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104927A - 전환설비 - Google Patents

전환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104927A
KR20060104927A KR1020060027866A KR20060027866A KR20060104927A KR 20060104927 A KR20060104927 A KR 20060104927A KR 1020060027866 A KR1020060027866 A KR 1020060027866A KR 20060027866 A KR20060027866 A KR 20060027866A KR 20060104927 A KR20060104927 A KR 200601049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cle
plate
guide
transverse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8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4402B1 (ko
Inventor
마사히로 에노모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90331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175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903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21501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90328A external-priority patent/JP45527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090329A external-priority patent/JP4581783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60104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4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4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4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4Star-shaped wheels or 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the wheels or devices being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1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 B65G47/844Devices having endless travelling belts or chains equipped with article-engaging elements the article-engaging elements being pushers transversally movable on the supporting surface, e.g. pusher-sho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16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individual load-carriers which are pivotally mounted, e.g. for free-swing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30Details; Auxiliary devices
    • B65G17/38Chains or like traction elements; Connections between traction elements and load-carriers
    • B65G17/42Attaching load carriers to tract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5/0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 B65G25/04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 B65G25/08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 B65G25/10Conveyors comprising a cyclically-moving, e.g. reciprocating, carrier or impeller which is disengaged from the load during the return part of its movement the carrier or impeller having identical forward and return paths of movement, e.g. reciprocating conveyors having impellers, e.g. pushers with impeller pivotally mounted on a reciprocating 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63Automatically guid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6Pushing shoes on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Chain Conveyers (AREA)
  • Handcart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ontrol Of Vehicles With Linear Motors And Vehicles That Are Magnetically Levitated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Refuse Collection And Transfer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Abstract

본원의 전환설비에서는, 상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를, 일부의 판두께를 불균일하게 해서 형성함으로써, 물품 횡측밀기체의 전체의 강도업을 중량화시키지 않고 꾀할 수 있어, 예를 들면 무거운 물품이라 해도 물품 횡측밀기체가 변형되지 않고 횡측밀기해서 옆쪽으로 옮길 수 있다.

Description

전환설비{SWITCHING FACILITY}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며,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횡측밀기체를 부착한 물품지지체부분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전환설비의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3은 동 전환설비의 주요부의 일부 절단 정면도이다.
도 4는 동 전환설비의 상위 프레임재부분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5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무단회동체의 착탈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6은 동 전환설비의 주요부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무단회동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8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물품지지체와 물품 횡측밀기체와 사이드 브래킷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횡측밀기체를 부착한 물품지지체부분의 일부 절단 측면도이다.
도 10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횡측밀기체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횡측밀기체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횡측밀기체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횡측밀기체의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14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물품 횡측밀기체의 피끼워맞춤부를 나타내는 횡단 평면도이다.
도 15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통형상 연결부의 사시도이다.
도 16은 동 전환설비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7은 동 전환설비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8은 동 전환설비의 왕로 가이드장치군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9는 동 전환설비의 복로 가이드장치군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0은 동 전환설비의 가이드장치군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며,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상위 프레임재부분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22는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무단회동체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주요부의 일부 절단 평면도이다.
도 23은 동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사이드 브래킷의 일부 절단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주반송경로 상에서 반송되고 있는 물품을, 이 주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에 설치된 분기 반송경로로 옮기거나 하는데에 사용되는 전환설 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종래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2003-128235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는 구성이 제공되고 있다. 즉,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 사이에, 주반송경로와는 직교방향인 물품지지체를 다수 부착하고, 이들 물품지지체에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의 이면측에 피가이드체를 설치함과 아울러, 이 피가이드체를 안내하는 가이드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이면 중간부로부터 상기 주반송경로의 방향으로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된 다리판부와,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전판부의 하단과 전위의 다리판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단차상의 전위 저판부와,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와, 후판부의 하단과 후위의 다리판부의 하단을 연결하는 단차상의 후위 저판부로 구성되어 있다.
또 물품 횡측밀기체는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부터 끼워지는 것으로,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에서 대향하는 상판재와, 전판부에 앞측에서 대향하는 전판재와, 후판부에 뒤측에서 대향하는 후판재와, 저판부 등에 하측에서 대향하는 저판재에 의해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재에는 양 다리판부 사이에 끼워맞춰져서 슬라이딩 안내되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물품 횡측밀기체의 상판재의 표면측에는 횡측밀기용의 작용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무단회동체는 무단체인 형식이며, 특정의 링크핀이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지지체의 양단에는 사이드부재가 부착되고, 이 사이드부재에 형 성된 통형상의 연결부에 특정의 링크핀이 삽입 결합됨으로써, 물품지지체의 양단이 각각 사이드부재를 통해 무단체인에 연결되어 있다.
이 종래예의 구성에 의하면, 무단회동체의 구동에 의해 일체 이동을 행하는 물품지지체군에 의해 물품의 지지반송을 행할 수 있고, 그 때에 피가이드체가 가이드장치군에 안내되어서 물품 횡측밀기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 횡측밀기체군에 의해 물품을 횡측밀기해서 옆쪽으로 옮기게 된다.
또 다른 종래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42220호에 나타내어져 있는 구성이 제공되고 있다. 즉, 슬랫은, 상위의 평판부와, 이 평판부의 양단으로부터 아랫쪽으로 연장되는 측판부로 이루어지고, 측판부의 하단으로부터는 내측으로의 굽힘부가 수평상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내부에는 한쌍의 보강 벽부가 평판부로부터 수직설치되어 있다.
또한 또 다른 종래예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평6-115680호 공보에 나타내어져 있는 구성이 제공되고 있다. 즉, 체인에 있어서의 링크를 연결하는 연결축이 길게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슬랫의 끝면에 부착부재가 부착되고, 이 부착부재의 판부에 형성된 통부에, 체인의 연결축이 압입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예(일본 특허공개 2003-128235호 공보)의 구성에 의하면, 물품 횡측밀기체는 상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와 저판재의 판두께가 균일하므로, 예를 들면 무거운 물품을 횡측밀기해서 옆쪽으로 옮길 때 등의 횡측밀기 편하중에 의해, 이 물품 횡측밀기체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이것에 대해서는, 상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와 저판재의 모든 판두께를 두껍게 하면 좋지만, 이것에 의하면 물 품 횡측밀기체의 전체를 중량화시키게 된다.
또한 물품 횡측밀기체의 저판재에 형성된 피가이드부는 물품지지체측의 양 다리판부 사이에 있어서, 이들 다리판부의 하단, 즉, 끼워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하단부분에 끼워맞춰져서 슬라이딩 안내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피가이드부의 상면과 물품적재판부와 하면 사이에는 큰 간극이 생기고 있다. 따라서, 물품 횡측밀기체의 왕복 이동시에 있어서 가이드부가 요동되거나, 자세(방향)를 크게 변화시킬 우려가 있어, 그 왕복 이동을 안정되게 행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다른 종래예(일본 실용신안공개 평5-42220호)의 구성에 의하면, 굽힘부가 수평상인 것이나, 그 수직 절단상의 유단에 다른 물건이 걸리기 쉬운 것으로 됨과 아울러, 설편상이므로 충분한 강도는 기대할 수 없다.
또한, 상기한 종래예(일본 특허공개 2003-128235호 공보)의 구성에 의하면, 사이드부재측의 연결부에 특정의 링크핀이 삽입 결합됨으로써, 물품지지체가 무단체인에 연결되는 것이다. 또 상기한 또 다른 종래예(일본 특허공개 평6-115680호 공보)의 구성에 의하면, 부착부재측의 통부에 연결축이 압입 고정됨으로써, 슬랫이 체인에 연결되는 것이며, 어느 것에 있어서나, 결합상태의 유지는 어려운 것이 된다. 즉 사용시에 있어서, 예를 들면 물품지지체(슬랫)나 무단체인(체인)이 옆진동 상태로 되는 등해서, 삽입 결합부(압입 고정부)에 해제력이 작용했을 때, 물품지지체(슬랫)에 대해서 무단체인(체인)이 이간되어, 그 결합상태가 흐트러지게 된다. 그 결과, 무단체인(체인)의 회동이 원활하게 행해지지 않고, 요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나 스프로킷으로부터의 빠짐 등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제1목적으로 하는 바는, 물품 횡측밀기체의 전체의 강도업을 중량화시키지 않고 꾀할 수 있는 전환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목적으로 하는 바는, 물품 횡측밀기체의 왕복 이동시를, 그 가이드부가 요동되거나, 자세(방향)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행할 수 있는 전환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3목적으로 하는 바는, 물품지지체를, 다른 물건이 걸리기 어렵고, 또한 충분한 강도를 형성할 수 있는 전환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목적으로 하는 바는, 물품의 배출 이동을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는 전환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목적으로 하는 바는, 무단회동체와 물품지지체의 결합상태를 항상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전환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6목적으로 하는 바는, 반전시에 있어서의 무단회동체의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는 전환설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술한 제1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를 갖고,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는 상기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상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는 일부의 판두께를 불균일하게 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본 제1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군을 주반송경로 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지지체군상에 공급한 물품을 주반송경로 상에서 반송시킬 수 있고, 그리고,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횡측밀기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횡측밀기해서 주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으로 보낼 수 있다. 그 때에, 물품 횡측밀기체에 있어서의 상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의, 일부의 판두께의 변화에 의해 이 물품 횡측밀기체의 전체의 강도업을 중량화시키지 않고 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무거운 물품이라해도 물품 횡측밀기체를 변형시키지 않고 횡측밀기해서 옆쪽으로 옮길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전판재와 후판재는, 상판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판재와 후판재를,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를 점차 두껍게 함으로써, 물품 횡측밀기체의 강도업을 꾀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전판재와 후판재는, 상판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판재와 후판재를,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판두께를 점차 두껍게 함으로써, 물품 횡측밀기체의 강도업을 꾀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로 구성되고, 물품 횡측밀기체는 상기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물품지지체의 전판부와 후판부는 물품적재판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점차 접근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판재와 후판재는 상판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지지체의 전판부와 후판부를,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도록 내측 경사상(내측 수축상)으로 함으로써, 전판부와 후판부의 외측에 스페이스를 생기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스페이스를 이용해서, 전판재 및 후판재의 상단부분의 두께에 대해서 하단부분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 횡측밀기체의 전후길이를 길게(대형화)하지 않고, 이 물품 횡측밀기체의 전체의 강도업을 꾀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에서는,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로 구성되고, 물품 횡측밀기체는 상기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상방에 설치된 횡측밀기 작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 횡측밀기체를 변형되기 어려운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강도업을 꾀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5실시형태에서는, 전판재와 후판재는, 상판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를 갖고, 이 저판재는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에 연속해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5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판재와 후판재를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를 점차 두껍게 하는 동시에, 저판재를,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에 연속해서 두껍게 함으로써, 물품 횡측밀기체의 강도업을 꾀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6실시형태에서는, 저판재는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에 연속되는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6실시형태에 의하면, 저판재를 중앙부분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를 점차 두껍게 함으로써, 물품 횡측밀기체의 강도업을 보다 강고하게 꾀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7실시형태에서는, 물품지지체에는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중간부로부터 주반송경로의 방향으로 한쌍의 다리판부가 연이어 설치됨과 아울러, 이들 다리판부 사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물품 횡측밀기체는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의 상면측에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7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 횡측밀기체의 왕복 이동은, 그 피가이드부를 다리판 사이에 형성한 가이드부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항상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본 제1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8실시형태에서는, 물품지지체에는 전판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전위 원호부와, 후판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후위 원호부가 형성되고, 물품 횡측밀기의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가 양 원호부에 하방으로부터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8실시형태에 의하면, 전판부와 후판부의 하단은, 원호부로 형성함으로써 다른 물건에 걸리기 어렵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상술한 제2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2발명의 전환설비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중간부로부터 상기 주반송경로의 방향으로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된 다리판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로 구성됨과 아울러, 물품적재판부와 한쌍의 다리판부 사이에 의해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에는 저판재의 상면측에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본 제2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군을 주반송경로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주반송경로상에서 반송할 수 있고, 그리고,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횡측밀기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횡측밀기해서 주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으로 보낼 수 있다. 그 때에, 물품 횡측밀기체의 왕복 이동은, 그 피가이드부를, 물품적재판부와 다리판 사이에 의해 변형되기 어렵게 형성한 가이드부에 끼워맞춘 상태에서, 즉, 바람직한 슬라이딩 마찰이 생긴 상태에서, 변형 등에 의한 요동이 없고, 또한 자세(방향)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항상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는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 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와, 이 저판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다리판부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상판재의 상방에 설치된 횡측밀기 작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 횡측밀기체를 변형되기 어려운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가이드부를 안정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가이드부는 물품적재판부와 양 다리판부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개방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가이드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의해 전후 가이드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향면에 의해 하위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물품적재판부의 하향면에 의해 상위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피가이드부는 각 가이드면에 의해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에 대한 물품 횡측밀기체의 왕복 이동은, 피가이드부의 전후부가 전후 가이드면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피가이드부의 하부가 하위 가이드면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피가이드부의 상부가 상위 가이드면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로, 항상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의 피가이드부측에는 물품지지체에 있어서의 물품적재판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상향 탄성체와, 앞부분의 다리판부에 내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전향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 횡측밀기체를 이동시킬 때에, 물품 횡측밀기체가 물품의 횡측밀기 이동을 행하지 않고 무부하상태일 때, 또는 가벼운 물품을 횡측밀기 이동시키는 경부하상태일 때 등에는 상향 탄성체를 물품적재판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그 탄성반발력에 의한 밀어 내리는 힘에 의해 피가이드부를 가이드부에 밀착시키고, 전향 탄성체를 앞부분의 다리판부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하고, 그 탄성반발력에 의한 뒤로 미는 힘에 의해 피가이드부를 뒷부분의 다리판부에 밀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지지체에 대한 물품 횡측밀기체의 왕복 이동은, 상향 탄성체가 물품적재판부에 하방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전향 탄성체가 앞부분의 다리판부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동시에, 피가이드부의 다른 개소가 가이드부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에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 물품 횡측밀기체가 무거운 물품의 횡측밀기 이동을 행하고 있는 중부하상태일 때에는 그 횡측밀기 편하중에 의해 물품지지체에 대해서 물품 횡측밀기체가 조금 변위되고, 물품에의 접촉측에 있어서는, 상향 탄성체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피가이드부가 상승해서 물품적재판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또 물품에의 접촉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는, 전향 탄성체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피가이드부가 앞부분의 다리판부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지지체에 대한 물품 횡측밀기체의 왕복 이동은, 피가이드부나 상향 탄성체가 물품적재판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피가이드부나 전향 탄성체가 앞부분의 다리판부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피가이드부가 뒷부분의 다리판부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에서,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본 제2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의 하부측에는 본체 프레임측의 가이드장치에 안내되는 피가이드체가 부착되고, 이 피가이드체는, 그 상부를 피가이드부의 중앙부에 매입해서 지지시킴으로써 수직 설치된 지지축의 돌출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지지축의 지지부를 양 다리판부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즉 물품지지체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피가이드체를 양 다리판부에 접근해서 배치할 수 있고, 물품 횡측밀기체 자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축은, 충분히 높이를 취할 수 있는 피가이드부 사이에 있어서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3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3발명의 전환설비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중간부로부터 상기 주반송경로의 방향으로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사이에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다리판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이 전판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전위 원호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와, 이 후판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후위 원호부로 구성되고,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에는 양 원호부가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저판재의 상면측에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횡측밀기 작용부가 설치되고, 양 원호부는 양 다리판부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본 제3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군을 주반송경로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주반송경로상에서 반송할 수 있고, 그리고,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횡측밀기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횡측밀기해서 주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으로 보낼 수 있다. 그 때에, 물품 횡측밀기체의 왕복 이동은, 그 피가이드부를 다리판 사이에 형성한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서 가이드하는 상태에서, 즉, 바람직한 슬라이딩 마찰이 생긴 상태에서, 요동이 없고, 또한 자세(방향)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항상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전판부와 후판부의 하단은, 원호부로 형성함으로써, 다른 물건에 걸리기 어렵게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양 원호부를 양 다리판부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가이드부를 보호해서 데미지를 없앨 수 있다.
본 제3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는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해서 양 원호부에 하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저판재 와, 이 저판재의 상면측에 형성되고 또한 물품지지체측의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상판재의 상방에 설치된 횡측밀기 작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 횡측밀기체를, 변형되기 어려운 직사각형 통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음과 아울러, 피가이드부를 안정되게 위치시킬 수 있다.
상술한 제4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4발명의 전환설비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를 갖고,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른 상향의 볼록형상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물품 횡측밀기체측에는 상기 볼록형상부에 상방으로부터 대향되는 오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형상부의 상부가 편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본 제4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군을 주반송경로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주반송경로상에서 반송할 수 있고, 그리고,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횡측밀기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횡측밀기해서 주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으로 보낼 수 있다. 그 때에, 물품을, 볼록형상부군의 편평면 사이에서 지지하고 또한 편평면상을 슬라이딩할 수 있으므로, 그 배출 이동은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물품지지체측을 마모시키지 않고, 소기의 배출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제3, 제4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른 하향의 볼록형상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피가이드부의 상면은 상기 볼록형상부에 하방으로부터 대향되는 피가이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형상부의 하부가 편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물품 횡측밀기체를 물품에 횡측밀기 작용시켜서 주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으로 보낼 때에, 물품 횡측밀기체군은, 피가이드면이 편평면상을 슬라이딩하므로, 그 배출 이동은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 횡측밀기체를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물품지지체측을 마모시키지 않고, 소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제5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5발명의 전환설비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사이드 브래킷이 부착되고, 이들 사이드 브래킷에는 길이방향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통형상 연결부가 설치되고, 이 통형상 연결부에 있어서의 삽입구멍의 내단측 형성부분은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설편부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설편부에는 내향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 연결부의 삽입구멍에 대해서 상기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외측으 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이 돌출부에는 상기 내향 볼록부가 탄성결합 가능한 외향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본 제5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군을 주반송경로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주반송경로상에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 연결부의 삽입구멍에 대해서 돌출부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설편부군의 내향 볼록부를 외향 오목부에 대해서 탄성결합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을 통해 무단회동체에 연결할 수 있다. 이렇게, 내향 볼록부를 외향 오목부에 대해서 탄성결합시킴으로써, 무단회동체와 물품지지체의 결합상태를 항상 바람직하게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무단회동체의 회동을 항상 원활하게 행할 수 있고, 요동에 의한 소음의 발생이나 바퀴체로부터의 빠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제5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에서는, 물품지지체에는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1실시형태에 의하면, 시단부의 물품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품을 주반송경로상에서 반송할 수 있고, 그리고,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으로 물품 횡측밀기체를 이동시킴으로써, 물품을 횡측밀기해서 주반송경로의 측부 바깥쪽으로 보낼 수 있다.
본 제5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연결부는 사이드 브래킷측에 설치된 통형상체에 내측에서 끼울 수 있게 구성되고, 통 형상체의 내주면측에는 환형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통형상 연결부의 설편부에는 상기 환형 홈에 탄성결합 가능한 외향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2실시형태에 의하면, 통형상체내에 대해서 통형상 연결부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설편부군의 외향 볼록부를 환형 홈에 대해서 탄성결합시킴으로써 통형상체에 대해서 통형상 연결부를 내측에서 끼우는 형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사이드 브래킷측에 통형상 연결부를 셋트할 수 있다.
본 제5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3실시형태에서는, 통형상 연결부는 수지제이며, 그 외단에는 통형상체의 외단면에 접촉 가능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3실시형태에 의하면, 통형상체내에 대해서 통형상 연결부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플랜지부를 통형상체의 외단면에 접촉시킴으로써 통형상체에 대해서 통형상 연결부를 위치 결정할 수 있음과 아울러, 수지제의 통형상 연결부에 의해, 특히 반전시에 있어서의 회전 저항이나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제5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4실시형태에서는, 사이드 브래킷과 통형상 연결부와 설편부군이,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4실시형태에 의하면, 사이드 브래킷과 통형상 연결부와 설편부군을, 수지에 의한 일체성형에 의해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제5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제5실시형태에서는, 무단회동체 는 무단체인으로 이루어지고, 링크간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한 긴 연결핀에 의해 돌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제5실시형태에 의하면, 무단체인에 있어서의 특정의 긴 연결핀을 통형상 연결부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을 통해 무단체인에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제6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제6발명의 전환설비는,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사이드 브래킷이 부착되고, 이들 사이드 브래킷의 외면측에서 전후부의 한쪽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또한 길이방향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통형상 연결부가 설치되고, 이 통형상 연결부의 삽입구멍에 대해서 상기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외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브래킷의 전후부의 다른쪽에는 내외 양측방과 다른쪽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오목상의 끼워맞춤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끼워맞춤부는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통형상 연결부측에 외측에서 끼울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끼워맞춤부와 통형상 연결부측의 끼워맞춤면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의 본 제6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양 무단회동체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군을 주반송경로상에서 이동시킴으로써, 시단부의 물품지지체군 상에 공급한 물 품을 주반송경로상에서 반송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 연결부의 삽입구멍에 대해서 돌출부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함으로써, 물품지지체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을 통해 무단회동체에 연결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각 사이드 브래킷의 끼워맞춤부를,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통형상 연결부측에 외측에서 끼울 수 있다. 그리고 무단회동체가 반전할 때, 전후의 사이드 브래킷 사이가 상대적으로 신축되는 상태로 되고,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부와 통형상 연결부측이 슬라이딩 이동하지만, 그 때에 끼워맞춤면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이동으로 되므로, 예를 들면 끼워맞춤면이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이동에 비해,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제6발명의 전환설비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는, 끼워맞춤부와 통형상 연결부측의 재질이 철제와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이 실시형태에 의하면, 끼워맞춤부와 통형상 연결부측은 철과 수지의 슬라이딩 이동으로 되어, 저렴하고 바람직하게 구성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 1∼도 20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2∼도 4, 도 7, 도 16, 도 17에 있어서 1은 본체 프레임이며, 양측에 각각 상하 한쌍으로 설치된 프레임재(10,20)와, 상하 및 좌우의 프레임재(10,20) 사이를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재(2)와, 하위 프레임재(20)로부터 하방으로 연이어 설치된 다리체(3)군 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중간 프레임재(2)는 세로연결재(4)나 가로연결재(5) 등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상위 프레임재(10)는, 알루미늄의 성형품에 의해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중앙부에 상방으로의 기립부(11)를 형성하고, 이 기립부(11)의 상부외측에 노치상의 단차부(12)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단차부(12)측이며 기립부(11)의 상부에 상향의 수용면(11a)을 형성하고, 또 기립부(11)의 상부내측에 상향 홈형상의 윤활유 수용부(13)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상위 프레임재(10)에는 기립부(11)에 있어서의 수용면(11a)의 상부위치에 외향 개미홈(14)이, 외측의 단차부(12)의 위치에 상향 개미홈(15)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에는 내측 하향 개미홈(16)과 외측 하향 개미홈(17)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위 프레임재(10)에는 내측의 윤활유 수용부(13)보다 조금 하방의 위치로부터 안쪽으로 왕로측 가이드 레일부(18)가 돌출되고, 이 왕로측 가이드 레일부(18)는 물품지지체(후술한다.)의 지지 안내용이 된다.
여기에서 왕로측 가이드 레일부(18)는, 그 상면에 의해 상향 지지면(18a)이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면에 의해 내측으로의 횡향 안내면(18b)이 형성되고, 그리고 상향 지지면(18a)으로부터 윤활유 수용부(13)측으로 상승되는 경사 규제면(18c)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왕로측 가이드 레일부(18)의 부분에는 하향 개미홈(19)이 형성된다. 또, 윤활유 수용부(13)나 개미홈(14∼17,19)이나 왕로측 가이드 레일부(18) 등은, 상위 프레임재(10)의 성형시에 길이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그 때에 기립부(11)의 상단(11b)은, 윤활유 수용부(13)의 형성에 필요한 높이로 되고, 이로써 왕로측 가이드 레일부(18)의 상향 지지면(18a)은, 상기 기립부(11)의 상단(11b)에 대해서 조금 하방의 위치(같거나 조금 하방의 위치)로 되어 있 다. 이상의 11∼19 등에 의해 상위 프레임재(1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하위 프레임재(20)는, 알루미늄의 성형품에 의해 단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단에 내측 상향 개미홈(21)과 외측 상향 개미홈(22)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단에 내측 하향 개미홈(23)과 외측 하향 개미홈(24)이 형성된다. 또한 하위 프레임재(20)에는 중간부의 내측에 상향 홈형상의 윤활유 수용부(25)가 형성됨과 아울러, 안쪽으로 복로측 가이드 레일부(26)가 돌출되고, 이 복로측 가이드 레일부(26)는 물품지지체의 지지 안내용이 된다.
여기에서 복로측 가이드 레일부(26)는, 그 상면에 의해 상향 지지면(26a)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향 지지면(26a)으로부터 윤활유 수용부(25)측으로 상승되는 경사 규제면(26b)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복로측 가이드 레일부(26)의 부분에는 하향 개미홈(27)이 형성된다. 또한 복로측 가이드 레일부(26) 등에 의해 형성되는 단차부(28)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상단 연장부(29)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로써 상단 연장부(29)의 내측면에 의해 횡향 안내면(29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횡향 안내면(29a)은, 상기 복로측 가이드 레일부(26)의 내측면(26c)보다, 소정 길이(L)만큼 내측에 위치되어 있다. 이들 개미홈(21∼24,27)이나 복로측 가이드 레일부(26), 상단 연장부(29) 등은, 하위 프레임재(20)의 성형시에 길이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된다. 이상의 21∼29 등에 의해 하위 프레임재(20)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중간 프레임재(2)는, 상위 프레임재(10)의 양 하향 개미홈(16,17)에 판형상의 너트체(6)를 위치시켜 두고, 그리고 중간 프레임재(2)의 세로연결재(4)나 가로연결재(5)에 대해서 하방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7)를 너트체(6)에 나사결합 해서 체결함으로써 상위 프레임재(10)와 일체화되고, 또 하위 프레임재(20)의 양 상향 개미홈(21,22)을 이용함으로써, 상술과 마찬가지로 너트체(6)와 볼트체(7)에 의해 하위 프레임재(20)에 일체화된다. 이 중간 프레임재(2)는 양 프레임재(10,20)의 길이방향에 있어서 소정간격을 두고 복수개가 설치된다. 또 상기 다리체(3)는 하위 프레임재(20)의 하향 개미홈(23,24)을 이용하여, 너트체(6)와 볼트체(7)에 의해 하위 프레임재(20)에 연결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해서 구성된 본체 프레임(1)의 시단부에는 좌우방향의 종동축(3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또 종단부에는 좌우방향의 구동축(31)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종동축(30)이나 구동축(31)은, 양 프레임재(10,20) 사이에 설치된 좌우 한쌍의 지지부재(32)에, 각각 베어링장치(3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축(31)에 연동 연결된 구동장치(34)는, 전동기(35)와, 이것에 일체화된 감속기(36)로 이루어지고, 이 감속기(36)의 출력부가 상기 구동축(31)에 연동되어 있다.
상기 종동축(30)과 구동축(31)의 양단에서 서로 대향부 사이에는 스프로킷(바퀴체의 일례)(38,39)을 통해 무단체인(무단회동체의 일례)(4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스프로킷(38,39)은, 상기 지지부재(32)의 내측에 설치되어서 종동축(30)이나 구동축(31)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기 무단체인(40)은 링크(41)와 연결핀(42)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무단체인(40)은, 왕로측에 있어서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 위치되고, 또 복로에 있어서 윤활유 수용부(25)의 상방에서 단차부(28)내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좌우의 무단체인(40) 사이에 물품지지체(50)가 다수 부착되 어 있다.
이 때에, 상기 무단체인(40)측으로부터의 돌출부, 즉 상기 연결핀(42)군 중, 소정 피치간격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한 긴 연결핀(돌출부의 일례)(43)이 물품지지체(50)의 부착에 사용되고, 그리고 상기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의 선단에는 환형의 외향 오목부(4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물품지지체(50)는, 도 1∼도 9, 도 16, 도 17에 나타내듯이, 양 무단체인(40)의 이동방향이 되는 주반송경로(45)에 대해서 직교한 방향을 길이방향(51)으로 해서 설치되어 있다. 이 물품지지체(50)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54)와, 이 물품적재판부(54)의 하면중간부(이면중간부분)로부터 상기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길이방향(51)을 따른 다리판부(55,56)와, 물품적재판부(54)의 전단으로부터 하방과 후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57)와, 이 전판부(57)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전위 원호부(57A)와, 물품적재판부(54)의 후단으로부터 하방과 전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58)와, 이 후판부(58)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후위 원호부(58A)에 의해, 하면측 개방형의 레일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54)는 상면(표면)(54a)에 길이방향(51)을 따른 상향의 볼록형상부(52)를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3조(복수조) 형성함과 아울러, 하면(이면)의 중간부분에 길이방향(51)을 따른 하향의 볼록형상부(53)를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4조(복수조)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상향의 볼록형상부(52)군의 상부는 편평면(52a)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양 다리판부(55,56) 사이에 위치되는 하향의 볼록형상부(53)군의 하부도 편평면(53a)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은, 서로 대향하는 측(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두께부로 형성되고, 이로써 양 다리판부(55,56) 사이이며 또한 물품적재판부(54)의 하면중간부 사이에,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개방되는 홈형상의 가이드부(59,60)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가이드부(59,60)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의해 전후 가이드면(59a,60a)이 형성됨과 아울러, 두께부의 상면에 의해 하위 가이드면(59b,60b)이 형성되어 있다. 또 상위 가이드면은, 상기 물품적재판부(54)의 하향면인 상기 볼록형상부(53)군의 편평면(53a)에 의해 형성된다.
또 전판부(57)와 후판부(58)는,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 점차 접근하도록 내측 경사형상으로 되고, 그리고 전위 원호부(57A)와 후위 원호부(58A)는 2분할된 통형상이며,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됨과 아울러, 그 하면(외면)은 하향 원호면(57a,58a)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전판부(57)와 후판부(58)의 하단에 전위 원호부(57A)와 후위 원호부(58A)를 형성함으로써, 이들 전판부(57)와 후판부(58)의 하단을, 다른 물건에 걸리기 어렵게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전위 원호부(57A)와 후위 원호부(58A)를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시킴으로써 가이드부(59,60)를 보호해서 데미지를 없앨 수 있다. 또,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에는 하방으로 개방되는 홈형상의 나사결합부(55A,56A)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52∼60 등에 의해 물품지지체(50)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러한 하면측 개방형의 레일형상으로 구성된 물품지지체(50)에 의하면, 전체를 경량으로 형성할 수 있는 동시에, 저 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구성된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에는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이 삽입 결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들 사이드 브래킷(61)은 철제로 이루어지고, 도 4∼도 8, 도 15에 나타내듯이,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긴 본체부(62)의 내면측의 상부에서 전후의 2개소에, 안쪽으로 돌출되는 판형상의 삽입부(63)가 설치되고, 그리고 삽입부(63) 사이에는 관통구멍(6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62)에 있어서의 중간 하부에는 안쪽으로의 돌출편(62A)이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브래킷(61)의 외면측에서 앞부분의 1개소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통형상체(65)가, 그 내단의 소경부분을 삽입해서 용접함으로써 부착되며, 또한 뒷부분에는 두께 상당분만큼 구부려서 변형시켜, 내외 양측방과 후방으로 개방되는 오목형상의 끼워맞춤부(6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체(65)에는 통형상 연결부(67)가 내측에서 끼워지고, 이 통형상 연결부(67)의 내주면에 의해 길이방향(51)의 삽입구멍(68)이 형성되어 있다. 즉 통형상 연결부(67)는, 그 외단에 플랜지부(67A)가 형성되고, 그리고 통형상 연결부(67)에 있어서의 삽입구멍(68)의 내단측 형성부분은 둘레방향으로 4개(복수)로 분할되어서 설편부(67B)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 설편부(67B)의 내단에는 내향 볼록부(67C)가 형성됨과 아울러, 조금 외측에는 외향 볼록부(67D)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통형상 연결부(67)는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또, 상기 통형상체(65)의 내면측에는 상기 외향 볼록부(67D)가 탄성결합 가능한 환형 홈(65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형성된 사이드 브래킷(61)은,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물품적재판부(54)와 전판부(57) 또는 후판부(58)에 의해 형성된 전후 한쌍의 공간부에 한쌍의 삽입부(63)를 끼워넣고, 이어서, 관통구멍(64)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69)를 나사결합부(55A,56A) 중 어느 하나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50)의 양단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체(65)에 대해서 통형상 연결부(67)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해서 안에서 끼우고, 그 플랜지부(67A)를 통형상체(65)의 외단면에 접촉시킴과 아울러, 설편부(67B)군의 외향 볼록부(67D)를 환형 홈(65A)에 대해서 탄성결합시킴으로써 통형상체(65)에 대해서 연결부(67)를 안에서 끼우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어서, 통형상 연결부(67)의 삽입구멍(68)에 대해서 상기 무단체인(40)측으로부터의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을 외측으로부터 끼워넣고, 설편부(67B)군의 내향 볼록부(67C)를 외향 오목부(44)에 대해서 탄성결합시켜서, 긴 연결핀(43)을 통형상 연결부(67)에 결합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50)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 무단체인(40)에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좌우 한쌍의 무단체인(40) 사이에 다수의 물품지지체(50)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사이드 브래킷(61)의 통형상체(65)에는 수지제의 링체(75)가 외측에서 끼워져 있으며, 이 링체(75)에 대해서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61)에 있어서의 끼워맞춤부(66)가 외측에서 끼워지게 된다. 즉, 끼워맞춤부(66)와 통형상 연결부(67)측의 링체(75)의 끼워맞춤면이 다른 재질, 즉 철제와 수지제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통형상체(65)에는 외주부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피가이드부 재의 일례이며, 베어링형식이나 롤러형식 등으로 이루어진다.)(70)가 외측에서 끼워지고, 이들 회전체(70)는 상기 본체 프레임(1)측의 양 가이드 레일부(18,26)의 상향 지지면(18a,26a)에 지지 안내된다. 또 상기 돌출편(62A)에는 외주부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롤러(피안내부재의 일례)(71)가 세로축(72)을 통해 아이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사이드 롤러(71)는, 상기 본체 프레임(1)측의 가이드 레일부(18)의 횡향 안내면(18b)에 안내된다.
이렇게, 회전체(70)를 왕로측 가이드 레일부(18)로 지지 안내하고 있을 때, 무단체인(40)은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 위치된다. 이 때, 가이드 레일부(18)의 상향 지지면(18a)이, 상기 기립부(11)의 상단(11b)보다 조금 하방의 위치로 되어 회전체(70)를 지지 안내하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써 상기 상단(11b)은, 긴 연결핀(43)에 의한 연결축심(회전체(70)의 중심)(43A)보다 하방에 또한 무단체인(무단회동체)(40)의 하면(40a)보다 하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무단체인(40)은, 그 하면(40a)을 기립부(11)의 상단(11b)보다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로써 무단체인(40)을 길이방향(51)으로 이동시킨(휘어지게 한) 긴 연결핀(43)의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빼는 것은, 기립부(11)에 방해되지 않고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각 물품지지체(50)에는 이 물품지지체(50)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됨으로써 길이방향(51)으로 이동 가능한 물품 횡측밀기체(80)가 설치되고, 이들 물품 횡측밀기체(80)는, 하위의 직사각형 통형상부분과 상위의 횡측밀기 작용부(85)로 구성되어 있다. 즉 도 1∼도 14에 나타내듯이, 각 물품 횡측밀기체(80)는, 상기 물품 적재판부(54)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편평상의 상판재(81)와, 이 상판재(81)의 전단으로부터 하방과 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전판부(57)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82)와, 상기 상판재(81)의 후단으로부터 하방과 전방으로 연장됨으로써 후판부(58)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83)와, 전판재(82)와 후판재(83)의 하단 사이에 위치됨으로써 전위 원호부(57A)나 후위 원호부(58A)에 하측(하방)으로부터 대향되는 편평상의 저판재(84)에 의해 직사각형 통형상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판재(81)의 상면측(상방)에 횡측밀기 작용부(85)가 설치되어 있다. 즉 횡측밀기 작용부(85)는, 상판재(81)의 전단부(81A)를 제외한 나머지부(편평형상부)의 상방을 덮는 천판재(86)와, 이 천판재(86)를 상판재(81)에 연결하는 전후 한쌍(단수 또는 복수)의 좌우방향 리브판재(87), 및 좌우 중앙(단수 또는 복수)의 전후방향 리브 판재(88)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리브 판재(87,88)군에 의해 횡측밀기 작용부(85)의 강도업을 꾀하고 있다.
이 때에, 상판재(81)의 전단부(81A)와 천판재(86)의 상면을 측면에서 봤을 때(상면형상), 전단부(81A)의 부분은, 오목원호형상이며 또한 작은 경사로 점차 상승하는 새의 부리형상의 시단 오목형상 상면(시단 상면의 일례)(81a)으로 형성되고, 천판재(86)의 앞부분은, 직선형상이며 또한 시단 오목형상 상면(81a)보다 큰 경사각도로 점차 상승하는 경사형상 상면(86a)으로 형성되고, 천판재(86)의 중간부는 볼록원호형상이며 점차 상승하는 앞측 볼록원호형상 상면(86b)과, 볼록원호형상이며 또한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뒤측 볼록원호형상 상면(86c)으로 형성되고, 천판재(86)의 후단부분은, 볼록원호형상이며 또한 급격하게 하강하는 코너면(86d)과, 볼록원호형상이며 급격하게 하강하는 볼록원호형상 후면(86e)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상부는 전후방향의 중간부분이 앞측아래쪽으로의 경사형상 상면(86a)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경사형상 상면(86a)에 연결되어 전단부분에는 상기 경사형상 상면(86a)에 대해서 각도가 완만한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과 경사형상 상면(86a)과 앞측 볼록원호형상 상면(86b)과 뒤측 볼록원호형상 상면(86c)과 코너면(86d)과 볼록원호형상 후면(86e)은 앞부분으로부터 뒷부분으로, 이 순서대로 연속해서 형성되게 된다.
이 연속형성에 의해, 측면에서 볼 때 전체를 곡면화해서 외관이 좋게 할 수 있다. 또 천판재(86)의 후단부분을 볼록원호형상의 코너면(86d)으로 함으로써, 예를 들면 전환설비의 전후로 반입용이나 반출용의 반송수단(벨트컨베이어 장치 등이며 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었을 때에, 오동작 등에 의해 반전중의 물품 횡측밀기체(80)가 벨트 등에 접촉하려고 했을 때, 코너면(86d)이 접촉함으로써 벨트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천판재(86)의 상면에서, 전단부(81A)와 천판재(86)의 경계부분, 및 상기 좌우방향 리브판재(87)의 상방위치에는 오목부(89)가 좌우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횡측밀기 작용부(80)를 수지성형했을 때에, 좌우방향 리브판재(87)군의 부분에 전체길이에 걸쳐서 발생되는 오목부(89)군을 유효하게 이용해서, 디자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판재(81)의 전단부(81A)와 천판재(86)(횡측밀기 작용부(85))를 평면 에서 볼 때(측면형상), 전단부(81A)의 좌우 모서리부는 볼록원호형상의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그 후단에 연속해서 오목원호형상이며 또한 급격하게 들어가는 오목원호형상 측면(81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천판재(86)의 양측면은, 오목원호형상 측면(81c)에 연결되는 전단부가 폭이 넓고 또한 폭이 점차 좁혀져서 폭좁은 후단부가 되도록, 즉 기립형상이며 또한 앞부분에 대해서 뒷부분이 다른 측면측으로 경사진 횡향 경사면(86f)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천판재(86)는, 평면에서 볼 때 경사각도(θ)가 30°인 사다리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판재(81)의 전단부(81A)를 제외한 부분이나 리브 판재(87,88)군은 사다리꼴 판형상내에 수용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횡향 경사면(86f)의 부분에는 그 횡측밀기 접촉면(90a)이 평면에서 볼 때 요철형상이며 또한 고무판 등으로 이루어지는 횡측밀기 접촉부재(90)가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횡측밀기 접촉부재(90)는, 횡측밀기 작용부(85)로부터 상판재(81)에 걸친 측면을 덮는 형상, 즉 상면은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상면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 부착상태에 있어서는, 전단부분이 오목원호형상 측면(81c)에 접촉되고, 그 요철형상의 횡측밀기 접촉면(90a)에 있어서의 볼록형상 측면부(외측면)가 상기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연결되는 두께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횡측밀기 접촉부재(90)의 내측면측에서 전후 3개소(전후 복수개소)로부터는, 횡측밀기 작용부(85)의 공동부에 삽입 가능한 각각 변형 통형상의 돌출부(91)가 일체로 형성되고, 이들 돌출부(91)의 편평상의 하면으로부터는 걸림부(92) 가 하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 상판재(81)에는 걸림부(92)군이 결합 가능한 결합 구멍부(93)군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결합 구멍부(93)는, 좌우방향 리브판재(87)를 피하는 상태에서, 좌측의 전후 3개소(전후 복수개소)와 우측의 전후 3개소(전후 복수개소)에 형성되어 있지만, 그 때에 좌측열의 결합 구멍부(93)군과 우측열의 결합 구멍부(93)군은 전후방향으로 서로 엇갈린 형상(위치어긋난 형상)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횡측밀기 접촉부재(90)는, 횡측밀기 작용부(85)의 공동부에 돌출부(91)를 삽입하고, 걸림부(92)군을 결합 구멍부(93)군에 결합시킴으로써, 그 내측면을 횡향 경사면(86f)에 접촉시키고, 횡측밀기 접촉면(90a)의 볼록형상 측면부를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연결되는 상태로 하고, 또한 횡측밀기 접촉면(90a)을 앞부분에 대해서 뒷부분이 다른 측면측으로 30°의 경사각도(θ)로 경사시킨 상태에서, 횡측밀기 작용부(85)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할 수 있다. 그 때에 걸림부(92)군의 결합 구멍부(93)군으로의 결합에 의해, 횡측밀기 접촉부재(90)의 부착을 강고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좌측열과 우측열을 전후방향으로 서로 엇갈린 형상으로 한 것에 의해, 횡측밀기 접촉부재(90)의 수지성형에 의한 형성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86∼93 등에 의해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일례가 구성된다.
상기 저판재(84)의 상면측에는 양 다리판부(55,56)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상향 돌출형상의 피끼워맞춤부(95)가 연이어 설치되고, 이 피끼워맞춤부(95)의 상반부는 상반되는 측(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두께부로 형성되고, 이들 두께부에 의해, 상기 가이드부(59,60)에 끼워맞춰져서 슬라이딩안내되는 피가이드부(96,97)가 형성되어 있다. 즉, 피가이드부(96,97)의 상단부에서 상반되는 면(외측면)에 의해, 전후 가이드면(59a,60a)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전후 피가이드면(96a,97a)이 형성됨과 아울러, 하면에 의해, 하위 가이드면(59b,60b)에 슬라이딩 안내되는 하위 피가이드면(96b,97b)이 형성되고, 그리고 두께부의 상면에 의해, 상기 볼록형상부(53)의 편평면(53a)에 하방으로부터 대향되어서 슬라이딩 안내되는 상위 피가이드면(96c,97c)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80)는 전후의 피가이드부(96,97)를 통해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가이드부(59,60)에 끼워맞춰져서 가이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평면에서 볼 때(상면형상에 있어서),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상판재(81)나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천판재(86)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단부가 폭이 넓고 또한 폭이 점차 좁혀서져 후단부가 폭이 좁은 사다리꼴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전판재(82)는, 원호형상 측면(81b)에 의한 좁힘에 의해 상판재(81)의 전단부보다 조금 폭이 좁은 폭넓이의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고, 후판재(83)는, 상판재(81)의 폭이 좁은 후단부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상반부(83A)와, 점차 폭이 넓어져서 전판재(82)에 있어서의 조금 폭이 좁은 폭넓이와 같은 폭이 되는 사다리꼴형상 하반부(83B)에 의해 역 T자형상으로 형성되고, 저판재(84)는, 전판재(82)와 후판재(83)의 하단에 연결되는 폭넓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사다리꼴 판형상의 상판재(81)나 천판재(86)에 대해서 직사각형 판형상의 저판재(84)이 길이방향(51)의 양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으로 되고, 이것에 의해, 전위 원호부(57A)의 하향 원호면(57a)이나 후위 원호부(58A)의 하향 원호면(58a)에 대한 대향폭을 넓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피끼워맞춤부(95)는 평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51)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앞부분의 피가이드부(96)는 저판재(84)와 같은 폭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또 뒷부분의 피가이드부(97)는 저판재(84)의 폭에 대해서 폭을 넓게 하고, 이것에 의해 돌출되는 부분에 의해 피스토퍼부(99)를 형성하고 있다. 그 때에 피스토퍼부(99)가 사이드 브래킷(61)에 있어서의 본체부(62)의 내측면에 접촉됨으로써, 길이방향(51)의 이동한도가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피스토퍼부(99)의 접촉면은 직선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것은 바깥쪽으로 볼록한 볼록형상 원호면이어도 좋다.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80)의 피가이드부(96,97)측에는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물품적재판부(54)에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상향 탄성체와, 앞부분의 다리판부(55)에 내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전향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다. 즉, 피끼워맞춤부(95)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부분에서 양 피가이드부(96,97) 사이에는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한쌍의 슬릿(100)을 통해 상향 설편체(상향 탄성체의 일례)(101)가 형성되고, 이들 상향 설편체(101)는 상하 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양 상향 설편체(101)의 유단에는 상방으로의 접촉부(101a)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101a)가 피끼워맞춤부(95)의 상면보다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물품적재판부(54)에 하방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앞부분의 피가이드부(96)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부분에는 상하방향으로 한쌍의 슬릿(102)을 통해 전향 설편체(전향 탄성체의 일례)(103)가 형성되고, 이들 전향 설편체(103)는 전후방향으로 탄성변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양 전향 설편체(103)의 유단에는 전방으로의 접촉부(103a)가 형성되고, 이 접촉부(103a)가 전후 피가이드면(96a)보다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써, 앞부분의 다리판부(55)에 내측으로부터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물품 횡측밀기체(80)에 있어서, 상판재(81)와 전판재(82)와 후판재(83)는, 일부의 판두께를 불균일하게 해서 형성되어 있다. 즉, 전판재(82) 및 후판재(83)는, 상판재(81)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중심측)을 향해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지지체(50)의 전판부(57)와 후판부(58)가, 물품적재판부(54)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접근하도록 내측 경사형상(내측 좁힘형상)이므로, 그것에 의해서 생긴 스페이스를 이용해서, 전판재(82) 및 후판재(83)의 상단부분의 두께(t)에 대해서 하단부분의 두께(T1)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저판재(84)의 두께(T2)는 전판부(57)와 후판부(58)의 하단부분의 두께(T1)에 연속되어서 두껍게 형성됨과 아울러, 전판재(82)와 후판재(83)의 하단에 연속되는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비어있는 곳(84A)을 사이에 두고 실질의 판두께(T3)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t<T1≒T2<T3]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두께의 변화에 의해,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전후길이를 길 게(대형화)하지 않고, 이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전체의 강도업을 꾀하고 있다.
그 때에 저판재(84)는, 중앙부가 편평한 두께부이며 또한 주변이 전후단 및 좌우단으로부터 점차 두꺼워지는 경사부로 형성되어 있지만, 그 하면(84a)은 전체적으로 편평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다른 물건과의 걸림을 없앨 수 있다. 또한,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80)에 있어서의 상판재(81)측의 하면에는 상기물품지지체(50)의 물품적재판부(54)에 형성된 볼록형상부(52)에 상방으로부터 대향되는 3개의 홈부(104)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의 81∼104 등에 의해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러한 물품 횡측밀기체(80)는, 횡측밀기 접촉부재(90)를 제외하고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80)의 하부측에는 상기 피끼워맞춤부(95)를 이용해서 피가이드체가 부착된다. 즉 상기 피끼워맞춤부(95)의 중앙부, 즉 피가이드부(96,97) 사이의 중앙부로부터 롤러축(지지축의 일례)(107)이, 그 상부를 매입성형에 의해 지지시킴으로써 수직설치되고, 이 롤러축(107)의 돌출하부에, 가이드롤러(피가이드체의 일례)(108)가 아이들링 가능하게 부착되고, 이로써 가이드롤러(108)는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이면 바깥쪽에 위치된다.
이렇게 롤러축(107)의 상부를 피가이드부(96,97) 사이의 중앙부에 매입성형에 의해 지지시킴으로써 이 롤러축(107)의 지지부를 양 다리판부(55,56) 사이에 위치시킬 수 있고, 즉 물품지지체(50)의 하단인 원호부(57A,58A)보다 상방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것에 의해 가이드롤러(108)를 원호부(57A,58A)에 접근시켜 배치할 수 있어, 물품 횡측밀기체(80) 자체의 높이를 낮게 할 수 있다. 또한 롤러축(107) 은, 충분하게 높이를 취할 수 있는 피가이드부(96,97) 사이에서 강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 도 3, 도 18, 도 19에 나타내듯이, 상기 본체 프레임(1)의 중간 프레임재(2)에 있어서의 상위의 가로연결부재(5)에는 상기 가이드롤러(108)의 안내를 행하는 왕로 가이드장치(110)가 설치되고, 또 하위의 가로연결부재(5)에는 복로 가이드장치(116)가 설치된다. 그리고 중앙의 분기부에는 왕로측의 상부 전환수단(130)과 복로측의 하부 전환수단(131)이 설치되고, 또한 왕로측의 선단 부근에는 좌우 한쌍의 분할수단(132A,132B)이 설치된다.
상기 왕로 가이드장치(110)는, 시단부의 양측에 각각 좌우 한쌍으로 설치한 시단 가이드부(111A,111B)와, 이들 시단 가이드부(111A,111B)의 종단에 상기 분할수단(132A,132B)을 통해 대향하고, 또한 하측일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내측이동 가이드부(112A,112B)와, 이들 내측이동 가이드부(112A,112B)의 종단에 상기 상부 전환수단(130)을 통해 대향하고, 또한 하측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외측이동 가이드부(113A,113B)와, 이들 외측이동 가이드부(113A,113B)의 종단에 대향해서 설치된 각각 좌우 한쌍의 종단 가이드부(114A,114B)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복로 가이드장치(116)는, 하측일수록 내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내측이동 가이드부(117A,117B)와, 이들 내측이동 가이드부(117A,117B)의 종단에 상기 하부 전환수단(131)을 통해 대향하고, 또한 하측일수록 외측으로 경사진 좌우 한쌍의 외측이동 가이드부(118A,118B)로 이루어진다.
상기 왕로 가이드장치(110)의 시단 가이드부(111A,111B)나 종단 가이드부 (114A,114B), 및 상기 복로 가이드장치(116)의 외측이동 가이드부(118A,118B)는 상위의 가로연결부재(5)에 고정된 브래킷(120)과, 이 브래킷(120)에 서로 대향하는 상태로 부착된 가이드체(121) 및 가이드판(122)으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가이드체(121)는 알루미늄의 압출성형품으로 이루어지고, 또 가이드판(122)은 수지제로 이루어지고, 이들 가이드체(121)와 가이드판(122)의 서로 대향면 사이에 가이드롤러(108)가 위치된다.
또 상기 왕로 가이드장치(110)의 내측이동 가이드부(112A,112B)나 외측이동 가이드부(113A,113B) 및 상기 복로 가이드장치(116)의 내측이동 가이드부(117A,117B)는, 상기 가이드체(121)를 하위의 가로연결부재(5)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고정함으로써 구성되고, 이 가이드체(121)의 측면에 의해 가이드롤러(108)가 안내된다. 또 도 16에 나타내듯이, 시종의 반전부에서 가이드롤러(108)의 안내를 행하도록, 양 축(30,31)의 부분에는 가이드롤러(108)의 끼워맞춤을 허용하는 반전 가이드체(135A,135B,136A,136B)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도 4에 나타내듯이, 상기 상위 프레임재(10)(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서, 무단체인(40)을 설치함과 아울러 왕로측 가이드 레일부(18)를 형성해서 이루어지는 부분에, 무단체인(40)이나 회전체(70)의 상방을 폐쇄상태로 하기 위한 커버체(체인커버)(140)가 배치된다. 이 커버체(140)는, 측판부(141)와, 이 측판부(141)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직각형상으로 절곡된 상판부(142)에 의해, 단면 역 L자형상의 레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때에 측판부(141)는, 하위 기립판부(141A)와, 상위일수록 내측이 되는 중간 경사판부(141B)와, 상위 기립판부(141C)로 이루 어지고, 또 상판부(142)는, 수평상의 횡판부(142A)와, 내측일수록 하위가 되는 내단 경사부(142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측판부(141)와 상판부(142)가 이루는 코너부(143)의 내면측에 오목부(14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커버체(140)는, 하위 기립판부(141A)를 기립부(11)에 대해서 외측으로부터 접촉시킴과 아울러, 하위 기립판부(141A)의 하단을 수용면(11a)에 상방으로부터 접촉시킨 상태에서, 하위 기립판부(141A)의 하단부분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145)를 외향 홈부(14)내에 미리 위치시킨 너트체(146)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상위 프레임재(10)의 기립부(1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때에, 상판부(142)에 있어서의 횡판부(142A)의 최상면(142a)은, 물품적재판부(54)의 상면(54a)과 면일치형상의 레벨이며 또한 편평면(52a)보다 약간 낮은 위치로 되고, 또 내단 경사부(142B)의 경사 상면(142b)은, 물품적재판부(54)의 상면(54a)에 대해서 하강되는 낮은 위치로 되어 있다.
도 4, 도 6, 도 16에 나타내듯이, 본체 프레임(1)의 양측 바깥쪽에는 주반송경로(45)에 대해서 바깥쪽과 아래쪽으로 경사진 분기경로(150A,150B)를 형성하는 분기 컨베이어(151A,151B)가 설치된다. 이들 분기 컨베이어(151A,151B)는, 컨베이어 프레임(152)에 다수의 롤러(153)를 지지시킴으로써 구성되고, 그 때에 컨베이어 프레임(152)이나 롤러(153)는 그 끝부를 상위 프레임재(10)의 단차부(12)내에 위치시키고, 또한 커버체(140)의 측판부(141)에 충분히 접근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여기에서 분기경로(150A,150B)의 분기 반송면(150a,150b)은, 물품적재판부(54)의 상면(54a)이나 횡판부(142A)의 최상면(142a)과 면일치형상의 레벨로 되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 프레임(152)의 끝부에는 커버체(140)의 예측할 수 없는 이동을 저지하기 위한 규제체(155)가 설치되고, 이 규제체(155)는 그 내단이 측판부(141)의 상위 기립판부(141C)에 접촉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에 규제체(155)는, 긴구멍(156)에 상방으로부터 통과된 나사체(157)를 컨베이어 프레임(152)측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규제위치를 조정 가능하게 해서 컨베이어 프레임(152)측에 연결되어 있다. 또 상위 프레임재(10)의 상향 개미홈(15) 등을 분기 컨베이어(151A,151B)와의 연결에 이용해도 좋다. 160은 물품을 나타낸다.
이하에, 상기한 제1실시예에 있어서, 전환설비의 조립, 및 물품(160)의 반송, 분기작용을 설명한다.
전환설비의 시공시 등에 있어서, 본체 프레임(1)을 틀형상으로 조립하고, 그리고 본체 프레임(1)에 무단체인(40)이나 물품지지체(50) 등을 구비시킨 후, 양 상위 프레임재(10)의 상단에 커버체(140)를 설치시킨다.
즉, 물품지지체(50)에 형성한 전후 한쌍의 공간부에 사이드 브래킷(61)의 한쌍의 삽입부(63)를 삽입하고, 물품지지체(50)의 끝면측에 사이드 브래킷(61)의 내면측을 접촉시킨 후, 관통구멍(64)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69)를 나사결합부(55A,55B)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것에 의해, 물품지지체(50)의 양단에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할 수 있고, 그 때에, 양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하기 전, 또는 한쪽의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한 후에, 물품지지체(50)에 대해서 물품 횡측밀기체(80)를 외측에서 끼운다.
또한, 양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하기 전, 또는 양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한 후에, 이들 사이드 브래킷(61)측에, 통형상 연결부(67)나 회전체(70)나 사이드 롤러(71)를 셋트한다. 즉, 통형상체(65)내에 대해서 통형상 연결부(67)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그 플랜지부(67A)를 통형상체(65)의 외단면에 접촉시켜서 위치 결정함과 아울러, 설편부(67B)군의 외향 볼록부(67D)를 환형 홈(65A)에 대해서 탄성결합시킴으로써 통형상체(65)에 대해서 연결부(67)를 내측에서 끼우는 형태로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사이드 브래킷(61)측에 통형상 연결부(67)를 셋트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체(65)에 회전체(70)를 외측에서 끼움과 아울러, 돌출편(62A)에 세로축(72)을 통해 사이드 롤러(71)를 아이들링 가능하게 부착한다.
이렇게 하여, 물품지지체(50)의 양단에 사이드 브래킷(61)을 부착한 후, 무단체인(40)에 있어서의 특정의 긴 연결핀(43)을 통형상 연결부(67)에 삽입 결합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50)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 무단체인(40)에 연결할 수 있다. 즉 도 5에 나타내듯이, 무단체인(40)의 소정개소를 외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휘어지게 함으로써) 이 소정개소를 기립부(11)의 상방을 통과해서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로써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을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 위치시킨다.
그리고,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과 통형상 연결부(67)의 삽입구멍(68)을 서로 대향시킨 후, 삽입구멍(68)에 대해서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을 외측에서 끼워넣고, 설편부(67B)군의 내향 볼록부(67C)를 외향 오목부(44)에 대해서 탄성결합시킴으로써 긴 연결핀(43)을 사이드 브래킷(61)에 결합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지지체(50)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 무 단체인(40)에 연결할 수 있다. 그 때에 긴 연결핀(43)의 외측으로부터 삽입(연결)은, 기립부(11)에 방해되지 않고, 작업성을 좋게 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또, 긴 연결핀(43)의 외측으로의 뽑아내기(연결해제)도, 마찬가지로, 기립부(11)에 방해되지 않고, 작업성을 좋게 해서 용이하고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좌우 한쌍의 무단체인(40) 사이에 다수의 물품지지체(50)를 부착할 수 있다. 그 때에, 사이드 브래킷(61)의 끼워맞춤부(66)는,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61)에 있어서의 통형상체(65)에 외측에서 끼워지게 된다.
계속해서, 양 상위 프레임재(10)의 상단에 커버체(140)를 설치시킨다. 즉, 하위 기립판부(141A)를 기립부(11)에 대해서 외측으로부터 접촉시키고, 하위 기립판부(141A)의 하단을 수용면(11a)에 상방으로부터 접촉시킨 상태에서, 하위 기립판부(141A)의 하단부분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145)를 외향 홈부(14)내에 미리 위치시킨 너트체(146)에 나사결합시킴으로써 상위 프레임재(10)의 기립부(11)에 대해서 착탈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그 때에, 상판부(142)에 있어서의 횡판부(142A)의 최상면(142a)을, 물품적재판부(54)의 상면(54a)과 면일치형상의 레벨이며 또한 편평면(52a)보다 약간 낮은 위치로 할 수 있고, 또 내단 경사부(142B)의 경사 상면(142b)을, 물품적재판부(54)의 상면(54a)에 대해서 하강시킨 낮은 위치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관계는, 하위 기립판부(141A)의 하단을 수용면(11a)에 상방으로부터 접촉시키고 있는 것에 의해, 항상 일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물품지지체(50)의 부착이나 커버체(140)의 설치를 행하기 전후에, 본체 프레임(1)측에, 왕로 가이드장치(110), 복로 가이드장치(116), 상부 전환수단(130), 하부 전환수단(131), 분할수단(132A,132B) 등을 설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전환설비를 조립할 수 있다.
이렇게 조립한 전환설비는, 구동장치(34)의 전동기(35)를 작동시키고, 감속기(36)에 연동한 구동축(31)을 통해 스프로킷(39)을 강제 회전시킴으로써 양 무단체인(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 양 무단체인(40)의 이동에 의해 물품지지체(50)군을, 회전체(70)를 통해 양 가이드 레일부(18,26)의 상향 지지면(18a,26a)에 지지 안내시킴과 아울러, 사이드 롤러(71)를 통해 양 가이드 레일부(18,26)의 횡향 안내면(18b,29a)으로 안내시킴으로써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에 복로측에 있어서는, 회전체(70)의 상방에 상단 연장부(29)가 위치함으로써, 이 회전체(70)의 들뜸을 저지시킬 수 있고, 이로써 물품지지체(50)군을 상하로 요동없이 안정된 상태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물품지지체(50)군이 순환 이동하므로, 시단부의 물품지지체(50)군 위에 공급한 물품(160)을 주반송경로(45) 상에서 반송할 수 있다.
또 반송시에 있어서, 왕로에서의 양 무단체인(40)의 이동은, 커버체(140)의 하방이며 또한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서 행해지고, 또 복로에서의 양 무단체인(40)의 이동은, 상단 연장부(29)의 하방이며 또한 윤활유 수용부(25)의 상방에서 행해진다.
이러한 반송을 행할 때에, 물품지지체(50)군과 일체적으로 이동하는 물품 횡 측밀기체(80)는, 그 가이드롤러(108)가 가이드장치군(110,116)에 안내됨으로써, 피가이드부(96)를 통해 물품지지체(50)의 길이방향(51)으로 왕복 이동하거나, 물품지지체(50)와 함께 주반송경로(45)를 따라 직선형상으로 이동한다.
즉, 예를 들면 한쪽의 시단 가이드부(111A)에 안내되고 있는 가이드롤러(108)는, 분할수단(132A)이 직선형상 분할자세일 때에 직진 안내되고, 그리고 가이드 작용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 직진한 후 종단 가이드부(114A)에 안내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 횡측밀기체(80)는 물품(160)에 작용하지 않고, 이 물품(160)은 주반송경로(45) 위를 직진형상으로 반송된다. 또 반대측도 마찬가지이며, 시단 가이드부(111B)의 가이드롤러(108)는 분할수단(132B)으로부터 종단 가이드부(114B)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한쪽의 시단 가이드부(111A)에 안내되고 있는 가이드롤러(108)는, 분할수단(132A)이 경사형상 분할자세일 때에 내측으로 경사 안내되고, 그리고 내측이동 가이드부(112A)에 안내되어서 내측으로 이동된 후, 상부 전환수단(130)을 통해 외측이동 가이드부(113B)로 이동되고, 이 외측이동 가이드부(113B)에 안내되어서 외측으로 이동된 후 종단 가이드부(114B)로 안내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 횡측밀기체(80)군은,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반송경로(45)를 가로지르게 되고, 이로써 다른측의 횡측밀기 작용부(85)가 물품(160)에 횡측밀기 작용해서, 이 물품(160)을, 그 방향을 바꾸면서, 주반송경로(45)에 대해서 경사형상으로 분기 이동시켜서, 다른쪽의 분기 컨베이어(151B)에 보내게 된다.
또 반대측도 마찬가지이며, 시단 가이드부(111B)의 가이드롤러(108)는, 분할 수단(132B), 내측이동 가이드부(112B), 상부 전환수단(130), 외측이동 가이드부(113A), 종단 가이드부(114A)로 안내되고, 물품 횡측밀기체(80)군의 한쪽의 횡측밀기 작용부(85)가, 횡측밀기 접촉부재(90)를 통해 물품(160)에 횡측밀기 작용해서, 이 물품(160)을 한쪽의 분기 컨베이어(151A)에 보내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해서 종단 가이드부(114A,114B)의 끝부에 도달한 가이드롤러(108)는 반전 가이드체(136A,136B)에 안내되어서 반전된다. 그리고 복로 가이드장치(116)에 있어서는, 우선 내측이동 가이드부(117A,117B)에 안내되어서 중앙부 로 이동되고, 계속해서 하부 전환수단(131)에 의해 좌우로 나뉘어진 후, 외측이동 가이드부(118A,118B)의 안내에 의해 외측으로 이동된다. 그 후에, 반전 가이드체(135A,135B)에 안내되어서 반전된 후, 시단 가이드부(111A,111B) 중 어느 하나로 이동된다.
이러한 반전 시에, 전후의 사이드 브래킷(61) 사이가 상대적으로 신축되는 상태로 되고, 이것에 의해 끼워맞춤부(66)와 링체(75)가 슬라이딩 이동하지만, 그 때에 철제의 끼워맞춤부(66)와 수지제의 링체(75)의 슬라이딩 이동, 즉 끼워맞춤면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이동이므로, 예를 들면 끼워맞춤면이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슬라이딩 이동에 비해, 마모나 소음의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횡측밀기체(80)를 이동시킬 때에, 물품 횡측밀기체(80)가 횡측밀기 이동을 행하지 않고 무부하상태일 때, 또는 가벼운 물품(160)을 횡측밀기 이동시키는 경부하상태일 때에는 양 상향 설편체(101)의 접촉부(101a)가 볼록형상부(53)의 편평면(53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그 탄성반발력에 의한 밀 어내리는 힘에 의해 하위 피가이드면(96b,97b)을 하위 가이드면(59b,60b)에 밀착시킴과 아울러, 양 전향 설편체(103)의 접촉부(103a)가 가이드부(59)의 전후 가이드면(59a)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하고, 그 탄성반발력에 의한 뒤로 밀어내는 힘에 의해 전후 피가이드면(97a)을 가이드부(60)의 전후 가이드면(60a)에 밀착시키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지지체(50)의 길이방향(51)에 대한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왕복 이동은, 접촉부(101a)가 편평면(53a)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하위 피가이드면(96b,97b)이 하위 가이드면(59b,60b)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접촉부(103a)가 전후 가이드면(59a)에 탄성적으로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전후 피가이드면(97a)이 전후 가이드면(60a)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 물품 횡측밀기체(80)가 무거운 물품(160)의 횡측밀기 이동을 행하고 있는 중부하상태일 때에는 그 횡측밀기 편하중에 의해 물품지지체(50)에 대해서 물품 횡측밀기체(80)가 조금 변위하게 된다. 즉, 물품(160)에의 접촉측에 있어서는, 상향 설편체(101)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피가이드부(96,97)가 상승해서 상위 피가이드면(96c,97c)이 볼록형상부(53)의 편평면(53a)에 하방으로부터 접촉하고, 또 물품(160)에의 접촉측과는 반대측에 있어서는, 전향 설편체(103)의 탄성력에 저항해서 전후 피가이드면(96a)이 전후 가이드면(59a)에 내측으로부터 접촉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물품지지체(50)의 길이방향(51)에 대한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왕복 이동은, 상위 피가이드면(96c,97c)이나 접촉부(101a)가 편평면(53a)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하위 피가이드면(96b,97b)이 하위 가이드면(59b,60b)에 접 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전후 피가이드면(96a)이나 접촉부(103a)가 전후 가이드면(59a)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고, 전후 피가이드면(97a)이 전후 가이드면(60a)에 접촉해서 슬라이딩 접촉하는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이들에 의해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왕복 이동은, 전후의 피가이드부(96,97)를 통해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가이드부(59,60)에 끼워맞춰져서 가이드되는 상태에서, 즉, 바람직한 슬라이딩 마찰이 발생된 상태에서, 요동이 없이, 또한 자세(방향)를 크게 변화시키지 않고, 항상 안정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설편체(101,103)군을 길이방향(51)의 양단으로 나누어서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이동은, 왕복 중 어디에 있어서나 동일한 바람직한 슬라이딩 마찰이 발생된 상태에서 행할 수 있다.
또한 물품적재판부(54)의 하면에 하향의 볼록형상부(53)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볼록형상부(53)의 하부를 편평면(53a)으로 형성하고, 그리고 피가이드부(96,97)의 상면을, 편평면(53a)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상위 피가이드면(96c,97c)으로 형성하고 있는 것에 의해, 물품 횡측밀기체(80)군의 길이방향(51)으로의 이동시에는 상위 피가이드면(96c,97c)이 편평면(53a)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그 이동은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 횡측밀기체(80)를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물품지지체(50)측을 마모시키지 않고, 소기의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횡측밀기체(80)군이 반송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반송경로(45)를 가로지름으로써, 횡측밀기 작용부(85)를 물품(160)에 횡측밀기 작용 시켜서, 이 물품(160)을 분기 이동시키고, 분기 컨베이어(115A,151B)에 보내고 있지만, 그 때에 물품(160)은, 볼록형상부(52)군의 편평면(52a) 사이에서 지지되고, 또한 편평면(52a) 위를 슬라이딩 이동하므로, 그 분기 이동은 마찰저항이 적은 상태에서 행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160)을 손상시키지 않고, 또한 물품지지체(50)측을 마모시키지 않고, 소기의 분기 이동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리고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측부는 전단부(81A)의 좌우 모서리부가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되고, 이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횡측밀기 접촉면(90a)이 연결되는 상태에서 횡측밀기 접촉부재(9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횡측밀기 작용부(85)에 있어서의 측부의 대략 전체길이를 횡측밀기 작용면으로 할 수 있고, 이로써 안정된 횡측밀기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전후의 물품 횡측밀기체(80)에 있어서의 횡측밀기 작용부(85) 사이의 간극(S)(도 6 참조)을 작게 해서, 물품(160)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에서 소기의 횡측밀기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상부는 전후방향의 중간부분이 앞측아래쪽으로의 경사형상 상면(86a)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 경사형상 상면(86a)에 연결되어 전단부분에는 상기 경사형상 상면(86a)에 대해서 각도가 완만한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횡측밀기 개시시에 있어서, 전후의 물품 횡측밀기체(80) 사이에서 물품(160)을 끼워넣는 상태가 되었을 때, 이 물품(160) 밑에, 우선 각도가 완만한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이 원활하게 잠입하고, 그리고 물품(160)을 경사형상 상면(86a)에 의해 들어 올리는 상태가 된다. 이 것에 의해, 끼워넣기가 없는 상태에서 소기의 횡측밀기 이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160)이나 물품 횡측밀기체(8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전단부(81A)의 좌우 모서리부가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물품(160)의 아래로의 잠입은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물품 횡측밀기체(80)군이 반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주반송경로(45)를 가로지름으로써, 횡측밀기 작용부(85)를 물품(160)에 횡측밀기 작용시켜서, 이 물품(160)을 분기 이동시키고, 분기 컨베이어(151A,151B)에 나뉘어져서 보내지고 있지만, 이 때 물품지지체(50)상의 물품(160)은, 무단체인(40)의 상방을 폐쇄상태로 하기 위해 상위 프레임재(10)에 고정한 커버체(140)의 상방을 타넘음으로써 물품(160)에 부착되어 있던 진애 등이 무단체인(40)측으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에, 커버체(140)의 최상면(142a)을, 상기 물품지지체(50)의 상면(54a)과 면일치형상의 레벨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분기경로(150A,150B)의 분기 반송면(150a,150b)을 최상면(142a)과 면일치형상의 레벨에 위치시키고 있음으로써, 물품지지체(50)측으로부터의 물품(160)은, 최상면(142a)으로부터 분기 반송면(150a,150b)으로, 상하로 요동하지 않고 원활하게 분기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물품(160)의 손상이나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140)의 내단부분을 상면(54a)에 대해서 하강시키는 경사 상면(142a)으로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예를 들면 물품(160) 자체가 연질의 것이나, 물품(160)의 포장체가 연질의 것이며, 그 휘어짐에 의해 상면(54a)에 쳐지는 형상으로 접촉하고 있었다해도, 분기 이동시에 상면(54a)으로부터 최상면(142a)으로 이행할 때에, 우선 경사 상면(142a)에 의해 받쳐져서 최상면(142a) 측으로 안내되게 되고, 이로써 아래로 쳐진 부분이 커버체(140) 밑으로 들어가지 않고, 이 커버체(140) 위를 확실하게 분기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140)의 측판부(141)와 상판부(142)가 이루는 코너부(143)의 내면측에 오목부(144)를 형성하고 있음으로써 물품지지체(50)측으로부터의 물품(160)이 최상면(142a)에 접촉했을 때에 큰 충격이 있었을 때, 상판부(142)가 오목부(144)를 통해 구부러진 형상으로 되고, 이로써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 21∼도 23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즉,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길이방향(51)의 양단에는 각각 사이드 브래킷(171)이 삽입 결합 등에 의해 부착된다. 이들 사이드 브래킷(171)은, 주반송경로(45)의 방향으로 긴 본체부(172)의 내면측의 상부에서 전후의 2개소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직사각형 통형상의 삽입부(173)가 설치되고, 그리고 삽입부(173) 사이에는 관통구멍(17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172)에 있어서의 중간의 하부에는 안쪽으로의 돌출편(172A)이 절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사이드 브래킷(171)의 외면측에서 앞부분의 1개소에는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통형상 연결부(175)가 형성되고, 또한 뒷부분에는 내외 양측방과 후방으로 개방되는 오목형상의 끼워맞춤부(17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통형상 연결부(175)의 외단부분은 내측으로 돌출되는 두께부분(175A)으로 형성되고, 두께부분(175A)의 내주면에 의해 삽입구멍(17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구멍(177)이 연속되는 상태에서, 두께부분(175A)의 내단으로부터 안쪽으로 통형부가 연이어 설치되고, 이 통형부는 둘레방향으로 4개(복수)로 분할되어서 설편부(175B)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설편부(175B)의 내단에는 내향 볼록부(175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통형상 연결부(175)의 내면측에는 수용부(178)가 둘레방향의 4개소(복수개소)로부터 축심방향으로 연이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사이드 브래킷(171)이나 통형상 연결부(175)나 설편부(175B)군 등은 수지에 의해 일체성형되어 있으며, 이로써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상의 172∼178 등에 의해 사이드 브래킷(171)의 일례가 구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사이드 브래킷(171)은,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물품적재판부(54)와 전판부(57) 또는 후판부(58)에 의해 형성된 전후 한쌍의 공간부에 한쌍의 삽입부(173)가 삽입되고, 계속해서, 관통구멍(174)에 외측으로부터 통과시킨 볼트체(69)를 나사결합부(55A,56A) 중 어느 하나에 나사 결합시킴으로써 물품지지체(50)의 양단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통형상 연결부(175)의 삽입구멍(177)에 대해서 상기 무단체인(40)측으로부터의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을 외측으로부터 삽입하고, 설편부(175B)군의 내향 볼록부(175C)를 외향 오목부(44)에 대해서 탄성결합시켜서, 긴 연결핀(43)을 통형상 연결부(175)에 결합함으로써 물품지지체(50)의 양단을, 각각 사이드 브래킷(171)을 통해 무단체인(40)에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좌우 한쌍의 무단체인(40) 사이에 다수의 물품지지체(50)를 부착할 수 있다. 이 때, 사이드 브래킷(171)의 끼워맞춤부(176)는, 인접한 사이드 브래킷(171)에 있어서의 통형상 연결부(175)에 외 측에서 끼워지게 된다. 또, 긴 연결핀(43)이 필요 이상으로 삽입되려고 했을 때에, 수용부(178)에 접촉해서 저지되게 된다.
상기 통형상 연결부(175)에는 외주부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체(피가이드부재의 일례이며, 베어링형식이나 롤러형식 등으로 이루어진다.)(180)가 외측에서 끼워지고, 이들 회전체(180)는 상기 본체 프레임(1)측의 양 가이드 레일부 (18,26)의 상향 지지면(18a,26a)에 지지 안내된다. 또 상기 돌출편(172A)에는 외주부가 우레탄으로 이루어지는 사이드 롤러(피안내부재의 일례)(181)가 세로축(182)을 통해 아이들링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사이드 롤러(181)는 상기 본체 프레임(1)측의 가이드 레일부(18)의 횡향 안내면(18b)에 안내된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상부를, 전후방향의 중간부분이 앞측아래쪽으로의 경사형상 상면(86a)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 경사형상 상면(86a)에 연결해서 전단부분에는 상기 경사형상 상면(86a)에 대해서 각도가 완만한 시단 상면을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경사형상 상면(86a)과 시단 상면을 동일한 각도로 연속해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시단 상면을, 오목원호형상이며 또한 작은 경사로 점차 상승하는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으로 형성하고, 경사형상 상면(86a)을, 직선형상이며 또한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보다 큰 경사각도로 점차 상승하도록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시단 오목원호형상 상면(81a)을 직선형상 상면이나 볼록원호형상 상면으로 형성한 형식이나, 경사형상 상면(86a)을 오목 또는 볼록의 원호형상 상면으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상부에서 후단부분을 볼록원호형상의 코너면(86d)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직각형상 코너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상부로서, 오목원호형상이며 또한 작은 경사로 점차 상승하는 시단 상면(81a)과, 직선형상이며 또한 시단 상면(81a)보다 큰 경사각도로 점차 상승하는 경사형상 상면(86a)과, 볼록원호형상이며 또한 점차 상승하는 앞측 볼록원호형상 상면(86b)과, 볼록원호형상이며 또한 꼭대기부를 형성하는 뒤측 볼록원호형상 상면(86c)과, 볼록원호형상이며 또한 하강하는 코너면(86d)과, 볼록원호형상이며 또한 하강하는 볼록원호형상 후면(86e)을, 앞부분으로부터 뒷부분으로 연속해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상부의 전역을 연속된 원호형상면에 의해 형성한 형식이나, 상부의 전역을 복수의 직선형상면으로 연속해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측부로서, 전단부(81A)의 좌우 모서리부를 원호형상 측면(81b)으로 형성하고, 이 원호형상 측면(81b)의 후단에 횡측밀기 접촉면(90a)이 연결되는 상태로 횡측밀기 접촉부재(90)를 설치해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좌우 모서리부가 각진 형식이나, 원호형상 측면(81b)에 대해서 횡측밀기 접촉면(90a)을 평면에서 볼 때 오목 또는 볼록의 단차형상으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횡측밀기 작용부(85)의 경사진 횡향 경사면(86f)의 부분에, 횡측밀기 접촉부재(90)를 결합방식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부착한 형식이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횡향 경사면(86f)의 부분에 횡측밀기 접촉부재(90)를 접착이나 볼트 결합 등에 의해 고정하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횡측밀기 작용부(85)로서, 천판재(86)를 상판재(81)에 연결하는 좌우방향 리브판재(87)를 갖고, 천판재(86)의 상면에서 좌우방향 리브판재(87)의 상방위치에, 오목부(89)를 좌우방향의 전체길이에 걸쳐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오목부(89)를 좌우방향의 일부에 형성한 형식이나, 좌우방향 리브판재(87)가 존재하지 않는 형식이나, 좌우방향 리브판재(87)의 상방위치의 상면이 편평형상이나 볼록부를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평면에서 볼 때,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상판재(81)나 횡측밀기 작용부(85)의 천판재(86)를, 전단부가 폭이 넓고 또한 폭이 점차 좁혀져서 후단부가 폭이 좁은 사다리꼴 판형상으로 형성하고, 그리고 저판재(84)를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하고, 사다리꼴 판형상의 상판재(81)나 천판재(86)에 대해서 길이방향(51)의 양측에서 돌출시킨 형식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저판재(84)를, 사다리꼴 판형상의 상판재(81)나 천판재(86)에 아래에 수용되도록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80)의 후판재(84)를, 상판재(81)의 폭이 좁은 후단부에 연결되는 폭이 좁은 상반부(83A)와, 점차 폭을 넓힌 사다리꼴형상 하반부(83B)에 의해 역 T자형상으로 형성한 형식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후판재(84)의 전체를 사다리꼴형상으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는, 물품적재판부(54)의 하면중간부 로부터 한쌍의 다리판부(55,56)를 연이어 설치함으로써, 다리판부(55,56) 사이에 가이드부(59,60)를 형성하고, 물품 횡측밀기체(80)는, 저판재(84)의 상면측에 가이드부(59,60)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96,97)를 형성하고, 이 피가이드부(96,97)는 평면에서 볼 때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상이며, 저판재(84)의 폭에 대해서 돌출되는 부분에 의해, 길이방향(51)의 이동한도를 규제하는 피스토퍼부(99)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피가이드부(96,97)를 저판재(84)의 폭내에 포함시키고, 별개로 피스토퍼부를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80)에 있어서의 저판재(84)의 하면(84a)을 편평형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저판재(84)의 하면을 단차형상으로 형성한 형식이나, 이중바닥의 단차형상으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를, 편평형상의 물품적재판부(54)와, 물품적재판부(54)의 하면중간부로부터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하고 또한 사이에 가이드부(59,60)를 형성하는 다리판부(55,56)와, 물품적재판부(54)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57)와, 전판부(57)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전위 원호부(57A)와, 물품적재판부(54)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58)와, 후판부(58)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후위 원호부(58A)로 구성하고, 물품 횡측밀기체(80)에는 양 원호부(57A,58A)가 상측으로부터 대향하는 저판재(84)의 상면측에, 가이드부(59,60)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96,97)를 형성하고, 양 원호부(57A,58A)를 양 다리판부(55,56)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시켜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양 원호부(57A,58A)의 부분을 편평부로 형성한 형식, 양 원호부(57A,58A) 또는 편평부를, 양 다리판부(55,56)에 연결형상으로 한 형식, 양 원호부(57A,58A) 또는 편평부를, 양 다리판부(55,56)와 같은 레벨로, 또는 상방에 위치시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적재판부(54)의 상면(54a)에, 길이방향(51)을 따른 상향의 볼록형상부(52)를 형성함과 아울러, 물품 횡측밀기체(80)측에, 볼록형상부(52)에 상방으로부터 대향하는 홈부(104)를 형성하고, 볼록형상부(52)의 상부를 편평면(52a)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볼록형상과 오목홈을 반대로 한 형식, 볼록형상이나 오목홈을 형성하지 않은 형식, 볼록형상부(52)의 상부를 편평면으로 하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적재판부(54)의 하면에, 길이방향(51)을 따른 하향의 볼록형상부(53)를 형성함과 아울러, 피가이드부(96,97)의 상면을 볼록형상부(53)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는 피가이드면(96c,97c)으로 형성하고, 볼록형상부(53)의 하부를 편평면(53a)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것은, 볼록형상부(53)를 형성하지 않은 형식, 볼록형상부(53)의 상부를 편평면으로 하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의 한쌍의 다리판부(55,56) 사이에 가이드부(59,60)를 형성하고, 물품 횡측밀기체(80)에는 저판재(84)의 상면측에, 가이드부(59,60)에 끼워맞추는 피가이드부(96,97)를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양 다리판부(55,56)의 외측에 가이드부를 형성함과 아울러, 그것에 대응해서 저판재(84)측에 피가이드부를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가이드부(59,60)를, 물품적재판부(54)와 양 다리판부(55,56)에 의해, 서로 대향하는 측으로 개방되는 홈형상으로 형성하고, 양 가이드부(59,60)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의해 전후 가이드면(59a,60a)을 형성함과 아울러, 상향면에 의해 하위 가이드면(59b,60b)을 형성하고, 물품적재판부(54)의 하향면에 의해 상위 가이드면(53a)을 형성하고, 피가이드부(96,97)는, 각 가이드면(59a,60a,59b,60b,53a)에 의해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상위 가이드면(53a)을 물품적재판부(54)의 하향면과는 다르게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80)의 피가이드부(96)측에, 물품지지체(50)에 있어서의 물품적재판부(54)에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상향 탄성체(상향 설편체(101))와, 앞부분의 다리판부(55)에 내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전향 탄성체(전향 설편체(103))를 설치한 형식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은, 상향 탄성체와 전향 탄성체의 한쪽 또는 양쪽을 생략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또 상향 탄성체나 전향 탄성체로서는, 설편형상의 형식과는 달리, 돌기형상으로 형성한 형식이나, 다른 물건을 접합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80)의 하부측에, 본체 프레임(1)측의 가이드장치(110,116)에 안내되는 피가이드체(가이드롤러(108))를, 그 상부를 피가이드부(96,97)의 중앙부에 매입해서 지지시킴으로써 수직설치한 지지축(롤러축(107))의 돌출하부에 부착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물품 횡측밀기체(80)의 하부로부터 일체적으로 수직설치한 지지축부에 피가이드체를 부착한 형식 등이 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상판재(81)와 전판재(82)와 후판재(83)를, 일부의 판두께를 불균일하게 해서 형성하기 위해, 전판재(82)와 후판재(83)를, 상판재(81)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서로 대향측(물품 횡측밀기체(80)의 중심측)을 향해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상판재(81)와 전판재(82)와 후판재(83) 중, 어느 1개 또는 2개의 판재가 나머지 판재에 대해서 판두께가 두꺼워지도록 형성한 형식, 판두께를 처음부터 전체길이에 걸쳐 두껍게 형성한 형식, 전판재(82)와 후판재(83)를, 상판재(81)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상반되는 측을 향해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한 형식, 전판재(82)와 후판재(83)를, 상판재(81)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 같은 방향측을 향해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한 형식, 상판재(81)와 전판재(82)와 후판재(83)의 두께를 모두 같게 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의 전판부(57)와 후판부(58)를, 물품적재판부(5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점차 접근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고,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전판재(82)와 후판재(83)를, 상판재(81)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전판부(57)와 후판부(58)를, 물품적재판부(54)로부터 수직형상이며 하방으로 연장되도록 형성한 형식, 전판부(57)와 후판부(58)를, 물품적재판부(54)로부터 수직형상이며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전후의 같은 방향측을 향해서 점차 경사지도록 형성한 형식, 전판 부(57)와 후판부(58)를, 물품적재판부(54)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상반되는 측을 향해서 점차 이간되도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 횡측밀기체(80)의 전판재(82)와 후판재(83)를, 상판재(81)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함과 아울러, 전판재(82)와 후판재(83)의 하단 사이에 위치하는 저판재(84)를, 전판재(82)와 후판재(83)의 하단에 연속해서 두껍게 형성하고, 또한 저판재(84)를, 전판재(82)와 후판재(83)의 하단에 연속되는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비어있는 곳(84A)을 사이에 두고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저판재(84)를 얇게 형성한 형식, 저판재(84)의 판두께를 같은 두께로 형성한 형식, 저판재(84)를 이중바닥판으로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무단회동체(무단체인(40))의 상방을 폐쇄상태로 하기 위한 커버체(140)를 배치하고, 이 커버체(140)의 최상면(142a)을, 물품지지체(50)의 상면(54a)과 면일치형상의 레벨에 위치시킴과 아울러, 내단부분을 물품지지체(50)의 상면(54a)에 대해서 하강하는 경사 상면(142b)으로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커버체(140)의 최상면(142a)을, 물품지지체(50)의 상면(54a)에 대해서 하위의 레벨에 위치시킨 형식, 커버체(140)의 내단부분을 물품지지체(50)의 상면(54a)과 면일치형상의 레벨에 위치시킨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커버체(140)를, 측판부(141)와, 이 측판부(141)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직각형상으로 절곡된 상판부(142)에 의해 역 L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측판부(141)를 기립부(11)에 대해서 외측으로부터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1)측에 고정하고, 상판부(142)에 의해 최상면(142a)과 경사 상면(142b)을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측판부(141)의 상부로부터 안쪽으로 상향 볼록원호형상의 상판부를 연이어 설치해서, 볼록원호형상의 꼭대기부에 의해 최상면을 형성함과 아울러, 유단부분에서 경사 상면을 형성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는 기립부(11)의 외측에 위치해서 상향의 수용면(11a)을 형성하고, 커버체(140)는, 측판부(141)를 기립부(11)에 외측으로부터 접촉하고 또한 측판부(141)의 하단을 수용면(11a)에 접촉한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1)측에 고정하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수용면(11a)을 형성하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커버체(140)를, 측판부(141)와 상판부(142)에 의해 역 L자형상으로 형성하고, 상판부(142)에 의해 최상면(142a)과 경사 상면(142b)을 형성하고, 측판부(141)와 상판부(142)가 이루는 코너부(143)의 내면측에 오목부(144)를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오목부(144)를 형성하고 있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의 측바깥쪽에 주반송경로(45)에 대한 분기경로(150A,150B)를 설치하고, 이 분기경로(150A,150B)의 분기 반송면(150a,150b)을 커버체(140)의 최상면(142a)과 면일치형상의 레벨에 위치시킨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분기 반송면(150a,150b)을 최상면(142a)에 대해서 하 위의 레벨에 위치시킨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상방으로의 기립부(11)를 형성함과 아울러, 이 기립부(11)의 내측에 가이드 레일부(18)를 형성하고, 이 가이드 레일부(18)의 상향 지지면(18a)을, 기립부(11)의 상단(11b)에 대해서 같거나 조금 하방의 위치로 해서 피가이드부재(회전체(70))를 지지 안내하도록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가이드 레일부를 별개로 설치한 형식, 가이드 레일부(18)의 상향 지지면(18a)을, 기립부(11)의 상단(11b)보다 상당히 하방의 위치로 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를, 양단에 설치한 사이드 브래킷(61)을 통해 무단회동체(무단체인(40)) 사이에 부착하고, 본체 프레임(1)의 상부에 가이드 레일부(18)를 형성함과 아울러, 가이드 레일부(18)에는 상향 지지면(18a)과 내측으로의 횡향 안내면(18b)을 형성하고, 사이드 브래킷(61)측에, 상향 지지면(18a)에 지지 안내되는 피가이드부재(회전체(70))와, 횡향 안내면(18b)에 안내되는 피안내부재(사이드 롤러(71))를 설치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횡향 안내면(18b)과 피안내부재를 생략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피가이드부재가, 길이방향(51)을 따른 축심(연결축심(43A))의 둘레로 회전 가능한 회전체(70)로 이루어지고, 그 축심(연결축심(43A))에 대해서 하방에 기립부(11)의 상단(11b)이 위치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기립부(11)의 상단(11b)보다 축심(연결축심(43A))이 하방에 위치하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무단회동체(무단체인(40))의 하면(40a)보다 하방에 기립부(11)의 상단(11b)을 위치시킨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기립부(11)의 상단(11b)보다 무단회동체(무단체인(40))의 하면(40a)이 하방에 위치하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이 경우에 무단체인(40)에 있어서의 특정의 긴 연결핀(43)을 통형상 연결부(67)에 삽입 결합시키기 위해, 무단체인(40)의 소정개소를 들어 올림 등에 의해 조금 상승시키고, 그 하면(40a)을 기립부(11)의 상단(11b)보다 상방에 위치시킨 후, 외측으로 이동시킴(휘게 함)으로써 이 소정개소를 기립부(11)의 상방을 통과해서 외측으로 이동시키고, 이로써 긴 연결핀(43)의 돌출부분을 윤활유 수용부(13)의 상방에 위치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무단회동체로서 무단체인(40)을 채용하고, 링크(41) 사이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42) 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한 긴 연결핀(43)에 의해 돌출부를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무단체인(40)의 소정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형식이나, 소정개소에 돌출부를 형성한 무단벨트를 채용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의 양단에 부착한 사이드 브래킷(61)에, 삽입구멍(68)을 형성한 통형상 연결부(67)를 설치하고, 이 통형상 연결부(67)에 있어서의 삽입구멍(68)의 내단측 형성부분을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한 설편부(67B)로 형성함과 아울러, 이들 설편부(67B)에 내향 볼록부(67C)를 형성하고, 통형상 연결부(67)의 삽입구멍(68)에 대해서 무단회동체(무단체인(40))측으로부터의 돌출부(긴 연결핀(43))를 외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구성함과 아울러, 돌 출부에는 내향 볼록부(67C)가 탄성결합 가능한 외향 오목부(44)를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볼록부(67C)나 외향 오목부(44)를 갖지 않고, 삽입구멍(68)에 대해서 돌출부를 탄성적으로 밀착하여 끼워맞추는 형식, 사이드 브래킷 자체에 형성한 삽입구멍에,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를 외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끼워맞추는 형식, 사이드 브래킷 자체에 볼트에 의해 결합시키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통형상 연결부(67)를, 사이드 브래킷(61)측에 설치한 통형상체(65)에 내측에서 끼울 수 있게 구성하고, 통형상체(65)의 내주면측에 환형 홈(65A)을 형성함과 아울러, 통형상 연결부(67)의 설편부(67B)에, 환형 홈(65A)에 탄성결합 가능한 외향 볼록부(67D)를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환형 홈(65A)이나 외향 볼록부(67D)를 가지지 않고, 통형상체(65)에 대해서 통형상 연결부(67)를 탄성적으로 밀착시켜 끼워맞추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통형상 연결부(67)가 수지제이며, 그 외단에, 통형상체(65)의 외단면에 접촉 가능한 플랜지부(67A)를 형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플랜지부(67A)를 생략하고, 위치 결정한 상태에서 고정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끼워맞춤부(66)와 통형상연결부(65)측과의 끼워맞춤면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철제의 끼워맞춤부(66)와 수지제의 링체(75)로 이 루어지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수지제의 끼워맞춤부(66)와 철제의 링체(75)로 이루어지는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로서 하면측 개방형태의 레일형상으로 구성한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개방되어 있지 않은 형식 등이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본체 프레임(1)의 양측 바깥쪽에 각각 분기 컨베이어(151A,151B)를 설치하고, 물품(160)을 횡측밀기해서 주반송경로(45)의 양측부 바깥쪽으로 나누어서 보내는 형식을 나타내고 있지만, 이것은 본체 프레임(1)의 일측 바깥쪽에 분기 컨베이어(151A 또는 151B)를 설치한 형식 등이어도 좋다. 또 전환설비로서는,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의 물품을 1개의 반송 컨베이어에 합류시키는 형식이나, 1개의 반송 컨베이어로부터의 물품을 복수의 반송 컨베이어로 분기시키는 형식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상위 프레임재(10)와 하위 프레임재(20)의 별체화 형식을 나타냈지만, 이것은 하위 프레임재(20)를 측판, 측틀 형식으로 해도 좋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횡측밀기 접촉부재(90)를 30°의 경사각도(θ)로 경사시킨 상태로 부착하고 있지만, 이 경사각도는 임의로 설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1실시예에서는, 물품지지체(50)에, 이 물품지지체(50)에 외측에서 끼워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80)를 설치한 전환설비가 나타내어져 있지만, 이것은, 물품 횡측밀기체(80)를 생략한 슬랫 컨베이어 형식의 전환설비 등이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물품 횡측밀기체에 있어서의 상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의, 일부의 판두께의 변화에 의해 이 물품 횡측밀기체의 전체의 강도업을 중량화시키지 않고 꾀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무거운 물품이라해도 물품 횡측밀기체를 변형시키지 않고 횡측밀기해서 옆쪽으로 옮길 수 있다.

Claims (27)

  1.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를 갖고,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는 상기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이들 상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는 일부의 판두께를 불균일하게 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전판재와 후판재는 상판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전판재와 후판재는 상판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4. 제1항에 있어서,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로 구성되고, 물품 횡측밀기체는 상기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에 의해 형성되고, 물품지지체의 전판부와 후판부는 물품적재판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점차 접근하도록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전판재와 후판재는 상판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서로 대향측을 향해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5. 제1항에 있어서,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로 구성되고, 물품 횡측밀기체는 상기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상방에 설치된 횡측밀기 작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6. 제1항에 있어서, 전판재와 후판재는 상판재에 대해서 하방으로 연장됨에 따 라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를 갖고, 이 저판재는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에 연속해서 두껍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7. 제6항에 있어서, 저판재는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에 연속되는 부분으로부터 중앙부분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판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8. 제1항에 있어서, 물품지지체에는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중간부로부터 주반송경로의 방향으로 한쌍의 다리판부가 연이어 설치됨과 아울러, 이들 다리판부 사이에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물품 횡측밀기체는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의 상면측에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9. 제1항에 있어서, 물품지지체에는 전판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전위 원호부와, 후판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후위 원호부가 형성되고, 물품 횡측밀기의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가 양 원호부에 하방으로부터 대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0.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 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중간부로부터 상기 주반송경로의 방향으로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된 다리판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로 구성됨과 아울러, 물품적재판부와 한쌍의 다리판부 사이에 의해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에는 저판재의 상면측에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1. 제10항에 있어서, 물품 횡측밀기체는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되는 저판재와, 이 저판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서 다리판부 사이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상판재의 상방에 설치된 횡측밀기 작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2. 제10항에 있어서, 가이드부는 물품적재판부와 양 다리판부에 의해 서로 대향 하는 측으로 개방되는 홈형상으로 형성되고, 양 가이드부는 서로 대향하는 면에 의해 전후 가이드면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향면에 의해 하위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물품적재판부의 하향면에 의해 상위 가이드면이 형성되고, 피가이드부는 각 가이드면에 의해 가이드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3. 제10항에 있어서, 물품 횡측밀기체의 피가이드부측에는 물품지지체에 있어서의 물품적재판부에 하방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상향 탄성체와, 앞부분의 다리판부에 내측으로부터 접촉 가능한 전향 탄성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4. 제10항에 있어서, 물품 횡측밀기체의 하부측에는 본체 프레임측의 가이드장치에 안내되는 피가이드체가 부착되고, 이 피가이드체는 그 상부를 피가이드부의 중앙부에 매입해서 지지시킴으로써 수직 설치된 지지축의 돌출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5.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중간부 로부터 상기 주반송경로의 방향으로 한쌍으로 연이어 설치되고 또한 사이에 가이드부를 형성하는 다리판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이 전판부의 하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하는 전위 원호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와, 이 후판부의 하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하는 후위 원호부로 구성되고, 상기 물품 횡측밀기체에는 양 원호부가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저판재의 상면측에 상기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는 횡측밀기 작용부가 설치되고, 양 원호부는 양 다리판부의 하단보다 하방에 위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6. 제15항에 있어서, 물품 횡측밀기체는 물품적재판부에 상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상판재와, 이 상판재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전판재와, 상기 상판재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서 후판부에 외측으로부터 대향되는 후판재와, 전판재와 후판재의 하단 사이에 위치해서 양 원호부에 하측으로부터 대향되는 저판재와, 이 저판재의 상면측에 형성되고 또한 물품지지체측의 가이드부에 끼워맞춰지는 피가이드부와, 상기 상판재의 상방에 설치된 횡측밀기 작용부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7. 제15항에 있어서,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른 하향의 볼록형상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피가이드부의 상면은 상기 볼록형상부에 하방으로부터 대향되는 피가이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형상부의 하부가 편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8.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와,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는 편평상의 물품적재판부와, 이 물품적재판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전판부와,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후판부를 갖고, 상기 물품적재판부의 상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른 상향의 볼록형상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물품 횡측밀기체측에는 상기 볼록형상부에 상방으로부터 대향되는 오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볼록형상부의 상부가 편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19. 제18항에 있어서, 물품적재판부의 하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른 하향의 볼록형상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피가이드부의 상면은 상기 볼록형상부에 하방으로부터 대향되는 피가이드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볼록형상부의 하부가 편평면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0.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 지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사이드 브래킷이 부착되고, 이들 사이드 브래킷에는 길이방향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통형상 연결부가 설치되고, 이 통형상 연결부에 있어서의 삽입구멍의 내단측 형성부분은 둘레방향으로 복수로 분할된 설편부로 형성됨과 아울러, 이들 설편부에는 내향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통형상 연결부의 삽입구멍에 대해서 상기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외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구성됨과 아울러, 이 돌출부에는 상기 내향 볼록부가 탄성결합 가능한 외향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1. 제20항에 있어서, 물품지지체에는 이 물품지지체에 외측에서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안내되는 물품 횡측밀기체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2. 제20항에 있어서, 통형상 연결부는 사이드 브래킷측에 설치된 통형상체에 내측에서 끼울 수 있게 구성되고, 통형상체의 내주면측에는 환형 홈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통형상 연결부의 설편부에는 상기 환형 홈에 탄성결합 가능한 외향 볼록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3. 제22항에 있어서, 통형상 연결부는 수지제이며, 그 외단에는 통형상체의 외단면에 접촉 가능한 플랜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4. 제20항에 있어서, 사이드 브래킷과 통형상 연결부와 설편부군이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5. 제20항에 있어서, 무단회동체는 무단체인으로 이루어지고, 링크간의 연결을 행하는 연결핀군 중 소정의 연결핀을 내측으로 돌출시킴으로써 형성한 긴 연결핀에 의해 돌출부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6. 주반송경로를 따라 설치된 좌우 한쌍의 무단회동체와, 이들 무단회동체 사이에 다수 부착되고, 또한 주반송경로와는 직교상의 방향이 길이방향으로 된 물품지지체가 설치된 전환설비로서,
    상기 물품지지체의 길이방향의 양단에는 사이드 브래킷이 부착되고, 이들 사이드 브래킷의 외면측에서 전후부의 한쪽에는 바깥쪽으로 돌출되고 또한 길이방향의 삽입구멍이 형성된 통형상 연결부가 설치되고, 이 통형상 연결부의 삽입구멍에 대해서 상기 무단회동체측으로부터의 돌출부가 외측으로부터 삽입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사이드 브래킷의 전후부의 다른쪽에는 내외 양측방과 다른쪽 바깥쪽으로 개방되는 오목상의 끼워맞춤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이 끼워맞춤부는 인접된 사이드 브래킷에 있어서의 통형상 연결부측에 외측에서 끼울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끼워맞춤부와 통형상 연결부측의 끼워맞춤면이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27. 제26항에 있어서, 끼워맞춤부와 통형상 연결부측의 재질이 철제와 수지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설비.
KR1020060027866A 2005-03-28 2006-03-28 전환설비 KR1009444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090331A JP4211752B2 (ja) 2005-03-28 2005-03-28 コンベア設備
JP2005090327A JP4215017B2 (ja) 2005-03-28 2005-03-28 転換設備
JP2005090328A JP4552723B2 (ja) 2005-03-28 2005-03-28 転換設備
JPJP-P-2005-00090329 2005-03-28
JPJP-P-2005-00090328 2005-03-28
JPJP-P-2005-00090327 2005-03-28
JP2005090329A JP4581783B2 (ja) 2005-03-28 2005-03-28 転換設備
JPJP-P-2005-00090331 2005-03-28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401A Division KR101013117B1 (ko) 2005-03-28 2009-10-15 전환설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4927A true KR20060104927A (ko) 2006-10-09
KR100944402B1 KR100944402B1 (ko) 2010-02-25

Family

ID=366075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866A KR100944402B1 (ko) 2005-03-28 2006-03-28 전환설비
KR1020090098401A KR101013117B1 (ko) 2005-03-28 2009-10-15 전환설비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8401A KR101013117B1 (ko) 2005-03-28 2009-10-15 전환설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506743B2 (ko)
EP (1) EP1707512B1 (ko)
KR (2) KR100944402B1 (ko)
CN (1) CN101891064B (ko)
AT (1) ATE477202T1 (ko)
DE (1) DE602006016038D1 (ko)
ES (1) ES2348739T3 (ko)
PL (1) PL1707512T3 (ko)
TW (1) TWI27554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00049C2 (nl) * 2006-04-10 2007-10-11 Riet Equipment B V Van Transportinrichting.
KR101063398B1 (ko) 2009-12-01 2011-09-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와셔액 가열기능을 갖는 와셔펌프장치
JP5652618B2 (ja) 2010-07-07 2015-01-14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仕分け手段
CN103097266B (zh) 2010-08-27 2014-12-03 德马泰克公司 正移位分选器
US8548536B1 (en) * 2012-04-17 2013-10-01 Dennis M. Gunnip Smart phone case with carry stand
WO2020172251A1 (en) * 2019-02-19 2020-08-27 Aegis Sortation Llc System and method for dual density sorter
EP3822201A1 (de) * 2019-11-12 2021-05-19 Siemens Aktiengesellschaft Förder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sortieren von stückgütern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1407B2 (ja) 1990-10-08 1999-01-27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装置
AU643562B2 (en) * 1990-10-31 1993-11-18 Rapistan Corp. Modular diverter shoe and slat construction
US5127510A (en) * 1990-10-31 1992-07-07 Rapistan Demag Corporation Modular diverter shoe and slat construction
US5221474A (en) 1990-12-28 1993-06-22 Terumo Kabushiki Kaisha Transfusion filtering device
JP2541336Y2 (ja) 1991-11-06 1997-07-16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仕分装置
JP2887028B2 (ja) 1992-07-28 1999-04-26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振分装置
JPH0649427A (ja) 1992-07-30 1994-02-22 Toray Ind Inc フレキシブル印刷回路基板用接着剤組成物
JP3058525B2 (ja) 1992-10-08 2000-07-04 オークラ輸送機株式会社 搬送装置
JPH06115680A (ja) 1992-10-08 1994-04-26 Okura Yusoki Co Ltd 搬送振分装置
US5613591A (en) 1992-11-09 1997-03-25 Litton Industrial Automation Systems, Inc. Sortation conveyor and devices
JP2596923Y2 (ja) * 1992-12-14 1999-06-28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仕分装置
NL9202171A (nl) 1992-12-16 1994-07-18 Vanderlande Ind Nederland Transportinrichting.
DE9317226U1 (de) * 1993-11-10 1994-01-27 Joh. Winklhofer & Söhne GmbH und Co KG, 81369 München Hohlbolzen-Gelenkkette
JP2929408B2 (ja) 1993-11-30 1999-08-03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仕分装置
US5595279A (en) * 1995-06-06 1997-01-21 Western Atlas Inc. Sortation conveyor
JPH0952621A (ja) * 1995-08-11 1997-02-25 Daifuku Co Ltd 転換装置
JP2835703B2 (ja) 1995-08-28 1998-12-14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仕分装置における移動シュー
JPH09196030A (ja) 1996-01-22 1997-07-29 Kazuo Kunieda 組立ブロック及びその成形型装置並びに製造方法
JP3895443B2 (ja) 1997-11-26 2007-03-22 株式会社ダイフク 自動倉庫
JP3065578B2 (ja) 1998-03-10 2000-07-17 トーヨーカネツ株式会社 仕分け装置用の押動体
NL1010036C2 (nl) * 1998-09-09 2000-03-10 Vanderlande Ind Nederland Transportinrichting.
JP2000118699A (ja) 1998-10-07 2000-04-25 Daifuku Co Ltd 搬送装置
JP3519288B2 (ja) 1998-10-21 2004-04-12 株式会社椿本チエイン 仕分けコンベヤ用スライドシュー
JP2001301957A (ja) 2000-04-20 2001-10-31 Daifuku Co Ltd 転換装置
MXPA03002620A (es) * 2000-09-28 2004-05-05 Siemens Ag Aparato clasificador de zapatas y listones de desplazamiento positivo y metodo.
JP3791391B2 (ja) 2001-10-23 2006-06-28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NL1020825C2 (nl) * 2002-06-11 2003-12-17 Vanderlande Ind Nederland Transportinrichting met langs dragers verschuifbare duwschoenen.
BRPI0407312B1 (pt) * 2003-02-07 2017-02-21 Intelligrated Headquarters Llc transportador sem-fim
ATE414661T1 (de) * 2003-08-01 2008-12-15 Dematic Corp Schuh für sortierer mit zwangsverschiebung
JP4311121B2 (ja) * 2003-08-05 2009-08-12 株式会社ダイフク 転換設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891064B (zh) 2012-02-15
US20060219521A1 (en) 2006-10-05
US7506743B2 (en) 2009-03-24
EP1707512A2 (en) 2006-10-04
ES2348739T3 (es) 2010-12-13
PL1707512T3 (pl) 2011-02-28
KR101013117B1 (ko) 2011-02-14
ATE477202T1 (de) 2010-08-15
KR100944402B1 (ko) 2010-02-25
DE602006016038D1 (de) 2010-09-23
TW200633913A (en) 2006-10-01
CN101891064A (zh) 2010-11-24
EP1707512A3 (en) 2007-03-14
KR20090117679A (ko) 2009-11-12
TWI275549B (en) 2007-03-11
EP1707512B1 (en)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3117B1 (ko) 전환설비
KR101237315B1 (ko) 반송설비
KR100942255B1 (ko) 전환설비
EP3100966B1 (en) Transfer device
US5307923A (en) Chain-link conveyor
AU2010206045B2 (en) A support device for a conveyor installation and method for operation of a conveyor installation
EP1559665B1 (en) Plate conveyer chain with anti-shingling top plates
KR100455036B1 (ko) 전동장치용 플라스틱제 가이드
US6772876B2 (en) Conveyor chain link having movable gripper and conveyor system utilizing same
US6179115B1 (en) Mechanical device three chains for the continuous spacing and transfer of products
JP4650306B2 (ja) 転換設備
JP4215017B2 (ja) 転換設備
JP4274141B2 (ja) 転換設備
JP4581783B2 (ja) 転換設備
JP4211752B2 (ja) コンベア設備
JP4552723B2 (ja) 転換設備
JP4941436B2 (ja) コンベア設備
JP4487839B2 (ja) 転換設備
JP4497005B2 (ja) 転換設備
CA2545239A1 (en) Stabilized guided conveyor belt with multiple base chains and interchangeable conveyor plates
JP4635919B2 (ja) 搬送設備
JP2006273437A (ja) コンベア設備
JP4096648B2 (ja) 転換設備
JP2007246202A (ja) コンベア設備
EP3774600A1 (en) Conveyor brac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