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682A -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 - Google Patents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682A
KR20060116682A KR1020057020442A KR20057020442A KR20060116682A KR 20060116682 A KR20060116682 A KR 20060116682A KR 1020057020442 A KR1020057020442 A KR 1020057020442A KR 20057020442 A KR20057020442 A KR 20057020442A KR 20060116682 A KR20060116682 A KR 20060116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dispenser
alarm
beverage dispenser
obs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2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85593B1 (ko
Inventor
유지 미즈노
가쓰미 다케나카
Original Assignee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116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85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85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015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 B67D1/0021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the beverage being prepared by mixing at least two liquid components the components being mixed at the time of dispensing, i.e. post-mix dispen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88Means comprising electronic circuitry (e.g. control panels, switching or controlling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01Details of beverage containers, e.g. casks, kegs
    • B67D2001/0812Bottles, cartridges or similar contain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용기(30)에 음료를 토출할 수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10)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디스펜서에 설치되어 있어 음료를 상기 용기에 토출하는 노즐(27, 28)과 상기 노즐 주위의 장해물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50)과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에 의하여 장해물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 수단(60)을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음료의 토출시에 상기 경보 수단으로부터의 경보가 발령되지 않게 하여도 되고, 또한, 경보 수단을 동작 불능으로 할 수 있는 전환기(56)를 구비하도록 할 수도 있다. 그것에 의하여, 조작자, 특히 악의를 가진 인물이 음료용 디스펜서 내의 노즐에 접근하는 것을 주위에 알린다.

Description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 {DISPENSER FOR BEVERAGE AND ALARM ISSUE DEVICE OF DISPENSER FOR BEVERAGE}
본 발명은 조작자가 조작함으로써 음료를 노즐로부터 토출시키는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음식점 등에 설치되는 음료용 디스펜서는 디스펜서 전면에 설치된 버튼 또는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디스펜서 내의 원하는 음료를 컵 등의 용기에 토출시킬 수 있다. 최근, 특정 음식점에 있어서는 음료를 무료로 제공하는 드링크 바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드링크 바에도 음료용 디스펜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드링크 바에 있어서는 점원뿐만 아니라 손님 스스로도 음료용 디스펜서를 조작하여 원하는 음료를 원하는 양만큼 용기에 토출시킬 수 있다.
그런데, 음료용 디스펜서가 일반 손님에 의하여 조작되는 경우에는 조작에 익숙하지 않은 손님의 손끝이 부주의로 인하여 음료용 디스펜서의 노즐 부분에 접촉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음료용 디스펜서를 다음에 이용하는 이용자가 불쾌감을 느낄 뿐만 아니라 잡균이 노즐로부터 음료용 디스펜서의 내부에 진입하여 음료용 디스펜서 자체가 비위생적으로 될 가능성도 있다.
이와 같은 사태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54697호에 있어서 는 조작자가 용기를 소정의 설치 위치에 배치하면 반송장치가 이 용기를 당해 조작자가 접근할 수 없는 접근 불능 위치까지 반송하고, 이 접근 불능 위치에서 음료를 용기에 공급하고, 이어서 전술한 소정의 설치 위치로 용기를 되돌려놓도록 한 음료용 디스펜서가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54697호에 있어서는 용기가 접근 불능 위치까지 반송된 후에 미리 설치된 개폐 도어를 폐쇄할 수 있으므로 조작자의 손 끝 등이 부주의로 인하여 노즐 등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의 세계 정세를 감안할 때, 예를 들면 악의를 가진 인물이 음료용 디스펜서의 노즐에 독극물 또는 이물질 등을 묻힐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다.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54697호에 기재된 음료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이와 같은 인물이 개폐 도어의 일부를 의도적으로 파손시킨 경우에, 당해 인물이 개폐 도어의 파손 부위를 통하여 음료용 디스펜서의 외부로부터 음료용 디스펜서 내부의 노즐에 접근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 경우 용기의 설치 위치와 접근 불능 위치와의 사이의 거리를 사람의 팔 길이보다 길게 함으로써 당해 인물이 노즐에 접근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에도 예를 들면 가늘고 긴 형상의 도구를 사용하면 당해 인물은 노즐에 접근할 수 있게 되어 버린다. 또한 이와 같은 악의를 가진 인물이 일단 음료용 디스펜서의 노즐에 접근하여 독극물 또는 이물질 등을 묻힌 경우에는 음료용 디스펜서의 다른 이용자 및 그 관리 책임자는 어떠한 문제가 발생할 때까지 그것을 인식할 수 없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2003-54697호에 기재된 음료용 디스펜서는 설치 위 치와 접근 불능 위치와의 사이에서 용기를 반송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음료용 디스펜서가 대형화되고, 반송 수단이 별도로 필요하게 되므로 음료용 디스펜서 전체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 비용도 증대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음료의 노즐 주위에 장해물이 접근한 경우에는 경보를 발령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내고, 음료용 디스펜서를 구축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작자, 특히 악의를 가진 인물이 음료용 디스펜서 내의 노즐에 접근하는 것을 주위에 알릴 수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번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기에 음료를 토출할 수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그 음료용 디스펜서에 장착해둔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과, 그 노즐 주위의 장해물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과, 그 장해물 검출수단에 의하여 장해물이 검출된 경우에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 수단을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가 제공된다.
즉, 1번째와 7번째의 태양에 있어서, 조작자, 예를 들면 익숙하지 않은 손님의 손끝 등이 부주의로 인하여 음료용 디스펜서의 노즐에 접근한 경우, 및 악의를 가진 인물이 의도적으로 노즐에 접근한 경우에는 장해물 검출수단이 이것을 검출하고, 경보 수단에 의하여 경보가 발령된다. 이 때문에 음료용 디스펜서의 노즐에 어떠한 장해물이 접근하고 있는 것을 주위에 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동시에 조작자가 노즐에 접근하는 것이 간접적으로 방지된다. 또한 1번째와 7번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일단, 발령된 경보는 노즐에 접근한 인물이 퇴출된 후에도 발령을 계속하므로 다른 시점에서 디스펜서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조작자에 대하여도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경보 수단은 음향 발생장치 및/또는 발광장치이어도 된다.
2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1번째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그 음료용 디스펜서로부터 음료가 토출되는 용기가 장해물로서 검출되지 않는 기구를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
즉 2번째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용기를 음료용 디스펜서에 넣고 뺄 때에 장해물 검출수단은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경보는 발령되지 않고, 조작자가 음료용 디스펜서를 보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3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2번째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음료가 토출되는 용기가 장해물로서 검출되지 않는 기구가 노즐의 근방에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의 검출 구역을 설치한 구성으로 되어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
4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1번째 내지 3번째 실시 형태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음료의 토출시에 상기 경보 수단으로부터의 경보가 발령되지 않게 하였다.
음료의 토출시(음료 토출 후에, 노즐에 잔존하는 음료가 노즐로부터 사후 낙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에는 음료 자체가 장해물 검출수단에 의하여 장해물로서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 4번째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음료의 토출시에 경보 수단이 작동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특히 용기를 꺼낼 때에 조작자가 음료용 디스펜서를 보통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 소정의 시간은 선택한 음료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변경된다.
5번째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1번째 내지 4번째 실시 형태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추가로 상기 경보 수단을 동작 불능으로 할 수 있는 전환기를 구비한다.
즉 5번째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특정한 경우, 음료용 디스펜서의 노즐을 청소하는 경우에는 전환기를 사용하여 경보 수단을 동작 불능으로 함으로써, 불필요한 경우에 경보 수단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6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1번째 내지 5번째 실시 형태 중 어느 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경보 수단이 음향 발생 장치인 음료용 디스펜서.
즉 6번째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음료의 디스펜서의 다른 이용자나 그 관리 책임자가 이야기 중이나 기타 작업중이었다고 하여도, 그 청각에 호소함으로써 즉시 문제의 발생을 알리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각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음료용 디스펜서의 노즐에 어떠한 장해물이 접근하고 있는 것을 주위에 알리게 함과 동시에, 조작자가 노즐에 접근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공통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조작자가 음료용 디스펜서를 보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3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특히 용기를 꺼낼 때 조작자가 음료용 디스펜서를 보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4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특히 음료의 토출시에 조작자가 음료용 디스펜서를 보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5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불필요한 경우에 경보 수단이 동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6번째의 실시 형태에 의하면, 즉시 문제의 발생을 알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첨부 도면에 나타내는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 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 특징 및 이점 그리고 다른 목적, 특징 및 이점이 한층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전면 도어 및 노즐 커버를 떼어낸 상태의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제어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이하의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였다.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 하여 이들 도면은 축척을 적절하게 변경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음료용 디스펜서(10)에는 음료용 디스펜서(10)의 하우징(11)의 전면을 부분적으로 피복하는 전면 도어(17)가 구비되어 있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면 도어(17)에는 선택 버튼용 패널(14, 15, 16)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선택 버튼용 패널(14, 15, 16) 각각에는 음료의 종류 및/또는 음료의 내보내는 양 등을 선택할 수 있는 복수의 선택 버튼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1)의 아래쪽에는 안쪽 방향(지면을 관통하는 방향)으로 뻗은 용기 출입구(12)가 개구되어 있다. 용기 출입구(12)의 하단에는 조작자가 용기 (30)(파선으로 표시함), 예를 들면 종이 컵을 설치할 수 있는 용기 스테이지(13)가 설치되어 있다. 또는 용기 출입구(12)의 상단에는 노즐 커버(18)가 설치되어 있고, 이 노즐 커버(18)에 의하여 용기 출입구(12) 내의 일부는 외부로부터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도 2는 전면 도어(17) 및 노즐 커버(l8)를 떼어낸 상태의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정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복수, 예를 들면 세 개의 탱크(21, 22, 23)가 음료용 디스펜서(10) 내의 선반(19) 위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탱크(2l, 22, 23) 각각에는 다른 종류의 시럽이 미리 충전되어 있다. 또한, 선반 (19)의 아래쪽에는 음료 공급부(24, 25, 26)가 각 탱크(21, 22, 23)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음료 공급부(24, 25, 26)에는 이 음료 공급부(24, 25, 26)와 탱크(21, 22, 23)를 각각 접속하는 배관(미도시)이나, 냉수를 공급하는 배관(미도시)이나, 탄산수를 공급하는 배관(미도시)이 접속되어 있고, 탱크(21, 22, 23)의 각 시럽을 냉수나 탄산수로 희석한 다음, 음료 공급부(24, 25, 26)의 각 노즐로부터 내보낼 수 있다. 음료 공급부(24, 25)의 각 노즐(미도시)을 개폐하는 토출용 전자 밸브(미도시) 각각은 도 1에 나타나는 선택 버튼용 패널(14, 15)의 각 선택 버튼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하는 음료 공급부(26)는 두 개의 노즐(27, 28)을 포함하고 있고, 노즐(27, 28)의 각각의 토출용 전자 밸브(미도시)는 선택 버튼용 패널(16)의 선택 버튼에 접속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용기 출입구(12)의 측부에는 장해물 검출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장해물 검출수단(50)은 장해물 검출 센서이며, 발광부(51)가 용기 출입구(12)의 좌측 내측에 설치됨과 동시에, 수광부(52)가 용기 출입구(12)의 우측 내측에 있어 발광부(51)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2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광부(51)와 수광부(52)를 잇는 선분 X는 음료 공급부(26)의 노즐(27, 28) 및 음료 공급부(24, 25)의 도시하지 않는 노즐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장해물 검출수단(50)의 발광부(5l) 및 수광부(52)는 통상은 음료용 디스펜서(10)의 노즐 커버(18)(도 1을 참조)에 의하여 덮여 있으므로 조작자에게는 보이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있어서는 장해물 검출수단(50)의 발광부(5l) 및 수광부(52)의 하단은 노즐 커버(18)의 하단에 대응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노즐 커버(18)는 종이 컵 등의 용기가 장해물 검출수단(50)에 가까워지는 것을 방해하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조작자가 용기를 용기 출입구(12)에 단지 넣고 빼는 것 만으로는 장해물 검출수단(50)은 반응하지 않는다. 한편, 예를 들면 조작자가 용기 출입구(12) 내에 넣은 손을 노즐 커버(18) 내측에서 위쪽으로 구부려 이 손이 선분 X를 넘어 노즐(27, 28)에 접근할 때 등에 있어서는 장해물 검출수단(50)은 반응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나타나는 제어부(40)는 음료용 디스펜서(10)의 하우징(11) 내에 들어가거나, 또는 음료용 디스펜서(10)의 외부에 접속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40)는 마이크로 컴퓨터로 이루어지고, 쌍방향성 버스 (41)에 의하여 서로 접속된 ROM(리드 온리 메모리)(42), RAM(랜덤 억세스 메모리)(43), CPU(마이크로 프로세서)(44), 입력 포트(45) 및 출력 포트(46)를 구비한다. ROM(42)에는 후술하는 동작 프로그램(100) 등이 기억되어 있다. 또한, RAM(43)에는 도시하지 않는 타이머에 의하여 계측되는 시간 또는 음료용 디스펜서를 동작시키는데 필요한 일반적인 데이터 등이 기억된다. 도 1에 나타나는 선택 버튼용 패널(14, 15, 16) 내의 각 선택 버튼으로부터의 출력 신호는 대응하는 입력 포트(45)에 입력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나는 장해물 검출 센서(50)의 출력 신호도 대응하는 입력 포트(45)에 입력된다. 마찬가지로 후술하는 경보 수단(60)(도 1 등에는 도시하지 않음)의 출력을 변화시키는 조절부(55)(도 1 등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출력 신호 및 경보 정지 스위치 (56)(도 1 등에는 도시하지 않음)로부터의 출력 신호도 입력 포트(45)에 입력된다. 한편, 출력 포트(46)는 대응하는 구동 회로(48)를 사이에 두고 음료 공급부(24, 25, 26)의 각각의 노즐에 대응하는 토출용 전자 밸브(미도시) 및 경보 수단(60)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10)에 설치되는 경보 수단(60)은 예를 들면 버저 등의 음향 발생 장치이며, 음료용 디스펜서(10)의 측면 등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경보 수단(60)은 장해물이 노즐(27, 28)에 접근하고 있는 것을 주위에 알릴 수 있는 어떠한 수단이라도 무방하며, 예를 들면 경보 수단(60)은 발광 장치이거나, 또는 음향 발생 장치와 발광 장치의 조합이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기초한 음료용 디스펜서의 동작 프로그램(100)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며, 도 4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음료용 디스펜서(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부(40)에 의하여 처리되는 동작 프로그램(100)은 음료용 디스펜서(10) 자체의 전원을 차단하지 않는 한 반복 처리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도 4에 도시하는 동작 프로그램(100)의 스텝 101에 있어서는 장해물 검출수단(50)이 장해물을 검출하고 있는지 여부, 즉 음료 공급부(26)의 노즐(27, 28) 주위에 예를 들면 인간의 손 등이 접근하고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장해물이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105로 진행되어, 경보 수단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장해물 검출수단(50)이 장해물을 검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스텝 102로 진행된다. 스텝 102에 있어서는 도 3에 나타내는 경보 정지 스위치(56)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스텝 102에 있어서 경보 정지 스위치(56)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텝 105로 진행되고, 경보 수단(60)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예를 들면 음료용 디스펜서(10)의 음료 공급부(24, 25, 26)의 노즐을 청소할 필요가 있는 경우 등 경보의 발령이 불필요한 경우에, 경보 수단(60)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경보 정지 스위치(56)가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103으로 진행된다.
스텝 103에 있어서는 현재 음료를 토출하고 있는 단계인지, 또는 음료의 토출 자체는 완료되었지만 토출 완료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 선택 버튼 중 하나가 눌려지는 경우에는 이 선택 버튼에 대응하는 토출용 전자 밸브가 개방되고, 대응하는 노즐로부터 대응하는 음료가 토출된다. 이와 같이 음료가 음료 공급부(24, 25, 26)의 노즐로부터 토출될 때는 이 음료가 도 2의 선분 X를 횡단하므로, 음료 자체가 장해물 검출수단(50)에 의하여 검출된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면 인간의 손 등이 노즐(27, 28)에 접근하고 있는 것은 아니고, 토출되는 음료가 단지 검출되고 있는 것에 지나지 않기 때문에 경보 수단(60)을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따라서, 스텝 105로 진행되어, 경보 수단(60)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런데, 음료를 토출한 노즐의 토출용 전자 밸브가 폐쇄되어 음료의 토출 자체가 완료되었을 경우에도, 토출 완료로부터 소정의 시간 내에 있어서는 노즐 내에 잔존하는 음료가 사후 적하되어, 장해물 검출수단(50)에 의하여 장해물로서 검출될 가능성이 있다. 이 때문에, 토출 완료로부터의 경과시간을 음료용 디스펜서(10)에 미리 설치된 타이머(미도시)에 의하여 계측하고, 스텝 103에 있어서, 이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 내에 있는지, 즉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작은 지 여부도 동시에 판정하고 있다. 스텝 103에 있어서의 소정의 시간은 음료의 토출이 완료되고 나서 사후 적하가 종료되기에 충분한 시간이며, 토출되는 음료의 종류 및 양에 따라 다르다. 이들 소정의 시간은 음료의 종류 및 양으로부터 구성되는 함수로서 제어부(40)의 RAM(43)에 미리 저장되어 있다. 또한, 스텝 103에 있어서, 토출 완료 후의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 내에 있다, 즉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작은 것으로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장해물 검출수단(50)이 음료의 사후 적하를 검출하고 있는 것일 뿐이므로 경보 수단(60)을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이러한 경우에도, 스텝 105로 진행되어, 경보 수단(60)이 작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스텝 103에 있어서, 토출 완료 후의 경과시간이 소정의 시간보다 작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 장해물 검출수단(50)에 의하여 검출된 장해물이 예를 들면 서투른 조작자의 손 또는 악의를 가진 사람의 손 등이라고 판단하고, 스텝 104로 진행되고, 경보 수단 (60)에 의하여 경보를 발령한다. 이로써, 음료용 디스펜서(10)에 이상이 생긴 것을 주위에 알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경보가 발령되었을 경우에는 장해물 검출수단(50)에 의하여 검출된 손 등의 주인인 인물이 손 등을 도중에 다시 움츠릴 것이 상정되고, 그것에 의하여, 해당 인물이 노즐에 접근하는 것을 간접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인간의 손 등이 노즐에 접촉하여 음료용 디스펜서(10)를 비위생인 것으로 만드는 것을 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보 수단(60)에 의하여 경보를 발령하는 것은 악의를 가진 인물이 노즐에 독극물 또는 이물 등을 묻히는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그런데, 경보가 발령되었을 경우에는 예를 들면 악의를 가진 인물의 손 등이 노즐(27, 28) 등의 주위에 접근하였을 가능성이 있으므로 그대로 경보를 계속 발령한다. 이 경우, 경보 정지 스위치(56)에 의하여 경보를 해제하지 않는 한 경보는 정지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술한 인물이 음료용 디스펜서(10)로부터 예를 들면 퇴출된 후에도 경보는 계속 발령되어, 더 나중 시점에 있어서 디스펜서를 이용하고자 하는 다른 조작자에 대하여도, 음료용 디스펜서(10)에 이상이 발생한 것, 예를 들면 이물질 등이 노즐에 묻은 것을 주위에 알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이 경보 수단 60은 제어부(40)을 사이에 두고 조절부(55)에 접속되어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경보 수단(60)이 음향 발생 장치인 경우에는 조절부(55)를 조작함으로써 경보로서 발령되는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음료용 디스펜서(10)의 설치 장소가 비교적 넓은 장소인 경우 또는 음료용 디스펜서(10)의 관리 책임자가 비교적 먼 곳에 있는 경우에는 음량을 크게 할 수 있다. 한편, 음료용 디스펜서(10)의 설치 장소가 비교적 좁은 장소인 경우 또는 음료용 디스펜서(10)의 관리 책임자가 비교적 근방에 있는 경우에는 음량을 작게 할 수 있어,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음료용 디스펜서(10)의 음량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음료용 디스펜서(10)에 있어서는 선택 버튼을 조작하여 음료가 토출되도록 되어 있으나, 개폐 밸브의 역할을 하는 코크를 조작자가 직접적으로 조작함으로써 음료가 토출되는 형식의 디스펜서의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것은 분명하다. 또한,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는 용어「음료」는 미네랄 워터 등의 음료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전형적인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전술한 변경 및 여러 가지 다른 변경, 생략, 추가를 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용기에 음료를 토출할 수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디스펜서에 설치되어 음료를 토출하는 노즐과,
    상기 노즐 주위의 장해물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과,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에 의하여 장해물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 수단을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용 디스펜서로부터 음료가 토출되는 용기가 장해물로서 검출되지 않는 기구를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가 토출되는 용기가 장해물로서 검출되지 않는 기구가 노즐의 근방에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의 검출 구역을 설치한 구성인 음료용 디스펜서.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음료의 토출시에 상기 경보 수단으로부터의 경보가 발령되지 않게 한 음료용 디스펜서.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적으로 상기 경보 수단을 동작 불능으로 할 수 있는 전환기를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 수단이 음향 발생 장치인 음료용 디스펜서.
  7. 용기에 음료를 노즐로부터 토출할 수 있는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 장치에 있어서, 상기 노즐 주위의 장해물을 검출하는 장해물 검출수단과 상기 장해물 검출수단에 의하여 장해물이 검출되었을 경우에 경보를 발령하는 경보 수단을 구비하는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 장치.
KR1020057020442A 2004-03-05 2005-02-25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 KR1010855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062249 2004-03-05
JP2004062249A JP4535750B2 (ja) 2004-03-05 2004-03-05 飲料用ディスペンサ及び飲料用ディスペンサの警報発令装置
PCT/JP2005/003683 WO2005085121A1 (ja) 2004-03-05 2005-02-25 飲料用ディスペンサ及び飲料用ディスペンサの警報発令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682A true KR20060116682A (ko) 2006-11-15
KR101085593B1 KR101085593B1 (ko) 2011-11-25

Family

ID=34918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20442A KR101085593B1 (ko) 2004-03-05 2005-02-25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418983B2 (ko)
EP (1) EP1619163B1 (ko)
JP (1) JP4535750B2 (ko)
KR (1) KR101085593B1 (ko)
CN (1) CN100562483C (ko)
AU (1) AU2005219732B2 (ko)
CA (1) CA2522194C (ko)
DK (1) DK1619163T3 (ko)
ES (1) ES2631140T3 (ko)
MY (1) MY138369A (ko)
PL (1) PL1619163T3 (ko)
PT (1) PT1619163T (ko)
RU (1) RU2351533C2 (ko)
TW (1) TWI339186B (ko)
WO (1) WO20050851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8712A (zh) * 2013-12-27 2014-05-07 施永红 一种声控饮品交换机的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31558B2 (en) 2006-03-06 2020-04-28 The Coca-Cola Compan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king compositions comprising an acid and an acid degradable component and/or compositions comprising a plurality of selectable components
US8162176B2 (en) 2007-09-06 2012-04-24 The Coca-Cola Company Method and apparatuses for providing a selectable beverage
US8109301B1 (en) * 2009-01-06 2012-02-07 Jason Adam Denise Illuminated refrigerator dispenser system with sensors
US8578730B2 (en) * 2009-08-31 2013-11-12 Whirlpool Corporation Refrigerator ice and liquid dispenser incorporating imaging system
EP2662002A1 (en) 2012-05-08 2013-11-13 Sandenvendo Europe S.p.a. Goods supply apparatus
EP3012200B1 (de) 2014-10-24 2017-10-11 MULTIVAC Sepp Haggenmüller SE & Co. KG Kammermaschine mit Gasdüsenüberwachung
US20170010034A1 (en) * 2015-07-06 2017-01-12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s and methods of dispensing water or ice
CA3058936C (en) * 2017-04-18 2022-03-08 Alert Innovation Inc. Picking workstation with mobile robots & machine vision verification of each transfers performed by human operators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18630A (en) * 1954-08-18 1955-09-20 Norman Bauch Automatic door locking mechanism with delayed alarm means for dispensing machines
US3785412A (en) * 1972-01-26 1974-01-15 Richardson Co Mill apron automatic can filling machine
US4437499A (en) * 1981-05-11 1984-03-20 Everpure, Inc. Computer controlled sensor for beverage dispenser
US4458735A (en) * 1982-09-30 1984-07-10 Medetec Industries, Inc. Dispensing arrangement for a beverage such as a milkshake
JPS62100579U (ko) * 1985-12-13 1987-06-26
US5074341A (en) * 1988-03-29 1991-12-24 The Coca-Cola Company Automatic beverage dispensing system
JP2604207B2 (ja) * 1988-09-19 1997-04-30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H0283696A (ja) * 1988-09-20 1990-03-23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H0631587Y2 (ja) * 1989-01-31 1994-08-22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ップ式飲料販売機
US5349993A (en) * 1992-10-13 1994-09-27 Polster, Lieder, Woodruff & Lucchesi, Lc.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and retrofitting kit
JPH06251229A (ja) * 1993-02-23 1994-09-09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商品取出口装置
US5573041A (en) * 1994-08-01 1996-11-12 Electro-Pro, Inc. Dispenser control with ultrasonic position detection
JPH08263744A (ja) * 1995-03-22 1996-10-11 Fuji Electric Co Ltd 飲料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H0950576A (ja) * 1995-08-10 1997-02-18 Fuji Electric Co Ltd 自動販売機の制御装置
JPH0991528A (ja) * 1995-09-21 1997-04-04 Kubota Corp カップ式自動販売機のホット飲料供給装置
JPH10188101A (ja) * 1996-12-27 1998-07-21 Daifuku Co Ltd 自動販売機
KR100201271B1 (ko) * 1997-03-11 1999-06-15 최진호 자동판매기의 연속판매 장치 및 방법
US6394153B2 (en) * 1998-04-01 2002-05-28 Electro-Pro, Inc. Control method and apparatus to detect the presence of a first object and monitor a relative position of the first or subsequent objects such as container identification and product fill control
JP2000113293A (ja) * 1998-10-05 2000-04-21 Seiko Epson Corp 自動販売機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00149117A (ja) * 1998-11-16 2000-05-30 Sanden Corp 自動販売機
JP2003054697A (ja) * 2001-08-07 2003-02-26 Sanyo Electric Co Ltd カップ式飲料供給装置
JP3854491B2 (ja) * 2001-10-29 2006-12-06 東芝機器株式会社 自動販売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8712A (zh) * 2013-12-27 2014-05-07 施永红 一种声控饮品交换机的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522194C (en) 2013-11-12
EP1619163B1 (en) 2016-12-14
US20060272736A1 (en) 2006-12-07
TWI339186B (en) 2011-03-21
TW200540098A (en) 2005-12-16
CA2522194A1 (en) 2005-09-15
RU2005133423A (ru) 2006-08-10
PT1619163T (pt) 2017-02-01
EP1619163A1 (en) 2006-01-25
AU2005219732A1 (en) 2005-09-15
JP4535750B2 (ja) 2010-09-01
CN1771188A (zh) 2006-05-10
RU2351533C2 (ru) 2009-04-10
CN100562483C (zh) 2009-11-25
ES2631140T3 (es) 2017-08-28
MY138369A (en) 2009-05-29
JP2005247385A (ja) 2005-09-15
EP1619163A4 (en) 2010-09-01
AU2005219732B2 (en) 2010-10-28
PL1619163T3 (pl) 2017-06-30
US7418983B2 (en) 2008-09-02
DK1619163T3 (en) 2017-02-20
KR101085593B1 (ko) 2011-11-25
WO2005085121A1 (ja) 200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85593B1 (ko) 음료용 디스펜서 및 음료용 디스펜서의 경보 발령장치
EP1258568B1 (en) Wash station
GB2425388A (en) Monitoring of hand washing
WO2009115774A2 (en) Water dispensing apparatus
WO2017131069A1 (ja) 手洗装置
WO2015103399A1 (en)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with presence sensing
US20100224279A1 (en) Dispensing method for ice makers
KR100804055B1 (ko) 변기의 오물 넘침 방지장치 및 방지방법
US20230183054A1 (en) Dispenser for the delivery of beverages and related delivery method
KR101767665B1 (ko) 코인 투입식 샤워 장치
JP7443728B2 (ja) 飲料供給装置
KR200219289Y1 (ko) 자동판매기의 컵투출감지장치
US10858234B1 (en) Drain system with overflow protection
KR20200009456A (ko) 장애인 편의 기능을 지닌 자동판매기
KR20170122544A (ko) 자동 손 세척장치
JP2004285767A (ja) 便器装置
JP2024042224A (ja) ディスペンサ
JP2021079994A (ja) 飲料供給装置
JPH08202937A (ja) カップ式自動販売機
JPH0283696A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
JP2001149253A (ja) 薬剤混入吐出装置
JPH04194237A (ja) 自動給水装置
ITMI20030080U1 (it) Dispositivo di erogazione di liquidi alimentari a comando elettronico
JPH05346986A (ja) 洗車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