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6017A -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 Google Patents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6017A
KR20070006017A KR1020050060140A KR20050060140A KR20070006017A KR 20070006017 A KR20070006017 A KR 20070006017A KR 1020050060140 A KR1020050060140 A KR 1020050060140A KR 20050060140 A KR20050060140 A KR 20050060140A KR 20070006017 A KR20070006017 A KR 20070006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d
arm
gas generator
ecu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60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60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06017A/ko
Publication of KR2007000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0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34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 B60R21/38Protecting non-occupants of a vehicle, e.g. pedestrians using means for lifting bon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6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actual contact with an obstacle, e.g. to vehicle deformation, bumper displacement or bumper velocity relative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0Bonnets or lids, e.g. for trucks, tractors, busses, work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6Ho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행자와 충돌시 후드의 힌지 결합부위 쪽을 강제로 상승시켜 엔진룸에 대한 후드 이격을 형성해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을 만족함과 더불어 중량 증가를 최대한 줄여 주도록 가스 압력에 의한 자체적인 변형을 통해 후드 상승력을 발생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드 상승장치가 보행자와 충돌하는 차량 전방부위 영역에 서로 간격을 갖고 다수개 장착되어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와, 상기 충격감지센서(1)의 신호에 따라 충격력의 크기를 판단하는 ECU(2), 상기 ECU(2)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점화되어 분출되는 가스 압력으로 수축 변형되어져 힌지 결합 후드(H) 부위를 엔진룸에 대해 이격되도록 상승시키는 리프터(3)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Impact damping typed hood lift device in vehi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의 상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의 작동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의 작동완료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충격감지센서 2 : ECU
3 : 리프터 4 : 가스제너레이터
5 : 변형로드 6 : 절곡연결단
7 : 힌지암 8 : 힌지핀
H : 후드 h : 후드암
본 발명은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충격 감지시 후드의 한쪽 부분을 상승시켜 충돌된 보행자의 부상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필요시 개방시킬 수 있는 후드는 앞쪽에서 들어 올릴 수 있도록 뒤쪽이 힌지 결합되어 차량의 엔진룸 내부를 점검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후드는 엔진룸을 가리는 근본적인 기능이외에 보행자와의 접촉 내지 충돌 사고시 후드위로 떨어지는 보행자의 부상을 줄이도록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 즉, 후드위로 떨어지는 보행자에게 후드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에 따른 부상 정도를 설정하여 시험하게 된다.
이를 위해, 통상적으로 보행자와의 충돌시 힌지 결합된 후드 부위를 강제로 들어 올려 보행자와 후드사이에 완충 역할을 하도록 해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을 만족하도록 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후드 부위를 강제로 들어 올려주는 리프터(Lifter)는 통상적으로, 후드를 상승력을 위해 힘을 발생하는 유압식 액츄에이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방식은 액츄에이터의 장착과 액츄에이터의 운동 경로 확보등을 위한 공간확보와 다수 부품의 사용으로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되면서 중량 증가를 가져와 차량 경량화 설계에 제약을 주게 되는 불편이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보행자와 충돌시 후드의 힌지 결합부위 쪽을 강제로 상승시켜 엔진룸에 대한 후드 이격을 형성해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을 만족함과 더불어 중량 증가를 최대한 줄여 주도록 가스 압력에 의한 자체적인 변형을 통해 후드 상승력을 발생하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후드 상승장치가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충격력의 크기를 판단하는 ECU와, 상기 ECU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점화되어 분출되는 가스 압력으로 수축 변형되어져 힌지 결합된 후드 부위를 엔진룸에 대해 이격되도록 상승시키는 리프터로 구성되되,
상기 리프터는 ECU의 점화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제너레이터와, 상기 가스제너레이터의 가스 분출구에 일단이 연결된 변형로드, 상기 변형로드가 고정된 일단에 대해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연결단 및 일단이 상기 절곡연결단에 힌지핀을 매개로 고정되면서 타단이 후드의 후드암에 힌지핀을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절곡연결단과 후드암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연결된 힌지암으로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바, 본 발명에 따른 후드 상승장치는 보행자와 충돌하는 차량 전방부위 영역에 서로 간격을 갖고 다수개 장착되어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와, 상기 충격감지센서(1)의 신호에 따라 충격력의 크기를 판단하는 ECU(2), 상기 ECU(2)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점화되어 분출되는 가스 압력으로 수축 변형되어져 힌지 결합 후드(H) 부위를 엔진룸에 대해 이격되도록 상승시키는 리프터(3)로 구성되어진다.
이때, 상기 충격감지센서(1)나 ECU(2)에 의한 리프터(3)작동은 보행자와 차량간의 충격이 어느 정도 이상으로 될 때인데, 이는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에 따라 정해짐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ECU(2)는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ACU(Airbag Control Unit)로 대체하여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리프터(3)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ECU(2)의 점화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제너레이터(4)와, 상기 가스제너레이터(4)의 가스 분출구에 일단이 연결되어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약 20bar 정도의 압력을 견딜 수 있는 변형로드(5), 상기 변형로드(5)가 고정된 일단에 대해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연결단(6) 및 일단이 상기 절곡연결단(6)에 힌지핀(8)을 매개로 고정되면서 타단이 후드(H)의 후드암(h)에 힌지핀(8)을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절곡연결단(6)과 후드암(h)사이에 소정 간격을 두도록 연결된 힌지암(7)으로 구성되어진다.
또한, 상기 변형로드(5)는 가스제너레이터(4)에서 20bar 이상의 압력으로 분출되는 가스 압력을 직접 받아 찌그러질 때, 엔진룸부위에 고정된 가스제너레이터(4)가 움직이지 못함에 따라 절곡연결단(6)을 가스제너레이터(4)쪽으로 이동시켜 주게 된다.
또한, 상기 힌지암(7)의 전체길이는 후드(H)를 상승시킨 상태에서 보행자에 의해 가해지는 충격 흡수 정도는 보행자 보호 법규 규정을 만족하는 정도로 설계되어 짐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힌지암(7)과 후드암(h)사이를 결합하는 힌지핀(8)은 통상적인, 후드 힌지 결합부재(예를 들어, 일단이 힌지핀을 매개로 고정되는 2개의 브라켓중 한쪽은 엔진룸 차체에 고정되어 다른 쪽은 후드암(h)이 형성된 후드(H)저면부위에 고정되는 구조 임)로서 기능을 하게 되는데, 이는 후드(H)를 열 때 후드암(h)부위가 힌지핀(8)을 매개로 자유 회전되므로 정상적인 후드 개폐 작용을 수행 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힌지암(7)과 후드암(h)의 결합 중심은 힌지암(7)과 절곡연결단(6)의 결합 중심보다 높게 형성된 중심간격차(L)를 갖는데, 이는 상기 절곡연결단(6)에 수평으로 가해지는 힘이 후드암(h)부위에서 수직하게 가해지도록 하기 위함임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가스제너레이터(4)는 ECU(4)를 통하지 않고 충격감지센서(1)로부터 신호를 직접 받아 점화될 수 있는데 즉, 도면에 표현되지 않았지만 상기 충격감지센서(1)가 작동되면 충격감지센서(1)에서 가스제너레이터(4)로 연결된 전원선을 서로 연결시켜 배터리 전원이 통전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할 수도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후드 상승장치는 보행자와 차량이 어느 정도 이상의 충격력으로 충돌할 때 작동하게 되는데 즉, 차량의 전방부위에 장착된 충격감지센서(1)가 보행자와 충돌에 따른 충격 신호를 ECU(2)에 전달하게 되면, 상기 ECU(2)는 충격감지센서(1)의 신호에 따라 충격력의 크기를 판단해 리프터(3)를 작동시킬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이어, 상기 ECU(2)가 제어 신호를 발생하게 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ECU(2)에 의해 가스제너레이터(4)가 점화되어 가스를 고압·고속으로 변형로드(5)쪽으로 분출시켜주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가스제너레이터(4)로부터 고압·고속 가스가 변형로드(5)에 가해지게 되면, 상기 변형로드(5)는 가스제너레이터(4)에 고정된 부위가 가스 압력(이는, 변형로드(5)가 견딜 수 있는 20bar를 초과하는 압력임)이 순간적으로 가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변형로드(5)가 순간적으로 압착되어져 전체적인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이어, 상기 변형로드(5)의 압착에 따른 길이 감소는 변형로드(5)의 일단에 고정된 절곡연결단(6)을 가스제너레이터(4)쪽으로 잡아당기게 되고, 이와 같은 절곡연결단(6)의 이동은 힌지핀(8)을 매개로 연결된 힌지암(7)의 일단을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이동력(F)을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힌지암(7)을 당기는 이동력(F)에 의해 힌지암(7)에 고정된 후드암(h)부위가 상승력을 받아 후드(H)를 상승시켜 주게 되는데, 이는 상기 힌지암(7)과 후드암(h)의 결합 중심이 힌지암(7)과 절곡연결단(6)의 결합 중심보다 높은 중 심간격차(L)를 갖게 되어 결국, 상기 이동력(F)이 후드(H)를 상승시키는 상승력(Fu)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력(F)이 힌지암(7)에 가해지면 힌지암(7)에 고정된 후드암(h)부위에는, 상기 이동력(F)에 대해 수직과 수평분력을 갖는 상승력(Fu)이 발생해 후드(H)를 위쪽으로 상승시켜 주고, 이로 인해 후드(H)는 힌지암(7)의 길이 만큼 위로 올라가 엔진룸과 이격되어진다.
이에 따라, 보행자가 엔진룸 부위로 떨어지더라도 엔진룸과 공간을 형성한 후드(H)가 충격을 흡수하게 되고, 이는 후드(H)가 보행자에게 가하는 충격을 줄여 주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충돌에 따라 보행자가 차량의 후드로 떨어지더라도 엔진룸에 대해 이격된 상태를 갖는 후드가 충격을 흡수하면서 변형되어져 보행자에 대한 완충 작용을 하게 되므로 보행자의 부상을 방지함은 물론 보행자 보호 법규의 규정을 만족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충돌시 후드 부위를 강제로 들어 올려주는 리프터가 후드의 힌지 결합부를 겸용하면서 가스 압력에 의한 변형을 통해 상승력을 발생하도록 되어, 엔진룸 부위의 변경이나 운동 경로 확보등을 위한 공간확보 및 부품의 과다 사용등이 없어 차량 경량화 설계에 제약을 주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6)

  1. 충돌에 따른 충격력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1)의 신호에 따라 충격력의 크기를 판단하는 ECU(2)와, 상기 ECU(2)의 제어 신호를 통해 점화되어 분출되는 가스 압력으로 수축 변형되어져 힌지 결합된 후드(H) 부위를 엔진룸에 대해 이격되도록 상승시키는 리프터(3)로 구성되되,
    상기 리프터(3)는 ECU(2)의 점화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분출하는 가스제너레이터(4)와,
    상기 가스제너레이터(4)의 가스 분출구에 일단이 연결된 변형로드(5),
    상기 변형로드(5)가 고정된 일단에 대해 절곡된 형상을 갖는 절곡연결단(6) 및
    일단이 상기 절곡연결단(6)에 힌지핀(8)을 매개로 고정되면서 타단이 후드(H)의 후드암(h)에 힌지핀(8)을 매개로 고정되어 상기 절곡연결단(6)과 후드암(h)사이에 간격을 두도록 연결된 힌지암(7)으로 구성되어진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CU(2)는 에어백의 작동여부를 판단하는 ACU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로드(5)는 축 방향으로 가해지는 20bar 압력을 견딜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변형로드(5)는 가스제너레이터(4)에서 분출되는 가스 압력을 직접 받아 찌그러질 때 고정된 가스제너레이터(4)쪽으로 이동하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암(7)과 후드암(h)의 결합 중심은 힌지암(7)과 절곡연결단(6)의 결합 중심보다 높게 형성된 중심간격차(L)를 갖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제너레이터(4)는 충격감지센서(1)가 작동에 따라 충격감지센서(1)에서 가스제너레이터(4)로 연결된 전원선을 서로 연결시켜 통전된 배터리 전원을 통하여 점화될 수 있도록 ECU(2)를 거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KR1020050060140A 2005-07-05 2005-07-05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KR200700060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140A KR20070006017A (ko) 2005-07-05 2005-07-05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60140A KR20070006017A (ko) 2005-07-05 2005-07-05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017A true KR20070006017A (ko) 2007-01-11

Family

ID=37871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60140A KR20070006017A (ko) 2005-07-05 2005-07-05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0601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4706A (zh) * 2017-02-17 2018-08-28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机罩支承杆保持特征件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4706A (zh) * 2017-02-17 2018-08-28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机罩支承杆保持特征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7747B1 (ko) 파단형 후드 힌지장치
US7637344B2 (en) Pedestrian protecting apparatus of vehicle hood
US6938715B2 (en) Hood structure of motor vehicle
CN206734229U (zh) 保险杠前伸式汽车液压缓冲自动防撞安全装置
JP4200440B2 (ja) 歩行者保護装置
US20040112664A1 (en) Safety arrangement for a vehicle
US7192079B2 (en) Pedestrian protection apparatus for motor vehicles
CN100400346C (zh) 用于偏转机动车外镶板部件的布置
EP1615808B1 (en) A safety device
KR20100055932A (ko) 차량용 후드의 보행자 보호 장치
KR20070006017A (ko) 충격 감쇄를 위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KR100645206B1 (ko) 복귀 기능을 갖는 차량용 후드 리프트 업 장치
JP2012111264A (ja) 車両用衝突検知装置
KR100613778B1 (ko) 에어백을 이용한 차량 후드 상승장치
KR101028454B1 (ko) 자동차의 후드 리프트 장치
KR100733694B1 (ko) 차량의 후드 리프트 장치
CN111267772A (zh) 一种行人被动保护装置
CN201325412Y (zh) 行人保护气囊装置
CN217705743U (zh) 弹出式发动机罩装置
KR100471495B1 (ko) 자동차용 후드패널의 충격흡수구조
KR100368401B1 (ko) 자동차의 충격완충형 후드 로크장치
KR100558872B1 (ko) 자동차의 후드힌지장치
KR20040050203A (ko) 보행자보호를 위한 후드상승장치
KR100709464B1 (ko) 차량의 직접 작용식 후드 상승장치
EP3067241B1 (en) A vehicle impact sensor arran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