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6843A - 구조재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구조재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6843A
KR20060126843A KR1020067022838A KR20067022838A KR20060126843A KR 20060126843 A KR20060126843 A KR 20060126843A KR 1020067022838 A KR1020067022838 A KR 1020067022838A KR 20067022838 A KR20067022838 A KR 20067022838A KR 20060126843 A KR20060126843 A KR 200601268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members
engaging
structur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2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64266B1 (ko
Inventor
신이치 아지키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가쓰네 고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4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4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 F16B7/044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16B7/047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in angled relationship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with hook-like parts gripping, e.g. by expanding, behind the flanges of a profi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200/00Constructional details of connections not cover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16B2200/67Rigid angle coupl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34Branched
    • Y10T403/341Three or more radiating members
    • Y10T403/342Polyhedral
    • Y10T403/343Unilateral of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46Rod end to transverse side of member
    • Y10T403/4602Corner j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Abstract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한 쌍의 구조재의 걸어맞춤홈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재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를 유지부재(5)에 의해서 걸어맞춤홈(A1)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시킨다.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 사이에는, 그것을 서로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는 코일 스프링(7)을 설치한다. 코일 스프링(7)은, 제 1 걸어맞춤 부재(4)를 한쪽의 구조재(A)의 걸어맞춤홈(A1)의 돌출부(A2) 및 다른 쪽의 구조재(도시하지 않음)의 걸어맞춤홈의 돌출부에 맞닿게 함과 동시에, 제 2 걸어맞춤 부재(4')를 한쪽의 구조재(A)의 걸어맞춤홈(A1)의 돌출부(A3) 및 다른 쪽의 구조재의 걸어맞춤홈의 돌출부에 맞닿는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걸어맞춤 부재(4,4')의 각 걸어맞춤 돌출조(4e,4e)가 한쪽의 걸어맞춤홈(A1)의 돌출부(A2,A3) 및 다른 쪽의 걸어맞춤홈의 돌출부와 대향하고,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한쪽의 걸어맞춤홈(A1) 및 다른 쪽의 걸어맞춤홈으로부터 탈락할 수 없게 된다.

Description

구조재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STRUCTURE MEMBER}
이 발명은, 알루미늄 각재 등으로 이루어진 두 개의 구조재를, 그들 측면에 형성된 걸어맞춤홈을 이용하여 연결 고정하기 위한 구조재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고정장치로서는, 아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고정장치는,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가 두 개의 구조재의 각 측면에 각각 맞닿은 당접 부재와, 이 당접 부재와 두 개의 구조재의 사이에 배치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와, 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에,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가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또한 구조재로부터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게 설치된 암나사 부재와, 당접 부재를 관통하여 암나사 부재에 나사맞춤된 수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걸어맞춤 부재의 두 개의 구조재에 인접한 두 개의 측부, 및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두 개의 구조재에 인접한 두 개의 측부에는, 걸어맞춤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고정장치에 의해서 두 개의 구조재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먼저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서로 접근 이동시켜, 각각의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홈의 양측 벽면의 개방측 끝단부에 각각 형성된 돌출부 사이로부터 걸어맞춤홈 내에 삽입한다. 그 후, 당접 부재를 관통하여 암나사 부재에 나사맞춤된 수나사부재를 체결한다. 그렇게 하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서로 사이가 떨어져 이동되게 되고, 각 걸어맞춤 부재의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홈의 돌출부와 대향한다. 그 후, 수나사 부재를 더 체결하면, 당접 부재의 양 끝단부가 각 구조재에 맞닿게 됨과 동시에,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각 걸어맞춤부가 두 개의 구조재의 걸어맞춤홈의 각 돌출부에 각각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구조재가 고정된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보 제3365629호
상기 종래의 고정장치에서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각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홈에 삽입되었을 뿐인 상태에서는 각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홈으로부터 탈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나사 부재를 암나사 부재에 나사맞춤시킬 때에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걸어맞춤홈으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손으로 유지하고 있어야만 한다. 따라서, 종래의 고정장치로 한 쌍의 구조재를 고정할 때에는, 한쪽 손으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유지하면서, 다른 쪽 손으로 수나사 부재를 암나사 부재에 나사맞춤시켜야만 하므로, 나사맞춤 작업을 실시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이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각각의 일측면에, 양측 벽면의 개방측 끝단부에 서로 접근하도록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진 걸어맞춤홈이 형성된 한 쌍의 구조재를, 양쪽 모두의 구조재의 상기 걸어맞춤홈이 형성된 일측면끼리가 교차하도록 한쪽의 구조재의 상기 일측면에 다른 쪽의 구조재의 끝단면을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재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일측면과 맞닿은 당접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걸어맞춤홈의 한쪽의 측벽면에 형성된 각 돌출부에 상기 걸어맞춤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없도록 각각 걸어맞춤할 수 있는 두 개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측의 각 측부에 각각 설치된 제1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제 1 걸어맞춤 부재에 대해 상기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에 대향해서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걸어맞춤홈의 다른쪽의 측벽면에 형성된 각 돌출부에 상기 걸어맞춤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없도록 각각 걸어맞춤할 수 있는 두 개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측의 각 측부에 각각 설치된 제 2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에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일측면에서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설치된 암나사 부재와, 상기 당접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 부재에 나사맞춤된 수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각각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돌출부의 대향면 사이를 통과하여 걸어맞춤홈에 대해서 출몰할 수 있는 삽입통과 위치와, 각각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걸어맞춤홈의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없도록 걸어맞춤할 수 있는 걸어맞춤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으로 접근하거나 서로 멀어지는 변위가 가능하고,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서로 멀어지게 하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각각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 변위시키는 바이어싱(biasing)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수나사 부재가 체결되면, 상기 당접 부재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일측면과 맞닿게 됨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각 걸어맞춤부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돌출부에 상기 걸어맞춤홈의 안쪽에서 바깥쪽을 향하여 맞닿고, 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구조재를 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적어도 상기 삽입통과 위치와 상기 걸어맞춤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으로 접근하거나 사이가 떨어지는 변위가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지부재가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유지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통과 위치까지 접근 변위되고, 상기 유지부재가 탄성적으로 복귀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삽입통과 위치로부터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 사이가 떨어지는 변위가 되게 되도록, 상기 유지부재가 상기 바이어싱 수단으로서 겸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 부재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 부재의 상기 한 쌍의 구조재로부터 사이가 떨어진 각 측부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암나사 부재가 설치된 측부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측부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중간부가, 상기 제1, 제2 걸어맞춤 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통과 위치까지 접근하여 변위시킬 수 있도록, 탄성 변형이 가능하고, 상기 중간부가 탄성적으로 복귀하여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삽입통과 위치로부터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 사이가 떨어지는 변위가 되게 되도록, 상기 중간부가 상기 바이어싱 수단으로서 겸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접 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걸어맞춤홈에 그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끼워 넣어지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당접 부재에는, 상기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 부재 사이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삽입통과 위치까지, 접근하여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변위 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발명의 효과]
상기 특징 구성을 가진 이 발명에 의하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삽입통과 위치로 접근 이동시킴으로써,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홈 내에 그 두 개의 돌출부 사이로부터 삽입할 수 있다. 걸어맞춤부를 걸어맞춤홈 내에 삽입한 후,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하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바이어싱 수단의 가하는 힘에 의해 걸어맞춤 위치까지 사이가 떨어져 이동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각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홈 내에서 돌출부와 대향하므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춤홈으로부터 탈출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제 1, 제 2 걸어맞춤부를 손으로 유지해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수나사 부재를 암나사 부재에 나사맞춤시킬 때에는 양손을 사용할 수 있어, 나사맞춤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도 1은 이 발명의 일실시의 형태를 나타내는 도 2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 도 2는 도 1의 X-X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도 3은 볼트를 체결한 상태에서 나타내는 도 2와 같은 단면도이다.
[도 4] 도 4는 상기 실시형태에서 이용되고 있는 고정 유닛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 도 5는 상기 고정 유닛의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삽입통과 위치에 위치시켰을 때의 2개의 걸어맞춤 돌출조(ridge)의 앞끝단면 사이의 거리와, 걸어맞춤홈의 두 개의 돌출부의 간격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도 6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사용되고 있는 당접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A)는 그 정면도, 도 6(B)는 그 측면도, 도 6(C)는 그 평면도, 도 6(D)는 그 저면도이다.
[도 7] 도 7은 상기 실시형태에서 이용되고 있는 제1 걸어맞춤 부재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그 정면도, 도 7(B), (C)는 각각 도 7(A)의 B 화살표시도, C 화살표시도이다.
[도 8] 도 8은 상기 실시형태의 고정장치를 이용하여 두 개의 구조재를 고정하는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고정 유닛을 두 개의 구조재에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 도 9는 상기 순서 중 당접 부재 및 볼트를 설치하는 공정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0] 도 10은 상기 실시형태의 고정장치에 의해서 2개의 구조재를 고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 도 11은 상기 고정장치에서 이용되는 고정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 도 12는 상기 고정장치에서 이용되는 고정 유닛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 도 13은 상기 고정장치에서 이용되는 고정 유닛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A : 구조재 A1 : 걸어맞춤홈
A2 : 돌출부 A3 : 돌출부
A4 : 일측면 B : 구조재
B1 : 걸어맞춤홈 B2 : 돌출부
B3 : 돌출부 B4 : 일측면
1 : 구조재의 고정장치 2 : 당접 부재
2e : 위치 결정 돌기(위치 결정부) 4 : 제 1 걸어맞춤 부재
4' : 제 2 걸어맞춤 부재 4b : 제 1 걸어맞춤부(걸어맞춤부)
4c : 제 2 걸어맞춤부(걸어맞춤부) 4e : 걸어맞춤 돌출조
5 : 유지부재 5' : 유지부재(바이어싱 수단)
6 : 너트(암나사 부재) 7 : 코일 스프링(바이어싱 수단)
8 : 볼트(수나사 부재) 9 : 암나사부(암나사 부재)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에 이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도 10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나타낸다. 먼저, 이 실시와 관련된 구조재의 고정장치가 고정해야 할 2개의 구조재(A,B)에 대하여 설명하면, 구조재(A)는, 도 8∼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정사각형의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조재(A)의 각 측면의 중앙부에는, 구조재(A)의 길이방향으로 늘어나는 걸어맞춤홈(A1)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맞춤홈(A1)의 양측 벽면의 개방측 끝단부에는, 서로 접근하도록 걸어맞춤홈(A1)의 폭방향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돌출부(A2,A3)가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어맞춤홈(A1)이 단면이 T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조재(A)는, 단면을 직사각 형상, 단면을 T자 형상, 그 외의 형상으로 형성해도 좋다. 또한, 구조재(A)의 각 측면에 걸어맞춤홈(A1)을 각각 형성하지 않고, 하나의 측면에만 걸어맞춤홈(A1)을 형성해도 좋다. 또한, 걸어맞춤홈(A1)의 돌출부(A1,A2)는, 걸어맞춤홈(A1)의 개방측 끝단부로부터 저부측을 향하여 약간 떨어진 부분에 형성해도 좋다. 구조재(B)는, 구조재(A)와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홈(B1)도 걸어맞춤홈(A1)과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돌출부(A2,A3)에 대응하는 돌출부(B2,B3)를 가지고 있다. 물론, 구조재(B)도, 구조재(A)와 마찬가지로 단면을 직사각 형상, 단면을 T자 형상, 그 외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또한, 구조재(B) 및 걸어맞춤홈(B1)은, 구조재(A) 및 걸어맞춤홈(A1)과 각각 다른 형상으로 해도 좋다.
구조재(A)의 일측면(A4)에 구조재(B)의 일끝단면이 맞닿게 되어 있다. 이 경우, 구조재(A)와 구조재(B)는 서로 직교하도록 맞닿게 되어 있다. 따라서, 구조재(A)의 일측면(A4)과 구조재(B)의 일측면(B4)도 서로 직교하고 있다. 게다가, 구조재(A,B)는, 일측면(A4,B4)의 폭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홈(A1,B1)도 그 폭방향에서 동일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이어서, 구조재(A,B)를 고정하기 위한 구조재의 고정장치(1)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장치(1)는, 당접 부재(2)와 고정 유닛(3)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당접 부재(2)를 관통하여 고정 유닛(3)의 너트(암나사 부재)(6)에 나사맞춤하는 볼트(수나사 부재)(8)를 체결함으로써, 고정장치(1)가 구조재(A,B)를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도 1∼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당접 부재(2)는, 천판부(2a)와 이 천판부(2a)의 양측부{구조재(A,B)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측부}에 일체로 설치된 한 쌍의 측판부(2b,2c)를 가지고 있다. 천판부(2a)는, 평판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구조재(A,B)에 대해서 동일한 각도만큼 경사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의 경우, 구조재(A,B)가 이루는 각이 90°이므로, 천판부(2a)는 구조재(A,B)에 대해서 45°만큼 경사지고 있다. 물론, 구조재(A,B)가 이루는 각이 90°이외의 각도인 경우에는, 천판부(2a)의 구조재(A,B)에 대한 각도는, 45°이외의 각도가 된다. 천판부(2a)의 길이방향의 양 끝단부는, 구조재(A,B)의 각 일측면(A4,B4)에 맞닿게 되어 있다. 천판부(2a)의 중앙부에는, 천판부(2a)를 관통하는 볼트 자리(2d)가 형성되어 있다. 천판부(2a)의 양 끝단부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는, 구조재(A,B)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위치 결정 돌기(위치 결정부)(2e)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돌기(2e)의 폭은,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2,A3;B2,B3)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의 위치 결정 돌기(2e)가 걸어맞춤홈(A1)의 돌출부(A2,A3) 사이에 삽입됨과 동시에, 다른 쪽의 위치 결정 돌기(2e)가 걸어맞춤홈(B1)의 돌출부(B2,B3)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당접 부재(2)가 구조재(A,B)에 대해서 그 폭방향(걸어맞춤홈의 폭방향)에 위치결정되어 있다. 천판부(2a)의 구조재(A,B)측을 향하는 내면에는, 한 쌍의 저지판부(변위 저지부)(2f,2f)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저지판(2f)은, 볼트 자리(2d)에 대해서 천판부(2a)의 일끝단측과 다른 끝단측에 약간 떨어진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측판부(2b,2c)는, 천판부(2a)를 경사변으로 하는 직각삼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구조재(A,B)의 폭방향으로 서로 사이가 떨어져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당접 부재(2)의 내부에는, 천판부(2a)와 한 쌍의 측판부(2b,2c)에 의해서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수용 공간(S)이 형성되어 있다. 각 측판부(2b,2c)의 서로 직교하는 2개의 측면은, 구조재(A,B)의 일측면(A4,B4)에 각각 맞닿게 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유닛(3)은, 구조재(A,B)의 고정의 때에는, 당접 부재(2)와 구조재(A,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특히, 이 실시형태에서는, 당접 부재(2)의 수용 공간(S) 내에 수용되어 있다. 고정 유닛(3)은, 도 2∼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 유지부재(5), 너트(6) 및 코일 스프링(바이어싱 수단)(7)을 가지고 있으며, 전체를 일체적으로 취급할 수 있도록 조립되어 있다.
제1 걸어맞춤 부재(4)는, 도 1∼도 5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판부(4a)와 이 기초판부(4a)에 일체로 형성된 제 1, 제 2 걸어맞춤부(걸어맞춤부)(4b,4c)를 가지고 있다. 기초판부(4a)는, 직각삼각형의 직각을 이루는 모서리부가 잘려진 형상을 이루는 평판으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당접 부재(2)의 한쪽의 측판부(2b)의 근방에 상기 측판부(2b)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다. 게다가, 기초판부(4a)는, 경사변이 되는 측부가 당접 부재(2)의 천판부(2a)와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기초판부(4a)의 서로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인 두 개의 측부는, 구조재(A,B)와 평행하게 되어 있다. 기초판부(4a)의 중앙부에는, 정사각 형상을 이루는 유지구멍(4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유지구멍(4d)은, 기초판부(4a)를 관통하고 있으며, 기초판부(4a)의 경사변이 되는 측부와 평행하게 이어지고 있다.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는, 기초판부(4a)의 서로가 이루는 각도가 직각인 2개의 측부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부(4b)는, 기초판부(4a)로부터 떨어진 측부가 걸어맞춤홈(A1)에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부(4b)의 걸어맞춤홈(A1) 내에 삽입된 측부에는, 측판부(2b)측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돌출조(4e)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부(4c)는, 걸어맞춤홈(B1)에 삽입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부(4c)는, 걸어맞춤홈(A1,B1)이 서로 동일한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제 1 걸어맞춤부(4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걸어맞춤부(4c)의 걸어맞춤홈(B1)에 삽입된 측부에는, 측판부(2b)측으로 돌출하는 걸어맞춤 돌출조(4e)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 부재(4')는, 당접 부재(2)의 다른 쪽의 측판부(2c)의 근방에 해당 측판부(2c)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걸어맞춤홈(A1,B1)의 2등분선 L(도 3 참조)에 관해서 제 1 걸어맞춤 부재(4)와 대칭으로 형성되고, 또한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걸어맞춤 부재(4')에 대해서는, 제 1 걸어맞춤 부재(4)와 같은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각 유지구멍(4d,4d)에는, 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너트(6)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한 유지구멍(4d)의 길이방향 및 천판부(2a)와 직교하는 방향{일측면(A4,B4)이 이루는 각을 2등분하는 선이 이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삽입되어 있다. 너트(6)의 중앙부에는, 나사구멍(6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나사구멍(6a)은, 그 축선을 당접 부재(2)의 볼트 자리(2d)의 축선과 일치시켜 형성되어 있다.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는, 유지부재(5)에 의해서 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다. 즉, 유지부재(5)는, 금속제의 비교적 얇은 판으로 이루어진 것이며, 도 2∼도 5,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초판부(5a)와, 이 기초판부(5a)의 양측부에 기초판부(5a)와 일체로 설치된 규제판부(5b,5c)를 가지고 있다. 기초판부(5a)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경사변을 이루는 측면의 중앙부에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대향 방향{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으로 상대 미끄럼 동작할 수 있도록 접촉되게 되어 있다. 규제판부(5b,5c)는, 기초판부(5a)로부터 측면(A4,B4)의 교차부를 향하여 직각으로 돌출하고 있다. 규제판부(5b,5c)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기초판부(4a,4a)의 바깥측에 배치되고, 각 기초판부(4a,4a)와 각각 대향하고 있다. 규제판부(5b,5c)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유지구멍(4d,4d)을 바깥측으로부터 덮고 있다. 이에 따라, 너트(6)가 유지구멍(4d)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있다. 게다가, 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너트(6)의 폭은, 규제판부(5b,5c)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너트(6)는, 유지부재(5)에 의해서 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에 위치 고정되어 있으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에 대해서는 동일한 방향으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규제판부(5b,5c)의 각 앞끝단부에는, 서로 접근하도록 돌출하는 협지판부(5d)가 형성되어 있다. 규제판부(5b)에 형성된 협지판부(5d)는, 제 1 걸어맞춤 부재(4)의 유지구멍(4d)의 걸어맞춤부(4b)측의 내면과 너트(6)의 사이에 미끄럼 동작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으며, 규제판부(5c)에 형성된 협지판부(5d)는, 제 2 걸어맞춤 부재(4')의 유지구멍(4d)의 걸어맞춤부(4b)측의 내면과 너트의 사이에 미끄럼 동작할 수 있도록 삽입되어 있다. 이 결과,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유지부재의 기초판부(5a)와 협지판부(5d,5d)에 의해 너트(6)를 통하여 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기초판부(4a,4a)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7)이 설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7)은, 압축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를 서로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다. 이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유지부재(5)의 규제판부(5b,5c)에 각각 압착되고 있다(도 4 참조). 이하, 이때의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위치를 최대 이간 위치라고 한다. 그 한편,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는, 코일 스프링(7)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서로 접근 이동할 수 있고,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부재(4)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와 제 2 걸어맞춤 부재(4')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각각 맞닿을 때까지 접근 이동할 수 있다. 이때의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위치가 삽입통과 위치이다. 따라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는, 유지부재(5)에 의해 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으로 삽입통과 위치와 최대 이간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되어 있다.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는, 최대 이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물론이거니와, 삽입통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도 유지부재(5)의 기초판부(5a)와 협지판부(5d,5d)에 의해서 항상 끼워 지지되어 있다. 이에 따라,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 유지부재(5), 너트(6) 및 코일 스프링(7)을, 항상 일체로 취급할 수 있도록 유닛화되어 있는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삽입통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걸어맞춤 돌출조(4e,4e)의 앞끝단면 사이의 간격 L이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2,A3;B2,B3) 의 앞끝단면 사이의 간격 W보다 좁아지고 있다. 따라서, 걸어맞춤 돌출조(4e,4e)는, 돌출부(A2,A3;B2,B3)의 사이로부터 걸어맞춤홈(A1;B1) 내에 삽입할 수 있다. 걸어맞춤 돌출조(4e,4e)가 돌출부(A2,A3;B2,B3) 사이를 빠져나가 걸어맞춤홈(A1;B1)에 집너 넣어진 후,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상태로 하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는 코일 스프링(7)의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서로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걸어맞춤홈(A,B)의 폭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최대 이간 위치 직전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걸어맞춤 부재(4)는, 그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2,B2)의 앞끝단면{돌출부(A2,B2)의 대향면}에 각각 맞닿음으로써 정지되게 되고, 제 2 걸어맞춤 부재(4')는, 그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3,B3)의 앞끝단면에 각각 맞닿는 것에 의해서 정지되게 된다. 이때의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위치가 걸어맞춤 위치이다.
따라서, 이 실시형태에서는, 유지부재(5)가, 삽입통과 위치와 걸어맞춤 위치를 내부에 포함한 삽입통과 위치와 최대 이간 위치의 사이에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를 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하고 있다. 반드시 이렇게 할 필요는 없고, 최대 이간 위치를 걸어맞춤 위치로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제 1 걸어맞춤 부재(4)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2,B2)에 각각 맞닿음과 함께, 제 2 걸어맞춤 부재(4')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3,B3)에 각각 맞닿 음과 동시에,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최대 이간 위치에 이르도록 하여도 좋고, 제 1 걸어맞춤 부재(4)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2,B2)에, 제 2 걸어맞춤 부재(4')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3,B3)에 각각 맞닿기 이전에,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최대 이간 위치에 이르도록 해도 좋다. 다만, 어느 경우에나,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면,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부재(4)의 걸어맞춤 돌출조(4e,4e)가 돌출부(A2,B2)의 안쪽의 면(도 2 및 도 3에서 아래쪽 면)과 대향함과 동시에, 제 2 걸어맞춤 부재(4')의 걸어맞춤 돌출조(4e,4e)가 돌출부(A3,B3)의 안쪽 면과 대향한다. 이 결과,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각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걸어맞춤홈(A1,B1)으로부터 탈출할 수 없게 되어, 걸어맞춤 부재(4,4')가 구조재(A,B)에 이탈할 수 없도록 유지된다.
너트(6)의 나사구멍(6a)에는, 당접 부재(2)의 볼트 자리(2d) 및 유지부재(5)의 기초판부(5a)를 관통한 볼트(8)의 나사부(8a)가 나사 맞춤되어 있다. 이 볼트(8)의 머리부(8b)는, 볼트 자리(2d)에 맞닿아 있다. 따라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도 2에 나타내는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 볼트(8)를 체결하면 고정 유닛(3)이 당접 부재(2)의 천판부(2a)에 접근하는 방향(도 2 및 도 3에서 위쪽) 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볼트(8)를 더 체결하면, 제 1 걸어맞춤 부재(4)의 걸어맞춤 돌출조(4e,4e)가 걸어맞춤홈(A1,B1)의 돌출부(A2,B2)에 각각 맞닿음과 동시에, 제 2 걸어맞춤 부재(4')의 걸어맞춤 돌출조(4e,4e)가 걸어 맞춤홈(A1,B1)의 돌출부(A3,B3)에 각각 맞닿는다. 또한, 그 반력에 의해서 당접 부재(2)의 천판부(2a)의 일끝단부, 측판부(2b,2c)의 일측부가 구조재(A)의 일측면(A4)에 맞닿게 됨과 동시에, 당접 부재(2)의 천판부(2a)의 다른 끝단부, 측판부(2b,2c)의 다른 측부가 구조재(B)의 일측면(B4)에 맞닿게 된다. 이에 따라, 구조재(A,B)가 고정장치(1)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진 구조재의 고정장치(1)에 의해서 구조재(A,B)를 고정하는 경우에는, 도 5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선 고정 유닛(3)의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를 코일 스프링(7)의 가해지는 힘에 저항하여 접근 이동시키고, 삽입통과 위치에 위치시킨다. 이것은, 예를 들면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를 잡고서 접근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실시할 수 있다. 다음에, 고정 유닛(3)을 구조재(A,B)에 접근 이동시켜,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제 1 걸어맞춤부(4b,4b)의 각 걸어맞춤 돌출조(4e,4e)를 돌출부(A2,A3) 사이로부터 걸어맞춤홈(A1) 내에 삽입함과 동시에,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제2 걸어맞춤부(4c,4c)의 각 걸어맞춤 돌출조(4e,4e)를 돌출부(B2,B3) 사이로부터 걸어맞춤홈(B1) 내에 삽입한다. 그 후,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로부터 손을 떼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코일 스프링(7)에 의해서 걸어맞춤 위치까지 이동되고서 정지한다. 그렇게 하면, 4개의 걸어맞춤 돌출조(4e)가 돌출부(A2,A3,B2,B3)와 대향하므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유닛(3)이 구조재(A,B)에 이탈할 수 없도록 유지된다.
이어서, 수용 공간(S) 내에 고정 유닛(3)이 들어가도록 하여 당접 부재(2)의 천판부(2a)의 양 끝단부, 및 측판부(2b,2c)를 구조재(A,B)의 일측면(A4,B4)에 각각 맞닿게 한다. 이때, 당접 부재(2)의 위치 결정 돌기(2e,2e)가 걸어맞춤홈(A1)의 돌출부(A2,A3) 사이, 및 걸어맞춤홈(B1)의 돌출부(B2,B3) 사이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당접 부재(2)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게다가, 당접 부재(2)를 구조재(A,B)의 일측면(A4,B4)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는, 당접 부재(2)의 저지판부(2f,2f)가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기초판부(4a,4a) 사이에 들어간다. 저지판부(2f)의 폭{걸어맞춤홈(A1,B1)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폭}은, 기초판부(4a,4a)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당접 부재(2)를 구조재(A,B)의 일측면(A4,B4)에 맞닿게 하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거의 접근 이동할 수 없게 된다. 그 후, 볼트 자리(2d)로부터 볼트(8)의 나사부(8a)를 삽입통과시키고, 너트(6)의 나사구멍(6a)에 나사맞춤시킨다. 이때, 위치 결정 돌기(2e,2e)에 의해서 걸어맞춤홈(A1,A2)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당접 부재(2)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볼트 자리(2d)와 나사구멍(6a)의 서로의 축선이 일치되게 되어 있으므로, 볼트(8)를 너트(6)에 용이하게 나사맞춤시킬 수 있다. 그 후, 볼트(8)를 체결한다. 이에 따라, 구조재(A,B)가 고정된다(도 10 참조).
구조재(A,B)의 고정을 해제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대로 실시하면 된다. 즉, 볼트(8)를 느슨하게 하여 너트(6)로부터 분리한다. 이어서, 당접 부재(2)를 분리하고, 고정 유닛(3)을 노출시킨다. 그 후,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를 삽입통과 위치까지 접근 이동시킨다. 그리고, 고정 유닛(3)을 구조 재(A,B)로부터 분리한다.
도 11은, 고정 유닛(3)에 대신해서 이용되는 고정 유닛(3A)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 유닛(3A)에서는, 유지부재(5)에 대신하여 유지부재(5A)가 이용되고 있다. 유지부재(5A)는, 스프링강 등의 탄성을 가진 판재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으며, 규제판부(5b,5c)가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기초판부(4a,4a)에 고정되어 있다.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는, 유지부재(5A)가 탄성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제 1 걸어맞춤 부재(4)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와 제 2 걸어맞춤 부재(4')의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가 서로 맞닿은 상상선으로 나타내는 삽입통과 위치와, 실선으로 나타내는 최대 이간 위치의 사이를 이동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유지부재(5A)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최대 이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탄성변형이 없는 자연 상태로 되어 있고,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삽입통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최대 이간 위치로부터 삽입통과 위치까지의 변위량에 대응하여 탄성변형한다. 그 결과,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삽입통과 위치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그것들을 최대 이간 위치에 되돌리도록 힘을 가한다.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유지부재(5A)는, 바이어싱 수단으로서 겸용되고 있다. 또, 삽입통과 위치 및 최대 이간 위치와 걸어맞춤 위치의 관계는, 상기의 실시형태와 같은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고정 유닛(3A)을 이용했을 경우에는, 코일 스프링(7)이 불필요하므로, 그만큼 제조의 수고 및 조립공정수를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라 고정 유 닛(3A)의 제조비를 저감할 수 있다.
도 12는, 고정 유닛(3)에 대신해서 이용되는 고정 유닛(3B)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 유닛(3B)에서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천판부(2a)와 대향하는 측부{구조재(A,B)로부터 사이가 떨어진 측부; 도 10에서 상측부}에, 암나사 구멍(9a)을 가진 암나사부(암나사 부재)(9)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가 암나사부(9)를 통하여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암나사부(9)는, 상기 실시형태의 너트(6)에 상당하는 것이고, 암나사 구멍(9a)에는 볼트(8)가 나사맞춤된다.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기초판부(4a,4a){암나사부(9)와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는, 얇은 살두께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제 1 걸어맞춤부(4b,4b){제 2 걸어맞춤부(4c,4c)}가 서로 접근하거나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기초판부(4a)는, 거기에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자연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 1 걸어맞춤부(4b) 및 제 2 걸어맞춤부(4c)를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최대 이간 위치에 위치시킨다. 게다가, 기초판부(4a)는, 제 1 걸어맞춤부(4b,4b)끼리 및 제 2 걸어맞춤부(4c,4c)끼리가 서로 맞닿아 삽입통과 위치에 이를 때까지 탄성변형할 수 있다. 따라서, 기초판부(4a)는, 탄성적으로 복귀 변형함으로써, 걸어맞춤홈(A1,B1)에 삽입된 제 1, 제 2 걸어맞춤부(4b,4c)를 걸어맞춤 위치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고정 유닛(3B)에서는,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의 각 기초판부(4A,4A)가 제 1, 제 2 걸어맞춤부(4,4')를 삽입통과 위치로부터 걸 어맞춤 위치까지 이동시키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으로서 겸용되고 있다.
도 13은, 고정 유닛(3)에 대신해서 이용되는 고정 유닛(3C)을 나타내고 있다. 이 고정 유닛(3C)은, 상기 고정 유닛(3)으로부터 유지부재(5)를 생략한 것이고, 그 외에는 고정 유닛(3)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고정 유닛(3C)은,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 너트(6) 및 코일 스프링(7)이 유닛으로서 조립되어 있지만, 조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없으므로, 손가락 등에 의해 조립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는 반면, 유지부재(5)가 불필요하므로, 그 만큼 고정 유닛(3C)의 제조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코일 스프링(7)이 자연 상태로 되어 있을 때,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는, 최대 이간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코일 스프링(7)의 양 끝단부를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4,4')에 결합함으로써, 코일 스프링(7)을 유지부재(5)로서 겸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발명과 관련된 구조재의 고정장치는, 알루미늄 등의 각재뿐만 아니라, 교차하는 평판 그 외의 각종의 구조재를 서로 고정하기 위해서 이용할 수 있다.

Claims (6)

  1. 각각의 일측면에, 양측 벽면으로부터 서로 접근하도록 돌출하는 돌출부를 가진 걸어맞춤홈이 형성된 한 쌍의 구조재를, 양쪽 모두의 구조재의 상기 걸어맞춤홈이 형성된 1측면끼리가 교차하도록 한쪽의 구조재의 상기 일측면에 다른 쪽의 구조재의 끝단면을 맞닿게 한 상태로 고정하기 위한 구조재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일측면에 맞닿는 당접 부재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걸어맞춤홈의 한쪽의 측벽면에 형성된 각 돌출부에 상기 걸어맞춤홈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없도록 각각 걸어맞춤할 수 있는 두 개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측의 각 측부에 각각 설치된 제 1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제 1 걸어맞춤 부재에 대해 상기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에 대향하여 배치되고,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걸어맞춤홈의 다른 쪽의 측벽면에 형성된 각 돌출부에 상기 걸어맞춤홈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없도록 각각 걸어맞춤할 수 있는 두 개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측의 각 측부에 각각 설치된 제 2 걸어맞춤 부재와,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에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일측면으로부터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설치된 암나사 부재와,
    상기 당접 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암나사 부재에 나사맞춤된 수나사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각각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돌출부의 대향면 사이를 통과하여 상기 걸어맞춤홈에 대해서 출몰할 수 있게 한 삽입통과 위치와, 각각의 걸어맞춤부가 상기 돌출부에 대해 상기 걸어맞춤홈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탈출할 수 없도록 걸어맞춤할 수 있는 걸어맞춤 위치의 사이를 상기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으로 접근하거나 사이가 떨어지는 변위가 가능하고,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 사이에는,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서로 사이가 떨어지는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각각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 변위시키는 바이어싱 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수나사 부재가 체결되면, 상기 당접 부재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일측면에 맞닿게 됨과 동시에, 상기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각 걸어맞춤부가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돌출부에 상기 걸어맞춤홈의 안쪽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하여 맞닿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한 쌍의 구조재를 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의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를, 적어도 상기 삽입통과 위치와 상기 걸어맞춤 위치의 사이에서 상기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으로 접근하거나 사이가 떨어지는 변위가 가능하도록 유지하는 유지부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의 고정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가 탄성변형할 수 있게 되고, 상기 유지부 재의 탄성변형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통과 위치까지 접근 변위되어, 상기 유지부재가 탄성적으로 복귀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삽입통과 위치로부터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 사이가 떨어져 변위되게 되도록, 상기 유지부재가 상기 바이어스 수단으로서 겸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의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맞춤홈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암나사 부재의 일끝단부와 다른 끝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 부재의 상기 한 쌍의 구조재로부터 사이가 떨어진 각 측부에 각각 일체로 설치되고, 상기 암나사 부재가 설치된 측부와 상기 걸어맞춤부가 설치된 측부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중간부가,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의 걸어맞춤부를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통과 위치까지 접근 변위시킬 수 있도록, 탄성변형할 수 있어, 상기 중간부가 탄성적으로 복귀 변형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 2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삽입통과 위치로부터 상기 걸어맞춤 위치로 사이가 떨어져 변위되게 되도록, 상기 중간부가 상기 바이어스 수단으로서 겸용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의 고정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당접 부재에는, 상기 한 쌍의 구조재의 각 걸어맞춤홈에 그 폭방향으로 이동할 수 없도록 끼워 넣어지는 위치 결정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의 고정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에 있어서, 상기 당접 부재에는, 상기 걸어맞춤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 부재 사이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서 상기 한 쌍의 걸어맞춤 부재가 상기 삽입통과 위치까지 접근 변위하는 것을 저지하는 변위 저지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재의 고정장치.
KR1020067022838A 2004-03-31 2005-03-10 구조재의 고정장치 KR101164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107152 2004-03-31
JP2004107152A JP4486843B2 (ja) 2004-03-31 2004-03-31 構造材の固定装置
PCT/JP2005/004185 WO2005098242A1 (ja) 2004-03-31 2005-03-10 構造材の固定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843A true KR20060126843A (ko) 2006-12-08
KR101164266B1 KR101164266B1 (ko) 2012-07-09

Family

ID=35125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2838A KR101164266B1 (ko) 2004-03-31 2005-03-10 구조재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559180B2 (ko)
EP (1) EP1757820B1 (ko)
JP (1) JP4486843B2 (ko)
KR (1) KR101164266B1 (ko)
CN (1) CN100455827C (ko)
DK (1) DK1757820T3 (ko)
HK (1) HK1102671A1 (ko)
WO (1) WO200509824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93666B2 (en) 2004-11-17 2007-11-13 American Power Conversion Corporation Equipment enclosure kit and assembly method
GB2433091A (en) * 2006-02-03 2007-06-13 Busybase Ltd Clip with biased latch
JP4926530B2 (ja) * 2006-04-27 2012-05-09 東京エレクトロン株式会社 シール部材、減圧容器、減圧処理装置、減圧容器のシール機構、および減圧容器の製造方法
JP2008196168A (ja) * 2007-02-09 2008-08-28 Okamura Corp パネル連結装置
US8282307B1 (en) * 2007-04-06 2012-10-09 Audubon Block Company Furniture joinery
JP4874883B2 (ja) * 2007-07-03 2012-02-15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パネル固定具及びパネル固定装置
US8231299B2 (en) * 2007-09-04 2012-07-31 David Klauer Lumber storage and stacking protection device
JP4909338B2 (ja) * 2008-11-14 2012-04-04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構造材の固定装置及び固定装置用当接部材
US8028489B1 (en) * 2010-01-07 2011-10-04 Lawrence Barry G Framed window screen and connector
US8616801B2 (en) * 2010-04-29 2013-12-31 Siemens Energy, Inc. Gusset with fibers oriented to strengthen a CMC wall intersection anisotropically
CN103797196B (zh) * 2011-09-14 2015-11-25 日立机材株式会社 梁和柱的接合结构以及接合部件
KR101740613B1 (ko) * 2012-09-27 2017-05-26 가부시키가이샤 히다치 고쿠사이 덴키 기판 처리 장치, 기판 처리 방법 및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CN103697032B (zh) * 2012-09-28 2016-01-06 富昱能源科技(昆山)有限公司 锁固装置
CN103541966B (zh) * 2013-11-01 2016-03-30 湖南省金为型材有限公司 一种带预设孔管材用紧固连接组件
KR101512387B1 (ko) * 2014-04-15 2015-04-15 진방호 조립 구조물용 파이프 연결 고정장치
CN107206326A (zh) * 2015-01-06 2017-09-26 纳诺斯通水务公司 用于膜组件的固定装置和相关方法
US10180155B2 (en) 2015-10-26 2019-01-15 Mb Industries, Inc. Furniture joinery
CN107461386B (zh) * 2017-09-21 2023-04-07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管管包覆式刚性接头
CN111676802B (zh) * 2018-12-11 2021-09-14 江山市发发科技有限公司 预制桥的桥板桥墩连接结构
NO344783B1 (en) * 2019-04-05 2020-04-27 Vardalife As Fixing device for beam profiles
CN110107574B (zh) * 2019-06-05 2024-04-09 华域视觉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紧固组件
DE202020003444U1 (de) 2020-08-11 2021-11-12 isel-automation GmbH & Co. KG Profilwinkel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14527B1 (ko) * 1968-10-08 1972-05-01
JPS5112643U (ko) * 1974-07-15 1976-01-29
DE2515569B2 (de) * 1975-04-10 1978-02-16 Veyhl-Produktion KG, 7261 Zwerenberg Verbindung fuer drei rohrabschnitte
JPS53128150U (ko) * 1977-03-16 1978-10-12
US4168922A (en) * 1977-06-01 1979-09-25 Worrallo A C Frame jointing assembly and the like
DE2906281C2 (de) * 1979-02-19 1982-06-16 Mitischka, Herbert, Wien Kupplungselement
US4432590A (en) * 1980-12-22 1984-02-21 Jer Manufacturing, Inc. Structural system for supporting furniture, shelf and wall panels
JPS5811005U (ja) * 1981-07-06 1983-01-24 積水ハウス株式会社 外壁パネルの固定金具
JPS5881418U (ja) 1981-11-26 1983-06-02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
DE3636238A1 (de) * 1986-03-08 1987-09-17 Herbert Knecht Aus hohlprofilteilen bestehendes gestell
DE3607849C1 (de) * 1986-03-10 1987-08-13 Connec Ag Befestigungsvorrichtung mit einem Klemmverschluss zum Ioesbaren Angreifen an Hinterschneidungen aufweisenden Profilen od.dgl.
JPH0373028A (ja) 1989-08-14 1991-03-28 Ricoh Co Ltd プロセッサ装置
JPH0373028U (ko) * 1989-11-17 1991-07-23
US6379074B1 (en) * 2000-05-08 2002-04-30 Hsueh-Hung Chin Coupler structure for steel pipe conjoinment stabilization
JP3073028U (ja) * 2000-05-08 2000-11-14 學宏 金 パイプの接合構造
JP3484150B2 (ja) * 2000-09-06 2004-01-06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直交状角材の連結固定装置
US6481177B1 (en) * 2000-10-27 2002-11-19 80/20, Inc. Inside corner connector for structural framing members
CN2479345Y (zh) * 2001-04-20 2002-02-27 厦门金龙联合汽车工业有限公司 一种型材角联结装置
JP3365629B1 (ja) * 2001-06-29 2003-01-14 エヌアイシ・オートテック株式会社 構造材連結装置
JP2005147261A (ja) * 2003-11-14 2005-06-09 Imao Corporation:Kk フレームの接続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757820A1 (en) 2007-02-28
WO2005098242A1 (ja) 2005-10-20
CN100455827C (zh) 2009-01-28
CN1961156A (zh) 2007-05-09
DK1757820T3 (da) 2012-09-10
JP2005291362A (ja) 2005-10-20
JP4486843B2 (ja) 2010-06-23
KR101164266B1 (ko) 2012-07-09
EP1757820A4 (en) 2009-02-18
US20070214734A1 (en) 2007-09-20
US7559180B2 (en) 2009-07-14
EP1757820B1 (en) 2012-06-13
HK1102671A1 (en) 200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4266B1 (ko) 구조재의 고정장치
KR100215558B1 (ko) 구조부재 또는 기계부품의 상호 결합장치 및 그 결합부품
US20090120246A1 (en) Wrench with movable jaw suitable for both metric and English systems
JP2009534611A (ja) 固定装置
TW201111656A (en) Quick acting panel fastener
US20070154258A1 (en) Fitting with an arresting device
CN114198374A (zh) 用于连接至少两个特别是板状的元件的连接系统;包括这种连接系统的组件
TW585978B (en) Rectangular hole snap-in fastener
AU2017274579A1 (en) Panel systems and components
CN111237298A (zh) 公差补偿装置
US5479682A (en) Clamp for paper sheets
US6935804B2 (en) Clamping element and device for fixing cam rails
TWM545193U (zh) 扣接結構
JP4909338B2 (ja) 構造材の固定装置及び固定装置用当接部材
KR100193026B1 (ko) 클립 드라이버
JPS6157484B2 (ko)
KR20040066101A (ko) 물체를 지지 구조체에 부착하기 위한 체결 장치 및 방법
EP1895082A2 (en) Hinge with connection member
US20190264725A1 (en) Removable push-on fastener
JP3137495B2 (ja) 竪樋取付具
JPH0135928Y2 (ko)
JP3287208B2 (ja) ドア枠施工用定規
TWI619583B (zh) 可調整置釘寬度的釘匣結構
JP2003056525A (ja) 線材あるいは棒材の連結固定具
JPH10318337A (ja) ボールチェーン接続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