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0407A -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 Google Patents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0407A
KR20050110407A KR1020040035382A KR20040035382A KR20050110407A KR 20050110407 A KR20050110407 A KR 20050110407A KR 1020040035382 A KR1020040035382 A KR 1020040035382A KR 20040035382 A KR20040035382 A KR 20040035382A KR 20050110407 A KR20050110407 A KR 200501104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weight
cut
parts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5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30448B1 (ko
Inventor
박도현
남진호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5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0448B1/ko
Publication of KR200501104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04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0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044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55/00Characteristics of bituminous mixtures
    • C08L2555/40Mixtures based upon bitumen or asphalt containing functional additives
    • C08L2555/80Macromolecular constituents
    • C08L2555/86Polymers containing aliphatic hydrocarbons only, e.g. polyethylene, polypropylene or ethylene-propylene-diene co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가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무기첨가제가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소정의 가교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저 결정성의 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등과 같은 일정량의 전자빔에 노출되어도 높은 가교 밀도를 얻을 수 있는 가교 효율이 높은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을 발명하여 가교후의 신장율 저하와 같은 기계적 특성의 변화 및 열적 특성의 변화를 제거하였다. 또한, 고압의 전선에 대한 매우 중요한 고온 내열변형 특성과 내 컷스루우 특성을 만족하는 적절한 가교구조를 갖는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연재료와 전선을 공급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연재료와 전선{RESIN COMPOSITION RESISTANT TO THERMAL DEFORMATION AND CUT-THROUGH AND THE INSULATION MATERIAL AND THE CABLE USING THEREIT}
본 발명은 고온에서의 내열변형 특성과 내(耐) 컷스루우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연재료와 전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컷스루우"란 전선의 절연재료에 예리한 날을 가진 금속편이 접촉할 때 절연재료 손상을 말한다. 컷스루우 측정방법은 본 명세서의 도 1을 참조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내 컷스루우"는 이러한 절연재료의 손상을 의미하는 컷스루우를 억제하거나 방지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전선의 절연재료로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로 할로겐 원소인 염소를 함유한 극성 수지들이 많이 사용되고 있었다. 극성 수지에는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비닐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또한, 에틸렌 비닐 아크릴레이트에 비닐 클로라이드가 결합된 수지와 염소화 폴리에틸렌을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와 같은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을 적절히 조절하고 폴리에틸렌과 혼용함으로써 전기적 특성, 내열성, 내열변형 특성 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수지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전선의 절연재료에서 주요하게 요구되는 난연성을 일정 정도 만족시킬 수 있다. 기기용 전선의 난연성은 완제품에 대하여 UL 규격에 의한 수평과 수직 연소시험에 대한 평가가 보편적으로 요구된다. 할로겐을 함유한 수지들은 연소시 불연의 무거운 할로겐 가스를 발생시키고 첨가제와 반응함으로써 고형화된 재를 형성시킴으로써 재료의 연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난연성을 측정함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UL(UnderWriter's Labortary) 규격에서의 수평연소, 수직연소, 판형 시험방법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밖에도 산소지수방법과 FMVSS(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302 방법 등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할로겐을 함유한 수지 조성물들은 기본적으로 난연성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난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유기난연제 또는 무기난연제를 소량 첨가하게 되고 이 결과 수지의 근본 물성이 유지되므로 절연 재료는 우수한 기계적 특성 및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다. 유기난연제 또는 무기난연제를 소량 첨가하는 것은 절연재료의 점도 상승을 유발시키지 않으므로 압출 가공성 또한 우수하다.
종래 사용된 다양한 극성 수지들은 단독으로 사용될 경우 요구 특성을 만족하기가 어려우나, 할로겐을 함유한 극성 수지들은 물리적 및 화학적으로 상호 친화성을 갖는다. 따라서 이종의 서로 다른 특성을 갖는 극성 수지들을 혼용함으로써 각각의 수지들이 갖는 우수한 고유 특성들이 발휘되거나 상호 상승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절연 재료를 개발하려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에 비닐 클로라이드 등과 같은 할로겐을 함유한 극성 수지 조성물들을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였다. 이러한 수지 조성물 또는 이러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절연재료 및 이들 절연재료들이 피복된 전선이 고온에서 일정 하중에 의해 변형되는 것을 막고 컷스루우를 방지하기 위하여 전자빔으로 가교한다.
하지만 이렇게 전자빔으로 수지 조성물을 가교하는 과정에서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는 할로겐 원소가 분해된다. 이렇게 가교 공정 중에서 분해된 절연재료는 내열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어 오히려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수지 조성물은 열변형에 대한 특성을 만족하기 위해서 높은 가교 밀도를 확보하여야 하고 이를 위해 과량의 전자빔에 수지 조성물이 노출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용융온도가 일정온도 이상인 결정성 수지들은 과량의 전자빔에 노출될 경우 신장율과 같은 기계적 특성이 급격히 저하되고 전자빔에 노출되는 과정에서 고분자 수지의 분해가 촉진되어 재료의 내열변형이 현저히 저하되어 특정 온도에서 장시간 노출된 경우 낮은 신장률을 나타낸다. 절연재료들에 요구되는 일반적인 기계적 특성을 고려할 경우 결정성 수지들에 과량의 유기첨가제 또는 무기첨가제를 첨가할 수는 없다. 이 결과 절연재료는 낮은 난연성을 나타내고 완제품 또한 원하는 만큼의 난연성을 만족하지 못한다.
보통 에틸렌 공중합체의 공중합체 함량이 적절히 조절되고 폴리에틸렌과 혼용된 수지 조성물들은 근본적으로 높은 용융온도를 갖는다. 폴리머 중에서 결정성 폴리머는 결정률이 높으면 높을수록 분자들이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결정률이 낮은 폴리머보다 용융온도가 높다. 폴리머의 결정성 정도와 결정성을 가지는 폴리머의 용융온도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는 공지된 기술로서 (1) P. J. Flory저, Principles of Polymer Chemistry, 1953년판, (2) F. W. Billmeyer저 Textbook of Polymer Science 4판, (3) J.F Sharckefold저 Introduction to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88판, (4) J. D. Ferry저 Viscoelastic Properties of Polymers, (5) P. C. Hiemenz저 Polymer Chemistry-The Basic Concepts 등의 서적을 참고하여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지들은 전자빔에 의한 가교 효율이 매우 낮을 뿐만 아니라, 기기용 전선에 사용되는 수지 조성물의 내열변형 및 내 컷팅성 평가는 100℃이상의 고온에서 수행되는데 결정성 수지 조성물의 용융온도가 이 온도 부근이다.
그리고, 수지 조성물내의 할로겐 원소가 분해됨으로 인하여 절연재료의 난연성이 불안정하게 되고 재료와 완제품상의 전선에서 난연 특성에 차이를 나타낸다. 할로겐을 함유한 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절연재료들은 가교 조건에 따라 특성들이 많이 변하므로 가교조건을 확립하는데 어려움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 결정성의 에틸렌 공중합체 및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등과 같은 일정량의 전자빔에 노출되어도 높은 가교 밀도를 얻을 수 있는 가교 효율이 높은 고분자 수지를 사용한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 인해, 가교후의 신장율 저하와 같은 기계적 특성의 변화 및 열적 특성의 변화를 제거 또는 감소시켰다. 또한, 고압의 전선에 대한 매우 중요한 고온 내열변형 특성과 내 컷스루우 특성을 만족하는 적절한 가교구조를 갖는 절연재료를 공급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가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무기첨가제가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소정의 가교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서의 저 결정성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중 적어도 1로 하여 상기 베이스수지 전체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서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극성기가 도입된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함유하고 있으며 상기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무수 말레인산을 함유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 공중합체중 적어도 1이며 상기 베이스수지 전체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는 에틸렌 프로필렌 2원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의 3원의 공중합체중적어도 1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난연제는 브롬 또는 염소 등의 할로겐이나 질소 또는 인 중 적어도 1인 유기난연제를 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더 포함하거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붕산 또는 아연중 적어도 1의 무기 난연제를 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서의 상기 무기첨가제는 탈크 또는 크레이중 적어도 1이고, 상기 무기첨가제는 지방산 또는 실란 등으로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 분명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들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 분명해 질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화학가교 및 수가교, 조사가교가 가능한 고온에서의 저 열변형 특성과 내 컷스루우 특성이 우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연재료와 전선이다. 절연 재료의 구성물중에서 본 발명의 베이스수지를 만들기 위하여 에틸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를 사용한다.
에틸렌 공중합체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EBA),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등 중에서 적어도 1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절연재료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베이스수지는 극성기가 도입된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에는 무수 말레인산을 함유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등 중에서 적어도 1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절연 재료의 난연성을 위한 난연제는 유기난연제와 무기난연제가 있다. 유기난연제는 브롬 또는 염소 등 할로겐이나 질소 또는 인을 함유한다. 무기난연제는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아연 또는 붕산 등을 사용한다. 이와 같은 무기난연제는 지방산 또는 실란 등으로 표면 처리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절연 재료는 보강제로 탈크와 크레이 등의 무기첨가제를 사용하였다. 무기첨가제들은 지방산 또는 실란 등으로 표면 처리되어 있다. 절연재료는 열적 특성 및 전선에서 요구되는 기계적 특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화학가교 또는 수가교, 조사가교가 가능하다. 화학가교를 위하여 가교제로 유기과산화물을 사용하였으며, 가교 밀도를 높이기 위하여 가교조제로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메타크라이레이트, 트리아릴아이소시아누레이트, 유기과산화물 등 중에서 적어도 1을 사용한다. 수가교를 위하여 실란, 주석, 백금 등을 첨가하였으며, 조사가교를 위하여 가교조제로 트리메틸로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릴아이소시아누레이트 등 중에서 적어도 1을 사용한다.
본 발명은 화학가교 및 수가교, 조사가교가 가능한 고온에서의 저 열변형 특성과 내 컷스루우 특성이 우수한 고압 기기용 전선의 절연재료이다.
절연재료의 구성물중에서 베이스수지로 에틸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를 사용하며, 선택적으로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로서는 에틸렌 함량이 40 중량부 내지 85 중량부인 에틸렌 프로필렌 2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의 3원 공중합체 등을 사용한다.
에틸렌 공중합체로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등을 베이스수지 전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등과 혼용하여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였다. 사용량이 20 중량부 미만에서는 인장강도와 열적 특성이 저하되었으며, 80 중량부 초과에서는 고온에서의 열변형 특성이 현저히 저하되고 전선에서의 컷스루우 특성을 만족하지 못하였다.
본 발명에서 절연재료의 기계적 및 열적 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사용되는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로서는 무수 말레인산을 함유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등이 있으며,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사용한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인장강도와 내열 특성에 대한 변성 수지의 효과를 기대할 수 없었으며, 20 중량부 초과에서는 신장율이 급격히 저하되었고 점도가 상승하여 압출 가공성이 불량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절연 재료의 난연성을 위하여 브롬 또는 염소 등 할로겐을 함유한 유기 난연제와 질소 및 인을 함유하는 유기난연제를 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를 사용한다. 5 중량부 미만에서는 난연성을 기대할 수 없었으며 60 중량부 초과에서는 인장강도, 신장율 그리고 내열 특성이 저하되었다
유기난연제와 혼용하여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붕산 또는 아연 등과 같은 무기난연제를 1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를 사용한다. 10 중량부 미만에서는 난연성을 확보할 수 없었으며 60 중량부 초과에서는 인장강도와 신장율, 내열 특성 및 압출 가공성이 급격히 저하되었다.
본 발명의 절연재료는 보강제로 탈크와 크레이 등의 무기첨가제를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사용하였다. 5 중량부 미만에서는 인장강도의 향상 효과를 얻을 수 없었으며 5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신장율과 압출 가공성이 현저히 저하되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수가교, 조사가교 또는 화학가교를 통해 가교할 수 있다. 화학가교를 위하여 화학가교조제로 유기과산화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 부타디엔 중 적어도 1을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 사용하였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가교도가 낮아 인장강도와 내열 특성이 낮았고 15 중량부 이상에서는 신장율이 저하되었다. 조사가교를 위하여 조사가교조제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아릴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 부타디엔 등 중에서 적어도 1을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사용하였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인장강도와 내열 특성이 향상된 재료를 얻을 수 없었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여 사용할 경우 신장율이 저하되었다. 수가교를 위하여 수가교조제로 실란, 주석 또는 백금 촉매를 사용하였다. 상기 화학가교에서는 가교제로 유기과산화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외에도 고압기기용 전선의 절연 재료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산화 방지제와 탈크 등의 첨가물을 일정 함량 포함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가교를 통해서 본 발명이 원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고압 기기용 전선의 절연 재료로 고온에서의 내열변형 특성과 내 컷스루우 특성이 우수한 조사가교, 화학가교 및 수가교가 가능한 난연재료를 발명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는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에틸렌 공중합체 중에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만을 포함하고 있고, 실시예 1과 실시예 6은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포함하지 않고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와 에틸렌 공중합체만로 베이스수지가 이루어져 있다. 무기첨가제로는 탈크, 유기난연제로는 브롬계 난연제, 무기난연제로는 수산화 알루미늄과 수산화 마그네슘, 조사가교조제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화학조사가교로는 유기과산화물을 사용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고압기기용 전선의 절연 재료에 통상적으로 포함되는 산화 방지제와 탈크를 일정 함량 사용하였다.
아래의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수지 조성물의 성분이다.
성분(중량부)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실시예 8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 50 50 30 30 60 40 40 30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50 40 50 50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30
에틸렌 부틸 공중합체 60 50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60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 부텐 변성 수지 20 20 10 10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변성 수지 10 10
산화 방지제 2 2 2 2 2 2 2 2
활제 6 6 3 3 6 6 3 3
무기첨가제 탈크 20 20 30 30 20 20 30 20
유기 난연제 브롬계 난연제 30 30 40 40 40 40 30 30
무기 난연제 수산화 알루미늄 40 40 20 20 40
수산화 마그네슘 20 20 40
조사 가교조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3 3 3 3 3 3 3 3
화학 가교조제 유기 과산화물 4 4
종래 기술에 의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5에서는 전선의 절연재료로 용융온도가 높고 결정성을 가지며 경질인 고밀도 폴리에틸렌 또는 선형저밀도의 폴리에틸렌,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클로리네이티이드 폴리 에틸렌을 전량 또는 일부 사용하였다. 난연성 등을 고려하여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와 염소가 도입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클로리네이티이드 폴리에틸렌 등이 고온 내열변형 특성 및 내 컷스루우 특성을 만족하기 위한 난연 재료로 사용되기도 하였다. 비교예 4와 비교예 5에서는 클로라이드와 클로리네이티이드를 통하여 할로겐 원소를 이용하였다.
[표 2]에 종래기술에 적용되었던 기술들에 대한 비교예의 재료의 구성을 정리하였다.
성분(중량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고밀도 폴리 에틸렌 80
선형 저밀도 폴리 에틸렌 70 60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20 30 40
폴리 비닐 클로라이드 100
클로리네이티이드 폴리 에틸렌 100
안정제 6 6
가소제 45 5
산화방지제 1 1 1
활제 1.5 1.5 1.5 1.0 2.0
브롬계 난연제 40 40 40 1.5
수산화 마그네슘 30 30 40 20 30
삼산화 안티몬 20 20
탄산 칼슘 40 40
트리알릴아이소시아누레이트 3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3 3 3 3
유기과산화물 4
본 발명이 갖는 우수한 특성을 만족하는 재료들에 대한 실시예와 비교예에 대한 특성 비교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와 에틸렌 공중합체에 브롬계 난연제, 수산화 알루미늄과 탈크 등을 충진시킴으로써 고온에서의 가열 변형율은 실시예가 비교예보다 현저하게 낮게 나타났고 내 컷스루우 특성에 있어서도 비교예에서는 모두 불만족이나 실시예에서는 모두 만족의 결과가 나타났다.
[표 3]은 실시예와 비교예의 성질 비교표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4 5 6 7 8 1 2 3 4 5
인장강도(kgf/mm2) 1.1 1.4 1.38 1.49 1.42 1.21 1.33 1.52 1.4 1.31 1.27 1.82 1.1
신장율(%) 426 340 284 326 283 465 310 377 480 540 572 230 583
가열변형율(%) 56 47 43 41 47 52 51 45 80 84 86 100 100
컷스루우 만족 만족 만족 만족 만족 만족 만족 만족 불만족 불만족 불만족 불만족 불만족
인장강도와 신장율은 ASTM(American Society for Testing and Materials) D 638에 준하여 시험하였다. 가열 변형율은 105℃ 에서 일정 규격의 시편에 칼날 형태의 지그를 위치시키고 450g의 하중을 가하면서 평가하였으며, 시험 전후의 두께 변화율이다. 컷스루우 시험은 아래의 그림과 같이 전선 완제품에 대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컷스루우 시험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금속지지 채널(2)을 통해 돌출된 금속 만드릴(1)에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완제품을 걸고 고전압연결부(3)를 통해 고전압를 걸고 컷스루우 성능을 측정한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의 복합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하여 일정량의 난연제, 무기첨가제, 가교조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절연재료와 전선은 수지 조성물을 가교시키기 위하여 일정량의 전자빔을 노출시키더라도 높은 가교밀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러한 높은 가교 효율을 가지는 수지 조성물은 가교후의 신장률의 저하, 기계적 특성의 변화, 열적 특성의 변화를 제거 또는 감소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한 전선은 고압이 걸리더라도 고압용 전선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내열변형 특성과 내 컷스루우 특성을 만족할 수 있다.
비록 발명이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해 설명되어졌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서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완제품의 컷스루우 시험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금속 만드릴,
2 : 금속지지 채널,
3 : 고전압연결부,
4 : 전기 테이프.

Claims (19)

  1. 에틸렌 공중합체와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를 포함하는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난연제가 10 중량부 내지 120 중량부;
    무기첨가제가 5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및
    가교조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중 적어도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수지는 극성기가 도입된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무수 말레인산을 함유하는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 공중합체 중 적어도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는 상기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고무는 에틸렌 프로필렌 2원 공중합체,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의 3원의 공중합체 중 적어도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의 유기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난연제는 브롬 또는 염소 등의 할로겐이나 질소 또는 인 중 적어도 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5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의 무기난연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난연제는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 마그네슘 카보네이트, 붕산 또는 아연 중 적어도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첨가제는 탈크 또는 크레이중 적어도 1이고, 상기 무기첨가제는 지방산 또는 실란 등으로 표면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랄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부타디엔 중 적어도 1의 조사가교조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조사가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조사가교조제는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는 유기과산화물,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알랄이소시아누레이트, 폴리부타디엔중 적어도 1의 화학가교조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화학가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가교조제는 1 중량부 내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는 실란, 주석 또는 백금중 적어도 1의 수가교조제를 이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을 수가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료.
  19. 제 1 항 내지 제 17 항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수지 조성물로 이루어진 절연재료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KR1020040035382A 2004-05-18 2004-05-18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KR100630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382A KR100630448B1 (ko) 2004-05-18 2004-05-18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5382A KR100630448B1 (ko) 2004-05-18 2004-05-18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0407A true KR20050110407A (ko) 2005-11-23
KR100630448B1 KR100630448B1 (ko) 2006-10-02

Family

ID=3728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5382A KR100630448B1 (ko) 2004-05-18 2004-05-18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044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1065C (zh) * 2006-02-13 2009-01-14 江苏德威新材料股份有限公司 汽车原线用无卤阻燃聚丙烯高速耐磨绝缘料
KR20130094063A (ko) * 2012-02-15 2013-08-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한성 및 내머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전선용 수지 조성물
CN104530542A (zh) * 2014-12-12 2015-04-22 四川明星电缆股份有限公司 一种橡套电缆用无卤耐老化可剥离屏蔽料
WO2017078430A1 (ko) * 2015-11-06 2017-05-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원형회복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
KR102604825B1 (ko) * 2023-04-28 2023-11-22 (주)코스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한 전선 피복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31446A (ja) 1984-07-24 1986-02-13 Hitachi Cable Ltd 熱収縮性製品用耐トラッキング性エチレンプロピレンゴム組成物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51065C (zh) * 2006-02-13 2009-01-14 江苏德威新材料股份有限公司 汽车原线用无卤阻燃聚丙烯高速耐磨绝缘料
KR20130094063A (ko) * 2012-02-15 2013-08-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한성 및 내머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전선용 수지 조성물
CN104530542A (zh) * 2014-12-12 2015-04-22 四川明星电缆股份有限公司 一种橡套电缆用无卤耐老化可剥离屏蔽料
CN104530542B (zh) * 2014-12-12 2017-01-04 四川明星电缆股份有限公司 一种橡套电缆用无卤耐老化可剥离屏蔽料
WO2017078430A1 (ko) * 2015-11-06 2017-05-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원형회복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
KR102604825B1 (ko) * 2023-04-28 2023-11-22 (주)코스 폴리부타디엔을 포함한 전선 피복용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30448B1 (ko) 200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63263B2 (ja) 耐放射線性シース材料及び耐放射線性ケーブル
EP2551296B1 (en) Eco friendly crosslinked flame retardant composition for wire and cable
JP2008501846A (ja) 耐熱変形及び耐カットスルー樹脂組成物及び、これを利用した絶縁材料と電線
JP5696956B2 (ja) 非ハロゲン難燃樹脂組成物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JP5269476B2 (ja) 電線・ケーブル
KR20130041899A (ko) 스티렌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절연체
US3845166A (en)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polyvinyl chloride,chlorinated polyolfin and an ethylene polymer,and the cured product thereof
JPS632290B2 (ko)
KR100627512B1 (ko) 비할로겐계 내한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100630448B1 (ko)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KR20150123777A (ko) 비-이동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절연체
JP3966632B2 (ja) 電線被覆用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KR101696928B1 (ko) 가공성과 물성이 향상된 변성 폴리페닐렌옥사이드―폴리올레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CA3064772C (en) Fire retardant cables formed from halogen-free and heavy metal-free compositions
GB2190384A (en) Halogen free flame retardant compositions
KR100624878B1 (ko)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내컷스루 특성을 갖는 비할로겐계난연성 절연재 제조방법
EP1956609B1 (en) Cable with improved flame retardancy
KR100874538B1 (ko) 내 컷스루 특성을 갖는 난연성이 개선된 절연재 제조용조성물, 절연전선, 전선용 절연재 및 절연재 제조방법
KR101821482B1 (ko) 난연성 탄성 소재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776208B2 (ja) 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被覆した絶縁電線
KR100633546B1 (ko)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JP7494750B2 (ja) 電線およびケーブル
KR101506326B1 (ko) 열안정성이 강화된 절연재 제조용 고분자 수지 조성물
JPH0319753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US20230207154A1 (en) Flame-retardant cable with self-extinguishing lay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3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