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6171A -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 Google Patents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6171A
KR20180096171A KR1020170022506A KR20170022506A KR20180096171A KR 20180096171 A KR20180096171 A KR 20180096171A KR 1020170022506 A KR1020170022506 A KR 1020170022506A KR 20170022506 A KR20170022506 A KR 20170022506A KR 20180096171 A KR20180096171 A KR 201800961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weight
content
resi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5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동욱
김인하
박찬웅
Original Assignee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25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96171A/ko
Priority to PCT/KR2018/000586 priority patent/WO2018151420A1/ko
Publication of KR201800961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17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03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1/00Fireproofing materials
    • C09K21/02Inorganic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에서 요구되는 높은 절연저항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이와 상충관계에 있는 고도의 유연성을 만족하고, 내유성, 내마모성, 내열성, 난연성 등의 특성도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Insulation composition for high voltage cable and cable having an insulating layer formed from the same}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에서 요구되는 높은 절연저항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이와 상충관계에 있는 고도의 유연성을 만족하고, 내유성, 내마모성, 내열성, 난연성 등의 특성도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용 고전압 케이블은 150℃급 600V에 해당하며 도체의 단면적에 따라 다양한 규격의 제품이 존재한다.
종래 전기자동차용 고전압 케이블의 절연체는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비닐 아세테이트(VA) 함량이 높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융점(Tm)이 낮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등을 적용하였다.
이러한 절연체는 기존 국제 규격인 ISO 6722-1을 만족하지만 유럽의 유수 자동차 메이커 연합에서 기존 국제 규격인 ISO 6722-1을 기반으로 하여 새로 만든 국제 규격인 LV 216, 특히 금속차폐층을 갖지 않는 케이블에 대한 규격인 LV 216-1에서 요구하는 절연저항 특성, 내유성 등을 만족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ISO 6722-1 규격에서 요구하는 절연체의 체적저항은 109 Ω·㎜이나 LV 216 규격에서 요구하는 절연체의 체적저항은 1013 Ω·㎜이고, 그 외에도 다양한 특성의 평가방법 및 판정기준이 변경되었다.
따라서, 종래 유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비닐 아세테이트(VA) 함량이 높은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 또는 융점이 낮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등을 적용한 절연체는 LV 216 규격에서 요구하는 절연체의 체적저항을 만족할 수 없었고, 체적저항은 만족시키기 위해 융점(Tm)이 높은 자재로 대체하면 절연저항 특성은 개선될 수 있으나 유연성이 악화되어 전기자동차 배터리 케이블 제품으로서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자동차용 케이블은 다양한 오일에 대한 내유 특성을 만족하여야 하나, 절연체의 절연저항 특성과 유연성 확보를 위해 절연 조성물의 수지를 변경하는 경우 내유성, 난연성 등이 큰 영향을 받게 되고, 수지에 따른 가교 방식과 가교도에 따라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큰 영향을 받게 되어, 이들 모든 물성이 LV 216 규격을 만족시키는 것은 매우 어렵다.
따라서, LV 216 규격에서 요구하는 높은 절연저항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이와 상충관계에 있는 고도의 유연성을 만족하고, 내유성, 내마모성, 내열성, 난연성 등의 특성도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LV 216 규격에서 요구하는 높은 절연저항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이와 상충관계에 있는 고도의 유연성을 만족하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LV 216 규격에서 요구하는 우수한 내유성, 내마모성, 내열성, 난연성 등의 특성을 만족하는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로서, 베이스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및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grafted)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은 체적저항이 1013 Ω·㎜을 초과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은 12 내지 28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25 내지 50 중량부,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의 함량은 20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grafted)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18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은 16 내지 24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30 내지 45 중량부,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의 함량은 30 내지 40 중량부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grafted)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의 함량은 8 내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융점(Tm)이 140 내지 145℃이고 비중이 0.860 내지 0.880이며,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융점(Tm)이 90 내지 100℃이고 비중이 0.890 내지 0.9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는 비중이 0.870 내지 0.890이고 무니점도(ML1+4(125℃))가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상기 첨가제는 난연제, 가교조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80 내지 10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5 내지 9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가교조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의 조사가교용 다관능 유기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편,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고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은 특정 수지를 특정 배합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를 적용함으로써 LV 216 규격에서 요구하는 높은 절연저항 특성을 만족하는 동시에 이와 상충관계에 있는 고도의 유연성을 만족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은 특정 수지를 특정 배합비로 포함하는 베이스 수지를 적용하고 특정 난연제, 가교방식, 가교제 등의 적용을 통해 LV 216 규격에서 요구하는 우수한 내유성, 내마모성, 내열성, 난연성 등의 특성을 만족하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은 베이스 수지와 상기 수지 내에 분산된 난연제, 가교조제 등을 포함하고, 추가로 산화방지제, 활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 수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 수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 및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grafted)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의 블렌딩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수지는 자체적인 융점(Tm)이 높아 절연저항 특성, 내유성 등이 우수하고, 프로필렌 단독중합체 및/또는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프로필렌 단독중합체는 단량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99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99.5 중량% 이상의 프로필렌의 중합에 의해 형성되는 폴리프로필렌을 의미한다.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에틸렌 또는 탄소수 4 내지 12의 α-올레핀, 예를 들어, 1-부텐, 1-펜텐, 4-메틸-1-펜텐, 1-헥센, 1-옥텐, 1-데센, 1-도데센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공단량체 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필렌과 에틸렌을 공중합시키면 단단하면서 유연한 성질을 나타내기 때문이다.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 및/또는 블록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랜덤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 단량체와 다른 올레핀 단량체가 임의로 교호 배열되어 이루어진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수지는 융점(Tm)이 140~145℃이고, 비중이 0.860 내지 0.880일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수지의 융점이 140℃ 미만이거나 비중이 0.860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융점이 145℃ 초과이거나 비중이 0.880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수지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2 내지 28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24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폴리프로필렌(PP) 수지의 함량이 1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28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는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유성 등을 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융점(Tm)이 90 내지 100℃이고, 비중이 0.890 내지 0.910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의 융점이 90℃ 미만이거나 비중이 0.890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내유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융점이 100℃ 초과이거나 비중이 0.910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 내한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5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5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의 함량이 2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유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 내한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는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 내한성 등을 추가로 향상시킬 수 있으며, 비중이 0.870 내지 0.890이고, 무니점도(ML1+4(125℃))가 20 내지 40일 수 있다.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의 비중이 0.870 미만이거나 무니점도(ML1+4(125℃))가 20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비중이 0.890 초과이거나 무니점도(ML1+4(125℃))가 40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 굴곡성, 내한성 등이 불충분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EPDM)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 내한성 등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5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는 상기 베이스 수지와 무기계 난연제의 상용성을 증대시켜 절연 조성물의 난연성 및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8 중량부일 수 있고,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EVA) 수지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난연성, 유연성, 내한성 등이 저하될 수 있는 반면, 18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수지에 분산되는 난연제는 절연 조성물의 난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예를 들어, 수산화마그네슘, 수산화알루미늄 등의 금속수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 수지 내에서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비닐실란 등의 소수성 물질로 표면처리될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0 내지 1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5 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난연제의 함량이 8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난연성이 불충분할 수 있는 반면, 10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가교조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의 조사가교를 위해 첨가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관능 유기모노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부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이 2 중량부 미만인 경우 상기 베이스 수지의 가교도가 불충분해 절연 조성물의 절연저항 특성, 내나모성 등의 기계적 특성, 내열성 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는 반면, 5 중량부 초과인 경우 절연 조성물의 유연성, 내한성 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기타 첨가제로서 산화방지제는 절연 조성물의 장기 내열성 확보를 위해 추가로 첨가될 수 있고, 활제는 베이스 수지와 다른 첨가제의 상용성 향상을 위해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고전압 케이블의 하나의 실시예에 관한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케이블은 도체(10) 및 상기 도체(10)를 감싸고 앞서 기술한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체(10)는 상기 케이블의 유연성 확보를 위해 구리 소재의 세선이 연합되어 형성된 구리 연선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도체(10)이 공칭 단면적 및 상기 절연층(20)의 두께는 케이블 규격 및 용도에 따라 케이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실시예]
1. 제조예
아래 표 1에 나타난 조성으로 3L 니더(kneader) 설비를 이용하여 150℃에서 30분간 배합함으로써 절연 조성물을 제조한 후 45 mm 압출기를 이용하여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케이블 시편을 제조했다. 케이블 시편 제조시 도체는 연동선 6SQ를 적용했고, 절연 조성물로부터 절연층 형성시 압출 후 조사가교를 수행했다. 아래 표 1에 기재된 함량의 단위는 중량부이고, 공통으로 첨가되는 첨가제의 일부는 기재를 생략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수지1 17 19 23 17 30 19 19 17 23
수지2 42 34 33 58 26 26 34 42 33
수지3 31 35 35 15 35 35 35 31
수지4 10 12 9 10 9 20 12 10 9
수지5 35
첨가제1 90 90 90 90 90 90 120 90 90
첨가제2 3 3 3 3 3 3 3 3
조사량 5 3 5 5 5 5 5 5
- 수지1 : 폴리프로필렌(융점 : 141℃; 비중 : 0.870)
- 수지2 :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융점 : 97℃; 비중 : 0.902)
- 수지3 :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비중 : 0.880; 무니점도(ML1+4(125℃)) : 21~29)
- 수지4 :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 수지5 :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융점 : 62℃;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 33 중량%)
- 첨가제1 : 비닐 실란이 코팅된 수산화마그네슘(BET 비표면적 : 4.0~6.0 ㎡/g)
- 첨가제2 :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TMPTMA)
2. 물성 평가
1) 내유성 평가
LV 216 규격에 의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케이블 시편을 가솔린이 담긴 비이커에 침유시킨 상태로 상온에서 20 시간 동안 체류시킨 뒤 꺼내어 30분 후 케이블 외경을 측정한다. 침유 후 외경이 침유 전 외경과 비교하여 늘어난 외경이 15%를 초과하면 기준 미달이다.
2) 절연저항 평가
LV 216 규격에 의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케이블 시편에 대해 절연저항을 측정했다. 절연저항 측정방법은 ISO 6722-1을 따르되 70℃의 물 대신 70℃의 1 % 염수로 적용했고, 측정한 절연저항이 1013 Ω·㎜을 초과해야 한다.
3) 유연성 평가
UTM 설비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케이블 시편에 대해 2% 신율 시점의 인장강도를 측정했다. 기존 ISO 규격을 만족하는 처방의 2% 신율 시점의 인장강도 값과 비교하여 유연성 수준을 판단한다.
4) 내열성 평가
LV 216 규격에 의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케이블 시편에 대해 장기/단기 내열성을 평가했고, 장기 내열성은 시편을 150℃에서 3,000 시간 동안 체류시킨 후 1분간 수중에서 1kV의 전압을 인가하는 동안 절연파괴가 일어나지 않아야 하며, 단기 내열성은 175℃에서 240 시간 동안 체류시킨 후 -25℃ 챔버에서 저온굴곡시험을 통과하여야 하고, 매우 우수(◎), 우수(○), 불량(△), 매우 불량(×)으로 평가한다.
5) 내한성 평가
LV 216 규격에 의거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의 케이블 시편에 도체 사이즈에 따라 규격에 명시된 추를 매달고 -40℃ 오븐 내에서 4시간 체류시킨 후 명시된 규격의 봉에 감아서 크랙이 발생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크랙이 발생하지 않으면 이후 1분 간 수중에서 1 kV의 전압을 인가하는 동안 절연파괴가 일어나지 않아야 한다.
상기 물성 평가 결과는 아래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다.

spec.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3 4 5 6
내유성 <15% 8.6 7.5 8.3 6.8 8.8 9.2 - - 13.8
절연저항 >1013Ω·㎜ 8.41E+13 7.24E+13 9.72E+13 7.68E+13 1.17E+14 - - - 1.22E+12
유연성 0.283 0.280 0.291 0.452 0.473 0.434 - - 0.322
내열성 - ×
내한성 No Crack No Crack No Crack No Crack No Crack No Crack No Crack Crack - No Crack
상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케이블 시편은 절연층에 포함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함량이 과다하여 내유성이 개선되었으나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의 함량이 불충분하여 유연성이 악화되었고, 비교예 2의 케이블 시편은 절연층에 포함된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이 과다하여 케이블의 내유성이 개선되었으나 폴리프로필렌의 특성상 가교 후 특성이 불안정하여 내열성이 불량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유연성이 악화되었고, 비교예 3의 케이블 시편은 절연층에 포함된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의 함량이 불충분하여 유연성이 저하되었고, 비교예 4의 케이블 시편은 난연제 함량이 과다하여 난연성은 개선되었으나 내한성 평가시 절연층에 크랙이 발생하였고, 비교예 5의 케이블 시편은 가교조제를 첨가하지 않고 조사가교를 진행하지 않아 내열성 평가시 절연체가 녹아내리는 현상을 확인하였고, 비교예 6의 케이블 시편은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대신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첨가하여 유연성은 양호했으나 절연저항 특성이 기준 미달이고 내유성 또한 저하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3의 케이블 시편은 LV 216 규격에서 요구되는 높은 절연저항 특성 및 이와 상충관계에 있는 유연성이 모두 기준을 만족했고, 그 이외에 내유성, 내열성, 내한성 등의 물성도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
10 : 도체 20 : 절연층

Claims (10)

  1.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로서,
    베이스 수지 및 첨가제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수지,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및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grafted)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은 체적저항이 1013 Ω·㎜을 초과하는, 절연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은 12 내지 28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25 내지 50 중량부,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의 함량은 20 내지 50 중량부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grafted)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의 함량은 5 내지 18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의 함량은 16 내지 24 중량부이고,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의 함량은 30 내지 45 중량부,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의 함량은 30 내지 40 중량부 및 상기 말레산 무수물이 그라프트된(grafted) 에틸렌 비닐 아세테이트 수지의 함량은 8 내지 1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융점(Tm)이 140 내지 145℃이고 비중이 0.860 내지 0.880이며,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융점(Tm)이 90 내지 100℃이고 비중이 0.890 내지 0.9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는 비중이 0.870 내지 0.890이고 무니점도(ML1+4(125℃))가 20 내지 4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난연제, 가교조제, 산화방지제 및 활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는 수산화마그네슘 또는 수산화알루미늄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80 내지 10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난연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85 내지 9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는 상기 베이스 수지의 조사가교용 다관능 유기모노머를 포함하고, 상기 가교조제의 함량은 상기 베이스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 내지 5 중량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 조성물.
  10. 도체; 및
    상기 도체를 감싸고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20170022506A 2017-02-20 2017-02-20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2018009617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506A KR20180096171A (ko) 2017-02-20 2017-02-20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PCT/KR2018/000586 WO2018151420A1 (ko) 2017-02-20 2018-01-12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506A KR20180096171A (ko) 2017-02-20 2017-02-20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171A true KR20180096171A (ko) 2018-08-29

Family

ID=63169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506A KR20180096171A (ko) 2017-02-20 2017-02-20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80096171A (ko)
WO (1) WO20181514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771A (ko) * 2021-11-08 2023-05-17 (주)티에스씨 고내열성 및 고유연성을 가지며 블루밍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산업용 케이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1368B (zh) * 2022-07-29 2023-08-22 江苏亨通高压海缆有限公司 一种epdm绝缘橡胶的制备方法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8006B1 (ko) * 2012-02-16 2019-01-11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유연성, 내마모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용 수지 조성물
KR101385986B1 (ko) * 2012-07-09 2014-04-16 주식회사 경신전선 알루미늄 도체를 위한 피복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전선 및 케이블
KR102351547B1 (ko) * 2014-12-23 2022-01-14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내유성 및 내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선
JP6140140B2 (ja) * 2014-12-24 2017-05-3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耐熱性シラン架橋樹脂成形体、架橋性樹脂成形体、耐熱性シラン架橋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らの製造方法、シランマスターバッチ、並びに耐熱性製品
KR20170011987A (ko) * 2015-07-24 2017-02-02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비할로겐계 난연성 폴리올레핀 가교 절연 전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7771A (ko) * 2021-11-08 2023-05-17 (주)티에스씨 고내열성 및 고유연성을 가지며 블루밍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 산업용 케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51420A1 (ko) 2018-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2859B1 (ko) 내한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US9334374B2 (en) Polypropylene blends and processes for producing polymeric compositions
KR20100095201A (ko) 유연성과 가교 특성이 뛰어난 전선용 절연 재료 및 이를 갖춘 전선
EP1695997A1 (en) Power or communications cable with flame retardant polymer layer
WO2015159788A1 (ja) 絶縁性樹脂組成物及び絶縁電線
KR20140109558A (ko) 고내화 전력 케이블
JP3682947B2 (ja) 電気絶縁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線・ケーブル
KR20190000063A (ko) 내한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전선
EP3745427A1 (en) Power cable
US20150017441A1 (en) Elastomer composition, and insulated wire and insulated cable using the same
KR20180096171A (ko)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US20100300727A1 (en) Cable Comprising Bedding with Reduced Amount of Volatile Compounds
KR102461767B1 (ko) 고전압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20180096174A (ko) 고전압 케이블용 고분자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 및 시스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KR101560997B1 (ko) 비할로겐계 난연성 폴리올레핀 가교 절연 전선
CN104078140A (zh) 无磷系无卤素阻燃绝缘电线和无磷系无卤素阻燃绝缘电缆
CA2902218A1 (en) Fire and water resistant cable
KR102414219B1 (ko) 열수축 튜브용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수축 튜브
KR101841286B1 (ko) 비가교형 내유 내머드성 조성물
JP5692619B2 (ja) 無リン系ノンハロゲン難燃絶縁電線および無リン系ノンハロゲン難燃絶縁ケーブル
KR102472658B1 (ko) 내마모성 및 고온내수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
KR100930438B1 (ko) 유연성과 난연성 및 내마모성이 우수한 전선용 절연체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CA2686291A1 (en) A curable composition for medium and high voltage power cables
KR20170053581A (ko) 원형회복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갖는 케이블
KR20200122249A (ko) 유연성 및 내유성이 우수한 절연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절연층을 포함하는 케이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