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6398A -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6398A
KR20060116398A KR1020050038621A KR20050038621A KR20060116398A KR 20060116398 A KR20060116398 A KR 20060116398A KR 1020050038621 A KR1020050038621 A KR 1020050038621A KR 20050038621 A KR20050038621 A KR 20050038621A KR 20060116398 A KR20060116398 A KR 20060116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cell
pattern
transistor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38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89830B1 (ko
Inventor
박한병
정순문
임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38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89830B1/ko
Priority to US11/191,496 priority patent/US7315466B2/en
Priority to EP05016656A priority patent/EP1624487A3/en
Priority to JP2005226926A priority patent/JP2006049914A/ja
Priority to RU2008106464/02A priority patent/RU2384389C2/ru
Publication of KR2006011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89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89830B1/ko
Priority to US11/953,289 priority patent/US7589992B2/en
Priority to US12/537,521 priority patent/US7982221B2/en
Priority to US13/185,184 priority patent/US20110266623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BELECTRONIC MEMORY DEVICES
    • H10B10/00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Abstract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을 제공한다.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셀 영역의 반도체기판에 벌크 트랜지스터들이 제공된다. 상기 셀 영역에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들을 덮는 층간절연막 패턴이 제공된다.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제공된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과 접촉하는 주변 바디 패턴이 제공된다. 상기 주변 바디 패턴에 주변 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는 실질적으로 상기 셀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수평적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제공된다.
벌크 트랜지스터, 박막 트랜지스터, 주변 트랜지스터, 반도체 집적회로, 에스램(SRAM)

Description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nd fabrication methods threreof}
도 1은 씨모스 에스램 셀(CMOS SRAM cell)의 전형적인(typical) 회로도이다.
도 2는 인버터의 전형적인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씨모스 에스램 셀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인버터의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13a, 및 도 5b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들의 제조방법들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도체 집적회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기억 소자들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복수개의 메모리 셀들을 구비한 메모리 셀 어레이와, 메모리 셀 어레이로부터의 데이터 입/출력을 제어하기 위한 주변 회로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반도체 기억 소자들은 상기 메모리 셀들의 기억 저장 방식에 따라 디램(DRAM), 에프램(FRAM), 플래쉬(Flash), 엠램(MRAM) 및 에스램(SRAM) 등으로 다양하게 구분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의 경우는 모스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주변 회로의 경우는 인버터, NAND 게이트 및 NOR 게이트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반도체 기억소자들 중에 에스램(SRAM)은 디램에 비하여 낮은 전력소모 및 빠른 동작속도를 보인다는 장점들을 갖는다. 따라서, 에스램은 컴퓨터의 캐쉬(cache) 메모리소자 또는 휴대용 전자제품(portable appliance)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에스램의 단위 셀은 크게 두가지로 분류된다. 그 하나는 고저항을 부하소자(load device)로 채택하는 고저항 에스램 셀(high load resistor SRAM cell)이고, 다른 하나는 PMOS 트랜지스터를 부하소자로 채택하는 씨모스 에스램 셀이다. 상기 씨모스 에스램 셀은 다시 두 가지로 분류된다. 그 하나는 반도체 기판 상에 적층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를 부하소자로 채택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에스램 셀이고, 다른 하나는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벌크 트랜지스터(bulk transistor)를 부하소자로 채택하는 벌크 씨모스 에스램 셀(bulk CMOS SRAM cell)이다. 상기 벌크 씨모스 에스램 셀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에스램 셀 및 고저항 에스램 셀에 비하여 높은 셀 안정성(high cell stability)을 보인다. 다시 말해서, 상기 벌크 씨모스 에스램 셀은 우수한 저전압 특성(good low voltage characteristic) 및 낮은 대기전류(low stand-by current)를 보인다. 이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일반적으로 폴리실리콘막을 바디층으로 사용하여 제작되는 반면 에, 상기 벌크 씨모스 에스램 셀을 구성하는 모든 트랜지스터들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벌크 씨모스 에스램 셀은 박막 트랜지스터 에스램 셀에 비하여 낮은 집적도(low integration density)와 아울러서 약한 래치업 면역성(weak latch-up immunity)을 보인다.
한편,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에스램 셀이 상기 벌크 씨모스 에스램 셀에 비하여 높은 집적도를 보일지라도,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에스램 셀의 집적도는 디램 셀의 집적도에 비하여 여전히 낮다. 따라서, 높은 신뢰성을 갖는 고집적 에스램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부하소자로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것과 아울러서 3차원적인 구조를 갖는 콤팩트한 셀을 설계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에스램 셀들의 각각은 한 쌍의 노드 콘택 구조체들을 구비한다. 특히,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에스램 셀에 있어서, 상기 노드 콘택 구조체들의 각각은 부하 트랜지스터의 P형 드레인 영역을 구동 트랜지스터(driver transistor)의 N형 드레인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경우에,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의 P형 드레인 영역 및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의 N형 드레인 영역 사이에 저항성 접촉(ohmic contact)이 요구된다.
반도체기판 상에 적층된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들이 미국특허 제 6,022,766호에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들(Semiconductor structure incorporating thin film transistors and methods for its manufacture)"라는 제목으로 첸 등(Chen et al.)에 의해 개시된 바 있다. 첸 등에 따르면, 단결정 실리콘 기판에 통상의 벌크 트랜지스터가 형성되고, 상기 벌 크 트랜지스터의 상부에 박막 트랜지스터가 적층된다.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들중의 하나는 텅스텐 플러그와 같은 금속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영역들중의 하나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각각 NMOS 트랜지스터 및 PMOS 트랜지스터인 경우에,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는 상기 금속 플러그를 통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저항성 접촉(ohmic contact)을 갖는다.
이에 더하여,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바디층은 상기 금속 플러그를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비정질 실리콘층을 형성하고 상기 비정질 실리콘층을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결정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경우에, 상기 바디층은 큰 그레인들을 갖는 폴리실리콘층에 해당한다. 즉, 상기 바디층을 완전한 단결정 실리콘층으로 변환(transform)시키는 것이 어렵다. 결과적으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특성을 갖도록 형성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반도체기판의 상부에 적층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더 나아가서, 첸 등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방법으로는 고성능의 에스램을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스램의 메모리 셀을 구성하는 모스 트랜지스터들을 첸 등에 의한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할 경우, 상기 메모리 셀을 구동시키기 위한 주변 회로를 구성하는 모스 트랜지스터를 고성능으로 구현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회로의 모스 트랜지스터를 벌크 트랜지스터로 형성할 경우에는 후속 반도체 제조 공정들 중에 발생될 수 있는 고온의 열에 의한 모스 트랜지스터의 특성 열화가 발생될 수 있다. 주변 회로의 모스 트랜지스터를 박막 트랜지스터로 형성할 경우에는 바디층을 완전한 단결정 실리콘층으로 변환(transform)시키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벌크 트랜지스터에 상응하는 전기적인 특성을 갖도록 형성하기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에스램 메모리 셀에 형성되는 박막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향상시키면서, 주변 회로를 구성하는 모스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들이 지속적으로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셀 영역에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채택하고, 주변 회로 영역에 고성능의 주변 트랜지스터를 채택하는 반도체 집적회로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셀 영역의 집적도를 향상시키면서 주변 회로 영역에 고성능의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들의 제조방법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높은 신뢰성을 갖는 에스램의 제조방법들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태양은 주변 회로 영역에 고성능의 주변 트랜지스터를 채택하는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공한다. 상기 반도체 집적회로는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구비한다. 상기 셀 영역의 반도체기판에 벌크 트랜지스터 들이 제공된다. 상기 셀 영역에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들을 덮는 층간절연막 패턴이 제공된다.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 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제공된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과 접촉하는 주변 바디 패턴이 제공된다. 상기 주변 바디 패턴에 주변 트랜지스터가 제공된다. 이 경우에,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는 실질적으로 상기 셀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수평적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은 단결정 반도체 구조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단결정 박막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에스램 메모리 셀의 셀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들은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짐과 아울러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과 각각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과 각각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벌크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1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노드 플러그 및상기 층간절연막 패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벌크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노드 플러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은 각각 제1 및 제2 N채널 구동 트랜지스터들이되,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은 드레인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노드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노드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각각 제1 및 제2 P 채널 부하 트랜지스터들이고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각각 제1 및 제2 N 채널 전송 트랜지스터들이되,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은 드레인 영역들이고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은 소스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노드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노드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워드라인을 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는 주변 게이트 전극의 표면에 제공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적어도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는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표면에 제공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셀 영역에 집적도를 향상시키면서 주변 회로 영역에 고성능의 모스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준비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셀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기판에 벌크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를 갖는 기판 상에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층간 절연막 패턴 및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 상에 각각 셀 바디 패턴 및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은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과 접촉한다.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에 각각 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주변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을 갖는 기판 상에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막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각각 셀 반도체막 및 주변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주변 반도체막은 상기 반도체막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반도체막은 비단결정 반도체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반도체막을 평탄화시키기 전 또는 후에, 상기 반도체 기판을 씨드층으로 채택하는 고상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막을 결정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를 갖는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셀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 홀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노출된 반도체기판 상에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평탄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는 상기 콘택 홀에 의해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씨드층으로 채택하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각각 가로지르는 셀 게이트 전극 및 주변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 내로 불순물들을 주입하여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 내에 각각 셀 소스/드레인 영역들 및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주변 게이트 전극 및/또는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표면들에 선택적으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태양은 높은 신뢰성을 갖는 에스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준비하는 것을 포 함한다. 상기 셀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기판에 벌크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를 갖는 기판 상에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제1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패턴은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의 소정 영역은 노출시키는 제1 콘택 홀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제1 콘택 홀을 덮는 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에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는 제2 층간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2 층간절연막은 상기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 콘택 홀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제2 콘택 홀을 덮는 셀 상부 바디 패턴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한다.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에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바디 패턴에 주변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에서,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주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콘택 홀을 채우며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평탄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2 콘택 홀을 채우며 상기 제2 층 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을 덮는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평평한 상부면을 갖도록 평탄화시키고,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셀 영역에 셀 상부 바디 패턴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주변 상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으로 이루어진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들은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콘택 홀을 채우며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2 콘택 홀을 채우며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되,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는 평평한 상부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셀 영역에 셀 상부 바디 패턴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들은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는 N채널 구동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는 P채널 부하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는 N채널 전송 트랜지스터로 형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각각 가로지르는 셀 상부 게이트 전극 및 주변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 내로 불순물들을 주입하여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 내에 각각 셀 소스/드레인 영역들 및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주변 게이트 전극 및/또는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표면들에 선택적으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들의 두께는 명확성을 기하여 위하여 과장되어진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일반적인 씨모스 에스램 셀의 회로도이고, 도 2는 씨모스 에스램 셀에 대한 주변 회로들의 일 예로써 인버터를 나타낸 회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씨모스 에스램 셀은 한 쌍의 구동 트랜지스터들(TD1, TD2), 한 쌍의 전송 트랜지스터들(TT1, TT2) 및 한 쌍의 부하 트랜지스터들(TL1, TL2)을 구비한다. 상기 한 쌍의 구동 트랜지스터들(TD1, TD2) 및 상기 한 쌍의 전송 트랜지스터들(TT1, TT2)은 모두 NMOS 트랜지스터들인 반면에, 상기 한 쌍의 부하 트랜지스터들(TL1, TL2)은 모두 PMOS 트랜지스터들이다.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TD1)와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는 서로 직렬 연결된다.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TD1)의 소스 영역은 접지선(ground line; Vs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의 드레인 영역은 비트라인(BL)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TD2)와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는 서로 직렬 연결된다.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TD2)의 소스 영역은 상기 접지선(Vss)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드레인 영역은 반전 비트라인(BLB)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TL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각각 전원선(power supply line; Vcc) 및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TD1)의 드레인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은 각각 상기 전원선(Vcc) 및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TD2)의 드레인 영역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TL1)의 드레인 영역,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TD1)의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의 소스 영역은 제1 노드(N1)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의 드레인 영역,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TD2)의 드레인 영역 및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소스 영역은 제2 노드(N2)에 해당한다.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TD1)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TL1)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노드(N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TD2)의 게이트 전극 및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노드(N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전송 트랜지스터들(TT1, TT2)의 게이트 전극들은 워드라인(WL)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술한 씨모스 에스램 셀은 고저항 에스램 셀에 비하여 적은 대기 전류(small stand-by current)와 아울러서 큰 노이즈 마진(large noise margin)을 보인다. 따라서, 상기 씨모스 에스램 셀은 낮은 전원전압(low power voltage)이 요구되는 고성능 에스램에 널리 채택되고 있다. 특히,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에스램 셀이 상기 벌크 씨모스 에스램 셀의 부하 트랜지스터들로 사용되는 P채널 벌크 트랜지스터들에 상응하는 향상된 전기적인 특성을 갖는 고성능 P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들(high performance P-channel thin film transistors)을 구비한다면,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 에스램 셀은 상기 벌크 씨모스 에스램 셀에 비하여 집적도(integration density) 및 래치업 면역성(latch-up immunity) 등의 측면에서 우수한 장점들을 갖는다.
상기 고성능 P채널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가 단결정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바디 패턴에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도 1에 보여진 상기 제1 및 제2 노드들(N1, N2)에서 저항성 접촉(ohmic contact)이 형성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인버터는 피모스 트랜지스터(P1) 및 앤모스 트랜지스터(N1)를 구비한다. 상기 인버터는 입력신호(IN)를 반전하여 출력신호(OUT)를 발생 한다. 다시 말하면, "하이" 레벨의 입력신호(IN)가 인가되면, 상기 앤모스 트랜지스터(N1)가 온 되어 출력신호(OUT)를 "로우" 레벨, 즉 접지전압(Vss) 레벨로 만든다. 반면에, "로우" 레벨의 입력신호(IN)가 인가되면 피모스 트랜지스터(P1)가 온되어 출력신호(OUT)를 "하이" 레벨, 즉 전원전압(Vcc) 레벨로 만든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벌크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들 상부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들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와 실질적으로 수평적 동일 선상에 제공되는 주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주변 회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메모리 셀의 일 예로써 3층 적층 구조의 씨모스 에스램 셀을 나타낼 것이고, 주변 회로들의 일 예로써 인버터를 나타낼 것이다. 상기 인버터는 주변 회로 영역들에 형성될 주변 트랜지스터들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로써 나타낸 것으로써, 본 발명의 주변 회로 영역에는 상기 인버터 외에 낸드 게이트(NAND gate) 또는 노어 게이트(NOR gate) 등의 논리 회로 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씨모스 에스램 셀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인버터의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13a, 및 도 5b 내지 도 1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들의 제조방법들을 나타낸 단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13a, 및 도 5b 내지 도 13b에 있어서, 참조부호 "C"로 표시된 부분은 셀 영역을 나타내고, 참조부호 "P"으로 표시된 부분은 주변 회로 영역을 나타낸다. 도 5a 내지 도 13a에 있어서,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은 각각 도 3의 I-I′선 및 도 4 의 III-III′ 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도 5b 내지 도 13b에 있어서,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은 각각 도 3의 II-II′선 및 도 4의 IV-IV′선을 따라 취해진 단면도들이다.
먼저, 도 3, 도 4,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반도체 집적회로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4a,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반도체기판(100)은 셀 영역(C) 및 주변 회로 영역(P)을 구비한다. 상기 셀 영역(C)의 소정 영역에 소자분리막(103)이 제공되어 제1 및 제2 셀 활성영역들(103a, 103b)을 한정한다. 상기 반도체기판(100)은 단결정 반도체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반도체기판(100)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활성영역들(103a, 103b)은 y축에 평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활성영역(103a)의 일 단은 x축에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제1 접지 활성영역(103s′)을 제공하고 상기 제2 활성영역(103b)의 일 단 역시 상기 x 축에 평행하도록 연장되어 제2 접지 활성영역(103s″)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접지 활성영역들(103s′, 103s″)은 서로 평행하면서 대향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활성영역들(103a, 103b)의 상부를 각각 가로지르도록 제1 및 제2 평행한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이 제공된다.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은 차례로 적층된 제1 구동 게이트 전극(107a) 및 제1 캐핑 절연막 패턴(109a)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은 차례로 적층된 제2 구동 게이트 전극(107b) 및 제2 캐핑 절연막 패턴(109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 및 상기 활성영역들(103a, 103b) 사이에 게이트 절연막(105)이 개재된다.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접지 활성영역(103s′)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1 활성영역(103a)의 표면에 제1 드레인 영역(113d′)이 제공되고,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13d′)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1 활성영역(103a) 및 상기 제1 접지 활성영역(103s′)의 표면들에 제1 소스 영역(113s′)이 제공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접지 활성영역(103s″)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2 활성영역(103b)의 표면에 제2 드레인 영역(113d″)이 제공되고,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에 인접하고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13d″)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2 활성영역(103b) 및 상기 제2 접지 활성영역(103s″)의 표면들에 제2 소스 영역(113s″)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d′, 113d″)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영역들(113s′, 113s″)은 엘디디 형의 불순물 영역들(lightly doped drain type impurity regions)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의 측벽들 상에 구동 게이트 스페이서들(111)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은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13d″)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은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13d′)에 인접하도록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13d′) 및 상기 제1 소스 영역(113s′)은 제1 벌크 트랜지스터, 즉 제1 구동 트랜지스터(도 1의 TD1)를 구성하고,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13d″) 및 상기 제2 소스 영역(113s″)은 제2 벌크 트랜지스터, 즉 제2 구동 트랜지스터(도 1의 TD2)를 구성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들(TD1, TD2)은 반도체기판에 형성된 N 채널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상기 셀 영역(C)에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들(TD1, TD2)을 덮는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은 평탄화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들(TD1, TD2)을 갖는 반도체기판 및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 사이에 제1 식각저지막 패턴(115)이 추가로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1 식각저지막 패턴(115)은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이 실리콘 산화막인 경우에, 상기 제1 식각저지막 패턴(115)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silicon oxynitride layer)일 수 있다.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13d′)은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 및 상기 제1 식각저지막 패턴(115)을 관통하는 제1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13d″)은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 및 상기 제1 식각 저지막 패턴(115)을 관통하는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 상에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이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은 단결정 반 도체 구조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셀 하부 바디 패턴(121a)은 상기 제1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a)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하부 바디 패턴(121a)은 상기 제1 활성영역(103a)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셀 하부 바디 패턴(121a)은 상기 제1 접지 활성영역(103s′)의 일부분과 중첩하는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은 상기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b)를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하부 바디 패턴(121b)은 상기 제2 활성영역(103b)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은 상기 제2 접지 활성영역(103s″)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연장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은 단결정 반도체 패턴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19a, 119b)이 단결정 실리콘 플러그들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은 단결정 실리콘 패턴들일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에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이 제공된다.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셀 영역(C)의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의 표면들과 수평적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은 단결정 반도체구조 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도체기판(100)이 단결정 실리콘 구조인 경우에,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은 단결정 실리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1 셀 하부 바디 패턴(121a)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제1 부하 게이트 패턴 (126a)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제2 부하 게이트 패턴(126b)이 배치된다.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패턴(126a)은 차례로 적층된 제1 게이트 전극(123a) 및 제1 캐핑 절연막 패턴(125a)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패턴(126b)은 차례로 적층된 제2 게이트 전극(123b) 및 제2 캐핑 절연막 패턴(125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은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상기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로부터 절연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패턴(26a)에 인접하고 상기 제1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a)와 접촉하는 상기 제1 하부 바디 패턴(121a) 내에 제1 불순물 영역(129d′)이 제공되고,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패턴(126a)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불순물 영역(129d′)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1 하부 바디 패턴(121a) 내에 제2 불순물 영역(129s′)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29d′, 129s′)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패턴(126a)은 제1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 즉 제1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TL1)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29d′, 129s′)은 각각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TL1)의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의 역할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패턴(126b)에 인접하고 상기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b)와 접촉하는 상기 제2 하부 바디 패턴(121b) 내에 제1 불순물 영역(129d″)이 제공되고,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패턴(126b)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불순물 영역(129d″)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2 하 부 바디 패턴(121b) 내에 제2 불순물 영역(129s″)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29d″, 129s″)과 아울러서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패턴(126b)은 제2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 즉 제2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TL2)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29d″, 129s″)은 각각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의 드레인 영역 및 소스 영역의 역할을 한다. 상기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TL1, TL2)은 단결정 박막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들(TL1, TL2)은 피모스 트랜지스터들에 해당한다.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129s′, 129s″, 129d′, 129d″)은 엘디디형의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의 측벽들 상에 부하 게이트 스페이서들(127)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셀 영역(C)에 상기 제1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들(TL1, TL2)을 덮는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은 평탄화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부하 트랜지스터들(TL1, TL2)을 갖는 반도체기판 및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사이에 제2 식각저지막 패턴(131)이 추가로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2 식각저지막 패턴(131)은 상기 제2 층간절연막(133)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이 실리콘 산화막인 경우에, 상기 제2 식각저지막 패턴(131)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silicon oxynitride layer)일 수 있다.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29d′)은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및 상기 제 2 식각저지막 패턴(131)을 관통하는 제1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29d″)은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및 상기 제2 식각저지막 패턴(131)을 관통하는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이 단결정 실리콘 패턴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35a, 135b)은 단결정 실리콘 플러그들일 수 있다.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상에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이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35a, 135b)을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의 연장부들은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과 중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은 단결정 반도체 구조들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35a, 135b)이 단결정 실리콘 플러그들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은 단결정 실리콘 패턴들일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에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을 덮는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이 제공된다.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의 표면은 실질적으로 상기 셀 영역(C)의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의 표면들과 수평적 동일 선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은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과 동일한 결정구조를 갖는 단결정 반도체 구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이 단결정 실리콘 구조인 경우에,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도 단결정 반도체 구조, 예를 들면 단결정 실리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 및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은 주변 바디 패턴(120p)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 및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은 한번의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단결정 반도체 구조,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에 제1 및 제2 주변 활성영역들(130p, 130p′)을 한정하는 소자분리용 절연막(136a)이 제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소자 분리용 절연막(136a)은 상기 셀 영역(C)의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 사이를 채울 수 있다.
상기 셀 영역(C)에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워드라인(142)이 제공된다. 상기 워드라인(142)은 상기 제1 및 제2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워드라인(142)은 차례로 적층된 제1 폴리 실리콘막 패턴(139) 및 게이트 금속 실리사이드막(14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142)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로부터 게이트 절연막에 의해 절연된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에 상기 제1 주변 활성영역(130p)의 상부를 가로지르 는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이 제공된다.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은 차례로 적층된 제2 폴리 실리콘막 패턴(139p) 및 주변 피모스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141p)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주변 활성영역(130p′)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은 차례로 적층된 제3 폴리 실리콘막 패턴(139n) 및 주변 앤모스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141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들(141, 141p, 141n)은 니켈 실리사이드막, 코발트 실리사이드막, 타이타늄 실리사이드막 또는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일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142),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 및 상기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의 측벽들 상에 절연성 스페이서들(143)이 제공된다.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들(143)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142)에 인접하고 상기 제1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a)와 접촉하는 상기 제1 셀 상부 바디 패턴(137a) 내에 제1 불순물 영역(145s′)이 제공되고, 상기 워드라인(142)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불순물 영역(145s′)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1 셀 상부 바디 패턴(137a) 내에 제2 불순물 영역(145d′)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45s′, 145d′)과 아울러서 상기 워드라인(142)은 제1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 즉 제1 전송 트랜지스터(도 1의 TT1)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45s′, 145d′)은 각각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역할을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워드라인(142)에 인접하고 상기 제2 상부 노드 반도 체 플러그(135b)와 접촉하는 상기 제2 상부 바디 패턴(137b) 내에 제1 불순물 영역(145s″)이 제공되고, 상기 워드라인(142)에 인접하고 상기 제1 불순물 영역(145s″)의 반대편에 위치한 상기 제2 상부 바디 패턴(137b) 내에 제2 불순물 영역(145d″)이 제공된다.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45s″, 145d″)과 아울러서 상기 워드라인(142)은 제2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 즉 제2 전송 트랜지스터(도 1의 TT2)를 구성한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불순물 영역들(145s″, 145d″)은 각각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전송 트랜지스터들(TT1, TT2)은 N채널 트랜지스터들에 해당한다. 상기 제1 상부 바디 패턴(137a) 상의 상기 워드라인(142)은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의 게이트 전극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137b) 상의 상기 워드라인(142)은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게이트 전극에 해당한다. 상기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들(TT1, TT2)은 단결정 박막 트랜지스터들일 수 있다.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들(TT1, TT2)의 소스 및 드레인 영역들(145s′, 145s″, 145d′, 145d″)의 표면들에 금속 실리사이드막들(146a)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금속 실리사이드막들(146a)은 니켈 실리사이드막, 코발트 실리사이드막, 타이타늄 실리사이드막 또는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일 수 있다.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의 양 옆에 위치한 제1 주변 활성영역(103p)의 표면들에 각각 제1 드레인 영역(144d) 및 제1 소스 영역(144s)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소스 영역(144s) 및 제1 드레인 영역(144d)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은 주변 피모스 트랜지스터(도 2의 P1)를 구성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의 양 옆에 위치한 제2 주변 활성영역(103p′)의 표면들에 각각 제2 드레인 영역(144d′) 및 제2 소스 영역(144s′)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소스 영역(144s′) 및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44d′)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은 주변 앤모스 트랜지스터(도 2의 N1)를 구성한다. 상기 주변 피모스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주변 앤모스 트랜지스터(N1)의 각 상기 제1 소스/드레인 영역들(144s, 144d) 및 상기 제2 소스/드레인 영역들(144s′, 144d′)의 표면들에 각각 제1 및 제2 금속 실리사이드막들(146b, 146c)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금속 실리사이드막들(146b, 146c)은 니켈 실리사이드막, 코발트 실리사이드막, 타이타늄 실리사이드막 또는 텅스텐 실리사이드막 일 수 있다.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들(TT1, TT2) 및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N1, P1)을 포함하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3 층간절연막(149)이 적층된다. 상기 제3 층간절연막(149)은 평탄화된 상부면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들(TT1, TT2)을 갖는 반도체기판 및 상기 제3 층간절연막(149) 사이에 제3 식각저지막(147)이 추가로 개재될 수 있다.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은 상기 제3 층간절연막(149)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3 층간절연막(149)이 실리콘 산화막인 경우에,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질화막(silicon oxynitride layer)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19a, 119b)이 상기 구동 트랜지스터들(TD1, TD2)의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d′, 113d″)과 동일한 도전형을 갖는 경우에, 상기 제1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a), 상기 제1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a),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TL1)의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29d′),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의 상기 제1 소스 영역(145s′),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전극(107b) 및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전극(123b)은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막 패턴들(117, 133) 및 제3 층간절연막(149)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식각 저지막 패턴들(115, 131) 및 제3 식각저지막(147)을 관통하는 제1 노드 플러그(151a)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b), 상기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b),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의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29d″),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상기 제2 소스 영역(145s″),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전극(107a) 및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전극(123a)은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막 패턴들(117, 133) 및 제3 층간절연막(149)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식각 저지막 패턴들(115, 131) 및 제3 식각저지막(147)을 관통하는 제2 노드 플러그(151b)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1 및 제2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은 N형 반도체 및 P형 반도체 모두에 대하여 저항성 접촉(ohmic contact)을 보이는 도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및 제2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의 각각은 텅스텐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제1 및 제2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의 각각은 텅스텐 플러그 및 상기 텅스텐 플러그를 둘러싸는 장벽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적어도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19a, 119b)이 상 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d′, 113d″)과 다른 도전형을 갖거나 진성 반도체로 이루어진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은 연장되어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d′, 113d″)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a), 상기 제1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a),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TD1)의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13d′),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TL1)의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29d′),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의 상기 제1 소스 영역(145s′),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전극(107b),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전극(123b) 및 상기 제1 노드 플러그(151a)는 제1 노드 콘택 구조체를 구성하고, 상기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b), 상기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b),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TD2)의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13d″),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의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29d″),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상기 제2 소스 영역(145s″),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전극(107a),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전극(123a) 및 상기 제2 노드 플러그(151b)는 제2 노드 콘택 구조체를 구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4 층간절연막(153)이 적층된다. 상기 제1 셀 하부 바디 패턴(121a)의 연장부, 즉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TL1)의 소스 영역(129s′)은 상기 제2 식각저지막 패턴(131),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제3 식각저지막(147), 제3 층간절연막(149) 및 제4 층간절연막(153)을 관통하는 제1 셀 전원선 콘택 플러그(155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의 연장부, 즉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의 소스 영역(129s″)은 상기 제2 식각저지막 패턴(131),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제3 식각저지막(147), 제3 층간절연막(149) 및 제4 층간절연막(153)을 관통하는 제2 셀 전원선 콘택 플러그(155c″)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제1 접지 활성영역(103s′), 즉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TD1)의 소스 영역(113s′)은 상기 제1 및 제2 식각 저지막 패턴들(115, 131) 및 제3 식각저지막(147)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막 패턴들(117, 133) 및 제3 및 제4 층간절연막들(149, 153)을 관통하는 제1 셀 접지선 콘택 플러그(155s′)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접지 활성영역(103s″), 즉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TD2)의 소스 영역(113s″)은 상기 제1 및 제2 식각 저지막 패턴들(115, 131) 및 제3 식각저지막(147)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막 패턴들(117, 133) 내지 제3 및 제4 층간절연막들(117, 133, 149, 153)을 관통하는 제2 셀 접지선 콘택 플러그(155s″)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주변 피모스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 영역(144d) 및 상기 주변 앤모스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 영역(144d′)은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제4 및 제3 층간절연막들(153, 149)과 아울러서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을 관통하는 제1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153t′) 및 제2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153t″)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주변 피모스 트랜지스터(P1)의 소스 영역(144s) 및 상기 주변 앤모스 트랜지스터(N1)의 소스 영역(144s′)은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제4 및 제3 층간절연막들(153, 149)과 아울러서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을 관통하는 주변 전원선 콘택 플러그(155d) 및 주변 접지선 콘택 플러그(153e)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전원선 콘택 플러그들(155c′, 155c″, 155d), 상기 접지선 콘택 플러그들(155s′, 155s″, 155e) 및 상기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들(155t′, 155t″)은 텅스텐 플러그들과 같은 금속 플러그들일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전원선 콘택 플러그들(155c′, 155c″, 155d), 상기 접지선 콘택 플러그들(155s′, 155s″, 155e) 및 상기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들(155t′, 155t″)의 각각은 텅스텐 플러그와 상기 텅스텐 플러그를 둘러싸는 장벽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원선 콘택 플러그들(155c′, 155c″, 155d), 상기 접지선 콘택 플러그들(155s′, 155s″, 155e) 및 상기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들(155t′, 155t″)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5 층간절연막(157)이 적층된다.
상기 셀 영역(C)의 제5 층간절연막(157) 내에 셀 접지선들(159s) 및 셀 전원선들(159c)이 배치된다. 상기 셀 전원선들(159c)은 상기 셀 전원선 콘택 플러그들(155c′, 155c″)을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셀 접지선들(159s)은 상기 셀 접지선 콘택 플러그들(155s′, 155s″)을 덮도록 배치된다. 상기 셀 전원선들(159c) 및 셀 접지선들(159s)은 상기 워드라인(142)에 실질적으로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제5 층간절연막(157) 내에 주변 전원선(159c′), 주변 접지선(159s′) 및 출력 신호선(159t)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전원선(159c′)은 상기 주변 전원선 콘택 플러그(155d)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변 접지선(159s′)은 상기 주변 접지선 콘택 플러그(155e)를 덮도록 배치되고, 상기 출력 신호선(159t)은 상기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들(155t′, 155t″)을 덮도록 배치된 다.
상기 전원선들(159c, 159c′), 접지선들(159s, 159s′), 상기 출력 신호선(159t) 및 제5 층간절연막(157)은 제6 층간절연막(161)으로 덮여진다.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의 드레인 영역(145d′)은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과 아울러서 상기 제3 내지 제6 층간절연막들(149, 153, 157, 161)을 관통하는 제1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16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드레인 영역(145d″)은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과 아울러서 상기 제3 내지 제6 층간절연막들(149, 153, 157, 161)을 관통하는 제2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163b″)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상기 제6 층간절연막(161) 상에 제1 및 제2 평행한 비트라인들(165b′, 165b″)이 배치된다. 상기 제1 비트라인(165b′)은 상기 제1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163b′)와 접촉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비트라인(165b″)은 상기 제2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163b″)와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들(165b′, 165b″)은 상기 셀 전원선(159c) 및 상기 셀 접지선(159s)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된다.
이제, 도3, 도 4, 도 5a 내지 13a, 및 도 5b 내지 도 1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에스램의 제조방법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셀 영역(C) 및 주변 회로 영역(P)을 갖는 반도체기판(100)을 준비한다. 상기 반도체기판(100)은 단결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100)은 피형 실리콘 기판일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 판(100)의 소정영역에 소자분리막(103)을 형성하여 제1 및 제2 평행한 셀 활성영역들(103a, 103b)을 한정한다. 상기 소자분리막(103)은 셀 영역(C)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셀 활성영역들(103a, 103b)은 y축에 평행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소자분리막(103)은 상기 제1 활성영역(103a)의 일 단으로부터 x축을 따라 연장된 제1 접지 활성영역(103s') 및 상기 제2 활성영역(103b)의 일 단으로부터 상기 x축을 따라 연장된 제2 접지 활성영역(103s")을 제공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접지 활성영역들(103s', 103s")은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활성영역들(103a, 103b, 103s', 103s") 상에 게이트 절연막(105)을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절연막(105)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게이트 도전막 및 캐핑 절연막을 차례로 형성한다. 상기 게이트 도전막은 실리콘막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캐핑 절연막은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캐핑 절연막 및 상기 게이트 도전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셀 활성영역(103a)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 및 상기 제2 셀 활성영역(103b)의 상부를 가로지르는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을 형성한다. 그 결과,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은 차례로 적층된 제1 구동 게이트 전극(107a) 및 제1 캐핑 절연막 패턴(109a)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은 차례로 적층된 제2 구동 게이트 전극(107b) 및 제2 캐핑 절연막 패턴(109b)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게이트 캐핑 절연막을 형성하는 공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은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전극만을 갖 고,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은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전극만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은 각각 상기 제2 셀 활성영역(103b) 및 상기 제1 셀 활성영역(103a)에 인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을 이온주입 마스크들로 사용하여 상기 활성영역들(103a, 103b, 103s′, 103s″) 내로 불순물 이온들을 주입한다. 그 결과, 상기 제1 셀 활성영역(103a) 내에 서로 이격된 제1 소스 영역(113s′) 및 제1 드레인 영역(113d′)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셀 활성영역(103b) 내에 서로 이격된 제2 소스 영역(113s″) 및 제2 드레인 영역(113d″)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영역들(113s′, 113s″)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d′, 113d″)은 N형의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소스 영역(113s') 및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13d')은 각각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 하부의 채널 영역의 양 옆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소스 영역(113s") 및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13d")은 각각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 하부의 채널 영역의 양 옆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소스 영역(113s')은 상기 제1 접지 활성영역(103s') 내에도 형성되고, 상기 제2 소스 영역(113s")은 상기 제2 접지 활성영역(103s") 내에도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영역들(113s', 113s")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d', 113d")이 엘디디형의 구조(a lightly doped drain type structure; an LDD-type structure)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의 측벽들 상에 구동 게이트 스페이서들(111)을 형성한다. 상기 구동 게이트 스페이서들(111)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 다.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패턴(110a), 상기 제1 소스 영역(113s') 및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13d')은 제1 벌크 트랜지스터, 즉 제1 N채널 구동 트랜지스터(도 1의 TD1)를 구성하고,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패턴(110b), 상기 제2 소스 영역(113s") 및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13d")은 제2 벌크 트랜지스터, 즉 제2 N채널 구동 트랜지스터(도 1의 TD2)를 구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들(TD1, TD2)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1 층간절연막(116)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층간절연막(116)을 형성하기 전에 제1 식각저지막(114)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1 식각저지막(114)은 상기 제1 층간절연막(116)에 대하여 식각 선택비를 갖는 절연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층간절연막(116)을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 식각저지막(114)은 실리콘 산질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층간절연막(116)은 화학기계적 연마 기술을 사용하여 평탄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 상의 상기 제1 식각저지막(114)은 화학기계적 연마 저지막(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stopper)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층간절연막(116) 및 상기 제1 식각 저지막(114)을 패터닝하여 상기 셀 영역(C)의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d′, 113d″)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 홀들(117a, 117b)을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제1 층간 절연막 패턴(117) 및 제1 식각 저지막 패턴(115)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 홀들(117a, 117b)을 채우며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1 반도체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반도체막은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는 에피택시얼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 홀들(117a, 117b) 내부를 채우며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 즉 제1 에피택시얼 층을 형성한다. 상기 에피택시얼 기술은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기술일 수 있다. 상기 제1 에피택시얼 층은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 홀들(117a, 117b)에 의하여 노출된 반도체기판의 소정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씨드 층으로 사용하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반도체기판(100)이 단결정 실리콘 기판인 경우에, 상기 제1 에피택시얼 층은 단결정 실리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에피택시얼 층은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과 같은 평탄화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1 에피택시얼 층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 홀들(117a, 117b)을 채우며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1 반도체막을 비단결정 반도체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반도체막은 비정질 실리콘막 또는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반도체막을 평 탄화시키어 상부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반도체막을 평탄화시키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제1 반도체막과 접촉하는 반도체 기판을 씨드층으로 채택하는 에피택시얼 기술 즉, 고상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반도체막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반도체막은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셀 영역(C)에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의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셀 활성영역들(103a, 103b)과 중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 홀들(117a, 117b)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 홀들(117a, 117b) 내에 형성된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는 각각 제1 및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19a, 119b)로 정의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제1 셀 하부 바디 패턴(121a)은 상기 제1 접지 활성영역(103s′)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연장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은 상기 제2 접지 활성영역(103s″)의 일 부분과 중첩하는 연장부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 홀들(117a, 117b)을 채우며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117)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단결정 반 도체막을 형성하고, 상기 단결정 반도체막에 대하여 화학 기계적 연막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콘택홀들(117a, 117b) 내에 제1 및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19a, 119b)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주변 단결정 반도체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결정 반도체막은 에피택시얼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19a, 119b)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반도체막, 즉 하부 바디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19a, 119b)이 단결정 실리콘 플러그들인 경우에, 상기 하부 바디층은 비단결정 반도체막, 즉 비정질 실리콘막 또는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층을 패터닝하여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부 바디층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고상 에피택시얼(solid phase epitaxial; SPE) 기술을 사용하여 결정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고상 에피택시얼 기술은 상기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을 약 500℃ 내지 80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결정화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제거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의 표면들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의 상부를 각각 가로지르도록 제1 및 제2 절연된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과 중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및 제2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은 상기 제1 및 제2 구동 게이트 패턴들(110a, 110b)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패턴(126a)은 차례로 적층된 제1 부하 게이트 전극(123a) 및 제1 캐핑 절연막 패턴(125a)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패턴(126b)은 차례로 적층된 제2 부하 게이트 전극(123b) 및 제2 캐핑 절연막 패턴(125b)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 내에 불순물 이온들을 주입한다. 그 결과, 상기 제1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내에 서로 이격된 제1 소스 영역(129s′) 및 제1 드레인 영역(129d′)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 내에 서로 이격된 제2 소스 영역(129s″) 및 제2 드레인 영역(129d″)이 형성된다. 상기 제1 소스 영역(129s′) 및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29′)은 각각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패턴(126a) 하부의 채널 양 옆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소스 영역(129s″) 및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29d″)은 각각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패턴(126b) 하부의 채널 영역의 양 옆에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영역들(129s′, 129s″)은 각각 상기 제1 셀 하부 패턴(121a)의 연장부 및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의 연장부 내에도 형성된다.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29d′)은 상기 제1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 (119a) 상의 상기 제1 셀 하부 바디 패턴(121a) 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29d″)은 상기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b) 상의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 내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29d′)은 상기 제1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a)와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29d″)은 상기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b)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영역들(129s′, 129s″)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29d′, 129d″)은 P형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영역들(129s′, 129s″)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29d′, 129d″)은 엘디디형의 구조(a lightly doped drain type structure; an LDD-type structure)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부하 게이트 패턴들(126a, 126b)의 측벽들 상에 부하 게이트 스페이서들(127)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부하 게이트 스페이서들(127)은 실리콘 질화막 또는 실리콘 산화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하(load) 게이트 패턴(126a), 상기 제1 소스 영역(129s′) 및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29d′)은 제1 셀 하부(lower) 박막 트랜지스터, 즉 제1 P채널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TL1)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패턴(126b), 상기 제2 소스 영역(129s″) 및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29d″)은 제2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 즉 제2 P채널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TL2)를 구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들(TL1, TL2)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2 층간절연막(132)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층간절연막(133)을 형성하기 전에 제2 식각저지막(130)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2 식각저지막(130) 및 제2 층간절연막(132)은 상기 제1 식각저지막(114) 및 제1 층간절연막(116)을 형성하는 방법들과 동일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3, 도 4,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층간절연막(132) 및 상기 제2 식각 저지막(130)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29d′, 129d″)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 홀들(133a, 133b)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을 노출시키는 제2 층간 절연막 패턴(133) 및 제2 식각 저지막 패턴(130)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P)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 홀들(133a, 133b)을 채우는 제2 반도체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2 반도체막은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는 에피택시얼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에피택시얼 기술은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기술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 홀들(133a, 133b) 내부를 채우며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및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을 덮는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 즉 제2 에피택시얼 층을 형성한다. 상기 제2 에피택시얼 층은 단결정 실리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에피택시얼 층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 홀들(133a, 133b)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의 소정 영역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1p)을 씨드 층으로 하는 선택적 에피 택시얼 성장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도록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제거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 즉, 제2 에피택시얼 층은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 홀들(133a, 133b)에 의하여 노출된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의 소정 영역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씨드 층으로 하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기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어서, 화학 기계적 연마 공정과 같은 평탄화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2 에피택시얼 층의 상부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P)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 홀들(133a, 133b)을 채우는 제2 반도체막을 비단결정 반도체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반도체막은 비정질 실리콘막 또는 다결정 실리콘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반도체막을 평탄화시키어 상부면을 평평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2 반도체막을 평탄화시키기 전 또는 후에, 상기 제2 반도체막의 하부에 제공되어 상기 제2 반도체막과 접촉하는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들을 씨드층으로 채택하는 에피택시얼 기술, 즉 고상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제2 반도체막을 결정화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2 반도체막을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셀 영역(C)에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에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을 형성하되,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은 제1 및 제2 주변 활성영역들(103p, 103p′)을 한정하는 주변 트렌치(136)를 갖도록 형성된다. 그 결과,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 상에 상기 주변 트렌치(138p)를 갖는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이 형성된다.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121p) 및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137p)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단결정 구조를 갖으며 주변 바디 패턴(120p)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공정을 진행 할 경우에는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는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을 직접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0p)은 한 번의 공정에 의하여 형성된 단결정 반도체 구조, 예를 들어 단결정 실리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 홀들(133a, 133b)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 홀들(133a, 133b) 내에 형성된 제2 에피택시얼 층은 각각 제1 및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35a, 135b)로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에 중첩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은 상기 제1 및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들(121a, 121b)의 상기 연장부들과 중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133)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반도체기판 상에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홀들(133a, 133b)을 채우는 단결정 반도체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단결정 반도체막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콘택홀들(133a, 133b) 내에 잔존하는 제1 및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35a, 135b)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잔존하는 단결정 반도체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결정 반도체막은 에피택시얼 기술에 의하여 형성된 단결정 실리콘 구조체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35a, 135b)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반도체막, 즉 상부 바디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35a, 135b)이 단결정 실리콘 플러그들인 경우에, 상기 상부 바디층은 비정질 실리콘층 또는 다결정 실리콘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상부 바디층을 패터닝하여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상부 바디층을 패터닝하여 주변 활성영역들(103p, 103p′)을 한정하는 주변 트렌치(136)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은 당업계에서 잘 알려진 고상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결정화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트렌치(136) 내에 소자 분리용 절연막(136a)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변 트렌치(136) 내에 소자 분리용 절연막(136a)이 형성됨과 아울러서 상기 셀 영역(C)의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 사이의 공간을 채우는 소자 분리용 절연막(136a)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주변 트렌치(136) 내에 소자 분리용 절연막(136a)을 형성하는 공 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도 3, 도 4,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0p)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절연된 전송 게이트 패턴(142), 즉 워드라인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0p)의 제1 및 제2 주변 활성영역들(103p, 103p′)의 상부를 각각 가로지르도록 절연된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 및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을 형성한다.
한편, 상기 주변 게이트 패턴들(142p, 142n)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및 제2 주변 활성영역들(103p, 103p′) 내에 이온주입을 각각 실시하여 각각 앤형 웰(138a) 및 피형 웰(138b)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0p)이 앤형 또는 피형의 도전형을 갖도록 형성될 경우에는, 상기 앤형 웰(138a) 또는 피형 웰(138b)을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이온주입 공정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상기 워드라인(142)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 내로 불순물 이온들을 주입한다. 더 나아가,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상기 주변 게이트 패턴들(142p, 142n) 및 상기 소자 분리용 절연막(136a)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1 및 제2 주변 활성영역들(103p, 103p′) 내에 불순물 이온들을 각각 주입한다. 그 결과, 상기 제1 상부 바디 패턴(137a) 내에 서로 이격된 제1 소스 영역(145s′) 및 제1 드레인 영역(145d′)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상부 바디 패턴(137b) 내에 서로 이격된 제2 소스 영역(145s″) 및 제2 드레인 영역(145d″)이 형성됨과 아울러서 상기 제1 주변 활성영역(103p) 내에 서로 이격 된 제1 소스 영역(146s) 및 제1 드레인 영역(146d)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주변 활성영역(103p′) 내에 서로 이격된 제2 소스 영역(146s′) 및 제2 드레인 영역(146d′)이 형성된다.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145s′, 145d′, 145s″, 145d″, 146s, 146d, 146s′, 146d′)이 엘디디형의 구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경우에, 상기 워드라인(142)의 측벽 및 상기 주변 게이트 패턴들(142p, 142n)의 측벽들 상에 절연성 스페이서(14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 영역(C)의 상기 제1 및 제2 소스 영역들(145s′, 145s″)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45d′, 145d″)은 N형의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제1 주변 활성영역(103p)의 제1 소스 영역(146s) 및 제1 드레인 영역(146d)은 P형의 불순물 영역들이고, 상기 제2 주변 활성영역(103p′)의 제2 소스 영역(146s′) 및 제2 드레인 영역(146d′)은 N형의 불순물 영역들일 수 있다. 상기 워드라인(142), 상기 제1 소스 영역(145s′) 및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45d′)은 제1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 즉 제1 N채널 전송 트랜지스터(도 1의 TT1)를 구성하고, 상기 워드라인(142), 상기 제2 소스 영역(145s″) 및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45d″)은 제2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 즉 제2 N채널 전송 트랜지스터(도 1의 TT2)를 구성한다.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 상기 제1 소스 영역(146s) 및 제1 드레인 영역(146d)은 주변 피모스 트랜지스터(도 2의 P1)를 구성하고, 상기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 상기 제2 소스 영역(146s′) 및 제2 드레인 영역(146d′)은 주변 앤모스 트랜지스터(도 2의 N1)를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P1, N1)의 게이트 전극들 및/또는 소스/드레 인 영역들의 표면들에 선택적으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N채널 전송 트랜지스터(도 1의 TT1), 제2 N채널 전송 트랜지스터(도 1의 TT2), 상기 주변 피모스 트랜지스터(도 2의 P1) 및 상기 주변 앤모스 트랜지스터(도 2의 N1)의 각 게이트 전극들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전기적 저항을 낮추기 위한 샐리사이드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기 샐리사이드 공정은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영역 상에 선택적으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영역의 전기적인 저항을 낮추기 위한 공정기술(process technology)이다. 상기 샐리사이드 공정은 실리사이드화 열처리 공정(silicidation annealing process)을 포함한다. 상기 실리사이드화 열처리 공정으로써 램프와 같은 광원을 이용한 복사방식 또는 핫 플레이트를 이용한 전도방식을 이용하는 급속열처리 공정(RTP; rapid thermal process)을 사용하거나, 또는 열전달 기체를 사용한 대류방식의 열처리 공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0p)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반도체기판 상에 실리콘막, 예를 들어 폴리 실리콘막을 형성한다. 상기 폴리 실리콘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및 제2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제1 폴리 실리콘막 패턴(139)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0p)의 제1 및 제2 주변 활성영역들(103p, 103p′)의 상부를 각각 가로지르도록 제2 및 제3 폴리 실리콘막 패턴들(139p, 139n)을 형성한다. 제1, 제2 및 제3 폴리 실리콘막 패턴들(139, 139p, 139n)의 측벽들 상에 절연성 스페이서(143)를 형성한다. 상기 절연성 스페이서(143)는 실리콘 산화막 또는 실리콘 질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145s′, 145s″, 144s, 144s′, 145d′, 145d″, 144d, 144d′)을 형성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폴리 실리콘막 패턴들(139, 139p, 139n)의 상부면들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145s′, 145s″, 144s, 144s′, 145d′, 145d″, 144d, 144d′)은 노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폴리 실리콘막 패턴들(139, 139p, 139n) 및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145s′, 145s″, 144s, 144s′, 145d′, 145d″, 144d, 144d′)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금속막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막은 니켈막, 텅스텐막, 타이타늄막 또는 코발트막일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금속막에 대하여 실리사이드화 열처리 공정(silicidation annealing process)을 실시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들(137a, 137b)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0p)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반도체기판 상에 금속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하는 게이트 도전막, 예를 들면 차례로 적층된 폴리 실리콘막 및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게이트 도전막 상에 하드 마스크용 절연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하드 마스크용 절연막 및 게이트 도전막을 차례로 패터닝하여 차례로 적층된 폴리 실리콘막 패턴, 금속 실리사이드막 패턴 및 하드 마스크막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게이트 패턴으로써, 차례로 적층된 폴리 실리콘막 패턴, 금속 실리사이드막 패턴 및 하드 마스크막 패턴이 형성되고, 소스/드레인 영역들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패턴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금속막을 형성한 후에, 실리사이드화 열처리 공정 (silicidation annealing process)을 실시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소스/드레인 영역들에 금속 실리사이드막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샐리사이드 공정을 사용하여 상기 워드라인(142),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 및 상기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의 각 상부들에 게이트 금속 실리사이드막(141), 피모스 게이트 금속 실리사이드막(141p) 및 앤모스 게이트 금속 실리사이드막(141n)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워드라인(142)의 소스 영역들(145s′, 145s″) 및 드레인 영역들(145d′, 145d″)의 각 표면들에 제1 금속 실리사이드막들(146a)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의 소스 영역(144s) 및 드레인 영역(144d)의 각 표면들에 제2 금속 실리사이드막들(146b)을 형성하고, 상기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의 소스 영역(144s′) 및 드레인 영역(144d′)의 각 표면들에 제3 금속 실리사이드막들(146c)을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워드라인(142)은 차례로 적층된 제1 폴리 실리콘막 패턴(139) 및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141)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패턴(142p)은 차례로 적층된 제2 폴리 실리콘막 패턴(139p) 및 피모스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141p)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변 앤모스 게이트 패턴(142n)은 차례로 적층된 제3 폴리 실리콘막 패턴(139n) 및 앤모스 게이트 금속실리사이드막(141n)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도 1의 P1, N1)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전기적 저항을 낮출 수 있다. 즉,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도 2의 P1, N1)의 게이트 전극에 가해지는 전기적인 신호의 전송속도(transmission speed)는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주변 트랜지스 터들(도 2의 P1, N1)의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면저항(sheet resistance)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들(도 2의 P1, N1)의 구동능력(drivability)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에 고성능(high performance)의 모스 트랜지스터들을 구현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셀 영역(C)의 전송 트랜지스터들(도 1의 TT1, TT2)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전기적인 특성을 개선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들(도 1의 TT1, TT2)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트랜지스터들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샐리사이드 공정을 수행 할 수 있기 때문에 에스램의 성능을 개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채택하는 반도체 집적회로들에 있어서, 주변 회로 영역의 모스 트랜지스터들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와 같이 단결정 반도체 구조의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한 후에 형성함으로 인하여 전기적인 특성이 개선된 고성능의 모스 트랜지스터들을 얻을 수 있다. 에스램의 성능은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되는 주변 회로들에 의하여 좌우 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회로들의 필수 구성 요소인 트랜지스터들의 성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주변 바디 패턴(120p)은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씨드층으로 하여 형성됨으로써 반도체기판의 결정성과 보다 가까울 수 있다. 즉,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 전면으로부터 에피택시얼 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의 단결정 구조는 반도체기판의 단결정 구조에 보다 가까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에 형성되는 주변 트랜지스터들은 실질적으로 반도체기판에 형성되는 벌크 트랜지스터들의 특성과 유사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에 형성되는 주변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셀 영역(C)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하는 동안에 발생될 수 있는 열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상기 셀 영역(C)의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제조하기 위하여 수행되는 에피택시얼 공정 및 스페이서 공정은 통상 고온에서 진행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고온에서 진행되는 공정들에 의해 노출된 트랜지스터들은 특성이 열화 될 수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온 공정들에 의하여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트랜지스터들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 더 나아가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에 각각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주변 회로 영역(P)의 트랜지스터들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에스램의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전송 트랜지스터들(TT1, TT2), 상기 주변 피모스 트랜지스터(P1) 및 상기 주변 앤모스 트랜지스터(N1)를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3 층간절연막(149)을 형성한다. 상기 제3 층간절연막(149)을 형성하기 전에 제3 식각저지막(147)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 및 제3 층간절연막(149)은 상기 제1 식각저지막(115) 및 제1 층간절연막(117)을 형성하는 방법들과 동일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도 3, 도 4a,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막 패턴들(117, 133), 제3 층간절연막(149), 상기 제1 및 제2 식각저지막 패턴들(115, 131) 및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을 식각하여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도 1의 TT1)의 상기 제1 소스 영역(145s′), 상기 제1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a),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도 1의 TL1)의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29d′), 상기 제1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a), 상기 제2 부하 게이트 전극(123b) 및 상기 제2 구동 게이트 전극(107b)을 노출시키는 제1 노드 콘택 홀(149a) 및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상기 제2 소스 영역(145s″), 상기 제2 상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35b),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의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29″), 상기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119b), 상기 제1 부하 게이트 전극(123a) 및 상기 제1 구동 게이트 전극(107a)을 노출시키는 제2 노드 콘택 홀(149b)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노드 반도체 플러그들(119a, 119b)이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d′, 113d″)과 다른 도전형을 갖거나 진성 반도체(intrinsic semiconductor)인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콘택홀들(149a, 149b)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드레인 영역들(113s′, 113d″)을 추가로 노출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콘택홀들(149a, 149b)을 갖는 반도체기판 상에 도전막을 형성한다. 상기 도전막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제3 층간절연막(149)을 노출시킨다. 그 결과, 상기 제1 및 제2 노드 콘택홀들(149a, 149b) 내에 각각 제1 및 제2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은 P형 반도체 및 N형 반도체 모두에 대하여 저항성 접촉(ohmic contact) 특성을 보이는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도전막은 텅스텐막과 같은 금속막으로 형성할 수 있다. 더 나아가서, 상기 도전막은 타이타늄 질화막과 같은 장벽 금속막 및 텅스텐막과 같은 금속막을 차례로 적층시키어 형성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제1 및 제2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의 각각은 텅스텐 플러그 및 상기 텅스텐 플러그를 둘러싸는 장벽 금속막 패턴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TD1) 및 제1 부하 트랜지스터(TL1)로 구성된 제1 인버터는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TD2)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TL2)로 구성된 제2 인버터와 상기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에 의해 크로스 커플된다(cross-coupled).
상기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4 층간절연막(153)을 형성한다.
도 3, 도 4a,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및 제2 층간절연막 패턴들(117, 133), 제3 및 제4 층간절연막들(153)과 아울러서 상기 제1 및 제2 식각저지막 패턴들(115, 131), 제3 식각저지막(147)을 패터닝하여 상기 제1 접지 활성영역(103s′) 내의 상기 제1 소스 영역(113s′) 및 상기 제2 접지 활성영역(103s″) 내의 상기 제2 소스 영역(113s″)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접지선 콘택 홀들(153s′, 153s″)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지선 콘택 홀들(153s′, 153s″)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셀 하부 바디 패턴(121a)의 연장부(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129s′) 및 상기 제2 셀 하부 바디 패턴(121b)의 연장부(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의 소스 영역; 129s″)를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전원선 콘택 홀들(153c′, 153c″)이 형성된다. 더 나아가서, 상기 제1 및 제2 접지선 콘택 홀들(153s′, 153s″)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주변 피모스 트랜지스터(P1)의 드레인 영역(146d) 및 소스 영역(146s)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출력 신호선 콘택 홀(153t′) 및 주변 전원선 콘택 홀(153d)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앤모스 트랜지스터(N1)의 드레인 영역(146d′) 및 소스 영역(146s′)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2 출력 신호선 콘택 홀(153t″) 및 주변 접지선 콘택 홀(153e)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 접지선 콘택 홀들(153s′, 153s″) 내에 각각 제1 및 제2 접지선 콘택 플러그들(155s′, 155s″)을 형성한다. 상기 접지선 콘택 플러그들(155s′, 155s″)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제1 및 제2 전원선 콘택 홀들(153c′, 153c″) 내에 각각 제1 및 제2 전원선 콘택 플러그들(155c′, 155c″)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선 콘택 플러그들(155s′, 155s″)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제1 출력 신호선 콘택 홀(153t′), 주변 전원선 콘택 홀(153d), 제2 출력 신호선 콘택 홀(153t″) 및 주변 접지선 콘택 홀(153e) 내에 각각 제1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155t′), 주변 전원선 콘택 플러그(155d), 제2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155t″) 및 주변 접지선 콘택 플러그(155e)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들(155s′, 155s″, 155c′, 155c″, 155t′, 155d, 155t″, 155e)은 P형 반도체 및 N형 반도체 모두에 대하여 저항성 접촉(ohmic contact)을 보이는 도전막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상기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 노드 플러그들(151a, 151b)의 형성방법들과 동일한 방법들을 사용하여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콘택 플러그들(155s′, 155s″, 155c′, 155c″, 155t′, 155d, 155t″, 155e)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5 층간절연막(157)을 형성한다.
도 3, 도 4a, 도 12a 및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제5 층간절연막(157) 내에 셀 접지선(159s) 및 셀 전원선(159c)을 형성한다. 상기 셀 접지선(159s) 및 셀 전 원선(159c)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상기 제5 층간절연막(157) 내에 주변 전원선(159c′), 주변 접지선(159s′) 및 출력 신호선(159t)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주변 회로의 일 예로써 인버터를 도면에 도시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주변 회로 영역(P)의 모스 트랜지스터들은 다양한 주변 회로의 구성요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주변 전원선(159c′), 주변 접지선(159s′) 및 출력 신호선(159t)은 주변 회로의 일 예로써 인버터를 구현하기 위하여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P)의 피모스 트랜지스터 및 앤모스 트랜지스터는 다양한 주변 회로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셀 접지선(159s) 및 셀 전원선(159c)은 실질적으로 상기 워드라인(142)에 평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셀 접지선(159s)은 상기 제1 및 제2 접지선 콘택 플러그들(155s′, 155s″)을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셀 전원선(159c)은 상기 제1 및 제2 전원선 콘택 플러그들(155c′, 155c″)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출력 신호선(159t)은 상기 제1 및 제2 출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들(159t′, 159t″)을 덮도록 형성된다. 상기 출력 신호선(159t)을 형성하는 동안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전극(139p) 및 주변 앤모스 게이트 전극(139n)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입력 신호선(159i)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신호선(159i)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신호선 콘택 플러그(155i)에 의하여 상기 주변 피모스 게이트 전극(139p) 및 주변 앤모스 게이트 전극(139n)과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접지선들(159s, 159s′), 상기 전원선들(159c, 159c′), 상기 출력 신호선(159t) 및 상기 입력 신 호선(159i)을 갖는 반도체기판의 전면 상에 제6 층간절연막(161)을 형성한다.
도 3, 도 4a,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상기 제3 내지 제6 층간절연막들(149, 153, 157, 161) 및 상기 제3 식각저지막(147)을 식각하여 상기 제1 전송 트랜지스터(TT1)의 상기 제1 드레인 영역(145d′) 및 상기 제2 전송 트랜지스터(TT2)의 상기 제2 드레인 영역(145d″)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1 및 제2 비트라인 콘택홀들(161b′, 161b″)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 콘택홀들(161b′, 161b″) 내에 각각 제1 및 제2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들(163b′, 163b″)을 형성한다. 상기 제6 층간절연막(161) 상에 제1 및 제2 평행한 비트라인들(165b′, 165b″)을 형성한다. 상기 제1 및 제2 비트라인들(165b′, 165b″)은 상기 셀 접지선(159s) 및 상기 셀 전원선(159c)의 상부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상기 제1 비트라인(165b′)은 상기 제1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163b′)를 덮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비트라인(165b″)은 상기 제2 비트라인 콘택 플러그(163b″)를 덮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반도체 집적회로들에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셀 영역에 4개의 벌크 트랜지스터 및 2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갖는 씨모스 에스램 셀(CMOS SRAM cell)을 포함하는 에스램에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2 개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함과 아울러서 주변 회로 영역에 주변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되는 주변 트랜지스터들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라 반도체기판의 결정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결정성을 갖도록 형성된 주변 바디 패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 들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공정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는 열에 의한 특성 열화가 발생되지 않는다. 더 나아가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형성되는 주변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 및 소스/드레인 영역들에 금속 실리사이드막들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셀 영역에는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하는 메모리 셀이 제공되고, 주변 회로 영역에는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으로부터 성장된 단결정 반도체 구조의 주변 바디 패턴에 주변 트랜지스터들이 제공된다. 따라서, 고집적도의 메모리 셀 및 고성능의 주변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들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34)

  1.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
    상기 셀 영역의 반도체기판에 제공된 벌크 트랜지스터들;
    상기 셀 영역에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들을 덮도록 제공된 층간절연막 패턴;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 상에 제공된 박막 트랜지스터들;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과 접촉하도록 제공된 주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에 배치된 주변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되,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는 실질적으로 상기 셀 영역의 박막 트랜지스터들과 수평적 동일 선상에 위치하도록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은 단결정 반도체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단결정 박막 트랜지스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들 및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에스램 메모리 셀의 셀 트랜지스터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들은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짐과 아울러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과 각각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과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 사이에 각각 배치된 제1 및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과 각각 중첩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을 관통하여 상기 제1 벌크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1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1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1 노드 플러그; 및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을 관통하여 상기 제2 벌크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 상기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 및 상기 제2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제1 불순물 영역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제2 노드 플러그를 더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은 각각 제1 및 제2 N채널 구동 트랜지스터들이되, 상기 제1 및 제2 벌크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은 드레인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노드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구동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노드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각각 제1 및 제2 P 채널 부하 트랜지스터들이고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은 각각 제1 및 제2 N 채널 전송 트랜지스터들이되, 상기 제1 및 제2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은 드레인 영역들이고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상기 제1 불순물 영역들은 소스 영역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하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은 각각 상기 제1 및 제2 구동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과 중첩하도록 배치되되, 상기 제1 부하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2 노드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제2 부하 트랜지스터의 상기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1 노드 플러그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박막 트랜지스터들의 게이트 전극들은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워드라인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는 주변 게이트 전극의 표면에 제공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4.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는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표면에 제공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15.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셀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기판에 벌크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를 갖는 기판 상에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 절연막 패턴 및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 상에 각각 셀 바디 패턴 및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은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과 접촉하고,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에 각각 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주변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을 갖는 기판 상에 반도체막을 형성하고,
    상기 반도체막을 평탄화시키어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 상에 각각 셀 반도체막 및 주변 반도체막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주변 반도체막은 상기 반도체막보다 두꺼운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막은 비단결정 반도체막으로 형성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막을 평탄화시키기 전 또는 후에, 상기 반도체 기판을 씨드층으로 채택하는 고상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상기 반도체막을 결정화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를 갖는 기판 상에 층간절연막을 형성하고,
    상기 층간절연막을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을 노출시킴과 동시에 상기 셀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 기판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콘택 홀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노출된 반도체기판 상에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평탄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는 상기 콘택 홀에 의해 노출된 상기 반도체 기판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을 씨드층으로 채택하는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각각 가로지르는 셀 게이트 전극 및 주변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 내로 불순물들을 주입하여 상기 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 내에 각각 셀 소스/드레인 영역들 및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조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주변 게이트 전극 및/또는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표면들에 선택적으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제 조방법.
  24. 셀 영역 및 주변 회로 영역을 갖는 반도체기판을 준비하고,
    상기 셀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기판에 벌크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를 갖는 기판 상에 상기 주변 회로 영역 내의 상기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제1 층간 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패턴은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의 소정 영역은 노출시키는 제1 콘택 홀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 층간 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제1 콘택 홀을 덮는 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에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를 덮는 제2 층간절연막 패턴을 형성하되, 상기 제2 층간절연막은 상기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의 불순물 영역의 소정 영역을 노출시키는 제2 콘택 홀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 상에 상기 제2 콘택 홀을 덮는 셀 상부 바디 패턴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에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바디 패턴에 주변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주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콘택 홀을 채우며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평탄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27.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2 콘택 홀을 채우며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을 덮는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평평한 상부면을 갖도록 평탄화시키고,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셀 영역에 셀 상부 바디 패턴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주변 상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여 상기 주변 하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상부 바디 패턴으로 이 루어진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들은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29.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셀 하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1 콘택 홀을 채우며 상기 제1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상기 제2 콘택 홀을 채우며 상기 제2 층간절연막 패턴 및 상기 주변 회로 영역의 반도체기판을 덮는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형성하되,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는 평평한 상부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를 패터닝하여 상기 셀 영역에 셀 상부 바디 패턴을 형성함과 아울러서 상기 주변 회로 영역에 주변 바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단결정 반도체 구조체들은 에피택시얼 기술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32.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 트랜지스터는 N채널 구동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셀 하부 박막 트랜지스터는 P채널 부하 트랜지스터이고, 상기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는 N채널 전송 트랜지스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33.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셀 상부 박막 트랜지스터 및 상기 주변 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것은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을 각각 가로지르는 셀 상부 게이트 전극 및 주변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고,
    상기 게이트 전극들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 내로 불순물들을 주입하여 상기 셀 상부 바디 패턴 및 상기 주변 바디 패턴 내에 각각 셀 소스/드레인 영역들 및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을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34. 제 33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주변 게이트 전극 및/또는 주변 소스/드레인 영역들의 표면들에 선택적으로 금속 실리사이드막을 형성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에스램의 제조방법.
KR1020050038621A 2004-08-04 2005-05-09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 KR100689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621A KR100689830B1 (ko) 2005-05-09 2005-05-09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
US11/191,496 US7315466B2 (en) 2004-08-04 2005-07-28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EP05016656A EP1624487A3 (en) 2004-08-04 2005-08-01 Semiconductor device having vertically stacked field effect transisto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JP2005226926A JP2006049914A (ja) 2004-08-04 2005-08-04 半導体装置並びにその配置及び製造方法
RU2008106464/02A RU2384389C2 (ru) 2004-08-04 2006-07-08 Огнеупорная разливочная труба с пористой вставкой
US11/953,289 US7589992B2 (en) 2004-08-04 2007-12-10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dimensional structure
US12/537,521 US7982221B2 (en) 2004-08-04 2009-08-07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ree dimensional structure
US13/185,184 US20110266623A1 (en) 2004-08-04 2011-07-18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ree Dimensional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38621A KR100689830B1 (ko) 2005-05-09 2005-05-09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6398A true KR20060116398A (ko) 2006-11-15
KR100689830B1 KR100689830B1 (ko) 2007-03-08

Family

ID=37653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38621A KR100689830B1 (ko) 2004-08-04 2005-05-09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8983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9992B2 (en) 2004-08-04 2009-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dimensional structure
US7978561B2 (en) 2005-07-28 2011-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ing vertically-stacked transistors therein
US8258517B2 (en) 2008-05-27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riving transistors
KR20180058673A (ko) 2018-04-24 2018-06-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적층구조의 3차원 정적램 코어 셀 및 그를 포함하는 정적램 코어 셀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4710B1 (ko) * 1999-08-30 2001-11-01 윤종용 셀 어레이 영역내에 벌크 바이어스 콘택 구조를 구비하는 비휘발성 메모리소자
US6624459B1 (en) 2000-04-12 2003-09-23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ilicon on insulator field effect transistors having shared body contact
JP2004200598A (ja) * 2002-12-20 2004-07-15 Renesas Technology Corp 半導体記憶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9992B2 (en) 2004-08-04 2009-09-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hree dimensional structure
US7982221B2 (en) 2004-08-04 2011-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ree dimensional structure
US7978561B2 (en) 2005-07-28 2011-07-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memory devices having vertically-stacked transistors therein
US8258517B2 (en) 2008-05-27 2012-09-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riving transistors
KR20180058673A (ko) 2018-04-24 2018-06-01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직적층구조의 3차원 정적램 코어 셀 및 그를 포함하는 정적램 코어 셀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89830B1 (ko) 200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46220B1 (ko) 적층된 노드 콘택 구조체들과 적층된 박막 트랜지스터들을채택하는 반도체 집적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
KR100615085B1 (ko) 노드 콘택 구조체들, 이를 채택하는 반도체소자들, 이를채택하는 에스램 셀들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들
KR100583972B1 (ko) 씨모스 인버터의 노드 콘택 구조체를 갖는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들
US7315466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US7276421B2 (en) Method of forming single crystal semiconductor thin film on insulator and semiconductor device fabricated thereby
US20090224330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ethod for Arranging and Manufacturing the Same
KR100519801B1 (ko) 스트레스 완충 스페이서에 의해 둘러싸여진 노드 콘택플러그를 갖는 반도체소자들 및 그 제조방법들
US7417286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having single crystalline thin film transistors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KR100467027B1 (ko) 수직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에스램 소자 및 그 제조방법
US7947540B2 (en) Multi-level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7247528B2 (en)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using selective epitaxial growth and partial planarization techniques
KR20090009566A (ko) 복수개의 적층된 트랜지스터들을 구비하는 반도체 소자 및그 제조방법
US7312110B2 (en) Methods of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thin film transistors
KR100689830B1 (ko) 반도체 집적 회로들 및 그 제조방법들
KR100663349B1 (ko)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기술 및 부분 평탄화 기술을사용하여 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를제조하는 방법들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집적회로들
KR100629268B1 (ko) 다마신 기술 및 선택적 에피택시얼 성장 기술을 사용하여박막 트랜지스터들을 갖는 반도체 집적회로를 제조하는방법들 및 그에 의해 제조된 반도체 집적회로들
KR20080067126A (ko) 콘택 구조체들을 갖는 에스램 셀의 제조 방법
KR20050090272A (ko) 단결정 박막트랜지스터들을 갖는 에스램 셀 제조방법들
KR20040009868A (ko) 사전 도핑된 활성영역과 비도핑 게이트라인을 이용한 배선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1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