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21710A -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21710A
KR20060121710A KR1020060045919A KR20060045919A KR20060121710A KR 20060121710 A KR20060121710 A KR 20060121710A KR 1020060045919 A KR1020060045919 A KR 1020060045919A KR 20060045919 A KR20060045919 A KR 20060045919A KR 20060121710 A KR20060121710 A KR 20060121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ase body
gate
granular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459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3290B1 (ko
Inventor
순이치 나카가와
사토시 아사야마
Original Assignee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21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1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3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3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639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for obtaining an insulating effect, e.g. for electrical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836Preventing damage of inserts during injection, e.g. collapse of hollow inserts, brea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0Injection nozzles
    • B29C45/23Feed stopping equip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6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C45/82Hydraulic or pneumatic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01R43/24Assembling by moulding on contac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46Details relating to the filling pattern or flow paths or flow characteristics of moulding material in the mould cav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Transmission And Conversion Of Sensor Element Output (AREA)

Abstract

(과제)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도 단자부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 부분의 위치 어긋남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
(해결수단) 케이스체 (10) 에 단자부 (20) 가 인서트 성형됨과 함께, 단자부 (20) 는 일단부가 케이스체 (10) 에 장착되는 검출부에 도통하고, 타단부가 입상부 (24) 로 형성되어 케이스체 (10) 외부로 도출되어 이루어지는 검출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체 (10) 는 사출 성형시에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게이트 (32) 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게이트면 (13) 과, 단자부 (20) 의 입상부 (24) 의 근원 부분을 피복하는 기둥 형상의 단자 도출부 (14) 를 구비하고, 단자부 (20) 는 단자 도출부 (14) 에 피복되는 입상부 (24) 의 근원 부분에 게이트면 (13) 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 (25) 를 구비하고, 돌출부 (25) 는 단자 도출부 (14) 의 표면까지 돌출하여 이루어진다.
검출 장치

Description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ETE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SAME}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단자부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입상부(立上部) 부근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출 장치를 형성하는 금형의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검출 장치
10: 케이스체
11: 수용부
12: 개구부
13: 게이트면
14: 단자 도출부
20: 단자부
21: 기판 접속부
22: 접속부
23: 연결부
24: 입상부
25: 돌출부
30: 금형
31: 케이스체 성형부
32: 게이트
33: 도출부 성형부
40: 저항체 기판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039789호
본 발명은, 검출부가 장착되는 케이스체로 이루어지는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출력을 외부로 취출하는 단자부를 케이스체에 인서트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로틀 밸브 등의 회전 밸브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검출 장치는, 슬라이드자편이 장착된 회전체가 스로틀 밸브의 샤프트의 선단에 고정되어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케이스체에 고정된 저항체 기판에 접촉시킴으로써, 회전 각도를 검출한다.
그리고, 저항체 기판에 단자부를 납땜 등에 의해서 접속하여 외부에 출력한다. 저항체 기판과 도통하는 단자부는, 인서트 성형에 의해 케이스체와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즉, 단자부를 케이스체 성형용 금형내에 배치하고, 금형내에 용융된 수지를 충전함으로써 성형한다. 이러한 검출 장치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예시한 것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검출 장치에는 이하에 서술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저항체 기판에 도통하는 단자부는, 케이스체 외부에 도출되어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입상부가 형성된다. 입상부의 도출 방향이 주입되는 수지의 흐름 방향과 다른 경우에는, 입상부는 금형내에 수지를 주입하였을 때 수지의 유동에 의해 눌려져, 위치 어긋남을 발생시키거나 변형시키거나 한다. 이 때문에, 외부 기기와의 접속 형상과 맞지 않아, 외부 기기에 접속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인서트 성형에 의해서도 단자부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 부분의 위치 어긋남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검출 장치는, 케이스체에 단자부가 인서트 성형됨과 함께, 이 단자부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체에 장착되는 검출부에 도통하고, 타단부가 입상부로 형성되어 케이스체 외부에 도출되어 이루어지는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사출 성형시에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게이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게이트면과, 상기 단자부의 입상부의 근원 부분을 피복하는 기둥 형상의 단자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도출부에 피복되는 입상부의 근원 부분에 상기 게이트면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는 상기 단자 도출부의 표면까지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검출 장치는,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게이트면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2방향에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검출 장치는, 상기 돌출부는 그 선단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검출 장치의 제조 방법은, 검출부가 장착되는 케이스체와, 일단부가 상기 검출부에 도통하고 타단부가 입상부로 형성되는 단자부를 금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검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는 상기 케이스체의 외형에 대응한 케이스체 성형부를 형성하고, 이 케이스체 성형부에는 상기 단자부의 입상부의 근원 부분을 피복하는 기둥 형상의 단자 도출부에 대응하는 도출부 성형부와,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부에는 입상부의 근원 부분에 상기 게이트로부터 주입되는 수지 재 료의 유입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출부 성형부가 형성된 면까지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상부의 돌출부의 선단을 상기 도출부 성형부에 맞닿게 하여 상기 단자부를 상기 케이스체 성형부가 형성된 금형내에 배치하고 상기 게이트로부터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출 장치 (1) 의 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출 장치 (1) 는, 회전 밸브 등의 회전 각도를 검출하는 검출부가 장착되는 케이스체 (10) 로 이루어지고, 검출부와 도통하여 외부 기기에 검출한 회전 각도 신호를 출력하는 단자부 (20) 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 (1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대략 원통 향상의 수용부 (11) 를 갖고 있다. 수용부 (11) 에는 검출부의 일부인 저항체 기판 (40) 이 고정된다. 그리고, 수용부 (11) 의 하부에는 회전 밸브 등의 피검출물 (도시하지 않는다) 이 삽입된다. 회전 밸브의 샤프트 선단에는 검출부의 일부인 슬라이드자편이 장착된 회전체가 고정되어, 샤프트와 일체적으로 자유롭게 회전된다. 저항체 기판 (40) 의 표면에는 저항체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저항체 패턴에 슬라이드자편이 탄성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슬라이드자편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저항체 기판 (40) 상을 슬라이딩하고, 슬라이드자편과 저항체 패턴이 접촉하는 위치 변화에 수반하는 저항치의 변화에 의해 회전 밸브의 회전 각도를 검출한다. 또한, 수용부 (11) 의 상부에는, 수용부 (11) 를 닫는 뚜껑을 접착재 등으로 장착함으로써, 수용부 (11) 의 내부가 밀폐되도록 되어 있다.
케이스체 (10) 는 사출 성형에 의해 성형되는 것으로서, 도 1 에 있어서의 좌단부에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게이트에 대응하여 형성된 게이트면 (13) 을 갖는다. 또한, 케이스체 (10) 에는, 단자부 (20) 가 인서트 성형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고, 도 1 에 있어서의 좌단부 근방에 단자부 (20) 를 외부에 도출되는 기둥 형상의 단자 도출부 (14) 를 갖고 있다. 단자 도출부 (14) 는 게이트면 (13) 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체 (10) 에 인서트 성형되는 단자부 (20) 는 일단부가 저항체 기판 (40) 의 패턴에 대응하여 납땜 등에 의해서 접속됨과 함께, 타단부가 단자 도출부 (14) 의 선단으로부터 도출된다. 단자 도출부 (14) 로부터 도출되는 단자부 (20) 는 외부 기기에 접속되어 저항체 기판 (40) 의 출력을 취출 가능하게 한다. 도 2 에 단자부 (20) 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단자부 (20) 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 기판 (40) 에 의해 검출한 회전 각도 신호를 취출하기 위한 가는 판 형상의 도전판으로서 신호 입력용이나 접지용으로 복수 형성되고, 연결편 (26) 에 의해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고정된다.
단자부 (20)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항체 기판 (40) 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 (21) 와, 케이스체 (10) 의 단자 도출부 (14) 에 근원 부분 이 피복되는 입상부 (24) 가 연결부 (23) 에 의해 연결된다. 입상부 (24) 의 선단 부분은 단자 도출부 (14) 로부터 도출되어 외부 기기에 접속되는 접속부 (22) 이다. 입상부 (24) 는 단자 도출부 (14) 에 피복되는 근원 부분에 돌출부 (25) 를 갖고 있다.
도 3 은 단자부 (20) 의 입상부 (24) 부근의 확대도이고, 도 3(a) 에 확대 평면도, 도 3(b) 에 확대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부 (25) 는 입상부 (24) 의 양측면으로부터 케이스체 (10) 의 게이트면 (13) 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단자 도출부 (14) 의 표면까지 돌출하고 있고, 그 선단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게이트면 (13) 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2방향으로 각각 돌출부 (25) 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출 장치 (1) 는, 단자부 (20) 를 케이스체 성형용 금형내에 배치한 상태에서 수지 재료를 충전하여 냉각 고화함으로써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4 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검출 장치 (1) 를 형성하는 금형 (30) 의 종단면도로서,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게이트 (32) 부근을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금형 (30) 의 내부에는 케이스체 (10) 의 외형에 대응하도록 케이스체 성형부 (31) 가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체 성형부 (31) 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미리 성형해 둔 단자부 (20) 를 배치한 상태에서 게이트 (32) 로부터 수지를 주입하고, 사출 성형함으로써 검출 장치 (1) 를 성형한다.
수지 재료의 주입부인 게이트 (32) 는 도 4 에 있어서의 좌단부에 갖고 있 고, 이 게이트 (32) 로부터 수지 재료가 충전된다. 또한, 케이스체 성형부 (31) 의 좌단부 근방에는 단자부 (20) 를 외부로 도출하는 단자 도출부 (14) 에 대응하는 도출부 성형부 (33) 가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지 재료의 주입부인 게이트 (32) 는 케이스체 성형부 (31) 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의 좌단부에 형성되기 때문에, 공간부내의 수지의 흐름 방향은 도 4 중에 나타내는 화살표 방향이 된다. 단자부 (20) 의 입상부 (24) 는, 통 형상으로 형성된 도출부 성형부 (33) 에 배치되기 때문에, 수지의 흐름 방향과는 다른 방향에 배치된다. 즉, 입상부 (24) 의 하단부는 수지 유동에 의해 힘을 받는다.
입상부 (24) 의 돌출부 (25) 는, 케이스체 성형부 (31) 의 게이트 (32) 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2방향에 도출부 성형부 (33) 가 형성된 면까지 돌출하고 있기 때문에, 돌출부 (25) 를 도출부 성형부 (33) 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입상부 (24) 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게이트 (32) 로부터 주입된 수지에 의해 입상부 (24) 의 하단부가 힘을 받더라도, 돌출부 (25) 의 선단이 도출부 성형부 (33) 에 맞닿고 있음으로써, 수지 흐름에 대항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돌출부 (25) 보다 상부의 외부 기기와의 접속부 (22) 가 수지의 흐름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흘러 흐름 위치 어긋남 등을 발생시키는 것이 방지되기 때문에, 제품 정밀도가 향상되어, 수율 높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25) 의 선단은 대략 반원 형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성형 후의 단자 도출부 (14) 에 있어서의 돌출부 (25) 의 노출 부분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 어, 케이스체 (10) 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돌출부 (25) 의 선단 형상에 관해서는 단자 도출부 (14) 의 표면에 있어서의 노출 부분을 작게 할 수 있는 형상이면 되고, 예를 들어 삼각 형상으로 하는 등, 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돌출부 (25) 는 수지의 흐름 방향과 대향하는 방향에도 형성되어 있으므로, 단자부 (20) 를 금형 (30) 내에 배치할 때에, 단자 도출부 (14) 에 대응하는 도출부 성형부 (33) 에 끼워 넣도록 배치할 수 있으므로, 입상부 (24) 의 위치 정합이 용이해진다. 또한, 돌출부 (25) 는 입상부 (24) 의 양측면에 한 쌍씩 형성되어 있으므로, 입상부 (24) 를 도출부 성형부 (33) 가 형성된 면에 대하여 평행하게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더욱 강고하게 입상부 (24) 를 고정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돌출부 (25) 를 추가로 복수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적용은 이 실시형태에는 한정되지 않고, 그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검출 장치에 의하면, 단자부는 단자 도출부에 피복되는 입상부의 근원 부분에 게이트면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돌출부는 단자 도출부의 표면까지 돌출하여 이루어짐으로써, 돌출부의 선단을 단자 도출부를 형성하는 금형의 내면에 맞닿게 한 상태에서 수지 재료를 주입하여 성형되므로, 성형시에 입상부의 근원 부분이 수지 유동에 의해 힘 을 받더라도 금형에 맞닿은 돌출부에 의해 외부 기기와의 접속부인 입상부의 선단형상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검출 장치에 의하면, 돌출부는 게이트면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2방향에 갖고 이루어짐으로써, 입상부의 선단 부분이 수지의 흐름 방향 및 그 반대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검출 장치에 의하면, 돌출부는 그 선단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짐으로써, 단자 도출부의 표면에 노출하는 부분을 최대한 작게 할 수 있어, 케이스체의 기밀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검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단자부는 입상부의 돌출부의 선단이 도출부 성형부에 맞닿은 상태에서 게이트로부터 수지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케이스체에 인서트 성형되고, 돌출부는 수지의 흐름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에 배치됨으로써, 입상부의 근원 부분이 수지 유동에 의해 힘을 받더라도 돌출부로 억제할 수 있어, 입상부의 선단 부분이 위치 어긋남이나 변형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도출되므로, 단자부를 정밀도 높게 일체 성형할 수 있다.

Claims (4)

  1. 케이스체에 단자부가 인서트 성형됨과 함께, 이 단자부는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체에 장착되는 검출부에 도통하고, 타단부가 입상부로 형성되어 케이스체 외부에 도출되어 이루어지는 검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체는 사출 성형시에 수지 재료가 주입되는 게이트에 대응하여 형성되는 게이트면과, 상기 단자부의 입상부의 근원 부분을 피복하는 기둥 형상의 단자 도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단자 도출부에 피복되는 입상부의 근원 부분에 상기 게이트면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이 돌출부는 상기 단자 도출부의 표면까지 돌출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게이트면에 대한 연직 방향과 대략 평행한 2방향에 갖고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그 선단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장치.
  4. 검출부가 장착되는 케이스체와, 일단부가 상기 검출부에 도통하고 타단부가 입상부로 형성되는 단자부를 금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검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금형에는 상기 케이스체의 외형에 대응한 케이스체 성형부를 형성하고, 이 케이스체 성형부에는 상기 단자부의 입상부의 근원 부분을 피복하는 기둥 형상의 단자 도출부에 대응하는 도출부 성형부와,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게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단자부에는 입상부의 근원 부분에 상기 게이트로부터 주입되는 수지 재료의 유입 방향과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상기 도출부 성형부가 형성된 면까지 돌출한 돌출부를 형성하고,
    상기 입상부의 돌출부의 선단을 상기 도출부 성형부에 맞닿게 하여 상기 단자부를 상기 케이스체 성형부가 형성된 금형내에 배치하고 상기 게이트로부터 수지 재료를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검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060045919A 2005-05-23 2006-05-23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0773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49841A JP2006329668A (ja) 2005-05-23 2005-05-23 検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JP-P-2005-00149841 2005-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1710A true KR20060121710A (ko) 2006-11-29
KR100773290B1 KR100773290B1 (ko) 2007-11-05

Family

ID=37448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45919A KR100773290B1 (ko) 2005-05-23 2006-05-23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192317B2 (ko)
JP (1) JP2006329668A (ko)
KR (1) KR10077329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91441A1 (ja) * 2004-03-19 2005-09-29 Hitachi, Ltd. 複合モールド品
US7455528B2 (en) * 2006-09-08 2008-11-25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Devices and/or systems for coupling a PLC bus
US7611358B2 (en) * 2006-09-08 2009-11-03 Siemens Energy & Automation, Inc. Method of coupling circuit board connectors
JP5006713B2 (ja) * 2007-06-28 2012-08-22 株式会社ミツバ ブラシ付き電動モータ
EP2026418B1 (de) * 2007-07-10 2018-09-12 Kunststoff Schwanden AG Gehäuseschale mit eingeschlossener, mindestens ein elektromechanisches Bauelement aufweisenden Baueinheit
JP5296823B2 (ja) * 2011-03-17 2013-09-25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樹脂成形品及びその製造方法
DE102011015005B4 (de) 2011-03-25 2019-12-05 Kostal Kontakt Systeme Gmbh Dichtungsanordnung für eine mehrpolige Steckverbinderanordnung
US9116021B2 (en) * 2011-05-18 2015-08-25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Sensor device
JP5978025B2 (ja) * 2012-06-27 2016-08-2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028699B2 (ja) * 2013-09-13 2016-11-16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端子および電気コネクタ並びに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JP5769779B2 (ja) * 2013-10-24 2015-08-26 三菱電機株式会社 センサ
DE112018002860T5 (de) * 2017-07-07 2020-02-27 Hitachi Automotive Systems, Ltd. Verbinderausbildungsstruktur, elektronisches steuergerät und herstellungsverfahren für verbinderausbildungsstruktur
JP7014139B2 (ja) * 2018-11-27 2022-02-01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4879A (en) * 1992-10-07 1993-07-06 Casco Products Corporation Electric power outlet
US6056590A (en) * 1996-06-25 2000-05-02 Fujitsu Takamisawa Component Limited Connector having internal switch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3509444B2 (ja) * 1997-01-13 2004-03-22 住友電装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コネクタ
US5984716A (en) * 1997-06-09 1999-11-16 Progressive Components International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ion system for mold components and a plastic injection molding press
JPH11185926A (ja) * 1997-12-25 1999-07-09 Yazaki Corp コネクタ、コネクタの製造方法及びこの製造方法に用いられる型構造
JP4003322B2 (ja) 1998-11-16 2007-11-07 住友電装株式会社 インサート成形用端子金具
JP3699887B2 (ja) 2000-07-25 2005-09-28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回転型センサ
US6756711B2 (en) * 2000-12-27 2004-06-29 Asmo Co., Ltd. Motor having control circuit board for controlling its rotation
KR200253756Y1 (ko) * 2001-07-30 2001-11-22 주식회사대한펄프 화장지 상자
JP3990187B2 (ja) * 2002-05-14 2007-10-10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egrセンサ
JP4205550B2 (ja) * 2002-11-19 2009-01-07 アスモ株式会社 モータ及びモータ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3290B1 (ko) 2007-11-05
US7192317B2 (en) 2007-03-20
US20060264101A1 (en) 2006-11-23
JP2006329668A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73290B1 (ko) 검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812598B2 (en) Electrical device and manufacture method for the same
US5028868A (en) Hall effect type sensing device and magnetic circuit device for a hall effect type sensor
KR100810937B1 (ko) 온도 센서
CN102749025B (zh) 旋转角传感器
US20150061657A1 (en) Position detector apparatus
US10730215B2 (en) Insert molded article, insert molding method, and insert molding apparatus
JP3711951B2 (ja) センサ構造及びセンサの製造方法
JP2005007872A (ja) 保持構造
US6422075B1 (en) Low cost sensor package for bearing mount
CN105526956B (zh) 传感器布置以及用于制造传感器布置的方法
KR100641530B1 (ko) 인히비터 스위치
JP2009250629A (ja) 回転検出装置および回転検出装置の製造方法
US9709592B2 (en) Wheel speed sensor
US20100215478A1 (en) Impelle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rotary impeller
JP5280753B2 (ja) 温度センサ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33637A (ja) 回転検出装置及び回転検出装置の生産方法
JP4996336B2 (ja) 温度センサの製造方法
JP2005019644A (ja) 温度センサ、その製造方法、及び温度センサ用型
KR101864433B1 (ko) 회전체 검출 센서 구조물
EP1178319B1 (en) Speed sensor integrated into a bearing cap
JP5769779B2 (ja) センサ
JP2014215156A (ja) 回転角検出装置
KR101240026B1 (ko) 제조가 용이한 회전 각도 센서
KR102229527B1 (ko) 측정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구조를 갖는 사출금형 및 이를 이용한 사출구조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