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4440A - 고융점 중합체와 함께 공압출시키기 위한, 용융 강성이높은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용도 - Google Patents

고융점 중합체와 함께 공압출시키기 위한, 용융 강성이높은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4440A
KR20070004440A KR1020060061862A KR20060061862A KR20070004440A KR 20070004440 A KR20070004440 A KR 20070004440A KR 1020060061862 A KR1020060061862 A KR 1020060061862A KR 20060061862 A KR20060061862 A KR 20060061862A KR 20070004440 A KR20070004440 A KR 200700044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composition
melting point
polyamide
weight
coex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1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6555B1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도베
라이너 괴링
미하엘 뵈어
롤란트 부르쉐
마르틴 힘멜만
프란츠-에리히 바우만
카를 쿠만
Original Assignee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데구사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70004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4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6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65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10Polyamides derived from aromatically bound amino and carboxyl groups of amino-carboxylic acids or of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22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16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 B29C48/18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 B29C48/21Articles comprising two or more components, e.g. co-extruded layers the components being layers the layers being joined at their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6Polyamide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4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9/4242Means for deforming the parison prior to the blowing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7/00Use of PA, i.e. polyamides, e.g. polyesteram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004Bent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23/00Tubular articles
    • B29L2023/22Tubes or pipes, i.e.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32B2264/0214Particles made of 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4/0278Polyeste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8Heat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09Carboxylic acids; Metal salts thereof; Anhydrides thereof
    • C08K5/098Metal salts of 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08L69/005Polyester-carbon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 Y10T428/139Open-ended, self-supporting conduit, cylinder, or tube-type article
    • Y10T428/1393Multilayer [continuous lay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31504Composite [nonstructural laminate]
    • Y10T428/31725Of polyamide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미소결정 융점(crystallite melting point)(Tm)이 255℃ 이상이고/이거나 유리 전이 온도(Tg)가 180℃ 이상인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과 공압출시키기 위해, 폴리아미드(a) 100중량부와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b) 0.00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우수한 품질, 특히 우수한 층 두께 분포 및 우수한 벽 두께 분포를 갖는 다층 복합재료가 수득된다.
미소결정 융점, 유리 전이 온도, 공압출, 폴리아미드, 다층 복합재료.

Description

고융점 중합체와 함께 공압출시키기 위한, 용융 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용도 {Use of a polyamide molding composition with high melt stiffness for coextrusion with a high-melting-point polymer}
본 발명은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과의 공압출을 위한, 용융 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용융 강성이 높은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 및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로부터 다층 복합재료를 공압출시키는 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다층 복합재료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고융점 중합체는 고온에서만 가공될 수 있는 중합체이다. 재료가 반결정성 중합체인 경우, DSC 내지 ISO 11357로 측정한 미소결정 융점(Tm)은 270℃ 이상이다. 무정형 중합체의 경우, 마찬가지로 DSC 내지 ISO 11357로 측정한 유리 전이 온도(Tg)는 190℃ 이상이다. 비용-효율을 위해 충분한 속도에서의 두 가지 유형의 중합체의 압출은 300℃ 근방의 온도 또는 그 이상에서만 가능 하다.
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PA12를 이러한 유형의 HT 중합체와 공압출시키는 경우, 높은 압출 온도 및 이에 따른 폴리아미드 용융물의 현저한 강성 감소로 인해 여러가지 어려움이 야기될 수 있다. 용융 점도의 과도한 차이는 층 경계의 불안정화, 불량한 층 두께 분포, 불량한 벽 두께 분포 및 압출물의 전반적으로 만족스럽지 않은 품질을 야기한다.
이러한 이유로, 저융점 중합체, 예를 들면, PA12와의 공압출성을 달성하기 위해, 예를 들면, ETFE의 융점(미소결정 융점 Tm 약 270℃; 가공 온도 300 내지 340℃)을 낮추는 방법이 선행 개발되었다. 이러한 개발 결과의 예가 미소결정 융점이 약 255℃이고 권장되는 가공 온도가 280 내지 290℃인 연질 ETFE[예를 들면, 네오플론(Neoflon) RP7000, 제조원; Daikin, Japan] 또는 미소결정 융점이 약 195℃이고 가공 온도가 약 240 내지 285℃인 EFEP 유형의 중합체[예를 들면, 네오플론 RP5000, 제조원; Daikin]에 의해 제공된다. 이러한 가공 범위내에서는, PA12를 기본으로 하는 압출 성형 조성물의 용융물의 강성이 연질 ETFE 및 EFEP와의 공압출성을 달성하여 충분한 품질을 제공하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ETFE가 개질되는 경우, 성능이 손상(예를 들면, 연료에 대해 차단제 작용)되는 것을 수용해야 한다.
본 출원인의 자체 연구 결과, 상기한 문제때문에 다른 고융점 중합체, 예를 들면, PPS와의 공압출을 달성하는 것도 곤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단점을 없애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미소결정 융점(Tm)이 270℃ 이상이고/이거나 유리 전이 온도(Tg)가 190℃ 이상인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과 공압출시키기 위해 폴리아미드(a) 100중량부와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b) 0.00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국제 공개공보 제WO 00/66650호에 이러한 유형의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상기 문헌에는 축합에 의해 폴리아미드를 개질시키기 위해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신뢰성있고 안정한 특성이 확립되고, 겔화 또는 불균질화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축합에 의해 개질된 재료의 가공을 반복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공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브뤼게만 카게(Bruggemann KG)에서 브뤼골렌(Bruggolen) M1251 제품을 시판하고 있는데, 이는 폴리아미드의 분자량 조절을 위해 이러한 특성을 기본으로 하는 첨가제이다. 주요 적용 분야는 PA6 또는 PA66으로 이루어진 재생된 재료를 위한 점도 조절 분야이며, 이러한 재료는 압출용 성형 조성물로 재생된다. 첨가제 브뤼골렌 M1251은 산-말단화된 PA6에서의 렉산(Lexan) 141과 같은 저점도 폴리카보네이트의 마스터배치이다. 축합에 의해 개질시키고자 하는 재료에 존재하는 폴리카보네이트와 아미노 말단 그룹간의 반응이 분자량 증가의 원인이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적합한 폴리아미드는 락탐, 아미노카복실산 또는 디아민과 디카복실산을 기본으로 한다. 또한, 이는 측쇄 효과를 갖고, 예를 들면, 트리카복실산, 트리아민 또는 폴리에틸렌이민으로부터 유도되는 단위를 함유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 단독중합체 형태 또는 공중합체 형태의 적합한 유형의 예는 PA6, PA66, PA610, PA66/6, 및 특히 PA612, PA1010, PA1012, PA1212, PA613, PA614, PA1014, PA11, PA12 또는 투명 폴리아미드이다. 사용될 수 있는 투명 폴리아미드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테레프탈산과 2,2,4- 및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구성된 이성체 혼합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 이소프탈산과 1,6-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으로 구성된 혼합물과 1,6-헥사메틸렌디아민으로 이루어진 코폴리아미드,
- 이소프탈산,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 및 라우로락탐 또는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코폴리아미드,
- 1,12-도데칸디오산,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 및, 경우에 따라, 라우로락탐 또는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코)폴리아미드,
- 이소프탈산, 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 및 라우로락탐 또는 카프로락탐으로 이루어진 코폴리아미드,
- 1,12-도데칸디오산과 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으로 이루어진 폴리아미드,
-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 혼합물, 3,3'-디메틸-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 및 라우로락탐으로 이루어진 코폴리아미드.
다른 적합한 물질은 락탐, 아미노카복실산, 디아민, 디카복실산 및 폴리에테르디아민 및/또는 폴리에테르디올을 기본으로 하는 폴리에테르아미드이다.
출발 화합물의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특히 8000 이상이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는 말단 그룹이 적어도 어느 정도 아미노 그룹의 형태를 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말단 그룹의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또는 90% 이상이 아미노 말단 그룹의 형태를 취한다. 아미노 말단 그룹 함량이 비교적 높은 폴리아미드의 제조방법은 조절제로서 디아민 또는 폴리아민을 사용하는 선행 기술이다. 본 발명의 경우, 폴리아미드 제조시, 조절제로서 탄소수 4 내지 44의 지방족, 지환족 또는 아르지방족 디아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디아민의 예는 헥사메틸렌디아민, 데카메틸렌디아민, 2,2,4- 또는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1,4-디아미노사이클로헥산, 1,4- 또는 1,3-디메틸아미노사이클로헥산, 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메탄, 4,4'-디아미노-3,3'-디메틸디사이클로헥실메탄, 4,4'-디아미노디사이클로헥실프로판, 이소포론디아민, 메타크실릴리덴디아민 또는 파라크실릴리덴디아민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양태에서, 폴리아미드 제조시, 폴리아민이 조절제 및 분지화제로서 동시에 사용된다. 이의 예는 디에틸렌트리아민, 1,5-디아미노-3-(β-아미노에틸)펜탄,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N,N-비스(2-아미노에틸)-N',N'-비스[2- [비스(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1,2-에탄디아민, 덴드리머 및 또한 폴리에틸렌이민, 특히 아지리딘의 중합(문헌 참조; Houben-Weyl, Methoden der Organischen Chemie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Volume E20, pages 1482-1487, Georg Thieme Verlag Stuttgart, Germany, 1987)을 통해 수득 가능하며 일반적으로 1급 아미노 그룹 25 내지 46%, 2급 아미노 그룹 30 내지 45% 및 3급 아미노 그룹 16 내지 40%의 아미노 그룹 분포를 갖는 측쇄 폴리에틸렌이민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은, 사용되는 폴리아미드를 기준으로 하여 계산하여, 0.005 내지 10중량%의 정량적인 비율로 사용된다. 이러한 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3중량%이다. 여기서 "카보네이트"라는 용어는 탄산과, 특히 페놀 또는 알콜과의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은 저분자량 올리고머성 또는 중합체성 화합물일 수 있다. 이는 전적으로 카보네이트 단위로 이루어지거나, 그외의 단위를 가질 수 있다. 이들은 바람직하게는 올리고- 또는 폴리아미드, -에스테르, -에테르, -에테르에스테르아미드 또는 -에테르아미드 단위이다. 이들 화합물은 공지된 올리고머화 또는 중합 공정 및 중합체-유사체 반응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은 폴리카보네이트, 예를 들면, 비스페놀 A를 기본으로 하는 폴리카보네이트이거나, 이러한 유형의 폴리카보네이트 블럭을 함유하는 블럭 공중합체이다.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는 국제 공개공보 제WO 00/66650호에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적합한 화합물 및 적합한 마스터매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제공되어 있다.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첨가제로서 사용되는 화합물이 마스터배치의 형태로 공급되는 경우, 이는 사용량이 비교적 많기 때문에 첨가제의 보다 정확한 계량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마스터배치를 사용하면 개선된 압출물 품질이 달성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마스터배치는 바람직하게는, 매트릭스 물질로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축합에 의해 개질되는 폴리아미드 또는 이와 상용성인 폴리아미드를 포함하지만, 반응 조건하에서 비상용성 폴리아미드가 축합에 의해 개질시키고자 하는 폴리아미드에 부분 결합되어 상용화될 수도 있다. 마스터배치에서 매트릭스 물질로서 사용되는 폴리아미드의 분자량(Mn)은 바람직하게는 5000 이상, 특히 8000 이상이다. 말단 그룹이 주로 카복실산 그룹의 형태를 취하는 폴리아미드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말단 그룹의 80%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이 산 그룹의 형태를 취한다.
마스터배치 중의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의 농도는 바람직하게는 0.15 내지 50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25중량%, 특별히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5중량%이다. 이러한 마스터배치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다.
본 발명은 제조 결과 산성 화합물 형태의 인을 5ppm 이상 포함하는 폴리아미드에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혼합 공정 전 또는 혼합 공정 동안, 폴리아미드를 기준으로 하여 0.001 내지 10중량%의 약산의 염이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에 첨가 된다. 독일 공개특허공보 제103 37 707호에 적합한 아민이 기재되어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제조 결과 산성 화합물 형태의 인을 5ppm 미만으로 함유하거나 전혀 함유하지 않는 폴리아미드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약산의 적당한 염을 첨가할 수 있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통상의 첨가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의 예는 착색제, 난연제, 안정화제, 충전제, 윤활제, 이형제, 충격 개질제, 가소제, 결정화 촉진제, 대전방지제, 가공 조제 및 또한 폴리아미드와 통상적으로 배합되는 기타 중합체이다.
이들 첨가제의 예는 다음과 같다:
착색제 : 이산화티탄, 화이트 납, 아연 화이트, 리소폰, 안티몬 화이트, 카본 블랙, 산화철 블랙, 망간 블랙, 코발트 블랙, 안티몬 블랙, 납 크로메이트, 연단(minium), 아연 옐로우, 아연 그린, 카드뮴 레드, 코발트 블루, 프러시안 블루, 울트라마린, 망간 바이올렛, 카드뮴 옐로우, 슈바인푸르터 그린(Schweinfurter green), 몰리브데이트 오렌지, 몰리브데이트 레드, 크롬 오렌지, 크롬 레드, 산화철 레드, 산화크롬 그린, 스트론튬 옐로우, 몰리브덴 블루, 백악, 오커, 움브라(umbra), 그린 어스(green earth), 번트 시에나(burnt sienna), 흑연 또는 가용성 유기 염료.
난연제 : 삼산화안티몬, 헥사브로모사이클로도데칸, 테트라클로로-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할로겐화 포스페이트, 보레이트, 클로로파라핀 및 또한 적색 인 및 스탄네이트, 말라민 시아누레이트 및 이의 축합물, 예를 들면, 멜람, 멜렘, 멜론, 멜라민 화합물, 예를 들면, 멜라민 피로- 및 폴리포스페이트, 암모늄 폴리포스페이트,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칼슘 및 또한 할로겐을 함유하지 않는 유기 인 화합물, 예를 들면, 레조르시놀 디페닐 포스페이트 또는 포스폰산 에스테르.
안정화제 : 금속염, 특히 구리염 및 몰리브덴염, 및 또한 구리 착물, 포스파이트, 입체 장애 페놀, 2급 아민, UV 흡수제 및 HALS 안정화제.
윤활제 : MoS2, 파라핀, 지방 알콜 및 또한 지방산 아미드.
이형제 및 가공 조제 : 왁스(몬타네이트), 몬탄산 왁스, 몬탄산 에스테르 왁스, 폴리실록산, 폴리비닐 알콜, SiO2, 칼슘 실리케이트 및 또한 퍼플루오로폴리에테르.
가소제 : BBSA, POBO.
충격 개질제 : 폴리부타디엔, EPM, EPDM, HDPE, 아크릴레이트 고무.
대전방지제 : 카본 블랙, 탄소 섬유, 흑연 피브릴,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아민, 아미드, 4급 암모늄염.
기타의 중합체 : ABS, 폴리프로피렌.
이들 첨가제의 사용될 수 있는 양은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가들에게 공지되어 있는 통상적인 양이다.
고융점 중합체의 미소결정 융점(Tm)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 225℃, 260℃, 265℃, 270℃, 275℃, 280℃, 285℃, 290℃, 295℃ 또는 300℃ 이상이고/이 거나, 유리 전이 온도는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경우, 180℃, 185℃, 190℃, 195℃, 200℃, 205℃, 210℃, 215℃, 220℃, 225℃, 230℃, 235℃, 240℃ 또는 245℃ 이상이다. 당해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이러한 양은 50중량% 이상, 55중량% 이상, 60중량% 이상, 65중량% 이상, 70중량% 이상, 75중량% 이상 또는 80중량% 이상이다.
적합한 고융점 중합체의 예는 다음과 같다:
- 플루오로 중합체, 예를 들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펜 공중합체(FEP) 또는 에틸렌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공중합체(ETFE);
- 폴리아미드 및 코폴리아미드, 예를 들면, PA46, PA66, PA9T, PA12T, PA66/6T, PA6/6T 또는 PA6T/MPMDT (MPMD는 2-메틸펜타메틸렌디아민이다);
- 폴리에테르 케톤, 예를 들면, PEEK, PEKK 또는 PEK;
- 액정 중합체(LCP), 예를 들면, 액정 폴리에스테르;
-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 폴리설폰;
- 폴리에테르 설폰;
- 폴리에테르이미드 및 또한
- 신디오택틱 폴리스티렌.
필요에 따라,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과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 간의 층 접착성은 적합한 접착 촉진제의 사용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폴리아미드 및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로 이루어진 성형 조성물은 사전에 제조될 수 있으며, 공압출 공정을 위해 이러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한 가지 바람직한 양태에서, 이러한 성형 조성물은 가공 동안 동일 반응계내에서 제조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또한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a),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과, 폴리아미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 0.005 내지 10중량부의 예비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b),
경우에 따라, 혼합물을 저장하고/하거나 운반하는 단계(c) 및
혼합물을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과 공압출시키는 단계(d)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놀랍게도, 이러한 유형의 첨가시, 가공 동안 용융 강성은 상당히 증가하는 동시에, 가공 압력은 중간 정도이고 모터에의 하중은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높은 용융 점도에도 불구하고, 가공시 높은 처리량을 성취할 수 있어, 제조 공정의 비용-효율을 개선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 따르는 방법에서,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을 단지 혼합 공정후, 늦어도 가공 동안, 희석하지 않은 상태로 또는 마스터배치 형태로 첨가한다. 가공을 수행하는 경우, 축합에 의해 개질시키고자 하는 폴리아미드 또는 축합에 의해 개질시키고자 하는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을 펠렛 형태로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의 펠렛 또는 적당한 마스터배치와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최종 혼합된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펠렛과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 또는 마스터배치와의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이를 운반 또는 저장하고, 이어서, 이를 가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분말 혼합물을 사용하여 상응하는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결정적인 인자는 가공이 시작될 때까지 혼합물이 용융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가공 동안 용융물을 완전 혼합하는 것이 권장된다. 그러나, 동일하게 성공적인 방법에서, 마스터배치는 또한 보조 압출기의 도움으로 용융 스트림의 형태로 가공하고자 하는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용융물에 공급된 다음, 완전 혼합에 의해 혼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의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을 사용하거나 특허청구범위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층 복합재료를 제공한다. 이러한 다층 복합재료의 예는 프로파일이며, 이들 중에는 평편 프로파일 및 중공-챔버 프로파일, 공급 라인, 예를 들면, 주유소 공급 라인, 배기 라인, 공기 흡입 파이프, 탱크 필터 넥, 연료 라인, 탱크 환기 라인, 크랭크케이스-환기 라인, 냉각제 라인, 브레이크-에어 라인, 수압 라인(클러치 및 브레이크), 케이블관, 케이블 외장, 평판 필름, 취입 필름, 시트, 저장 탱크, 보틀 또는 연료 탱크가 있다. 이러한 성형품 및 외장은, 예를 들면, 순차적인 공압출을 포함한 공압출 또는 공압출 취입 성형, 예를 들면, 흡입 취입 성형, 3D 취입 성형, 패리슨-인서션법(parison-insertion process) 및 패리슨-조작법(parison-manipulation process)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선행 기술이다. 또한, 코넥스법(Conex process)이라고 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다층 복합재료를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공압출 공정이며, 각각의 층이 권취공정에서와 필적하는 방식으로 서로 도포된다(국제 공개공보 제WO 97/28949호 참조).
한 가지 유리한 양태에서, 본 발명의 다층 파이프에 2개의 캡, 예를 들면, 독일 실용신안 제20 2004 004 753 U1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이 제공될 수 있다. 이어서, 유리- 또는 아라미드 섬유-함유 테이프 또는 로빙을 파이프 주변에 권취시킨다. 이로써 경량이면서 투과성이 감소된 가스 및 액체용 저장 탱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파이프의 외부에서 내부로의 적합한 층 배치가 예가 다음에 나타나 있으며, 여기서 PA는 특허청구범위의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을 나타내고, HT는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을 나타내며, AP는 접착 촉진제를 나타낸다:
PA/HT
HT/PA
PA/AP/HT
HT/AP/PA
PA/HT/PA
HT/PA/HT
PA/AP/HT/AP/PA
PA/HT/HT (전기전도성)
PA/HT/PA/PA (전기전도성)
내층의 전기전도성은, 선행 기술에서와 같이, 예를 들면, 배합을 통해, 유효량의 전도성 카본 블랙, 흑연 피브릴 또는 기타의 전도성 보조제를 각각의 성형 조성물에 혼입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 의해 설명할 것이다. 다음의 재료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NH2 그룹 50meq/kg과 COOH 그룹 9meq/kg을 갖고, ηrel이 약 2.15인 아민-조절된 PA12.
NH2 그룹 8meq/kg과 COOH 그룹 50meq/kg을 갖고, ηrel이 약 2.15인 산-조절된 PA12.
저점도 폴리카보네이트와 산-말단화된 PA6로 이루어진 혼합물인 브뤼골렌R M1251.
세아시트(Ceasit)R PC (칼슘 스테아레이트).
표 1에 제시된 조성물은 베르너 & 플라이더러(Werner & Pfleiderer) ZSK 30 이축 압출기에서 제조하였다.
추가의 사용을 위한 조성물의 제조
배합된 재료A 마스터배치 1 마스터배치 2 마스터배치 3 마스터배치 4
아민-조절된 PA12 (중량%) 60 99.9 0 0 0
산-조절된 PA12 (중량%) 40 0 98.9 98.4 97.4
브뤼골렌 M1251 (중량%) 0 0 1 1.5 2.5
세아시트 PC (중량%) 0 0.1 0.1 0.1 0.1
처리량 (kg/h) 10 10 10 10 10
전단 속도 (rpm) 250 250 250 250 250
용융 온도 (℃) 251 249 251 251 251
용융 압력 (bar) 33 35 34 34 34
모터 동력 등급 (%) 73 78 72 72 72
DIN EN ISO 307에 따른 ηrel 2.11 2.10 2.12 2.12 2.12
비교 실시예 1 및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 :
표 2에 제시된 조성물의 용융물의 강성을 연신 레오미터를 사용하여 각각 240℃ 및 300℃에서 시험하였다.
연신 레오미터는 일정한 인출 속도에서 또는 일정하거나 지수 증가하는 인출 스트랜드에서의 용융물의 연신성을 측정할 수 있다[문헌 참조; M. H. Wagner, A. Bernat, V. Schulze, Kautschuk Gummi Kunststoffe, volume 50, No. 9/97; M. H. Wagner, V. Schulze, A. Gottfert, Polymer Engineering and Science, Mid-April 1996, Vol. 36, No.7].
사용되는 장치는 다운스트림 인출 장치가 장착된 최대 30rpm의 일축 실험실용 압출기(제조원; Gottfert)였다. 표 2에 제시된 출발 물질을 펠렛 또는 펠렛 혼합물로부터 출발하여 압출기에서 가공하였다. 생성된 스트랜드를 다양한 속도에서 인출 장치에 의해 파단되도록 연신시키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토크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인출력을 계산하였다. 결과가 표 2에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300℃에서 수득된 용융 강성은 240℃의 전형적인 가공 온도에서 종래의 PA12 성형 조성물에 대한 값과 동일하거나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은 고융점 중합체와의 공압출을 위해 300℃ 이상의 온도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연신 레오미터 측정치
비교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1 본 발명의 실시예 2 본 발명의 실시예 3
배합된 재료 A[중량%] 100 0 0 0
마스터배치 1[중량%] 0 60 60 60
마스터배치 2[중량%] 0 40 0 0
마스터배치 3[중량%] 0 0 40 0
마스터배치 4[중량%] 0 0 0 40
처리량[g/min] 12 12 12 12
최대 인출력[cN] 240℃ 4.5 18.5 29.2 42.1
300℃ 2.4 4.1 5.4 7.4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은 고융점 중합체와의 공압출을 위해 300℃ 이상의 온도에서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우수한 품질, 특히 우 수한 층 두께 분포 및 우수한 벽 두께 분포를 갖는 다층 복합재료를 수득할 수 있다.

Claims (7)

  1. 미소결정 융점(Tm)이 255℃ 이상이고/이거나 유리 전이 온도(Tg)가 180℃ 이상인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과 함께 공압출시키기 위한,
    폴리아미드(a) 100중량부 및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b) 0.00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성형 조성물의 용도.
  2. 제1항에 있어서, 고융점 중합체의 미소결정 융점(Tm)이 270℃ 이상이고/이거나 유리 전이 온도(Tg)가 19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폴리아미드가 조절제로서 디아민 또는 폴리아민을 사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4.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을 제공하는 단계(a),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과, 폴리아미드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 0.005 내지 10중량부의 예비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b),
    경우에 따라, 혼합물을 저장하고/하거나 운반하는 단계(c) 및
    혼합물을 미소결정 융점(Tm)이 255℃ 이상이고/이거나 유리 전이 온도(Tg)가 180℃ 이상인 고융점 중합체를 기본으로 하는 성형 조성물과 공압출시키는 단계(d)를 포함하는, 다층 복합재료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고융점 중합체의 미소결정 융점(Tm)이 270℃ 이상이고/이거나 유리 전이 온도(Tg)가 190℃ 이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둘 이상의 카보네이트 단위를 갖는 화합물이 마스터배치 형태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의 어느 한 항에 따라 제조되는 다층 복합재료.
KR1020060061862A 2005-07-04 2006-07-03 고융점 중합체와 함께 공압출시키기 위한, 용융 강성이높은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용도 KR101316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31491.0 2005-07-04
DE200510031491 DE102005031491A1 (de) 2005-07-04 2005-07-04 Verwendung einer Polyamidformmasse mit hoher Schmelzesteifigkeit zur Coextrusion mit einem hochschmelzenden Polym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4440A true KR20070004440A (ko) 2007-01-09
KR101316555B1 KR101316555B1 (ko) 2013-10-15

Family

ID=37068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1862A KR101316555B1 (ko) 2005-07-04 2006-07-03 고융점 중합체와 함께 공압출시키기 위한, 용융 강성이높은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용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03873B2 (ko)
EP (1) EP1741540B1 (ko)
JP (1) JP5080033B2 (ko)
KR (1) KR101316555B1 (ko)
CN (1) CN1900163B (ko)
BR (1) BRPI0602498B1 (ko)
DE (1) DE102005031491A1 (ko)
ES (1) ES2714562T3 (ko)
RU (1) RU2429260C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755A (ko) * 2019-12-30 2021-07-09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5007664A1 (de) * 2005-02-19 2006-08-31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
DE102005007663A1 (de) 2005-02-19 2006-08-24 Degussa Ag Transparente, dekorierbare mehrschichtige Folie
DE102005026264A1 (de) * 2005-06-08 2006-12-14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
DE102006038108A1 (de) 2006-08-14 2008-02-21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eines Formteils aus einer Polyamidformmasse als Inliner für eine Rohrleitung
DE102007040683A1 (de) * 2007-08-29 2009-03-05 Evonik Degussa Gmbh Umhüllte Rohrleitung
DE102007041488A1 (de) * 2007-08-31 2009-03-05 Evonik Degussa Gmbh Fügen von Formteilen aus unterschiedlichen Polyamidformmassen
DE102008001678A1 (de) * 2007-10-17 2009-04-23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einer Polyamidformmasse zur Auskleidung von Rohrleitungen
DE102008001873A1 (de) * 2008-05-20 2009-11-26 Evonik Degussa Gmbh Kerbschlagzähe Polyarylenetherketon-Formmasse
DE102008002599A1 (de) * 2008-06-24 2009-12-31 Evonik Degussa Gmbh Bauteil mit Deckschicht aus einer PA613-Formmasse
DE102008044225A1 (de) * 2008-12-01 2010-06-02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Formmasse oder eines Formteils mit erhöhter Schmelzesteifigkeit
DE102008044224A1 (de) * 2008-12-01 2010-06-02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einer Zusammensetzung für den Kontakt mit überkritischen Medien
DE102009001001A1 (de) 2009-02-19 2010-09-02 Evonik Degussa Gmbh Verwendung eines Leitungsrohrs zur Herstellung einer im Wasser verlegten Rohrleitung
US9592648B2 (en) * 2009-06-01 2017-03-14 Gates Corporation Low-permeation flexible fuel hose
DE102010003909A1 (de) 2010-04-13 2011-10-13 Evonik Degussa Gmbh Flexibles Rohr mit mehrschichtigem Aufbau
DE102010003920A1 (de) * 2010-04-13 2011-10-13 Evonik Degussa Gmbh Flexibles Rohr mit höherer Temperaturbeständigkeit
DE102010003916A1 (de) 2010-04-13 2011-10-13 Evonik Degussa Gmbh Flexibles Rohr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S9227365B2 (en) 2010-04-25 2016-01-05 Stratasys Ltd. Solid freeform fabrication of shelled objects
DE102011004305A1 (de) * 2011-02-17 2012-08-23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täben
US20140377487A1 (en) * 2013-06-24 2014-12-25 Hamilton Sundstrand Corporation Suction-blow-molded aircraft ducting
DE102013218957A1 (de) 2013-09-20 2015-03-26 Evonik Industries Ag Formmasse auf Basis eines teilaromatischen Copolyamids
WO2015156086A1 (ja) * 2014-04-10 2015-10-15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9422398B2 (en) 2014-05-30 2016-08-2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Copolymer, and method for preparing a monomer used to form the copolymer
EP3477176A1 (de) 2017-10-25 2019-05-01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 einem inliner ausgekleideten rohres

Family Cites Families (8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89297C2 (de) * 1965-04-02 1973-09-06 Kalle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mehrschichtiger Schlaeuche aus thermoplastischen Kunststoffen nach dem Extrusionsverfahren
GB1180403A (en) * 1966-02-11 1970-02-04 Toyo Rayon Co Ltd Polyamide Resin Composition
ZA693804B (en) 1968-06-13 1971-01-27 Colgate Palmolive Co Detergents
JPS5519948B2 (ko) * 1973-02-06 1980-05-29
CA1074049A (en) 1974-11-13 1980-03-18 Russell Van Cleve Polymer/polyols and polyurethane derivatives thereof
US4482695A (en) * 1983-11-14 1984-11-13 Eastman Kodak Company Polyamide containers having improved gas barrier properties
US4732934A (en) * 1986-12-08 1988-03-22 General Electric Company Functionalized thermoplastic polymers, blends prepared therefrom, and methods for preparing blends
US5248720A (en) * 1988-09-06 1993-09-28 Ube Industries, Ltd. Process for preparing a polyamide composite material
US5068284A (en) * 1990-08-03 1991-11-26 General Electric Company Blocked amine terminated polycarbonates and products obtained therefrom
JP2674720B2 (ja) * 1991-08-12 1997-11-12 アライド−シグ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剥離層状物質の高分子ナノ複合体の溶融加工形成法
DE4130486A1 (de) * 1991-08-23 1993-02-25 Wolff Walsrode Ag 5-schichtige, coextrudierte biaxial gereckte schlauchfolie mit mindestens 3 pa-schichten
DE4317189A1 (de) 1993-05-22 1994-11-24 Huels Chemische Werke Ag Schmelzflüssige, aliphatische Dicarbonsäuren
BR9405612A (pt) * 1993-09-28 1999-09-08 Inventa Ag Tubulação de polìmero de várias camadas
DE19510314A1 (de) 1995-03-22 1996-09-26 Huels Chemische Werke Ag Polyester für das Verkleben von Textilien
DE19536056A1 (de) 1995-09-28 1997-04-03 Huels Chemische Werke Ag Flüssige Lösungen von Dicarbonsäuren
EP0847852A3 (de) * 1996-12-10 2004-03-03 Basf Aktiengesellschaft Verbundschichtplatten oder -folien und Formkörper daraus
DE19708946A1 (de) 1997-03-05 1998-09-10 Huels Chemische Werke Ag Herstellung von Polyamid-Fällpulvern mit enger Korngrößenverteilung und niedriger Porosität
DE19746834A1 (de) 1997-10-23 1999-04-29 Huels Chemische Werke Ag Polyethylenwachs als Verarbeitungshilfe für Schmelzklebermassen
DE19808809A1 (de) 1998-03-03 1999-09-09 Degussa Vernetzende Basisschicht für Fixiereinlagen nach dem Doppelpunktverfahren
DE19830977A1 (de) * 1998-07-10 2000-01-13 Wolff Walsrode Ag Mehrschichtige, symmetrische, rollneigungsfreie, coextrudierte Tiefziehfolie
DE19830976A1 (de) * 1998-07-10 2000-01-13 Wolff Walsrode Ag Mehrschichtige, coextrudierte, wärmestabile Tiefziehfolie für Verpackungsanwendungen
WO2000006537A1 (en) * 1998-07-31 2000-02-10 Eli Lilly And Company N-substituted sulfonamide derivatives
US6232388B1 (en) * 1998-08-17 2001-05-15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rcalates formed by co-intercalation of onium ion spacing/coupling agents and monomer, oligomer or polymer MXD6 nylon intercalants and nanocomposites prepared with the intercalates
AU6416399A (en) * 1998-10-01 2000-04-17 Airtech International, Inc. Method of molding or curing a resin material at high temperatures using a multilayer release film
DE19854819A1 (de) 1998-11-27 2000-05-31 Degussa Hohler Artikel mit antistatischen Eigenschaften
US6589615B1 (en) * 1999-01-04 2003-07-08 William W. Yen Thermoplastic food casing
DE19908640A1 (de) 1999-02-27 2000-08-31 Degussa Mehrschichtverbund
DE19920336C2 (de) * 1999-05-03 2002-10-24 Brueggemann Kg Sprit Und Chem Verfahren zur Aufkondensierung von Polyamiden
US6632868B2 (en) * 2000-03-01 2003-10-14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Intercalates formed with polypropylene/maleic anhydride-modified polypropylene intercalants
DE10010669A1 (de) * 2000-03-04 2001-09-06 Degussa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extrusionsbeschichteten Metallgegenstands
JP4096556B2 (ja) * 2000-03-23 2008-06-04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多層積層体の製造方法
CN1276015C (zh) * 2000-05-30 2006-09-20 南卡罗来纳州大学研究基金会 包含基质聚合物和层状粘土材料的、可萃取物质水平改进的聚合物纳米复合材料
DE10030716A1 (de) 2000-06-23 2002-01-03 Degussa Tieftemperaturschlagzähe Polymerlegierung
DE10032075A1 (de) 2000-07-01 2002-01-10 Degussa Elektrostatische Beschichtung von Formteilen mit thermoplastischen und vernetzbaren Copolyamidschmelzklebern
JP2002018999A (ja) * 2000-07-06 2002-01-22 Toyoda Gosei Co Ltd 樹脂積層体
DE10050231A1 (de) 2000-10-11 2002-04-25 Degussa Vernetzende Basisschicht für Fixiereinlagen nach dem Doppelpunkt- und Pastenverfahren
DE10064338A1 (de) 2000-12-21 2002-06-27 Degussa Formmasse mit guter Blasformbarkeit
JP4961632B2 (ja) * 2001-02-01 2012-06-27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ポリアミド延伸フィルム
CN1259185C (zh) * 2001-09-06 2006-06-14 Ti集团车辆系统(富尔达布吕克)公司 通过共挤出制成的油料等用的汽车管路
US8057903B2 (en) * 2001-11-30 2011-11-15 Sabic Innovative Plastics Ip B.V. Multilayer articles comprising resorcinol arylate polyester and method for making thereof
DE10161038A1 (de) 2001-12-12 2003-06-26 Degussa pH-Wert geregeltes Polyamidpulver für Kosmetikanwendungen
DE10164408A1 (de) 2001-12-28 2003-07-17 Degussa Flüssigkeits- oder dampfführendes System mit einer Fügezone aus einem coextrudierten Mehrschichtverbund
DE10201903A1 (de) 2002-01-19 2003-07-31 Degussa Formmasse auf Basis von Polyetheramiden
CA2417485C (en) * 2002-01-29 2010-08-17 Kuraray Co., Ltd. Thermoplastic polyurethane composition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6803113B2 (en) * 2002-09-13 2004-10-12 Honeywell International Inc. High barrier antifog laminate for case ready meat packaging
DE10228439A1 (de) 2002-06-26 2004-01-22 Degussa Ag Kunststoff-Lichtwellenleiter
US20070167552A1 (en) * 2002-08-27 2007-07-19 Georg Stoeppelmann Polyamide moulding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moulded articles having reduced surface carbonization
ATE383939T1 (de) 2002-09-21 2008-02-15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eidimensionalen objektes
DE10245355A1 (de) 2002-09-27 2004-04-08 Degussa Ag Rohrverbindung
EP1413594A2 (de) 2002-10-17 2004-04-28 Degussa AG Laser-Sinter-Pulver mit verbesserten Recyclingeigenschaft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Laser-Sinter-Pulvers
DE10248406A1 (de) 2002-10-17 2004-04-29 Degussa Ag Laser-Sinter-Pulver mit Titandioxidpartikel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Laser-Sinterpulver
DE10250330A1 (de) 2002-10-29 2004-05-13 Degussa Ag Biegeelement mit drehsinnabhängigem Verhalten
DE10251790A1 (de) 2002-11-07 2004-05-19 Degussa Ag Polyamidpulver mit dauerhafter, gleichbleibend guter Rieselfähigkeit
ATE320465T1 (de) 2002-11-28 2006-04-15 Degussa Laser-sinter-pulver mit metallseif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laser-sinter-pulver
TWI289106B (en) * 2002-12-02 2007-11-01 Daicel Degussa Ltd Molded composite article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DE10311437A1 (de) 2003-03-15 2004-09-23 Degussa Ag Laser-Sinter-Pulver mit PMMI, PMMA und/oder PMMI-PMMA-Copolymer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Laser-Sinterpulver
EP1459871B1 (de) 2003-03-15 2011-04-06 Evonik Degussa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dreidimensionalen Objekten mittels Mikrowellenstrahlung sowie dadurch hergestellter Formkörper
JP4619624B2 (ja) * 2003-03-31 2011-01-26 旭硝子株式会社 積層ホース
US20040209021A1 (en) * 2003-04-18 2004-10-21 Shih Keith S. Multi-layer laminate structure
DE10318321A1 (de) 2003-04-19 2004-10-28 Degussa Ag Verfahren zum Ultraschallschweißen von Kunstoffkomponenten
DE602004002949T2 (de) * 2003-05-07 2007-05-03 Topas Advanced Polymers Gmbh Siegelbarer mehrschichtiger koextrudierter verpackungsfilm, seine verwendung sowie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EP1642934B1 (en) * 2003-06-18 2012-12-12 Sanyo Chemical Industries, Ltd. Transparent resin composition
DE10333005A1 (de) 2003-07-18 2005-02-03 Degussa Ag Formmasse auf Basis von Polyetheramiden
DE10334496A1 (de) 2003-07-29 2005-02-24 Degussa Ag Laser-Sinter-Pulver mit einem Metallsalz und einem Fettsäurederivat,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Laser-Sinterpulver
DE10334497A1 (de) 2003-07-29 2005-02-24 Degussa Ag Polymerpulver mit phosphonatbasierendem Flammschutzmittel,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Formkörper, hergestellt aus diesem Polymerpulver
DE10337707A1 (de) * 2003-08-16 2005-04-07 Degussa Ag Verfahren zur Erhöhung des Molekulargewichts bei Polyamiden
JP3783057B2 (ja) * 2003-08-29 2006-06-07 独立行政法人物質・材料研究機構 電界電子放出特性を利する自己造形的表面形状を有するsp3結合性窒化ホウ素薄膜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2005119017A (ja) * 2003-10-14 2005-05-12 Ube Ind Ltd 積層構造体
US7786189B2 (en) * 2003-12-22 2010-08-31 Amcol International Corp. Oligomer-modified layered inorganic compounds and their use in nanocomposites
ATE375860T1 (de) * 2004-02-03 2007-11-15 Ems Chemie Ag Werkstoffverbunde aus einem formteil aus transparenten oder transluzenten, einfärbbaren kunststoffformmassen
WO2005100018A1 (en) * 2004-04-08 2005-10-27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ulticomponent structures having improved adhesion between components
DE102004025001A1 (de) * 2004-05-21 2005-12-08 Lanxess Deutschland Gmbh Extrusionsverfahren mit Polyamiden
US9126389B2 (en) * 2004-06-21 2015-09-08 Dupont Teijin Films U.S. Limited Partnership Article comprising polyester multilayer film
US7833450B2 (en) * 2004-06-22 2010-11-16 Arkema France Use of a microcrystalline polyamide to obtain a particular surface finish
DE102004047876A1 (de) 2004-10-01 2006-04-06 Degussa Ag Pulver mit verbesserten Recyclingeigenschaften,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des Pulvers in einem Verfahren zur Herstellung dreidimensionaler Objekte
EP1824677A4 (en) * 2004-12-10 2009-09-23 Curwood Inc MULTILAYER PACKAGING BARRIER FILMS COMPRISING VINYL ETHYLENE ALCOHOL COPOLYMERS
DE102004062761A1 (de) 2004-12-21 2006-06-22 Degussa Ag Verwendung von Polyarylenetherketonpulver in einem dreidimensionalen pulverbasierenden werkzeuglosen Herstellverfahren, sowie daraus hergestellte Formteile
DE102005026264A1 (de) * 2005-06-08 2006-12-14 Degussa Ag Transparente Formmasse
US7619024B2 (en) * 2005-08-31 2009-11-17 Amcol International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s, intercalates, nanocomposites and laminates prepared with aromatic polyamide and polyphenoxy polymers
US20070134411A1 (en) * 2005-12-14 2007-06-14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for mak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crocapsules and compositions made thereof
BRPI0810295A2 (pt) * 2007-05-09 2014-11-04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omposição polimérica baseada em etileno e artigo"
US20090117399A1 (en) * 2007-11-01 2009-05-07 Next Generation Films, Inc. Multi-layer polymer nanocomposite packaging films
US20100151180A1 (en) * 2008-10-13 2010-06-17 Bravet David J Multi-layer fluoropolymer film
US20100108778A1 (en) * 2008-10-30 2010-05-06 Greenland Steven J Device for containing and releasing a volatile substan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6755A (ko) * 2019-12-30 2021-07-09 세메스 주식회사 기판 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303873B2 (en) 2012-11-06
CN1900163A (zh) 2007-01-24
BRPI0602498A (pt) 2007-03-06
JP2007016234A (ja) 2007-01-25
DE102005031491A1 (de) 2007-01-11
BRPI0602498B1 (pt) 2016-06-07
US20070036998A1 (en) 2007-02-15
ES2714562T3 (es) 2019-05-29
KR101316555B1 (ko) 2013-10-15
CN1900163B (zh) 2010-09-29
EP1741540A1 (de) 2007-01-10
RU2429260C2 (ru) 2011-09-20
EP1741540B1 (de) 2018-12-05
JP5080033B2 (ja) 2012-11-21
RU2006123683A (ru) 2008-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6555B1 (ko) 고융점 중합체와 함께 공압출시키기 위한, 용융 강성이높은 폴리아미드 성형 조성물의 용도
JP4908866B2 (ja) 成形部材の製造方法およびこの種の成形部材
EP1690890B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Formteilen unter Erhöhung der Schmelzesteifigkeit
US8697814B2 (en) Process for producing a molding composition or a molding with an increase in the melt stiffness
JP5581567B2 (ja) バリア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5240035B2 (ja) バリア性に優れた積層体
JP5729189B2 (ja) ポリアミド樹脂組成物
JP2010248418A (ja) バリア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2010248417A (ja) バリア性に優れた熱可塑性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