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8547A - 블렌더용 블레이드 - Google Patents

블렌더용 블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8547A
KR20070008547A KR1020067014498A KR20067014498A KR20070008547A KR 20070008547 A KR20070008547 A KR 20070008547A KR 1020067014498 A KR1020067014498 A KR 1020067014498A KR 20067014498 A KR20067014498 A KR 20067014498A KR 20070008547 A KR20070008547 A KR 20070008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wing
blender
flap
body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4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32926B1 (ko
Inventor
조나단 카츠
데이비드 콜라
리차드 부저
마이클 안톤
Original Assignee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비타-믹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070008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8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9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9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A47J43/0705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 A47J43/0711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for machines with tools driven from the upper side mixing, whipping or cutt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 B01F27/1123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with arms, paddles, vanes or blades sickle-shaped, i.e. curved in at least one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7Parts or details, e.g. mixing tools, whipp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od-Manufacturing Device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서, 블렌더용 블레이드는 상면 및 저면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이 본체부는 사실상 블렌더용 블레이드의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구멍을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 날개가 본체부로부터 연장하며 상면 및 저면을 구비한다. 제2 블레이드 날개가 본체부로부터 연장하며 상면 및 저면을 구비한다.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선단 에지 및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선단 에지는 블렌더용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동안 가공 물질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날개 및 제2 블레이드 날개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날개 플랩이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연장한다.

Description

블렌더용 블레이드{BLENDER BLADE}
본 발명은 블렌더(blender) 또는 음식물 처리 장치에 사용하는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블렌더 피처(pitcher) 내에 제공된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날개 플랩(wing flap)을 갖는 블렌더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날개 플랩의 선택적 배향이 상향 축방향 흐름 및 하향 축방향 흐름을 제공할 수 있는 블렌더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블렌더용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의 본체로부터 반대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블레이드 날개를 갖고 있다. 2개의 블레이드 날개에는 각각 그 선단 에지를 따라 절삭면이 마련되어 있다. 블렌더의 작동 중에, 블렌더는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절삭면은 블렌더 내에 제공된 가공 물질을 절단하게 된다. 대게, 블레이드 날개는 블레이드 날개에 받음각(angle of attack)을 제공하도록 블레이드 본체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블레이드 날개의 받음각을 변경함으로써,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제어하게 된다.
블레이드 본체에 대해 블레이드 날개가 소정 각도로 경사지는 것의 영향을 이해하기 위해, 비행기 날개에 대한 받음각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비행기 날개의 경우, 받음각은 비행기 날개의 코드 라인(chord line)에 대해 결정된다. 코드 라인은 비행기 날개의 선단 에지에서 후미 에지까지 그은 선이며, 받음각은 코드 라인과 수평면 간에 형성된 각도이다. 비행기 날개의 받음각이 변화함에 따라, 비행기 날개에 발생하는 "양력(lift)"도 달라진다.
예를 들면, 비행기 날개가 양의 받음각을 갖는 경우, 유동 매체는 비행기 날개의 저면에 충돌한다. 결과적으로, 그러한 받음각에 의해 저면은 비행기 날개로부터 멀어지게 유동 매체를 편향시키게 된다. 그 편향의 크기는 비행기 날개의 배향에 관련이 있다. 즉, 큰 받음각을 갖고 있는 경우에 더 크게 편향될 것이며, 작은 받음각을 갖는 경우 보다 적게 편향될 것이다. 그러한 편향은 비행기 날개의 상면 부근에 저압을 생성한다. 예를 들면, 저면은 비행기 날개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유동 매체를 밀게 되고, 이에 의해 비행기 날개의 상면 부근에는 유동 매체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유동 매체가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해, 상면 부근에 저압이 생성되며, 이러한 저압은 전술한 양력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보다 큰 받음각은 상면 부근에 보다 낮은 저압을 생성하여 보다 큰 양력을 발생시키며, 보다 낮은 받음각은 상면 부근에 보다 덜 낮은 저압을 생성하여 보다 약한 양력을 발생시킨다.
전술한 비행기 날개의 받음각에 의해 생성된 양력은 블레이드 날개의 받음각에 의해 생성된 축방향 흐름과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비행기 날개와는 달리, 블레이드 날개의 받음각은 그 종방향 길이를 따른 블레이드 날개(그 선단 에지에 대해)의 전방 또는 후방 "비틀림"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비틀림은 얼마나 많은 가공 물질이 블레이드 날개의 상면 또는 저면과 충돌하게 되는가를 결정한다. 그러한 가공 물질의 충돌이 없는 경우, 받음각은 사실상 0도일 것이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 날개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비틀림은 없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경우, 가공 물질은 블레이드 날개와 충돌하지 않을 것이며, 그러한 블레이드 날개의 받음각은 사실상 0도일 것이다.
필요로 하는 받음각을 생성하도록, 블레이드 날개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비틀린다. 블레이드 날개가 전방으로 비틀린 경우, 가공 물질은 상면과 충돌하고, 블레이드 날개가 후방으로 비틀린 경우, 가공 물질은 저면과 충돌한다. 비틀림의 크기는 충돌의 크기 및 축방향 흐름의 크기를 결정하는 한편, (선단 에지에 대한 전후 방향으로의) 비틀림 방향은 축방향 흐름의 방향을 결정한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 날개가 그 선단 에지에 대해 전방으로 비틀린 경우, 가공 물질은 블레이드 날개의 상면과 충돌하고 저압은 저면 부근에 생성될 것이며, 이에 의해 가공 물질은 블레이드 날개의 위에서 아래로 빨아 당겨질 것이다. 한편, 블레이드 날개가 그 선단 에지에 대해 후방으로 비틀린 경우, 가공 물질은 저면과 충돌하고 저압은 상면 부근에 생성될 것이며, 이에 의해 가공 물질은 블레이드 날개의 아래에서 위로 빨아 당겨질 것이다. 어떤 식으로든, 가공 물질은 블레이드 날개의 커팅 패턴(cutting pattern)을 통과해 빨아 당겨질 것이다.
블레이드 날개는 가공 물질의 필요한 흐름을 생성하도록 비틀려야 하기 때문에, 블레이드 날개의 선단 에지의 배향에 의해 정해지는 커팅 패턴은 실질적으로 원추대(frusto-conical) 형상이다. 실제로, 부착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 날개의 임의의 비틀림이 실질적으로 원추대형 커팅 패턴을 형성한다. 그러나, 이상적인 커팅 패턴은 실질적으로 평면 성분을 갖고 있다. 따라서, 블레이드 날개의 받음각에 무관하게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그 크기 및 방향 모두)을 제어할 필요가 있다. 그러한 독립적인 제어는 커팅 패턴이 유효 충격 벡터를 생성하도록 실질적으로 평면 성분을 갖게 하며, 두 블레이드 날개 모두에 소정 받음각을 제공할 필요성을 회피할 수 있게 해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혼합되는 물질의 보다 효율적인 혼합을 제공하는 구성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렌더 피처 내에 제공된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전술한 바와 같은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블레이드 날개의 받음각에 무관하게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방향을 제어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날개 플랩을 갖는 전술한 바와 같은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의 방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날개 플랩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배향될 수 있는 전술한 바와 같은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전술한 목적 및 기타 목적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기존의 종래 기술의 형태에 대한 본 발명의 이점은, 이하에 설명되고 청구 범위에 기재된 개선점에 의해 달성된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구성된 블렌더용 블레이드는 상면 및 저면을 갖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이 본체부는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위한 회전 축선을 사실상 형성하는 구멍을 포함한다. 제1 블레이드 날개가 본체부로부터 연장하며 상면과 저면을 구비한다. 제2 블레이드 날개가 본체부로부터 연장하며 상면과 저면을 구비한다. 제1 블레이드 날개에 선단 에지가 마련되고, 또 제2 블레이드 날개에 선단 에지가 마련되며, 이들 선단 에지는 블렌더용 블레이드의 회전 중에 가공 물질을 절단하게 된다. 제1 블레이드 날개 및 제2 블레이드 날개로부터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날개 플랩이 외측으로 연장한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는 첨부 도면에 예로서 도시되어 있고, 이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모든 변형예 및 수정예를 나타내려고 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블렌더용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블렌더용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실시예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실시예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블렌더용 블레이드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실시예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실시예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정면에서 본 정면도이다.
도 12는 도 9의 실시예의 블렌더용 블레이드를 측면에서 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블렌더용 블레이드가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0으로 표기되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10)는 구멍(13)을 갖는 본체부(12)를 포함하며, 그 구멍(13)은 블레이드(10)가 고정되게 부착되는 블렌더 샤프트(도시 생략)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다. 블렌더 샤프트는 블렌더 피처(도시 생략) 내부에서 블레이드(10)의 운동을 구동하도록 회전한다. 이에 따라, 구멍(13) 및 블레이드 샤프트는 블레이드(10)의 회전 축선을 형성한다. 본체부(12)는 또한 상면(15) 및 저면(16)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0)는 블렌더 피처 내에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2)로부터 외측으로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가 연장한다.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는 각각 상면(23, 24) 및 저면(25, 26)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는 본체부(12)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블레이드 날개(21)는 본체부(12)와 동일 수평면을 공유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본체부(12) 및 제1 블레이드 날개(21)는 균일하게 연결되어 있고, 이들의 상면 및 하면들 간에 매끈한 천이부가 존재한다.
제2 블레이드 날개(22)는 제1 블레이드 날개(21)와는 달리 본체부(12) 및 제1 블레이드 날개(21)가 공유하는 수평면에 대해 예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다시 말해, 제1 블레이드 날개(21)의 상면(24)은 본체부(12)에 대해 둔각으로 배향되어 있고, 저면(26)은 본체부(12)에 대해 반사 관계(reflexively)로 배향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의 말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제1 날개 팁(31) 및 제2 날개 팁(32)이 각각 연장한다. 날개 팁(31, 32)은 각각 상면(33, 34) 및 저면(35, 36)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33, 34)은 각각 상면(23, 24)에 대해 둔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날개(21)와 제1 날개 팁(31) 간의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와 제2 날개 팁(32) 간의 각도 관계는 블레이드(10)의 커팅 패턴의 치수를 증가시킨다.
블레이드(10)의 커팅 패턴은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 각각의 선단 에지(41, 42)에 의해, 그리고 제1 날개 팁(31) 및 제2 날개 팁(32) 각각의 선단 에지(43, 44)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선단 에지는 제1 블레이 드 날개(21), 제2 블레이드 날개(22), 제1 날개 팁(31) 및 제2 날개 팁(32)을 각각 비스듬히 자름으로써 예리하게 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에지(41, 43)는 블레이드(10)의 한쪽 측부를 따라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그 측부를 따른 절삭의 책임을 분담한다. 게다가, 선단 에지(42, 44)는 블레이드(10)의 다른 쪽 측부를 따라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그 측부를 따른 절삭의 책임을 분담한다. 그러므로, 블레이드(10)가 그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단 에지(41, 43) 및 선단 에지(42, 44)는 블렌더 피처 내에 제공된 가공 물질을 절단하게 된다.
제1 블레이드 날개(21)와 제2 블레이드 날개(22)가 본체부(12)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향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0)는 2가지의 커팅 패턴을 갖는다. 제1 커팅 패턴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으로서, 제1 블레이드 날개(21)의 선단 에지(41) 및 제1 날개 팁(31)의 선단 에지(43)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커팅 패턴은 실질적으로 원추대형으로서, 제2 블레이드 날개(22)의 선단 에지(42) 및 제2 날개 팁(32)의 선단 에지(44)에 의해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날개 플랩(51) 및 제2 날개 플랩(52)이 각각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 각각의 후미 에지(47, 48)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날개 플랩(51, 52)은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의 받음각에 무관하게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에 대한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제어하기 위해 제공된다. 예를 들면, 날개 플랩(51, 52)은 상면(23, 24) 및 저면(25, 26)의 유효 캠버(chamber)를 각각 증가시키 기 위해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날개 플랩(51, 52)의 추가로 얻어진 유효 캠버의 증가로 인해, 날개 플랩(51, 52)에 의해 저압이 생성된다. 날개 플랩(51, 52)에 의해 생성된 저압은 가공 물질의 축방향 운동을 강제시킨다. 날개 플랩(51, 52)은 각각 상면(53, 54) 및 저면(55, 56)을 포함하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날개 플랩(51, 52)은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즉, 이들의 저면(55, 56)은 저면(25, 26)에 대해 둔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블레이드(10)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10) 아래에서 유동하는 가공 물질이 하향으로 경사진 날개 플랩(51, 52)과 충돌한다. 이에 따라, 날개 플랩(51, 52)(도 1 내지 도 4 참고)의 저면(55, 56)은 가공물질을 블레이드(10)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킨다. 이러한 편향은 날개 플랩(51 52)이 가공 물질에 부딪히게 될 뿐만 아니라, 날개 플랩(51, 5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가공 물질을 밀어, 상면(53, 54) 부근에 저압을 생성한다.
하향으로 경사진 날개 플랩(51, 52)에 의해 생성된 저압은 가공 물질을 상면(53, 54)으로 빨아 당기게 된다. 게다가, 상면(53)은 선단 에지(41, 43)보다 아래에 있고, 상면(54)은 선단 에지(42, 44)보다 아래에 있기 때문에, 가공 물질은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을 통해 아래쪽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에 따라, 날개 플랩(51, 52)의 하향 경사각과 이에 의해 야기된 축방향 운동은 블레이드(10)의 절삭 능력을 향상시킨다.
날개 플랩(51, 52)이 상향으로 경사진 경우, 반대의 결과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10)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10) 위에서 유동하는 가공 물질이 상향으로 경사진 날개 플랩(51, 52)과 충돌한다. 이에 따라, 날개 플랩(51, 52)의 상면(53, 54)은 가공 물질을 날개 플랩(51, 5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시킨다. 이와 같이 가공 물질을 편향시키는 과정 중에, 날개 플랩(51, 52)은 가공 물질에 부딪히게 되고, 저면(55, 56) 부근에 저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저압은 가공 물질을 저면(55, 56)으로 빨아 당기게 된다. 저면(55)은 선단 에지(41, 43)보다 위에 있고, 저면(56)은 선단 에지(42, 44)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가공 물질은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을 통해 위쪽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에 따라, 날개 플랩(51, 52)의 상향 경사각과 이에 의해 야기된 축방향 운동은 블레이드(10)의 절삭 능력을 향상시킨다.
날개 플랩(51, 52)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더라도,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을 가로질러 흐르는 가공 물질의 양은 날개 플랩(51, 52)의 경사를 크게 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날개 플랩(51, 52)의 상향 및 하향 경사각은 가공 물질을 제1 커팅 패턴을 통해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빨아 당기게 된다. 게다가, 블레이드 날개(21)(받음각이 0도)를 고려할 때에,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의 크기 및 방향은 제1 블레이드 날개(21)의 받음각에 무관하게 날개 플랩(51)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것 외에도, 날개 플랩(51, 52)의 배향은 또한 블레이드(10)의 회전 축선에 대한 가공 물질의 반경 방향 흐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날개 플랩 (51, 52)은 선단 에지(41, 42) 각각에 대해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는 블레이드 날개(21, 22)가 본체부(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후미 에지(47, 48)는 날개 플랩(51, 52)이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0)가 회전함에 따라 날개 플랩(51, 5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되는 가공 물질은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 각각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지게 된다.
날개 플랩(51, 52)이 선단 에지(41, 42) 각각에 대해 외측으로 경사진 경우, 반대의 결과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는 블레이드 날개(21, 22)가 본체부(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경우, 후미 에지(47, 48)는 날개 플랩(51, 52)이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소정 각도를 이룬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0)가 회전함에 따라 날개 플랩(51, 5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되는 가공 물질은 제1 블레이드 날개(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22) 각각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축방향 흐름 및 반경 방향 흐름 모두가 날개 플랩(51, 52)의 배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게다가, 하향으로 경사진 경우, 날개 플랩(51, 52)은 또한 블레이드(10) 아래의 가공 물질을 몰아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가공 물질은 몰아내진 후에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의 작용을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블렌더용 블레이드가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60으로 표기되어,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60)는 본체부 (62) 및 구멍(63)을 포함한다. 본체부(62)는 상면(65) 및 저면(66)을 포함한다. 구멍(63)은 블레이드(10)의 구멍(13)과 마찬가지로, 블렌더 샤프트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어, 블레이드(60)가 블렌더 샤프트에 고정되게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블렌더 샤프트는 블렌더 피처 내부의 블레이드(60)의 운동을 구동하도록 회전하며, 결과적으로 구멍(63) 및 블렌더 샤프트는 블레이드(60)의 회전 축선을 형성한다.
블레이드(60)는 블레이드 피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체부(62)로부터 외측으로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가 연장한다.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는 각각 상면(73, 74) 및 저면(75, 76)을 구비한다.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는 본체부(62)의 반대측에서 서로 거울상을 형성하고 있다. 게다가,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는 본체부(62)와 동일 수평면을 공유한다. 결과적으로, 본체부(62),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는 균일하게 연결되어 있어, 이들의 상면 및 저면들 간에 매끄러운 천이부가 존재한다.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 각각의 말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제1 날개 팁(81) 및 제2 날개 팁(82)이 연장한다. 제1 날개 팁(81) 및 제2 날개 팁(82)은 각각 상면(83, 84) 및 저면(85, 86)을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83, 84)은 상면(73, 74)에 대해 둔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날개(71)와 제1 날개 팁(81) 간의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와 제2 날개 팁(82) 간의 각도 관계는 블레이드(60)의 커팅 패턴의 치수를 증가시킨다.
블레이드(60)의 커팅 패턴은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 각각의 선단 에지(92, 92)에 의해, 그리고 제1 날개 팁(81) 및 제2 날개 팁(82) 각각의 선단 에지(93, 94)에 의해 형성된다. 각각의 선단 에지는 제1 블레이드 날개(71), 제2 블레이드 날개(72), 제1 날개 팁(81) 및 제2 날개 팁(82)을 각각 비스듬히 자름으로써 예리하게 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에지(91, 93)는 블레이드(60)의 한쪽 측부를 따라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그 측부를 따른 절삭의 책임을 분담한다. 게다가, 선단 에지(92, 94)는 블레이드(60)의 다른 쪽 측부를 따라 형성되어, 블레이드의 그 측부를 따른 절삭의 책임을 분담한다. 그러므로, 블레이드(60)가 그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선단 에지(91, 93) 및 선단 에지(92, 94)는 블렌더 피처 내에 제공된 가공 물질을 절단하게 된다.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는 본체부(62)와 동일한 수평면을 공유하기 때문에, 선단 에지(91, 93) 및 선단 에지(92, 94)는 수평면 내에서 정렬되고, 블레이드(60)는 실질적으로 평면형의 하나의 커팅 패턴을 갖게 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날개 플랩(101) 및 제2 날개 플랩(102)이 선단 에지(91, 92) 각각의 반대측에서 블레이드(6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고 있다. 날개 플랩(101, 102)은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의 받음각에 무관하게 커팅 패턴에 대한 가공 물질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제공되고, 본체부(62), 제1 블레이드 날개(71) 또는 제2 블레이드 날개(72) 상에 마련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날개 플랩(101)은 후미 에지(97) 부근에서 본체부(6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며, 제2 날개 플랩(102)은 후미 에지(98) 부근에서 본체부(6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한다.
날개 플랩(101, 102)은 상면(65), 저면(66), 상면(73, 74) 및 저면(75, 76)의 유효 캠버를 증가시키도록 (그들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하향 또는 상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날개 플랩(101, 102)의 추가에 의해 얻어진 유효 캠버의 증가로 인해, 날개 플랩(101, 102)에 의해 저압이 생성된다. 날개 플랩(101, 102)에 의해 생성된 저압은 가공 물질의 축방향 운동을 강제한다.
날개 플랩(101, 102)은 거의 후크 형상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제1 곡면(103, 104) 및 제2 곡면(105, 106)을 각각 포함한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날개 플랩(101, 102)은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이에 따라, 제2 곡면(105, 106)의 대부분은 저면(66) 및 저면(75, 76)에 대해 둔각으로 경사진다.
블레이드(60)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60) 아래에서 유동하는 가공 물질이 하향으로 경사진 날개 플랩(101, 102)과 충돌한다. 실제로, 제2 곡면(105, 106)이 블레이드(60)로부터 멀어지게 가공물질을 편향시키며, 가공 물질을 편향시킬 때에 실제로 가공 물질 내에 제공된 보다 큰 입자를 때리게 된다. 그러한 편향은 또한 가공 물질을 날개 플랩(101, 10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밀게 되며, 이에 의해 제1 곡면(103, 104) 부근에 저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저압은 가공 물질을 제1 곡면(103, 104)으로 빨아 당기게 되며, 커팅 패턴에 대한 제1 곡면(103, 104)의 수직 자세로 인해, 가공 물질은 제1 커팅 패턴을 통해 축방향 아래쪽으로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날개 플랩(101, 102)에 의해 야기된 축방향 운동은 블레이드(60)의 절삭 능력을 향상시킨다.
날개 플랩(101, 102)이 상향으로 경사진 경우, 반대의 결과가 나타난다. 블레이드(60)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60) 위에서 유동하는 가공 물질이 상향으로 경사진 날개 플랩(101, 102)과 충돌한다. 실제로, 제1 곡면(103, 104)이 블레이드(60)로부터 멀어지게 가공물질을 편향시키며, 가공 물질을 편향시킬 때에 실제로 가공 물질 내에 제공된 보다 큰 입자를 때리게 된다. 그러한 편향은 또한 가공 물질을 날개 플랩(101, 10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밀게 되며, 이에 의해 제2 곡면(105, 106) 부근에 저압을 생성한다. 이러한 저압은 가공 물질을 제2 곡면(105, 106)으로 빨아 당기게 되며, 커팅 패턴에 대한 제2 곡면(105, 106)의 수직 자세로 인해, 가공 물질은 제1 커팅 패턴을 통해 축방향 위쪽으로 끌어 당겨진다. 따라서, 날개 플랩(101, 102)에 의해 야기된 축방향 운동은 블레이드(60)의 절삭 능력을 향상시킨다.
날개 플랩(101, 102)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더라도, 가공 물질 내의 보다 큰 입자를 분쇄하게 된다. 제1 곡면(103, 104) 및 제2 곡면(105, 106)[날개 플랩(101)의 배향에 따라]이 보다 큰 입자를 분쇄할 것이며, 잔류 입자들이 선단 에지(91, 93) 및 선단 에지(92, 94)와 접촉할 수 있게 해준다. 그러나, 하향으로 경사진 경우, 날개 플랩(101, 102)은 블레이드(60) 아래로부터 가공 물질을 몰아내는 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몰아내진 후에, 그러한 가공 물질은 블레이드(60)의 커팅 패턴의 작용을 받을 수 있다. 게다가,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가 0도의 받음각을 갖더라도,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의 크기 및 방향 은 제1 블레이드 날개(7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72)의 받음각에 무관하게 날개 플랩(101, 10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것 외에도, 날개 플랩(101, 102)의 배향은 블레이드(60)의 회전 축선에 대한 가공 물질의 반경 방향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날개 플랩(101) 및 제2 날개 플랩(102)이 선단 에지(91, 92)에 대해 내측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우, 가공 물질의 반경 방향 흐름을 선택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날개 플랩(101, 102)이 선단 에지(91, 92)에 대해 각각 내측으로 경사진 경우, 가공 물질은 날개 플랩(101, 102)과 충돌하여 내측으로 안내된다. 날개 플랩(101, 102)이 선단 에지(91, 92)에 대해 각각 외측으로 경사진 경우, 가공 물질은 날개 플랩(101, 102)과 충돌하여 외측으로 안내된다. 그러므로,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 및 반경 방향 흐름 모두가 날개 플랩(101, 102)의 배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구성된 블렌더용 블레이드가 전체적으로 도면 부호 110으로 표기되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다. 블레이드(110)는 본체부(112) 및 이 본체부(112)에 마련되어 블렌더 샤프트를 수용하게 되는 구멍(113)을 포함한다. 본체부(112)는 또한 상면(115) 및 저면(116)을 포함한다. 블레이드(110)는 블렌더 샤프트에 고정되게 부착되며, 블렌더 샤프트의 회전은 블렌더 피처 내부에서의 블레이드(110)의 운동을 구동한다. 결과적으로, 구멍(113) 및 블렌더 샤프트는 블레이드(110)의 회전 축선을 형성한다.
블레이드(110)는 블레이드 피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며, 본체부(112)로부터 외측으로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가 연장하고 있다.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는 각각 상면(123, 124) 및 저면(125, 126)을 구비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는 본체부(112)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제1 블레이드 날개(121)는 본체부(112)와 동일 수평면을 공유한다. 그 결과, 본체부(112) 및 제1 블레이드 날개(121)는 균일하게 연결되어, 이들의 상면 및 저면들 간에 매끄러운 천이부를 생성한다. 그러나, 제2 블레이드 날개(122)는 제1 블레이드 날개(121)와는 달리, 본체부(112)와 제1 블레이드 날개(121)가 공유하는 수평면에 대해 예각으로 배향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2 블레이드 날개(122)의 상면(124)은 본체부(112)에 대해 둔각으로 배향되어 있고, 저면(126)은 본체부(112)에 대해 반사 관계로 배향되어 있다.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는 날개 팁을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블레이드(110)의 커팅 패턴은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의 선단 에지(131, 132)에 의해 각각 형성된다. 선단 에지(131, 132)는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를 각각 비스듬히 자름으로써 예리하게 되어 있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 에지(131)는 블레이드(110)의 한쪽 측부에서 절삭의 책임을 담당하도록 되어 있고, 선단 에지(132)는 블레이드(110)의 다른 쪽 측부에 절삭의 책임을 담당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블레이드(110)가 그 회전 축선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제1 블레 이드 날개(121)의 선단 에지(13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의 선단 에지(132)가 가공 물질을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는 본체부(112)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향되어 있기 때문에, 블레이드(110)는 2가지의 커팅 패턴을 갖고 있다. 제1 커팅 패턴은 실질적으로 평면형으로서, 제1 블레이드 날개(121)의 선단 에지(131)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커팅 패턴은 실질적으로 원추대 형상으로서, 제2 블레이드 날개(122)의 선단 에지(132)에 의해 형성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로부터 외측으로 제1 날개 플랩(141) 및 제2 날개 플랩(142)이 각각 연장하고 있다. 날개 플랩(141, 142)은 굴곡 라인(133, 134)을 따라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에 대해 각각 소정 각도로 경사져 있다. 날개 플랩(141, 142)은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의 받음각에 무관하게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에 대한 가공 물질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제공된다.
예를 들면, 날개 플랩(141, 142)은 상면(123, 124) 및 저면(125, 126)의 유효 캠버를 각각 증가시키도록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그러나, 날개 플랩(141, 142)의 추가에 의해 얻어진 유효 캠버의 증가로 인해, 날개 플랩(141, 142)에 의해 저압이 생성되고, 이러한 저압은 가공 물질의 축방향 운동을 강제한다.
예를 들면, 날개 플랩(141, 142)은 각각 상면(143, 144) 및 저면(145, 146) 을 포함한다.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날개 플랩(141, 142)은 하향으로 경사지고, 저면(145, 146)은 저면(125, 126)에 대해 둔각으로 배향된다. 그러므로, 블레이드(110)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110) 아래에서 유동하는 가공 물질이 하향으로 경사진 날개 플랩(141, 142)과 충돌한다. 이에 따라, 날개 플랩(141, 142)의 저면(145, 146)(도 9 내지 도 12 참고)은 블레이드(110)로부터 멀어지게 가공 물질을 편향시킨다. 그러한 편향은 날개 플랩(141, 142)이 가공 물질에 부딪히게 될 뿐만 아니라, 날개 플랩(141, 14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가공 물질을 밀게 되고 상면(143, 144) 부근에 저압을 생성한다.
하향으로 경사진 날개 플랩(141, 142)에 의해 생성된 저압은 가공 물질을 상면(143, 144)으로 빨아 당기게 된다. 게다가, 상면(143)은 선단 에지(131)보다 아래에 있고, 상면(144)은 선단 에지(132)보다 아래에 있기 때문에, 가공 물질은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을 통해 아래쪽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에 따라, 날개 플랩(141, 142)의 하향 경사각과 이에 의해 야기된 축방향 운동은 블레이드(110)의 절삭 능력을 향상시킨다.
날개 플랩(141, 142)이 상향으로 경사진 경우, 반대의 결과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블레이드(110)가 회전함에 따라, 블레이드(110) 위에서 유동하는 가공 물질이 상향으로 경사진 날개 플랩(141, 142)과 충돌한다. 이에 따라, 날개 플랩(141, 142)의 상면(143, 144)은 날개 플랩(141, 42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가공 물질을 편향시킨다. 이와 같이 가공 물질을 편향시키는 과정 중에, 날개 플랩(141, 142)은 가공 물질에 부딪히게 되고, 저면(145, 146) 부근에 저압을 생성한 다. 이러한 저압은 가공 물질을 저면(145, 146)으로 빨아 당기게 된다. 저면(145)은 선단 에지(131)보다 위에 있고, 저면(146)은 선단 에지(132)보다 위에 있기 때문에, 가공 물질은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을 통해 위쪽으로 끌어 당겨진다. 이에 따라, 날개 플랩(141, 142)의 상향 경사각과 이에 의해 야기된 축방향 운동은 블레이드(110)의 절삭 능력을 향상시킨다.
날개 플랩(141, 142)이 상향 또는 하향으로 경사지더라도,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을 가로질러 흐르는 가공 물질의 양은 날개 플랩(141, 142)의 경사를 크게 함으로써 증가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전술한 바와 같이, 날개 플랩(141, 142)의 상향 및 하향 경사각은 가공 물질을 상향 및 하향으로 각각 빨아 당기게 된다. 게다가, 블레이드 날개(121)(받음각이 0도)를 고려할 때에,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의 크기 및 방향은 제1 블레이드 날개(121)의 받음각에 무관하게 날개 플랩(141)에 의해 제어할 수 있다.
가공 물질의 축방향 흐름을 제어하는 것 외에도, 날개 플랩(141, 142)의 배향은 또한 블레이드(10)의 회전 축선에 대한 가공 물질의 반경 방향 흐름을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날개 플랩(141, 142)은 선단 에지(131, 132)에 대해 각각 내측으로 경사져 있다. 즉,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는 블레이드 날개(121, 122)가 본체부(1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지기 때문에, 굴곡 라인(133, 134)은 날개 플랩(141, 142)이 내측으로 경사지도록 소정 각도를 이루게 된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10)가 회전함에 따라 날개 플랩(141, 142)의 경로로부 터 멀어지게 편향되는 가공 물질은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 각각에 대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려지게 된다.
날개 플랩(141, 142)이 선단 에지(131, 132)에 대해 각각 외측으로 경사진 경우, 반대의 결과가 나타난다. 예를 들면,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는 블레이드 날개(121, 122)가 본체부(11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넓어지는 경우, 굴곡 라인(133, 134)은 날개 플랩(141, 142)이 외측으로 경사지도록 소정 각도를 이룬다. 이에 따라, 블레이드(110)가 회전함에 따라 날개 플랩(141, 142)의 경로로부터 멀어지게 편향되는 가공 물질은 제1 블레이드 날개(121) 및 제2 블레이드 날개(122) 각각에 대해 반경 방향 외측으로 밀려지게 된다.
따라서, 축방향 흐름 및 반경 방향 흐름 모두가 날개 플랩(141, 142)의 배향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게다가, 하향으로 경사진 경우, 날개 플랩(141, 142)은 또한 블레이드(110) 아래의 가공 물질을 몰아내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가공 물질은 몰아내진 후에 제1 커팅 패턴 및 제2 커팅 패턴의 작용을 받을 수 있다.
전술한 점을 고려할 때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된 블렌더용 블레이드는 종래 기술을 실질적으로 개선하고 있으며, 게다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있음을 명백할 것이다.

Claims (15)

  1. 블렌더 피처(blender pitcher) 내에 제공된 가공 물질을 절단하는 블렌더용 블레이드로서,
    상면 및 저면을 구비하며, 사실상 블렌더용 블레이드의 회전 축선을 형성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하며 상면 및 저면을 구비하는 제1 블레이드 날개와,
    상기 본체부로부터 연장하며 상면 및 저면을 구비하는 제2 블레이드 날개와,
    상기 블렌더용 블레이드가 회전하는 동안 가공 물질을 절단하도록,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선단 에지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선단 에지와,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로부터 선택적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하나의 날개 플랩
    을 포함하는 블렌더용 블레이드.
  2. 제1항에 있어서, 하나의 날개 플랩이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되며, 다른 하나의 날개 플랩이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 및 선단 에지 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 및 선단 에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은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의 후미 에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은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의 후미 에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은 제1 굴곡 라인을 따라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대해 경사지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은 제2 굴곡 라인을 따라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대해 경사지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플랩은 상기 회전 축선에 대한 가공 물질의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선택적으로 배향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플랩은 상면 및 저면을 포함하며, 상기 날개 플랩의 상면은 상기 날개 플랩이 상향 배향된 경우 가공 물질과 충돌하고, 상기 날개 플랩의 저면은 상기 날개 플랩이 하향 배향된 경우 가공 물질과 충돌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로부터 제1 날개 팁이 둔각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로부터 제2 날개 팁이 둔각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비대칭으로 배향되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의 상면은 상기 본체부에 대해 둔각으로 배향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는 균일하게 연결되어, 상기 본체부의 상면이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의 상면으로 매끈하게 천이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 플랩은 후크 형상이고 제1 면과 제2 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면은 상기 날개 플랩이 상향 배향된 경우 가공 물질과 충돌하며, 상기 날개 플랩의 제2 면은 상기 날개 플랩이 하향 배향된 경우 가공 물질과 충돌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로부터 제1 날개 팁이 둔각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며,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로부터 제2 날개 팁이 둔각으로 외측으로 연장하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13.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은 상기 회전 축선에 대한 가공 물질의 반경 방향 흐름을 제어하도록 상기 선단 에지에 대해 내측 또는 외측으로 선택적으로 경사질 수 있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는 제1 블레이드 날개 및 제2 블레이드 날개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좁아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은 내측으로 경사지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는 제1 블레이드 날개 및 제2 블레이드 날개가 상기 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함에 따라 점진적으로 넓어지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 및 상기 제2 블레이드 날개에 마련된 날개 플랩은 외측으로 경사지는 것인 블렌더용 블레이드.
KR1020067014498A 2004-01-23 2004-12-30 블렌더용 블레이드 KR1011329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0/763,964 US7278598B2 (en) 2004-01-23 2004-01-23 Blender blade
US10/763,964 2004-01-23
PCT/US2004/043711 WO2005072110A2 (en) 2004-01-23 2004-12-30 Blender blad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8547A true KR20070008547A (ko) 2007-01-17
KR101132926B1 KR101132926B1 (ko) 2012-04-27

Family

ID=347951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498A KR101132926B1 (ko) 2004-01-23 2004-12-30 블렌더용 블레이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7278598B2 (ko)
EP (1) EP1711252B1 (ko)
KR (1) KR101132926B1 (ko)
AU (1) AU2004314728B2 (ko)
BR (1) BRPI0418437B1 (ko)
CA (1) CA2553772C (ko)
GB (1) GB2424844B (ko)
HK (1) HK1096055A1 (ko)
WO (1) WO2005072110A2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833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퍼휴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날의 결합 구조
KR102304663B1 (ko) * 2020-05-26 2021-09-27 (주)대경아이엔씨 에어 프라이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63456B2 (en) * 2001-06-26 2006-06-20 Vita-Mix Corporation Container for a blender
DE20307458U1 (de) * 2003-05-13 2003-09-25 Ekato Ruehr Mischtechnik Vorrichtung zur Behandlung von Feststoffen
US7644881B2 (en) * 2003-11-26 2010-01-12 Michilin Prosperity Co., Ltd. Round undulating blade, blade module, and rotary assembly for shredder
US20080265072A1 (en) * 2003-11-26 2008-10-30 Tie Chun Wang Cutting Blade and Rotary Cutting Assembly for Shredders
ES2341821B1 (es) 2007-04-19 2011-04-08 Electrodomesticos Taurus, S.L. Util de corte y cabezal de trabajo para batidora electrica de varilla.
ITVR20080009A1 (it) * 2008-01-30 2009-07-31 Storti Internat S P A Coclea miscelatrice e sminuzzatrice
US8220986B2 (en) * 2008-11-19 2012-07-17 Chemineer, Inc. High efficiency mixer-impeller
CN105816072A (zh) * 2010-09-30 2016-08-03 维塔米格斯公司 搅拌器叶片
JP2013545500A (ja) * 2010-09-30 2013-12-26 バイタ−ミックス コーポレーション ブレンダーブレード
US8444076B2 (en) * 2010-09-30 2013-05-21 Vita-Mix Corporation Blender blade
US9186022B1 (en) 2010-10-11 2015-11-17 Blendtec, Inc. Mixing blade for blending apparatus and methods
US8132752B1 (en) 2010-12-24 2012-03-13 Island Oasis Frozen Cocktail Company, Inc. Blade structure for blender
EP2561965A1 (en) * 2011-08-25 2013-02-27 Electrolux Professionel SAS Rotor for cutting foodstuffs intended for a food processor and corresponding appliance
US9107539B2 (en) 2012-04-09 2015-08-18 Euro-Pro Operating Llc Food processor
US8944357B2 (en) 2012-10-30 2015-02-03 Whirlpool Corporation Multifunctional food processing tool for use with a food processing device
CN203076044U (zh) 2013-02-20 2013-07-24 东莞合力电器制品有限公司 一种食物处理器的切削刀具
US9248420B2 (en) * 2013-12-16 2016-02-02 Pall Corporation High turndown impeller
ES2860465T3 (es) * 2014-04-04 2021-10-05 Milton Roy Europe Móvil de agitación
US10925438B1 (en) 2014-04-14 2021-02-23 All Metal Sales, Inc. Blender blade formed of titanium or titanium alloy
EP2944445B1 (en) * 2014-05-13 2017-03-22 Rolan Investment OÜ Device and a method for recycling mixed plastic waste
US9750373B2 (en) 2014-11-11 2017-09-05 Whirlpool Corporation High-speed blending blade for a food processing appliance
CN107920692B (zh) 2015-06-15 2023-04-04 维他拌管理有限公司 搅拌叶片
FR3038241A1 (fr) 2015-07-03 2017-01-06 Santos Melangeur pour aliments
CN105167658B (zh) * 2015-08-20 2018-01-12 惠阳亚伦塑胶电器实业有限公司 搅拌机刀具
CN105435705A (zh) * 2015-12-29 2016-03-30 米顿罗工业设备(上海)有限公司 一种带叶梢小翼的轴流式搅拌桨
TWI551249B (zh) * 2016-01-08 2016-10-01 永順利食品機械股份有限公司 煮鍋
TWI571220B (zh) * 2016-01-08 2017-02-21 永順利食品機械股份有限公司 煮鍋
US10670034B2 (en) * 2016-05-26 2020-06-02 Spx Flow, Inc. Trimable impeller device and system
US11033153B2 (en) 2016-06-10 2021-06-15 Vita-Mix Management Corporation Drive coupler for blender
DE102017221194A1 (de) 2017-11-27 2019-05-29 BSH Hausgeräte GmbH Mixer-Messer
CN109700338B (zh) * 2019-01-25 2024-01-26 东莞市益迈斯电器科技有限公司 一种双向食品搅拌机
US11779157B2 (en) * 2021-01-20 2023-10-10 Dart Industries Inc. Chopper blade assembly
CN113083427A (zh) * 2021-03-31 2021-07-09 云南滇东雨汪能源有限公司 一种煤矿开采用煤矿破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282A (en) * 1890-07-29 Terrance p
US941948A (en) * 1909-07-29 1909-11-30 David Rees Churn.
US2576802A (en) * 1948-11-15 1951-11-27 Janet C Morris Food chopping attachment
US2702571A (en) 1949-10-04 1955-02-22 Pollard & Johnston Magnetically actuated food stirring device
US2585255A (en) * 1949-10-29 1952-02-12 Knapp Monarch Co Mixer
US2897862A (en) * 1951-04-05 1959-08-04 Dormeyer Corp Liquifier
US2788038A (en) * 1954-11-02 1957-04-09 Standard Electronics Corp Rotor
US2799485A (en) * 1955-01-28 1957-07-16 Silverman Isaac Drill attachment for mixing paints and the like
DE1037088B (de) 1957-06-04 1958-08-21 Josef Piller Vorrichtung zum Mischen, Zerkleinern, Ruehren, Verschaeumen, Koagulieren und Durchlueften von Nahrungs- und Genussmitteln oder Chemikalien u. dgl.
US2964301A (en) * 1957-06-05 1960-12-13 Du Pont Mixing apparatus
US3030083A (en) * 1959-03-25 1962-04-17 Hugh A Stiffler Agitator wheel
US3036614A (en) * 1959-04-13 1962-05-29 Knapp Monarch Co Cutting and mixing blades for liquefiers
US3175594A (en) * 1961-10-23 1965-03-30 Sunbeam Corp Disintegrator and mixer
US3147958A (en) * 1963-02-13 1964-09-08 Hugh A Stiffler Ice cream-milk mixer
US3368800A (en) * 1965-04-13 1968-02-13 Vita Mix Corp Blender
US3404870A (en) * 1965-09-23 1968-10-08 Robert K. Multer Agitator
US3333831A (en) * 1966-05-13 1967-08-01 Burton B Chapman Power-driven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FR2313114A1 (fr) * 1975-06-04 1976-12-31 Procedes Sem Nouveaux perfectionnements aux helices pour melangeurs
US4519715A (en) * 1981-11-30 1985-05-28 Joy Manufacturing Company Propeller
US5052892A (en) * 1990-01-29 1991-10-01 Chemineer, Inc. High efficiency mixer impeller
US5380086A (en) * 1992-08-27 1995-01-10 K-Tec, Inc. Multipurpose food mixing appliance specially adapted for kneading dough
US5425579A (en) * 1994-08-15 1995-06-20 Sampson; Edwin J. Beverage pitcher with agitator
DE19503491A1 (de) * 1995-02-03 1996-08-08 Braun Ag Rotierendes Schneidmesser für einen elektrisch betriebenen Mixer in Haushaltsgeräten
US5599103A (en) * 1996-05-10 1997-02-04 Linscott; William D. Milkshake mixer blade
US6106232A (en) * 1998-02-26 2000-08-22 Wagner; Thomas V. Propeller structure
USD435192S (en) * 1999-06-09 2000-12-19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Blender jar and lid
USD433282S (en) * 1999-06-09 2000-11-07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Blender blade
US6092922A (en) * 1999-06-29 2000-07-25 Whirlpool Corporation Food blender with a balanced blade
US6550703B2 (en) * 2001-03-29 2003-04-22 Hamilton Beach/Proctor-Silex, Inc. Blender cutter
US6796707B2 (en) * 2002-02-26 2004-09-28 Spx Corporation Dual direction mixing impeller and method
USD488347S1 (en) * 2003-02-28 2004-04-13 Vita-Mix Corporation Blade for a food blender
US6834818B2 (en) * 2003-04-16 2004-12-28 Ming-Tsung Lee Food processor blade unit
US6974099B2 (en) * 2003-05-16 2005-12-13 Vita-Mix Corporation Blender blade
USD513685S1 (en) * 2004-05-19 2006-01-24 Vita-Mix Corporation Blade for a blen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99833A (ko) * 2015-02-13 2016-08-23 주식회사 퍼휴먼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용 교반날의 결합 구조
KR102304663B1 (ko) * 2020-05-26 2021-09-27 (주)대경아이엔씨 에어 프라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96055A1 (en) 2007-05-25
BRPI0418437A (pt) 2007-05-22
WO2005072110A2 (en) 2005-08-11
GB2424844A8 (en) 2006-10-18
EP1711252A2 (en) 2006-10-18
US7278598B2 (en) 2007-10-09
US7552885B2 (en) 2009-06-30
AU2004314728B2 (en) 2010-07-15
US20080008029A1 (en) 2008-01-10
EP1711252B1 (en) 2012-10-31
GB2424844A (en) 2006-10-11
US20050162973A1 (en) 2005-07-28
AU2004314728A1 (en) 2005-08-11
GB2424844B (en) 2008-05-21
CA2553772C (en) 2012-02-07
BRPI0418437B1 (pt) 2015-07-14
KR101132926B1 (ko) 2012-04-27
EP1711252A4 (en) 2010-03-10
WO2005072110A3 (en) 2006-03-23
CA2553772A1 (en) 2005-08-11
GB0614562D0 (en) 2006-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926B1 (ko) 블렌더용 블레이드
US8690093B2 (en) Blender blade
KR20130124485A (ko) 믹서기 블레이드
KR101582524B1 (ko) 커터 조립체를 갖는 블렌더 시스템
US8132752B1 (en) Blade structure for blender
EP1127786A1 (en) Rotary blade of helicopter
WO2014072083A1 (en) Blender blade assembly and blender
US7617664B1 (en) Rotary cutting blade assembly
US20050002271A1 (en) Blender blade
EP0746687A1 (en) An impeller
CA2410357A1 (en) Cutting blade and cutting blade assembly for ophthalmic procedures
JP6251887B2 (ja) 混合器ユニットとハンドブレンダ
EP3132728A1 (en) Blender blade
EP1290934A1 (en) Rotary mower blade
JP6858184B2 (ja) 攪拌羽根および攪拌装置
JP7049050B2 (ja) ロータブレード
US8458998B2 (en) Rotary lawn mower cutting blade
CN212037264U (zh) 搅拌刀和料理机
MXPA06008324A (en) Blender blade
US1777013A (en) Fan blade
JP4126104B2 (ja) 撹拌翼
CN215383445U (zh) 一种高效粉碎的食品加工机
CN105816072A (zh) 搅拌器叶片
JP2852031B2 (ja) 回転翼機のロータブレード
KR100757098B1 (ko) 행글라이더용 날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