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828A - 공기 조화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828A
KR20060086828A KR1020050126458A KR20050126458A KR20060086828A KR 20060086828 A KR20060086828 A KR 20060086828A KR 1020050126458 A KR1020050126458 A KR 1020050126458A KR 20050126458 A KR20050126458 A KR 20050126458A KR 20060086828 A KR20060086828 A KR 2006008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ntilation hose
hole
air
ventil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6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49285B1 (ko
Inventor
야스히로 모테기
켄이치 나카지마
코조 니노미야
마유미 사이토
마사유키 하시모토
Original Assignee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산요 에어컨디셔너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49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49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08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separate ducts for supplied and exhausted air with provisions for reversal of the input and output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6Separate outdoor units, e.g. outdoor unit to be linked to a separate room comprising a compressor and a heat exchanger
    • F24F1/46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 F24F1/48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 F24F1/52Component arrangements in separate outdoor units characterised by air airflow, e.g. inlet or outlet airflow with inlet and outlet arranged on the same side, e.g. for mounting in a wall op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54Duct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means, e.g. 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배기용 통풍 호스와 급기용 통풍 호스를 묶어서 동일한 구멍에 삽입해서 밖으로 내서 급배기를 행해도, 실내로부터 배기된 오염된 공기가 그대로 흡입되어 실내로 되돌아 가버리는 에어 쇼트 상태를 방지한다.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기(1)로부터의 냉매 배관(2)이, 건물의 구멍(4)을 통해 옥외로 도출되어, 실외기(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기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급기 기능을 구비하는 제 1송풍 장치(21)와, 실내기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배기 기능을 구비하는 제 2송풍 장치(22)와, 제 1송풍 장치에 접속되는 제 1통풍 호스(23)와, 제 2송풍 장치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 1통풍 호스와 묶여져 제 1통풍 호스와 함께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제 2통풍 호스(24)를 구비하고, 제 1통풍 호스의 선단 개구와 제 2통풍 호스의 선단 개구와의 거리가 70mm 이상이다.
공기 조화 장치

Description

공기 조화 장치{AIR CONDITIONER}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내기의 요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은 냉매 배관이나 통풍 호스 등을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꺼낸 조립 도중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꺼낸 냉매 배관이나 통풍 호스 등을 화장 테이프로 고정한 설치 완료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건물의 구멍을 커버하는 구멍 커버의 제 1커버체의 설명도이고, (a)가 그물부의 일부를 잘라내는 작업시의 사시도, (b)가 그물부의 일부를 절제(切除)한 후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구멍 커버의 기부가 건물의 구멍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구멍 커버의 기부에 제 1커버체를 장착하는 작업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구멍 커버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개략 단면도이다.
*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 실내기 2 냉매 배관
3 실외기 4 건물의 구멍
21 제 1송풍 장치 22 제 2 송풍 장치
23 제 1통풍 호스 24 제 2통풍 호스
31, 32 방충제 커버 41 구멍 커버
42 그물부(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칸막이)
본 발명은 룸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그 환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공기 조화 장치는 일반적으로는, 환기 기능을 갖고 있지 않고, 실내의 공기가 오염되었을 때 등에는, 적당히 사람이 창문을 여는 등으로 해서, 외기를 취입해 환기할 필요가 있었다.
그래서 종래부터, 예를 들면, 공기 조화 장치에 환기 장치를 설치한 것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것과 같이,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를 설치하고, 상기 급기 덕트에 급기용 송풍기를 또한, 배기 덕트에 배기용 송풍기를 설치한 공기 조화 장치가 있다.
[특허 문헌 1] 특개 2001-304645호 공보
  그런데, 상기 종래의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는, 사무소 빌딩 등에 설치되는 것으로, 급기 덕트와 배기 덕트와는 각각 다른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급기 덕트용 구멍과 배기 덕트용 구멍의 2개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공정수가 증대함과 동시에, 볼품이 나빠진다.
또한, 룸 에어컨 등의 공기 조화 장치에서는, 일체의 통풍 호스로 환기하는 것이 종래 제안되고 있다. 이 경우에는, 배기 또는 급기의 한쪽만을 행할 수 있고, 동시에 배기 및 급기의 양쪽을 행할 수 없다. 그래서, 2개의 통풍 호스를 구비해서, 배기 및 급기의 양쪽을 동시에 행할 수 있는 공기 조화 장치를 검토했다. 그러나, 상기 2개의 통풍 호스를 묶어서 건물의 동일한 구멍에 삽입해서 밖으로 내서, 배기용 통풍 호스의 선단과, 급기용 통풍 호스의 선단을 나열해서 설치하면, 배기용 통풍 호스에 의해 배기된 실내로부터의 오염된 공기가, 그대로 급기용 통풍 호스에 의해 흡입되어, 실내로 되돌아가는 에어 쇼트 상태를 일으켜버린다.
해결하려고 하는 문제점은, 배기용 통풍 호스와 급기용 통풍 호스를 묶어서 동일한 구멍에 삽입해서 밖으로 내서, 양통풍 호스의 선단을 나열해서 설치하면, 실내로부터 배기된 오염된 공기가, 그대로 흡입되어, 실내로 되돌아가는 에어 쇼트의 상태를 일으킨다고 하는 점이다.
본 발명의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기(1)로부터의 냉매 배관(2)이, 건물의 구멍(4)을 통해 옥외로 도출되어, 실외기(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기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외기를 흡입해서 실내에 급기하는 급기 기능을 구비하는 제 1송풍 장치(21)와, 실내기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를 흡입해서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기능을 구비하는 제 2송풍 장치(22)와, 제 1송풍 장치에 접속됨과 동시에,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고 있는 제 1통풍 호스(23)와, 제 2송풍 장치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 1통풍 호스와 묶여져, 제 1통풍 호스와 함께 건물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제 2통풍 호스(24)를 구비하고, 제 1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 제 2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의 거리가 70mm 이상이다.
또한, 제 1통풍 호스의 상기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는, 제 2통풍 호스의 상기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와, 70mm 이상의 차이가 있는 것이 있다.
그리고, 제 1통풍 호스 및 제 2통풍 호스의 선단에는 각각, 통풍 호스 본체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방충제 커버(31, 32)가 설치되고, 상기 방충제 커버끼리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있다.
나아가, 제 1통풍 호스의 상기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고 있는 길이의 쪽이, 제 2통풍 호스의 상기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고 있는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있다.
또한, 건물의 구멍을 덮음과 동시에 하면 개구를 구비하는 구멍 커버(41)가 설치되고, 상기 구멍 커버 내에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칸막이(42)가 설치되고, 제 1통풍 호스의 선단은 칸막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제 2통풍 호스의 선단은 구멍 커버의 하면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져 있는 것이 있다.
[실시예] 
배기용 통풍 호스와 급기용 통풍 호스를 묶어서 동일한 구멍에 삽입해서 밖으로 내서 급배기를 행해도, 실내로부터 배기된 오염된 공기가 그대로 흡입되어 실내로 되돌아가는 에어 쇼트의 상태를 방지한다고 하는 목적을, 제 1통풍 호스의 선단 개구와 제 2통풍 호스의 선단 개구와의 거리를 70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실현했다.
[실시예 1]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의 제 1실시예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4를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실내기 및 실외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내기의 요부의 일부 절결 사시도이다. 도 3은 냉매 배관이나 통풍 호스 등을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꺼낸 조립 도중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4는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꺼낸 냉매 배관이나 통풍 호스 등을 화장 테이프로 고정한 설치 완료의 상태의 사시도이다.
먼저 처음에, 공기 조화 장치의 전체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는, 실내기(1) 및, 상기 실내기(1)와 냉매 배관(2)으로 접속되는 실외기(3)를 구비하고 있다. 실내기(1)는 실내에 설치되고, 한편, 실외기(3)는 옥외에 설치되어 있고, 냉매 배관(2)은 냉매 세관(2a)(도 3참조)과 냉매 태관(太管)(2b)(도 3참조)의 2개로 구성됨과 동시에, 건물에 형성된 구멍(4)을 통해서, 실내기(1)와 실외기(3)를 접속하고 있다. 또한, 실외기(3)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와 동일하게 해서,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실외기용 열교환기, 냉매의 순환 유로를 전환하는 냉매 유로 전환 밸브 및 열교환기용 송풍기 등의 기기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실외기(3)의 운전 시에는, 냉동 사이클의 냉매가 실외기(3)로부터 냉난방을 위해 냉매 배관(2)을 개재해서 실내기(1)에 순환하고 있다.
실내기(1)는,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와 동일하게 해서, 실내기용 열교환기(6)(도 2참조) 및 실내기용 열교환기(6)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송풍하기 위한 순환용 송풍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실내기(1)의 전면에는, 가동인 전면 패널(8)이 설치되고, 상기 전면 패널(8)의 뒤측에, 공기 흡입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실내기(1)의 가동중은, 전면 패널(8)은 앞측으로 이동하고, 공기 흡입구로부터 실내의 공기를 실내기(1) 내로 취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실내기(1)의 정지시에는, 전면 패널(8)은 뒤측 즉 공기 흡입구측으로 이동해서 볼품을 양호하게 하고 있다. 실내기(1)의 하측에는, 공기 취출구(1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내기용 열교환기(6)의 상측에는, 자외선램프 장치(14)(도 2참조)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실내기(1)의 순환용 송풍기가 가동하면, 실내의 공기가, 공기 흡입구로부터 흡입되고, 필터로 여과된 후에, 실내기용 열교환기(6)로 열 교환되고, 공기 취출구(12)로부터 실내로 취출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순환용 송풍기로 실내의 공기를 순환시키면서, 상기 공기를 실내기용 열교환기(6)로 열 교환하고 있다.
도 2에 있어서, 실내기(1) 내의 단부에는, 종래의 공기 조화 장치와는 달리, 급배량용 송풍 장치인 제 1송풍 장치(21) 및 배기용 송풍 장치인 제 2송풍 장치(22)가 설치되어 있다. 각 송풍 장치(21, 22)에는, 가요성의 통풍 호스(23, 24)가 접속되고, 상기 통풍 호스(23, 24)가 냉매 배관(2), 드레인 호스(26)나 유닛 간 케이블(27)과 함께, 테이프 등의 결속 도구로 묶여지고, 건물에 형성된 구멍(4)을 통해서, 건물에 도출되어 있다. 제 1통풍 호스(23)의 선단에는, 역행 방지 밸브를 구비하지 않은 방충제 커버(31)가 설치되고, 또한, 제 2통풍 호스(24)의 선단에는, 역행 방지 밸브를 구비한 방충제 커버(32)가 설치되어 있다. 방충제 커버(32)의 역행 방지 밸브는, 공기의 흐름의 역류를 방지한다. 그리고, 방충제 커버(31, 32)의 외경은, 통풍 호스(23, 24)의 본체의 외경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통풍 호스(23, 24) 등이 삽입된 후의 구멍(4)의 틈은 퍼티(putty)로 메움과 동시에, 구멍(4)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통풍 호스(23, 24), 냉매 배관(2), 드레인 호스(26)나 유닛 간 케이블(27)은 화장 테이프(38)로 테이핑 되어 결속된다. 이때, 통풍 호스(23, 24)는 그 선단 개구가 하향으로 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선단의 방충제 커버(31, 32)는 노출된다.
이 실시예의 공기 조화 장치의 환기 운전 모드에는, 제 1송풍 장치(21) 가 급기 운전하는 단독 급기 모드, 제 2송풍 장치(22)가 배기 운전하는 단독 배기 모드, 제 1송풍 장치(21)가 급기 운전함과 동시에 제 2송풍 장치(22)가 배기 운전하는 급배기 모드 및 제 1송풍 장치(21) 및 제 2송풍 장치(22)의 양자가 배기 운전하는 더블 배기 모드의 4개의 모드가 있다.
그리고, 급배기 모드시에, 통풍 호스(23, 24)의 단부가 나열해서 배치되어 있으면, 전술한 것과 같이 에어 쇼트의 상태를 일으키기 때문에, 실시예에서는, 제 1통풍 호스(23)의 구멍(4)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가, 제 2통풍 호스(24)의 구멍(4)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보다도 △L(도 4참조)만큼 짧아진다. 즉, 제 1통풍 호스(23)의 단부 개구(방충제 커버(31)의 하면)와 제 2통풍 호스(24)의 단부 개구(방충제 커버(32)의 하면)와의 거리가, △L로 되어 있다.
상기 거리 △L은, 담배 분진에 의한 시험 등에 의해, 적어도 70mm 있으면, 제 2통풍 호스(24)로부터 배기된 공기가 제 1통풍 호스(23)에 거의 흡입되는 일이 없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거리 △L을 300mm 이상으로 하면, 한쪽의 통풍 호스를 다른 쪽의 통풍 호스보다도 약 300mm 이상 길게 할 필요가 생기기 때문에, 통풍 호스나 화장 테이프(38) 등의 재료비용이 상승한다. 따라서, 거리 △L은 70~300mm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약 100mm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본 발명에 있어서 공기 조화 장치의 제 2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 다. 도 5는 건물의 구멍을 커버하는 구멍 커버의 제 1커버체의 설명도이고, (a)가 그물부의 일부를 잘라내는 작업시의 사시도, (b)가 그물부의 일부를 절제(切除)한 후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6은 구멍 커버의 기부가 건물의 구멍에 장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구멍 커버의 기부에 제 1커버체를 장착하는 작업시의 사시도이다. 도 8은 구멍 커버가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개략 단면도이다. 즉, 상기 제 2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제 1실시예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2실시예에서는, 건물의 구멍(4)을 덮는 구멍 커버(41)를 설치한 점에서, 상술한 제 1실시예와 다르다. 구멍 커버(41)는 기부(41a), 상기 기부(41a)의 전면을 덮는 제 1커버체(41b) 및 상기 제 1커버체(41b)의 전면 상부를 덮는 제 2커버체(41c)를 구비하고 있다. 구멍 커버(41)의 기부(41a)는, 상단부가 구멍(4)에 위치하고 있음과 동시에, 구멍(4)으로부터 밖으로 취출된 냉매 배관(2)의 상부의 배면측을 덮고 있다.
구멍 커버(41)의 제 1커버체(41b)는, 상부에 그물부(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그물부(42)의 일부는,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절단되고, 그 절단부에 도 7에 도시한 것과 같이, 제 2통풍 호스(24)가 삽입된다. 그물부(42)는, 구멍 커버(41)의 내부공간을 칸막이하고 있고,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칸막이로서 기능하고 있다. 제 1커버체(41b)는 기부(41a)의 전면을 덮는 상태에서 장착되고, 기부(41a)와 제 1커버체(41b)와의 사이의 공간에, 제 1통풍 호스(23)의 단부 및 냉매 배관(2)이 배치된다. 상기 기부(41a)와 제 1커버체(41b)와의 사이의 공간은, 하면이 개 구해 있고, 이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냉매 배관(2)이 연장한다. 또한, 제 1통풍 호스(23)의 단부의 방충제 커버(31)의 개구면은, 그물부(42)에 대향해서 배치된다.
제 2커버체(41c)는 제 1커버체(41b)의 상부의 전면을 덮는 상태에서 장착되고, 제 1커버체(41b)와 제 2커버체(41c)와의 사이의 공간에 제 2통풍 호스(24)가 배치된다. 상기 제 1커버체(41b)와 제 2커버체(41c)와의 사이의 공간은, 하면이 개구해 있고, 상기 개구로부터 하방에 제 2통풍 호스(24)가 늘어진다.
이와 같이, 제 2실시예에서는, 급기측의 제 1통풍 호스(23)의 단부가 구멍 커버체(41) 내, 특히 그물부(42)보다도 내측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벌레, 쓰레기나 빗물 등이 제 1통풍 호스(23)내에 침입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술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요지의 범위 내에서, 각종 변경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변경예를 아래에 예시한다.
(1) 송풍 장치(21, 22)는 제 1송풍 장치(21) 가 적어도 급기 기능을 구비하고, 또한, 제 2송풍 장치(22)가 적어도 배기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면, 그 형식이나 구조 등은 적의 선택가능하다. 예를 들면, 제 1송풍 장치(21)를 급기 전용 송풍 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제 2송풍 장치(22)를 급배기 가능한 송풍 장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2) 냉매 배관(2)과 통풍 호스(23, 24)는 건물의 동일한 구멍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한, 각각 다른 구멍에 삽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통풍 호스(23, 24)는 동일한 구멍에 삽입된다.
(3) 실시예에서는, 구멍(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통풍 호스의 길이는, 제 1통풍 호스(23)의 쪽이 제 2통풍 호스(24)보다도 짧지만, 제 2통풍 호스(24)의 쪽을 제 1통풍 호스(23)보다도 짧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배기측의 통풍 호스의 쪽이, 급기측의 통풍 호스보다도 공기의 흐름에 지향성이 있으므로, 배기측의 통풍 호스를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제 1통풍 호스(23)의 단부 개구와, 제 2통풍 호스(24)의 단부 개구와의 거리 △L은 에어 쇼트를 생성시키지 않은 값으로 설정되지만, 70mm 이상이면, 에어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통풍 호스(23)와 제 2통풍 호스(24)와는 결속해서 묶여져 있기 때문에, 구멍(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통풍 호스의 길이는, 제 1통풍 호스(23)의 길이와 제 2통풍 호스(24)의 길이와의 차이가, 단부 개구사이의 거리 △L과 대략 동일한 값으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제 1통풍 호스(23) 및 제 2통풍 호스(24)는 묶여져 있지만, 결속 개소는 부분적으로도 또는 전체적으로도 가능하다.
제 1통풍 호스와 제 2통풍 호스를 묶어서, 건물의 구멍에 삽입하고 선단부를 밖으로 연장시킴과 동시에, 제 1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 제 2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의 거리를 70m 이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에어 쇼트의 상태를 방지하면서, 급배기를 행할 수 있다. 그 때문에, 공기 조화와 함께 환기(특히 급배기)를 행하는 공기 조화 장치에 적용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통풍 호스와 제 2통풍 호스와는 묶여지고,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밖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제 1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 제 2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의 거리가 70mm 이상 있으므로, 통풍 호스용 구멍은 1개 형성하면 좋고, 볼품이 양호해짐과 동시에 에어 쇼트를 극력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통풍 호스의 길이는, 제 1통풍 호스와 제 2통풍 호스의 길이로서, 70mm 이상의 차이가 있으므로, 제 1통풍 호스와 제 2통풍 호스가 묶여있음에도 불구하고, 제 1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 제 2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의 거리를, 용이하게 70mm 이상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통풍 호스 및 제 2통풍 호스의 선단에는 각각, 통풍 호스 본체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방충제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방충제 커버끼리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방충제 커버를 배치하고 있는 부분의 폭이 작아지게 되고, 볼품이 양호해진다.
나아가, 급기측의 제 1통풍 호스의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 쪽이, 배기측의 제 2통풍 호스의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보다도 짧은 것이 있다. 그런데, 제 1통풍 호스와 제 2통풍 호스와는 묶여있기 때문에, 단부의 개구가 동일한 방향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배기측의 통풍 호스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은 급기측의 통풍 호스로의 공기의 흐름보다도 지향성이 있다. 따라서, 배기측의 통풍 호스를 짧게 하면, 상기 통풍 호스로부터 배기된 공기가 급기측의 통풍 호스의 개구를 향해 흐를 가능성이 높아진다. 한편, 배기측의 통풍 호스를 길게 하면, 상기 통풍호스로부터 배기된 공기는 빠르게 방출되게 된 다. 그 결과, 배기측의 제 2통풍 호스를 급기측의 제 1통풍 호스보다도 길게 함으로서, 보다 효율적으로 에어 쇼트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건물의 구멍을 덮음과 동시에 하면 개구를 구비하는 구멍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구멍 커버 내에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칸막이가 설치되고, 제 1통풍 호스의 선단은 칸막이보다도 내측으로 배치되고, 제 2통풍 호스의 선단은 구멍 커버의 하면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져 있으므로, 벌레, 쓰레기나 빗물 등이 급기측의 제 1통풍 호스 내로 침입하는 것을 극력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실내기로부터의 냉매 배관이, 건물의 구멍을 통해 옥외로 도출되어, 실외기에 접속되어 있는 공기 조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실내기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외기를 흡입해서 실내에 급기하는 급기 기능을 구비하는 제 1송풍 장치와,
    상기 실내기 내에 배치됨과 동시에, 실내의 공기를 흡입해서 실외로 배기하는 배기 기능을 구비하는 제 2송풍 장치와,
    상기 제 1송풍 장치에 접속됨과 동시에, 상기 건물의 구멍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하고 있는 제 1통풍 호스와,
    상기 제 2송풍 장치에 접속됨과 동시에, 제 1통풍 호스와 묶여져, 제 1통풍 호스와 함께 건물의 상기 구멍에 삽입되어 선단부가 상기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제 2통풍 호스를 구비하고,
    제 1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 제 2통풍 호스의 단부 개구와의 거리가 70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통풍 호스의 상기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는, 제 2통풍 호스의 상기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와, 70mm 이상 차 이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3. 제 1 항 내지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통풍 호스 및 제 2통풍 호스의 선단에는 각각, 통풍 호스 본체의 외경보다도 큰 외경을 갖는 방충제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방충제 커버끼리는, 서로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4. 제 1,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제 1통풍 호스의 상기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의 쪽이, 제 2통풍 호스의 상기 건물의 구멍으로부터 밖으로 연장해 있는 길이보다도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5. 제 4 항 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구멍을 덮음과 동시에 하면 개구를 구비하는 구멍 커버가 설치되고,
    상기 구멍 커버 내에는 다수의 구멍을 구비하는 칸막이가 설치되고,
    제 1통풍 호스의 선단은 상기 칸막이보다도 내측에 배치되고,
    제 2통풍 호스의 선단은 상기 구멍 커버의 하면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늘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 장치
KR1020050126458A 2005-01-26 2005-12-20 공기 조화 장치 KR100749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7660 2005-01-26
JP2005017660A JP4683936B2 (ja) 2005-01-26 2005-01-26 空気調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828A true KR20060086828A (ko) 2006-08-01
KR100749285B1 KR100749285B1 (ko) 2007-08-14

Family

ID=36844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6458A KR100749285B1 (ko) 2005-01-26 2005-12-20 공기 조화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83936B2 (ko)
KR (1) KR100749285B1 (ko)
CN (1) CN100417867C (ko)
TW (1) TW20063057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44051A1 (de) * 1994-12-10 1996-06-13 Rhone Poulenc Rorer Gmbh Pharmazeutische, oral anwendbare Zubereitung
DE4444052A1 (de) * 1994-12-10 1996-06-13 Rhone Poulenc Rorer Gmbh Pharmazeutische, oral anwendbare Zubereitung
JP5624922B2 (ja) * 2010-04-28 2014-11-1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感活性光線性又は感放射線性樹脂組成物、及びそれを用いたパターン形成方法
CN103604188B (zh) * 2013-12-03 2016-02-24 上海理工大学 家用室内外空气循环系统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82623U (ko) * 1990-11-22 1992-07-17
JP2629665B2 (ja) * 1991-09-17 1997-07-09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気調和機の換気装置
JP2943141B1 (ja) * 1998-03-10 1999-08-30 和行 小林 換気装置
JPH11325535A (ja) * 1998-05-15 1999-11-26 Topre Corp 室内換気ユニットの防虫構造
JP3221408B2 (ja) * 1998-09-14 2001-10-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給排気システム
JP2000356384A (ja) * 1999-06-15 2000-12-26 Daiwa House Ind Co Ltd 屋内常時換気システム
JP2002005472A (ja) * 2000-06-16 2002-01-09 Mitsubishi Heavy Ind Ltd 換気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2002089923A (ja) * 2000-09-13 2002-03-27 Toshiba Kyaria Kk 換気ユニット
JP3676246B2 (ja) * 2001-02-23 2005-07-27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室内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JP2003222366A (ja) * 2003-01-10 2003-08-08 Mitsubishi Heavy Ind Ltd 室内ユニット及び空気調和機
KR100951916B1 (ko) 2003-07-03 2010-04-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KR101114321B1 (ko) 2003-10-17 2012-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환기장치
JP2005265399A (ja) 2004-02-20 2005-09-29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1292A (zh) 2006-08-02
TW200630572A (en) 2006-09-01
KR100749285B1 (ko) 2007-08-14
CN100417867C (zh) 2008-09-10
JP4683936B2 (ja) 2011-05-18
JP2006207871A (ja) 200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71912B2 (en) Unit type clean room
KR100629342B1 (ko) 공기조화기
KR100749285B1 (ko) 공기 조화 장치
KR20050122522A (ko) 공기청정 겸용 환기시스템
KR101558141B1 (ko) 작업성이 개선된 일체형 환기구 챔버.
KR100964362B1 (ko) 공기조화기
JP2002089923A (ja) 換気ユニット
ITTO20000564A1 (it) Dispositivo umidificatore e condizionatore d'aria comprendente tale dispositivo.
JP4481933B2 (ja) 空気調節装置並びにその排気管の開閉弁取付方法
GB2309918A (en) Microbiological safety cabinet
JP4256056B2 (ja) ドラフトチャンバー
JP2004347304A (ja) 天井内設置形ヒートポンプ式空調機
JP3469722B2 (ja) 空気調和機
KR100729010B1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JP4419522B2 (ja) エアコン設備の室外機カバー
KR10052991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환기 유닛
WO2022219812A1 (ja) 換気扇
US11739953B2 (en) Air conditioning appliance and make-up air assembly
JPH10274424A (ja) 空気調和機の換気装置
JP2000329370A (ja) 壁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5180776A (ja) 空気調和機
KR100569337B1 (ko) 일체형 공기조화기
JPH07120023A (ja) 空気清浄システム
KR200142483Y1 (ko) 창문형공기조화기
KR200422692Y1 (ko) 환기겸용 공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7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