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33546B1 -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 Google Patents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33546B1
KR100633546B1 KR1020040038153A KR20040038153A KR100633546B1 KR 100633546 B1 KR100633546 B1 KR 100633546B1 KR 1020040038153 A KR1020040038153 A KR 1020040038153A KR 20040038153 A KR20040038153 A KR 20040038153A KR 100633546 B1 KR100633546 B1 KR 100633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composition
weight
parts
halog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8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2750A (ko
Inventor
김오영
윤승훈
임화준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8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33546B1/ko
Publication of KR200501127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27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33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33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2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 C08L23/2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having four or more carbon atoms having four to nine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meth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6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liphatic hydrocarbons contain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666/00Composition of polymers characterized by a further compound in the blend, be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natural resins, waxes or and bituminous materials,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inorganic substances or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66Substance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in the composition
    • C08L2666/84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틸렌 공중합체,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폴리머 모디파이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난연제 0.1 중량부 내지 30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을 통하여 외관, 가열변형 특성, 내열성, 내한성, 압출성, 하네스성 등이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을 얻을 수 있다.
에틸렌, 무기난연제, 산화방지제, 비할로겐, 내열변형, 실란계, 아민계, 스테아린산계, 지방산계, 페놀계, 힌더드페놀계, 티오에스터

Description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COMPOSITION RESISTANT TO THERMAL DEFORMATION AND WITH HALOGEN FREE PROPERTY AND THE CABLE USING THEREOF}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체
2 : 절연체
3 : 쉬스체
본 발명은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폴리올레핀계 비할로겐(halogen free) 난연재료에 있어서 가열변형특성 및 압출특성이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에 관한 것이다.
열에 대한 형태의 변형이 되지 않는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은 여러가지 용도로 쓰이고 있으며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이 자동차용 전선이 다. 자동차용 전선은 사용되는 환경 및 위치에 따라 온도등급이 구분되는데, 3,000hr 내열수명 기준으로는 85℃급, 100℃급, 125℃급, 150℃급 및 그 이상 등급 등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85℃급 및 100℃급은 주로 자동차 내부의 일반 배선용으로 사용되고, 125℃급은 밧데리 전선 혹은 고온 배선용으로 사용되며, 150℃급 혹은 그 이상의 온도 등급 자동차용 전선은 고내열성을 요구하는 엔진부분에 사용되고 있다.
종래에는 85℃급 및 100℃급 재료로 폴리염화 비닐(PVC) 조성물이 많이 사용되어 왔다. PVC 조성물 재료는 저가이면서도 난연성, 가공성 및 하네스성 등 특성이 우수한 큰 장점을 갖고 있다.
반면, 125℃급에는 에틸렌 공중합체(Ethylene Vinyl Acetate, Ethylene Ethyl Acrylate, Ethylene Methyl Acrylate, Ethylene Butyl Acrylate), 폴리에틸렌 수지(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ow Density Polyethylene, Medium Density Polyethylene, High Density Polyethylene), 클로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Chlorinated Polyethylene) 등의 수지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가교시킨 재료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수지에 화재시 전선이 덜 연소되게 하기 위해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서 할로겐계(특히 Br계, Cl계), 난연제를 사용하며 거기에 일부 금속 수산화물계(Aluminum tri-hydroxide, Magnesium di-hydroxide, Calcium Carbonate) 난연제를 첨가하기도 하며, 난연성을 좀더 향상시키기 위하여 삼산화 안티몬과 같은 난연조제를 함께 사용하기도 한다.
한편, ABS 시스템(Anti-Lock Braking System)에 작용되는 자동차용 전선은 적용되는 차종은 주로 온도 등급이 125℃급이다. 하지만, 적용하는 제조사에 따라서 140℃급 등 높은 온도규정을 요구하는 회사도 있다. 상기의 140℃급에 적용되는 수지로는 1차 절연에는 할로겐계 폴리에틸렌 수지, 에틸렌 공중합체 수지 혹은 폴리 염화비닐 수지 등이 적용되고 있으며, 외부의 긁힘 혹은 충격에 견디기 위하여 쉬스 재료에는 폴리 우레탄계 수지를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의 절연재료 중 폴리염화비닐(PVC) 조성물은 연소시 유독성 가스, 즉 다이옥신 및 염화수소 발생과 납계 안정제 유해성 여부 등 환경문제가 대두되면서 점차 사용이 규제되고 있으며, 상기의 125℃급 절연재료도 할로겐계 난연제에 의해서 연소시 유독성 가스 및 과다한 스모크 등의 발생으로 그 사용이 규제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환경규제가 강화되어 연소시 유독성가스를 발생시키거나 환경 비친화적인 재료가 적용된 상기의 폴리염화비닐(PVC) 조성물 및 브롬(Br)계, 염소(Cl)계 난연제가 포함된 폴리올레핀계 전선재료 등은 유독성 가스 및 스모크 등이 발생이 많음은 여전하다.
비할로겐계 폴리올레핀계 수지로 대체하는 과정에서 기본적으로는 고속 압출이 가능하고 내열성, 내한성 및 하네스성 등을 만족시키는 비할로겐계 조성물에 대해서는 몇몇 보고되었으나, 가열변형 특성을 만족시키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은 외관, 가열변형 특성, 내열성, 내한성, 압출성, 하네스성 등이 우수한 조성 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이 적용된 ABS용 자동차 전선은 환경친화적이고, 외관, 가열변형 특성, 내열성, 내한성, 압출성, 하네스성 및 기타 물성 등이 우수하며 특히, 기존 비할로겐계가 나타내지 못했던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은 에틸렌 공중합체,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폴리머 모디파이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난연제 0.1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중 적어도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통하여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변성 에틸렌 중합체는 무수 말레인산을 함유하는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중에서 적어도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통하여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폴리머 모디파이어는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통하여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무기난연제는 입자크기가 0.5㎛ 내지 30㎛, 비표면적이 3㎟/g 내지 2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통하여도 이루어질 수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무기난연제는 실란계, 아민계, 스테아린산 혹은 지방산중 적어도 1 이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통하여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힌더드페놀계, 티오에스터계 또는 아민계중 적어도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통하여도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은 조성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에 통하여도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계 비할로겐 난연재료에 있어서 가열변형특성 및 압출특성이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에틸렌 공중합체,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폴리머 모디파이어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수지, 무기난연제, 산화방지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요소 각각에 대하여 살펴본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 특히 ABS 케이블의 절연체에 쓰이는 조성물은 무독 성 비할로겐계 고분자 조성물의 베이스수지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ethylene vinyl acetate),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EMMA; ethylene methyl metacrylate),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EMA, ethylene methyl acrylate),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EA; ethylene ethyl acrylate),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EBA, ethylene buthyl acrylate) 또는 에틸렌옥텐공중합체(Ethylene Octene Copolymer)와 같은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단독 또는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공중합체의 함량에 따라 다량의 무기난연제 충전이 가능하다.
베이스수지의 에틸렌 공중합체는 조성물의 기계적인 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에틸렌계 공중합체에 말레익 안하이드라이드기를 포함시키거나 그래프티드(grafted)된 폴리머 모디파이어 등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베이스수지에 사용한다. 이러한 변형 에틸렌 공중합체는 베이스수지의 용도에 따라서 함량이 변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의 폴리머 모디파이어는 무기난연제와 베이스수지의 분자간력을 증가시켜 가열변형 특성에 유리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에틸렌계 공중합체 수지를 1 중량부 내지 90 중량부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인장강도와 열적 특성이 저하되며, 90 중량부 이상일때는 상온 기계적 물성(인장강도)이 떨어진다.
또한, 폴리머 모디파이어의 함량은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 정도로 선정함이 바람직하다. 1 중량부 미만에서는 베이스수지와 무기난연제의 분자간력이 약하여 가열변형 특성을 유지 할 수 없고, 30 중량부 이상이면 과도하게 분자간력을 증 가시켜서 오히려 상온 신장율 및 유연성이 저하된다.
에틸렌계 공중합체, 변성에틸렌 공중합체 그리고 폴리머 모디파이어의 함량 합은 100 중량부가 되도록 한다.
비할로겐계 무기 난연제로는 입자크기가 0.5㎛ 내지 30㎛, 비표면적(BET)이 3㎟/g 내지 20㎟/g이면서 실란계(vinyl silane), 아민(vinyl amine)계, 스테아린산(stearic acid) 혹은 지방산(fatty acid) 등이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Aluminum trihydroxide, Magnesium dihydroxide)과 비표면처리된 금속수산화물을 단독 또는 혼용하여 적용하였다. 상기 무기난연제의 입자크기가 0.5㎛ 이하일 때에는 가격이 높아 경제성이 떨어지고, 30㎛ 이상일 때에는 기계적 물성이 저하된다. 또한, 동일한 이유로 비표면적의 범위 한정도 상기와 같이 한정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무기난연제는 할로겐계 난연제에 비해 난연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필요한 난연등급을 달성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과량이 사용된다. 난연제가 과량 투입되면 압출선속 등의 가공성 및 물성 저하가 심하게 발생한다. 따라서, 난연성이 우수하고 압출선속 등의 가공성이 우수한 조성물을 얻기 위해서는 난연제의 함량 최적화가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는 위와 같은 난연제의 함량 최적화를 위하여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비할로겐계 난연제를 약 0.1 중량부 내지 300 중량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제가 0.1 중량부보다 작을 때는 난연성을 확보할 수 없으며 300 중량부보다 클 때는 인장강도, 신장율 그리고 내열특성을 저하시킨다.
내열 측면에서는 페놀계, 힌더드페놀(Hindered phenol)계, 티오에스터 (Thioester)계 또는 아민계 등의 산화방지제를 단독 혹은 혼용하여 적용하였다. 상기와 같은 산화방지제를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해서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단독 혹은 혼용하여 적용하였다. 0.5 중량부보다 작을때는 산화방지 효과가 없으며 20 중량부보다 클때는 조성물의 난연성을 저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전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체(1)를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절연체(2)가 이를 감싸고 있으며 수개의 도체(1)를 감싸는 절연체(2)가 수가닥으로 이루어져 쉬스체(3)를 포함하여 전선의 단면을 구성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와 본 발명과 구별되는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가열변형 시험은 140℃의 오븐에 4시간 동안 단면폭이 0.7㎜의 칼날을 이용하여 80g의 하중을 주면서 시험하였다. 처음의 케이블의 외경에 대해서 들어간 케이블의 깊이를 백분율(%)로 표시하였으며, 30%이하의 변형율을 나타냈을때 합격으로 판정하였다.
내열성 평가 기준으로는 자동차 전선규격에 명시되어 있는 것처럼 용도에 따라 80℃, 125℃에서 3,000시간 노화시험기에서 시료를 방치해 놓았다. ABS에 들어가는 자동차용 전선은 온도등급이 140℃로 규정되어 있어 140℃에서 3,000시간 방치하였으며, 가열시킨 후에 2㎜에서 6㎜의 만드렐(Mandrel)에 권치 후 전선에 크랙 유무를 육안으로 살펴본 후 내전압 시험을 시행하였다.
내한특성은 2㎜에서 6㎜의 만드렐에 권치 후 -30℃에서 48시간 방치한 후 전선에 크랙유무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내전압 시험을 진행하여 합격, 불합격 판정을 내렸다.
압출특성은 케이블의 생산성과 관련을 지어서 고속(500m/min)에서 케이블의 외경 변화가 0.05% 미만일 경우에 합격판정을, 그렇치 않을 경우에는 불합격 판정을 내렸다.
하네스 특성은 케이블 압출 작업후 하네스 업체에서 케이블을 절단한 후, 양 끝단의 절연체를 약 5㎜에서 10㎜ 정도 탈피하였다. 탈피한 면이 깨끗하게 절단되면 양호 판정을, 그렇치 않을 경우에는 불합격 판정을 내렸다. [표 1]은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의 성분과 각 실시예에 따른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EVA(VA content: 19%, MI=1.8) - - -
EVA(VA content: 33%, MI=2.0) 80.0 90.0 100.0
EVA(VA content: 18%, MI=2.5) - 5.0 -
Polymer Modifier*1) 20.0 5.0 -
MDH Silane coated 50.0 50.0 50.0
Phenol계 Antioxidant*2) 1.0 1.0 1.0
Phenol계 Metal Deactivator*3) 1.0 1.0 1.0
Thiester계 2차 산화방지제*4) 3.0 3.0 3.0
TMPTMA 3.0 3.0 5.0
시험결과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인장강도(kg/㎟) 2.05 1.98 1.67
신장율(%) 140 150 185
가열변형특성(%) 8.2 9.6 6.2
내열특성(140℃×3000hrs) 합격 합격 합격
내한특성(-30℃×48hrs) 합격 합격 합격
최대압출속도(㎜/min) 500 550 650
하네스특성 합격합격 합격 합격
아래의 [표 2]는 본 발명과 비교되는 비교예의 성분과 그 시험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EVA(VA content: 19%, MI=1.8) 90.0 - 70.0 70.0 -
EVA(VA content: 33%, MI=2.0) - 30.0 - 10.0 80.0
EVA(VA content: 65%, MI=1.8) - - - - -
HDPE - 70.0 30.0 20.0 20.0
Polymer Modifier*1) 10.0 - - - -
MDH Silane coated 50.0 100.0 50.0 50.0 50.0
Phenol계 Antioxidant*2) 0.5 1.0 1.0 1.0 1.0
Phenol계 Metal Deactivator*3) 0.5 1.0 1.0 1.0 1.0
Thiester계 2차 산화방지제*4) 3.0 3.0 3.0 3.0 3.0
TMPTMA 3.0 3.0 3.0 3.0 3.0
시험결과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인장강도(kg/㎟) 1.70 2.25 2.14 1.65 1.58
신장율(%) 180 94 115 202 188
가열변형특성(%) 35.2 62.4 73.1 55.0 84.0
내열특성(140℃×3000hrs)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내한특성(-30℃×48hrs)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최대압출속도(㎜/min) 520 500 600 650 580
하네스특성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 가교는 조사가교 방식을 채택하였으며 조사 가교량은 8MRad.의 조건으로 실시하였다.
*1) Maleic Anhydride grafted Ethylene Vinyl Acetate(Vinyl Acetate Content=28%)
*2) Pentaerythritol Tetrak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ate)
*3) 2', 3-bis[[3-[3,5-di-tert-butyl-4-hydroxyphenyl]propionyl]]propionohydrazide
*4) distearyl ester of β, β'-thiodipropionic acid
*5) Trimethylolpropane Trimethacrylate
상기의 실시예와 비교예의 가열변형 특성을 살펴보면, 기본 메트릭스 수지가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33%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단독 혹은 폴리머 모디파이어와 혼용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의 경우 가열변형율이 5% 내지 10%로 나타났다. 이와는 달리, 고밀도 폴리에틸렌과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와 혼용으로 적용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경우에는 가열변형율이 30%이상으로 나타나서 ABS용 자동차 전선으로 부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비닐아세테이트의 함량이 높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가 가열변형 특성이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폴리 에틸렌은 가열변형율에 불리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압출특성을 나타내는 최대압출 속도는 모두 500m/min의 수준으로 나타나서 압출성이 양호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하네스 작업성은 전선의 절연체를 탈피하였을 때, 절연체가 모두 깨끗하게 탈피되는 것을 확인하여 본 실시예가 ABS용 자동차 전선으로 적정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3,000시간 장기 내열성 평가는 실시예, 비교예의 모든 경우에 만드렐에 권치하였을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전압 시험에 통과하였다. 따라서, 본 실험에 적용된 산화방지 시스템이 140℃에서 3,000시간을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찬가지로 -30℃에서 48시간 시험을 진행한 내한성의 경우에, 만드렐에 권치후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내전압 시험에 통과하여 내한규격을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 첨 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가능한 다양한 변형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 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을 통하여 외관, 가열변형 특성, 내열성, 내한성, 압출성, 하네스성 등이 우수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을 얻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이 적용된 ABS용 자동차전선은 환경친화적이고, 외관, 가열변형 특성, 내열성, 내한성, 압출성, 하네스성 및 기타 물성 등이 우수하며, 특히 기존 비할로겐계가 나타내지 못했던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을 얻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발명에 대하여 상기에서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이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발명의 요지와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른 가능한 수정과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발명의 진정한 범위내에 속하는 이러한 수정과 변형을 포함할 것으로 예상된다.

Claims (8)

  1. 에틸렌 공중합체, 변성 에틸렌 공중합체 및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기가 그래프트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무기난연제 0.1 중량부 내지 300중량부; 및
    산화방지제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변성 에틸렌 중합체는 무수 말레인산을 함유하는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 부텐 공중합체중에서 적어도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무기난연제는 실란계, 아민계, 스테아린산 혹은 지방산중 선택된 적어도 1 이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에틸렌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렌 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에틸 아크릴레이트, 에틸렌 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렌 옥텐 공중합체중 적어도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말레익안하이드라이드기가 그래프트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는 1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난연제는 입자크기가 0.5㎛ 내지 30㎛, 비표면적이 3㎟/g 내지 20㎟/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는 페놀계, 힌더드페놀계, 티오에스터계 또는 아민계중 적어도 1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8.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5 항 또는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한 조성물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KR1020040038153A 2004-05-28 2004-05-28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KR100633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153A KR100633546B1 (ko) 2004-05-28 2004-05-28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8153A KR100633546B1 (ko) 2004-05-28 2004-05-28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750A KR20050112750A (ko) 2005-12-01
KR100633546B1 true KR100633546B1 (ko) 2006-10-16

Family

ID=3728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8153A KR100633546B1 (ko) 2004-05-28 2004-05-28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335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720A (ko) 2015-08-04 2017-02-14 태성에컴스(주) 내마모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747B1 (ko) * 2006-01-18 2007-01-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난연 열수축 튜브 제조용 조성물 및 난연 열수축 튜브
KR101410951B1 (ko) * 2012-05-16 2014-06-30 넥쌍 초저온내성 및 난연성을 모두 갖는 비할로겐계 고분자 수지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16720A (ko) 2015-08-04 2017-02-14 태성에컴스(주) 내마모성이 우수한 친환경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2750A (ko) 2005-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4272B1 (ko) 비할로겐계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선
KR101938006B1 (ko) 유연성, 내마모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용 수지 조성물
KR101097003B1 (ko) 논할로겐 전선, 전선다발 및 자동차용 와이어하네스
JP4255368B2 (ja) 架橋型難燃性樹脂組成物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絶縁電線およびワイヤーハーネス
JP2014225478A (ja) 非ハロゲン難燃樹脂組成物を用いた電線およびケーブル
JPH0554723A (ja) 難燃性電気絶縁組成物および難燃性電線・ケーブル
US20170062092A1 (en) Insulated electric wire and cable using halogen-free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KR100633546B1 (ko)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JP737407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難燃性熱収縮チューブ及び難燃性絶縁電線
JP2000195336A (ja) 電線被覆用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EP3832672B1 (en) Flame- retardant electrical cable
JP2000007852A (ja) 電線被覆用樹脂組成物および絶縁電線
US5814406A (en) Communication cable for use in a plenum
JPH03203123A (ja) 難燃性電線・ケーブル
KR102402192B1 (ko) 내유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박막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0508107B1 (ko) 우수한 하네스성과 고내마모성을 갖는 비할로겐계자동차용 전선
KR20040098415A (ko) 비할로겐계 난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선
CN111180122B (zh) 电缆
KR20050110407A (ko) 내열변형 및 내 컷스루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절연재료와 전선
JPH11273464A (ja) 絶縁電線
JP3085550B2 (ja) 難燃性電線・ケーブル
JPH11140242A (ja) 絶縁電線
JP2003176386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KR20210153432A (ko)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
JPH04154853A (ja) 難燃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