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00958A - 2축 회전 부품 및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2축 회전 부품 및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00958A
KR20070000958A KR1020050102109A KR20050102109A KR20070000958A KR 20070000958 A KR20070000958 A KR 20070000958A KR 1020050102109 A KR1020050102109 A KR 1020050102109A KR 20050102109 A KR20050102109 A KR 20050102109A KR 20070000958 A KR20070000958 A KR 20070000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axis
support
cylinder
support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02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0847B1 (ko
Inventor
히사미츠 다카기
Original Assignee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00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0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0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0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 H04M1/0212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using combined folding and rotation motions with a two degrees of freedom mechanism, i.e. folding around a first axis and rotating around a second ax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Abstract

본 발명은 배선에 작용하는 부하를 가능한 한 경감할 수 있는 2축 회전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브래킷(32)은 수평축(23) 둘레를 회전한다. 지지축(28)에는 제1 관통 공간(34)이 구획된다. 동시에, 브래킷(32)은 수직축(24) 둘레를 회전한다. 통체(36)에는 제2 관통 공간(37)이 구획된다. 제1 관통 공간(34)이나 제2 관통 공간(37) 내에 배선(35)이 배치된다. 수평축(23) 둘레를 브레킷(32)이 회전할 때에, 배선(35)은 제1 관통 공간(34) 내에서 비틀어지지만, 배선(35)은 크게 휘어지는 것을 피한다. 마찬가지로, 수직축(24) 둘레를 브래킷(32)이 회전할 때에, 배선(35)은 제2 관통 공간(37) 내에서 비틀어지지만, 배선(35)은 크게 휘어지는 것을 피한다. 이렇게 배선(35)에 작용하는 부하는 가능한 한 경감될 수 있다. 단선 및 쇼트의 가능성은 저감된다.

Description

2축 회전 부품 및 전자 기기{BI-AXIAL SWIVEL ASSEMBLY IN ELECTRONIC APPARATUS}
도 1은 전자 기기의 일 구체예, 즉 휴대 전화 단말 장치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체 케이스에 대하여 직립 자세로 수직축 둘레를 회전하는 디스플레이용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2축 회전 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배후로부터 2축 회전 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수직축 둘레에서의 디스플레이용 케이스의 회전을 규제하는 규제 캠 및 캠 부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평면도.
도 6은 수평축 둘레에서 디스플레이용 케이스가 회전할 때에 규제 캠 및 캠 부재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평면도.
도 7은 수평축 둘레에서 직립 자세로 브래킷을 유지하는 2축 회전 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수평축 둘레에서 직립 자세로 브래킷을 유지하는 2축 회전 기구에 의해 수직축 둘레를 회전하는 규제 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평면도.
도 9는 수평축 둘레를 디스플레이용 케이스가 회전할 때에 캠 부재에 충돌하는 규제 캠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확대 평면도.
도 10은 수평축 둘레를 브래킷이 최대한으로 회전했을 때에 2축 회전기구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2축 회전 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고정캠 부재 및 가동캠 부재의 상대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3은 고정캠 부재 및 가동캠 부재의 상대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4는 고정캠 부재 및 가동캠 부재의 상대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
도 15는 수직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따른 2축 회전 기구의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2축 회전 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2축 회전 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2축 회전 기구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전자 기기(휴대 전화 단말 장치)
14 : 제1 케이스(본체 케이스)
16 : 제2 케이스(디스플레이용 케이스)
22 : 2축 회전 부품(기구)
22a∼22c : 2축 회전 부품(기구)
24 : 회전축(수직축)
26 : 베어링
28 : 지지축
29 : 지지 부재
32 : 브래킷
34 : 제1 관통 공간
36 : 통체
37 : 제2 관통 공간
38a : 구획면
41 : 오목부
42 : 규제 캠
본 발명은, 예컨대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소위 폴더식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바와 같이, 2축 회전 부품을 구비하는 폴더식 휴대 전화 단말 장치는 널리 알려져 있다. 이 2축 회전 부품에서는 본체 케이스에 1개의 지지축이 고정된다. 지지축에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 부재가 지지된다. 지지 부재에는, 지지축의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이 부착된다. 이 브래킷에 디스플레이용 케이스가 연결된다.
지지축에는 축 둘레에서 연장되는 홈이 형성된다. 홈은 지지축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한 쌍의 기준 평면으로 구획된다. 홈의 윤곽에는 소정의 위치에 오목부가 형성된다. 오목부는 홈의 광폭부를 구획한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가 기준 자세로 설정되면, 브래킷과 일체인 캠 부재는 한 쌍의 기준 평면의 내측에 배치된다. 캠 부재는 홈의 전체 길이에 걸쳐 이동할 수 있다. 브래킷은, 예컨대 180도의 회전각 범위에 걸쳐 지지축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가 기준 자세로부터 회전축 둘레를 90도의 회전각으로 회전하면, 캠 부재는 기준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홈의 광폭부에서만 캠 부재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렇게 해서 지지축 둘레에서의 디스플레이용 케이스의 회전각은 제한된다. 또한, 홈의 광폭부 이외에서는 디스플레이용 케이스가 항상 기준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05-2395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 제11-30226호 공보
전술한 바와 같은 휴대 전화 단말 장치에서는 디스플레이용 케이스 및 케이스 본체 사이에서 전기 접속이 확립된다. 이와 같은 전기 접속의 확립을 위해 회 전축 둘레에서 배선이 브래킷에 권취된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 즉 브래킷이 회전축 둘레를 회전할 때마다 배선은 크게 휘어진다. 마찬가지로, 디스플레이용 케이스가 지지축 둘레를 회전할 때마다 배선은 크게 휘어진다. 배선은 종종 큰 부하에 노출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배선에 작용하는 부하를 가능한 한 경감할 수 있는 2축 회전 부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동축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과; 개개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축과; 적어도 한 쪽의 지지축에서 지지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베어링을 관통하는 제1 관통 공간과; 지지축 사이에 배치되고 일체 성형에 기초하여 지지축끼리를 연결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지지축의 축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체와; 통체에서 통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제2 관통 공간과;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통체 상에서 지지되는 브래킷과; 지지축의 축심에 직교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적어도 한 쪽 베어링에 구획되는 구획면과; 브래킷에 결합되고 회전축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넓어지며, 브래킷이 제1 자세를 취할 때 기준 평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브래킷이 제1 자세로부터 회전축 둘레를 90도로 회전하여 얻어지는 제2 자세를 취할 때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규제 캠과; 구획면에 형성되고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규제 캠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2축 회전 부품이 제공된다.
이와 같은 2축 회전 부품에서는, 규제 캠이 기준 평면의 내측에 배치되는 한, 지지축의 축심 둘레를 브래킷 및 지지축이 회전하는 것은 허용된다. 지지축의 축심 둘레에서 베어링에 대하여 브래킷의 자세는 변화될 수 있다. 이 때, 규제 캠이 오목부로부터 떨어져 있으면, 구획면의 기능에 의해 규제 캠은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할 수 없다. 회전축 둘레에서 규제 캠의 회전은 규제된다. 회전축 둘레에서 브래킷의 자세 변화는 규제될 수 있다. 한편, 규제 캠이 오목부 내에 배치되면, 회전축 둘레의 회전에 따라서 규제 캠은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회전축 둘레를 90도의 회전각에 걸쳐 브래킷이 회전하는 것은 허용된다. 이렇게 해서 지지축의 축심 둘레에 특정한 위치에서는, 회전축 둘레에서 브래킷의 자세 변화가 실현될 수 있다.
이 2축 회전 부품에서는, 제1 관통 공간 및 제2 관통 공간 내에 배선이 배치될 수 있다. 지지축의 축심 둘레를 브래킷이 회전할 때에, 배선은 제1 관통 공간 내에서 비틀어지지만, 배선은 크게 휘어지는 것을 피한다. 마찬가지로, 회전축 둘레를 브래킷이 회전할 때에, 배선은 제2 관통 공간 내에서 비틀어지지만, 배선은 크게 휘어지는 것을 피한다. 이렇게 해서 배선에 작용하는 부하는 가능한 한 경감될 수 있다. 단선이나 쇼트의 가능성은 저감된다.
이상과 같은 2축 회전 부품에서, 지지 부재는 지지축의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통체를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제1 관통 공간은 확실하게 지지축의 축심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배선은 확실하게 지지축 축심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배선은 큰 휘어짐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될 수 있다.
이와 같은 2축 회전 부품은, 예컨대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전자 기기에 내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자 기기는, 예컨대 제1 및 제2 케이스와; 제1 케이스에 부착되고,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동축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과; 개개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축과; 적어도 한 쪽의 지지축에서 지지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베어링을 관통하는 제1 관통 공간과; 지지축 사이에 배치되고 일체 성형에 기초하여 지지축끼리를 연결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지지축의 축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체와; 통체에서 통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제2 관통 공간과;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케이스 상에서 지지되는 브래킷과; 지지축의 축심에 직교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적어도 한 쪽 베어링에 구획되는 구획면과; 브래킷에 결합되고 회전축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넓어지며, 브래킷이 제1 자세를 취할 때 기준 평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브래킷이 제1 자세로부터 회전축 둘레를 90도로 회전하여 얻어지는 제2 자세를 취할 때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규제 캠과; 구획면에 형성되고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규제 캠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은 전자 기기의 일 구체예, 즉 폴더식 휴대 전화 단말 장치(1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휴대 전화 단말 장치(11)는 송화기(12)와 수화기(13)를 구비 한다. 송화기(12)는 제1 케이스, 즉 본체 케이스(14)를 구비한다. 본체 케이스(14) 내에는 인쇄 회로 기판(도시 생략)이 마련된다. 주지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인쇄 회로 기판에는, 예컨대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 및 메모리 등의 처리 회로가 실장된다. 송화기(12)의 표면측 평탄면에는 온-훅(on-hook) 버튼이나 오프-훅(off-hook) 버튼, 다이얼키 등의 입력 버튼(15)이 매설된다. 입력 버튼(15)의 조작에 따라 CPU는 여러 가지 처리를 실행한다. 본체 케이스(14)는, 예컨대 강화 수지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수화기(13)는 제2 케이스, 즉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를 구비한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에는 액정 모니터(LCD) 패널(17) 등의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이 마련된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의 표면측 평탄면에는 디스플레이용 개구(18)가 구획된다. LCD 패널(17)의 화면은 디스플레이용 개구(18) 내에 설치된다. LCD 패널(17)의 화면에는 CPU의 처리 동작에 따라 여러 가지 텍스트나 그래픽이 표시된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는, 예컨대 강화 수지 재료로 성형될 수 있다.
본체 케이스(14)의 표면측 평탄면에는 송화구(19)가 구획된다. 송화구(19) 내에는 마이크가 마련된다.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의 표면측 평탄면에는 수화구(21)가 구획된다. 수화구(21) 내에는 스피커가 마련된다. 통화시에 휴대 전화 단말 장치(11)의 사용자는 마이크로부터 음성을 입력한다. 스피커는 통화 상대의 음성을 재생한다.
송화기(12)와 수화기(13)는 2축 회전 기구(이하, 「회전 기구」)(22)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 회전 기구(22)는 송화기(12) 및 수화기(13) 사이에서 수평축 (23) 둘레에서의 회전을 실현한다. 수평축(23)은 본체 케이스(14)의 일단에서 그 표면측 평탄면에 평행하게 규정된다. 이러한 회전을 통해 수화기(13)는 송화기(12) 상에 겹쳐진다. 휴대 전화 단말 장치(11)는 접어 포개어진다. LCD 패널(17)의 화면은 본체 케이스(14)의 표면측 평탄면을 마주하고 있다.
도 2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회전 기구(22)는 또한 송화기(12) 및 수화기(13) 사이에서 수직축(24) 둘레의 회전을 실현한다. 이 수직축(24)은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의 표면측 평탄면에 평행하게 규정된다. 수직축(24)은 수평축(23)에 직교하는 자세를 유지하면서 수평축(23)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회전을 통해 수화기(13)는 뒤집어질 수 있다. 이렇게 수화기(13)가 뒤집어진 상태로 휴대 전화 단말 장치(11)가 접어 포개어지면, LCD 패널(17)의 화면은 외측 방향으로 노출된다.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기구(22)는 한 쌍의 베어링(26, 26)을 구비한다. 베어링(26, 26)은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동축으로 배치된다. 베어링(26)은 1장의 금속판으로부터 펀칭 성형될 수 있다. 베어링(26)은 본체 케이스(14)에 고정된다. 고정시, 예컨대 나사(도시 생략)가 이용된다. 나사는 나사 구멍(26a)을 관통한 후에 본체 케이스(14)에 나사 결합된다.
베어링(26, 26)에는 1개의 축 부재(27)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축 부재(27)는 개개의 베어링(26, 26)에 개별적으로 지지되는 지지축(28)을 구비한다. 지지축(28)의 사이에는 지지 부재(29)가 배치된다. 지지 부재(29)는 축 부재(27)의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그 결과, 축 부재(27)의 축심 둘레에는 지 지 부재(29)에 인접하여 수용 공간(31)이 확보된다. 지지 부재(29)는 일체 성형에 기초하여 지지축(28)끼리를 연결한다. 이렇게 해서, 지지 부재(29) 및 지지축(28)은 축 부재(27)를 일체형 부재로서 구성한다. 축 부재(27)의 축심은 전술한 수평축(23)에 일치한다.
지지 부재(29)에는 전술한 수직축(24)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브래킷(32)이 연결된다. 브래킷(32)은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에 연결된다. 연결시 예컨대, 나사(도시 생략)가 이용된다. 나사는 나사 구멍(32a)을 관통한 후에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에 나사 결합된다.
브래킷(32) 및 지지 부재(29) 사이에는 축 커버(33)가 배치된다. 이 축 커버(33)는 브래킷(32)에 고정 연결된다. 즉, 브래킷(32)이 수직축(24) 둘레를 회전하면, 축 커버(33)는 동반 회전에 의해 수직축(24) 둘레를 회전한다.
도 4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한 쪽의 지지축(28)에는 제1 관통 공간(34)이 형성된다. 이 제1 관통 공간(34)은 수평축(23)을 따라서 지지축(28)을 관통한다. 이렇게 해서 제1 관통 공간(34)은 베어링(26)을 관통한다. 제1 관통 공간(34)의 일단은 전술한 수용 공간(31)으로 개구된다. 이렇게 해서 전술한 수용 공간(31)으로부터 베어링(26)의 외측을 향하여 동축 케이블(35)이 안내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래킷(32)은 수직축(24) 둘레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통체(36)에 부착된다. 통체(36)는 수직축에 동축으로 지지 부재(29)에 고정된다. 통체(36)에는 제2 관통 공간(37)이 형성된다. 이 제2 관통 공간(37)은 통체(36)의 축 방향으로 통체(36)를 관통한다. 제2 관통 공간(37)의 일단은 전술 한 수용 공간(31)에 개구된다. 이렇게 해서 전술한 수용 공간(31)으로부터 브래킷(32)의 외측을 향하여 동축 케이블(35)이 안내될 수 있다. 동축 케이블(35)은 수평축(23) 및 통체(36)의 축심을 따라 베어링(26)으로부터 브래킷(32)까지 안내된다.
개개의 지지축(28)에는 캠 부재(38)가 장착된다. 캠 부재(38)는 대응하는 베어링(26)에 고정 연결된다. 캠 부재(38)는 구획면(38a)에서 서로 대향한다. 이들 구획면(38a)은 수평축(23)에 직교하는 한 쌍의 기준 평면을 따라 규정된다. 이렇게 해서, 한 쌍의 구획면(38a)은 수평축(23) 둘레에서 균일 폭의 홈(39)을 구획한다. 단, 이들 구획면(38a)에는 소정의 각도 위치에 오목부(41)가 형성된다. 이들 오목부(41)는 홈(39)에 광폭부를 구획한다. 오목부(41)의 각도 위치는, 예컨대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수화기(13)가 송화기(12)로부터 직립할 때에 확립되는 수직축(24), 즉 축 커버(33)의 위치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축 커버(33)에는 수직축(24)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넓어지는 규제 캠(42)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 규제 캠(42)은 축 커버(33)의 외형에 기초하여 수직축(24) 둘레에 규정된다.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규제 캠(42)에는 수직축(24)과 동축인 가상 원주(43)에 접하는 한 쌍의 평행한 평면 내에서 평탄면(44)이 규정된다. 평탄면(44)은 수평축(23)에 직교하는 평면 내에서 넓어진다. 가상 원주(43)의 직경은 기준 평면끼리의 간격에 맞추어 설정된다. 2개의 평탄면(44)이 기준 평면의 내측에 수용되면, 홈(39) 내에서 전체 길이에 걸쳐 규제 캠(42)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 규제 캠(42)에서는 평탄면(44)의 사이에 만곡면(45)이 규정된다. 이 만곡면(45)은 가상 원주(43)보다도 외측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만곡면(45)을 형성하기 위해, 수직축(24)과 동축인 대직경 가상 원주(46)가 그려질 수 있다. 대직경의 가상 원주(46)의 직경은 광폭부의 폭에 맞추어 설정된다.
이제 송화기(12)에 대하여 수화기(13)가 크게 열리면(도 1 참조), 도 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래킷(32)은 수평축(23) 둘레에서 제1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에 앞서 브래킷(32)에서는 수직축(24) 둘레에서 기준 자세가 확립된다. 이 때,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규제 캠(42)의 평탄면(44)은 기준 평면에 평행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2개의 평탄면(44)은 기준 평면의 내측에 수용된다. 수평축(23) 둘레를 브래킷(32)이 회전하는 것은 허용된다. 단, 수직축(24) 둘레를 브래킷(32)이 회전하는 것은 저지된다.
다음에, 송화기(12)에 대하여 수화기(13)의 직립 자세가 확보되면(도 2 참조), 도 7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래킷(32)은 수평축(23) 둘레에서 제2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 제2 위치에서는, 도 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규제 캠(42)은 홈(39)의 광폭부에 진입한다. 광폭부에서는 수직축(24) 둘레를 규제 캠(42)이 회전하는 것이 허용된다. 그 결과, 수직축(24) 둘레를 브래킷(32), 즉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가 회전하는 것은 실현된다. 이렇게 해서 브래킷(32)에서는 수직축(24) 둘레에서 중도 자세가 확립된다. 이 때, 예컨대 도 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규제 캠(42)은 기준 평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기 때문에, 도 9로부터 분명한 바와 같이, 규제 캠(42)의 이동은 광폭부 내에 규제된다. 수평축(23) 둘레를 브래킷 (32), 즉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가 회전하는 것은 규제된다. 그 결과, 중도 자세의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와 본체 케이스(14) 사이의 충돌은 확실하게 회피될 수 있다. 이러한 충돌에 기초하는 본체 케이스(14)의 파손은 회피될 수 있다.
다음에, 송화기(12)에 대하여 수화기(13)가 겹쳐지면, 도 10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브래킷(32)은 수평축(23) 둘레에서 제3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위치 결정에 앞서 브래킷(32)에서는 수직축(24) 둘레에서 기준 자세가 확립된다. 규제 캠(42)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2개의 평탄면(44)은 기준 평면의 내측에 수용된다. 수평축(23) 둘레를 브래킷(32)이 회전하는 것은 허용된다. 단, 수직축(24) 둘레를 브래킷(32), 즉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가 회전하는 것은 저지된다. 그 결과, 수직축(24) 둘레의 회전에 기초한 수화기(13)와 송화기(12) 사이의 충돌은 회피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 기구(22)의 구조를 더 상술한다. 도 1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통체(36) 및 회전 커버(33) 사이에는 제1 회전 규제 기구(51)가 확립된다. 이 제1 회전 규제 기구(51)는 수직축(24) 둘레를 회전 불가능하게 통체(36)에 연결되는 환형의 고정캠 부재(52)를 구비한다. 고정캠 부재(52)는 통체(36)의 외주에 끼워 넣어질 수 있다. 고정캠 부재(52)에는 환형의 가동캠 부재(53)가 겹쳐진다. 수직축(24) 둘레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도록, 가동캠 부재(53)는 통체(36)의 외주에 장착될 수 있다. 가동캠 부재(53)는 회전 커버(33)에 연결된다. 즉, 가동캠 부재(53)와 회전 커버(33) 사이에서는 수직축(24) 둘레의 상대 회전이 저지된다. 브래킷(32) 및 가동캠 부재(53) 사이에는 접시 스프링(54)이 끼워진다. 접시 스프링(54)의 기능에 의해 고정캠 부재(52)는 가동캠 부재(53)에 압박된다. 고정캠 부재(52), 가동캠 부재(53) 및 접시 스프링(54)은 회전축 커버(33)에 수용된다.
한 쪽의 지지축(28) 둘레에서 캠 부재(38)와 베어링(26) 사이에는 제2 회전 규제 기구(56)가 확립된다. 이 제2 회전 규제 기구(56)는 수평축(23) 둘레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축(28)에 장착되는 환형의 고정캠 부재(57)를 구비한다. 고정캠 부재(57)에는 환형의 가동캠 부재(58)가 겹쳐진다. 가동캠 부재(58)는 수평축(23) 둘레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축(28)에 연결될 수 있다. 베어링(26) 및 가동캠 부재(58)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59)이 끼워진다. 코일 스프링(59)의 기능에 의해 가동캠 부재(58)는 고정캠 부재(57)에 압박된다. 고정캠 부재(57), 가동캠 부재(58) 및 코일 스프링(59)은 캠 케이스(61)에 수용된다. 캠 케이스(61)는 수평축(23) 둘레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베어링(26)에 연결된다. 고정캠 부재(57)는 마찬가지로 수평축(23) 둘레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캠 케이스(61)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캠 부재(52, 57)에는 수평축(23)이나 수직축(24)에 직교하는 기준 가상 평면(62)으로부터 가동캠 부재(53, 58)를 향하여 솟아오르는 융기부(63)가 형성된다. 한편, 고정캠 부재(52, 57)에 겹쳐지는 가동캠 부재(53, 58)에는 이러한 기준 가상 평면(62)으로부터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부(64)가 형성된다. 오목부(64)에는, 수평축(23) 둘레나 수직축(24) 둘레에서 오목부(64)의 바닥으로부터 기준 가상 평면(62)을 향하여 올라가는 제1 경사면(64a)과, 기준 가상 평면(62)으로부터 오목부(64)의 바닥을 향하여 내려가는 제2 경사면 (64b)이 형성된다. 오목부(64)의 형상은 융기부(63)의 형상을 닮을 수 있다. 접시 스프링(54)[코일 스프링(59)]의 기능에 의해 가동캠 부재(53, 58)는 고정캠 부재(52, 57)를 향하여 압박되기 때문에, 융기부(63)가 오목부(64)에 수용되면, 가동캠 부재(53, 58)의 상대 회전은 규제된다. 이와 같은 수용에 기초하여 회전 동작의 클릭 감이 달성된다.
이제 예컨대 도 13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 즉 브래킷(32)의 회전에 기초하여 가동캠 부재(53, 58)가 회전하면, 고정캠 부재(52, 57)의 융기부(63)는 가동캠 부재(53, 58)의 제1 경사면(64a)을 나아간다. 제1 경사면(64a)은 서서히 고정캠 부재(52, 57)를 향하여 돌출하기 때문에,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 제1 경사면(64a)의 기능에 의해 고정캠 부재(52, 57)로부터 가동캠 부재(53, 58)는 멀어진다. 가동캠 부재(53, 58)의 이동에 따라 접시 스프링(54)[코일 스프링(59)]에는 탄성 복원력이 축적된다. 이렇게 해서 가동캠 부재(53, 58)에는 고정캠 부재(52, 57)를 향하여 압박력이 작용한다. 이 시점에서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나 브래킷(32)으로부터 수평축(23) 둘레나 수직축(24) 둘레에서의 구속력이 해제되면, 제1 경사면(64a)은 지금까지와는 반대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발휘한다. 융기부(63)가 오목부(64) 안으로 들어갈 때까지 구동력은 발휘된다. 이렇게 해서 수평축(23) 둘레나 수직축(24) 둘레에서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의 회전은 탄성적으로 규제된다.
이제 예컨대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고정캠 부재(52, 57)의 융기부(63)가 제1 경사면(64a)으로부터 인접하는 오목부(64)의 제2 경사면(64b)으로 진입 하면, 회전이 진행됨에 따라서 제2 경사면(64b)의 기능에 의해 가동캠 부재(53, 58)는 고정캠 부재(52, 57)에 가까워진다. 이 때, 제2 경사면(64b)은 가동캠 부재(53, 58)에 회전 구동력을 부여한다. 이 시점에서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나 브래킷(32)으로부터 수평축(23) 둘레나 수직축(24) 둘레에서의 구속력이 해제되면, 융기부(63)가 오목부(64) 안으로 들어갈 때까지 가동캠 부재(53, 58), 즉 디스플레이용 케이스(16)의 회전은 강제된다. 이렇게 해서 2개의 오목부(64) 사이에서 실질적으로 융기부(63)의 이동은 제한된다.
또한, 도 15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1 관통 공간(34)의 형성에 대응하여 지지축(28)에는 수용 공간(31)으로부터 연속하는 노치(65)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노치(65)에 의하면, 제1 관통 공간(34)은 넓은 개구로서 외부에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동축 케이블(35)의 배치에 대한 작업은 효율화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기구(22a)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회전 기구(22a)에서는 한 쪽의 지지축(28) 둘레에만 캠 부재(38)가 장착된다. 이와 같은 캠 부재(38)는, 예컨대 전술한 바와 같이 캠 케이스(61)의 기능에 의해 수평축(23) 둘레에서 회전 불가능하게 베어링(26)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쪽의 지지축(2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관통 공간(34)이 확보된다. 마찬가지로, 통체(36) 내에는 제2 관통 공간(37)이 확보된다. 그 밖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균등한 구성이나 구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기구(22b)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회전 기구(22b)에서는 통체(36)가 수직축(24) 둘레에 상대 회전 가능하 게 축 부재(27), 즉 지지 부재(29)에 지지된다. 따라서, 통체(36), 축 커버(33), 가동캠 부재(53) 및 브래킷(32)은 수직축(24) 둘레를 동반 회전한다. 고정캠 부재(52)는 수직축(24) 둘레에서 상대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 부재(29)에 연결될 수 있다. 지지축(2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관통 공간(34)이 확보된다. 마찬가지로, 통체(36) 내에는 제2 관통 공간(37)이 확보된다. 그 밖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균등한 구성이나 구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또한, 이 회전 기구(22b)에서는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 쪽의 지지축(28) 둘레에만 캠 부재(38)가 장착될 수도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형태에 따른 회전 기구(22c)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 회전 기구(22c)에서는 축 커버(33)의 외측에 제1 회전 규제 기구(51)가 배치된다. 지지축(28)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관통 공간(34)이 확보된다. 마찬가지로, 통체(36) 내에는 제2 관통 공간(37)이 확보된다. 그 밖에 전술한 제1 실시형태와 균등한 구성이나 구조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인다. 또한, 이 회전 기구(22c)에서는 전술한 제2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한 쪽 지지축(28) 둘레에만 캠 부재(38)가 장착될 수도 있다. 수직축(24) 둘레에서 가동캠 부재(53), 축 커버(33) 및 브래킷(32)이 동반 회전될 수도 있고, 수직축(24) 둘레에서 가동캠 부재(53), 축 커버(33) 및 브래킷(32)에 추가하여 통체(36)가 동반 회전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2축 회전 부품에 의하여 배선에 작용하는 부하가 가능한 한 경감될 수 있다.

Claims (3)

  1.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동축으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과; 개개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축과; 적어도 한 쪽의 지지축에서 지지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베어링을 관통하는 제1 관통 공간과; 지지축 사이에 배치되고 일체 성형에 기초하여 지지축끼리를 연결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지지축의 축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체와; 통체에서 통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제2 관통 공간과;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통체 상에서 지지되는 브래킷과; 지지축의 축심에 직교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적어도 한 쪽 베어링에 구획되는 구획면과; 브래킷에 결합되고 회전축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넓어지며, 브래킷이 제1 자세를 취할 때 기준 평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브래킷이 제1 자세로부터 회전축 둘레를 90도로 회전하여 얻어지는 제2 자세를 취할 때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규제 캠과; 구획면에 형성되고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규제 캠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회전 부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축의 축심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통체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회전 부품.
  3. 제1 및 제2 케이스와; 제1 케이스에 부착되고, 서로 떨어진 위치에서 동축으 로 배치되는 한 쌍의 베어링과; 개개의 베어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한 쌍의 지지축과; 적어도 한 쪽의 지지축에서 지지축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응하는 베어링을 관통하는 제1 관통 공간과; 지지축 사이에 배치되고 일체 성형에 기초하여 지지축끼리를 연결하는 지지 부재와; 지지 부재에 지지되고 지지축의 축심을 포함하는 평면에 직교하는 회전축을 따라서 연장되는 통체와; 통체에서 통체의 축 방향으로 연장되며, 적어도 지지 부재를 관통하는 제2 관통 공간과; 회전축 둘레에서 회전 가능하게 통체 상에서 지지되고, 제2 케이스에 연결되는 브래킷과; 지지축의 축심에 직교하는 기준 평면을 따라서 적어도 한 쪽 베어링에 구획되는 구획면과; 브래킷에 결합되고 회전축으로부터 원심 방향으로 넓어지며, 브래킷이 제1 자세를 취할 때 기준 평면의 내측에 배치되고, 브래킷이 제1 자세로부터 회전축 둘레를 90도로 회전하여 얻어지는 제2 자세를 취할 때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규제 캠과, 구획면에 형성되고 기준 평면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규제 캠을 수용하는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050102109A 2005-06-28 2005-10-28 2축 회전 부품 및 전자 기기 KR100740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9016A JP4584052B2 (ja) 2005-06-28 2005-06-28 二軸回り回転部品および電子機器
JPJP-P-2005-00189016 2005-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0958A true KR20070000958A (ko) 2007-01-03
KR100740847B1 KR100740847B1 (ko) 2007-07-20

Family

ID=37568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02109A KR100740847B1 (ko) 2005-06-28 2005-10-28 2축 회전 부품 및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949312B2 (ko)
JP (1) JP4584052B2 (ko)
KR (1) KR100740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29Y1 (ko) * 2010-09-29 2012-01-05 한국전력공사 저압 계기함 봉인 시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276B1 (ko) * 2003-10-17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스윙 힌지 모듈
KR101086704B1 (ko) * 2006-09-29 2011-11-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회전과 슬라이딩 구동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및 상기 휴대단말기에 장착되는 스위블 조립체
JP2009058098A (ja) * 2007-09-03 2009-03-19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US20100248790A1 (en) * 2007-10-30 2010-09-30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5150204B2 (ja) * 2007-10-30 2013-02-20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JP5172277B2 (ja) * 2007-10-30 2013-03-27 京セラ株式会社 携帯電子機器
US8228678B2 (en) 2007-10-30 2012-07-24 Kyocera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JP2009264460A (ja) * 2008-04-24 2009-11-12 Sony Ericsson Mobilecommunications Japan Inc 二軸ヒンジ装置、及び携帯端末装置
CN101877732B (zh) * 2009-04-28 2013-12-25 日本电气株式会社 双轴铰链及便携设备
KR101630459B1 (ko) * 2009-12-29 2016-06-14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TW201203788A (en) * 2010-07-01 2012-01-16 Genius Toy Taiwan Co Ltd Solar cell building set
JP2013058643A (ja) * 2011-09-08 2013-03-28 Fujitsu Ltd 電子装置及び筒体
CN103148089B (zh) * 2012-08-08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JP5975173B2 (ja) * 2013-04-30 2016-08-23 富士通株式会社 分割筐体の結合装置及び分割筐体を備えた電子装置
US20140362287A1 (en) * 2013-06-10 2014-12-11 Chien Fu CHUNG Multi-directional positioning apparatus for mobile-phone camera shooting
CN115543020B (zh) * 2022-04-11 2023-08-08 荣耀终端有限公司 输入装置及终端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7217B2 (ja) 1997-07-08 2000-04-24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型電子機器
JP3031903B1 (ja) * 1998-12-25 2000-04-10 三菱製鋼株式会社 ヒンジ機構
US6549789B1 (en) * 2000-04-28 2003-04-15 Motorola Inc.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n adaptable user interface
JP4385490B2 (ja) * 2000-05-12 2009-12-16 ソニー株式会社 携帯端末装置
US6850784B2 (en) * 2001-01-31 2005-02-01 Microsoft Corporation Modular two-body design for integration of mobile computing device features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US7006853B2 (en) * 2001-08-24 2006-02-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Rotary type hinge module for portable wireless terminal
JP2003125050A (ja) * 2001-10-15 2003-04-25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3152840A (ja) * 2001-11-13 2003-05-23 Nec Corp 携帯電話機
US7168135B2 (en) * 2002-03-02 2007-01-30 M2Sys Co., Ltd Rotary hinge mechanism of portable phone
JP4063571B2 (ja) * 2002-04-10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通信端末
JP4061473B2 (ja) *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US6830456B2 (en) * 2002-10-28 2004-12-14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Connector and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4214396A (ja) * 2002-12-27 2004-07-29 Olympus Corp ヒンジ装置、ヒンジユニット、及び電子機器
US6798646B2 (en) * 2003-02-14 2004-09-28 Lite-On Technology Corporation Rotary axle structure for portable computers
KR100513015B1 (ko) * 2003-04-08 2005-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무선 단말기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JP2005023958A (ja) 2003-06-30 2005-01-27 Strawberry Corporation ヒンジ装置並びにヒンジ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0619818B1 (ko) 2003-11-29 2006-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선회 장치
TWM255633U (en) * 2004-04-23 2005-01-11 Invente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136687B2 (en) * 2004-12-16 2006-11-14 Chi Mei Communication Systems, Inc. Electrical device for adjusting the angle between a top module and a bottom modu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29Y1 (ko) * 2010-09-29 2012-01-05 한국전력공사 저압 계기함 봉인 시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293095A1 (en) 2006-12-28
KR100740847B1 (ko) 2007-07-20
US7949312B2 (en) 2011-05-24
JP2007009965A (ja) 2007-01-18
JP4584052B2 (ja) 2010-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0847B1 (ko) 2축 회전 부품 및 전자 기기
KR100442598B1 (ko) 회전성 렌즈 하우징 장착 장치 및 이를 채용한 폴더형단말기
US6704586B2 (en) Radiotelephone for visual communication
US7522946B2 (en) Hinge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
US7610067B2 (en) Swing hinge module for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844050B2 (en) Biaxial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ounting mechanism thereof
EP2146488B1 (en) Biaxial hinge device and portable terminal device
EP1876801A2 (en) Dual axis rotation type portab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20030047225A (ko)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 장치
EP1420567A3 (en)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stereo sound
EP1950937A2 (en) Portable apparatus
US20020132640A1 (en) Portable telephone with an exchangeable data input apparatus
KR101775155B1 (ko) 전자 기기의 스위블 힌지 장치
JP4915223B2 (ja) 連結装置
US9785189B2 (en)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US7673998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enclosure assembly therefor
US7974668B2 (en) Electronic apparatus
KR100663484B1 (ko) 자기 거치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20050034099A (ko) 이축 힌지를 구비한 폴더형 이동통신단말기
JP2005333219A (ja) 携帯型情報表示装置
KR20040056780A (ko) 이축 회전방식 휴대용 단말기
KR20050014095A (ko) 수평 회전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갖춘 폴더형 휴대폰
WO2011048817A1 (ja) 表示デバイス保持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携帯端末
KR20060124151A (ko) 폴더형 이동통신 단말기
JP2001290435A (ja) Lcd取付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