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9488B1 -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 Google Patents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9488B1
KR100459488B1 KR10-2001-0068731A KR20010068731A KR100459488B1 KR 100459488 B1 KR100459488 B1 KR 100459488B1 KR 20010068731 A KR20010068731 A KR 20010068731A KR 100459488 B1 KR100459488 B1 KR 1004594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flame retardant
vinyl acetate
polymer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37522A (ko
Inventor
김상철
옥정빈
이건주
박도현
안명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68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488B1/ko
Publication of KR20030037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4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H01B3/1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ceram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환경에 있어서 내열성/내유성과 동시에 우수한 내한성을 보이며 저발연 특성을 갖는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은,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4∼32%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a)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b)와 말레산 무수물을 도입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c)를 혼합하거나, 또는 (a)에 (b) 또는 (c)를 단독으로 혼합한 혼용 기본수지 100 중량부; 무기 난연제 10 내지 100 중량부; 무기 난연 조제 1 내지 50 중량부; 할로겐 난연제 20 내지 100 중량부; 활제 0.5 내지 10 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10 중량부; 가교제 1 내지 10 중량부; 그리고 가교조제 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조성물을 절연체로 사용하는 본 발명의 차량용 전선은, 급격한 온도변화 등의 가혹한 조건은 물론 화재 발생시 인명과 화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정성으로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Polymer composition with low smoke and heat resistance for insulating material and Locomotive wire using it}
본 발명은 사용 환경에 있어서 내열성/내유성과 동시에 우수한 내한성을 보이며 저발연 특성을 갖는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에 관한 것이다.
철도차량용 전선은 일반 전선에 비해 매우 가혹한 조건에서 사용되므로 내열성, 내유성 등에 있어서 뛰어난 특성을 갖추어야 하며, 특히 고온과 저온에서 뿐 아니라 급격한 온도 변화와 같은 다양한 기후 조건에서도 장시간 특성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차량에 화재가 발생하였을 때 인명과 화물 및 장비의 안전성 확보와 손실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난연성 뿐만 아니라 저발연성 등의 화재 안정성을 필수적으로 갖추어야 한다. 최근 고속철도의 건설 확대와 사용 범위의 증대로인해 차량용 전선의 용도 및 역할에 대한 관심이 커지면서 더욱 뛰어난 특성의 발현이 요구되고 있다.
종래의 제품은 내열성의 향상을 위해 제조공정에서 가교처리를 사용하였고, 이러한 기법을 적용하는 데에는 폴리올레핀계의 수지가 가장 적당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폴리올레핀계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하지 못하여 ICEA S 19-81 규격 (온도 170℃에서 168 시간 방치 후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초기의 50% 이상일 것)에 미달하였다.
또한 내유성의 확보를 위해 EVA나 EEA를 블렌드하여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가교도가 높지 않아 내열성이 불량한 결과를 초래하였고, 내유성도 ICEA S 66-524 규격 (온도 150℃에서 ASTM No.2 시험유에 6일간 담근 후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초기의 50% 이상일 것)에 도달하지 못하였다.
철도차량용 전선에는 할로겐 성분의 물질에 대한 규제가 아직 부분적으로만 도입되어 있는 실정이어서 난연성의 향상을 위하여 브롬 등을 포함하는 할로겐 함유 난연제를 도입할 수 있다. 그러나 저발연성을 만족시키기 위하여 이를 무기 충진제로 일정 부분 대체할 경우에는 필수적 특성인 내한성이 급격히 나빠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모든 규격을 만족함과 동시에 우수한 기계적 물성을 발현하는 차량용 전선 및 절연 재료로 사용되는 기본 수지와 모든 첨가제를 포함하는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발명 및 기술에 의해 개발된 재료의 경우 ICEA S 66-524 규격에서 규정한 상온 및 150℃의 ASTM No.2 시험유에서 6일간 담근 후의 인장강도와 신장율, ICEA S 19-81 규격에서 규정한 170℃에서 168 시간 가열 후의 인장강도와 신장율, ICEA S 61-402 규격에서 규정한 -55℃에서 1시간 방치한 후의 저온권부와 저온충격, 그리고 NFPA 258 규격에서 규정한 1분 30초 및 4분 경과 후의 연기밀도에 대한 기준을 동시에 만족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상온, 가열후, 침유후의 인장강도와 신장율에 대한 기준을 모두 만족하며 저온에서의 권부와 충격특성 및 연기밀도와 VFT 난연특성을 충족할 뿐만 아니라 90℃와 -18℃에서 2시간씩 42일 동안 급격한 온도변화를 연속적으로 가한 후에도 표면의 변화가 전혀 발생하지 않는 차량용 전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차량용 전선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사용 환경에 있어서 내열성/내유성과 동시에 우수한 내한성을 보이며 저발연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선과 이에 사용되는 절연재료용 난연 고분자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고내구성과 우수한 화재 안정성 및 기계적 특성을 위하여 기본 수지와 첨가제 등의 재료로 전선을 구성하였다.
본 발명의 난연성 절연재료로는, 폴리에틸렌, 극성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를 기본 수지로 하고, 수화 금속 화합물계의 무기 난연제와무기 난연조제 및 할로겐 난연제로 난연특성을 도입하였으며, 산화방지제와 활제 및 요구되는 특성에 알맞은 가교제와 가교조제를 적용하였다.
본 발명의 절연재료용 난연 고분자 조성물은,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4∼32%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a)에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b)와 말레산 무수물을 도입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c)를 혼합하거나, 또는 (a)에 (b) 또는 (c)를 단독으로 혼합한 혼용 기본수지 100 중량부; 무기 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 무기 난연 조제 20 내지 40 중량부; 할로겐 난연제 35 내지 70 중량부; 활제 1 내지 4 중량부; 산화방지제 1 내지 5 중량부; 가교제 5 내지 8 중량부; 그리고 가교조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한다.상기 기본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a) 60 내지 100 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b) 5 내지 25 중량부와; 말레산 무수물을 도입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c) 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기본수지는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a) 60 내지 100 중량부와; 5 내지 30 중량부의 (b) 또는 (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8%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난연성 부여를 위하여 무기 난연제, 할로겐 난연제 및 난연조제를 사용한다.
무기 난연제로는 공지의 일반적인 무기 난연제가 사용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본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이 각각 10 중량부 내지 100 중량부 사용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무기 난연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 사용된다. 절연재료의 기계적 특성, 난연 특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은 비닐실란, 지방산, 아미노 폴리실록산 등으로 표면처리된 제품을 사용한다.
할로겐 난연제로는, 바람직하게는 브롬계를 20 중량부 내지 80 중량부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할로겐 난연제는 기본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35 중량부 내지 70 중량부 사용된다.
난연조제로는 기존의 안티몬계 또는 아연계 제품을 1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사용하여 난연특성을 강화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난연조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내지 40 중량부 사용된다.
내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상의 산화방지제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또는 페놀계 산화방지제를 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사용한다. 보다 바람직하게, 상기 산화방지제는 상기 기본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 중량부 내지 5 중량부 사용된다. 또한,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통상의 활제를 소량 (0.5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 내지 4 중량부)사용한다.본 발명의 차량용 전선은, 일반적으로 도체다발; 도체다발을 둘러싼 절연체; 및 도체다발과 절연체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용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체 부분은 전술한 본 발명의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선은 통상 도 1과 같은 구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전선은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ICEA S 66-524의 상온특성, ICEA S 19-81의 가열 후 특성, ICEA S 66-524의 내유특성,ICEA S 61-402의 저온특성 및 NFPA 258의 발연 특성을 모두 만족하는 내열성, 내유성, 내한성, 저발연성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 차량용 전선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3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오픈롤에서 혼련 후 170℃ 온도의 프레스에서 10분간 성형하여 본 발명의 난연성 고분자 조성물로 구성된 절연재료 시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절연재료를 사용하여 도 1과 같은 구조로 본 발명의 차량용 전선을 만들었다. 제조된 시편에 대해 하기 시험예에서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제조된 전선에 대해 VFT 난연시험 및 NFPA 258 규격에 따른 연기밀도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제조된 전선의 난연재료에 있어서 두께는 0.5 내지 5㎜로 하였다.
비교예 1∼4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오픈롤에서 혼련 후 170℃ 온도의 프레스에서 10분간 성형하여 고분자 재료 시편을 제조하였다. 또한 제조된 절연재료를 사용하여 도 1과 같은 구조의 차량용 전선을 만들었다. 제조된 시편에 대해 하기 시험예에서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제조된 전선에 대해 VFT 난연시험 및 NFPA 258 규격에 따른 연기밀도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제조된 전선의 난연재료에 있어서 두께는 0.5 내지 5㎜로 하였다. 각 비교예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비교예 1
내열특성 및 기계적 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18%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의 블렌드를 기본 수지로 사용하였고 무기 난연제 및 할로겐 난연제로 화재 안정성을 부여하였다.
(2) 비교예 2
내열특성 및 저온특성의 강화를 위하여 가교에 적합한 폴리올레핀계 수지의 비중을 높여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18%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를 기본 수지로 사용하였고, 무기 난연제 및 할로겐 난연제로 화재 안정성을 부여하였다.
(3) 비교예 3
내유특성 및 저온특성의 향상을 위하여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8%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를 기본 수지로 사용하였고, 난연제를 투입하여 화재 안정성을 부여하였다.
(4) 비교예 4
내열특성, 내한특성과 내유특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8%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와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및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블렌드를 기본 수지로 사용하였고, 난연특성의 확보를 위하여 브롬계난연제의 비중을 높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수지 a - - - 80 100 - -
수지 b 90 70 80 - - 100 80
수지 c - - - 20 - - 10
수지 d 10 20 - - - - 10
수지 e - 10 20 - - - -
무기 난연제 40 25 55 40 45 55 35
할로겐 난연제 45 55 40 55 50 40 70
무기 난연조제 25 25 25 25 25 25 25
활제 2.5 2.5 2.5 2.5 2.5 2.5 2.5
산화방지제 4.5 4.5 4.5 4.5 4.5 4.5 4.5
가교제 6 6 6 6 6 6 6
가교조제 2 2 2 2 2 2 2
수지 a : 아세트산 비닐 18% 함유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수지 b : 아세트산 비닐 28% 함유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수지 c :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d :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e : 말레산 무수물을 도입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시험예
실시예 1∼3 및 비교예 1∼4의 고분자 재료 및 전선에 대해 다음과 같은 시험을 실시하여 특성을 평가하였으며, 또한 제조된 전선에 대해 VFT 난연시험 및 NFPA 258 규격에 따른 연기밀도 시험 등을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인장강도(㎏ f /㎟) 1.71 1.63 1.89 2.10 1.81 1.38 1.91
신장율(%) 316 336 271 205 280 367 266
내열인장강도 1.60 1.52 1.93 2.07 1.76 탈락 1.83
내열신장율 245 260 221 189 177 탈락 212
내유인장강도 1.24 1.07 1.33 1.43 탈락 0.83 1.36
내유신장율 206 215 189 151 탈락 229 181
가열후 저온충격 합격 합격 합격 탈락 합격 합격 합격
온도변화반복 합격 합격 합격 탈락 합격 합격 합격
가열후 수축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VFT 난연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합격
연기발생 1.5분(N)* 0 0 0 0 0 0 13
연기발생 1.5분(F)* 2 3 1.5 4 3.5 1.5 탈락
연기발생 4분(N) 0 0 0 0 0 0 172
연기발생 4분(F) 50 62 46 65 63 57 탈락
산소지수 40.5 41.3 40.8 41.6 39.4 40.6 43.5
*N : Nonflaming mode
*F : Flaming mode
(1) 특성의 평가방법
각종 특성의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상온특성
ICEA S 66-524 규격에 따라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측정하였을 때 인장강도는 1.0kgf/mm2이상, 신장율은 200% 이상이어야 한다.
2) 내열특성
ICEA S 19-81 규격에 따라 170℃의 온도에 168시간 동안 방치한 후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측정하였을 때 각각 초기값의 50% 이상이어야 한다.
3) 내유특성
ICEA S 66-524 규격에 따라 150℃의 온도에 6일 동안 담근 후 인장강도 및 신장율을 측정하였을 때 각각 초기값의 50% 이상이어야 한다.
4) 가열후 저온충격
길이 7.5m의 시료를 코일에 감아 7일간 170℃의 온도에 방치한 후 3 등분하여, ICEA S-61-402 규격에 따라 길이 60㎝ 이하의 시료를 지름 2.5㎝의 축에 6회 감아 -55±2℃의 온도에 1시간 이상 방치한 후 15rpm의 속도로 풀었을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5) 가열후 수축
길이 7.2m의 시료를 느슨한 코일에 감아 7일간 170℃의 온도에 방치한 후 실온에서 1시간 이상 냉각하고 길이의 변화를 측정했을 때 3.18㎜ 이상 줄어들지 않아야 한다.
6) 온도변화반복
길이 2.4m의 시료를 4시간동안 150℃의 온도에 방치한 후 90℃와 -18℃에 2시간씩 두는 것을 250회 반복하였을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야 한다.
7) VFT 난연
15초간 연소시킨 후 소화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여 10초 이내여야 한다.
8) 연기발생
NFPA 258 규격에 따라 불꽃의 유무에 대하여 시험하였을 때 연소시작 후 1분 30초와 4분일 때의 연기밀도가 각각 100, 200 이하여야 한다.
(2) 실시예 1∼3의 시험결과
1) ICEA S 61-402
규정된 시험방법에 따른 저온시험을 실시한 결과, -55℃의 온도에서 1시간 방치한 후 굽히거나 폈을 때 표면에 크랙이 전혀 발생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2) ICEA S 19-81
규정된 시험방법에 따라 일반적인 기존의 처방으로는 사용이 불가능한 170℃의 고온에서 1주일간 방치한 후에도 인장강도와 신장율이 모두 초기의 75%를 상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170℃의 고온에 1주일간 방치한 후 -55℃에 1시간 동안 둔 후에도 특성에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제 철도차량에서의 사용조건에 대한 변화를 측정하기 위하여 90℃와 -18℃의 온도를 2시간씩 교대로 적용하여 급격한 온도 변화속에서 42일간 연속하여 시험하였으나 크랙 등의 문제가 전혀 발생하지 않았다.
3) 내유특성의 시험
ICEA S 66-524의 규정에 따라 150℃의 ASTM No.2 시험유에 시료를 6일간 담근 후 인장강도와 신장율을 측정하였으며, 모든 경우에 있어서 초기의 65%를 초과하는 특성유지를 보였다.
4) NFPA 258
규정에 따라 시험하였을 때 불꽃이 없는 경우 1분 30초 및 4분 후의 연기밀도가 모두 0이었으며, 불꽃이 있는 경우에는 각각 2와 50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5) VFT 난연시험
15초 연소 후 즉시 소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산소지수는 39 내지 44로 충분한 난연성을 보유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3) 비교예의 시험결과
1) 비교예 1
아세트산 비닐의 낮은 함량과 고밀도 폴리에틸렌 수지로 인하여 ICEA S 66-524 규격에 따른 내유시험 결과 불량이 발생하였고, ICEA S 61-402 규격에 따른 내한시험에서 요구하는 특성도 충족시키지 못하였다.
2) 비교예 2
아세트산 비닐의 낮은 함량으로 인하여 ICEA S 66-524 규격에 따른 내유시험 결과 불량이 발생하였다.
3) 비교예 3
ICEA S 66-524 규격에 따른 내유시험 결과는 양호하였으나, 아세트산 비닐의 높은 함량으로 인하여 ICEA S 19-81 규격에 따른 내열시험 결과 불량이 발생하였다.
4) 비교예 4
ICEA S 19-81 규격에 따른 내열시험, ICEA S 66-524 규격에 따른 내유시험,ICEA S 61-402 규격에 따른 내한시험 결과 모두 만족하였고, VFT 난연시험에서도 적합한 결과가 도출되었으나, 할로겐 난연제의 높은 함량으로 인하여 NFPA 258 규격에 따른 연기밀도 시험의 기준을 초과하는 발연특성을 보였다.
상기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절연재료용 난연성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은 난연성과 저발연성을 구비하고 내열성, 내유성, 내한성 및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발현하게 되므로, 급격한 온도변화 등의 가혹한 조건은 물론 화재 발생시 인명과 화물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안정성으로 기후 및 주변조건에 관계없이 다양한 환경에서 다양한 용도로 광범위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18)

  1. (1)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4~32%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60 내지 100 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 내지 35 중량부; 및 말레산 무수물을 도입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와;
    (2) 무기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와;
    (3) 무기난연조제 20 내지 40 중량부와;
    (4) 할로겐 난연제 35 내지 70 중량부와;
    (5) 가교제 5 내지 8 중량부; 및
    (6) 가교조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
  2. (1)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4~32%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60 내지 100 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 내지 4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와;
    (2) 무기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와;
    (3) 무기난연조제 20 내지 40 중량부와;
    (4) 할로겐 난연제 35 내지 70 중량부와;
    (5) 가교제 5 내지 8 중량부; 및
    (6) 가교조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
  3. (1)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4~32%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60 내지 100 중량부와; 말레산 무수물을 도입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5 내지 4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와;
    (2) 무기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와;
    (3) 무기난연조제 20 내지 40 중량부와;
    (4) 할로겐 난연제 35 내지 70 중량부와;
    (5) 가교제 5 내지 8 중량부; 및
    (6) 가교조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와 가교조제의 첨가비율이 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산화방지제 1 내지 5 중량부와, 활제 1 내지 4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는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난연제가 비닐실란, 지방산, 또는 아미노 폴리실록산으로 표면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난연제가 브롬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조제가 안티몬 또는 아연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가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페놀계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과산화계 물질이고, 상기 가교조제는 시아누레이트계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12. 도체다발; 도체다발을 둘러싼 절연체; 및 도체다발과 절연체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용 필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선으로서,
    상기 절연체가
    (1)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4 ~ 32%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60 내지 100 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 내지 35 중량부; 및 말레산 무수물을 도입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5 내지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와;
    (2) 무기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와;
    (3) 무기난연조제 20 내지 40 중량부와;
    (4) 할로겐 난연제 35 내지 70 중량부와;
    (5) 가교제 5 내지 8 중량부; 및
    (6) 가교조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선.
  13. 도체다발; 도체다발을 둘러싼 절연체; 및 도체다발과 절연체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용 필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선으로서,
    상기 절연체가
    (1)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4 ~ 32%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60 내지 100 중량부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5 내지 4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와;
    (2) 무기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와;
    (3) 무기난연조제 20 내지 40 중량부와;
    (4) 할로겐 난연제 35 내지 70 중량부와;
    (5) 가교제 5 내지 8 중량부; 및
    (6) 가교조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선.
  14. 도체다발; 도체다발을 둘러싼 절연체; 및 도체다발과 절연체 사이에 위치하는 분리용 필름을 포함하는 차량용 전선으로서,
    상기 절연체가
    (1)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4 ~ 32%인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 60 내지 100 중량부와; 말레산 무수물을 도입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 5 내지 4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베이스 수지 100중량부와;
    (2) 무기난연제 10 내지 60 중량부와;
    (3) 무기난연조제 20 내지 40 중량부와;
    (4) 할로겐 난연제 35 내지 70 중량부와;
    (5) 가교제 5 내지 8 중량부; 및
    (6) 가교조제 1 내지 4 중량부를 포함하는 고분자 조성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선.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와 가교조제의 첨가비율이 6: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16.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디알킬에스테르계, 티오에스테르계, 페놀계 물질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산화방지제 1 내지 5 중량부와;
    활제 1 내지 4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17.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아세트산 비닐 공중합 수지는 아세트산 비닐의 함량이 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18. 제 12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난연제가 비닐실란, 지방산, 또는 아미노 폴리실록산으로 표면처리된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분자 조성물.
KR10-2001-0068731A 2001-11-06 2001-11-06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KR100459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31A KR100459488B1 (ko) 2001-11-06 2001-11-06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31A KR100459488B1 (ko) 2001-11-06 2001-11-06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22A KR20030037522A (ko) 2003-05-14
KR100459488B1 true KR100459488B1 (ko) 2004-12-03

Family

ID=295680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31A KR100459488B1 (ko) 2001-11-06 2001-11-06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48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748B1 (ko) 2006-01-18 2007-01-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수직 난연재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전선
KR100868133B1 (ko) 2007-04-06 2008-11-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할로겐 프리 시스체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947707B1 (ko) 2008-04-18 2010-03-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강도, 고내열, 고내유성 열 수축 튜브 조성물과 이를이용한 열 수축 튜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9738B1 (ko) * 2002-03-19 2005-03-30 엘지전선 주식회사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KR100625804B1 (ko) * 2004-05-18 2006-09-2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압기기 전선용 절연재료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809186B1 (ko) * 2006-02-15 2008-02-29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100772266B1 (ko) * 2006-02-15 2007-11-0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압접 특성을 갖는 전선 피복층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전선
KR100949031B1 (ko) * 2007-04-27 2010-03-2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자기기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를 절연체로 포함하는전선
KR100952792B1 (ko) * 2008-04-11 2010-04-14 주식회사 경신전선 차량용 전선
KR101687796B1 (ko) * 2010-05-27 2017-01-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전선용 시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KR101467971B1 (ko) * 2013-05-31 2014-12-02 김영두 전선용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857A (en) * 1971-08-12 1979-01-02 Union Carbide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JPH02288017A (ja) * 1989-04-27 1990-11-2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で被覆したケーブル
KR19980058711A (ko) * 1996-12-30 1998-10-07 성기웅 전선 케이블 피복용 난연 수지 조성물
KR19990042533A (ko) * 1997-11-27 1999-06-15 권문구 무독성 고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교난연 전선
KR20000019227A (ko) * 1998-09-09 2000-04-06 권문구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
KR20000061604A (ko) * 1999-03-29 2000-10-25 성재갑 전력선 절연용 수가교 난연 수지 조성물 및 난연 절연 케이블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32857A (en) * 1971-08-12 1979-01-02 Union Carbide Corporation Electrical cable
JPH02288017A (ja) * 1989-04-27 1990-11-28 Kanegafuchi Chem Ind Co Ltd ポリエステルエラストマーで被覆したケーブル
KR19980058711A (ko) * 1996-12-30 1998-10-07 성기웅 전선 케이블 피복용 난연 수지 조성물
KR19990042533A (ko) * 1997-11-27 1999-06-15 권문구 무독성 고난연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가교난연 전선
KR20000019227A (ko) * 1998-09-09 2000-04-06 권문구 전선용 고분자 조성물
KR20000061604A (ko) * 1999-03-29 2000-10-25 성재갑 전력선 절연용 수가교 난연 수지 조성물 및 난연 절연 케이블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4748B1 (ko) 2006-01-18 2007-01-2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수직 난연재 제조용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절연체 및 전선
KR100868133B1 (ko) 2007-04-06 2008-11-10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할로겐 프리 시스체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전선
KR100947707B1 (ko) 2008-04-18 2010-03-16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고강도, 고내열, 고내유성 열 수축 튜브 조성물과 이를이용한 열 수축 튜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22A (ko) 2003-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9619B2 (e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insulated wire, insulated shielded wire, insulated cable and insulation tube using the same
JP6229942B2 (ja) 鉄道車両用絶縁電線及び鉄道車両用ケーブル
EP2733706B1 (en) Non-halogen multilayer insulated wir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459488B1 (ko) 저발연성과 내열성을 가진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JPH107913A (ja) 難燃性ハロゲン不含組成物
CN104710675A (zh) 非卤素耐热老化性阻燃树脂组合物、使用其的电线及电缆
US20100116548A1 (en) Insulated wire and a wiring harness
JPH0554723A (ja) 難燃性電気絶縁組成物および難燃性電線・ケーブル
US20140138118A1 (en) Non-halogen multilayer insulated wire
JP2007169415A (ja) 難燃性、耐火性エチレン−プロピレン−ジエン共重合体組成物および低圧耐火電線・ケーブル
KR100479738B1 (ko) 절연재료용 고분자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차량용 전선
KR20120102371A (ko) 고난연성 절연재료 조성물
US5814406A (en) Communication cable for use in a plenum
KR100515642B1 (ko) 내유성과 난연성을 갖는 케이블
KR100633546B1 (ko) 비할로겐계 내열변형 특성을 가지는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선
JPH11306873A (ja) 耐火電線・ケーブル
JPH08506129A (ja) ワイヤ絶縁用のポリエステル組成物
JPH01302611A (ja) 難燃性電線・ケーブル
KR101778803B1 (ko)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WO1996035216A1 (en) Thermoplastic elastomeric compositions and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RU2816163C2 (ru) Огнестойкий электрический кабель
JPH04334811A (ja) 難燃性電気絶縁組成物
KR100747933B1 (ko) 내열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KR20210095077A (ko) 자동차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케이블
KR100930438B1 (ko) 유연성과 난연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전선용 절연체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