 효과가 알려져 있어, 치커리 섭취를 늘릴 경우 장내세균 중 유익한 세균으로 알려진 비피더스균(Bifidobacteria)과 락토바실러스균(Lactobacillus)의 균수가 크게 증가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치커리의 유효 화합물은 이눌린(inulin)을 섭취하면 사람의 대장 내 메탄가스의 생성량이 거의 없어지고 젖산과 같은 유기산의 생성량이 두 배정도 증가한다는 사실도 보고되어 있거, 치커리를 꾸준히 섭취하면 장내에서 콜레스테롤의 흡수가 50% 이상 감소하는 결과가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포도당의 섭취에 미치는 치커리 추출물의 영향을 조사한 결과 평균 혈당 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사용되는 총 당화헤모글로빈의 함량이 치커리 섭취구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 치커리를 섭취하면 포도당 흡수를 감소시켜 당뇨의 예방이나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밝혀졌다.
치커리는 오랜 역사동안 약초로써 사용되어 왔고 특별히 간과 소화기능 회복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보고 되어왔다. 치커리는 피를 맑게 하고 다른 약초와 함께 감정의 흥분 상태를 완화시켜주며 여러 질병에 효과적인 약초 치료제로써 널리 알려져 왔다. 신체내적으로 식욕상실, 황달, 담석증에 효과가 있으며 잎은 피부 체외적으로 염증과 종창 등에 쉽게 이용되고, 이뇨제로써 체내의 불필요한 수분의 배출을 촉진시켜 통풍과 류마티즘의 치료에 사용되기도 한다.
치커리의 뿌리와 잎은 현재 식욕촉진제, 담즙의 분비를 활발하게 하는 이담제, 체내의 독소와 노폐물을 없애주는 정화제, 그리고 소화제, 저혈당증 치료제, 배변을 도와주는 완하제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치커리는 바로 사용하거나 말려서 사용하며 의학적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고, 뿌리 추출물은 실험상으로 약한 맥박수(심장박동)를 가지게 만들어 심장 질환이나 이상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진다고 보고 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766,388호에는 가시오가피, 감초, 둥글레 및 치커리 혼합 추출물의 면역증강 및 항암활성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한국등록특허 414,389호에는 치커리 올리고당 시럽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치커리 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효과를 가진다는 내용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치커리 추출물이 인체에 안전하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다는 점을 확인함으로써, 치커리 추출물을 인플루엔자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인플루엔자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건강기능식품 및 위생용품의 주성분으로 활용될 수 있는바,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 식품, 건강기능식품, 위생용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커리 추출물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 사용함으로써, 인체에 대해 안전하고,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한 항바이러스제, 항바이러스 식품, 건강기능식품, 위생용품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기능을 증강시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증식을 효과적으로 억제 할 수 있고, 인플루엔자가 유행할 때 공기 중에 부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손 또는 자주 접촉하는 물건 등에 존재하는 바이러스를 제거 하거나 줄여 줌으로써 인플루엔자 감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건강기능식품 등으로 섭취하였을 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감염될 기회를 줄여 인플루엔자 감염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많은 도움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치커리 추출물 50 ㎍/mL을 처리한 후 혈구 응집 반응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비히클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온 교환 수지,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예, 사람 혈청 알부민), 완충 물질(예, 각종 인산염, 글리신, 소르브산,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 식물성 지방산의 부분적인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예, 프로타민 설페이트, 인산수소이나트륨, 인산수소칼륨, 염화나트륨 및 아연 염), 교질성 실리카, 마그네슘 트리실리케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즈계 기질, 폴리에틸렌 글리콜, 나트륨 카르복시메틸셀룰로즈, 폴리아릴레이트, 왁스 또는 양모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및 비히클을 포함하는 상기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의 여러 가지 제형일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즈(Sucrose)또는 락토오스(Lactose), 탄산칼슘,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피복정, 캡슐제,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즙,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주사제, 동결건조제제 및 좌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치커리는 치커리의 꽃, 잎, 가지, 뿌리, 줄기, 종실 및 껍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 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치커리로는 치커리의 뿌리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치커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에탄올,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치커리 추출물은 치커리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천연물 추출물로부터 분리된 성분 또는 이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기 때문에 거의 독성을 가지지 않으며, 인체에 무해하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A형, B형 또는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한 질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독감, 신종플루,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일 수 있으며, 특히 현재 전 세계적으로 파급효과를 주고 있는 조류독감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 치커리 추출물은 총 조성물 중량의 0.001 내지 10 wt%이고, 상세하게는 0.01 내지 5 wt%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0.1 내지 1 wt%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가진 개체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을 예방하려는 개체에게 0.001 내지 500 mg/kg의 양, 구체적으로 0.01 내지 300 mg/kg의 양, 보다 구체적으로 0.1 내지 200 mg/kg의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목적, 질환의 종류, 질환의 중증도,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 성분 및 다른 성분의 종류 및 함량, 제형의 종류 및 환자의 연령, 체중, 일반 건강 상태, 성별 및 식이,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조성물의 분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치커리는 치커리의 꽃, 잎, 가지, 뿌리, 줄기, 종실 및 껍질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구체적으로 상기 치커리로는 치커리의 뿌리를 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치커리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에탄올,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양태에서, 상기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치커리 추출물은 치커리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일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A형, B형 또는 C형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한 질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독감, 신종플루,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또는 폐렴일 수 있으며, 특히 현재 전 세계적으로 파급효과를 주고 있는 조류독감일 수 있다.
상기 식품은 음료수, 육류, 초코렛, 과자, 피자. 라면, 면류, 껌, 아이스크림,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유제품, 주스, 환, 과립, 차용 티백 및 스틱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이 모두 포함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보조 첨가제는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 등과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솔비톨, 에르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목적으로 치커리 추출물을 식품, 음료 등의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에 첨가할 수 있으며, 치커리 추출물을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에 사용 시 조성물 총 중량의 0.001 내지 10 wt%, 상세하게는 0.01 내지 5 wt%, 더욱 상세하게는 0.1 내지 1 wt%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치커리 추출물의 혼합양은 사용목적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안전성 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유효성분은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치커리 추출물을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및 건강기능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본 발명은 치커리(Cichorium intybus)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위생용품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위생용품 조성물에는 구강 세정제, 피부 세정제, 주방용품 세정제를 포함한다.
치커리 추출물을 치약, 타블렛, 액상 등의 제형으로 제조한 구강 세정제 조성물, 손세정제, 핸드솝, 비누, 전신세정제 등의 피부 세정제 조성물, 식기나 싱크대, 도마 등을 세정하기 위한 주방용품 세정제 조성물과 같은 위생용품에 유효성분으로 첨가하면, 각각의 위생용품 본래의 기능 외에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하기 실험예 및 제조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이로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실시예 1] 치커리 추출물의 제조
치커리는 농촌진흥청(Rural Dvelopment Administration, RDA)의 우수농산물관리제도(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에 의해 재배되었으며, 2009년 충청북도 음성(GPS: E 128° 62´ N 36° 56´)에서 수확되었다. 시료의 추출은 다음과 같이 추출하였다. 치커리 뿌리 시료 50 g에 99% 에탄올 150 mL을 첨가하여 150 rpm으로 48시간 동안 반응하여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여 동결건조 한 분말을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혈구 응집 반응 실험
96 웰 플레이트 각각의 웰에 CMF-PBS (calcium magnesium free-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2) 50 ㎕를 넣어준 후 처음 웰에 50 ㎕의 바이러스를 첨가 하고,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50 ㎕를 옮겨 희석시켜 주었다. 그 다음, 오셀타미비르(Oseltamivir)와 치커리 추출물을 50 ㎍/mL의 농도로 각각 첨가한 후, 각 웰 마다 0.5% v/v의 적혈구 50 ㎕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30~60분 후 혈구 응집 반응을 관찰 하였다.
그 결과,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커리 뿌리 추출물의 경우 다른 실험군에 비하여 혈구 응집가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로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항바이러스제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제조예 1. 산제의 제조
Figure 112013025443332-pat00001

상기 성분들을 분말화하여 혼합한 후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2. 정제의 제조
Figure 112013025443332-pat00002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이를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3. 캅셀제의 제조
Figure 112013025443332-pat00003

통상의 캅셀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캅셀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4. 과립제의 제조
Figure 112013025443332-pat00004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30% 에탄올 100 mL를 첨가하여 60℃에서 건조시켜 과립을 형성한 후 포에 충진하여 과립제를 제조한다.
제조예 5. 환제의 제조
Figure 112013025443332-pat00005

상기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환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조예 6. 액제의 제조
Figure 112013025443332-pat00006

통상의 액제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상기 성분을 용해시키고, 적절한 향을 가한 다음 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제조한다.
제제예 7. 건강 기능 식품의 제조
치커리 뿌리 추출물 2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 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 1인산칼륨 15 ㎎, 제 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을 혼합하여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제예 8. 건강 음료의 제조
치커리 뿌리 추출물 2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 적량을 혼합하여 통상의 건강 음료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조예 9. 스프 및 육즙(gravies)의 제조
본 발명의 치커리 추출물 10 mL을 스프 및 육즙 100 mL에 첨가하여 건강 증진용 육가공제품, 면류의 수프 및 육즙을 제조한다.
제조예 10. 유제품(dairy products)의 제조
본 발명의 치커리 추출물 10 mL을 우유 100 mL에 첨가하고, 상기 우유를 이용하여 버터 및 아이스크림과 같은 다양한 유제품을 제조한다.
제조예 11. 선식의 제조
현미, 보리, 찹쌀, 율무를 건조시킨 것을 배전한 후 분쇄기로 입고 60 메쉬의 분말로 분말화 하였다. 검은콩, 검정깨, 들깨도 공지의 방법으로 쪄서 건조시킨 것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의 분말로 분말화 하였다.
본 발명의 치커리 추출물 10 mL을 진공 농축기에서 감압, 농축하고, 분무, 동결건조기로 건조하여 얻은 건조물을 분쇄기로 입도 60 메쉬로 분쇄하여 건조분말을 얻는다. 상기에서 제조한 곡물류, 치커리 추출물을 다음과 같은 비율로 배합하여 제조한다.
곡물류(현미 30 g, 율무 15g, 보리 20g), 종실류(들깨 7g, 검정콩 8g, 검은깨 7g), 치커리 추출물의 건조분말(3 g), 영지(0.5 g)
제조예 12. 탄산음료의 제조
설탕 5 g, 구연산 0.05 g, 카라멜 0.005 g, 비타민 C 0.1 g, 치커리 추출물 5 mL의 첨가물을 혼합하고 여기에 79 mL 정제수를 섞어서 시럽을 만들고, 상기 시럽을 85에서 100초간 살균하여 냉각수와 1:4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탄산가스를 0.5 중량%를 주입하여 본 발명의 치커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산음료를 제조한다.
제조예 13. 과일 주스의 제조
본 발명의 치커리 추출물 10 mL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900 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 주스를 제조한다.
제조예 14. 과자의 제조
본 발명의 치커리 추출물 10 mL을 버터 5 g, 우유 10 mL를 밀가루 100 g에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이용하여 쿠키, 크래커 및 스낵류를 제조하여 과자 식품을 제조한다.
제조예 15. 차용 티백 제조
볶음공정을 거친 치커리 70중량%에 볶음공정을 거친 녹차를 30중량% 혼합하고, 입자의 크기가 1 내지 2 mm가 되도록 분쇄기를 통하여 분말화하며, 분쇄한 혼합 원료들을 다시 혼합 교반기에 넣어 10분 이상 충분히 혼합한, 상기 공정에서 혼합 분쇄된 원료를 15 내지 25 g씩 티백 포장용 호퍼에 넣고 밀봉 처리하여 본 발명의 치커리 티백을 완성한다.
제조예 16. 구강 세정제
과산화물 10 중량%, 발포제 20 중량%, pH 조정제 2 중량%, 기포제 15 중량%, 결합제 8 중량%, 활택제 12 중량%, 향미제 10 중량%, 용매 10 중량%, 및 치커리 추출물 13 중량%을 혼합하여 통상의 구강 세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조예 17. 주방 세정제
치커리 추출물 5 중량%, 자몽씨 추출오일 1중량%, 음이온(알킬에테르설페이트 A) 5중량%, 음이온(알킬벤젠설포네이트 LAS) 10 중량%, 비이온(아민사이드, AO) 3 중량%, 양쪽성이론(알킬아마이드프로필베타인, Betaine) 2 중량%, 색소 소량, 향료 1 중량%을 혼합 한 후 증류수 잔량으로 혼합하여 통상의 주방 세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제조예 18. 피부 세정제
치커리 추출물 5 중량%, 아실글리산칼륨염 15 중량%, 멀티톨히드록시지방족에테르 0.1 중량%, 글리세린 5 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 중량%, 시트르산 적당량, 방부제 적당량, 물 잔여를 혼합하여 통상의 피부 세정제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한다.

Claims (20)

  1. 치커리(Cichorium intybus)의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치커리의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에탄올,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독감, 신종플루,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및 조류독감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 중 치커리의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은 총 조성물 중량의 0.001 내지 50 wt%의 양으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치커리(Cichorium intybus)의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치커리의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함수에탄올, 함수부틸렌글리콜, 함수프로필렌글리콜,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은 메탄올 또는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
  14.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은 독감, 신종플루, 감기, 인후염, 기관지염, 폐렴 및 조류독감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
  15.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 중 치커리의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은 전체 식품 조성물 중량의 0.001 내지 1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
  16.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은 음료수, 육류, 초코렛, 과자, 피자. 라면, 면류, 껌, 아이스크림, 비타민 복합제, 알코올 음료, 유제품, 주스, 환, 과립, 차용 티백 및 스틱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
  17. 치커리(Cichorium intybus)의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건강기능식품.
  18. 치커리(Cichorium intybus)의 뿌리 또는 줄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위생용품.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위생용품은 구강 세정제, 피부 세정제 및 주방용품 세정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위생용품.
  20. 치커리(Cichorium intybus)의 뿌리 또는 줄기를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로 추출하고, 원심분리하여 고형분을 제거하는 단계; 및
    농축, 동결건조 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31361A 2013-03-25 2013-03-25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3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61A KR101443510B1 (ko) 2013-03-25 2013-03-25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1361A KR101443510B1 (ko) 2013-03-25 2013-03-25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3510B1 true KR101443510B1 (ko) 2014-09-19

Family

ID=5176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1361A KR101443510B1 (ko) 2013-03-25 2013-03-25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35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8984A1 (en) * 2021-04-12 2022-10-20 Universiteit Gent Extracts of belgian endive forced roots
CN116392448A (zh) * 2023-04-17 2023-07-07 黄石燕舞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小儿咳喘的泡腾颗粒及其制备方法
KR20240045546A (ko) 2022-09-30 2024-04-08 (주)예스킨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22B1 (ko) * 2004-02-18 2006-11-23 주식회사 바이오텍 아이 감기 예방용 조성물
KR20070010963A (ko) * 2005-07-20 2007-01-24 오덕환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7722B1 (ko) * 2004-02-18 2006-11-23 주식회사 바이오텍 아이 감기 예방용 조성물
KR20070010963A (ko) * 2005-07-20 2007-01-24 오덕환 면역 증진 효과를 갖는 체질 생식 추출물을 함유하는약학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18984A1 (en) * 2021-04-12 2022-10-20 Universiteit Gent Extracts of belgian endive forced roots
KR20240045546A (ko) 2022-09-30 2024-04-08 (주)예스킨 항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CN116392448A (zh) * 2023-04-17 2023-07-07 黄石燕舞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小儿咳喘的泡腾颗粒及其制备方法
CN116392448B (zh) * 2023-04-17 2024-01-16 黄石燕舞药业有限公司 一种用于小儿咳喘的泡腾颗粒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27032B2 (ja) 黒参抽出物を含む抗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組成物、呼吸器疾患治療用組成物及び抗老化組成物
KR101164515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139376B1 (ko)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및 이를 함유하는 감염 억제용품 및 음식물
US20220313764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INCLUDING Elaeocarpus sylvestris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JPWO2006137122A1 (ja) 抗エイズ剤
KR101612051B1 (ko) 단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271601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유래 질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34616B1 (ko) 낙지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1045031B1 (ko) 꾸지뽕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443510B1 (ko) 치커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52126B1 (ko) 국화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369690B1 (ko) 올괴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코로나바이러스용 조성물
JP5409439B2 (ja) コウゾ抽出物を含む免疫機能強化用組成物
KR101039110B1 (ko) 닥나무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기능 강화용 조성물
KR101680013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7170962A1 (ja) 抗ウイルス剤及び抗ウイルス用食品
KR20110086473A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3cl 프로테아제 활성의 억제용 조성물
JP6541047B1 (ja) 経口組成物
KR101520428B1 (ko) 대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인플루엔자용 조성물
KR100891488B1 (ko) 톱풀의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b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30094553A (ko) 진저레논 에이를 포함하는 암 예방용 식품 조성물, 암 치료용 약학조성물 및 암 치료용 동물용 의약품
US20220054566A1 (en) Antiviral composition having antiviral activity against coronavirus and variant viruses thereof
EP4151226A1 (en) Coronavirus therapeutic agent comprising zanthoxylum piperitum leaf extract as active ingredient
KR101662459B1 (ko) 자단향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알레르기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705760B1 (ko)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