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544A - 자동 손 세척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손 세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544A
KR20170122544A KR1020160051665A KR20160051665A KR20170122544A KR 20170122544 A KR20170122544 A KR 20170122544A KR 1020160051665 A KR1020160051665 A KR 1020160051665A KR 20160051665 A KR20160051665 A KR 20160051665A KR 20170122544 A KR20170122544 A KR 20170122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unit
air
washing
connection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70206B1 (ko
Inventor
강수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엠테크
Priority to KR1020160051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020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02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02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는, 수조가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상부를 통해 세척수와 물비누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하향 분사하는 시스템 구동부를 갖는 자동 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면에는, 입구가 형성된 전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부에서 분사된 에어를 후방으로 하향 안내하는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1경사부를 따라 이동된 에어가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에어 배출구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 손 세척장치{AUTOMATIC HAND WASHER DEVICE}
본 발명은 자동 손 세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별적으로 이격 설치된 하나의 시스템 구동부를 이용해 다수의 본체를 통합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누수에 의한 누전 및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와 구동부가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장치의 설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공공 시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자동 손 세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염병인 인플랜자, 사스, 식중독 등의 세균 간염을 예방하기 위하여, 공공 시설물(단체 급식소, 화장실, 각종 음식점 등)에는 손 씻기가 가능한 위생용 세면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세면 시설은, 대부분 많은 인원들이 사용하기 때문에, 비누 등이 놓인 위치나 손을 닦을 수 있는 수건 등을 철저하게 관리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세면 시설은 각 장치마다 손세척에 필요한 송풍기, 온풍장치, 온수장치 등이 구성되어야 하므로, 소비전력량이 높아 세면 시설을 다수로 설치하는 경우, 건물 내의 전기 판넬 등에서 전기공사를 해야 하는 등 설치 및 운영 비용이 높아 보급이 저조한 실정이다.
그리고, 종래의 세면 시설은 송풍기와 온풍장치 온수히터 등과 같이 높은 소비전력을 요하는 장치들이 세면 시설마다 개별적으로 적용되므로, 구성장치 소손에 따른 누전과 수분 유출에 따른 감전의 위험성이 존재하였다.
또한, 급식소와 같은 장소에는 식사 전에 개인 위생을 위해 손 씻기를 원하지만, 식사 간에 사람들이 한꺼번에 몰리게 되므로 손을 씻고 배식을 받으려면 배식이 늦어져 손 씻기를 회피하게 되며, 배식 인원에 따라 손 세척기 설치 수량을 맞추어야 하므로 식당 배식 흐름을 맞추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 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059354호(2009년 06월 11일)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자동 손 살균 세척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별적으로 이격 설치된 하나의 시스템 구동부를 이용해 다수의 본체를 통합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누수에 의한 누전 및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와 구동부가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장치의 설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공공 시설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자동 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의 시스템 구동부를 이용해 다수의 본체를 운용함으로써, 장치의 제조 원가 및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고, 인원에 따른 운용 개수 선택이 가능하므로 많은 인원이 동시에 손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자동 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수조의 바닥면에 경사부와 에어 배출구를 형성시킴으로써, 에어 분사시 수조에 고인 세척수 및 물비누가 외부로 튀지 않아 사용시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청결함을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자동 손 세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는, 수조가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상부를 통해 세척수와 물비누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하향 분사하는 시스템 구동부를 갖는 자동 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면에는, 입구가 형성된 전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부에서 분사된 에어를 후방으로 하향 안내하는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1경사부를 따라 이동된 에어가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에어 배출구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 배출구의 상단에는 가이드판이 더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2경사부를 따라 이동된 에어를 안내하여 상기 에어 배출구에 집중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은 일단이 상기 에어 배출구의 상단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은 상기 수조의 내측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시스템 구동부는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 세척수와 물비누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과 제1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유닛과, 상기 분사유닛과 제2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공급유닛과, 상기 분사유닛과 제3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건조유닛과, 상기 제2연결 라인과 상기 제3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에어를 기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유닛과, 상기 입구로 들어오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세척유닛과 상기 물비누공급유닛과 상기 건조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방을 통해 내부의 설치공간으로 상기 건조유닛의 에어가 수평하게 공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를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공간으로 공급된 에어를 하부로 안내하는 격벽과, 상기 후방 공간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을 통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하부로 안내된 에어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노즐과, 상기 전방 공간에서 하단이 상기 몸체의 하단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세척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 노즐과, 상기 전방 공간에서 하단이 상기 몸체의 하단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상기 물비누공급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물비누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물비누 노즐 및, 상기 세척유닛과 상기 물비누공급유닛 구동시 상기 에어 노즐을 차단시키며, 상기 세척유닛과 상기 물비누공급유닛 구동 중지시 상기 에어 노즐을 개방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격벽의 배면에 이격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후방 공간의 바닥면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몸체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가이드 스크류와, 상기 가이드 스크류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스크류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후방 공간 내에서 상기 가이드 스크류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스크류의 정역 방향 회전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에어홀을 개폐시키는 이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 스크류는 상기 격벽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 스크류를 따라 사선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제1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세척수의 공급 상태를 전환하는 급수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물비누공급유닛은 상기 제2연결 라인과 연결되며, 내부에 물비누가 저장되는 물비누 탱크 및, 상기 제2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물비누를 펌핑하는 물비누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제3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에어를 송풍하는 송풍기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이격 설치된 하나의 시스템 구동부를 이용해 다수의 본체를 통합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누수에 의한 누전 및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며, 사용자와 구동부가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장치의 설치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하나의 시스템 구동부를 이용해 다수의 본체를 운용함으로써, 장치의 제조 원가 및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고, 인원에 따른 운용 개수 선택이 가능하므로 많은 인원이 동시에 손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수조의 바닥면에 경사부와 에어 배출구를 형성시킴으로써, 에어 분사시 수조에 고인 세척수 및 물비누가 외부로 튀지 않아 사용시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청결함을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의 본체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의 본체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에서 분사유닛의 에어 노즐 차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에서 분사유닛의 에어 노즐 개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에서 분사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를 보여주기 위한 정면도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의 본체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의 본체를 보여주기 위한 배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에서 분사유닛의 에어 노즐 차단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에서 분사유닛의 에어 노즐 개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측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에서 분사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정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의 작동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는, 한꺼번에 사람이 많이 모이는 학교나 회사 급식시설에서 배식시간(예: 1인당 약12초)에 맞추어 원 할 한 배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는 하나 또는 다수의 본체(100) 및, 시스템 구동부(20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본체(100)는 후술 될 시스템 구동부(200)와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본체(100)는 연결 라인에 의해 시스템 구동부(200)와 연결된다.
여기서, 상기 본체(100)에는 사용자가 손을 집어넣을 수 있고, 세면시 세척수(A)와 물비누(B) 및 에어(C)가 분사될 수 있도록 수조(110)가 설치된다.
상기 수조(110)는, 수분에 강한 소재(스테인레스 등)를 이용해 제작할 수 있고, 상기 수조(110)의 내부에는 일정 넓이의 세척 공간(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조(110)의 전면에는 입구(112)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데, 사용자는 상기 입구(112)를 통해 세척 공간(111)으로 손을 넣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조(110)의 하부에는 받침대(150)가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150)의 하단이 설치면에 결합되어 상기 수조(110)를 일정 높이에 위치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수조(110)의 내부 바닥면에는 도 2에서처럼 에어(C)를 외부로 안내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제1경사부(120) 및, 제2경사부(130)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경사부(120)는, 입구(112)가 형성된 전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1경사부(120)는 세척수(A)와 물비누(B) 및 에어(C)가 낙하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경사부(120)는 상부에서 분사된 에어(C)를 후방으로 하향 안내하여, 에어(C)를 후술 될 제2경사부(130)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기 제1경사부(120)는,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설치되므로, 수직하게 분사되는 에어(C)가 수조(110)의 바닥면에 큰 충격으로 부딪히지 않도록 한다.
제2경사부(130)는, 제1경사부(120)로부터 후방으로 안내된 에어(C)를 후방으로 상향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 제1경사부(120)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제2경사부(130)는 제1경사부(120)를 따라 이동된 에어(C)가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에어 배출구(131)가 전후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에어 배출구(131)는, 제1경사부(120)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 에어(C)가 제2경사부(130)을 따라 상향 이동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배출될 수 있도록 하므로, 상부에서 분사되는 에어(C)에 의해 세척 공간(111)에 수용된 세척수(A)와 물비누(B)가 입구(112)를 통해 외부로 튀지 않도록 한다.
또한, 제1경사부(120)와 제2경사부(130)는 세척수(A)와 물비누(B)가 배수구(113)에 집중되도록 하므로, 수조(110)의 배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에어 배출구(131)의 상단에는 도 2에서처럼 세척 공간(111)으로 연장된 가이드판(140)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판(140)은 일단이 에어 배출구(131)의 상단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은 세척 공간(111) 내측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판(140)은 도 5에서처럼 에어 배출구(131)의 측방을 따라 동일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가이드판(140)은, 제2경사부(130)를 따라 이동된 에어(C)를 안내하여 에어 배출구(131)에 집중시키므로, 에어(C)가 세척 공간(111)으로 재 유입되지 않고 즉각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체(100)의 외부에는 작업자가 자동 손 세척장치의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별도의 표시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시부(160)에는 자동 손 세척장치의 동작 상태(ON/OFF), 물비누 탱크(232)에 저장된 물비누(B) 용량, 제1연결 라인(221)을 따라 이동하는 세척수(A)의 수압, 히팅유닛(250)의 설정 온도 및 정상 유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시스템 구동부(200)는, 본체(100)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연결 라인(221, 231, 241, 281)에 의해 연결되어, 수조(110)의 상부를 통해 세척수(A)와 물비누(B) 및 에어(C)를 선택적으로 분사한다.
이를 위한 상기 시스템 구동부(200)는, 하우징(201)과, 분사유닛(210)과, 세척유닛(220)과, 물비누공급유닛(230)과, 건조유닛(240)과, 히팅유닛(250)과, 감지유닛(260)과, 제어유닛(270) 및, 배수유닛(280)으로 구비된다.
상기 분사유닛(210)은, 수조(1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110)의 바닥면으로 세척수(A)와 물비누(B) 및 에어(C)를 선택적으로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분사유닛(210)은 일정 온도로 가열된 세척수(A)를 1차로 분사하고, 물비누(B)를 분사하여 거품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상기 분사유닛(210)은 다시 일정 온도로 가열된 세척수(A)를 분사하여 행굼 세척이 가능하도록 한 후, 일정 온도로 가열된 에어(C)를 분사하여 건조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한 상기 분사유닛(210)은, 몸체(211)와, 격벽(212)과, 에어 노즐(215)과, 세척수 노즐(213)과, 물비누 노즐(214) 및, 개폐부(216)로 구성된다.
먼저, 상기 몸체(211)는 수조(110)의 상부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상기 몸체 (211)의 내부에는 일정 넓이의 설치 공간(211a)(211b)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211)는 후방을 통해 에어(C)가 공급되는데, 상기 몸체 (211)의 후방에는 후술 될 건조유닛(240)의 제3연결 라인(241)이 연결되어 에어(C)가 전달된다.
격벽(212)은, 몸체(211)의 내부를 전방 공간(211b)과 후방 공간(211a)으로 구획하며, 상기 격벽(212)의 상단이 하단보다 후방으로 기울어지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격벽(212)은 후방으로 경사지게 위치되므로, 후방 공간(211a)으로부터 유입되는 에어(C)는 격벽(212)의 배면을 타고 하부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212)은 몸체(211)의 후방을 통해 에어(C)가 투입되는 경우, 에어(C)를 하부로 안내하여 후술 될 에어 노즐(215)로 하향 안내한다.
에어 노즐(215)은, 후방 공간(211a)에서 몸체(211)의 하단을 통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격벽(212)에 의해 하부로 안내된 에어(C)를 몸체(211)의 하부로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에어 노즐(215)은 에어(C)를 수직하게 분사하기 위해 몸체(211)의 하단에 수직하게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에어 노즐(215)의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상기 에어 노즐(215)은, 도 4와 도 5에서처럼 후술 될 이동부재(216c)의 개방 및 폐쇄 동작에 의해 개폐된다.
세척수 노즐(213)은, 도 3 내지 도 5에서처럼 전방 공간(211b)에 설치되며, 상기 세척수 노즐(213)의 상단에는 후술 될 세척유닛(220)의 제1연결 라인(221)이 연결되어 세척수(A)가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 노즐(213)은 전방 공간(211b)에서 하단이 몸체(211)의 하단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후술 될 세척유닛(220)으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수(A)를 수조(110)의 내부로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노즐(213)은 세척수(A)를 수직하게 분사하기 위해 전방 공간(211b)에 수직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세척수 노즐(213)의 설치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물비누 노즐(214)은, 전방 공간(211b)에서 하단이 몸체(211)의 하단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후술 될 물비누공급유닛(230)으로부터 전달되는 물비누(B)를 수조(110)의 내부로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물비누 노즐(214)은 세척수 노즐(213)과 측방으로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는데, 상기 물비누 노즐(214)의 위치는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물비누 노즐(214)은 전방 공간(211b)에서 하단이 몸체(211)의 하단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후술 될 물비누공급유닛(230)으로부터 공급되는 물비누(B)를 몸체(211)의 하부로 분사한다.
또한, 상기 물비누 노즐(214)은 세척수(A)를 수직하게 분사하기 위해 전방 공간(211b)에 수직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물비누 노즐(214)의 설치 각도는 다양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개폐부(216)는, 후술 될 세척유닛(220)과 물비누공급유닛(230)의 구동시 에어 노즐(215)을 차단시키고, 세척유닛(220)과 물비누공급유닛(230)의 구동 중지시 에어 노즐(215)을 개방시킨다.
이를 위한 상기 개폐부(216)는, 도 4와 도 5에서처럼 가이드 스크류(216a)와, 구동 모터(216b) 및, 이동부재(216c)로 구비된다.
상기 가이드 스크류(216a)는, 격벽(212)의 배면에 이격 위치되며, 상기 가이드 스크류(216a)는 격벽(212)의 배면 방향에서 동일한 경사각으로 이격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 스크류(216a)의 외주에는 정역 방향 회전에 의해 후술 될 이동부재(216c)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원주 방향과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이 형성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이드 스크류(216a)의 하단이 후방 공간(211a)의 바닥면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 스크류(216a)의 상단이 몸체(211)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스크류(216a)는 후술 될 구동 모터(216b)의 회전력에 의해 정역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후술 될 이동부재(216c)를 개방 및 폐쇄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구동 모터(216b)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구동 모터(216b)의 전단으로 돌출된 구동축이 가이드 스크류(216a)의 상단에 결합된다.
이와 같은 상기 구동 모터(216b)는, 후술 될 제어유닛(270)의 구동 제어에 의해 가이드 스크류(216a)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동부재(216c)는, 후방 공간(211a) 내에서 가이드 스크류(216a)의 외주에 대응되게 나선 결합된 상태에서 격벽(212)의 배면에 근접한 상태로 이격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기 이동부재(216c)는, 가이드 스크류(216a)의 정역 방향 회전에 의해 에어 노즐(215)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로 이동 위치된다.
예를 들어, 에어 노즐(215)을 폐쇄시키는 경우는, 도 3에서처럼 구동 모터(216b)의 역 방향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216c)가 에어 노즐(215)의 상단에 접하는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에어 노즐(215)은 후방 공간(211a)과 연통되지 않으므로, 후방 공간(211a)으로 공급된 에어(C)가 에어 노즐(215)을 통해 몸체(211)의 하부로 분사되지 않는다.
반면, 에어 노즐(215)을 개방시키는 경우는, 도 4에서처럼 가이드 스크류(216a)의 정 방향 회전에 의해 이동부재(216c)가 에어 노즐(215)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에어 노즐(215)은 후방 공간(211a)과 연통되므로, 후방 공간(211a)으로 공급된 에어(C)가 에어 노즐(215)을 통해 몸체(211)의 하부로 분사될 수 있다.
세척유닛(220)은, 분사유닛(210)으로 세척수(A)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사유닛(210)과 제1연결 라인(221)에 의해 연결되어 세척수(A)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제1연결 라인(221)의 일단은 세척수(A) 공급을 위한 급수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제1연결 라인(221)의 반대되는 타단이 분사유닛(210)에 연결된다.
이를 위한 상기 세척유닛(220)의 급수 방향에는 도 1에서처럼 급수 라인과의 연결 상태를 전환시키기 위한 메인 밸브(222)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유닛(220)은 급수 라인에 연결되는 제1연결 라인(221) 상에 설치되어, 세척수(A)의 공급 상태를 전환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세척수 밸브(223)가 구비된다.
물비누공급유닛(230)은, 분사유닛(210)으로 물비누(B)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분사유닛(210)과 제2연결 라인(231)에 의해 연결되어 물비누(B)를 공급한다.
이를 위한 상기 물비누공급유닛(230)은, 도 1에서처럼 물비누 탱크(232) 및, 물비누 펌프(233)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물비누 탱크(232)는, 제2연결 라인(231)과 연결되며, 상기 물비누 탱크(232)의 내부에는 일정량의 물비누(B)가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 물비누 탱크(232)의 내부에는 물비누(B)의 잔량을 감지하기 위한 수위 센서(23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센서(234)는, 도 1에서처럼 물비누 탱크(232)의 내부에 삽입된 제2연결 라인(231)의 끝단에 결합되거나, 물비누 탱크(232)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수위 센서(234)는, 물비누 탱크(232)의 내부에서 수위 감지 신호를 후술 될 제어유닛(270)으로 전달한다.
물비누 펌프(233)는, 제2연결 라인(231) 상에 설치되어 물비누(B)를 펌핑하하는 것으로, 탱크(232)의 내부에 저장된 물비누(B)가 제2연결 라인(231)을 따라 분사유닛(210)의 물비누 노즐(214)로 이동되도록 한다.
한편, 제2연결 라인(231) 상에는 도 1에서처럼 개폐 상태를 가변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물비누 밸브(23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건조유닛(240)은, 분사유닛(210)으로 에어(C)를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건조유닛(240)은 분사유닛(210)과 제3연결 라인(241)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C)를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건조유닛(240)은 도 1에서처럼 제3연결 라인(241) 상에 설치되어 에어(C)를 공급하기 위한 송풍기(242)가 구비된다.
히팅유닛(250)은, 도 1에서처럼 제2연결 라인(231)과 제3연결 라인(241) 상에 설치되어 세척수(A)와 에어(C)를 기설정 온도로 가열한다.
여기서, 상기 히팅유닛(250)의 가열 온도는 후술 될 제어유닛(270)에 기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270)을 이용해 가열 온도를 기설정할 수 있다.
감지유닛(260)은, 수조(110)의 입구(112)로 들어오는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물체 감지를 위한 다양한 종류의 센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유닛(260)은 수조(110)의 내측 상단에 설치되어, 수조(110)의 입구(112)로 진입하는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감지유닛(260)은, 사용자의 손이 감지되는 경우, 후술 될 제어유닛(270)으로 감지 신호를 전달하여 자동 손 세척장치의 구동이 시작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유닛(270)은, 감지유닛(260)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분사유닛(210)과 세척유닛(220)과 물비누공급유닛(230)과 건조유닛(240) 및 후술 될 배수유닛(280)의 구동을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270)에는 세척유닛(220)과 물비누공급유닛(230)과 건조유닛(240) 및 후술 될 배수유닛(280)의 구동 시간, 구동 상태 등과 같은 각종 정보가 기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유닛(270)에 기설정된 각종 정보는 관리자에 의해 수정될 수 있고, 가변적으로 다양하게 수정될 수 있다.
배수유닛(280)은, 수조(110)의 세척 공간(111)에 수용된 세척수(A)와 물비누(B)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배수유닛(280)은 도 1에서처럼 제4연결 라인(281) 및, 배수 펌프(282)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4연결 라인(281)은, 일단이 배수구(113)에 연결된 상태로 수조(110)의 하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어, 배수구(113)를 통해 세척수(A) 및 물비누(B)를 외부로 이동시킨다.
배수 펌프(282)는, 상기 제4연결 라인(281)에 설치되며, 펌핑 동작을 통해 수조(110)에 수용된 세척수(A) 및 물비누(B)가 제4연결 라인(281)을 따라 외부로 이동되도록 한다.
그리고, 전술한 하우징(201)의 외부에는 도 1에서처럼 자동 손 세척장치의 동작 상태(ON/OFF), 세척수(A)의 수압, 히팅유닛(250)의 온도 등을 기설정할 수 있도록 조작부(202)가 구비된다.
이와 함께, 상기 하우징(201)의 외부에는 램프가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램프는 작업자가 조작부(202)를 이용해 자동 손 세척장치의 구동을 온(ON) 시키는 경우에 점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1)의 내부에는 세척유닛(220)과 물비누공급유닛(230)과 건조유닛(240)과 히팅유닛(250)과 감지유닛(260)과 제어유닛(270) 및 배수유닛(28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전반과 전원 공급부에 연결시키기 위한 플러그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하우징(201)의 외부에는 비상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작업자가 비상 스위치를 누르는 경우 세척유닛(220)과 물비누공급유닛(230)과 건조유닛(240)과 히팅유닛(250)과 감지유닛(260)과 제어유닛(270) 및 배수유닛(280)의 구동이 선택적으로 중지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조작부(202)를 이용해 전원을 온(ON)시키는 경우, 세척유닛(220)과 물비누공급유닛(230)과 건조유닛(240)과 히팅유닛(250)과 감지유닛(260)과 제어유닛(270) 및 배수유닛(280)으로 전원이 공급된다.
이때, 제어유닛(270)은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제어유닛(270)은 메인 밸브(222)를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시킨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어유닛(270)은 물비누(B) 용량과 세척수(A) 수압과 히팅 유닛(250)의 온도를 검출한 후, 오류(NG) 상태 감지시 표시부(160)를 통해 상태 정보를 외부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감지유닛(260)은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감지유닛(260)이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세척수 밸브(223)와 물비누 밸브(235)가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세척수 노즐(213)을 통해 일정량의 세척수(A)가 분사되고, 사용자는 세척수 노즐(213)을 통해 1차로 분사되는 세척수(A)를 손에 적실 수 있다.
아울러, 제어유닛(270)은 히팅유닛(250)을 구동시켜, 제1연결 라인(221)을 따라 이동하는 세척수(A)를 기설정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유닛(270)은 배수유닛(280)의 배수 펌프(282)를 구동시켜 수조(110)에 수용될 세척수(A)와 물비누(B)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세척수 밸브(223)와 물비누 밸브(235)가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되고, 설정 시간(약 1초: SEC) 후에 물비누 밸브(235)가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이때, 사용자는 물비누 노즐(214)을 통해 2차로 분사되는 일정량의 물비누(B)를 손에 받을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시간(약 1초: SEC) 후에 물비누 밸브(235)와 물비누 펌프(233)가 구동 오프(OFF) 상태로 전환되어, 물비누 노즐(214)의 물비누(B) 분사를 중지시킨다.
이후, 사용자는 손에 뭍은 세척수(A)와 손에 받아놓은 물비누(B)를 이용해 설정 시간(6초: SEC)동안 거품 세척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유닛(270)은 세척수 밸브(223)를 구동 온(ON) 상태로 전환시키고, 개폐부(216)의 이동부재(216c)를 개방 위치로 이동시켜, 세척수 노즐(213)을 통해 세척수(A)를 설정 시간(6초: SEC) 동안 분사시킨다.
이때, 사용자는 3차로 분사되는 세척수(A)를 이용해 손에 뭍은 거품을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설정 시간 동안 행굼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어유닛(270)은 건조유닛(240)의 송풍기(242)를 구동시켜, 에어 노즐(215)을 통해 에어(C)가 설정 시간(6초: SEC) 동안 분사되도록 한다.
이때, 사용자는 4차로 분사되는 에어(C)를 이용해 손에 뭍은 세척수(A)를 제거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설정 시간(6초: SEC) 동안 건조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유닛(270)은 사용 인원에 따라 송풍기(242)의 구동률을 조절할 수 있는데, 1인 사용시 50%, 2인 사용시 60%, 3인 사용시 80%, 4인 사용시 100%로 구동시킬 수 있다.
최종적으로, 제어유닛(270)은 개폐부(216)의 이동부재(216c)를 폐쇄 위치로 이동시켜 에어 노즐(215)을 폐쇄시켜 운전을 종료시킨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은 개별적으로 이격 설치된 하나의 시스템 구동부(200)를 이용해 다수의 본체(100)를 통합적으로 운용함으로써, 누수에 의한 누전 및 감전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고, 사용자와 시스템 구동부가 원거리에 위치되므로 소음을 줄일 수 있어 장치의 설치 환경을 개선할 수 있으며,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공공 시설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그리고, 하나의 시스템 구동부(200)를 이용해 다수의 본체(100)를 운용함으로써, 장치의 제조 원가 및 소비전력을 낮출 수 있고, 인원에 따른 운용 개수 선택이 가능하므로 많은 인원이 동시에 손 세척을 수행할 수 있는 공공 시설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수조(110)의 바닥면에 경사부와 에어 배출구(131)를 형성시킴으로써, 에어 분사시 수조(110)에 고인 세척수(A) 및 물비누가 외부로 튀지 않아 사용시 불편함을 없앨 수 있고, 청결함을 유지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자동 손 세척장치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본체 110: 수조
111: 세척 공간 112: 입구
113: 배수구 120: 제1경사부
130: 제2경사부 131: 에어 배출구
140: 가이드판 150: 받침대
160: 표시부 200: 시스템 구동부
201: 하우징 202: 조작부
210: 분사유닛 211: 몸체
211a: 후방 공간 211b: 전방 공간
212: 격벽 213: 세척수 노즐
214: 물비누 노즐 215: 에어 노즐
216: 개폐부 216a: 가이드 스크류
216b: 구동 모터 216c: 이동부재
220: 세척유닛 221: 제1연결 라인
222: 메인 밸브 223: 세척수 밸브
230: 물비누공급유닛 231: 제2연결 라인
232: 물비누 탱크 233: 물비누 펌프
234: 수위 센서 235: 물비누 밸브
240: 건조유닛 241: 제3연결 라인
242: 송풍기 250: 히팅유닛
260: 감지유닛 270: 제어유닛
280: 배수유닛 281: 제4연결 라인
282: 배수 펌프 A: 세척수
B: 물비누 C: 에어

Claims (8)

  1. 수조가 형성된 하나 또는 다수의 본체와, 상기 본체와 이격 배치된 상태로 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수조의 상부를 통해 세척수와 물비누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하향 분사하는 시스템 구동부를 갖는 자동 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조의 내부 바닥면에는, 입구가 형성된 전면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부에서 분사된 에어를 후방으로 하향 안내하는 제1경사부; 및
    상기 제1경사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제1경사부를 따라 이동된 에어가 후방으로 배출되도록 에어 배출구가 전후로 관통 형성되는 제2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 세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배출구의 상단에는,
    가이드판이 더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판은,
    상기 제2경사부를 따라 이동된 에어를 안내하여 상기 에어 배출구에 집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 세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판은,
    일단이 상기 에어 배출구의 상단에 결합되고, 반대되는 타단은 상기 수조의 내측 하방으로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 세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구동부는,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조의 바닥면으로 세척수와 물비누 및 에어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분사유닛과,
    상기 분사유닛과 제1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유닛과,
    상기 분사유닛과 제2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물비누를 공급하는 물비누공급유닛과,
    상기 분사유닛과 제3연결 라인에 의해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하는 건조유닛과,
    상기 제2연결 라인과 상기 제3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세척수와 에어를 기설정 온도로 가열하는 히팅유닛과,
    상기 입구로 들어오는 물체를 감지하는 감지유닛 및,
    상기 감지유닛으로부터 감지 신호가 전달되는 경우, 상기 분사유닛과 상기 세척유닛과 상기 물비누공급유닛과 상기 건조유닛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 세척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분사유닛은,
    상기 수조의 상부에 설치되며, 후방을 통해 내부의 설치공간으로 상기 건조유닛의 에어가 수평하게 공급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를 전방 공간과 후방 공간으로 구획하며, 상단이 후방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기 후방 공간으로 공급된 에어를 하부로 안내하는 격벽과,
    상기 후방 공간에서 상기 몸체의 하단을 통해 상하로 관통 형성되며, 상기 격벽에 의해 하부로 안내된 에어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에어 노즐과,
    상기 전방 공간에서 하단이 상기 몸체의 하단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상기 세척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세척수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세척수 노즐과,
    상기 전방 공간에서 하단이 상기 몸체의 하단을 통해 관통 결합되며, 상기 물비누공급유닛으로부터 전달되는 물비누를 하부로 배출시키는 물비누 노즐 및,
    상기 세척유닛과 상기 물비누공급유닛 구동시 상기 에어 노즐을 차단시키며, 상기 세척유닛과 상기 물비누공급유닛 구동 중지시 상기 에어 노즐을 개방시키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 세척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는,
    상기 격벽의 배면에 이격 위치되고, 하단이 상기 후방 공간의 바닥면에 정역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단이 상기 몸체의 상부를 통해 외부로 연장되는 가이드 스크류와,
    상기 가이드 스크류의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스크류를 정역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후방 공간 내에서 상기 가이드 스크류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나선 결합되며, 상기 가이드 스크류의 정역 방향 회전에 의해 위치가 가변되어 상기 에어홀을 개폐시키는 이동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 세척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스크류는,
    상기 격벽과 동일한 경사각으로 설치되며,
    상기 이동부재는,
    상기 가이드 스크류를 따라 사선으로 왕복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 세척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세척유닛은,
    상기 제1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세척수의 공급 상태를 전환하는 급수 밸브가 구비되고,
    상기 물비누공급유닛은,
    상기 제2연결 라인과 연결되며, 내부에 물비누가 저장되는 물비누 탱크 및,
    상기 제2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물비누를 펌핑하는 물비누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건조유닛은,
    상기 제3연결 라인 상에 설치되어 에어를 송풍하는 송풍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손 세척장치.
KR1020160051665A 2016-04-27 2016-04-27 자동 손 세척장치 KR1018702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65A KR101870206B1 (ko) 2016-04-27 2016-04-27 자동 손 세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65A KR101870206B1 (ko) 2016-04-27 2016-04-27 자동 손 세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44A true KR20170122544A (ko) 2017-11-06
KR101870206B1 KR101870206B1 (ko) 2018-07-19

Family

ID=60384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65A KR101870206B1 (ko) 2016-04-27 2016-04-27 자동 손 세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02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659A (ko) * 2020-11-03 2022-05-10 조미란 헤어 스타일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266A (ja) * 2005-08-10 2005-12-02 Toto Ltd 手乾燥装置
KR20090059354A (ko) * 2007-12-06 2009-06-11 최창해 자동 손 살균 세척장치
JP2012024174A (ja) * 2010-07-21 2012-02-09 Panasonic Corp 手乾燥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29266A (ja) * 2005-08-10 2005-12-02 Toto Ltd 手乾燥装置
KR20090059354A (ko) * 2007-12-06 2009-06-11 최창해 자동 손 살균 세척장치
JP2012024174A (ja) * 2010-07-21 2012-02-09 Panasonic Corp 手乾燥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9659A (ko) * 2020-11-03 2022-05-10 조미란 헤어 스타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70206B1 (ko) 2018-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5672A (en) Shower bath units
EP2848745A1 (en) Sanitary cleansing device and toilet device with same
WO2008024005A2 (en) A toilet and associated apparatuses
JP2018044365A (ja) 局部洗浄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便器装置
KR101683151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US7182090B2 (en) System for cleaning components of a water retaining device, associated water retaining device, and water propulsion device for use therein
KR101870206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JP2007037628A (ja) 水石けん吐出装置
KR101000416B1 (ko) 손 세척장치
KR102306989B1 (ko) 자동샤워장치
CN115030272A (zh) 水栓装置
KR20130096570A (ko) 양변기
KR101945403B1 (ko)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KR100700198B1 (ko) 자동세수장치
KR20100068781A (ko) 절수 기능이 구비된 욕실의 샤워장치
CN212465819U (zh) 洗手器结构
KR102405598B1 (ko) 물내림시 비말 튐을 방지할 수 있는 양변기용 비데
US20230121994A1 (en) Faucet with utensil flushing mechanism
JP4593771B2 (ja) 洗浄装置
JP7097156B2 (ja) 浴槽洗浄装置
JP2005120674A (ja) 衛生洗浄便座
US2005019927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components of a water retaining device
JP2004089465A (ja) 泡式シャワー浴システム
JPH04215725A (ja) 洗面器洗浄装置付き洗面台
JP2583898Y2 (ja) 浴槽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