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8817A -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8817A
KR20060118817A KR1020050041187A KR20050041187A KR20060118817A KR 20060118817 A KR20060118817 A KR 20060118817A KR 1020050041187 A KR1020050041187 A KR 1020050041187A KR 20050041187 A KR20050041187 A KR 20050041187A KR 20060118817 A KR20060118817 A KR 200601188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pedal
flow frame
flow
pedal
position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1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장선
안순옥
Original Assignee
최장선
안순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장선, 안순옥 filed Critical 최장선
Priority to KR1020050041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118817A/ko
Publication of KR200601188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88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1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 B60T7/12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automatic initiation; for initiation not subject to will of driver or passenger for locking of revers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 B60Y2302/09Reducing the workload of dr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상에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부재를 결합 구성함으로써, 도로의 급경사 또는 적재량이 많은 차량의 정차가 이루어져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시간이 오래 지속될 때, 또는 차량이 주차상태가 오래 지속될 경우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밟은 상태로 고정시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하는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함은 물론, 차량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풋 브레이크와 핸드 브레이크의 사용에 따른 패드의 동시 마모 현상을 방지하면서 소모품에 대한 교환 주기를 보다 연장시키고, 특히 도로의 조건과 무관하게 어쩔수없이 시동을 온 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분뇨 처리차량, 탱크로리 차량, 레미콘 차량 등의 특수차량에 대한 제동력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브레이크 페달, 페달로드, 회전캠, 단속베어링, 모터

Description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location fix device for brake peda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장치에 대한 전체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고정부재에 대한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고정부재에 대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고정부재에 대한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고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위치고정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위치고정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배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브레이크 페달 2 ; 페달로드
10; 단속스위치 20; 마이컴
30; 위치고정부재 40; 본체부
41; 안내홈 42; 안내핀
43; 고정핀 50; 단속부
51; 제 1 유동프레임 52; 제 1 랙기어부
53; 단속베어링 54; 브라켓
55; 제 1 스프링 56; 완충봉
60; 구동부 61; 모터
62; 회전캠 63; 위치감지센서
64; 작동로드 70; 록킹부
71; 제 2 유동프레임 72; 제 2 랙기어부
73; 제 2 스프링 100; 패널
101; 동작표시부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의 급경사 또는 적재량이 많은 차량의 정차가 이루어져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시간이 오래 지속될 때, 또는 차량이 주차상태가 오래 지속될 경우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로 고정시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하는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함은 물론, 차량이 밀림 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같이, 차량에는 발에 의해 조작되는 풋 브레이크와 손으로 조작이 가능한 핸드브레이크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풋 브레이크는 차량의 주행중 감속 또는 정지시키고자 할 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발로 밟아 조작되는 것으로, 차량의 주차 및 정차에 따른 정지상태를 확실하게 유지하기 위한 필수적인 요소이다.
즉, 상기 풋 브레이크와 핸드 브레이크는 차량이 정차(특히 오르막길이나 내리막길)될 경우 대부분의 운전자는 차량이 언제 출발할지 예측하지 못하므로, 발로 풋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거나 또는 핸드 브레이크를 작동시켜 차량의 제동력이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풋 브레이크는 차량이 장시간 정차되어 있을 때 운전자가 일정한 힘으로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고 있어야 하고, 만약 브레이크 페달에 대한 밟음 강도가 약화될 경우에는 차량의 밀림 현상이 초래되면서 추돌사고가 발생할 수 밖에 없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고, 아울러 브레이크 페달을 계속 밟고 있을 경우에는 운전자의 피로도가 급격하게 상승하는 불편함이 따랐다.
이에 종래에는 차량의 제동력 확보를 위해 풋 브레이크는 물론, 핸드 브레이크를 동시에 조작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풋 브레이크와 핸드 브레이크에 대한 패드 마모가 동시에 이루어지면서 소모품에 대한 교체 주기가 단축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차량의 주정차를 위해 사용하는 풋 브레이크와 핸드브레이크에 있어, 상기 핸드브레이크는 도로의 경사가 급하거나 차량의 적재량이 많을 경우 그 제동력이 약화되는 단점이 있는 관계로, 차량의 확실한 제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종래에는 운전자가 시동을 오프시킨 후 기어의 변속(후진기어)을 통해 엔진브레이크 를 걸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는 부재를 브레이크 페달의 로드에 결합 구성함으로써, 도로의 급경사 또는 적재량이 많은 차량의 정차가 이루어져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시간이 오래 지속될 때, 또는 차량이 주차상태가 오래 지속될 경우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로 고정시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하는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함은 물론, 차량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풋 브레이크와 핸드 브레이크의 사용에 따른 패드의 동시 마모 현상을 방지하면서 소모품에 대한 교환 주기를 보다 연장시키고, 특히 도로의 조건과 무관하게 어쩔수없이 시동을 온 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특수차량(예; 분뇨 처리차량, 탱크로리 차량, 레미콘 차량 등)의 제동력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장치는,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 정도에 따라 주·정차의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페달로드 및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의 운전석에 구비되어 누름의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단속스위치;
상기 단속스위치의 누름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페달로드에 근접 설치되는 위치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마이컴에는,
위치고정부재의 구동 오류시 상기 위치고정부재를 초기화시킨 후 역회전 구동으로 정상동작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상태 수정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브레이크 페달의 일단에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에 위치하되,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페달로드를 따라 유동하는 단속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부터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단속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록킹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본체부에는,
단속부의 자유로운 슬라이드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홈;
록킹부의 슬라이드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다단의 안내핀; 및, 고정핀; 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단속부는,
브레이크 페달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드 유동하는 제 1 유동프레임;
상기 제 1 유동프레임의 일면에 마련된 제 1 랙기어부;
상기 제 1 유동프레임의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페달로드를 따라 유동하는 단속베어링;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제 1 유동프레임과 브라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유동프레임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1 유동프레임에는,
본체부와 면접촉하면서 제 1 유동프레임의 갑작스러운 상사점 복귀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봉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구동부는,
마이컴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 일체형의 모터;
상기 구동축상에 연결되어 록킹부를 유동시키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의 회전범위에 따라 모터의 회전 구동을 제한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감지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캠에 일체화된 작동로드;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록킹부는,
상기 회전캠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경사각도로 슬라이드 유동하는 제 2 유동프레임;
상기 제 2 유동프레임의 일면에 마련하되, 상기 제 2 유동프레임의 유동시 상기 제 1 랙기어부와 기어 맞물림되어 단속베어링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 2 랙기 어부; 및,
상기 고정핀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유동프레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제 2 유동프레임에는,
다단의 안내핀이 삽입되는 다단의 유동홀을 소정의 경사각도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장치에 대한 전체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고정에 대한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고정부재에 대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고정부재에 대한 배면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고정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블럭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위치고정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위치고정부재의 동작상태를 보인 배면도 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장치는 브레이크 시스템에 포함되는 브레이크 페달(1)의 페달로드(2)에, 단속스위치(10), 마이컴(20), 위치고정부재(30)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단속스위치(10)는 차량내의 운전석(일예로, 기어변속레버의 상면이나 대쉬보드상에 설치)에 구비되어 위치고정부재(30)의 동작상태를 결정하는 누름의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상기의 누름신호에 따라 위치고정부재(30)에 의한 브레이크 페달(1)의 단속이 이루어지거나, 또는 브레이크 페달(1)에 대한 위치고정부재(30)의 단속이 해제된다.
상기 마이컴(20)은 차량의 운전석 대쉬보드에 설치되는 패널(100)에 동작표시부(101)와 함께 구비되며, 이는 상기 단속스위치(10)의 누름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1)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위치고정부재(30)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위치고정부재(30)의 동작오류시 이를 수정 즉, 상기 위치고정부재(30)를 초기화시킨 후 역회전 구동으로 정상동작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상태 수정 프로그램을 구성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30)는 페달로드(2)에 근접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 출력시 브레이크 페달(1)을 밟은 상태에서 그 위치를 고정하도록 동작하며, 본체부(40), 단속부(50), 구동부(60), 록킹부(7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부(40)는 안내홈(41)과 안내핀(42) 및 고정핀(4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안내홈(41)은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것으로, 상기 단속부(50)의 자유로운 슬라이드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안내핀(42)은 상기 록킹부(70)의 슬라이드 유동을 안내하기 위해 다단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핀(43)은 록킹부(70)의 원활한 복귀를 돕는 제 2 스프링(73)의 고정핀이다.
상기 단속부(50)는 브레이크 페달(1)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페달로드(2)를 따라 유동하도록 상기 본체부(30)에 결합되는 구조로, 제 1 유동프레임(51), 제 1 랙기어부(52), 단속베어링(53), 브라켓(54), 제 1 스프링(55), 완충봉(56)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은 상기 본체부(40)의 안내홈(41)에 안착된 상태에서 단속스위치(10)의 누름신호가 없을 때 브레이크 페달(1)의 움직임 방향으로 상기 안내홈(41)을 따라 자유롭게 슬라이드 유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 1 랙기어부(52)는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일면에 마련된 것이고, 이는 단속스위치(10)의 1회 누름신호가 발생할 때 상기 록킹부(70)와 기어 맞물림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유동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단속베어링(53)은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타면에 마련된 상태에서, 상기 페달로드(2)상에 면접촉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자유로운 슬라이드 유동시 상기 페달로드(2)를 따라 유동하지만, 상기 단속스위치(10)의 1회 누름신호로부터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유동이 제한될 경우에는 상기 페달로드(2)를 눌러 브레이크 페달(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브라켓(54)은 상기 본체부(4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제 1 스프링(55)은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과 브라켓(54)에 양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자유 유동을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 1 스프링(55)은 인장력을 발휘하는 스프링으로, 이는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슬라이드 유동시 상기 단속베어링(53) 및 페달로드(2)의 밀착상태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인장력을 발휘한다.
상기 구동부(60)는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로부터 구동하는 것으로, 모터(61), 회전캠(62), 위치감지센서(63), 작동로드(64)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61)는 마이컴(20)의 제어신호 출력이 이루어질 때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며, 구동축(61a)을 가진다.
상기 회전캠(62)은 상기 모터(61)의 구동축(61a)상에 연결되며, 상기 모터(61)의 회전 구동시 연동하여 18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에는 록킹부(70)를 누르면서 단속부(50)의 제 1 랙기어부(52)와 기어 맞물림시키고, 상기 모터(61)의 회전 구동으로부터 360°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에는 록킹부(70)의 누름을 해제시키면서 제 1 랙기어부(52)와의 기어 맞물림을 해제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위치감지센서(63)는 상기 회전캠(62)의 회전범위(180°,360°)에 따라 상기 모터(61)의 회전 구동을 오프시키도록 구성되며, 그 구동 오프는 상기 회전캠(62)에 일체화된 작동로드(64)의 회전상태를 감지함으로써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상기 록킹부(70)는 상기 모터(61)의 회전 구동시 단속베어링(53)이 일체화된 제 1 유동프레임(51)의 움직임을 정지시켜 브레이크 페달(1)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구성되며, 제 2 유동프레임(71), 제 2 랙기어부(72), 제 2 스프링(73)을 포함한다.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은 회전캠(62)의 회전(180°)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경사각도로 슬라이드 유동하도록 상기 본체부(40)에서 다단으로 마련된 안내핀(42)에 의해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안내핀(42)과의 결합을 위해, 상기 다단의 안내핀(52)이 위치하는 다단의 유동홀(71a)이 마련된다.
이때, 상기 유동홀(71a)은 소정의 경사각도로서 장공을 이루며, 상기 유동홀 (71a)에 삽입되는 안내핀(42)에 의해,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은 소정의 경사각도로 그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 제 2 랙기어부(72)는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의 일면에 마련되며, 이는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의 유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 랙기어부(52)와 기어 맞물림이 이루어면서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움직임을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 2 스프링(73)은 상기 본체부(40)에 마련된 고정핀(43)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의 하단에 삽입되는 압축스프링으로, 이는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의 슬라이드 유동시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의 리턴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도록 복원력을 발휘한다.
즉,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과 제 1 유동프레임(51)의 기어 맞물림 해제시,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이 원래의 위치로 리턴시키는 복원력을 발휘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에서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에 근접되게 위치고정부재(30)의 본체부(40)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본체부(4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단속부(50)의 단속베어링(53)을 페달로드(2)상에 접촉시킨다.
이후, 차량의 운전석에서 운전자의 조작 편의성을 제공하는 위치 즉, 변속레버의 상면에 단속스위치(10)를 설치하는 한편, 운전자의 전방 시야를 고려한 위치 즉, 대쉬보드에 동작표시부(101) 및 마이컴(20)이 구성된 패널(100)을 설치한다.
이때, 상기 동작표시부(101)와 마이컴(20)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한편, 상기 마이컴(20)은 단속스위치(10)는 물론 위치고정부재(30)내의 구동부(60)에 구성된 모터(61)와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다음, 운전자가 차량을 운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로의 정체 현상으로 인해 브레이크 페달(1)을 밟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페달로드(2)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움직임에 따라 그 위치가 가변된다.
그러면, 상기 페달로드(2)에 접촉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단속베어링(53)은 상기 페달로드(2)의 위치 가변으로부터 자유로운 구름동작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위치고정부재(30)의 단속부(50)에 포함된 제 1 유동프레임(51)은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움직임에 따라 본체부(40)에 마련된 안내홈(41)을 따라 그 움직임이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상기의 움직임에 따른 단속베어링(53)은 제 1 스프링(55)의 인장력으로 인해 상기 페달로드(2)와 항상 밀착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을 크게 밟아 상기 브레이크 페달(1)에 연결되는 페달로드(2)로 단속베어링(53)이 위치한 상태에서, 도로의 정체현상으로 인해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에서 발을 떼고자 변속레버에 위치하는 단속스위치(10)를 누른다.
그러면, 상기 단속스위치(10)의 누름신호는 마이컴(20)으로 전달되고, 상기 마이컴(20)은 위치고정부재(30)의 구동부(60)에 포함된 모터(61)를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바,
상기의 제어신호로부터 모터(61)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고, 이와동시에 상기 모터(61)의 구동축(61a)상에 연결된 회전캠(62)의 180°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캠(62)은 180°의 회전을 함과 동시에 록킹부(70)의 제 2 유동프레임(71)을 누르게 되고,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은 다단으로 이루어진 안내핀(42)과 유동홀(71a)의 결합상태로부터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면서 본체부(40)의 내측으로 슬라이드 유동을 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의 일면에 형성된 제 2 랙기어부(72)는 단속베어링(53)과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제 1 유동프레임(51)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랙기어부(52)와 기어 맞물림이 이루어지는 바,
상기 제 1,2 랙기어부(52)(72)의 기어 맞물림으로부터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은 더이상 자유로운 유동을 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과 일체화된 단속베어링(53)도 페달로드(2)에서 그 위치가 고정되는 바,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브레이크 페달(1)의 밟음상태는 상기 단속베어링(53)의 고정상태로부터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운전자가 상기의 브레이크 페달(1)로부터 발을 이탈시키더라도,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의 밟음상태는 상기 단속베어링(53)에 의해 일정하게 유지되면서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회전캠(62)의 180°회전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의 슬라이드 유동이 이루어지면, 상기 회전캠(62)에 일체화된 작동로드 (64)의 회전상태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63)에 의해 그 회전 구동이 정지됨으로써, 상기 회전캠(62)에 의한 제 2 유동프레임(71)의 누름상태는 지속된다.
여기서, 상기 단속베어링(53)의 위치가 브레이크 페달(1)을 완전하게 밟았을 때 그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설명하였지만,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을 조금 밟거나 또는 중간 정도의 강도로 밟은 상태에서 단속스위치(10)를 누르는 경우, 상기 브레이크 페달(1)은 단속베어링(53)에 의해 그 위치 고정이 가변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는 것이다.
즉, 필요에 따라 운전자가 단속스위치(10)를 누르면 그 누름신호로부터 바로 브레이크 페달(1)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와 같이 단속베어링(53)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1)의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면, 차량의 운전석 대쉬보드상에 위치하는 패널(100)의 동작표시부(101)에서는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의 동작을 함으로써,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의 위치 고정상태를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마이컴(20)의 제어신호로부터 모터(61)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질 때, 상기 제 1,2 랙기어부(52)(72)의 기어 맞물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상기 마이컴(20)은 수정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제 1,2 랙기어부(52)(72)의 기어 맞물림 오류를 판단한 후 바로 모터(61)를 반복적으로 역회전 구동시킨다.
그러면, 상기 모터(61)의 반복되는 역회전구동으로부터 회전캠(62)의 역회전(-180°,+180°)도 반복(약 3회)된다.
그러면, 상기 회전캠(62)의 반복적인 역회전으로부터 상기 제 1,2 랙기어부 (52)(72)의 기어 맞물림이 해제되면서 동작 초기상태로 전환된다.
즉, 제 1,2 랙기어부(52)(72)의 기어 맞물림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에 의해 제 1 유동프레임(51)의 유동 제한이 제대로 실시되지 않을 경우,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에서 발을 떼면 차량의 전진(또는 후진)으로 추돌사고 발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상기 제 1,2 랙기어부(52)(72)를 동작 초기상태로 전환시켜 그 단속이 처음부터 다시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동작상태는 동작표시부(101)의 점등으로 표시되도록 하였으며, 이에따라 운전자는 브레이크 페달(1)의 정확한 고정이 이루어졌는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1)의 위치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도로의 정체 현상이 해소되어 차량 운행을 재개할 경우, 운전자는 단속스위치(10)를 다시 한번 누른다.
그러면, 상기의 누름신호로부터 마이컴(20)은 구동부(60)에 포함된 모터(61)를 다시 회전 구동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바,
상기의 제어신호로부터 모터(61)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고, 이와동시에 상기 모터(61)의 구동축(61a)상에 연결된 회전캠(62)도 180°에서 360°의 위치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캠(62)의 회전과 동시에 록킹부(70)의 제 2 유동프레임(71)에 대한 누름상태는 해제되고,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제 2 스프링(73)의 복원력에 의해 다단으로 이루어진 안내핀(42)과 유동홀(71a) 의 결합상태로부터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면서 본체부(40)의 외측으로 슬라이드 유동을 한다.
그러면, 상기 제 2 유동프레임(71)의 일면에 형성된 제 2 랙기어부(72)는 단속베어링(53)와 일체화된 구조를 이루는 제 1 유동프레임(51)의 일면에 형성된 제 1 랙기어부(52)와 기어 맞물림이 해제되는 바,
상기 제 1,2 랙기어부(52)(72)의 기어 맞물림 해제 이후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은 다시 안내홈(41)을 따라 자유로운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슬라이드 유동시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에 형성된 완충봉(56)은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의 갑작스러운 상사점 복귀시 초래되는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 1 유동프레임(51)에 일체화된 단속베어링(53)도 페달로드(2)를 따라 자유로운 유동을 하게 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크 페달(1)에 대한 고정이 해제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1)에서 발을 떼면, 차량의 주행은 바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브레이크 페달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위치고정부재를 페달로드에 결합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정차가 이루어져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시간이 오래 지속될 때 위치고정부재를 통해 브레이크 페달을 밟은 상태로 고정시켜 브레이크 페달을 밟고 있어야 하는 운전자의 피로도를 저감함은 물론, 차량의 밀림 현상을 방지하고, 아울러 풋 브레이크와 핸드 브레이크의 사용에 따른 패드의 동시 마모 현상을 방지하면서 소모품에 대한 교환 주기를 보다 연장시키고, 특히 도로의 조건과 무관하게 어쩔수없이 시동을 온 시킨 상태에서 작업을 해야하는 분뇨 처리 차량, 탱크로리 차량, 레미콘 차량 등의 특수차량에 대한 제동력을 보다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9)

  1. 브레이크 페달의 밟음 정도에 따라 주·정차의 제동력을 제공하도록 페달로드 및 브레이크 페달을 포함하는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의 운전석에 구비되어 누름의 스위칭신호를 발생하는 단속스위치;
    상기 단속스위치의 누름신호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 및,
    상기 제어신호의 출력시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페달로드에 근접 설치되는 위치고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는,
    위치고정부재의 구동 오류시 상기 위치고정부재를 초기화시킨 후 역회전 구동으로 정상동작상태로 복귀시키는 구동상태 수정 프로그램을 탑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고정부재는,
    브레이크 페달의 일단에 위치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내에 위치하되, 상기 브레이크 페달의 움직임이 발생할 때 페달로드를 따라 유동하는 단속부;
    상기 마이컴의 제어신호로부터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부의 구동시 단속부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록킹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에는,
    단속부의 자유로운 슬라이드 유동을 안내하는 안내홈;
    록킹부의 슬라이드 유동을 안내하기 위한 다단의 안내핀; 및, 고정핀; 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부는,
    브레이크 페달의 움직임에 따라 슬라이드 유동하는 제 1 유동프레임;
    상기 제 1 유동프레임의 일면에 마련된 제 1 랙기어부;
    상기 제 1 유동프레임의 타면에 마련되어 상기 페달로드를 따라 유동하는 단속베어링;
    상기 본체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브라켓; 및,
    상기 제 1 유동프레임과 브라켓 사이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유동프레임의 유동을 안내하는 제 1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유동프레임에는,
    본체부와 면접촉하면서 제 1 유동프레임의 갑작스러운 상사점 복귀시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봉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마이컴의 제어신호 출력에 따라 회전 구동하는 구동축 일체형의 모터;
    상기 구동축상에 연결되어 록킹부를 유동시키는 회전캠;
    상기 회전캠의 회전범위에 따라 모터의 회전 구동을 제한하는 위치감지센서; 및,
    상기 위치감지센서의 감지동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회전캠상에 일체화된 작동로드;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회전캠의 회전이 이루어질 때 소정의 경사각도로 슬라이드 유동하는 제 2 유동프레임;
    상기 제 2 유동프레임의 일면에 마련하되, 상기 제 2 유동프레임의 유동시 상기 제 1 랙기어부와 기어 맞물림되어 단속베어링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제 2 랙기어부; 및,
    상기 고정핀에 일단이 고정되면서 상기 제 2 유동프레임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스프링;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 정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동프레임에는,
    다단의 안내핀이 삽입되는 다단의 유동홀을 소정의 경사각도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KR1020050041187A 2005-05-17 2005-05-17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KR200601188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87A KR20060118817A (ko) 2005-05-17 2005-05-17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1187A KR20060118817A (ko) 2005-05-17 2005-05-17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3890U Division KR200398218Y1 (ko) 2005-05-17 2005-05-17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8817A true KR20060118817A (ko) 2006-11-24

Family

ID=37705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1187A KR20060118817A (ko) 2005-05-17 2005-05-17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1188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33B1 (ko) * 2007-10-24 2009-03-27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KR200449813Y1 (ko) * 2008-03-17 2010-08-12 안순옥 브레이크 페달 위치 고정 장치
CN106840881A (zh) * 2017-03-10 2017-06-13 浙江华电器材检测研究所 基于轮辐结构的绞线全自动张紧试验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0433B1 (ko) * 2007-10-24 2009-03-27 자동차부품연구원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KR200449813Y1 (ko) * 2008-03-17 2010-08-12 안순옥 브레이크 페달 위치 고정 장치
CN106840881A (zh) * 2017-03-10 2017-06-13 浙江华电器材检测研究所 基于轮辐结构的绞线全自动张紧试验装置
CN106840881B (zh) * 2017-03-10 2023-11-28 浙江华电器材检测研究院有限公司 基于轮辐结构的绞线全自动张紧试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8053B1 (ko) 자동차용브레이크페달장치
JP3542709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装置
CN105270361B (zh) 车辆用电子驻车制动器及其控制方法
JP2002220045A (ja) 電動駐車ブレーキ装置
JP3884470B1 (ja) 自動車用ペダル装置
DE50207208D1 (de) Steuereinheit für die gang- oder schaltprogrammwahl eines automatischen kraftfahrzeuggetriebes
KR20060118817A (ko)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KR200398218Y1 (ko)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JP4764437B2 (ja) トラクタのブレーキ操作機構
US7334667B2 (en) Selective actuation device
KR100600198B1 (ko)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밀림 방지 장치
KR100589195B1 (ko) 자동차의 전동식 자동브레이크 장치
KR200220801Y1 (ko) 자동차의 답면 일체형 페달장치
JP4673385B2 (ja) トラクタにおけるブレーキランプの点灯操作構造
JP4433712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KR100580508B1 (ko) 운전자 보호장치
JPH1120493A (ja) 自動車のペダルブラケット構造
JP3459347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構造
JP3776225B2 (ja) 自動車のブレーキペダル構造
KR20080052989A (ko) 파킹브레이크페달 이동장치
KR10039825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페달어셈블리
KR100579736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페달의 멈춤장치
KR100507211B1 (ko) 운전자 보호장치
KR100968820B1 (ko) 차량용 추돌방지 브레이크장치
KR19980060232U (ko) 자동차의 페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