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34031A - 칫솔 - Google Patents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34031A
KR20060134031A KR1020067014882A KR20067014882A KR20060134031A KR 20060134031 A KR20060134031 A KR 20060134031A KR 1020067014882 A KR1020067014882 A KR 1020067014882A KR 20067014882 A KR20067014882 A KR 20067014882A KR 20060134031 A KR20060134031 A KR 20060134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toothbrush
hole
less
bund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4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5264B1 (ko
Inventor
나오시 가나마루
도시아키 고바야시
다케오 가토
유우수케 하카마타
Original Assignee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34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34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5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5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3/00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 A46B3/16Brushes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bristles are fixed or joined in or on the brush body or carrier by wires or other anchoring means, specially for U-shaped bristle tuft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Brushes (AREA)

Abstract

모속을 고밀도로 식모한 평선식모 방식의 칫솔에 있어서, 식모시에 헤드부에 균열이나 백화, 휨 상태, 평선 위치 불량 등의 식모 불량의 발생이 없고, 탄력이 있어 촉감이 좋고, 미세한 틈새에 대한 진입에도 뛰어난 높은 품질의 칫솔을 제공한다. 복수개의 솔(5)로 구성된 모속(6)을 평선(4)를 이용해 헤드부(1)의 식모면(2)의 식모구멍(3)에 둘로 접어 식모한 칫솔에 대해, 평선(4)의 두께(t)를 0.10mm 이상 0.22mm 이하로 하고, 폭(h)을 0.9mm 이상 2.5mm이하로 하며, 단위 식모 면적 당 모속(5)의 갯수가 25 다발/cm2 이상 80 다발/cm2 이하로 하고, 하나의 식모구멍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을 1.0mm2 이하로 한다.
칫솔, 모속, 평선

Description

칫솔{Toothbrush}
본 발명은, 복수 개의 라인의 솔을 묶은 모속을 평선을 이용해 헤드부 식모면의 식모구멍에 둘로 접어 식모한 평선 식모 방식의 칫솔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칫솔은, 생산 효율이나 식모의 용이성을 고려해, 칫솔 헤드부의 식모면에 1.0mm 이상의 간격으로 형성된 식모구멍에, 1 구멍 당 16-60 개, 접었을 때 32-120개, 솔단면의 전체가 1.0mm2 이상이 되도록 솔을 묶은 굵은 모속을 평선에 의해 박아 고정하고 있다. 이러한 칫솔의 경우, 모속이 굵어서 강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특히 평활면이나 교합면의 플라그 제거력이 높은 특징이 있었다.
그러나, 모속이 굵기 때문에 모속을 구성하는 솔끼리 서로 지지하게 되어, 각 솔 자체가 가지는 본래의 탄력있는 움직임이 발휘되지 않고, 치아 경부나 치간부, 치간 삼각 등의 구강 질환 호발부로 여겨지는 좁은 부위에 털끝이 닿기 어려울 뿐만이 아니라 모속이 굵고 딱딱해지기 쉬워, 잇몸등의 연조직에 대해 자극이 크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금까지, 헤드부나 핸들부에 관해서는 형상, 재질, 색 등을 변형하여 제품군의 차별화를 꾀하고 있으나, 식모부에 관해서는 모속의 굵기나 간격은 모두 유사한 사양이며 외관 차별성이 낮고, 칫솔로서의 독창성이 부족했다.
평선 식모 방식의 칫솔에 있어서의 평선은, 식모구멍의 직경보다 약간 긴 치수를 가지고 있어, 식모구멍에 박았을 때 그 양 끝부분이 구멍 주변의 헤드부 수지에 박히게 되어, 모속이 2 개로 접혀 식모 구멍에 고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모속은 식모구멍으로부터 빠져 나가지 않고 헤드부 식모면에 고정된다. 통상, 평선은 길이가 1.9mm-2. 3mm, 상하 폭, 즉 평선이 박힌 깊이 방향의 폭이 1.3-2. 0mm, 두께가 0.25mm 정도이며, 재질로서는 황동(brass)이 일반적이다.
평선식모에 의한 칫솔의 경우, 박벽(薄壁) 식모구멍과 같이 서로 인접하는 모속 간격이 좁고 평선이 밀집하거나 평선이 박힌 방향이 일직선으로 나열되어, 인접하는 평선 사이의 헤드부 수지에 균열이나 백화가 생기거나 평선이 박힐 때 응력 변형에 의해 헤드부가 휘어지는 문제 등을 일으켜 칫솔로서의 외관을 해칠 우려가 있다. 또한, 식모시에 헤드부에 금이 가거나 갈라지거나 했을 경우에는, 제품의 양품률의 저하를 일으켜, 생산 효율상도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장기 사용시에 소재 피로에 의한 헤드부의 파손 등의 문제를 일으킬 우려가 있어, 양치중에 칫솔이 파손될 경우에는, 손가락이나 구강내를 손상시킬 우려가 있어 위험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헤드부의 두께에 대한 식모구멍 저면으로부터 헤드 부하면까지의 길이의 비율을 규정하는 방식(특허 문헌 1: 특개평 819423 호 공보 참조), 평선을 박는 각도를 변형하는 방식(특허 문헌 2: 특개 2001314231 호 공보 참조), 평선식모에 의한 모속과 접착 식모에 의한 모속을 교대로 배열하는 방식(특허 문헌 3: 특개 200 2360343 호 공보 참조), 평선의 가장 근접하는 부분의 식모면에 융기부를 형성하는 방식(특허 문헌 4: 특개평 10-257922 호공보 참조)등이 제안되고 있다.
한편, 치주 질환, 충치와 같은 2대 치과 질환 예방을 위해서는 플라그 제거가 중요하고,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닦을 수가 있어 구강 질환 호발 부위의 플라그 제거 효과가 뛰어나 치아를 손상하는 것 없이 기분 좋게 양치 할 수 있는 칫솔이 상당히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평선 식모 방식의 칫솔에 대해 식모되는 모속수가 적으면 모속간격이 넓어져 플라그 제거가 충분히 행하지 못하고, 반대로 모속수가 많으면 모속간격이 좁아져 모속의 유연한 움직임이 저해되어 치간에의 진입성이 급격하게 저하한다. 또한, 모속이 굵은 경우에는 모속의 강성이 너무 높아져 치간부나 미세한 틈새에 비집고 들어가기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치아나 잇몸에 대한 손상 우려도 높아진다. 반대로 모속을 가늘게 하면 모속 강도가 약해져 쇄소실감(刷掃實感)이 저하하고, 충치가 잘 발생하는 부위에서의 플라그 제거 기능이 저하할 뿐만이 아니라, 칫솔로서의 내구성도 저하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직경 약 1.6-2. 0 mm 정도의 굵기의 모속을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수 20 다발 /cm2 전후로 식모하고 있다.
여기서, 쇄소실감이 좋고,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완전히 닦기 위한 칫솔로서 솔의 갯수가 적고 가는 모속을 식모한 칫솔(특허 문헌 5: 특표평 11500946 호 공보, 특허 문헌 6: 특개 2000342334 호 공보 참조)이나, 칫솔의 긴 방향의 모속의 지름을 짧게 하여 모속에 의한 쇄소력을 적당히 조절한 칫솔(특허 문헌 7: 등록 실 용신안 제 2549935 호 공보, 특허 문헌 8: 특개평 10327930 호 공보, 특허 문헌 9: 특개평 10327931 호 공보 참조)등이 제안되고 있다.
최근 전동 칫솔에서와 같이 1.0mm 정도의 작은 식모구멍을 가지는 칫솔도 알려져 있다. 전동 칫솔은, 식모대가 작기 때문에, 모속의 지름을 작게하고 가능한 다수의 모속을 식모하는 사양이 검토되고 있다(특허 문헌 10: 특표평 1150 8168 호 공보 참조).
또한, 최근 구강 위생 의식의 향상에 수반하여, 어금니 등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닦는 경향이 강하고, 이를 위해 폴리아세탈을 이용해 헤드가 얇아지도록 하는 칫솔 (특허 문헌 11: 특개평 7-143914 호 공보 참조) 등도 제안되고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평 8-19423 호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2: 특개 2001-314231 호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3: 특개 2002360343 호 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4: 특개평 10257922 호 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5: 특표평 11500946 호 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6: 특개 2000342334 호 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7: 등록 실용 신안 제 2549935 호 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8: 특개평 10327930 호 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9: 특개평 10-327931 호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10: 특표평 11-508168 호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특허 문헌 11: 특개평 7143914 호 공보 (전 페이지, 전체 도면)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종래의 칫솔은, 모속이 굵고 치아 교합면의 플라그 제거력이 높기는 하지만 치아 경부나 치간부, 치간 삼각 등의 구강 질환 호발부에의 솔끝의 도달은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따라, 가는 모속을 고밀도로 식모하여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시도가 행해졌으나, 최적의 모속 굵기나 간격에 관한 지식은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
또한, 모속을 고밀도로 식모하면 평선의 간격이 좁아져 헤드부에 균열이나 백화, 휘어진 상태 등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남아 있었다. 한편, 균열이나 백화의 발생을 막는 목적으로 평선을 짧게 했을 경우에는, 모속강도나 단일 솔의 뽑힘 강도가 저하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균열이나 백화의 발생,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 등을 방지하기 위해 여러 가지의 칫솔이 제안되고 있지만, 헤드부 형상, 식모구멍 형상, 평선 각도 등에 제약이 생겨 이러한 목적을 만족하는 칫솔이 실현될 수 없었다.
균열이나 백화의 해결 방법으로서는, 모속간의 간격을 넓히거나 수지의 종류를 변경하는 등의 방법도 있지만, 모속간격을 넓히면 칫솔로서의 충분한 기능을 얻지 못하고, 수지의 변경도 헤드부의 내약품성이나 비용을 고려했을 경우, 가능한 선택 사항이 될 수 없었다.
한편, 칫솔의 기본적 성능으로서 구강내의 구석구석까지 닦을 수 있고 치아의 손상이나 잇몸에 대한 손상 염려가 없고, 쇄소실감이 좋은 칫솔을 구현하고자 하는 강한 요구가 있어, 이를 실현하기 위해, 작은 개수의 솔로 구성된 모속을 고밀도로 식모하는 방법이나,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 방법 등이 적용되고 있지만, 식모시에 인접하는 평선의 사이의 헤드부 수지에 균열이나 백화가 생기거나 헤드부가 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남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식모시에 헤드부에 균열이나 백화, 휨, 평선누락 등의 식모 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고품질의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모속을 고밀도로 식모한 평선 식모 방식의 칫솔로서, 식모시에 헤드부에 균열이나 백화, 휨, 평선누락 등의 식모 불량이 발생하지 않고, 탄력이 있어 치아나 구강 내연 조직에의 쇄소실감이 좋고, 미세한 틈새에의 진입성도 뛰어난 고품질인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청구항 1에 기재된 칫솔은, 복수 라인의 솔을 묶은 모속을 평선을 이용해 헤드부 식모면의 식모구멍에 2 개로 접어 식모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평선의 두께를 0.10mm 이상, 0.22mm 미만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칫솔은,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평선의 폭을 0.9mm 이상, 2.5mm 이하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칫솔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식모된 모속의 단위 식모 면적 당의 수를 25 다발 /cm2 이상, 80 다발 /cm2 이하, 식모구멍 하나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이 1.0mm2 이하로 한다.
또한,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란, 헤드부 식모면에 식모된 모속의 총수(= 식모구멍의 총수)를 식모 면적(cm2)으로, 나눈 값이다. 또한, 식모 면적이란, JIS S3016의 규정에 근거해서,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1)의 식모면(2) 의 외주에 위치한 식모구멍(3)의 외측을 직선으로 묶은 부분의 안쪽의 면적 S(점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칫솔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가 수지제로 되어, 상기 식모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식모구멍에 식모된 모속을 구성하는 솔의 단면적의 총합을 1.0mm2 이하로 하고, 적어도 하나의 식모구멍은 가장 근접하는 다른 식모구멍과의 거리를 1.0mm 이하로 한다.
본 발명의 칫솔과 같이 평선을 이용해 모속을 고정하는 경우, 평선은 박힐 때 식모구멍 근방의 수지를 파괴해 버리기 때문에, 수지에는 응력이 발생한다. 종래, 평선은 두께 0.25mm 정도 이상의 것을 이용하고 있었지만, 박벽식모 구멍이나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가 많은 경우에는 평선이 밀집하기 때문에, 식모구멍 주위의 수지에 큰 응력이 발생해, 서로 인접하는 평선의 사이의 헤드부 수지에 균열이나 백화를 일으켜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또, 평선이 일직선으로 나열된 경우에도 균열이나 백화를 일으키는 일이 있었다.
0.25mm 정도 이상의 두께의 평선을 이용하면,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나 백화, 균열등이 발생하기 쉽다. 예를 들면, 휨강도가 600kg/cm2 이상, 750kg/cm2 이하의 딱딱하고 비교적 구부리기 어려운 수지를 헤드부재로서 사용했을 경우, 두께가 0.25mm의 평선을 이용한 식모로는 헤드부에 휘어진 상태가 발생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채용하고 있는 두께 0.10 -0. 22mm 의 평선을 이용해 식모를 행한 경우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가 줄어들어 실제 사용상 거의 문제가 없었다.
한편, 수지의 휨강도가 150kg/cm2 이상, 600kg/cm2 이하의 부드럽고 비교적 구부리기 쉬운 수지, 예를 들면 포리프로필렌등의 폴리오레핀(polyolefin) 수지를 헤드부재로서 사용했을 경우, 두께가 0.25mm 의 평선을 이용하면, 헤드부에 극단적으로 큰 휘어진 상태가 발생해 식모구멍이 정규의 위치로부터 어긋나 버리기 때문에, 평선을 연속적으로 박는 것조차 불가능했다. 여기서, 본 발명으로 채용하고 있는 두께 0.10-0. 22mm 의 평선을 이용한 경우, 식모시의 헤드의 휘어진 상태도 거의 볼 수 없어, 평선 박기 또한 순조롭게 수행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폴리오레핀(polyolefin) 수지와 같은 휨강도가 150k g/cm2 이상, 600kg/cm2 이하의 비교적 구부러지기 쉬운 수지의 경우에는, 평선의 얇기화에 의한 휘어진 상태의 저감화의 효과가 특히 현저한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 휨강도란, JIS K6758 에 근거해 측정한 값이다.
또한, 평선두께가 0.10mm 미만이 되면 헤드부 수지에 대한 강도가 부족해, 식모시에 평선에 변형이 생겨 식모 자체가 곤란하게 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을 향상시키려면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좋고, 헤드부의 두께가 5.0mm 보다 두꺼워지면 구강내에서의 조작성이 저하한다. 헤드부를 얇게 했을 경우 조작성은 향상하지만, 모속을 지지하는 수지량이 적게 되어 필연적으로 헤드부의 강도가 저하하기 때문에, 통상의 두께의 평선에서는 휨, 균열, 백화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헤드부가 너무 얇으면 식모구멍이 얕아져 식모가 곤란해진다. 여기서, 헤드부의 두께가 2.5mm 이상, 5.0mm 이하의 경우에 대해, 여러 가지의 두께의 평선을 이용해 식모 실험을 수행했는데, 두께 0.10mm 이상, 0.22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13mm 이상 0.22mm 미만의 두께의 평선을 이용하면, 휘어짐 상태나 균열, 백화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지는 것이 확실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여러 가지의 실험 결과에 근거해, 평선의 두께를 0.10mm 이상 0.22mm 미만, 바람직하게는 0.13mm 이상 0.22mm 미만으로 한다.
평선을 박는 깊이 방향의 폭에 대해서는, 폭을 크게 하면 헤드부 수지에 대한 평선의 접촉 면적이 늘어나기 때문에, 평선이 겹쳐지는 폭을 증가시키지 않고 식모 강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헤드부 재질이 포리프로필렌 수지 (PP) 등 비교적 부드러워서 식모 강도가 낮은 수지의 경우에는, 평선의 폭을 가능한 한 크게 하는 것이 식모 강도의 면에서 유리하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하면, 평선의 폭이 2.5mm 보다 큰 경우에는, 평선이 식모면에서 외부로 삐져나오거나 헤드부 첨단측으로부터 식모면을 보았을 때에 평선이 보이게 되어, 외관상 바람직하지 않은 결과를 낳는 일이 많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한편, 헤드부재질이 폴리아세탈 수지(POM)나 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예를 들면 산변성 포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PCTA), 글리콜 변성 포리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코폴리머(PCTG)) 등의 비교적 딱딱하고 식모 강도가 높은 수지의 경우에는, 평선의 폭을 작게 해도 충분한 식모 강도를 얻을 수 있다. 그 때문에, 평선의 폭을 작게 하고 식모구멍의 깊이도 얕게 하면, 헤드부의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가능해져 조작성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러나, 평선의 폭을 너무 작게 하면 식모 강도가 저하해 실용상 문제를 일으킨다. 본 발명자등의 실험에 의하면, 평선의 폭이 0.9mm 미만으로 하면 식모 강도가 현저하게 저하하는 것이 판명되었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평선의 폭을 0.9mm 이상, 2.5mm 이하로 한다.
통상, 평선 식모 방식의 칫솔의 경우,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는 20 다발/cm2 전후, 솔의 단면적의 총합은 1.1-2. 5mm2 정도지만, 본 발명자등의 실험에 의하면,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를 25 다발/cm2 이상, 80 다발/cm2 이하, 한편, 하나의 식모구멍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을 1.0mm2 이하로 하면, 치아나 잇몸에의 쇄소실감이 좋고, 치간 진입성이나 플라그 제거 기능도 우수한 것이 판명되었다.
1 개의 식모구멍에 식모된 접어 꺾인 상태에서의 솔단면적의 총합은 1.0mm2 이하가 바람직하지만, 보다 바람직한 것은 0.10 에서 0.70mm2 의 범위이다. 이 때, 솔단면 형상이 원형의 경우를 예로 들면, 7mil(0.178mm)용 솔에서는 1 구멍 당 대략 5 -14 개, 즉 10-28 개에 해당하지만, 이것은 설계상의 기준이며, 이 갯수는 설계상의 칫솔 사양과 솔 지름, 단면 형상 등에 의해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하나의 식모구멍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이 1.0mm2 보다 큰 경우, 모속의 탄력성이 사라져 미세한 틈새에의 모속의 도달성이 나빠져, 충분한 구강내 청소를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솔단면적의 총합이 1.0mm2 이하여도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가 80 다발 /cm2 보다 많은 경우는, 모속간의 간격이 매우 좁아져, 치간 진입성이 현저하게 뒤떨어질 뿐만이 아니라 모속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범위가 제한되기 때문에, 치아 경부 등 미세한 쇄소부위의 청소가 곤란해진다. 또한, 치약이 모속간에 잔류하거나 사용후의 건조성이 극단적으로 나빠지는 등 위생상 큰 문제도 생긴다. 또한, 솔단면적의 총합이 1.0mm2 이하여도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가 25 다발/cm2 보다 적은 경우는, 외관상의 모양이 매우 나빠지게 될 뿐만 아니라, 모속강도가 약하고 치면의 청소가 곤란해지고 칫솔로의 내구성도 낮아진다.
또한, 평선식 식모기에 의해 모속을 식모하는 경우, 평선식 식모기의 보조기 안에서 2개로 접힌 모속이 직선 모양으로 복귀하려는 복원력이 생겨 평선에 대해서 큰 반발력을 준다. 본 발명자등의 실험에 의하면, 직경이 1.6-2. 0mm(단면적 2.0-3.1cm2)의 모속의 경우, 통상의 0.25mm 정도의 두께의 평선으로는 모속을 박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 채용하고 있는 두께 0.10mm 이상, 0.22mm 미만의 얇은 평선의 경우에는 평선이 모속의 복원력을 견디지 못하고, 평선이 모속으로부터 빗나가거나 어긋나거나 하는 등 식모 불량의 발생율이 매우 높아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는, 평선의 재질을 스텐레스강철등의 경질의 금속으로 하면 얇은 평선의 강성이 높아져 식모 불량 발생율 등을 저감 할 수 있음을 찾아냈다.
한편, 본 발명자등은, 쇄소성능과 얇은 평선의 양쪽 모두를 만족하는 모속굵기의 조건을 찾은 결과, 접어 꺾인 상태에서의 솔의 단면적의 총합이 1.0mm2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mm2 이상, 0.7mm2 이하의 모속으로 하여, 고밀도 식모 칫솔로서의 높은 쇄소성능을 유지하면서 식모시에 있어서의 모속의 복원력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칫솔이 가능하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식모구멍과 최근방의 인접하는 다른 식모구멍과의 거리 (최근접 식모혈간 거리)는 1.0mm 이하가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mm 이상, 0.75mm 이하의 범위이다. 모속간격이 너무 좁으면 치간에 솔이 들어가지 않아, 치간 진입성이 저하한다. 한편, 간격이 넓어지면 외관 차별성, 쇄소실감이 저하한다. 또한, 간격이 넓어지면, 양치 운동에 수반하는 모속의 반발 작용이 강해져, 쇄소시에 모속의 촉감이 거칠어지고 사용감이 저하할 뿐만이 아니라, 솔 각각의 매끄러운 운동이 발휘되지 않고, 플라그 제거 효과도 저하한다.
종래의 대부분의 평선식모 칫솔에서는, JIS 규격으로 규정되고 있는 식모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직경 1.5-2.2mm 정도의 원형 단면의 식모구멍을 이용하는 것과 동시에 식모구멍의 혈연(穴緣)으로부터 평선의 겹쳐지는 폭이 0.25mm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소수 모속의 식모공을 다수 가지는 칫솔에 있어서도 평선의 두께나 겹쳐지는 폭을 늘려 어느 정도의 식모 강도는 확보할 수 있지만, 균열이나 백화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
여기서, 본 발명자등이 실험·연구를 진행시킨 결과, 소수 모속 식모에 있어서, 식모 강도는 패킹 팩터 PF=(솔의 단면적의 총합 )/(식모구멍 면적-식모구멍에 위치한 평선의 단면적) × 100[%](=1 구멍 당 식모구멍에 대한 모속의 밀도), 평선의 길이, 핸들 수지의 종류에 의존하지 않고, 평선이 핸들 수지를 파괴하는 체적(수지 파괴 체적)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을 찾아냈다. 그리고, 한층 더 검토를 거듭한 결과, 최적인 수지 파괴 체적의 범위는 0.1-0.4mm3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3mm3의 범위임이 판명되었다. 0.1mm3 미만으로는 칫솔로서의 필수 물성인 식모 강도를 충분히 얻지 못하고, 또한, 0.4mm3 를 넘는 경우에는 헤드부의 휘어지는 상태나 헤드부 수지의 백화 등의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알았다.
헤드부를 포함한 칫솔 핸들의 재질로서는, 폴리스티렌 수지 (PS), 폴리프로필렌 수지 (PP) ,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T) , 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 (ABS) , 셀룰로스 프로피오네이트 수지 (CP) ,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수지 (PC) , 포화 폴리에스텔 수지 (PCTA, PCTG 등) , 아크릴로니트릴 스틸렌 수지 (AS) , 폴리아세탈 수지 (POM) ,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등의 소재를 단독 또는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열가소성 엘라스토머(elastomer) 등과 조합하여 다색의 성형 핸들을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핸들 재료는 상기 수지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헤드부를 포함한 칫솔 핸들의 형상 , 크기, 디자인도 아무런 제한을 받지 않는다.
평선의 재질은, 강도가 뛰어난 황동이나 스텐레스강철등의 금속이 바람직하다. 그 외에도 생 분해성 플라스틱을 비롯한 경질 플라스틱등도 사용 가능하다. 평선을 박는 방향에 대해서 수직이 되도록 평선의 외부면에 홈을 만들어 식모 강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통상의 칫솔에서는 약 0.25mm 정도의 두께의 평선을 이용하고 있지만, 종래 금속제의 평선으로는 이보다 얇은 것을 제조하는 것이 기술상 매우 곤란했다. 즉, 평선은 환선으로 불리는 금속선을 롤로 압연해 제조하며, 통상 굵은 환선을 용광로에서 가열하면서 가는 환선으로 연신하고 있어, 얇은 평선에 사용되는 환선은 통상보다 가늘기 때문에 한번의 공정으로는 균일한 굵기를 갖는 환선을 제조할 수 없었다.
그러나, 최근, 평선의 제조 기술이 개량되어 연신 공정을 다단계로 나누어 서서히 연신하는 것으로써, 필요한 만큼 가는 환선을 얻는 것이 가능해졌다. 게다가 환선을 압연할 때, 통상의 크기의 롤에서는 환선을 미는 힘이 너무 강해 평선이 물결치는 등의 식모 불량의 원인이 되는 불편이 생기지만, 롤의 지름을 작게 해 적당한 압력의 힘으로 압연하는 것으로써, 얇은 평선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두께 0.10mm 이상, 0.22mm 미만, 폭 0.9mm 이상, 2.5 mm 이하의 얇은 평선의 제조가 가능하다.
평선의 두께와 길이는, 평선에 의해 파괴되는 헤드부 수지의 체적에 직접 관여하는 것이기 때문에, 식모구멍의 형상과 크기, 혈연에 대한 평선의 겹치는 폭, 평선이 박힌 깊이 등과의 관계에 근거해, 상기 수지 파괴 체적이 0.1mm3 이상, 0.4mm3 이하가 되는 두께와 길이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식모구멍의 형상은, 통상의 원형이나 정방형등의 정다각형이 바람직하지만, 타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장경(장변)과 단경(단변)을 가지는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구멍의 방향을 조합하여, 목적으로 하는 치간 진입성, 솔의 편한 촉감, 쇄소실감을 갖는 사양이 가능하다. 또, 장경(장변)과 단경(단변)을 가지는 식모구멍의 경우, 단경(단변)이 헤드부 외연과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하면, 헤드부를 측면으로부터 보았을 때 식모된 모속의 폭의 좁은 단경(단변)측이 보이게 되어, 같은 솔 갯수를 갖는 원형의 모속과 비교해 가늘게 보여 외관 차별성도 향상할 수 있다.
식모구멍의 구멍 배치는, 격자모양 배치가 일반적이지만, 서로 인접하는 평선끼리의 간섭을 피하면서 보다 고밀도의 구멍 배치를 실현하기 위해, 지그재그 모양으로 배열할 수 있다. 또한, 위치에 따라 평선을 박는 방향을 바꾸어 헤드부 최외측의 모속이 가늘게 보이도록 할 수도 있어 외관 차별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식모구멍의 장경 방향에 평선을 박을 때는, 평선에 따라 솔이 나열되기 때문에 식모 강도가 향상된다. 이 때 식모구멍 형상은, 모속과 식모구멍과의 틈을 줄이기 위해 직사각형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단경 방향으로 평선을 박으려면, 모속 단면에 대한 외접원의 단경 방향과 식모구멍의 단경 방향을 합치시키는 것으로, 식모구멍과 모속과의 사이의 공간을 줄이는 것이 가능해져, 모속의 직립성이 뛰어난 식모부를 생성할 수가 있다. 이 때, 사용하는 솔의 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식모구멍의 형상을 타원형에 가깝게 또는 직사각형에 가깝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속을 구성하는 솔(filament)의 재질로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 포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등의 폴리에스텔, 나일론 610 나일론 612 나일론 12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오레핀(polyolefin), 및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의 폴리 할로겐화 피닐 등, 용해 방사될 수 있는 소재가 이용되지만, 사용감, 내구성등의 점에서 나일론,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다. 또한, 이러한 수지를 이용해 이중의 심초(core-sheath) 구조의 솔을 제조하여, 내측과 외측에서 재질이나 면 상태를 다양하게 하는 등 목적에 따라 조합할 수 있다.
솔의 굵기로서는, 3-10mil(0.076-0. 254mm), 바람직하게는 5-8mil(0.125-0. 203mm)의 것이 좋고, 사용성, 쇄소감, 청소 효과, 내구성 등 고려해 이러한 범위내에서 굵기가 다른 솔을 조합해 이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특히 다수의 식모구멍을 배치한 고밀도 사양의 경우는, 외측의 모속으로부터 중앙의 모속에 향해 솔의 모속 강도를 변화시키고 솔의 굵기, 재질, 길이, 색, 단면 형상등을 변화시키거나 하는 것이 사용감이나 외관 차별상 바람직하다.
솔의 종류로서는, 라운드형털 (털끝을 만 솔), 가는 초형털 (테이퍼로 된 솔) , 다이아몬드형털 (단면이 능형인 솔) , 깃털형털 (깃털처럼 털끝이 복수개로 분할된 솔) , 그 외의 불규칙한 단면형털 (단면 형상이 원형이 아닌 솔), 나뭇결형털 (연마제로 다듬은 솔) , 스파이럴 캐치(spiral catch)형털 (나선 모양의 홈이 형성된 솔 ), 인디케이터(indicator)형털 (외층이 착색된 이중 심초구조를 가져 외층의 마모에 의해 교환 시기를 알리는 솔) 등, 여러 가지의 솔을 이용할 수가 있지만, 이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솔첨단면의 잘린 형상 (프로파일)으로는, 단일 평면 형상, 역 브이자 형상, 요철 형상 등, 임의의 형상을 채용할 수가 있다. 또한, 헤드부 식모면의 외측과 내측이, 또는 전단측과 후단측이 다른 단면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칭하는 칫솔의 범주에는, 수동식의 칫솔 뿐만 아니라, 전동식의 칫솔도 포함된다.
<발명의 효과>
청구항 1에 기재된 칫솔은, 평선의 두께를 0.10mm 이상, 0.22mm 미만으로 하여, 평선이 박힐때 식모구멍의 주위 헤드부 수지에 균열이나 백화를 일으키거나 헤드부에 휘어진 상태가 발생하는 일이 없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칫솔은, 평선의 폭을 0.9mm 이상, 2.5mm 이하로 했으므로, 두께가 얇은 평선을 이용하면서, 식모부의 외관을 해치는 일 없이 충분한 식모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칫솔은,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를 25 다발/cm2 이상, 80 다발/cm2 이하로 하고, 하나의 식모구멍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을 1.0mm2 이하로했으므로, 탄력있고 치아나 잇몸에의 촉감이 좋고, 치간 진입성이나 플라그 제거 기능이 뛰어난 칫솔이 된다. 또한, 평선의 두께는 0.10mm 이상, 0.22mm 미만으로 하고 있으므로, 단위 식모 면적 당 모속의 수가 25 다발/cm2 이상, 80다발/cm2의 고밀도 식모의 칫솔로서, 평선이 박힐때 식모구멍의 주위에 균열이나 백화를 일으키거나 헤드부에 휘어진 상태가 생기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고품질의 칫솔을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ㅍ하나의 식모구멍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을 1.0mm2 이하로 했으므로, 두께 0.10mm 이상, 0.22mm 미만의 지극히 얇은 평선을 이용해 모속을 식모해도, 2 개로 접어 박히는 모속의 탄성 복원력에도 견딜 수가 있어 평선이 모속으로부터 빗나가거나 위치 차이를 일으키거나 하는 일이 없어져, 식모 불량 발생율을 저감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칫솔은, 적어도 일부의 식모구멍에서, 식모구멍에 식모된 모속을 구성하는 솔의 단면적의 총합을 1.0mm2 이하로 함과 동시에 적어도 하나의 식모구멍에서 최근접하는 다른 식모구멍과의 거리를 1.0mm 이하로 했으므로, 치아나 구강 내연조직에의 촉감이 좋고, 치아 경부나 치간부, 치간 삼각등의 구강 질환호발부에의 털끝의 도달성이 뛰어나고, 헤드부의 휨, 수지의 백화나 균열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충분한 식모 강도를 확보할 수가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제 1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 1a는 헤드부의 개략적 평면도, 도 1b는 모속을 박는 평선의 개략적 사시도, 도 1c는 모속을 평선을 이용해 2개로 접어 박은 상태의 모식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제 2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며, 전동식 칫솔의 헤드부의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3a 내지 도 3f는, 식모구멍과 솔의 단면 형상의 다른 예를 각각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제 3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며, 도 4a는 모속과 평선의 관계를 나타내는 개략적 사시도, 도 4b는 그 개략적 평면도, 도 4c는 헤드부의 식모구멍의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수지 파괴 체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식모구멍에 식모된 모속과 평선의 개략적 평면도, 도 5b는 그 종단면도이며, 도 5c는 횡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평가 시험에 이용한 칫솔의 헤드부 형상을 나타내며, 도 6a는 A 타입 칫솔의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 도 6b는 B 타입의 칫솔의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 도 6c는 C 타입의 칫솔의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와 두께의 모식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부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부개략적 평면도이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5a는 식모구멍을 생략한 칫솔 핸들 전체의 평면도, 도 15b는 헤드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며, 도 16a는 식모구멍을 생략한 칫솔 핸들 전체의 평면도, 도 16b는 헤드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헤드부 개략적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제 1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 제 1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수동식의 칫솔에 적용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며, 도 1a는 헤드부의 평면도, 도 1b는 평선의 확대 사시도, 도 1c는 평선을 이용해 모속을 둘로 접어 박은 상태의 모식 설명도이다. 또한, 보기 쉽게하기 위해, 도 1a에서 식모구멍에 식모된 솔에 대해서는 도시를 생략 했다.
도면에서, 1 은 칫솔의 헤드부, 2 는 헤드부(1)의 식모면, 3 은 식모면(2)에 형성된 식모구멍, 4 는 모속(5)를 식모구멍(3l)에 둘로 접어 박기 위한 평선, 6 은 모속(5)를 구성하는 솔이며, 헤드부(1)의 식모면(2)의 식모구멍(3l)에 식모된 모속(5)의 단위 식모 면적 당의 수를 25 다발/cm2 이상, 80 다발/cm2 이하로 함과 동시에, 식모구멍(3)에 식모된 모속(6)이 하나의 식모구멍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을 1.0mm2 이하, 평선(4)의 두께 t를 0.10mm 이상, 0.22mm 미만, 평선(4) 의 폭(평선(4)를 식모면(2)에 박을 때의 박은 깊이 방향의 폭) h를 0.9mm 이상, 2.5mm 이하로 한 것이다. 덧붙여 참조 부호 L 은 평선(4)의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와 같은 식모 사양으로 설정하면, 모속(5)을 평선(4)에 의해 식모구멍(3l)에 둘로 접어 박아도, 평선(4)이 얇기 때문에 그 박는 충격에 의해 헤드부(1) 의 식모구멍(3)의 주위의 수지에 균열이나 백화를 일으키는 일이 없어진다. 또, 헤드부(1)가 휘는 일도 없어진다. 또한, 둘로 접어 박을 때, 직선 모양으로 복 원하려고 하는 모속(5)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평선(4)이 모속(5)으로부터 빗나가거나 위치 차이를 일으키는 일도 없어진다.
도 2에,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제 2 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 제 2 의 실시의 형태는, 본 발명을 전동식의 칫솔에 적용했을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것이며, 도 2는 전동식 칫솔의 헤드부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 전동식 칫솔의 경우에도, 전기 수동식 칫솔의 경우와 동일하게, 헤드부(1)의 식모면(2)의 식모구멍(3l)에 식모된 모속(5)의 단위식모 면적 당의 수를 25 다발/cm2 이상, 80 다발/cm2 이하로 함과 동시에, 식모구멍(3)에 식모된 모속(6)이 하나의 식모구멍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을 1.0mm2 이하로 하여, 평선(4)의 두께 t를 0.10mm 이상, 0.22mm 미만, 폭 h 를 0.9mm 이상, 2.5mm 이하로 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식모구멍(3) 및 모속(6)의 형상은, 도시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도 3a 내지 도 3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러 가지의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도 3a는 원형의 식모구멍과 원형 단면의 솔의 예, 도 3b는 원형의 식모구멍과 구형 단면의 솔의 예, 도 3c 및 도 3d은 타원형의 식모구멍과 원형 단면의 솔의 예, 도 3e은 직사각형의 식모구멍과 원형 단면의 솔의 예, 도 3f는 둥근 모서리를 갖는 직사각형의 식모구멍과 다이아몬드 단면(능형 단면)의 솔의 예를 각각 가리키는 것이다.
도 4a 내지 도 5c에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의 형태를 나타낸다.
이 제 3 의 실시의 형태에서는, 복수 라인의 모속(6)을 묶은 모속(5)을 평 선(4)을 이용해 헤드부(1)의 식모면(2)의 식모구멍(3)에 둘로 접어 식모한 칫솔에 대해, 식모구멍(3)에 식모 된 모속(5) 를 구성하는 모속(6)의 단면적의 총합을 1.0mm2 이하로 하고, 최근접하는 임의의 식모구멍(3)과의 거리(최근접 식모혈간 거리) D를 1.0mm 이하로 하며, 또한 평선(4)에 의해 파괴되는 헤드부(1)의 수지의 체적 V를 0.1mm3 이상, 0.4mm3 이하로 설정한 것이다.
여기서, 「모속(5)을 구성하는 모속(6)의 단면적의 총합」이란, 도 4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속(5), 즉 식모구멍(3)에 식모된 모든 모속(6)의 단면적을 더한 값이다. 또한, 「최근접하는 임의의 식모구멍(3)과의 거리 (최근접 식모혈간 거리) (Dmin)란, 도 4c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수개의 식모구멍(3) 가운데, 가장 거리가 가까운 식모구멍 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는 것이다.
또한, 「평선(4)에 의해 파괴되는 수지의 체적(V)이란, 예를 들면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형 단면의 식모구멍(3)의 경우, V(mm3)는 평선의 두께 t(mm) ×평선의 박은 깊이 B(mm) ×평선의 겹친 폭 C(mm) × 2 의 식에 의해 얻어지는 값이다.
또한,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낸 원형의 식모구멍(3)의 경우, 평선(4)의 겹친 폭 C 의 부분은 식모구멍(3)의 원호상의 구멍 벽으로 구획되기 때문에, 수지 파괴 체적 V(mm3)의 값은 상기 식에서는 근사치가 되지만, 도 4b와 같이, 타원 형상의 식모구멍(3)의 단경 방향으로 평선(4)를 박았을 경우에는, 평선(4)의 겹친 폭 부분 은 식모구멍(3)의 직선 모양의 벽부분에서 구획되므로, 수지 파괴 체적 V(mm3)는 평선의 두께 t(mm) ×평선의 박은 깊이 B(mm) ×평선의 겹친 폭 C(mm) × 2 로서 정확하게 구할 수가 있다. 다른 단면 형상을 갖는 식모구멍의 경우에도 이와 같이 근사치 또는 정확한 값으로 구할 수 있다.
상기 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식모구멍(3)에 식모 된 모속 5을 구성하는 모속(6)의 단면적의 총합을 1.0mm2 이하로 했으므로, 유연하여 치아나 구강내연조직에의 촉감이 좋은 모속이 된다. 또, 최근접하는 임의의 식모구멍(3)과의 거리 D 를 1.0mm 이하로 했으므로, 적당한 모속밀도를 가져 치간 진입성과 쇄소실감이 뛰어난 모속이 된다. 동시에, 평선(4)에 의해 파괴되는 헤드부 1 의 수지의 체적(V)를 0.1mm3 이상, 0.4mm3 이하가 되도록 설정했으므로, 적당한 식모 강도를 얻을 수 있어 헤드부의 휨, 헤드부 수지의 백화나 균열등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 결과, 상기 각 효과가 조합되어 치아나 구강내연조직에의 촉감이 좋고, 치아 경부나 치간부, 치간 삼각등의 구강 질환 호발부에의 털끝의 도달성이 뛰어나 헤드부의 휘어짐, 수지의 백화나 균열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충분한 식모 강도를 가지는 칫솔로 제조할 수 있다.
1. 품질 특성 평가 시험
본 발명의 제 1 및 제 2 의 실시의 형태와 관련되는 칫솔과 종래 사양의 칫솔을 사용하여 품질특성 평가 시험을 시행했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표 1 중의 A 내지 C타입의 칫솔이란, 각각 다음과 같은 형상 및 사양의 칫솔이다.
(i) A 타입
헤드부 형상 : 도 6a
식모구멍 형상 : 직사각형 (단변 1.35mm ×장변 1.8mm)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19 속 /cm2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1. 52mm2
평선의 길이 L :2.2mm
(ii) B 타입
헤드부 형상 : 도 6b
식모구멍 형상 : 원형 (직경 1.3mm)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28 속 /cm2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0. 78mm2
평선의 길이 L:1. 8mm
(iii) C 타입
헤드부 형상 : 도 6c
식모구멍 형상 : 타원형 (짧은 축 0.64mm ×타원에 있어 가장 긴 직경 1.52mm)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44 속/cm2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0. 39mm2
평선의 길이 L:1. 8mm
표 1 의 시험 결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칫솔 (실시예 1-22)은, 종래 사양의 칫솔 (비교예 1-12)에 비해, 식모 상태, 헤드부의 휘어짐, 균열·백화, 식모 강도가 각각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헤드부재질 헤드부두께 (mm) 평선 두께 (mm) 평선 조각폭 h(mm) 모속 설치 조건 휘어짐 균열/백화 모속설치 강도 구강내 동작성 종합평가
T y p e A 실시예 1 PP 4.5 0.20 1.8
실시예 2 PCTA 4.5 0.20 1.5
비교예1 PP 4.5 0.25 1.8 × ×
비교예2 PCTA 4.0 0.25 1.0 × △~× △~× ×
T y p e B 실시예 3 PP 4.5 0.20 1.8
실시예 4 PCTA 4.5 0.20 1.5
비교예3 PP 4.5 0.27 1.8 × △~× ×
비교예4 PCTA 4.0 0.27 1.0 × △~× ×
T y p e C 실시예 5 PP 4.5 0.12 1.3
실시예 6 PP 4.5 0.12 1.8
실시예 7 PP 4.5 0.12 2.5
실시예 8 PP 4.5 0.15 1.3
실시예 9 PP 4.5 0.15 1.8
실시예10 PP 4.5 0.15 2.5
실시예11 PP 4.5 0.20 1.3
실시예12 PP 4.5 0.20 1.8
실시예13 PP 4.5 0.20 2.5
실시예14 PCTA 4.5 0.12 1.5
실시예15 PCTA 4.2 0.12 1.2
실시예16 PCTA 3.9 0.12 0.9
실시예17 PCTA 4.5 0.15 1.5
실시예18 PCTA 4.2 0.15 1.2
실시예19 PCTA 3.9 0.15 0.9
실시예20 PCTA 4.5 0.20 1.5
실시예21 PCTA 4.2 0.20 1.2
실시예22 PCTA 3.9 0.20 0.9
비교예5 PP 3.8 0.20 0.7 × × ×
비교예6 PP 4.5 0.20 2.7 × ×
비교예7 PP 4.5 0.08 1.5 × ×
비교예8 PP 4.5 0.28 1.5 × × ×
비교예9 PCTA 3.8 0.20 0.7 × × ×
비교예10 PCTA 4.5 0.20 2.7 × ×
비교예11 PCTA 4.5 0.08 1.5 × ×
비교예12 PCTA 4.5 0.28 1.5 × ×
표 1에서, 휘어진 상태란,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모전에 있어서 점선 m 과 헤드부(1)의 첨단과의 교점을 P라 할 때,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식모 후에 있어서 점선 m의 연장선과 상기 교점 P 와의 사이의 거리 n 을 나타낸다.또한, 헤드부 두께란, 도 7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 (1)의 가장 얇은 부분의 두께 T 를 나타낸다(이하의 각 시험에 있어서 동일).
또한, 표 1의 각 평가는 다음의 기준에 의한다.
(1) 식모 상태
◎ : 솔의 불균일이 없다
○: 솔의 불균일도 적고 외관 양호
△ : 솔의 불균일 있지만 한도 이내
× : 솔의 불균일 정도가 크고 외관 불량
(2)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
◎ : 휘어짐 없음 (n=0mm)
○ : 0mm 보다 크고, 0.1mm 미만
△ : 0. 1mm 이상, 0.5mm 미만
× : 0. 5mm 이상
(3) 균열·백화 (평선주위의 헤드부 수지의 변색)
◎ : 균열이나 백화가 전혀 없다
○: 균열이나 백화가 거의 없다
△ : 약간 백화가 있다
× : 균열이나 백화가 있다
(4) 식모 강도
식모 강도의 측정은, JIS S3016 에 규정의 방법에 근거하여 시행했다.
◎ : 평균 25N 이상
○: 평균 15N 이상, 25N 미만
△ : 평균 8N 이상, 15N 미만
× : 평균 8N 미만
(5) 종합 평가
◎ : 매우 좋음
○ : 좋음
△ : 중간
× : 좋지 않음
2. 관능 평가 시험
본 발명의 칫솔의 관능 평가시험을 출원인의 회사내의 전문 패널리스트 30 명에 의해 행했다. 전문 패널리스트 30 명에 의한 평가의 평균치를 평가 결과로 했다. 그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표 2 에 의해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칫솔 (실시예 23-26)은, 종래의 칫솔 (비교예 13-16)에 비해, 촉감이 좋고, 치간 진입성, 쇄소실감에 대해서도 뛰어난 것이 확인되었다.
단위 식모면적 당 모속 갯수 (다발 /cm2) 구멍 하나 당 식모된 모속의 총단면 (mm2) 평선두께 (mm) 평선 폭 h(mm) 촉감 치간 진입성 청소 효과 전체 평가
실시예23 44 0.8 0.20 1.8
실시예24 50 0.2 0.20 1.5
실시예25 35 0.5 0.15 1.3
실시예26 50 0.3 0.15 1.8
비교예13 40 1.8 0.18 1.5 × × ×
비교예14 20 0.8 0.15 1.3 × × ×
비교예15 22 1.2 0.20 1.4
비교예16 22 0.6 0.16 1.3
상기 관능 평가는 다음의 기준에 의했다.
(1) 감촉
◎ : 매우 좋음
○ : 좋음
△: 중간
× : 좋지 않다
(2) 치간 진입성
◎ : 매우 좋음
○ : 좋음
△: 중간
× : 좋지 않다
(3) 쇄소실감
◎ : 매우 좋음
○ : 좋음
△: 중간
× : 느낌 없다
(4) 종합 평가
◎ : 매우 좋음
○ : 좋음
△: 중간
× : 좋지 않다
3. 사용 수지의 차이에 의한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 시험
사용 수지의 차이에 의한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 시험을 시행했다. 그 결과를 표 3l에 가리킨다. 표 3으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PP 수지, PCTA 수지의 어느 경우에서도, 본 발명 사양(평선두께 0.15mm , 0.20mm)의 칫솔은 종래 사양 (평선두께 0.25mm)의 칫솔보다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가 발생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수지명 휨 강도 평선 두께 헤드부의 휨
PP 500 kg/cm2 0.25mm(종래사양) 식모 불가능
PP 500 kg/cm2 0.15mm(본발명사양)
PCTA 680 kg/cm2 0.25mm(종래사양) ×
PCTA 680 kg/cm2 0.15mm(본발명사양)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의 평가는 다음의 기준에 의했다.
◎ : 휨 없음 (n=0mm)
○: 0mm 보다 크고, 0.1mm 미만
△ :0. 1mm 이상, 0.5mm 미만
× :0. 5mm 이상
4. 헤드부 두께의 차이에 의한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 시험
본 발명 사양의 경우와 종래 사양의 경우에 있어서의 헤드부의 두께와 휘어진 상태와의 관계에 대해 시험을 시행했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표 4 로부터 명확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사양의 칫솔 모의 경우, 종래 사양의 칫솔에 비해, 광범위한 헤드부의 두께에 대해서 휘어진 상태가 작은 것이 확인되었다.
헤드부 두께T(가로행) 2.0 mm 2.5 mm 3.0 mm 4.0 mm 4.5 mm 5.0 mm 5.5 mm
평선두께 t(세로열)
0.25mm(종래사양) × × ×
0.20(본발명사양) ×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의 평가는 다음의 기준에 의했다.
◎ : 휨 없음 (n=0mm)
○:0mm 보다 크고, 0.1mm 미만
△ :0. 1mm 이상, 0.5mm 미만
× :0. 5mm 이상
또한, 본 발명의 제 3 의 실시 형태에 따른 칫솔 (실험예 27-38)과 종래 사양의 칫솔 (비교 실험예 17-24)을 제작해, 식모 강도, 단일 솔의 뽑힘 강도, 헤드부의 휘어, 균열·백화의 품질 특성의 평가, 및 촉감의 좋은 점, 치간 진입성, 쇄소실감의 관능 평가에 대한 비교 실험을 행했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표 5 로부터 명백한 것과 같이, 본 발명 사양의 칫솔은, 종합 평가에 대해 모두 종래 사양의 칫솔보다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수지 파괴 체적 (mm3) 최근접 식모 구멍간 거리 (mm) 솔의 총 단면적 (mm2) 평가결과
모속설치강도 단일 솔 뽑힘강도 균열/백화 촉감 치간 진입성 청소효과 종합평가
실험예27 0.16 0.4 0.4
실험예28 0.20 0.4 0.4
실험예29 0.30 0.4 0.4
실험예30 0.40 0.4 0.4
실험예31 0.10 0.6 0.4
실험예32 0.20 0.6 0.4
실험예33 0.30 0.6 0.4
실험예34 0.40 0.6 0.4
실험예35 0.10 0.6 0.8
실험예36 0.20 0.6 0.8
실험예37 0.30 0.6 0.8
실험예38 0.40 0.6 0.8
비교예17 0.03 0.6 0.4 × × ×
비교예18 0.08 0.6 0.4 × × ×
비교예19 0.45 0.6 0.4 × × ×
비교예20 1.0 0.6 0.4 × × ×
비교예21 0.20 1.5 0.4 × × × ×
비교예22 0.20 1.5 0.8 × ×
비교예23 0.30 1.5 0.8 × × × ×
비교예24 0.30 1.5 0.4 × ×
표 5의 각 평가는 다음의 기준에 의했다.
1. 품질 특성 평가 시험
(1) 식모 강도
식모 강도의 측정은, JIS S3016 에 규정의 방법에 따랐다.
◎ : 평균 25N 이상
○: 평균 15N 이상, 25N 미만
△ : 평균 8N 이상, 15N 미만
× : 평균 8N 미만
(2) 단일 솔 뽑힘 강도
◎ : 평균 5N 이상
○ : 평균 3N 이상, 5N 미만
△ : 평균 1.5N 이상, 3N 미만
× : 평균 1.5N 미만
(3)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
◎ : 젖혀져 없음 (n=0mm)
○ :0mm 보다 크고, 0.1mm 미만
△ :0. 1mm 이상, 0.5mm 미만
× :0. 5mm 이상
(4) 균열·흰색이7 (평선주위의 헤드부 수지의 변색 )
◎ : 균열이나 백화가 전혀 없다
○ : 균열이나 백화가 거의 없다
△ : 약간 백화가 있다
× : 균열이나 백화가 있다
2. 관능 평가 시험
사내 전문 패널리스트 30 명에 의한 평가의 평균치를 평가 결과로 했다.
(1) 촉감의 좋은 점
◎ : 매우 좋음
○ : 좋음
△ : 중간
× : 좋지 않다
(2) 치간 진입성
◎ : 매우 좋음
○ : 좋음
△ : 중간
× : 좋지 않다
(3) 쇄소실감
◎ : 매우 좋음
○ : 좋음
△ : 중간
× : 느낌 없다
(4) 종합 평가
◎ : 매우 좋음
○ : 좋음
△ : 중간
× : 좋지 않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설계 예를 이하에 나타낸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39 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39 는 각부의 사양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 것이다.
헤드부의 재질 : 폴리프로필렌 (PP)+ 산토프렌(SANTOPRENE) (상표 「산토프렌」으로 어드밴스드 엘라스토머 시스템즈사에 의해 제조 판매되고 있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식모혈 : 대략 사각형 구멍 (단변 0.64mm ×장변 1.32mm ×깊이 3.8mm), 71 구멍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41 속 /cm2
솔 : 나일론의 스트레이트털, 직경 8mil(0.203mm) , 6 개/1 구멍 (접힌 후의 솔 개수: 12 개 /1 구멍)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0. 388mm2
평선 : 황동 (두께 0.17mm ×길이 1.6mm ×폭 1.5mm)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40 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40 은 각부의 사양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 것이다.
헤드부의 재질 : 포화 폴리에스텔 (PCTA)
식모구멍 : 타원형혈 (짧은 축 0.64mm ×타원에 있어 가장 긴 직경 1.52mm ×, 깊이 3.0mm) , 79 구멍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44 속 /cm2
솔 : 나일론의 스트레이트털, 직경 8mil(0.203mm) , 6 개 /1 구멍 (접힌 후의 솔의 개수: 12 개 /1 구멍 )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0. 388mm2
평선 : 황동 (두께 0.15mm ×길이 1.8mm ×폭 1.3mm)
도 10 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41 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41은, 각부의 사양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 것이다.
헤드부의 재질 : 폴리아세탈 (POM)
식모혈 : 대략 직사각형구멍 (단변 0.64mm ×장변 1.32mm ×깊이 2.5mm), 64 구멍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45 속 /cm2
솔 :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BT)의 가는 초털, 기초부 직경 :8mil(0.203mm) , 6 개 /1 구멍 (접힌 후의 솔의 개수: 12 개 /1 구멍 )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0. 388mm2
평선 : 홈이 있는 스텐레스강철 (두께 0.2mm ×길이 1.8mm ×폭 1.5mm)
도 11 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42 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42은 각부의 사양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 것이다.
헤드부의 재질 : 폴리아세탈 (POM)
식모혈 : 대략 직사각형구멍 (단변 0.64mm ×장변 1.52mm ×깊이 2.0mm) , 74 구멍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41 속 /cm2
솔 :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PTT)의 가는 초털, 기초부 직경 8mil(0.203mm) , 6 개 /1 구멍 (접은 후의 갯수로 12 개 /1 구멍 )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0. 388mm2
평선 : 외측 = 요철 첨부진단 (두께 0.2mm ×길이 1.8mm ×폭 2.0mm)
내측 = 요철 첨부진단 (두께 0.2mm ×길이 0.8mm ×폭 2.0mm)
도 12 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43 을 나타낸다. 이 실시예 43은, 각부의 사양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 것이다.
헤드부의 재질 : 포화 폴리에스텔 (PCTA)+ 프리마 로이(PRIMALLOY) (상표 「프리마 로이」로,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 판매되고 있는 폴리에스텔계 엘라스토머)
식모혈 : 혈총수 72 구멍
(1) 원형구멍 (직경 0.8mm ×깊이 3.5mm) , 2 구멍
(2) 원형구멍 (직경 1.0mm ×깊이 3.5mm) , 24 구멍
(3) 대략 직사각형구멍 (단변 0.64mm ×장변 1.30mm ×깊이 3.80mm) , 46 구멍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42 속 /cm2
솔 :
(1) 나일론의 스트레이트털, 직경 8mil(0.203mm) , 4 개 /1 구멍 (접은 후의 솔의 갯수로 8 개 /1 구멍 )
(2) 나일론의 스트레이트털, 직경 8mil(0.203mm) , 7 개 /1 구멍 (접은 후의 솔의 갯수로 14 개 /1 구멍 )
(3)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의 스트레이트털, 직경 6mil(0.152mm), 19 개 /1 구멍 (접은 후의 솔의 갯수로 38 개 /1 구멍 )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
(1) 0.259mm2
(2) 0.454mm2
(3) 0.693mm2
평선 :
(1) 홈이 있는 스텐레스강철 (두께 0.13mm ×길이 1.2mm ×폭 1.3mm)
(2) 홈이 있는 스텐레스강철 (두께 0.13mm ×길이 1.4mm ×폭 1.5mm)
(3) 홈이 있는 스텐레스강철 (두께 0.13mm ×길이 0.8mm ×폭 1.5mm)
도 13 은,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44 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44는, 각부의 사양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 것이다.
헤드부의 재질 : 폴리프로필 (PP)+ 미라스토머(MILASTOMER) (상표 「미라스토머」로 미츠이 화학주식회사에 의해 제조 판매되고 있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식모혈 : 대략 직사각형구멍 (단변 0.65mm ×장변 1.30mm ×깊이 3.2mm) , 69 구멍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40 속 /cm2
솔 : 나일론의 스파이럴 캐치털
(1) 헤드 첨단부 = 직경 9mil(0.229mm) , 5 개 /1 구멍 (접은 후의 솔의 갯수로 10 개 /1 구멍 )
(2) 그 외의 부분 = 직경 7mil(0.178mm) , 7 개 /1 구멍 (접은 후의 솔의 갯수로 14개 /1 구멍 )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
(1) 0.412mm2
(2) 0.348mm2
평선 : 스텐레스강철 (두께 0.2mm ×길이 1.5mm ×폭 2.3mm)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45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 45는, 각부의 사양을 이하와 같이 설정한 것이다.
헤드부의 재질 :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도금 처리
식모구멍 :
(1) 원형구멍 (직경 1.0mm ×, 깊이 3.0mm) , 2 구멍
(2) 대략 직사각형구멍 (단변 0.65mm ×장변 1.30mm ×깊이 3.2mm) , 39 구멍
단위 식모 면적 당의 모속의 수 :26 속 /cm2
솔 : 나일론의 스트레이트털
(1) 직경 6mil(0.152mm) , 13 개 /1 구멍 (접은 후의 솔의 갯수로 26 개 /1 구멍 )
(2) 직경 6mil(0.152mm) , 25 개 /1 구멍 (접은 후의 솔의 갯수로 50 개 /1 구멍)
1 구멍 당 모속의 총 단면적 :
(1) 0.472mm2
(2) 0.901mm2
평선 :
(1) 스텐레스강철 (두께 0.14mm ×길이 1.3mm ×폭 2.3mm)
(2) 스텐레스강철 (두께 0.14mm ×길이 1.3mm ×폭 2.3mm)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46을 나타내며, 칫솔의 각부의 구체적인 치수는 예시로서 나타낸 것이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구체적인 예인 실시예 47 을 나타내며, 칫솔의 각부의 구체적인 치수는 예시로서 나타낸 것이다.
표 6 에, 본 발명에 따른 칫솔의 또 다른 구체적인 실시예를 나타낸다.
표에서, 실시예 48-54 는 수동식의 칫솔의 예, 실시예 55 는 전동 칫솔의 예를 각각 나타내는 것이다. 이들 칫솔은, 모두 전술한 본 발명의 조건, 즉, 식모구멍에 식모 된 모속을 구성하는 솔의 단면적의 총합이 1.0mm2 이하, 적어도 하나의 식모구멍에서 최근접하는 다른 식모구멍과의 거리 (최근접 식모혈간 거리) D 가 1.0mm 이하, 평선에 의해 파괴되는 수지의 체적 (수지 파괴 체적) V 가 0.1mm3 이상, 0.4mm3 이하가 되도록, 각부의 사양을 설정한 것이다.
실시예 모속 설치 사항 기타 사양
최근접 식모구멍간 거리(mm) 모속의 총 단면적(mm2) 수지 파괴 체적(mm3) 1)헤드부 재질 2)식모구멍(형태, 체적*1,갯수) 3)모속(재질, 형태, 직경, 갯수) 4)평선(두께×길이×폭, 재질)
실시예48 0.50 0.388 0.37 1)PP+산토프렌*2 2)대략 직사각형, 0.64×1.32×3.8mm,71구멍 3)나일론, 스트레이트솔,8mil,접은 모속 6개 4)0.15×1.60×2.0mm,황동
실시예49 0.50 0.388 0.16 1)PCTA 2)타원형,0.64×1.52×3.0mm,79구멍 3)나일론, 스트레이트솔,8mil,접은 모속 6개 4)0.20×1.8×1.3mm,황동
실시예50 0.60 0.388 0.13 1)POM 2)대략 직사각형, 0.64×1.32×2.5mm,64구멍 3)PBT, 초솔,8mil,접은 모속 6개 4)0.15×1.70×1.0mm,홈있는 스테인리스강철
실시예51 0.49 0.388 (a)0.17(외측) (b)0.07(내측) 1)POM 2)직사각형, 0.64×1.52×3.0mm,74구멍 3)PTT, 초솔,8mil,접은 모속 6개 4)0.20×1.80×2.0mm, 불순물함유 황동(외측) 0.15×0.80×2.0mm, 불순물함유 황동(내측)
실시예52 0.28 (a)0.259 (b)0.454 (c)0.693 (a)0.16 (b)0.16 (c)0.24 1)PCTA+미라스토머*3 2)(a)원형,0.8mm직경×3.5mm,2구멍 (b)원형,1.0mm직경×3.5mm,24구멍 (c)대략 직사각형, 0.64×1.32×3.8mm,46구멍 3)(a)나일론, 스트레이트솔,8mil,접은 모속 4개 (b)나일론, 스트레이트솔,8mil,접은 모속 7개 (a)PTT, 스트레이트솔,접은 모속 19개 4)(a)0.13×1.2×1.3mm,홈있는 스테인리스강철 (b)0.13×1.4×1.5mm,홈있는 스테인리스강철 (c)0.13×0.80×1.5mm,홈있는 스테인리스강철
실시예53 0.50 (a)0.412 (b)0.348 0.12 1)PP+미라스토머*4 2)대략 직사각형, 0.65×1.30×3.2mm,69구멍 3)(a)나일론,스파이럴캐치,9mil, 접은모속5개(첨단) (b)나일론,스파이럴캐치,7mil, 접은모속7개(기타) (c)PTT,스트레이트솔, 접은모속19개 4)0.20×1.5×2.3mm, 스테인리스강철
실시예54 0.65 (a)0.472 (b)0.901 (a)0.11 (b)0.11 1)PEN+코팅 2)(a)원형, 1.0직경×3.0mm,2구멍 (b)대략 직사각형, 0.70×2.0×3.0mm,39구멍 3)(a)나일론,스트레이트솔, 6mil, 접은모속13개 (b)나일론,스트레이트솔, 6mil, 접은모속25개 4)(a)0.14×1.3×2.3mm, 스테인리스강철 (b)0.14×2.3×2.3mm, 스테인리스강철
실시예55 0.50 0.837 0.11 1)폴리아세탈 2)원형,1.3직경×3.0mm,32구멍 3)나일론, 스트레이트솔,8mil,접은 모속 12개 4)0.14×1.6×2.3mm,스테인리스강철
주석:
*1 단축×장축×깊이 또는 직경×깊이
*2 상표 「산토프렌」으로 어드밴스드 엘라스토머 시스템즈사에 의해 제조 판매되고 있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3 상표 「프리마 로이」로, 미츠비시 화학 주식회사에 의해 제조 판매되고 있는 폴리에스텔계 엘라스토머
*4 상표 「미라스토머」로 미츠이 화학주식회사에 의해 제조 판매되고 있는 올레핀계 엘라스토머
부호의 설명
1 헤드부
2 식모면
3 식모구멍
4 평선
5 모속
6 솔
B 평선의 박힌 깊이
C 평선의 겹친 폭
D 최근접하는 임의의 식모구멍과의 거리 (최근접 식모혈간 거리 )
h 평선의 폭
L 평선의 길이
m 점선
n 헤드부의 휘어진 상태
P 교점
S 식모 면적
t 평선의 두께
T 헤드부 두께
V 평선에 의해 파괴되는 헤드부의 수지의 체적 (수지 파괴 체적 )

Claims (4)

  1. 복수 개의 솔을 묶은 모속을 평선을 이용해 헤드부 식모면의 식모구멍에 둘로 접어 식모한 칫솔에 있어서,
    상기 평선의 두께를 0.10mm 이상, 0.22mm 미만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평선의 폭을 0.9mm 이상, 2.5m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식모된 모속의 단위 식모 면적 당 갯수를 25 다발/cm2 이상, 80 다발/cm2 이하, 하나의 식모구멍 당 접힌 상태로 식모된 모속의 총 단면적을 1.0mm2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4.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수지로 제조되며, 상기 식모구멍의 적어도 일부에 식모된 모속을 구성하는 솔의 단면적의 총합을 1.0mm2 이하로 하고, 적어도 하나의 식모구멍에 최근접하는 타 식모구멍과의 거리를 1.0mm 이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칫솔.
KR1020067014882A 2003-12-24 2004-12-21 칫솔 KR101165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426405 2003-12-24
JPJP-P-2003-00426405 2003-12-24
PCT/JP2004/019095 WO2005060788A1 (ja) 2003-12-24 2004-12-21 歯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34031A true KR20060134031A (ko) 2006-12-27
KR101165264B1 KR101165264B1 (ko) 2012-07-19

Family

ID=34708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4882A KR101165264B1 (ko) 2003-12-24 2004-12-21 칫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796847B2 (ko)
KR (1) KR101165264B1 (ko)
CN (1) CN1897844B (ko)
WO (1) WO200506078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5228B1 (ko) * 2008-03-06 2009-11-06 이하우 칫솔모 고정용 평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칫솔모고정용 평선
KR101477326B1 (ko) * 2007-12-18 2014-12-2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KR20170116245A (ko) * 2010-03-24 2017-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54285B2 (ja) * 2005-12-05 2012-01-18 花王株式会社 歯ブラシ
CN101351158B (zh) * 2005-12-22 2011-02-09 Mdz贝希尔公司 用于躯体组织清洁或取样的刷子
US8402591B2 (en) 2009-07-01 2013-03-26 Colgate-Palmolive Company Toothbrush having improved tuft retention and anchor wire
JP6170802B2 (ja) 2013-10-02 2017-07-26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用のハンドル体及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歯ブラシ
JP6471442B2 (ja) * 2014-09-24 2019-02-2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7176224A (ja) * 2016-03-28 2017-10-05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6906313B2 (ja) * 2017-01-17 2021-07-21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JP2018183275A (ja) * 2017-04-24 2018-11-22 ライオン株式会社 歯ブラシ
CN111343944A (zh) * 2017-11-30 2020-06-26 狮王株式会社 电动牙刷用替换刷和电动牙刷
TWI802701B (zh) * 2018-05-31 2023-05-21 日商獅子股份有限公司 牙刷
CN108783860A (zh) * 2018-08-31 2018-11-13 冯诗婕 牙刷
CN115363334A (zh) * 2021-05-19 2022-11-22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牙刷
CN114504186A (zh) * 2022-03-23 2022-05-17 好维股份有限公司 一种密孔牙刷的制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08732A (ja) * 1999-06-29 2001-01-16 Lion Corp ブラシ製品
JP2001314231A (ja) * 2000-05-08 2001-11-13 Lion Corp 歯ブラシ
JP2003189940A (ja) * 2001-12-28 2003-07-08 Lion Corp 歯ブラシ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7326B1 (ko) * 2007-12-18 2014-12-29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KR100925228B1 (ko) * 2008-03-06 2009-11-06 이하우 칫솔모 고정용 평선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한 칫솔모고정용 평선
KR20170116245A (ko) * 2010-03-24 2017-10-18 라이온 가부시키가이샤 칫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5264B1 (ko) 2012-07-19
JP4796847B2 (ja) 2011-10-19
CN1897844A (zh) 2007-01-17
WO2005060788A1 (ja) 2005-07-07
JPWO2005060788A1 (ja) 2007-12-13
CN1897844B (zh) 201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5264B1 (ko) 칫솔
US7707676B2 (en) Toothbrush
US10172440B2 (en) Toothbrush having tufted bristles and tongue brush bristles emanating from the same surface
JP5947480B2 (ja) 歯ブラシ
EP0708609B1 (en) Toothbrush
JP5779413B2 (ja) 歯ブラシ
CN107635432B (zh) 牙刷
JP6712120B2 (ja) 歯ブラシ
CN105451602B (zh) 牙刷
KR20070047782A (ko) 칫솔
JP5851115B2 (ja) 歯ブラシ
WO2004010821A1 (ja) 歯ブラシ
JP2012034844A (ja) 歯ブラシ
JP4350002B2 (ja) 歯ブラシ
KR200455480Y1 (ko) 칫솔
JP2829275B2 (ja) 歯ブラシ
JP5690525B2 (ja) 歯ブラシ
JP2021104237A (ja) 歯ブラシ
KR102622532B1 (ko) 칫솔
KR20030040026A (ko) 칫솔
JP6827096B2 (ja) 歯ブラシ
CN219229172U (zh) 牙刷
JPH11169233A (ja) 歯ブラシ
CN109152470B (zh) 牙刷
JP6452220B2 (ja) 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