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7284A -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7284A
KR20060087284A KR1020050008249A KR20050008249A KR20060087284A KR 20060087284 A KR20060087284 A KR 20060087284A KR 1020050008249 A KR1020050008249 A KR 1020050008249A KR 20050008249 A KR20050008249 A KR 20050008249A KR 20060087284 A KR20060087284 A KR 200600872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composition
cut
flame retardant
hal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8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878B1 (ko
Inventor
남진호
김오영
이정희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08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878B1/ko
Publication of KR200600872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72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12Arrangements in swimming pools for teaching swimming or for training
    • A63B69/14Teaching frames for swimming ; Swimming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은, 베이스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난연제인 금속수산화물 110 내지 300중량부; 난연조제인 붕산아연 5 내지 100중량부; 지방산계 가공조제 0.5 내지 20중량부; 주석산계 가공조제 0.5 내지 2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된 조성물 성분 내에 할로겐 원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연소시 종래의 할로겐계 제품에 비해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으며, 고난연등급인 VW-1에서 요구하는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내컷스루 특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 제품성이 향상되며, 절연재료 특히 전선용 절연피복층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요구되는 인장강도나 신율 등의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도 양호하게 확보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내컷스루, 난연, 붕산아연, 금속수산화물, 가교

Description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tion flame retardant insulating material of halogen free type with high voltage cut-through test}
본 발명은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결정성을 50% 미만으로 유지하여 온도에 따른 모듈러스 비율을 75%이상 확보함으로써 절연재료의 손상요인이 되는 컷스루에 대한 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난연 절연재료로서 범용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수지는 그 화학구조상 수소와 탄소 등의 가연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유기물로서 화재발생시 높은 발연농도를 갖고 있다. 또한, 화재 발생시 유독가스를 함유한 연기를 대량으로 발생시켜 이차적인 인명피해 등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전선의 절연재료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일정 정도 이상의 난연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난연성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것이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고 있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할로겐 원소를 함유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의 경우에는 연소시 불연의 무거운 할로겐 가스를 발생시키고 첨가제와 반응함으로써 고형화된 재를 형성시킴으로써 재료의 연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할로겐계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의 경우에는 기본적으로 난연성이 보유되어 있으며, 보다 개선된 난연성 확보를 목적으로 각종 난연제를 첨가하고 있다. 이렇게 첨가되는 각종 난연제는 소량만이 사용되므로 베이스수지의 기본 물성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며, 절연재료의 점도 상승을 유발시키지도 않으므로 우수한 압출가공성을 발현하는 장점이 있다. 한편, 사용되는 극성수지가 단독인 경우에 비하여 절연재료로서 요구되는 물성치의 확보가 어려운 점이 있어, 물리적 화학적으로 상호 친화성을 갖는 서로 다른 극성 수지들을 혼용하는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전선용 절연피복층으로 사용되는 절연재를 제조하기 위한 수지 조성물에는 할로겐 원소인 염소를 함유한 극성 수지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극성수지에는 염소화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또한 에틸렌비닐아크릴레이트에 비닐클로라이드가 결합된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공중합체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고 폴리에틸렌과 혼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 내열성, 내열 변형 특성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전선의 절연피복층으로 절연재가 사용되는 경우,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예리한 날의 금속편 등과 접촉이 발생되는 경우 절연재료에 손상이 발생하는 바, 이러 한 현상을 '컷스루'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방지나 억제를 위한 연구가 병행되어 왔다.
종래의 전선용 절연피복층을 제조하기 위해서 용융온도가 높고 결정성을 가지며 경질인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공중합체 등이 사용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의 할로겐계 베이스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로 피복된 전선에 대해, 고온에서 일정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고, 컷스루를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제조과정상에 전자빔을 이용하여 가교시키는 단계를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가교목적으로 전자빔이 조사되는 경우에는 베이스수지 내에 포함되어 있는 할로겐 원소가 분해되고, 이로 인하여 내열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며 결국에는 내열변형 및 내컷스루 특성이 열화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특히, 내열특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베이스수지의 가교밀도를 높이기 위해 전자빔을 과량 조사하면 신장율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전자빔에 노출되는 과정에서 베이스수지의 분해가 촉진되어 내열변형도 현저히 전하되며, 특정온도에서 장시간 전자빔에 베이스수지가 노출되는 경우에는 극히 낮은 신장율을 갖게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를 보상하기 위한 목적으로 특성강화를 위해 첨가제를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으나, 자칫 베이스수지의 물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예상된다. 결국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종래의 할로겐계 베이스 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는 난연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할로겐족 원소인 브롬(Br), 염소(Cl) 성분을 포함한 할로겐계 난연 절연재는 그 제조과정 또는 그 사용상에서 인체나 환경을 위협하는 여러 문제가 발생 되고 있음이 확인되고 있으며, 특히 연소시에는 다이옥신과 같은 유독가스를 방출시키는 문제로 인하여 친환경적이 관점에서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난연 절연재료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전술한 바와 같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지 않는 고난연 절연재로서, 내컷스루 특성이 개선되어야 하며, 요구되는 제품의 기계적 특성 등이 유지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절연재료 제조를 위한 물질개발에 관한 연구가 관련업계에서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며,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본 발명이 안출된 것이다.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에 기초하여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절연재료 내에 할로겐 원소가 포함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며, 컷스루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어야 하며, 절연재료를 이용하여 제조된 제품에서 요구되는 각종 물성치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은, 베이스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난연제인 금속수산화물 110 내지 300중량부; 난연조제인 붕산아연 5 내지 100중량부; 지방산계 가공조제 0.5 내지 20중량 부; 주석산계 가공조제 0.5 내지 2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이스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및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로 이루어진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용된 물질이 5 내지 80중량부; 변성 폴리올레핀수지가 5 내지 20 중량부;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가 0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이스수지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틸렌계 공중합체의 함량과 관련하여, 상기 수치한정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난연제 충진성 저하로 인하여 인장강도나 상온에서의 신율이 저하되며, 상기 수치한정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체적저항의 감소로 인하여 전기절연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베이스수지의 일부를 구성하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는 베이스수지에 전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상기 수치한정의 상한을 초과하여 사용되는 경우에는 고온 모듈러스 저하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수지의 일부를 구성하는 변성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과 관련하여, 상기 수치한정의 하한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수지와 난연제 커플링 효과가 작기때문에 신장율 및 인장강도의 저하를 발생시키며, 상기 수치한정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과도한 커플링 효과로 인하여 신장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수지는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드(EVA)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용된 수지로부터 변성이 이루어진 것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무기난연제인 금속수산화물은 마그네슘수산화물(Mg(OH)2) 및 알루미늄수산화물(Al(OH)3)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이들 둘의 혼용물이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무기난연제인 금속수산화물의 함량과 관련하여, 상기 수치한정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되며, 상기 수치한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기계적 물성, 예컨대 신장율 및 인장강도가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난연조제인 붕산아연은 연소시 고체막을 형성하여 난연성을 향상시키는 차르(char)의 용이한 형성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그 함량과 관련하여, 상기 수치한정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난연성이 저하되며, 상기 수치한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지방산계 가공조제 및 주석산계 가공조제는 상기 조성물 내에 상기 수치한정의 하한 이상 포함되어야 첨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상기 수치한정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첨가제가 균일하게 분산되지 않게 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지방산계 가공조제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Ca-Stearate)이 사용되고, 상기 주석산계 가공조제로는 주석산 아연(Zn-Stannate) 또는 주석산 칼슘이 사용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방지제와 관련하여, 상기 수치한정에 미달하는 경우에는 산화방지 와 관련된 본래적인 첨가효과를 발현시킬 수 없으며, 상기 수치한정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블루밍 또는 브리드 아웃 효과가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전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성 절연재가 내컷스루 특성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모듈러스와 상온의 모듈러스간의 비율이 중요한 요인이 되며, 그 결정성은 50% 미만이 되어야 온도에 따른 모듈러스 비율이 75%이상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난연성 절연재는 105℃(고온)에서의 모듈러스가 최소 10kgf/㎟이고, 상기 105℃에서의 모듈러스가 상온에서의 모듈러스에 비해 75% 이상이 되도록 하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절연재는 상온(25℃)에서의 절연저항이 300MΩ/km 이상 확보되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절연재를 제조하는 방법에서, 상기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내의 수지 가교는, 수가교법, 화학가교법 및 조사가교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 방법은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전선용 절연피복층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지지 않아 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실시예(1-7) 및 비교예(1-4)의 구분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로서 실시예 1 내지 7(하기 표 1 참조)로서 구분 설정하고, 이와 대비하기 위한 목적으로서 비교예 1 내지 4(하기 표 2 참조)를 구분 설정하였다.
전선용 절연피복층 제조
상기 하기 표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7(표 1 참조) 및 비교예 1 내지 4(표 2 참조)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한 전선 피복층용 절연재를 제조방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조성물을 각각 준비한다(S1 단계). 상기 준비된 조성물을 120L의 니더기(Kneader)에 투입하여 15분 동안(15 내지 20분이면 바람직함) 혼련시킨다(S2 단계). 상기 혼련된 조성물을 75㎜ 단축 압출기(Single Screw Extruder)를 이용하여 150℃(130 내지 180℃이면 바람직함)의 압출온도 조건하에서 절연재를 압출시킨다(S3 단계). 상기 압출된 난연재에 8Mrad(5 내지 10Mrad이면 바람직함)의 전자빔을 조사하여 가교시킨다(S4 단계).
시험 및 평가
한편, 하기 표 1에서는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수지조성물에 관하여 고온(105℃)과 상온에서의 모듈러스를 각각 측정한 후, 그 모듈러스 비를 백분율로 계 산하여 나타내었으며, 결정비율을 표현하였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7에 따른 수지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료에 대한 고난연등급 VW-1 기준의 통과여부 및 컷스루에 대한 내성을 평가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들의 평가항목과 동일한 평가항목에 관하여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조성물에 관한 평가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조 성 성 분 EVA 90 80 70 60 50 40 30
EPDM(EPR) 15 25 30 40 50 60
변성 EVA 10 5 5 10 10 10 10
Mg(OH)2 110 100 200 150
Al(OH)3 200 100 200 150
붕산아연 5 100 10 20 20 20 20
지방산계 가공조제 1 1 1 1 1 1 1
주석산계 가공조제 5 5 5 5 5 5 5
산화방지제 3 3 3 3 3 3 3
가교제 2 2 2 2 2 2 2
물 성 상온 모듈러스(㎏f/㎟) 20 19 18 17 16 15 14
고온 모듈러스(㎏f/㎟) 15 15 14 15 13 12 12
모듈러스비율 75.0% 78.9% 77.8% 88.2% 81.3% 80.0% 85.7%
결정비율 45.0% 42.0% 40.0% 38.0% 37.0% 37.0% 38.0%
VW-1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컷스루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상기 표 1에서, 상기 EVA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이며, 상기 EPDM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이며, 상기 변성 EVA는 말레인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이며, 상기 마그네슘수산화물(Mg(OH)2) 및 알루미늄수산화물(Al(OH)3)이 난연제로 사용되었으며, 상기 붕산아연은 난연조제로서 사용되었으며, 상기 지방산계 가공조제로서는 칼슘 스테아레이트(Ca-Stearate), 상기 주석산계 가공조제 로서 주석산 아연이 사용되었다. 한편, 상기 산화방지제와 가교제는 그 기능 구현을 위해 통상의 잘 알려져 있는 물질을 사용하였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물성에 관한 평가항목과 동일한 평가항목에 관하여 비교예 1 내지 5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1 2 3 4
조 성 성 분 EVA 50 70 30 20
EPDM(EPR) 70
변성 EVA 10
HDPE 50 30 70
Mg(OH)2 90 50 100
Al(OH)3 50 50 100
붕산아연 5 50 0 20
지방산계 가공조제 1 1 1 1
주석산계 가공조제 5 5 5 5
산화방지제 3 3 3 3
가교제 2 2 2 2
물 성 상온 모듈러스(㎏f/㎟) 60 22 50 11
고온모듈러스(㎏f/㎟) 12 10 14 9
모듈러스비율 20.0% 45.5% 28.0% 81.8%
결정비율 65.0% 55.0% 70.0% 35.0%
VW-1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합격
컷스루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불합격
상기 표 2에서, 상기 EVA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이며, 상기 EPDM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EPR)이며, 상기 변성 EVA는 말레인산 무수물이 도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이며, 상기 HDPE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이고, 상기 마그네슘수산화물(Mg(OH)2) 및 알루미늄수산화물(Al(OH)3)이 난연제로서 사용되었으며, 상기 붕산아연이 난연조제로서 사용되었으며, 상기 지방산계 가공조제로서는 칼슘 스테아레이 트(Ca-Stearate), 상기 주석산계 가공조제로서 주석산 아연이 사용되었다. 한편, 상기 산화방지제와 가교제는 그 기능 구현을 위해 통상의 잘 알려져 있는 물질을 사용하였다.
상기 표 1 및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우수한 특성이 발현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고온에서의 모듈러스와 상온에서의 모듈러스 비율을 높게 하여 전선으로 이용되기에 적합한 내컷스루 특성이 확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듈러스 비율이 높다 하더라도 고온에서 최소 모듈러스 값이 10kgf/㎟ 이상이 되지 않으면 내컷스루 특성을 충족시킬 수 없으며, 종래의 절연재료의 경우는 그 모듈러스 비율이 매우 낮고 컷스루우 특성이 좋지 않아 본 발명에 따른 기술적 개선의 장점이 더욱 부각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한편, 결정의 녹는점이 시험온도와 비슷한 경우(105℃ 정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수지의 녹는점 근처에서 급격한 부피변화를 나타낸다. 이와 달리, 비결정질의 경우에는 급격한 부피변화를 관찰할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결정성을 50% 미만으로 유지하도록 하였으며, 결정 함량이 작으면 작을수록 급격한 부피변화를 나타내는 성분이 줄어들게 되므로, 이로 인하여 내컷스루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 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된 조성물 성분 내에 할로겐 원소가 포함되어 있지 않아 연소시 종래의 할로겐계 제품에 비해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으며, 고난연등급인 VW-1에서 요구하는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내컷스루 특성을 충족시킬 수 있어 제품성이 향상되며, 절연재료 특히 전선용 절연피복층으로 이용하는 경우에는 요구되는 인장강도나 신율 등의 기계적 강도 등의 물성도 양호하게 확보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Claims (11)

  1. 베이스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난연제인 금속수산화물 110 내지 300중량부;
    난연조제인 붕산아연 5 내지 100중량부;
    지방산계 가공조제 0.5 내지 20중량부;
    주석산계 가공조제 0.5 내지 2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5 내지 5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및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로 이루어진 에틸렌계 공중합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용된 물질이 5 내지 80중량부; 및 변성 폴리올레핀수지가 5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가 80 중량부 이하의 양이 더 첨가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수지는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드(EVA)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용된 수지로부터 변성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폴리올레핀수지는 폴리에틸렌(PE), 고밀도 폴리에틸렌(HDPE),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드(EVA)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중 선택된 하나 또는 둘 이상이 혼용된 수지로부터 변성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난연제인 금속수산화물은 마그네슘수산화물(Mg(OH)2) 및 알루미늄수산화물(Al(OH)3)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단일물 또는 이들 둘의 혼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은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전선용 피복층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가 105℃에서의 모듈러스가 최소 10kgf/㎟이고, 상기 105℃에서의 모듈러스가 상온에서의 모듈러스에 비해 75%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9. 제8항에 따른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은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전선용 피복층을 제조하기 위해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6항 중 선택된 조성물 중 어느 하나의 조성물을 이용하여 절연재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내의 수지를 가교시키는 단계는 수가교법, 화학가교법 및 조사가교법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방법에 의해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 조 방법.
  11. 제10항에 따른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은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전선용 피복층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 방법.
KR1020050008249A 2005-01-28 2005-01-28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 KR100624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249A KR100624878B1 (ko) 2005-01-28 2005-01-28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8249A KR100624878B1 (ko) 2005-01-28 2005-01-28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7284A true KR20060087284A (ko) 2006-08-02
KR100624878B1 KR100624878B1 (ko) 2006-09-19

Family

ID=3717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8249A KR100624878B1 (ko) 2005-01-28 2005-01-28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8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942A1 (en) * 2008-03-28 2009-10-01 Ls Cable Ltd. Halogen-free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cable and cable using the same
US8992681B2 (en) 2011-11-01 2015-03-31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materials manufacturing and the method of its production
US9085678B2 (en) 2010-01-08 2015-07-21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lea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with carbon nano tube for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for insulation of wire and cabl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3747A (ja) * 1991-02-05 1992-09-09 Hitachi Cable Ltd 難燃性電気ケーブル
JPH08127688A (ja) * 1994-10-28 1996-05-21 Yazaki Corp 高難燃性塩化ビニル樹脂組成物
KR100239581B1 (ko) * 1996-12-30 2000-01-15 이정국 전선 케이블 피복용 난연 수지 조성물
JP3566857B2 (ja) 1998-06-26 2004-09-1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電線被覆用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KR20000060307A (ko) * 1999-03-13 2000-10-16 권문구 무독성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것을 이용한 전선
KR20000060306A (ko) * 1999-03-13 2000-10-16 권문구 내트랙킹 특성을 개선한 폴리올레핀계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19942A1 (en) * 2008-03-28 2009-10-01 Ls Cable Ltd. Halogen-free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cable and cable using the same
US9085678B2 (en) 2010-01-08 2015-07-21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lean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with carbon nano tube for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for insulation of wire and cable
US8992681B2 (en) 2011-11-01 2015-03-31 King Abdulaziz City For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construction materials manufacturing and the method of its produ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878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73255B2 (en) Clea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 to enh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for wire and cable
JP4940568B2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電線・ケーブル
US20100086268A1 (en) Fire Resistant Thermoplastic or Thermoset Compositions Containing an Intumescent Specialty Chemical
US6797760B1 (en) Non-dripping, flame retardant, fluoroelastomer insulative compositions for telecommunication cables
US8263674B2 (en) Eco friendly crosslink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wire and cable
JP2015072743A (ja) 電線及びケーブル
JP2020125459A (ja) ノンハロゲン樹脂組成物、電線およびケーブル
KR100700798B1 (ko) 나노기술을 이용한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100627512B1 (ko) 비할로겐계 내한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100624878B1 (ko)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
KR102286151B1 (ko)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계 절연 수지 조성물, 절연전선 및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JP2010095638A (ja) ノンハロゲン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ノンハロゲン難燃電線
JP2021127423A (ja) 難燃性樹脂組成物、難燃性絶縁電線および難燃性ケーブル
GB2190384A (en)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JP7272218B2 (ja) 難燃性絶縁電線
JP2015117318A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KR100666257B1 (ko) 고내열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KR100874538B1 (ko) 내 컷스루 특성을 갖는 난연성이 개선된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절연전선, 전선용 절연재 및 절연재 제조방법
JP201105786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JP201511731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KR20050110407A (ko)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KR100654015B1 (ko) 압출성이 개선된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JPH0319753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4253745A (ja) 難燃性電気ケーブル
KR20060087835A (ko) 내열 저독성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