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17042B1 -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 Google Patents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17042B1
KR100517042B1 KR10-2004-0002166A KR20040002166A KR100517042B1 KR 100517042 B1 KR100517042 B1 KR 100517042B1 KR 20040002166 A KR20040002166 A KR 20040002166A KR 100517042 B1 KR100517042 B1 KR 100517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warp
wheel
dietary
hea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7860A (ko
Inventor
이시까와히로히꼬
김바라마사히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 지도숏키
Publication of KR20040087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78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17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170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42F1/02Paper-clips or like fastener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CSHEDDING MECHANISMS; PATTERN CARDS OR CHAINS; PUNCHING OF CARDS; DESIGNING PATTERNS
    • D03C11/00Selvedge shedding mechanisms not forming part of main shedding mechanism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23/00Advertising on or in specific articles, e.g. ashtrays, letter-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0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 B42P2201/08Books or filing appliances for special documents or for special purposes for stationery, e.g. writing paper, envel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6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information carrying means, e.g. advertis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08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odors or frag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PINDEXING SCHEME RELATING TO BOOKS, FILING APPLIANCES OR THE LIKE
    • B42P2221/0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B42P2221/10Books or filing applianc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with tools for inserting sheets, e.g. labels into pock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ooms (AREA)

Abstract

직기의 고속화를 방해하지 않고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식서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동모터 (17) 에 의해 왕복회전되는 휠 (18) 의 동력전달톱니 (181) 에는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의 동력수용구멍 (231, 241) 이 맞물려 있다. 제 1 밴드 (23) 와 휠 (18) 의 맞물림위치는 제 1 위치규제체 (19) 에 의해 규제되고, 제 2 밴드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는 제 2 위치규제체 (20) 에 의해 규제된다. 밴드 (23, 24) 의 일부는 가이드레일 (22) 의 안내홈 (221, 222) 에 삽입되어 있다. 밴드 (23) 는 래치아암 (25, 26) 을 통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11) 을 지지하고, 밴드 (24) 는 래치아암 (27, 28) 을 통해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을 지지하고 있다.

Description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SELVAGE FORMATION DEVICE IN LOOM}
본 발명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동작에 의거하여 식서를 형성하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동작에 의거하여 식서를 형성하는 식서형성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식서형성장치에서는, 전동모터에 의해 2차원 크랭크기구를 구동시키고, 2차원 크랭크기구의 구동에 의해 1쌍의 실 가이드요소를 왕복직선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2차원 크랭크기구는 전동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된 레버와, 레버의 양단부에 연결된 1쌍의 링크로 이루어진다. 1쌍의 링크는 1쌍의 실 가이드요소에 1대1로 연결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표공보 평10-503563호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이 클수록 위사(緯絲:씨실)의 위입(緯入)을 원활하게 실행하기 쉽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장치에서 최대의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을 크게 하려고 하면, 레버의 회전반경 (즉, 레버의 회전중심축선으로부터 레버와 링크의 연결위치에 이르는 거리) 을 크게 할 필요가 있다. 레버의 회전반경을 크게 하면 레버를 회전하기 위해 필요한 토크가 커지고, 전동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된다. 이것은 전동모터를 고속으로 동작시키는 것을 어렵게 하여, 직기의 고속화에 방해가 된다.
본 발명은 직기의 고속화를 방해하지 않고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식서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동작에 의거하여 식서를 형성하는 식서형성장치를 대상으로 하고, 청구항 1 의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지지하고, 복수의 동력수용구멍을 나열하여 형성한 휨변형 가능한 제 1 밴드와, 상기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지지하고, 복수의 동력수용구멍을 나열하여 형성한 휨변형 가능한 제 2 밴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동력수용구멍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동력전달톱니를 갖는 휠을 구비한 식서형성장치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동력수용구멍과 상기 동력전달톱니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휨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휠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켰다.
청구항 2 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톱니와 상기 동력수용구멍의 맞물림위치에서 분리됨에 따라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접근시켜 가고, 이어서 상기 제 1 밴드의 일부와 제 2 밴드의 일부를 인접시켜 평행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한 식서형성장치를 구성하였다.
청구항 1 및 청구항 2 의 발명에서는, 최대의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은, 왕복회전되는 휠의 편도회전량을 늘림으로써 크게 할 수 있다. 휠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는 휠의 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고, 게다가 휠과 맞물리는 휨변형 가능한 밴드는 그 두께를 작게 하여 경량으로 할 수 있다. 경량인 밴드의 채용은 휠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의 저감에 유효하다.
청구항 3 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2 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와 상기 휠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 1 밴드에 접하는 제 1 위치규제체와, 상기 제 1 밴드와 상기 휠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 2 밴드에 접하는 제 2 위치규제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를 서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1쌍의 안내홈을 갖는 제 3 위치규제체를 구비한 상기 안내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1쌍의 안내홈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 부분에 연결체를 각각 고정장착함과 동시에, 일방의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장착하고, 타방의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장착하였다.
제 1 위치규제체는 제 1 밴드와 휠의 맞물림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제 2 위치규제체는 제 2 밴드와 휠의 맞물림을 확실한 것으로 한다. 제 3 위치규제체는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서로 평행상태에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도록 안내한다. 제 1 및 제 2 밴드는 제 1 및 제 2 밴드와 휠의 맞물림 위치부터 안내홈에 이르는 경로에서 휨변형된다.
청구항 4 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3 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규제체에 상기 제 1 밴드에 접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위치규제체에 상기 제 2 밴드에 접하는 가이드면을 형성하며, 상기 각 가이드면은 상기 휠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하여 서로 대향시켰다.
볼록형상의 가이드면은 제 1 및 제 2 밴드와 휠의 맞물림위치부터 안내홈에 이르는 제 1 및 제 2 밴드의 휨변형된 형상을 적정한 형상으로 조정한다.
청구항 5 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을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하였다.
전동모터는 휠을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바람직하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을 식서형성용 개구장치에 구체화한 제 1 실시형태를 도 1∼도 4 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및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은, 왕복구동기구 (13) 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된다.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이동경로는 상하로 연장되는 서로 평행한 왕복구동 경로이다.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에 통과된 식서제작용 날실 (14)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에 통과된 식서제작용 날실 (15) 은 위입된 위사 (도시생략) 를 사이에 끼워 식서 (We) 를 형성한다.
도 3 및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복구동기구 (13) 를 구성하는 박스 (16) 의 내벽 (161) 에는 전동모터 (17) 가 장착되어 있다. 박스 (16) 의 상부와 하부는 개방되어 있다. 전동모터 (17) 의 출력축 (171) 은 내벽 (161) 을 관통하여 박스 (16) 내로 돌출되어 있다. 출력축 (171) 의 축방향은 위사의 위입방향과 대략 일치한다. 출력축 (171) 의 돌출 단부는 박스 (16) 의 외벽 (162)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박스 (16) 내에 있어서, 출력축 (171) 에는 휠 (18) 이 고정장착되어 있다. 휠 (18) 의 외주에는 복수의 동력전달톱니 (181) 가 설치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 (16) 의 외벽 (162) 의 내면에는 제 1 위치규제체 (19) 및 제 2 위치규제체 (20)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제 1 위치규제체 (19) 와 제 2 위치규제체 (20) 는 휠 (18) 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다. 박스 (16) 의 외벽 (162) 의 내면에는 장착체 (21)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장착체 (21) 는 제 1 위치규제체 (19) 와 제 2 위치규제체 (20)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장착체 (21) 는 제 1 위치규제체 (19) 와 제 2 위치규제체 (20) 의 대향면 (191, 201) 에서 이간되어 있다.
대향면 (191, 201) 은 휠 (18) 측을 향하여 볼록한 가이드 곡면 (193, 203) 과, 가이드 곡면 (193, 203) 에 매끄럽게 연결되는 가이드 평면 (194, 204) 으로 이루어진다. 대향면 (191, 201) 은 휠 (18) 측을 향하여 볼록하고 서로 대향되어 있다. 가이드 평면 (194, 204) 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확장되도록 휠 (18) 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고, 가이드 곡면 (193, 203) 은 상방을 향함에 따라 확장되도록 장착체 (21) 를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다. 가이드 평면 (194, 204) 은 각도 α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 곡면 (193, 203) 은 원호곡면이다.
장착체 (21) 에는 가이드레일 (22) 이 아래로 드리워진 상태로 고정장착되어 있다. 도 2(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 (22) 에는 1쌍의 안내홈 (221, 222) 이 서로 등을 맞대고 형성되어 있다. 안내홈 (221, 222) 은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왕복구동 경로와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인접해 있다. 안내홈 (221) 은 직기의 앞측 (도 1 및 도 2 에서 우측이 직기의 앞측, 좌측이 직기의 후측) 으로 노출되어 있고, 안내홈 (222) 은 직기의 후측으로 노출되어 있다.
안내홈 (221) 에는 휨변형 가능한 제 1 밴드 (23) 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고, 안내홈 (222) 에는 휨변형 가능한 제 2 밴드 (24) 의 일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즉, 안내홈 (221, 222) 내의 제 1 밴드 (23) 부분 및 제 2 밴드 (24) 부분은,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왕복구동 경로와 평행하게 왕복구동하도록 인접해 있다.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는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제이다.
제 1 밴드 (23) 는 휨변형된 상태로 장착체 (21) 와 제 1 위치규제체 (19) 의 대향면 (191) 의 간극을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2 밴드 (24) 는 휨변형된 상태로 장착체 (21) 와 제 2 위치규제체 (20) 의 대향면 (201) 의 간극을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또한 제 1 밴드 (23) 는 휠 (18) 과 제 1 위치규제체 (19) 의 대향면 (191) 사이를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제 2 밴드는 휠 (18) 과 제 2 위치규제체 (20) 의 대향면 (201) 사이를 지나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에는 복수의 동력수용구멍 (231, 241) 이 나열하여 형성되어 있다. 동력수용구멍 (231, 241) 에는 동력전달톱니 (181) 가 맞물려 있다. 즉,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는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의 동력수용구멍 (231, 241) 과 동력전달톱니 (181) 를 맞물리도록 휨변형된 상태에서 휠 (18) 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어 있다.
제 1 밴드 (23) 의 동력수용구멍 (231) 과 동력전달톱니 (181) 의 맞물림 위치에 있어서, 제 1 위치규제체 (19) 의 대향면 (191 ; 가이드 평면 (194)) 에는 도피홈 (19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2 밴드 (24) 의 동력수용구멍 (241) 과 동력전달톱니 (181) 의 맞물림위치에 있어서, 제 2 위치규제체 (20) 의 대향면 (201 ; 가이드 평면 (204)) 에는 도피홈 (202) 이 형성되어 있다. 제 1 밴드 (23) 의 동력수용구멍 (231) 에 맞물려 있는 동력전달톱니 (181) 는 도피홈 (192) 내에 들어가 있고, 제 2 밴드 (24) 의 동력수용구멍 (241) 에 맞물려 있는 동력전달톱니 (181) 는 도피홈 (202) 내에 들어가 있다. 이에 의해 제 1 위치규제체 (19) 및 제 2 위치규제체 (20) 와 동력전달톱니 (181) 가 간섭되는 경우는 없다.
또한, 이하에서는 동력수용구멍 (231, 241) 과 동력전달톱니 (181) 의 맞물림 위치를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로 하는 경우도 있다.
제 1 밴드 (23) 에는 1쌍의 래치아암 (25, 26) 이 고정장착되어 있고, 제 2 밴드 (24) 에는 1쌍의 래치아암 (27, 28) 이 고정장착되어 있다. 연결체로서의 1쌍의 래치아암 (25, 26) 에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이 래치 지지되어 있고, 연결체로서의 1쌍의 래치아암 (27, 28) 에는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이 래치 지지되어 있다. 즉, 제 1 밴드 (23) 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을 지지하고, 제 2 밴드 (24) 는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을 지지하고 있다.
다음으로 제 1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동모터 (17) 의 출력축 (171) 이 왕복회전하여, 휠 (18) 이 왕복회전한다. 휠 (18) 의 왕복회전은 동력전달톱니 (181) 와 동력수용구멍 (231, 241) 의 맞물림을 통해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가 안내홈 (221, 222) 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한다. 제 1 밴드 (23) 는 가이드면으로서의 대향면 (191 ; 가이드 곡면 (193) 및 가이드 평면 (194))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왕복구동하고, 제 2 밴드 (24) 는 가이드면으로서의 대향면 (201 ; 가이드 곡면 (203) 및 가이드 평면 (204)) 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왕복구동한다. 즉, 제 1 위치규제체 (19) 는 제 1 밴드 (23)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제 1 밴드 (23) 에 접하고, 제 2 위치규제체 (20) 는 제 2 밴드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제 2 밴드 (24) 에 접한다.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가 안내홈 (221, 222) 내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하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및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한다. 이에 의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에 통과된 식서제작용 날실 (14 ; 도 1 참조)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에 통과된 식서제작용 날실 (15 ; 도 1 참조) 이 위입된 위사 (도시생략) 를 사이에 끼워 식서 (We ; 도 1 참조) 를 형성한다.
가이드레일 (22) 은 서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1쌍의 안내홈 (221, 222) 을 갖는 제 3 위치규제체이다. 제 1 위치규제체 (19), 제 2 위치규제체 (20) 및 가이드레일 (22) 은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성한다. 이 안내수단은 동력전달톱니 (181) 와 동력수용구멍 (231, 241) 의 맞물림 위치에서 분리됨에 따라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를 접근시켜 간다. 이어서 안내수단은 제 1 밴드 (23) 의 일부와 제 2 밴드 (24) 의 일부를 인접시켜 평행하게 되도록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를 안내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1) 휠 (18) 을 왕복회전시키면,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가 휨변형된 상태에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고,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한다. 최대의 식서제작 날실용 개구량은, 왕복회전되는 휠 (18) 의 편도회전량을 늘림으로써 적절하게 크게 할 수 있다. 휠 (18) 의 편도회전량이란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을 왕동(往動) 또는 복동 (復動) 의 1 스트로크 만큼만 이동시키기 위한 휠 (18) 의 회전량을 말한다. 휠 (18) 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는 휠 (18) 의 반경을 작게 함으로써 작게 할 수 있고, 게다가 휠 (18) 과 맞물리는 휨변형 가능한 밴드 (23, 24) 는 그 두께를 작게 하여 경량으로 할 수 있다. 경량의 밴드 (23, 24) 의 채용은 휠 (18) 을 회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토크의 저감에 유효하다.
(1-2) 휠 (18) 의 동력전달톱니 (181) 가 도피홈 (192, 202) 에 들어가 있는 상태에서는 동력전달톱니 (181) 가 밴드 (23, 24) 의 동력수용구멍 (231, 241) 에 맞물려 있어, 이 상태에서는 동력전달톱니 (181) 가 동력수용구멍 (231, 241) 에서 빠지는 일은 없다. 도피홈 (192) 을 구비한 제 1 위치규제체 (19) 는 제 1 밴드 (23) 와 휠 (18) 의 맞물림을 확실한 것으로 하고, 도피홈 (202) 을 구비한 제 2 위치규제체 (20) 는 제 2 밴드 (24) 와 휠 (18) 의 맞물림을 확실한 것으로 한다.
(1-3)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는 휠 (18) 과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측을 향하여 떨어짐에 따라 접근해 가고, 이어서 인접하여 평행해지도록 안내된다.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의 휨변형부분은 가이드 곡면 (193, 203) 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각도 α를 이루는 가이드 평면 (194, 204) 에 슬라이딩 접촉하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부분은 직선상태로 되어 있다. 즉,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부터 안내홈 (221, 222) 에 이르는 경로에서 휨변형된다.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위치부터 안내홈 (221, 222) 에 이르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의 휨변형된 형상은 각도 α를 적정하게 선택함으로써 적정한 형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의 적정한 형상이란 위치규제체 (19, 20) 와 밴드 (23, 24)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 및 가이드레일 (22) 과 밴드 (23, 24)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적게 하기 위한 휨변형형상을 말한다.
(1-4)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안내홈 (221, 222) 에 이르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의 휨변형된 형상은, 원호곡면인 가이드 곡면 (193, 203) 의 곡률을 변경함으로써, 어느 정도 상당히 변경할 수 있다. 가이드 곡면 (193, 203) 은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안내홈 (221, 222) 에 이르는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의 휨변형된 형상을 적정한 형상으로 조정하는 것에 기여한다. 또한 가공형성이 용이한 원호곡면은 가이드 곡면 (193, 203) 으로서 바람직하다.
(1-5) 제 1 및 제 2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 위치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확장되어 가는 밴드 (23, 24) 부분의 형상은 직선형상이다. 이와 같은 직선형상은 위치규제체 (19, 20) 와 밴드 (23, 24)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 및 가이드레일 (22) 과 밴드 (23, 24)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적게 하는 데에 유효하다.
(1-6) 일반적으로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은, 직포형성용 경사의 개구를 형성하기 위한 종광틀 중, 직기 앞측의 종광틀을 떼어내 그 빈 공간에 배치되거나 혹은 종광틀의 가장 후방에 배치된다.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을 종광틀의 전방에 배치한 경우, 직기의 전후방향에서의 래치아암 (25, 26) 의 배치위치와 래치아암 (27, 28) 의 배치위치 사이의 간격이 커질수록, 최후미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틀의 위치가 직기의 후방측으로 멀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최후미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틀의 상하의 스트로크량이 커져 종광틀의 구동에 불리하다. 또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을 종광틀의 최후방에 배치한 경우는,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개구량을 크게 할 필요가 있어, 큰 토크의 모터가 필요하게 되어 불리하다.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제의 밴드 (23, 24) 는 휨변형시킴으로써, 서로 평행한 밴드 (23, 24) 부분 (가이드레일 (22) 의 안내홈 (221, 222) 내에서의 부분) 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직기의 전후방향에서의 래치아암 (25, 26) 의 배치위치와 래치아암 (27, 28) 의 배치위치 사이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이것은 최후미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틀의 스트로크량을 작게 하는 것에 기여한다.
(1-7) 제 1 밴드 (23) 는 금속제의 제 1 위치규제체 (19) 및 금속제의 가이드레일 (22) 과 슬라이딩 접촉하고, 제 2 밴드 (24) 는 금속제의 제 2 위치규제체 (20) 및 금속제의 가이드레일 (22) 과 슬라이딩 접촉한다.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과 금속의 슬라이딩 접촉 저항은 작다.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은 휨변형 가능한 밴드 (23, 24) 의 재질로서 바람직하다.
(1-8) 직기구동모터 (도시생략) 로부터 독립되어 각종 식서조직의 형성에 대응가능한 전동모터 (17) 는 휠 (18) 을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도 5 의 제 2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제 2 실시형태의 왕복구동기구 (13A) 에서는 전동모터 (17) 가 보조판 (32) 을 통해 박스 (16) 에 장착되어 있다. 전동모터 (17) 의 출력축 (171) 에는 구동기어 (29)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박스 (16) 의 내벽 (161) 과 외벽 (162) 에는 지지축 (30)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지지축 (30) 에는 휠 (18) 및 피동기어 (31)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구동기어 (29) 는 피동기어 (31) 에 맞물려 있고, 출력축 (171) 의 왕복회전이 구동기어 (29) 와 피동기어 (31) 의 맞물림을 통해 지지축 (30) 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지지축 (30) 및 휠 (18) 이 일체적으로 왕복회전한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구동기어 (29) 와 피동기어 (31) 의 잇수의 비를 적절하게 선택하면 증속기구나 감속기구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전동모터 (17) 의 토크특성에 따라 증속비나 감속비를 선택할 수 있다는 이점을 초래한다.
다음으로 도 6∼도 10 의 제 3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한 구성부에는 동일한 부호가 사용된다.
도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및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은 왕복구동기구 (33) 에 의해 서로 반대방향으로 상하구동된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왕복구동기구 (33) 를 구성하는 박스 (34) 내에는 기본 틀 (35) 이 지지축 (36, 37) 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 (36, 37) 의 축방향은 위사의 위입 방향이다.
도 8(a), (b)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본 틀 (35) 내에는 연결축 (38)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결축 (38) 의 축선은 지지축 (36, 37) 의 축선과 직교한다. 연결축 (38) 에는 T형의 연결구 (39) 가 결합고정되어 있고, 연결구 (39) 에는 다른 연결축 (40) 이 결합고정되어 있다. 연결축 (38) 의 축선과 연결축 (40) 의 축선은 직교한다.
박스 (34) 의 상측벽 (341) 의 상면에는 전동모터 (41) 가 장착되어 있다. 전동모터 (41) 의 출력축 (411) 은 상측벽 (341) 을 관통하여 박스 (34) 내에 돌출되어 있고, 출력축 (411) 의 선단부에는 앵글부재 (42)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앵글부재 (42) 에는 연결축 (40) 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출력축 (411) 이 회전하면 연결축 (40) 이 출력축 (411) 의 축선 둘레를 공전한다. 연결축 (40) 이 출력축 (411) 의 축선 둘레를 공전하면, 연결축 (38) 이 지지축 (36, 37) 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요동된다. 연결축 (38) 의 요동은 기본 틀 (35) 을 통해 지지축 (36, 37) 에 전달되어, 지지축 (36, 37) 이 왕복회전한다. 앵글부재 (42), 연결축 (40), 연결구 (39), 연결축 (38), 기본 틀 (35) 및 지지축 (36, 37) 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구성한다. 지지축 (37) 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왕복출력축이 된다.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축 (37) 은 박스 (34) 의 앞측벽 (342) 으로부터 박스 (34) 의 외부로 돌출되어 있고, 지지축 (37) 의 돌출 단부에는 구동기어 (44) 가 고정장착되어 있다. 박스 (34) 의 앞측벽 (342) 에는 커버 (45) 가 고정장착되어 있고, 커버 (45) 의 앞측벽 (451) 과 박스 (34) 의 앞측벽 (342) 에는 지지축 (46) 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지지축 (46) 에는 피동기어 (31) 및 휠 (18) 이 고정장착되어 있고, 피동기어 (31) 에는 구동기어 (44) 가 맞물려 있다. 구동기어 (44) 의 잇수는 피동기어 (31) 의 잇수보다 많게 되어 있다. 그 외의 구성은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제 3 실시형태의 작용을 설명한다.
전동모터 (41) 의 출력축 (411) 은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고, 출력축 (411) 의 한쪽 방향의 회전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에 의해 왕복회전운동으로 변환된다. 즉,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구성하는 지지축 (37) 이 왕복회전한다. 지지축 (37) 이 왕복회전하면 구동기어 (44) 가 일체적으로 왕복회전하고, 구동기어 (44) 의 회전이 피동기어 (31) 에 전달된다. 이에 의해 지지축 (46) 은 지지축 (37) 의 회전속도보다 큰 회전속도로 구동기어 (44) 의 회전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왕복회전한다. 지지축 (46) 이 왕복회전하면 휠 (18) 이 일체적으로 왕복회전되고,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된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가 도 8(a) 의 배치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 1 밴드 (23) 가 쇄선으로 나타내는 최상동작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제 2 밴드 (24) 가 쇄선으로 나타내는 최하동작위치에 있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가 도 8(b) 의 배치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 2 밴드 (24) 가 쇄선으로 나태내는 최상동작위치에 있음과 동시에, 제 1 밴드 (23) 가 쇄선으로 나타내는 최하동작위치에 있다.
제 3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1-1) 도 9 의 그래프에서의 곡선 E1 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하고, 또한 전동모터 (41) 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한 경우의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의 위치변화를 나타낸다. 도 9 의 그래프에서의 횡축 (θ) 은 직기회전각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높이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9 에서 횡축 (θ) 으로서 기재된 라인은 직기의 워플라인의 높이위치와 일치한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위치변화는 횡축 (θ) 을 경계로 하여 곡선 E1 을 상하로 반전시킨 곡선과 유사한 곡선 E2 로 표시된다.
도 9 의 그래프에서의 곡선 D1 은 종래의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하고, 또한 전동모터의 회전수를 일정하게 한 경우의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의 위치변화를 나타낸다.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위치변화는 횡축 (θ) 을 경계로 하여 곡선 (D1) 을 상하로 반전시킨 곡선과 유사한 곡선 D2 로 표시된다.
도 9 의 예는 1/1 의 식서 조직을 형성하는 예이다. 즉,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이 직기 1회전마다 상하 교체된다.
곡선 E1, E2 와 곡선 D1, D2 를 비교하면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왕복직선운동의 사점(死点)측에서의 위치변화가 작은 범위 (소위 정류범위) 는,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정류(停留)범위에 비하여 넓어진다. 도시한 예에서는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최상위 위치 (H1) 와, 최상위위치 (H1) 에 가까운 높이 위치 (H2) 사이의 높이 위치범위에 대응하는 직기 회전각도의 범위를 정류범위로 한다. 또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최하위위치 (L1) 와, 최하위위치 (L1) 에 가까운 높이위치 (L2) 사이의 높이 위치범위에 대응하는 직기 회전각도의 범위를 정류범위로 한다. 즉, 도시한 예에서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정류범위는 (Te1+Te2) 나 (Te3+Te4) 로 표시되고,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정류범위는 (Td1+Td2) 나 (Td3+Td4) 로 표시된다.
즉,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에서의 최대의 개구량에 가까운 개구량의 식서제작용 날실 (경사) 의 개구상태는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보다 길게 유지할 수 있다.
(3-2)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장치에서는, 전동모터를 왕복회전시켜 2차원 크랭크기구를 구동하고 있으나, 전동모터를 짧은 주기로 왕복회전시키려고 하면, 전동모터의 회전속도를 크게 하기가 곤란하다. 이 곤란성은 직기의 고속화에 방해가 된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전동모터 (41) 에 의해 구동하는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동모터 (41) 를 한쪽 방향으로만 연속하여 회전하면 되어, 전동모터 (41) 의 회전속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전동모터 (41) 의 회전속도를 크게 할 수 있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채용은 직기의 고속화에 유리하다.
(3-3)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본 발명에서는 1/1 식서 조직의 형성인 경우에는 전동모터 (41) 를 가감속시키지 않고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12) 의 정류범위를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토크의 전동모터 (41) 의 채용이 가능하다. 이것은 전동모터 (41) 의 비용의 저감을 초래한다.
도 10 의 그래프에서의 곡선 E3 은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의 위치변화를 나타낸다. 도 10 의 그래프에서의 횡축 (θ) 은 직기회전각도를 나타내고, 종축은 높이 위치를 나타낸다. 또한 도 10 에서 횡축 (θ) 으로서 기재한 라인은, 직기의 워플라인의 높이 위치와 일치한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위치변화는, 횡축 (θ) 을 경계로 하여 곡선 E3 을 상하로 반전시킨 곡선과 유사한 곡선 E4 로 표시된다.
도 10 의 그래프에서의 곡선 D3 은 종래의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의 위치변화를 나타낸다.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의 위치변화는, 횡축 (θ) 을 경계로 하여 곡선 D3 을 상하로 반전시킨 곡선과 유사한 곡선 D4 로 표시된다.
도 10 의 예는 2/2 의 식서 조직을 형성하는 예이다. 즉,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이 직기 2회전마다 상하 교체된다.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한 경우의 2/2 식서 조직의 형성에서는, 곡선 D3, D4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모터를 왕복회전시키려고 하면 전동모터의 정지 및 급격한 가감속이 필요하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사용한 경우의 2/2 식서 조직의 형성에서는 곡선 E3, E4 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동모터 (41) 를 왕복회전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전동모터 (41) 의 급격한 가감속이 필요없다. 또 전동모터 (41) 를 정지 및 기동시키는 경우에도 작은 토크로 충분하다.
또한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구동원으로서 전동모터 (41) 를 사용하면, 1/3 식서 조직의 형성과 같은 복잡한 조직의 형성도 전동모터 (41) 를 급격하게 가감속시키지 않고 가능하다. 1/3 식서 조직의 형성에서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1) 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2) 은, 상하 교체된 후에 직기 3회전 후에 상하 교체되거나, 그 후의 직기 1회전후에 상하 교체된다.
즉, 직기 구동모터 (도시생략) 로부터 독립하여 각종 식서 조직의 형성에 대응가능한 전동모터 (41) 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구동원으로서 바람직하다.
(3-4) 지지축 (46) 의 왕복각 (β)[도 8(a) 에 도시] 이 클수록, 식서제작용 날실 (14, 15) 에 의해 형성되는 개구의 최대개구량이 커진다. 이것은 위사의 위입에 유리하다. 3차원 크랭크기구 (43) 에서는 왕복회전하는 지지축 (36, 37) 의 왕복각 (γ)[도 8(a) 에 도시] 을 크게 하기는 어렵다. 구동기어 (44) 및 피동기어 (31) 로 이루어지는 증속(增速)기구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로부터의 출력을 증속시켜 휠 (18) 에 전달한다. 즉, 구동기어 (44) 및 피동기어 (31) 로 이루어지는 증속기구는, 지지축 (46) 의 왕복각 (β) 을 왕복각 (γ) 보다 크게 한다. 이와 같은 증속기구는 3차원 크랭크기구 (43) 의 채용에서 최대개구량을 크게 하는 데에 유효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하와 같은 실시형태도 가능하다.
(1)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곡면 (193, 203) 을 원호곡면 이외의 곡면으로 해도 된다.
(2)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가이드 곡면 (193, 203) 을 생략해도 된다.
(3) 제 1 위치규제체 (19) 및 제 2 위치규제체 (20) 로서 각각 롤러를 사용해도 된다. 이 경우, 롤러는 밴드 (23, 24) 와 휠 (18) 의 맞물림위치에서의 밴드 (23, 24) 부분을 휠 (18) 을 향하여 누르도록 배치하는 것이 좋다. 그러나 이 맞물림 위치와 가이드레일 (22) 사이의 범위의 밴드 (23, 24) 부분에 롤러를 접촉시키도록 해도 된다.
(4) 제 1 밴드 (23) 및 제 2 밴드 (24) 로서 휨변형 가능한 띠형상의 금속판을 사용해도 된다.
(5) 제 1 밴드 (23) 와 제 2 밴드 (24) 를 휠 (18) 의 상부측 둘레에서 연결되도록 일체로 해도 된다.
(6)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3차원 크랭크기구 대신에 2차원 크랭크기구를 사용해도 된다.
(7)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 박스 (34) 를 오일탱크로 하고, 박스 (34) 내에 윤활유를 넣어 3차원 크랭크기구 (43) 를 윤활시키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전동모터 (41) 가 박스 (34) 의 상측에 있기 때문에, 전동모터 (41) 의 내부에 윤활유가 침입되지 않도록 박스 (34) 를 구성하기가 쉬워진다.
상기 실시형태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에 대해 이하에 기재한다.
[1] 청구항 4 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면은 가이드 평면과 가이드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는, 상기 가이드 평면에 접하여 상기 가이드 평면과 상기 휠 사이에 끼워지는 조직에서의 식서형성장치.
[2] 상기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곡면은, 원호곡면인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3]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의 한쪽 방향으로의 회전을 왕복운동으로 변환하여 상기 휠을 왕복회전시키기 위한 왕복구동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4] 상기 [3]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구동기구는 크랭크기구를 포함하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5] 상기 [4]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기구는 3차원 크랭크기구인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6] 상기 [5] 항에 있어서, 상기 왕복구동기구는, 상기 3차원 크랭크기구로부터의 출력을 증속시켜 상기 휠에 전달하는 증속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및 상기 [1] 항 내지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는 탄소섬유로 강화된 섬유강화 플라스틱제인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이상 상세하게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직기의 고속화를 방해하지 않고 식서제작용 날실의 개구량을 크게 할 수 있는 식서형성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2(a) 는 측단면도, 도 2(b) 는 도 2(a) 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정단면도이다.
도 4 는 배단면도이다.
도 5 는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7 은 정단면도이다.
도 8(a), 도8(b) 는 요부측단면도이다.
도 9 는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 은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위치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harness)
12 :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
17, 41 : 전동모터
18 : 휠
181 : 동력전달톱니
19 ; 안내수단을 구성하는 제 1 위치규제체
20 : 안내수단을 구성하는 제 2 위치규제체
191, 201 : 가이드면으로서의 대향면
193, 203 : 가이드 곡면
194, 204 : 가이드 평면
22 : 안내수단을 구성하는 제 3 위치규제체로서의 가이드레일
221, 222 : 안내홈
23 : 제 1 밴드
24 : 제 2 밴드
231, 241 : 동력수용구멍
25, 26, 27, 28 : 연결체로서의 래치 아암
38, 39, 40, 41 : 안내수단 및 연결수단을 구성하는 래치 아암
We : 식서

Claims (5)

  1. 서로 반대방향으로 왕복구동하는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과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의 동작에 의거하여 식서를 형성하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지지하고, 복수의 동력수용구멍을 나열하여 형성한 휨변형 가능한 제 1 밴드와,
    상기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지지하고, 복수의 동력수용구멍을 나열하여 형성한 휨변형 가능한 제 2 밴드와,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동력수용구멍에 각각 맞물리는 복수의 동력전달톱니를 갖는 휠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의 동력수용구멍과 상기 동력전달톱니를 맞물리도록, 상기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휨변형시킨 상태에서 상기 휠을 사이에 두고 대향시킨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톱니와 상기 동력수용구멍의 맞물림위치에서 분리됨에 따라 제 1 밴드와 제 2 밴드를 접근시켜 가고, 이어서 상기 제 1 밴드의 일부와 제 2 밴드의 일부를 인접시켜 평행해지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를 안내하는 안내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수단은, 상기 제 1 밴드와 상기 휠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 1 밴드에 접하는 제 1 위치규제체와, 상기 제 1 밴드와 상기 휠의 맞물림 위치를 규제하도록 상기 제 2 밴드에 접하는 제 2 위치규제체와,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를 서로 평행하게 안내하는 1쌍의 안내홈을 갖는 제 3 위치규제체를 구비하고, 상기 1쌍의 안내홈내의 상기 제 1 및 제 2 밴드 부분에 연결체를 각각 고정장착함과 동시에, 일방의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 1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장착하고, 타방의 상기 연결체에 상기 제 2 식서제작 날실용 종광을 장착한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위치규제체는 상기 제 1 밴드에 접하는 가이드면을 갖고, 상기 제 2 위치규제체는 상기 제 2 밴드에 접하는 가이드면을 가지며, 상기 각 가이드면은 상기 휠측을 향하여 볼록하고 서로 대향되어 있는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휠을 전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도록 한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KR10-2004-0002166A 2003-04-08 2004-01-13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KR100517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104136A JP3994905B2 (ja) 2003-04-08 2003-04-08 織機における耳形成装置
JPJP-P-2003-00104136 2003-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860A KR20040087860A (ko) 2004-10-15
KR100517042B1 true KR100517042B1 (ko) 2005-09-26

Family

ID=32866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166A KR100517042B1 (ko) 2003-04-08 2004-01-13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1467007A1 (ko)
JP (1) JP3994905B2 (ko)
KR (1) KR100517042B1 (ko)
CN (1) CN100347366C (ko)
TW (1) TWI24706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78A (ko) * 2018-07-06 2020-01-15 신상대 자카드 직기용 레노디바이스 작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18248B2 (ja) * 2005-06-06 2011-07-06 津田駒工業株式会社 耳織成装置
JP2007107128A (ja) * 2005-10-13 2007-04-26 Toyota Industries Corp 織機における耳糸開口装置
BE1017768A3 (fr) * 2007-09-26 2009-06-02 Toyota Jidoshokki Kk Dispositif de formation de la foule en utilisant des fils de lisiere dans un metier a tisser.
CN101906694B (zh) * 2010-08-26 2012-05-30 广东丰凯机械股份有限公司 织机绞边装置
KR101186783B1 (ko) 2012-07-16 2012-09-27 임진홍 소형 직물변부처리사 개구장치
CN103243461B (zh) * 2013-05-20 2014-08-13 苏州华毅机械有限公司 一种织布机织边装置
CN209555469U (zh) * 2017-04-28 2019-10-29 爱世伴公司 织机以及织机的综片系统和致动器系统
DE202018103292U1 (de) * 2018-06-12 2018-07-20 Gebrüder Klöcker GmbH Klemmvorrichtung zur lösbaren Verbindung einer Harnischschnur mit einer Hebelitze einer Dreherbind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1009375A6 (nl) * 1995-05-29 1997-02-04 Picanol Nv Kanteninrichting voor weefmachines.
JPH11279890A (ja) * 1998-03-27 1999-10-1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織機における耳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5178A (ko) * 2018-07-06 2020-01-15 신상대 자카드 직기용 레노디바이스 작동기구
KR102071141B1 (ko) * 2018-07-06 2020-01-29 신상대 자카드 직기용 레노디바이스 작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7860A (ko) 2004-10-15
TWI247062B (en) 2006-01-11
JP2004308064A (ja) 2004-11-04
JP3994905B2 (ja) 2007-10-24
TW200424380A (en) 2004-11-16
CN100347366C (zh) 2007-11-07
EP1467007A1 (en) 2004-10-13
CN1536114A (zh) 2004-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2665B1 (en) Device for modulating a first rotational motion of an input shaft to a second, different from the first, rotational motion of an output shaft in textile machines
KR100517042B1 (ko) 직기에서의 식서형성장치
JP6131377B1 (ja) 織機の伝動装置
CN1304663C (zh) 用于制造纱罗织物的织机
EP1731640A2 (en) Selvage device
JP2004339655A (ja) 織機の開口装置
JP2004300637A (ja)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CN101074512A (zh) 新型高速剑杆织机
EP1411161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and a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abric
CN2483403Y (zh) 喷水织机积极式凸轮开口装置
CN105463660A (zh) 直驱式积极凸轮开口机构
CN110997996B (zh) 圆织机
EP1748095A2 (en) Rapier driving device in rapier loom
KR101434043B1 (ko) 세폭자카드직기용 종광작동장치
CN102286822B (zh) 多位置任意开口的电子开口装置
JP2002105793A (ja) 織機における開口装置
CN204918941U (zh) 一种绞织方式的喷水织机
CN217869313U (zh) 一种提花龙头及无梭织带机
JP2003089940A (ja) 織機の電動開口装置
CN102277673B (zh) 一种双齿轮箱电子提花机的传动机构
EP0077866B1 (en) Mechanical assembly for reciprocately driving the pliers bearing tape in a textile loom
CN101736494B (zh) 传动机构
KR840001519B1 (ko) 직기의 잉아 구동장치
KR101000400B1 (ko) 워터 제트직기의 바디침 작동기구
KR200289085Y1 (ko) 워터제트직기용 크랭크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