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90298A -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90298A
KR20060090298A KR1020067010227A KR20067010227A KR20060090298A KR 20060090298 A KR20060090298 A KR 20060090298A KR 1020067010227 A KR1020067010227 A KR 1020067010227A KR 20067010227 A KR20067010227 A KR 20067010227A KR 20060090298 A KR20060090298 A KR 200600902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recording medium
photosensitive drum
developing
imag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79151B1 (ko
Inventor
겐지 하야시
가즈히로 이이하라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90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90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791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791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2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 G03G15/2003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 G03G15/20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 G03G15/2039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fixing, e.g. by using heat using heat using contact heat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fixing tempera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감광체 드럼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기록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한다.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기록 시트(S)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화상 정보 및 제어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기록 시트(S)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감광체 드럼(50), 현상 장치(52) 및 전사롤(56)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감광체 드럼(50), 현상 장치(52) 및 전사롤(5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한다.
화상 형성 장치, 감광체 드럼, 현상 장치, 전사롤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에 관계되고,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정전 잠상(靜電潛像)이 광학적으로 형성되는 감광체 드럼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한 토너 현상에 의해 얻어진 현상 화상을 화상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 및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사기, 레이저빔 프린터 등의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일반적으로, 화상 정보에 따른 토너 화상을 감광체 드럼 표면에 형성한 후, 상기 토너 화상을 기록 시트에 전사함으로써 기록 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레이저빔 프린터에서는 우선, 감광체 드럼의 표면을 소정의 배경부 전위로 대전하고, 화상 정보에 의해 변조된 레이저빔으로 감광체 드럼의 표면을 주사 노광(露光)함으로써 정전 잠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전 잠상을 현상 장치에 의해 토너로 현상함으로써 토너 화상으로서 현재화(顯在化)한 후, 상기 토너 화상을 기록 시트에 전사하고, 상기 기록 시트를 정착기에 의해 가열 정착함으로써 기록 화상을 얻도록 하고 있다.
종래, 이 종류의 가열 정착에 의해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에서, 기록 시트의 사이즈가 통상 사이즈보다 작은 것에 기인하는 정착기의 과온도 상승을 막는 것을 목적으로, 특허 문헌 1에는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기록 시트가 작은 사이즈일 경우에, 연속 기록 매수에 따라 단위 시간당 기록 매수를 수차적으로 하강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일례로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상 사이즈의 기록 시트에 연속하여 화상 형성을 행할 경우에는, 상기 기록 시트의 정착기에 설치된 정착 롤러에 접하는 면적이 비교적 넓고, 과온도 상승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소정 인쇄 속도(상기 도면에서는, 36PPM(Pages Per Minute))가 되도록 미리 정해진 1매의 주행 시간(화상 형성시에서의 기록 시트 1매당 소정 위치를 통과하는 시간) 및 용지 대기 시간(기록 시트 1매 마다 급지부로부터의 기록 시트 반출 동작을 정지시키는 시간)으로 최종 페이지까지 연속하여 화상 형성을 행한다.
이에 대해, 작은 사이즈의 기록 시트에 연속하여 화상 형성을 행할 경우에는,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1매째로부터 20매째까지와, 21매째로부터 50매째까지와, 51매째 이상의 3단계에서, 기록 매수가 증가한 만큼 용지 대기 시간을 길게 하여 단위 시간당 기록 매수를 순차적으로 하강시킴으로써, 정착기의 과온도 상승을 막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도면에서, 51매째 이상의 인쇄 속도가 고정으로 되어 있는 것은, 이 때에 설정되는 용지 대기 시간 e 동안에 정착 롤러의 온도가 충분히 저하하고, 그 이후, 여러 매 연속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여도 과온도 상승이 생기지 않기 때문이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공개특허 평9-218608호 공보
그러나, 특허 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상기 기술에서는, 정착기의 과온도 상승은 방지할 수 있지만, 이 때문에 각 기록 시트 사이의 용지 대기 시간을 연속 기록 매수에 따라 변화시킴으로써 단위 시간당 기록 매수(인쇄 속도)를 제어하고 있고, 감광체 드럼의 회전 구동, 전사 롤러의 회전 구동, 현상 장치에 의한 토너의 교반 동작 등은 계속해 가고 있기 때문에, 감광체 드럼 표면의 마모가 촉진되게 되는 동시에, 토너가 과잉 내전(耐電)하게 되는 결과, 현상성의 저하를 초래하고, 기록 화상의 품질이 저하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감광체 드럼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기록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는 화상 형성 장치 및 화상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는, 구동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정전 잠상(靜電潛像)이 광학적으로 형성되는 감광체 드럼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한 토너 현상에 의해 얻어진 현상 화상을 화상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상기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감광체 드럼에 대하여, 상기 감광체 드럼이 구동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정전 잠상이 광학적으로 형성되고, 현상 수단에 의해 상기 현상 수단이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이 토너 현상되고, 전사 수단에 의해 상기 전사 수단이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한 토너 현상으로 얻어진 현상 화상이 화상 기록 매체에 전사된다. 또한, 상기 화상 기록 매체는 상술한 기록 시트에 상당하는 것이며, 그 사이즈, 두께, 재질 등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상기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이 연속하여 행해지도록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구동이 제어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이 정지되도록 제어된다.
이렇게, 제 1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장치에 의하면,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상기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감광체 드럼, 현상 수단 및 전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있으므로, 상기 감광체 드럼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상기 감광체 드럼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상기 현상 수단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기록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어 수단은,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대한 연속 화상 형성 매수가 소정 매수가 될 때에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시간만큼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제 2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전사된 현상 화상을 열에 의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또한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대한 화상 형성을 상기 소정 매수만큼 연속해 가도 상기 정착기가 소정 온도를 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결정하도록 할 수도 있다.
특히,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마다 미리 기억한 기억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제어를 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억 수단에는 ROM(Read 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플래시 EEPROM(Flash EEPROM) 등의 반도체 기억 소자, 스마트·미디어(Smart Media(등록 상표)), xD 픽처 카드(xD-Picture Card),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ATA(AT Attachment) 카드, 마이크로 드라이브, 플로피 디스크, CD-R(Compact Disc-Recordable), CD-RW(Compact Disc-ReWritable), 광자기디스크 등의 가반형(可搬型) 기록 미디어가 포함된다.
또한, 제 4 항에 기재된 발명은, 제 5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를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사이즈,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두께, 및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종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 10 항에 기재된 화상 형성 방법은, 구동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정전 잠상이 광학적으로 형성되는 감광체 드럼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한 토너 현상에 의해 얻어진 현상 화상을 화상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상기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과 동일하게 작용하므로, 제 1 항에 기재된 발명과 마찬가지로, 감광체 드럼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상기 감광체 드럼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상기 전사 수단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기록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1 항에 기재된 발명과 같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대한 연속 화상 형성 매수가 소정 매수가 될 때에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시간만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게 할 수도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인쇄 구동 제어 정보의 구성을 나타낸 모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인쇄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
도 4는, 도 4의 (a) 및 도 4의 (b)는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 의한 화상 형성 동작의 설명에 따른 모식도.
도 5는 종래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동작의 설명에 따른 모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20 : 컨트롤러(controller)
22 : CPU(제어 수단, 특정 수단) 24 : 메모리(기억 수단)
50 : 감광체 드럼 52 : 현상 장치(현상 수단)
54 : 현상롤 56 : 전사롤(전사 수단)
S : 기록 시트(화상 기록 매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도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형태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 전체의 동작을 담당하는 컨트롤러(20)와,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화상을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4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컨트롤러(20)에는 퍼스널 컴퓨터(도시 생략) 등의 호스트(host)·컴퓨터, 또는 전화 회선이나 LAN 등의 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되어 오는 화상 정보나, 스캐너(도시 생략), 디지털 카메라 등의 화상 판독 장치에 의해 판독된 화상 정보 등이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 시트의 종류를 나타낸 정보나 화상 형성 매수를 나타낸 정보 등이 포함된 제어 정보와 함께 입력된다.
화상 출력부(40)에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화상 정보에 의해 도시된 화상의 주사 노광(走査露光)을 행하는 주사 노광부(42)가 배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주사 노광부(42)에서는 상기 화상 정보에 의거하여 레이저빔 L에 의한 주사 노광이 행하여진다.
즉, 주사 노광부(42)에서는, 반도체 레이저(도시 생략)로부터 상기 화상 정보의 계조 데이터에 따른 레이저빔 L이 출사되고, 상기 레이저빔 L이 회전 다면경 (44)에 의해 편향 주사되어, 반사 미러(46)와 반사 미러(48)를 차례로 통하여 감광체 드럼(50) 위에 주사된다. 또한, 감광체 드럼(50)은 구동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상기 도면의 화살표 방향에 소정 속도로 회전 구동된다.
이 감광체 드럼(50)은 대전롤(도시 생략)에 의해 소정 전위로 대전된 후, 화상 정보에 따라 레이저빔 L이 주사 노광됨으로써, 표면에 정전 잠상이 형성된다. 그리고, 감광체 드럼(50) 위에 형성된 정전 잠상은 현상 장치(52)의 현상롤(54)에 의해 현상되어, 토너 화상으로서 현재화(顯在化)된다.
한편, 감광체 드럼(50) 위에 형성된 토너 화상은, 상기 감광체 드럼(5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전사롤(56)에 의해 기록 시트 S 위에 전사되는 동시에,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 S는, 바늘 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분리 대전기(58)에 의해 제전(除電)되어서 감광체 드럼(50)으로부터 분리된다. 또한, 이 바늘 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분리 대전기(58)에는 AC(교류)전압 또는 DC(직류)전압을 중첩한 AC전압이 인가되게 되어 있다.
기록 시트 S는, 화상 형성 장치(10) 내의 하부에 배열 설치된 급지 카세트(60)로부터 피드롤(62)에 의해 급지된다. 그리고, 급지된 기록 시트 S는 반송롤(64) 및 레지스트롤(66)에 의해 감광체 드럼(50)의 표면까지 반송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 급지 카세트(60)에 의해 급지되는 기록 시트 S는 A4 사이즈, B5 사이즈라고 하는 정형 사이즈로 된 것이며, 상기 기록 시트를 이하에서는 「정형 기록 시트」로 한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기 도면 우측 측면에 수동 입력 트레이(68) 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수동 입력 트레이(68)를 시계 회전 방향에 대략 수평한 위치까지 회전시켜 정지시킴으로써, 상기 수동 입력 트레이(68)로부터 정형 기록 시트는 사이즈, 두께, 재질 등이 다른 기록 시트(이하, 「비정형 기록 시트」로 함)도, 직경이 큰 급지롤(70)을 통하여 급지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에서는, 취급 대상으로 하는 복수의 비정형 기록 시트의 사이즈가 미리 정해져 있고, 이 사이즈를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비정형 a 사이즈, 비정형 b 사이즈, …로 표현한다. 이하에서는 「정형 기록 시트」 및 「비정형 기록 시트」를 총칭하여 「기록 시트」로 한다.
한편, 감광체 드럼(50) 위로부터 토너 화상이 전사된 기록 시트 S는 상술한 바와 같이 바늘 형상 전극으로 이루어지는 분리 대전기(58)에 의해 제전되어 감광체 드럼(50)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된 후, 정착기(72)에 반송된다.
정착기(72)에 반송된 기록 시트 S는, 가열롤(74) 및 가압롤(76)에 의해 열 및 압력으로 토너 화상이 기록 시트 S 위에 정착된 후, 배출롤(78)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0) 상부에 설치된 배출 트레이(80) 위에 배출되어서 화상 형성 공정이 종료된다.
또한, 기록 시트 S의 표리(表裏) 양면에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에는, 한 면에 화상이 인쇄된 기록 시트 S를 그대로 배출 트레이(80) 위에 배출하지 않고, 배출롤(78)을 역전(逆轉)하여 복수의 반송롤(82)을 구비한 양면 유닛(84)으로 유도하고, 기록 시트 S의 표리를 반전한 상태에서 두 번째 감광체 드럼(50)의 전사 위치로 반송한다.
한편, 컨트롤러(20)는 화상 형성 장치(10)의 각 부의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정보에 대하여 각종 화상 처리를 실시하는 역할을 갖는 CPU(중앙 연산 처리 장치)(22)와, 각종 프로그램이나 파라미터 등을 미리 기억하는 동시에, 각종 프로그램의 실행시에서의 워크 에어리어(work area) 등으로서 기능하는 불휘발성 반도체 기억 소자(본 실시예에서는 플래시·메모리)에 의해 구성된 메모리(24)와, 리셋된 시점으로부터의 경과 시간을 계시(計時)하는 타이머(26)와, 리셋된 시점으로부터의 화상 형성 매수(인쇄 매수)를 계수(計數)하는 카운터(28)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메모리(24), 타이머(26) 및 카운터(28)는 각각 CPU(22)에 접속되어 있고, CPU(22)는 메모리(24)로의 액세스, 타이머(26)에 의한 계시, 및 카운터(28)에 의한 화상 형성 매수의 계수를 각각 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에서는 착종(錯綜)을 회피하기 위해, CPU(22)와, 메모리(24), 타이머(26) 및 카운터(28) 사이의 접속선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그런데, 메모리(24)의 소정 영역에는, 기록 시트 S로의 화상 형성시(인쇄시)에서의 각 부의 구동 제어에 필요한 정보(이하, 「인쇄 구동 제어 정보」로 함)가 미리 기억되어 있다.
인쇄 구동 제어 정보는, 일례로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지 종류」, 「연속 인쇄 매수」, 「1매의 주행 시간」, 「용지 대기 시간」, 및 「대기 시간」의 각 정보가 취급 대상으로 하는 기록 시트 S의 종류마다 테이블 형식으로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속 인쇄 매수」는 기록 시트 S에 대한 연속 화상 형성 매수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1매의 주행 시간」은 화상 형성시에서의 기록 시트 1매당 소정 위치를 통과하는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또한, 상기 「용지 대기 시간」은 감광체 드럼(50), 현상 장치(52), 전사롤(56), 정착기(72) 등의 메인 부위의 구동을 계속시킨 상태에서의 기록 시트 1매 마다의 급지 카세트(60) 또는 수동 입력 트레이(68)로부터의 기록 시트 S의 반출 동작을 정지시키는 시간을 나타낸 것이며, 상기 「대기 시간」은 상기 「연속 인쇄 매수」에 의해 도시된 매수만큼 연속하여 화상 형성을 행한 후 기록 시트 S의 반송 동작 및 상기 메인 부위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시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에 나타낸 예에서는, 예를 들어 A3 사이즈인 기록 시트 S에 대하여 복수매의 화상 형성을 행할 경우에 대응하는 인쇄 구동 제어 정보로서, 기록 시트 1매당 주행 시간을 2.0초로 하고, 용지 대기 시간을 0.66초로 하여 연속적으로 화상 형성을 행하도록 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비정형 a 사이즈인 기록 시트 S에 대하여 복수매의 화상 형성을 행할 경우에 대응하는 인쇄 구동 제어 정보로서, 기록 시트 1매당 주행 시간을 1.0초로 하고, 용지 대기 시간을 2.43초로 하여 20매씩 연속적으로 화상 형성을 행하는 동시에, 각 연속 화상 형성 동안에 60.0초의 대기 시간을 설치하도록 하는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이렇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는, 정형 기록 시트에 대해서는 기록 시트의 종류마다 미리 정해진 1매당 주행 시간 및 용지 대기 시간으로 최후까지 화상 형성을 행하는 것에 대해, 비정형 기록 시트에 대해서는 기록 시트의 종류마다 미리 정해진 1매당 주행 시간 및 용지 대기 시간으로 미리 정해진 연속 인쇄 매수만큼 연속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동시에, 각 연속 화상 형성 동안에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만큼 기록 시트 S의 반송 동작 및 상기 메인 부위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연속 인쇄 매수(본 발명의 「소정 매수」에 상당) 및 상기 대기 시간(본 발명의 「소정 시간」에 상당)은, 대응하는 기록 시트 S에 대한 화상 형성을 상기 연속 인쇄 매수만큼 연속해 가도 정착기(72)가 이상을 초래하는 소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화상 형성 장치(10)의 수단에 의거하는 컴퓨터·시뮬레이션이나, 실기에 의한 실험 등에 의해 미리 결정된 것이 적용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 3은 전원 투입시에 화상 형성 장치(10)의 CPU(22)에 의해 실행되는 인쇄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을 나타낸 플로차트이며, 상기 프로그램은 메모리(24)의 소정 영역에 미리 기억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착종을 회피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특히 관계되지 않는 처리에 대해서는 가능한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스텝 100에서는 상기 메인 부위(감광체 드럼(50), 현상 장치(52), 전사롤(56), 정착기(72) 등)의 구동을 개시시킨다. 여기서, 예를 들어 감광체 드럼(50) 및 전사롤(56)에 대해서는 회전 구동을 개시시키고, 현상 장치(52)에 대해서는 토너의 교반 동작이나 현상롤(54)의 회전 동작 등을 개시시키고, 정착기(72)에 대해서는 가열롤(74) 및 가압롤(76)의 회전 동작 및 가열롤(74)에 대한 가열 동작 등을 개시시킨다.
다음 스텝 102에서는 외부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따른 화상 정보의 입력 대기를 행함으로써 화상 형성의 지시 대기를 행하고, 외부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따른 화상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경우), 스텝 104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에 의해 특정되는 화상 형성에 사용하는 기록 시트의 종류에 따른 인쇄 구동 제어 정보(도 2도 참조)를 메모리(24)로부터 판독한다.
다음 스텝 106에서는 상기 스텝 104에서 특정된 기록 시트 S의 종류가 정형 기록 시트에 속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긍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스텝 108에 이행한다.
스텝 108에서는 상기 스텝 104에서 판독한 인쇄 구동 제어 정보에 따라, 정형 기록 시트에 공통인 소정의 인쇄 동작(기록 시트의 종류마다 미리 정해진 1매당 주행 시간 및 용지 대기 시간으로 최후까지 연속적으로 화상 형성을 행하는 동작)을 개시시키고, 다음 스텝 110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상기 제어 정보에 의해 도시된 화상 형성 매수분의 인쇄의 종료 대기를 행하고, 그 후에 스텝 132에 이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106에서 부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상기 스텝 104에서 특정된 기록 시트 S의 종류가 비정형 기록 시트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 스텝 112에 이행하고, 카운터(28)를 리셋시킨 후에 스텝 114에 이행한다.
스텝 114에서는 상기 스텝 104에서 판독한 인쇄 구동 제어 정보에 따른 인쇄 동작을 개시한다. 또한, 본 스텝 114의 처리에 의해 개시되는 인쇄 동작에서는, 예를 들어 비정형 a 사이즈인 비정형 기록 시트에 대하여 화상 형성할 경우에는 기록 시트 1매당 주행 시간이 1초가 되고, 용지 대기 시간이 2.43초가 되는 인쇄가 행하여진다. 또한, 이에 따라 카운터(28)에 의한 계수 값이, 화상 형성 매수가 1매 증가할 때마다 하나씩 인크리먼트(increment)된다.
다음 스텝 116에서는 카운터(28)의 계수 값을 참조하여, 상기 스텝 104에서 판독한 인쇄 구동 제어 정보에서의 연속 인쇄 매수 정보에 의해 도시된 매수만큼 인쇄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스텝 118에 이행하여,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에 의해 도시되는 화상 형성 매수(전(全) 인쇄 매수)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상기 스텝 116에 돌아가고,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32에 이행한다.
한편, 상기 스텝 116에서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20에 이행하여 상기 메인 부위의 구동을 정지하고, 다음 스텝 122에서 타이머(26)를 리셋하고, 그 후에 스텝 124에서, 타이머(26)에 의한 계시 값을 참조하여, 상기 스텝 104에서 판독한 인쇄 구동 제어 정보에서의 대기 시간 정보에 의해 도시되는 시간(예를 들어 기록 시트 S가 비정형 a 사이즈인 비정형 기록 시트의 경우에는 60.0초)의 경과 대기를 행하고, 그 후에 스텝 126에 이행한다.
스텝 126에서는, 외부로부터 입력된 제어 정보에 의해 도시되는 화상 형성 매수(전 인쇄 매수)분의 인쇄가 종료되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부정 판정이 된 경우에는 스텝 128에 이행하여 상기 메인 부위의 구동을 재개하고, 다음 스텝 130 에서 카운터(28)를 리셋한 후에 상기 스텝 116에 돌아간다. 한편, 상기 스텝 126에서 긍정 판정이 되었을 경우에는 스텝 132에 이행한다.
스텝 132에서는 상기 스텝 108 또는 상기 스텝 114에서 개시된 인쇄 동작을 정지하고, 그 후에 본 인쇄 처리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본 인쇄 처리 프로그램에 의해, 일례로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형 기록 시트에 대해서는, 기록 시트 S의 종류마다 미리 정해진 1매당 주행 시간 a 및 용지 대기 시간 b로 최후까지 화상 형성을 행한다. 이에 대해, 비정형 기록 시트에 대해서는, 기록 시트 S의 종류마다 미리 정해진 1매당 주행 시간 a 및 용지 대기 시간 c로 미리 정해진 연속 인쇄 매수(상기 도면에서는 20매)만큼 연속하여 화상 형성을 행하는 동시에, 각 연속 화상 형성 동안에 미리 정해진 대기 시간 f만큼 기록 시트 S의 반송 동작 및 상기 메인 부위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또한, 도 4의 (b)에 나타낸 것은 인쇄 속도가 다른 점을 제외하고는 도 4의 (a)에 나타낸 것과 동일하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기록 시트 S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여기서는, 화상 정보 및 제어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기록 시트 S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감광체 드럼(50), 현상 장치(52) 및 전사롤(56)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감광체 드럼(50), 현상 장치(52) 및 전사롤(56)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있으므로, 감광체 드럼(50)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는 동시에, 토너의 과잉 내전을 억제할 수 있고, 이 결과, 기록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시트 S에 대한 연속 화상 형성 매수가 소정 매수(여기서는, 연속 인쇄 매수)가 될 때에 감광체 드럼(50), 현상 장치(52) 및 전사롤(56)의 구동을 소정 시간(여기서는, 대기 시간)만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있으므로, 감광체 드럼(50)의 이상 승온(昇溫)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기록 시트 S에 대한 화상 형성을 상기 소정 매수만큼 연속해 가도 정착기(72)가 소정 온도를 초과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결정하고 있으므로, 정착기(72)의 이상 승온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시트 S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기록 시트 S의 종류마다 미리 메모리(24)에 기억해 두고, 특정된 화상 형성해야 할 기록 시트 S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메모리(24)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제어를 행하고 있으므로, 복수 종류의 기록 시트에 대해서 대응할 수 있는 동시에, 메모리(24)에 기억되어 있는 인쇄 구동 제어 정보를 변경하는 것만으로, 용이하게 인쇄 조건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연속 인쇄 기간과 연속 인쇄 기간의 사이에 감광체 드럼(50), 현상 장치(52) 및 전사롤(56)의 모든 구동을 정지시킬 경우에 관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이들 부위 중 하나, 또는 둘의 구동을 정지시키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감광체 드럼(50) 및 전사롤(56) 중 적어도 한쪽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감광체 드럼(50)의 마모를 억 제할 수 있고, 현상 장치(52)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기록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10)의 구성(도 1 내지 도 2 참조)은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主旨)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나타낸 인쇄 처리 프로그램의 처리 흐름(도 3 참조)도 일례이며,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본 발명에 의하면,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상기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감광체 드럼, 현상 수단 및 전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있으므로, 상기 감광체 드럼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한쪽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상기 감광체 드럼의 마모를 억제할 수 있고, 상기 현상 수단의 구동을 정지시켰을 경우에는 기록 화상의 화질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8)

  1. 구동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정전 잠상(靜電潛像)이 광학적으로 형성되는 감광체 드럼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한 토너 현상에 의해 얻어진 현상 화상(像)을 화상 기록 매체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상기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대한 연속 화상 형성 매수가 소정 매수가 되는 때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시간만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고,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전사된 현상 화상을 열에 의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정착시키는 정착기를 또한 구비하는 동시에,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대한 화상 형 성을 상기 소정 수만큼 연속해 가도 상기 정착기가 소정 온도를 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하여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과,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마다 미리 기억한 기억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특정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에 따른 상기 소정 매수 및 상기 소정 시간을 상기 기억 수단으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제어를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를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사이즈,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두께, 및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재질 중 적어도 하나에 따른 종류로 한 화상 형성 장치.
  4. 구동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정전 잠상이 광학적으로 형성되는 광체 드럼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한 토너 현상에 의해 얻어진 현상 화상을 화상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과,
    상기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상기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로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정형 사이즈인 제 1 종류인지, 상기 정형 사이즈 이외의 비정형 사이즈인 제 2 종류인지를 특정하는 특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가 상기 제 2 종류로 특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정형 사이즈인 제 1 종류인지, 상기 정형 사이즈 이외의 비정형 사이즈인 제 2 종류인지를 또한 특정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가 상기 제 2 종류로 특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2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를 나타낸 정보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또한 구비하고,
    상기 특정 수단은 상기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에 의거하여, 상기 특정을 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구동된 상태에서 화상 형성의 대상으로 하는 화상의 정전 잠상이 광학적으로 형성되는 감광체 드럼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감광체 드럼에 형성된 정전 잠상을 토너 현상하는 현상 수단과, 구동된 상태에서 상기 현상 수단에 의한 토너 현상에 의해 얻어진 현상 화상을 화상 기록 매체에 전사하는 전사 수단을 구비한 화상 형성 장치의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현상 화상의 복수매의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형성을 지시하는 지시 정보가 입력되었을 때, 상기 지시 정보에 따른 복수매의 상기 화상 기록 매체로의 현상 화상의 형성을 연속하여 행하도록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의 구동을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방법으로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가 미리 정해진 정형 사이즈인 제 1 종류인지, 상기 정형 사이즈 이외의 비정형 사이즈인 제 2 종류인지를 특정하고,
    상기 특정 수단에 의해 상기 화상 기록 매체의 종류가 상기 제 2 종류로 특정되었을 경우에, 상기 연속한 화상 형성 동안에 적어도 1회는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기록 매체에 대한 연속 화상 형성 매수가 소정 매수가 되는 때에 상기 감광체 드럼, 상기 현상 수단 및 상기 전사 수단 중 적어도 하나를 소정 시간만큼 정지시키도록 제어하는 화상 형성 방법.
KR1020067010227A 2003-11-28 2004-05-19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KR1007791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398699A JP2005157180A (ja) 2003-11-28 2003-11-28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JPJP-P-2003-00398699 2003-11-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90298A true KR20060090298A (ko) 2006-08-10
KR100779151B1 KR100779151B1 (ko) 2007-11-23

Family

ID=3463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0227A KR100779151B1 (ko) 2003-11-28 2004-05-19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680423B2 (ko)
EP (1) EP1688804B1 (ko)
JP (1) JP2005157180A (ko)
KR (1) KR100779151B1 (ko)
CN (1) CN1886701A (ko)
WO (1) WO200505269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373B2 (en) 2007-01-31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to print alternative images at an interval during a print job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48544B2 (ja) * 2009-05-29 2013-11-2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5780266B2 (ja) * 2013-06-26 2015-09-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粉体塗布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9054B2 (ja) * 1975-10-29 1984-02-29 ミノルタ株式会社 電子複写装置
JPS5735874A (en) 1980-08-14 1982-02-26 Mita Ind Co Ltd Overheating prevention method of copying machine
JPS62227173A (ja) 1986-03-28 1987-10-06 Toshiba Corp 画像形成装置
DE3644624A1 (de) * 1985-12-27 1987-07-02 Toshiba Kk Mikrofilm lese-druckgeraet
JPS63253971A (ja) * 1987-04-10 1988-10-20 Nec Corp 二色印刷電子写真印刷装置
JPH07111607B2 (ja) 1988-05-24 1995-11-2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の温度制御方法
JP2758241B2 (ja) * 1990-01-23 1998-05-28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155761B2 (ja) * 1991-01-09 2001-04-16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US5689759A (en) * 1992-08-25 1997-11-18 Canon Kabushiki Kaisha Copying apparatus and sheet size detecting device adapted for use therein
JP2727899B2 (ja) * 1992-11-13 1998-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像加熱装置及び画像形成装置
JP2991317B2 (ja) * 1993-03-19 1999-12-20 富士通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094890B2 (ja) 1996-02-09 2000-10-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定着装置
JPH1173055A (ja) * 1997-08-28 1999-03-16 Canon Inc 加熱定着装置を備える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
US6253039B1 (en) * 1998-12-15 2001-06-26 Hitachi, Ltd.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1228779A (ja) 2000-02-21 2001-08-24 Copyer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599747B2 (ja) 2001-04-05 2010-12-15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3592281B2 (ja) 2001-09-28 2004-11-24 京セラミ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373B2 (en) 2007-01-31 2014-03-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Image form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method thereof to print alternative images at an interval during a print jo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79151B1 (ko) 2007-11-23
EP1688804B1 (en) 2013-10-09
WO2005052697A1 (ja) 2005-06-09
CN1886701A (zh) 2006-12-27
JP2005157180A (ja) 2005-06-16
US20070110462A1 (en) 2007-05-17
EP1688804A4 (en) 2008-12-31
EP1688804A1 (en) 2006-08-09
US7680423B2 (en) 2010-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807032B (zh) 定影装置、图像形成装置以及定影处理方法
EP2434351B1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condensation removal method and program thereof
KR940010879B1 (ko) 화상형성장치
JP2015119441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
CN104345599A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方法
JP4772724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308854A (ja) 画像形成装置
US5512927A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a photosensitive drum rotatable at different speeds
JPH111521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KR101317784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0779151B1 (ko)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JP3780087B2 (ja) 画像記録装置
US1050960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6133310A (ja) 画像形成装置及び画像形成方法
US8218199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an image quality of a barcode while suppressing deterioration in a quality of an image
JP2009063966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画像形成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6010001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4354406A (ja) 定着装置,画像形成装置,加熱器温度制御プログラム
JP2004326394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JP200434525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2006267612A (ja) 画像形成装置
JP2675832B2 (ja) 画像記録装置
JP2675831B2 (ja) 画像記録装置
JPH0476562A (ja) 画像形成装置
JP2022076201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0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0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