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6299A - 폴더식 휴대전화 - Google Patents

폴더식 휴대전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6299A
KR20060096299A KR1020060019030A KR20060019030A KR20060096299A KR 20060096299 A KR20060096299 A KR 20060096299A KR 1020060019030 A KR1020060019030 A KR 1020060019030A KR 20060019030 A KR20060019030 A KR 20060019030A KR 20060096299 A KR20060096299 A KR 200600962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opening
hi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190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6072B1 (ko
Inventor
미노루 마끼노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6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6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6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6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02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 E04H12/08Structures made of specified materials of meta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2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enclosures rotating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or with ball-joint coupling, e.g. PDA with display enclosure orientation changeable between portrait and landscape by rotation with respect to a coplanar body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7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detecting open or closed state or particular intermediate positions assumed by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e.g. detection of display lid position with respect to main body in a laptop, detection of opening of the cover of battery compart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79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locking or maintaining the movable parts of the enclosure in a fixed position, e.g. latching mechanism at the edge of the display in a laptop or for the screen protective cover of a PD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7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omprising more than two body pa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8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 F21S8/085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with a standard of high-built type, e.g. street ligh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4Image rotation following screen orientation, e.g. switching from landscape to portrait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27Rotatable in one plane,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25Rotatable telephones, i.e. the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33Including a rotatable display body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표시부를 크게 하면서도,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크게 떨어지게 하는 일없이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함과 더불어, 액정표시부의 절환조작 때문에 액정표시부나 제2 케이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조작부를 갖는 제2 케이싱과, 제1 케이싱을 힌지부(6)에서 폴더의 개폐가 자유롭게 연결시킨다. 액정표시부를 종형 상태와 횡형 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기구(10)를 개재하고 제1 케이싱에 지지시킨다. 이 지지기구(10)와 힌지부(6)가 연동되며, 액정표시부가 종형 상태가 아닐 때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의 각도(예를 들어 120°)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하는 막대형 규제부재(24)(개폐 규제수단)를 구성시킨다.
액정표시부, 케이싱, 조작부, 힌지부, 지지기구

Description

폴더식 휴대전화{FOLDING CELLULAR PHONE}
도1은 열린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인 폴더식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2는 열린 상태에서 액정표시부를 종형 또는 횡형상태로 절환하는 도중의 폴더식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3은 열린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횡형상태일 때의 폴더식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4는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에서의 폴더식 휴대전화의 배면도.
도5는 열린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에서의 지지기구, 힌지부 및 그 주변을 정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6은 액정표시부가 절환과정인 도5 상당도.
도7은 액정표시부가 횡형상태인 도5 상당도.
도8은 열린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인 지지기구, 힌지부 및 그 주변을 배면 쪽에서 본 사시도.
도9는 액정표시부가 절환과정인 도8 상당도.
도10은 액정표시부가 횡형상태인 도8 상당도.
도11은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인 지지기구, 힌지부 및 그 주변의 정면도.
도12는 도11의 ⅩⅡ-ⅩⅡ선 단면도.
도13은 도11의 ⅩⅢ-ⅩⅢ선 단면도.
도14는 도11의 ⅩⅣ-ⅩⅣ선 단면도.
도15는 액정표시부를 종형 또는 횡형상태로 절환하는 도중의 도13 상당도.
도16은 액정표시부가 횡형상태일 때의 도13 상당도.
도17은 좌측 개폐축의 확대 사시도.
도18의 (a)는 캠 부재를 왼쪽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며, 도18의 (b)는 캠 부재를 오른쪽에서 본 확대 사시도.
도19는 그 밖의 실시예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의 도13 상당도.
도20은 그 밖의 실시예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의 도15 상당도.
도21은 그 밖의 실시예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의 도16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폴더식 휴대전화
2 : 액정표시부
2a : 액정 디스플레이
2b : 하단측 코너부
3 : 제1 케이싱
3a : 제1 케이싱 본체
3b : 좌측 개폐축 지지부
3c : 우측 개폐축 지지부
4 : 조작부
5 : 제2 케이싱
6 : 힌지부
6a : 힌지부 본체
6b : 좌측 개폐축
6c : 우측 개폐축
6d : 외측 단부
6e : 결합부
6f : 소지름부
6g : 대지름부
6h : 끼움부
7 : 조작키
10 : 지지기구
11 : 배면 액정
12 : 장착 브래킷
12a : 액정측 캠면
12b : 브래킷 본체
12c, 32a : 관통공
12d : 장착부
13 : 회전축
14 : 수용 오목부
14a : 저벽
14b : 측벽
14c : 힌지측 개구
15 : 힌지측 캠면
15a : 회전저지부
15b : 회전허용부
16, 116 : 캠 부재
16a : 중심공
17, 117 : 규제용공
18 : 제1 부채꼴 벽부
19 : 제2 부채꼴 벽부
22 : 개폐허용용 틈새
24, 124 : 막대형 규제부재(개폐규제수단)
24a : 접촉부
24b : 긴 구멍
24c : 고리형부
25 : 제1 접촉판
26, 27, 126 : 삽입부
28 : 제1 가이드공
29 : 회전규제용 돌기
30 : 회전저지부재
30a : 상단
30b : 하단
31 : 제2 가이드공
32 : 제2 접촉판
33 : 압축 코일스프링(탄성수단)
118, 119 : 벽면
본 발명은 폴더식 휴대전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액정표시부를 종형 또는 횡형 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전화는 통화기능만이 아닌, 전자메일의 송수신기능, 디지털카메라기능, 녹음재생기능, TV수신기능, 일정관리기능 등 다수의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한편, 휴대전화의 주된 기능은 여전히 통화기능이며, 또 그 휴대성 때문에 소형화, 경량화가 상품성 면에서 중요시 되고있다. 이 때문에, 사용 면에서의 간편성을 중요시하여, 휴대전화는 가로 폭을 억제한 종형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휴대전화의 액정표시부가 종형으로 고정되면, 가로로 긴 화상을 표시할 경우에는, 종형화면에 들어가도록 축소 표시하거나 또는 횡 스크롤조작에 의해 화상 전체를 보도록 해야 했었다.
또 종형 상태의 액정표시부에 가로로 긴 횡형 화상을 90도 회전시켜, 그 화상을 보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액정표시부와 조작부가,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개방된 상태에서 나타나는 폴더식 휴대전화에서는, 조작부도 90도 회전해버리므로, 조작키에 표시된 표시도 90도 회전된 상태에서 보게 되며, 또 평상시와 다른 조작키의 배치이므로, 입력조작이 매우 어려워진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를 들어 일특개 2001-156893호 공보에 개시된 폴더식 휴대전화에서는, 휴대전화 자체는 종형으로 유지시킨 상태에서, 액정표시부를 종형에서 횡형 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제1 케이싱을 지지한다. 이 폴더식 휴대전화에서는, 액정표시부의 중심부에 액정표시부에 대해 수직으로 회전축을 형성하고, 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액정표시부를 90도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러나 휴대전화의 크기 및 두께를 억제하면서, 제2 케이싱과 접촉하여 액정표시부나 제2 케이싱이 손상을 입는 일이 없도록 액정표시부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액정표시부의 하단을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반지름을 따라 둥글리거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는 등의 조치를 취해야 하므로, 액정표시부를 크게 할 수 없거나, 전체 크기가 커지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일특개 2003-319043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부를 제1 케이싱에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를 갖는 폴더식 휴대전화가 알려져 있다. 이 폴더식 휴대전화에서는, 액정표시부를 상 하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나서, 액정표시부의 중앙부에 형성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그만큼 제2 케이싱과의 접촉을 피할 수 있어, 액정표시부나 제2 케이싱이 손상을 받지 않으므로, 액정표시부를 크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어 일특개 2004-78073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액정 디스플레이의 분야에서도, 액정표시부를 종형 또는 횡형으로 절환조작 가능한 지지기구를 갖는 것이 알려져 있다.
가까운 미래, 지상 디지털TV방송이 본격적으로 개시될 예정이다. 이 지상 디지털TV방송은 종래의 아날로그TV방송과 달리, TV로 퀴즈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TV쇼핑이나 은행의 송금 등을 TV를 통해 이용하거나 하는, 이른바 쌍방향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지상 디지털TV방송을 휴대전화로 시청 가능하게 할 경우, 액정표시부에서 화상을 보면서 조작부에서 키 조작을 할 필요가 더욱 높아진다. 통상 TV화상은 가로로 길기 때문에, 작은 액정표시부에 의해 가능한 한 크게 TV화상을 보기 위해서는, 액정표시부를 가로로 길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상기 일특개 2003-319043호 공보의 폴더식 휴대전화에서는, 슬라이딩이동과 회전이동의 2개 조작이 필요하므로, 한 손으로는 조작이 불가능하여, 조작이 번잡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일특개 2004-78073호 공보의 액정 디스플레이는, 휴대전화와 같이 소형화, 경량화의 필요성은 별로 없고, 또 그 액정표시부의 종형 또는 횡형 상태로 의 절환조작도 빈번하지는 않다. 따라서 그 절환기구는 복잡하며 조작도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일정조건 하에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폴더 개폐조작을 규제함으로써, 액정표시부를 크게 하면서도,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크게 떨어지게 하는 일없이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함과 더불어, 액정표시부의 절환조작에 의해 액정표시부나 제2 케이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액정표시부가 종형 상태가 아닐 때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액정표시부가 배치된 제1 케이싱과, 조작부를 갖는 제2 케이싱과,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hinji)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제1 케이싱에 대해,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액정표시부가 상기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하는 개폐규제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통화 시나 메일 송수신 시 등, 주 기능사용 시에는 통상, 액정표시부를 종형 상태로 하여 사용한다. 한편, 지상 디지털TV방송 시청 시나 영문으로 메일을 송수신할 경우 등에는, 액정표시부를 횡형 상태로 하여 액정표 시부에 횡형 화상이 크게 표시되도록 하여, 손에 익은 종형상태와 동일한 조작키 배열상태에 있는 조작부에서 키 입력하면서 사용한다. 이와 같이 액정표시부는 적절하게 종형 또는 횡형으로 절환된다. 이 때,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으면, 액정표시부의 하단부는 그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종형상태가 아닐 때는 힌지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닫고자 하면, 액정표시부가 제2 케이싱에 접촉하여 손상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종형상태가 아닌, 즉 횡형 상태 또는 그 절환 도중의 상태일 때에는, 개폐규제수단에 의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되므로,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표시부가 제2 케이싱에 접촉하여 손상될 우려는 없다. 한편,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일 때에는, 개폐규제수단에 의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개폐동작은 규제되지 않으므로 자유롭게 폴더 개폐가 이루어지지만, 이 경우에는 액정표시부의 하단부가 힌지부보다 아래쪽에 위치하는 일은 없으므로, 액정표시부는 제2 케이싱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또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소정 각도 이상으로 크게 열렸을 때만,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액정표시부를 액정표시부 절환 시의 접촉방지를 위해 작게 하지 않고, 또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고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으면 액정표시부의 절환 시에 제2 케이싱과 접촉하는 등의 경우라도,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상기 소정 각도 이상 크게 열렸을 때만 액정표시부가 종형과 횡형으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표시부가 제2 케이싱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부는, 상기 제1 케이싱에 지지기구를 개재하고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폐규제수단은 상기 지지기구 및 힌지부와 연동되고, 상기 액정표시부가 상기 종형상태가 아닐 때는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게 규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폐규제수단이, 액정표시부를 제1 케이싱에 지지하는 지지기구와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부와 연동되며, 종형상태가 아닐 때는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한다. 한편, 개폐규제수단은 지지기구 및 힌지부와 연동되어, 종형상태일 때에는,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개폐를 규제하지 않으므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있다.
또 상기 제1 케이싱의 좌우방향으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으로 오프셋 시킨 위치에는, 상기 지지기구를 수용하며, 그 측벽의 힌지부 쪽이 개구되는 수용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액정표시부의 배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케이싱의 수용 오목부 쪽에 수용되는 장착 브래킷과, 이 수용 오목부에 배치되며, 장착 브래킷을 개재하고 액정표시부를 제1 케이싱에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을 구비하며, 이 장착 브래킷에는 힌지부 쪽으로 팽창하는, 가운데가 볼록형상인 액정측 캠면이 형성되고, 상기 힌지부는 제1 케이싱을 제2 케이싱으로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개폐축을 구비하며, 이 개폐축의 소정위치에는 반지름방향 바깥쪽이 개구되는 규제용공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규제수단은 상기 수용 오목부의 힌지부측 개구로 삽입되도록 배치되며, 한끝이 상기 액정측 캠면에 접해 액정표시부를 종형에서 횡형상태로 절환할 때에, 이 액정측 캠면에 밀려 상기 힌지부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 힌지부의 규제용공으로, 다른 끝에 형성한 삽입부가 삽입됨으로써,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폴더 개폐동작을 규제하는 막대형 규제부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정표시부를 종형에서 횡형으로 바꿀 때에, 제1 케이싱의 수용 오목부에 형성된 힌지부측 개구로 삽입하도록 배치한 막대형 규제부재는, 그 한끝이 액정측 캠면에 밀려 힌지부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끝의 삽입부가 힌지부측의 규제용공으로 삽입된다. 이로써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닫고자 하면 힌지부의 개폐축이 회전하고자 하지만, 이 회전은 삽입부와 규제용공을 구성하는 벽부가 접촉함으로써 저지된다. 따라서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폴더 개폐동작이 규제되므로,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표시부가 제2 케이싱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힌지부 바깥 둘레에는, 상기 규제용공보다 좌우방향 외측에 힌지측 캠면이 형성되며, 상기 액정표시부의 장착 브래킷에는, 상기 힌지측 캠면과 대 향하는 위치보다 약간 좌우방향 안쪽에, 힌지부 쪽으로 돌출하는 회전규제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의 좌우방향 바깥쪽에 수용 오목부의 힌지부측 개구로 삽입하도록 배치되며, 한끝이 상기 힌지측 캠면에 접하여,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았을 때에, 상기 힌지측 캠면에 밀려 상기 장착 브래킷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 장착 브래킷의 회전규제용 돌기의 좌우방향 바깥쪽에 위치한 다른 끝이 회전규제용 돌기에 접해 액정표시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막대형의 회전저지부재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았을 때에, 막대형 회전저지부재의 한끝이 힌지측 캠면에 밀려 장착 브래킷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다른 끝이 장착 브래킷의 회전규제용 돌기 좌우방향 바깥쪽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액정표시부가 회전하고자 해도 회전저지부재의 다른 끝이 회전규제용 돌기에 접하므로, 그 회전이 회전저지부재에 의해 규제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표시부가 제2 케이싱에 접촉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액정표시부가 종형 또는 횡형상태가 되도록 바이어싱 하는 탄성부재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정표시부에 대한 탄성부재의 바이어싱 정도를 조정함으로써, 액정표시부의 종형에서 횡형으로의 절환 및 횡형에서 종형으로의 절환이 탄성부재에 의해 보조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는, 한끝이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에 구성한 제1 접촉판에 접하는 동시에, 다른 끝이 회전저지부재에 구성한 제2 접촉판에 접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간단하고 고장나기 어려운 구성에 의해 탄성부재가 실현됨과 더불어, 압축 코일스프링은 제1 접촉판과 제2 접촉판 사이에 개재하므로, 액정표시부를 종형에서 횡형으로 절환할 때에, 액정측 캠면에 밀려 막대형 규제부재가 힌지부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 막대형 규제부재의 제1 접촉판에 압축 코일스프링이 눌리게 된다. 그리고 이 압축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액정표시부를 다시 회전시키면, 액정측 캠면의 볼록부를 넘어 막대형 규제부재가 장착 브래킷 쪽으로 되돌아가고자 할 때에, 압축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제1 접촉판에 눌린 막대형 규제부재가 액정측 캠면을 밀어 올려, 액정표시부의 횡형상태로의 절환이 보조된다. 마찬가지로, 횡형에서 종형상태로 되돌릴 때도, 압축 코일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종형상태로의 절환이 보조된다.
그리고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절환될 때에, 회전저지부재가 힌지측 캠면에 밀려 장착 브래킷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함으로써, 이 회전저지부재의 제2 접촉판이 압축 코일스프링을 밀어 올려, 그 탄성력에 의해 제1 접촉판이 밀어 올려진다. 이로써, 제1 접촉판이 배치된 막대형 규제부재에 액정측 캠면이 밀리고, 결과적으로 제1 케이싱이 제2 케이싱으로부터 멀어지는 개방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개방동작이 보조된다.
또 상기 액정표시부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에서의 좌우방향 중앙부가, 각각 제1 케이싱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종래와 같이 액정표시부의 중앙부에 이 액정표시부를 제1 케이싱에 지지시키는 회전축을 형성할 경우, 액정표시부가 횡형상태일 때에 좌우방향 중앙부를 제1 케이싱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시키고자 하면,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으면, 종형상태에서의 액정표시부 상단 쪽도 하단 쪽에 맞추어 낮출 필요가 있어, 액정표시부 전체의 크기는 작아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개폐규제수단에 의해, 상기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되므로,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표시부가 제2 케이싱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일은 없다. 이로써, 종형상태에서의 액정표시부 상단 쪽을 낮추는 일없이, 종형상태만이 아닌 횡형상태에서도, 액정표시부가 제1 케이싱에 대해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게 되고, 결과적으로 조작부에 대해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액정표시부는, 종형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액정표시부는 그 하단부의 형상을 직선형으로 형성해도, 제2 케이싱과의 접촉이 문제가 되는 종형상태 이외일 때에는, 개폐규제수단에 의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되므로,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표시부가 제2 케이싱에 접촉하여 손상되는 일은 없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 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1은, 개방된 상태에서 액정표시부가 종형 상태인 폴더식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2는 액정표시부를 종형 또는 횡형 상태로 절환하는 도중의 폴더식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액정표시부가 횡형 상태일 때의 폴더식 휴대전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폴더식 휴대전화(1)는, 표면 쪽에 액정표시부(2)가 형성된 제1 케이싱(3)과, 표면에 조작부(4)를 갖는 제2 케이싱(5)과, 이들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부(6)를 구비한다.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은, 도시하지 않는 신호선에 의해, 이 힌지부(6)를 통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로써 폴더식 휴대전화(1)는,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접은 폐쇄상태(도시 생략) 또는 도1 내지 도3에 나타내는 개방상태의 두 가지 상태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이하, 제1 케이싱(3) 쪽을 상측으로 하며, 제2 케이싱(5) 쪽을 하측으로 한다.
상기 제2 케이싱(5)의 조작부(4)에는 복수의 조작키(7)가 배치된다. 이 조작키(7)는, 폴더식 휴대전화(1) 전체를 종형상태로 쥐었을 때에 키 입력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또 그 표면에 표시가 부여된다. 이 조작키(7)를 조작함으로써, 폴더식 휴대전화(1)의 다수 기능이 이용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케이싱(5)에는, 도시하지 않는 대화용 마이크부가 설치된다.
도4 내지 도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싱(3)에는, 거의 사각형의 판상 액정표시부(2)를 세로로 긴 종형상태 또는 가로로 긴 횡형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기구(10)가 구성된다. 제1 케이싱(3)은, 액정표시부(2) 쪽의 제1 케이싱 본체(3a)와, 이 제1 케이싱 본체(3a)의 하단부 좌우에 설치되며, 후술하는 상기 힌지부(6)의 좌우 개폐축이 삽입되는 개폐축 지지부(3b, 3c)와, 이 제1 케이싱 본체(3a)를 피복하는 사각 접시형상의 배면 커버(도시 생략)를 구비한다.
상기 액정표시부(2)는, 종형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액정표시부(2) 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도록, 사각형의 액정 디스플레이(2a)가 배치된다. 종형상태인 액정표시부(2)의 상단 쪽에 대화용 스피커부(도시 생략)가 배치된다. 액정표시부(2) 오른쪽 밑의 하단측 코너부(2b)를 포함한 각 코너부는, 디자인 면 또는 안전상의 관점에서 둥근 모깎기(rounding) 처리가 실시된다. 액정표시부(2)는, 각 코너부를 제외한 종형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케이싱(3) 이면 쪽의 지지기구(10) 아래쪽에는, 시간 등이 표시되는 배면 액정(11)(도4에만 나타냄)이 배치되며, 접은 상태인 채 시간 등을 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정표시부(2) 및 조작부(4)는, 제1 케이싱(3)을 제2 케이싱(5)에 대해 접은 상태로부터 개방시켰을 때에 나타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이 폴더식 휴대전화(1)에서는,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와 횡형상태 모두에 있어서, 사용자가 액정표시부(2)의 액정 디스플레이(2a)를 보면서 동일배치의 조작부(4) 조작 키(7)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액정표시부(2)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에서의 좌우방 향 중앙부가, 각각 제1 케이싱(3)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상기 지지기구(10)는, 액정표시부(2)의 배면에 배치된 장착 브래킷(12)과, 절환조작 가능하도록 이 장착 브래킷(12)을 개재하고 액정표시부(2)를 제1 케이싱(3)에 지지시키는 회전축(13)을 구비한다. 구체적으로는, 전면에서 보아 상기 제1 케이싱 본체(3a)의 왼쪽 위에는, 지지기구(1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오목부(14)가 형성된다. 이 수용 오목부(14)는, 부채꼴의 저벽(14a)과, 이 저벽(14a)으로 연속되며, 전면(前面)을 향해 퍼지는 단면 원호형의 측벽(14b)으로 구성되고, 이 측벽(14b)의 하단부가 절삭되어, 힌지측 개구(14c)가 형성된다. 이 수용 오목부(14)에 상기 장착 브래킷(12)이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 자유롭게 수용된다. 또 도시하지 않지만, 제2 케이싱(5)으로부터 이어지는 신호선은, 수용 오목부(14) 내를 통해 상기 액정표시부(2) 쪽에 접속된다.
상기 장착 브래킷(12)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14)의 저벽(14a)에 미끄럼 접촉하며, 힌지부(6) 쪽으로 팽창되는, 가운데가 볼록형상인 액정측 캠면(12a)이 형성된 널판형의 브래킷 본체(12b)와, 이 브래킷 본체(12b)로부터 수직으로 이어지고, 액정표시부(2) 배면에 접해 비스(도시 생략)를 장착시키기 위한 관통공(12c)을 선단에 갖는 2 개의 장착부(12d)가 형성된다.
상기 힌지부(6)는, 제2 케이싱(5) 내에 장착되는 힌지부 본체(6a)와, 이 힌지부 본체(6a)의 제1 케이싱(3) 쪽 좌우 양 끝단에 배치되어, 제1 케이싱(3)을 제2 케이싱(5)에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좌우의 개폐축(6b, 6c)을 구비한다. 도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면에서 볼 때 왼쪽의 좌측 개폐축(6b)은, 왼쪽 끝의 핀형 외측 단부(6d)와, 그 오른쪽의 측면에서 볼 때 타원형인 결합부(6e)와, 그 오른쪽의 소지름부(6f)와, 그 오른쪽의 대지름부(6g)와, 상기 결합부(6e)와 동일형상인 끼움부(6h)로 구성된다. 이 끼움부(6h)가 상기 힌지부 본체(6a)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연결된다.
상기 좌측 개폐축(6b)의 외측 단부(6d)는, 원판형인 상기 좌측 개폐축지지부(3b)의 중심공에 지지된다. 한편, 오른쪽의 우측 개폐축(6c)은, 보스형상인 상기 우측 개폐축 지지부(3b) 내에 지지된다.
도12 및 도18의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측 개폐축(6b)의 결합부(6e)에는, 힌지측 캠면(15)을 갖는 원반형의 캠 부재(16)가 끼워진다. 즉, 이 캠 부재(16)는 중심에 거의 타원형의 중심공(16a)을 가지며, 이 중심공(16a)에 상기 결합부(6e)가 끼워져, 좌측 개폐축(6b)과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힌지측 캠면(15)은,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회전저지부(15a)와, 이 회전저지부(15a)로 연속되며, 측면에서 볼 때 거의 〈 자 형상인 회전허용부(15b)로 이루어진다. 즉 회전저지부(15a)의 반지름은 회전허용부(15b)보다 크게 구성된다. 또 이와 같이 캠 부재(16)를 별개로 형성함으로써, 쉽게 조립 가능하게 한다.
도13 및 도18의 (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캠 부재(16)의 힌지측 캠면(15) 반대쪽(오른쪽)에는, 대향하는 상하 위치에 반지름 방향 외측이 개구되는 규제용공(17)이 형성된다. 이 규제용공(17)은, 상기 캠 부재(16)의 오른쪽 면을 측면에서 볼 때 2개의 부채꼴 벽부(제1 부채꼴 벽부(18)와 제2 부채꼴 벽부(19))가 남도록 형성되며, 제1 부채꼴 벽부(18)의 안지름은 상기 소지름부(6f)의 바깥지름 과 동등하고, 제2 부채꼴 벽부(19)의 안지름은 소지름부(6f)의 바깥지름보다 크게 구성된다. 이로써, 제2 부채꼴 벽부(19)와 좌측 개폐축(6b) 사이에는, 측면에서 볼 때 원호형의 개폐허용용 틈새(22)가 형성된다.
도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소지름부(6f)에는,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과의 폴더 개폐동작을 규제하는 개폐규제수단으로서의 막대형 규제부재(24)가 회전 자유롭게 및 상하방향으로 미끄럼 자유롭게 지지된다.
즉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는, 상기 제1 케이싱(3) 내에 상기 수용 오목부(14)의 힌지측 개구(14c)를 상하로 통과하도록 배설되며, 가늘고 긴 널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위쪽 끝에 상기 액정측 캠면(12a)에 접하는 접촉부(24a)와, 아래쪽 끝에 상기 소지름부(6f)가 삽입되는 긴 구멍(24b)을 갖는 고리형부(24c)를 구비한다. 또 접촉부(24a) 쪽에는, 후술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의 상단이 접하는 사각형의 제1 접촉판(25)이 고정된다. 그리고 고리형부(24c)의 긴 구멍(24b)을 사이에 둔 상하 위치에는, 왼쪽으로 돌출하는 상하의 삽입부(26, 27)(도13에 나타냄)가 형성된다. 이 삽입부(26, 27)는, 액정표시부(2)를 종형에서 횡형으로 또는 횡형에서 종형으로 절환할 때에,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의 접촉부(24a)가 상기 액정측 캠면(12a)에 밀려 상기 규제용공(17)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또 상기 접촉부(24a)는 배면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 오목부(14)의 저벽(14a)에 형성된 상하로 이어지는 제1 가이드공(28)으로 삽입된다. 이 제1 가이드공(28)에 의해, 막대형 규제부재(24)가 상하로 부드럽게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된다.
도5 및 도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부(2)의 장착 브래킷(12)에 는, 상기 힌지측 캠면(15)의 바로 위보다 약간 오른쪽에 힌지부(6) 쪽으로 돌출하는 회전규제용 돌기(29)가 형성된다. 상기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일 때, 막대형 규제부재(24)의 접촉부(24a)는 액정측 캠면(12a)의 왼쪽 끝, 즉 회전규제용 돌기(29)의 오른쪽에 있으며, 액정표시부(2)가 역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하도록 형성된다.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의 왼쪽에는, 액정표시부(2)의 회전을 규제하는 막대형의 회전저지부재(30)가 배치된다. 이 회전저지부재(30)의 상단(30a)은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와 마찬가지로 배면 쪽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가이드공(28)과 평행 배치된 제2 가이드공(31)으로 삽입된다. 이 제2 가이드공(31)에 의해, 회전저지부재(30)가 상하로 부드럽게 슬라이딩 하도록 구성된다. 회전저지부재(30)의 하단(30b)은 상기 힌지측 캠면(15)에 접하며,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소정 각도(본 실시예에서는 거의 120°) 이하로 닫았을 때에, 상기 힌지측 캠면(15)에 밀려 위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기 회전규제용 돌기(29)의 좌우방향 외측에 위치한 상단(30a)의 우측면이 회전규제용 돌기(29)에 접함으로써, 액정표시부(2)의 시계방향 회전을 규제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단(30a)이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와 함께 회전규제용 돌기(29)를 개재시킴으로써, 액정표시부(2)가 회전 불가능하게 규제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회전저지부재(30)의 하단(30b) 쪽에는,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가 삽입되는 사각형의 관통공(32a)을 가지며, 이 막대형 규제부재(24)의 제1 접촉판(25) 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제2 접촉판(32)을 구비한다. 이 제1 접촉판(25)과 제2 접촉판(32) 사이에 끼워지도록, 막대형 규제부재(24)의 바깥 둘레에는, 탄성부재로서의 압축 코일스프링(33)이 배치된다. 이 압축 코일스프링(33)은, 한끝이 제1 접촉판(25)에 접하는 동시에, 다른 끝이 제2 접촉판(32)에 접함으로써, 액정표시부(2)가 주로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가 되도록 바이어싱 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기 폴더식 휴대전화(1)는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가 상기 지지기구(10) 및 힌지부(6)와 연동되며, 도5, 도8 및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액정표시부(2)가 상기 종형상태일 때에는 상기 상측 삽입부(26)가 규제용공(17)의 바깥쪽에 있으며, 하측 삽입부(27)가 규제용공(17)의 개폐허용용 틈새(22) 내를 통과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 이하로 닫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반대로, 도15 및 도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측 삽입부(26) 및 하측 삽입부(27)가 규제용공(17) 내에 있으므로, 이들 삽입부(26, 27)가 규제용공(17)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부채꼴 벽부(18, 19)에 접하지 않는 범위만 상기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닫을 수 있다. 즉 그 범위는, 예를 들어 거의 120°에서 최대 거의 160°로 한정된다. 이 범위는 제1 및 제2 부채꼴 벽부(18, 19)의 형상으로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는,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구성된다.
또 도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이 120°이상 열려있을 때만, 상기 회전저지부재(30)가 힌지측 캠면(15)의 회전허용부 (15b)에 접해 힌지부(6) 쪽으로 이동하므로, 액정표시부(2)를 종형과 횡형으로 절환조작해도 장착 브래킷(12)의 회전규제용 돌기(29)에 접촉하지 않으며, 액정표시부(2)를 회전시키면, 장착 브래킷(12)의 액정측 캠면(12a)에 밀려 막대형 규제부재(24)가 힌지부(6)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상측 삽입부(26) 및 하측 삽입부(27)는 제1 및 제2 부채꼴 벽부(18, 19)와 접촉하는 일없이 규제용 공(17) 내를 이동하므로, 그 회전이 허용되도록 구성된다.
-작용-
다음에, 본 실시예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폴더식 휴대전화(1)를 사용하지 않을 때, 또는 대기상태일 대 등은,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이 접힌 상태에 있다.
그리고 도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인 채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열면, 액정표시부(2)와 조작부(4)가 나타난다.
이 때,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이 폐쇄상태일 경우에는, 회전저지부재(30)의 하단(30b)이 힌지측 캠면(15)의 회전저지부(15a)에 밀려 장착 브래킷(12)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고, 그 제2 접촉판(32)이 압축 코일스프링(33)을 밀어 올려 압축상태로 유지한다. 이로써, 120°를 넘어 더 열렸을 때에, 회전저지부재(30)의 하단(30b)이 힌지측 캠면(15) 회전저지부(15a)에 접하면, 압축 코일스프링(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 접촉판(25)이 밀어 올려진다. 이로써 제1 접촉판(25)이 배치된 막대형 규제부재(24)에 액정측 캠면(12a)이 밀려, 결과적으로 제1 케이싱(3)이 제2 케이싱(5)에서 멀어지는 개방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개방동작이 보조된다.
또 액정표시부(2)는 종형상태이므로, 막대형 규제부재(24)의 접촉부(24a)는 액정측 캠면(12a) 좌단의 회전규제용 돌기(29)의 오른쪽에 있어, 액정표시부(2)가 역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도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형 규제부재(24)의 상측 삽입부(26)는 좌측 개폐축(6b)의 규제용공(17)보다 바깥쪽에 있고, 또 하측 삽입부(27)가 규제용공(17)의 개폐허용용 틈새(22) 내에 있으므로,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을 개폐조작해도, 삽입부(26, 27)가 제1 및 제2 부채꼴 벽부(18, 19)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이로써,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의 폴더 개폐동작을 저해하지 않으므로, 닫힌 상태로부터, 하측 삽입부(27)가 제1 부채꼴 벽부(18)에 접촉하는 거의 160°까지 자유롭게 개폐조작을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 이상 개방시킨 상태로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통상의 통화 시나 메일 송수신 시 등에는,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로 하여 조작부(4)에서 키 입력하면서 사용한다. 이 상태에서는, 상측 삽입부(26)가 개폐축 규제용공(17)의 바로 위에 있으며, 하측 삽입부(27)가 규제용공(17) 내에 있으므로, 막대형 규제부재(24)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한편, 지상 디지털TV방송의 시청이나 영문으로 메일을 송수신할 경우 등 횡형화상을 보고싶을 때에는, 사용자가 액정표시부(2)를 회전시켜 종형에서 횡형으로 절환한다.
우선, 사용자는 액정표시부(2)의 하단측 코너부(2b)를 압축 코일스프링(33)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여 표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도2에 나타내는 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이 때, 도5, 도6 및 도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측 캠면(12a)에 밀려 막대형 규제부재(24)가 힌지부(6) 쪽으로 밀리지만, 막대형 규제부재(24)의 삽입부(26, 27)는 개폐축 규제용공(17)의 바로 위에 위치하므로, 삽입부(26, 27)가 제1 및 제2 부채꼴 벽부(18, 19)에 접하지 않으며, 막대형 규제부재(24)는 액정표시부(2)의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다음에 액정측 캠면(12a)의 볼록부를 넘으면, 압축된 압축 코일스프링(33)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액정표시부(2)가 보조되면서 횡형상태로 절환된다. 이 상태에서도 삽입부(26)는 개폐축의 규제용공(17) 내에 있다. 또 이 때, 상측 삽입부(26)가 소지름부(6f)에 접촉하지 않도록 스트로크 조정된다.
도3, 도7, 도10 및 도16에 나타내는 횡형상태에서도, 상기 액정표시부(2)의 좌우방향 중앙부는 제1 케이싱(3)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한다. 그리고 액정표시부(2)에 횡형 화상이 크게 표시되도록 설정하여, 조작부(4)에서 키 입력하면서 TV로 퀴즈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TV쇼핑이나 은행 송금 등을 TV를 통해 이용하거나 한다.
또 사용 후는 상기와는 반대로, 액정표시부(2) 우측의 하단측 코너부(2b)를 압축 코일스프링(33)의 바이어스 힘에 대항하도록, 표면에서 보아 역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액정측 캠면(12a)의 볼록부를 넘으면, 압축 코일스프링(33)의 바이어스 힘에 의해 액정표시부(2)가 보조되면서 종형상태로 돌아온다.
그러나 액정표시부(2)가 절환상태나 횡형상태인 채,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 이하로 닫고자 하면, 삽입부(26, 27)가 제1 및 제2 부채꼴 벽부 (18, 19)에 접해, 그 폐쇄동작이 규제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2)가 제2 케이싱(5)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접어 대기상태로 한다.
-실시예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1)에 의하면,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 막대형 규제부재(24)에 의해,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하여, 액정표시부(2)가 제2 케이싱(5)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2)의 회전축(13)을 제2 케이싱(5)에서 크게 떨어지게 하는 일없이, 액정표시부(2)를 크게 하면서도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액정표시부(2)의 절환조작 때문에 액정표시부(2)나 제2 케이싱(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이 120° 이상 열렸을 때만, 액정표시부(2)를 종형과 횡형으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2)의 회전축(13)을 제2 케이싱(5)에서 크게 떨어지게 하는 일없이, 액정표시부(2)를 크게 하면서도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액정표시부(2)의 절환조작에 의해 액정표시부(2)나 제2 케이싱(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막대형 규제부재(24)가 지지기구(10) 및 힌지부(6)와 연동되어,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한다. 이로써, 개폐조작을 규제하는 각도의 설정이 용이하 므로, 액정표시부(2)가 제2 케이싱(5)에 접촉하는 것을 막대형 규제부재(24)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액정표시부(2)를 종형에서 횡형으로 절환할 때에, 제1 케이싱(3)에 배치한 막대형 규제부재(24)의 한끝이 액정측 캠면(12a)에 밀려 제2 케이싱(5)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끝의 삽입부(26)가 힌지부(6) 쪽 규제용공(17)으로 삽입되므로, 삽입부(26)와 제1 및 제2 부채꼴 벽부(18, 19)가 접촉함으로써 힌지부(6)의 왼쪽 개폐축(6b) 회전을 저지하여,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의 폴더 개폐동작을 규제하도록 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는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 이하로 닫을 수 없으므로, 액정표시부(2)의 회전축(13)을 제2 케이싱(5)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표시부(2)의 절환조작에 의해 액정표시부(2)나 제2 케이싱(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 이하로 닫았을 때에, 막대형 회전저지부재(30)의 한끝을 힌지측 캠면(15)으로 밀고, 다른 끝을 장착 브래킷(12)의 회전규제용 돌기(29) 좌우방향 바깥쪽으로 위치시켜, 액정표시부(2)의 회전을 규제하도록 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2)의 회전축(13)을 제2 케이싱(5)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표시부(2)의 절환조작에 의해 액정표시부(2)나 제2 케이싱(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압축 코일스프링(33)에 의해 액정표시부(2)가 종형 또는 횡형으로 되도록 절환조작을 보조시킨다. 이로써 사용자는 한 손만으로 종형 또는 횡형으로의 원터치 절환도 가능해지므로, 보다 조작성 좋은 폴더식 휴대전화(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액정표시부(2)를 종형에서 횡형으로 절환할 때, 막대형 규제부재(24)는, 그 한끝이 액정측 캠면(12a)의 볼록부를 넘으면, 압축된 압축 코일스프링(33)의 탄성력이 작용하여 제1 접촉판(25)에서 밀리고, 이 때문에 액정측 캠면(12a)을 밀어 올려 액정표시부(2)의 횡형으로의 절환을 보조하도록 하는 한편, 횡형으로부터 종형으로 되돌릴 때도, 압축 코일스프링(33)의 탄성력으로 종형으로의 절환을 보조한다. 또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이 폐쇄상태에서 개방상태로 절환될 때에 압축 코일스프링(33)을 회전저지부재(30)의 제2 접촉판(32)에 접하게 하여, 막대형 규제부재(24)의 제1 접촉판(25)을 밀어 올리고, 이 막대형 규제부재(24)를 개재하고 제1 케이싱(3)을 제2 케이싱(5)에서 떨어지도록 바이어싱 하여, 개방동작을 보조하도록 한다. 이로써, 더욱 조작성 좋은 폴더식 휴대전화(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기구(10)에 의해, 접촉을 방지하면서 액정표시부(2)의 절환을 행하여,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에서의 액정표시부(2) 좌우방향 중앙부를 각각 제1 케이싱(3)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액정화면을 가능한 한 크게 하면서도, 종형만이 아닌 횡형 상태에서도, 액정표시부(2)를 전체 좌우방향 중앙부로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외관상으로도 좋으며 또 액정화면이 잘 보이고 조작성 좋은 폴더식 휴대전화(1)가 얻어진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액정표시부(2)를, 종형 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이 되도록 형성하여,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2)의 회전축(13)을 제2 케이싱(5)에서 멀리 떨어지게 하지 않아도, 액정화면을 액정표시부(2)의 하단부 근방까지 확대시킬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하면서 더 화면이 크고 조작성 좋은 폴더식 휴대전화(1)가 얻어진다.
-실시예의 변형예-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하로 2개의 삽입부(26, 27)를 형성했지만, 상측 삽입부(26)만으로도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발휘된다. 그러나 상하로 2개의 삽입부(26, 27)를 형성하는 편이, 삽입부(26, 27)의 개폐조작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대해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19 내지 도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막대형 규제부재(24)의 하측 형상을 변형시켜도 된다. 즉, 그 밖의 실시예에 관한 막대형 규제부재(124)는, 하단 쪽에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삽입부(126)를 갖는다. 한편 캠 부재(116)의 규제용공(117)은, 상측만 개구된 부채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도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즉, 도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일 때는 삽입부(126)가 규제용공(117)보다 위쪽에 있어,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의 폴더 개폐조작은 규제되지 않지만, 도20에 나타내는 절환 도중이나, 도21에 나타내는 횡형상태에서는, 삽입부(126)가 규제용공(117) 내에 있으며, 그 규제용공(117)을 형 성하는 벽부의 벽면(118, 119)에 의해, 좌측 개폐축(6b)의 회전이 규제된다.
상기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일 때에는 삽입부(126)가 벽면(118, 119)에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 이하로 닫을 수 있다.
한편,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는 삽입부(126)가 벽면(118, 119)에 접촉하므로,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120°이하로 닫을 수 없다.
따라서 액정표시부(2)의 회전축(13)을 제2 케이싱(5)으로부터 크게 떨어지게 하는 일없이, 액정표시부(2)를 크게 하면서도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액정표시부(2)의 절환조작에 의해 액정표시부(2)나 제2 케이싱(5)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지지기구(10)에 의해, 액정표시부(2)를 종형에서 횡형으로, 표면에서 보아 시계방향으로 절환하도록 하지만, 역시계방향으로 절환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제1 케이싱(3)의 수용 오목부(14)를 오른쪽에 배치하고, 지지기구(10), 막대형 규제부재(24) 등도 오른쪽으로 배치하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액정표시부(2)의 종형 및 횡형 상태에서의 좌우방향 중앙부를 제1 케이싱(3)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시키지만, 좌우 어느 한쪽에 오프셋 시켜도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회전저지부재(30)를 설치하지만, 반드시 설치하지 않아도, 막대형 규제부재(24)만에 의해 본 발명의 작용 효과는 발휘된다. 그러나 회전저지부재(30)를 설치함으로써, 개폐조작에 대한 강도가 향상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개폐조작을 규제하는 각도를 120°로 설정했지만, 이 각 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최대 개방각도도 160°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실시예에서, 액정표시부(2)는 액정 디스플레이(2a)를 구비하는 것으로 하지만, 유기EL 디스플레이를 구비해도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폴더식 휴대전화에 의하면, 액정표시부가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 막대형 규제부재에 의해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소정 각도 이하로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하여, 액정표시부가 제2 케이싱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로써, 액정표시부의 회전축을 제2 케이싱에서 크게 떨어지게 하는 일없이, 액정표시부를 크게 하면서도 전체적인 크기를 억제할 수 있음과 더불어, 액정표시부의 절환조작 때문에 액정표시부나 제2 케이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액정표시부(2)가 배치된 제1 케이싱(3)과,
    조작부(4)를 갖는 제2 케이싱(5)과,
    상기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힌지(hinji)부(6)를 구비하며,
    상기 액정표시부(2)는, 상기 제1 케이싱(3)에 대해,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액정표시부(2)가 상기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기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소정 각도보다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하는 개폐규제수단(24, 12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이 소정 각도 이상 크게 열렸을 때만, 액정표시부(2)가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2)는, 지지기구(10)를 개재하고 상기 제1 케이싱(3)에 종형상태와 횡형상태로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개폐규제수단(24, 124)은, 상기 지지기구(10) 및 힌지부(6)와 연동되고, 상기 액정표시부(2)가 상기 종형상태가 아닐 때에는 상기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소정 각도보다 닫을 수 없도록 규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싱(3)의 좌우방향으로부터 좌우 어느 한쪽에 오프셋 시킨 위치에는, 상기 지지기구(10)를 수용하며, 그 측벽(14b)의 힌지부(6) 쪽이 개구되는 수용 오목부(14)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기구(10)는, 상기 액정표시부(2)의 배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케이싱(3)의 수용 오목부(14) 쪽에 수용되는 장착 브래킷(12)과, 이 수용 오목부(14)에 배치되어, 장착 브래킷(12)을 개재하고 액정표시부(2)를 제1 케이싱(3)에 절환조작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축(13)을 구비하고, 이 장착 브래킷(12)에는 힌지부(6) 쪽으로 팽창되는, 가운데가 볼록형상인 액정측 캠면(12a)이 형성되며,
    상기 힌지부(6)는, 제1 케이싱(3)을 제2 케이싱(5)으로 폴더 개폐 자유롭게 연결하는 개폐축(6b)을 구비하며, 이 개폐축(6b)의 소정위치에는 반지름방향 외측이 개구하는 규제용공(17, 117)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규제수단(24, 124)은 상기 수용 오목부(14)의 힌지부측 개구(14c)로 삽입하도록 배치되며, 한끝이 상기 액정측 캠면(12a)에 접하고,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에서 횡형상태로 절환할 때에, 이 액정측 캠면(12a)에 밀려 상기 힌지부(6)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다른 끝에 형성한 삽입부(26)가 이 힌지부(6)의 규제용공(17, 117)에 삽입됨으로써,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의 폴더 개폐동작을 규제하는 막대형 규제부재(24, 124)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6) 바깥 둘레에는, 상기 규제용공(17, 117)보다 좌우방향 외측에 힌지측 캠면(15)이 형성되며,
    상기 액정표시부(2)의 장착 브래킷(12)에는, 상기 힌지측 캠면(15)과 대향하는 위치보다 약간 좌우방향 안쪽에 힌지부(6) 쪽으로 돌출하는 회전규제용 돌기(29)가 형성되고,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 124)의 좌우방향 바깥쪽에 수용 오목부(14)의 힌지부측 개구(14c)로 삽입하도록 배치되며, 한끝이 상기 힌지측 캠면(15)에 접하여, 제1 케이싱(3)과 제2 케이싱(5)을 소정 각도보다 닫았을 때에, 상기 힌지측 캠면(15)에 밀려 상기 장착 브래킷(12) 쪽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이 장착 브래킷(12)의 회전규제용 돌기(29)의 좌우방향 바깥쪽에 위치한 다른 끝이 회전규제용 돌기(29)에 접해 액정표시부(2)의 회전을 규제하는 막대형의 회전저지부재(3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2)를 종형상태 또는 횡형상태가 되도록 바이어싱 하는 탄성부재(33)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33)는, 한끝이 상기 막대형 규제부재(24, 124)에 구성된 제1 접촉판(25)에 접하는 동시에, 다른 끝이 회전저지부재(30)에 구 성된 제2 접촉판(32)에 접하는 압축 코일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2)의 종형상태와 횡형상태에서의 좌우방향 중앙부가, 각각 제1 케이싱(3)의 거의 좌우방향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표시부(2)는, 종형상태에서의 하단부가 직선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더식 휴대전화.
KR1020060019030A 2005-03-02 2006-02-28 폴더식 휴대전화 KR100716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57065 2005-03-02
JP2005057065A JP4190509B2 (ja) 2005-03-02 2005-03-02 折畳み式携帯電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6299A true KR20060096299A (ko) 2006-09-11
KR100716072B1 KR100716072B1 (ko) 2007-05-14

Family

ID=36282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19030A KR100716072B1 (ko) 2005-03-02 2006-02-28 폴더식 휴대전화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587226B2 (ko)
EP (1) EP1699209B1 (ko)
JP (1) JP4190509B2 (ko)
KR (1) KR100716072B1 (ko)
CN (1) CN100539611C (ko)
DE (1) DE60200601489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84059B2 (ja) * 2005-01-31 2009-12-16 シャープ株式会社 折畳み式携帯電話
US7953448B2 (en) 2006-05-31 2011-05-31 Research In Motion Limited Keyboard for mobile device
US8185169B2 (en) 2005-05-31 2012-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Rotarily configur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US8072427B2 (en) 2006-05-31 2011-12-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Pivoting, multi-configuration mobile device
KR100726468B1 (ko) * 2005-06-27 2007-06-11 (주)케이티에프테크놀로지스 힌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휴대용 단말기
EP1978436A3 (en) * 2006-05-31 2009-09-30 Research In Motion Limited Rotarily configur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
KR100800677B1 (ko) 2006-09-07 200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다축 힌지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연결 부재
JP2008079069A (ja) * 2006-09-22 2008-04-03 Fujitsu Ltd 携帯端末装置
JP2010508745A (ja) * 2006-11-07 2010-03-18 ノキア コーポレイション フリップトップ機器用の弾性レバー
US7991441B2 (en) * 2006-11-23 2011-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Swing hinge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dual hinge device having the same
JP2008153901A (ja) * 2006-12-15 2008-07-03 Fujitsu Ltd 電子機器
KR100810364B1 (ko) * 2007-01-05 2008-03-04 삼성전자주식회사 시청이 편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로터리형 힌지 장치
JP5448143B2 (ja) * 2009-01-23 2014-03-19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回転ヒンジ、及び携帯機器
US8463326B2 (en) 2009-02-23 2013-06-11 Research In Motion Limited Handheld electronic device transitionable between different configurations
US9041730B2 (en) * 2010-02-12 2015-05-26 Dexcom, Inc. Receivers for analyzing and displaying sensor data
KR101733806B1 (ko) * 2010-08-05 2017-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CN101990016B (zh) * 2010-09-10 2014-02-12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手机的旋转机构
KR102047386B1 (ko) * 2018-11-30 2019-11-21 (주) 씨앤피 접이식 탁상형 전자 확대기
CN113741621A (zh) * 2020-05-27 2021-12-03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N112198928B (zh) * 2020-09-30 2023-05-02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94318A (ja) 1989-09-07 1991-04-19 Toshiba Corp 携帯用電子機器
JP3322021B2 (ja) 1994-08-22 2002-09-0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情報機器
JP2000020166A (ja) 1998-06-30 2000-01-21 Nikko Ind Corp 表示部の回転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01142408A (ja) 1999-11-17 2001-05-25 Hitachi Ltd 画像表示装置
JP2001156893A (ja) 1999-11-29 2001-06-08 Nec Saitama Ltd 通信機器の表示システム及び方法
JP3982199B2 (ja) 2001-04-18 2007-09-2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連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折り畳み式電子機器
JP2003174495A (ja) 2001-09-28 2003-06-20 Nec Corp 折り畳み式携帯情報端末
EP1486688A4 (en) 2002-03-19 2010-09-22 Panasonic Corp HINGE AND OPENING AND CLOSING, PORTABLE TERMINAL DEVICE THEREFOR
JP4061473B2 (ja) 2002-04-26 2008-03-19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型携帯電話機
JP2004064716A (ja) 2002-06-03 2004-02-26 Toya Kensetsu Kogyo:Kk 携帯用電話機
JP3595547B2 (ja) 2002-08-22 2004-12-02 シャープ株式会社 薄型表示装置
JP2004088316A (ja) 2002-08-26 2004-03-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開閉式の通信端末
JP4093038B2 (ja) 2002-12-06 2008-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折り畳み式携帯装置およびそのヒンジ機構
JP3796222B2 (ja) 2003-01-08 2006-07-12 三洋電機株式会社 携帯型無線端末機
KR100528548B1 (ko) 2003-07-30 2005-11-15 주식회사 스카이텔레텍 수평 회전이 가능한 표시 장치를 갖춘 폴더형 휴대폰
US20050091431A1 (en) * 2003-10-23 2005-04-28 Robert Olodort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s
JP2004302491A (ja) 2004-07-15 2004-10-28 Sharp Corp 液晶表示装置
JP3936956B2 (ja) 2005-05-23 2007-06-27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通信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99606A1 (en) 2006-09-07
CN100539611C (zh) 2009-09-09
JP2006245858A (ja) 2006-09-14
US7587226B2 (en) 2009-09-08
EP1699209B1 (en) 2010-06-16
EP1699209A1 (en) 2006-09-06
KR100716072B1 (ko) 2007-05-14
JP4190509B2 (ja) 2008-12-03
DE602006014893D1 (de) 2010-07-29
CN1829242A (zh) 2006-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607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KR10070965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US7865151B2 (en) Swing hinge device for mobile terminal
JP4288287B2 (ja) 折畳み式携帯端末
KR100893976B1 (ko) 폴더식 휴대통신기기
KR100993095B1 (ko) 폴더식 휴대기기
EP1758343A2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EP1783985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hanging screen mode thereof
JP4783847B2 (ja) 携帯端末
WO2006030607A1 (ja) 携帯機器
EP1773030A2 (en) Foldable portable terminal with a hinge which allows several angle positions of the two housings
EP1755318B1 (en) Hinge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JP4210288B2 (ja) 携帯型無線端末機
JP4899190B2 (ja) 携帯電子機器
JP4547354B2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JP2009038473A (ja) 折り畳み式通信端末
KR100810352B1 (ko) 힌지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JP4675939B2 (ja) 携帯用表示機器の表示部回転装置、携帯用表示機器の表示部の回動方法、および携帯用表示機器
KR20100080501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를 개폐하기 위한 슬라이드 조립체
JP2008113449A (ja) 折畳み式携帯電話
JP2009207161A (ja) 折畳み式携帯通信機器
US20100107367A1 (en) Rotary hinge module and folder 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the same
JP2008034946A (ja) 折畳み式携帯電話
KR20050060375A (ko) 폴더가 수직ㆍ수평방향으로 개ㆍ폐되는 휴대폰
JP2008067409A (ja) 折畳み式携帯電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