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9068A -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및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및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9068A
KR20060129068A KR1020067019807A KR20067019807A KR20060129068A KR 20060129068 A KR20060129068 A KR 20060129068A KR 1020067019807 A KR1020067019807 A KR 1020067019807A KR 20067019807 A KR20067019807 A KR 20067019807A KR 20060129068 A KR20060129068 A KR 200601290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reoscopic
data
image data
video
video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8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94531B1 (ko
Inventor
가즈나리 에라
Original Assignee
가즈나리 에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즈나리 에라 filed Critical 가즈나리 에라
Publication of KR20060129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9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4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4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9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specially adapted for multi-view video sequence en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10Processing, recording or transmission of stereoscopic or multi-view image signals
    • H04N13/106Processing image signals
    • H04N13/144Processing image signals for flicker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61Image signal generators with monoscopic-to-stereoscopic image conver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13/00Details of stereoscopic systems
    • H04N2213/002Eyestrain reduction by processing stereoscopic signals or controlling stereoscopic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을 입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과, 입력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에 의해 얻은 상기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삽입시키는 삽입 수단을 구비한다.
비디오, 오디오, 입체시, 다중화, 기억 매체, 프로그램, 서브 픽쳐, 화상, 컨텐츠

Description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및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STEREOSCOPING PARAMETER BURYING DEVICE AND STEREOSCOPIC IMAGE REPRODUCING DEVICE}
본 발명은,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화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서로 일정한 어긋남 폭을 가지게 한 좌안용 시차 화상과 우안용 시차 화상을 합성한 후에 표시하고, 표시된 화상을 관찰하는 관찰자에게 보색 안경이나 편광 안경을 장착시키거나, 또는 렌티큘러 렌즈(lenticular lens)나 패러랙스 배리어(parallax barrier)와 같은 기구를 사용하여 관찰자의 시야의 일부를 차단함으로써, 이른바 양안차를 의도적으로 생기게 하는 입체시(stereoscopic vision) 실현법이 보급되어 있다.
상기 입체시 실현법으로 사용되는 좌안용 시차 화상과 우안용 시차 화상세트는 동일한 대상을 시점을 약간 변경하여 별개로 촬상함으로써 취득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하나의 시점으로부터 촬상하여 얻은 하나의 화상으로부터 좌안용 시차 화상과 우안용 시차 화상을 생성하는 기술도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종류의 기술을 특허 문헌 1에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 개시된 입체시 화상 생성 장치는, 화상의 각 화소의 채도로부터 산출한 안쪽 방향의 길이치(또는 안쪽 방향의 길이치에 소정의 보정 처리를 행하여 산출한 값)으로부터, 상기 화상에서의 근영(近影) 부분과 원영(遠影) 부분을 구분하고, 근영 부분에 대하여는 원영 부분보다 좌안용 시차 화상과 우안용 시차 화상과의 시차를 크게 계산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기술은, 경치는 일반적으로 먼 방향으로 갈수록 채도가 저하되고, 가까울수록 채도가 높아지는, 경험칙(經驗則)을, 화소의 채도로부터 안쪽 방향의 길이치를 산출하는 알고리즘으로서 응용한 것이다.
최근에는, 1개의 화상으로부터 일정하게 변경시키는 변경폭을 가지는 양시차 화상을 생성하는 것은, 특허 문헌 1에 나타낸 종류의 기술을 응용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므로, 원래 입체용으로 제작된 것이 아닌 비디오 컨텐츠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고, 그 비디오 컨텐츠를 DVD(digital video disc) 등의 기억 매체에 저장하여 판매하는 것과 같은 비디오 컨텐츠의 유통 형태가 향후 보급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매체의 구매자는, 그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컨텐츠를 자신의 컴퓨터 장치 등에 의해 재생함으로써, 입체시 화상화된 박력있는 비디오 화상을 간편하게 감상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국 특개 2002-123842호 공보.
그런데, 비디오 컨텐츠를 입체시 화상으로서 감상한 경우, 입체시 화상이 아닌 2차원 화상으로서 감상하는 것보다 눈에 큰 부담이 된다. 그러므로, 감상자의 사정에 따라서는, 입체시 화상화 처리된 비디오 컨텐츠를 구입한 후에, 그 비디오 컨텐츠를 2차원 화상으로서도 감상하고 싶은 요망도 많다. 그러나, 입체시 화상화 처리된 비디오 컨텐츠만을 매체에 기억시켜서 유통시켰을 경우, 당연히, 그 매체에 기억된 비디오 컨텐츠에서는 2차원의 화상에서의 감상이 불가능하므로, 전술한 바 와 같은 요망에 부응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배경하에 고안된 것으로서, 입체시 화상과 2차원 화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감상 가능하게 하는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인 기억 매체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각각과 관련시켜서 기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기억 매체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내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양 태양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작용시킴으로써 행해지는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컴퓨터 장치에 실행하도록 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더 기억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상기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과, 입력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binary)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에 의해 얻은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삽입시키는 삽입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를 입력하는 서브 픽쳐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상기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과, 상기 입력된 각각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에 의해 얻은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입력된 각각의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시키는 삽입 수단을 구비한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합성되어야 할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된 서브 픽쳐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규격에 따라 다중화된 신호열로서 내포시킨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로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상기 읽어들인 각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수단과, 특정된 각각의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수단과,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입체화 수단과,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한 각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는,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로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함께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읽어들인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서브 픽쳐 데이터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수단과, 특정된 각각의 바코드 화상 데이터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수단과,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던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해야 할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입체화 수단과,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가 행해진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각각 합성하는 합성 수단과,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합성된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본 태양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가 추출된 후,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해,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된 서브 픽쳐 데이터에 변조를 행하는 바코드 소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 수단은,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변조가 행해진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입체시 화상화된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재생과, 입체시 화상화되어 있지 않은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재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재생 방식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합성 수단은, 입체시 화상화된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상기 재생 방식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입체시 화상화 처리가 행해진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하는 한편, 입체시 화상화되어 있지 않은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출력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프로그램은,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각각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와, 상기 변환에 의해 얻은 2진 데이터의 내용을 각각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삽입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프로그램은,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를 입력하는 서브 픽쳐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각각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와, 이러한 변환에 의해 얻은 2진 데이터의 내용을 각각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서브 픽쳐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서브 픽쳐 데이터에 각각 삽입하는 삽입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프로그램은,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로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판독 수단이 읽어들인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처리와, 특정된 각각의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처리와,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화하는 입체시화 처리와, 상기 입체시 화상화된 각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프로그램은,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로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함께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판독 수단이 읽어들인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서브 픽쳐 데이터를 분리하는 분리 처리와, 분리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처리와, 특정된 각각의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처리와,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던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해야 할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화하는 입체시화 처리와, 입체시 화상화된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각각 합성하는 합성 처리와,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합성된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유통 방법은,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를 입력하는 서브 픽쳐 데이터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구비한 제1 컴퓨터 장치가, 상기 서브 픽쳐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와, 변환에 의해 얻은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서브 픽쳐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서브 픽쳐 데이터에 각각 삽입하는 삽입 처리와,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된 서브 픽쳐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규격에 따라 다중화된 신호열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신호열을 나타내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 생성 공정과, 생성된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억하여 출하하는 출하 공정과, 출하된 상기 기억 매체를,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2 컴퓨터 장치를 소유하는 소유자가 취득하는 취득 과정과, 상기 제2 컴퓨터 장치가,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읽어들인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서브 픽쳐 데이터를 분리하는 분리 처리와, 분리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처리와, 특정된 각각의 바코드 화상을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처리와,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해야 할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화하는 입체시화 처리와, 상기 입체시 화상화된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각각 합성하는 합성 처리와,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합성된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함으로써 비디오 화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입체 표시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기억 매체는, 2차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와 관련시켜서 기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는, 2차원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과, 입력된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에 의해 얻은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입력된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삽입시키는 삽입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는,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 2차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읽어들인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수단과, 특정된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수단과, 추출된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입체화 수단과,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입체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프로그램은, 2차원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와, 변환에 의해 얻은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삽입하는 삽입 처리를 실행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태양인 프로그램은,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 2차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판독 수단이 읽어들인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처리와, 특정한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처리와, 추출된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입체시화 처리와,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입체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처리를 실행시킨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생성할 때는,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비디오 화상 데이터는 별도로 기억해 두고,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으로서 재생하는 경우는, 기억되어 있는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작용시킴으로써 입체시 화상화를 실시한다. 이와 같은 데이터 구조로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기억해 둠으로써, 입체시 화상화된 비디오 컨텐츠와 입체시 화상화되어 있지 않은 2차원의 비디오 컨텐츠를 자유롭게 전환하면서 재생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3은 바코드 화상이 삽입된 서브 픽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바코드 화상 삽입부(15e)가 실행하는 삽입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6은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의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7은 바코드 해석부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부호의 설명]
10: 시각 기준 신호 공급부 11: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부
12: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부 13: 파라미터용 메모리
14: 파라미터 입력부 15: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
16: 서브 픽쳐 데이터 부호화부 17: 다중화부
20: 픽업부 21: 복조/에러 정정부
22: 디멀티플렉서부 23: 오디오 데이터 디코드부
24: 비디오 데이터 디코드부 25: 재생 방식 전환부
26: 입체시화 처리부 27: 합성부
28: 서브 픽쳐 데이터 디코드부 29: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DVD(digital video disc) 매체에 다중화하여 기억되는 데이터의 하나인 서브 픽쳐 데이터에, 2차원의 화상(이하, 「 2차원 화상」이라 칭함)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삽입하여 재생 시에 적절하게 이용하는 점이다.
여기서, 이후의 설명에서 사용하는 주요한 용어를 정의해 둔다. 이후의 설명에 있어서, 「제작자」는, DVD 매체에 기억되어야 할 비디오 컨텐츠를 제작하는 사업자를 의미하고, 「이용자」는, 비디오 컨텐츠를 기억한 DVD 매체를 구입하여 이용하는 개인 또는 법인을 의미한다. 또한, 비디오 컨텐츠의 주 영상용의 비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비디오 데이터」라 칭하고,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라 칭하며, 자막 등의 부 영상용의 비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서브 픽쳐 데이터」라 칭한다. 또한, 전술한 3종류의 데이터를 소정의 규격에 따라 다중화한 다음 내포하고 있는 데이터를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라 칭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의 유통 방법은, 비디오 컨텐츠 생성 공정과, DVD 출하 공정과, 비디오 컨텐츠 취득 과정과, 입체시 화상 표시 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각각의 공정 중에서, 비디오 컨텐츠 생성 공정과 입체시 화상 표시 공정이 본 실시예에 특징적인 공정이 된다.
비디오 컨텐츠 생성 공정은, 제작자가, 비디오 컨텐츠의 소스 데이터가 되어야 할,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및 서브 픽쳐 데이터의 각각의 데이터를 입수하고,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일련의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하는 공정이다.
DVD 출하 공정은, 제작자가,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그리고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된 서브 픽쳐 데이터를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DVD 매체에 기억시켜서 소매점의 매장에 출하하는 공정이다.
비디오 컨텐츠 취득 과정은, 이용자가, 매장에서 DVD 매체를 구입하고, 구입 한 DVD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과 2차원 화상의 재생 기능을 탑재한 장치(이하,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라고 칭함)에 읽어들이게 하는 공정이다.
입체시 화상 표시 공정은, 이용자가, 자신의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에 읽어들이게 한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으로서 표시하게 하는 공정이다.
이하, 각 공정마다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비디오 컨텐츠 생성 공정]
먼저, 비디오 컨텐츠 생성 공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공정은, 제작자가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를 사용하여 행한다.
도 1은,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장치는, 시각 기준 신호 공급부(10)와,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1)와,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2)와, 파라미터용 메모리(13)와, 파라미터 입력부(14)와,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와, 서브 픽쳐 데이터 부호화부(16)와, 다중화부(17)를 구비하고 있다.
시각 기준 신호 공급부(10)는, 비디오 컨텐츠의 재생 개시 시로부터의 경과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기준 신호 t를 장치의 각 부에 공급한다. 장치의 각 부는, 상기 시각 기준 신호 t를 참조함으로써, 데이터의 부호화 타이밍 등의 동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이 신호를 공급하는 간격은 비디오 데이터의 각 프레임이 바뀌는 간격과 일치하고 있다. 예를 들면, 비디오 데이터가 1초 동안 30프레임의 간격으로 바뀌는 경우, 1/ 30초마다의 경과 시각을 나타내는 시각 기준 신호 t가 차례로 공급된다.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1)에는 비디오 데이터가 차례로 입력되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1)는 입력된 비디오 데이터를 MPEG(moving picture expert group)의 규격에 따라 압축 부호화 한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1)에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는, 각 프레임마다의 비디오 화상을 비트 맵으로서 나타낸 래스터(raster) 데이터와 이들 각 비디오 화상의 재생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세트를 순서대로 배열한 것이다.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2)에는 오디오 데이터가 차례로 입력되어, 상기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2)는 입력된 오디오 데이터를 압축하지 않고 그대로 부호화 한다. 그리고, 상기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2)에 입력되는 오디오 데이터는, 발음되어야 할 음성의 속성을 나타낸 이벤트 데이터와 이들 각 이벤트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세트를 순서대로 배열한 것이다.
이들 양 부에 의한 작용은, 종래 기술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라미터용 메모리(13)는, 입체시화 파라미터와 타임 스탬프의 각 세트를 기억한다.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는,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각 프레임마다의 비디오 화상(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파라미터이며, 비디오 화상 내에 나타내는 각 오브젝트마다의 안쪽 방향의 길이치(Z치)나, 오브젝트의 속성에 따라 상기 안쪽 방향의 길이치에 보정 처리를 행하기 위한 보정치과 같은 11종류의 상이한 파라미터로 이루어진다.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는, 비디오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각 프레임마다의 비디오 화상을 소정의 해석 알고리즘에 따라 해석함으로써 얻어지는 일련의 텍스트 데이터이며, 얻어진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각각은, 해석을 행한 각 비디오 화상과 쌍을 이루고 있던 타임 스탬프가 대응된 후에 파라미터용 메모리(13)에 기억된다. 그리고, 상기 해석 알고리즘은 종래 기술의 범주에 속하기 때문에 여기서는 그 내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파라미터 입력부(14)는, 입체시화 파라미터와 타임 스탬프의 각 세트를 파라미터용 메모리(13)로부터 차례로 판독하여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에 입력한다.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에는 서브 픽쳐 데이터가 차례로 입력되고,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는 입력된 서브 픽쳐 데이터에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삽입한 후에 서브 픽쳐 데이터 부호화부(16)에 전달한다. 그리고, 서브 픽쳐 데이터의 포맷은 전술한 비디오 데이터와는 상이하고, 비디오 화상에 합성되어야 할 각 서브 픽쳐를 비트 맵으로서 나타낸 래스터 데이터와 그 제어 내용을 나타낸 제어 데이터 세트를 순서대로 배열한 것이다. 여기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서브 픽쳐 데이터에 내포되는 래스터 데이터는, 비트 맵을 형성하는 각 화소의 속성치와 그 어드레스의 쌍으로 이루어진다. 당연한 일로써, 자막 문자를 나타내는 화소와 자막 문자 이외의 배경을 나타내는 화소에는 상이한 속성치가 부여된다. 한편, 제어 데이터에는, 서브 픽쳐의 표시 개시 타이밍 및 종료 타이밍을 각각 나타낸 타임 스탬프 외에, 자막 문자나 배경 색을 각각 지정하는 색 지정 코드가 내포되어 있다. 상기 색 지정 코드는 흰색(투명한 색)을 포함하는 16개의 색 중의 임의의 색을 지정하는 코드이며, 제어 데이터에는, 색 지정 코드와 화소의 속성치의 쌍을 최대 4개까지 내포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래스터 데이터에서는, 자막 문자를 속성치 a의 화소로 나타내고, 또한 배경을 속성치 b의 화소로 나타내는 한편, 제어 데이터에서는, 속성치 a를 검은색의 색 지정 코드와 대응시키고, 또한 속성치 b를 흰색(투명한 색)의 색 지정 코드와 대응시킬 경우, 상기 서브 픽쳐의 자막 문자는 검은색으로 표시되고, 배경은 흰색(투명한 색)으로 표시된다. 통상의 서브 픽쳐에서는, 자막 문자의 색으로서는 검은 색, 배경 색으로서는 흰색(투명한 색)이 지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배경으로 합성되는 비디오 화상의 내용의 여하에 따라서는, 어느 속성치와 대응시킨 색 지정 코드가 도중에 다른 것으로 변경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도 2는,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의 하드웨어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는, 데이터 해석부(15a)와, 서브 픽쳐 데이터 보완부(15b)와, 파라미터 변환부(15c)와, 2진 데이터용 메모리(15d)와, 바코드 화상 삽입부(15e)를 삽입하고 있다.
데이터 해석부(15a)는, 서브 픽쳐 데이터가 내포하는 제어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자막이 존재하는 시간 영역과 자막이 존재하지 않는 시간 영역을 판별한다. 그리고, 자막이 존재하는 시간 영역 동안에는, 입력된 서브 픽쳐 데이터에 새로운 타임 스탬프를 부가한 후에 차례로 출력한다. 구체적으로는, 서브 픽쳐 데이터의 제어 데이터가 내포하고 있는 타임 스탬프(표시 개시 타이밍과 종료 타이밍을 나타낸 타임 스탬프)를, 시각 기준 신호 t가 나타내고 있는 시각으로 차례로 치환한 후 에 출력한다. 즉, 자막이 존재하는 시간 영역 동안에는, 래스터 데이터의 내용은 동일하며 제어 데이터가 내포하는 타임 스탬프가 연속된 시각으로 되어 있는 일련의 서브 픽쳐 데이터가 차례로 출력되게 된다. 한편, 자막이 존재하지 않는 시간 영역 동안에는, 자막이 존재하고 없어지기 직전의 타이밍에서 입력된 서브 픽쳐 데이터와 서브 픽쳐의 보완을 지시하는 신호를 서브 픽쳐 데이터 보완부(15b)에 출력한다.
서브 픽쳐 데이터 보완부(15b)는, 데이터 해석부(15a)로부터 보완을 지시하는 신호가 공급되는 동안, 신규 서브 픽쳐 데이터를 생성하여 바코드 화상 삽입부(15e)에 출력한다. 생성되는 서브 픽쳐에 내포시키는 래스터 데이터는, 자막을 나타내고 있지 않은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서브 픽쳐의 제어 데이터에 내포시키는 색 지정 코드와 속성치의 쌍은, 데이터 해석부(15a)로부터 공급되는 서브 픽쳐 데이터와 동일한 내용이 되고, 또한 그 제어 데이터에 내포시키는 타임 스탬프는, 시각 기준 신호 t가 나타내는 시각과 일치시킨다. 즉, 자막이 존재하지 않는 시간 영역 동안에는, 래스터 데이터는 자막 문자를 전혀 나타내고 있지 않은 내용으로, 제어 데이터가 내포하는 타임 스탬프가 연속된 시각으로 되어 있는 일련의 서브 픽쳐 데이터가 차례로 출력되게 된다.
파라미터 변환부(15c)는,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한다. 구체적으로는, 파라미터의 각각을 8비트분의 2진 데이터열로 각각 변환하는 처리를 행하고, 변환에 의해 얻은 2진 데이터열을, 변환 전의 입체시화 파라미터와 쌍을 이루고 있던 타임 스탬프와 대응시킨 후에 2진 데이터용 메모리(15d)에 차례로 기 억시킨다. 본 실시예에서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는 11 종류의 상이한 파라미터 군으로부터 이루어지지 때문에, 1회의 변환 처리로, 합계 88비트의 2진 데이터열이 2진 데이터용 메모리(15d)에 기억되게 된다.
11 종류의 모든 파라미터의 2진 데이터가 2진 데이터용 메모리(15d)에 기억되면, 바코드 화상 삽입부(15e)는, 이들 2진 데이터를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데이터 해석부(15a) 또는 서브 픽쳐 데이터 보완부(15b)로부터 공급된 서브 픽쳐 데이터가 내포하고 있는 래스터 데이터에 그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삽입한다.
도 3은, 바코드 화상 삽입부(15e)에 의해 바코드 화상이 삽입된 후의 서브 픽쳐의 묘화 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브 픽쳐의 비트 맵을 구성하는 각 화소 중,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는 것은, 위로부터 3번째 내지 5번째의 화소의 라인(이하, 「삽입 라인」이라고 칭함)이다. 그리고, 삽입 라인에는, 세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3개의 화소와 가로 방향으로 인접하는 3개의 화소의 합계 9개의 화소의 집합(이하, 이 화소의 집합을 「블록」이라고 칭함)이 가로 방향으로 순서대로 배열된다. 각각의 블록은,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수화하여 얻은 2진 데이터의 1비트와 각각 대응하는 것이며, 각 블록을 구성하는 9개의 화소를 자막 문자의 색 또는 배경 색 중 어느 하나로 통일하여 표시함으로써, 각각의 블록과 각각 대응하는 2진 데이터가 「1」을 나타내는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O」를 나타내는 것인지를 식별시킨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 라인의 좌측단 위치 L로부터 2블록까지는 제 1 리딩 마크 묘화 영역 A로서 확보되고, 상기 영역 A로부터 우측 1블록은 제2 리딩 마크 묘화 영역 B로서 확보된다. 제1 리딩 마크 묘화 영역 A의 화소는 모두 배경 색으로 표시되고, 제2 리딩 마크 묘화 영역 B의 화소는 모두 자막 문자의 색으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양쪽 마크는,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수화하여 얻은 2진 데이터의 내용 자체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고, 그 개시 위치를 특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2 리딩 마크의 우측에는 2진 데이터 자체의 내용을 나타내는 영역 C가 확보된다. 상기 영역 C의 화소는 가로 방향으로 연속되는 88의 블록을 구성하고, 각 블록 내에 존재하는 화소의 집합은 문자 또는 배경 중 어느 하나와 대응하는 색으로 각각 표시된다.
도 4는 바코드 화상 삽입부(15e)가 실행하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데이터 해석부(15a) 또는 서브 픽쳐 데이터 보완부(15b)로부터 서브 픽쳐 데이터가 입력되면, 스텝 100에서, 바코드 화상 삽입부(15e)는,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의 제어 데이터가 내포하고 있는 타임 스탬프를 기초로 하여 2진 데이터용 메모리(15d)를 참조하고, 동일한 타임 스탬프와 대응되는 2진 데이터열을 판독한다.
다음에, 스텝 110으로 진행하고, 입력된 서브 픽쳐 데이터의 제어 데이터로부터, 자막 문자의 색과 배경 색을 각각 지정하고 있는 색 지정 코드를 특정한다. 그리고, 스텝 120에서, 서브 픽쳐 데이터가 내포하는 래스터 데이터에 의해 나타내는 비트 맵에서의, 삽입 라인의 좌측단 위치 L이 되어야 할 위치를 특정한다.
또한, 스텝 130에서는, 스텝 120에서 특정한 위치로부터 가로 방향으로 2블록까지를 차지하는 영역을 제1 리딩 마크 묘화 영역 A로서 특정하고, 특정한 영역 내에 있는 모든 화소에, 스텝 110에서 특정한 배경 색의 색 지정 코드와 대응하는 속성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배경 색의 색 지정 코드가 흰색(투명한 색)일 때는, 흰색(투명한 색)을 나타내는 속성치를 부여한다.
스텝 140에서는, 제1 리딩 마크 묘화 영역의 우측으로 인접한 1블록분을 차지하는 영역을 제2 리딩 마크 묘화 영역 B로서 특정하고, 특정한 영역 내에 있는 모든 화소에, 스텝 110에서 특정한 자막 문자 색의 색 지정 코드와 대응하는 속성치를 부여한다. 예를 들면, 자막 문자 색의 색 지정 코드가 흑일 때는 검은색을 나타내는 속성치를 부여하고, 청일 때는 푸른색을 나타내는 속성치를 부여한다.
계속되는 스텝 150에서는, 제2 리딩 마크 묘화 영역 B의 우측 영역에 있는 화소를 블록화하고, 각 블록 내의 화소에 스텝 110에서 특정한 자막 문자 또는 배경 중 어느 하나의 색 지정 코드와 대응하는 속성치를 부여한다. 각 블록 내의 화소에 어느 색 지정 코드와 대응하는 속성치를 부여해야 할 것인가는, 스텝 100에서 판독한 2진 데이터열의 내용에 기초하여 판단된다. 예를 들면, 판독한 2진 데이터열의 최초의 2진 데이터가 「1」을 나타낼 경우, 제2 리딩 마크 묘화 영역의 우측에 인접한 블록 내의 9개의 화소에는 자막 문자 색의 색 지정 코드와 대응하는 속성치가 부여된다. 한편, 최초의 2진 데이터가 「0」을 나타낼 경우, 배경 색의 색 지정 코드와 대응하는 속성치가 부여된다. 2번째 이후의 2진 데이터 대하여도, 마찬가지의 스텝에 따라, 대응하는 블록의 화소에 속성치를 부여하는 처리를 행한다. 모든 2진 데이터와 대응하는 블록의 화소에 대한 속성치의 부여가 종료되면, 스텝 160으로 진행하여, 전술한 처리를 행한 서브 픽쳐 데이터를 서브 픽쳐 데이터 부호 화부(16)에 출력한다.
바코드 화상 삽입부(15e)는, 데이터 해석부(15a) 또는 서브 픽쳐 데이터 보완부(15b)로부터 서브 픽쳐 데이터가 입력될 때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일련의 처리를 반복한다.
도 1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서브 픽쳐 데이터 부호화부(16)는,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로부터 차례대로 입력되는 서브 픽쳐 데이터를 가변 길이로 압축하여 부호화한다.
다중화부(17)는,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1)와,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2)와, 서브 픽쳐 데이터 부호화부(16)의 각 부로부터 출력되는 부호열을 다중화하고, DVD의 규격에 따른 신호열인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DVD 출하 공정]
본 공정에서는, 전술한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가 디스크 제조 공장으로 보내지고,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가 기억된 DVD 매체가 디스크 제조 공장으로부터 소매점의 매장으로 출하된다.
[비디오 컨텐츠 취득 공정]
본 공정에서는,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를 소유하고 있는 이용자가, 소매점의 매장에서 판매되는 DVD 매체를 구입하고, 구입한 DVD 매체를 자신의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의 DVD 드라이브에 삽입한다.
[입체시 화상 표시 공정]
입체시 화상 표시 공정은,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가 동작함으로써 행해지는 것이다. 이용자가,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의 DVD 드라이브에 DVD 매체를 삽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재생 방식 선택부에 의해 입체시 화상 재생 모드 또는 2차원 화상 재생 모드 중 어느 하나의 재생 방식을 선택한 후에 재생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하면, 입체시 화상 표시 공정이 개시된다.
도 5는,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의 하드웨어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는, 픽업부(20)와, 복조/에러 정정부(21)와, 디멀티플렉서부(22)와, 오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3)와, 비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4)와, 재생 방식 전환부(25)와, 입체시화 처리부(26)와, 서브 픽쳐 데이터 디코드부(28)와,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와, 합성부(27)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의 동작의 개요를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먼저, DVD 드라이브에 삽입된 DVD 매체에 기억되어 있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는, 픽업부(20)에 의해 차례로 픽업된다. 그리고, 픽업부(20)의 출력은, 복조/에러 정정부(21)에서 복조되어 디멀티플렉서부(22)에 입력된다. 그러면, 디멀티플렉서부(22)는, 픽업부(20)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오디오 데이터, 비디오 데이터, 서브 픽쳐 데이터의 각 압축 부호화 신호로 분리하고,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신호를 오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3)에,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신호를 비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4)에, 그리고 서브 픽쳐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신호를 서브 픽쳐 데이터 디코드부(28)에 각각 공급한다.
오디오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신호는, 오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3)에서 디코 드되어 스피커에 공급된다. 즉, 상기 압축 부호화 신호는, 발음되어야 할 음성의 속성을 나타내는 이벤트 데이터와 그 이벤트 데이터의 처리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 세트를 내포하는 오디오 데이터로 복호화된 후에 공급되게 된다.
또한, 비디오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신호는, 비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4)에서 디코드되고, 재생 방식 전환부(25)로 공급된다. 즉, 상기 압축 부호화 신호는, 비디오 화상의 래스터 데이터와 그 재생 타이밍을 나타내는 타임 스탬프 세트를 내포하는 비디오 데이터에 복호화된 후에 공급되게 된다. 재생 방식 전환부(25)는, 공급된 비디오 데이터를 입체시화 처리부(26)에 출력하거나, 또는, 입체시화 처리부(26)을 경유시키지 않고 합성부(27)에 직접 출력한다. 비디오 데이터를 경유시키는 데이터 경로는, 도시하지 않은 재생 방식 선택부에 의해 미리 선택되어 있던 재생 방식으로 따라 전환된다. 즉, 입체시 화상 재생 모드가 선택되어 있으면 입체시화 처리부(26)에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하는 한편, 2차원 화상 재생 모드가 선택되어 있으면 합성부(27)에 직접 출력한다.
입체시화 처리부(26)는, 재생 방식 전환부(25)로부터 비디오 데이터가 입력되면,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로부터 공급되는 입체시화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그 비디오 데이터에 실시한다. 구체적으로는, 입체시화 파라미터에 내포되는 안쪽 방향의 길이치 및 그 보정치에 기초하여, 각 오브젝트마다 바람직한 어긋남 폭을 갖게하는 우안용 시차 화상과 좌안용 시차 화상을 각각 생성하고, 생성된 양쪽 시차 화상을 합성하는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입체시 화상화 처리가 행해진 비디오 데이터는 합성부(27)에 공급된다.
서브 픽쳐 데이터의 압축 부호화 신호는, 서브 픽쳐 데이터 디코드부(28)에서 디코드되어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에 공급된다. 즉, 상기 압축 부호화 신호는, 바코드 화상을 일부에 삽입한 서브 픽쳐의 래스터 데이터와 그 제어 데이터 세트를 내포하는 서브 픽쳐 데이터로 복호화된 후에 공급되게 된다. 그리고, 제어 데이터에는, 자막 문자나 배경 색을 지정하는 색 지정 코드나, 비디오 화상과 동기를 취하기 위한 타임 스탬프 등이 내포된다.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는, 입력된 서브 픽쳐 데이터로부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여 입체시화 처리부(26)에 전달하고, 또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부(27)에 공급한다.
합성부(27)는, 재생 방식 전환부(25) 또는 입체시화 처리부(26)로부터 입력되는 비디오 데이터와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를 경유하여 입력되는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하여 모니터에 공급한다.
이상,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의 각 부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각 부 중에서,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는 본 실시예에서 특징적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의 하드웨어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는, 서브 픽쳐 전개 메모리(29a)와, 바코드 판독부(29b)와, RGB치 축적 메모리(29c)와, 바코드 소거부(29e)와, 바코드 해석부(29f)와, 2진 데이터 축적 메모리(29g)와, 파라미터 복원부(29h)를 삽입하고 있다.
서브 픽쳐 전개 메모리(29a)에는, 서브 픽쳐 데이터가 내포하는 래스터 데이터에 의하여 나타내는 서브 픽쳐가 비트 맵으로서 전개된다. 이 때, 전개되는 비트 맵의 상부의 일부 영역을 차지하는 삽입 라인에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바코드 화상이 묘화된다.
바코드 판독부(29b)는, 서브 픽쳐 전개 메모리(29a)에 전개되어 있는 비트 맵으로부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판독하고,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RGB치를 RGB치 축적 메모리(29c)에 축적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한다. 먼저, 서브 픽쳐 전개 메모리(29a)에 전개된 비트 맵으로부터, 바코드 화상의 개시 위치를 특정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삽입 라인의 좌측단으로부터 2블록까지의 화소는, 제1 리딩 마크 묘화 영역 A로서 모두 배경 색으로 나타내어 지고, 그 우측에 인접한 1블록분의 화소는, 제2 리딩마크 묘화 영역 B로서 모두 자막 문자의 색으로 나타내어지도록 되어있다. 따라서, 우선, 비트 맵상의 삽입 라인(위로부터 3번째 내지 5번째의 화소의 라인)을 특정하고, 상기 삽입 라인의 좌측단 위치 L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화소를 참조하면서, 배경 색이 아닌 화소가 1블록분(화소가 3개분) 계속되면, 그 우측에 인접한 위치를 바코드 화상의 개시 위치로서 특정한다. 다음에, 특정된 개시 위치의 우측에 있는 삽입 라인 내의 화소를 광학적으로 판독하여 얻은 RGB치를 각 화소의 어드레스와 대응시켜서 RGB치 축적 메모리(29c)에 차례로 축적해 나간다. 그리고, 상기 RGB치는, R(적), G(녹), B(청)의 각각에 대하여 255계조로 검출되고, RGB(0, 0, 0))에 가까운 화소일수록 흰색에 가깝게 되고, RGB((255, 255, 255))에 가까운 화소일수 록 검은색에 가깝게 된다.
바코드 소거부(29e)는, 바코드 판독부(29b)가 각 화소의 RGB치를 RGB치 축적 메모리(29c)에 축적하면, 삽입 라인상의 바코드 화상을 소거하기 위해, 서브 픽쳐 데이터가 내포하고 있는 래스터 데이터에 변조를 가한다. 구체적으로는, 삽입 라인의 아래의 3라인분(위로부터 6번째 내지 8번째의 화소의 라인)의 속성치를, 삽입 라인 내에 있는 속성치에 덧씌운다. 바코드 소거부(29e)에 의해 변조된 서브 픽쳐 데이터는 합성부(27)에 공급된다.
바코드 해석부(29f)는, RGB치 축적 메모리(29c)에 축적된 각 화소의 RGB치로부터 2진 데이터열을 생성하고, 생성된 2진 데이터열을 2진 데이터 축적 메모리(29g)에 순서대로 출력한다.
도 7은, 바코드 해석부(29f)에 의해 행해지는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스텝 200에서는, RGB치 축적 메모리(29c)에 축적된 일련의 RGB치를, 각 블록을 구성하는 9개의 화소마다 그룹화한다. 이후의 처리는, 바코드 화상의 개시 위치의 근처에 있는 블록과 대응하는 화소군의 그룹부터 순서대로 실행된다.
스텝 210로 진행하여, 1개의 그룹을 특정하고, 그 그룹에 속하는 화소군의 각 RGB치 중, 가장 흰색((0, O, 0))에 가까운 RGB치와 가장 검은색(255, 255, 255)에 가까운 RGB치를 함께 파기한다.
그리고, 스텝 220으로 진행하여, 나머지 7개의 RBG치에, 미리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보다 큰 RGB치 쪽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 그렇지 않으면 작은 RGB치 쪽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정한다. 이 임계치는, 서브 픽쳐 데이터가 내포하는 제 어 코드에 있어서, 어느 색 지정 코드가 자막 문자의 화소와 대응하고 있는지 등에 따라서 상이하다. 예를 들면, 자막 문자의 화소의 속성치와 검은색의 색 지정 코드가 대응되어 있을 경우, 임계치를 RGB치의 평균치인 64로 설정한다. 그리고, R치, G치, B치의 평균치를 7개의 화소마다 각각 구하고, 구한 7개의 평균치 중, 임계치 64보다 큰 평균치 쪽이 많은지 그렇지 않으면 작은 평균치 쪽이 많은지를 판정한다. 또한, 자막 문자의 화소의 속성치와 청색의 색 지정 코드가 대응되어 있을 경우, 화소의 B치에만 주목하고, B치의 임계치를 64로 설정한다. 그리고, 7개의 B치 중, 임계치 64보다 큰 B치 쪽이 많은지 그렇지 않으면 작은 B치 쪽이 많은지를 판정한다.
임계치보다 큰 RGB치 쪽이 많이 포함되어 있을 경우, 스텝 230으로 진행되어, 처리 대상이 되는 그룹의 화소군이 「1」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1」을 나타내는 2진 데이터를 2진 데이터 축적 메모리(29g)에 출력한다.
한편, 임계치보다 큰 RGB치 쪽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스텝 240으로 진행하여, 처리 대상이 되는 그룹의 화소군이 「0」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0」를 나타내는 2진 데이터를 2진 데이터 축적 메모리(29g)에 출력한다.
2진 데이터를 출력하면, 우측에 인접한 블록과 대응하는 화소군의 그룹으로 처리 대상을 진행시키고, 스텝 210 내지 스텝 240의 처리를 실행한다. 스텝 210 내지 스텝 240의 처리는, 모든 블록과 대응하는 2진 데이터가 출력될 때까지 반복된다.
2진 데이터 축적 메모리(29g)에는, 바코드 해석부(29f)로부터 출력되는 2진 데이터(「1」 또는 「0」)가 순서대로 축적된다. 이상의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1개의 서브 픽쳐 데이터로부터 합계 88개의 2진 데이터가 추출되고, 이들 일련의 2진 데이터열이 2진 데이터 축적 메모리(29g)에 축적되게 된다. 예를 들면, 도 3의 바코드 화상의 개시 위치의 우측에 인접하여 배열된 최초의 8블록과 대응하는 2진 데이터열은, 「01110010」이 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속하는 8개의 2진 데이터마다, 1개의 파라미터가 복원되게 된다.
도 6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모든 블록과 대응하는 2진 데이터가 2진 데이터 축적부에 축적되면, 파라미터 복원부(29h)는, 축적된 일련의 2진 데이터를 최초에 기억된 것부터 순서대로 8개씩 구분하여 복호화한다. 즉, 연속하는 8개의 2진 데이터열마다 텍스트화함으로써 원래의 파라미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파라미터 복원부(29h)는, 복원한 파라미터를 입체시화 처리부(26)에 차례로 공급한다. 입체시화 처리부(26)에서는, 상기 파라미터를 비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4)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데이터에 작용시킴으로써 입체시화 처리가 행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비디오 컨텐츠 생성 공정에서는, 제작자가, DVD 매체에 기억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의 소스 데이터가 되어야 할, 비디오 데이터, 오디오 데이터, 서브 픽쳐 데이터를 먼저 입수하고, 비디오 데이터의 각 비디오 화상을 해석함으로써, 이들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구한다. 그리고,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한 후에, 이들 각종 데이터를 다중화하여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한다. 한편, 입체시 화 상 표시 공정에서는, 먼저 이용자가, 입체시 화상 재생 모드 또는 2차원 화상 재생 모드의 재생 방식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 후에 재생을 지시하는 조작을 행한다. 그러면,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는, 입체시 화상 재생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는,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을 특정하고, 특정한 바코드 화상으로부터 복원된 파라미터에 기초하는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한 비디오 데이터를 합성부(27)로부터 출력시키는 한편, 2차원 화상 재생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그와 같은 입체시 화상화 처리가 행해져 있지 않은 비디오 데이터를 출력시킨다. 이와 같이, 하나의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에 비디오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개별적으로 내포시키고, 필요에 따라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입체시화 재생하도록 했기 때문에, 입체시 화상과 2차원 화상을 임의로 전환하여 용이하게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는, 2진 데이터로 변환된 후, 1비트의 2진 데이터를 9개의 화소로 각각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으로서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된다. 그리고,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는, 상기 바코드 화상을 광학적으로 판독하고, 판독된 바코드 화상으로부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복원한다. 이로써, 비디오 데이터의 입체시 화상화를 실현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매우 정확하게 재현할 수 있다.
또한,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는, 서브 픽쳐 데이터에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삽입할 때마다,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내포하는 제어 데이터로부터 자막 문자를 나타내고 있는 색과 배경을 나타내고 있는 색을 각각 특정하고, 제어 데이 터가 지정하고 있는 색의 조합에 따라서 바코드 화상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서브 픽쳐에 나타내는 자막의 색과 바코드 화상의 색이 항상 일치하도록 했기 때문에, 서브 픽쳐의 자막 문자의 색이 도중에 변경됨에 따라서, 바코드 화상의 인식율이 저하되는 사태를 회피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본원에 관한 발명은, 각종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데이터가 나타내는 비디오 화상을 해석하여 얻어진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하도록 하고 있었지만, 이것을 비디오 데이터 자체에 삽입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바코드 화상 데이터로부터 복원된 입체시화 파라미터와, 그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작용시켜야 할 비디오 데이터의 매칭에 보다 고정밀도로 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예는, DVD와 같이 몇가지 종류의 데이터를 다중적으로 기억하는 것이 곤란한 규격의 매체, 예를 들면, 비디오 테이프 등에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해 유통시키는 경우에도 응용할 수 있다. 이런 종류의 매체라 하더라도, 비디오 데이터 자체에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삽입하여 이용하도록 하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입체시 화상과 2차원 화상을 전환하여 재생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생성된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DVD 매체에 삽입하여 유통시키고 있었지만, 그와 같은 매체를 개재시키지 않고, 생성한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의 파일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유료로 분배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 실시예의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는, 오로지 하드웨어 로직에 의 해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의 생성을 행하고 있었지만, 도 1에 나타낸 시각 기준 신호 공급부(10), 비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1), 오디오 데이터 부호화부(12), 파라미터 입력부(14), 서브 픽쳐 데이터 변조부(15), 서브 픽쳐 데이터 부호화부(16) 및 다중화부(17)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에 실장시킴으로써,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CPU에, 상기 각 부의 작용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디멀티플렉서부(22), 오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3), 비디오 데이터 디코드부(24), 재생 방식 전환부(25), 입체시화 처리부(26), 서브 픽쳐 데이터 디코드부(28), 입체시화 파라미터 추출부(29) 및 합성부(27)와 동등한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입체시 화상 재생 프로그램을 퍼스널 컴퓨터에 실장함으로써, 상기 퍼스널 컴퓨터의 CPU에, 상기 각 부의 행동과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하도록 해도 된다.
비디오 컨텐츠 생성 공정에서,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DVD 매체에 기억한 후, 상기 입체시 화상 재생 프로그램을 또한 기억하고, DVD 출하 공정에서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와 입체시 화상 재생 프로그램이 함께 기억된 DVD 매체를 출하하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입체시 화상 재생 프로그램을 미리 실장하고 있지 않은 퍼스널 컴퓨터에 상기 DVD 매체가 삽입된 경우라도, 상기 퍼스널 컴퓨터가 DVD 매체로부터 입체시 화상 재생 프로그램을 자동적으로 실장하고, 입체시 화상 모드에서의 재생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MPEG 등의 이른바 동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케이스를 설명하였으나,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나 GIF(Graphic Interchange Format)와 같은 2차원의 정지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구하고, 구해진 파라미터를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을 그 정지 화상 데이터에 삽입해 둠으로써, 정지 화상 데이터의 재생 시에 적절한 입체시화 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입체시 화상과 2차원 화상을 임의로 선택하여 감상할 수 있는 비디오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0)

  1.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stereoscopic vision)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각각 관련시켜서 기억한, 기억 매체.
  2.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내포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억 매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작용시킴으로써 이루어지는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컴퓨터 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더 기억한, 기억 매체.
  4.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과,
    입력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에 의해 얻은 상기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삽입시키는 삽입 수단
    을 구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5.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를 입력하는 서브 픽쳐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과,
    입력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상기 변환에 의해 얻은 상기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입력된 각각의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각각 삽입시키는 삽입 수단
    을 구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합성되어야 할 복수개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규격에 따라 다중화된 신호열로서 내포시킨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취득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 취득 수단
    을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7.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로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읽어들인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수단과,
    특정된 각각의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수단과,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입체시화 수단과,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한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8.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로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함께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읽어들인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분리하는 분리 수단과,
    분리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수단과,
    특정된 각각의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수단과,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던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해야 할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입체시화 수단과,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가 행해진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각각 합성하는 합성 수단과,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합성된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한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가 추출된 후,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소거하기 위해,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된 서브 픽쳐 데이터에 변조를 가하는 바코드 소거 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합성 수단은,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변조가 가해진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하는,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입체시 화상화된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재생과, 입체시 화상화되어 있지 않은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재생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재생 방식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합성 수단은,
    입체시 화상화된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상기 재생 방식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가 행해진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하는 한편, 입체시 화상화되어 있지 않은 비디오 화상 데이터의 재생이 선택되었을 때,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가 행해지기 전의 각각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하는,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11.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와,
    변환에 의해 얻은 상기 2진 데이터의 내용을 각각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상기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삽입시키는 삽입 처리
    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2.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를 입력하는 서브 픽쳐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각각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와,
    변환에 의해 얻은 상기 2진 데이터의 내용을 각각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서브 픽쳐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서브 픽쳐 데이터에 각각 삽입 시키는 삽입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3.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로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상기 비디오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판독 수단이 읽어들인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처리와,
    특정된 각각의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처리와,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화하는 입체시화 처리와,
    입체시 화상화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처리
    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4.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로서,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각각 삽입되어 있는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함께 포함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상기 비디오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판독 수단이 읽어들인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분리하는 분리 처리와,
    분리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처리와,
    특정된 각각의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처리와,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던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해야 할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화하는 입체시화 처리와,
    입체시 화상화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각각 합성하는 합성 처리와,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합성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상기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처리
    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15. 연속적으로 재생되는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과, 상기 복수개의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합성되어야 할 서브 픽쳐 데이터를 입력하는 서브 픽쳐 입력 수단과, 비디오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마다의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구비한 제1 컴퓨터 장치가,
    상기 서브 픽쳐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와, 변환에 의해 얻은 상기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상기 서브 픽쳐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각각의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에 각각 삽입시키는 삽입 처리와,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된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와 상기 비디오 화상 입력 수단으로부터 입력된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규격에 따라 다중화된 신호열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
    를 실행함으로써 상기 신호열을 나타내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생성하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 생성 공정과,
    생성된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기억 매체에 기억시켜서 출하하는 출하 공정과,
    출하된 상기 기억 매체를,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를 재생 가능한 제2 컴퓨터 장치를 소유하는 소유자가 취득하는 취득 과정과,
    상기 제2 컴퓨터 장치가,
    상기 기억 매체로부터 읽어들인 상기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로부터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와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분리하는 분리 처리와, 분리된 상기 서 브 픽쳐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각각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처리와,
    특정된 각각의 상기 바코드 화상을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처리와, 추출된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각각의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서브 픽쳐 데이터를 합성해야 할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각각 작용시킴으로써,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입체시 화상화하는 입체시화 처리와,
    입체시 화상화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에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를 각각 합성하는 합성 처리와,
    상기 서브 픽쳐 데이터가 합성된 각각의 상기 비디오 화상 데이터를 소정의 순서에 따라서 출력하는 출력 처리
    를 실행함으로써 비디오 화상을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입체시 표시 공정
    을 가지는 비디오 컨텐츠 데이터의 유통 방법.
  16. 2차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하고, 또한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와 관련시켜서 기억한, 기억 매체.
  17. 2차원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과,
    입력된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수단과,
    변환에 의해 얻은 상기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입력된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삽입시키는 삽입 수단
    을 구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18.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 2차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읽어들인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수단과,
    특정된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수단과,
    추출된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입체시화 수단과,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입체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수단
    을 구비한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19. 2차원 화상 데이터를 입력하는 화상 입력 수단과,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 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입력하는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파라미터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 데이터로 변환하는 변환 처리와,
    변환에 의해 얻은 상기 2진 데이터의 내용을 나타내는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상기 화상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삽입시키는 삽입 처리
    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20. 2차원 화상을 입체시 화상화하기 위한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2진화하여 얻은 바코드 화상 데이터가 삽입되어 있는 2차원 화상 데이터를 기억한 기억 매체로부터,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를 읽어들이는 판독 수단과,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디바이스를 구비한 컴퓨터 장치로 하여금,
    상기 판독 수단이 읽어들인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삽입되어 있는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특정하는 바코드 특정 처리와,
    특정된 상기 바코드 화상 데이터를 해석하여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추출하는 파라미터 추출 처리와,
    추출된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를 상기 입체시화 파라미터의 바코드 화상이 삽입되어 있던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작용시킴으로써, 상기 2차원 화상 데이터에 입체시 화상화 처리를 행하는 입체시화 처리와,
    상기 입체시 화상화 처리에 의해 얻어진 입체시 화상 데이터를 표시 디바이스에 출력하는 출력 처리
    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
KR1020067019807A 2004-03-08 2005-02-18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08945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064262A JP3746506B2 (ja) 2004-03-08 2004-03-08 立体視化パラメータ埋込装置及び立体視画像再生装置
JPJP-P-2004-00064262 2004-03-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9068A true KR20060129068A (ko) 2006-12-14
KR100894531B1 KR100894531B1 (ko) 2009-04-24

Family

ID=34918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807A KR100894531B1 (ko) 2004-03-08 2005-02-18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70360B2 (ko)
JP (1) JP3746506B2 (ko)
KR (1) KR100894531B1 (ko)
CN (1) CN100591142C (ko)
CA (1) CA2559131C (ko)
TW (1) TW200601113A (ko)
WO (1) WO20050864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68B1 (ko) * 2007-02-08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압축 데이터의 생성 장치와 방법 및 영상 압축데이터의 출력 장치와 방법
WO2009157708A3 (en) * 2008-06-24 2010-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3d video im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584013C (zh) * 2005-01-07 2010-01-20 日本电信电话株式会社 视频编码方法及装置、视频解码方法及装置
JP4687279B2 (ja) 2005-06-29 2011-05-25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および画像再生用プログラム
JP4665166B2 (ja) * 2005-06-29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ステレオ画像処理方法およびステレオ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JP4665167B2 (ja) * 2005-06-29 2011-04-06 ソニー株式会社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ステレオ画像処理方法およびステレオ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ES2400064T3 (es) * 2006-07-19 2013-04-05 B-Core Inc. Método de reconocimiento, codigos ópticos y equipo de reconocimiento del codigo óptico
WO2009157713A2 (en) * 2008-06-24 2009-12-30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8265453B2 (en) 2008-06-26 2012-09-11 Panasonic Corporation Recording medium, playback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playback method, recording method, and program
US7988050B2 (en) * 2008-10-15 2011-08-02 Ricoh Company, Ltd.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embedded barcode
IT1393713B1 (it) * 2008-10-21 2012-05-08 S I R I Société Internationale De Rech Ind S A Sistema per codificare e decodificare immagini stereoscopiche
RU2504916C2 (ru) * 2008-12-01 2014-01-20 Шарп Кабусики Кайся Устройство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одержимого и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CN104113749B (zh) * 2009-01-08 2016-10-26 Lg电子株式会社 3d字幕信号发送方法和3d字幕显示方法
EP2521366B1 (en) 2009-02-19 2014-09-17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device
EP2401870A4 (en) * 2009-02-27 2012-12-26 Deluxe Lab In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SUBTITLEING STEREOSCOPIC CONTENT
US20100309287A1 (en) * 2009-03-20 2010-12-09 Rodriguez Tony F 3D Data Representation, Conveyance, and Use
JP4919122B2 (ja) 2009-04-03 2012-04-1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985807B2 (ja) * 2009-04-15 2012-07-2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2010268431A (ja) * 2009-04-15 2010-11-25 Sony Corp データ構造、記録媒体、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1041249A (ja) * 2009-05-12 2011-02-24 Sony Corp データ構造および記録媒体、並びに、再生装置、再生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プログラム格納媒体
JP5521486B2 (ja) * 2009-06-29 2014-06-11 ソニー株式会社 立体画像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立体画像データ送信方法
TW201123844A (en) * 2009-08-05 2011-07-01 Panasonic Corp Image reproducing apparatus
CN102577408B (zh) 2009-09-30 2015-04-15 夏普株式会社 使用了信息记录介质的再现方法、信息记录再现装置和三维化装置以及信息记录装置
JP4763087B2 (ja) * 2009-09-30 2011-08-31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記録媒体、及び情報記録再生装置
EP2485497B1 (en) * 2009-10-02 2014-11-05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device that can play stereoscopic video, integrated circuit, playback method and program
US20110080462A1 (en) * 2009-10-02 2011-04-07 Panasonic Corporation Playback device, integrated circuit, playback method, and program for stereoscopic video playback
IT1397789B1 (it) * 2010-01-22 2013-01-24 Sisvel Technology Srl Metodo per il trasporto di dati informativi e/o applicativi all'interno di un flusso video digitale e relativi dispositivi per la generazione e la fruizione di tale flusso video.
US9398289B2 (en) * 2010-02-09 2016-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an overlay area into a 3D image
TWI400937B (zh) * 2010-06-21 2013-07-01 Acer Inc 影像轉換裝置以及影像信號的轉換方法
JP2012129768A (ja) * 2010-12-15 2012-07-05 Seiko Epson Corp 書画カメラ、書画カメラ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表示処理システム
JP5800569B2 (ja) * 2011-05-13 2015-10-28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
DE102011109301B4 (de) * 2011-08-03 2013-05-08 3Ality Digital Systems, Llc Verfahren zum Korrigieren der Zoom-Einstellung und/oder des vertikalen Versatzes von Teilbildern eines Stereofilms sowie Steuerung oder Regelung eines Kamerarigs mit zwei Kameras
KR20130076650A (ko) * 2011-12-28 2013-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처리장치 및 그 제어 방법
WO2013190814A1 (ja) * 2012-06-22 2013-12-27 株式会社ニコン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939796B1 (ko) * 2012-09-12 2019-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크로스토크 보상을 위한 입체영상 표시장치의 메모리 저감장치
CN104581120A (zh) * 2015-01-23 2015-04-29 深圳超多维光电子有限公司 图像信息保存方法、保存装置、立体图像生成方法和装置
US9483718B1 (en) * 2015-12-14 2016-11-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Encoding and decoding data in two-dimensional symbology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4018641A1 (en) * 1993-02-02 1994-08-18 Label Vision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bar code data from a video signal and applications thereof
JP3365161B2 (ja) 1995-07-28 2003-01-08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方法、受信装置及び方法、及び送受信システム
JPH09327041A (ja) * 1996-06-03 1997-12-16 Sanyo Electric Co Ltd 記録媒体、立体画像表示方法
US6108005A (en) * 1996-08-30 2000-08-22 Space Corporation Method for producing a synthesized stereoscopic image
EP2259585B1 (en) * 1996-12-04 2013-10-16 Panasonic Corporation Optical disk for high resolution and three dimensional video recording, optical disk reproduction apparatus, and optical disk recording apparatus
US6102295A (en) * 1998-01-14 2000-08-15 Intermec Ip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symbols by declaring erasures of element characteristics
US7053937B1 (en) * 1999-05-21 2006-05-30 Pentax Corporation Three-dimensional image capturing device and recording medium
US6760488B1 (en) * 1999-07-12 2004-07-06 Carnegie Mello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 three-dimensional model from a two-dimensional image sequence
MXPA03001029A (es) * 2000-08-04 2003-05-27 Dynamic Digital Depth Res Pty Tecnica de codificacion y conversion de imagen.
JP2002123842A (ja) 2000-10-13 2002-04-26 Takumi:Kk 立体視画像生成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JP2003045045A (ja) * 2001-07-31 2003-02-14 Toshiba Corp 光ディスク装置
WO2003045045A2 (en) * 2001-11-23 2003-05-30 Vimatix Technologies Ltd. Encoding of geometric modeled images
US20050063596A1 (en) * 2001-11-23 2005-03-24 Yosef Yomdin Encoding of geometric modeled images
JP2004363758A (ja) * 2003-06-03 2004-12-24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画像処理方法、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568B1 (ko) * 2007-02-08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압축 데이터의 생성 장치와 방법 및 영상 압축데이터의 출력 장치와 방법
WO2009157708A3 (en) * 2008-06-24 2010-04-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3d video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01113A (en) 2006-01-01
CA2559131C (en) 2014-06-10
CA2559131A1 (en) 2005-09-15
JP2005252989A (ja) 2005-09-15
CN1934873A (zh) 2007-03-21
WO2005086496A1 (ja) 2005-09-15
JP3746506B2 (ja) 2006-02-15
CN100591142C (zh) 2010-02-17
US20080018731A1 (en) 2008-01-24
US8570360B2 (en) 2013-10-29
TWI317230B (ko) 2009-11-11
KR100894531B1 (ko) 2009-04-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4531B1 (ko) 입체시화 파라미터 삽입 장치, 입체시 화상 재생 장치, 및 기록 매체
KR101545009B1 (ko) 스트레오스코픽 렌더링을 위한 이미지 인코딩 방법
JP4630150B2 (ja) 立体画像記録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665166B2 (ja) ステレオ画像処理装置、ステレオ画像処理方法およびステレオ画像処理用プログラム
JP6037567B2 (ja) 2次元にも対応する立体映像フローのデコード方法
EP1501316A1 (en) Multimedia information generation method and multimedia information reproduction device
CN102047656B (zh) 三维视频转换记录装置、三维视频转换记录方法、三维视频转换装置以及三维视频传输装置
US20100214422A1 (en) Recording Apparatus, Reproducing Apparatus, Recording Method, Recording Progra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KR20160031455A (ko) 재생 장치, 재생 방법, 및 기록 매체
JP2013539256A (ja) 3次元コンテンツに関する画像を合成する方法
JP2004349732A (ja) 画像ファイル作成装置及び画像ファイル再生装置
MX2014008979A (es) Dispositivo de codificacion y metodo de codificacion, y dispositivo de codificacion y metodo de decodificacion.
KR20100128233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장치
JP2015534745A (ja) 立体画像の生成、送信、及び受信方法、及び関連する装置
JP2005184377A (ja) 画像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画像記録装置
EP2526689B1 (en) Method for transporting information and/or application data inside a digital video stream, and relative devices for generating and playing such video stream
RU2522040C2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структура данных, носитель записи, устройство записи и способ записи и программа
JP2006129463A (ja) 立体視化パラメータ記憶媒体
JPH0946630A (ja) 画像情報記録装置及び画像情報再生装置及び光ディスク
MX2010013157A (es) Aparat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on, metodo de procesamiento de informacion, programa y medio de grabacion.
KR102323538B1 (ko) 공통 홀로그래픽 데이터 포맷 및 부복호화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