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599A -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전표 프린터와 자기 기록 재생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전표 프린터와 자기 기록 재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599A
KR20070006599A KR1020060063699A KR20060063699A KR20070006599A KR 20070006599 A KR20070006599 A KR 20070006599A KR 1020060063699 A KR1020060063699 A KR 1020060063699A KR 20060063699 A KR20060063699 A KR 20060063699A KR 20070006599 A KR20070006599 A KR 200700065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head
slit
magnetic
plate
magnetic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3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9610B1 (ko
Inventor
요시아끼 사꾸마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6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9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9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4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having dual functions or combined with, or coupled to, apparatus performing other func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 G11B21/12Raising and lowering; Back-spacing or forward-spacing along track; Returning to starting position otherwise than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자기 헤드의 선단부가 부주의하게 용지나 자기 기록 매체에 걸리는 일이 없고, 또한,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가 다른 다양한 용지에 대처하여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할 수 있어, 용지 삽입 시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영향도 받기 어려운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장(100)을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5)보다도 하방으로 자기 헤드(13)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자기 헤드(13)를 통장(100)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기 헤드(13)의 위치 결정을 행한 후, 자기 헤드(13)를 슬릿(15)으로부터 돌출시켜 통장(100)의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접촉시킨다.
자기 헤드, 자기 기록 매체, 가이드 플레이트, 통장, 슬릿, 스트라이프

Description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와 자기 기록 재생 방법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DEVICE, CHIT PRINTER ATTACHED THE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DEVICE AND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METHOD}
도1은 통장 등의 용지에 대한 자기 스트라이프의 점착 패턴을 예시한 개념도로, 도1의 (a) 및 도1의 (b)는 용지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자기 스트라이프를 구비한 가로 방향형의 예를, 또한, 도1의 (c) 내지 도1의 (f)는 용지의 반송 방향을 따라 자기 스트라이프를 구비한 세로 방향형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2는 가로 방향형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구비한 용지를 취급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3은 세로 방향형의 자기 스트라이프를 구비한 용지를 취급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일반적인 구성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 형태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5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의 부품의 일부를 제거하여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6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의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 도.
도7a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로부터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주요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7b는 셔터 링크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8은 가로 방향형의 통장에 대응한 캐리어의 구성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
도9a는 세로 방향형의 통장에 대응한 캐리어의 구성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 또한, 도9b는 그 평면도이며, 도9c에서는 자기 헤드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평행 링크 기구의 구성만을 취출하여 도시한 도면.
도10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의 제어부의 구성의 개략을 도시한 블록도.
도11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가 구비하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전체적인 처리의 개략에 대해 도시한 흐름도.
도12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가 구비하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전체적인 처리의 개략에 대해 도시한 흐름도의 연속.
도13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가 구비하는 제어부에 의해 실행되는 전체적인 처리의 개략에 대해 도시한 흐름도의 연속.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
2 : 자기 기록 재생 장치
3 : 용지 반송부
4 : 인쇄부
5 : 가이드 플레이트
6 : 사이드 플레이트
7 : 상부 플레이트
8 : 구동 롤러
9 : 핀치 롤러
10 : 인쇄 헤드
11 : 캐리지
12 : 센서(측단부 검출 센서)
13 : 자기 헤드
14 : 고무 롤러
15 : 슬릿
16 : 캐리어
17 : 가이드 수단
18, 19 : 가이드 로드
20 : 이송 수단
21 : 자기 헤드 승강 수단
22 : 프레임
23 : 구동 풀리
24 : 종동 풀리
25 : 타이밍 벨트
26 : 캐리어 구동 모터
27 : 압박 수단
28 : 강제 복귀 수단
29 : 축
30 : 요동 부재
31 : 스프링(힘 축적 수단)
32 : 베어링
33 : 승강 플레이트
33a : 미끄럼 접촉부
34 : 인서터 모터(승강 플레이트의 요동 구동 수단과 셔터의 요동 구동 수단에 공통되는 구동원)
35 : 요동 구동 수단(승강 플레이트용)
36 : 샤프트
37 :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
38 : 캠축
39 : 캠
40, 41, 42 : 링크
43 : 캠 종동기
44 : 스프링
45 : 셔터
45a : 판형체
45b : 아암
46 : 셔터 링크 기구
47 : 요동 구동 수단(셔터용)
48 : 셔터 캠
49 : 평행 링크 기구
49a : 평행 링크 기구의 상면
50 : 스프링
51 : 베어링
52 : 캐리어 센서
53 : 제어부
54 : CPU
55 : ROM(기억 수단)
56 : RAM
57 : 캐리지 구동 모터
58 : 반송 모터
59 : 입출력 회로
60 : 용지 삽입 센서
61 : 반송 위치 검출 센서
62 : 캠 종동기
63 : 용지 삽입구
64 : 설편
65 : 회전축
66 : 요동 바
67 : 핀
68 : 링크 부재
69 : 스프링
70 : 내측 링크 부재
71 : 연락부
72 : 외측 링크 부재
73, 74 : 축
75 : 연락부
100 : 용지(통장)
101 : 자기 스트라이프
102 : 가이드 플레이트
103 : 개구부
104 : 자기 헤드
A :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B : 용지의 삽입 방향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8591호 공보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9-245416호 공보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2-106373호 공보
본 발명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와 자기 기록 재생 방법의 개량에 대한 것이다.
용지에 점착된 자기 기록 매체로부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기 위한 자기 헤드를 구비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 혹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로서는,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바와 같은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 기입 기구,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바와 같은 통장·증서의 발행 장치 등이 이미 알려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통장 등의 용지를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에 개구부를 설치하고, 이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방에 자기 헤드를 설치하여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으로 힘을 더하고, 자기 헤드의 선단부를 통장의 하면으로 압박하여 자기 기록 매체로부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는 구조의 것이며, 그 구조 상 통장의 반송 방향 혹은 자기 헤드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는, 통장의 단부가 자기 헤드에 걸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생길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통장 등의 용지에 자기 기록 매체로서 점착하여 이용하는 자기 스트라이프의 점착 패턴에는, 도1의 (a) 내지 도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로 방향형의 것과, 도1의 (c) 내지 도1의 (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세로 방향형의 것 2종류가 있으며, 동일 가로 방향형의 것, 혹은 동일 세로 방향형의 것에서도, 통장(100) 위에서의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점착 위치는 통장의 발행원 등의 차이에 의해 다양한 규격이 존재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된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이 중 통장(100)의 반송 방향에 직교하는 자기 스트라이프(101)를 구비한 것, 예를 들어 도1의 (a) 내지 도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통장(100)을 취급하는 것을 전제로 하여 구성된 것으로, 가이드 플레이트(102)와 그 개구부(103) 및 통장(100)의 반송 방향과 자기 헤드(104)의 이동 방향의 관계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것으로 되어 있다.
즉, 도2 중에서 통장(100)의 반송 방향은 우측으로부터 좌측, 또한 자기 헤드(104)의 이동 방향은 지면 수직 방향이다.
자기 헤드(104)의 선단부에는, 자기 헤드(104)의 선단부를 전 폭에 걸쳐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확실하게 접촉시키기 위한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지만, 이 테이퍼면은 자기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을 행할 때의 통장(100)에 대한 자기 헤드(104)의 이동 방향을 따라 위로 볼록한 상태, 즉 도2의 지면 및 도2 중의 가이드 플레이트(102)와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위로 볼록한 상태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자기 헤드(104)의 이동 방향 즉 도2의 지면과 직교하는 방향으로부터 본 경우, 자기 헤드(104)의 선단부는 도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평면 형상이 되어, 그 좌우 양측부에 각(角)부가 형성되므로, 통장(100)의 반송 시에 통장(100)의 선단부가 자기 헤드(104)에 걸릴 가능성이 있다.
자기 헤드(104)의 홈 포지션은, 통상 통장(100)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여 가이드 플레이트(100) 위의 폭 방향 중 어느 한 일단부에 정해져 있으므로, 통장(100)의 단부가 자기 헤드(104)에 걸리면, 통장(100)의 자세가 부주의하게 변화되어 버려, 예를 들어 도1의 (a) 중 α의 방향으로 기울게 되는 등의 가능성이 있어, 이러한 상태에서 자기 헤드(104)를 통장(100)의 반송 방향에 직교시켜 이동시켜도,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중심을 따라 자기 헤드(104)를 적절하게 이동시킬 수는 없으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정상적으로 행할 수는 없다.
한편, 도1의 (c) 내지 도1의 (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통장(100)을 취급하는 것을 전제로 한 것으로서는, 가이드 플레이트(102)와 개구부(103) 및 통장(100)의 반송 방향의 관계를 도3과 같이 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통상 자기 헤드(104)는 이동하지 않고, 통장(100)의 반송에서 생기는 통장(100)과 자기 헤드(104)와의 사이의 상대 이동을 이용하여 자기 스트라이프(101)로부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도3 중에서 통장(100)의 반송 방향은 우측에서 좌측이며, 따라서, 통장(100)에 대한 자기 헤드(104)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은 좌측에서 우측이다.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기 헤드(104)를 통장(100)의 반송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전제로 한 구성에서는, 자기 헤드(104)의 선단부의 테이퍼면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장(100)의 반송 방향을 따라 위로 볼록한 상태가 되므로, 통장(100)의 선단부가 자기 헤드(104)에 걸리는 등의 가능성은 낮다.
그러나,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자기 헤드(104)는 도3의 지면 수직 방향으로는 이동하지 않으므로, 자기 헤드(104)가 항상 통장(100)의 폭 방향의 특정 위치에만 미끄럼 접촉하게 되어, 이 위치에 자기 스트라이프(101)를 점착하지 않는 한,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할 수는 없다.
즉,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사양을 특정함으로써 도1의 (c) 내지 도1의 (f) 중 어느 하나의 사양의 통장(100)에는 대처할 수 있지만, 다른 사양의 통장(100)에는 대처할 수 없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취급 대상으로 삼는 통장(100)을 특정했다고 해도, 반드시 그 통장(100)의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위치가 자기 헤드(104)와 미끄럼 접촉하도록 통장(100)을 위치 결정하여 용지 삽입구에 삽입해야만 하는 등의 번거로움이 있다.
통상,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횡폭은 통장(100)의 삽입을 쉽게 할 필요 면에서, 통장(100)의 폭과 비교하여 크게 만들어져 있으므로, 예를 들어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폭 방향의 단부에 설치된 사이드 플레이트에 통장(100)의 폭 방향의 단부를 압박하면서 통장(100)을 삽입하는 등의 조작이 필요해져, 이것이 번거롭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도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자기 헤드(104)를 지면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고려된다. 그러나, 그 러한 경우, 단순하게 자기 헤드(104)를 지면 수직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하면, 통장(100)에 대한 자기 헤드(104)의 상대적인 이동 방향은 도2의 것과 같아져, 상기와 마찬가지로 자기 헤드(104)의 각부가 통장(100)의 단부에 걸려 버리는 등의 문제점을 발생시킨다.
또한, 특허 문헌 2에 개시된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 기입 기구에서는, 자기 헤드(104)의 부착 위치를 통장(100)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즉 도3 중의 지면 수직 방향의 몇 군데의 위치로 변경함으로써, 도1의 (c) 내지 도1의 (f)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다양한 사양의 통장(100)에 대처하는 구성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자기 헤드(104)의 부착 위치의 변경에는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 기입 기구의 케이싱의 분해나 자기 헤드(104)의 탈착 등의 복잡한 작업이 필요해, 당연히 이러한 작업을 은행의 예금자 등의 사용자가 그때마다 행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특허 문헌 2에서 개시된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 기입 기구는, 은행 등에 장치를 납입할 때에 은행마다의 사양에 따라서,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 기입 기구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여 장치에 범용성을 갖게 한 것에 지나지 않고, 단일 자기 스트라이프 판독 기입 기구에 의해, 다양한 사용자가 차례로 삽입하는 사양의 다른 통장(100)에 대처할 수 있는 등의 것은 아니다.
또한, 자기 헤드(104)는 미리 결정된 몇 군데의 부착 위치로부터 하나의 위치를 선택하여 부착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 부착 위치는 완전히 자유로운 것은 아니다.
결과적으로, 전술한 특허 문헌 2의 것과 마찬가지로, 하나의 장치로 다양한 사양의 통장(100)에 대처할 수는 없으며, 또한 통장(100)의 삽입 시에 생기는 위치 어긋남에도 대처할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특허 문헌 3에 개시된 통장·증서의 발행 장치는 가이드 플레이트(102)의 폭 방향의 단부에 설치된 위치 결정용의 사이드 플레이트를 이동 가능하게 한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 사이드 플레이트로 통장(100)의 측단부를 눌러 통장(100)을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하여 통장(100)을 강제적으로 폭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통장(100) 그 자체에 주름이나 오염 등의 손상이 생길 가능성이 높다.
또한, 사이드 플레이트를 이동시켜 통장(100)의 단부를 누를 수는 있어도 통장(100)의 단부를 당길 수는 없으므로, 전술한 특허 문헌 1의 것과 마찬가지로, 본질적으로 통장(100)의 폭 방향의 단부를 사이드 플레이트에 압박하여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다. 특히, 통장(100)의 폭 방향의 단부가 사이드 플레이트로부터 용지 반송로의 중앙 측의 위치로 크게 벗어나 있는 경우에서는,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전혀 행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2-288591호 공보(단락번호 0032, 0033)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9-245416호 공보(단락번호 0027)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2-106373호 공보(제2 페이지 좌측 하란)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여, 자기 헤드의 선단부 가 부주의하게 용지나 자기 기록 매체에 걸리는 일이 없고, 또한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가 다른 다양한 용지에 대처하여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할 수 있어, 용지 삽입 시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영향도 받기 어려운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와 자기 기록 재생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는, 용지에 점착된 자기 기록 매체로부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기 위한 자기 헤드를 구비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이며,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특히
자기 헤드의 선단부의 돌출을 허용하는 슬릿을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갖고 용지를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방에 위치하고, 가이드 플레이트와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자기 헤드의 수평 이동을 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규제되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자기 헤드에 이송을 작용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과,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과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자기 헤드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자기 헤드 승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용지를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보다 도 하방으로 자기 헤드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자기 헤드를 슬릿의 길이 방향, 즉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기 헤드의 위치 결정을 행한 후, 자기 헤드를 슬릿으로부터 돌출시켜 용지의 자기 기록 매체에 접촉시킬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용지의 반송 시에 용지의 단부가 자기 헤드에 걸리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용지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마찬가지로 용지 삽입 시의 위치 어긋남에서 생기는 자기 기록 매체의 위치 변동에도 대응이 가능해진다.
또한, 자기 헤드가 슬릿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자기 헤드를 상승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 축적 수단을 병설해도 좋다.
자기 헤드의 선단부를 확실하게 자기 기록 매체에 압박할 수 있으므로,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자기 헤드의 위치 결정 시에는 자기 헤드를 하방으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자기 헤드에 이송이 작용되므로, 자기 헤드의 선단부를 힘을 가하여 자기 기록 매체에 압박하는 구조라도, 용지의 반송 시에 용지의 단부가 자기 헤드에 걸리는 문제점은 생기지 않는다.
구체적인 구성으로서, 상기 가이드 수단이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프레임에 양단부가 지지된 가이드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미끄럼 끼움된 캐리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자기 헤드 승강 수단이,
상기 캐리어 내에서 자기 헤드를 상승 방향을 향해 정상적으로 힘을 가하는 압박 수단과,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자기 헤드를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는 강제 복귀 수단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압박 수단이 상기 힘 축적 수단을 겸하고 있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제안한다.
가이드 수단이 되는 가이드 로드에 캐리어를 거쳐서 자기 헤드를 부착하고, 이 자기 헤드만을 상하 이동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가이드 로드를 포함하는 구성 요소 전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경우와 비교하여, 자기 헤드의 상하 이동에 필요해지는 자기 헤드 승강 수단 구조의 소형화와 자기 헤드의 상하 이동에 필요해지는 에너지의 경감이 실현된다.
또한, 자기 헤드를 상승 방향을 향해 정상적으로 힘을 가하는 압박 수단을 이용하여 자기 헤드를 상승시키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이 압박 수단을 그 그대로 힘 축적 수단으로서 전용하는 것이 가능해져, 자기 헤드의 선단부를 자기 기록 매체에 압박하기 위한 힘 축적 수단을 압박 수단과 독립하여 배치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구조가 간략화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대략 평행해지도록 상기 캐리어 내에 고정 설치된 축에 의해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그 일단부를 상기 자기 헤드의 하단부에 피봇 부착된 요동 부재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자기 헤드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요동 부재를 회전 압박하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할 수 있고,
또한, 상기 강제 복귀 수단은,
상기 요동 부재의 타단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미끄럼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적용한 경우, 캐리어 내의 축에 의해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된 요동 부재가 스프링에 의해 회전 압박되어, 요동 부재의 일단부에 피봇 부착된 자기 헤드가 상승 방향을 향해 정상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또한, 요동 부재의 타단부에는 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가 미끄럼 접촉하고 있으므로,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요동 부재의 타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지고, 요동 부재의 일단부가 하강하여 이 일단부에 피봇 부착된 자기 헤드가 하강한다.
승강 플레이트는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캐리어 및 자기 헤드가 가이드 로드 위의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의 상하 이동에 의해 확실하게 자기 헤드의 상하 이동을 실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기 헤드 승강 수단 중 압박 수단에 상당하는 부분을 캐리어 위 에 설치하고, 강제 복귀 수단에 상당하는 부분, 즉 모터, 솔레노이드 등을 비롯하는 구동원을 필요로 하는 부분을 프레임측에 배치함으로써, 강제 복귀 수단 및 그 구동원을 캐리어에 설치한 경우와 비교하여, 이동 부재인 캐리어의 소형화와 질량의 경감화의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강제 복귀 수단의 구동원 자체가 캐리어와 함께 이동할 필요도 없어지므로, 리드선의 단선 등의 고장 인자가 감소하여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혹은, 상기 압박 수단을,
상기 캐리어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사이에 설치된 평행 링크 기구와, 상기 자기 헤드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자세 변화시키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하고,
상기 강제 복귀 수단을,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대략 평행해지도록 상기 캐리어 내에 고정 설치된 축에 의해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그 일단부를 상기 평행 링크 기구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킨 요동 부재와,
상기 요동 부재의 타단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미끄럼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에 의해 구성하도록 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을 적용한 경우에서는, 캐리어와 자기 헤드와의 사이에 설치된 평행 링크 기구가 평행 링크 기구를 자세 변화시키는 스프링의 힘을 받아, 자기 헤드를 상승 방향을 향해 정상적으로 힘을 가하게 된다. 또한, 캐리어 내의 축에 의해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된 요동 부재의 일단부가 평행 링크 기구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하고, 또한 요동 부재의 타단부에는 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가 미끄럼 접촉하고 있으므로,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에 의해 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를 상승시킴으로써 요동 부재의 타단부가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요동 부재의 일단부가 하강하여, 이 일단부에서 평행 링크 기구의 상면이 눌려 자기 헤드가 하강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승강 플레이트는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캐리어 및 자기 헤드가 가이드 로드 위의 어떠한 위치에 있어도, 확실하게 자기 헤드의 상하 이동을 실현할 수 있고, 또한 이동 부재인 캐리어의 소형화와 질량의 경감화가 가능해, 리드선의 단선 등의 고장 인자도 없어져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전술한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로드에 필적하는 길이를 갖는 가로로 긴 판형체로 이루어져, 그 일측에 상기 요동 부재의 타단부와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갖고 다른 측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다른 측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미끄럼 접촉부를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 직하다.
승강 플레이트 중 실제로 승강 동작이 필요해지는 것은 요동 부재의 타단부와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 뿐이므로, 가로로 긴 판형체로 이루어지는 승강 플레이트의 일측에 미끄럼 접촉부를 마련하여 다른 측을 저어널하고, 승강 플레이트의 요동에 의한 자세 변화로 미끄럼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등의 간편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어, 복잡한 직접 이동 기구를 채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구조의 간소화와 제조 비용의 저감화가 가능하다.
또한, 요동 부재의 타단부에는 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와 접촉하는 베어링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측에 설치된 요동 부재와 프레임 측에 설치된 승강 플레이트와의 사이의 미끄럼 접촉 저항이 경감되므로, 가이드 로드에 의해 규제되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자기 헤드에 순조롭게 이송을 작용시킬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플레이트의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자기 헤드의 선단부와 슬릿 사이의 공간에 출몰하여 슬릿을 막는 셔터를 병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용지에 대처하고, 또한, 용지 삽입 시의 위치 어긋남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 기록 매체의 위치 변동에도 대처하기 위해,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한 자기 헤드의 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취할 필요가 있어, 이로 인해 슬릿의 길이도 필연적으로 길어지지만, 자기 헤드가 후퇴한 상태에서 슬릿을 막는 셔터를 병설함으로써, 용지의 단부가 슬릿에 걸리는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 셔터는, 구체적으로는 슬릿 측의 면을 위로 볼록하게 한 부분 원호형의 단면을 갖는 가로로 긴 판형체와, 슬릿보다도 하방 위치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이 판형체를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길이 방향 양단부의 아암에 의해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아암을 요동하는 요동 구동 수단은 자기 헤드가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에서 가로로 긴 판형체가 자기 헤드의 선단부와 슬릿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또한 자기 헤드가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가로로 긴 판형체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요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아암을 요동시키도록 구성한다.
셔터의 요동에 의한 자세 변화로 슬릿을 개폐하는 등의 간편한 구성을 적용 함으로써, 구조의 간소화와 제조 비용의 저감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슬릿을 막는 부분으로서 기능을 하는 가로로 긴 판형체를 위로 볼록한 상태로 형성함으로써, 이 원호형 부분을 아암의 요동 동작에 의해 슬릿에 돌입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원호형 단면의 판형체에 의해 실질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 상에서 슬릿을 막는 것이 가능해지므로, 슬릿 및 셔터에 대한 용지의 걸림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셔터의 아암을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을 단일 구동원에 의해 협조 동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의 상하 이동에 필요해지는 움직임과 셔터의 개폐에 필요해지는 움직임을 모두 요동 동작이라 함으로써, 단일 구동원을 이용하여 승강 플레이트와 셔터의 협조 동작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협조 동작의 실현을 위해서는 링크 기구나 캠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이들의 기계 요소를 적절하게 조합함으로써, 승강 플레이트의 요동 동작과 셔터의 개폐 동작을 협조시키는 것, 즉 자기 헤드가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가 상승한 상태)에서 셔터의 판형체가 자기 헤드의 선단부와 슬릿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여 슬릿을 막고, 또한 자기 헤드가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승강 플레이트의 미끄럼 접촉부가 하강한 상태)에서 셔터의 판형체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이탈하여 슬릿을 개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구성을 구비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갖고, 또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위로 반입된 상기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용지의 단부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와,
상기 용지의 단부 위치로부터 상기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까지의 이격 거리를 기억한 기억 수단과,
상기 센서로 검지된 단부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 상당분의 거리만큼 상기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를 이동 목표 위치로서 상기 이송 수단을 구동 제어하고,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에 있는 자기 헤드를 상기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또한 상기 자기 헤드 승강 수단에 의해 자기 헤드를 슬릿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자기 기 록 매체로부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고, 상기 자기 헤드 승강 수단에 의해 자기 헤드를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시킨 후, 자기 헤드의 홈 포지션을 이동 목표 위치로서 상기 이송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 위로 반입된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용지의 단부 위치가 센서로 검지되고, 이 단부 위치가 제어부에 일시 기억된다. 이때, 예를 들어 좌표계로서는 용지의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수직선을 이용하여, 가이드 플레이트의 폭 방향의 단부에 설치된 사이드 플레이트의 위치 등을 좌표 원점으로서 용지의 단부 위치를 검출하도록 한다. 또한, 센서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의 인쇄 헤드 등에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 경우는 용지의 삽입 시에 인쇄 헤드에 이송을 작용시켜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센서를 이동시키고, 센서가 용지의 단부를 검지했을 때의 홈 포지션으로부터의 인쇄 헤드의 이동량, 구체적으로는 인쇄 헤드에 이송을 작용시키는 스테핑 모터의 구동 지령 펄스의 적산치를 기초로 하여 좌표 원점으로부터 용지 단부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용지 사양을 기초로 하여 기억 수단을 검색하고, 이 용지의 단부 위치로부터 자기 기억 매체의 점착 위치까지의 이격 거리(용지에 대응한 사양)를 구한다.
자기 헤드를 이동시켜야 할 목표 위치는 좌표 원점으로부터 용지의 단부까지의 거리에 용지의 단부 위치로부터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까지의 이격 거리를 가산한 값이다.
그리고, 이 위치를 이동 목표 위치로서 이송 수단을 구동 제어하고,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에 있는 자기 헤드를 용지 위의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에 위치 결정한다.
특히, 셔터를 갖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구비한 전표 프린터의 경우에서는, 자기 헤드가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하여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상태에서, 필연적으로 셔터가 슬릿을 폐쇄한 상태가 되므로, 가이드 플레이트 위로 반입되는 용지의 단부가 자기 헤드 또는 슬릿에 걸리는 등의 문제를 확실하게 해소할 수 있다.
그리고, 자기 기록 매체의 접착 위치에 자기 헤드의 위치 결정이 완료된 시점에서, 자기 헤드 승강 수단을 작용시켜 자기 헤드를 슬릿으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기 헤드의 선단부를 자기 기록 매체에 접촉시켜 자기 기록 매체로부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한다.
이때, 셔텨를 갖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구비한 전표 프린터의 경우에서는, 자기 헤드의 상승과 아울러 셔터가 요동하여 슬릿을 개방한다.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은 가로 방향형의 자기 기록 매체를 갖는 용지에 대응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구비한 전표 프린터의 경우에서는 이송 수단으로 자기 헤드를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지고, 또한 세로 방향형의 자기 기록 매체를 갖는 용지에 대응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구비한 전표 프린터의 경우에서는 용지 반송 방향을 따라 용지에 이송을 작용시켜 자기 헤드를 자기 기록 매체에 대해 상대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진다.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이 완료된 시점에서, 자기 헤드 상승 수단을 다시 작동시켜 자기 헤드를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시키고, 또한 자기 헤드의 홈 포지션을 이동 목표 위치로서 이송 수단을 구동 제어함으로써 자기 헤드를 홈 포지션으로 복귀시킨다. 셔터를 갖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구비한 전표 프린터의 경우, 자기 헤드의 하강과 아울러 셔터가 요동하여 슬릿을 개폐한다.
자기 헤드는 하강한 상태에서 홈 포지션으로 복귀하고, 슬릿은 셔터에 의해 폐쇄된 상태가 되어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의 상태가 초기의 대시 상태로 복귀한다.
본 발명의 자기 기록 재생 방법은 용지를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보다도 하방으로 자기 헤드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위로 용지를 반입하고,
상기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상기 자기 헤드를 직선 이동시켜 용지의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에 상기 자기 헤드를 위치 결정하고,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시켜 용지의 자기 기록 매체에 접촉시켜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한 후,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따라 직선 이동시켜 홈 포지션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을 갖는다.
용지를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보다도 하방으로 자기 헤드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자기 헤드를 슬릿의 길이 방향, 즉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기 헤드의 위치 결정을 행한 후, 자기 헤드를 슬릿으로부터 돌출시켜 용지의 자기 기록 매체에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용지의 반송 시에 용지의 단부가 자기 헤드에 걸리는 문제점이 해소되고, 또한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용지에 대처하는 것, 및 용지의 삽입 시의 위치 어긋남으로 인해 생기는 자기 기록 매체의 위치 변동에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자기 헤드가 가이드 플레이트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에서는 가이드 플레이트의 슬릿을 셔터로 막고, 자기 헤드가 슬릿으로부터 돌출할 때에 셔터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기 헤드의 이동 스트로크를 크게 취하기 위해 슬릿의 길이를 길게 한 경우라도, 용지의 단부가 슬릿에 걸리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의 슬릿을 셔터로 막을 때에는, 셔터를 슬릿에 돌입시킴으로써 셔터의 상면을 가이드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 위에 위치시키면 좋다.
가이드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 위에서 슬릿을 막음으로써, 슬릿 및 셔터에 대한 용지의 걸림을 더욱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을 적용한 일 실시 형태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1)[이하, 단순히 전표 프린터(1)라 함]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 도, 도5는 전표 프린터(1)의 부품의 일부를 제거하여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조립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또한 도6은 도1의 화살표 V1-V1로 전표 프린터(1)를 나누어 주요부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7a는 전표 프린터(1)로부터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주요부를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전표 프린터(1)는 자기 기록 매체의 일종인 자기 스트라이프를 점착한 통장에 각종 거래 정보를 인쇄하거나, 그 자기 스트라이프에 대하여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기 위한 것으로, 그 주요부는 개략에 있어서, 용지 반송부(3)와 인쇄부(4)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에 의해 구성된다.
용지 반송부(3)의 주요부는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용지의 일종인 통장(100)을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5)와, 가이드 플레이트(5)의 폭 방향의 단부에 세워 설치된 사이드 플레이트(6), 및 가이드 플레이트(5)와 협동하여 통장(100)의 반송을 용지의 삽입 방향(도4 중 B 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는 상부 플레이트(7), 및 가이드 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7) 사이에 삽입된 통장(100)에 이송을 작용시키기 위한 구동 롤러(8)와 핀치 롤러(9) 등에 의해 구성되고, 도1의 (a) 내지 도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전표 프린터(1)의 경우, 즉 자기 헤드(13)를 통장(100)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도4 중 A 방향)으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는 전표 프린터(1)의 경우에 있어서는, 또한 자기 헤드(13)와 대향하는 위치에 고무 롤러(14)를 구비한다.
인쇄부(4)의 주요부는 도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통장(100)에 각종 거 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도트 임팩트형 인쇄 헤드(10)와, 이 인쇄 헤드(10)를 유지하기 위한 캐리지(11) 등에 의해 구성된다. 인쇄 헤드(10)가 사용하는 잉크 리본이나, 캐리지(11)의 이동 방향을 통장(100)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규제하는 캐리지 가이드, 및 캐리지 가이드를 따라 캐리지(11)에 이송을 작용시키기 위한 캐리지 구동 기구(캐리지 구동 모터)나, 구동 롤러(8)를 회전 구동하여 통장(100)을 반송하기 위한 반송 모터 등에 관해서는 기재를 생략하고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5), 사이드 플레이트(6), 상부 플레이트(7), 구동 롤러(8), 핀치 롤러(9), 인쇄 헤드(10), 캐리지(11), 캐리지 가이드 및 캐리지 구동 기구 등에 대해서는 모두 공지 요소이지만, 본 실시 형태의 인쇄 헤드(10)는 가이드 플레이트(5) 위로 반입된 통장(100)으로부터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용지 단부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12)[이하, 측단부 검출 센서(12)라 함]를 구비하는 점에서 종래의 것과 다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가이드 플레이트(5)는 자기 헤드(13)의 선단부의 돌출을 허용하는 슬릿(15)을 통장(100)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전 폭에 걸쳐 구비하는 점에서 종래의 것과 다르다.
여기에서, 전표 프린터(1)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구성에 대해, 또한, 도7a, 도7b, 도8 및 도9a, 도9b, 도9c를 더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7a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주요부를 전표 프린터(1)로부터 제거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또한 도8 및 도9a, 도9b, 도9c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인 캐리어(16)의 구성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이며, 이 중 도7a, 도7b에서는, 도1의 (a) 내지 도1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하는 캐리어(16)의 구성의 일 예에 대해, 또한 도9a 내지 도9c에서는 도1의 (c) 내지 도1의 (f)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하는 캐리어(16)의 구성 일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전술한 고무 롤러(14)를 필요로 하는 것은 도9a 내지 도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하는 캐리어(16)를 장착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2)를 구비한 전표 프린터(1)이다.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주요부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개략에 있어서, 자기 헤드(13)와 캐리어(16), 및 캐리어(16)의 이동 방향을 규제하는 가이드 수단(17)과, 가이드 수단(17)을 따라 캐리어(16)에 이송을 작용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20), 및 캐리어(16)에 부착된 자기 헤드(13)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자기 헤드 승강 수단(21)에 의해 구성된다.
가이드 수단(17)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일부를 구성하는 가이드 플레이트(5)의 하방에 위치하고, 가이드 플레이트(5)와 평행한 평면 내에서 자기 헤드(13)의 수평 이동을 슬릿(15)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하기 위한 것이다.
이 가이드 수단(17)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프레임(22)에 양단부가 지지된 2개의 가이드 로드(18, 19)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가이드 로드(18, 19)에는 자기 헤드(13)를 부착한 캐리어(16)가 이동 가능하게 미끄럼 끼움되어 있다.
또한, 이송 수단(20)은 가이드 로드(18, 19)에 의해 규제되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자기 헤드(13)[캐리어(16)]에 이송을 작용시키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도7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2)의 일단부에 설치된 구동 풀리(23)와, 프레임(22)의 타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종동 풀리(24), 및 구동 풀리(23)와 종동 풀리(24)와의 사이에 걸쳐져 구동 대상이 되는 캐리어(16)에 접속된 타이밍 벨트(25)와, 구동 풀리(23)를 회전 구동하기 위한 캐리어 구동 모터(26)에 의해 구성된다.
자기 헤드 승강 수단(21)은 가이드 플레이트(5)의 슬릿(15)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방향과 상기 슬릿(15)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자기 헤드(13)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그 주요부는 개략에 있어서, 캐리어(16) 내에서 자기 헤드(13)를 상승 방향을 향해 정상적으로 힘을 가하는 압박 수단(27)과, 이 압박 수단(27)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자기 헤드(13)를 하강 위치[도6에 도시하는 자기 헤드(13)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강제 복귀 수단(28)에 의해 구성된다.
여기에서, 도8 내지 도9a, 도9b, 도9c를 참조하여 자기 헤드 승강 수단(21)을 구성하는 압박 수단(27)과 강제 복귀 수단(28)의 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8에 도시되는 가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캐리어(16)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가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캐리어(16)의 압박 수단(27)은, 가이드 로드(18, 19)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캐리어(16) 내에 고정 설치된 축(29)에 의해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그 일단부가 자기 헤드(13)의 하단부에 피봇 부착된 요동 부재(30)와, 축(29)을 중심으로 하여 자기 헤드(13)가 상승하는 방향, 즉 도5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 부재(30)를 회전 압박하는 스프링(31)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강제 복귀 수단(28)은 가이드 로드(18, 19)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프레임(22)에 배치되고, 적어도 요동 부재(30)의 타단부에 설치된 베어링(32)과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33a)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33)와, 이 승강 플레이트(33)의 미끄럼 접촉부(33a)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37)(도6 참조)과, 그 구동원으로서 기능을 하는 인서터 모터(34)(도5 참조), 및 인서터 모터(34)의 회전을 반복적인 요동 동작으로 변환하여 승강 플레이트(33)에 전달하기 위한 요동 구동 수단(35)[도7a 참조]에 의해 구성된다. 요동 구동 수단(35)과 인서터 모터(34)는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37)의 일부이다.
승강 플레이트(33)는 가이드 로드(18, 19)에 필적하는 길이를 갖는 가로로 긴 판형체로 이루어지져 그 일측, 즉 도8 중에서 우측 부분에, 요동 부재(30)의 타단부에 설치된 베어링(32)과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33a)를 갖는다.
그리고, 승강 플레이트(33)의 다른 측은 대략 L자형으로 굴곡되어 샤프트(36)에 고정 부착되고, 이 샤프트(36)를 중심으로 하여 프레임(22)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37)의 구동원으로서 기능을 하는 인서터 모터(34)의 회전은, 도시하지 않은 기어 열을 거쳐서 도3에 도시하는 캠축(38)에 전달되어, 캠축(38)에 고정 부착된 캠(39)이 회전한다.
그리고, 요동 구동 수단(35)[도7a 참조]을 구성하는 3개의 링크(40, 41, 42) 중, 링크(42)에는 캠(39)의 외주에 접촉하는 캠 종동기(43)가 설치되고, 캠(39)의 회전에 수반하는 캠 종동기(43)와 캠(39)과의 접촉 상태의 변화에 의해, 그 하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스프링(44)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정상적으로 요동 압박되고 있는 링크(42)의 자세가 변화되어, 이 자세 변화가 링크(41)를 거쳐서 링크(40)에 전달되고, 또한, 링크(40)에 고정 부착된 도8의 샤프트(36)가 회전하고, 상기 샤프트(36)에 고정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33)가 그 다른 측 즉 도8 중에서 좌측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함으로써, 우측에 위치하는 승강 플레이트(33)의 미끄럼 접촉부(33a)가 상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자기 기록 재생 장치(2)는 가이드 플레이트(5)에 있어서의 슬릿(15)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자기 헤드(13)의 선단부와 슬릿(15) 사이의 공간에 출몰하여 슬릿(15)을 폐쇄하는 셔터(45)를 구비한다.
셔터(45)는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릿(15) 측의 면을 위로 볼록한 상태로 한 부분 원호형의 단면을 갖는 가로로 긴 판형체(45a)와, 슬릿(15)보다도 하방 위치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판형체(45a)를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판형체(45a)의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설치된 아암(45b, 45b)에 의해 구성된다.
이들의 아암(45b, 45b)을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47)[도7a 참조]은, 전술한 캠축(38) 위에 캠(39)과 병렬로 고정 부착된 셔터 캠(48)(도8 참조)과, 셔터(45)의 길이 방향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아암(45b)에 결합하는 셔터 링크 기 구(46)[도7a 참조], 및 셔터 링크 기구(46)의 단부에 부착되어 셔터 캠(48)의 외주에 접촉하는 캠 종동기(62)에 의해 구성된다.
셔터 링크 기구(46)의 구성을 도7b에 도시한다. 셔터 링크 기구(46)는 도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프레임(22)의 바닥판 위에 고정 설치된 설편(舌片)(64)에 회전축(65)을 거쳐서 그 중앙부가 요동 가능하게 저어널된 요동 바(66)와, 요동 바(프레임)(66)의 일단부에 부착되어 셔터 캠(48)의 외주에 접촉하는 캠 종동기(62), 및 요동 프레임(66)의 타단부와 아암(45b) 위의 핀(67)에 양단부가 피봇 부착된 링크 부재(68)와, 캠 종동기(62)를 셔터 캠(48)의 외주에 접촉시키는 방향, 즉 회전축(65)을 중심으로 하여 도7b 중에서 요동 바(66)를 시계 방향으로 요동 압박하기 위한 스프링(69)에 의해 구성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셔터 캠(48)의 회전에 의해 캠 종동기(62)와 셔터 캠(48)의 접촉 상태가 변화되고, 캠 종동기(62)가 스프링(69)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셔터 캠(48)의 외주부에 의해 도7b 중에서 상방으로 들어 올려져 요동 바(66)가 도7b 중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면, 아암(45b)의 요동 중심보다도 도7b 중에서 우측에 부착된 핀(67)이 요동 바(66)의 타단부에 피봇 부착된 링크 부재(68)를 거쳐서 하방으로 당겨져, 셔터(45)가 도7b 중에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전술한 슬릿(15)이 개방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셔터 캠(48)의 회전에 의해 캠 종동기(62)와 셔터 캠(48)의 접촉 상태가 변화되어, 캠 종동기(62)가 스프링(69)의 압박력에 의해 도7b 중에서 하방으로 밀어 내려져 요동 바(66)가 도7b 중의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 면, 아암(45b)의 요동 중심보다도 도7b 중에서 우측에 부착된 핀(67)이 요동 바(66)의 타단부에 피봇 부착된 링크 부재(68)를 거쳐서 상방으로 밀어 올려져, 셔터(45)가 도7b 중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함으로써 도7b에 도시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전술한 슬릿(15)이 폐쇄되도록 되어 있다.
아암(45b)의 요동에 의해 요동 바(66)의 회전축(65)과 아암(45b) 위의 핀(67)과의 이격 거리가 변화되지만, 이 이격 거리의 변화는 핀(67)과 요동 바(66)의 타단부에 피봇 부착된 링크 부재(68)의 자세 변화에 의해 흡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승강 플레이트(33)의 요동 구동 수단(35)을 작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 기능을 하는 인서터 모터(34)가 셔터(45)의 요동 구동 수단(47)을 작동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도 기능을 한다.
셔터(45)를 구동하는 요동 구동 수단(47)의 구동원으로서 기능을 하는 인서터 모터(34)의 회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기어 열을 거쳐서 도6에 도시하는 캠축(38)에 전달된다.
그리고, 캠축(38)에 고정 부착된 셔터 캠(48)이 회전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셔터 캠(48)의 회전에 수반하는 캠 종동기(62)와 셔터 캠(48)과의 접촉 상태의 변화에 의해 셔터 링크 기구(46)의 자세가 변화되고, 이 자세 변화가 셔터 링크 기구(46)와 결합한 아암(45b)에 전달되어 셔터(45)가 요동하고, 셔터(45)에 있어서의 판형체(45a)의 부분이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슬릿(15)을 폐쇄하는 위치로부터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슬릿(15)을 해방하는 위치로 후퇴하거나, 혹은 도5의 슬릿 개방 위치로부터 도8의 슬릿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또한, 이 동작과 병행하여 캠축(38)에 고정 부착된 캠(39)도 회전한다. 캠(39)의 회전에 의해 캠(39)에 대한 캠 종동기(43)의 접촉 상태가 변화되면, 링크(42)가 요동하고, 이 자세 변화가 링크(41)를 거쳐서 링크(40)에 전달되어 링크(40)에 고정 부착된 도8의 샤프트(36)가 회전한다.
샤프트(36)가 도8 중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샤프트(36)에 고정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33)가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승강 플레이트(33)의 미끄럼 접촉부(33a)가 하강하여, 이 결과 캐리어(16) 내에 고정 설치된 축(29)에 의해 저어널된 요동 부재(30)가 스프링(31)의 압박력을 따라서, 도8 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요동 부재(30)의 일단부에 피봇 부착된 자기 헤드(13)의 상승이 시작된다.
이 시점에서는 이미 셔터(45)가 도8의 슬릿 폐쇄 위치로부터 도5의 슬릿 개방 위치로 후퇴하고 있으며, 자기 헤드(13)는 슬릿(15)을 넘어 상승하게 된다.
상승한 자기 헤드(13)의 선단부는 가이드 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7)와의 사이에 끼인 통장(100)의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접촉하게 되지만, 이 상태에서도 스프링(31)은 어느 정도의 힘 축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이 스프링(31)의 힘 축적에 의해, 자기 헤드(13)의 선단부가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확실하게 압박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압박 수단(27)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스프링(31)이, 슬릿(15)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자기 헤드(13)를 상승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 축적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고 있게 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샤프트(36)가 도8 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 경우에는, 샤프트(36)에 고정 부착된 승강 플레이트(33)가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승강 플레이트(33)의 미끄럼 접촉부(33a)가 상승하여 요동 부재(30)의 베어링(32)을 강제적으로 밀어 올린다.
이 결과, 캐리어(16) 내에 고정 설치된 축(29)에 의해 저어널된 요동 부재(30)가 스프링(3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도8 중에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요동 부재(30)의 일단부에 피봇 부착된 자기 헤드(13)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후퇴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셔터(45)에 있어서의 판형체(45a)의 부분이, 도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슬릿 개방 위치로부터 도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슬릿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도8에 도시하는 상태가 자기 헤드(13) 및 셔터(45)의 초기 위치이다.
즉, 승강 플레이트(33)를 요동시켜 자기 헤드(13)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요동 구동 수단(35)과 셔터(45)를 요동하기 위한 요동 구동 수단(47)과의 관계는, 공통인 캠축(38)에 부착된 캠(39)과 셔터 캠(48)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도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자기 헤드(13)가 슬릿(15)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에서 셔터(45)에 있어서의 가로로 긴 판형체(45a)를 자기 헤드(13)의 선단부와 슬릿(15) 사이의 공간, 즉 슬릿 폐쇄 위치에 유지하고, 또한 자기 헤드(13)가 슬릿(15)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는 셔터(45)에 있어서의 가로로 긴 판형체(45a)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릿 해방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 종동기(43)가 캠(39)의 대경부에 접촉하여 자기 헤드(13)가 하방의 후퇴 위치로 복귀한 상태에서, 도7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캠 종동기(62)가 셔터 캠(48)의 소경부에 접촉하여 셔터(45)가 폐쇄 위치로 복귀한 상태가 되도록 캠축(38)에 대한 캠(39)과 셔터 캠(48)의 부착 각이 결정되고, 또한 자기 헤드(13)의 상승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셔터(45)의 슬릿 개방 위치에의 후퇴가 완료되고, 또한 자기 헤드(13)의 후퇴 위치에의 이동이 완료된 후 셔터(45)가 폐쇄되도록 캠(39)과 셔터 캠(48)의 외주 형상이 설계되어 있다.
다음에,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캐리어(16)의 구성에 대해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중, 도9a는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캐리어(16) 구성의 일 예에 대해 도시한 단면도, 또한 도9b는 그 평면도이며, 또한 도9c에서는 자기 헤드(13)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평행 링크 기구의 구성만을 취출하여, 도9a를 기준으로 하는 좌측면도의 방향성이 도시되어 있다.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캐리어(16)의 경우, 자기 헤드(13)를 상승시키기 위한 압박 수단(27)은, 도9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캐리어(16)와 자기 헤드(13)와의 사이에 설치된 평행 링크 기구(49)와, 자기 헤드(13)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행 링크 기구(49)를 자세 변화시키는 스프링(50)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캐리어(16)의 경우, 자기 헤드(13) 를 하강시키기 위한 강제 복귀 수단(28)은, 가이드 로드(18, 19)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캐리어(16) 안에 고정 설치된 축(29)에 의해 중앙부가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그 일단부를 평행 링크 기구(49)의 상면(49a)에 미끄럼 접촉시키는 요동 부재(30)와, 가이드 로드(18, 19)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프레임(22)에 배치되고, 적어도 요동 부재(30)의 타단부에 설치된 베어링(32)과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33a)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33)와, 이 승강 플레이트(33)의 미끄럼 접촉부(33a)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상승 플레이트 구동 수단(37)(도6 참조), 및 그 구동원으로서 기능을 하는 인서터 모터(34)(도5 참조)와, 인서터 모터(34)의 회전을 반복적인 요동 동작으로 변환하여 승강 플레이트(33)에 전달하기 위한 요동 구동 수단(35)[도7a 참조]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요동 부재(30)는 스프링(31)에 의해 축(29)을 중심으로 하여 도9a 중에서 반시계 방향, 즉 자기 헤드(13)를 상승시키려고 하는 평행 링크 기구(49)의 자세 변화를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회전 압박되고 있다. 또한, 요동 부재(30)에 있어서 평행 링크 기구(49)의 상면(49a)과 접촉하는 일단부에는, 마찰 경감을 위한 베어링(5l)이 도9b에 도시되도록 하여 부착되어 있다.
평행 링크 기구(49)는 구체적으로는 도9b 및 도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도9b의 방향성을 기준으로 하는 자기 헤드(13)의 좌우 양측에 일단부를 요동 가능하게 피봇 부착된 내측 링크 부재(70, 70)와, 상기 내측 링크 부재(70, 70)를 일체로 접합하는 연락부(71), 및 내측 링크 부재(70, 7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피봇 부착된 외측 링크 부재(72, 72)와, 상기 외측 링크 부재(72, 72)를 일체적으로 접합하는 연락부(75)에 의해 구성된다.
내측 링크 부재(70, 70)와 외측 링크 부재(72, 72)는, 도9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축(73)을 거쳐서 피봇 부착되고, 외측 링크 부재(72, 72)의 타단부가 축(74)을 거쳐서 캐리지(16)의 기초부에 피봇 부착되어 있다.
또한, 축(73)에는 전술한 스프링(50)이 헐겁게 끼워져 부착되고, 스프링(50)의 양단부에 형성된 직선부에 의해, 축(73)을 중심으로 하여 내측 링크 부재(70)와 외측 링크 부재(72)가 서로 이격하는 방향, 요컨대 캐리지(16)에 고정 설치된 축(74)을 기준으로 하여 자기 헤드(13)를 상방으로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평행 링크 기구(49)가 압박되고 있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승강 플레이트(33)의 미끄럼 접촉부(33a)가 하강하면, 캐리어(16) 내에 고정 설치된 축(29)에 의해 저어널된 요동 부재(30)가 스프링(31)의 압박력을 따라서, 도9a 중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요동 부재(30)의 일단부에 피봇 부착된 베어링(51)이 상승하여, 이 결과 스프링(50)의 압박력을 따라서, 평행 링크 기구(49)가 자세를 변화시켜 자기 헤드(13)를 상승시킨다.
이 시점에서는, 이미 셔터(45)가 도9a의 슬릿 폐쇄 위치로부터 도5의 슬릿 개방 위치로 후퇴하고 있으며, 자기 헤드(13)는 슬릿(15)을 넘어 상승하게 된다.
상승한 자기 헤드(13)의 선단부는 가이드 플레이트(5)와 상부 플레이트(7) 사이에 끼인 통장(100)의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접촉하게 되지만, 이 상태에서도 스프링(50)은 어느 정도의 힘 축적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결과적으로 이 스프링(50)의 힘 축적력에 의해 자기 헤드(13)의 선단부가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압 박된다.
즉, 본 예에 있어서는 압박 수단(27)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스프링(50)이 슬릿(15)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자기 헤드(13)를 상승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 축적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이와는 반대로 승강 플레이트(33)의 미끄럼 접촉부(33a)가 상승하면, 캐리어(16) 내에 고정 설치된 축(29)에 의해 저어널된 요동 부재(30)의 베어링(32)이 미끄럼 접촉부(33a)에 의해 들어 올려져, 요동 부재(30)가 스프링(31)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도9a 중에서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요동 부재(30)의 일단부에 피봇 부착된 베어링(51)이 내측 링크 부재(70, 70)의 연락부(71)의 상면(49a)을 누른다.
이 결과, 스프링(50)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평행 링크 기구(49)의 자세가 자기 헤드(13)를 하강시키는 방향으로 변화되어, 자기 헤드(13)가 도9a에 도시되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셔터(45)에 있어서의 판형체(45a)의 부분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슬릿 개방 위치로부터 도9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슬릿 폐쇄 위치로 이동한다.
즉, 도9에 도시되는 세로 방향형의 캐리어(16)는 압박 수단(27)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평행 링크 기구(49) 및 스프링(50)과, 요동 부재(30)를 원위치 복귀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스프링(31)[자기 헤드(13)를 상승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기능은 없음]과, 평행 링크 기구(49)의 동작을 규제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요동 부재(30) 및 평행 링크 기구(49)를 압박하기 위한 베어링(51)의 구조를 제외하면, 그 기본 구조가 도8에 도시한 가로 방향형의 캐리어(16)와 마찬가지이며, 또한, 승강 플레이트(33),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37), 인서터 모터(34), 요동 구동 수단(35), 셔터(45) 등에 관해서는, 그 기능도 포함하여 도4 내지 도8에 도시한 것과 완전히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도9에 도시되는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캐리어(16)를 도7a에 도시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캐리어(16)(가로 방향형의 것) 대신에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도9에 도시되는 캐리어(16)를 장착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2)는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2)가 되고, 도8에 도시되는 캐리어(16)를 장착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2)는 가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2)가 된다.
이와 같이, 자기 기록 재생 장치(2)의 주요부를 구성하는 캐리어(16)의 주변 구조를 세로 방향형 및 가로 방향형으로 공통화하고, 필요해지는 부품에 단일성을 갖게 함으로써, 세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2)나 전표 프린터(1) 및 가로 방향형의 통장(100)에 대응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2)나 전표 프린터(1)의 양산 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9a에 도시되는 캐리어(16)에 대하여 자기 헤드(13)를 90°늦추어 부착한 경우, 캐리어(16)의 횡폭[도9b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높이]이 다소 증대하는 문제가 있지만, 이것을 가로 방향형의 캐리어(16)로서 이용할 수 있고, 또한 도8에 도시되는 캐리어(16)에 자기 헤드(13)를 90° 늦추어 부착하면, 이것을 문제없 이 세로 방향형의 캐리어(16)로서 이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전표 프린터(1)가 구비하는 제어부(53)의 구성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한다. 제어부(53)의 주요부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산 수단으로서의 CPU(54)와, CPU(54)의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한 ROM(55), 및 연산 데이터의 일시 기억 등에 이용되는 RAM(56)에 의해 구성된다.
전술한 캐리어 구동 모터(26)와 인서터 모터(34) 및 인쇄 헤드(10)와 자기 헤드(13) 및 다른 도면에서는 기재를 생략한 캐리지 구동 모터(57)와 반송 모터(58)가, 입출력 회로(59)와 각각의 드라이버를 거쳐서 CPU(54)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또한 전술한 측단부 검출 센서(12)와 다른 도면에서는 기재를 생략한 용지 삽입 센서(60)와 반송 위치 검출 센서(61)로부터의 검출 신호가, 입출력 회로(59)를 거쳐서 CPU(54)에 판독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이드 로드(18, 19)를 따라 이동하는 캐리어(16)의 홈 포지션 복귀를 검출하기 위해 프레임(22) 측에 고정 설치된 캐리어 센서(52)[도7a 참조]로부터의 검출 신호도, 입출력 회로(59)를 거쳐서 CPU(54)에 판독된다.
또한, 용지 삽입 센서(60)는 용지 삽입구(63)에 대한 통장(100)의 삽입을 검지하기 위한 센서이며, 또한 반송 위치 검출 센서(61)는 가이드 플레이트(5), 상부 플레이트(7) 사이에 형성된 용지 반송로 중을 이동하는 통장(100)의 선단부를 검지하여 반송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서이다.
반송 위치 검출 센서(61)는 용지 반송로 중에 있어서 통장(100)에 대한 기계 이송이 개시되는 위치보다도 하류측의 임의 위치, 즉 도3에 있어서 좌측에 위치하 는 구동 롤러(8)보다도 우측(하류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기억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ROM(55)에는 통장(100)의 단부 위치로부터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점착 위치까지의 이격 거리(이하, 오프셋치라 함)를 통장(100)의 종별(발행원 등)에 대응시켜 기억한 룩업 테이블이 미리 등록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여기에서 말하는 이격 거리라 함은, 예를 들어 도1의 (c) 내지 도1의 (f)에 도시되는 10.3 ㎜, 15.7 ㎜, 40 ㎜, 100 ㎜ 등의 값이다.
다음에, 자기 기록 재생 장치(2)를 구비한 전표 프린터(1)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해, 도11 내지 도13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단,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자기 헤드(13) 및 셔터(45)의 위치는 가로 방향형인 경우에는 도8, 또한 세로 방향형인 경우에는 도9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것으로 한다.
이용자가 전표 프린터(1)의 통장(100)을 삽입하면, 우선 용지 삽입 센서(60)가 용지의 선단부를 검지하여 CPU(54)에 삽입 검출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S1).
그리고, 이 삽입 검출 신호를 검지한 CPU(54)가 반송 모터(58)를 구동 제어하고, 구동 롤러(8)를 회전시켜 통장(100)의 반송을 개시한다(스텝 S2). 통장(100)의 반송 방향은 도6 중에서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하는 방향이다.
이 단계에서는 자기 헤드(13)가 슬릿(15)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하고, 셔터(45)가 도8 혹은 도9a에 도시되는 슬릿 폐쇄 위치에 있어, 부분 원호형 단면의 판형체(45a)가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여 슬릿(15)에 돌입하는 형태로 실질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5)와 동일 평면 상에서 슬릿(15)을 막고 있으므로, 통장(100)의 선단부가 슬릿(15)의 모서리부나 셔터(15) 등에 걸릴 우려는 없다.
통상, 통장(100)의 삽입 시에는, 그 측단부를 사이드 플레이트(6)에 압박하여 위치 결정을 행할 필요가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반드시 통장(100)의 측단부를 사이드 플레이트(6)에 정확하게 위치 결정할 필요는 없고, 단순히 통장(100)의 측단부가 사이드 플레이트(6)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구동 롤러(8)의 회전에 의해 통장(100)의 반송이 진행되어, 통장(100)의 선단부가 반송 위치 검출 센서(61)에 의해 검출되면, 반송 위치 검출 센서(61)로부터 CPU(54)에 선단부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스텝 S3).
이 선단부 검출 신호를 검지한 CPU(54)는 반송 모터(58)에 대하여 출력하고 있는 구동 지령 펄스의 카운트를 시작하고(스텝 S4), 이 카운트치가 설정 값에 달한 시점에서(스텝 S5) 반송 모터(58)의 구동을 정지하여, 통장(100)의 이송을 정지시킨다(스텝 S6).
도1의 (a) 내지 도1의 (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로형 통장(100)의 경우에 있어서는, 통장(100)의 삽입 단부로부터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중심 위치에 이르는 거리에 다소의 차이가 있는 경우가 있으므로, 통장(100)의 종별에 따른 설정 값을 미리 ROM(55)에 기억시켜 두고, 통장(100)의 종별에 따른 설정 값을 판독하여, 이 설정 값과 카운트 값을 비교하여 반송 모터(58)를 정지시킴으로써 가이드 플레이트(5) 상의 슬릿(15)의 위치에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중심을 위치 결정할 필요가 있지만, 도1의 (c) 내지 도1의 (f)에 도시되는 종형 통장(100)의 경우에서는, 통장(100)의 삽입 단부로부터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선단부 위치에 이르는 거리가 공통되므로, 이 설정치는 고정적인 값으로 상관없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장(100)의 이송을 정지시켜, 가이드 플레이트(5) 상의 슬릿(15)의 위치에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폭 방향의 중심(가로 방향형의 경우) 혹은 선단부(세로 방향형의 경우)를 위치 결정한 후, CPU(54)는 캐리지 구동 모터(57)에 대하여 출력하는 구동 지령 펄스의 수를 카운트하면서 캐리지 구동 모터(57)를 구동하고, 인쇄 헤드(10)의 캐리지(11)를 홈 포지션을 기점으로 하여 용지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스텝 S7), 인쇄 헤드(10)에 구비된 측단부 검출 센서(12)로부터의 단부 검출 신호의 입력 유무를 지켜본다.
그리고, 캐리지(11)와 일체로 이동하는 측단부 검출 센서(12)가 통장(100)의 측단부를 검출하면, 측단부 검출 센서(12)로부터 CPU(54)에 단부 검출 신호가 출력된다(스텝 S8).
단부 검출 신호의 입력을 검지한 CPU(54)는, 이 시점에 있어서의 구동 지령 펄스의 카운트 값을 기초로 하여 캐리지(11)의 홈 포지션으로부터 통장(100)의 측단부에 이르는 거리, 즉 사이드 플레이트(6)로부터 통장(100)의 측단부에 이르는 거리(이하, 위치 어긋남량이라 함)를 구하여 일시 기억한 후(스텝 S9), 캐리지 구동 모터(57)를 반전 구동하여 인쇄 헤드(10)의 캐리지(11)를 홈 포지션으로 복귀시킨다(스텝 S10).
계속해서, CPU(54)는 ROM(55)의 룩업 테이블을 검색하고, 현시점에서 삽입되어 있는 통장(100)의 종별에 따른 오프셋치를 구해(스텝 S11), 이 오프셋치를 전술한 위치 어긋남량에 가산하여, 자기 헤드(13)를 위치 결정해야 할 용지 반송 경로 직교 방향의 이동 목표 위치를 자기 헤드(13)의 홈 포지션을 좌표 원점으로서 구한 다. 단, 실제로 구해지는 값은 자기 헤드(13)를 홈 포지션(좌표 원점)으로부터 이동 목표 위치까지 이동시키는데 필요해지는 구동 지령 펄스의 수이다(스텝 S12).
또한, 통장(100)의 종별을 판정하기 위해 다른 바코드 리더 등의 디바이스를 설치하는 경우도 있다.
계속해서, CPU(54)는 캐리어 구동 모터(26)에 대하여 출력하는 구동 지령 펄스의 수를 카운트하면서 캐리어 구동 모터(26)를 구동 제어하고, 이송 수단(20)을 구성하는 구동 풀리(23) 및 타이밍 벨트(25)를 작동시켜, 하강 상태에 있는 자기 헤드(13)를 유지한 캐리어(16)에 용지 반송 경로 직교 방향의 이송을 작용시키면서(스텝 S13), 이 카운트 값이 이동 목표 위치에 상당하는 펄스 수에 달하는 것을 대기한다.
자기 헤드(13)를 하강시킨 채의 상태에서 캐리어(16)를 이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자기 헤드(13)의 선단부가 통장(100)이나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걸리는 일은 없으며, 따라서, 통장(100)에 부주의한 자세 변화가 생길 우려도 없다.
캐리어(16)의 이송 시에는 캐리어(16) 측의 요동 부재(30)를 프레임(22) 측의 승강 플레이트(33)에 미끄럼 접촉시킨 채 캐리어(16)가 이동하게 되지만, 요동 부재(30)는 베어링(32)을 거쳐서 승강 플레이트(33)의 미끄럼 접촉부(33a)에 접촉하고 있으므로, 과대한 미끄럼 접촉 저항이 작용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이 카운트 값이 이동 목표 위치에 상당하는 값에 달하고, 자기 헤드(13)가 통장(100)에 있어서의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선단부 바로 아래(가로 방향형의 경우) 혹은 폭 방향의 중심 바로 아래(세로 방향형의 경우)에 도달한 것이 확인되면(스텝 S14), CPU(54)는 캐리어 구동 모터(26)의 작동을 멈추어 캐리어(16)의 이동을 정지시킨다(스텝 S15).
캐리어(16)의 이동량은 통장(100)에 고유의 오프셋치와 위치 어긋남량에 의거하여 산출되므로,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점착 위치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통장(100)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해, 마찬가지로 통장(100)의 삽입 시의 위치 어긋남으로 인해 생기는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위치 변동에도 대응할 수 있다.
계속해서, CPU(54)는 승강 플레이트(33)에 있어서의 요동 구동 수단(35)의 구동원 및 셔터(45)에 있어서의 요동 구동 수단(47)의 구동원으로서 기능을 하는 인서터 모터(34)를 작동시켜, 셔터(45)를 도5 혹은 도6의 (a)에 도시되는 슬릿 폐쇄 위치로부터 도2에 도시되는 슬릿 개방 위치로 후퇴시키는 동시에 자기 헤드(13)를 상승시켜 그 선단부를 통장(100)의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접촉시킨다(스텝 S16).
전술한 바와 같이, 자기 헤드(13)의 상승이 완료한 단계에 있어서도, 힘 축적 수단으로서 기능을 하는 스프링(31)[도8의 캐리어(16)의 경우] 혹은 스프링(50)[도9의 캐리어(16)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힘 축적 상태가 유지되고 있으므로, 자기 헤드(13)의 선단부를 확실하게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압박할 수 있다.
또한, 통장(100)의 사양이나 삽입 시에 있어서의 위치 어긋남량의 차이 등에 의해 캐리어(16)가 가이드 로드(18, 19) 위의 다양한 위치에서 위치 결정되게 되지만, 자기 헤드(13)를 상하 방향으로 구동하는 승강 플레이트(33)는 이들의 가이드 로드(18, 19)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캐리어(16)의 위치 결정 위치에 아무런 관계없이, 승강 플레이트(33)의 요동 동작으로 확실하게 자기 헤드(13)를 상승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CPU(54)는 이 전표 프린터(1)에 가로 방향형의 캐리어(1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지 세로 방향형의 캐리어(1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인지를 판정한다(스텝 S17).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전표 프린터(1)에 딥 스위치 등을 설치하고, 공장 출하 시에 부착한 캐리어(16)의 타입에 따른 값을 수동 설정하도록 하고, 스텝 S17의 처리에서 딥 스위치 등의 값을 판독하여 판정 처리를 행하도록 하면 좋다.
여기에서, 이 전표 프린터(1)가 가로 방향형의 것이라 판정된 경우, CPU(54)는 캐리어 구동 모터(26)를 구동 제어하여 이송 수단(20)을 구성하는 구동 풀리(23) 및 타이밍 벨트(25)를 작동시켜, 자기 헤드(13)의 선단부를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캐리어(16)에 용지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이송을 작용시켜, 자기 헤드(13)를 구동 제어하여 자기 스트라이프(101)로부터 자기 정보를 판독하거나 혹은 기록한다(스텝 S18).
자기 헤드(13)의 선단부는 확실하게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압박되고 있으므로,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이 종료되면, CPU(54)는 승강 플레이트(33)에 있어서의 요동 구동 수단(35)의 구동원 및 셔터(45)에 있어서의 요동 구동 수단(47)의 구동원으로서 기능을 하는 인서터 모터(34)를 역방향으로 작동시 켜, 자기 헤드(13)를 하강시켜 그 선단부를 슬릿(15)보다도 하방으로 후퇴시키는 동시에, 셔터(45)를 도5에 도시되는 슬릿 개방 위치로부터 도8 혹은 도9a에 도시되는 슬릿 폐쇄 위치로 복귀시킨다(스텝 S25).
그리고, CPU(54)는 용지 삽입 센서(60)가 통장(100)을 검출하지 않게 될 때 까지 반송 모터(58)를 역회전 방향으로 구동 제어하고, 구동 롤러(8)를 역회전시켜 통장(100)을 도6 중에서 우측으로부터 좌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용지 삽입구(63)에 배출한 후(스텝 S26 내지 스텝 S27), 반송 모터(58)의 작동을 정지시킨다(스텝 S28).
배출 단계에서는 자기 헤드(13)가 슬릿(15)보다도 하방으로 후퇴하고, 셔터(45)가 도8 혹은 도9a에 도시되는 슬릿 폐쇄 위치에 있고, 부분 원호형 단면의 판형체(45a)의 부분이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여 슬릿(15)에 돌입하는 형태로 실질적으로 가이드 플레이트(5)와 동일 평면 상에서 슬릿(15)을 막고 있으므로, 통장(100)이 슬릿(15)의 모서리부나 셔터(15) 등에 걸리게 되는 등의 염려는 없다.
계속해서, CPU(54)는 캐리어 구동 모터(26)를 구동 제어하여 이송 수단(20)을 구성하는 구동 풀리(23) 및 타이밍 벨트(25)를 작동시켜, 하강 상태에 있는 자기 헤드(13)를 유지한 캐리어(16)에 홈 포지션으로 복귀하는 방향의 이송을 작용시키고, 캐리어 센서(52)로부터의 검출 신호의 입력이 확인된 시점에서 캐리어 구동 모터(26)의 작동을 정지시켜, 전표 프린터(1)의 각부를 완전한 초기 상태로 복귀시킨다(스텝 S29).
이와 같이, 자기 헤드(13)의 홈 포지션 복귀를 기다리는 일없이, 자기 정보 의 기록 및 판독 종료 후, 바로 자기 헤드(13)를 하강시켜 셔터(45)를 폐쇄하여 통장(100)의 반송을 시작함으로써(스텝 S18, 스텝 S25 내지 스텝 S26 참조), 전체적인 통장 처리의 소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스텝 S17의 판정 처리에 의해 이 전표 프린터(1)가 세로 방향형의 것이라 판정된 경우에는, CPU(54)는 리트라이 카운터(C)의 값을 0으로 초기화한 후(스텝 S19), 반송 모터(58)를 구동 제어하고, 구동 롤러(8)를 회전시켜 통장(100)을 용지 반송 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자기 헤드(13)의 선단부를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자기 헤드(13)에 대하여 자기 스트라이프(101)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자기 헤드(13)를 구동 제어하여 자기 스트라이프(101)로부터 자기 정보를 판독하거나 혹은 기입한다(스텝 S20).
계속해서, CPU(54)는 자기 정보의 기록 및 판독 시의 에러 발생의 유무를 판정해(스텝 S21), 에러가 없으면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텝 S25 내지 스텝 S29의 처리를 실행하여 통장(100)을 이용자에게 반환한다.
또한, 스텝 S21의 판정 처리에서 에러의 발생이 검출된 경우에는, CPU(54)는 또한, 리트라이 카운터(C)의 현재 값이 재시도 허용 횟수(N)(설정치)에 달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2).
그리고, 리트라이 카운터(C)의 현재치가 재시도 허용 횟수(N)에 달하고 있지 않으면, CPU(54)는 반송 모터(58)를 구동 제어하여 구동 롤러(8)를 역회전시켜 통장(100)을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길이 상당분만큼 용지 반송 방향 상류측으로 역송하고(스텝 S23), 또한, 캐리어 구동 모터(26)를 구동 제어하여 이송 수단(20)을 구성하는 구동 풀리(23) 및 타이밍 벨트(25)를 작동시켜, 캐리어(16)에 용지 반송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송을 작용시키고, 자기 헤드(13)를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오프셋한 위치까지 이동시켜 리트라이 카운터(C)의 값을 1 인크리먼트하고(스텝 S24),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자기 헤드(13)의 선단부를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통장(100)에 이송을 작용시킴으로써 자기 헤드(13)에 대하여 자기 스트라이프(101)를 상대적으로 이동시켜, 자기 헤드(13)를 구동 제어하여 자기 스트라이프(101)로부터의 자기 정보의 판독, 혹은 기입을 시도한다(스텝 S20).
이 재시도 처리는, 최대 N회까지 반복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 사이에 자기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이 적절하게 행해진 것이 스텝 S21의 판정 처리로 검출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텝 S25 내지 스텝 S29의 처리를 실행하여 통장(100)을 이용자에게 반환한다.
또한, N회의 재시도 처리를 반복해도 적정한 기록 및 판독이 행해지지 않아, 리트라이 카운터(C)의 값이 재시도 허용 횟수(N)에 도달해 버린 경우에는, CPU(54)는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중대한 손상이 있는 것으로 간주하여 재시도 처리를 중지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스텝 S25 내지 스텝 S29의 처리를 실행하여 통장(100)을 이용자에게 반환하게 된다.
은행 등에서 이용되는 전표 프린터(1)의 경우에는,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손상을 알리는 주의 메세지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세로 방향형의 전표 프린터(1)에 있어서는 자기 스트라이프(101) 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자기 헤드(13)를 늦춘 상태에서 자기 정보의 기록 및 판독에 관계되는 처리를 반복함으로써, 자기 스트라이프(101)에 소자(감자) 등의 문제가 있었던 경우라도, 자기 정보의 기록 및 판독이 가능해지는 경우가 있어, 통장(100)의 재발행의 번거로움이나 운전 비용의 저감화가 가능해진다.
또한, 스텝 S24에 있어서의 1회분의 자기 헤드(13)의 오프셋 이동량은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폭이나 자기 헤드(13)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당하게 결정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가로 방향형의 전표 프린터(1)의 경우에 있어서는, 자기 정보의 기록 및 판독 시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자기 헤드(13)를 일단 홈 포지션으로 복귀시켜 구동 롤러(8)의 작동으로 통장(100)에 이송을 작용시켜서 자기 스트라이프(101)의 폭 방향의 중심으로부터 약간 자기 헤드(13)를 늦춘 후, 다시 자기 헤드(13)를 반송 경로 직교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재시도 처리를 행하게 하는 등의 일도 고려된다.
이상의 처리 조작에다가, 실제로는 통장(100)에 각종 거래 정보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 헤드(10)의 구동 제어, 및 그때에 필요해지는 캐리지 구동 모터(57)나 반송 모터(58)의 구동 제어도 행해지지만, 이들의 점에 관해서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자기 스트라이프를 비롯한 자기 기록 매체에 자기 정보를 기록하여 재생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이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갖고, 상기 기록 매체를 구비한 통장에 인쇄하는 전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용지를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보다도 하방으로 자기 헤드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자기 헤드를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자기 헤드의 위치 결정을 행한 후, 자기 헤드를 슬릿으로부터 돌출시켜 용지의 자기 기록 매체에 접촉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용지의 반송 시에 용지의 단부가 자기 헤드에 걸리는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가 다른 다양한 종류의 용지에 대처하여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거나, 또한, 용지의 삽입 시의 위치 어긋남에 의한 영향을 받는 일없이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할 수 있다.

Claims (14)

  1. 용지에 점착된 자기 기록 매체로부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기 위한 자기 헤드를 구비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이며,
    상기 자기 헤드의 선단부의 돌출을 허용하는 슬릿을 상기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갖고 상기 용지를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의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평행한 평면 내에서 상기 자기 헤드의 수평 이동을 상기 슬릿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과,
    상기 가이드 수단에 의해 규제되는 직선 이동 방향을 따라 상기 자기 헤드에 이송을 작용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과,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과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하는 방향으로 상기 자기 헤드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자기 헤드 승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상승한 상태에서 상기 자기 헤드를 상승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힘 축적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이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프레임에 양단부가 지지된 가이드 로드에 의해 구성되는 동시에,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미끄럼 끼움된 캐리어에 대하여 승강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자기 헤드 승강 수단이,
    상기 캐리어 내에서 상기 자기 헤드를 상승 방향을 향해 정상적으로 힘을 가하는 압박 수단과,
    상기 압박 수단의 압박력에 대항하여 상기 자기 헤드를 하강 위치로 이동시키는 강제 복귀 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압박 수단이 상기 힘 축적 수단을 겸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대략 평행해지도록 상기 캐리어 내에 고정 설치된 축에 의해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그 일단부가 상기 자기 헤드의 하단부에 피봇 부착된 요동 부재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자기 헤드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요동 부재를 회전 압박하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강제 복귀 수단은,
    상기 요동 부재의 타단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갖고, 상기 가 이드 로드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미끄럼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박 수단은,
    상기 캐리어와 상기 자기 헤드와의 사이에 설치된 평행 링크 기구와, 상기 자기 헤드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상기 평행 링크 기구를 자세 변화시키는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강제 복귀 수단은,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대략 평행해지도록 상기 캐리어 내에 고정 설치된 축에 의해 중앙부를 회전 가능하게 저어널되어 그 일단부를 상기 평행 링크 기구의 상면에 미끄럼 접촉시킨 요동 부재와,
    상기 요동 부재의 타단부에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갖고, 상기 가이드 로드에 대하여 평행해지도록 상기 프레임에 배치되어, 적어도 상기 미끄럼 접촉부의 상하 이동이 가능한 승강 플레이트와,
    적어도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미끄럼 접촉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플레이트는 상기 가이드 로드에 필적하는 길이를 갖는 가로로 긴 판형체로 이루어져, 그 일측에 상기 요동 부재의 타단부와 미끄럼 접촉하는 미끄럼 접촉부를 갖고 다른 측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프레임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승강 플레이트 구동 수단은,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다른 측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승강 플레이트의 상기 미끄럼 접촉부를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7.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동 부재의 타단부에 상기 미끄럼 접촉부와 접촉하는 베어링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기 자기 헤드의 선단부와 상기 슬릿 사이의 공간에 출몰하여 상기 슬릿을 막는 셔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가 상기 슬릿 측의 면을 위로 볼록하게 한 부분 원호형의 단면을 갖는 가로로 긴 판형체와, 상기 슬릿보다도 하방 위치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판형체를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길이 방향 양단부 의 아암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아암을 요동하는 요동 구동 수단은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로 긴 판형체가 상기 자기 헤드의 선단부와 상기 슬릿과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로 긴 판형체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요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기 자기 헤드의 선단부와 상기 슬릿과의 사이의 공간에 출몰하여 상기 슬릿을 막는 셔터를 구비하고, 이 셔터가 상기 슬릿 측의 면을 위로 볼록하게 한 부분 원호형의 단면을 갖는 가로로 긴 판형체와, 상기 슬릿보다도 하방 위치를 요동 중심으로 하여 상기 판형체를 요동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해 설치된 길이 방향 양단부의 아암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아암을 요동하는 요동 구동 수단은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로 긴 판형체가 상기 자기 헤드의 선단부와 상기 슬릿과의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상기 가로로 긴 판형체가 상기 공간으로부터 이탈하도록 상기 요동 중심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아암을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과 상기 승강 플레이트를 요동시키는 요동 구동 수단이, 단일 구동원에 의해 협조 동작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
  11. 제1항에 기재된 자기 기록 재생 장치를 갖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위로 반입된 상기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용지의 단부 위치를 검지하는 센서와,
    상기 용지의 단부 위치로부터 상기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까지의 이격 거리를 기억한 기억 수단과,
    상기 센서로 검지된 단부 위치로부터 상기 이격 거리 상당분의 거리만큼 상기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를 이동 목표 위치로서 상기 이송 수단을 구동 제어하고,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한 상태에 있는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에 위치 결정하고, 또한, 상기 자석 헤드 승강 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자기 기록 매체로부터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을 행하고, 상기 자기 헤드 승강 수단에 의해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시킨 후, 상기 자기 헤드의 홈 포지션을 이동 목표 위치로서 상기 이송 수단을 구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 전표 프린터.
  12. 용지를 하면 측으로부터 지지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보다도 하방으로 자기 헤드를 후퇴시킨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 위로 용지를 반입하는 처리와,
    상기 용지의 삽입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에 형성된 슬릿을 따라 상기 자기 헤드를 직선 이동시켜 용지의 자기 기록 매체의 점착 위치에 상기 자기 헤드를 위치 결정하는 처리와,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시켜 용지의 자기 기록 매체에 접촉시켜 자기 정보의 판독이나 기입의 처리를 행한 후,
    상기 자기 헤드를 상기 슬릿으로부터 하방으로 후퇴시킨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따라 직선 이동시켜 홈 포지션으로 복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보다도 하방으로 후퇴된 상태에서 상기 슬릿을 셔터로 막는 한편, 상기 자기 헤드가 상기 슬릿으로부터 돌출할 때에 상기 셔터를 개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셔터로 막을 때에 상기 셔터를 상기 슬릿에 돌입시켜, 상기 셔터의 상면을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와 동일 평면 위에 위치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 재생 방법.
KR1020060063699A 2005-07-08 2006-07-07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전표 프린터와 자기 기록 재생 방법 KR1007596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200574A JP4463156B2 (ja) 2005-07-08 2005-07-08 磁気記録再生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付き伝票プリンタと磁気記録再生方法
JPJP-P-2005-00200574 2005-07-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599A true KR20070006599A (ko) 2007-01-11
KR100759610B1 KR100759610B1 (ko) 2007-09-17

Family

ID=37721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3699A KR100759610B1 (ko) 2005-07-08 2006-07-07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전표 프린터와 자기 기록 재생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63156B2 (ko)
KR (1) KR100759610B1 (ko)
CN (1) CN1912896B (ko)
TW (1) TWI33886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6225B1 (ko) * 2009-05-07 2011-02-25 한국컴퓨터 주식회사 수직형 통장 프린터
KR20130097321A (ko) * 2012-02-24 2013-09-03 주식회사 신기그룹 횡형 통장과 종형 통장을 모두 처리하는 복합형 통장 프린터
CN105303212B (zh) * 2015-11-23 2018-05-04 福建实达电脑设备有限公司 一种磁条读写装置、打印机及其磁条读写方法
JP6992416B2 (ja) * 2017-11-07 2022-01-13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リンタ装置及びプリント方法
TWI669623B (zh) * 2018-08-16 2019-08-21 亞量科技有限公司 Automatic folding machine
CN111669963B (zh) * 2020-05-26 2023-09-05 江西易通智能装备制造有限公司 一种贴头组件、贴片机及贴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4707A (ja) * 1994-03-03 1995-09-19 Fuji Photo Film Co Ltd 磁気情報読取書込装置
JPH09167471A (ja) * 1995-12-15 1997-06-24 Nippon Conlux Co Ltd カードリーダライタ
KR100579403B1 (ko) * 2003-12-31 2006-05-12 노틸러스효성 주식회사 Ic카드인식기능이 구비된 마그네틱 스트라이프 카드로딩장치
KR100642241B1 (ko) * 2004-12-30 2006-11-10 주식회사 푸른기술 통장 정리기용 자기정보 인식장치
KR20190000980A (ko) * 2017-06-26 2019-01-04 이동원 퍼스널 헬스케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63156B2 (ja) 2010-05-12
CN1912896B (zh) 2010-09-15
TW200717324A (en) 2007-05-01
JP2007018368A (ja) 2007-01-25
KR100759610B1 (ko) 2007-09-17
TWI338862B (en) 2011-03-11
CN1912896A (zh) 2007-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9610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및 자기 기록 재생 장치가 부착된전표 프린터와 자기 기록 재생 방법
US6543685B1 (en) Card processing apparatus for card encoder and printer therein
KR100622363B1 (ko) 매체 반송 기구, 매체 반송 장치 및 매체 반송 방법
US4944616A (en) Passbook read/write mechanism
JPH11349188A (ja) 通帳類取扱装置
EP0398517B1 (en) Passbook handling apparatus
JP2000293735A (ja) 媒体処理装置
KR920004585B1 (ko) 플렉시블 디스크 드라이브의 수동식 헤드 로우딩 장치
JP4346470B2 (ja) カード処理装置
EP0437724A1 (en) A card printing device
JP4307748B2 (ja) 媒体搬送装置
JP4354606B2 (ja) 磁気ストライプ読み取り書き込み装置
JP2006137501A (ja) 原点位置検出装置、記録装置およびそれらの制御方法
JPH0796690A (ja) 媒体処理装置
JP4931468B2 (ja) 媒体処理装置
JP2736703B2 (ja) 通帳処理装置
JPH04284276A (ja) 通帳印字装置
JPH0940231A (ja) 媒体幅寄せ装置
JPH0536642U (ja) 磁気ストライプ処理装置
JPH047177A (ja) プリンタ
JP2015107622A (ja) サーマルヘッド印字機構
JP2002230626A (ja) プリンタ装置
JPS6134600Y2 (ko)
JP2007125856A (ja) 印字装置
JPH0559550U (ja) 通帳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81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