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7588A -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 Google Patents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7588A
KR20060127588A KR1020050048773A KR20050048773A KR20060127588A KR 20060127588 A KR20060127588 A KR 20060127588A KR 1020050048773 A KR1020050048773 A KR 1020050048773A KR 20050048773 A KR20050048773 A KR 20050048773A KR 20060127588 A KR20060127588 A KR 200601275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haft
pedal
levers
bicy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87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02685B1 (ko
Inventor
신기호
Original Assignee
신기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호 filed Critical 신기호
Priority to KR10200500487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02685B1/ko
Priority to JP2008515612A priority patent/JP4906850B2/ja
Priority to CN2005800512795A priority patent/CN101263047B/zh
Priority to EP05756744.8A priority patent/EP1896319B1/en
Priority to US11/916,991 priority patent/US7896375B2/en
Priority to PCT/KR2005/001865 priority patent/WO2006132450A1/en
Publication of KR20060127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7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026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026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3/00Construction of cranks operated by hand or foo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팔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핸들레버(6a)(6b), 앞바퀴(1), 뒷바퀴(2), 핸들축(7)과 지지프레임(4a)(4b)(4c)(4d)(4e)(4f)(4g), 페달(12a)(12b), 페달축(19), 전·후방 스프로킷(14a)(14b)과 체인벨트(13)로 이루어지는 일반 자전거에, 핸들회전축(3), 작동로드(11)와 핸들회전축지지부(9)로 구성되는 핸들레버(6a)(6b)의 상하회동을 위한 작동수단(A)과; 크랭크축(5), 회전축(16), 플렉시블조인트(15), 구동기어(17)와 페달축(19)에 결합된 종동기어(18)로 구성되는 페달축(19)으로의 핸들레버(6a)(6b)의 회동력 전달 수단(B)이 추가 장착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와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핸들레버(6a)(6b)가 페달(12a)(12b)과 상호 엇박자로 움직임으로써 팔에 의한 핸들레버(6a)(6b)의 상하 회동이 다리에 의한 페달(12a)(12b)의 움직임과 협동하여 동기적으로 작동함으로써 자전거의 주행속도를 배가함과 동시에 팔운동도 겸할 수 있으며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이 용이하다.
핸들레버 작동기구, 크랭크축, 회동력 전달기구

Description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arm and leg powered bicycl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대표적 구체례로서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서의 팔 운동이 뒷바퀴와 연결된 페달축에 전달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 있어서 핸들레버의 회동을 위한 작동수단의 구조를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
도 5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본 발명의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상기 도 2의 전방부분의 확대 횡단면도,
도 7은 상기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핸들레버가 비작동상태일 경우 수평을 이루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서 핸들레버가 작동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경우의 작동로드와 크랭크축과의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 있어, 페달축으로의 핸들 레버 회동력 전달수단으로서 크랭크축에 연결된 회전축과 페달축과의 연동관계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도 10은 상기 도 9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상호 작동관계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 있어, 팔과 다리가 동시에 작동할 때 양 페달과 각 구성요소들과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 있어, 페달축에 핸들레버의 회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과 구동기어와의 결합구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
도 13a는 상기 도 12의 회전축과 구동기어와의 결합관계에 있어, 구동기어와 회전축이 결착되지 않고 구동기어만 회전할 때의 관계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3b는 상기 도 13a에서의 구동기어와 회전축이 결착되어 함께 회전할 때의 관계를 보여주는 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제2 구체례의 전방 사시도,
도 15는 상기 도 14의 구조를 알기 쉽도록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16은 상기 도 14의 전방 횡단면도,
도 17은 상기 도 14에 도시된 본 발명의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제2 구체례에서의 핸들레버가 비작동상태에서 수평을 이룰 때의 정면도,
도 18은 상기 도 17에서의 핸들 레버가 상하로 움직일 때의 작동상태를 보여 주는 정면도,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제3 구체례를 예시한 전방 사시도,
도 20은 도 19의 분해 사시도,
도 21은 상기 도 19의 횡단면도,
도 22는 핸들레버가 비작동상태에서 수평을 이룰 경우의 상기 도 19의 정면도,
도 23은 상기 도 19에서의 핸들 레버가 작동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일 때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앞바퀴 2 : 뒷바퀴
3 : 핸들회전축 5, 5' : 크랭크축(crank shaft)
4a, 4b, 4c, 4d, 4e, 4f, 4g : 지지 프레임
6a, 6b : 핸들레버(handle lever) 7 : 핸들축
8 : 작동핀 9 : 크랭크축 지지부
10a : 핸들축 지지부 10b : 절개홈
11 : 작동로드 11b : 핀홀(pin hole)
12a, 12b : 페달(pedal) 13 : 체인벨트(chain belt)
14 : 스프로킷(sprocket) 16 : 회전축
15 : 프렉시블 조인트(flexible joint)
17 : 구동기어 17a, 22 : 톱니부
18 : 종동기어 19 : 페달축
20 : 스프링(spring) 21 : 요동부재
23 : 크랭크축 기어 24 : 회전축 기어
25 : 링부재(ring member)
본 발명은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말하면 다리의 힘에 팔의 힘이 가세하여 한층 더 빠르게 달릴 수 있고 팔운동도 겸할 수 있는 다리와 팔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특별한 연료의 소모 없이 다리의 힘만으로 페달을 밟아서 뒷바퀴를 회전 구동시켜 주행하는 운송수단으로써 예로부터 간편하게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특히 요즈음은 자동차 등의 탈것과는 달리 자전거는 배출가스에 의한 환경오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페달의 답동(踏動)이 인체에 긴요한 유산소 운동에 해당하는 까닭에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건강에 유익한 운동의 하나로 인식되어 남녀노소 누구나 자전거 타기를 선호하고 있다.
그러나 일반 자전거는 다소 추진력이 미약하여 장거리 운송수단이나 산악자전거로서는 부적당하다. 그래서 자전거의 추진력을 높이기 위하여 자전거에 변속장치를 장착하고 있으며, 또 전륜과 후륜을 동시에 구동시키는 방안이 제시된 바 있 으나 이들 자전거는 작동이 불확실하고 동력전달과정에 상당한 부하가 걸려 실용화되질 못하였다.
본 출원인은 지금까지 발의 페달 답동으로만 움직이고 있는 일반적인 자전거에 있어서 고정 핸들레버를 주행시 팔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여 자전거의 운행 속도도 빠르게 함과 동시에 팔의 운동도 겸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면 건강증진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하고 다리와 함께 팔로 갈 수 있는 자전거를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를 경주하게 되었다.
그 결과, 본 출원인은 자전거 전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핸들레버를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하고 그 움직임이 페달축에 전달되어 페달의 움직임과 합해져 동기적(同期的)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함으로써, 핸들레버의 상하운동을 뒷바퀴의 구동력으로 이용할 수 있는 안전하고 간단한 구조의 새로운 자전거를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핸들레버, 앞바퀴 및 뒷바퀴, 핸들축과 이들을 연결하는 수 개의 지지프레임과 페달의 움직임을 뒷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페달축, 전·후방 스프로킷 및 그 주위를 회전하는 체인벨트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를 상하 회동시키는 작동수단과 상기 핸들레버의 회동력을 상기 페달축에 전달하는 수단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핸들레버와 상기 페달이 상호 엇박자로 움직임으로써, 자전거 몸체의 전체적인 균형을 유지하면서 상기 핸들레버의 상하 회동이 페달의 움직임과 협동하여 동기적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핸들레버의 상하 회동을 위한 작동수단은 상기 핸들레버의 중앙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핸들회전축, 상기 핸들레버의 좌측, 우측 또는 양측에 연결되어 있는 1개 또는 2개의 작동로드와 상기 핸들회전축지지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축의 상단에 구비된 작동핀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핸들레버는 상기 핸들회전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핸들레버의 회동력을 상기 페달축에 전달하는 수단은 상기 작동로드와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크랭크축, 핸들축지지부에 연결되는 하부지지프레임의 내부 공동에 내재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축에 핸들레버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의 일단 및 타단에 각기 구비된 플렉시블조인트와 구동기어, 그리고 페달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을 전달하는 종동기어로 이루어진다.
상기 작동로드와 연결되는 크랭크축은 핸들레버의 핸들축 지지부에 구비된 절개홈을 통하여 상기 회전축과 연결되어 있는 플렉시블조인트와 그 일단이 연결되며, 타단은 핸들회전축 지지부에 연결되어서 핸들레버의 이동에 따라 작동로드와 함께 상하 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크랭크축은 작동로드의 수에 맞추어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대략 ㄷ자형 또는 ㄹ자형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며, 또 경우에 따라서 상기 크랭크축은 일자형으로 형성되되 그에 크랭크축 기어 및 회전축 기어가 일체적으로 장착되어 핸들레버의 회동력을 페달축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특징을 보다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13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의 대표적인 제1 구체례에서의 전체적인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4-18은 상기 도 1-13의 일 변형으로서, 본 발명의 핸들레버의 상하회동을 위한 작동수단으로서의 작동로드가 2개 장착될 경우의 작동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9-23에서는 핸들레버의 회동력 전달수단인 크랭크축의 또 다른 예를 제시하는 본 발명의 제3 구체례를 나타낸다.
먼저 도 1및 도 2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일반 자전거에서와 같이 핸들레버(6a)(6b), 앞바퀴(1) 및 뒷바퀴(2), 페달(12a)(12b)과 그리고 상기 핸들레버(6a)(6b)와 연결되고 핸들축지지부(10a)에 의하여 하부의 앞바퀴(7)와 연결되는 핸들축(7), 전·후방 스프로킷(14a)(14b) 및 그 주위를 회전하는 체인벨트(13)와 함께 페달(12a)(12b)의 움직임을 뒷바퀴(2)에 전달하기 위한 페달축(19)과 안장(부재번호 도시 안됨)으로 이루어지며, 이들 각 부재들은 수 개의 지지프레임(4a)(4b)(4c)(4d)(4e)(4f)(4g)에 의하여 상호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작동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상기 구성에 더하여, 핸들회전축(3), 작동로드(11)와 핸들회전축지지부(9)로 구성되는 상기 핸들레버(6a)(6b)를 상하 회동시키는 작동수단(A)과 크랭크축(5), 회전축(16), 플렉시블조인트(15)와 구동기어(17), 그리고 페달축(19)에 결합된 종동기어(18)로 구성되어 핸들레버(6a)(6b)의 회동력을 페달축(19)에 전달하는 수단(B)을 더 갖추고 있다.
상기 핸들레버(6a)(6b)의 중앙에 위치되는 상기 핸들회전축(3)은 핸들축(7)과 핸들회전축지지부(9)의 상부에 그 양단이 상하 자유 자재로이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도 5 참조). 또 핸들축(7)의 상부에는 그 관통 구멍(8a)을 통하여, 도 2,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핀(8)이 핸들회전축(3)의 후방부의 구멍(8b)과 결합 또는 이탈되도록 구비되며 이러한 작동핀(8)의 조작으로 핸들회전축(3)을 회동 또는 고정시키고, 핸들회전축(3)은 그 베어링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장착되어서 팔의 움직임에 따라 핸들회전축(3)의 양쪽에 구비되는 상기 핸들레버(6a)(6b)를 상하 이동시키게 된다.
또한 작동로드(11)는 핸들축(7)과, 핸들회전축(3) 및 이에 이어지는 핸들회전축 지지부(9) 사이에서 도 1 내지 도 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부(11a)가 핀홀(11b)을 통하여 핸들레버(6a)(6b)의 회동이 자유롭도록 유지하면서 상기 핸들레버(6a)(6b)의 좌측 또는 우측에 고착되며, 또 그 하부(11c)는 페달축(19)으로의 핸들레버(6a)(6b) 회동력 전달 수단(B)인 크랭크축(5)에 적절히 연결된다.
상기 작동로드(11)와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크랭크축(5)은, 도 2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자전거의 핸들축지지부(10a)에 연결되는 하부지지프레임(4b)의 내부 공동에 내재되어 있으며 페달축(19)에 핸들레버(6a)(6b)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6)에 구비된 플렉시블조인트(15)와 핸들축(7) 하단에 구비된 절개홈(10b)을 통하여 연결되며, 또 타단은 핸들회전축지지부(9)와 상하 자유자재로이 회전 가능하도록 각각 연결되며 대략 ㄷ자형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되고, 이 ㄷ자 형의 돌출부에 상기 작동로드(11)의 하부(11c)가 연결된다.
상기 회전축(16)은 일반 자전거에서 핸들축(7)의 핸들축지지부(10a)와 페달축(19) 사이에 골격구조로서 구비되는 하부지지프레임(4b)의 내부 공동에 장착되며,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일단은 크랭크축(5)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원활하게 움직이는 플렉시블조인트(15)와 연결되고 맞은편의 단부에는 구동기어(17)가 장착되어 있다.
특히 도 12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기어(17)는 그 내부 원주에 톱니부(17a)를 상호 대향하는 위치, 즉 180˚간격을 두고 두 곳에 형성하고 있다. 또 이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16)의 단부에도 톱니부(22)가 형성된 두개의 요동부재(21)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요동부재(21)는 스프링(20)에 의하여 지점(21a)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기어(17)와 탄력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진퇴가능하게 설치된다.
두 개의 스프로킷(14a)(14b)주위에는 통상과 같이 체인벨트(13)가 장착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에는 상기 스프로킷(14a)(14b)을 회전시키는 페달축(19)에 종동기어(18)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종동기어(18)는 도 2 및 도 9-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기어(17)에 의하여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속도를 내고자 할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레버(6a)(6b)의 핸들축(7) 상단에 구비된 작동핀(8)을 위로 잡아당기면 작동핀(8)에 의해 도 7에서 처럼 핸들회전축(3) 에 고정되어 있던 핸들레버(6a)(6b)는 상기 핸들회전축(3)을 중심으로 좌우로 회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움직임에 의하여 상기 핸들레버(6a)(6b)에 연결되어 있는 작동로드(11)는 도 8에서와 같이 상하로 이동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핸들레버(6a)(6b)의 회동력을 페달축(19)에 전달하는 수단인 크랭크축(5)은 상기 작동로드(11)에 의하여 함께 회동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크랭크축(5)의 회동은 그에 연결된 플렉시블조인트(15)을 통하여 회전축(16)에 전달되며, 회전축(16)의 회전으로 도 13b에 구체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하단의 요동부재(21)는 지점(21a)을 기준으로 스프링(20)에 의해 탄력적으로 구동기어(17)쪽으로 진출하여 그 톱니부(22)가 구동기어(17)의 톱니부(17a)와 결합하게 됨으로써 구동기어(17)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럼으로써 구동기어(17)와 맞물리며 페달축(19)주위에 결착된 종동기어(18)를 회동시키고 결과적으로 페달축(19)에 핸들레버(6a)(6b)의 회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반면에, 도 1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핸들회전축(3)이 작동핀(8)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을 경우 핸들레버(61)(6b)의 상하 회동을 위한 작동수단(A)은 비작동상태로 유지되고, 발에 의하여서만 페달(12)을 돌릴 때는 종동기어(18)와 그에 연결된 구동기어(17)는 회전을 하게 되나 이 때 상기 요동부재(21)는 스프링(21)쪽으로 밀려들어가 있으므로 상기 요동부재(21)의 톱니부(22)는 구동기어(17)의 톱니부(17a)와 분리되어서 상기 회전축(16)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좌 측 핸들레버(6a)가 올라가면 좌측 페달(12a)이 내려가고 우측 핸들레버(6b)가 올라가면 우측 페달(12b)이 내려가는 식으로 핸들레버(6a)(6b)와 페달(12)이 상호 엇박자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몸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상기 핸들레버(6a)(6b)의 상하 회동이 페달(12a)(12b)의 움직임과 협동하여 동기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또 도 14-도 18에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앞서 기술한 도 1-도 13에 도시된 바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나, 단지 핸들레버(6a)(6b)를 상하 회동시키는 작동수단(A)에 있어서 작동로드(11)를 상기 핸들레버(6a)(6b)의 좌우 양측 두 곳에 설치한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 이 때 상기 작동로드(1)와 동기적으로 회동되는 크랭크축(5')은 작동로드(11)의 원활한 움직임을 위하여 대략 ㄹ자형으로 구부러지게 형성된다.
즉 도 15의 분리사시도 및 도 16에 잘 나타낸 바와 같이, 두개의 상기 작동로드(11)는 크랭크축(5')에 있어 ㄹ자형으로 돌출된 부분에 각기 연결되며, 도 17의 비작동상태에서 작동핀(8)을 뽑아 핸들레버(6a)(6b)를 상하 회동시키면 도 18에서와 같이 상기 제1 구체례에서와 동일하게 움직이게 된다(도 18 참조).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도 19-도 23의 또 다른 변형 구체례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랭크축(5")을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하고 그에 크랭크축 기어(23) 및 회전축 기어(24)가 장착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크랭크축(5")의 상하 이동에 따라 크랭크축기어(23)가 회전하고 그에 맞물린 회전축기어(24)가 회동함으로써 그에 연결된 플렉시블조인트(15)를 통해 회전축(16)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작동로드(11)의 상부(11a)는 도 21에서와 같이 핸들레버(6a)(6b)에 설치된 링부재(25)를 통하여 보다 원활하게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그 하부(11c)는 크랭크축(5")의 양 단부에 결착되어 상기한 구체례들에서와 동일하게 작동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팔을 움직여 핸들레버를 상하 이동시키고 그 회동력을 페달축에 연결하여 페달의 답동력을 증대시키므로 주행속도를 배로 높일 수 있음과 동시에 양팔의 운동을 겸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는 기존의 전·후륜 방식과는 달리, 자전거 몸체의 균형을 유지하면서 간단한 방식으로 핸들레버의 회동력을 확실하게 페달에 전달할 수 있고 페달의 답동력과 동기적으로 협동하여 페달축을 회전시키므로 안전하게 자전거를 주행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핸들레버(6a)(6b), 앞바퀴(1), 뒷바퀴(2), 핸들축(7)과 수 개의 지지프레임(4a)(4b)(4c)(4d)(4e)(4f)(4g), 페달(12a)(12b), 페달축(19), 전·후방 스프로킷(14a)(14b)과 체인벨트(13)로 이루어지는 통상의 자전거에 있어서,
    상기 핸들레버(6a)(6b)를 상하 회동시키는 작동수단(A)과 상기 핸들레버(6a)(6b)의 회동력을 상기 페달축(19)에 전달하는 수단(B)이 더 구비되고;
    상기 핸들레버(6a)(6b)의 상하 회동을 위한 작동수단(A)이 상기 핸들레버(6a)(6b)의 중앙에 상하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핸들회전축(3), 상기 핸들레버(6a)(6b)의 좌측, 우측 또는 양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레버(6a)(6b)의 상하 이동에 따라 작동하는 1개 또는 2개의 작동로드(11)와, 상기 핸들회전축지지부(9)로 이루어지며;
    상기 핸들축(7)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핸들회전축(3)과 연결되는 작동핀(8)의 조작에 의하여, 상기 핸들레버(6a)(6b)는 상기 핸들회전축(3)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페달축(19)으로의 상기 핸들레버(6a)(6b) 회동력 전달 수단(B)이 상기 작동로드(11)와 연결되어 상하로 움직이는 크랭크축(5)(5')(5"), 핸들축지지부(10a)에 연결되는 하부지지프레임(4b)의 내부 공동에 내재되어 있으며 상기 페달축(19)에 핸들레버(6a)(6b)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회전축(16), 상기 회전축(16)의 일단에 구비된 플렉시블조인트(15), 상기 회전축(16)의 타단에 구비되는 구동기어 (17)와, 페달축(19)주위에 장착되고 상기 구동기어(17)와 맞물리면서 회전하여 상기 페달축(19)에 회동력을 전달하는 종동기어(18)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핸들레버(6a)(6b)와 상기 페달(12a)(12b)이 상호 엇박자로 움직여 상기 핸들레버(6a)(6b)의 상하 회동이 페달(12a)(12b)의 움직임과 협동하여 동기적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로드(11)와의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크랭크축(5)(5')이 실질적으로 ㄷ자형 또는 ㄹ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축(5")이 실질적으로 일자형으로 형성하고 그에 크랭크축 기어(23) 및 회전축 기어(24)가 상호 맞물려 작동되도록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17)는 그 내부 원주에 180˚간격을 두고 상호 대향하는 톱니부(17a)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회전축(16)은 그 단부에 상기 톱니부(17a)와 결합되는 톱니부(22)가 형성된 두개의 요동부재(21)를 장착하고 있으며; 상기 요동부재(21)가 스프링(20)에 의하여 지점(21a)을 기준으로 상기 구동기어(17)와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진퇴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KR1020050048773A 2005-06-08 2005-06-08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KR1007026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73A KR100702685B1 (ko) 2005-06-08 2005-06-08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JP2008515612A JP4906850B2 (ja) 2005-06-08 2005-06-17 腕および足で動力を供給する自転車
CN2005800512795A CN101263047B (zh) 2005-06-08 2005-06-17 臂部与腿部驱动的自行车
EP05756744.8A EP1896319B1 (en) 2005-06-08 2005-06-17 Arm and leg powered bicycle
US11/916,991 US7896375B2 (en) 2005-06-08 2005-06-17 Arm and leg powered bicycle
PCT/KR2005/001865 WO2006132450A1 (en) 2005-06-08 2005-06-17 Arm and leg powered bicy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8773A KR100702685B1 (ko) 2005-06-08 2005-06-08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7588A true KR20060127588A (ko) 2006-12-13
KR100702685B1 KR100702685B1 (ko) 2007-04-04

Family

ID=37498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8773A KR100702685B1 (ko) 2005-06-08 2005-06-08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896375B2 (ko)
EP (1) EP1896319B1 (ko)
JP (1) JP4906850B2 (ko)
KR (1) KR100702685B1 (ko)
CN (1) CN101263047B (ko)
WO (1) WO2006132450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62B1 (ko) * 2007-03-06 2008-06-20 안기인 상체 운동이 가능한 핸들이 구비된 자전거
KR100919591B1 (ko) * 2009-04-22 2009-09-29 김용겸 복합 자전거
KR100955892B1 (ko) * 2009-07-17 2010-05-06 김학윤 복합 구동 자전거
WO2011034289A2 (ko) * 2009-09-18 2011-03-24 An Ki In 상체운동 자전거
WO2012111962A3 (ko) * 2011-02-18 2012-11-22 Seo Young Dae 자전거 발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8021253A1 (de) 2008-04-29 2009-11-05 Joachim Berger Fahrrad mit Armantrieb
US20120187649A1 (en) * 2009-04-07 2012-07-26 Bayne Christopher J Rowing-Motion Propelled Wheelchair Generating Power from Rowing Motion in Both Directions
EP2521669B1 (en) * 2010-01-04 2014-03-12 Aladjian, Hrand Self propelled hand vehicle
KR101075843B1 (ko) * 2011-04-28 2011-10-25 신한호 핸들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해 보조동력이 발생하는 자전거
US8939457B2 (en) 2011-12-29 2015-01-27 Ralph P. Poor Arm and leg powered vehicle
CN102815363A (zh) * 2012-08-30 2012-12-12 赵传光 一种健身车
US9073600B2 (en) * 2012-11-02 2015-07-07 Kenneth Dalton Haan Dual drive bicycle
KR101511324B1 (ko) * 2013-10-22 2015-04-13 한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이중 래칫을 갖는 손발 복합구동 자전거
US10569827B2 (en) 2014-04-17 2020-02-25 Thomas S. Felker Bicycle dual power turning track, rack, pinion, and one-way bearing propulsion system
US9580137B2 (en) 2014-04-17 2017-02-28 Thomas S. Felker Dual powered propulsion system
US10569129B2 (en) 2016-04-15 2020-02-25 Thomas S. Felker Tri-power exercising device
US10994801B2 (en) * 2017-04-25 2021-05-04 Dan Ogden Auxiliary bicycle transmission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96442A (fr) * 1925-04-07 1925-10-23 Dispositif pour la commande simultanée des bicyclettes par les pédales et le guidon
CH219564A (fr) * 1939-03-15 1942-02-15 Genin Ernest Dispositif de propulsion supplémentaire d'un cycle.
JPS525671U (ko) * 1975-06-26 1977-01-14
JPS525671A (en) * 1975-07-03 1977-01-17 Hitachi Zosen Corp Process for removing nitrogen oxides contained in exhaust gases
US4726600A (en) * 1986-07-29 1988-02-23 Wu Ying Hao Dual system bicycle
US4685692A (en) * 1986-09-15 1987-08-11 Tom P. Fullilove Foot pedal or arm crank driven riding bicycle
US4858942A (en) * 1988-08-12 1989-08-22 Otto Rodriguez Manually driven bicycle
CA1273373A (en) * 1989-07-26 1990-08-28 Ernesto M. Nacar Hand crank bicycle drive
FR2669660B1 (fr) 1990-11-22 1995-01-20 Campenon Bernard Porte pour bateaux situee entre la mer et un bassin, notamment actionnee par la maree.
FR2669600B1 (fr) * 1990-11-23 1995-09-01 Gregoire Cyril Bicyclette propulsee par l'energie musculaire des bras et des jambes.
IT1251219B (it) * 1991-11-06 1995-05-04 Francesco Bono "meccanismo per rendere motrice la ruota anteriore folle di biciclettein genere".
US5328195A (en) * 1993-07-13 1994-07-12 Graham Sommer Bicycle having arm assisted drive
FR2717767B1 (fr) * 1994-03-28 1996-04-26 Jean Lebreton Dispositif de propulsion d'une bicyclette par les bras et les jambes.
DE19829750C2 (de) * 1997-07-04 2002-02-28 Walter Ebertz Vorrichtung zur Bewegung des menschlichen Körpers
US6264224B1 (en) * 1999-12-01 2001-07-24 Cal M. Phillips Dual drive bicycle
US6688623B1 (en) * 2002-01-16 2004-02-10 Robert L. Yunaska Human powered vehicle drive mechanism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0262B1 (ko) * 2007-03-06 2008-06-20 안기인 상체 운동이 가능한 핸들이 구비된 자전거
KR100919591B1 (ko) * 2009-04-22 2009-09-29 김용겸 복합 자전거
KR100955892B1 (ko) * 2009-07-17 2010-05-06 김학윤 복합 구동 자전거
WO2011008014A2 (ko) * 2009-07-17 2011-01-20 Kim Hakyoon 복합 구동 자전거
WO2011008014A3 (ko) * 2009-07-17 2011-05-26 Kim Hakyoon 복합 구동 자전거
US8876135B2 (en) 2009-07-17 2014-11-04 Hakyoon Kim Combined-drive bicycle
WO2011034289A2 (ko) * 2009-09-18 2011-03-24 An Ki In 상체운동 자전거
WO2011034289A3 (ko) * 2009-09-18 2011-06-03 An Ki In 상체운동 자전거
WO2012111962A3 (ko) * 2011-02-18 2012-11-22 Seo Young Dae 자전거 발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6319B1 (en) 2013-08-14
EP1896319A1 (en) 2008-03-12
US20080238021A1 (en) 2008-10-02
CN101263047A (zh) 2008-09-10
CN101263047B (zh) 2011-05-18
KR100702685B1 (ko) 2007-04-04
JP2008543627A (ja) 2008-12-04
WO2006132450A1 (en) 2006-12-14
US7896375B2 (en) 2011-03-01
JP4906850B2 (ja) 2012-03-28
EP1896319A4 (en) 2009-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2685B1 (ko) 팔 다리의 힘으로 가는 자전거
JP6615610B2 (ja) 特徴的な駆動アセンブリを備えた自転車
JP3126888U (ja) 上下往復ペダル式レジャー自転車
KR100802638B1 (ko) 안장이 없는 서서 타는 자전거
JP3101174U (ja) 自転車
KR20050079994A (ko) 핸들 조작에 의한 자전거
CN107128435A (zh) 后轮驱动部件、后轮驱动装置及应用其的无链踏板自行车
US6299189B1 (en) Exerciser bike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JP4040653B2 (ja) クランク装置、それを備えた乗り物用クランクペダル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乗り物
KR200386602Y1 (ko) 자전거 동력전달장치
CN101962058A (zh) 微型踏步健身车
US10518840B1 (en) Gimpel's set parts and assemblies for transformation of treadle lever rocking movement into rotary movement of bicycle drive shaft
JP2001030973A (ja) 自転車における動力伝達機構
CN216374880U (zh) 一种齿轮自行车传动系统
KR20110140056A (ko) 손과 발로 가는 자전거
KR200259013Y1 (ko) 핸들의 회전으로 구동되는 자전거
RU58447U1 (ru) Приводной механизм, в особенности для одноколесных велосипедов
KR200307553Y1 (ko) 자전거
CN2385954Y (zh) 手脚双驱动自行车
JP2005199967A (ja) 足踏み走行車
JP2005145419A (ja) 逆回転クランク
KR100519590B1 (ko) 어린이 승용 놀이기구
KR200452083Y1 (ko) 이인용 자전거
KR200242567Y1 (ko) 두 개의 체인으로 구동하는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