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9731A - 풍력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풍력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9731A
KR20060119731A KR1020060008661A KR20060008661A KR20060119731A KR 20060119731 A KR20060119731 A KR 20060119731A KR 1020060008661 A KR1020060008661 A KR 1020060008661A KR 20060008661 A KR20060008661 A KR 20060008661A KR 20060119731 A KR20060119731 A KR 20060119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sorting
air
light weight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86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5107B1 (ko
Inventor
아쯔시 호리
타카노리 혼다
다이수케 하마다
야수히사 야마시로
타케시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filed Critical 가부시끼 가이샤 구보다
Publication of KR20060119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9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51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51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21/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19/00

Landscapes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장치의 설치 면적이 제한될 경우이더라도, 청소 등의 빈번한 보수관리를 행하는 않고 선별 가스에 동반되는 경량물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한다.
투입구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피선별물에 기단측으로부터 선별 가스를 분사 공급하여 중량물과 경량물을 선별하는 제 1 공동부(10)와, 상기 제 1 공동부(10)의 하방에 상기 선별 가스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 중량물 회수부(11) 및 경량물 회수부(12)와, 상기 제 1 공동부(10)에 공급된 선별 가스를 흡인하는 흡인구(15)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풍력 선별장치(1)로서, 상기 제 1 공동부(10)보다 확경된 제 2 공동부(13)를 상기 제 1 공동부(10)의 상부 공간에 설치함과 아울러 그 하류측에 상기 흡인구(15)를 설치하여, 상기 선별 가스에 동반되고, 상기 제 2 공동부(13)에서 낙하되는 경량물을 회수하는 제 2 경량물 회수부(16)를 설치한다.

Description

풍력 선별장치{WIND POWER SEPARATION DEVICE}
도 1은 본 발명이 채용되는 풍력 선별장치의 전체구성도이다.
도 2는 측면도이다.
도 3(a)는 안내판을 구비하는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도 3(b)는 안내판을 구비하지 않은 도 2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고, 도 4(b)는 도 3(a)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다.
도 5(a)는 안내판을 구비하는 제 2 공동부에 있어서의 선별 가스의 유로도이고, 도 5(b)는 안내판을 구비하지 않은 제 2 공동부에 있어서의 선별 가스의 유로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며,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도 3(a)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풍력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풍력 선별장치 10 : 제 1 공동부
11 : 중량물 회수부 12 : 경량물 회수부
13 : 제 2 공동부 14 : 연통부
15 : 흡인구 16 : 제 2 경량물 회수부
18 : 개구부 19 : 슈트
20 : 안내판 21 : 자세 전환 기구
본 발명은, 예컨대, 회수된 쓰레기로부터 플라스틱 등의 재이용 가능한 성분을 회수하며, 자원의 재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재자원화 이용 플랜트 등에 설치되고, 피선별물의 풍력 저항차와 비중차에 의해 중량물과 경량물로 선별하는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서술하면, 투입구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피선별물에 기단측으로부터 선별 가스를 분사 공급하여 중량물과 경량물을 선별하는 제 1 공동부와, 상기 제 1 공동부의 하방에 상기 선별 가스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 중량물 회수부 및 경량물 회수부와, 상기 제 1 공동부에 공급된 선별 가스를 흡인하는 흡인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풍력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풍력 선별장치로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자형상의 케이싱(101) 내를 분기판(102)에 의해 상방이 서로 연통하고 또한 각각이 하방으로 개방된 일단부측의 중량물 회수실(103)과 타단부측의 경량물 회수실(104)로 구획하고, 상기 케이싱(101)의 일단부의 상측부에 피처리물을 투입하는 투입구(105)를 형성함과 아울러, 투입구(105)의 하부에 에어를 케이싱(101) 내의 타단부를 향해 비스듬히 상방으로 분출하는 에어 분출 노즐(106)을 설치하는 한편, 케이 싱(101)의 타단부에 에어 흡인구(107)를 형성하고, 상기 경량물 회수실(104)의 폭을 중량물 회수실(103)의 폭보다 넓힌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풍력 선별장치는, 중량물 회수실의 폭보다 경량물 회수실의 폭(에어 분출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방향의 치수)을 넓혀 경량물 회수실에 있어서의 에어의 유속을 저하시킴으로써, 경량물 회수실의 길이(에어 분출 방향의 수평방향의 치수)를 짧게 구성하면서도, 경량물, 예컨대 가정쓰레기에 있어서의 비닐 자루, 플라스틱 트레이 등이 에어 흡인구에 동반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특허문헌1]
일본 특허공개 2000-15183호 공보
그러나, 상술한 특허문헌 1에 기재된 기술에 의하면, 비닐 자루, 플라스틱 트레이 등의 경량물이 에어 흡인구에 동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경량물 회수실(104)의 상방의 케이싱 내측에, 하단을 자유단으로 하고 또한 하단측이 점차 케이싱의 타단부의 측부에 접근하도록 이루어진 빗살형상의 그레이트(108)를 설치하거나, 에어 흡인구(107)의 앞쪽에, 에어 흡인구(107)측이 하방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상하로 회전하는 무단벨트식의 네트 필터(109)를 배치할 필요가 있고, 경량의 길이가 긴 물체 등이 그와 같은 그레이트나 네트 필터에 휘감기면 용이하게 이탈되지 않고, 눈막힘에 의한 흡인 에어 풍량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점을 초래하며, 청소 등의 보수관리가 빈번히 요구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그레이트나 네트 필터를 설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선별 에어에 동반되는 경량물에 의해 에어 흡인구의 하류측에 설치되는 통풍부의 폐쇄나 버그 필 터의 눈막힘이 발생하기 때문에, 마찬가지의 문제는 피할 수 없는 것이며, 중량물 회수실보다 경량물 회수실을 확폭하는 경우이여도 장치의 설치 면적의 제한 등 때문에 그 만큼 극단적으로 확폭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그 경우에는 경량물 회수실의 에어 분출 방향의 길이가 그 만큼 단축되는 것으로는 될 수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결점을 감안하여, 장치의 설치 면적이 제한되는 경우이더라도, 청소 등의 빈번한 보수관리를 행하는 않고 선별 가스에 동반되는 경량물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풍력 선별장치의 제 1 특징 구성은, 특허청구의 범위의 서류의 청구항1에 기재한 바와 같이, 투입구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피선별물에 기단측으로부터 선별 가스를 분사 공급하여 중량물과 경량물을 선별하는 제 1 공동부; 상기 제 1 공동부의 하방에 상기 선별 가스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 중량물 회수부 및 경량물 회수부; 및 상기 제 1 공동부에 공급된 선별 가스를 흡인하는 흡인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풍력 선별장치로서, 상기 제 1 공동부보다 확경된 제 2 공동부를 상기 제 1 공동부의 상부 공간에 설치함과 아울러 그 하류측에 상기 흡인구를 설치하여, 상기 선별 가스에 동반되고, 상기 제 2 공동부에서 낙하되는 경량물을 회수하는 제 2 경량물 회수부를 설치해 두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공동부의 상부 공간에 상기 제 1 공동부보다 확경 된 제 2 공동부를 설치해 두는 것이므로, 제 1 공동부에서 제 2 공동부로 도입되는 선별 가스는 그 유속이 저하하여 용이하게 경량물이 낙하하게 되고, 또한, 유속의 저하에 의해 확경된 제 2 공동부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선회류나 국소적인 와류가 발생하고, 그것에 따른 고임부가 생기기 때문에, 그러한 고임부에 선별 가스에 동반된 경량물이 도입되어 제 2 공동부 내에서 체류하여 낙하하고, 제 2 경량물 회수부에 의해 회수되게 되는 것이다. 그러한 제 2 공동부가 제 1 공동부의 상방공간에 배치되므로, 장치의 설치 면적이 제한되는 경우이더라도, 설치 면적을 콤팩트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제 2 공동부에 있어서의 선별 가스의 유로를 길게 형성할 수 있으므로, 선별 가스에 동반되는 경량물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동 제 2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2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제 2 경량물 회수부가 상기 제 2 공동부의 하단에 배치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낙하된 경량물을 안내하는 슈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경량물 회수부에 의해 상기 제 1 공동부와 상기 제 2 공동부의 연통부가 축경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공동부와 제 2 공동부의 연통부가 제 2 경량물 회수부에 의해 축경되어 있으므로, 분사 공급된 선별 가스는 그러한 축경부를 통과한 후에 확경된 제 2 공동부에 유입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속이 저하함과 아울러, 선별 가스의 흐름 방향이 흔들림으로써 와류나 고임부가 발생하여, 동반된 경량물을 낙하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 제 3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3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또는 제 2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분사 공급된 선별 가스는, 제 1 공동부의 기단측과는 반대측의 타단측으로부터 제 2 공동부의 배벽을 따라 상승함과 아울러, 제 2 공동부의 상방으로부터 기단측으로 선회하는 선회류가 생겨서, 주로 기단측에 고임부가 형성되게 된다. 그 결과, 경량물을 기단측에 설치된 개구부에 효과적으로 낙하시켜 회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동 제 4 특징 구성은, 동 청구항4에 기재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특징 구성에 추가해서, 상기 제 1 공동부와 상기 제 2 공동부의 연통부에 상기 선별 가스를 편류시켜 상기 제 2 공동부에서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는 점에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공동부의 타단측으로부터 제 2 공동부의 배벽을 따라 상승하는 선별 가스가 안내판에 의해 기단측에 편류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수직방향의 선회류가 형성되게 된다. 또한, 이러한 안내판에 경량물이 충돌함으로써 선별 가스의 흐름으로부터 경량물을 효율적으로 이탈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이하에 본 발명에 의한 풍력 선별장치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풍력 선별장치(1)는, 피선별물(5)을 투입구(10b)를 향해 반송하는 반송기구(3)와, 투입구(10b)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피선별물에 선별 가스로서의 공기를 분사 공급하는 선별 노즐 기구(4)와, 분사 공급되는 선별 공기에 의해 중량물과 경량물을 선별하는 제 1 공동부(10)와, 상기 제 1 공동부(10)의 하방에 상기 선별 공기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 중량물 회수부(11) 및 경 량물 회수부(12)와, 상기 제 1 공동부(10)보다 확경된 제 2 공동부(13)를 상기 제 1 공동부(10)의 상부 공간에 설치함과 아울러 그 하류측에 선별 가스를 흡인하는 흡인구(15)를 설치하여 구성되고, 선별 공기가 상기 흡인구(15)로부터 사이클론 방식의 집진기(7)를 통해서 흡인 팬(6)에 의해 흡인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풍력 선별장치(1)는, 폐플라스틱, 목재, 종이 등의 경량물에 콘크리트블록이나 금속편 등의 중량물이 혼재된 건축 폐재 등의 피선별물(5)을 중량물(5a)과 경량물(5b)로 선별 분리하는 장치이지만, 피선별물(5)은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캔, PET, 병, 폐유리병 등의 자원 쓰레기로부터 중량물을 선별하는 경우 등, 중량물과 경량물을 선택 분리할 경우에 널리 적용되는 것이다.
상기 반송기구(3)는, 스프링 등의 탄성지지기구(3a)에 의해 지지되는 반송로(3b)에 연결 프레임(3c)을 통해서 진동 모터(3d)가 부착된 진동식 반송기구로 구성되고, 컨베이어 기구(9)에 의해 상기 반송로(3b)에 투입된 상기 피선별물(5)은, 균등하게 흩어져 상기 진동 모터(3d)에 의해 가진(加振)되는 반송로(3b) 상에서 진동하면서 경량물이 상방으로, 중량물이 하방으로 비중 선별되면서 상기 제 1 공동부(10)를 향해 반송되어, 그 단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자유낙하하도록 공급된다. 또한, 반송기구(3)는 진동 모터(3d)를 구비한 진동식 반송기구로 구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피선별물(5)이 균등하게 흩어지도록 반송되는 것이면, 다른 방식이 채용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선별 노즐 기구(4)는, 그 선단부가 상기 진동식 반송기구(3)에 의한 상기 피선별물(5)의 반송로 폭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어 상기 반송로(3b)의 하방에 설 치되는 제 1 편평 노즐(4a)과, 상기 제 1 편평 노즐(4a)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편평 노즐(4a)의 선단부로부터 기단측으로의 경량물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 편평 노즐(4a)로부터의 분출 공기량보다 저량의 공기를 분출해서 공기 배리어를 형성하는 제 2 편평 노즐(4b)과, 상기 제 1 편평 노즐(4a) 및 상기 제 2 편평 노즐(4b)의 기단측에 각각 연결되는 플렉서블 관(4c,4d)과, 상기 플렉서블 관(4c,4d)을 통해서 상기 제 1 편평 노즐(4a) 및 상기 제 2 편평 노즐(4b)의 기단측에 접속되어 선별 공기를 각각 공급하는 압입 송풍기(8a,8b)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압입 송풍기(8a)로부터 공급되는 선별 공기가 상기 플렉서블 관(4c)을 통해서 상기 제 1 편평 노즐(4a)로부터 분사 공급된다. 또한, 여기서는, 선별 가스로서 공기가 사용되는 것을 설명하지만, 선별 대상물에 따라 불활성가스 등 적절하게 선택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2 편평 노즐(4b)은 필수적인 것이 아니고, 선별 대상물의 특성 등, 필요에 따라서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 1 공동부(10)는, 수직방향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 1 케이싱(10a)과 그 제 1 케이싱(10a)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편평 노즐(4a)에 의해 상기 투입구(10b)가 형성된 기단측의 벽부로부터 대향하는 배면측의 벽부를 향해 경사진 상방으로 분사 공급되는 선별 공기에 의해, 상기 반송기구(3)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피선별물(5)이 중량물(5a)과 경량물(5b)로 분리 선별, 즉, 중량물(5a)이 거의 그대로 상기 중량물 회수부(11)에 낙하 회수되고, 경량물(5b)이 선별 공기의 흐름에 의해 상기 중량물 회수부(11)와 상기 경량물 회수부(12) 사이에 설치된 분리벽(10c)을 넘어 상기 경량물 회수부(12)에 낙하 회수된다.
상기 제 2 공동부(13)는, 수평방향의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제 2 케이싱(13a)과 상기 제 2 케이싱(13a)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공동부(10)의 배면을 따라 상방으로 유입되는 선별 공기를 그 상방에 형성된 상기 흡인구(15)로부터 상기 집진기(7)에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공동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별 공기의 상방으로의 흐름에 수직인 단면의 지름 즉 그 단면적이 상기 제 1 공동부(10)에 있어서의 선별 공기의 흐름에 수직인 단면의 지름 즉 그 단면적보다 크게 되도록 확경되고, 상기 제 1 공동부(10)에 있어서의 선별 공기의 유속이 저하하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경량물 회수부(12)에 낙하 회수되지 않고 선별 공기에 동반되는 비닐 자루, 종이, 톱밥 등의 경량물의 일부가 자체 중량에 의해 낙하하게 된다. 또한,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속의 저하에 의해 상기 제 2 공동부(13)에 있어서 배면으로부터 상승하는 선별 공기가 배면에 대향하는 기단측의 벽면방향으로 선회, 즉 수직방향으로 선회하는 선회류나 국소적인 와류가 발생하고, 그것에 수반되는 고임부[A(A1,A2,A3)]가 생기기 때문에, 그러한 고임부에 선별 공기에 동반된 경량물이 도입되어 상기 제 2 공동부(13)내에서 체류하여 낙하되거나, 또는, 하방으로의 공기의 흐름에 의해 경량물이 낙하하게 된다.
상기 제 2 공동부(13)에는, 선별 공기에 동반되고, 상기 제 2 공동부(13)에서 낙하되는 경량물을 회수하는 제 2 경량물 회수부(1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경량물 회수부(16)는, 도 1~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공동부(13)의 하단에 배치된 개구부(18)와, 상기 개구부(18)로부터 상기 제 1 공동부(10)에 걸쳐 서 경사 배치되고, 상기 개구부(18)에 낙하된 경량물을 외부로 안내하는 슈트(19)로 구성되고, 상기 슈트(19)로부터 낙하된 경량물이 회수 용기(17)에 회수된다.
상세하게 서술하면, 상기 개구부(18)는,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공동부(13)와 상기 제 1 공동부(10)의 연통부(14) 중 상기 투입구(10b)측, 즉 기단측에 거의 절반정도의 영역을 점유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슈트(19)는, 덕트 형상의 구조물로, 도 2 및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8)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1 공동부(10)의 상부를 가로 질러서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8)에서 회수되는 경량물을 상기 개구부(18)로부터 상기 회수 용기(17)까지 안내한다.
따라서, 제 1 공동부(10)의 기단측과는 반대측의 배면측 벽면을 따라 제 2 공동부(13)로 상승하는 선별 공기가 상기 제 1 공동부(10)의 기단측과 동일 방향의 벽면을 향해 선회하는 선회류에 의해, 주로 기단측에 형성되는 고임부로부터 바로 밑에 형성되는 개구부(18)에 효과적으로 낙하시켜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제 2 경량물 회수부(16)의 배치에 의해, 상기 제 1 공동부(10)와 상기 제 2 공동부(13)의 연통부(14)가 축경되어 있으므로, 분사 공급된 선별 공기는 그러한 축경부를 통과한 후에 확경된 제 2 공동부(13)에 유입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속이 저하됨과 아울러, 선별 공기의 흐름 방향이 흔들림으로써 와류나 고임부가 발생하여, 동반된 경량물을 효율 좋게 낙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 및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연통부(14) 중 배면측 벽부에는, 선별 공기를 편류시켜 상기 제 2 공동부(13)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선 회류를 발생시키는 판형상의 안내판(20)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부(14)로부터 상기 제 2 공동부(13)에 유입되는 선별 가스의 유입 방향을 기단측 벽면방향으로 편류 시킴으로써 상기 제 2 공동부(13)에 있어서 수직방향의 선회류가 형성되고, 또한, 상기 안내판(20)에 충돌하는 경량물이 선별 공기로부터 이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판(20)은, 유체 액추에이터나 전동모터 등의 구동기구를 구비한 자세 전환 기구(21)를 통해서 상기 연통부(14)에 요동 가능하게 부착되고, 그 안내 자세를 변경함으로써 선별 공기의 편류 방향을 조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피선별물(5)의 특성이나 선별 공기의 공급량에 따라 상기 안내판(20)의 자세를 조절함으로써, 선별 공기에 동반되는 경량물을 효율 좋게 낙하 회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선별 공기의 흐름에 동반되는 경량물의 대부분이 상기 제 2 공동부(13)에서 분리 제거되고, 상기 흡인구(15)로부터 상기 집진기(7)로 반송되는 경량물이 대폭적으로 저감되므로, 상기 집진기(7)를 빈번히 보수관리할 필요가 없게 되고, 상기 풍력 선별장치(1)의 가동률을 대폭적으로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공동부(13)에 있어서의 선별 공기의 통류(conduction) 단면의 지름 즉 단면적을 상기 제 1 공동부(10)에 있어서의 선별 공기의 통류 단면의 지름 즉 단면적보다 어느 정도 크게 설정할지에 따라 선별 공기의 흐름에 동반되는 경량물의 분리 회수율이 변하지만, 상기 풍력 선별장치(1)의 설치 면적의 제한에 의해 상기 제 2 공동부(13)에 있어서의 선별 공기의 통류 단면의 지름을 그만큼 크 게 할 수 없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공동부(13)의 수직방향의 길이를 크게 설정함으로써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에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연통부(14)의 배면측 벽면에 단일의 안내판(20)을 설치한 것을 설명했지만, 상기 안내판(20)을 상기 연통부(14)의 공간에 단일 또는 복수장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 2 공동부(13)에 유입되는 선별 공기를 효과적으로 편류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공동부(10)로부터 제 2 공동부(13)로 유입되는 선별 공기가, 상기 제 1 공동부(10)의 측벽측에 편재하는 상기 제 2 경량물 회수부(16)의 슈트(19)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선회할 경우에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선회류에 동반되는 경량물을 충돌시켜 이탈시키는 플레이트(22)를 제 2 공동부(13)의 벽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2 공동부(13)에서 수평방향으로도 선회류가 생기도록, 상기 안내판(20)을 분할 구성하여, 각 안내판의 자세가 수직방향으로 각도를 갖도록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공동부(10)와 제 2 공동부(13)의 연통부(14)에 수직방향의 선회류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안내판(20)을 설치했지만,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안내판(20)을 설치하지 않는 구성이여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이여도,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개구부(18)가 상기 제 2 공동부(13)의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 공동부(10)의 배벽측으로부터 연결부(14)를 통과하여 제 2 공동부(13)의 배벽을 따라 상승하는 선별 가스가 기단측으로 선회하는 선회류가 생겨, 주로 기단측에 고임부가 형성되게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개구부(18)의 개구 면적이 상기 연통부(14) 중 기단측에 거의 절반정도의 영역을 점유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슈트(19)가 상기 개구부(18)의 하부로부터 상기 제 1 공동부(10)의 상부를 가로 질러서 측벽으로부터 외부로 연장 형성되고, 이것에 의해 상기 연통부(14)가 축경되는 것을 설명했지만, 개구부(18)의 개구 면적이나 그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제 2 공동부(10)에서 낙하되는 경량물을 회수할 수 있는 것이면 그 개구 면적이나 위치는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그 위치나 개구 면적에 의해 상기 제 2 공동부(10)에 있어서의 선별 공기의 흐름을 조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슈트(19)의 설치 위치도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고, 예컨대, 상기 제 1 공동부(10)의 기단측을 향해 경사 배치해도 되고, 상기 개구부(18)로부터 상기 제 1 공동부(10)의 좌우의 측벽방향으로 분리해서 경사 배치하는 1쌍의 슈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상기 슈트(19)로부터 상기 경량물 회수부(12)로 낙하 경량물이 수용되게 안내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어느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일례이며, 그 기재된 구체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의 설치 면적이 제한되는 경우이더라도, 청소 등의 빈번한 보수관리를 행하는 않고 선별 가스에 동반되는 경량물을 효과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풍력 선별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Claims (4)

  1. 투입구로부터 낙하 공급되는 피선별물에 기단측으로부터 선별 가스를 분사 공급하여 중량물과 경량물을 선별하는 제 1 공동부; 상기 제 1 공동부의 하방에 상기 선별 가스의 흐름 방향을 따라 순서대로 배치된 중량물 회수부 및 경량물 회수부; 및 상기 제 1 공동부에 공급된 선별 가스를 흡인하는 흡인구를 구비하여 구성되는 풍력 선별장치로서,
    상기 제 1 공동부보다 확경된 제 2 공동부를 상기 제 1 공동부의 상부 공간에 설치함과 아울러 그 하류측에 상기 흡인구를 설치하고, 상기 선별 가스에 동반되고, 상기 제 2 공동부에서 낙하되는 경량물을 회수하는 제 2 경량물 회수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경량물 회수부가 상기 제 2 공동부의 하단에 배치된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에 낙하된 경량물을 안내하는 슈트로 구성되고, 상기 제 2 경량물 회수부에 의해 상기 제 1 공동부와 상기 제 2 공동부의 연통부가 축경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가 상기 기단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공동부와 상기 제 2 공동부의 연통부에 상기 선별 가스를 편류시켜 상기 제 2 공동부에서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안내판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풍력 선별장치.
KR1020060008661A 2005-05-19 2006-01-27 풍력 선별장치 KR1007951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47095A JP4698286B2 (ja) 2005-05-19 2005-05-19 風力選別装置
JPJP-P-2005-00147095 2005-05-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9731A true KR20060119731A (ko) 2006-11-24
KR100795107B1 KR100795107B1 (ko) 2008-01-17

Family

ID=37540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8661A KR100795107B1 (ko) 2005-05-19 2006-01-27 풍력 선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698286B2 (ko)
KR (1) KR1007951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6542B1 (ko) 2007-12-12 2008-12-31 (주)에이씨아이케미칼아시아 공기 분사식 쓰레기 선별장치
CN105032761A (zh) * 2015-08-17 2015-11-11 山东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固体混合物分离装置,尤其是虫卵、成虫鳞粉分离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50486B (de) * 1975-02-27 1979-06-11 Goergen Fritz Aur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bscheiden ver- schiedener fraktionen aus muell
JP3208793B2 (ja) * 1991-06-24 2001-09-17 神鋼電機株式会社 風選機
JPH0570679U (ja) * 1992-03-06 1993-09-24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多段分級機
JPH0574681U (ja) * 1992-03-11 1993-10-12 大阪セメント株式会社 多段分級機
JPH06106134A (ja) * 1992-09-28 1994-04-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多段風力式分級機
JPH07100435A (ja) * 1993-10-06 1995-04-18 Okasan Kogyo:Kk 固体廃棄物分別処理装置
JP3635242B2 (ja) * 2001-03-26 2005-04-06 株式会社栗本鐵工所 砕砂製造装置
KR100471665B1 (ko) * 2002-02-16 2005-03-08 구미녹색환경(주) 건축 폐기물의 선별장치
KR200387219Y1 (ko) * 2005-03-23 2005-06-20 이준창 재활용품 풍력선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5107B1 (ko) 2008-01-17
JP2006320850A (ja) 2006-11-30
JP4698286B2 (ja) 201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83658A1 (en) Sorting Waste Materials
WO2008079378A1 (en) Apparatus for on-site cleaning of landscape rock
KR100516002B1 (ko) 건설폐기물 중간처리과정의 이물질 선별구조
KR100795107B1 (ko) 풍력 선별장치
JP4010998B2 (ja) 比重差選別機
JP3407412B2 (ja) 風力選別機
EP167664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plastic and paper waste
JPH10249282A (ja) 風力選別装置
JP2008284533A (ja) 選別機
JP4182049B2 (ja) 風力選別装置
KR200387219Y1 (ko) 재활용품 풍력선별장치
JP2016209852A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477101B2 (ja) 廃棄物選別装置
JP2803996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2016068055A (ja) 廃棄物の選別装置
KR200295235Y1 (ko) 사이크론을 이용한 건축폐기물의 경량쓰레기 분리장치
JP3325502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KR101076206B1 (ko) 진동 풍력 선별장치
JP2742030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3035200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2799145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2872568B2 (ja) 風力選別用多孔板
JP2803995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JPH05273A (ja) 風選機
JP3325503B2 (ja) 廃棄物の選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