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645A -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645A
KR20070004645A KR1020067016980A KR20067016980A KR20070004645A KR 20070004645 A KR20070004645 A KR 20070004645A KR 1020067016980 A KR1020067016980 A KR 1020067016980A KR 20067016980 A KR20067016980 A KR 20067016980A KR 20070004645 A KR20070004645 A KR 2007000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threaded
receiving container
receiv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6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6711B1 (ko
Inventor
프란츠 콘라드
Original Assignee
그라이너 바이오-원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라이너 바이오-원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그라이너 바이오-원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7000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67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67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50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 B01L3/508Containers for the purpose of retaining a material to be analysed, e.g. test tubes rigid containers not provided for above
    • B01L3/5082Test tubes per se
    • B01L3/50825Closing or opening means, corks, bu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05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for collecting, storing or administering blood, plasma or medical fluids ; Infusion or perfusion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8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engaging a threaded ring clamped on the external periphery of the neck or w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002Closures to be pierced by an extracting-device for the contents and fixed on the container by separate ret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200/00Solutions for specific problems relating to 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 B01L2200/12Specific details about manufactu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2300/00Additional constructional details
    • B01L2300/04Closures and closing means
    • B01L2300/041Connecting closures to device or container
    • B01L2300/042Caps; Plu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mat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 Closing Of Container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액, 조직부 또는 조직 배양을 위한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한 수용 용기(5)의 개방된 한 단부와 밀폐 장치(9)의 캡(20)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캡(20)과 상기 수용 용기(5) 사이에서는 공통의 종축(14)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대적인 회전 동작 및 선회 동작이 실행된다. 상기 상대적인 동작을 형성하기 위하여, 조립될 부품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는 대략 종축(14)의 방향으로 향하는 압력(F)이 가해진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밀폐 장치(9)를 형성하기 위한 캡(20), 수용 용기(5) 그리고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형성되는 수용 장치(1)와도 관련이 있으며, 상기 수용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캡(20), 상기 캡 내부에 지지된 밀봉 장치(21) 그리고 수용 용기(5)를 포함한다.
수용 장치, 수용 용기, 밀폐 장치, 캡, 회전 동작, 선회 동작

Description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METHOD FOR THE ASSEMBLY OF A CAP WITH A RECEPTACLE}
본 발명은 청구항 1, 청구항 19, 청구항 40 및 청구항 95에 기술된 바와 같은, 수용 용기의 일 단부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상기 방법을 위해 형성된 캡 그리고 수용 용기 및 상기 수용 용기로부터 형성된 수용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76의 전제부에 기술된 바와 같은, 분리 장치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기 위한 수용 용기와도 관련이 있다.
수용 용기 및 상기 수용 용기와 연결될 수 있는 밀폐 장치를 포함하는 다양한 수용 장치들이 유럽 특허 출원서 제 867 678 B1호, 유럽 특허 출원서 제 1 174 085 B1호 및 미국 특허 공개 공보 제 6,017,317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헌들에서는 밀폐 장치, 특히 캡과 수용 용기의 폐쇄될 단부 사이에 있는 나사선 장치의 형태로 된 커플링 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나사선 장치는 수용 용기의 영역에서 둘레에 분배 배치된 나사선 세그먼트를 포함하며, 상기 나사선 세그먼트는 각각 원주 방향으로 상호 간격을 두고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상기 캡의 내부면 영역에는 다수의 층으로 구성된 밀봉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밀봉 장치는 재차 밀폐 가능한 층, 상기 층과 가스 차단 부재 사이에 배치된 연결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스 차단 부재와 수용 용기 사이에 있는 추가의 연결층을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재차 밀폐 가능한 부재는 고온 용융 접착제에 의해서 캡 내부에 접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 차단 부재와 수용 용기 사이에 있는 추가 연결층의 연결력 또는 지지력은 상기 재차 밀폐 가능한 부재와 캡 사이에 배치된 고온 용융 접착제의 연결력보다 작다. 상기 수용 용기에 있는 나사선 경로를 참조하여 캡을 가이드 하고 사전에 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캡 내부에는 가이드 연장부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연장부는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개별 나사선 경로 사이의 간극보다 더 짧게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수용 용기와 캡의 결합 과정은 상기 캡 상에 제공되는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동일한 출원인의 다른 밀폐 장치들은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915 737 B1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간행물에서 원추형으로 형성된 밀봉 부재는 수용 용기의 바닥 영역에 삽입되어 있고, 충분한 밀봉 상태에 도달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용기의 외부 둘레에 결합되는 캡에 의해서 바이어스 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때 커플링은 캡과 유사한 밀폐 부재와 수용 용기 사이에서 실행되는 순전히 스냅 연결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동일한 출원인의 또 다른 추가 밀폐 장치는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445 707 B1호 또는 미국 특허 출원서 5,294,011 A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간행물에서 캡과 밀봉 부재 사이에는 커플링 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커플링 장치는 캡의 영역에서 내부 표면 위로 종축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부 및 밀봉용 마개 위로 돌출하는 쇼울더(shoulder)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추가로, 상기 밀봉용 마개의 플랜지 형태의 쇼울더와 수용 용기로부터 멀리 떨어져 배치된 상기 캡의 연장부 사이에는 추가의 지지 링이 제공되어 있다. 캡을 수용 용기 상에 올리거나 또는 그 위에 나사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캡의 내부면에는 가이드 웨브(guide web) 또는 나사선 경로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가이드 웨브 또는 나사선 경로는 가이드 연장부와 함께 수용 용기 상에서 상호 작용한다. 이때 나사 결합 과정에 의해서 캡을 결합시키는 것은, 캡과 수용 용기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에 의해서 야기되거나, 또는 캡을 단순히 수용 용기에 있는 가이드 연장부 위로 미끄러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일한 출원인의 추가의 밀폐 장치들은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419 490 B1호, 미국 특허 출원서 제 5,275,299 A호 그리고 미국 특허 출원서 제 5,495,958 A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문서들에는, 한편으로 캡과 수용 용기 사이의 커플링 장치 그리고 상기 캡 내부에 배치된 밀봉 장치와 상기 캡 사이에 있는 추가 커플링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이 경우 캡과 수용 용기 사이에 있는 커플링 장치는 재차 수용 용기의 영역에 있는 가이드 연장부 및 상기 가이드 연장부와 결합될 수 있는 예컨대 나사선 경로와 같은 가이드 웨브에 의해서 캡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는 캡이 수용 용기의 개방된 정면 위에 올려질 정도까지 오랫동안 나사 결합 동작이 이루어짐으로써, 수용 용기의 가이드 연장부는 상기 가이드 웨브 또는 나사선 경로의 단부와 상기 캡의 정면 벽 사이의 공간에 머물게 된다. 그럼으로써, 캡의 자유로운 회전은 커플링 장치의 결합이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도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능해진다. 이 경우에도, 재차 캡의 결합은 나사 결합 과정에 의해서 또는 캡을 상기 캡 상에 배치된 가이드 웨브와 함께 수용 용기 상에 있는 가이드 연장부 위로 미끌어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작용은 캡의 탄성에 의해서 가능하다.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753 741 A1호에는, 종축으로 상호 떨어져 있는 2개의 단부를 포함하는 수용 용기를 구비한 수용 장치가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단부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개구에 의해서 형성된다. 종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 있는 제1 개방 단부 영역에서의 수용 용기의 내부 치수는 동일한 공간 방향으로 상기 평면과 평행하게 정렬된 평면에 있는 추가 단부 영역에서의 내부 치수보다 크다. 또한 상기 개방 단부에는 링 형상의 부품이 삽입되어 있는데, 상기 부품은 수용 용기의 개방된 정면을 칼라(collar)로 커버하고, 원통형의 벽 부분을 수용 용기의 내부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밀어 넣는다. 상기 링 형상의 부품은 원통형 벽 부분에 연결되어 쇼울더 및 상기 쇼울더와 연결된 횡단면 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횡단면 확장부 상에서는 분리 장치의 탄성적인 밀봉 부재가 출발 위치에서 지지된다. 중앙에서는 상기 분리 장치가 리세스를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는 얇은 커버 플레이트에 의하여 수용 용기의 상단부 영역에서 밀폐되어 있다. 개별 부품들의 조립, 특히 분리 장치의 삽입은 진공 챔버 내에서 이루어지는데, 그 이유는 분리 장치를 삽입한 후에는 상기 분리 장치를 손상시키지 않고서는 내부 공간으로의 접근이 더 이상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추가로, 상기 링형 부품의 칼라 형태의 쇼울더에는 또 하나의 박막이 접착되고 캡이 설치된다. 내부 공간을 채우는 과정은 상기 분리 장치, 상기 박막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캡의 얇은 커버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찌름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채움 과정에 의하여 내부 공간에서 진공이 제거됨으로써, 공기도 또한 함께 내부 공간으로 흡인된다. 그런 다음에 원심 분리 과정이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는 분리 장치가 링형 부품으로부터 밀폐된 단부의 방향으로 인출되고, 상기 부품의 밀봉 부재는 계속해서 상기 수용 용기의 내부 표면에 인접하게 된다. 혼합물 또는 이미 분리된 성분들 내에서의 침전 속도는 상기 내부 표면에 있는 탄성 밀봉 부재의 압착력에 의해서 결정된다. 상기 혼합물의 분리될 성분들을 참조하여 전체 분리 장치의 밀봉부를 선택함으로써, 상이한 밀봉부를 갖는 두 가지 매체 사이에 분리면에서 상기 밀봉부의 표류(floating)가 이루어진다. 원심 분리 과정 중에 보다 가벼운 매체를 관통하는 과정은 수용 용기의 내부 표면과 상기 탄성 밀봉 부재 사이에서 가능하다.
분리 장치를 구비한 추가의 수용 장치는 유럽 특허 출원서 제 1 005 910 A2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추가의 수용 장치는 거의 일정한 내부 직경을 가지며 원통형으로 형성된 수용 용기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 용기의 개방 단부에는 관통하여 찌를 수 있는 폐쇄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출발 위치에서는 분리 장치가 상기 폐쇄 장치에 거의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상기 분리 장치는 복원될 수 있는 가요성 재료로 형성되며, 이 경우 상기 분리 장치의 외부 둘레에는 수용 용기의 내부 표면을 밀봉시키기 위한 밀봉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추가로, 내부 공간에는 또 하나의 변형 가능한 부재가 삽입되어 있고, 상기 부재가 원심력이 제공되는 동안 매체에 의해서 가해진 압력에 의하여 외부 용기의 내부벽에 프레스 됨으로써 분리 장치와 상기 삽입되고 변형된 삽입부 사이에 관류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관류 채널은 원심력의 제거 후에 상기 분리 장치 상에 배치된 밀봉 부재와 함께 재차 하나의 밀봉층을 차지하게 되며, 그럼으로써 상호 분리된 매체는 서로 분리된 상태로 유지된다.
적어도 2개 매체의 혼합물을 위한 수용 장치는 이미 독일 특허 출원서 제 195 13 453 A1호에 따라 공지되어 있고, 상기 수용 장치는 시험관 형태의 수용 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수용 용기의 개방된 정면 영역은 밀폐 장치에 의해서 밀폐되어 있고, 상기 수용 용기 내부에는 분리 후에 상기 혼합물의 상이한 매체를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 장치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용기의 내부 공간에 혼합물을 채울 때 상기 분리 장치의 정면과 접촉하는 매체에 의해서 나중에 더 많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분리 장치의 중앙 영역에는 관통 개구가 제공되고, 상기 관통 개구를 통하여 혼합물이 수용 용기의 남아 있는 내부 공간 안으로 유입될 수 있다. 1,000g 내지 5,000g의 방사형 원심력(rcf) - 이 경우 g는 중력이고, 1g는 9.81m/s2의 값이다 - 을 이용한 종래 방식의 원심 분리에 의한 후속하는 분리 과정 중에는, 상기 혼합물로부터 분리된 하나의 매체가 분리 장치 내에서의 관통에 의하여 상기 밀봉 장치와 분리 장치 사이에 있는 영역으로 옮겨지고, 그 결과로 상기 수용 용기의 폐쇄된 단부의 방향으로 침전된다. 관통에 의한 분리 후에 상기 폐쇄된 단부와 분리 장치 사이에 있는 다른 매체가 상기 매체로부터 분리된 매체와 재차 혼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다른 매체의 통상적으로 남아 있는 양에 상응하는 레벨에서 상기 폐쇄된 단부의 방향으로 원뿔 형태로 확장되는 단부 스토퍼가 제공되고, 상기 단부 스토퍼에 의해서 분리 장치는 상기 관통구를 관통하는 단부 스토퍼 상에 충돌하게 된다. 상기 단부 스토퍼의 외부 직경이 상기 관통구의 내부 직경과 일치하자마자, 분리 장치는 상기 위치에서 유지되며, 그럼으로써 관통구는 스토퍼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2개 혼합물의 교체 또는 재혼합이 전혀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본 변형 실시예에서의 단점은, 내부 스토퍼를 구비한 작은 튜브가 제작되어야만 하고, 분리 장치 내부에 배치된 관통구에 의하여 야기되는 매체 분리의 확실한 기능이 전혀 보장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분리 장치를 수용 용기의 내부 공간에 추후에 사용하는 것도 구현하기가 어렵다.
수용 용기의 2개의 정면 단부 영역이 밀폐 장치에 의해서 밀폐된, 적어도 2개의 상이한 매체로 구성된 분리될 혼합물을 원심 분리하기 위한 다른 수용 장치는 WO 96/05770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내부에는 밀봉 플레이트에 의해서 형성된 분리 장치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분리 장치는 겔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원심 분리 과정 중에 상기 겔 플러그는 상대적으로 적은 비중을 갖는 매체의 비중보다는 높고 상대적으로 높은 비중을 갖는 매체의 비중보다는 낮은 자신의 비중 때문에, 자신에게 가해지는 원심력으로 인하여, 서로 분리된 상이한 2개 매체들 사이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이와 같이 위치 설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혼합물의 하나의 매체가 다른 매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 경우의 단점은, 겔로 이루어진 분리 장치로 인하여, 다수의 경우에 수명이 정상적인 사용 수명을 위해서 충분치 않다는 것이다.
상이한 밸브 장치 및 필터 부재 부재에 의해서 형성되었고, 분리 장치가 그 내부에 배치된 다른 수용 장치들이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311 011 A2호, 미국 특허 출원서 제 3,897,343 A호, 미국 특허 출원서 제 3,897,340 A호, 미국 특허 출원서 제 4,202,769 A호 그리고 미국 특허 출원서 제 3,897,337 A호에 공지되어 있다.
분리 장치가 그 내부에 존재하는 다른 수용 장치들은 유럽 특허 출원서 제 1 106 250 A2호, 유럽 특허 출원서 제 1 106 251 A2호, 유럽 특허 출원서 제 1 106 252 A2호, 유럽 특허 출원서 제 1 106 253 A2호 그리고 유럽 특허 출원서 제 1 107 002 A2호에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간행물들에서 분리 장치는 매우 상이한 실시예로 형성되어 있고, 원심 분리 과정 중에 이루어질 수 있는 분리 장치의 부품의 변형 가능성의 원칙 그리고 분리될 매체 사이의 밀봉부 튜닝 원칙을 토대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용 용기의 일 단부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 상기 방법에 적합한 캡 그리고 수용 용기 및 상기 방법에 의해서 결합된 수용 장치를 제조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서는 조립 또는 결합 과정이 이를 위해 필요한 조립 장치와 관련해서 간단하고 경제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그러나 더 나아가서는 수용 장치를 형성하기 위한 수용 용기도 제조되어야 하는데, 상기 수용 용기는 그 내부에 배치된 분리 장치와 상호 작용하여 이미 충전 과정을 용이하게 하고, 그에 따라 이미 상기 혼합물을 수용 장치의 내부 공간에 채우는 과정이 시작될 때부터 원심 분리가 완료된 후까지도 혼합물의 분리될 성분을 완벽하고도 지속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밀폐 장치가 완전히 올려진 상태의 수용 용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라 형성된 수용 장치를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는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제조 장치 또는 결합 장치의 영역에서 밀봉용 마개를 제거한 수용 용기 및 캡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캡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따른 캡의 절단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3 및 도 4에 따른 캡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용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따른 수용 용기의 일부분 영역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6 및 도 7에 따른 수용 용기의 폐쇄될 단부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나사선 경로 영역에 있는 도 6 내지 도 8에 따른 수용 용기의 부분 섹션을 절단하여 확대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0은 여전히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다른 제조 장치 또는 결합 장치의 영역에서 밀봉용 마개를 제거한 수용 용기 및 캡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1은 내부 공간에 삽입될 추가 분리 장치를 구비한,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수용 장치의 다수의 실시예들을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2는 수용 용기의 추가로 가능한 실시예의 일부분 영역의 개략적인 사시 도이고,
도 13은 도 12에 따른 수용 용기 및 그 내부에 삽입된 분리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4는 상기 분리 장치용의 추가의 위치 설정 장치를 구비한 도 12 및 도 13에 따른 수용 용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에 따른, 그러나 부분 장치가 없는 수용 용기의 일부분 영역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6은 리세스 영역에 있는 수용 용기의 다른 부분 영역을, 도 14의 선 XVI-XVI를 따라 절단한 평면도 그리고 개략적인 확대도이고,
도 17은 세그먼트 방식으로 형성된 나사선 경로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추가 캡의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18은 세그먼트 방식으로 형성된 나사선 경로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용 용기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캡 및 그 내부에 지지된 밀봉 장치 그리고 앞치마 형상의 연장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확대 단면도이며,
도 20은 관류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수용 용기의 다른 실시예의 추가 부분 영역을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1은 밀봉 장치 상에 코팅을 제공할 수 있는 가능성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2는 수용 용기 상에 코팅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가능성을 부분적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3은 수용 용기 위에 완전히 나사 결합된 위치에 있는 캡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수용 장치의 일부분 영역을 절단하여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24는 도 23에 따른, 그러나 캡이 부분적으로 나사 결합 해체된 위치에 있고, 나사선 경로들이 여전히 결합 상태에 있는 수용 장치의 개략도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기술된 특징에 따라 수용 용기의 일 단부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서 달성된다. 상기 청구항의 특징부의 특징 조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장점으로서는, 단지 수용 용기 또는 캡의 종축 방향으로 향하는 압력(F)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부품 그룹의 부품 사이에 배치된 나사선 장치의 상호 작용에 의해 상기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압력(F)이 상기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인 선회 또는 회전 동작을 발생시키고, 그에 따라 나사 결합 과정이 실행된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상기와 같은 경우 이외의 경우에 반드시 필요한, 지금까지 그 목적을 위해 필요한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을 실행했던 조립 자동화 장치들이 절약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방법은 조립 자동화 장치의 분야에서 비용 절감을 유도하는데, 그 이유는 이 경우에는 상응하는 파워 제공에 의해서 한 가지 이상의 단순한 길이 방향 동작이 실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보다 적은 공간 수요 및 본 발명에 의해서 가능한 보다 짧은 클럭(clock) 시간에 의해서도 비용 절감이 성취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간편해진 결합 과정으로 인해, 상황에 따라 발생되는 관리 작업 또는 수리를 위한 비용도 절감된다.
또한 청구항 2 내지 청구항 4에 기술된 특징에 따른 조치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조치에 의해 수용 장치의 결합 과정 또는 조립 과정을 위한 취급이 보다 우수하게 그리고 보다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캡 또는 수용 용기의 예정된 지지 작용에 의해서는, 수용 용기 및/또는 캡이 예정된 압력(F)의 제공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대적인 선회 동작 또는 회전 동작으로 보내질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또한 더 나아가 캡이 수용 용기 상에 느슨하게 결합될 수 있고, 그 다음에 상기 수용 용기가(용기들이) 고정적으로 지지되고, 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파워(F)의 제공에 의해서 캡이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동작으로 보내질 수 있음으로써, 결합 과정이 실행되고, 상응하게 선택이 이루어진 경우에는 완전한 나사 결합까지도 실행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나사 결합될 수용 장치들의 다중 배열도 가능하며, 그에 따라 기계 비용이 낮은 경우에는 추가로 더 간단하고 신속한 조립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의 바람직한 조치 방식은 청구항 5에 기술되어 있으며, 상기 조치 방식에 의해서는 캡과 수용 용기 사이에 있는 커플링 장치와의 상호 작용에 의하여 나사선 장치의 형태로, 예정 가능한 명확한 나사 결합 동작이 실행된다. 압력 및 결합 속도의 레벨을 선택함으로써, 결합된 부품들 사이의 명확하게 예정 가능한 최종 위치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바람직한 조치 방식은 청구항 6에 기술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조치 방식에 의해 수용 용기를 위한 밀봉 폐쇄 장치가 제작될 수 있고, 직선 운동의 회전 운동으로의 변환에 의해서 상기 폐쇄 장치가 간단한 방식으로 수용 용기 내부로 삽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7에 따른 방법 단계에 따른 조치에 의해서는, 축방향 압력의 회전 동작으로의 균일한 변환이 달성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조치 방식은 청구항 8에 기술되어 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조치 방식에 의해 서로 결합될 또는 조립될 부품들이 상호 계속해서 동일한 출발 위치를 취함으로써 언제나 예정된 최종 위치에 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청구항 9에 기술된 특징에 따른 조치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조치에 의해서는 전체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을 통하여, 완전하게 나사 결합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그리고 해체시에도 상호 가이드가 보장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10 또는 청구항 11에 따른 방법 변형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변형예에 의하여 서로 결합되어 있는 나사선 경로들의 선택된 경사각 및 코팅에 따라서 조립을 위해 필요한 압력이 감소되거나 또는 강하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보다 확실하고 신속한 결합 과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에 의해서는 또한 마찬가지로 밀봉용 마개와 수용 용기 사이의 밀봉 특성도 추가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청구항 12 내지 청구항 17에 기술된 특징에 따른 조치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조치에 의하여 결합될 부품들 사이의 상이한 마찰 비율에 따라서 코팅이 선택적인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제공 장소에 따라 코팅을 상응하게 선택하는 경우에는 그에 상응하게 마찰값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청구항 18에 기술된 특징에 따른 조치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하나의 작업 공정에서 다수의 수용 장치들이 완성될 수 있음으로써, 짧은 클럭 시간 안에 매우 많은 개수의 조립된 수용 장치들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공통의 결합 과정을 위한 적은 공간 수요로도 충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단지 청구항 19의 특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청구항 19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 얻어지는 놀라운 장점은, 적용될 압력과의 상호 작용 하에서 경사각을 선택함으로써, 압력(F)을 순전히 축방향으로만 제공하더라도 조립될 부품들 사이의 결합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경사각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한편으로는 순전히 축방향 압력이 캡과 수용 용기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으로 변환되는 것이 고려되어야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밀봉용 마개가 수용 용기 내부로 확실하게 삽입되는 동작이 고려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확한 선택에 의하여 결합 과정 또는 나사 결합 과정이 간단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청구항 20 또는 청구항 21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서는, 경사각의 추가의 한계가 변동될 수 있고, 결합될 부품들에 따라서 정확한 정밀 튜닝이 실행될 수 있다.
청구항 22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낮은 재료 절감과 동시에 나사 결합 과정 또는 결합 과정도 또한 용이해질 수 있다.
청구항 23 또는 청구항 24에 따른 추가 실시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짧은 선회각에 의해 캡을 수용 용기 상에 완전하게 나사 결합하는 과정 또는 올려놓는 과정이 성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와 마찬가 지로, 다중 경로의 나사선 장치에 의해서는, 상기 결합 과정 또는 나사 결합 과정을 위해서 필요한 압력이 캡 또는 수용 용기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보다 우수하게 분배되어 결합될 부품들의 균일한 하중이 성취하기 때문이다.
또한 청구항 25에 따른 실시예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도 마찬가지로 캡을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간단하고 우수하게 사전 센터링하는 작업이 결합 과정의 시작 때에 이미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청구항 26 또는 청구항 27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연장될 나사선 경로의 높이 위로 충분한 경사각이 달성될 수 있고, 상기 경사각이 캡에 작용하는 압력을 선회 동작 또는 회전 동작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8에 따른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라서는, 둘레에 걸쳐서 볼 때 보다 간단한 제조 및 그와 연관하여 캡을 몰드로부터 분리시키는 과정이 가능해진다.
청구항 29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캡을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사전 위치 설정하는 과정을 유리하게 할 수 있고, 또한 후속하는 결합 과정도 마찬가지로 용이해질 수 있다.
청구항 30에 따른 개선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개선예에 의해서는 코팅의 선택에 따라서, 결합될 부품들 사이의 정지 및/또는 슬라이딩 마찰이 간단하게 그리고 다른 무엇보다도 결합 과정을 위해서 사전에 명확하게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31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서는, 마찰 계수를 더욱 감소시킴으로써 결합 과정을 보다 용이하고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코팅이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서 로 결합되어 있는 재료에 맞추어 더 우수하게 튜닝될 수 있다.
청구항 32에 따른 일 실시예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마찰을 줄이는 성분들이 장소에 따라 캡 내부에서 예비적으로 유지되어, 예를 들어 제1 결합 과정에서 비로소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으로써, 캡 내부의 임의의 장소에서 예정된 공간 배치가 가능해진다.
청구항 33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서는, 캡을 형성하기 위한 전체 재료 또는 물질 내부에 미리 윤활제 또는 윤활 첨가제를 상응하는 분배 방식으로 적어도 캡의 전체 내부 표면에 걸쳐서 저장하거나 또는 주입함으로써 추가 코팅의 도포가 절약될 수 있다.
청구항 34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나사선 장치의 상호 작용하는 섹션들 사이에서 선택된 낮은 표면 조도에 의하여, 마찰 및 그와 연관하여 제공될 결합 과정을 위한 압력(F)이 추가로 더 감소될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청구항 35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서는, 커플링 장치에 의하여 밀봉 장치가 캡 내부에서 명확하게 위치 설정되어 지지될 수 있음으로써, 수용 용기의 폐쇄될 단부와 결합될 밀봉 장치와 캡의 공통의 결합 과정이 한 작업 공정에서 가능해진다.
청구항 36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는, 결합 과정 그리고 후속하는 규정된 사용 분야에서의 취급 과정들을 위하여 캡이 밀봉 장치로부터 원치 않게 풀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캡의 영역에서 밀봉 장치를 그 내부에 지지하기 위한 커플링 장치의 부분 섹션들이 제작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37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밀봉 장치와 캡 사이의 더욱 효과적인 커플링 및 그와 연관하여 보다 견고한 지지가 가능해진다. 더 나아가, 밀봉 장치의 쇼울더가 외부 캡 재킷 위로 돌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평탄한 하부층에서 전체 수용 장치의 규정에 따른 사용을 위하여 롤링 보호 장치가 만들어질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청구항 38에 기술된 특징에 따른 캡의 한 실시예도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는 한편으로는 수용 용기로부터의 분리를 위한 밀폐 장치의 취급 가능성이 개선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보관면에 있는 보관 위치에서의 전체 수용 장치의 지지가 개선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39에 따른 한 실시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는 밀봉 장치의 쇼울더가 또한 상기 밀봉 장치를 향하고 있는 수용 용기의 정면 영역에서도 밀봉 방식으로 인접하게 되어 수용 용기의 내벽과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 마개의 밀봉면 사이에 있는 영역에서 밀봉면이 감소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40의 특징에 의해서도 독자적으로 달성된다. 청구항 40의 특징부에 기술된 특징에 의해서 얻어지는 놀라운 장점은, 경사각 또는 그와 연관하여 나사선 끝까지 이르는 나사선 처음의 간격을 선택함으로써, 종축의 방향에서 볼 때 명확하고도 예정 가능하게 결정되어, 결합 과정이 단지 압력만을 제공함으로써 결합될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으로 변환된다는 것이다.
청구항 41 또는 청구항 42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서는, 경사각의 한계가 추가로 변동되어 결합될 부품들에 따라서 정확한 정밀 튜닝이 실행될 수 있다.
청구항 43에 따라서는 수용 용기를 위하여 나사선 장치의 일부분이 형성되며, 이와 동시에 재료 절감이 낮은 경우에는 그와 연관하여 중량 감소가 달성되고, 나사 결합 또는 결합 과정도 또한 용이해질 수 있다.
청구항 44 또는 청구항 45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보다 짧은 선회각에 의하여 캡을 수용 용기 상에 나사 결합시키는 과정 또는 그 위에 올려놓는 과정이 완전하게 성취될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다중 나사선 장치에 의해서도 결합 과정 또는 나사 결합 과정을 위해 필수적인 압력이 캡의 전체 주변에 걸쳐서 또는 수용 용기에 걸쳐서 분배되어 결합된 부품들의 균일한 하중이 성취된다.
청구항 46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는 결합 과정의 처음에 이미 캡을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보다 간단하고 우수하게 사전 센터링하는 작업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청구항 47 내지 청구항 49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따라서는, 둘레에 걸쳐서 볼 때 개별 나사선 경로들이 단지 둘레의 일부분 영역에 걸쳐서만 연장되고 상기 나사선 경로들 사이에서 예정 가능한 간극이 유지되는 나사선 장치가 얻어진다. 이와 같은 실시예로 인해서는, 나사선 경로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분리 평면을 상기 나사선 경로를 따라 배열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간극 영역의 서로 이격된 장소에서는 상기 몰드 분리 평면을 나사선 끝 또는 나사선 처음의 기울기에 따른 변위에 의하여 상기 나사선 끝과 나사선 처음 사이에서 비스듬하게 진행하도록 배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럼으로써, 보다 단순한 공구 구조 및 그와 연관된 보다 간단한 개방 동작이 성취된다. 공동부를 보다 좁은 설치 공간에 다중으로 배열 함으로써, 공구를 위한 생산 비용 및 제조 비용이 추가로 절감될 수 있다.
청구항 50 또는 청구항 51에 따른 실시예가 바람직한 것으로 증명되었는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는 캡과 수용 용기 사이에 있는 커플링 장치 영역에서 이루어지는 결합 과정 중에는 막힘 또는 끼임 현상이 회피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52에 따른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는, 올려놓는 과정 또는 나아가 결합 과정 중에 나타나는 개별 나사선 경로들 간의 상호 끼임 현상이 회피된다.
그러나 청구항 53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 높은 사전 위치 설정 난이도 없이 캡이 수용 용기 상에 올려진 다음에 최종 위치까지의 결합 과정이 간단하게 실행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54에 따라서는, 도입된 압력(F)과의 관계 하에서 변환된 상대적인 회전 동작이 추가로 더 용이해진다.
청구항 55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특히 캡을 수용 용기로부터 나사 결합 해체 하는 과정 중에 개선된 가이드가 성취된다.
그러나 청구항 56 내지 청구항 59에 따른 실시예들도 또한 가능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는 축 방향 파워가 나사 결합시에 회전 동작으로 변환되는 과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캡 내부에서의 나사선 장치와의 상호 작용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그와 동시에 청구항 60에 따른 실시예도 가능한데, 그 이유는 캡을 나사 결합 해체할 때와 동시에 밀봉 마개도 또한 수용 용기로부터 완전하게 분리되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조립시의 취급도 단점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청구항 61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캡을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사전 위치 설정하는 것이 촉진되고, 또한 그 다음의 결합 과정도 마찬가지로 용이해질 수 있다.
청구항 62에 따른 개선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개선예에 의해서는 코팅의 선택에 따라서, 결합될 부품들 사이의 접착- 및/또는 슬라이딩 마찰이 간단하게 그리고 특히 무엇보다도 결합 과정을 위해서 확실하게 사전에 결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63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밀봉 장치의 마개를 수용 용기의 내부 공간에 삽입하는 것도 또한 훨씬 더 용이해질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청구항 64에 따른 개선예에 의해서는, 마찰 계수를 더욱 줄여서 결합 과정을 더욱 용이하거나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코팅이 서로 결합 관계에 있는 바람직하게는 상이한 재료들에 맞추어 더욱 우수하게 튜닝될 수 있다.
청구항 65에 따른 실시예가 이미 결합 과정 이전에 마찰 계수를 더욱 감소시킬 수 있음으로써, 코팅을 추후에 제공하는 작업이 경우에 따라서는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청구항 66 내지 청구항 71에 따른 실시예들도 또한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이미 분리 장치의 출발 위치에서 또는 출발 상태에서, 내부 공간 내부로 삽입될 분리 장치를 위해서 예정된 복원력이 원심 분리 과정의 시작 전에 그리고 그와 더불어 충전 과정 중에도 보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 가능한 분리 장치의 작업 위치 영역에서의 위치 고정을 개선하는 것은 바람직하게 청구항 72 내지 청구항 74에 기술된 특징들에 따라서 달성된다. 이 경우 분리 장치는 수용 용기의 추가 단부 쪽을 향하고 있는 자신의 단부 영역에 의해서 또는 밀봉 장치에 의해서도, 바람직하게는 정지면으로서 형성된 위치 설정 장치 상에서, 예정 가능한 작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에 인접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계속적인 동작 및 그와 연관하여 발생 가능한 바람직하지 않은 혼합이 어떤 경우에도 확실하게 저지된다.
그러나 청구항 75에 따른 개선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좁아지는 부분의 크기 또는 수용 용기의 내부 횡단면 치수 감소의 선택에 의하여 분리 장치의 예정 가능한 조정 경로는, 모든 측면에서 둘레를 감싸는 밀봉 분리부가 내부 공간 사이에 간단하게 고정될 수 있는 작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유지되며, 상기 내부 공간은 분리 장치와 밀폐 단부 또는 분리 장치와 수용 용기의 개방 단부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청구항 76의 특징에 의해서 독자적으로 달성된다. 청구항 76의 특징부의 특징에 의해서 얻어지는 놀라운 장점은, 적어도 하나의 관류 채널을 수용 용기의 용기벽의 내부면과 삽입 가능한 분리 장치 사이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삽입될 분리 장치의 양 측면에 있는 내부 공간의 부분 섹션 사이에, 즉 분리 장치와 수용 용기의 폐쇄 단부 사이에 그리고 분리 장치와 상기 폐쇄 장치에 의해서 밀폐될 수 있는 단부 사이에 유동 연결부가 만들어진다. 그럼으로써 수용 용기 및 밀폐 장치로 구성된 수용 장치가 그 내부에 삽입된 분리 장치와 함께 만들 어지고,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서는 규정에 따른 사용 중의 채움 동작에서 - 예컨대 혈액 채취시에 - 이미 한편으로는 분리 장치 아래에 배치된 내부 공간으로부터 잔류 공기량이 위에 형성된 내부 공간으로 관류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내부 공간을 채울 물건의 부분량이 상기 내부 공간 또는 상기 관류 채널을 관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반대 방향의 관류는 관류 채널에 의해서 또한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수용될 제품, 특히 혈액의 채움 과정을 추가적으로 더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분리 장치의 양 측면에 있는 2개 섹션들 사이에서의 잔류 공기량의 변위가 간단한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청구항 77에 따라서는 최소 관류 횡단면이 결정되는데, 상기 최소 관류 횡단면은 채워질 제품, 본 경우에는 혈액과 관련하여 충분한 크기 또는 상응하는 횡단면을 가지며, 상기 횡단면은 혈액에 내재하는 표면 응력 또는 밀도 때문에 충전 과정 중에 관류 채널의 변위를 저지한다.
청구항 78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관류 채널이 만들어지는데, 상기 관류 채널은 분리 장치의 출발 위치에서 상기 분리 장치를 내부 공간에 방해 받지 않고 삽입하는 것을 가능케 하며, 이 경우에는 상기 내부 공간의 의도치 않은 밀폐는 야기되지 않는다.
청구항 79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삽입된 밀봉용 마개의 영역에서도 전체 수용 장치의 충분한 밀봉성이 달성된다.
청구항 80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가능한데, 그 이유는 분리 장치의 작업시에 또는 분리 상태에서도 상기 분리 장치의 양 측면에 배치된 내부 공간의 부분 공간 이 완벽하게 밀봉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81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는 용기벽의 선택된 벽 두께에 따라 리세스의 영역에서도 수용 용기가 충분한 투과성을 가짐으로써, 규정에 따른 이용을 위한 사용 및 적용 전에도 가급적 긴 수명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청구항 82 내지 청구항 84에 기술된 바와 같은 실시예들도 가능한데, 그 이유는 상기와 같은 다수의 리세스의 배열에 의해서 보다 큰 관류 용적이 가능하고, 서로 상응하는 상대적인 배열 상태에서는 특이한 정렬 없이 충전 과정 중에 위치와 무관한 사용도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청구항 85 내지 청구항 89의 특징이 되는 실시예들도 또한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베이스면으로부터 수용 용기의 내부면으로 변환되는 평탄하거나 또는 둥근 변환 지점에서는 개방된 정면을 향하고 있거나 또는 가까이에 있는 영역에서 제조 중에 수용 용기를 몰드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개선되기 때문이다. 그에 상응하게 둥글거나 평탄하게 형성된 경계면 또는 변환면은 날카로운 에지를 회피하면서 적혈구의 침착을 저지함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에 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분석 과정들이 변조되거나 또는 궁극적으로는 저지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경계면 또는 변환면을 상응하게 형성하고 배치함으로써 또한 혈구의 축적 및 그와 더불어 리세스 영역에서의 잔류물의 회피도 저지된다.
청구항 90 및 청구항 91에 따른 실시예들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들에 의해서 한편으로는 관류 채널(들)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에 수용 용기 내부로 삽입될 분리 장치와의 상호 작용 하에서 추가의 억제 장치가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병렬 배치에 의해서는 추가적으로, 한편으로는 잔류 공기량의 직선 형태의 관류가 만들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채워질 제품 - 특히 혈액 - 의 관류가 만들어진다.
청구항 92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가능한데, 그 이유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형성된 표면 구조물이 채워질 제품을 구조화된 표면에 흘러내리도록 하기 때문이며, 이 경우 상기 표면 구조물은 나노미터 입자 또는 마이크로미터 입자 범위의 파형으로 또는 추가적으로는 수용 용기의 재료 내부에 매립되거나 저장된 마이크로 입자 또는 나노 입자에 의해서 만들어진다. 그럼으로써, 접착 및 그와 연관된 추후 분석 과정의 변조가 전반적으로 저지된다.
청구항 93 및 청구항 94의 특징부에 기술된 바와 같은 수용 용기의 실시예도 또한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경사각을 상응하게 선택하는 것과의 조합에서 전적으로 압력을 제공하고 캡을 결합될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으로 변환함으로써 캡과의 결합 과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95에 따른 특징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청구항의 특징부의 특정 조합으로부터 얻어지는 장점들은, 수용 용기와 캡의 조합에 의해 결합 과정 및 그와 연관된 조립 복잡성이 매우 간소화될 수 있음으로써, 그렇지 않은 경우에 통상적으로 제공되는 조립 자동화 장치들이 생략될 수 있다는 것이며, 상기 조립 자동화 장치는 결합될 부품들 사이의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을 실행하는 장치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클럭 시간도 상승되고, 그에 따라 수득 율이 보다 높아짐으로써, 추가의 절감이 달성될 수 있다.
청구항 96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가능한데, 그 이유는 추가의 코팅에 의하여 밀봉 장치의 마개를 수용 용기의 내부 공간 안으로 삽입하는 것이 훨씬 더 용이해지고, 그에 따라 압력은 최소화 될 수 있다.
청구항 97의 특징이 되는 실시예도 또한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공지된 방식으로 저압을 상응하게 선택할 때에 내부 공간을 채울 제품, 특히 혈액의 흡인이 분해 과정 중에 지지되고, 그렇지 않은 경우에 발생되는 마찰 손실이 보상되며, 그 결과로 정상적인 충전 과정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청구항 98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밀봉용 마개가 캡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이 훨씬 더 용이해질 수 있는데, 그 이유는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상기 밀봉용 마개의 쇼울더가 단지 최소로만 밀봉되면 되고, 그 다음에 캡 내부에서의 밀봉용 마개의 확실한 지지 작용이 성취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99에 따른 추가 실시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한편으로는 캡이 수용 용기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가이드 되어 위치 설정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밀봉 장치의 쇼울더가 추가로 수용 용기의 정면에 밀봉 방식으로 접할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100에 따른 실시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실시예에 의해서는 나사선 경로들이 아직까지 결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수용 용기로부터 인출되는 캡과 밀봉 장치의 인출 동작이 지지될 수 있는 동시에, 그 때에 이미 에어로졸이 취급자에게 전용되지 않고서도, 수용 용기의 내부 공간과 외부 분위기 주변 사이에서 압력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에어로졸은 수용 용기의 외부 표면과 캡 재킷의 내부면 사이에서 배출된다.
청구항 101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내부 공간으로 삽입될 밀봉 장치의 마개를 미리 수용 용기와 결합 해지 상태로 만드는 것이 가능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사선 경로들은 전체 수용 장치의 확실한 취급을 위하여 서로 연결 상태에 있다.
청구항 102에 따른 다른 변형 실시예에 따라, 나사 결합 해체 및 그와 연관하여 종축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밀봉용 마개의 축방향 변위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이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나사선 장치의 나사선 경로들이 서로 연결 상태에 있을 정도로 최소화된다.
청구항 103에 따른 개선예도 또한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상기 개선예에 의하여 삽입된 마개와 수용 용기의 내부벽 사이에 충분한 접지면 또는 밀봉면이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104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지금까지 사용되던 밀봉용 마개를 유지하면서 내부 공간과 외부 주변 사이에 유동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한 채널의 형성이 본 발명에 따른 나사선 장치를 사용할 때에 보장될 수 있다.
청구항 105의 특징이 되는 수용 장치의 한 실시예도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한편으로는 밀봉 장치와 수용 용기 사이에 충분한 밀봉면이 유지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나사선 경로들이 여전히 결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수용 용기의 내부 공간과 외부 주변 사이에서 이미 유동 연결부가 만들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청구항 106에 따른 실시예에 의해서는, 보다 효과적인 커플링 및 그와 연관된 밀봉 장치와 캡 사이의 보다 확실한 지지 작용이 성취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는, 밀봉 장치의 쇼울더가 외부 캡 재킷 위로 돌출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평탄한 바닥층 위에, 전체 수용 장치를 규정에 따라 사용하기 위한 롤링 보호 장치가 만들어지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청구항 107의 특징부에 따른 실시예도 장점이 되는데, 그 이유는 밀봉용 마개의 쇼울더와 캡 사이에서 추가의 비틀림 안전 장치가 만들어질 수 있음으로써, 전체 밀폐 장치를 수용 용기 상에 공통으로 올리는 과정이 계속해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상이하게 기술된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부분들에는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동일한 부품 명칭들이 제공되며, 이 경우 전체 명세서에 포함된 공개 내용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동일한 부품 명칭을 갖는 동일한 부분들에 상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선택된 위치와 관련된 지시들, 예컨대 위에, 아래에, 측면에 등도 직접적으로 기술되고 도시된 도면과 관련이 있고, 위치 변동시에는 그에 상응하게 새로운 위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되고 기술된 상이한 실시예들로부터 얻어지는 개별 특징들 또는 특징 조합들도 또한 자체적으로 독자적인, 진보적인 또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을 제시하거나 또는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9에는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서로 상이한 성분들 또는 매체(3, 4), 예를 들어 체액, 조직부 또는 조직 구조물로 이루어진 혼합물(2)을 위한 수용 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수용 장치(1)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단부(6, 7)를 갖는 수용 용기(5)로 이루어지며, 본 실시예에서 단부(6)는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단부(7)는 정면벽(8)에 의하여 폐쇄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방된 단부(6)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밀폐 장치(9)에 의해서 필요에 따라 밀폐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445 707 B1호,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419 490 B1호, 미국 출원서 제 5,275,299 A호, 미국 출원서 제 5,495,958 A호 그리고 미국 출원서 제 5,522,518 A호에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캡, 밀봉 장치, 하우징 또는 수용 용기, 캡과 밀봉 장치 사이의 그리고 캡과 수용 용기(5) 사이의 커플링 장치 및 지지 장치의 형성을 위한 공개 내용이 참조되고, 장치 발명으로 출원된다. 수용 용기(5)에 의해 둘러싸인 내부 공간(10) 안에는 추가로 또 하나의 분리 장치가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장치는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지 않다. 밀폐 장치(9)와 수용 용기(5) 사이를 결합 또는 조립하기 위한 방법적인 조치는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밀폐 장치(9)를 구비한 상기 수용 용기(5)는 예를 들어 진공화된 혈액 샘플 채취용 관으로서도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되거나 또는 사용될 수 있다.
수용 용기(5)는 예를 들어 유리병, 플라스크, 벌브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유리와 같은 매우 상이한 재료들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수용 용기(5)를 위한 재료로서 플라스틱이 선택되면, 이 재료는 액밀 방식, 특히 수밀 방식 및 경우에 따라서는 기밀 방식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 레프탈레이트(PET),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스티렌(PS), 고밀도 폴리에틸렌(PE-HD), 아크릴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롤 코폴리머(ABS) 등 또는 그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수용 용기(5)는 벽두께(12)를 갖는 용기벽(11)을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용기벽(11)은 내부 치수(13)를 갖는 한 단부(6)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2개의 단부(6, 7) 사이에서 진행하는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방향 설정된 평면(15)에서 상기 단부(7)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평면(15)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그에 비해 적은 치수(17)를 갖는 추가의 평면(16)까지 연장된다. 수용 용기(5)의 용기벽(11)은 내부 공간(10)을 향하고 있는 내부 표면(18) 그리고 상기 표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외부 표면(18)을 구비하며, 상기 외부 표면은 수용 용기(5)를 위한 외부 둘레를 결정한다. 따라서, 내부 치수(13, 17)를 갖는 상기 용기벽(11)의 내부 표면을 기초로 하여, 예를 들어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과 같은 매우 상이한 횡단면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내부 횡단면이 결정된다. 상기 외부 횡단면의 형태도 또한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 경우에는 외부 횡단면의 형태를 내부 횡단면의 형태와 상이하게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 과정으로 완성된 수용 용기(5)를 사출 성형 공구의 몰드로부터 간단하게 빼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용 용기(5)의 내부 치수(13)는 한 단부(6)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단부로부터 이격된 추가의 단부(7)까지 계속해서 내부 치수(17)에 이르기까지 최소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2개의 평면(15, 16) 사이에서 원뿔 형태로 좁아지는 부분에 의해서는, 보다 큰 치수(13)로부터 출발하여 보다 작은 치수(17)까지 이르는 내부 치수의 감소량이 사전 결정된다. 수용 용기(5)의 마주 놓인 내부 표면을 기준으로 한 협착부 또는 원뿔각은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0°이다. 본 단계에서는, 기술된 치수들이 서로 마주 놓인 부품들의 내부 또는 외부 표면(18), 직경, 포락선을 따라 측정된 원주 그리고 횡단면 또는 횡단 표면 그리고 계속해서 치수(13, 17)를 결정하기 위한 동일한 공간 방향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는 내용이 언급된다.
본 도시예에서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단부(6)는 개방된 정면(19)을 가지며, 상기 정면은 필요에 따라 개방될 수 있는 밀폐 장치(9)에 의해서 밀폐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하여, 밀폐 장치(9)는 개방된 정면(19)을 둘러싸는 캡(20) 및 그 내부에 지지된 밀봉 장치(21), 예컨대 관통될 수 있고, 고탄성이며, 예를 들어 파르마 고무, 실리콘 고무 또는 브롬 부틸 고무와 같이 자체적으로 폐쇄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진 밀봉용 마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캡(20)은 적어도 종축(14)에 대하여 동심으로 배치되어 있고, 원형 링 형태로 형성된 캡 재킷(23)에 의해서 형성된다. 캡(20)과 밀봉 장치(21) 사이에는 예를 들어 커플링 장치(28)의 커플링부(24 내지 27)와 같은 커플링 수단이 존재하며, 캡(20)의 경우에는 적어도 내부 둘레에 걸쳐서 국부적으로 배치된 연장부(29, 30),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링(31)으로 이루어지고, 밀봉 장치(21)의 경우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외부 둘레 위로 돌출하는 쇼울더(32)로 이루어진다.
밀봉 장치(21)는 본 실시예에서 밀봉용 마개(22)로 형성되고, 종축(15)에 대 하여 대략 동심으로 둘레에 배치된 원통형 밀봉면(33)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면은 상기 단부(6) 섹션에서의 밀봉 위치에서는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에 인접한다. 그럼으로써, 상기 섹션에서는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이 표면 품질 면에서 밀봉면(34)으로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상기 밀봉 장치(21)는 종축(14)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정렬된 추가의 밀봉면을 구비하며, 상기 밀봉면은 상기 내부 표면 또는 밀봉면(34)에 인접하는 밀봉면(33)과의 상호 작용 하에서 수용 용기(5)의 내부 공간(10)의 개방된 정면(19)을 외부 둘레에 대하여 폐쇄하거나 밀봉시킨다. 연장부를 밀봉면(33) 위로 돌출하는 쇼울더(32)와 상기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19) 사이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쇼울더(32)가 직접 상기 정면(19)에 달라붙거나 또는 강하게 접착되는 것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밀봉 장치(21)가 지지링(31)을 향하고 있는 측면에 홈(35)을 구비하고, 상기 홈은 대략 개구(36)와 동일한 횡단 표면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개구(36)의 치수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주사 바늘들의 방해 받지 않는 관통 및 후속하여 이루어지는 밀봉 장치(21)의 관통 과정이 가능하도록 형성되었다.
밀봉면(33) 위로 적어도 주변의 부분 영역에서 플랜지 형태로 돌출하는, 커플링부(26)를 형성하는 밀봉용 마개(22)의 쇼울더(32)는 연장부(29 및 30)와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링(31) 사이에 지지되며, 상기 연장부는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상기 종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2개 평면에 배치되어 있는데, 예를 들면 적어도 국부적으로 또는 링 형태로도 주변을 둘러싸는 돌출부 또는 제동 연장부로서 형성되었고, 상기 제동 연장부는 밀봉용 마개(22)의 쇼울더(32)를 위하여 캡 재킷(23)의 내부면에 홈 형태의 수용 영역을 형성한다. 밀봉 장치(21)를 캡(20) 내부에 확실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쇼울더(32)와 수용 용기(5)로부터 멀리 이격된 연장부(29) 사이에 지지링(31)을 삽입하는 것도 또한 추가로 더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지지링(31)은 연장부(29 또는 30) 사이에 형성되는, 종축(14)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의 내부 치수보다 더 큰 외부 직경을 갖는다. 그와 마찬가지로 지지 링(31)의 개구(36)의 직경은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인 평면에 있는 쇼울더(32)의 최대 외부 치수보다 더 작다. 그러나 밀봉 장치(21)의 상기 외부 치수는, 이 치수가 내부 횡단면 또는 내부 공간(10)의 내부 치수(13)보다 적어도 수용 용기(5)의 벽두께(12)보다 2배 만큼 더 크도록 측정되었다. 커플링부(25)를 형성하는 연장부(30)가 실제로 수용 용기(5)의 상단부(6)에서의 내부 치수에 상응하는 내부 개구폭을 가진 다음에는, 쇼울더(32)가 캡(20) 내부에 매우 우수하게 지지될 수 있고, 수용 용기(5)의 내부 공간(10)과 수용 장치(1)를 둘러싸는 분위기 사이에서 우수한 밀봉 작용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 내부 개구폭이 수용 용기(5)의 내부 치수(13)보다 더 크게 선택될 수도 있음으로써, 연장부(30)는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의 측면에 인접할 수 있게 된다.
다른 무엇보다도 수용 장치(1)의 개방된 정면(19)을 위한 밀폐 장치(9)의 밀봉성은, 수용 용기(5) 외부에서 팽창된 상태에서 밀봉면(33)의 영역에서는 밀봉 장치(21)의 외부 직경이 상기 밀봉 장치(21)를 향하고 있는 영역에서의 수용 용기(5)의 내부 치수(13)보다 더 큼으로써 더욱 개선된다.
또한 팽창되고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종축(14) 방향으로의 밀봉 장치(21)의 쇼울더(32)의 길이 또는 높이 연장이 홈 형태의 수용 영역의 거리 또는 상기 2개의 연장부(29, 30) 사이에 있는 홈 형태의 공동부의 거리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링(31)의 두께를 제한 상태에서의 거리보다 더 크다. 홈 형태의 수용 영역 또는 홈 형태의 공동부와 쇼울더(32)의 길이 치수 또는 종축(14) 방향으로의 지지링(31)의 두께 사이의 전술된 치수 차이에 의해서는, 상기 2개 연장부(29, 30) 사이에서 쇼울더(32)의 초기 응력이 야기된다. 이와 같은 초기 응력은 캡(20)을 기준으로 한 밀봉 장치(21)의 초기 응력 및 그와 동시에 밀봉을 야기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적으로 지지링(31)의 확실한 배치를 야기하며, 2개 연장부(29, 30) 영역에서의 쇼울더(32)의 2개 정면의 충분한 인접 상태를 야기한다.
캡 재킷(23)이 절두 원통형 재킷으로서 또는 절두 원뿔형 재킷으로서 형성되는 것도 또한 장점이 되며, 그에 의해서는 캡 재킷(23)이 상부 정면(19) 영역에 결합되는 과정이 보장된다.
캡(20)과 밀봉용 마개(22) 사이에 있는 전술한 커플링 장치(28)에 추가하여, 수용 용기(5)와 캡(20) 사이에는 추가의 커플링 장치(37)가 제공되며, 상기 커플링 장치는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어 있다. 커플링 장치(37)를 형성하는 부분들의 상세한 설명은 아래 도면 설명부에서 이루어진다.
캡(20)은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단부 영역(38, 39)을 포함하며, 이 경우 도시된 실시예에서 개방 상태로 형성된 단부 영역(23)은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19) 위에 결합되도록 배치되어 있고, 정면(19)은 연장부(30) 가까이까 지 또는 심지어 인접할 때까지 접근한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정면(19)이 상기 정면을 향하는 연장부(30)의 표면에 충분히 인접한다. 상기 인접하는 또는 거의 인접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위하여, 캡(20)과 수용 용기(5) 사이에는 나사선 장치(40)가 제공된다. 나사선 장치(40)의 제1 부분은 캡 재킷(23)의 내부면(41)에서 뻗도록 배치되었고, 나사선 장치(40)의 제2 부분은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서 뻗도록 배치되었다. 이 상태에서 언급할 것은, 나사선 장치(40) 또는 상기 나사선 장치를 형성하는 부분들이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는 것이다.
캡(20)과 수용 용기(5) 사이에 있는 지금까지 공지된 커플링 장치의 경우에는, 캡 재킷(23)의 내부면(41) 영역에 뿐만 아니라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 영역에도 나사선 장치(40)의 부분들이 있으며, 이 경우 수용 용기(5)와 캡(20) 또는 밀폐 장치(9)의 결합은 토크를 캡(20) 및/또는 수용 용기(5) 상에 종축(14)을 중심으로 전달하고 제공함으로써 또는 종축(14)으로 방향으로 간단히 밀어주는 과정에 의해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 결합 가능성을 선택할 때에는 캡(20) 또는 수용 용기(5)에 작용하는 토크에 의해서 회전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 경우 나사선 장치(40)에 의해서는 나사 결합 과정 중에 종축(14)의 방향으로 상대적인 축방향 동작이 이루어졌다. 이때 상기 회전 동작은, 개방된 정면(19)이 도 1에 도시된 위치로 캡(20)의 내부로 삽입될 때까지 실행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개략적으로 기술된 공지된 조립 과정에서는, 나사 결합 과정을 보장하기 위하여, 결합될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토크를 제공하고, 그와 연관하여 종축(14)을 중심으 로 이루어지는 회전 동작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추가로 기술된 결합 가능성, 즉 밀폐 장치(9)의 중첩 슬라이딩, 특히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19) 위로 이루어지는 캡의 중첩 슬라이딩이 상기 캡(20) 또는 캡 재킷(23)의 탄성에 의해서 가능함으로써, 마찬가지로 재차 나사선 장치(40)도 서로 결합되지만, 수용 용기(5)에 대하여 상대적인 캡(20)의 완전한 최종 위치 설정은 모든 적용예에서 아무런 장애 없이 달성될 수 없었다. 캡(20)을 수용 용기(5) 상에 중첩 슬라이딩하거나 또는 나사 결합하는 것에 추가하여, 계속해서 밀봉 장치(21)의 밀봉용 마개(22)를 내부 공간(10)의 개방된 영역 내부에 삽입하는 작업이 계속해서 이루어진다. 그럼으로써, 외부 주변 조건에 대한 내부 공간(10)의 전술된 밀봉은 상기 밀봉용 마개(22)의 밀봉면(33)과 상기 내부 공간(10)의 내부 표면 사이의 영역에서 이루어진다.
전술된 상기 두 가지 공지된 결합 가능성들의 단점은, 캡(20)을 수용 용기(5) 상에서 나사 결합하거나 또는 회전시키기 위하여 토크가 제공되어야만 한다는 것 또는 캡(20)을 나사선 경로 위에 중첩 슬라이딩하는 경우에는 상기 캡(20) 또는 캡 재킷(23)의 탄성적인 변형의 결과로 어떤 경우에도 캡 또는 밀폐 장치(9)가 완전히 올려진 최종 위치를 취하지 않거나 또는 심지어 나사선 경로에서 손상이 발생된다는 것이다.
도 2에는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하여 조립하기 위한 도 1에 도시된 부품, 즉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를 갖는 밀폐 장치(9)가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재차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개별 부품 들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이 참조되거나 또는 인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에서와 동일한 부품 명칭들이 사용된다.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19) 영역에서는, 예를 들어 나사선 경로(42)와 같은 나사선 장치(40)의 제1 부분이 간략히 도시되어 있다. 절반 단면으로 도시된 캡(20) 내부에서, 상기 수용 용기(5)를 향하는 단부 영역(39)과 연장부(30) 사이의 내부면(41)에는 예를 들어 마찬가지로 간략하게 도시된 추가 나사선 경로(43)와 같은 나사선 장치(40)의 추가 부분이 도시되어 있다.
수용 용기(5)는 간략하게 도시된 지지 장치(44)에 의해서 바람직하게 본 도면에 도시된 납땜 우측 위치에 지지되며, 이 경우에는 추가로 상기 수용 용기(5)의 밀폐된 단부(7)를 간략하게 도시된 지지면(45)에서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면에서 선택된 캡(20)의 도시예에서는, 나사선 장치(40), 특히 도면에 도시된 나사선 경로(43)를 더 잘 알아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개관을 명확하게 할 목적으로 밀봉용 마개(22)가 생략되었다. 따라서, 조립 또는 결합 과정을 위해서는, 캡(20)이 그 내부에 배치된 밀봉용 마개(22)와 함께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장치, 예컨대 조립 자동화 장치 또는 공지된 선행 기술에서 통상적인 유사한 제조 장치에 의해서 상기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 상에 올려질 수 있다.
또한 캡(20) 위에는 조립 장치(46)의 일부분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조립 장치는 종축(14)의 방향으로 화살표에 따라서 수용 용기(5)를 향한 방향으로 또는 그와 반대 방향으로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하나 또는 다수의 조정 장치에 의해서 조절 부재를 통하여, 고정 지지된 수용 용기(5)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로 위치 조절 가능하게 형성된다. 상기 조립 장치(46)는 예를 들어 상응하는 압력 플레이트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예를 들어 실린더-피스톤 장치, 스핀들 구동부, 구동 장치, 자기 또는 유압식 구동 장치 등과 같은 공지된 조정 수단에 의해서 예정 가능한 동작으로 변위된다. 이 경우에는 단일 배열뿐만 아니라 다중 배열도 가능하다.
조립 장치(46), 특히 압력 플레이트와 수용 용기(5)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캡(20)의 단부 영역(38) 사이에는 또한 간략하게 압력 베어링(47)이 도시되어 있으며, 상기 압력 베어링에 의해서는, 조정 수단 또는 조립 장치(46)를 통하여 캡에 작용하는 압력을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와의 상호 작용 하에서 수용 용기(5)에 대하여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으로 만들거나 또는 이와 같은 동작을 발생시켜 수용 용기(5)와 밀폐 장치(9)의 결합 과정 또는 조립이 성취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다수의 압력 베어링(47)이 상응하는 분배 방식으로 압력 플레이트 상에 지지될 수 있음으로써, 수용 장치(1)의 장착될 유닛들을 상응하게 다중 배열 방식으로 배치한 경우에는 결합 과정 또는 조립 과정이 공간을 절약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순전히 압력만을 종축(14)의 방향으로 제공하고 나사선 장치(40)의 상호 작용하는 부분들을 통해 상기 압력을 변환함으로써,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 그리고 그와 연관하여 수용 용기(5) 상에서 밀폐 장치(9)의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는, 나사선 경로(42)가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 위로, 종축(14)에 대하여 떨어져서 마주보는 방향을 향하여 돌출한다. 캡(20) 또는 캡 재킷(23)의 내부면(41) 영역에서는 나사선 장치(40)의 제1 나사선 경로(43)가 반대 방향으로, 즉 내부면(41)으로부터 출발하여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한다. 결합 상태 또는 조립 상태에서는 상호 작용하는 개별 나사선 경로(42 및 43)들이 서로 중첩된다.
상기 삽입 과정에서 더 유의할 점은,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밀봉용 마개(22)의 내부 공간(10) 내부로 삽입될, 또는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이미 삽입된 마개(48)가 계속해서 수용 용기(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밀봉 위치를 취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개(48)의 밀봉면 위로 돌출하는 쇼울더(32)가 캡(20) 내부에 장애 없이 지지되도록 하는 것에도 주의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내부 공간(10)에 삽입된 밀봉용 마개(22)의 마개(48)가 응력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는 삽입될 영역에 있는 수용 용기(5)보다 더 큰 외부 치수를 가짐으로써, 저항을 극복하기 위하여 제공될 압력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상기 마개(48)와 상기 내부 공간(10)의 내벽 사이에서 야기되는 마찰로 인하여 의도한 바대로의 치수를 가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밀폐 장치(9)와 수용 용기(5) 사이에서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공될 압력은 10N 내지 50N의 크기에 달해야 한다.
삽입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수용 장치(1)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 상에 조립하기 이전에, 커플링 장치(37)의 영역에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세 하게 도시되지 않은 코팅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코팅은 예를 들어 수용 용기(5)에 형성된 나사선 장치(40)의 부분 상에 및/또는 캡(20) 내부에 배치된 나사선 장치(40)의 부분 상에 및/또는 마개(48) 또는 수용 용기(5)의 영역에서 서로 마주보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면(33, 34)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코팅은 조립될 부품들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예를 들어 나사선 장치(40)의 영역에서 또는 밀봉용 마개(22)와 수용 용기(5) 사이에서 상이한 코팅을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코팅은 수용 장치(1)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캡(20)을 구비한 밀폐 장치(9) 그리고 밀봉 장치(21) 또는 수용 용기(5))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코팅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커플링 장치(37)의 영역에 제공되며, 이 경우 상기 코팅의 제공은 수용 용기(5) 및/또는 캡(20) 내부에 형성된 나사선 장치(40)의 부분 상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뿐만 아니라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캡 재킷(23)의 내부면(41) 및/또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도 적어도 나사선 장치(40)의 영역에서는 코팅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코팅은 또한 밀봉 장치(21)의 마개(48)의 밀봉면(33)을 향하고 있는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18)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내부 표면은 밀봉 장치(21)의 마개(48)의 밀봉면(33)을 향하고 있다. 코팅이 개별 코팅 영역에서 연속으로, 바람직하게는 예정 가능한 층 두께로 형성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하다.
압력(F)을 제공하기 전에는, 조립될 부품들(밀폐 장치(9), 특히 캡(20 또는 수용 용기(5)) 중에서 하나의 부품이 조립될 다른 부품들(수용 용기(5) 또는 밀폐 장치(9), 특히 캡(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공통의 종축(14)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서 사전 위치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전 위치 설정은 2개의 부품을 고정시킴으로써 이루어지며, 이 경우에는 나사선 경로(42, 43)들이 상호 작용할 때에 상호 정령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최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장애 없는 반복 정확한 나사 결합 과정이 성취될 수 있다. 공통의 종축(14)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 중에,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들은 완전히 나사 결합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나사 결합 경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서로 결합되어 있다.
캡(20) 및 그 내부에 삽입된 밀봉 장치(21)가 수용 용기(5)와 함께 단지 순전히 축방향 동작에서만 중첩 방식으로 슬라이딩 되면, 나사선 경로(42, 43)들의 정확한 상호 정렬이 이루어질 수 없고, 이것은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에서, 캡 재킷(23)의 탄성적 확장에 의하여 나사선 경로(42, 43)의 중첩 배열을 야기한다. 그 단점은, 캡 재킷(23)이 보다 높은 방사 방향 인장력에 의하여 수용 용기(5) 상에 배치되고, 수용 용기(5)로부터의 밀폐 장치(9)의 해체가 진동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그 결과 내부 공간(10)에 포함된 혼합물(2) 또는 매체(3, 4)의 의도치 않은 배출이 야기된다.
밀봉 장치(21)의 밀봉용 마개(22)의 삽입 동작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코팅으로서는,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왁스, 왁스 형태의 폴리머,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가 사용될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또한 윤활제 또는 윤 활제 첨가물도 상기 코팅에 혼합되거나 또는 삽입될 수 있고, 캡(20) 및/또는 수용 용기(5) 및/또는 밀봉 장치(21) 상에 마찰력을 줄이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코팅은 적어도 하나의 윤활제 또는 윤활제 첨가물을 포함한다. 이와 무관하게, 적어도 하나의 윤활제 또는 윤활제 첨가물을 캡(5)을 제조하기 위하여 제공된 혼합물 또는 과립에 미리 혼합하여, 윤활제가 상기 혼합물 또는 과립과 공통으로, 공지된 형태로 된 플라스틱 용융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용융시키거나 또는 연화시킴으로써, 윤활제가 미리 캡 제작 재료의 구성 부분이 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상기 코팅 및/또는 그 내부에 혼합되거나 또는 삽입된 및/또는 그 내부에 용해된 윤활제 첨가물 또는 상기 윤활제는(윤활제들은), 상기 물질들이 결합된 부품들 사이의 슬라이딩 마찰을 강력하게 줄여줄 뿐만 아니라, 규정에 따른 사용 중에 부품이 의도치 않게 해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 마찰을 높이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밀폐 장치(9), 특히 캡의 목적한 개방 동작도 수용 용기(5)에 의해서, 내부 공간(10)으로의 추후 접근을 위하여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개방 동작은 예를 들어 수집된 매체로부터 샘플을 채취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하다.
또한 캡(20)의 내부면(41) 영역에서 나사선 경로(43)의 경우에는, 상기 나사선 경로가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 대하여 2°, 바람직하게는 3°, 특히 5°, 바람직하게는 8°, 10°, 13°, 15°의 하부 한계를 갖고, 30°, 바람직하게는 25°, 특히 20°, 바람직하게는 16°, 13° 또는 12°의 상부 한계를 갖는 선택된 범위로부터의 경사각(50)을 갖는다. 테스트 열의 경우에는, 9°, 10° 또는 11°, 12°의 크기를 갖는 경사각(50)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그와 무관하게, 조립 장치(46) 및 압력이 캡(20) 상에 작용하도록 하지 않고, 오히려 수용 용기(5)의 밀폐된 단부(7) 상에 작용하도록 하며, 그 반대 방식으로 캡(20)을 고정시키고, 수용 용기(5)를 나사선 장치(40)에 의해서, 발생되는 압력이 수용 용기(5)에 영향을 미치는 가운데, 캡(20) 내부의 예정된 위치로 회전 삽입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2에 기술된 조립 과정 또는 결합 과정 대신에, 아래에서 간략하게 도 10에서 도시되고 기술되는 바와 같이 다른 작용 원칙도 적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서는 캡(20)이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이한 관점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재차 동일한 부품들은 선행하는 도 1 및 도 2에서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기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나사선 장치(40)가 캡(20)의 영역에서 다중 경로로 형성되었다. 바람직하게는, 내부면(41) 위에 분배 배치된 3개의 나사선 경로(42)가 제공되며, 이 경우 상기 개별 나사선 경로(43)의 나사선 처음(51 내지 53)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약 120° 만큼 변위 배치되어 있다.
나사선 장치(40)를 형성하는 상기 개별 나사선 경로(43)의 나사선 길이는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서는 둘레에 걸쳐서 볼 때 나사선 장치(40)의 영역에 있는 캡 재킷(23)의 내부 둘레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작다. 전술한 3경로 나사선에 의해서는, 나사선 경로(43)가 대략 캡 재킷(23)의 내부 절반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특히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는 것은, 상기 나사선 경로(43)가 캡 재킷(23)의 내부면(41)에 걸쳐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캡(20) 영역에 있는 나사선 경로(43)와 이전에 간략하게 도 1 및 도 2에서 기술된 나사선 경로(42)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는, 나사선 장치(40), 특히 나사선 경로(42 및/또는 43)가 적어도 국부적으로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코팅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단지 개별 나사선 경로(42 및/또는 43)의 서로 상호 작용하는 섹션들만이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코팅을 구비할 수 있다.
그와 무관하게 또는 더 나아가서는, 나사선 경로(42, 43)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서는, 적어도 각각 상호 작용하는 섹션에서는 상기 나사선 경로가 0.0125 ㎛ 내지 0.05 ㎛의 한계에서 표면 조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개별 나사선 경로(51 내지 53)는 수용 용기(5)를 향하고 있는 또는 중첩되는 개방된 단부 영역(39) 가까이에 배치되고, 전술된 기울기 또는 경사각(50)으로 인하여 거의 연장부(30) 가까이 접근하도록 연장된다. 상기 경사각(50) 그리고 개별 나사선 경로(43)의 둘레 연장은 본 실시예에서 수용 용기(5)의 캡(20)에 대해서는 13 mm의 공칭 크기로 기술되며, 이와 같은 크기는 현재 시점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수용 용기(1)에 대한 공칭 크기이다. 본 단계에서 또한 언급할 내용은, 2개의 연장부(29 및 30)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밀봉용 마개(22), 특히 쇼울더(32)의 지지 작용이 경우에 따라서는 지지링(31)의 중간 스위칭 하에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고정 가능성들도 또한 배제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9에는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한 수용 용기(5)가 상세하게 도시되고 기술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재차 동일 부품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 그리고 부품 명칭이 사용된다.
도입적으로 언급하고자 하는 것은, 수용 용기(5), 특히 혈액 샘플 채취용 관 상에 나사선 경로(42)를 형성하기 위한 명세는 13mm 직경의 공칭 크기와 관련이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직경상 편차가 있는 경우에는, 본 실시예에 기술된 값들이 상응하게 다른 공칭 값에 전용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수용 장치(1)의 공칭 크기에서는, 나사선 장치(40)가 다중 경로로, 특히 3경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명됨으로써, 전술한 조립 과정 또는 결합 과정에 의해서는 캡(20)이 전적으로 압력만을 종축(14)의 방향으로 제공하는 가운데 수용 용기(5)와 연결되거나 또는 커플링 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개별 나사 경로(42)들은 나사선 장치(40)를 형성하기 위하여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 위에 균일하게 분배 배치되어 있다. 이때 나사선 처음(54 내지 56) 그리고 나사선 끝(57 내지 59)은 개별 나사선 경로(42)를 둘레에 걸쳐 있는 종방향 연장부에서 한정한다. 따라서, 도 7 및 도 8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나사선 장치(40)를 형성하기 위한 나사선 경로(42)가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 대하여 2°, 바람직하게는 3°, 특히 5°, 바람직하게는 8°, 10°, 13°, 15°의 하부 한계를 갖고, 30°, 바람직하게는 25°, 특히 20°, 바람직하게는 16°, 13° 또는 12°의 상부 한계를 갖는 선택된 범위로부터의 경사각(60)을 갖는다는 것이다. 테스트 열의 경우에는, 9°, 10° 또는 11°, 12°의 크기를 갖는 경사각(60)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었다. 전 술된 바와 같이, 나사선 장치(40)는 다중 경로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에는 나사선 장치(40)의 제 2 부분도 마찬가지로 외부 표면(18) 또는 외부면에 걸쳐서 분배 배치된 3개의 나사선 경로(42)를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선택된 경사각(50, 60)은 동일한 한계에 있고, 장애 없는 나사 결합 과정을 성취하기 위하여 각각 동일한 크기로 선택된다. 3° 및 20°, 5° 및 16°, 8° 및 13° 그리고 10° 및 12°의 하부 한계 및 상부 한계를 갖는 값도 바람직한 경사각(50, 60)으로서 밝혀졌으며, 이 경우 상기 선택된 경사각(50, 60)의 값들은 수용 용기(5), 캡(20) 및 밀봉 장치(21) 그리고 제공된 코팅의 제작 재료 조합에 의존한다.
개별 나사선 경로(42)의 나사선 처음(54 내지 56)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약 120°만큼 변위 배치되어 있다. 동일한 내용이 나사선 끝(57 내지 59)에도 적용된다. 또한, 직접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나사선 처음(54 내지 56) 및 나사선 끝(57 내지 59)이 각각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서 주변에 걸쳐서 볼 때 나사선 장치(40)를 형성하는 나사선 경로(42)의 나사선 길이의 총합은 나사선 장치(40)의 영역에서의 수용 용기(5)의 외부 둘레와 같거나 또는 그보다 더 작다. 따라서, 각각 원주 방향으로 직접 이웃하여 배치된 나사선 경로(42)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나사선 경로(42)가 나사선 처음(54 내지 56)과 나사선 끝(57 내지 59) 사이에서 둘레에 걸쳐서 볼 때, 예를 들어 50° 내지 80°에 달할 수 있는 각(61) 이상으로 연장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61)이 약 65° 로 선택되었다. 본 섹션에서 나사선 경로(42)는 자신의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를 가지며, 이와 같은 상태는 도 9의 확대도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다.
도 8의 평면도를 관찰하여 더 알 수 있는 것은, 나사선 경로(42)가 자신의 나사선 처음(54 내지 56)의 섹션에서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로부터 출발하여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 이르기까지 높이가 계속해서 감소하도록 형성된 나사선 출발점(63)을 갖는다. 그와 마찬가지로, 나사선 경로(42)가 나사선 끝(57 내지 59)의 섹션에서, 자신의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로부터 출발하여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 이르기까지, 마찬가지로 높이가 계속해서 감소하도록 형성된 추가의 나사선 출발점(64)을 갖는다. 적어도 상기 나사선 출발점(63 및/또는 64)은 변환 반경(65)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그러나 상기 나사선 출발점은 또한 결합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다른 형상 기술적인 디자인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디자인은 또한 재료에 따라서도 상이하게 선택될 수 있다.
개별 나사선 경로(42)가 둘레에 걸쳐서 볼 때 종방향 연장부에 있어서 중첩되지 않고, 그에 따라 각각 이웃하여 배치된 나사선 처음(54 내지 56)이 나사선 끝(57 내지 59)으로부터 이격되어 있음으로써, 제조 과정, 특히 사출 성형 과정을 위하여 수용 용기(5)를 형성하기 위한 몰드 분리 평면을 나사선 경로의 영역에서 각각 최고점 또는 최고 라인에서 진행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고, 직접 이웃하여 배치된 나사선 처음(54 내지 56) 그리고 나사선 끝(57 내지 59) 사이에서 상기 나사선 처음 및 나사선 끝이 외부 표면(18)의 영역에 있는 연결 라인을 통과하도록 서로 연결시키며, 상기 연결 라인에서 몰드 분리 평면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게 된 다. 그럼으로써, 몰드 공구 제조시 현저한 비용 부분이 절감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는 또한 추가로 더 높은 클럭 시간도 가능해진다. 외부 나사선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 분리 평면의 상기와 같은 배열 상태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출원서 제 3,926,401 A호 그리고 미국 특허 출원서 제 2001/0055632 A1호에 공지되어 있다. 내부 나사선을 위한 유사한 형성예는 독일 특허 출원서 제 30 47 856 C2호, 독일 실용신안 출원서 제 296 18 639 U1호, 미국 특허 출원서 제 2,133,019 A호, 미국 특허 출원서 제 4,079,475 A호, 미국 특허 출원서 제 4,188,178 A호 그리고 미국 특허 출원서 제 5,667,870 A호에 공지되어 있다.
둘레에 걸쳐서 볼 때 서로 이격되어 있고, 그에 따라 서로 중첩되지 않는 나사선 경로(42)에 의해서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몰드 공구로부터 몰드 개구를 통해 수용 용기(5)를 순전히 축방향으로, 즉 종축(14)의 방향으로 몰드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럼으로써, 보다 단순한 공구 구조 및 그와 연관된 비용 절감 그리고 그와 동시에 공간 절약도 달성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그에 의해서는 클럭 시간도 또한 몰드 공구를 개방하고 폐쇄하기 위한 보다 간단하고도 보다 짧은 동작 시퀀스로 인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와 동시에 수용 용기(5)를 형성하기 위한 공동부를 단 하나의 몰드 공구 내부에 다중으로 배열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에 따라 보다 높고 보다 유리한 수득 성능에 도달할 수 있다.
도 9에서 더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사선 경로(42)는 횡단면 상으로 볼 때, 즉 평행하고도 동심으로 종축(14)을 통과하는 평면에서는,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로부터 출발하여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 이르기까지 서로 상이한 변환 영역을 가짐으로써, 상기 나사선 경로(42)의 나사선 횡단면은 상기 평면에서 비대칭으로 형성된다.
나사선 경로(42)는 외부 표면(18)의 영역에서 종축(14)과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또는 전술한 기준 평면에서 기본 폭(66)을 가지며, 상기 기본 폭은 본 실시예에서는 1.3mm에 달할 수 있다. 상기 기본 폭(66)으로부터 출발하여, 나사선 경로(42)는 관찰된 평면에서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19)을 향하는 측면에서는 오로지 반경(67)만을 가지며, 상기 반경은 외부 표면(18)으로부터 출발하여 완전한 나사선 높이(62)에 이르기까지 옮겨간다.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를 갖는 섹션에서는, 상기 나사선 경로(42)가 마찬가지로 종축(14)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피크 폭(68)을 가지며, 상기 피크 폭의 범위 안에서는 몰드 분리 평면이 연장 배치될 수 있다. 전술한 기본 폭(66)이 1.3mm인 경우에는 상기 피크 폭(68)이 대략 0.6mm이다.
개방된 정면(19)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 놓인 측면에서 상기 나사선 경로(42)는, 외부 표면(18)으로부터 출발하여 완전한 나사선 높이(62)에 이르기까지, 상기 개방된 정면(19)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변환면(69)을 가지며, 이 경우 상기 각(70)은 본 실시예에서는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 대하여 5°에 달한다. 종축(14)과 평행하게 진행하는 피크 폭(68)과 변환면(69) 사이에는, 본 실시예에서 0.3 mm의 크기를 갖는 추가의 반경(71)이 제공된다.
2개의 반경(67, 71)을 상이하게 선택함으로써, 비대칭적인 나사선 경로(42) 를 얻을 수 있으며, 이 경우 제1 반경(67)은 상기 추가 반경(71)보다 더 크게 선택되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 제1 반경(67)은 0.7mm이고, 외부 표면(18)으로부터 출발하여 나사선 경로(42)의 평행한 피크 폭(68)에 이르기까지 옮겨진다. 상기 나사선 경로(42)의 피크 폭(68)은 또한 피크면(72)으로서도 표기될 수 있다.
상기 피크면(72) 그리고 변환면(69)은 나사선 횡단면의 관점에서는 또한 피크선 또는 변환선 또는 한계선으로서도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더 알 수 있는 것은, 나사선 경로(42)의 나사선 처음, 특히 상기 나사선 경로의 나사선 출발점(63)이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19) 가까이까지 접근한다는 것이다. 그럼으로써, 밀폐 장치(9)와의 결합 과정 또는 조립 과정에서는 서로 결합되어 있는 나사선 경로(42, 43)가 나사선 장치(40)를 형성하기 위하여,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은 완전한 폐쇄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서로 계속해서 결합되어 있으며, 그에 의해서는 분명한 나사 결합 과정 그리고 수용 용기(5)로부터 밀폐 장치(9)의 나사 결합 해체 과정이 지속적으로 가능하다.
도 10에는, 도 2의 형성예와 유사하게, 수용 용기(1)를 결합 또는 조립하기 위한 추가의 및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해결책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한 조립을 위하여 도시된 부품들, 즉 밀폐 장치(9)는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와 함께 아직도 서로 분리된 상태에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재차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개별 부품들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9가 참조되거나 인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9에서와 동일한 부품 명칭이 사용된다.
본 도시예에서도 캡(20)은 간략하게 절반 단면으로 그리고 밀봉 장치(21) 없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 캡(20)은 종축(14)의 방향으로 볼 때 아직도 수용 용기(5)로부터 이격된 상태에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나사선 장치(40)도 또한 간략하게 도시되었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면 부호는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기입되었기에, 이곳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되고, 선행하는 실시예들이 참조되거나 인용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도 2에 도시된 조립 장치(46)와 달리 캡(20)이 외부 캡 재킷(23)의 영역에서 지지 플레이트(74)의 수용부(73) 내부에 한편으로는 종축(14)을 중심으로 회전 불가능하게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종축(14)의 방향으로 고정적으로, 상기 지지 플레이트(7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지지된다. 압력(F)의 제공은 재차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조정 장치, 예컨대 조절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재차 지지 플레이트(74) 내부에 수용부(73)를 다중으로 배열하는 것이 가능하고, 심지어는 바람직하며, 그에 의해서는 다수의 캡(20) 또는 이미 완전하게 조립된 밀폐 장치(9)가 종축(14)을 중심으로뿐만 아니라 종축의 방향으로도 그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캡(20) 또는 캡 재킷(23)의 원추형 또는 절두 원뿔 형태로 형성된 외부 표면 그리고 상응하게 반대로 동일하게 형성된 수용부(73)로 인하여, 허용 오차가 상응하게 선택된 경우에 캡(20)의 위치 고정은 종축(14)을 중심으로뿐만 아니라 종축의 방향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캡(20)이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도 충분한 위치 고정은 가능하다. 이 경우 둘레에 걸쳐서 볼 때 모방 절삭 방식 으로 형성된 캡(20)의 외부 표면은 조립 과정 또는 결합 과정을 위한 위치 고정을 장려한다.
그와 무관하게, 지지 플레이트(74) 내부에 제공된 지지 위치 또는 제동 위치에서 캡(20) 또는 밀폐 장치(9)의 명확한 종방향 위치 설정을 제시할 수 있기 위하여, 지지 플레이트(74)를 상응하게 분배 방식으로 구현하여 상기 스토퍼 내에 종축(14)의 방향으로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목적을 위하여,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상응하는 스토퍼 또는 쇼울더가 제공될 수 있다. 수용부(73)의 영역에 분배 방식으로 구현된 지지 플레이트(74)에 의해서는, 지지 플레이트(74) 내부에 있는 종축(14)을 기준으로, 상기 밀폐 장치(9) 또는 캡(20)의 클램핑 및 그와 더불어 방사 방향 고정이 성취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선택된 배열 상태로 인하여, 수용 용기(5) 그리고 밀폐 장치(9)의 나사선 장치(40)의 강제적인 상호 정렬이 결합 과정 전에는 더 이상 무조건적으로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으며, 그럼으로써 마찬가지로 상기와 같은 경우 이외의 경우에 반드시 필요한 정렬 과정을 위한 비용도 절감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비용 절감은 전적으로 클럭 시간의 단축에 의해서만 얻어지는 것은 아니다.
수용 용기(5)는 본 실시예에서 압력 베어링(47)을 통해 지지면(45) 상에 종축(14)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캡(20) 또는 밀폐 장치(9)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 용기를 축 방향으로 정렬시키거나 또는 수용 용기의 위치를 사전에 설정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용기에 위치 설정 장치(75)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위치 설정 장치(75) 내에는 간략하게 도시된 가이드 개구(76)가 배치되 어 있고, 상기 가이드 개구는 예를 들어 조립 위치 또는 결합 위치를 위한 수용 용기(5)의 수직 정렬을 보증한다. 고정된 캡(20)을 통해 형성되는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을 종축(14)을 중심으로 실행할 수 있기 위하여, 상기 가이드 개구(76)는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 대하여 충분한 간극을 갖는다. 이 경우, 상기 외부 표면(18)을 향한 상기 가이드 개구(76)의 내부 표면에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상이한 코팅들이 추가로 제공될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개구(76)를 단지 국부적으로만 수용 용기(5)의 전체 외부 둘레에 걸쳐서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수용 용기(5) 및 밀폐 장치(9)가 다중으로 배열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직접 나란히 배치된 수용 용기(5)들 사이에 단지 소수의 수직 웨브들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수직 웨브들은 충분하고도 확실한 가이드 또는 위치 설정 그리고 결합될 밀폐 장치(9)를 기준으로 한 회전 가능성 또는 선회 가능성을 보증한다.
자동화된 조립을 간소화하기 위해서는, 압력 베어링(47)을 움직일 수 있는 조립 받침대 상에 제공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이 경우 고유의 충전 스테이션에서는 조립용 캐리어가 상응하는 개수의 수용 용기(5)로 채워지고, 추가 스테이션에서는 결합될 밀폐 장치(9)가 마찬가지로 고유의 조립용 캐리어 -상기 조립용 캐리어에는 지지 플레이트(74)가 필요에 따라 선회 가능하게 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내부에서 마찬가지로 이송되거나 또는 수용부(73) 내부에 삽입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상기와 같이 예비 충전된 조립용 캐리어가 고유의 조립 스테이션으로 이동되고, 상기 조립 스테이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결합 과정, 즉 순전히 압력만을 제공함으로써 이루어지는 상호 나사 결합 과정이 실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의 장점은, 다수의 수용 용기(5) 및/또는 밀폐 장치(9) 또는 캡(20)이 서로 무관하게, 조립용 캐리어 또는 공작물용 캐리어 상에 배치된 지지 플레이트(74) 및/또는 위치 설정 장치(75) 내부에서 상응하게 예비 이송될 수 있고, 결합 과정을 그와 분리된 별도의 조립 스테이션에서 실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선행하는 소수의 도면에 상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밀폐 장치(9)를 수용 용기(5) 상에 올리는 과정은, 최대 나사 결합 경로가 예를 들어 수용 용기(5)와 캡(20) 및/또는 밀봉 장치(21) 사이에 있는 기계적인 스토퍼에 의해서 한정될 때까지, 종축(14)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축방향 파워를 결합될 부품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순전히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으로 변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에 의하여 나사 결합 경로의 길이를 기계적으로 결정함으로써, 상기 나사선 경로들은 전체 나사 결합 경로를 통하여 서로 결합되며, 그럼으로써 완전히 나사 결합된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밀폐 장치(9)를 수용 용기(5)로부터 나사 결합 해체하거나 또는 분리시키는 작업은, 분리될 부품들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다. 명확하게 예정된 상대적인 위치로 인하여, 캡(20)과 수용 용기(5) 사이에 완전히 나사 결합된 위치에서는, 해체를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나사 결합 해체 경로가 서로 중첩되는 나사선 경로(42, 43)의 원주 길이 또는 각 치수에 의하여 결정되고, 상기 부품들 사이에서 반대 방향의 상대적 동작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나사 결합 해체 과정은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나사선 경로(42, 43)에 의해서 통제되며, 이 경우에는 추가로 커플링 장치(28)를 통해 캡(20) 내부에 지지되는 밀봉 장치(21)가 마찬가지로 수용 용기(5)로부터 동시에 함께 분리되거나 또는 제거된다. 그럼으로써, 밀폐 장치(9)를 수용 용기(5)로부터 동시에 확실하게 제거하거나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호 작용하는 상기 나사선 경로(42, 43)에 의해서는 밀봉 장치(21)를 수용 용기(5)로부터 진동 방식으로 개방 또는 해체하는 것이 회피되며, 이 경우에는 내부 공간(10)에 저장된 매체(3, 4) 또는 혼합물(2)의 의도치 않은 배출이 회피된다. 그럼으로써 조작자를 위한 취급이 보다 안전하게 되며, 그에 의해 배출되는 부분량을 찔러서 연관된 전염 가능성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예정 가능한 나사 결합된 최종 위치에 의해서는, 수동 장치를 이용하여 수용 용기(5)로부터 밀폐 장치(9)를 벗겨내는 것이 또한 가능한데, 그 이유는 계속해서 예정 가능한 나사 결합 해체 경로 및 그와 더불어 분리될 부품들 사이에서 결정된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이 명확하게 결정되기 때문이다.
도 11에는 수용 용기(5)의 상이한 형성 가능성들이 단 하나의 도면으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는 또한 임의로 서로 그리고 전술된 형성 가능성들과도 임의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개관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본 도면에서는 밀폐 장치(9)의 도시가 생략되었다. 그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0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거나 인용된다. 더 나아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면들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부품 명칭 들이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10에 전술된 실시예에 추가하여, 수용 용기(5)를 본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밀폐 장치(9)와 함께 수용 장치(1)를 위하여 사용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본 도면에서는 분리 장치(77)가 제공되는데, 상기 분리 장치는 내부 공간(10)을 폐쇄하기 전에 수용 용기(5) 내부로 삽입될 수 있고, 본 도면에서는 수용 용기(5)까지 이격된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 장치(77)는 실시예에 상응하게, WO 02/078848 A2호에서 동일 출원인이 기술한 바와 같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장치, 수용 용기 그리고 밀폐 장치의 특수한 형성예에 대해서는 전술한 WO 02/078848 A2호가 참조되고, 상기 공개 내용은 본 출원서에서 인용된다. 이때 선택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선택된 용어 및 도면들에 유사하게 전용될 수 있다.
분리 장치(77)는 내부 공간(10) 또는 수용 공간(78) 내부에서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19) 영역에 삽입되고, 그곳에서 소위 출발 위치에 있으며, 상기 출발 위치에서는 수용 용기(5)가 밀폐 장치(9)에 의해 밀폐된 후에도 추가로 그와 동시에 또는 그 이전에 내부 공간(10)이 주변 압력에 비하여 낮은 압력으로 강하되며, 특히 진공 상태로 된다. 수용 용기(1)를 채우는 과정은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면 혈액 채취의 형태로, 그와 연관하여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주사 바늘로 밀봉 장치(21)를 관통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그럼으로써 도 1에 도시된 혼합물(2)은 매체(3 및 4), 특히 혈액으로부터 유동 채널 또는 연결 개구를 통해 분리 장치(77)를 관류하게 된다. 그 다음에 혼합물의 분리는 WO 02/078848 A2호에 기술 된 바와 같이 원심 분리 과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분리 장치(77)를 수용 용기(5) 내부에 밀봉시키는 위치에는 소위 작업 위치가 존재하는데, 상기 작업 위치는 수용 용기의 전체 충전 부피 그리고 분리될 혼합물(2)의 성분들의 부피에 따른 분량에 의존한다. 통상적으로 상기 작업 위치는 수용 용기(5)의 활용되는 수용 공간(78)의 종방향 연장부의 대략 절반에서 선택된다.
수용 용기(5)의 단부(6)에 이웃하는, 상기 내부 공간(10) 또는 수용 공간(78) 내부로 삽입될 분리 장치(77)를 위한 출발 위치에서는, 억제 장치(79)를 위한 상이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도면의 우측 부분에서, 억제 장치(79)는 한 내부 표면(80)의 둘레에 걸쳐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쇼울더(81) 및/또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상기 내부 표면(80)의 둘레에 걸쳐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웨브(82)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이 경우 상기 쇼울더(81) 및/또는 웨브(82)는 단지 국부적으로만 둘레에 걸쳐서 배치될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또한 상기 내부 표면(80)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도 배치될 수 있다.
도 11의 좌측 상부 영역에는 억제 장치(79)의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고, 상기 억제 장치는 수용 공간(78)의 내부 치수(13)의 축소에 의해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에는 개방된 정면(19)으로부터 출발하여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밀봉 장치(21)를 위한 밀봉면(34), 특히 밀봉용 마개(22)의 밀봉면(33)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축소는, 예를 들어 수용 용기(5)의 단부(6)로부터 출발해서 억제 장치(79)까지는 수용 용기(5)의 정상적인 벽두께(12)를 갖고, 억제 장치(79)부터는 추가 단부(7)의 방향으로 그보다 더 큰 벽두께를 가지며, 이 경우 벽두께(12)의 확대는 내부 표면(80)을 종축(14)의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그와 무관하게, 출발 위치와 추가 단부(7) 사이에서의 수용 용기(5)의 벽두께(12)를 통상적인 벽두께(12)의 범위에서 선택하고, 단지 출발 위치와 상기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 사이의 벽두께만을 보다 적게 형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억제 장치(79)의 실시예에 따라, 종축(14) 방향으로의 분리 장치(77)의 위치 설정은 예정 가능한 원심력에 도달할 때까지 예정될 수 있으며, 상기 원심력에서는 억제력이 극복되고, 작업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수용 용기(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분리 장치(77)의 변위가 이루어진다.
출발 위치의 영역에서 분리 장치(77)의 다른 확실한 위치 설정 또는 상대적인 위치 고정을 성취하기 위하여, 수용 용기(5)와 분리 장치(77) 사이에서 상기 억제 장치(79)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홈 형태의 공동부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억제 장치는 대략 내부 표면(80)의 내부 둘레에 걸쳐서 상기 공동부 내부에 깊게 배치되어 있다.
작업 위치 영역에서 분리 장치(77)의 확실한 위치 설정 또는 상대적인 위치 고정을 성취하기 위하여, 수용 용기(5)와 분리 장치(77) 사이에는 위치 설정 장치(83)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위치 설정 장치는 바람직하게 기계적으로 작용하는 스토퍼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위치 설정 장치(83)는 예를 들어 수용 공간(78) 또는 내부 공간(10)의 내부 치수(84)의 축소에 의해서, 경우에 따라서는 종축(14)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정렬된 정지면(85)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지면(85)에서는 분리 장치(77)의 제 1 단부 영역에 배치된 밀봉 장치, 특히 밀봉 리브뿐만 아니라 추가의 단부 영역 또는 부품들도 인접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원심 분리 과정이 종료된 후에는 서로 분리된 매체(2, 3)의 밀봉 작용, 특히 액밀 방식의 밀봉 작용이 보다 긴 수명에 걸쳐서도 달성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설정 장치(83)는 추가 단부(7)까지 종축(14)의 방향으로 수용 용기(5)에 대하여 상대적인 조정 동작을 종료하기 위하여, 분리 장치(77)를 위한 기계적인 스토퍼를 형성한다.
출발 위치로부터 출발하여 작업 위치 또는 제1 및 추가 단부(6, 7)까지 이르는 내부 공간(10)의 축소는 본 도면에 도시된 수용 용기(5)의 경우에도 구현되며, 분리 장치(77)의 영역에서 유동 채널(들)의 자발적인 폐쇄를 위한 제어 곡선을 형성한다. 서로 이격된 2개의 평면(15, 16) 사이의 내부 공간(10) 또는 수용 공간(78)에서 전술한 바대로 수용 용기(5)가 축소되는 범위는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0°이다. 공칭 길이 100mm를 갖는 공칭 크기 13mm(직경)의 수용 용기의 경우에는, 종축(14) 및 외부 표면(18)을 기준으로 한 원뿔각 또는 콘각이 예를 들어 34°에 달할 수 있다. 상기 원뿔각 또는 콘각은 2개 단부(6, 7) 사이의 전체 외부 종방향 연장부에 걸쳐서 동일하게 선택되었다. 마찬가지로 종축(14)을 기준으로 한 상기 내부 표면(80)의 원뿔각 또는 콘각은 제1 단부(6)와 위치 설정 장치(83) 사이의 제 1 부분 영역에서는 예를 들어 0.46°이고, 위치 설정 장치(83)와 상기 평면(16) 사이에서도 마찬가지로 0.46°일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밀봉 장치(21)의 밀봉용 마개(22)의 삽입 -도 1 참조- 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밀봉면(34)의 섹션을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도 12 내지 도 16에는, 밀폐 장치(9)에 의해서 밀폐될 수 있는 체액, 조직부 또는 조직 구조물을 위한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하여 추가로 가능한 및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채자 동일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1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부품 명칭들이 사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1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거나 인용된다. 본 도면에 기술된 수용 용기(5)의 실시예가 본 명세서에 포함된 다른 모든 실시예들과도 임의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는 내용을 특별히 강조할 필요는 없을 것이다.
상기 수용 용기(5)는 재차 체액, 조직부 또는 조직 구조물을 위한, 특히 도 1에서 이미 간략하게 도시되고 기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상이한 밀도를 갖는 매체(3, 4)로 이루어진 분리될 혼합물(2)을 삽입하기 위한 수용 장치(1)로서 이용된다. 전술한 나사선 장치(40) 대신에,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단부(6) 영역의 개방된 정면(19) 영역에서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배된 다수의, 본 경우에는 3개의, 종축(14)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외부 표면(18) 위로 돌출하는 연장부(86)가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은 내용은 이미 공지된 선행 기술에서 알 수 있다. 상기 연장부(86) 대신에 전술한 나사선 경로(42)를 나사선 경로(43)와 함께 캡(20) 내부에 삽입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며, 이와 같은 내용은 이미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0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었다.
개방된 정면(19)으로부터 출발하여, 내부 공간(10)의 영역에서는,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밀봉 장치(21)의 밀봉용 마개(22)의 밀봉면(33)에 인접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밀봉면(34)이 연장된다. 그 다음에 도 11에 간략하게 도시된 분리 장치(77)를 삽입하기 위한 내부 공간(10)의 추가 영역이 제공되는데, 이와 같은 내용은 도 13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다. 분리 장치 또는 상기 분리 장치에 의해서 형성된 유동 채널 또는 연결 개구를 통해 혼합물을 채우는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된 또는 사용 가능한 분리 장치(77)의 출발 위치 영역에서 상기 수용 용기(5)의 용기벽(11)과 분리 장치(77) 사이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류 채널(87)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류 채널(87)은, 분리 장치(77)와 추가 단부(7) 사이의 내부 공간(10)에 남아 있는 잔류량을 분리 장치(77)를 거쳐서 상기 분리 장치(77)와 밀봉 장치(21)에 의해서 폐쇄된 내부 공간(10) 사이의 내부 공간 내부로 보내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관류 채널(87)은 또한 분리 장치(77)의 영역에 있는 유동 채널 또는 연결 개구를 관류하지 않은 혼합물(2)의 잔류량을 마찬가지로 분리 장치(77)와 추가 단부(7) 사이에 형성된 수용 용기(5)의 내부 공간(10) 내부로 보내기 위해서도 이용된다.
도 12 내지 도 1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관류 채널(87)은 용기벽(11)의 내부 표면(80)에 깊게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88)에 의해서 형성된다. 내부 표면(80)에 비하여 깊게 형성된 상기 리세스(88)는 내부 표면(80)으로부터 출발하여 방사 방향으로 외부 표면(18)에 이르기까지 0.1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0.5 mm의 깊이(89)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내부 둘레에 걸쳐 분배 배치된 다수의 리세스(88)가 제공되며, 이 경우에는 종축(14)을 기준으로 내부 둘레에 걸쳐서 대칭으로 상기 다수의 리세스를 분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 기 리세스(88)를 내부 둘레에 걸쳐서 연속으로 배치하고, 상기 리세스를 홈 형상의 공동부 또는 중공 실린더의 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리세스(88)는 밀봉면(34)에 대하여 동축으로 배치된 베이스면(90)을 가지며, 상기 베이스면은 상기 리세스(88)의 깊이를 제한한다. 상기 베이스면(90)과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적어도 하나의 제한면(91, 92)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제1 변환면(93)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적어도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리세스(88)의 제한면(91, 92)과 내부 표면(80) 사이에는 추가의 변환면(94)이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2개의 변환면(93, 94)은, 이 변환면들이 미리 서로 이격된 제한면(91, 92)을 형성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한면(91, 92)들은 종축(14)의 방향으로 볼 때 종방향 연장부(95)에 걸쳐서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종방향 연장부(95)는 밀봉용 마개(22)의 밀봉면(33)으로 향할 수 있는 밀봉면(34) 앞에서 종료된다. 상기 밀봉용 마개로부터 다른 쪽으로 향한 방향에서는, 상기 리세스(88)의 종방향 연장부(95)가 최대로 분리 장치(77)의 작업 위치 또는 분리 위치에 도달하기 전까지 이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종방향 연장부를 보다 짧게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 경우에는 단지 충전 과정 중에만 내부 표면(80)과 분리 장치(77)의 영역에서 관류 채널(87)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이미 분리 장치(77)가 작업 위치의 방향으로 약간 변위된 후에는 단지 분리 장치(77)의 영역에 있는 유동 채널 또는 연결 개구를 통한 혼합물 성분들의 관류만이 가능해진다.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장애 없는 분리 결과를 얻기 위하여 분리 장치(77)의 밀봉 리브가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80)에 조밀하게 인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한 가지 가능한 실시예에서는 수용 용기(5) 내부의 내부 둘레에 걸쳐서 5개의 리세스(88)가 분배되어 있으며, 상기 리세스는 0.4mm의 깊이에서 원주 방향으로 볼 때 1.9mm의 크기 또는 팽창율을 갖는다. 상기 리세스는 종축(14)의 방향으로 3mm의 종방향 연장부(95)를 갖는다. 상기 리세스(88)의 깊이(89)를 선택할 때 중요한 것은, 상기 영역에서는 용기벽(11)이 사용되지 않은 상태(진공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수용 장치(1)의 저장 가능성을 보장하기에 충분한 두께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제작자에 따라서 예를 들어 18개월의 기간이 보증되고, 그 기간 안에는 상기 내부 공간(10)에서 사전 설정된 저압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설계 방식에서는, 특별히 상기 영역에서 재료의 산소 투과성 및 수증기 투과성이 고려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6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종축(14)과 평행하게 정렬된 제한면(96, 97)은 원주 방향으로 볼 때 리세스(88)를 제한한다. 상기 2개의 제한면(96, 97) 및 상기 리세스(88)의 깊이(89)의 상호 작용에 의해서는, 상기 관류 채널(들)(87)의 막힘 또는 변위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혼합물(2)의 부분량 또는 잔류 공기량이 동시에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 관류할 수 있도록 치수 설정된 관류 횡단면(98)이 제한되거나 확정된다. 이 경우,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서 적어도 하나의 관류 채널(87)의 최소 관류 횡단면(98)은 적어도 0.4mm2이다. 이 크기는 상기 횡단면의 최소 치수로서, 수용 장치(1)를 혈액 샘플 채 취관으로서 사용하는 경우에, 채워질 혼합물 또는 매체의 일부분의 장애 없는 관류 그리고 반대 관류 방향으로의 잔류 공기량의 동시적인 변위를 가능케 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리세스(88) 영역, 특히 제한면(91, 92 및/또는 96 또는 97) 영역에서의 혼합물(2) 성분의 엉김 또는 침전을 줄이거나 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제한면(91, 92, 96, 97) 또는 변환면(93, 94)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한면 또는 변환면을 오목하게 구부려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한면(91, 92, 96, 97) 및/또는 변환면(93, 94)들 중에서 하나의 제한면 또는 변환면을 편평하게 형성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수용 용기(5), 특히 내부 공간(10)을 형성하기 위한 코어를 몰드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개방된 정면(19) 가까이에 있는 제한면(91) 또는 변환면(93, 94)이 밀봉면(34) 또는 내부 표면(80)까지 이르는 상대적으로 평탄한 변환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같은 내용은 도 15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다. 이 경우 제한면(91)은 편평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한면과 밀봉면(34) 또는 내부 표면(80) 사이에 배치된 변환면(94)은 특히 반경에 의해서 볼록하게 형성되며, 베이스면(90)과 제한면(91) 사이에 형성된 변환면(93)은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반경에 의해서 오목하게 형성된다.
내부 표면(80) 영역, 특히 관류 채널(87) 또는 리세스(88)에서의 혼합물(2) 성분의 엉김을 줄이거나 또는 궁극적으로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표면이 상기 엉김을 어렵게 하거나 방지하는 표면 구조물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특히 "로터스-블뤼텐(Lotus-Blueten) 효과"에 따른 표면 구조물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바로 이 매우 민감한 영역에서는 혼합물(2)의 잔류물의 침전 또는 엉김이 저지되었다. 그러나 상기 저지 기능하는 표면 구조물은 밀봉 장치(21), 밀봉면(33, 34), 캡920) 그리고 분리 장치(77)에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단지 국부적인 배열만이 가능하다.
도 17 및 도 18에는 각각 캡(20) 또는 수용 용기(5)의 추가의 및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실시예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재차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6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거나 인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6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부품 명칭들이 사용된다.
도 17은 캡 재킷(23)을 갖는 캡(20)을 보여주며, 이 경우 종축(14)을 향하고 있는 내부면(41)에서 상기 수용 용기(5)를 향하고 있는 단부 영역(39)과 연장부(30) 사이의 영역에는 나사선 장치(40)의 부분들이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나사선 경로(43)는 종방향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원주 방향으로 연속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 1 나사선 세그먼트(99)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본 실시예에서 선택된 나사선 세그먼트의 형태는 단지 다수의 가능한 실시예들을 위한 예로서만 선택되었고, 매우 상이한 공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나사선 세그먼트(99)도 또한 종축(14)의 방향으로 캡 재킷(23)의 내부면(41) 위로 돌출한다.
도 18에서는, 상기 나사선 경로(42)가 수용 용기(5) 상에서 마찬가지로 종방향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원주 방향으로 연속으로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다수의 추 가 나사선 세그먼트(100)에 의해서 형성되었다. 상기 나사선 세그먼트(100)도 또한 재차 매우 상이한 공간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종축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 위로 돌출한다.
또한, 도 17의 나사선 경로(43)의 영역에서 파선으로 간략하게 도시되어 있는 내용은, 이전에 상세하게 기술된 코팅 또는 윤활제 또는 윤활제 첨가물이 나사선 경로(43)의 영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홈(101) 내부에 저장될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홈(101)은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되었고, 예를 들어 캡 재킷(23) 내부에 있는 개별 나사선 세그먼트(99)들 사이에 및/또는 상기 나사선 경로(43)의 영역에 직접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다수의 홈(101)이 캡 재킷(23) 또는 나사선 경로(43) 둘레에 분배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홈은 코팅 및/또는 윤활제 또는 윤활제 첨가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도 19에는 추가의 가능한 및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캡(20)의 실시예가 상기 캡 내부에 삽입된 밀봉 장치(21)와 함께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재차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이전에 도 1 내지 도 18에서 기술된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거나 또는 인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8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부품 명칭들이 사용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연장부(29, 30) 그리고 경우에 따라 그 사이에 삽입되는 지지링(31)은 캡 재킷(23)의 내부면에 밀봉 장치(21)의 쇼울더(32)를 위한 홈 형태의 수용 영역을 한정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홈 형태의 수용 영역의 섹션 내부에는, 캡 재킷(23)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관 통부(102)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부는 개구 또는 관통구를 형성하거나 또는 캡 재킷(23) 내부에 단 하나의 리세스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장치(21)가 삽입되거나 또는 장착된 상태에서는, 상기 관통부(102) 내부로 상기 쇼울더(32) 위로 돌출하는 돌출부(103)가 삽입됨으로써, 축(14)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밀봉 장치(21)의 지지 또는 커플링에 추가하여, 캡(20)에 대한 상기 밀봉 장치(21)의 비틀림 보호 장치 또는 추가의 커플링이 종축(14) 주변에 형성된다. 상기 관통부(102)는 매우 상이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원형, 다각형, 타원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관통부는 바람직하게는 캡 재킷(23) 내부에 있는 윈도우 형태의 개구이다. 둘레에 걸쳐서 볼 때 다수의 관통부(102)가 캡 재킷(23) 내부에 제공되면, 이 관통부들이 둘레에 걸쳐서 균일하게 분배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관통부(102)를 관통하는 개별 돌출부(103)들은 또한 캡 재킷(23)의 외부 표면 위로도 돌출하는 동시에, 편평하거나 급경사의 표면에 배치할 때 전체 수용 장치의 롤링 또는 회전을 위한 억제부로서 사용된다. 상기 돌출부(103)가 캡 재킷(23)의 외부 표면 위로 소정 치수만큼 돌출하면, 상기 돌출부는 수용 용기(5)로부터 전체 밀폐 장치(9)를 나사 결합 해체하기 위한 손잡이 또는 그립 부재로서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취급은 개선되거나 또는 더욱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캡(20)의 추가의 및 독자적인 한 가지 실시예는 도 19에 보다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 수용 용기(5)를 향할 수 있는 그리고 수용 용기에 중첩되는 캡(20)의 단부 영역(39)에는 바람직하게 주변을 순환하는 및 상기 단부 영역(39) 위로 돌출하는, 앞치마 형태로 형성된 보호 부재(10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앞치마 형상의 보호 부재(104)는 단지 국부적으로만 둘레에 걸쳐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둘레를 순환하도록 캡 재킷(23) 상에 배치되거나 형성된다. 이 경우에는, 상기 보호 부재(104)를 캡 재킷(23)의 통합 구성 부품으로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호 부재(104)는 단부 영역(39)으로부터 점점 멀어지면서 계속해서 감소하는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보호 부재(104)의 내부 직경(105)은 대략 수용 용기(5)의 외부 직경 또는 외부 치수에, 경우에 따라서는 추가로, 상기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 위로 돌출하는 나사선 경로(42)의 돌출부에 상응한다. 상기 보호 부재(104)는, 밀폐 장치(9)의 인출시 내용물이 수용 용기(5)로부터 외부로 사출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는 원치 않는 접촉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용 장치(1)의 사용자를 위한 추가의 배출 보호부 또는 사출 보호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그럼으로써, 재차 조작자의 전염 또는 감염이 줄어들거나 또는 궁극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도 20에는 추가로 가능한 및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수용 용기(5)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재차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9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거나 또는 인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19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부품 명칭들이 사용된다.
도면에 도시된 수용 용기(5)는 재차 바람직하게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분리 장치(77)의 삽입을 목적으로 형성되었고,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되고 기술된, 관류 채널(87)을 형성하기 위한 리세스(88) 대신에, 그와 달리 적어도 하나의,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80)으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리브(106)를 포함한다. 상기 리브(106)는 웨브 형태로 형성되었고, 바람직하게는 종축(14)과 평행하게 정렬되었다. 대부분의 경우에는 다수의 리브(106)가 둘레에 걸쳐서, 용기벽(11)의 내부 표면(80)에 분배 배치되어 있고, 자신들 사이에 -다시 말해 원주 방향으로 볼 때- 관류 채널(87)을 형성한다.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분리 장치(77)가 종축(14)에 인접하는 그리고 그에 따라 종축을 향하고 있는 상기 리브(106)의 제한면에 배치됨으로써, 분리 장치(77),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된 리브(106)와 용기벽(11)의 내부 표면(80) 사이에서는 관류 채널(87)이 제한된다. 상기 관류 채널(87)의 최소 횡단면은 재차 적어도 0.4 mm2이지만, 더 크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 및 도 22에는, 이전에 기술된 코팅을 제공하기 위해서 가능한 및 독자적인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재차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20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동일한 부품 명칭들이 사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도 1 내지 도 20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거나 또는 인용된다.
도 21은 밀봉 장치(21), 특히 마개(48)의 밀봉면(33) 상에 코팅을 제공할 수 있는 위한 가능성을 보여주며, 상기 밀봉 장치는 삽입된 상태에서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18)을 향하는 동시에 외부 분위기 주변에 대하여 내부 공간(10)을 밀봉시킨다. 이 경우 상기 밀봉 장치(21)의 쇼울더(32)는 단지 개략적으로만 도시된 홀더(107)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코팅될 밀봉면(33)에는 간략하게 도시된 코팅 부재(108)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코팅 부재는 개략적으로 도시된 회전축, 즉 고유의 축을 중심으로 독자적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고 및/또는 추가적으로는 구동부와도 커플링 될 수 있다. 밀봉 장치(21)를 구비한 상기 홀더(107)는 회전 동작을 실행하고, 코팅 부재(108)가 코팅될 면 -본 경우에는 밀봉면(33)- 에 인접함으로써 코팅 재료가 상기 코팅 부재(108)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개관을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구동부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그러나, 코팅 부재(108)를 구동시키고, 홀더(107) 내부에 지지된 밀봉 장치(21)를 인접 방식에 의하여 상기 코팅 부재와 더불어 함께 회전시키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기입된 이중 화살표에 따라 밀봉 장치(21)의 종축(14)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동작과 회전 동작이 중첩될 수도 있다.
또한, 코팅 수단을 저장하기 위하여 상기 코팅 부재(108)에는 공급 장치(109)가 할당되어 있다. 예컨대 실리콘 오일, 왁스, 왁스 형태의 폴리머, 지방 알코올,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아미드 등과 같은 액체 코팅 수단이 사용되면, 상기 코팅 수단은 용기(110) 내부에 저장되고, 도우징 부재(112)가 또한 그 내부에 배치될 수 있는 공급 라인(111)을 통하여 공급된다. 이때 공급되는 량은 물방울 형태로 부품 개수에 따라서, 코팅될 밀봉용 마개(22)의 코팅될 표면에 따라서 공급될 수 있다. 공급시의 클럭 시간은 50 내지 300개 사이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내용이 의미하는 것은, 코팅될 밀봉용 마개(22)의 개수에 도달한 후에는 재차 상기 코팅 수단의 예정 가능한 량 단위, 예컨대 한 방울 이상이 제공된다. 코팅 부재(108)는 자신에게 제공되는 코팅 수단을 저장하여, 이 코팅 수단을 코팅될 표면 또는 바디에 코팅을 형성할 목적으로 제공한다.
코팅을 형성하기 위한 추가의 코팅 수단을 삽입할 수 있기 위하여, 코팅될 표면 -본 경우에는 밀봉면(33)- 에서 예를 들어 기공과 같은 수용 개구(113)를 밀봉면(33) 위에 분배 제공하는 것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내용에 따라, 밀봉면(33)에 있는 코팅이 이전에 부분적으로 닳은 경우에는, 마개(48)를 수용 용기(5) 내부에 처음 사용한 후에 그리고 처음 제거한 후에, 추가의 용이한 삽입 과정을 위한 추가의 코팅 수단이 저장된다.
쇼울더(22)가 가이드 레일 상에 올려지고, 마개(48)가 가이드 레일을 관통하며, 밀봉면(33)이 코팅 부재(108)와 접촉하여 코팅 수단이 적용될 수 있도록, 밀봉 장치(21)를 바람직하게는 직선 형태의 가이드 레일 내부에 삽입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코팅 부재(108)가 비이드(bead) 형태의 부품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비이드 형태의 부품은 밀봉면(33)의 측면에 인접하고, 가이드 레일에 대한 코팅 부재(108)의 병진 동작에 의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밀봉 장치(21)의 조합된 회전 동작 및 종방향 동작이 야기된다. 밀봉 장치(21)는 한편으로는 종축(14)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가이드 슬롯을 따라서 계속 움직인다. 이때에는 또한 다수의 밀봉 장치(21)가 바람직하게는 상호 간격을 두고 연속으로 가이드 슬롯 내부에 배치될 수 있음으로써, 그 경우에는 다수의 밀 봉 장치(21)가 하나의 코팅 동작으로 동시에 코팅될 수 있다.
도 22에는 개방된 정면(19) 영역에서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18)에 코팅을 제공하기 위한 가능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때 코팅될 표면, 특히 밀봉면(34)은 삽입된 상태에서 마개(48)의 밀봉면(33)을 향하고 있는 면에 상응한다.
수용 용기(5)가 원형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스파이크(114)(spike)의 외부면에 상기 스파이크(114) 위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코팅 부재(108)가 배치되며, 이 경우 상기 스파이크의 외부 치수는 수용 용기(5)의 내부 치수(13)에 맞추어 조절될 수 있다. 코팅 부재(108)는 홈 형태의 공동부(115) 내에서 스파이크(114)게 고정 지지되고, 방사 방향으로 상기 스파이크(114) 위로 돌출한다. 그럼으로써, 코팅 부재(108)와 수용 용기(5)의 코팅될 표면(18)의 콘택은 상기 부재와 표면이 서로 동일한 평면에 정렬된 경우에 성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코팅 부재(108)는 관 형태로 형성되었다. 공급 그리고 량에 따른 도우징은 도 21의 설명에 따라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종축(14)의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스파이크(114)의 중첩 동작도 상응하는 이중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상기 종축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동작으로서 가능하다.
나사선 장치(40)의 영역에서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 코팅을 제공하는 것은 내부 표면(18)에 코팅을 제공하는 것과 유사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본 실시예에서는 코팅 부재가 수용 용기(5)의 외부 치수에 매칭되는 개구를 갖는다.
예를 들어 클럭수가 300 코팅인 경우에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18)에는 재도우징에 따라 0.1mg 내지 0.001mg, 바람직하게는 0.07mg 내지 0.4mg, 특히 0.05583mg의 실리콘 양이 제공될 수 있다. 나사선 장치(40) 영역의 외부 표면(18)에는 예를 들어 클럭수가 60 코팅인 경우에 재도우징에 따라 0.6mg 내지 0.1mg, 바람직하게는 0.4mg 내지 0.2mg, 특히 0.27917mg의 실리콘 양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중량 지시들은 13mm의 수용 용기(5)의 공칭 크기와 관련이 있고, 단지 코팅이 제공된 표면 영역과만 관련이 있다. 상기 코팅된 수용 용기(5)의 표면 영역은, 침지 깊이가 1 내지 2mm인 경우에, 내부 표면에서는 약 75mm2이고, 외부 표면에서는 약 70mm2이다. 상기 밀봉용 마개(22)의 마개(48)에서는 약 146mm의 표면이 코팅된다.
도 23 및 24에는 추가로 가능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독자적인, 수용 장치(1), 특히 수용 용기(5)를 위한 밀폐 장치(9)의 한 실시예가 개략적인 확대도로 도시되어 있으며, 이 경우에도 재차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22에서와 동일한 도면 부호 또는 부품 명칭들이 사용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하여,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22의 상세한 설명이 참조되거나 또는 인용된다.
본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밀봉 장치(21)의 쇼울더(32)는 한편으로는 캡 재킷(23)의 내부면(41) 위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연장부(30)에 의해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연장부로부터 이격된 추가의 연장부(29)에 의해서 캡(20)의 영역에 고정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그 사이에 배치된 고정링을 도 1에 상 세하게 기술된 바와 같이 상기 연장부에 대하여 상대적인 자신의 위치에 고정시킨다.
도 1의 도시예와 달리, 본 실시예에서는 연장부(30)가 개방된 정면(19) 영역에서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 옆 측면에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외부 표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밀봉용 마개(22)의 마개(48)는 자신의 중앙 영역에서 - 다시 말해 종축(14)의 영역에서 - 종축의 방향으로 약 3.0 내지 4.0 mm의 두께를 가지며, 이 경우 상기 두께는 밀봉용 마개(22), 특히 상기 마개(48)의 선택된 재료에 의존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관통하여 찌르는 과정 후에도 주사 바늘 또는 바늘의 관통 개구의 폐쇄 그리고 그에 따라 액체 또는 기체 물질의 관통을 예정 가능한 기간에 걸쳐서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개의 재료는 찌르는 과정 후에 다시 폐쇄될 수 있는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상기 마개(48)는 수용 용기(5)의 내부 밀봉면(34)을 향하는 또는 향할 수 있는 밀봉면(33)을 가지며,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면(33)은 전술한 실시예에 비하여 종축(14)의 방향으로 보다 짧게 형성되었다. 따라서, 상기 밀봉면(33)은 종방향 연장부에서 종축(14)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절반만큼 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방향으로 1.0mm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1.5mm의 치수도 또한 가능하다.
마개(48) 영역에서 밀봉면(33)을 줄임으로써,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쇼울더(32)의 영역에서는 정면(19)을 향하는 상기 영역에 추가의 밀봉면(116)이 제공되고, 상기 추가의 밀봉면은 밀봉용 마개(22)가 수용 용기(5)의 내부 공간(10)에 완 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19)과 상호 작용한다. 그럼으로써, 마개(48)의 영역에서 상기 밀봉면(33)의 감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내용은 밀봉용 마개(22)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장점을 야기하는데, 그 장점은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18) 또는 밀봉면(34)을 향하는 밀봉면(33)의 축소에도 불구하고, 개방된 정면(19) 영역에서 추가의 밀봉면(116)이 만들어진다는 것이다. 또한, 마개(48)에서 밀봉면(33)이 단축됨으로써, 수용 용기(5)와 밀폐 장치(9) 사이의 상대적인 조정 경로는, 도 24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가 아직 결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밀봉면(34) 또는 정면(19) 영역에서 마개(48), 특히 밀봉면(34)과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채널(117)이 형성되거나 개방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가 아직 결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밀봉 장치(21)와 상기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 사이에서 수용 용기(5)와 캡(20)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117)이 형성되었다. 따라서, 캡(20)과 수용 용기(5) 사이가 여전히 커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수용 용기(5)의 내부 공간(10)과 외부 분위기 주변 사이에서 압력 보상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내용은 도 24의 파형 화살표에 의해서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상기 위치에서는 여전히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가 결합 상태에 있음으로써, 상기 채널(117)을 형성하기까지는 마개(48)를 수용 용기(5)로부터 인출하는 제어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여전히 캡(20) 내부 에서 이루어지는 전체 밀봉용 마개(22)의 상응하는 지지 작용에 주의해야만 한다. 상기와 같은 상호 지지 작용이 충분하지 않으면, 밀봉용 마개(22)가 수용 용기(5) 상에 또는 그 내부에 머물러서, 단지 캡(20)만 밀봉용 마개(22)로부터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캡 재킷(23)의 전체 내부 둘레에 걸쳐서 순환 방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연장부(30)는 도면에 도시된 본 실시예에서 내부 폭(118)을 가지며, 상기 내부 폭은 개방 단부(6) 영역에서의 수용 용기(5)의 외부 치수(119)에 대략적으로 상응한다. 상기 내부 폭(118)과 외부 치수(119) 사이의 차가 적으면 적을수록, 밀폐 장치(9)가 나사 결합된 상태에서는 상기 연장부(30)와 상기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 사이의 간극은 그만큼 더 작아진다. 이때 상기 연장부(30)는 또한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상기 연장부(30)의 내부 폭(118)이 수용 용기(5)의 외부 치수(119)에 상응한다. 그와 달리 상기 연장부(30)의 내부 폭(118)이 수용 용기(5)의 외부 치수보다 약간 더 작게 선택되면, 캡(20)과 수용 용기(5) 사이에 약간의 압입 끼워 맞춤이 야기된다. 이와 같은 경우들에서는, 채널(117)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연장부(30)를 둘레에 걸쳐서 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단 상태로 형성할 수 있거나 또는 수용 용기(5)를 향하거나 또는 상기 수용 용기에 인접하는 면에 리세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24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밀봉 장치(21)의 마개(48)에서, 수용 용기(5)를 향하는 또는 향할 수 있는 밀봉면(33)과 종축(14)에 대하여 대략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내부 공간(10)을 향하고 있는 추가의 밀봉면 사이에는, 상기 종축(14)의 방향으로 가면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1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경사부(120)는 예를 들어 원뿔면의 부분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경사부(120)를 형성하기 위한 다른 모든 공간 형태들도 또한 가능하다. 상기 경사부(120)에 의해서는, 바람직하게 종축(14)에 대하여 원통형으로 형성된 밀봉면(33)의 치수 및 크기가 감소되며, 이 경우 예를 들어 밀봉면(33)은 마개(48)에서 종축(14)의 방향으로 종방향 연장부 또는 1.0mm 내지 2.5mm, 바람직하게는 1.5mm의 치수(121)를 가질 수 있다. 종축(14) 방향으로의 상기 길이 또는 치수(121)는, 밀봉용 마개(22)가 완전히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를 향하는 밀봉면(33, 34 및 116) 그리고 개방된 정면(19)이 충분한 기밀성 그리고 액밀성을 예정 가능한 저장 기간에 걸쳐서 보장하도록 그리고 상기 밀봉면의 인접이 또한 둘레에 걸쳐서 실행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도 23의 경사부(120) 영역에서 일점쇄선으로 지시된 내용은, 상기 경사부 대신에 채널(117)을 마개(48)의 밀봉면(33)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홈 형태의 공동부(122)에 의해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는 또한 마개(48) 또는 밀봉면(33)의 둘레에 걸쳐서 분배 배치된, 홈 형태의 다수의 공동부(122)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동부(122)는 수용 용기(5)의 내부 공간(10)을 향하는 에지 영역(123)으로부터 출발하여 쇼울더(3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쇼울더(32) 앞에서 간격(124)을 두고 끝난다. 상기 간격(124)도 마찬가지로 1.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1.5 mm이고, 상기 치수(121)에 상응한다. 그럼으로써, 재차 둘레에 걸쳐서 순환하는 밀봉면(33)이 마개(48)에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도 재차 캡(20)이 수용 용기(5)로부터 약간 나사 결합 해체된 경우,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가 아직도 결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채널(117)을 통하여 재차 수용 용기(5)의 내부 공간(10)과 외부 분위기 주변 사이에서 유동 연결부가 만들어질 정도까지, 마개(48)가 수용 용기(5)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또한, 도 24에 간략하게 지시된 바와 같이, 수용 용기(5)에 대하여 밀폐 장치(9)의 공통적인 상대적 변위를 보증하기 위하여, 쇼울더, 특히 상기 쇼울더의 방사형으로 순환하는 외부면과 캡 재킷(23)의 내부면 사이에 상호 비틀림을 보호하기 위한 추가의 록킹 수단을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록킹 수단은 상호 맞물림, 상호 작용하는 돌출부 및 리세스에 의해서 또는 캡 재킷(23)에 있는 수용 영역 내부에서 상기 쇼울더(32)의 추가의 방사 방향 초기 응력과 조합될 수 있는 보다 큰 표면 조도에 의해서도 형성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부가할 내용은, 전술된 수용 장치(1)의 실시예에서는 혈액 샘플 채취관이 다루어지고, 상기 관의 내부 공간(10)이 밀폐 장치(9)에 의한 밀폐 후에는 통상적인 기압에 비해 낮은 압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즉, 진공화 된다는 것이다. 그러나 소정의 사용 목적을 위해서는, 내부 공간(10)이 단지 소독만 되거나 또는 채워질 제품을 처리하기 위해 저장된 재료를 상기 내부 공간에 채워 상기 내부 공간이 진공화 되지 않은 경우도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진공화된 내부 공간(10) 내부도 단지 상기 재료로만 채워질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은 수용 장치(1)의 가능한 변형 실시예들을 보여주며, 이 자리에서 언급할 내용은, 본 발명이 특별하게 기술된 변형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오히려 상기 개별 변형 실시예들의 다양한 조합들도 가능하며, 상기 변형 가능성들은 장치 발명에 의한 기술적인 취급을 위한 이론을 토대로 하여, 본 기술 분야에서 활동하는 당업자의 능력 안에 존재한다. 다시 말하자면, 도시되고 기술된 변형 실시예들의 개별 세부 내용의 조합에 의해서 가능한 모든 변형 실시예들도 보호 범위에 포함된다.
마지막으로, 수용 장치(1)의 구조를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하여, 상기 수용 장치 그리고 밀폐 장치(9) 및 수용 용기(5)와 같은 상기 수용 장치의 구성 부품들은 부분적으로는 척도에 맞지 않게 및/또는 확대된 상태로 및/또는 축소된 상태로 도시되었다.
독자적이고 진보적인 해결책을 토대로 하는 목적은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다른 무엇보다도, 도 1,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 도 12, 도 13, 도 14, 도 15, 도 16; 도 17; 도 18; 도 19; 도 20; 도 21; 도 22. 도 23, 도 24에 개별적으로 도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독자적인 해결책의 대상을 형성하고, 임의의 방식으로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본 발명에 따른 목적 및 해결 방안들은 도면 설명부로부터 도출할 수 있다.
* 도면 부호 목록 *
1: 수용 장치 2: 혼합물
3, 4: 매체 5: 수용 용기
6, 7: 단부 8: 정면벽
9: 밀폐 장치 10: 내부 공간
11: 용기벽 12: 벽두께
13: 치수 14: 종축
15, 16: 평면 17: 치수
18: 표면 19: 정면
20: 캡 21: 밀봉 장치
22: 밀봉용 마개 23: 캡 재킷
24, 25, 26, 27: 커플링부 28: 커플링 장치
29, 30: 연장부 31: 지지링
32: 쇼울더 33, 34: 밀봉면
35: 홈, 공동부 36: 개구
37: 커플링 장치 38, 39: 단부 영역
40: 나사선 장치 41: 내부면
42, 43: 나사선 경로 44: 지지 장치
45: 지지면 46: 조립 장치
47: 압력 베어링 48: 마개
49: 평면 50: 경사각
51-56: 나사선 처음 57-59: 나사선 끝
60: 경사각 61: 각
62: 나사선 높이 63, 64; 나사선 출발점
65: 변환 반경 66: 베이스 폭
67: 반경 68: 피크 폭
69: 변환면 70: 각
71: 반경 72: 피크면
73: 수용부 74: 지지 플레이트
75: 위치 설정 장치 76: 가이드 개구
77: 분리 장치 78: 수용 공간
79: 억제 장치 80: 표면
81: 쇼울더 82: 웨브
83: 위치 설정 장치 84: 내부 치수
85: 정지면 86: 연장부
87: 관류 채널 88: 리세스
89: 깊이 90: 베이스면
91, 92: 제한면 93, 94: 변환면
95: 베어링 연장부 96, 97: 제한면
98: 관류 횡단면 99, 100: 나사선 세그먼트
101: 홈 102: 관통부
103: 돌출부 104: 보호 부재
105: 내부 직경 106: 리브
107: 홀더 108: 코팅 부재
109: 공급 장치 110: 용기
111: 공급 라인 112: 도우징 부재
113: 수용 개구 114: 스파이크
115: 홈 116: 밀봉면
117: 채널 118: 내부 폭
119: 치수 120: 경사부
121: 치수, 량 122: 홈
123: 에지 영역 124: 간격

Claims (107)

  1. 캡(20)과 수용 용기(5) 사이에서 공통의 종축(14)을 중심으로 상대적인 회전 동작 및 선회 동작이 실시되는,
    체액, 조직부 또는 조직 구조물을 위한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한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 7)와 밀폐 장치(9)의 캡(20)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대적인 동작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될 부품(5, 20)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품에 종축(14)의 방향으로 향하는 압력(F)이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F)이 밀폐 장치(9)의 캡(20) 상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F)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캡(20)은 수용 용기(5)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지지되고, 상기 수용 용기(5)는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으로 변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4.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F)이 제공되는 동안 상기 수용 용기(5)는 상기 캡(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고정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5.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은 10 N 내지 50 N의 크기를 갖는 압력(F)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6.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20)을 나사 결합하기 전에 상기 캡 내부로 밀봉 장치(21)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7.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종축(14)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이 나사선 장치(40)의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나사선 경로(42, 43)에 의해서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력(F)을 제공하기 전에, 조립될 부품들(5, 20) 중에서 하나의 부품은 조립 될 다른 부품들(20, 5)에 대하여 상기 공통의 종축(14)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자유로운 회전에 의해서 상기 다른 부품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사전 위치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9.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의 종축(14)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상대적인 회전 동작 또는 선회 동작 중에,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들은 완전히 나사 결합된 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나사 결합 경로의 전체 길이에 걸쳐서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0.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립 전에, 상기 수용 장치(1)를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부품(9, 5) 상에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캡(20)과 수용 용기(5) 사이에 있는 커플링 장치(37)의 영역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수용 용기(5)에 형성된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캡(20) 내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부분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4. 제 10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상기 밀봉 장치(21)의 마개(48)의 수용 용기(5)를 향한 밀봉면(33)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5. 제 10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상기 밀봉 장치(21)의 마개(48)의 밀봉면(33)을 향한 상기 수용 용기(5)의 내부 표면(18)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6. 제 10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개별 코팅 영역을 통과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7. 제 10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에 의하여, 결합 과정을 위해 서로 결합될 부품들 사이의 마찰이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8. 선행하는 청구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장치(9)의 다수의 캡(20)이 하나의 공통 조립 장치 내에서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한 수용 용기(5)와 동시에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19. 캡(20)이 하나의 캡 재킷(23),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단부 영역(38, 39) 및 상기 캡 재킷(23)의 내부면(41)에서 주변에 배치된, 나사선 장치(40)의 적어도 하나의 제 1 부분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체액, 조직부 또는 조직 구조물을 위한 수용 장치(1)의 수용 용기(5)를 위한 밀폐 장치(9)를 형성하기 위한 캡(20)으로서,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을 기준으로 한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 경로(43)의 경사각(50)이 2°의 하부 한계 및 30°의 상부 한계를 갖는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50)은 3°, 특히 5°, 바람직하게는 8°, 10°, 13°, 15°의 하부 한계를 갖고, 25°, 특히 20°, 바람직하게는 16°, 13°, 12°의 상부 한계를 갖는 선택된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50)이 9° 또는 10° 또는 11° 또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2. 제 19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 경로(43)가 자신의 종방향 진행 경로에 걸쳐서 볼 때 원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그리고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 1 나사선 세그먼트(99)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3. 제 19 항 내지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장치(40)가 다중 경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장치(40)가 내부면(41)에 걸쳐 분배 배치된 3개의 나사선 경로(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5. 제 23 항 또는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나사선 경로(43)의 나사선 처음(51 내지 53)이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서로 약 120°만큼 변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6. 제 19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장치(40)를 형성하는 개별 나사선 경로(43)의 나사선 길이가 각각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서는 둘레에 걸쳐서 볼 때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영역에 있는 캡 재킷(23)의 내부 둘레와 같거나 또는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7. 제 19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의 나사선 경로(43)가 상기 캡 재킷(23)의 절반 내부 둘레에 걸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8. 제 19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 경로(43)는 상기 캡 재킷(23)의 내부면(41)에 걸쳐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29. 제 19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재킷(23)의 내부면(41)이 적어도 나사선 경로(43)의 영역에서는 코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0. 제 19 항 내지 제 2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장치(40), 특히 상기 나사선 경로(43)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1. 제 29 항 또는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마찰을 감소하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수단 또는 슬라이딩 수단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2. 제 29 항 내지 제 3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 및/또는 슬라이딩 수단이 상기 나사선 경로(43)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홈(101)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3. 제 19 항 내지 제 3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을 형성하기 위한 재료에 미리 상기 슬라이딩 수단 또는 슬라이딩 수단 첨가물이 부가되거나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4. 제 19 항 내지 제 3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 경로(43)가 적어도 상기 수용 용기(5)의 나사선 경로(42)와 상호 작용하는 섹션에서는 0.0125 ㎛ 내지 0.05 ㎛의 표면 조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5. 제 19 항 내지 제 3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캡 내부에는 커플링 장치(28)를 통해 밀봉 장치(21)가 지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6. 제 35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장치(28)는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 둘레에 걸쳐서 배치된, 상기 종축(14)의 방향으로 상기 캡 재킷(23) 위로 돌출하는 연장부(29, 30)에 의해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는 상기 캡 재킷(23)의 내부면에 홈 형태의 수용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7. 제 35 항 또는 제 36 항에 있어서,
    상기 캡 재킷(23)의 홈 형상의 수용 영역 섹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102)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 내부에는 삽입 가능한 밀봉 장치(21), 특히 상기 장치의 쇼울더(3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을 목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8. 제 37 항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부(102)가 둘레에 분배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39. 제 19 항 내지 제 3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를 향할 수 있는 연장부(30)의 내부 폭(118)은 상기 개방된 단부(6)의 영역에서 상기 수용 용기(5)의 외부 치수(119)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
  40. 수용 용기(5)가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단부(6, 7)를 갖고, 상기 수용 용기가 내부 공간(10)을 변환시키며, 상기 2개 단부(6, 7)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개방 가능한 밀폐 장치(9)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는 개방된 정면(19)을 갖고, 상기 수용 용기(5)의 외부 표면(18)에는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부분이 배치되어 있는,
    밀폐 장치(9)에 의해서 밀폐 가능한, 체액, 조직부 또는 조직 구조물을 위하여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한, 수용 용기(5)로서,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을 기준으로 한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 경로(42)의 경사각(60)이 2°의 하부 한계 및 30°의 상부 한계를 갖는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1.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60)은 3°, 특히 5°, 바람직하게는 8°, 10°, 13°, 15°의 하부 한계를 갖고, 25°, 특히 20°, 바람직하게는 16°, 13°, 12°의 상부 한계 를 갖는 선택된 범위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각(60)이 9° 또는 10° 또는 11° 또는 1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 경로(42)가 자신의 종방향 진행 경로에 걸쳐서 볼 때 원주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그리고 서로 이격된 추가의 나사선 세그먼트(100)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4. 제 40 항 내지 제 4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장치(40)가 다중 경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5. 제 44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장치(40)가 외부 표면(18)에 걸쳐 분배 배치된 3개의 나사선 경로(4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6. 제 44 항 또는 제 45 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나사선 경로(42)의 나사선 처음(54 내지 56)이 원주 방향으로 볼 때 서로 120°만큼 변위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7. 제 40 항 내지 제 4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장치(40)를 형성하는 나사선 경로(42)의 나사선 길이의 총합이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서는 둘레에 걸쳐서 볼 때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영역에 있는 수용 용기(5)의 외부 둘레와 같거나 또는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8. 제 40 항 내지 제 4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를 갖는 상기 나사선 경로(42)가 자신의 나사선 처음(54 내지 56)과 자신의 나사선 끝(57 내지 59) 사이에서는 둘레에 걸쳐서 볼 때 50° 내지 80°의 각(61) 이상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49. 제 48 항에 있어서,
    상기 각(61)은 약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0. 제 40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경로(42)가 자신의 나사선 처음(54 내지 56)의 섹션에서는 자신의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로부터 출발하여 외부 표면(18)에 이르기까지 나사선 출 발점(63)을 갖고, 상기 나사선 출발점의 높이는 계속해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1. 제 40 항 내지 제 5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경로(42)가 자신의 나사선 끝(57 내지 59)의 섹션에서는 자신의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로부터 출발하여 외부 표면(18)에 이르기까지 추가의 나사선 출발점(64)을 갖고, 상기 나사선 출발점의 높이는 계속해서 감소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2. 제 50 항 또는 제 51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출발점(63, 64)이 변환 반경(65)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3. 제 40 항 내지 제 5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 원주 방향으로 직접 이웃하여 배치된 나사선 경로(42)들이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4. 제 40 항 내지 제 5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경로(42)의 나사선 횡단면이 종축(14)과 평행한 및 상기 종축을 관통하도록 정렬된 평면에서는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 기.
  55. 제 40 항 내지 제 5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경로(42)가 완전한 나사선 높이(62)를 갖는 섹션에서는 상기 나사선 횡단면이 종축(14)과 평행하게 정렬된 피크면(7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6. 제 53 항 내지 제 5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횡단면은 상기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9)을 향한 측면에서, 상기 피크면(72)으로부터 출발하여 외부 표면(18)에 이르기까지 제 1 반경(67)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7. 제 53 항 내지 제 5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횡단면은 상기 수용 용기(5)의 개방된 정면(9)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측면에서, 상기 외부 표면(18)으로부터 출발하여 상기 개방된 정면(19)에 이르기까지 기울어져 진행하는 직선의 변환면(69)에 의해서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8. 제 57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횡단면은 종축(14)과 평행하게 정렬된 피크면(72)과 변환면(69) 사이에서 추가의 반경(71)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59. 제 56 항 내지 제 5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경(67)이 추가의 반경(71)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0. 제 40 항 내지 제 5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처음(54 내지 56)이 외부 표면(18) 영역에서는 상기 개방된 정면(19) 가까이까지 접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1. 제 40 항 내지 제 6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표면(18)의 적어도 나사선 경로(42)의 영역에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2. 제 40 항 내지 제 6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선 장치, 특히 상기 나사선 경로(42)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3. 제 40 항 내지 제 6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밀봉 장치(21)의 밀봉면(33)을 향할 수 있는 내부 표면(18)의 영역에서 상기 수용 용기에 코팅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4. 제 61 항 내지 제 6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이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딩 수단 또는 슬라이딩 수단 첨가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5. 제 40 항 내지 제 6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 경로(42)가 상기 캡(20)의 적어도 상기 추가의 나사선 경로(43)와 상호 작용하는 섹션에서는 0.0125 ㎛ 내지 0.05 ㎛의 표면 조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6. 제 40 항 내지 제 6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10) 내부에 삽입될 수 있는 분리 장치(77)의 영역에는, 출발 위치를 위하여 억제 장치(7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7. 제 66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장치(79)는 상기 내부 표면(80)의 둘레에 걸쳐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쇼울더(81)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8. 제 66 항 또는 제 67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장치(79)는 상기 내부 표면(80)의 둘레에 걸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웨브(82)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69. 제 68 항에 있어서,
    상기 웨브(82)가 상기 내부 표면(80)의 둘레에 걸쳐서 연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0. 제 66 항 내지 제 6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장치(79)가 상기 내부 공간(10)의 내부 치수(13)의 축소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1. 제 66 항 내지 제 7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억제 장치(79)가 상기 내부 표면(80)의 둘레에 걸쳐서 연속으로 형성된 홈 형태의 공동부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2. 제 66 항 내지 제 7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업 위치의 영역에는, 상기 내부 공간(10) 내부로 삽입될 분리 장치(77)를 위하여 위치 설정 장치(83)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3. 제 72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장치(83)가 상기 내부 공간(10)의 내부 치수(84)의 축소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4. 제 72 항 또는 제 7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장치(83)가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정지면(85)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5. 제 40 항 내지 제 7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공간(10)에 있는 수용 용기(5)의 협착부 또는 상기 2개의 평면(15, 16) 사이에 있는 수용 공간(117)의 협착부는 0.1° 내지 3.0°,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1.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6. 수용 용기(5)가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단부(6, 7)를 갖고, 상기 수용 용기가 내부 공간(10)을 변환시키며, 상기 2개 단부(6, 7)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부는 개방 가능한 밀폐 장치(9)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는 개방된 정면(19)을 갖고, 상기 내부 공간(10)에는 개방된 정면(19)을 통하여 분리 장치(77)가 출발 위치에서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
    밀폐 장치(9)에 의해서 밀폐 가능한, 체액, 조직부 또는 조직 구조물을 위하 여 수용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한, 수용 용기(5)로서,
    상기 삽입 가능한 분리 장치(77)의 출발 위치의 영역에서는, 상기 수용 용기(5)의 용기벽(11)과 상기 삽입될 수 있는 분리 장치(77)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관류 채널(8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7. 제 7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류 채널(87)이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에서는 적어도 0.4 mm2의 최소 관류 횡단면(98)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8. 제 76 항 또는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류 채널(87)이 상기 용기벽(11)의 내부 표면(80) 내부에 깊이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79. 제 78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88)의 종방향 연장부(95)가 종축(14)의 방향으로 볼 때 밀봉용 마개(22)의 밀봉면(33)을 향할 수 있는 밀봉면(34) 앞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0. 제 78 항 또는 제 79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88)의 종방향 연장부(95)가 종축(14)의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개방된 정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기 분리 장치(77)의 작업 위치 또는 분리 위치 앞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1. 제 78 항 내지 제 8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88)가 내부 표면(80)으로부터 출발하여 방사 방향으로 외부 표면(18)에 이르기까지 0.1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0.2 mm 내지 0.5 mm의 깊이(89) 이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2. 제 78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내부 둘레에 걸쳐서 분배 배치된 다수의 리세스(8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3. 제 82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88)가 내부 둘레에 걸쳐서 대칭으로 분배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4. 제 78 항 내지 제 8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88)가 내부 둘레에 걸쳐서 연속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5. 제 78 항 내지 제 8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87)의 베이스면(90)과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리세스(88)의 적어도 하나의 제한면(91, 92) 사이에 제 1 변환면(9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6. 제 78 항 내지 제 8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종축(14)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상기 리세스(88)의 하나의 제한면(91, 92)과 상기 내부 표면(80) 사이에 추가의 변환면(94)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7. 제 85 항 또는 제 8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환면(93, 94) 또는 제한면(91, 92, 96, 97)이 오목하게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8. 제 85 항 내지 제 8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환면(93, 94) 또는 제한면(91, 92, 96, 97)이 평탄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89. 제 85 항 내지 제 8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변환면(93, 94) 또는 제한면(91, 92, 96, 97)이 볼록하게 구부러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90. 제 76 항 또는 제 77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관류 채널(87)이 상기 용기벽(11)의 내부 표면(80) 위로 종축(14)의 방향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106)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91. 제 9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106)가 종축(14)과 평행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92. 제 40 항 내지 제 9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용기가 적어도 상기 관류 채널(87)의 영역에서 특히 로터스-블뤼텐 효과(독일어; Lotus-Blueten EffeKt)를 갖는 표면 구조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93. 제 76 항 내지 제 9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용기의 외부 표면(18)에는 나사선 장치(40)의 적어도 하나의 제 2 부분이 배치되어 있으며,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된 평면(49)을 기준으로 한 상기 나사선 장치(40)의 적어도 하나의 나사선 경로(62)의 경사각(60)은 2° 내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94. 제 76 항 내지 제 9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용기가 제 19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 또는 다수의 항에 따라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용기.
  95. 적어도 하나의 캡(20), 상기 캡 내부에 지지된 밀봉 장치(21) 그리고 수용 용기(5)를 포함하는, 수용 장치(1)로서,
    상기 캡(20)이 제 19 항 내지 제 3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서 형성되고, 상기 수용 용기(5)가 제 40 항 내지 제 94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96. 제 95 항에 있어서,
    상기 캡(20) 내부에 삽입된 밀봉 장치(21)가 삽입 전에는 적어도 상기 수용 용기(5)의 하나의 내부 표면(18)을 향할 수 있는 밀봉면(33)의 영역에 코팅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97. 제 95 항 또는 제 96 항에 있어서,
    외부 분위기에 대하여 폐쇄된 내부 공간(10)이 외부 주변 압력에 비하여 낮은 압력까지 떨어지고, 특히 진공화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98. 제 95 항 내지 제 9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장치(21)의 마개(48) 위로 방사형으로 돌출하는 쇼울더(32)와 상기 수용 용기(5)로부터 멀리 이격된 상기 캡(20)의 연장부(29) 사이에 고정링(31)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99. 제 95 항 내지 제 9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 용기(5)의 하나의 개방된 단부(6)를 향할 수 있는 상기 캡(20)의 연장부(30)의 내부 폭(118)이 상기 개방된 단부(6) 영역에서는 상기 수용 용기(5)의 외부 치수(119)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0. 제 95 항 내지 제 9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사선 장치(40)의 나사선 경로(42, 43)들이 여전히 결합 상태에 있는 경우에는, 상기 밀봉 장치(21)와 상기 수용 용기(5)의 하나의 개방된 단부(6) 사이에서 수용 용기(5) 및 캡(20)에 적어도 하나의 채널(117)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1.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17)이 내부 공간(10) 내부로 삽입될 상기 밀봉 장치(21)의 마개(48)와 상기 수용 용기(5)의 개방된 단부(6)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2. 제 100 항 또는 제 10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장치(21)의 마개(48)에서, 상기 수용 용기(5)를 향하는 밀봉면(33)과 종축(14)에 대하여 수직으로 정렬되고 상기 내부 공간(10)을 향하는 추가의 밀봉면 사이에, 상기 종축(14)의 방향으로 가면서 좁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부(12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3. 제 95 항 내지 제 10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면(33)이 마개(48) 상에서는 종축(14)의 방향으로 1.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1.5 mm의 치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4. 제 100 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117)이 상기 마개(48)의 밀봉면(33)의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홈 형태의 공동부(122)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5. 제 104 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122)는 상기 수용 용기(5)의 내부 공간(10)을 향하고 있는 에지 영역(123)으로부터 출발하여 쇼울더(32)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1.0 mm 내지 2.5 mm, 바람직하게는 1.5 mm의 간격을 두고 사전에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6. 제 95 항 내지 제 10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 재킷(23)에 있는 홈 형태의 수용 영역의 섹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부(102)가 배치되고, 상기 관통부 내부에는 상기 삽입된 밀봉 장치, 특히 상기 밀봉 장치의 쇼울더(32)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107. 제 95 항 내지 제 10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장치(21)의 쇼울더(32)와 상기 캡(20), 특히 상기 캡의 캡 재킷(23) 사이에 추가의 록킹 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 장치.
KR1020067016980A 2004-01-23 2005-01-14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114671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08004A AT500459B1 (de) 2004-01-23 2004-01-23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r kappe mit einem aufnahmebehälter
ATA80/2004 2004-01-23
PCT/AT2005/000004 WO2005070781A2 (de) 2004-01-23 2005-01-14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r kappe mit einem aufnahmebehäl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645A true KR20070004645A (ko) 2007-01-09
KR101146711B1 KR101146711B1 (ko) 2012-05-17

Family

ID=34800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6980A KR101146711B1 (ko) 2004-01-23 2005-01-14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8448800B2 (ko)
EP (2) EP2277625A1 (ko)
KR (1) KR101146711B1 (ko)
CN (1) CN1997455B (ko)
AT (2) AT500459B1 (ko)
AU (2) AU2005206216B2 (ko)
BE (1) BE1016618A5 (ko)
BR (1) BRPI0506975B8 (ko)
DE (1) DE502005010549D1 (ko)
FR (1) FR2865457A1 (ko)
RU (1) RU2336948C2 (ko)
WO (1) WO200507078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06505B3 (de) * 2007-02-09 2008-08-07 Voll, Wolfgang, Dr. Behälter und medizinische Tupfer für biologische Materialien
EP1995182A1 (en) * 2007-05-25 2008-11-26 F.Hoffmann-La Roche Ag A sealing cap for a fluid container and a blood collection device
WO2009020032A1 (ja) * 2007-08-03 2009-02-12 Yuyama Mfg. Co., Ltd. バイアル瓶蓋締め装置及び薬剤収納取出装置
AT506652A1 (de) * 2008-04-01 2009-10-15 Greiner Bio One Gmbh Verschlussvorrichtung
CN102365211A (zh) * 2009-03-27 2012-02-29 国际密封系统公司 增强了润滑剂分布的模制盖
EP2674513B1 (en) 2009-05-13 2018-11-14 SiO2 Medical Products, Inc. Vessel coating and inspection
WO2013170052A1 (en) 2012-05-09 2013-11-14 Sio2 Medical Products, Inc. Saccharide protective coating for pharmaceutical package
US7985188B2 (en) 2009-05-13 2011-07-26 Cv Holdings Llc Vessel, coating, inspection and processing apparatus
US9458536B2 (en) 2009-07-02 2016-10-04 Sio2 Medical Products, Inc. PECVD coating methods for capped syringes, cartridges and other articles
FR2949438B1 (fr) * 2009-08-25 2011-10-28 Valois Sas Ensemble et procede de conditionnement sous vide.
US11624115B2 (en) 2010-05-12 2023-04-11 Sio2 Medical Products, Inc. Syringe with PECVD lubrication
US9878101B2 (en) 2010-11-12 2018-01-30 Sio2 Medical Products, Inc. Cyclic olefin polymer vessels and vessel coating methods
GB2487899A (en) * 2011-02-01 2012-08-15 Olberon Ltd Needle holder with grip means
US8220225B1 (en) 2011-03-03 2012-07-17 Closure Systems International, Inc. Capping chuck assembly
US9272095B2 (en) 2011-04-01 2016-03-01 Sio2 Medical Products, Inc. Vessels, contact surfaces, and coating and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s
CN103930595A (zh) 2011-11-11 2014-07-16 Sio2医药产品公司 用于药物包装的钝化、pH保护性或润滑性涂层、涂布方法以及设备
US11116695B2 (en) 2011-11-11 2021-09-14 Sio2 Medical Products, Inc. Blood sample collection tube
DE102012025557A1 (de) * 2012-04-11 2013-10-17 Sarstedt Ag & Co. Vorrichtung zur Ent- und/oder Aufnahme von Körperflüssigkeiten, insbesondere Blut
ITMI20121793A1 (it) * 2012-10-23 2014-04-24 Copan Italia Spa Elemento di chiusura di un contenitore per fluidi biologici
WO2014071061A1 (en) 2012-11-01 2014-05-08 Sio2 Medical Products, Inc. Coating inspection method
EP2920567B1 (en) 2012-11-16 2020-08-19 SiO2 Medical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rapid barrier coating integrity characteristics
US9764093B2 (en) 2012-11-30 2017-09-19 Sio2 Medical Products, Inc. Controlling the uniformity of PECVD deposition
WO2014085346A1 (en) 2012-11-30 2014-06-05 Sio2 Medical Products, Inc. Hollow body with inside coating
WO2014134577A1 (en) 2013-03-01 2014-09-04 Sio2 Medical Products, Inc. Plasma or cvd pre-treatment for lubricated pharmaceutical package, coating process and apparatus
WO2014164928A1 (en) 2013-03-11 2014-10-09 Sio2 Medical Products, Inc. Coated packaging
US9937099B2 (en) 2013-03-11 2018-04-10 Sio2 Medical Products, Inc. Trilayer coated pharmaceutical packaging with low oxygen transmission rate
WO2014144926A1 (en) 2013-03-15 2014-09-18 Sio2 Medical Products, Inc. Coating method
AT514833B1 (de) 2013-10-11 2015-07-15 Greiner Bio One Gmbh Abnahmebaugruppe, insbesondere für Blutproben
EP3068304B1 (de) * 2013-11-14 2017-08-09 Greiner Bio-One GmbH Aufnahmevorrichtung, verfahren zum bereitstellen derselben sowie verfahren zum trennen eines gemisches
CN103663314B (zh) * 2013-12-05 2015-07-29 复旦大学 一种实验室用平头pcr管盖子压紧装置及其使用方法
CN103641049B (zh) * 2013-12-05 2015-07-29 复旦大学 一种实验室用圆头pcr管盖子压紧装置及其使用方法
US11066745B2 (en) 2014-03-28 2021-07-20 Sio2 Medical Products, Inc. Antistatic coatings for plastic vessels
FR3025315B1 (fr) * 2014-08-29 2018-08-24 Biomerieux Dispositif d'obtention de matiere biologique et/ou d'information biologique a partir d'un echantillon a matrice heterogene
AT516972B1 (de) * 2015-04-02 2019-02-15 Red Bull Gmbh Flasche mit einer Verschlusskappe
AT517083B1 (de) 2015-05-04 2016-11-15 Greiner Bio-One Gmbh Abnahmebaugruppe, insbesondere für eine geringere Aufnahmemenge
CA3204930A1 (en) 2015-08-18 2017-02-23 Sio2 Medical Products, Inc. Pharmaceutical and other packaging with low oxygen transmission rate
ES2883630T3 (es) 2017-05-02 2021-12-09 Greiner Bio One Gmbh Conjunto de recogida o tubo de ensayo para una pequeña cantidad de un fluido corporal con un elemento de extensión
IT201700084310A1 (it) 2017-07-24 2019-01-24 Arol Spa Dispositivo di accoppiamento magnetico
USD859978S1 (en) 2017-10-13 2019-09-17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USD861480S1 (en) 2017-10-13 2019-10-01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and lid
USD861481S1 (en) 2017-10-13 2019-10-01 S. C. Johnson & Son, Inc. Container
USD876175S1 (en) 2017-10-13 2020-02-25 S. C. Johnson & Son, Inc. Combined container and lid
DE102017220641A1 (de) * 2017-11-17 2019-05-23 Vetter Pharma-Fertigung GmbH & Co. KG Medikamentenbehälter
EP4026779A3 (en) 2017-12-22 2023-05-31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Packaging system for small-volume aseptic filling
WO2020012252A1 (en) * 2018-07-11 2020-01-16 Agrawal Parth Rajeshkumar Sample collection apparatus and a method for automated assembly thereof
DE102018219379A1 (de) * 2018-11-13 2020-05-14 Sarstedt Ag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Gewinnung einer zellfreien Probenfraktion
CN109760935B (zh) * 2019-03-12 2023-09-01 汕头市柏达塑胶有限公司 一种灌装袋吸嘴
WO2020236503A1 (en) * 2019-05-20 2020-11-26 Cummins Filtration Ip, Inc. Filtration element with gradient seal interface
CN110551615A (zh) * 2019-08-31 2019-12-10 会泽县恒易牧业有限公司 卧式沼气池
CN110562902A (zh) * 2019-10-12 2019-12-13 江西万荣实业开发有限公司 添加有蓖麻油提取物的润滑油的生产装置及生产方法
AT525541B1 (de) 2021-11-29 2023-05-15 Greiner Bio One Gmbh Aufnahmeeinrichtung mit Septum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AT525932A1 (de) 2022-02-17 2023-09-15 Greiner Bio One Gmbh Abnahmebaugruppe für organisches Material
USD1014780S1 (en) 2022-04-15 2024-02-13 Instrumentation Laboratory Co. Cuvette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48705A (en) * 1935-03-29 1936-07-28 Phoenix Glass Company Jar closure
US2133019A (en) 1936-03-26 1938-10-11 Aetna Rubber Company Mold
US2187394A (en) * 1938-06-21 1940-01-16 Super Seal Vacuum Glass Contai Jar
US3428202A (en) * 1966-09-14 1969-02-18 Richard W Asmus Container closure and seal
US3897337A (en) 1974-02-27 1975-07-29 Becton Dickinson Co Plasma separator assembly having interface-seeking piston with centrifugal valve
US3897340A (en) 1974-02-27 1975-07-29 Becton Dickinson Co Serum/plasma separator assembly with interface-seeking piston having coarse and fine band filters
US3897343A (en) 1974-02-27 1975-07-29 Becton Dickinson Co Plasma separator-hydrostatic pressure type
US3926401A (en) 1975-02-28 1975-12-16 John D Northup Thread mold
US3998355A (en) * 1975-03-28 1976-12-21 United States Steel Corporation Plastic lids and pails
US4079475A (en) 1977-03-09 1978-03-21 Coats & Clark, Inc. Process for manufacturing an internally cast or molded single threaded product
US4202769A (en) 1977-06-16 1980-05-13 Greenspan Donald J Method for separating serum or plasma from the formed elements of blood
US4188178A (en) 1978-02-28 1980-02-12 Bernard Anscher Internally threaded plastic nut
US4230231A (en) * 1979-04-16 1980-10-28 Coulter Electronics, Inc. Closure cap
GB2067701B (en) 1980-01-23 1983-11-09 Coats & Clark Making internally cast or moulded single threaded nut
US4747498A (en) * 1986-06-27 1988-05-31 Sunbeam Plastics Corporation Safety dispensing closure-container package
US4818386A (en) 1987-10-08 1989-04-04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for separating the components of a liquid sample having higher and lower specific gravities
US5275299A (en) 1988-04-15 1994-01-04 C. A. Greiner & Sohne Gesellschaft Mbh Closure device for an in particular evacuable cylindrical housing
EP0419490B1 (de) 1988-04-15 1993-11-10 C.A. Greiner & Söhne Gesellschaft M.B.H.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 insbesondere evakuierbares zylinderförmiges gehäuse
US4948001A (en) * 1989-10-18 1990-08-14 Continental Can Company, Inc. Interrupted threads on a plastic bottle finish
AT401341B (de) * 1990-03-09 1996-08-26 Greiner & Soehne C A Verschlussvorrichtung für ein, insbesondere evakuierbares gehäuse
US5858141A (en) 1990-08-09 1999-01-12 Portola Packaging, Inc. Method and apparatus to attach foil seals to necks
US5533518A (en) 1994-04-22 1996-07-0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Blood collection assembly including mechanical phase separating insert
SE9402812D0 (sv) 1994-08-19 1994-08-19 Karl Erik Sundstroem Bloodcollection, plasmaseparation and high precision plasma dispensing device
EP0753741A4 (en) 1995-01-30 1998-04-29 Niigata Engineering Co Ltd COMPONENT SEPARATING ELEMENT AND COMPONENT SEPARATOR EQUIPPED WITH THIS EQUIPMENT
US5667870A (en) 1995-07-24 1997-09-16 Chip Coolers, Inc. Plastic article with interrupted interior threads for securing a threaded heat sink to a heat generating member
ES2139433T3 (es) * 1996-01-30 2000-02-01 Crown Cork Ag Acabado de envase y tapa de cierre con doble rosca.
US5687552A (en) 1996-03-20 1997-11-18 Abbott Laboratories Adapter system for a capping machine for applying at least one predetermined axial load
AT404317B (de) 1996-08-02 1998-10-27 Greiner & Soehne C A Verschlussvorrichtung, trennvorrichtung sowie aufnahmebehälter für eine aufnahmeeinrichtung
DE29618639U1 (de) 1996-10-25 1997-02-27 Kloeckner Moeller Gmbh Formteil mit Innengewinde
EP0867678A1 (de) 1997-03-26 1998-09-30 Artur Zachajewicz Multikoaxialer Rohrwärmetauscher
EP1174084B1 (en) 1997-03-26 2003-06-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ssembly for collecting blood or other body fluids
US6017317A (en) 1997-03-26 2000-01-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Assembly for collecting blood or other body fluids
US5967352A (en) * 1997-03-28 1999-10-19 Portola Packaging, Inc. Interrupted thread cap structure
US6516953B1 (en) * 1998-12-05 2003-02-11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US6406671B1 (en) * 1998-12-05 2002-06-18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US6803022B2 (en) 1999-12-06 2004-10-12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US6537503B1 (en) 1999-12-03 2003-03-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US6471069B2 (en) 1999-12-03 2002-10-29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US6793892B1 (en) 1999-12-06 2004-09-21 Volker Niermann Device and method for separating components of a fluid sample
US6409528B1 (en) 1999-12-06 2002-06-25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collecting, preparation and stabilizing a sample
US20010055632A1 (en) 2000-05-30 2001-12-27 Semersky Frank E. Preform mold
AT500247B1 (de) 2001-03-30 2007-06-15 Greiner Bio One Gmbh Aufnahme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körperflüssigkeiten, mit einer trennvorrichtung sowie trennvorrichtung hierzu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0202765A1 (en) 2010-07-22
EP1711412B1 (de) 2010-11-17
KR101146711B1 (ko) 2012-05-17
AU2010202765B2 (en) 2012-06-28
AU2005206216A1 (en) 2005-08-04
BE1016618A5 (fr) 2007-03-06
CN1997455B (zh) 2011-07-20
AT500459A1 (de) 2006-01-15
WO2005070781A8 (de) 2005-11-24
ATE488445T1 (de) 2010-12-15
US8448800B2 (en) 2013-05-28
FR2865457A1 (fr) 2005-07-29
CN1997455A (zh) 2007-07-11
BRPI0506975A (pt) 2007-07-03
RU2336948C2 (ru) 2008-10-27
RU2006130370A (ru) 2008-02-27
EP1711412A2 (de) 2006-10-18
AU2005206216B2 (en) 2010-04-01
BRPI0506975B1 (pt) 2017-06-27
WO2005070781A3 (de) 2006-10-12
US20080223815A1 (en) 2008-09-18
AT500459B1 (de) 2010-08-15
EP2277625A1 (de) 2011-01-26
BRPI0506975B8 (pt) 2017-11-14
DE502005010549D1 (de) 2010-12-30
WO2005070781A2 (de) 2005-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711B1 (ko) 수용 용기와 캡을 조립하기 위한 방법
JP5209744B2 (ja) コモールドされた突き刺し可能なストッパ及びその製法
RU2602743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оединения емкости с резервуаром, способ сборки и использования так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20200038289A1 (en) Connection equipment and equipment connector
EP2148823B1 (en) A sealing cap for a body fluid container and a blood collection device
CN101626973B (zh) 设置有具有可变形隔膜的清洁装置的填充机器
IL128281A (en) Holding container and holding device
US9174779B2 (en) Vial cap 187
WO1998032411A1 (en) Novel device
CN101626974B (zh) 设置有清洁装置的填充机器
JPH10501784A (ja) 膜貫通キャップを備える膜密封管
KR20180095087A (ko) 두 가지 내용물의 포장 및 분배 장치
US10640279B2 (en) Container assembly with syringe
CN216033246U (zh) 图像形成装置与墨水容器
JP6527631B1 (ja) コネクタ
CA1206925A (en) Container with reciprocable dispensing tube
JP2004018000A (ja) 液体容器およびその取出し口用ノズルユニット
CN110550314A (zh) 一种塞子及试管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