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11548A - 피복탄성체방사의 생산과 급송스풀의 자동교체방법 및디바이스 - Google Patents

피복탄성체방사의 생산과 급송스풀의 자동교체방법 및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11548A
KR20060111548A KR1020067010802A KR20067010802A KR20060111548A KR 20060111548 A KR20060111548 A KR 20060111548A KR 1020067010802 A KR1020067010802 A KR 1020067010802A KR 20067010802 A KR20067010802 A KR 20067010802A KR 20060111548 A KR20060111548 A KR 200601115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spool
elastomeric
radiation
co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네리노 그라시
사무엘 조르가이니
Original Assignee
지우디치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ITBO20030727 external-priority patent/ITBO20030727A1/it
Priority claimed from ITFI20040089 external-priority patent/ITFI20040089A1/it
Application filed by 지우디치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지우디치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0601115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115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02G1/020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 D02G1/0266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by false-twisting false-twisting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49/00Unwinding or paying-out filamentary material; Supporting, storing or transporting packages from which filamentary material is to be withdrawn or paid-out
    • B65H49/18Methods or apparatus in which packages rotate
    • B65H49/20Package-suppor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5/00Securing material to cores or formers
    • B65H65/005Securing end of yarn in the wound or completed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2Arrangements for removing spent cores or receptacles and replacing by supply packages at paying-out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9/00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 B65H69/06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 B65H69/061Methods of, or devices for, interconnecting successive lengths of material; Knot-tying devices ;Control of the correct working of the interconnecting device by splicing using pneumatic mea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2Elastic yarns or threads ; Production of plied or cored yarns, one of which is elastic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JFINISHING OR DRESSING OF FILAMENTS, YARNS, THREADS, CORDS, ROPES OR THE LIKE
    • D02J1/00Modifying the structure or properties resulting from a particular structure; Modifying, retaining, or restoring the physical form or cross-sectional shape, e.g. by use of dies or squeeze rollers
    • D02J1/08Interlacing constituent filaments without breakage thereof, e.g. by use of turbulent air str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 B65H2701/319Elastic thr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디바이스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19)와; 피복방사(FT)의 급송통로와 탄성체방사(F1; F2)의 급송통로와;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향하는 방사(F1; F2)와; 탄성체방사(R1, R2)의 스풀에 대한 지지수단(37A, 37B)과; 형성된 컵(BC)에 합성방사(FC)를 감기 위한 감기부재(54)와; 형성된 상기 컵에 합성방사의 급송을 중단하며 새로운 감기튜브에 합성방사를 감기 시작하는 중단디바이스로 이루어진다. 탄성체방사의 수풀에 대한 지지수단은, 적어도 탄성체방사의 제 1스풀과 적어도 탄성체방사의 제 2스풀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합하며;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 결합하는 것은, 엇갈려짜기제트로 제 1탄성체방사를 운반하는 동안, 상기 제 2스풀의 탄성체방사의 초기자유단을 억제하는 유지부재(20)와,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을 억제하는 편향요소이며; 센서는,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상기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의 중단을 검색하며; 제어기는,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의 중단을 검색한 후, 초기부분의 해제를 제어한다.

Description

피복탄성체방사의 생산과 급송스풀의 자동교체방법 및 디바이스{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A COVERED ELASTIC YARN AND FOR AUTOMATIC REPLACEMENT OF FEEDS SPOOLS}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방사로 구성된 중심부분과, 예를 들면, 비탄성체방사 또는 중심부분 보다 덜 탄성체인 방사인 경우로, 피복 또는 코팅방사를 가진 외부코팅부로 이루어진 타입의 합성방사의 생산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탄성체방사의 스풀이 종료되거나 거의 종료되는 경우, 자동으로, 간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상태>
라이크라, 엘라스탄, 다른 폴리우레탄파이버 등으로 이루어진, 단일의 필라먼트방사 등의, 내부탄성체방사로 이루어진 합성탄성체방사는, 양말, 메리아쓰류 등의 제조에 있어서 빈번하게 이용된다. 탄성체방사는, 나일론, 또는 다른 폴리아미드, 폴리에스테르 또는 예를 들면, 대표적으로 복수의 스트랜드(strand)로 이루어진 다수의 필라먼트구조를 가진 동등품 등의, 근본적으로 비탄성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보다 탄성이 작은 방사에 의하여 피복된다. 이하에서, 이러한 방사는, 피복방사로 표시되며 일종의 탄성체방사의 코팅 또는 피복를 형성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탄성체방사의 코팅은 피복방사의 나선형감기로 코팅된 피복프로세스에 의하여 탄성체방사의 코팅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공정은 매우 값비싸며 저속이다.
새로운 코팅 또는 피복방사의 프로세스가 최근 대중화되고 있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엇갈리게 짜이거나 공기피복으로서 공지되었으며, 기압디바이스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통상적으로 엇갈려짜기 제트로 칭하며, 도관은 두개의 피복과 탄성체방사를 통과한다. 압축된 공기 노즐은 도관의 내부의 압축된 공기의 제트를 운반한다. 도관의 내부에 생성된 교류는 탄성체방사 부근의 피복방사를 엇갈려짜게한다. 이러한 기본에 의거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US-A-6393817, US-A-5008992, US-A-4829757 및 US-A-394091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기술은 다수의 필라먼트 실을 처리하기 위하여 최초에 개발된 기압시스템을 이용하여 부피를 증가시키며 그들이 구성된 단일의 필라먼트를 동시에 조합시킨다. 이러한 응용을 위하여 개발된 엇갈려짜기 제트의 예와 피복 또는 코팅방사를 가진 탄성체 또는 엘라스토머 방사를 엇갈려짜기 위하여 이용할 수 있는 예에 대하여 US-A-5970593호, US-A-5146660호, US-A-5010631호, US-A-4430780호, EP-B-564400호 및 JP-A-3279437호에 개시되어 있다.
피복된 탄성체방사의 생산을 위한 시스템으로서 이용되는 탄성체 또는 엘라스토머의 스풀은 피복방사의 스풀 또는 컵(cop)의 것보다 훨씬 적은 방사를 함유한 다.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풀상의 탄성체방사는 합성방사의 단일의 컵을 생산하기 위하여 충분하지만, 하나의 컵에 감긴 피복방사는 합성방사의 몇몇의 컵들을 제조하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것은, 두 개의 이어진 피복체 또는 코팅방사 컵 변화 사이에서, 빈번하게 탄성체방사의 스풀을 변화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교체는 수동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각각의 헤드를 구비한 시스템에 있어서, 각각 합성방사의 컵을 생산하고, 탄성체 방사의 각각의 스풀이 종료하는 경우, 방사단부 센서는 헤드작용을 중단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조작자는 종료된 탄성체방사의 스풀을 수동으로 교체하여야 하며, 새로운 탄성체 방사의 자유단을 엇갈려 짜기 제트로 삽입하여 합성방사의 새로운 컵의 감기 사이클을 개시한다. 수동시스템에 있어서, 또한 조작자는, 완료된 컵을, 새로운 합성방사가 감긴 새로운 튜브로 교체하여야 한다. 피복체방사의 운반은 이러한 조작동안 중단된다.
조작방법은 상당한 흠결을 갖는다. 먼저, 단일의 조작자는 다수의 작업헤드를 모니터하므로, 헤드가 연속적으로 감기 사이클을 개시하게 하는 탄성체방사종료의 스풀과 조작자의 조작 사이에서 상당한 시간이 경과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현저한 중단시간이 있다. 또한, 명확하게, 지나친 기계 중단을 피하기 위하여, 몇몇의 경우에 있어서, 완전하게 종료하기 전에 합성방사의 스풀이 교체될 수 있다. 잔류방사는 사용될 수 없다. 이러한 것은, 탄성체방사의 상당량이 낭비되며, 이 재료의 길이의 단위당 고가의 비용에 비추어 상당한 흠결을 나타낸다.
반면에, 조작자에 있어서 미리 합성방사의 여분의 스풀을 준비할 수 없어 여분의 스풀의 방사의 헤드 또는 최초자유단이, 처리된 스풀상의 방사의 꼬리와 결합 시킬 수 없으며, 처리된 전체스풀을 다 써버리기전 및 종료하기전 스풀이 잘 준비되도록 변경한다. 탄성체방사의 스풀은 감기지 않은 유지부가 정지하지 않지만, 그들의 축을 회전하여 그 위에 감긴 방사를 운반하는 사실때문에 이러한 조작은 불가능하다. 따라서, 조작자가 처리된 스풀의 단부 또는 꼬리를 잡아서 여분스풀상의 방사의 최초 단부에 결합시키는 것은 불가능하다. 컵으로서 피복체방사의 교체컵이 축을 회전하지 않으면서 감기지 않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러한 것은, 차례대로 감기진 않은 컵상에 감긴 방사의 머리에서 꼬리로 결합하게 하고, 피복체방사를 연속적으로 급송하게 한다. 또한, 피복체방사의 컵은 다량의 방사를 함유하므로 결합조작은 서로로부터 상당한 간격으로 행해진다.
피복체방사텍스터링장치는 몇몇의 시스템에 있어서 방사운반컵과 엇갈려짜기제트 사이에 형성된다(특히, US-A-6393817 및 US-A-5008992호 참조). 텍스터링디바이스는 피복체방사가 통과하는 오븐을 구비한다. 이러한 것은 연속적으로 급송되어야 하는 방사를 의미한다. 실제로, 오븐에 있어서 방사의 일시적인 정지일지라도 그 파괴나 수용할 수 없는 손상을 야기한다. 헤드가 정지하는 경우, 단 매우 짧은 시간 동안인 경우라도, 조작자는 탄성체방사의 종료 스풀을 교체할 수 있으며, 피복체방사는 텍스터링섹션의 상부쪽, 즉 오븐의 상류쪽을 절단하여야 한다. 합성방사형상헤드가 다시 개시하는 경우, 조작자는 스풀을 교체하기 위하여 필요한 조작이 완료하여 탄성체방사의 자유단을 엇갈려짜기제트에 삽입하면서, 조작자는 컵으로부터 엇갈려짜기제트로 전체통로를 통하여 피복체방사를 다시 꿰어야 한다. 이것은 지리한 휴지시간을 수반하므로 생산에 있어서 손실을 야기한다. 기계가 자동으 로 피복체방사를 절단하기 전, 조작자가 탄성체방사의 스풀을 교환하기 위하여 신속하게 행동할 수 있는 경우 이러한 문제점만을 방지할 수 있다. 동기화할 수 없지만, 다수의 헤드는, 단일의 조작자에 의하여 모니터될 수 있으므로, 시스템에 있어서 모든 헤드상에서 매우 신속하게 작용할 수 없다. 반면에, 매우 많은 수의 조작자를 고용하는 것은, 노동임금의 수용할 수 없는 증가를 야기한다.
<발명의 목적과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방사의 생산, 예를 들면, 1개 이상의 피복방사에 의하여 형성된 코팅과 탄성체코어로 이루어진 합성방사의 생산용 디바이스에 있어서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를 위하여 유효하고 신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방사를 중단할 필요없이 엘라스토모어 스풀의 자동교체로 합성방사의 컵의 유효하고 신뢰성있게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근본적으로, 제 1측면에 의하면,
적어도 제 1엇갈려짜기 제트를 통하여, 급송통로를 따라서 근본적으로 연속적인 방식으로 피복방사를 급송하는 공정과;
제 1엇갈려짜기 제트를 통하여 제 1스풀로부터 제 1탄성체방사를 운반하는 공정과;
합성방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피복방사로 제 1탄성체방사를 피복하고 컵에 합성방사를 감는 공정과;
대기위치에 있어서 제 2탄성체방사의 제 2스풀을 준비하는 공정과;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 부근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을 억제하는 공정과;
제 1탄성체방사의 운반을 중단하는 경우, 합성방사의 컵을 새로운 튜브로 교체하는 공정과;
제 2탄성체방사의 상기 초기부분을 푸는 공정과;
제 1엇갈려짜기제트에 의하여 상기 피복방사와 상기 제 2탄성체방사를 결합하는 공정과;
상기 피복방사로 제 2탄성체방사를 피복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재개하여 새로운 튜브에 합성방사를 갖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방사에 관하여 이동가능하고, 제 1엇갈려짜기제트에 의하여 피복방사와 제 2탄성체방사의 결합은 제 2탄성체방사를 향하는 엇갈려짜기제트를 이동함으로써 얻는다. 제 2탄성체방사가 대기위치에 있는 동안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자유단은 유지부재에 의하여 억제된다. 제 2탄성체방사가 제 1탄성체방사를 교체하는 경우, 제트가 진입하고 상기 유지부재로부터 풀어지는 제 2탄성체방사를 향하여 제 1엇갈려짜기제트가 이동한다.
본 발명에 의한 또 다른 바람직한 방법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자유단이, 유지부재에 의하여 억제되는 경우,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자유단은 유지부재에 의하여 억제되며,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은 편향요소에 의하여 맞물릴수 있다. 엇갈려짜기제트를 향하는 급송의 개시가 필요한 경우, 후자는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을 풀기 위하여 제어된다.
편향요소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부터 제 2탄성체방사를 억제하도록 설계될 수 있지만, 제 2탄성체방사가 상기 편향요소로부터 풀어지는 경우 제 2탄성체방사가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자동적으로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 2탄성체방사는 유지부재에 의하여 발휘된 장력의 효과를 개재하여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삽입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 2탄성체방사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삽입되어 거기서 억제되며, 제 1탄성체방사의 중단에 의하여 대기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체방사의 운반이 중단되는 경우, 피복방사는 연속적으로 급송되지만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일시적으로 동작을 정지하며; 제 2스풀로부터 제 2탄성체방사가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통하여 운반을 개시한 후,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상기 피복방사로 제 2탄성체방사와 결합하기 위하여 재활성화되고 상기 합성방사의 생산을 재개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단일의 엇갈려짜기제트는 합성방사를 생산하기 위하여 양자가 이용되며 제 2스풀의 탄성체방사 급송을 개시한다.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이 중단되는 경우, 제 2탄성체방사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내부에서 이미 대기할 수 있다.
상이한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체방사는, 제 2엇갈려짜기제트에 의하여 피복방사로 대신 덮이며, 피복방사의 통로를 따라서,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비어 있는 스풀이 새로운 탄성체방사의 스풀로 교체되는 경우,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피복방사로 제 2탄성체방사를 억제하는 유일의 기능을 구비한다. 그러므로, 제 1제트는 교환단계에 있어서만 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 2제트에 의한 합성방사의 제조동안 작용하지 않는다.
상이한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a) 동작기계로부터 또는 기계가 정지된 상태로, 피복방사를 공기제트엇갈려짜기 디바이스로 연속적으로 급송하는 공정과;
(b) 상기 엘라스토머 방사를 가진 상기 피복사의 엇갈려짜기를 얻기 위하여, 작업위치에 배치되며, 제 1스풀로부터 풀린 제 1엘라스토머방사를 상기 엇갈려짜기디바이스로 연속적으로 급송하는 공정과;
(c) 제 2스풀상에 감기며, 유지영역에 있어서 대기위치에 배치되는, 제 2엘라스토머방사의 자유단을 억제하는 공정과;
(d) 적절한 시간관계에 있어서, 상기 제 1엘라스토머방사의 급송의 중단을 검색하며, 상기 작업위치로 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제 2스풀을 운반하며, 상기 대기위치로 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제 1스풀을 운반을 제어하는 공정의 단계로 이루어진 방법에 관한 발명으로서;
(e) 제 2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자유단의 상기 유지영역에 근접하여, 상기 엘라스토머방사와 접촉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에 관하여 상기 피복방사의 상대적이동을 행하는 공정과;
(f) 공기제트에 의하여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와 상기 피복방사가 결합하고, 동시에 제 2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자유단을 풀며, 상기 엇갈려짜기디바이스에 상기 방사의 급송을 재개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상이한 측면에 의하면, 디바이스는 적어도 피복사로 덮인 최소한의 탄성체에 의하여 형성된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하여 제공되며: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방향으로 상기 탄성체방사의 급송통로와 상기 피복방사의 급송통로와;
탄성체방사의 스풀용 지지체수단과;
형성된 컵에 합성방사를 감는 감기부재와;
형성된 상기 컵에 합성사의 급송을 중단하고 새로운 감기튜브에 합성방사를 감기 시작하는 중단디바이스로 이루어진다. 특징적으로, 탄성체방사의 스풀에 대한 상기 지지체수단은 적어도 탄성체방사의 제 1스풀과 적어도 탄성체방사의 제 2스풀을 지지하기 위하여 적합하다. 또한,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의 결합된 것은 유지부재이며 상기 제 2스풀의 탄성체방사의 최초자유단을 억제한다. 또한,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의 급송이 검색되는 경우, 제 1엇갈려짜기제트에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의 중단을 검색하는 센서와 제 2탄성체방사의 최초부분의 풀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부재는 흡착부재가 될 수 있다.
가능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이 대기위치에 있는 경우,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은 다른 쪽에 관하여 한쪽이 움직이도록 제공된다. 따라서, 제 1탄성체방사가 중단되는 경우 제 2탄성체방사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진입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의 결합은, 제 1엇갈려짜지제트에 제 1탄성체방사를 운반하는 동안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을 억제하기 위한 편향요소이다.
가능한 실시예에 의하면,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부터 제 2탄성체방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제 1엇갈려짜기제트에 관하여, 유지부재와 편향요소가 배치된다. 또한, 편향요소가 상기 제 2탄성체방사를 푸는 경우, 유지부재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삽입하게 하는 제 2탄성체방사를 팽팽하게 하기 위하여 설계되고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와 방법의 실시예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은 첨부한 청구항으로 개시되며, 몇몇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참조하면서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설명과 첨부 도면으로 더욱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며, 이것은 실제로 본 발명의 비제한적이며, 예시적인 실시예이다. 특히,
도 1은 피복방사 텍스터링영역로 완비한 디바이스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
도 2는 디바이스의 부분의 측면을 도시하는 도;
도 3, 도 4 및 도 5는, 다양한 구성에 있어서, 합성방사의 컵의 감기영역으로 이루어진 도 1에 있어서 Ⅲ- Ⅲ선에서 본 도면;
도 6은 변형된 실시예로 이루어진 도 2에 있어서의 도면과 유사한 측면을 도시하는 도;
도 7a 및 도 7b는 2개의 동작조건으로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접근정면도;
도 8, 도 9 및 도 10은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대하여 도 1 내지 5에 도시한다.
도 1은 발명에 의한 일련의 디바이스로 합성방사의 컵을 제조하기 위하여 복수의 감기헤드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측면도를 도시하는 도이다. 단 한쪽의 헤드를 도면에 도시하며 다른 것은 도면의 평면에 수직하여 배치된다.
일반적으로 (1)은 피복방사의 컵(B1), 예를 들면, 폴리에스터, 나일론 또는 다른 동등한 방사, 다수의 필라먼트방사가 배치된 영역을 표시한다. 컵(B1)으로부터 풀린 방사는, 원래 공지된, 종래의 타입의 텍스터링섹션을 개재하여 급송되며 (3)으로 표시된다. 텍스터링영역은 가열오븐(5), 냉각영역(6), 허위비틀림동작용 영역(8)을 구비하며, 제 1 쌍을 이루는 롤러(7A),(7B)로 종결되어 픽업하거나 짜여진 피복방사(FT)를 급송하며, 탄성체방사의 스풀, 엇갈려짜기제트, 실제 감기 헤드 및 탄성체방사의 스풀을 변경하기 위하여 필요한 모든 부재가 배치된 영역(9)으로 급송된다. 감기헤드를 분리하여, 이러한 영역은 도 2에 있어서 더욱 상세하게 도시된다.
영역(9)에 있어서, 방사(FT)는 오븐(11)(방사를 안정화시키기 위하여)을 통과하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그 급송통로 Pth를 따라서 엇갈려짜기제트에 도달하며, 지지체수단에 의하여 운반된 두 개의 스풀(R1)(R2)중 한쪽 또는 다른쪽 으로부터 급송된 급송방사(F1) 또는 (F2)를 덮는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경과에 따라서, 종료스풀(R1)이 새로운 탄성체방사의 스풀(R2)로 교체되는 경우, 새로운 스풀의 탄성체방사와 짜여진 피복방사가 결합하기 위하여, 제 1엇갈려짜기제트(2)는 통로(Pth)를 따라서 배치된다. 도 2의 구성에 있어서, 엇갈려짜기제트(2)는 통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으며 이 단계 동안만은 동작하여 새로운 탄성체방사의 풀기를 개시한다. 방사(FT)가 급송되는 방향에 관하여 엇갈려짜기제트(2)의 입구는 기울어진 방향을 향하여, 고정된 가이드 요소(4)에 의하여 엇갈려짜기제트(2) 내부로 안내되어 세라믹실은 낮은 마찰계수로 가이드된다.
제 1엇갈려짜기제트(2)의 하류측에 배치된 것은, 스트레칭영역(13)이며, 스트레칭유닛 또는 급송유닛이 제공되며, 제 2롤러 쌍(15)(17)에 의하여 형성되고, 첫번째 것은 구동되고 두번째 것은 공전하며, 방사가 급송된 니프가 형성된다. 롤러(15)(17)의 주변속도와 쌍을 이루는 롤러(7A)(7B)의 주변속도가 서로 조화되어 탄성체 및 피복방사를 팽팽하게 하거나 완화시킨다.
스트레칭유닛(15)(17)의 하류측에 배치된 것은, (19)로 표시되고, 그 자체가 공지된 타입인 제 2엇갈려짜기제트이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피복방사에 의하여 탄성체방사를 덮는 프로세스제트이다.
탄성체방사의 제 1스풀(R1)로부터 풀린 제 1탄성체방사(F1)는 스트레칭유닛(13)을 형성하는 스트레칭롤러(15)(17)에 의하여 형성된 니프를 통하여 급송된다. 스풀(R1)은 접촉상태에 있어서 구동풀기롤러(35)에 의하여 풀린다. 풀기롤러(35)의 속도와 롤러(15)(17)의 속도는 방사(F1)에 필요한 잡아당김의 정도를 부 여하기 위하여 조정된다. 또한, 롤러(15)(17)의 속도는, 방사(F1)에 부여되는 잡아당김이 동일하거나 상이한 방사(FT)에 잡아당김의 정도를 부여하거나 또한 방사(FT)에 느슨함을 부여하기 위하여 쌍을 이루는 롤러(7A)(7B)의 속도에 관하여 조절할 수 있다. 스풀(R1)으로부터 급송되는 방사(F1)는 짜여진 피복방사(FT)에 인접하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2)를 통과한다. 두 개의 방사(FT) 및 (F1)를 통상적으로 급송하는 동안 제트(2)가 작용하지 않으므로, 이들 방사에 관하여 아무런 작용이 없다.
스풀(R1)은 도면의 평면에 수직하는 축(39)을 오실레이팅하는 암(37A)에 의하여 지지된다. 오실레이팅이동 이외에, 피스톤실린더엑츄에이터(41)에 의하여 제어되며, 암(37A)은 암의 길이방향 확장에 평행하는 방향으로 병진이동으로 제공되며, 또 다른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43)에 의하여 제어된다. 암(37A)과 본질적으로 동일한, 또 다른 암(37B)은 동일한 축(39) 상에서 힌지되며, 축(39)에 대한 오실레이팅이동은, 또 다른 피스톤실린더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제어되며, 엑츄에이터(41)에 의하여 도 2에서 보이지 않고 숨겨진다. 또한, 암(37B)은 그 길이방향 연장에 평행하는 병진이동으로 형성되며 엑츄에이터(43)와 거의 동일하지만 도면에서 보이지 않는 엑츄에이터에 의하여 제어된다.
오실레이팅암(37B)은, 제 2탄성체방사(F2)가 감긴 제 2스풀(R2)을 지지한다. 후자가 종료하는 경우 스풀(R2)(도 2의 구성에 있어서)은 스풀(R1)과 교체하기 위하여 대기위치내에 있다. 두개의 암(37A)(37B)의 위치는, 엑츄에이터(41)(43)로 얻은 암의 오실레이팅 및 연장/취소 때문에 교환할 수 있다.
방사(F2)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2)를 개재한 스풀(R2)로부터 보류부재(20)까지 아래쪽을 향하여 뻗치는 대기통로를 따라서 제조되며, 흡입구를 가지며, 제 2탄성체방사(F2)의 헤드 또는 자유단이 삽입된다. 기계적 유지시스템은 유지부재(20)의 입구와 결합할 수 있으며, 방사(F1)가 방사(F2)로 교체되기 전 대기위치 동안, 입구를 통한 흡입을 해제할 수 있으며 방사(F2)의 자유단은 기계적으로만 억제된다. 대신, 두개의 스풀(R1)과 (R2)를 교환하는 동안, 나중에 명백하게 되는 이유때문에 입구에 의하여 흡입된다.
억제부재(20)는 쌍을 이루는 롤러(15)(17)에 인접하고, 즉, 스풀(R2)에 관하여, 롤러(17)의 축을 포함하는 수직평면의 대향하는 측에, 롤러(17)에 관하여 배후에 위치결정된다.
스풀(R2)로부터 유지부재(20)까지 그 통로를 따라서, 제 2탄성체방사(F2)는 도 2에 있어서 평면에 직교하는 움직임으로 형성되는 편향요소(6)상에서 휴식한다. 편향요소는 낮은 마찰률을 가진 세라믹 또는 다른 재료로 이루어지며, 피스톤실린더 엑츄에이터의 로드에 연결된 실린더로 구성할 수 있다. 피스톤 실린더엑츄에이터의 로드의 철회는, 종료스풀(R1)이 스풀(R2)로 교체되거나 또는 방사(F1)가 끊어지거나 방사(F2)로 교체되어야 하는 경우, 편향요소(6)로부터 제 2탄성체방사를 해제한다.
편향요소(6)는 센서(59)의 액션의 범위를 벗어나 대기하는 제 2탄성체방사(F2)를 억제하고, 스풀(R1)과 제 1엇갈려짜기제트(2) 사이에, 탄성체방사(F1)의 통로를 따라서 배치된다. 스풀(R1)로부터 방사(F1)의 운반이 중단되는 경우, 센 서(59), 예를 들면, 광센서는, 탄성체방사(F1)의 통로를 검색하고 사이클을 개시하기 위하여 신호를 급송하여 스풀(R1)이 스풀(R2)로 교체한다. 센서(59)의 검색의 범위로부터 방사(F1)를 유지함으로써, 이러한 것은 상기 센서의 동작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한다.
스트레칭유닛(15)(17)의 하류측에, 두개의 방사(F1)과 (FT)는 제 2엇갈려짜기제트(19)에 있어서 공통통로를 따라가며, 그 내부에, 공지된 그 자체의 방식으로, 탄성체방사(F1)은 방사(FT)로 피복되어 합성체 또는 엇갈려짠 방사(FC)를 형성한다.
엇갈려짜기제트(19)의 하류측에, 이러한 합성방사(FC)는, 구동롤러(54) 및 공전롤러(56)로 이루어진, 제 3의 쌍을 이루는 롤러에 의하여 형성된 급송유닛(53)의 니프에 도달한다. 롤러(54)(56)의 주변속도는 유닛(13)의 롤러(15)(17)의 속도에 결합되어, 이들 두개의 쌍을 이루는 롤러 사이에 있는 방사(F1),(FT)와 방사(FC)는, 소망하는 완화 및/또는 스트레칭 정도로 된다.
급송유닛(53)의 하류측에, 방사(FC)는 포크(fork)(52)에 의하여 편향되고 가이드되어 감기영역에 도달하며, (55)로 표시되며, 감기튜브(T)에 감겨서 합성체 방사의 컵(BC)를 형성한다. 감기영역(55)에 위치결정되는 것은, 메카니즘이며, 본래 공지되어있어 여기에서 개시하지 않으며, 그들은 완성되어 컵(BC)은 자동으로 언로드되어 각각의 완성 컵C)는 새로운 감기 튜브(T)로 교체된다. 일반적으로 (57)은 디바이스를 표시하며: 컵(BC)의 감기 단부에서 합성방사(FC)를 중단하며; 흡입입구에서, 컵(BC)를 새로운 감기튜브(T)로 교체하고 탄성체방사의 스풀(R1)을 스풀(R2) 로 교체하는 단계 동안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방사를, 억제하며; 새로운 감기 튜브(T)에 관하여 방사(FC)의 감기를 재개한다. 디바이스(57)는 도 3, 4 및 5의 관찰에 있어서 보다 상세하게 도시하며, 도 1의 Ⅲ-Ⅲ을 따라서, 3개의 상이한 동작위치를 표시한다.
도 3에 있어서, 디바이스(57)는, 엇갈려짜기방사(FC)의 새로운 컵(BC)의 감기를 개시하기 전의 대기위치를 도시한다. (T)는 감기위하여 이용되는 튜브를 표시하며, (60)은 링을 표시하며, 본래 공지된 바와 같이, 튜브(T)에 동축이며 튜브상에 방사감기를 개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튜브(T)와 그 위에 형성된 컵(BC)는 바로 아래에서 위치결정된 구동롤러(54)에 의하여 회전하며(도 1 참조), 형성된 컵의 직경이 변화하는 경우 일정한 주변속도를 보증한다. (56)은 튜브는, 양방향화살(f56)에 의하여 교대로 오실레이팅하거나 병진이동이 튜브(T)와 그 위에 형성된 컵(BC)상의 방사의 회전을 분배하는 트레드가이드 또는 "횡단디바이스"를 표시한다.
디바이스(57)는 도 3, 4, 5의 평면에 거의 수직하는 축(64)을 힌지하고, (66)으로 표시하는, 정면의 개방흡입도관을 운반하는 암(62)과, 흡입도관(66)에 평행하고 암을 따른 (f63)에 의하여 병진이동하는 포크(68)와, 도관((66)과 일체하는 가이딩부재(70)으로 이루어지며, 흡입도관(66)의 입구를 향하여 방사를 뽑는다.
도 3에 도시하는 구성에 있어서, 방사(FC)는 도관(66)으로 흡수된다. 이러한 단계에 있어서, 실제로, 방사는 피복방사(FT)와 엇갈려짜기방사(FC)로 이루어 질 수 있으며, 이 때 해당하는 스풀(R1) 또는 (R2)로부터 이전에 운반된 탄성체방 사(F1) 또는 (F2)가 이러한 단계에서 종료하지만, 탄성체방사(F1) 또는 (F2)를 빠트리는 경우라도 방사(FT)는 연속적으로 급송된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체방사의 스풀(R1) 또는 (R2)가 종료하기 전에 컵(BC)을 새로운 감기튜브(T)로 교체하는 경우(수풀은, 예를 들면 합성방사(FC)의 두개의 컵을 제조하기 위하여 충분한 방사를 갖는 것 처럼), 컵(BC)를 튜브(T)로 교체하는 단계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새로운 감기동작을 개시할 때까지 도관(66)의 내부로 합성방사를 흡수한다.
방사(F1)(종료되거나 파단)를 방사(F2)로 교체하고(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 방식으로) 엇갈려짜기제트를 방사(FT)에 의하여 피복된 방사(F2)로 합성방사(FC)를 생산하기 위하여 개시한 후, 엇갈려짜기 또는 합성방사(FC)는 새로운 튜브(T)에 대하여 감기기 시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그 축을 회전한다.
포크(68)에 의하며, 방사(FC)는 링(60) 부근에서 끌어당겨지며, 튜브와 일체적으로 회전하고 상기 튜브 부근에서 감기위하여 방사를 잡는다. 링(60) 부근에서 방사(FC)를 끌어 당기는 단계에 대하여 도 4에 개시되어 있다. 방사는 튜브(T)에 대하여 제 1감기회전을 형성하면서,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음)방사를 절단하고 흡입도관(66) 내부의 일부로부터 그것을 분리한다. 이러한 것은 감기결과를 통하여 튜브에 부착된 것이 잔류하는 방사의 자유단부를 생산한다. 그 위의 튜브(T)로 운반되는 방사(FC)를 계속감음으로써, 가이딩포크(52)와 튜브(T) 사이의 방사(FC)의 통로는 방사와 맞물리는 트레드가이드(56)에 의하여 차단하므로, 이중 화살(f56)을 따른 선택적인 이동으로 튜브의 전체축연장을 따라서 분배하기 시작한다.
튜브(T)위에 컵(BC)를 감기시작한 후, 선택적인 이동에 있어서 트레드가이드(56)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방사(FC)의 통로를 차단하기 위하여 배치된 가이딩부재(70)에 의하여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암(62)을 가져온다. 가이딩부재(70)는, 경사진 표면(70A)를 가지며, 방사(FC)에 의하여 차단되는 경우, 후자는 흡입도관(66)의 입구로 상승한다. 동시에, 방사(FC)는, 종료된 컵과 가이딩부재(70) 사이의 중간위치에서 블레이드(도시하지 않으며 트레드가이드(56)에 의하여 운반)에 의하여 절단된다. 다음, 절단의 자유단하류측은 제거된 컵(BC)에 감기지만, 절단의 자유단상류측은 흡입도관(66)으로 삽입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를 흡수하기 시작하며; 탄성체방사의 스풀이 변경되고 종료컵(BC)가 새로운 튜브로 교체되면서 방사는 계속적으로 운반된다. 엇갈려짜기제트(19)가 다시 완료된 방사(FC)를 운반하기 시작하자 마자, 즉, 새로운 탄성체방사(F2)의 급송을 개시하지 마자, 암(62)은 새로운 감기프로세스에 대하여 대기하는 도 3의 위치로 복귀하여 움직이기 시작한다.
전술한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동작에 대하여 이하에서 개시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에 있어서, 쌍을 이루는 롤러(7A)(7B)의 상류측을 짜넣은, 피복방사(FT)는 스트레칭유닛(15)(17) 및 여기에서 엇갈려짜기제트(19)로 급송된다. 거기와 평행하게, 풀기롤러(35)에 의하여 회전하는 스풀(R1)로부터 운반되는, 탄성체방사(F1)는 스트레칭유닛(15)(17)으로 또한 급송된 다음 엇갈려짜기제트(19)로 급송된다. 합성방사(FC)는, 감기영역(55)에 있어서 암(56)에 의하여 지지되는 감기튜브(T)에 형성된 컵(BC)에 감긴다. 제 2탄성체방사(F2)는, 센서(59)와 저촉하지 않기 위하여 편 향요소(6)에 의하여 편향되고 유지부재(20)에 의하여 맞물린 최초자유단을 가진 대기위치내에 있다. 방사 (F1)와 (FT)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2)를 개재하여 이동하며, 일시적으로 작용하지 않는다.
센서(59)가 수풀(R1)로부터 운반된 제 1탄성체방사(F1)가 종료하거나 중단된 것을 검색하는 경우, 스풀(R1)과 스풀(R2)을 교환하고 컵(BC)과 새로운 튜브(T)를 교체하는 단계가 개시한다. 이러한 단계 동안, 짜여진 피복방사(FT)는, 바람직하게는 본래 일정한 속도로, 중단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운반된다. 센서(59)는, 예를 들면, 막 종료할 스풀(R1)의 직경 또는 운반된 방사(F1)의 양을 검색하는, 어떠한 타이입의 센서에 의하여 교체될 수 있다. 무게 및/또는 길이에 따라서 측정되는, 컵(BC)에 감긴 방사의 양을 검색하는 센서는, 센서(59) 또는 다른 등가의 디바이스로 조합될 수 있다. 방사(F1)가 종료하지 않지만 컵(BC)가 완료되는 경우라도, 이러한 부가적센서는 교체처리를 유발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이하의 동작은 교환단계 동안 행해진다. 합성방사(FC)는 완료컵(BC)과 디바이스(57) 사이에서 절단되며, 컵에 완전하게 감기 헤드 또는 꼬리단부를 형성한다. 절단물에 의하여 형성된 다른 자유단은 디바이스(57)에 의하여 억제되며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흡입입구(66)에 의하여 흡입되며, 새로운 감기 사이클을 개시하기 위하여 준비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여전히 연속적으로 급송되는, 탄성체방사(F1)와 피복방사(FT)의 단부분은, 흡입입구에 의하여 흡입되며, 방사(FT)는 그 전체통로를 따라서 적절하게 팽팽하게 된다.
암(37A)(37B), 결과적으로 탄성체방사의 종료된 스풀(R1)과 대기 스풀(R2)는 서로 교환되어 종료된 스풀(R1)을 가진 암(37A)은 풀기 또는 운반롤러(35)로부터 떨어져서 위치결정되며, 암(37B)은 풀기롤러(35)와 접촉하는 스풀(R2)를 운반한다.
암(37A)이 적절한 위치에서 종료된 스풀(R1)을 가진 최종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스풀(R2)의 전체풀기사이클 동안의 임의의 순간에, 조작자는 종료된 스풀(R1)을, 동작이 종료되거나 예를 들면 우연한 파손으로 인하여, 방사(F2)가 중단되는 경우, 스풀(R2)와 동일한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교체될 수 있는 탄성체방사의 새로운 스풀로 교체할 수 있다.
스풀이 풀기 또는 운반롤러(35)에 의하여 방사로 운반개시하기 전, 흡입은 보유부재(20)의 흡입입구를 통하여 활성화되어, 풀리는 스풀(R2)이 운반 또는 풀기롤러(35)의 회전을 통하여 활성화되는 경우, 방사(F2)는 축적되기 시작하거나 이러한 입구로 끌어당겨지기 시작한다. 이러한 단계는 방사(F2)의 속도에 대하여 필요한 최저시간동안, 그러므로 상대적으로 단시간 동안, 지속되어 짜여진 피복방사(FT)의 속도와 거의 동일한 값이 도달한다.
제1엇갈려짜기제트(2)로 이미 삽입된, 두 개의 방사(F2) (FT)가 거의 동일한 속도로 이동하면, 제 1엇갈려자기제트(2)는 단기간 동안 활성화된다. 압축된 공기의 짧은 제트는 제트(2)의 채널에 있어서 두 개의 방사(FT) 및 (F2)를 때리며, 그들의 결합을 야기하므로 방사는 제 2엇갈려짜기제트(19)를 향하여 함께 앞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방사(F2)가 방사(FT)에 결합하고 제트(19)를 향하여 후자에 의하여 끌어당겨지는 경우, 엇갈려짜기제트(2)에 있어서 공기제트는 중단될 수 있다. 방사(F2)가 제 2엇갈려짜기제트(19)에 도달하지 마자, 피복방사(FT)로 덮인 탄성체 방사에 의한, 합성방사(FC)의 제조는, 다시 시작한다. 제 2엇갈려짜기제트(19)는 이러한 것이 발생하기 전에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될 수 있어 그때문에 통과하는 방사(FT)에 대한 작용을 방지한다.
교체사이클이 개시된 후, 예를 들면, 탄성체방사(F1)의 급송에 있어서 중단을 발견한 후, 편향요소를 철회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에 있어서, 센서는 방사(F2)의 통과를 검색하기 위하여 개시한다. 합성방사(FC)가 디바이스(57)에 도달하는 경우, 이러한 것은 새로운 감기튜브(T) 상에 방사(FC)의 감기를 개시하며, 방사가 절단되고, 이에 의하여, 도 3 내지 5를 참조하면서 더욱 상세하게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흡입도관(66)의 입구를 통하여 그 흡입을 중단한다.
전술한 것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프로세스로 제 2탄성체방사(F2)의 삽입이 최저의 개수의 이동부품으로 매우 단순한 방식으로 발생한다는 사실 때문에, 디바이스를 특히 신뢰할 수 있다. 실제 사실에 있어서, 단순한 이동은 편향디바이스(6)이며, 감소된 부피인 매우 간단한 부재이다. 또한, 그 이동은 스풀(R1)(R2)의 교환에 완전하게 동기화할 필요성이 없으며, 부재의 이동없이 특히 엇갈려짜기제트(2)(19)의 이동없이 그것의 유일한 목적은 센서(59)의 범위로부터 방사(F2)를 유지하며 프로세스제트(18)로 삽입하는 것이다. 이들 제트는, 방사삽입용 제어가능개구와 폐쇄시스템을 구비하지 않는 구성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설명한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3개의 쌍을 이루는 급송롤러(7A)(7B)(13)(15)(54)(56)으로 형성된 머신 또는 디바이스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럼에도 디바이스의 상이한 실시예에 의하면, 쌍을 이루는 롤러(54)(56)는, 두개 의 엇갈려짜기제트 중 한 개일 수 있는 바와 같이, 삭제될 수 있다. 이러한 타입의 해결에 대하여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와 마찬가지로, 디바이스의 중심부분에 대하여 도시하지만, 잔존부분은 도 1 내지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과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변화하지 않는다.
도 6에 있어서, 동일한 번호는 이전의 도면의 것과 동일하거나 동등한 부분을 표시한다. 엇갈려짜기제트(19)는 삭제되고 (2X)로 표시하는, 오로지 제 1엇갈려짜기제트가 방사의 통로를 따라서 남아 있으며, 여기서, 방사(F2)(FT)의 결합과 방사 (FT)를 가진 탄성체방사(F1) 또는 (F2)의 피복으로 이루어진 이중 동작을 행한다.
처리된 제 1탄성체방사(F1)를 교체하기 위하여 대기하는, 제 2탄성체방사(F2)를 제트(2X)의 동작과 센서(59)의 동작의 방해를 방지하며,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방사(F2)의 초기부분은 이중 편향요소(6)(8)에 의하여 억제된다. 이러한 요소는, 한쌍의 피스톤 실린더 엑츄에이터로 구성할 수 있으며, 두개의 편향부재는 피스톤로드(rod)와 결합한 낮은 마찰률를 가진 재료로 코팅된다. 그들의 활성위치에 있어서, 유지부재로 방사(F2)의 자유단을 맞물리게 두개의 편향부재가 구성되며, 방사(F2)의 초기부분은 엇갈려짜기제트(2X)의 정면과 외부에 있다. 또한, 단일의 편향요소(8)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센서(59)의 편향범위로부터 및 엇갈려짜기제트(2X)의 내부 채널의 외부에 대기하는 방사(F1)를 적절하게 위치결정한다.
센서(59)가 제 1탄성체방사(F1)의 중단을 인식하는 경우, 교체사이클을 개시하게 할 수 있다. 이전의 경우에서와 같이, 피복방사(FT)는, 본래 동일한 속도로, 엇갈려짜기제트(2X)를 개재하여, 계속적으로 급송되어, 부분 또는 전체사이클을 비활성화할 수 있어 방사(F1) 및 (F2)를 교체하거나 교환한다. 합성방사(FC)의 컵(BC)를 새로운 튜브(T)로 교체하지만, 피복방사(FT)는 컵(BC)의 감기시스템과 결합한 흡입입구에 의하여 축적된다. 암(37A)(37B)의 위치는 교환되거나, 더욱 정확하게 암(37B)은 풀기 또는 운반롤러(35)와 접촉하는 스풀(R2)에 의하여 운반되지만, 조작자는 종료스풀(R1)이 새로운 스풀로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위치로 암(37A)을 놓는다.
새로운 튜브(T)가 위치에 있어 회전하면(또는 이러한 순간 전에 매우 약간이라도), 방사(F2)의 급송을 개시할 수 있다. 보유부재(20)의 입구는 방사(F2)를 흡입하지만, 동등한 이동으로, 편향요소(6)(8)는 끌어당기는 위치로 취해져서, 방사(F2)는 센서(59)와 엇갈려짜기제트(2X)의 인식범위로 진입하고 후자는 활성화한다. 새로운 탄성체방사(F2)는 피복방사(FT)와 맞물리고, 제트(2X)를 개재하여, 방사(F2)와 (FT)의 결합된 급송을 개시하므로 합성방사(FC)의 생산을 개시하도록 다양한 조작이 동기한다.
이러한 제 2해결에 있어서, 디바이스는, 그 롤러(54) 및 (56)를 가진, 제 3급송유닛(53)의 제거를 통하여 더욱 간략화된다. 처리되는 방사에 관하여 스트레칭 및/또는 완화의 효과를 급송유닛(7A)(7B), 롤러(15)(17)로 형성된 급송유닛(13) 및 풀기 또는 운반롤러(35)의 급송속도를 조화하여 움직임으로써 얻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탄성체방사(F1) 또는 (F2)는 운반 또는 풀기롤러(35) 및 유닛(13) 사이에서 잡아당겨지며, 폴러(15)(17)의 주변속도는 폴러(35)의 주변속도 보다 높은 값으로 설정되지만, 피복방사(FT)는, 한편으로는 롤러(15)(17)와 다른 편으로는 롤러(7A)(7B)의 주변속도비에 관하여 행함으로써 펼지거나 완화할 수 있다.
도 7a, 7b는 엇갈려짜기제트(2X)와 편향부재(8)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제트(2X)는 블록(72)으로 형성된 채널(71)을 구비한다. 압축공기라인(73)에 의하여 급송된 가압공기노즐은 채널(72)에 가로질러서 배치된다. 도 7a에 있어서, 피복방사(FT)와 제 1탄성체방사(F1)는 채널(72)을 통하여 급송된다. 제 2탄성체방사(F2)는 대기위치에 있으며, 보유부재(20)의 입구에 있어서 맞물린 초기자유단을 갖는다. 기계적보유디바이스(비도시)는 흡입입구와 결합할 수 있어서, 스풀(R1)(R2)을 교환하기 위한 단계를 개시할 때까지, 흡입이 비활성화하게 한다.
이러한 대기위치에 있어서, 방사(F2)는 피스톤실린더엑츄에이터(8B)의 세라믹코팅로드(8A)상에서 휴식한다. 부재(6)를 형성하는 유사한 피스톤실린더엑츄에이터는 도 7에서 도시하지 않으며 센서(59) 위에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방사(F2)는 제트(2X)의 입구영역에서 대기하여 억제하며, 비대칭 V형상 프로파일에 의하여 형성되며, 측(74)(75)에 의하여 형성된다. 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유지부재(20)의 오프셋위치의 효과를 통하여, 방사(F2)는 측(75)에서 정지한다. 채널(71)로 이끌리는 슬릿은 V형상프로파일의 정점으로부터 연장한다.
방사(F2)가 프로세스로 오게되는 경우, 부재(6)(8)로부터 풀리며(또는 부재(6)가 형성되지 않는 부재(8)에 의하여), 유자부재(20)와 결합하는 입구의 흡입에 의하여 부여된 장력의 효과를 통하여, V형상프로파일(74)의 정점에서 위치결정되고, 거기의 슬릿을 통과하고 거기로부터 제트(2X)의 프로세스채널(71)로 진입하 고, 도 7b의 상태를 취하며, 방사(FT) 및 (F2)가 제트를 통하여 급송된다.
제트의 동일한 타입은 도 2의 구성에 있어서의 제트(2)처럼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제트가 작용하지 않는, 방사(FT) 및 (F2)는, 도관(71)을 통과하지만, 방사(F1)가 종료할 때까지 방사(F2)는 상기 도관의 내부에 대기한다.
도 2의 구성에 있어서, 도 6의 예와 마찬가지로 이중편향메카니즘으로, 또한, 제 2탄성체방사(F2)는 제트(2)의 채널의 정면에서 대기하여 보류한다.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도 8, 9 및 10에 도시한다. 상기 도면을 특히 참조하면, (101)은 엇갈려짜기합성방사(102)에 대한 머신에 있어서 엘레스토머방사로 이루어진 자동으로 실을 꿰는 디바이스 전체를 표시하며, 피복방사(120)와 엘라스토머방사(121)로부터 개시한다.
피복방사(120)는 일련의 롤러에 의하여 형성된 통로를 따라서 연속적으로 풀리며 상대적 스핀들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회전하고, 적어도 드로잉스핀들(103)과 스트레칭스핀들(104)로 이루어지며, 공기제트엇갈려짜지제트(105)로 급송된다.
엇갈려짜기제트(105)는 제 1엘라스토머방사(121)로 연속적으로 동시에 급송되어, 엘라스토머에 의하여 피복방사(120)의 엇갈려짜기를 얻으므로, 피복방사로 엘라스토머방사(121)가 피복된다. 제 1엘라스토머방사(121)는 기계상의 작업위치에서 미리 배치된 제 1스풀(123)로 부터 풀린다.
전술의 도면에 관련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엘라스토머방사의 제 2스풀(124)은 대기위치에서 미리 배치되고, 임의의 적합한 수단에 의하여, 제 1엘라스토머방사(12)의 급송의 중단에 관한 전술한 작업위치로 적합하게 운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엇갈려짜기디바이스(150)의 상류측의 보유영역에 있어서, 적절한 흡입수단에 적합하게 접속된 관모양의 보유부재(106)에 의하여 제 2엘라스토머방사(122)의 자유단은 억제된다.
제 2엘라스토머방사(122)는 제 2스풀(124)로부터 흡입부재(106)의 입구로 선형으로 풀려야 하며, 상기 보유영역에 배치되며, 방사(122)의 자유단은 억제된다.
실제로, 흡입부재(106)의 바로 위에 있어서, 제 2엘라스토머방사(122)의 자유단의 보유영역에 근접하여 배치된 것은, 피복방사(120)와 제 1엘라스토머방사(121)가 연속적으로 운반되는 커플링부재(110)이며, 공기제트엇갈려짜기디바이스(105)에 함께 급송된다.
실제로, 상기 커플링부재(110)는, 수직축으로, 방사(120)(121)에 대하여, 관통채널(113)을 형성하는 포크(112)를 담지하는 동작헤드(111)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구성된 엇갈려짜기제트이며; 엇갈려짜기제트(110)의 채널(113)은 상기 방사(120)(121)의 삽입에 대하여 정면에서 개방된다. 포크(112)는 세라믹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포크(112)는 플레어(flare)입구(114)를 형성하고, 제 2엘라스토머방사(122)의 일부 레벨에서 미리 배치되며, 제 2스풀(124)로부터 흡입부재(106)로 선형으로 풀리며, 그 자유단을 보유한다.
조작헤드(111)와 결합된 것은 도관(115)이며 가압된 공기제트를 운반하고, 가압공기급송을 위한 종래 수단에 적합하게 접속한다. 도관(115)은, 포크(112)에 가로질러서 형성된 적절한 홀에 의하여, 채널(113)로 가로질러서 이끌린다.
조작헤드(111)는 선택적인 엑츄에이터부재(116), 예를 들면, 압축공기를 넣은 실린더에 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기에 적합하며, 머신의 프레임에 고정된 지지체(117)에 접속한다. 이러한 지지체(117)는 또한, 편향롤러(113)를 구비하며, 자유롭게 회전하고, 포크(112)의 채널(113)의 축으로 본질적으로 배열된 수직방향을 따라서 피복방사(120)를 미리 배치하기에 적합하다.
또한, 센서부재(107)는 엇갈려짜기제트(110)위에 위치결정된다. 센서부재(107)는 제 1엘라스토머방사(120)의 급송의 중단을 검색하기에 적합하며, 작업위치로 엘라스토머방사의 제 2스풀(124)의 운반과 대기위치로 엘라스터머방사의 제 1스풀(123)의 해당하는 운반을 제어한다.
엘라스토머 방사의 자동변경에 대한 방법에 대하여 상기 설명으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된다.
머신의 통상적인 동작 동안, 작업위치에 있어서 배치된 상대적스풀(123)로부터 풀리는, 피복방사(20)와 제 1엘라스토머방사(121)는 엇갈려짜기제트(11)를 통하여 평행으로 운반된 다음 제 2엇갈려짜기제트(105)로 함께 급송된다. 제 2엘라스토머방사는 상대적스풀(124)로부터 풀리는 제 1부분에 있어서, 대기위치에 배치되며, 그 자유단은, 흡입부재(106)에 의하여 유지되며, 엇갈려짜기제트(110)(111)의 약간 아래에 위치결정된다.
이러한 조건에 있어서, 제 2스풀(124)로부터 흡입부재(106)로 연장하는 제 2엘라스터머방사(122)의 부분은, 엇갈려짜기제트(110)(111)의 포크(112)의 플레어입구(114)의 레벨에 배치된다.
스풀(123)종료 또는 방사 파단으로 인하여, 센서 부재(107)가 제 1엘라스토머방사(121)의 급송의 중단을 검색하는 경우, 적절한 시간 관계에 있어서, 작용위치로 엘라스토머방사의 제 2스풀(124)의 운반과 대기위치로 엘라스토머방사의 제 1스풀(123)의 해당하는 운반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전의 것과 본 실시예의 양자에 있어서, 두개의 탄성체방사의 대기와 작업위치는, 예를 들면, 방사가 프로세스로 놓여지는 경우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동시에, 선택적인 엑츄에이터부재(116)에 의하여, 엇갈려짜기제트(110)(111)의 이동은, 방사의 급송의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행해져서, 제 2엘라스토머방사(122)와 접촉하게 된다.
실제로, 헤드(111)는 인출위치 사이에서 선형으로 이동하며, 방사를 엇갈려짜기제트(105)로 급송하기 위하여 통상적인 동작 조건에서 점유되며, 점선(111a)으로 표시하고, 제 2방사(122)는 헤드(111)의 포크(112)의 채널(113)로 삽입된다. 이러한 전방위치에 있어서, 도관(115)에 의하여, 가압공기제트는 엇갈려짜기제트(110)(111)로 운반되어 피복방사(120)를 가진 제 2엘라스토머방사(122)와 결합한다. 동시에, 제 2엘라스토머방사(122)의 자유단은 흡입부재(106)에 의하여 해제된다.
그 다음, 엇갈려짜기제트(110)(111)는 통상적인 동작의 인출위치로 다시 이동하며, 엇갈려짜기제트(105)로 방사(120)(122)의 급송을 다시 시작한다.
이와 같이 설명한 방법과 디바이스는, 안전하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엇갈려짜기방사의 생산용 머신에 있어서 엘라스토머방사를 자동적으로 꿰는 것을 실행함 의 목적을 얻으며, 특히 엘라스토머방사의 파단가능성을 피한다.
실제, 대기위치에 배치된 엘라스토머방사는, 엇갈려짜기디바이스(105)로부터 비교적 멀리 있는 영역에 있어서, 상대적스풀로부터 자유단을 억제하는 흡입부재로 짧은 부분을 선형으로 푼다. 그러므로, 스풀의 자동변경의 순간에 있어서, 이러한 엘라스토머방사는 그 파단을 야기하는 취급, 러빙 또는 다른 스텝을 행하지 않는다.
또한, 이러한 구성은, 대기위치에 있어서 엘라스토머스풀의 주기적인 배치를 상당히 편리하게 하며, 종래의 도구를 이용하는 흡입부재의 입구의 레벨로 취해지는 이러한 방사의 자유단에 대하여 충분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과 디바이스의 특성은, 스풀이 변화되는 경우, 새로운 엘라스토머 방사가 피복방사에 가입되는 공기제트로 국부적으로 결합되며, 연속적으로 진행하여, 엇갈려짜기디바이스에 두개의 방사의 평행급송은 즉시 재개한다.
명백하게, 정지된 머신으로 행해지는 엘라스토머방사의 삽입과, 기계작동이 가능하다.
합성방사의 컵를 교체하는 수단은 도 8, 9 및 10에서는 도시하지 않으며: 그들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설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제적인 실시예에 대해서만 도시하는 도면은, 발명에 의거하는 영역으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형식과 구성에 있어서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45)

  1. 적어도 피복방사로 피복되어 적어도 탄성체방사로 이루어진 합성방사의 제조와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으로서,
    적어도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통하여, 급송통로를 따라서 본래 연속적인 웨이(way)로 피복방사를 급송하는 단계와;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통하여 제 1스풀로부터 제 1탄성체방사를 운반하는 단계와;
    합성방사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 1탄성체방사를 상기 피복방사로 코팅하고 컵에 합성방사를 감는 단계와;
    대기위치에 있어서 제 2탄성체방사의 제 2스풀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에 근접하여 상기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을 억제하는 단계와;
    제 1탄성체방사의 운반을 중단하는 경우, 합성방사의 컵을 새로운 튜브로 교체하는 단계와;
    제 2탄성체방사의 상기 초기부분을 푸는 단계와;
    제 1엇갈려짜기제트에 의하여 상기 제 2탄성체방사와 상기 피복방사가 결합하는 단계와;
    제 2탄성체방사가 상기 피복방사로 피복하는 합성방사의 생산을 재개하여 상기 새로운 튜브에 합성방사를 감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 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자유단은 유지부재에 의하여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은 편향요소에 의하여 맞물리며; 상기 편향요소는 제 2탄성체방사의 상기 초기부분을 풀기 위하여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편향요소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부터 상기 제 2탄성체방사를 억제하며, 상기 편향요소로부터 푸는 경우, 제 2탄성체방사는 배치되어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자동적으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방사는 유지부재에 의하여 발휘되는 장력의 효과를 통하여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 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6. 제 1항 또는 제 2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방사는,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삽입되고 거기에서 억제되며, 제 1탄성체방사의 중단을 위하여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7.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흡입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초기자유단을 억제하는 겅슬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8.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방사의 급송은, 상기 피복방사에 결합하기 전에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9. 제 7항 및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에 의하여 흡입되는 피복방사에 결합하기 전에 상기 제 2탄성체방사가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복탄성체방사의 제조방법과 합성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0.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따라서, 피복방사와 탄성체방사는 니프를 통과하며,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하류측에 한쌍의 롤러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1.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통로를 따라서, 합성방사는 한쌍의 롤러에 의하여 형성된 니프를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2.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방사는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에 의하여 상기 피복방사로 피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체방사의 운반이 중단되는 경우,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일시적으로 동작을 정지하지만 피복방사는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통하여 연속적으로 급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 교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탄성체방사는, 제 1탄성체방사가 중단하는 경우,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내부에서 이미 대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5. 제 1항 내지 제 11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방사는, 제 2엇갈려짜기제트에 의하여 상기 피복방사로 피복되고, 피복방사의 통로를 따라서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피복방사와 제 2탄성체방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활성화되고, 연속적으로 비활성화되지만, 제 2엇갈려짜기제트가 활성화되어 피복방사로 탄성체방사를 피복한 합성방사를 적어도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엇갈려짜기제트는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의 중단과 제 2탄성체방사 의 급송의 개시 사이에서 일시적으로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8. 제 15항 내지 제 17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탄성체방사의 운반이 중단하는 경우, 피복방사는 제 1비작용엇갈려짜기제트를 통하여 급송되며; 제 2스풀로부터 제 2탄성체방사의 운반을 개시한 후, 상기 피복방사에 제 2탄성체방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활성화되고 이어서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19.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방사는, 적어도 한쪽이 구동되는, 한쌍의 롤러 사이의 제 1니프와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통하여 급송되며;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부터 운반되는 합성방사는 제 2쌍을 이루는 롤러 사이의 제 2니프로 급송되며;
    상기 제 2쌍을 이루는 롤러는, 상기 제 1쌍을 이루는 롤러와 관련하여 낮은 주변속도를 가지며 상기 제 2니프와 상기 제 1니프사이에서 피복방사를 완화하며;
    탄성체방사는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통하여 운반롤러에 의하여 급송되며, 운반롤러는, 상기 제 2쌍을 이루는 롤러 보다 낮은 운반속도를 가지며, 상기 탄성체방사는 상기 제 2니프와 상기 운반롤러 사이에서 스프레칭효과를 행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20. 전술항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방사는 짜여진 방사이며, 바람직하게는 다중 필라먼트 짜여진 방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방사는 상기 엇갈려짜기제트의 상류측의 라인에서 짜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체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22. 전술한 청구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a) 상기 제 2엇갈려짜기제트로 피복방사를 연속적으로 급송하는 공정과;
    (b) 상기 엘라스토머방사를 가진 상기 피복방사의 엇갈려짜기제트를 얻기 위하여, 작업위치에 배치되며, 제 1스풀로 부터 풀린 제 1엘라스토머방사를 상기 제 2엇갈려짜기제트로 동시에 급송하는 공정과;
    (c) 제 2엘라스토머방사의 자유단을 억제하여, 제 2스풀을 감으며, 유지영역에 있어서, 대기위치로 배치되는 공정과;
    (d) 상기 제 1엘라스토머방사의 급송의 중단을 검색하고, 적절한 시간관계에 있어서, 상기 작업위치로 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제 2스풀의 운반과 상기 대기위치로 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제 1스풀의 운반을 제어하는 공정과;
    (e)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와 접촉하도록, 제 2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자유단의 상기 유지영역에 근접하여,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에 관련하여 상기 피복방사의 상대이동을 행하는 공정과;
    (f) 엇갈려짜기제트에 의하여 상기 피복방사와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가 결합하며, 제 2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자유단을 동시에 풀으며, 상기 제 2엇갈려짜기제트로 상기 방사의 급송을 재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는 상기 스풀로부터 상기 유지영역으로 선형으로 풀리며, 상기 제 2엇갈려짜기제트의 상류측에서 위치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의 상기 자유단은 흡입수단에 의하여 유지영역에서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방사와 상기 제 1엘라스토머방사는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통 하여 연속적으로 운반되어 상기 방사의 급송의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선택적인 이동을 행하며, 상기 피복방사가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와 접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방법과 탄성체방사의 스풀의 자동교체방법.
  26. 적어도 피복방사로 덮인 적어도 탄성체방사로 형성된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로서,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를 향하여 상기 탄성체방사의 급송통로와 상기 피복방사의 급송통로와;
    탄성체방사의 스풀용 지지수단과;
    형성된 컵에 합성방사를 감기 위한 감기부재와;
    형성된 상기 컵에 합성방사의 급송의 중단과 새로운 감기튜브에 합성방사의 감기를 개시하는 중단디바이스로 이루어지며;
    상기 탄성체방사의 스풀에 대한 상기 지지수단은 적어도 탄성체방사의 제 1스풀과 적어도 탄성체방사의 제 2스풀를 지지하기 위하여 적합하며;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제 2스풀의 탄성체방사의 초기자유단을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 결합하는 유지부재와;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상기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의 중단을 검색하는 센서와;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의 중단이 검색되는 경우, 상기 초기부분의 푸는 것을 제어하는 제어기를 부가하여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27. 제 26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재는 흡입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28. 제 26항 또는 제 27항에 있어서,
    편향요소는, 제 1탄성체방사가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운반하는 동안 상기 제 2탄성체방사의 초기부분을 억제하기 위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 관련하여, 상기 엇갈려짜기제트로부터 제 2탄성체방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유지부재와 상기 편향요소가 배치되며, 편향요소가 상기 제 2탄성체방사를 푸는 경우,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삽입하도록 상기 제 2탄성체방사를 팽팽하게 하기 위하여 유지부재가 배치되고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0. 제 26항 내지 제 29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공기제트에 의하여 이용하여 피복방사로 탄성체방사의 피복을 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가 구성되고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1. 제 30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상류측에 피복방사의 급송통로를 따라서 제 1니프를 형성하는 제 1쌍을 이루는 인출롤러와,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하류측에, 제 2니프를 형성하는 제 2쌍을 이루는 인출롤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쌍을 이루는 롤러는, 상기 제 1쌍을 이루는 롤러의 주변속도보다 낮은 주변속도로 회전하기 위하여 제어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2. 제 31항에 있어서,
    탄성체방사를 운반하기 위하여 운반롤러로 이루어지며, 운반속도는, 상기 제 2쌍의 롤러의 주변속도보다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3. 제 28항, 제 30항, 제 31항 및 제 32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내부의 제 2탄성체방사를 억제하기 위하여,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와 관련하여, 상기 유지부재와 상기 편향요소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4. 제 26항, 제 27항, 제 28항, 제 29항 및 제 33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하류측에 배치된 것은 제 2엇갈려짜기제트이며, 탄성체방사와 피복방사가 급송되며, 피복방사로 탄성체방사의 피복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5. 제 34항에 있어서,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피복방사와 제 2탄성체방사를 결합시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만 활성화되도록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6. 제 34항 또는 제 3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엇갈려짜기제트의 하류측에 배치된 것은, 제 3의 쌍을 이루는 인출롤러이며, 제 2엇갈려짜기제트로부터 운반되는 합성방사가 통과하는 니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7. 제 26항 내지 제 36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방사에 대한 짜여진 스테이션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8. 제 26항 내지 제 37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수단은 작업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1스풀과 대기위치에 있어서 상기 제 2스풀을 억제하기 위하여 형성되며 상기 작용위치로부터 제 1스풀을 제거하며 대기위치로부터 작업위치로 제 2스풀을 운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39. 제 26항 내지 제 38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 1탄성체방사의 급송의 중단 뒤에 탄성체방사의 제 2스풀로, 탄성체방사의 제 1스풀의 교체사이클을 개시하기 위하여, 탄성체방사의 제 1 및 제 2스풀의 지지수단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40. 제 39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 1스풀의 탄성체방사의 단부를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41. 제 26항 내지 제 40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 2탄성체방사가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로 진입하게 하도록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42. 제 4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는, 상기 방사의 급송의 방향에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인출위치와, 전진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 2엘라스토머방사와 상기 피복방사가 결합하도록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43. 제 26항 내지 제 42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 2탄성체방사로 형성된 합성방사의 운반의 개시와 제 1탄성체방사의 중단 사이에서 운반되는 피복방사를 수집하기 위한 수집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44. 제 4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부재는 흡입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45. 제 26항 내지 제 43항 중 1개 이상의 항에 있어서,
    오븐은 상기 제 1엇갈려짜기제트의 상류측에 상기 피복방사의 통로를 따라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방사의 제조를 위한 디바이스.
KR1020067010802A 2003-12-02 2004-11-25 피복탄성체방사의 생산과 급송스풀의 자동교체방법 및디바이스 KR200601115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BO2003A000727 2003-12-02
ITBO20030727 ITBO20030727A1 (it) 2003-12-02 2003-12-02 Metodo e dispositivo per l'infilaggio automatico del filato
ITFI2004A000089 2004-04-16
ITFI20040089 ITFI20040089A1 (it) 2004-04-16 2004-04-16 Metodo e dispositivo per la produzione di un filato elastico rivestito e per la sostituzione automatica delle rocche di alimentazio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11548A true KR20060111548A (ko) 2006-10-27

Family

ID=34655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802A KR20060111548A (ko) 2003-12-02 2004-11-25 피복탄성체방사의 생산과 급송스풀의 자동교체방법 및디바이스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426820B2 (ko)
EP (1) EP1689664B1 (ko)
JP (1) JP4896732B2 (ko)
KR (1) KR20060111548A (ko)
CN (1) CN1791544B (ko)
AT (1) ATE507179T1 (ko)
DE (1) DE602004032464D1 (ko)
TW (1) TW200523410A (ko)
WO (1) WO200505410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35947B2 (ja) 2005-10-12 2011-02-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電力線通信装置、集積回路、及び電力線通信方法
ITMI20060648A1 (it) * 2006-04-03 2007-10-04 Menegatto Srl Apparato alimentatore per l'inserimento automatico di filato
WO2008092472A1 (de) * 2007-01-31 2008-08-07 SSM Schärer Schweiter Mettler AG Elastangarnwechselverfahren
ITFI20070202A1 (it) * 2007-09-10 2009-03-11 Giudici S P A "macchina testurizzatrice-interlacciatrice con doppio forno"
WO2010060678A1 (de) * 2008-11-27 2010-06-03 Oerlikon Textile Gmbh & Co. K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grasgarnes
IT1404727B1 (it) * 2010-10-30 2013-11-29 Benelli Filato elasticizzato, tessuto elasticizzato prodotto con detto filato elasticizzato e metodo per la produzione di detto filato
ITBO20120240A1 (it) * 2012-05-03 2013-11-04 Gorgaini Graziano Procedimento per la produzione di filati interlacciati
ITFI20130125A1 (it) 2013-05-29 2014-11-30 Ssm Giudici S R L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bobine di filo con posizioni di avvolgimento sovrapposte a motorizzazione multipla"
ITFI20130127A1 (it) * 2013-05-29 2014-11-30 Ssm Giudici S R L "un modulo per una macchina per la produzione di bobine di filo"
CN103350914B (zh) * 2013-07-02 2014-05-21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橡筋机的送料装置
WO2016058987A1 (en) * 2014-10-13 2016-04-21 Ssm Giudici S.R.L. Machine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fancy yarns
DE102015101973B4 (de) * 2015-02-11 2016-09-22 M 10 Industries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Solarzellsträngen
WO2017065783A1 (en) * 2015-10-16 2017-04-20 Avent, Inc. Method and system for splicing nose wire in a facemask manufacturing process
MX2018004430A (es) 2015-10-16 2018-05-11 Avent Inc Metodo y sistema para cortar y colocar tiras metalicas adaptables en un proceso de fabricacion de mascarillas.
MX2018004433A (es) 2015-10-16 2018-05-11 Avent Inc Metodo y sistema para colocar tiras metalicas adaptables precortadas en un proceso de fabricacion de mascarillas.
MX2018004397A (es) 2015-10-16 2018-05-11 Avent Inc Metodo y sistema para apilado y carga automatizados de mascarillas envueltas en una caja de carton en una linea de fabricacion.
JP6735343B2 (ja) 2015-10-16 2020-08-05 オーアンドエム ハリヤード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アンリミテッド カンパニー 製造ラインにおいて、包装されたフェイスマスクをカートン内に自動的に積層させて充填するための方法及びシステム
JP2017088326A (ja) * 2015-11-11 2017-05-25 村田機械株式会社 ボビン供給装置
DE112018005488T5 (de) * 2017-09-26 2020-10-15 Murata Machinery, Ltd. Filamentwickelvorrichtung und garneinfädelverfahren in der filamentwickelvorrichtung
DE102017122851A1 (de) * 2017-10-02 2019-04-04 Maschinenfabrik Rieter Ag Vorrichtung zum Ansetzen eines Fadens an einer Arbeitsstelle einer Textilmaschine mit einer Saugdüse und mit einem Zubringerorgan
CN108796739A (zh) * 2018-07-04 2018-11-13 张家港市凯利雅特种纺织纱线有限公司 一种并纱包覆热定型装置
CN110004537B (zh) * 2019-03-29 2021-09-28 桐昆集团浙江恒盛化纤有限公司 一步法生产涤氨空包纱换丝的方法
EP3771673B1 (en) * 2019-07-30 2023-09-06 TMT Machinery, Inc. Peg, package exchanging device, and yarn processing system
CN110790088B (zh) * 2019-09-30 2021-02-19 厉畅 一种纱卷连续移送机构
CN113962962B (zh) * 2021-10-22 2022-07-22 常州市新创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玻纤的短切纱罗拉绕丝检测方法
CN114250537B (zh) * 2021-12-24 2022-12-09 杭州聚乾实业有限公司 一种气流捻纱单元及气流捻纱单元的纺纱系统及其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40917A (en) 1974-09-05 1976-03-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mposite elastic yarns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m
JPS51112955A (en) * 1975-03-26 1976-10-05 Toray Industries Method of producing coated elastic yarn
US4430780A (en) 1982-01-11 1984-02-14 International Machinery Sales, Inc. Fluid flow comingling jet
EP0269184B1 (en) 1986-11-26 1994-02-02 FADIS S.p.A. Machine for the air jet coupling of different yarns
EP0364874B1 (de) 1988-10-15 1993-09-29 Barmag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fadens
CH676559A5 (ko) 1989-02-15 1991-02-15 Heberlein & Co Ag
JPH02300337A (ja) * 1989-05-15 1990-12-12 Murata Mach Ltd カバリング糸の製造方法
JPH03234839A (ja) * 1990-02-05 1991-10-18 Toray Eng Co Ltd 空気式交絡糸の製造装置
JPH03279437A (ja) * 1990-03-22 1991-12-10 Ishikawa Seisakusho Ltd エアカバリング機における弾性糸送り出しローラ
CH681633A5 (ko) 1990-07-02 1993-04-30 Heberlein & Co Ag
EP0564400B1 (de) 1992-04-03 1995-12-06 Heberlein Maschinenfabrik AG Vorrichtung zum Verwirbeln von Multifilamentgarnen
US5568719A (en) * 1992-06-11 1996-10-29 Prospin Industries, Inc. Composite yarn including a staple fiber covering a filament yarn component and confining the filament yarn component to a second thickness that is less than a first thickness of the filament in a relaxed state and a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SE508660C2 (sv) 1992-08-04 1998-10-26 Sipra Patent Beteiligung Trådutmatningsanordning för elastomer tråd
US5970593A (en) 1997-09-12 1999-10-26 International Machinery Sales, Inc. Jet for interlacing textile yarns
IT1302607B1 (it) 1998-10-06 2000-09-29 Fadis Spa Procedimento e relativa macchina per l'accoppiamento di un filoelastomerico ad un filo inestensibile.
JP3552618B2 (ja) * 1999-12-13 2004-08-11 村田機械株式会社 コアヤーン製造方法および装置
US6694719B2 (en) * 2001-08-21 2004-02-24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ut resistant yarns and process for making the same, fabric and glove
ITMI20010600U1 (it) 2001-11-14 2003-05-14 Giudici Davide E Figli S N C D Macchina testurizzatrice
EP1411014A1 (en) * 2002-10-17 2004-04-21 Giudici S.p.a.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vered elastic yarn and for automatically replacing feeding spools
US6848151B2 (en) * 2003-03-31 2005-02-01 Invista Norh America S.à.r.l Air-jet method for producing composite elastic yarns
EP1630268B1 (de) * 2004-08-26 2007-01-10 SSM Schärer Schweiter Mettler AG Garnqualitätssicherungsverfahren und Garnbearbeitungsmas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689664A1 (en) 2006-08-16
ATE507179T1 (de) 2011-05-15
US7426820B2 (en) 2008-09-23
US20060277890A1 (en) 2006-12-14
WO2005054106A1 (en) 2005-06-16
DE602004032464D1 (de) 2011-06-09
CN1791544A (zh) 2006-06-21
CN1791544B (zh) 2010-08-25
EP1689664B1 (en) 2011-04-27
TW200523410A (en) 2005-07-16
JP2007513265A (ja) 2007-05-24
JP4896732B2 (ja) 2012-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11548A (ko) 피복탄성체방사의 생산과 급송스풀의 자동교체방법 및디바이스
US7377094B2 (en) Open end rotor spinning machine
TWI324644B (en) Apparatus for spinning and winding multifilament yarns
EP2345612A2 (en) Doffing apparatus
JPH02215660A (ja) 糸収容装置
EP008778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winding strands of glass fibers
EP1721854B1 (en) Doffing device for an automatic winder
JPH0881837A (ja) あや巻き管糸を製作する繊維機械のサービス装置
US7360354B2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production of covered elastic yarn and for automatically replacing feeding spools
WO2015078726A1 (de) Texturiermaschine und verfahren zum bedienen einer spulstelle einer texturiermaschine
KR100192742B1 (ko) 실패 끝실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JPH02145833A (ja) 織機用糸通し装置
JPH04316621A (ja) 糸の中間滞留装置
CZ299685B6 (cs) Zpusob obnovování predení složkové príze na rotorovém doprádacím stroji a zarízení k provádení zpusobu
US4137700A (en) Broken yarn transfer mechanisms for textile yarn processing machines
JP2008024438A (ja) 糸巻取装置
JP2021127249A (ja) 糸パッケージをドッフィング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パッケージドッファ
CN201334553Y (zh) 假捻变形机
JP4169690B2 (ja) 繊維機械
JP4308355B2 (ja) 遠心紡績/巻取機
CN101258275A (zh) 用于引导和输送多根长丝的装置
US5111648A (en) Apparatus for initiating the feed of yarn in a yarn processing machine
ES2361747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fabricación de un hilo elástico cubierto y la sustitución automática de los carretes de alimentación.
JPS6290333A (ja) 自動糸継ぎ玉揚げ装置
JPH078522Y2 (ja) ダブルツイスタ用ロボ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