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739A -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739A
KR20060127739A KR1020060038085A KR20060038085A KR20060127739A KR 20060127739 A KR20060127739 A KR 20060127739A KR 1020060038085 A KR1020060038085 A KR 1020060038085A KR 20060038085 A KR20060038085 A KR 20060038085A KR 20060127739 A KR20060127739 A KR 200601277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oom
rotatable mounting
mounting portio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38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토 가쿠타니
히사오 가스가
Original Assignee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다카노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다카노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쯔다고마 고오교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7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7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1/00Selvedge shedding mechanisms not forming part of main shedding mechanis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40Forming selv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 모터의 용량을 억제하면서 변사 개구(邊絲開口)에 관한 설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selvage-form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서, 변사를 안내하는 실 가이드를 가지며, 운동 방향이 변사 개구 방향으로 규제되는 2개의 지지체와, 정역(正逆) 구동되는 구동 모터와,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지지체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를 가지며, 운동 변환 기구는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제1 기어와, 제1 기어와 맞물리고,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1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제2 기어와, 제1 기어에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는 제3 기어 또는 제1 기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제2 회전가능 장착부로서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회전가능 장착부와, 지지체마다 설치되며, 그 일단이 지지체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와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가진다.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구동 모터, 운동 변환 기구, 기어, 지지체.

Description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SELVAGE-FORMING DEVICE FOR LOOM}
도 1은 본 발명의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직기 좌측면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좌측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도 1에 있어서의 A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x-x'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있어서, 제2 및 제3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6, 37)의 축 주변부에 있어서의 주요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로서, 구동측 기어인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종동 측 기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와 동일하게,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종동 측 기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과 동일하게,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종동 측 기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 실시예에서,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제2 및 제3 기어의 회전 중심 위치에 대한 범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과 동일하게,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종동 측 기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과 동일하게,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종동 측 기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6과 동일하게,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종동 측 기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6과 동일하게,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종동 측 기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6과 동일하게, 제1 기어와, 제1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종동 측 기어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에 대하여, 맞물리는 기어의 잇수를 변경하는 데 있어서, 각 기어의 축간 거리를 변경할 수 있는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도 13에 있어서의 y-y'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3: 변사
4: 직포(織布) 5: 바디
7: 경사 종광틀 9: 진동 방지 스테이
10: 베이스 플레이트 12, 13: 홀더 블록
14, 15, 49: 볼트 17, 18A, 18B: 나사 구멍
19: 육각 구멍이 형성된 볼트 20: 제1 지지체
21: 제2 지지체 22: 힐드
23, 24, 25, 26: 캐리어 로드 27A, 27B: 회전가능 장착부
28A, 28B: 슬라이드 가이드 29A, 29B, 29C: 슬라이드 로드
30, 31: 홀더 브래킷 32: 실 가이드
33: 펄스 모터 34: 출력축
35, 36, 37: 기어 39A, 39B: 연결핀
40A, 40B: 지지축 41: 나사부
42: 소경부 43: 환형 홈
44, 47: 스냅링 46: 베어링 부재
48A, 48B: 암 51A, 51B: 연결 로드
52A, 52B: 연결핀 53A, 53B: 회전가능 장착부
55, 56, 57, 58: 기어 59: 회전축
60, 61A, 61B: 긴 구멍 62: 노치부
63: 볼트 64: 너트
65: 와셔
[1] 일본국 특표 평10(1998)-503563호 공보(도 2, 도 6, 도 7)
[2] 일본국 특개 2004-308064호 공보(도 1)
본 발명은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제1 변사용(邊絲用) 종광(harness)과 제2 변사용 종광의 동작에 따라 변을 형성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SELVAGE-FORMING DEVICE)에 관한 것이다.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제1 변사용 종광과 제2 변사용 종광의 동작에 따라 변을 형성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는, 예를 들면, 상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개시(開示)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장치는, 전동 모터에 의해 2차원 크랭크 기구를 구동하고, 2차원 크랭크 기구의 구동에 의해 한 쌍의 실 가이드 요소를 왕복 직선 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2차원 크랭크 기구는 전동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레버와, 레버의 양단에 연결된 한 쌍의 링크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링크는 한 쌍의 실 가이드 요소에 1 대 1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는 변사 개구량의 조정을 기구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서, 상기 특허문헌 1의 공보의 도 6과 같이 링크의 각도 범위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 또 도 7과 같이 링크에 있어서의 크랭크의 반경 방향 길이를 조정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2의 장치는, 제1 변사용 종광을 지지하는 제1 밴드 및 제2 변사용 종광을 지지하는 제2 밴드에는 각각 동력을 받아 지지하는 구멍이 정렬되고, 2개의 밴드의 동력을 받아 지지하는 구멍에는 전동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가 서로 맞물려, 이른바 랙ㆍ피니언 기구를 구성하고, 전동 모터의 정역(正逆) 회전 구동에 의해 변사 개구 운동을 행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직기(織機)에 있어서는, 직물 종류의 전환에 대응하여 경사(經絲) 개구 장치의 기준 높이(이른바 프레임 높이)나 경사 개구량 등의 개구의 장치 설정이 변경되고, 변사 개구에 관해서도 동일한 변경이 필요해진다. 이에 대하여 상기 특허문헌 1의 구성에 의하면, 링크의 각도 범위, 크랭크의 반경 방향 길이의 어느 구성으로 행하도록 해도 높은 정밀도로 설정할 필요가 있고, 또 그 작업성도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대하여, 상기 특허문헌 2에서는, 이른바 랙ㆍ피니언 기구가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프레임 높이나 개구량을 변경하는 데는 구동 모터의 위상이나 동작 공정에 있어서의 구동량(즉 모터의 회전량)의 변경이 필요해진다. 이 때문에, 구동 모터의 제어가 보다 복잡해 지거나, 출력 토크가 보다 큰 구동 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생기므로, 결과적으로 장치 전체가 대형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가 전용의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구동하는 제1 변사용 종광과 제2 변사용 종광의 동작에 따라 변을 형성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로서, 구동 모터의 용량을 억제하면서 변사 개구에 있어서의 프레임 높이나 개구량 등의 설정을 정확하게 행할 수 있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는, 변사를 안내하는 실 가이드를 가지며, 그 운동 방향이 변사 개구 방향으로 규제되는 2개의 지지체와, 직기 주축 모터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정역 구동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지지체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를 가지는 장치를 전제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에서는, 운동 변환 기구는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맞물리고,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1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대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는 제3 기어 또는 상기 제1 기어 중 어느 한쪽에 설치되는 제2 회전가능 장착부로서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와, 상기 지지체마다 설치되고, 그 일단이 대응하는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고, 상기 타단이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가지는 것을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 모터 출력축의 회전을 받아 구동되는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는 이른바 크랭크핀으로서, 그 운동이 변사 개구 방향으로 규제된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는 이른바 피스톤으로서,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와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를 각각 연결하는 각 연결 로드는 이른바 크랭크 로드로서 각각 대응하고, 이들은 이른바 피스톤ㆍ크랭크 기구를 구성한다. 구동 모터 출력축의 회전은 운동 변환 기구를 구성하는 제1 기어, 종동(縱動) 측 기어를 거쳐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에 전달되 어 각각 연결되는 연결 로드의 운동에 의해 제1 지지체 및 제2 지지체의 왕복 운동으로 각각 변환됨으로써,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구동되는 변사 개구 운동이 수행된다.
본 발명과 같이, 운동 변환 기구에 복수개의 기어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운동을 전달함으로써, 예를 들면, 직물 사양(仕樣)의 변경에 따라, 변사의 개수나 장력이 증대되는 경우가 있어도, 운동 변환 기구를 구성하는 제1 기어와 제2 기어를 적절한 잇수의 것으로 교체함으로써, 모터의 구동 토크를 크게 증대시키지 않고 적절히 변사 개구 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변사 개구 조건인 기준 높이나 변사 개구량을 조정하는 데 있어서, 예를 들면, 구동 측인 제1 기어와, 종동 측 기어인 추축(樞軸)을 가지는 제2 기어와의 맞물림 위치(위상)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변사 개구의 기준 높이를 변경할 수 있고, 또 구동 측인 제1 기어와 종동 측 기어인 제2 기어, 또는 제1 기어와 제3 기어 중 어느 하나의 구동계에 대하여, 기어비(比)가 상이한 기어로 치환함으로써, 다른 쪽과 상이한 변사 개구량을 설정할 수 있어,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에 대한 운전 조건을 원하는 상태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말하는 변사 개구의 기준 높이는 변사 폐구(閉口) 상태에서의 실 가이드 위치에 대한 직기 프레임 상단면 등의 기준 단면으로부터의 상대적인 거리의 것이며, 변사 개구량은 변사 개구 상태에 있어서의 2개의 실 가이드의 상대적인 거리의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는 상기 제1 기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기어 및 제1 기어에는,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 가능 장착부가,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에 대하여 각각 같은 쪽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기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제2 기어의 회전 방향이 반전된다. 따라서, 제1 회전가능 장착부와 제2 회전가능 장착부의 운동 방향은 서로 역방향으로 되고, 제1 회전가능 장착부와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상기 형성함으로써, 2개의 실 지지체를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구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가 회전 구동하는 기어의 전체 개수를 적게 할 수 있으므로, 구동 모터의 부하가 작아지게 되어, 에너지가 절약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는 상기 제3 기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에는,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가,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에 형성된다. 제3 기어가 제1 기어의 직접적인 서로의 맞물림에 의해, 제1 기어의 회전 방향에 대하여, 제2 기어 및 제3 기어의 회전 방향이 모두 반전된다. 따라서, 제1 회전가능 장착부와 제2 회전가능 장착부의 운동 방향은 모두 동일 방향이 되기 때문에, 제1 회전가능 장착부와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상기와 같이 설치함으로써, 2개의 실 지지체를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구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3 기어 측에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형성하는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는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이, 상기 제1 기어 외주단(外周端)의 접선으로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상기 제1 기어에 관 한 2개의 접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는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는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과 평행한 가상 직선에 대하여 각각 ±45도의 교차 각도를 이루는 동시에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다른 2개의 가상 직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정하면 된다. 또는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는 대응하는 2개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이 변사 개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가,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면 된다.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각 기어의 회전 중심 위치, 변사 개구 방향과 직교하는 가상 직선 방향으로 서로 근접함으로써, 제1 회전가능 장착부와 제2 회전가능 장착부의 상대적인 위치를 서로 근접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간접적 또는 직접적으로 제1 회전가능 장착부와 제2 회전가능 장착부의 상대적인 위치가 서로 근접하도록 기어 또는 회전가능 장착부를 형성함으로써, 구동 시에 있어서의 연결 로드의 각도 변위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구동 모터 환언하면 기어의 회전 운동을 지지체의 왕복 운동으로, 보다 효율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 기술에서는, 제2 및 제3 기어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가상 직선이 변사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상 직선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각 기어를 배치하거나, 또는 상기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2개의 기어의 각 회전 중심이, 변사 개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종동 측 기어인 제2 및 제3 기어를 배치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기어는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제4 기어와 맞물린다. 여기에서, 실 가이드를 가지는 2개의 지지체에 대하여, 제1 회전가능 장착부와 연결되어 있는 쪽을 제1 지지체로 하고, 제2 회전가능 장착부와 연결되는 쪽을 제2 지지체라고 한다. 이에 따라, 제1 지지체의 구동계인 제1 기어 및 제2 기어와, 다른 쪽 제2 지지체의 구동계인 제4 기어와 제3 기어의 각 기어비를 각 지지체마다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각 지지체마다 상이한 개구량을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에 대하여, 직물 사양의 변경에 따라 보다 정밀도 높은 설정이 가능하게 되어, 변 조직의 품위가 보다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기어, 제2 기어 및 제3 기어 중 어느 하나의 회전 중심 위치를, 맞물리는 상기 다른 쪽 기어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조립 가능한 기어의 종류(바꾸어 말하면 잇수, 외경이 상이한 기어의 종류)가 증대되어, 보다 높은 정밀도로 변사 개구를 설정할 수 있는 만큼, 보다 변 조직의 품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인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에는, 직포(織布)(4)의 단부 양측에 배치되어 변사(3)의 개구 운동을 행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변사(3, 3)는 모두 직기(도시하지 않음) 상에 배치되는 변사 보빈, 텐서 및 안내 가이드 등을 경유하여 인출되며, 그 선단은 본 발명인 직기용 변부 형성 장 치(1)를 구성하는 실 가이드(32, 32)를 통과하고 있으며, 또한 바디(5)를 통과하여 직전(織前)(cloth fell)에 달하는 동시에 직포(4)에 나란히 연속되어 있다. 그리고, 도시한 예에서는, 직기 전방으로부터 볼 때 우측에 배치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를 일례로서 나타내고 있지만, 좌측에서도, 예를 들면, 좌우 대칭의 도시하지 않은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가 동일하게 배치되어 있다.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는 대략 변사(3)가 통과하는 실 가이드(32)를 가지는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와, 구동 모터인 펄스 모터(33)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를 구비한다. 상기 각 부재는 실질적으로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의 장착 베이스로서 기능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판형 부재로 구성되고, 변사 개구 방향 및 직폭(織幅)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는 직전 측으로부터 볼 때, 그 정면 측에는 직기 프레임측으로의 장착부로서 기능하는 홀더 블록(12, 13)과, 구동 모터로서의 펄스 모터(33)를 배치하는 한편, 그 배면측에 상기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를 받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기능하는 홀더 브래킷(30)과, 운동 변환 기구를 구성하는 복수개의 기어(35, 36, 37)를 각각 배치하고 있다.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는 대략 변사(3, 3 …)의 삽입용 실 가이드(32, 32 …)를 각각 가지는 복수개의 힐드(heald)(22, 22 …)와, 각 힐드(22)의 상단 위치 및 하단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각 힐드(22)를 지지하는 캐리어 로 드(23, 24) 및 캐리어 로드(25, 26)와, 변사 개구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쌍으로 되는 2개의 캐리어 로드들을 서로 연장 방향의 양단에서 연결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8A, 28B)를 각각 구비한다.
캐리어 로드(23, 24) 및 캐리어 로드(25, 26)는 대응하는 슬라이드 가이드(28A) 및 슬라이드 가이드(28B)에 대하여 나사 체결하기 위한 장착부를 가지는 동시에, 직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가지고 있으며, 그 직폭 측으로의 연장 방향 단부(端部)에는, 힐드(22)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형성되는 구멍을 그것에 삽입하여 힐드(22)를 지지하는 힐드 프레임부를 구성하는 한편, 쌍으로 되는 캐리어 로드(23, 24) 및 캐리어 로드(25, 26) 중 위쪽에 위치하는 캐리어 로드(23) 및 캐리어 로드(25)에는, 후술하는 연결 로드(51A) 및 연결 로드(51B)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용 구멍을 구비하는 연결부를 구성한다.
한편, 슬라이드 가이드(28A, 28B)의 양 측면에는, 변사 개구 방향을 따라 평행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드 로드(29A, 29B, 29C)가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 로드(29A, 29B, 29C)는, 예를 들면, 환봉(丸棒) 부재로 구성되는 동시에, 그 연장 방향을 변사 개구 방향과 일치시키고, 또한 직폭 방향에 대하여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슬라이드 가이드(28A, 28B)에는, 인접하는 상기 슬라이드 로드에 대한 단면(斷面) 반원호형으로 함몰되는 슬라이드 이동부가 슬라이드 로드의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드 가이드(28A, 28B)의 슬라이드 이동부가, 인접하는 슬라이드 로드(29A, 29B) 및 슬라이드 로드(29B, 29C)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이들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의 이동 방향을 슬라이드 가이드(28A, 28B)의 연장 방향 즉 변사 개구 방향으로 규제하고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 로드(29A, 29B, 29C)는 그 상단부 및 하단부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장착되는 홀더 브래킷(30) 및 홀더 브래킷(31)에 각각 수용된다. 그리고, 홀더 브래킷(31)에 대하여,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진동 방지 스테이(9)와 마찬가지로, 직기 프레임 사이에 가설되는 스테이(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됨으로써, 직기 프레임에 대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조립된다.
펄스 모터(33)는 베이스 플레이트(10)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나사 구멍(17)에 볼트(15)를 나사 삽입하여 장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배면측에는, 펄스 모터(33)의 출력축(34)이 정면 측으로부터 관통하고, 또한 배면보다도 돌출하여 연장되어 있으며, 출력축(34)에는, 소정수의 치면(齒面)을 그 외주에 형성하고, 상기 제1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5)가 상기 배면 측으로부터 장착되고, 기어(35)는 그 기축부(基軸部)에 배치된 육각 구멍이 형성된 볼트(19)에 의해 출력축(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불가능하게 체결되어 고정된다. 이에 대하여, 출력축(34)에 대하여 소정의 축간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2개의 지지축(40A, 40B)에는, 모두 소정수의 치면을 그 외주에 형성하고,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6) 및 기어(37)가 기어(35)에 대하여 맞물리도록 장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한 지지축(40A, 40B) 및 기어(36, 37)의 각 장착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지지축(40A, 40B)은 베이스부(40)와, 베이스부(40)와의 축 방향 절반부에 이보다 소경의 소경부(42)와, 상기 다른 절반부에서 베이스부(40)보다 소경으로서 그 외주에 나사부(41)를 형성한다. 베이스 플레이트(10)의 배면측에는, 출력축(34)에 대하여 소정의 축간 거리를 둔 위치에 나사 구멍(18A, 18B)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축(40A, 40B)은 나사부(41)가 대응하는 나사 구멍(18A, 18B)에 나사 삽입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하여 일체의 지지축을 구성한다.
한편, 기어(36, 37)의 회전 중심 내주측에는, 회전 중심을 관통하는 관통 구멍에 대하여, 내경이 확경(擴徑) 방향으로 변경되어 형성되는 단차부(段差部)가 형성되고, 그 단차부 및 확경부에 맞닿도록 베어링 부재(46)가 삽입된다. 그리고, 기어(36, 37)에는, 베어링 부재(46)를 내부에 배치한 상태에서, 기어의 회전 중심 내주부에 형성되는 환형 홈에 삽입되는 스냅링(snap ring)(47)에 의해, 베어링 부재(46)가 기어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되어 장착되어 있다. 또한, 베어링 부재(46)의 내륜부를 지지축(40A, 40B)의 소경부(42)에 끼워 맞추어, 기어(36, 37)를 지지축(40A, 40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받아들이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축(40A, 40B)에는, 이탈 방지용의 환형 홈(43)이 형성되고, 이것에 삽입되는 스냅링(44)에 의해, 기어(36) 및 기어(37)가 대응하는 지지축(40A, 40B)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다른 한편, 기어(36, 37)의 축 단부에는, 암(48A, 48B)이 각각 장착된다. 암(48A, 48B)에는, 스냅링(44)을 착탈(着脫)하기 위한 작업 스페이스가 되는 둥근 구멍이 형성되는 한편, 그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로 연장되는 암부에는, 후술하는 연결 로드(51A, 51B)와의 연결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 고, 각 암(48A, 48B)은 상기 중심을 장착선(裝着先)인 기어(36, 37)에서의 회전 중심과 공유하도록, 또 기어(35)의 외주단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가상 직선(L2, L3) 중 대응하는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가, 서로 반대 측, 즉 외측에 위치하도록 복수개의 볼트(49, 49 …)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각 기어(36, 37)에는, 그 중심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가 해당 기어(36, 37)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 암(48A, 48B)과, 상기한 캐리어 로드(23, 25)는 그 양단에 회전가능 장착용 구멍을 형성한 연결 로드(51A, 51B)가 각각 연결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캐리어 로드(23, 25)에 형성된 회전가능 장착용 구멍과, 암(48A, 48B)에 형성된 회전가능 장착용 구멍에는, 추축으로서 기능하는 연결핀(52A, 52B)이 각각 삽입됨으로써, 각 암(48A, 48B)의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를 구성한다.
이에 대하여, 각 연결 로드(51A, 51B)의 상기 타단은 캐리어 로드(23, 25)의 회전가능 장착용 구멍에 각각 연결되어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연결 로드(51)의 타단에 형성되는 회전가능 장착용 구멍과, 각 암(48A, 48B)의 회전가능 장착용 구멍에는, 상기와 마찬가지로, 추축으로서 기능하는 연결핀(38A, 38B)이 삽입되어,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에서의 회전가능 장착부(27A, 27B)를 구성한다.
이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변사(3, 3)를 안내하는 실 가이드(32)를 가지며, 그 운동 방향이 변사 개구 방향으로 규제되는 2개의 지지체는 힐드(22), 캐리어 로드(23, 24), 및 슬라이드 가이드(28A)로 이루어지는 제1 지지체(20), 및 힐드(22), 캐리어 로드(25, 26), 및 슬라이드 가이드(28B)로 이루어지는 제2 지지 체(21)가 그에 대응하고, 직기 주축 모터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정역 구동되는 구동 모터는 펄스 모터(33)가 그에 대응한다. 그리고,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지지체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는 제1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5)와, 제2 기어로서 기능하고,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를 가지는 기어(36)와, 제1 기어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맞물리는 제3 기어에 형성되고, 제3 기어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제2 회전가능 장착부인 회전가능 장착부(53B)와, 또한 지지체마다 설치되고, 그 일단이 대응하는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고, 상기 타단이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및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로드인 연결 로드(51A, 51B)가 그에 대응한다.
그런데,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에서는, 상기 펄스 모터(33)는 그 출력축(34)을 직기 주축(크랭크축)이 수 회전할 때마다, 정회전 방향 및 역전 방향으로 교대로 소정량 회전시킨다. 출력축(34)의 정역 회전은 운동 변환 기구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는, 출력축에 장착되는 제1 기어를 거쳐, 이에 맞물리는 제2 기어(36) 및 제3 기어(37)에 전달되고, 또한 기어(36, 37)의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의 요동 운동이, 이들에 연결되는 연결 로드(51A) 및 연결 로드(51B)를 통해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에 왕복 운동으로서 전달된다. 연결 로드(51A, 51B)에 연결되는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는 그 운동 방향이 변사 개구 방향으로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펄스 모터(33)의 출력축의 회전은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된다.
그리고, 펄스 모터(33)는, 예를 들면, 각도적으로 수°의 스텝 각도를 가지는 스텝 모터로 구성되거나, 또는 회전량을 제어할 수 있는 공지의 모터로 구성된다. 펄스 모터(33)는, 예를 들면, 직기 주축이 소정 각도를 통과했을 때 발생되는 타이밍 신호를 카운트하는 동시에, 그 카운트수에 따라 펄스 모터(33)에 대한 정회전 방향 또는 역전 방향으로 구동하기 위한 회전량 지령 펄스를 교대로 발생시키는 제어 회로(도시하지 않음)에 접속되고, 이와 같은 제어 회로로부터의 지령에 대응하여, 펄스 모터(33)는 구동된다.
도 2에는, 출력축(34)의 정역 방향의 회전에 따르는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의 각 운동 범위를, 부호 P1∼P3, Q1∼Q3을 부여하여 각각 도시하고 있다. 도시한 예에서는, 펄스 모터(33)의 회전 구동에 따르는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의 운동 범위 각도 θ1이 대략 90°인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또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가 부호 P1, P2 및 P3의 각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 있어서의 실 가이드(32)의 위치를 S1, S2 및 S3의 각 부호를 부여하여 도시한다. 그리고, 실 가이드(32)의 위치 S1은 이른바 변 개구 공정의 중간 위치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른바 변사 개구의 기준 높이에 상당하고, 실 가이드(32)의 위치 S2와 위치 S3 사이의 거리는 이른바 변사의 개구량에 상당한다.
상기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에서는, 직기의 수 회전마다 변사의 개구 상태를 반전시킨다. 이에 대하여, 직기 상에서는, 경사 개구 운동(shedding motion)에 의해 형성된 위사(緯絲) 비주로(飛走路) 내에 위사를 피킹(picking)하여 바디침 운동(beating motion)을 실행함으로써, 직포(4)가 형성되고, 변사(3, 3) 및 위사에 의해 변 조직이 직포(4)의 양단에 형성된다.
이와 같은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는 경사 주행 방향에 대한 장착 위치에 대하여, 위사 비주에 지장이 없는 위치에 있으면 된다. 도시한 예에서는, 변사 개구량을 매우 작게 하기 위해, 직기 전방으로부터 보아 최선두열의 제1 경사 종광틀(7)의 위치보다 전방에 배치하고 있지만, 최종열의 경사 종광틀의 위치보다 후방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는 직포의 사양 변경에 대응하여, 직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를 구성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홀더 블록(12, 13)을 통해 좌우 한 쌍의 직기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가설되는 진동 방지 스테이(9)에 장착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홀더 블록(12, 13)은 진동 방지 스테이(9)를 상하 방향으로부터 끼우도록 배치된다. 홀더 블록(12, 13)은 베이스 플레이트(10)의 정면에 볼트(15)를 통해 고착되는 한편, 홀더 블록(12)에는, 진동 방지 스테이(9) 측을 향해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이것에 나사 삽입되는 볼트(14)에 의해 진동 방지 스테이(9)에 대하여 고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볼트(14)를 느슨하게 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0) 즉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를 진동 방지 스테이(9)에 따르게 하면서 직포(4)의 폭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어, 이와 같은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1)는 직폭 방향으로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른바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를 가지는 종동 기어가 크랭크핀으로서, 그 운동이 변사 개구 방 향으로만 규제된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가 피스톤으로서,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와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를 각각 연결하는 연결 로드(51A) 및 연결 로드(51B)는 크랭크 로드로서 각각 대응하고, 이들은 이른바 피스톤ㆍ크랭크 기구를 구성하고 있으며, 구동 모터의 회전은 제1 기어(35)를 통해 상기 종동 기어인 기어(36, 37)에 전달되어, 제1 지지체(20) 및 제2 지지체(21)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됨으로써, 제1 변사용 종광과 제2 변사용 종광이 서로 역방향으로 왕복 구동되어 변사 개구 운동이 수행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측인 제1 기어로서의 기어(35)와, 종동 측인 추축을 가지는 제2 기어로서의 기어(36)와의 맞물림 위치(위상)를 어긋나게 함으로써, 변사 개구의 기준 높이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기어(35)를 고정시키고 있는 육각 구멍을 가진 볼트(19)를 느슨하게 함으로써, 출력축(34)으로부터 기어(35)를 축단 측으로 이동시켜 2개의 기어의 맞물림을 해제하여, 맞물림 위상을 어긋나게 할 수 있다.
또, 구동 측인 제1 기어와 종동 측 기어인 제2 기어, 및 제1 기어와 제3 기어에 대하여 기어비가 상이한 기어로 치환함으로써, 변사 개구량을 변경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기어로서의 기어(35)를 교환하는 데는 상기 방법에 의해 출력축(34)으로의 탈착이 가능하며, 또 제2 및 제3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6, 37)를 치환하는 경우에는, 이탈 방지용의 스냅링(44)을 분리함으로써, 지지축(40A, 40B)으로부터 기어(36, 37)를, 베어링 부재(46)를 해당 기어에 장착한 채 착탈할 수 있다.
또, 직물 사양의 변경에 따라, 변사 개수 또는 변사 개수를 증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 변사 장력의 증가에 대응하여, 예를 들면, 기어(35)와 기어(36) 및 기어(37) 사이에서의 전달 기어비를 크게 하기 위해, 상기 방법에 의해, 해당 기어를 적절한 잇수의 기어로 교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에 대한 운전 조건을 원하는 상태로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변형예를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이하에 나타내는 도면에 대하여, 상기 설명한 도면과 기능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한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기어 및 제3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6) 및 기어(37)에, 출력축(34)의 회전을 종동 측에 전달하는 기어, 즉 제1 기어 및 제4 기어로서 실질적으로 기능하는 기어에 대하여, 1개의 기어(35)로 구성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측의 기어를 1개의 기어로 공용하는 대신, 구동계마다 개별적으로 전달하는 복수개의 기어를 설치해도 된다. 도 5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제2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6)에 대하여 회전 중심을 공유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제3 기어인 기어(37)가 배치되어 있고, 기어(37)에 대하여 단지 맞물려져 제4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55)를 기어(35)보다 축단 방향으로 연장된 출력축(34)에 같은 축에 설치한 예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는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가, 대응하는 기어(36, 37)의 회전 중심(36a, 37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 L1, L0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 즉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예이며, 또 기어(36) 및 기 어(37)의 회전 중심(36a, 37a)이 기어(35) 외주단의 접선(接線)으로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상기 기어(35)에 관한 2개의 접선 L5, L6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기어(36) 및 기어(37)가 설치된 예(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예는 각 기어(36, 37)의 회전 중심(36a, 37a)이 기어(35)의 회전 중심(35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가상 직선과 동일 선상에 있는 예)이기도 하다.
또, 도시한 예에서는, 기어(35, 55)와, 기어(36, 37)는 모두 동일한 직경이며 잇수가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각 구동계에서 기어의 외경 즉 잇수가 상이하도록 기어를 조합하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제1 지지체(20)와 제2 지지체(21)와의 운동량, 즉 변사 개구량을 지지체마다 상이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도 5의 예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펄스 모터(33)의 출력축 또는 제2 및 제3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6), 기어(37)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구동축과 종동 측의 지지축과의 축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된다. 도 14에는, 상기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펄스 모터(33)의 장착 위치, 및 지지축(40A, 40B)의 위치를 축간 거리가 변화되는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를 그 대표예로서 나타낸다. 도 14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10)는 펄스 모터(33)의 출력축(34)에서의 위치 조정 범위에 걸쳐, 간섭하지 않도록 노치부(62)가 형성되는 한편, 펄스 모터(33)를 고정하기 위한 나사 구멍(17)에 대신하여 위치 조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긴 구멍(60)이 형성되어 있고, 펄 스 모터(33)는 출력축(34)에 장착되는 기어(도시하지 않음)를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장착부 및 상기 긴 구멍(60)에 삽입되는 볼트(63) 및 너트(도시하지 않음)를 체결시켜 베이스 플레이트(10)에 조립된다.
이에 대하여, 지지축(40A) 및 지지축(40B) 측에서 축간 거리를 변경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10)에는, 지지축(40A) 및 지지축(40B)의 장착용 나사 구멍(18A, 18B)을 형성하는 대신, 맞물리는 기어의 중심 위치 방향을 따라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긴 구멍(61A, 61B)이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5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40A, 40B)은 제1 실시예에 대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0)를 관통하고, 또한 돌출하여 연장되는 나사부(41)가 형성되어 있고, 지지축(40A) 및 지지축(40B)은 상기 긴 구멍(61A, 61B)에 삽입되고, 장착되는 기어를 서로 맞물리게 한 상태에서, 나사부(41)에 베이스 플레이트(10)를 끼우도록 너트(64)를 체결함으로써, 지지축(40A, 40B)은 베이스 플레이트(10)에 대하여 고정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펄스 모터(33), 지지축(40A, 40B) 양쪽의 장착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한 예이지만, 베이스 플레이트(10)를 펄스 모터(33) 측에만 또는 지지축(40A, 40B) 측에만 위치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제2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기어(37)를 회전시키기 위해, 출력축(34)의 회전 운동을 이것에 장착되는 기어(35)를 통해 전달하고 있지만, 이와 같은 전달 기어의 배치를 생략해도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5)를 제2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 어(36)와 대략 동일 직경(잇수가 대략 동일 또는 가까운 값)으로 구성하고, 기어(35)에 대하여 그 회전 중심으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를 배치하고, 연결 로드(51B)를 그 회전가능 장착부(53B)에 연결하면 된다. 이에 따르면, 기어의 개수가 감소되는 만큼, 이른바 구동계의 관성량이 감소하기 때문에, 펄스 모터(33)의 구동 토크를 작게 할 수 있어, 보다 에너지가 절약된다. 그리고, 이 예에 대하여,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가,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36a, 35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 L1, L0에 대하여 각각 같은 쪽(즉, 가상 직선 L1, L0을 경계로 하는 양측 중 같은 쪽,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지면을 향해 우측)에 설치된 예이다. 또, 기어(35) 외주단의 접선으로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상기 기어(35)에 관한 2개의 접선 L5, L6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기어(36)가 설치된 예(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예는 각 기어(36)의 회전 중심(36a)이 기어(35)의 회전 중심(35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가상 직선과 동일 선상에 있는 예)이기도 하다.
상기 도 1∼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서는, 기어(36, 37)의 각 회전 중심과 펄스 모터(33)의 회전 중심이 삼각형의 정점(頂点)을 이루도록 배치된 예이지만, 펄스 모터(33)의 회전 중심 위치를 기어(36)의 회전 중심과 기어(37)의 회전 중심을 연결하는 동일 선상에 배치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35)에 대하여 변사 개구 방향의 가상 직선에 대하여 상하에, 기어(36) 및 기어(37)를 기어(35)에 맞물릴 수 있도록 배치한 예를 나타낸다. 그 리고,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가, 대응하는 기어(36, 37)의 회전 중심(36a, 37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 L1, L0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 즉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예이며, 또, 기어(36) 및 기어(37)의 회전 중심(36a, 37a)이 기어(35)의 외주단의 접선으로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상기 기어(35)에 관한 2개의 접선 L5, L6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기어(36) 및 기어(37)가 설치된 예(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시한 예는 각 기어(36, 37)의 회전 중심(36a, 37a)이 기어(35)의 회전 중심(35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가상 직선과 동일 선상에 있는 예)이기도 하다. 이와 같은 배치에 의해,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와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가 상대적으로 근접하도록 배치되게 된다.
도 7에 대하여, 기어(36) 및 기어(37)를 기어(35)에 대하여 맞물림 가능하게, 또한 기어(35)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외주 방향으로 각도적으로 어긋난 장소에 위치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도 8에는, 그와 같은 실시예를 나타낸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어(36) 및 기어(37)는 기어(35)에 대하여 맞물린 상태에서, 기어(35)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각도 θ1 및 각도 θ2로 각도가 어긋난 위치에 설치된 예이며, 바꿔 말하면, 기어(36) 및 기어(37)는 상기 기어의 회전 중심(36a, 37a)이 기어(35)의 회전 중심(35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과 평행한 가상 직선 L7에 대하여 각각 교차 각도 θ3을 이루는 동시에 기어(35)의 회전 중심(36a)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 L8, L9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보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중심(35a)과 기어(36)의 회전 중심(36a)을 통과하 는 가상 직선 L21에 대하여, 가상 직선 L7과의 교차 각도 θ1로 하고, 또 회전 중심(35a)과 기어(37)의 회전 중심(37a)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 L22에 대하여, 가상 직선 L7과의 교차 각도 θ2로 하고, 교차 각도 θ1 및 θ2의 어느 쪽에 대해서도, 각도 θ3보다 작아지는 위치에, 기어(36, 37)가 각각 배치되는) 예이며, 바람직한 각도 θ3에 대하여, 구체적으로는 45도이다. 또한, 이 실시예는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가, 대응하는 기어(36, 37)의 회전 중심(36a, 37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 L1, L0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 즉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예이기도 하다. 또, 이 실시예는 기어(37)의 회전 중심(37a)과 회전가능 장착부(53B)가 가상 직선 LO을 사이에 두도록 위치된 예이며, 이와 같이함으로써, 기어(37)의 구동 시에 있어서의 연결 로드(51B)의 각도 변화가 보다 감소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왕복 운동으로 변환 가능하다.
또,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36) 및 기어(37)는 대응하는 2개 기어의 회전 중심(36a, 37a)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 L10이 변사 개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53B)가,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36a, 36b)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L11, L12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예이며, 또,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가, 대응하는 기어(36, 37)의 회전 중심(36a, 37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 L11, L12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 즉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예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어(36, 37)의 회전 시에 있어서의 연결 로드(51A, 51B)의 각도 변화가 보다 감소되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왕복 운동으로 변환 가능하다.
또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36) 및 기어(37)를 모두 회전 중심을 공유하도록 회전 축선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제1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5)에 대하여, 치면 부분을 축선 방향으로 연장시켜 형성하고, 기어(36) 및 기어(37)에 모두 맞물리도록 한 예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는 제1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가, 대응하는 기어(36, 37)의 회전 중심(36a, 37a)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 L1, L0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 즉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예이며, 또, 기어(36) 및 기어(37)의 회전 중심(36a, 37a)이 기어(35) 외주단의 접선으로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상기 기어(35)에 관한 2개의 접선 L5, L6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기어(36) 및 기어(37)가 설치된 예이기도 하다.
상기한 실시예는 모두, 각 기어를 평(平)기어로 구성한 예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기어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 나타낸 예에서는, 펄스 모터(33)의 출력축(34) 방향을 변사 개구 방향으로 향하게 하고, 출력축에 입체적인 기어인 베벨 기어(bevel gear)를 치면이 하향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또한 기어(36)와 기어(37)를 기어(35)와 동일한 베벨 기어로 구성하고, 각 기어의 회전 축선이 교차하도록, 또한 기어(36)와 기어(37)의 회전 중심 위치가 모두 공유되도록 배치된 예이다. 이와 같이,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각 기어의 회전 중 심(회전 축선)이 공유되도록 기어를 배치함으로써, 상기와 마찬가지로, 운동 시에 있어서의 연결 로드(51A, 51B)의 각도적인 변위량이 감소되기 때문에, 펄스 모터(33)의 회전 운동이 보다 효율적으로, 실 가이드(32)를 가지는 지지체(20, 21)의 왕복 운동으로 효율적으로 변환되기 때문에, 펄스 모터(33)의 구동 토크가 적어지게 되므로, 에너지가 절약된다.
또한,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제1 실시예에서는, 제3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7)를 구동하기 위해, 제1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35)를 사용하고, 제2 기어 사이에서 모두 공용하는 예이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어(36)와 일체로 회전되는 회전축(59)에 장착된 제4 기어로서 기능하는 기어(56)를 설치하고, 이것을 기어(37)와 맞물리게 하여 구동함으로써, 출력축(34)의 회전을 받아 회전되는 기어(56)를 통해 기어(37)를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와 같은 간접적으로 회전을 전달하는 복수개의 기어(56, 57)를 설치하고, 기어(57)와 일체인 기어(37)에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연결 로드(51A, 51B)와, 암(48A, 48B) 및 캐리어 로드(23, 25)를 연결하는 회전가능 장착부(53A, 53B) 및 회전가능 장착부(27A, 27B)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연결용 구멍과 연결핀(52A, 52B) 등을 사용하여 연결하는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하는 한쪽의 부재에 추축을 형성하고, 이것에 다른 쪽의 부재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이외의 공지의 회전 가능 장착 구조를 채용하면 된다.
본 발명은 에어 제트 직기 등의 유체 분사식 직기에 한정되지 않고, 래피어 직기(rapier loom)나 프로젝타일 직기(projectile loom) 등 북이 없는 다른 직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변사(selvage yarn)를 안내하는 실 가이드를 가지며, 그 운동 방향이 변사 개구(開口) 방향으로 규제되는 2개의 지지체와,
    직기(織機) 주축 모터와는 별개로 설치되어 정역(正逆) 구동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운동을 상기 지지체의 왕복 운동으로 변환하는 운동 변환 기구를 가지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selvage-forming device)에 있어서,
    상기 운동 변환 기구는,
    상기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는 제1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와 맞물리고,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제1 회전가능 장착부를 가지는 제2 기어와,
    상기 제1 기어에 대하여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리는 제3 기어 또는 상기 제1 기어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제2 회전가능 장착부로서 회전 중심에 대하여 반경 방향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와,
    상기 지지체마다 설치되고, 그 일단이 대응하는 상기 지지체와 연결되고, 그 타단이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에 각각 연결되는 연결 로드를 구비한,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는 상기 제1 기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기어 및 제1 기어에는,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가,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假想)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에 대하여 각각 같은 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가능 장착부는 상기 제3 기어에 설치되고,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에는,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가,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으로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 중 대응하는 가상 직선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는,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이, 상기 제1 기어 외주단(外周端)의 접선(接線)으로서 변사 개구 방향과 평행한 상기 제1 기어에 관한 2개의 접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는,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이,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과 평행한 가상 직선에 대하여 각각 ±45도의 교차 각도를 이루고, 상기 제1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다른 2개의 가상 직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는, 대응하는 2개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는 가상 직선이 변사 개구 방향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 회전가능 장착부 및 제2 회전가능 장착부는, 대응하는 기어의 회전 중심을 통과하고 또한 변사 개구 방향과 평행한 2개의 가상 직선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 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어는 구동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제4 기어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는, 상기 제1 기어, 제2 기어 및 제3 기어 중 어 느 하나의 회전 중심 위치가, 맞물리는 상기 다른 쪽 기어의 회전 중심에 대하여 상대적인 위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KR1020060038085A 2005-06-06 2006-04-27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KR2006012773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64908 2005-06-06
JP2005164908A JP4718248B2 (ja) 2005-06-06 2005-06-06 耳織成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739A true KR20060127739A (ko) 2006-12-13

Family

ID=36950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38085A KR20060127739A (ko) 2005-06-06 2006-04-27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1731640B1 (ko)
JP (1) JP4718248B2 (ko)
KR (1) KR20060127739A (ko)
CN (1) CN18769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7227A (zh) * 2018-11-15 2019-01-04 青岛东佳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喷气织机的机械折入边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17768A3 (fr) * 2007-09-26 2009-06-02 Toyota Jidoshokki Kk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en utilisant des fils de lisiere dans un metier a tisser.
JP2014015699A (ja) * 2012-06-12 2014-01-30 Tsudakoma Corp 織機の耳形成装置
JP5884792B2 (ja) * 2013-08-27 2016-03-1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捨耳用開口装置
CN103924354B (zh) * 2014-03-27 2015-05-27 经纬纺织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联动式边组织开口机构
BE1024912B1 (nl) 2017-01-13 2018-08-16 VAN DE WIELE Michel NV Zelfkantinrichting
JP7518035B2 (ja) 2021-05-10 2024-07-17 津田駒工業株式会社 織機の耳糸開口装置
KR102585133B1 (ko) * 2021-08-05 2023-10-04 도준석 레노종광 직기의 개구운동 왕복안내장치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48383Y2 (ja) * 1978-04-10 1983-11-0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織機の開口装置
BE1009375A6 (nl) * 1995-05-29 1997-02-04 Picanol Nv Kanteninrichting voor weefmachines.
JPH09268450A (ja) * 1996-01-29 1997-10-14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織機における捨耳形成方法及び装置
BE1010014A3 (nl) * 1996-02-09 1997-11-04 Picanol Nv Kanteninrichting voor een weefmachine.
IT1293618B1 (it) * 1997-07-17 1999-03-08 Vamatex Nuova Spa Dispositivo di comando per la legatura a giro inglese in telai di tessitura
JP2004300637A (ja) * 2003-03-31 2004-10-28 Toyota Industries Corp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JP3994905B2 (ja) * 2003-04-08 2007-10-24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織機における耳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137227A (zh) * 2018-11-15 2019-01-04 青岛东佳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喷气织机的机械折入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31640B1 (en) 2011-08-10
JP2006336171A (ja) 2006-12-14
CN1876915B (zh) 2010-09-08
CN1876915A (zh) 2006-12-13
EP1731640A2 (en) 2006-12-13
EP1731640A3 (en) 2010-02-03
JP4718248B2 (ja) 2011-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27739A (ko) 직기용 변부 형성 장치
CN1847700B (zh) 把输入轴第一旋转运动调节成输出轴第二旋转运动的装置
EP1602760A2 (en) Beating device for loom
CN111793875B (zh) 梭口形成装置和包括所述装置的提花织机
JP2004339655A (ja) 織機の開口装置
US4784005A (en) Crank drive having four spacially extending axes intersecting in one point
CN103422214B (zh) 梭口成型装置及安装有该装置的织布机
KR100517042B1 (ko)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US4353396A (en) Device for forming a selvedge in a loom
EP1741816B1 (en) Device for driving a weaving frame in a weaving machine and a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one or several such devices
EP2937451A1 (en) Easing roller retracting device for loom
CN105463660A (zh) 直驱式积极凸轮开口机构
EP0896075B1 (en) Weft yarn presenting device for weaving looms
EP3440248B1 (en) Jacquard machine with innovative drive system
EP1748095A2 (en) Rapier driving device in rapier loom
SU644395A3 (ru) Привод ремиз к ткацкому станку
RU70897U1 (ru) Привод ремизных рам ткацкого станка для производства тяжелых технических тканей
FR2557600A1 (fr) Metier a tisser a zones de tissage multiples
CN115369553B (zh) 一种圆织机的变动程打纬装置及圆织机
CN211171077U (zh) 一种用于广角布剑杆织机的打纬机构
JP2010281018A (ja) 織機のカム開口装置
CN101858009A (zh) 织机的织造相关装置用的驱动机构
US7484536B2 (en) Dobby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tions of at least one weaving frame of a weaving machine, and a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such a dobby device
KR200289085Y1 (ko) 워터제트직기용 크랭크어셈블리
CN101906690A (zh) 织机的开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