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0433B1 -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0433B1
KR100890433B1 KR1020070107288A KR20070107288A KR100890433B1 KR 100890433 B1 KR100890433 B1 KR 100890433B1 KR 1020070107288 A KR1020070107288 A KR 1020070107288A KR 20070107288 A KR20070107288 A KR 20070107288A KR 100890433 B1 KR100890433 B1 KR 10089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arm
curved
shaft
pedal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72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원
송세일
김용환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701072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04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04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9Control elements or operating handles movable from an operative to an out-of-the way position, e.g. pedals, switch knobs, window cr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32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with means to prevent inju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페달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로드를 조작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 고정브라켓에 암 힌지축을 통해 각도변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에는 페달부가 구비된 페달암과, 상기 페달암과 작동로드의 사이에 곡선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달암의 각도를 조정하는 곡선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차량, 페달암, 각도, 조정

Description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Automobile pedal arm tilting divice}
본 발명은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로 페달암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가속 페달이나 브레이크 페달 또는 클러치 페달(이하, 총칭하여 "페달"이라 칭함)은 운전자의 발 누름을 통해 조작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운전자가 페달을 용이하게 밟기 위하여 시트의 전,후방 위치와 높이를 조정하고 있는데, 시트를 전방으로 지나치게 이동시킬 경우에는 스티어링 휠과 운전자의 거리가 너무 짧아 휠의 조작에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고, 사고의 발생시 운전자에게 치명적인 부상을 주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페달을 구성하는 페달암의 각도를 조절하는 방식의 페달 조립체가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이 기출원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2005-78087호의 "위치 조절이 가능한 페달 조립체"(이하, "종래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라 칭함)가 알려져 있다.
즉 종래의 페달암 조절장치는 링크와 직선형의 잭 스크류와 웜 및 웜휠을 사용하여 페달암의 각도를 변경하여 페달의 위치를 조정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는, 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에 많은 어려움이 따랐으며, 구성품이 많아 제작비용이 과다하게 들게 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주행중 외부의 진동으로 인하여 웜휠과 웜의 간격이 변화되는 현상이 발생됨으로써, 잦은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 구성품이 많고 웜축을 잡아주는 양측 베어링이 필수적으로 필요함에 따라 전체적인 무게가 무거워짐으로써 차량에 장착하는 것을 꺼리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발명된 것으로, 구성품을 간단히 하고 작동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주행중 외부 진동으로 인하여 쉽게 고장이 발생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무게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로드를 조작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 고정브라켓에 암 힌지축을 통해 각도변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에는 페달부가 구비된 페달암과, 상기 페달암과 작동로드의 사이에 곡선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달암의 각도를 조정하는 곡선 이동수단으로 구성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 이동수단은;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고정되고 하부의 피치보다 상부의 피치가 크게 나선부가 형성된 홀을 포함하는 곡선 고정관과; 상기 홀에 관통 체결되는 유연체 나선축과; 상기 곡선 고정관의 외측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 곡선 이동관과, 상기 페달암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곡선 이동관과 상기 유연체 나선축의 측부에 구비되어 유연체 나선축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곡선 이동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구동수단은, 상기 곡선 이동관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암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와, 상기 회전축과 유연체 나선축을 상호 연결하는 동력 전달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 이동수단은,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고정되고 내측 원호부보다 외측 원호부의 피치가 크게 내,외측 나선부가 형성된 곡선 고정축과, 내부 홀에 형성된 중간 나선부가 상기 외측 나선부에 체결되고 양 측 나선부가 상기 내측 나선부에 체결되어 장착되는 너트와, 상기 페달암에 고정되어 상기 너트를 회전시켜 너트와 함께 곡선 고정축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곡선 이동수단은, 상기 작동로드의 단부에 힌지축을 통해 고정되고 외측 원호부의 피치보다 내측 원호부의 피치가 크게 형성된 내,외측 랙이 구비된 곡선 랙축과; 상기 페달암에 고정되고 상기 곡선 랙축에 장착되는 구동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제조단가를 줄일 수 있는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외부 진동으로 인하여 쉽게 고장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효과도 있다.
또 무게를 최소로 줄일 수 있는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차체의 전체적인 중량을 줄이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A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에 모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이하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함께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로드(11)를 조작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 고정브라켓(10)에 암 힌지축(30)을 통해 각도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에는 페달부가 구비된 페달암(20)과, 상기 페달암(20)과 작동로드(11)의 사이에 곡선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달암(20)의 각도를 조정하는 곡선 이동수단(1)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곡선 이동수단(1)은, 상기 작동로드(11)의 단부에 힌지축(12; 도1참조) 또는 용접(도2참조)을 통해 고정되고 하부의 피치보다 상부의 피치가 크게 나선부(211)가 형성된 홀(21)을 포함하는 곡선 고정관(2)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곡선 이동수단(1)은, 상기 홀(21)에 관통 체결되는 유연체 나선축(22)과,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외측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 곡선 이동관(31)과,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곡선 이동관(31)과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의 측부에 구비되어 유연체 나선축(2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2)으로 구성 된 곡선 이동체(3)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곡선 고정관(2)과 곡선 이동관(31)은 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원호형의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곡선 이동관(31)과 곡선 이동체(3)는 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구동수단(32)은, 상기 곡선 이동관(31)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321)와,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322)와, 상기 회전축과 유연체 나선축(22)을 상호 연결하는 동력 전달수단(32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수단(323)은,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에 구비된 나선축 기어(324)와, 상기 모터(322)의 회전축과 나선축 기어(324)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325)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은 동일한 피치의 나선부(211)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제조되고, 활처럼 곡선으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합성수지나 또는 고무 또는 스프링강과 같은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이 직선으로 펴져 있을 경우에는 동일한 피치의 나선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외측과 곡선 이동관(31)의 사이에는, 상기 곡선 이동관(31)의 내측에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311)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곡선 이동체(3)가 곡선 고정관(2)을 따라 이동될 경우에 곡선 이동관(31)과 곡선 고정관(2)의 마찰을 최소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할 경우에는 암 힌지축(30)이 페달암(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중간이 하향 굴곡지게 장착되는 한편,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할 경우에는 암 힌지축(30)이 페달암(20)의 중간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중간이 상향 굴곡지게 장착되는데, 그 작동관계는 동일함으로써 이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의 작동을 함께 설명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먼저 구동수단(32)을 구성하는 모터(322)를 작동시켜 모터(322)의 회전력을 동력 전달수단(323)을 통해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으로 전달한다.
그러면 유연체 나선축(22)은, 회전됨과 동시에 곡선 고정관(2)의 내부에 형성된 나선부(211)를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은 곡선 이동체(3)에 구동수단(32)을 통해 연결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곡선 이동체(3)를 구성하는 케이스(321)와 곡선 이동관(31)이 곡선 고정관(2)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케이스(321)가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서, 케이스(321)가 이동됨과 동시에 페달암(20)이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구동수단(32)을 구성하는 모터(32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곡선 이동체(3)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페달암(12)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곡선 이동관(31)을 포함하는 곡선 이동체(3)가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곡선 이동관(31)의 내측에는 다수의 돌출부(311)가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곡선 이동관(31)과 곡선 고정관(2)의 마찰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유연체 나선축(22)의 회전만을 통해 곡선 이동체(3)를 이동시켜 페달암(20)의 각도를 변경시킬 수 있음에 따라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간단한 구조로 제조함에 따라 저가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곡선 고정관(2)의 내부에 유연체 나선축(22)이 장착되어 있음에 따라서, 외부로 부터 진동이 유연체 나선축(22)으로 전달되더라도 페달암의 각도 조절장치가 쉽게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간단히 구성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무게를 최소로 줄임에 따라 차량에 장착시 차체의 무게를 줄이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브레이크 페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면 페달암(20)의 상부에 구비된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운전 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가속 페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면 페달암(20)의 중간에 구비된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가속 페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3b는 C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4b는 D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함께 설명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로드(11)를 조작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곡선 이동수단(1)은, 상기 작동로드(11)의 단부에 힌지축(12;도3참조) 또는 용접(도4참조)을 통해 고정되고 내측 원호부보다 외측 원호부의 피치가 크게 내,외측 나선부(62,63)가 형성된 곡선 고정축(6)과, 내부 홀(51)에 형성된 중간 나선부(52)가 상기 외측 나선부(63)에 체결되고 양 측 나선부(53)가 상기 내측 나선부(62)에 체결되게 곡선 고정축(6)에 장착되는 너트(5)와,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상기 너트(5)를 회전시켜 너트(5)와 함께 곡선 고정축(6)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구동수단(7)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내,외측 나선부(62,63)는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곡선 고정축(6)의 외측에 구비된 나선부를 외측 나선부(63)라 하고, 내측에 구비된 나선부를 내측 나선부(62)라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구동수단(7)은, 너트(5)를 회전되게 감싸며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구비되어 너트(5)를 회전시키는 너트 회전수단(7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너트 회전수단(72)은, 모터(721)와 모터(721)의 회전력을 상기 너트(5)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72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 상기 동력전달수단(722)은, 너트(5)의 외측에 구비되는 너트 회전기어(723)와, 상기 너트 회전기어(723)와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724)로 구성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곡선 고정축(6)은 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원호형의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이동 구동수단(7)은 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할 경우에는 암 힌지축(30)이 페달암(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중간이 하향 굴곡지게 장착되고,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할 경우에는 암 힌지축(30)이 페달암(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중간이 상향 굴곡지게 장착되는데, 그 작동관계는 동일함으로써 이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의 작동을 함께 설명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상기 너트 회전수단(72)을 구성하는 모터(721)를 회전시켜 너트(5)를 회전시키게 되면, 곡선 고정축(6)이 홀(51)에 체결되어 있는 너트(5)와 이동 구동수단(7)이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곡선 이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고정수단(7)이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있음에 따라서, 이동 구정수단(7)이 이동됨과 동시에 페달암(20)이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 구동수단(7)을 구성하는 모터(721)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이동 구동수단(7)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페달암(20)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너트 회전수단(72)을 작동시켜 너트(5)를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곡선 고정축(6)의 외측 원호부에 형성된 외측 나선부(63)가 체결된 중간 나선부(52)와 상기 곡선 고정축(6)의 내측 원호부에 형성된 내측 나선부(62)가 체결된 양 측 나선부(53)가 회전됨으로써, 너트(5)와 이동 구동수단(92)이 고정 고정축(6)을 따라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왜냐하면, 상기 곡선 고정축(6)의 외측 나선부(63)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5)의 중간 나선부(52)의 피치가, 상기 곡선 고정축(6)의 내측 나선부(62)와 이에 체결되는 너트(5)의 양 측 나선부(53)의 피치보다 크게 형성됨에 따라서, 너트(5)가 회전되면 곡선 고정축(6)의 상부에서는 곡선 이동길이가 길게 되고 곡선 이동축(6)의 하부에서는 곡선 이동길이가 짧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곡선 고정축(6)이 이동되는 과정에서는 곡선 고정축(6)이 활처럼 휘어져 있음에 따라서, 곡선 고정축(6)의 내측 나선부(62)는 너트(5)의 중간 나선부(52)에 체결되지 않게 되고, 곡선 고정축(6)의 외측 나선부(63)는 너트(5)의 양 측 나선부(53)에 체결되지 않게 됨에 따라서, 상기와 같이 이동 구동수단(7)의 구동을 통해 너트(5)를 회전시키게 되면 너트(5)가 곡선 고정축(6)을 따라 일측 또는 타측으로 원활하게 이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너트(5)의 회전만으로도 너트(5)와 이동 구동수단(7)이 일 방향 또는 타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이동 구동수단(7)과 힌지축(40)으로 연결된 페달암(20)의 각도가 변화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너트(5)의 회전을 통해 곡선 고정축(6)을 따라 너트(5)와 이동 구동수단(7)이 이동되어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킴에 따라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함에 따라 저가로 곡선 이동장치를 제 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너트(5)가 곡선 고정축(6)을 감싸면서 체결됨으로써 주행중 외부로 부터 진동이 너트(5)와 곡선 고정축(61)으로 전달되더라도 곡선 이동장치가 쉽게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간단히 구성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무게를 최소로 줄임에 따라 차량에 장착시 차체의 무게를 최소로 줄이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브레이크 페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면 페달암(20)의 상부에 구비된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가속 페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면 페달암(20)의 중간에 구비된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가속 페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5b는 E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6b는 F부 확대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에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함께 설명한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페달암 조절장치는,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로드(11)를 조작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곡선 이동수단(1)은, 상기 작동로드(11)의 단부에 힌지축(12;도5참조) 또는 용접(도6참조)을 통해 고정되고 외측 원호부의 피치보다 내측 원호부의 피치가 크게 형성된 내,외측 랙(81,82)이 구비된 곡선 랙축(8)과,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고 상기 곡선 랙축(8)에 장착되는 구동 이동수단(9)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 이동수단(9)은; 상기 곡선 랙축(8)을 감싸면서 곡선 랙축(8)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케이스(91)와; 상기 케이스(9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곡선 랙축(8)의 외,내측 랙(82,81)에 맞물리는 외,내측 피니언(921,922)과, 상기 외,내측 피니언(921,922)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923)를 포함하는 구동수단(92)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외,내측 피니언(921,922)은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곡선 랙축(8)의 외측에 구비된 랙을 외측 랙(82)이라 하고, 내측에 구비된 랙을 내측 랙(81)이라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923)는, 상기 외,내측 피니언(921,922)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호 맞물려 있는 한 쌍의 기어(924)와, 상기 한 쌍의 기어(924)의 중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925)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외측 피니언(921)의 기어 피치는 내측 피니언(922)의 기어 피치보다 길게 됨으로써, 상기와 같이 외,내측 피니언(921,922)이 곡선 랙축(8)의 외,내측 랙(82,81)에 맞물려 장착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할 경우에는 암 힌지축(30)이 페달암(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중간이 하향 굴곡지게 장착되고, 본 발명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할 경우에는 암 힌지축(30)이 페달암(20)의 상단에 구비되어 있음에 따라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중간이 상향 굴곡지게 장착되는데, 그 작동관계는 동일함으로써 이하 작동을 설명함에 있어서도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 페달의 작동을 함께 설명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상기 구동 이동수단(9)을 구성하는 모터(925)를 회전시켜 곡선 랙축(8)에 맞물려 있는 외,내측 피니언(921,922)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구동 이동수단(9)이 곡선 랙축(8)을 따라 곡선으로 이동되게 되고,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된 이동 구동수단(9)이 곡선으로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페달암(20)에 구비된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페달암(20)이 회전됨에 따라서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구동 이동수단(9)에 포함되는 구동수단(92)의 모터(925)를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 이동수단(9)을 일측 또는 타측으로 이동시킴에 따라서, 페달암(20)의 각도를 자유롭게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곡선 랙축(8)은 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원호형의 곡선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구동 이동수단(9)은 암 회전축(30)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이동수단(9)을 작동시켜 외,내측 피니언(921,922)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곡선 랙축(8)의 외측 랙(82)이 내측 랙(81)의 피치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외,내측 피니언(921,922)이 회전되면 곡선 랙축(8)의 외측에서는 곡선 이동길이가 길게 되고 곡선 랙축(8)의 내측에서는 곡선 이동길이가 짧게 된다, 따라서 외,내측 피니언(921,922)이 포함되는 구동 이동수단(9)이 곡선 랙축(8)을 따라 곡선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외,내측 피니언(921,922)의 회전만으로도 구동 이동수단(9)이 일측 방향 또는 타측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구동 이동수단(9)과 힌지축(40)으로 연결된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외,내측 피니언(921,922)의 회전을 통해 페달암(20)의 각도를 변화시킴에 따라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간단한 구성으로 제조함에 따라 저가로 곡선 이동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또한 외,내측 피니언(921,922)이 곡선 랙축(8)의 외,내측을 감싸면서 맞물리게 됨으로써 주행중 외부로 부터 진동이 곡선 랙축(8)으로 전달되더라도 곡선 이동 장치가 쉽게 고장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와 같이 간단히 구성된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무게를 최소로 줄임에 따라 차량에 장착시 차체의 무게를 최소로 줄이는 장점도 가지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브레이크 페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면 페달암(20)의 상부에 구비된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장착된 가속 페달은, 상술한 바와 같이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가 작동되면 페달암(20)의 중간에 구비된 암 힌지축(30)을 중심으로 각도가 변경됨으로써, 운전자가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단면 구성도이며,
도 1b는 도 1a의 A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2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B부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3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3b는 C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4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4b는 D부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브레이크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5b는 E부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의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를 가속 페달에 장착한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6a는 단면 구성도이고,
도 6b는 F부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곡선 이동수단
11 : 작동로드
12 : 힌지축
2 : 곡선 고정관
21 : 홀
211 : 나선부
22 : 유연체 나선축
3 : 곡선 이동체
31 : 곡선 이동관
311 : 돌출부
32 : 구동수단
321 : 케이스, 322 : 모터, 323 : 동력 전달수단,
324 : 나선축 기어, 325 : 기어
5 : 너트
51 : 홀
52 : 중간 나선부
53 : 측 나선부
6 : 곡선 고정축
61 : 축
62 : 내측 나선부
63 : 외측 나선부
7 : 이동 구동수단
71 : 케이스
72 : 너트 회전수단
721 : 모터, 722 : 동력전달수단,
723 : 너트 회전기어, 724 : 기어
8 : 곡선 랙축
81 : 내측 랙
82 : 외측 랙
9 : 구동 이동수단
91 : 케이스
92 : 구동수단
921 : 외측 피니언, 922 : 내측 피니언, 923 : 구동부,
924 : 기어, 925 : 모터
10 : 차체 고정브라켓
20 : 페달암
30 : 암 힌지축

Claims (13)

  1. 삭제
  2.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로드(11)를 조작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 고정브라켓(10)에 암 힌지축(30)을 통해 각도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에는 페달부가 구비된 페달암(20)과, 상기 페달암(20)과 작동로드(11)의 사이에 곡선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달암(20)의 각도를 조정하는 곡선 이동수단(1)으로 구성되고;
    상기 곡선 이동수단(1)은, 상기 작동로드(11)의 단부에 힌지축(12)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되고 하부의 피치보다 상부의 피치가 크게 나선부(211)가 형성된 홀(21)을 포함하는 곡선 고정관(2)과, 상기 홀(21)에 관통 체결되는 유연체 나선축(22)과,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외측에 이동이 가능하게 삽입된 곡선 이동관(31)과,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곡선 이동관(31)과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의 측부에 구비되어 유연체 나선축(2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32)으로 구성된 곡선 이동체(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32)은,
    상기 곡선 이동관(31)의 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321)와,
    상기 케이스(321)의 내부에 구비된 회전축을 포함하는 모터(322)와,
    상기 회전축과 유연체 나선축(22)을 상호 연결하는 동력 전달수단(32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323)은,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에 구비된 나선축 기어(324)와,
    상기 모터(322)의 회전 축과 나선축 기어(324)를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3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연체 나선축(22)은 직선으로 펴져 있을 경우에는 동일한 피치의 나선부(21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 고정관(2)의 외측과 곡선 이동관(31)의 사이에는,
    상기 곡선 이동관(31)의 내측에 돌출되는 다수의 돌출부(31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7.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로드(11)를 조작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 고정브라켓(10)에 암 힌지축(30)을 통해 각도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에는 페달부가 구비된 페달암(20)과, 상기 페달암(20)과 작동로드(11)의 사이에 곡선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달암(20)의 각도를 조정하는 곡선 이동수단(1)으로 구성되고;
    상기 곡선 이동수단(1)은, 상기 작동로드(11)의 단부에 힌지축(12) 또는 용접을 통해 고정되고 내측 원호부보다 외측 원호부의 피치가 크게 내,외측 나선부(62,63)가 형성된 곡선 고정축(6)과, 내부 홀(51)에 형성된 중간 나선부(52)가 상기 외측 나선부(63)에 체결되고 양 측 나선부(53)가 상기 내측 나선부(62)에 체결되어 장착되는 너트(5)와,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상기 너트(5)를 회전시켜 너트(5)와 함께 곡선 고정축(6)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구동수단(7)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동수단(7)은,
    너트(5)를 회전되게 감싸며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어 있는 케이스(71)와,
    상기 케이스(71)의 내부에 구비되어 너트(5)를 회전시키는 너트 회전수단(7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너트 회전수단(72)은,
    모터(721)와 모터(721)의 회전축(61)의 회전력을 상기 너트(5)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72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722)은,
    너트(5)의 외측에 구비되는 너트 회전기어(723)와,
    상기 너트 회전기어(723)와 회전축을 상호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어(7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11. 위치 조절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운전자의 조작을 통해 작동로드(11)를 조작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체 고정브라켓(10)에 암 힌지축(30)을 통해 각도변경이 가능하게 장착되며 단부에는 페달부가 구비된 페달암(20)과, 상기 페달암(20)과 작동로드(11)의 사이에 곡선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구비되어 페달암(20)의 각도를 조정하는 곡선 이동수단(1)으로 구성되고;
    상기 곡선 이동수단(1)은, 상기 작동로드(11)의 단부에 힌지축(12)을 통해 고정되고 외측 원호부의 피치보다 내측 원호부의 피치가 크게 형성된 내,외측 랙(81,82)이 구비된 곡선 랙축(8)과, 상기 페달암(20)에 고정되고 상기 곡선 랙축(8)에 장착되는 구동 이동수단(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이동수단(9)은;
    상기 곡선 랙축(8)을 감싸면서 곡선 랙축(8)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케이스(91)와;
    상기 케이스(91)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곡선 랙축(8)의 외,내측 랙(82,81)에 맞물리는 외,내측 피니언(921,922)과, 상기 외,내측 피니언(921,922)을 상호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부(923)를 포함하는 구동수단(9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923)는,
    상기 내,외측 피니언(922,921)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호 맞물려 있는 한 쌍의 기어(924)와,
    상기 한 쌍의 기어(924)의 중 하나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92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KR1020070107288A 2007-10-24 2007-10-24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KR1008904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288A KR100890433B1 (ko) 2007-10-24 2007-10-24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7288A KR100890433B1 (ko) 2007-10-24 2007-10-24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90433B1 true KR100890433B1 (ko) 2009-03-27

Family

ID=40698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7288A KR100890433B1 (ko) 2007-10-24 2007-10-24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04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70B1 (ko) * 2023-05-19 2024-03-08 윤여진 패들스위치 조립체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5619A (ja) 1985-10-22 1987-05-02 Koji Matsuura 自動車の可動式ペダル
US5996438A (en) 1998-06-23 1999-12-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accelerator pedal
JP2001312322A (ja) 2000-03-22 2001-11-09 Teleflex Inc ペダルアームの調節可能なパッド用ガイド
KR100395727B1 (ko) 1999-09-30 2003-08-25 텔레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절가능한 페달-포켓으로 둘러싸인 기어
US6629472B2 (en) * 2000-01-27 2003-10-07 United Parts Fhs Automobil Systeme Gmbh Adjustable pedal for vehicles
KR20040057292A (ko) * 2002-12-26 2004-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동 조절 브레이크 페달
KR20050026198A (ko) * 2003-09-09 2005-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KR20060118817A (ko) * 2005-05-17 2006-11-24 최장선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US20070039404A1 (en) 2003-11-13 2007-02-22 Nebojsa Djordjevic Moveable control pedal assembly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95619A (ja) 1985-10-22 1987-05-02 Koji Matsuura 自動車の可動式ペダル
US5996438A (en) 1998-06-23 1999-12-07 General Motors Corporation Adjustable accelerator pedal
KR100395727B1 (ko) 1999-09-30 2003-08-25 텔레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조절가능한 페달-포켓으로 둘러싸인 기어
US6629472B2 (en) * 2000-01-27 2003-10-07 United Parts Fhs Automobil Systeme Gmbh Adjustable pedal for vehicles
JP2001312322A (ja) 2000-03-22 2001-11-09 Teleflex Inc ペダルアームの調節可能なパッド用ガイド
KR20040057292A (ko) * 2002-12-26 2004-07-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전동 조절 브레이크 페달
KR20050026198A (ko) * 2003-09-09 2005-03-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브레이크 시스템
US20070039404A1 (en) 2003-11-13 2007-02-22 Nebojsa Djordjevic Moveable control pedal assembly
KR20060118817A (ko) * 2005-05-17 2006-11-24 최장선 브레이크 페달의 위치 고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170B1 (ko) * 2023-05-19 2024-03-08 윤여진 패들스위치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0468B2 (ja) 改良された精密制御により制御される自転車用のギアシフト装置
JP4894413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CN100467325C (zh) 车辆用转向装置
US8042415B2 (en) Motion converting drive mechanism and vehicle seat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CN107933680B (zh) 电动四向可调转向管柱的控制方法
US8006799B2 (en) Vehicle steering system
EP1905664A2 (en) Electrically adjustable telescopic steering apparatus
JP5361975B2 (ja) 電動式チルト操向装置
US20120025582A1 (en) Seat assembly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JP2006505438A (ja) 自動車のステアリングコラム
US4739673A (en) Electrically operated tiltable vehicle steering mechanism
CN111232046A (zh) 转向柱组件
JPWO2007083536A1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US20080231032A1 (en) Telescopic device having protruding distance member
JP2009298298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2002503A (ja) 車両用電動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890433B1 (ko) 차량용 페달암 각도 조절장치
WO2011021509A1 (ja) 位置調整式操舵装置
KR102662630B1 (ko) 차량용 전동식 조향기어박스
JP5082913B2 (ja) 電動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30728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5114869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08057595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4254273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2010246805A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