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9511A -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9511A
KR20070009511A KR1020060134051A KR20060134051A KR20070009511A KR 20070009511 A KR20070009511 A KR 20070009511A KR 1020060134051 A KR1020060134051 A KR 1020060134051A KR 20060134051 A KR20060134051 A KR 20060134051A KR 20070009511 A KR20070009511 A KR 20070009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l
portable telephone
key
urls
c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4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847B1 (ko
Inventor
준지 이시가키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91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5065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534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917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53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0054921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243146A/ja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9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9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67Methods of retrieving data
    • H04M1/2747Scrolling on a disp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4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Internet browse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1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controlled by voice reco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74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with voice recognition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Abstract

휴대용 전화기는 전원키(12)의 조작에 의해 대기 상태로 놓인다. 그리고 나서,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가 눌러지고 나서 잠시 후, 아이워프 호출이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되도록 음성키(11)가 조작된다. 비프음이 들린 다음, 아이워프 음성 호출 준비가 완료된 것을 지시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나서, URL의 음성 호출이 실시된다. 이 경우, URL 이름이거나 음성으로 아이워프 이름을 등록할 때 사용자에 의해 실질적으로 말해진 이름인 "아이워프 이름"이 첨부되어, 음성으로 "아이워프 이름"을 입력하는 것만으로 URL은 호출될 수 있다.
휴대폰, 인터넷, URL, 액세스, 음성

Description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Portable telephone and method of accessing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URL us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휴대용 전화기를 실시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도.
도 3은 도 1의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부에 대기 상태로 표시된 아이콘 화면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에 URL을 아이워프 등록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아이워프 등록된 URL의 음성 호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에 URL을 아이워프 등록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아이워프 등록된 URL들 중 전 번에 마 지막으로 화면에 표시된 URL을 호출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에 URL을 아이워프 등록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아이워프 등록된 URL을 호출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메모리(26)에 제공된 URL 이력 저장 영역의 내용을 도시한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URL 이력에 근거하여 인터넷 홈페이지에 액세스하고 새로운 URL에 대한 이력을 저장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안테나 2 : 착신/충전 램프
3 : 수화기 4 : 액정 표시기
5 : 좌측 소프트키 6 : 통화 개시 버튼
7 : 텐-키 8 : 워프키
9 : 송화기 10 : 외부 접속 단자
11 : 음성/매너키 12 : 전원/종료/응답보류키
13 : 우측 소프트키 14 : 네비게이션 키
15 : 이어폰/마이크로폰 단자 16 : 적외선 포트
18 : 무선 통신부 20 : 제어부
22 : 텐-키 조작부 24 : 기능키 조작부
28 : 적외선 입출력부
본 발명은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면, 아이모드(i-mode))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의 유알엘(URL;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음성 호출 방법 및 이 호출 방법을 채택한 휴대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간단한 키 조작으로 URL을 음성으로 호출할 수 있는 음성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을 간단한 키 조작으로 호출할 수 있는 URL의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특히, 간단한 키 조작으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URL의 호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전 번까지 휴대용 전화기가 인터넷에 호출 액세스(access)한 다수의 URL들의 액세스 이력이 표시됨으로써, 간단한 방법으로 이력을 가지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액세스하도록 이력을 가지는 URL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는 디지털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온라인 데이터 서비스의 조작 모드를 의미하며, 센터에 등록된 사이트(프로그램) 액세스 서비스, 인터넷 액세스 서비스, 메시지 서비스, 및 전자 메일(예를 들면, 아이모드 메일)이 이 모드에서 이용 가능하다.
통상적으로,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면, 아이모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는 브라우저(정보 액세스 소프트웨어)를 가짐으로써, 희망하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URL에서 인터넷 홈페이지에 액세스한다.
통상적으로,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면, 아이모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두 가지의 URL 액세스 방법이 있다: 즉, 한 방법은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 화면(예를 들면, 아이모드 메인 화면)을 호출하여 "인터넷"을 선택하고, 네비게이션 키의 결정 키로 선택을 결정하고 나서, URL을 입력하는 방법이며; 다른 방법은 아이모드 메인 화면을 호출하여 "북마크"를 선택하고, 네비게이션 키의 결정 키로 선택을 결정하고 나서, "북마크"에 등록된 URL을 호출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URL에 액세스하는 통상의 방법들은, URL이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었더라도 매번 URL을 입력하거나 "북마크"에 등록된 URL을 호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이 방법들은 사용자에게 친화적이지 않다는 문제점을 가지 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되었으며, 그 목적은 간단한 키 조작으로 URL을 음성으로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음성 호출 방법 및 이 음성 호출 방법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키 조작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 및 이 호출 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한 키 조작으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 및 이 호출 방법을 채용한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면에 표시된 이력에서 다수의 URL들 중에서 하나의 URL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방법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 및 이 액세스 방법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브라우저를 통해 URL 정보에 도달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음성 호출 방법으로,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중인 동안 브라우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음성 입력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음성으로 URL을 호출하기 위한 준비 상태에 놓여지고, 음성으로 URL을 호출할 때 호출된 URL이 등록된 URL과 일치하는지 동시 판단이 수행되며, 이것들이 일치하면 URL 의 음성 호출이 수행되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음성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URL의 음성 호출은 간단한 조작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브라우저 기능키는 휴대용 전화기를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워핑시키기 위한 워프키(warp key)인 휴대용 전화기의 URL 음성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URL의 음성 호출이 간단한 조작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술된 바와 같은 URL의 음성 호출 방법을 채용하여 음성 입력으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URL을 음성으로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URL 정보에 도달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으로,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중인 동안, 브라우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특정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었던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브라우저 기능키는 휴대용 전화기를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워핑시키기 위한 워프키인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특정키가 텐-키 "0"인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상술한 URL 호출 방법을 채용하여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었던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을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URL 정보에 도달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으로,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중인 동안 브라우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등록 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브라우저 기능키가 휴대용 전화기를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워핑시키기 위한 워프키인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URL 정보에 도달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으로,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중인 동안 URL들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브라우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URL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스크롤링 조작을 통하여 URL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등록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은 스크롤링 조작을 통해서도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상술한 URL 호출 방법을 채용하여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을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비음성 정보 통신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인터넷의 조작 모드가 개시될 때 전 번에 호출되었던 인터넷에 대한 다수의 URL들의 이력이 화면에 표시되고, 이 이력으로부터 URL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이력에 있는 URL에서 인터넷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이력으로부터 URL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인터넷에 간단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동일한 URL에 대해 중복되지 않으면서 인터넷 액세스 호출을 위한 둘 이상의 URL들의 이력이 이력 저장 메모리의 허용 용량 내에서 표시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둘 이상의 아이템들이 이력 저장 메모리 영역의 허용 용량 내에서 이력에 남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는 이력에 없는 새로운 URL이 호출될 때, 새로운 URL은 새로운 URL에 액세스하도록 URL 입력란에 입력되고 또한 이력에 남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새로운 URL이 이력에 남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화기는 다음 번부터 이 인터넷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 다.
본 발명의 제 15 양태는 URL 이력 저장 메모리 영역이 새로운 URL을 저장하기에 너무 부족하면 새로운 URL은 옛 이력에 덮어써지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다음 번부터 이 인터넷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양태는 상술된 바와 같은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을 채택하여 이력을 가진 인터넷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용이한 액세스 조작을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는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예를 들어, 아이모드) 기능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는 안테나(1), 착신/충전 램프(2), 수화기(3), 액정 표시기(4), 전화번호부 버튼으로 기능하는 좌측 소프트키(5), 통화 개시 버튼(6), 텐-키 또는 다이얼 키(7), 등록된 URL에 액세스하기 위한 워프키(8; 점프키), 송화기(9), 외부 접속 단자(10), 음성/매너키(11), 전원/종료/응답보류키(12), 재통화/삭제 버튼으로 기능하는 우측 소프트키(13), 표시기에 표시된 내용을 상하좌우로 스크롤하고 중앙 버튼을 누르는 것에 의해 스크롤된 표시 내용을 선택하는 스크롤 기능을 가지는 네비게이션 키(14), 이어폰/마이크로폰 단자(15), 및 적외선 포트(16)를 포함한 다.
도 2는 상술된 구성으로 휴대용 전화기를 구현하기 위한 회로의 블록도이다. 도 2에 있어서, 휴대용 전화기는 무선통신부(18)의 수신부를 통하여 안테나(1)에서 전파를 수신하며, 수신된 정보는 제어부(20)으로 전송된다. 제어부(20)는 전화번호와 같은 수신 정보를 액정 표시기(4)에 표시한다. 또한, 제어부(20)는 수신된 정보를 음성 정보로 변환하고, 수신부의 스피커(수화기; 3)에서 음성으로 출력한다. 송화기(마이크로폰; 9)는 사용자의 음성을 받아들여 제어부(20)으로 보내고, 무선 통신부(18)의 송신부(미도시) 및 안테나(1)을 통해 통화 상대에게 음성을 무선 전송한다.
제어부(20)는 통화 중 저장될 음성 내용과 같은 음성 정보, 또는 메모리(26)에서 읽혀질 저장된 정보를 제어한다. 텐-키 조작부(22)는 텐-키(7)의 조작에 의해 제어부(20)로 다이얼 신호를 입력하며, 텐-키 이외의 키를 위한 기능키 조작부(24)는 기능키,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키(14)의 조작을 제어부(20)로 입력한다. 또한, 적외선 입출력부(28)는 적외선 포트(16)를 통하여 적외선 신호를 입력하거나 출력한다. 회로 블록은 도 1의 하우징에 수용된다.
도 3은 상술된 구성을 가지는 휴대용 전화기의 표기기에 대기 상태로 표시된 아이콘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 십자형의 아이콘 화면이 나타나 있으고, 상측으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아이모드 메일 아이콘, 전화번호부 아이콘, 화면 아이콘, 및 중앙의 메뉴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으며, 현재 어떤 아이콘 화면이 선택되었는지 명백하도록 선택된 아이콘 화면은 확대되어 표시된다.
(실시예 1)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0)는 송화기(마이크로폰; 9)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정보를 인식하여 인식된 음성 정보를 메모리(26)에 등록된 아이워프 이름(즉, 등록된 사이트)과 대조하고, 그것들이 일치하면 아이워프 이름과 일치하는 URL이 읽혀져 희망하는 URL에 자동으로 액세스되도록 도시되지 않은 음성 인식 수단을 가진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용 전화기는 전원키(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대기 상태로 놓인다. 그리고 나서,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를 지시하는 화면이 보이기 때문에, 브라우저 기능키(워프키; 8)가 조작되고, 잠시 후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전화기가 아이워프 호출 가능한 화면으로 천이될 수 있도록 음성키(11)가 조작된다.
비프음이 들린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워프 음성 호출 준비를 지시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그리고 나서, URL의 음성 호출이 실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URL 이름이거나 음성으로 아이워프 이름을 등록할 때 사용자가 실질적으로 말하는 이름인 "아이워프 이름"이 첨부되어, 아이워프 등록된 URL은 음성으로 "아이워프 이름"을 입력하는 것에 의해서만 호출될 수 있다. 여기서, "아이워프 이름"이 "고속도로"라는 이름으로 음성으로 등록되었다고 가정할 때, "고속도로"가 음성으로 입력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목"과 "URL"을 가지는 화면이 표시된다.
도 4d의 화면 표시에 있어서, "제목" 또는 "URL"은 희망하는 아이워프가 음성으로 호출되었는지 확인하도록 참조된다. 등록된 아이워프가 확인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목"과 "URL"을 가지는 화면이 표시되고 나서 대략 2초 후에 희망하는 URL에 액세스된다. 이어서, 화면은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5는 음성으로 아이워프 이름에 URL을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이다. 대기 상태에서, 아이워프 등록된 이름들의 현재 내용들이 표시되도록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 텐-키 "4", 및 텐-키 "4"를 차례로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워프 등록된 이름들의 목록"이 나타난다.
초기 상태에서 등록 번호들 1 내지 9에 가공의 이름들이 등록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등록하기 원하는 등록 번호, 예를 들면 #4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다. 그리고 나서, 등록 번호 #4에 대응하는 "동경 지역의 고속도로 상황"과 같은 URL 제목이 문자로 입력되고, 또한 음성 호출로 말해진 이름, 즉 "아이워프 이름"이 문자로 입력된다. 여기서,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워프 이름"은 "고속도로"이므로, "고속도로"라는 문자가 입력된다. 이러한 입력이 정확하면, 네비게이션 키(14)의 결정키는 아이워프 이름을 결정하도록 눌러진다. 그리고 나서, 아이워프 이름의 등록이 완료된 것을 알리도록 도 5e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된다. 등록된 아이워프 이름과 제목은 메모리(26)에 테이블 형태로 저장된다.
도 6은 아이워프 등록된 URL의 음성 호출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있어서, 아이워프 등록된 URL을 음성 호출하도록, 전원키(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먼저 대기 상태로 놓인다(S61).
그리고 나서,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를 누르고 나서 음성키(11)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아이워프 호출 가능한 화면이 확인된다(S62). 다음으로, 전자음에 의해 아이워프 음성 호출 준비가 완료되었음이 확인된다(S63).
"아이워프 이름"은 음성으로 입력된다(S64). 그리고 나서, 입력된 "아이워프" 이름이 등록된 아이워프 이름과 일치하는지 판단된다(S65). 이 경우에 있어서, 음성으로 입력된 "아이워프 이름"은 음성 인식 수단(미도시)에 의해 인식되어 문자로 입력되어 등록된 아이워프 이름과 일치하는지 판단된다.
음성으로 입력된 "아이워프 이름"이 등록된 아이워프 이름과 일치하는 경우, 등록된 아이워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아이워프 등록된 "제목"과 "URL"이 화면에 표시된다(S66). 그리고 나서, 희망하는 URL로의 액세스가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S67).
(실시예 2)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에 도시된 제어부(20)는, URL 정보가 브라우저를 통해 액세스될 때, 액세스된 마지막 URL이 메모리(26)에 저장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URL 정보의 액세스가 종료되고 나면,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이 재호출될 수 있도록 URL은 여전히 저장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의 천이를 도시한다. 이 실시예의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용 전화기는 전원키(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대기 상태로 놓인다. 그러면, 도 7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를 지시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이하, URL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URL을 아이워프 등록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은 URL을 아이워프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콘 화면에서, "아이모드 메인" 아이콘이 호출된다. 또한, "아이모드 메인" 화면이 선택되고 나서 "아이메뉴"(미도시)가 선택되는 것에 의해, 좌측 소프트키(5)를 조작함으로써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메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아이워프 등록"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템인 "아이워프 등록"은 반전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워프 등록"의 현재 내용이 반전되어 표시된다. 초기 상태에서 등록 번호 #1 내지 #9에 가공의 이름들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등록을 원하는 등록 번호, 예를 들면 #4는 텐-키로 등록 번호를 입력하거나 네비게이션 키(14)로 스크롤링하는 것에 의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다. 그리고 나서, 등록 번호 #4에 대응하여 "동경 지역의 고속도로 상황"과 같이 문자로 URL 제목이 입력되고, 또한, 이어서 URL이 문자로 입력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목과 URL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번호 #4에 등록된다.
도 8d의 제목이 너무 길기 때문에 제목의 일부분이 절단되었다. 긴 제목을 완전하게 볼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 키(14)의 우측 스크롤키가 전체 제목을 읽기 위하여 조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등록 번호 #4에서의 아이워프 등록을 결정하도록 네비게이션 키의 결정키가 눌러진다.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상태인 동안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워프 입력 화면이 나타난다. 여기서, 사용자가 특정키로서 텐-키 "0"을 입력하면,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었던 URL이 표시되고 이 URL에 대한 액세스가 이루어진다.
도 9는 아이워프 등록된 URL들 중에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었던 URL을 호출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의 조작을 시작하기 전에, 휴대용 전화기는 전원키(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대기 상태로 우선 놓인다(S161). 그런 다음,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가 눌러졌는지 판단된다(S162).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가 눌러졌으면, 특정키로서의 텐-키 "0"이 눌러진다(S163).
만약 이 특정키가 눌러지면,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었던 URL이 호출되고 이 URL로의 액세스가 이루어진다(S164). S162에서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가 눌러진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휴대용 전화기는 대기 상태로 유지되거나 눌러지는 다른키의 지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S165).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을 호출하기 위한 특정키로서 텐-키 "0"이 채택되었다. 그러나, 다른 어떤 키도 특정키로 채택될 수 있다.
(실시예 3)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면, URL은 등록 번호에 대응하는 메모리(26)에 저장되어 있다. 그리고, 휴대용 전화기 가 대기 중인 동안, 기능키 조작부(24)의 브라우저 기능키인 워프키(8)을 누르고 등록 번호를 누르는 것에 의해 제어부(20)는 호출될 입력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URL을 제어한다. 또한, 적외선 입출력부(28)는 적외선 포트(16)를 통하여 적외선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한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천이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전화기에 있어서, 휴대용 전화기는 전원키(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대기 상태로 놓인다. 그러면,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 상태를 지시하는 화면이 나타난다.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워프 입력 화면이 나타난다. "1" 내지 "9" 중 어떤 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텐-키에 대한 등록 번호 "1" 내지 "9"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이 호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간단한 조작으로 URL 액세스가 가능하도록 URL은 반드시 아이워프 등록되어야 하며, 이하 이를 설명한다
도 11은 URL을 아이워프 등록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천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콘 화면에서, "아이모드 메인" 아이콘이 호출된다. 또한, "아이모드 메인" 화면이 선택되고 나서 "아이메뉴"(미도시)가 선택되는 것에 의해, 좌측 소프트키(5)를 조작함으로써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메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스크롤키를 이용하여 "아이워프 등록"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템인 "아이워프 등록"은 반전되어 표시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워프 등록"의 현재 내용 이 반전되어 표시된다. 초기 상태에서 등록 번호 #1 내지 #9에 가공의 이름들이 등록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등록을 원하는 등록 번호, 예를 들면 #4는 텐-키로 등록 번호를 입력하거나 네비게이션 키(14)로 스크롤링하는 것에 의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다. 그리고 나서, 등록 번호 #4에 대응하여 "동경 지역의 고속도로 상황"과 같이 문자로 UIRL 제목이 입력되고, 또한, 이어서 URL이 문자로 입력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제목과 URL은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록 번호 #4에 등록된다.
도 11d의 제목이 너무 길기 때문에, 제목의 일부분이 절단되었다. 긴 제목을 완전하게 볼 수 있도록, 네비게이션 키(14)의 우측 스크롤키가 전체 제목을 읽기 위하여 조작될 수도 있다. 그리고, 등록 번호 #4에서의 아이워프 등록을 결정하도록 네비게이션 키의 결정키가 눌러진다.
도 12는 아이워프 등록된 URL을 호출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에 있어서, 휴대용 전화기는 우선 전원키(12)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대기 상태로 놓이다(S261). 그런 다음,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가 눌러졌는지 검출된다(S262).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가 눌러졌으면, URL들의 목록이 표시된다(S263). 그리고 나서, 등록 번호가 입력되거나 스크롤링에 의해 목록 내의 URL 위치가 선택된다(S264).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 또는 스크롤링에 의해 선택된 위치가 URL에 액세스되도록 호출된다(S265). S262에서 브라우저 기능키(8; 워프키)가 눌러진 것이 검출되지 않으면, 휴대용 전화기는 대기 상태로 유지되거나 눌러지는 다른키 의 지시에 따른 처리를 수행한다(S266).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URL은 1 내지 9까지의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URL은 99나 999와 같이 더 많은 자릿수를 가지는 다른 등록 번호에 등록될 수도 있다.
(실시예 4)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4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26)는 휴대용 전화기가 인터넷에 호출 액세스했던 URL들의 이력을 저장한다. 제어부(20)는 인터넷의 조작 모드가 개시될 때, 전 번에 호출되었던 다수의 URL들을 읽어서 그것들을 표시기(4)에 표시한다. 텐-키 조작부(22) 또는 기능키 조작부(24)에 의해 이력 내의 URL이 선택되면, 휴대용 전화기는 선택된 URL에서 인터넷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휴대용 전화기의 표시 화면 천이를 도시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아이콘 화면에 있어서, "아이모드 메인" 아이콘이 호출된다. 그리고, "아이모드 메인" 화면이 선택되고 나서 "아이메뉴"(미도시)가 선택되는 것에 의해, 좌측 소프트키(5)를 조작함으로써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서브메뉴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반전되어 표시된 "인터넷"을 선택한다.
그러면, 이력을 저장하는 메모리(26)의 내용이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도 13b의 예에 있어서, 이미 두 개의 아이템들이 이력에 있다. 희망하는 URL이 이 두 아이템들로 구성된 이력에 없으면, 새로운 URL이 입력되어야 한다. <URL 입력>이 선택되는 경우, 새로운 URL이 입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대 10개의 아이템들이 이력에 남아있을 수 있다.
한편, 이력에 있는 두 개의 아이템들에 대하여, 희망하는 URL이 존재하면, 네비게이션 키(14)로 희망하는 URL을 선택하는 것만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관심있는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다.
도 13b에 있어서, 새로운 URL을 위한 입력란은 URL들의 이력에서 최상측 위치에 세팅되지만, 물론 최하측 위치에 세팅될 수도 있다.
도 14는 메모리(26)에 제공된 URL 이력 저장 영역의 저장 내용을 도시하는 테이블이다. 도 14에 있어서, URL 이력 저장 영역은 URL과 호출 날짜 및 시간을 1부터 10까지의 번호가 매겨진 위치들에 저장할 수 있다. 이력 저장 영역이 새로운 URL을 입력하기에 너무 부족하면, 새로운 URL은 옛 이력에 덮어써진다. 그러므로, 휴대용 전화기는 URL들의 이력에 근거하여 이전에 비해 훨씬 용이하게 인터넷 홈페이지에 액세스될 수 있다.
도 15는 저장된 URL들의 이력에 근거하여 인터넷 홈페이지에 액세스하는 조작 및 새로운 URL에 대한 이력을 저장하는 조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에 있어서, URL 이력 저장 영역의 메모리 내용은 URL 이력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것에 의해 마지막으로 액세스된 순서대로 재정렬되고, 독출되며 화면에 표시된다(S361). 그리고 나서, 희망하는 URL이 화면에 표시된 이력에 존재하는지 결정된다(S362).
희망하는 URL이 존재하면, 표시된 URL을 지정하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 는 인터넷 홈페이지에 자동적으로 액세스된다(S363). 희망하는 URL이 존재하지 않으면, 화면에 표시된 <URL 입력>줄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새로운 URL이 입력된다(S364). 그리고, 새로운 URL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력 저장 영역으로 입력되고, 영역이 부족하면 새로운 URL은 옛 이력에 덮어써진다(S365).
이러한 방법으로, 이력 저장 메모리이 허용 용량 내에서 둘 이상의 아이템들이 이력에 남아있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화기는 URL 이력에 근거하여 이전에 비하여 훨씬 용이하게 인터넷 홈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브라우저를 통해 URL 정보에 도달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음성 호출 방법으로,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중인 동안 브라우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음성 입력키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음성으로 URL을 호출하기 위한 준비 상태에 놓여지고, 음성으로 URL을 호출할 때 호출된 URL이 등록된 URL과 일치하는지 동시 판단이 수행되며, 이것들이 일치하면 URL의 음성 호출이 수행되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음성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URL의 음성 호출은 간단한 조작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브라우저 기능키는 휴대용 전화기를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워핑시키기 위한 워프키인 휴대용 전화기의 URL 음성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URL의 음성 호출이 간단한 조작으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는 상술된 바와 같은 URL의 음성 호출 방법을 채용하여 음성 입력으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URL을 음성으로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URL 정보에 도달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으로,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중인 동안, 브라우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특정 키를 누르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었던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는 브라우저 기능키는 휴대용 전화기를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워핑시키기 위한 워프키인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는 특정키가 텐-키 "0"인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는 상술한 URL 호출 방법을 채용하여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되었던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전 번에 마지막으로 단말기 화면에 표시된 URL을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URL 정보에 도달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으로,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중인 동안 브라우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등록 번호를 입력하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는 브라우저 기능키가 휴대용 전화기를 비음성 정보 통신 모드로 워핑시키기 위한 워프키인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은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는 브라우저를 통하여 URL 정보에 도달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으로, 휴대용 전화기가 대기 중인 동안 URL들의 목록이 표시되도록 브라우저 기능키를 누르고 나서 URL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스크롤링 조작을 통하여 URL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휴대용 전화기는 등록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URL 호출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은 스크롤링 조작을 통해서도 호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는 상술한 URL 호출 방법을 채용하여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을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등록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URL을 간단한 조작으로 호출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는 비음성 정보 통신을 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으로, 인터넷에 액세스하도록 인터넷의 조작 모드가 개시될 때 전 번에 호출되었던 인터넷에 대한 다수의 URL들의 이력이 화면에 표시되고, 이 이 력으로부터 URL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상기 휴대용 전화기는 이력에 있는 URL에서 인터넷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이력으로부터 URL을 선택하는 것에 의해 인터넷에 간단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 양태는 동일한 URL에 대해 중복되지 않으면서 인터넷 액세스 호출을 위한 둘 이상의 URL들의 이력이 이력 저장 메모리의 허용 용량 내에서 표시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둘 이상의 아이템들이 이력 저장 메모리 영역의 허용 용량 내에서 이력에 남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 양태는 이력에 없는 새로운 URL이 호출될 때, 새로운 URL은 새로운 URL에 액세스하도록 URL 입력란에 입력되고 또한 이력에 남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새로운 URL이 이력에 남을 수 있기 때문에 휴대용 전화기는 다음 번부터 이 인터넷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5 양태는 URL 이력 저장 메모리 영역이 새로운 URL을 저장하기에 너무 부족하면 새로운 URL은 옛 이력에 덮어써지는 휴대용 전화기의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휴대용 전화기는 다음 번부터 이 인터넷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6 양태는 상술된 바와 같은 홈페이지 액세스 방법을 채택하여 이력을 가진 인터넷의 홈페이지에 액세스할 수 있는 휴대용 전화기이다. 이러한 구 성으로, 용이한 액세스 조작을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할 수 있는 있는 휴대용 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9)

  1.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하여 인터넷 상의 URL과 대응되는 정보에 엑세스하는 방법으로서,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인터넷 상에 엑세스되는 다수의 URL을 저장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URL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다수의 표시된 URL로부터 하나의 URL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선택된 URL과 대응되는 정보에 엑세스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URL 정보 엑세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다수의 URL을 엑세스 순서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URL 정보 엑세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각각의 URL이 한번만 저장이 되도록 상기 다수의 URL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URL의 저장을 방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URL 정보 엑세스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URL의 최대 수는 상기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를 이용한 URL 정보 엑세스 방법.
  5. 인터넷에 엑세스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상기 인터넷 상에 엑세스된 다수의 URL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URL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다수의 URL로부터 하나의 URL을 선택하기 위한 조작부; 및
    상기 무선 통신부를 통하여 선택된 URL과 대응되는 정보에 엑세스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화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다수의 URL을 엑세스 순서대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각각의 URL이 한번만 저장이 되도록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수의 URL이 아닌 하나의 URL을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는 URL의 최대 수는 상기 메모리의 용량에 따라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9.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번호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화기.
KR1020060134051A 2000-02-29 2006-12-26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KR100773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54915A JP2001245065A (ja) 2000-02-29 2000-02-29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音声呼出方法及び該音声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JP-P-2000-00054917 2000-02-29
JPJP-P-2000-00054916 2000-02-29
JP2000054916A JP2001245349A (ja) 2000-02-29 2000-02-29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呼出方法及び該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JP-P-2000-00054921 2000-02-29
JP2000054917A JP2001245350A (ja) 2000-02-29 2000-02-29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呼出方法及び該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0054921A JP2001243146A (ja) 2000-02-29 2000-02-29 携帯電話機におけるホームページ接続方法及び該接続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JP-P-2000-00054915 2000-02-29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492A Division KR100713655B1 (ko) 2000-02-29 2001-02-28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9511A true KR20070009511A (ko) 2007-01-18
KR100773847B1 KR100773847B1 (ko) 2007-11-06

Family

ID=2748108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492A KR100713655B1 (ko) 2000-02-29 2001-02-28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KR1020060134050A KR100728355B1 (ko) 2000-02-29 2006-12-26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KR1020060134051A KR100773847B1 (ko) 2000-02-29 2006-12-26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0492A KR100713655B1 (ko) 2000-02-29 2001-02-28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KR1020060134050A KR100728355B1 (ko) 2000-02-29 2006-12-26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010017855A1 (ko)
EP (3) EP1494435A3 (ko)
KR (3) KR100713655B1 (ko)
CN (1) CN1240239C (ko)
AU (1) AU780265B2 (ko)
DE (1) DE6011680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67553B2 (en) * 2001-06-19 2014-03-04 Opentv, Inc. Automated input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system
US7469153B2 (en) * 2001-08-30 2008-12-23 Nokia Corporation Mobile telecommunications device browser
US7110790B2 (en) * 2001-10-03 2006-09-19 Nokia Corporation Quick access list for previously accessed network addresses
US7570943B2 (en) 2002-08-29 2009-08-04 Nok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xt sensitive recommendations to digital services
US7158779B2 (en) * 2003-11-11 2007-01-02 Microsoft Corporation Sequential multimodal input
FI20031923A0 (fi) 2003-12-30 2003-12-30 Nokia Corp Päätelaite, menetelmä ja tietokoneohjelma merkkijonon valitsemiseksi
KR101035134B1 (ko) * 2008-05-02 2011-05-19 (주)혁진팩 과일 재배용 봉투
KR101970644B1 (ko) 2017-11-22 2019-08-13 주식회사 하이로닉 경피 전달 촉진을 위한 복합 시술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23966B (en) * 1978-06-22 1982-05-06 Gen Electric Co Ltd Telephone subscriber's apparatus
JPH07141168A (ja) * 1993-11-19 1995-06-02 Hitachi Ltd 階層仕様情報作成方法
US5812776A (en) * 1995-06-07 1998-09-22 Open Market, Inc. Method of providing internet pages by mapping telephone number provided by client to URL and returning the same in a redirect command by server
US6466783B2 (en) * 1995-12-11 2002-10-15 Openwave Systems Inc. Visual interface to mobile subscriber account services
US5953392A (en) * 1996-03-01 1999-09-14 Netphonic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phonically accessing and navigating the internet
JP3934174B2 (ja) * 1996-04-30 2007-06-20 株式会社エクシング 中継サーバ
US5854630A (en) * 1996-07-01 1998-12-29 Sun Microsystems, Inc. Prospective view for web backtrack
US5761436A (en) * 1996-07-01 1998-06-02 Sun Micro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truncated hyperlinks to form a hyperlink aggregate
US6061738A (en) * 1997-06-27 2000-05-09 D&I Systems, Inc. Method and system for accessing information on a network using message aliasing functions having shadow callback functions
US5819220A (en) * 1996-09-30 1998-10-06 Hewlett-Packard Company Web triggered word set boosting for speech interfaces to the world wide web
US5890172A (en) * 1996-10-08 1999-03-30 Tenretni Dynam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trieving data from a network using location identifiers
US6049812A (en) * 1996-11-18 2000-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Browser and plural active URL manager for network computers
GB2322511B (en) * 1997-02-21 2001-08-15 Nokia Mobile Phones Ltd Handling of a local phone number database
US5895471A (en) * 1997-07-11 1999-04-20 Unwired Planet, Inc. Providing a directory of frequently used hyperlinks on a remote server
US6560634B1 (en) * 1997-08-15 2003-05-06 Verisign, Inc. Method of determining unavailability of an internet domain name
US5974481A (en) * 1997-09-15 1999-10-26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Method for estimating the probability of collisions of fingerprints
JP3300262B2 (ja) * 1997-09-22 2002-07-08 富士通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移動端末
JPH11161402A (ja) * 1997-11-26 1999-06-18 Sony Corp 携帯情報端末およびその情報スクロール方法
JP3141833B2 (ja) * 1997-12-18 2001-03-07 日本電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アクセスシステム
US6195679B1 (en) * 1998-01-06 2001-02-27 Netscape Communications Corporation Browsing session recording playback and editing system for generating user defined paths and allowing users to mark the priority of items in the paths
US6032162A (en) * 1998-01-08 2000-02-29 Burke; Alexander James System for processing and storing internet bookmark address links
US6173316B1 (en) * 1998-04-08 2001-01-09 Geoworks Corpora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markup language based man-machine interface
US6212522B1 (en) * 1998-05-15 2001-04-0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earching and conditionally serving bookmark sets based on keywords
US6721288B1 (en) * 1998-09-16 2004-04-13 Openwave Systems Inc. Wireless mobile devices having improved operation during network unavailability
JP3704533B2 (ja) * 1998-11-10 2005-10-12 株式会社東芝 通信方法、携帯端末装置及び計算機装置
JP3157788B2 (ja) * 1998-11-12 2001-04-1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型情報端末
US6344851B1 (en) * 1998-11-30 2002-02-05 Northern Telecom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website overview
DE19856357A1 (de) * 1998-12-07 2000-06-29 Michael Kraewing Verfahren zur Reduzierung der Inhalte von Webseiten und deren Aufbereitung für Bildtelefone und Mobilgeräte mit Sprachbedienung
US6549878B1 (en) * 1998-12-31 2003-04-15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editing a spreadsheet via an improved editing and cell selection model
US6434403B1 (en) * 1999-02-19 2002-08-13 Bodycom, Inc. Personal digital assistant with wireless telephone
US6601061B1 (en) * 1999-06-18 2003-07-29 Surfwax, Inc. Scalable information search and retrieval including use of special purpose searching resources
US6662224B1 (en) * 1999-09-24 2003-12-0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providing alternative displays for networked devices
US6791586B2 (en) * 1999-10-20 2004-09-14 Avaya Technology Corp. Dynamically autoconfigured feature browser for a communication terminal
US6778841B1 (en) * 1999-12-17 2004-08-17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easy input identification
US7516190B2 (en) * 2000-02-04 2009-04-07 Parus Holdings, Inc. Personal voice-based information retrieval system
US20010034746A1 (en) * 2000-02-26 2001-10-25 Alex Tsakiris Methods and systems for creating user-defined personal web car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7242A (ko) 2007-01-15
KR20010085732A (ko) 2001-09-07
AU780265B2 (en) 2005-03-10
KR100773847B1 (ko) 2007-11-06
EP1130883A2 (en) 2001-09-05
EP1494436A3 (en) 2005-01-19
AU2325201A (en) 2001-08-30
CN1240239C (zh) 2006-02-01
EP1494436A2 (en) 2005-01-05
KR100713655B1 (ko) 2007-05-02
EP1494435A3 (en) 2005-01-19
DE60116807T2 (de) 2006-07-20
KR100728355B1 (ko) 2007-06-13
EP1130883B1 (en) 2006-01-25
CN1314768A (zh) 2001-09-26
US20010017855A1 (en) 2001-08-30
EP1130883A3 (en) 2004-01-21
DE60116807D1 (de) 2006-04-13
EP1494435A2 (en)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9834B1 (ko) 북마크 소트 기능을 가지는 휴대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북마크 리스트 표시 방법
KR100773847B1 (ko) 휴대용 전화기 및 이를 이용한 유알엘 정보 엑세스 방법
KR100771944B1 (ko) 휴대 전화기용 전자 메일 취급 방법 및 이 취급 방법을이용하는 휴대 전화기
KR100771943B1 (ko) 휴대용 전화기의 화면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용전화기
KR100487229B1 (ko) 이동 무선단말기에서 메시지를 송신할 때 그 수신처를지정하는 장치 및 방법
JP4180617B2 (ja) 移動通信端末機及び移動通信端末機におけるデータ処理方法
JP2001245351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スクロールモード変更方法及び該スクロール変更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EP1610533B1 (en) Method for performing functions associated with a phone number in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JP2001245037A (ja) 携帯電話機
KR10079376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 다이얼링을 이용한 전자메일전송방법
JP2003298719A (ja) 通信端末装置
JP2001243146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ホームページ接続方法及び該接続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10069199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를 이용한 전화번호 선택방법
JP2001197101A (ja) 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1245350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呼出方法及び該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1245349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呼出方法及び該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JP2001245065A (ja) 携帯電話機におけるurlの音声呼出方法及び該音声呼出方法を用いた携帯電話機
KR20040090737A (ko)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 네비게이션 키를 이용한 사칙연산수행 장치 및 방법
KR20050061962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수신자 이름을 이용한 문자 메시지전송 방법
JP2000354273A (ja) 絵情報表示機能付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