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432A -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 - Google Patents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432A
KR20210153432A KR1020200070475A KR20200070475A KR20210153432A KR 20210153432 A KR20210153432 A KR 20210153432A KR 1020200070475 A KR1020200070475 A KR 1020200070475A KR 20200070475 A KR20200070475 A KR 20200070475A KR 20210153432 A KR20210153432 A KR 202101534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cable
parts
conductor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0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정표
김성훈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70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53432A/ko
Publication of KR202101534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4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6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 D07B1/162Ropes or cables with an enveloping sheathing or inlays of rubber or plastics characterised by a plastic or rubber enveloping sheathing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6Ropes or cables built-up from metal wires, e.g. of section wires around a hemp core
    • D07B1/0606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 D07B1/062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 D07B1/064Reinforcing cords for rubber or plastic articles the reinforcing cords being characterised by the strand configuration the reinforcing cords being twisted and with at least one wire exchanging place with another wir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15Strands
    • D07B2201/2024Strand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05Elongation or elasticit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2Environmental resistance
    • D07B2401/203Low temperature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2Environmental resistance
    • D07B2401/2035High temperature resistanc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61Ship moorings

Landscapes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탁월한 유연성에 의해 포설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T4(150℃)급 내열성, 내한성, 내유성, 난연성 등의 물성이 함께 향상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Cable for transportation having an excellent and thermal resistance and flexibility}
본 발명은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탁월한 유연성에 의해 포설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T4(150℃)급 내열성, 내한성, 내유성, 난연성 등의 물성이 함께 향상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철도차량, 선박, 항공기 등의 운송수단에 사용되는 케이블은 포설 및 사용 환경에 따라 내열성, 유연성, 내한성, 내유성, 난연성 등의 물성이 요구된다.
종래 운송수단용 케이블, 특히 자동차용 저전압 케이블은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는 구조이고, 절연층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개발을 통해 운송수단용 케이블에서 요구되는 내열성, 유연성, 내한성, 내유성, 난연성 등의 물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상기 물성들은 서로 상충관계(trade-off)에 있는 등의 이유로 모두 만족시키는데 한계가 있었으며, 특히 규격 ISO 6722-1에서 규정한 T4(150℃)급의 내열성과 유연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웠다.
따라서, 탁월한 유연성에 의해 포설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T4(150℃)급 내열성, 내한성, 내유성, 난연성 등의 물성이 함께 향상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탁월한 유연성에 의해 포설성 및 작업성이 향상되고, T4(150℃)급 내열성, 내한성, 내유성, 난연성 등의 물성이 함께 향상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는 직경이 0.172 내지 0.455 mm인 소선 복수개가 꼬임피치 23 내지 105 mm로 서로 꼬이면서 연합된 소연선이 중심 및 상기 중심의 둘레에 복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소연선은 꼬임피치 25 내지 175 mm로 서로 꼬이면서 연합되며, 상기 소연선 복층 중 최외층에 배치된 소연선 갯수는 상기 도체를 구성하는 소연선 총 갯수의 50 내지 65%이고, 상기 최외층에 배치된 소연선 하나에 포함되는 소선의 갯수는 상기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 총 갯수의 4.5 내지 6.5%인,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소선의 총 갯수는 950 내지 1150개이고, 상기 소연선의 총 갯수는 12 내지 24개이며, 상기 도체의 공칭 단면적은 3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도체의 중심 소연선과 상기 최외층 사이에 배치된 내층에 배치된 소연선 하나에 포함되는 소선의 갯수는 상기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 총 갯수의 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체의 최외층에 배치된 인접한 소연선들 사이에 상기 절연 조성물이 침투하지 못한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의 면적은 상기 인접한 소연선들 표면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인접한 소연선들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면적을 기준으로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절연층은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상기 절연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극성기가 그라프트된(grafted)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TE 인덱스가 3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수학식 1]
TE 인덱스(℃·phr)=(A×B)/100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점(℃)이고,
B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중량부; phr)이다.
여기서,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점(Tm)은 80 내지 110℃이고,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극성 단량체의 함량은 5 내지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25 내지 65 중량부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합성 수지의 함량은 25 내지 65 중량부이며, 상기 극성기가 그라프트된(grafted)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나아가, 상기 극성기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융점이 110 내지 130℃이고, 비중이 0.900 내지 0.930인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한편, 가교조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교조제는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TAIC),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TAC),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은 2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또한, 난연제로서 금속수산화물 및 난연보조제로서 삼산화안티몬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70 내지 110 중량부이고, 상기 난연보조제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케이블은 새로운 방식의 도체 구조 설계를 통해 탁월한 유연성 및 이에 따른 포설성과 작업성이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케이블은 절연층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의 새로운 설계를 통해 규격 ISO 6722-1에서 규정한 T4(150℃)급의 내열성, 내한성, 내유성, 난연성 등의 물성이 함께 향상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케이블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서 소연선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서 소연선의 최외층의 모습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케이블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도 1에서 소연선의 단면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운송수단용 케이블은 구리, 알루미늄, 이들의 합금 등으로 이루어진 도체(10) 및 상기 도체(10)를 감싸고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체(10)는 직경이 0.172 내지 0.455 mm, 바람직하게는 0.197 내지 0.203 mm인 소선 복수개가 일정한 방향, 예를 들어 S꼬임(우연) 및 꼬임피치 23 내지 105 mm, 바람직하게는 52 내지 70 mm로 서로 꼬이면서 연합된 소연선이 중심 및 이의 둘레에 복층으로 배치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소연선은 일정한 방향, 예를 들어 S꼬임(우연) 및 꼬임피치 25 내지 175 mm,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75 mm로 서로 꼬이면서 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10)를 구성하는 소선의 총 갯수는 950 내지 1150개일 수 있고, 상기 소연선의 총 갯수는 12 내지 24개일 수 있으며, 상기 도체(10)를 구성하는 소선들의 총 단면적인 공칭 단면적은 3 내지 40 ㎟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도체(10)를 구성하는 소연선들 중 최외층(13)에 배치된 소연선의 갯수 및 상기 소연선 하나에 포함되는 소선의 갯수를 조절함으로써 케이블의 유연성을 추가로 향상시키는 동시에 절연층(20)의 전기적 특성을 비롯하여 내열성, 내한성, 내유성, 난연성 등의 물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상기 도체(10)의 최외층(13)에 배치된 소연선의 갯수는 상기 도체(10)를 구성하는 소연선 총 갯수의 50 내지 65%이고, 상기 최외층(13)에 배치된 소연선 하나에 포함되는 소선의 갯수는 상기 도체(10)를 구성하는 소선 총 갯수의 4.5 내지 6.5%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체(10)의 최외층(13)을 구성하는 소연선 총 갯수가 상기 도체(10)를 구성하는 소연선 총 갯수의 50% 미만인 경우 케이블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65% 초과인 경우 케이블의 외경이 불필요하게 증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최외층(13)에 배치된 소연선 하나에 포함되는 소선의 갯수가 상기 도체(10)를 구성하는 소선 총 갯수의 4.5% 미만인 경우 케이블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6.5% 초과인 경우 케이블의 외경이 불필요하게 증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도체(10)의 중심 소연선(11)을 구성하는 소선의 갯수는 상기 도체(10)를 구성하는 소선 총 갯수는 상기 최외층(11)에 배치된 소연선 하나에 포함된 소선의 갯수와 동일할 수 있고, 상기 중심 소연선(11)과 상기 최외층(13) 사이에 배치된 내층(12)에 배치된 소연선 하나에 포함되는 소선의 갯수는 상기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 총 갯수의 5 내지 7.5%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에서 소연선의 최외층의 모습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체(10)에 절연 조성물을 압출하여 절연층(20)을 형성하는 경우, 상기 도체(10)의 최외층(13)에 배치된 인접한 소연선들 사이에 절연 조성물이 미처 침투하지 못한 빈 공간(A)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빈 공간(A)의 면적은 상기 인접한 소연선들 표면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인접한 소연선들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면적을 기준으로 5% 이하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빈 공간(A)의 면적이 5% 초과인 경우 케이블의 굴곡시 도체(10)와 절연층(20)이 분리되어 오히려 케이블의 굴곡성, 유연성 등의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20)을 형성하는 절연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 난연제, 가교조제,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극성기가 그라프트된(grafted)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는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된 TE 인덱스 값이 30 내지 65로 정밀하게 조절됨으로써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의 유연성 및 내유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수학식 1]
TE 인덱스(℃·phr)=(A×B)/100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점(℃)이고,
B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중량부; phr)이다.
예를 들어,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점(℃)은 시차주사열량계(제조사 : TA Instruments; 제품명 : DSC Q100)를 이용하여 -50 내지 200℃ 범위 내에서 에틸렌 공중합체 샘플 약 10 mg을 질소 퍼지 가스 하에 승온 속도 10℃/분으로 처리함으로써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TE 인덱스 값이 30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내유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TE 인덱스 값이 65 초과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TE 인덱스를 30 내지 65로 조절하기 위해,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점(Tm)은 80 내지 110℃이고,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극성 단량체의 함량은 5 내지 25 중량%이며,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25 내지 65 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극성 단량체의 함량이 5 중량% 미만이거나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극성 단량체의 함량이 25 중량% 초과이거나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이 65 중량부 초과인 경우 특히 가솔린계 오일에 대한 상기 절연층의 내유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극성 단량체는 부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단량체, 비닐 아세테이트 등의 아세테이트계 단량체 를 포함할 수 있고, 이로써 상기 에틸렌 공중합체는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EBA),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EEA),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EMA),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부틸아크릴레이트(EB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의 유연성, 내한성, 내열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 디엔 공중합체(EPDM),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는 비중이 0.850 내지 0.890이며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함량이 25 내지 65 중량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유연성 등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6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내유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극성기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서 후술하는 무기계 난연제 등의 첨가제가 균일하게 분산됨으로써 상기 절연 조성물의 물성이 저하되지 않고 상기 첨가제의 기능이 균일하게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예를 들어, 융점이 110 내지 130℃이고, 비중이 0.900 내지 0.930인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극성기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15 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극성기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베이스 수지와 후술하는 첨가제와의 상용성이 저하되어 상기 절연층의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1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유연성 및 신장율이 저하되고 케이블 압출시 부하가 심하게 걸릴 수 있다.
상기 절연 조성물은 이로부터 절연층을 형성한 후 조사가교를 위한 가교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가교를 위한 가교조제는 예를 들어 다관능유기모노머로서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TAIC),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TAC),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불충분한 가교에 의해 내유성, 내열성 등의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과도한 가교에 의해 유연성, 내한성 등의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연층의 조사가교시 절연층의 두께에 따라 조사량, 조사시간 등이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절연 조성물은 이로부터 형성되는 절연층의 난연성 구현을 위해 난연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무기계 금속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난연제와 상기 베이스 수지 사이의 상용성 향상을 위해 상기 금속수산화물은 비닐실란 등의 소수성처리제로 표면이 소수성으로 개질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70 내지 110 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7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난연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11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상기 절연층의 압출성이 크게 저하되거나 다른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 조성물은 목적한 난연성을 구현하기 위해 상기 난연제가 과량 첨가되는 경우 상기 절연 조성물의 압출성 및 기타 물성이 저하되고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난연제를 제한된 함량으로 포함하며 이로 인해 불충분한 난연성은 삼산화안티몬 등 안티몬계 난연보조제를 추가로 포함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상기 난연보조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난연보조제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절연 조성물의 난연성이 불충분할 수 있고, 불충분한 난연성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난연제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경우 상기 절연 조성물의 압출성 및 기타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으며 절연 조성물의 가격이 크게 상승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절연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상기 절연층의 열화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고, 활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와 다른 첨가제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거나 상기 절연층의 압출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 제조예
아래 표 1에 나타난 규격의 도체 및 앞서 기술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시편을 제조했다.
항목 수치
소선 직경 0.1985
소연선 갯수 중심 소연선 1개+1층 소연선 6개+2층 소연선 12개=총 19개
소선 총 갯수 1070개
도체 공칭단면적 35㎟
도체 저항 0.527 Ω/km
2. 물성 평가
1) 내유성 평가
규격 ISO 6722-1에 의거하여 케이블 시편을 가솔린이 담긴 비이커에 침유시킨 상태로 상온에서 20시간 체류시킨 후 꺼내어 30분 후 케이블 시편의 외경을 측정했다. 침유 후 케이블 시편의 외경이 침유 전 외경과 비교하여 15% 초과하여 증가하면 불량이다.
2) 유연성 평가
규격 LV111-2 9.3.4에 따른 케이블의 3-point 굴곡 테스트를 수행했고, 구체적으로 일직선으로 펴진 케이블 시편을 16시간 동안 에이징한 후 심봉(mandrel)을 이용하여 100 mm/min의 속도로 케이블 시편 중앙을 눌러 굴곡시 힘을 측정했고, 측정은 2회 수행하여 평균값을 계산했다. 굴곡시 힘은 50 N 이하여야 한다.
3) 내열성 평가
규격 ISO 6722-1에 의거하여 장기/단기 내열성을 구분하여 평가했다. 장기 내열성은 케이블 시편을 150℃/3,000 시간 체류 후 상온에서 굴곡 시험시 절연층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하며 1분간 수중에서 1 kV의 전압을 인가하는 동안 절연파괴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단기 내열성은 케이블 시편을 175℃/240 시간 체류 후 -25℃ 챔버에서 4시간 냉각 및 저온굴곡시험시 절연층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4) 내한성 평가
규격 ISO 6722-1에 의거하여 케이블 시편을 -40℃ 오븐에서 무게 30 kg의 추를 케이블 시편에 매달고 챔버 내에서 4시간 체류시킨 후 케이블 외경 5배의 직경을 갖는 환봉에 감아서 크랙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후 1분간 수중에서 1 kV의 전압을 인가하는 동안 절연파괴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5) 난연성 평가
규격 ISO 6722-1에 의거하여 케이블 시편에 대해 지면에서 45°각도로 고정된 버너와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배치된 케이블 시편에 대해 30초간 불꽃을 인가한 후 70초 내에 자연소화되어야 하고 연소길이는 50 mm 이하여야 한다.
물성 평가결과
내유성 14.3%
유연성 47.5 N
내열성 No crack
내한성 No crack
난연성 70초 내에 자연소화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도체 20 : 절연층

Claims (10)

  1.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고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체는 직경이 0.172 내지 0.455 mm인 소선 복수개가 꼬임피치 23 내지 105 mm로 서로 꼬이면서 연합된 소연선이 중심 및 상기 중심의 둘레에 복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소연선은 꼬임피치 25 내지 175 mm로 서로 꼬이면서 연합되며,
    상기 소연선 복층 중 최외층에 배치된 소연선 갯수는 상기 도체를 구성하는 소연선 총 갯수의 50 내지 65%이고, 상기 최외층에 배치된 소연선 하나에 포함되는 소선의 갯수는 상기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 총 갯수의 4.5 내지 6.5%인, 운송수단용 케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선의 총 갯수는 950 내지 1150개이고,
    상기 소연선의 총 갯수는 12 내지 24개이며,
    상기 도체의 공칭 단면적은 3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의 중심 소연선과 상기 최외층 사이에 배치된 내층에 배치된 소연선 하나에 포함되는 소선의 갯수는 상기 도체를 구성하는 소선 총 갯수의 5 내지 7.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체의 최외층에 배치된 인접한 소연선들 사이에 상기 절연 조성물이 침투하지 못한 빈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빈 공간의 면적은 상기 인접한 소연선들 표면에 동시에 접하는 접선과 상기 인접한 소연선들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의 면적을 기준으로 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 및 극성기가 그라프트된(grafted)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며,
    아래 수학식 1로 정의되는 TE 인덱스가 30 내지 6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수학식 1]
    TE 인덱스(℃·phr)=(A×B)/100
    상기 수학식 1에서,
    A는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점(℃)이고,
    B는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중량부; phr)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융점(Tm)은 80 내지 110℃이고,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극성 단량체의 함량은 5 내지 2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극성 단량체를 포함하는 에틸렌 공중합체의 함량은 25 내지 65 중량부이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 합성 수지의 함량은 25 내지 65 중량부이며, 상기 극성기가 그라프트된(grafted) 폴리올레핀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가 그라프트된 폴리올레핀 수지는 융점이 110 내지 130℃이고, 비중이 0.900 내지 0.930인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선형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9. 제5항에 있어서,
    가교조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가교조제는 트리알릴 이소시아누레이트(TAIC), 트리알릴 시아누레이트(TAC),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및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MPTA)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은 2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10. 제5항에 있어서,
    난연제로서 금속수산화물 및 난연보조제로서 삼산화안티몬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70 내지 110 중량부이고, 상기 난연보조제의 함량은 5 내지 20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송수단용 케이블.
KR1020200070475A 2020-06-10 2020-06-10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 KR202101534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75A KR20210153432A (ko) 2020-06-10 2020-06-10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0475A KR20210153432A (ko) 2020-06-10 2020-06-10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432A true KR20210153432A (ko) 2021-12-17

Family

ID=790335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0475A KR20210153432A (ko) 2020-06-10 2020-06-10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1534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7489B2 (en) Cable
JP6229942B2 (ja) 鉄道車両用絶縁電線及び鉄道車両用ケーブル
CA2800035C (en) Temperature resistant halogen free cable
US8420939B2 (en) Flame retardant, low smoke emission, halogen free 600 V energy cable with polyolefin insulation and polyamide jacket
KR102482859B1 (ko) 내한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WO2016175076A1 (ja) ノンハロゲン難燃樹脂組成物及び絶縁電線
US20160148724A1 (en) Power transmission cable using non-haloge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CA2868550C (en) Process for producing polypropylene blends for thermoplastic insulation
US20170062092A1 (en) Insulated electric wire and cable using halogen-free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KR101732723B1 (ko) 불소 실리콘 엘라스토머 조성물,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및 케이블
US20150017441A1 (en) Elastomer composition, and insulated wire and insulated cable using the same
KR100459488B1 (ko)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KR20210153432A (ko) 내열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운송수단용 케이블
KR102549469B1 (ko) 내화 케이블
KR20180096171A (ko)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US20210050130A1 (en) Cable comprising a fire-resistant layer
KR20180096174A (ko) 고전압 케이블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 및 시스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402192B1 (ko) 내유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박막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US5814406A (en) Communication cable for use in a plenum
KR100930438B1 (ko) 유연성과 난연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전선용 절연체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20200122249A (ko) 유연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CN111180122B (zh) 电缆
CN207199328U (zh) 一种汽车用耐温阻燃耐热电线
JP6896235B2 (ja) 絶縁電線
JP6761587B2 (ja) 鉄道車両用絶縁電線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