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2410A -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2410A
KR20070002410A KR1020050057939A KR20050057939A KR20070002410A KR 20070002410 A KR20070002410 A KR 20070002410A KR 1020050057939 A KR1020050057939 A KR 1020050057939A KR 20050057939 A KR20050057939 A KR 20050057939A KR 20070002410 A KR20070002410 A KR 2007000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anual focusing
captured image
manual
focusing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57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9486B1 (ko
Inventor
유항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5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99486B1/ko
Priority to US11/373,146 priority patent/US7893983B2/en
Priority to JP2006079339A priority patent/JP4401361B2/ja
Priority to CN2006100743230A priority patent/CN1892399B/zh
Priority to EP06252674A priority patent/EP1739960A1/en
Publication of KR2007000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9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9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7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 H04N23/675Focus control based on electronic image sensor signals comprising setting of focusing reg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은,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기 위한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메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촬상된 이미지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인 윈도우를 캡쳐(Capture)하고, 캡쳐(Capture)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출력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됨으로서, 매뉴얼 포커싱 과정에서 사용자는 고해상도의 선명한 촬상된 이미지를 확인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정밀한 매뉴얼 포커싱이 가능하게 된다.
매뉴얼 포커스, 윈도우 캡쳐, 부분 이미지,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Description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Manual Focusing Method in Photographing Device and System therof}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이 적용되는 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캡쳐부에서 생성된 이미지와 포맷 변환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비교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상된 이미지의 윈도우 캡쳐에 의한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사체를 촬상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장치에서는, 촬상이 요구되는 피사체의 원하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해 초점을 맞추는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를 포커싱 작업이라고 하며, 이러한 포커싱 작업은 촬영장치에서 자동적으로 수행되는 경우도 있지만, 사용자의 관여없이 자동적으로 포커싱이 수행되는 경우에 는, 사용자가 원하는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초점이 맞지 않게 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촬영장치에서는 자동 포커싱 모드 기능과 함께 수동 포커싱모드(Manual Focusing Mode)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매뉴얼 포커싱 모드는 촬영장치 상에 구비된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이나, 촬영장치 상에 구비된 매뉴얼 포커스 링을 회전시키는 동작 등에 의해서 수행된다.
또한, 촬영장치 상에는 현재 촬상되고 있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부가 구비되어 있는데, 통상적으로 표시부는 SD LCD 모니터(Standard Definition LCD Monitor) 또는 SD 뷰 파인더(Standard Definition View Finder)로 이루어진다.
사용자가 촬상되고 있는 이미지를 확인하기 위해 필요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는 높은 해상도를 요구하지 않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촬상된 고해상도의 이미지를 표준 해상도(Standard Definition)로 변환시킨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매뉴얼 포커싱 모드를 통해 사용자가 직접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려고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육안으로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현재 촬상되고 있는 이미지를 확인하게 되고, 이 때 원하는 피사체에 대한 정확한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는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된 이미지의 선명도가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나, 전술한 표준 해상도로 변환된 이미지는 변환과정에서의 일부 신호의 누락등의 원인으로 인해, 고 해상도의 이미지에 비해서 왜곡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촬상되고 있는 이미지의 정확한 에지(Edge)를 확인할 수 없게 되며, 그로 인해 정확한 초점을 맞출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촬영장치는 렌즈(10), 고체 촬상소자(CCD)(20), HD 카메라 프로세스부(30), HD 코덱(40), HD 미디어 인터페이스부(50), 미디어(60), 포맷 컨버터(70), 및 표시부(80)를 포함한다.
먼저, 렌즈(10)는 촬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고체 촬상소자(20)에 맺히도록 하며, 피사체와 고체 촬상소자(20)사이에서의 렌즈의 미세한 이동에 따라 포커싱이 이루어진다.
고체 촬상소자(20)는 입사되는 광량에 비례한 전압을 출력하는 광전 변환소자로서,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량에 비례하는 전압을 HD 카메라 프로세스부(30)로 출력한다.
HD 카메라 프로세스부(30)는 고체 촬상소자(20)로부터 입력된 전압에 따라,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HD 신호를 생성한다.
HD 코덱(40)은 HD 카메라 프로세스부(30)에서 생성된 HD 신호가 미디어(60)에 기록될 수 있도록 HD 신호를 압축하며, 이후에 미디어(60)로부터 HD 신호를 재생함에 있어서는 압축된 HD 신호를 복원한다.
HD 미디어 인터페이스부(50)는 HD 코덱(40)에서 압축된 HD 신호를 미디어(60)에 기록가능한 형식으로의 변환을 수행하고, 이후 미디어에 기록된 HD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역변환을 수행한다.
미디어(60)는 HD 미디어 인터페이부(50)에서 변환된 HD 신호를 기록한다.
포맷 변환부(70)는 HD 카메라 프로세스부에서 생성된 HD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의 크기가 "1440*1080i"라고 한다면, 포맷 변환부(70)에 의해 생성된 축소 이미지는 그 크기가 "720*480i"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축소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는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에 비해서 해상도가 떨어지게 된다. 포맷 변환부(70)는 생성된 축소 이미지를 표시부(80)로 출력한다.
표시부(80)는 SD LCD 모니터(83) 및/또는 SD 뷰 파인더(85)를 구비하며, 전술한 포맷 변환부(70)로부터 입력된 축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표시부(80)에서 디스플레이된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축소 이미지를 확인하며, 이를 통해 현재 촬상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거나, 포커싱을 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매뉴얼 포커싱 모드를 선택하여, 포커싱을 하는 경우에 표시부(80)에 디스플레이된 축소 이미지의 선명도가 양호하지 않은 관계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포커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의 목적은, 포커싱 수행시 표시부에 선명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촬상된 이미지의 윈도우 캡쳐에 의한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은,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기 위한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메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촬상된 이미지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인 윈도우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캡쳐(Capture)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은, 상기 촬영장치 상의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 및 매뉴얼 포커스 링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쳐 이미지의 상기 촬상된 이미지상에서의 위치는 임의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는 뷰 파인더 및 LCD 모니터 중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지 아니하고,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재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장치는,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기 위한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메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촬상된 이미지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인 윈도우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출력하는 윈도우 캡쳐부, 및 상기 출력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은, 상기 촬영장치 상의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 및 매뉴얼 포커스 링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쳐 이미지의 상기 촬상된 이미지상에서의 위치는 임의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뷰 파인더 및 LCD 모니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윈도우 캡쳐부는,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재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초점을 맞추어, 상기 피사체의 원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기 위한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메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인 윈도우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출력하는 윈도우 캡쳐부, 및 상기 출력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은, 상기 촬영장치 상의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 및 매뉴얼 포커스 링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캡쳐 이미지의 상기 촬상된 이미지상에서의 위치는 임의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뷰 파인더 및 LCD 모니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윈도우 캡쳐부는,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재선택되는 경우 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이 적용되는 촬영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이 적용되는 촬영장치는 렌즈(110), 고체 촬상소자(CCD)(120),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 HD 코덱(140), HD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 미디어(160), 포맷 컨버터(170), 표시부(180), 윈도우 캡쳐부(190) 및 스위칭부(195)를 포함한다.
먼저, 렌즈(110)는 촬상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이미지를 고체 촬상소자(120)에 맺히도록 하며, 피사체와 고체 촬상소자(120)사이에서의 렌즈의 미세한 이동에 따라 포커싱이 이루어진다.
고체 촬상소자(120)는 입사되는 광량에 비례한 전압을 출력하는 광전 변환소자로서, 렌즈를 통해 입사된 광량에 비례하는 전압을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로 출력한다.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는 고체 촬상소자(120)로부터 입력된 전압에 따라,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HD 신호를 생성한다.
HD 코덱(140)은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에서 생성된 HD 신호가 미디어(160)에 기록될 수 있도록 HD 신호를 압축하며, 이후에 미디어(160)로부터 HD 신호를 재생함에 있어서는 압축된 HD 신호를 복원한다.
HD 미디어 인터페이스부(150)는 HD 코덱(140)에서 압축된 HD 신호를 미디어 (160)에 기록가능한 형식으로의 변환을 수행하고, 이후 미디어에 기록된 HD 신호를 재생하는 경우에는 역변환을 수행한다.
미디어(160)는 HD 미디어 인터페이부(150)에서 변환된 HD 신호를 기록한다.
포맷 변환부(170)는 HD 카메라 프로세스부에서 생성된 HD 신호를 입력받으며, 입력받은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를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로 변환한다. 예를 들어,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의 크기가 "1440*1080i"라고 한다면, 포맷 변환부(170)에 의해 생성된 축소 이미지는 그 크기가 "720*480i"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축소 과정을 통해 생성된 이미지는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에 비해서 해상도가 떨어지게 된다. 포맷 변환부(170)는 생성된 축소 이미지를 표시부(180)로 출력한다.
표시부(180)는 SD LCD 모니터(183) 및/또는 SD 뷰 파인더(185)를 구비하며, 전술한 포맷 변환부(170)로부터 입력된 축소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사용자는 표시부(180)에서 디스플레이된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축소 이미지를 확인하며, 이를 통해 현재 촬상되고 있는 상태를 확인하거나, 포커싱을 하게 된다.
윈도우 캡쳐부(190)는 사용자가 촬영장치 상의 매뉴얼 포커스 버튼을 누르거나 매뉴얼 포커스 링을 동작시킨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로부터,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을 알리는 신호를 입력받게 된다.
윈도우 캡쳐부(190)는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은 경우에,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로부터의 HD 신호에 따른 HD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여 표시부(180)로 출력한다.
여기서 윈도우는 촬상된 이미지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에 해당하며, 윈도우의 촬상된 이미지 상에서의 위치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의 동작 환경에 따라서, 제품의 제조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며, 아울러, 사용자의 임의 설정에 의해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스위칭부(195)는 전술한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을 알리는 신호에 의해서, 윈도우 캡쳐부(190)가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로부터의 HD 신호에 따른 HD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여 표시부(180)로 출력할 수 있도록 스위칭 동작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윈도우 캡쳐부에서 생성된 이미지와 포맷 변환부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비교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의 원리를 설명하면, 먼저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 전원을 입력하여, 원하는 피사체의 촬상을 개시한다.
피사체의 촬상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포커싱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사용자가 매뉴얼 포커싱 모드를 선택하지 않은 경우라면, 고체 촬상소자(120)는 렌즈(110)를 투과하여 입사된 광량에 비례한 전압을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로 출력한다.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는 고체 촬상소자(120)로부터 입력된 전압에 따라,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HD 신호를 생성하며, 포맷 변환부(170)는 HD 카메라 프로세스부에서 생성된 HD 신호를 입력받는다.
포맷 변환부(170)는 입력받은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200)를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260)로 변환하고, 포맷 변환부(170)는 생성된 축소 이미지(260)를 표시부(180)로 출력한다.
표시부(180)상의 SD LCD 모니터(183) 또는 SD 뷰 파인더(185)는 포맷 변환부(170)로부터 입력된 축소 이미지(260)를 디스플레이한다. 이 때 디스플레이되는 이미지(260)는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에 비해서 해상도가 떨어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매뉴얼 포커싱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의 구현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즉, 사용자가 촬영장치 상에 구비된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이나, 촬영장치 상에 구비된 매뉴얼 포커스 링을 회전시키는 동작 등을 통해 매뉴얼 포커싱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을 알리는 신호를 윈도우 캡쳐부(190)에 입력하게 된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윈도우 캡쳐부(190)의 동작 및 윈도우 캡쳐부(190)에서 생성된 이미지(230)가 표시부(180)로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스위칭부(19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경우, 윈도우 캡쳐부(190)는,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로부터의 HD 신호에 따른 HD 이미지(200)상의 임의 설정된 윈도우를 캡쳐하여 캡쳐 이미지(230)를 생성한다. 여기서 윈도우는 HD 이미지(200)상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이므로, 캡쳐 이미지(230)는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로부터의 HD 신호에 따른 HD 이미지(200)상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230)에 해당할 것이다.
예를 들어,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200)의 크기가 "1440*1080i"라고 한다면, 윈도우 캡쳐부(190)에서 생성된 이미지(230)는 크기가 "720*480i"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윈도우 캡쳐부(190)에서 생성된 이미지(230)는 크기는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의 동작 환경에 따라서, 제품의 제조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며, 아울러, 사용자의 임의 설정에 의해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윈도우 캡쳐부(190)에서 생성된 이미지(230)는 크기가 "720*480i"로서, 비록 포맷 변환부(260)에서 생성된 축소 이미지(260)와 같은 크기라 하더라도,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200)의 일부분만을 그대로 캡쳐한 이미지로서, 표시부(180)에서 디스플레이되었을 때의 해상도는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200)와 동일하게 된다.
사용자는 고해상도의 촬상 이미지를 표시부(180)에서 선명하게 확인하게 되고, 이를 통해 정확한 매뉴얼 포커싱 작업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제어부(미도시)는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더이상의 매뉴얼 포커싱 동작이 불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윈도우 캡쳐부(190)에서의 동작을 중지하게 된다. 여기서 소정의 시간은 본 발명에 따른 촬영장치의 동작 환경에 따라서, 제품의 제조단계에서 미리 설정될 수도 있을 것이며, 아울러, 사용자의 임의 설정에 의해서 변경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사용자가 촬영장치 상에 구비된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이나, 촬영장치 상에 구비된 매뉴얼 포커스 링을 회전시키는 동작 등을 통해 매뉴얼 포커싱 모드를 선택한 이후에 미리 설정된 소정 시간동안,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이나, 매뉴얼 포커스 링을 회전시키는 동작이 없는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더이상의 매뉴얼 포커싱 동작이 불필요하다고 인식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윈도우 캡쳐부(190)의 동작을 중지하고, 윈도우 캡쳐부(190)의 동작 및 윈도우 캡쳐부(190)에서 생성된 이미지(230)가 표시부(180)로의 출력이 불가능하도록, 스위칭부(19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에 의해 포맷 변환부(170)는 HD 카메라 프로세스부(130)로부터 입력받은 HD 신호에 의한 이미지(200)를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260)로 변환하고, 생성된 축소 이미지(260)를 표시부(180)로 출력하며, 표시부(180)상의 SD LCD 모니터(183) 또는 SD 뷰 파인더(185)는 포맷 변환부(170)로부터 입력된 축소 이미지(260)를 디스플레이하게 된다.
그러나, 이후에 사용자가 촬영장치 상에 구비된 매뉴얼 포커스 버튼을 다시 동작시키거나, 촬영장치 상에 구비된 매뉴얼 포커스 링을 다시 회전시킴으로써,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재선택되는 경우에, 제어부(미도시)는 윈도우 캡쳐부(190)의 동작을 재개하고, 윈도우 캡쳐부(190)의 동작 및 윈도우 캡쳐부(190)에서 생성된 이미지(230)가 표시부(180)로의 출력이 가능하도록, 스위칭부(195)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 때는 다시 윈도우 캡쳐부(190)에서 생성된 캡쳐된 이미지(230)가 표시부(180)에 디스플레이될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됨으로서, 매뉴얼 포커싱 과정에서 사용자는 고해상도의 선명한 촬상된 이미지를 확인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정밀한 매뉴얼 포커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1)

  1.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기 위한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메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촬상된 이미지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인 윈도우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캡쳐(Capture) 이미지를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출력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은, 상기 촬영장치 상의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 및 매뉴얼 포커스 링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의 상기 촬상된 이미지상에서의 위치는 임의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뷰 파인더 및 LCD 모니터 중 어느 하나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지 아니하고,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재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8.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기 위한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메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촬상된 이미지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인 윈도우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출력하는 윈도우 캡쳐부; 및
    상기 출력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은, 상기 촬영장치 상의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 및 매뉴얼 포커스 링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장치.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장치.
  11.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의 상기 촬상된 이미지상에서의 위치는 임의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뷰 파인더 및 LCD 모니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장치.
  13.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캡쳐부는,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재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15. 피사체의 이미지를 촬상하고, 초점을 맞추어, 상기 피사체의 원하는 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장치에 있어서,
    상기 초점을 수동으로 맞추기 위한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었는 지 여부를 확인하는 제어부;
    상기 메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의 소정 크기의 부분 이미지인 윈도우를 캡쳐(Capture)하고, 상기 캡쳐 이미지를 출력하는 윈도우 캡쳐부; 및
    상기 출력된 캡쳐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선택은, 상기 촬영장치 상의 매뉴얼 포커스 버튼의 동작 및 매뉴얼 포커스 링의 동작 중 어느 하나에 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8.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캡쳐 이미지의 상기 촬상된 이미지상에서의 위치는 임의 설정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19.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뷰 파인더 및 LCD 모니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선택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촬상된 이미지에 대한 소정 크기의 축소 이미지를 생성 및 출력하는 포맷 변환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윈도우 캡쳐부는, 상기 매뉴얼 포커싱 모드가 재선택되는 경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윈도우 캡쳐하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장치.
KR1020050057939A 2005-06-30 2005-06-30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 KR100699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939A KR100699486B1 (ko) 2005-06-30 2005-06-30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
US11/373,146 US7893983B2 (en) 2005-06-30 2006-03-13 Manual focusing method and system in photographing device
JP2006079339A JP4401361B2 (ja) 2005-06-30 2006-03-22 撮影装置におけるマニュアルフォーカシング方法、マニュアルフォーカシング装置、および撮影装置
CN2006100743230A CN1892399B (zh) 2005-06-30 2006-04-06 拍摄装置中的手动调焦方法和系统
EP06252674A EP1739960A1 (en) 2005-06-30 2006-05-23 Manual focusing method and system in photograph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57939A KR100699486B1 (ko) 2005-06-30 2005-06-30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2410A true KR20070002410A (ko) 2007-01-05
KR100699486B1 KR100699486B1 (ko) 2007-03-26

Family

ID=370546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57939A KR100699486B1 (ko) 2005-06-30 2005-06-30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93983B2 (ko)
EP (1) EP1739960A1 (ko)
JP (1) JP4401361B2 (ko)
KR (1) KR100699486B1 (ko)
CN (1) CN189239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261742A3 (en) * 2003-06-11 2011-05-25 ASML Netherlands BV Lithographic apparatus and device manufacturing method.
DE102005037282A1 (de) * 2005-08-08 2007-02-15 Arnold & Richter Cine Technik Gmbh & Co. Betriebs Kg Verfahren zum Übertragen eines Datenstroms von digitalen Bildern und digitale Bilderfassungseinheit
CN101217623B (zh) * 2007-12-26 2012-07-11 广东威创视讯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快速手动调焦、对焦方法
JP5644461B2 (ja) * 2010-12-14 2014-12-2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30052372A (ko) * 2011-11-11 2013-05-2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TWI460668B (zh) * 2012-07-30 2014-11-11 Faraday Tech Corp 影像擷取系統與方法
TWI446087B (zh) * 2012-08-03 2014-07-21 Wistron Corp 具有自動對焦功能之影像擷取裝置及自動對焦方法
JP6248412B2 (ja) 2013-05-13 2017-12-20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プログラム
CN108513709A (zh) * 2017-08-25 2018-09-0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手动对焦辅助方法、装置以及无人飞行器
US11482159B2 (en) 2019-04-26 2022-10-25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CN111818266B (zh) * 2020-07-16 2022-07-29 深圳传音控股股份有限公司 图像显示方法、摄像装置、图像显示装置及可读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48180B2 (ja) * 1991-02-27 2000-06-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信号処理装置
JP3160814B2 (ja) * 1991-05-30 2001-04-25 京セラ株式会社 電子ビュ−ファィンダを備えた撮影機
JP4233624B2 (ja) 1997-12-26 2009-03-0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電子カメラ装置
JP4088944B2 (ja) 1998-04-10 2008-05-2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カメラ
JP4050385B2 (ja) 1998-05-21 2008-02-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的撮像装置
JP2000312309A (ja) 1999-04-28 2000-11-0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JP4314672B2 (ja) * 1999-05-18 2009-08-19 株式会社ニコン レンズ鏡筒
JP2001028699A (ja) 1999-07-14 2001-01-30 Nikon Gijutsu Kobo:Kk 電子カメラ
JP2001211351A (ja) 2000-01-27 2001-08-03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撮像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4274665B2 (ja) 2000-03-03 2009-06-1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ビューファインダ付き電子カメラ
JP2003121732A (ja) * 2001-10-18 2003-04-23 Minolta Co Ltd デジタルカメラ
JP3937924B2 (ja) * 2002-05-23 2007-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4141800B2 (ja) * 2002-11-01 2008-08-27 株式会社リコー デジタルカメラ
TWI236287B (en) * 2004-05-19 2005-07-11 Asia Optical Co Inc Digital camera and manual focus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7013926A (ja) 2007-01-18
KR100699486B1 (ko) 2007-03-26
US20070002162A1 (en) 2007-01-04
US7893983B2 (en) 2011-02-22
JP4401361B2 (ja) 2010-01-20
CN1892399B (zh) 2010-06-16
EP1739960A1 (en) 2007-01-03
CN1892399A (zh) 2007-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9486B1 (ko) 촬영장치에서의 매뉴얼 포커싱 방법 및 매뉴얼 포커싱 장치
US20230224430A1 (en) Imaging apparatus capable of switching display methods
US10459190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JP4325599B2 (ja) 撮像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CN101334578B (zh) 图像拍摄装置以及图像拍摄方法
US2011013833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US8749689B2 (en) Detecting unit configured to detect temperature of image capturing unit
KR20070009429A (ko) 촬상 장치 및 촬상 방법
JP4416462B2 (ja) 自動焦点調節方法、および自動焦点調節カメラ
US8237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haken image by using auto focusing
KR20060135545A (ko) 촬상 장치
US8717477B2 (en) Imaging apparatus switching between display of image and enlarged image of focus area
US7710492B2 (en) Imaging device and imaging method for performing automatic focus detection
US20140285674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JP2005084632A (ja) 電子カメラおよび電子カメラの制御方法
JP2011130031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8113466A (ja) 電子カメラ
JP2004023452A (ja) 電子カメラ
KR20100027943A (ko) 촬상장치 및 촬상방법
JP4910581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6347056B2 (ja) 撮像装置および静止画像生成方法
JP4681899B2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JP2000312309A (ja) 撮像装置
US20140285682A1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JP2013148915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