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5510A -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5510A
KR20060135510A KR1020060055335A KR20060055335A KR20060135510A KR 20060135510 A KR20060135510 A KR 20060135510A KR 1020060055335 A KR1020060055335 A KR 1020060055335A KR 20060055335 A KR20060055335 A KR 20060055335A KR 20060135510 A KR20060135510 A KR 20060135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door panel
door
lock
pu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55347B1 (ko
Inventor
요시히로 카시마
토모아키 니이야마
Original Assignee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5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5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53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53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7/00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 E05C7/04Faste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wo wings for wings which abut when closed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Abstract

궤도측에서의 조작, 홈측에서의 조작 중 어느 조작으로도 도어 패널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록 해제와 도어 패널의 개방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 그 때문에, 도어 패널을 록하기 위한 록 부재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배치된 밀어 올림 로드와, 도어 패널의 궤도측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제1로드와, 도어 패널의 홈측부에 배치된 키 구멍에 삽입된 키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제2로드를 구비한다. 밀어 올림 로드는, 제1로드 및 제2로드 중 어느 하나가 상승 이동하여도 이들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상기 록 부재를 록 위치에서 해정위치로 밀어 올린다.

Description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MANUAL UNLOCKING DEVICE AND PLATFORM SCREEN DOOR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를 홈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스크린 도어 장치를 플랫폼 상에 다수 설치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상기 스크린 도어 장치에 설치된 도어 패널의 상부 부근을 확대해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우측의 도어 패널을 홈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부를 확대해서 일부를 파단한 상태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a)는, 수동 해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해정 조작전의 상태를 홈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6(b)는, 수동 해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해정 조작전의 상태를 문 후단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a)는, 수동 해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키 조작 후의 상태를 홈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b)는, 수동 해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키 조작 후의 상태를 문 후단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a)는, 수동 해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레버 조작 후 의 상태를 홈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8(b)는, 수동 해정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레버 조작 후의 상태를 문 후단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그 외의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록 부재 및 결합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의 도어 패널의 록을 해제하는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승객의 안전을 확보할 목적으로 플랫폼의 궤도측 가장자리부에 설치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류의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에서는, 일본 특허공개 2001-233201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쪽 미닫이식의 1쌍의 도어 패널이 설치되어 있고, 이 도어 패널은, 플랫폼에 도착한 전차의 측문이 개폐하는데에 맞춰 좌우로 개폐하게 되어 있다. 도어 패널은, 안전상의 관점에서 승객의 승강시 이외에는 개방되지 않도록 전기 키로 잠겨져 있다. 한편, 일본 특허공개 2001-233201호 공보에 개시된 것에서는, 도어 패널에 인접해서 비상탈출 패널을 설치함으로써, 전차의 정지 위치가 크게 벗어나 버린 경우 등과 같은 비상시에 승객이 플랫폼으로 탈출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비상탈출 패널을 개방할 때에는, 이 패널의 궤도측에 설치된 조작 레버를 회전이동 조작함으로써, 비상탈출 패널 상방의 프레임에 결합되어 있는 록 핀을 끌어들이게 하여, 이것에 의 해 비상탈출 패널을 개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공보의 것에서는, 비상탈출 패널을 개방해서 비상통로를 확보하고 있지만, 비상시에는, 가능한 한 많은 비상통로를 확보하도록 도어 패널 자체도 개방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도어 패널은 전기 키에 의해 잠겨져 있으므로, 비상시에 개방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전기 키를 수동으로 해정하는 기구가 필요하게 되고, 또한, 이 해정기구를 궤도측으로부터의 조작과, 홈측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한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비상시의 도어 패널의 개방 조작에 대해서는, 가능한 한 간단한 조작으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궤도측에서의 조작 및 홈측에서의 조작 중 어느 조작으로도 도어 패널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록 해제와 도어 패널의 개방 동작을 할 수 있는 수동 해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의 도어 패널이 록 부재에 의해 록되어 있는 것을 해제하는 수동 해정장치를 전제로 하여,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도어 패널을 록하는 록 위치와, 이 록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퇴피한 해정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며, 상기 도어 패널을 록하기 위한 록 부재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배치된 밀어 올림 로드와, 상기 도어 패널의 궤도측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제1로드와, 상기 도 어 패널의 홈측부에 배치된 키 구멍에 삽입된 키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제2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 올림 로드는,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 중 어느 하나가 상승 이동하여도 이들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상기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에서 상기 해정위치로 밀어 올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어 패널의 궤도측으로부터의 수동 해정 조작에서는, 조작 레버의 조작에 의해 밀어 올림 로드가 밀어 올려져 록 부재를 해정위치로 밀어 올려 해정할 수 있고, 도어 패널의 홈측으로부터의 조작에서는, 키 구멍의 조작에 의해 밀어 올림 로드가 밀어 올려져 록 부재를 해정위치로 밀어 올려 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시에는, 도어 패널의 궤도측으로부터도 홈측으로부터도 도어 패널의 해정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궤도측으로부터의 조작에서는, 조작 레버를 조작하면서 그대로 도어 패널을 개방 조작할 수 있고, 또한, 홈측으로부터의 조작에서는, 키 조작을 하면서 그대로 도어 패널을 개방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어느 조작에 있어서나 해정 조작과 도어 패널의 개방 조작을 일련의 조작으로서 행할 수 있어, 비상시에 도어 패널을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조작에 있어서나 제1로드 또는 제2로드를 통해서 밀어 올림 로드가 록 부재를 밀어 올리는 구성이므로, 이 밀어 올림 로드에 의해 록 부재를 확실하게 밀어 올릴 수 있고, 록 부재에 의한 록의 해제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이하, 단지 스 크린 도어 장치라고 칭함)를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도어 장치는, 스크린 패널(11,11)과 도어 패널(12,13)로 이루어지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이하, 단지 스크린 도어라고 칭함)(14)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 패널(12,13)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양쪽 미닫이식으로 구성된 1쌍의 것으로 되어 있다. 스크린 패널(11,11)은, 이 도어 패널(12,13)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스크린 도어(14)를 다수 늘어놓아서 역의 플랫폼(도시생략)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설치되는 것이며, 스크린 도어(14)는, 플랫폼을 궤도측과 그 내측의 홈측으로 칸막이되어 있다. 승객은 이 홈측에서 전차가 오는 것을 기다리게 되고, 전차가 도착하여 도어 패널(12,13)이 개방되었을 때에만 궤도측으로 나갈 수 있다.
도 1은 스크린 도어(14)를 홈측으로부터 바라본 것이며, 동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크린 도어 장치는, 천정구조물의 빔에 고정된 통형상의 헤더 박스(17)를 구비하고 있다. 이 헤더 박스(17)는, 스크린 도어(14)의 상측에 배치되는 것이며, 플랫폼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헤더 박스(17) 내에는, 통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주행 레일(20)이 배치되어 있다. 이 주행 레일(20)과 평행하고 그 상방에는, 구동 스프로킷(21a)과 종동 스프로킷(21b)에 걸쳐서 설치되어 양 스프로킷(21a,21b) 사이를 둘레 회전하는 타이밍벨트(21c)가 배치되어 있다. 구동 스프로킷(21a)은 도어 엔진(21d)에 의해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타이밍벨트(21c)에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2c,13c)를 통 해서 각각 도어 행거(12a,13a)가 결합되어 있다. 이들 도어 행거(12a,13a)는, 각각 도어 패널(12,13)의 상측 가로대(18,19)에 설치되어 있다. 이 각 도어 행거(12a,13a)에는, 1쌍의 도어 롤러(12b,13b)가 축지지되어 있어서, 이 도어 롤러(12b,13b)가 주행 레일(20) 상을 회전이동함으로써 도어 패널(12,13)이 주행 레일(20)을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이 도어 패널(12,13)의 이동은, 도어 엔진(21d)에 의해 타이밍벨트(21c)를 주행시킴으로써 행해진다. 도어 엔진(21d)의 구동 동작은, 헤더 박스(17) 내에 수용된 컨트롤러(22)에 의해 제어된다. 그리고, 플랫폼에 차량이 도착했을 때에 그 차량의 측문의 개폐에 대응하여 도어 엔진(21d)을 구동해서 도어 패널(12,13)을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스크린 도어 장치에는, 양 도어 패널(12,13)이 폐쇄된 상태에서 이들 양 도어 패널(12,13)을 일괄해서 록하기 위한 록 부재(24)와, 이 록 부재(24)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부재(25)가 설치되어 있다.
록 부재(24)는, 수평 배치되는 결합부(24a)와, 이 결합부(24a)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1쌍의 록부(24b)를 구비하고 있다. 록 부재(24)는, 록부(24b)에 의해 도어 패널(12,13)에 있어서의 상단부의 소정 부분을 끼워 넣음으로써 도어 패널(12,13)을 록한다. 즉, 록 부재(24)는, 각 도어 패널(12,13)의 문 선단 상단부에 각각 설치된 결합부(27,28)를, 록부(24b)에 의해 도어 개폐 방향의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음으로써 도어 패널(12,13)을 록한다.
각 결합부(27,28)는, 각각 도어 패널(12,13)의 문 선단측의 세로대(29,30)에 있어서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각 결합부(27,28)의 상단부에는, 도어 폐쇄 방향을 향해 강하하도록 경사진 경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즉, 각 결합부(27,28)는, 도어 패널(12,13)의 폐쇄동작중에 록 부재(24)가 충돌하면, 경사면에 의해 록 부재(24)를 들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각 결합부(27,28)에 있어서의 도어 개방측의 측면은, 각각 연직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즉, 이 측면이 록 부재(24)의 록부(24b)와 결합함으로써, 도어 패널(12,13)이 개방되는 것을 저지하게 되어 있다.
구동부재(25)는, 헤더 박스(17)에 체결 고정된 본체부(25a)와, 이 본체부(25a)에 대하여 진퇴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봉형상의 로드부(25b)를 구비하고 있다. 로드부(25b)의 하단부에는, 상기 록 부재(24)의 결합부(24a)가 결합되어 있다. 본체부(25a)는, 양 도어 패널(12,13)이 닫혔을 때의 문 선단 위치의 상방에 있어서의 헤더 박스(17) 내에 고정되어 있다. 구동부재(25)는, 로드부(25b)가 본체부(25a)에 대하여 연직 하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로드부(25b)는, 본체부(25a) 내에 수용된 코일스프링(도시생략)에 의해 본체부(25a)로부터 돌출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록 부재(24)는, 도어 패널(12,13)을 록하는 록 위치로 되어 있다.
본체부(25a) 내에는 솔레노이드(도시생략)가 수용되어 있다. 이 솔레노이드는, 상기 컨트롤러(2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어서, 컨트롤러(22)로부터 보내져 온 제어신호에 의해 여자(勵磁) 및 소자(消磁)가 전환되도록 되어 있다. 구동부재(25)는, 솔레노이드를 여자함으로써 로드부(25b)를 들어올려 본체부(25a) 내로 끌어들이는 한편, 솔레노이드가 소자되었을 때에는, 로드부(25b)는 본체부(25a)로부터 돌출하는 방향, 즉 하방으로 이동한다. 로드부(25b)가 들어 올려지면, 록 부재(24)는, 록 위치로부터 퇴피한 해정위치로 된다.
도 1의 우측의 도어 패널(13)을 도 4에 확대해서 나타내고 있고, 이 도 4에 있어서의 A부를 확대해서 부분적으로 파단한 상태를 도 5에 나타내고 있다. 이들 도면은, 도어 패널(13)을 홈측으로부터 바라본 것이다.
도어 패널(13)은, 문 선단측의 세로대(30), 문 후단측의 세로대(32)를 상측 가로대(19), 중간측 가로대(34) 및 하측 가로대(35)로 결합한 프레임체를 구비하고, 이 프레임체에는, 중간측 가로대(34)를 사이에 두고 상하에 유리 패널(37a,37b)이 끼워 넣어져 있다.
문 선단측의 세로대(30)에는, 도어 패널(13)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하기 위한 수동 해정장치(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수동 해정장치(40)는, 도 5,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베이스판(41)과, 조작 레버(42)와, 이 조작 레버(42)에 연동하는 제1로드(43)와, 키축부(45)와, 이 키축부(45)에 연동하는 제2로드(46)와, 밀어 올림 로드(48)를 구비하고 있다. 베이스판(41), 제1로드(43), 제2로드(46) 및 밀어 올림 로드(48)는, 모두 문 선단측의 세로대(30) 내에 수납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판(41)은, 세로대(30) 내에 수용되는 폭을 갖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상의 판재로 구성되어 있고, 이 베이스판(41)은, 세로대(30) 내에 세로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베이스판(41)은, 상측 가로대(19)로부 터 중간측 가로대(34)에 이르는 범위에서 세로대(30)에 있어서의 궤도측의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고, 이 세로대(30)의 궤도측의 측면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상기 조작 레버(42)는, 세로대(30)의 문 후단측면에 있어서의 중간측 가로대(34)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이 조작 레버(42)는, 플랫폼의 궤도측에 면하도록 상측의 유리 패널(37a)보다 궤도측의 부위에 설치되어 있다. 즉 조작 레버(42)는, 도어 패널(13)의 궤도측부에 설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42)는, 비상시에 열차의 승객 등이 궤도측으로부터 도어 패널(13)의 록을 해제할 때에 조작하는 것이며, 통상은 세로대(30)의 범위 내에 수용되는 세로방향으로 되어 있어서, 회전이동 조작에 의해 궤도측으로 넘어지면 가로방향으로 된다.
상기 조작 레버(42)는, 수평으로 배치된 레버 축부(42a)를 구비하고, 이 레버 축부(42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이동 가능하게 제1지지부(50)에 지지되어 있다. 제1지지부(50)는, 베이스판(4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문 후단측의 단부에 세워 설치되는 것이다. 제1지지부(50)는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 제1지지부(50)에 레버 축부(42a)가 관통하고 있다.
레버 축부(42a)에는, 이 레버 축부(42a)와 일체로 되어 회전이동하는 제1회전이동판(51)이 설치되어 있다. 제1회전이동판(51)은, 레버 축부(42a)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이동하는 것이며, 이 제1회전이동판(51)에는, 제1회전이동판(5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1연결판(52)이 연결되어 있다. 제1연결판(52)은, 그 하단부가 레버 축부(42a)에 대해서 편심된 개소에서 제1회전이동판(51)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1연결판(52)의 연결 부위는, 조작 레버(42)가 세로방향일 때에 제1회전이동 판(51)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 제1회전이동판(51) 및 제1연결판(52)은, 베이스판(41)에 있어서의 제1지지부(50)의 바로 하방에 체결 고정된 제1지지판(53)의 상면에 적재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조작 레버(42)가 가로방향으로 되면, 제1연결판(52)의 연결 부위가 제1회전이동판(51)에 있어서의 상부에 위치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1로드(43)는, 조작 레버(42)가 세로방향으로 되어 있을 때의 통상 위치에 대하여, 조작 레버(42)가 가로방향으로 되면 상승해서 상측 위치에 위치된다.
제1연결판(52)의 상단부는, 상기 제1로드(43)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1로드(43)는, 베이스판(41)에 고정된 제1가이드(55)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제1가이드(55)는, 베이스판(41)에 있어서의 문 후단측의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며,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복수개(도면의 예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로드(43)는, 각 제1가이드(55)에 삽입통과되어서,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1가이드(55)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제1로드(43)의 상단부에는 원기둥형상의 부재(43a)가 끼워져 있다. 이 제1로드(43)의 상단부는 밀어 올림 로드(48)의 압압부로서 기능한다.
제1로드(43)에는, 이 제1로드(43)가 상측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에 제1로드(43)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의 제1스프링 부재(5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1스프링 부재(56)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제1로드(43)에 설치된 스프링 압압부(43b)와 상기 가장 상측의 제1가이드(55)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세로대(30)에 있어서의 홈측의 측면에는, 키를 삽입하기 위한 키 구멍(59)(도 4 참조)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어 패널(13)의 홈측부에 키 구멍(59)이 배치되어 있다. 이 키 구멍(59)은, 비상시 등에 역원이 홈측으로부터 도어 패널(13)의 록을 해제할 때에, 도면 밖의 키를 삽입하여 조작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키축부(45)는, 베이스판(41)의 하단부에 설치된 제2지지부(60)에 회전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제2지지부(60)는, 상기 제1지지부(50)보다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제2지지부(60)는, 직사각형 평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베이스판(41)에 서로 겹치도록 고정되어 있다.
키축부(45)는, 상기 키 구멍(59)을 통해서 삽입되는 키에 따른 형상의 것이고, 제2지지부(60)로부터 홈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각기둥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키 구멍(59)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키축부(45)는, 키 구멍(59)을 통해서 삽입된 키의 회전이동 조작에 의해 회전이동하게 되어 있다.
키축부(45)에는, 이 키축부(45)와 일체로 되어 회전이동하는 제2회전이동판(61)이 설치되어 있다. 제2회전이동판(61)에는, 이 제2회전이동판(61)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2연결판(62)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제2연결판(62)의 연결 부위는, 제2회전이동판(61)에 있어서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 제2회전이동판(61) 및 제2연결판(62)은, 베이스판(41)에 있어서의 제2지지부(60)의 바로 하방에 체결 고정된 제2지지판(63)의 상면에 적재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키 구멍(59)에 삽입된 키에 의해 키축부(45)가 회전이동되면, 제2연결판(62)의 연결 부위가 제2회전이동판(61)에 있어서의 상부에 위치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로드(46)는, 키가 삽입되어 있지 않을 때의 통상 위치에 대해서 상승한 상측 위치에 위치된다.
제2지지부(60)에는, 제2회전이동판(61)의 회전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제2스토퍼(65)가 설치되어 있다. 키축부(45)의 회전이동 조작이 행해졌을 때에는, 이 제2스토퍼(65)에 의해 제2연결판(62)의 연결 부위가 제2회전이동판(61)에 있어서의 상부에서 제지된다.
제2연결판(62)의 하단부는, 키축부(45)에 대하여 편심된 개소에서 제2회전이동판(61)에 연결되고, 또한 제2연결판(62)의 상단부는, 상기 제2로드(46)에 연결되어 있다. 제2로드(46)는, 하단부가 제2연결판(62)에 연결되는 한편, 제1지지부(50)를 넘어서 이 제1지지부(50)보다 상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로드(46)는, 베이스판(41)에 고정된 제2가이드(66)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제2가이드(66)는, 베이스판(41)에 있어서의 문 선단측의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며,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복수개(도면의 예에서는 4개) 설치되어 있다. 즉, 제2가이드(66)는, 제1가이드(55)와는 측방으로 위치가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밑에서부터 2번째에 배치된 제2가이드(66)는, 제1지지부(50)와 동일한 높이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제1지지부(50)의 측방에 배치된 제2가이드(66)에는, 레버 축부(42a)가 삽입통과할 수 있는 크기의 삽입통과구멍(66a)이 형성되어 있고, 레버 축부(42a)와의 간섭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이 제2가이드(66)에는, 제1회전이동판(51)의 회전이동 범위를 규제하는 제1스토퍼(68)가 설치되어 있다.
제2로드(46)는, 각 제2가이드(66)에 삽입통과되어 있고, 가장 상측에 배치된 제2가이드(66)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1로드(43)와 제2로드(46)는, 조작 레버(42)의 조작 및 키 조작이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단부가 각각 동일한 높이에 배치되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제2로드(46)의 상단부에는 원기둥형상의 부재(46a)가 끼워져 있다. 이 제2로드(46)의 상단부는, 밀어 올림 로드(48)의 압압부로서 기능한다.
제2로드(46)에는, 이 제2로드(46)가 상측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에 제2로드(46)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의 제2스프링 부재(69)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2스프링 부재(69)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제2로드(46)에 설치된 스프링 압압부(46b)와 상기 가장 상측의 제2가이드(66)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밀어 올림 로드(48)는, 제1로드(43)의 상단부 및 제2로드(46)의 상단부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밀어 올림 로드(48)는, 로드형상의 부재를 절곡하여 L자 형상으로 구성한 것이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48a)와, 이 세로부(48a)의 하단부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되는 가로부(48b)를 구비하고 있다. 이 가로부(48b)는, 제1로드(43) 및 제2로드(46)의 각 상단부에 걸쳐지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고, 밀어 올림 로드(48)는, 제1로드(43) 및 제2로드(46)의 상단부에 적재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밀어 올림 로드(48)는, 제1로드(43)의 상승 이동 또는 제2로드(46)의 상승 이동에 연동하여 상승하고, 상측 위치에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밀어 올림 로드(48)의 세로부(48a)는, 베이스판(41)에 고정된 제3가이드(71)에 삽입통과되어 있다. 이 제3가이드(71)는, 베이스판(41)에 있어서의 문 선단측의 부위에 설치되는 것이며, 간격을 두고 연직방향으로 복수개(도면의 예에서는 2개) 설치되어 있다. 이들 제3가이드(71)는 상기 록 부재(24)의 록부(24b)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제1로드(43) 및 제2로드(46)의 각 상단부가 상하 이동하는 범위를 포함하는 높이위치에 있어서의 베이스판(41)에는, 안내 부재(74)가 체결 고정되어 있다. 이 안내 부재(74)는, 평판형상의 부재를 둘로 접은 것으로 한 평면으로 봐서 L자 형상의 것이며, 베이스판(41)에 서로 겹쳐진 겹침부(74a)와, 이 겹침부(74a)에 대하여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하는 안내부(74b)를 구비하고 있다. 제1로드(43) 및 제2로드(46)는, 안내부(74b)를 사이에 끼게 하여 그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안내부(74b)에는, 세로로 긴 긴 구멍(74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74c)은, 베이스판(41)의 폭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제1로드(43) 및 제2로드(46)의 스트로크 양보다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긴 구멍(74c)에 상기 밀어 올림 로드(48)의 가로부(48b)가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밀어 올림 로드(48)의 가로부(48b)는, 제1로드(43) 및 제2로드(46)의 각 상단부 상에 적재되어 있다.
밀어 올림 로드(48)의 상단부에는 원기둥형상의 부재(48c)가 끼워져 있고, 이 상단부는, 세로대(30)의 상단부의 높이위치에 거의 일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밀어 올림 로드(48)는, 세로부(48a)가 상기 록 부재(24)의 록부(24b)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있고, 제1로드(43) 또는 제2로드(46)에 의해 밀어 올려지면, 밀어 올림 로드(48)의 상단부 즉 원기둥형상의 부재(48c)가 도어 패널(13)의 상단부로부터 돌 출하여 록부(24b)를 밀어 올리도록 되어 있다.
밀어 올림 로드(48)에는, 이 밀어 올림 로드(48)가 상측 위치에 위치되었을 때에 밀어 올림 로드(48)를 하방으로 가압하는 가압 부재로서의 제3스프링 부재(7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제3스프링 부재(76)는, 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며, 세로부(48a)에 끼워짐과 아울러 밀어 올림 로드(48)의 가로부(48b)와 상기 제3가이드(71)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도어 패널(13)로의 수동 해정장치(40)의 장착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이 수동 해정장치(40)를 조립하기 위해서는, 베이스판(41)의 제1가이드(55)에 순서대로 밑에서부터 제1로드(43)를 삽입통과시키고, 그 도중에서 제1스프링 부재(56)를 끼워넣는다. 이 때 제1로드(43)의 상단부에는 원기둥형상의 부재(43a)가 끼워 넣어져 있지 않고, 제1가이드(55)에 삽입통과된 후에 원기둥형상의 부재(43a)가 끼워 넣어진다. 그리고, 제1로드(43)의 하단부와 제1회전이동판(51)에 결합된 제1연결판(52)을 연결하고, 이것에 의해 제1로드(43)가 베이스판(41)에 장착된다. 마찬가지로 하여 제2로드(46)를 베이스판(41)에 장착한다.
그리고, 제3스프링 부재(76)가 끼워 넣어진 밀어 올림 로드(48)를 제3가이드(71)에 밑에서부터 삽입통과시켜, 밀어 올림 로드(48)의 가로부(48b)를 제1로드(43) 및 제2로드(46)의 각 상단부에 적재함과 아울러 안내 부재(74)의 긴 구멍(74c)에 삽입한다. 그리고, 밀어 올림 로드(48)의 상단부에 원기둥형상의 부재(48c)를 끼운다. 이와 같이 하여 수동 해정장치(40) 중 세로대(30) 내에 수납되는 주요부를 조립할 수 있다. 즉, 수동 해정장치(40) 중 세로대(30) 내에 수납되는 주요부를 미리 조립해 둠으로써 유닛화하고 있다.
그리고, 이 유닛을 도어 패널(13)의 세로대(30) 내에 위로부터 삽입하여 위치 결정하고, 베이스판(41)을 세로대(30)의 궤도측의 측면에 나사 고정한다. 그리고, 조작 레버(42)를 제1지지부(50)에 결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수동 해정장치(40)가 도어 패널(13)에 장착된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스크린 도어 장치의 동작 및 비상시 등에 있어서의 수동 해정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시에 있어서, 도어 패널(12,13)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구동부재(25)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는 소자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록 부재(24)는 강하된 록 위치로 되어 있어서, 록 부재(24)의 록부(24b)와 도어 패널 상단부의 결합부(27,28)가 결합함으로써, 양 도어 패널(12,13)은 록되어 있다. 그리고, 플랫폼에 차량이 도착하여 그 측문이 개방되는 것에 맞춰, 컨트롤러(22)는 도어 엔진(21d)에 제어신호를 출력함과 아울러, 구동부재(25)의 솔레노이드를 여자시킨다. 이것에 의해, 록 부재(24)가 해정위치(언록 위치)까지 들어 올려져 퇴피하여, 이 록 부재(24)와 도어 패널(12,13)의 결합부(27,28)의 결합이 해제된다. 한편, 구동 스프로킷(21a)이 회전하여 타이밍벨트(21c)가 주행하고, 도어 패널(12,13)이 개방된다. 이 때, 솔레노이드는 여자된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차량의 측문이 폐쇄되는 것에 맞춰, 컨트롤러(22)로부터의 제어신호가 도어 엔진(21d)에 입력되면, 구동 스프로킷(21a)이 이번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타이밍벨트(21c)가 주행하여 도어 패널(12,13)을 폐쇄된다. 이 때, 컨트롤 러(2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받아서 솔레노이드가 소자된다. 이것에 의해, 록 부재(24)가 강하하여 록 위치로 되돌아오고, 록 부재(24)의 록부(24b)와 도어 패널(12,13)의 결합부(27,28)가 결합하여, 양 도어 패널(12,13)은 일괄적으로 록된다.
다음에, 차량의 정지 위치가 크게 어긋나 버린 경우 등과 같은 비상시에 있어서의 수동 해정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통상, 도어 패널(12,13)이 폐쇄되어 있을 때에는, 양 도어 패널(12,13)은 록되어 있기 때문에, 도어 패널(12,13)을 개방할 수 없다. 그리고, 비상시에 있어서 궤도측의 승객 등이 홈측으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도어 패널(12,13)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하게 된다. 이 도어 패널(12,13)의 해정에는, 홈측으로부터의 조작과 궤도측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하다.
우선 홈측으로부터의 해정 조작에 대해서 설명하면 이 조작에서는 역무원 등이 소유하고 있는 소정의 키를 사용한다. 홈측에 있는 역무원 등이 이 키를 도어 패널(13)의 문 선단 위치에 있는 키 구멍(59)에 삽입하여 회전이동 조작하면, 그것에 따라 키축부(45)가 회전이동한다. 이 회전이동 조작 전에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연결판(62)의 연결부가 제2회전이동판(61)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2로드(46) 및 밀어 올림 로드(48)는, 하측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키축부(45)의 회전이동 조작에 의해 제2회전이동판(61)이 키축부(45)와 일체로 되어 회전이동하면, 그것에 따라 제2연결판(62)이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제2로드(46)가 상승하여 밀어 올림 로드(48)를 밀어 올리고, 밀어 올림 로드(48)의 상단부(부재(48c))가 도어 패널(13)보다 상방으로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록 부재(24)의 록부(24b)가 밀어 올려지고, 록부(24b)와 결합부(27,28)의 결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도어 패널(13)의 키 구멍(59)에 삽입된 키를 회전이동 조작함으로써 도어 패널(13)의 록이 해제되므로, 이 키 조작을 하면서 그대로 도어 패널(13)의 개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패널(12,13)이 개방된 후, 키로부터 손을 떼거나, 키 구멍(59)으로부터 키를 잡아 빼면, 제2로드(46)는 제2스프링 부재(69) 및 제3스프링 부재(76)의 탄발력에 의해 강하하고, 키축부(45)는 원래의 상태로 자연히 복귀된다.
한편, 궤도측으로부터의 해정 조작에서는, 궤도측에 있는 승객 등이 도어 패널(13)의 조작 레버(42)를 회전이동 조작함으로써 행해진다. 통상시에는,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2)가 세로방향으로 되어 있고, 이 때 제1연결판(52)의 연결부가 제1회전이동판(51)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제1로드(43) 및 밀어 올림 로드(48)는, 하측 위치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8(a) 및 도 8(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42)가 가로방향으로 될 때까지 레버 조작하면, 제1회전이동판(51)이 일체로 되어 회전이동하고, 그것에 따라 제1연결판(52)이 상승한다. 이것에 의해, 제1로드(43)가 상승하여 밀어 올림 로드(48)를 밀어 올리고, 그것에 의해 록 부재(24)를 밀어 올려져 상기와 마찬가지로 도어 패널(13)의 록이 해제된다. 그리고, 조작 레버(42)의 회전이동 조작을 하면서, 그대로 도어 패널(13)의 개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도어 패널(12,13)이 개방된 후, 조작 레버(42)로부터 손을 떼면, 제1스프링 부재(56) 및 제3스프링 부재(76)의 탄발력에 의해 제1로드(43)가 강하하고, 조작 레버(42)는 원래의 세로 위치로 자연히 복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도어 패널(13)의 홈측으로부터의 수동 해정 조작에서는, 키 구멍(59)에 삽입한 키의 조작에 의해 해정할 수 있고, 또한 도어 패널(13)의 궤도측으로부터의 수동 해정 조작에서는, 조작 레버(42)의 조작에 의해 해정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시에는, 도어 패널(13)의 홈측으로부터도 궤도측으로부터도 도어 패널(12,13)의 개방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홈측으로부터의 조작에서는, 키 조작을 하면서 그대로 도어 패널(12,13)을 개방 조작할 수 있고, 또한, 궤도측으로부터의 조작에서는, 조작 레버(42)를 조작하면서 그대로 도어 패널(12,13)을 개방 조작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어느 조작에 있어서나 해정 조작과 도어 패널(12,13)의 개방 조작을 일련의 조작으로서 행할 수 있고, 비상시에 도어 패널(12,13)을 매우 간단한 조작으로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어느 조작에 있어서나 제1로드(43) 또는 제2로드(46)를 통해서 밀어 올림 로드(48)가 록 부재(24)를 밀어 올리는 구성이므로, 밀어 올림 로드(48)(부재(48c))에 의해 록 부재(24)를 확실히 밀어 올릴 수 있고, 도어 패널(12,13)의 해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로드(43), 제2로드(46) 및 밀어 올림 로드(48)를 모두 세로대(30) 내에 수납하도록 하였으므로, 세로대(30)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수동 해정장치(40)를 설치하도록 해도 도어 패널(13)의 외양적 가치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베이스판(41)에 제1로드(43), 제2로드(46) 및 밀 어 올림 로드(48)를 미리 장착하여 두어 유닛화하도록 했으므로, 이 유닛화한 것을 세로대(30) 내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만으로, 수동 해정장치(40)를 도어 패널(13)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 현장에서의 조정 작업(문의 여닫힘의 조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특징에 대해서 설명한다.
(I) 상기 밀어 올림 로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와, 이 세로부의 하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가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부는,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의 각 상단부에 걸쳐지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간단한 구성으로 밀어 올림 로드의 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다.
(2) 상기 밀어 올림 로드,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는, 모두 상기 도어 패널의 세로대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세로대 내의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고, 또한 수동 해정장치를 설치하도록 해도 도어 패널의 외양적 가치가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3) 상기 세로대 내에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베이스판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판에, 상기 밀어 올림 로드, 상기 제1로드 및 제2로드가 장착되어 있다. 이 형태에서는, 베이스판에 제1로드, 제2로드 및 밀어 올림 로드를 미리 장착하여 두어 유닛화해 둘 수 있으므로, 이 유닛화한 것을 세로대 내에 삽입하여 장착하는 것만으로, 수동 해정장치를 도어 패널에 장착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아울러, 시공 현장에서의 조정 작업(문의 여닫힘의 조정)을 간소화할 수 있게 된다.
(4) 플랫폼 상을 궤도측과 그 내측의 홈측으로 분할하고, 도어 패널이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로서, 상기 도어 패널을 록하는 록 위치와, 이 록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퇴피한 해정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록 부재와, 상기 수동 해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패널의 궤도측부에 설치된 조작 레버의 조작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홈측부에 설치된 키 구멍의 조작 중 어느 조작에 의해서나 상기 도어 패널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에서는, 비상시 등에 도어 패널의 해정 조작을 홈측으로부터도 궤도측으로부터도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어 패널(12,13)의 상측 가로대(18,19)보다 돌출하는 결합부(27,28)에 록 부재(24)가 결합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합부(27,28)를 도어 패널(12,13)의 상단부에 형성된 결합 구멍에 의해 형성하고, 록 부재(24)의 록부(24b)가 이 결합 구멍 내까지 진입하여 도어 패널(12,13)이 록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양측의 도어 패널(12,13)을 각각 록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한쪽의 도어 패널(12,13)만을 록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좌측의 도어 패널(12)과 우측의 도어 패널(13)은 타이밍벨트(21c)에 의해 동기되어 구동하게 되어 있으므로, 한쪽의 도어 패널(12,13)만 록하여도 다른쪽의 도어 패널(13,12)도 간접적으로 록되게 된다. 그 경우에 있어서 수동 해정장치(40)는, 직접 록되는 도어 패널(12,13)측에 설치되게 된다. 단, 양 도어 패널(12,13)의 록을 보다 확실한 것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양 도어 패널(12,13)을 직접 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수동 해정장치(40)를 우측의 도어 패널(13)에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이것에 대신에 또는 이것과 함께 좌측의 도어 패널(12)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본 발명의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에 의하면, 궤도측에서의 조작 및 홈측에서의 조작 중 어느 조작으로도 도어 패널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고, 또한 간단한 조작으로 록 해제와 도어 패널의 개방 동작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Claims (5)

  1.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의 도어 패널이 록 부재에 의해 록되어 있는 것을 해제하는 수동 해정장치로서,
    상기 록 부재는, 상기 도어 패널을 록하는 록 위치와, 이 록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퇴피한 해정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고,
    상기 도어 패널을 록하기 위한 록 부재를 밀어 올릴 수 있게 배치된 밀어 올림 로드;
    상기 도어 패널의 궤도측부에 배치된 조작 레버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제1로드;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홈측부에 배치된 키 구멍에 삽입된 키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하이동하는 제2로드를 구비하고:
    상기 밀어 올림 로드는,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 중 어느 하나가 상승 이동하여도 이들에 의해 밀어 올려져서, 상기 록 부재를 상기 록 위치에서 상기 해정위치로 밀어 올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 올림 로드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세로부와, 이 세로부의 하단부에서 측방으로 연장되는 가로부를 구비하고,
    상기 가로부는,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의 각 상단부에 걸쳐지는 길이로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밀어 올림 로드, 상기 제1로드 및 상기 제2로드는, 모두 상기 도어 패널의 세로대 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해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대 내에 수납할 수 있는 크기의 베이스판을 구비하고, 이 베이스판에, 상기 밀어 올림 로드, 상기 제1로드 및 제2로드가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해정장치.
  5. 플랫폼 상을 궤도측과 그 내측의 홈측으로 칸막이하고, 도어 패널이 궤도를 따라 이동하도록 배치된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로서,
    상기 도어 패널을 록하는 록 위치와, 이 록 위치로부터 상방으로 퇴피한 해정위치 사이에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는 록 부재; 및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수동 해정장치를 구비하고:
    상기 도어 패널의 궤도측부에 설치된 조작 레버의 조작 및 상기 도어 패널의 홈측부에 설치된 키 구멍의 조작 중 어느 조작에 의해서나 상기 도어 패널의 록을 수동으로 해제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KR1020060055335A 2005-06-24 2006-06-20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KR1007553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84347A JP4551825B2 (ja) 2005-06-24 2005-06-24 手動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JPJP-P-2005-00184347 2005-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5510A true KR20060135510A (ko) 2006-12-29
KR100755347B1 KR100755347B1 (ko) 2007-09-04

Family

ID=3758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5335A KR100755347B1 (ko) 2005-06-24 2006-06-20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4551825B2 (ko)
KR (1) KR100755347B1 (ko)
CN (1) CN100455764C (ko)
HK (1) HK1097021A1 (ko)
TW (1) TWI28809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15B1 (ko) * 2007-07-04 2008-11-03 주식회사 포스콘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1525086B1 (ko) * 2013-12-16 2015-06-02 현대로템 주식회사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34078B2 (ja) * 2005-10-04 2011-07-2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手動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スクリーンドア装置
CN101220720B (zh) * 2007-01-11 2011-09-14 史和平 站台安全门门锁
US9895969B2 (en) 2013-05-16 2018-02-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Push-push latch
US10012012B2 (en) * 2013-08-23 2018-07-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Latching device for selectively latching and unlatching a closure of a vehicle
KR101851748B1 (ko) * 2017-04-13 2018-04-24 주식회사 우리기술 스크린 도어용 잠금 기구
KR101871672B1 (ko) * 2017-10-31 2018-06-2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잠금장치
CN109798030B (zh) * 2019-03-20 2023-05-09 方大智创科技有限公司 站台屏蔽门手动解锁装置
MX2022002794A (es) * 2019-09-13 2022-04-06 Dormakaba Usa Inc Dispositivo de salida tubular y metodo de instalacion.
CN210776971U (zh) * 2019-12-31 2020-06-16 深圳市丰巢科技有限公司 一种格口柜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42879Y2 (ko) * 1971-08-12 1979-12-12
JPS5398094U (ko) 1977-01-10 1978-08-09
JPS62193081U (ko) * 1986-05-29 1987-12-08
JP2513215Y2 (ja) * 1990-04-13 1996-10-02 ワイケイケイアーキテクチュラルプロダクツ株式会社 開閉障子の錠装置
JP3502001B2 (ja) * 2000-02-25 2004-03-02 株式会社ナブコ 非常脱出ドア装置
KR100409058B1 (ko) * 2000-02-25 2003-12-11 가부시키카이샤 나브코 플랫폼 스크린 도어장치 및 그 비상탈출 패널
CN2438791Y (zh) * 2000-08-30 2001-07-11 方大集团股份有限公司 地铁站台应急门解锁机构
JP4176003B2 (ja) 2003-12-18 2008-11-05 株式会社オーディオテクニカ 可変指向性コンデンサマイクロホン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6415B1 (ko) * 2007-07-04 2008-11-03 주식회사 포스콘 가이드 홈의 보호 덮개를 구비하는 스크린 도어 시스템
KR101525086B1 (ko) * 2013-12-16 2015-06-02 현대로템 주식회사 승강장 스크린 도어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455764C (zh) 2009-01-28
KR100755347B1 (ko) 2007-09-04
JP4551825B2 (ja) 2010-09-29
HK1097021A1 (en) 2007-06-15
JP2007002549A (ja) 2007-01-11
CN1884779A (zh) 2006-12-27
TWI288090B (en) 2007-10-11
TW200706428A (en) 2007-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5347B1 (ko) 수동 해정장치 및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KR100645289B1 (ko) 플랫폼 스크린 도어 장치
US8875845B2 (en) Safety arrangement for a lift car in a lift
CN101573259B (zh) 肩部调节器装置
KR20000038410A (ko) 엘리베이터 클러치장치
JP2000086097A (ja) エレベータの制御盤開閉装置
EP3450379B1 (en) Mechanical hoistway access control device
JP4837491B2 (ja) 非常解錠装置及びプラットホームドア装置
CN107035250A (zh) 车辆的门装置
CN204549769U (zh) 轿厢门锁定装置
KR101642051B1 (ko) 조립식 마방의 출입문
DE102013000285A1 (de) Türschlossvorrichtung für eine Paniktür
KR100804065B1 (ko) 접이식 발판 및 그 접이식 발판을 갖는 산업용 승강장치
KR101121753B1 (ko) 전기식 도어 잠금장치 및 그를 포함한 전기식 도어
EP4087997A1 (de) Torvorrichtung und abstellvorrichtung hiermit
JP4423160B2 (ja) トランク付きエレベーター用乗りかご。
JPH0128234Y2 (ko)
CN212608870U (zh) 一种机械式电梯安全保护装置
JP3245893U (ja) ピットカバーシステム
CH666672A5 (de) Tableau fuer aufzuege.
JPH0341579Y2 (ko)
EP0762986B1 (en) A manual emergency opening device for automatic doors, in particular for lift and elevator doors
CN204689331U (zh) 机械式轿厢门锁定装置
DE19748339C2 (de) Verriegelung einer horizontalen Schiebewand
JPH10140820A (ja) 仮設足場の開口部に設置するスライド式開閉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8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