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6050A -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6050A
KR20060086050A KR1020050006862A KR20050006862A KR20060086050A KR 20060086050 A KR20060086050 A KR 20060086050A KR 1020050006862 A KR1020050006862 A KR 1020050006862A KR 20050006862 A KR20050006862 A KR 20050006862A KR 20060086050 A KR20060086050 A KR 20060086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type impurity
metal light
light shie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068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식
Original Assignee
(주)아이디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디에스 filed Critical (주)아이디에스
Priority to KR10200500068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86050A/ko
Priority to PCT/KR2005/000252 priority patent/WO2006080594A1/en
Priority to TW094130933A priority patent/TW200627633A/zh
Publication of KR20060086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60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7/00Apparatus or implements used in manual washing or cleaning of crockery, table-ware, cooking-ware or the like
    • A47L17/04Pan or pot cleaning utensils
    • A47L17/08Pads; Balls of steel wool, wire, or plastic mes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812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 lines or gate-electrodes
    • H01L27/14818Optical shi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condensation resins of aldehydes, e.g. with phenols, ureas or melami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83Processes or apparatus peculiar to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these devices or parts thereof
    • H01L27/14689MOS based technolog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CD 고체촬상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 수율을 증대시키고 난반사에 의한 부정확한 광 수집을 극복하고 인접한 셀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CCD 고체촬상소자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불순물층과 BCCD층을 구비한 CCD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상기 N형 불순물층과 BCCD층 상부에 제1 보호막이 형성되고, 상기 BCCD층 상부의 제1 보호막 상에 폴리 실리콘전극이 마련되고,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 상에 제2 보호막과 금속 차광막이 순차적으로 씌어지며, 상기 금속 차광막과 상기 N형 불순물층 상부의 제1 보호막 상에 평탄화된 BPSG막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칼라필터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CD, 고체촬상소자

Description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Charge-Coupled Devic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허니컴 구조의 CCD 고체촬상소자의 평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CCD 고체촬상소자에서 하나의 픽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CCD 고체촬상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적용되는 CCD 고체촬상소자의 제조 공정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CCD 고체촬상소자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 수율을 증대시키고 난반사에 의한 부정확한 광 수집을 극복하고 인접한 셀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허니컴 구조를 가지는 CCD 고체촬상소자 평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CCD 고체촬상소자는 반도체 기판(1)의 표면에 설정되는 감광부(10)와 상기 감광부(10) 외측에 형성되는 인터페이스부(60)와 상기 인터페이스부(60)의 외측에 형성되는 출력전송로(70)와 상기 출력전송로(70) 일단에 연접되는 출력부(8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감광부(10)는 8개의 광전변환소자 열(20)과 8개의 광전변환소자 행(21)과 4개의 수직전송 CCD(30)와 32개의 독출게이트 영역(40)으로 이루어져 상기 반도체 기판(1)상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광전변환소자 열(20)은 P형 웰 내의 N형 영역에 구성된 4개의 광전변환소자(22)로 이루어지고, 각각의 광전변환소자 행(21)도 4개의 광전변환소자(22)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각의 수직전송 CCD(30)는 상기 반도체 기판(1)의 표면에 형성되는 P형 웰 내의 N형 영역에 구성된 하나의 전하전송 채널(미도시)과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전하전송 채널을 가로지르고 상기 반도체 기판(1) 상의 전기절연막 위에 형성되는 5개의 제1 전송전극(32)과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전하전송 채널을 가로지르고 상기 반도체 기판(1) 상의 전기절연막 위에 형성되는 4개의 제2 전송전극(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전송전극(32)들은 제1 폴리실리콘층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전송전극(33)은 제2 폴리실리콘층에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송전극과 제2 전송전극들은 전하전송 채널을 따라 교대로 형성된다.
상기 각각의 독출게이트 영역(40)은 도 1에서 빗금친 부분에 해당하고, 이들은 지그재그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조정부(60)는 상기 수직전송 CCD(30)를 구성하고 있는 상기 전하전송 채널의 일단에 연결된 12개의 전하전송 스테이지를 가진다. 상기 각각의 전하전송 스테이지는 상기 전하전송 채널에 이어지는 조정부용 전하전송 채널(미도시)과 평면상에서 볼 때 상기 조정부용 전하전송 채널을 가로지르고 상기 반도체 기판(1) 상에 형성되는 3개의 전송전극(61, 62, 63) 중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는 상기와 같은 CCD 고체촬상소자에서 하나의 픽셀을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반적인 CCD 고체촬상소자(200)의 포토다이오드(PD) 영역은 N형 반도체 기판(110) 상에 불순물 주입법 등을 사용해서 두께 약 3㎛의 제1 P웰(111)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P웰(111) 상측에 N형 불순물층(PDN)(113)이 형성되고, 상기 N형 불순물층(113) 표면에 P형 불순물층(114)이 형성된다.
상기 P형 불순물층(114)은 포토다이오드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자들이 포토다이오드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한 P+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P형 불순물층(114) 하측에 형성된 N형 불순물층(113)은 전자를 축적하기 위해 N형으로 이온주입된다.
한편, 블루밍(Blooming)과 셔터(Shutter Control)를 조절하는 제1 P웰(111)이 상기 N형 불순물층(113) 아래에 형성되는데, 상기 제1 P웰(111)이 깊을수록 빛을 축적하는 영역이 커지기 때문에 감도가 높아진다.
상기 제1 P웰(111)에 포텐셜 장벽을 만들어 전자를 포토다이오드 영역에 모으면서 과잉 전자에 대해서는 N형 반도체 기판(110)으로 뺄 수 있도록 도즈(Dose)로 조절한다.
상기 제1 P웰(111)이 깊을수록 포토다이오드 영역은 깊이 방향으로 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많은 전자를 모으는 효과가 있어 감도가 커지게 된다. 그러나, 너 무 깊게 되면 RED 빛 뿐만 아니라 적외선에 의해 전자가 발생되므로 오히려 색 재현에 나쁜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최적의 에너지와 도즈(Dose)로 상기 제1 P웰(111)에 이온주입을 해야한다.
상기 N형 반도체 기판(110) 위의 제1 P웰(111) 상에는 상기 N형 불순물층(113)에 소정간격 이격된 별도의 제2 P웰(115)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P웰층(115)의 표면부위에는 BCCD(Buried CCD)(11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BCCD(118)는 폴리실리콘전극(141, 143)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전자를 축적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N형 불순물층(113)과 상기 제2 P웰층(115) 사이에는, 이들의 상호 연결을 위한 트랜스퍼 게이트(Transfer Gate : TG)(119)와 인접한 셀로 전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채널스톱영역(CST)(117)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형성시킨 후에는 상기 N형 불순물층(113)과 상기 제2 P웰층(115)을 포함한 상부면에 제1 보호막(121)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2 P웰층(115) 상부측에 폴리 실리콘전극(141, 143)을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사용하여 형성한다.
상기 폴리 실리콘 전극(141, 143)을 형성한 후에는, 그 상부에 제2 보호막(123)을 씌운다. 그런 다음, 상기 제2 보호막(123) 상면에 금속 차광막(124)을 형성시킨다. 상기 금속 차광막(124)은 상기 N형 불순물층(113)이 개방될 수 있도록 에칭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N형 불순물층(113)을 개방시킨 금속 차광막(124)을 형성한 후에는, 그 상부에 BPSG(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125)를 퇴적시킨다. 그리고 상기 BPSG(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125) 상부면에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126)을 형성시키고 평탄화를 수행한 다음 그 상부에 칼라필터(130)를 형성시킨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CCD 고체촬상소자에 의하면, BPSG를 퇴적하고, 그 위에 패시베이션막 또는 평탄화막을 적층하기 때문에 필요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요 이상의 공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CCD 고체촬상소자를 제조함에 있어 많은 시간, 노력, 비용이 소요되고, 복잡한 공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수율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BPSG와 패시베이션막 및 평탄화막은 서로 다른 물질로 구성되어 굴절율이 서로 다르다. 따라서, 난반사가 증가되어 빛을 정상적으로 수집할 수 없고 인접한 픽셀에 영향을 미쳐 화질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CCD 고체촬상소자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켜 생산 수율을 증대시키고 난반사에 의한 부정확한 광 수집을 극복하고 인접한 픽셀로 빛이 입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본 발명인 CCD 고체촬상소자를 이루는 구성수단은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불순물층과 BCCD층을 구비한 CCD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상기 N형 불순물층과 BCCD층 상부에 제1 보호막이 형성되고, 상기 BCCD층 상부의 제1 보호막 상에 폴리 실리콘전극이 마련되고,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 상에 제2 보호막과 금속 차광막이 순차적으로 씌어지며, 상기 금속 차광막과 상기 N형 불순물층 상부의 제1 보호막 상에 평탄화된 BPSG막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칼라필터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보호막 또는 제2 보호막은 SiO2, SiON, SiN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 차광막은 텅스텐(W), 몰리브덴(Mo), 티탄(Ti), 텅스텐실리사이드(WSi), 몰리브덴실리사이드(MoSi), 티탄실리사이드(TiSi) 중 하나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두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PSG막의 두께는 상기 제1 보호막에서 상기 금속 차광막까지의 적층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BPSG막의 두께는 1200Å ~ 2000Å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또 다른 본 발명인 CCD 고체촬상소자 제조방법을 이루는 구성수단은,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불순물층과 BCCD층을 구비한 CCD 고체촬상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N형 불순물층과 BCCD층 상에 제 1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BCCD층 상부의 제1 보호막 상에 두개의 폴리 실리콘전극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2 보호막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보호막 상에 상기 N형 불순물층이 개방되도록 금속 차광막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금속 차광막과 상기 제1 보호막 상에 BPSG막을 형성하고 상부면을 평탄화시켜 칼라필터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금속 차광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텅스텐 또는 텅스텐실리사이드를 스퍼터 또는 CVD법을 사용하여 소정 두께만큼 증착시키는 과정과, 에칭에 의하여 상기 N형 불순물층만을 개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BPSG막은 상기 금속 차광막과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을 더한 두께보다 더 크게 퇴적시키고, CMP(Chemical Mechical Polishig)법에 의하여 상기 BPSG막을 평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는 BPSG막의 오목형상이 없어지는 지점까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는 본 발명인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작용 및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CCD 고체촬상소자에서 하나의 픽셀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CCD 고체촬상소자(300)는 N형 반도체 기판(210) 상에 불순물 주입법 등을 사용해서 두께 약 3㎛의 제1 P웰(211)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P웰(211) 상측에 N형 불순물층(PDN)(213)이 형성되고, 상기 N형 불순물층(213) 표면에 P형 불순물층(214)이 형성된다.
상기 P형 불순물층(214)은 포토다이오드의 표면에서 발생하는 전자들이 포토다이오드 영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한 P+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P형 불순물층(214) 하측에 형성된 N형 불순물층(213)은 전자를 축적하기 위해 N형으로 이온주입된다.
상기 N형 반도체 기판(210) 위의 제1 P웰(211) 상에는 상기 N형 불순물층(213)에 소정간격 이격된 별도의 제2 P웰(215)층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P웰층(215)의 표면부위에는 BCCD(Buried CCD)층(218)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BCCD층(218)은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에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전자를 축적하여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N형 불순물층(213)과 상기 제2 P웰층(215) 사이에는, 이들의 상호 연결을 위한 트랜스퍼 게이트(Transfer Gate : TG)(219)와 인접한 셀로 전자가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채널스톱영역(CST)(217)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구조를 형성시킨 후에는 상기 N형 불순물층(213)과 상기 제2 P웰층 (215) 표면에 마련되는 BCCD(218)층을 포함한 상부면에 제1 보호막(22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보호막(221)은 SiO2, SiON, SiN 중 하나로 형성되거나, 상기 SiO2, SiON, SiN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적층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BCCD(218)층 상부의 제1 보호막(221) 상에는 두개의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이 일부 오버랩된 상태로 마련된다.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은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과 에칭에 의하여 형성한다.
상기 폴리 실리콘 전극(241, 243)상부에는 얇은 제2 보호막(223)을 씌워진다. 상기 제2 보호막(223)은 SiO2, SiON, SiN 중 하나로 형성되거나, 상기 SiO2, SiON, SiN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적층시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보호막(223) 상에는 금속 차광막(224)이 형성되는데, 상기 N형 불순물층(213)이 개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금속 차광막(224)은 텅스텐(W), 몰리브덴(Mo), 티탄(Ti) 중 하나로 형성하거나, 상기 텅스텐(W), 몰리브덴(Mo), 티탄(Ti) 중에 적어도 두개를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텅스텐실리사이드(WSi), 몰리브덴실리사이드(MoSi), 티탄실리사이드(TiSi) 중 하나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두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N형 불순물층(213)을 개방시킨 금속 차광막(224) 상에는 BPSG막(225)(Boron Phosphorus Silicate Glass)이 형성된다. 상기 BPSG막(225)은 상기 금속 차광막(224)뿐만 아니라 상기 N형 불순물층(213) 상면에 걸쳐 퇴적된다. 상기 BPSG막(225)은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이 형성되는 쪽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N형 불순물층(213)이 형성되는 쪽은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한편, 상기 BPSG막(225)의 상면은 평탄화 기술에 의하여 평평한 상태로 되고, 상기 평탄화된 상부면에 칼라필터 패턴(230)이 형성된다.
상기 BPSG막(225)의 두께는 반드시 상기 제1 보호막(221)에서부터 상기 금속 차광막(224)까지의 두께보다 더 두껍게 적층되어야 한다. 상기 BPSG막(225)은 적층된 후에 평탄화 기술에 의하여 상부면이 평평하게 제거되므로, 상기 BPSG막(225)의 두께가 상기 제1 보호막(221)에서부터 상기 금속 차광막(224)까지의 두께보다 더 작은 경우에는, 평탄화 과정에서 상기 금속 차광막(224)이 제거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상기 BPSG막(225)은 일정 두께 이상으로 적층되어야 한다.
상기 BPSG막(225)의 두께는 대략 1200Å에서 2000Å 사이의 범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의 두께는 800Å에서 1000Å사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제2 보호막(223)의 두께는 400Å에서 800Å 사이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CCD 고체촬상소자의 제조공정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특징적인 공정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다.
먼저, 반도체 기판(210) 상에 N형 불순물층(213)과 BCCD층(218)을 포함한 불순물 층과 웰 층을 형성시킨다. 이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동일한 과정을 따르기 때문에 생략한다.
다음, 상기 N형 불순물층(213)과 상기 BCCD층(218) 상에 SiO2, SiON, SiN 중 하나 또는 상기 SiO2, SiON, SiN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적층시켜 제1 보호막(221)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상기 BCCD층(218) 상부의 제1 보호막(221) 상에 두개의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을 증착과 에칭에 의하여 형성하고, 그 상부에 SiO2, SiON, SiN 중 하나 또는 상기 SiO2, SiON, SiN 중 적어도 두개 이상을 적층시켜 제 2 보호막(223)을 형성시킨다.
다음, 상기 제2 보호막(223) 상에 금속 차광막(224)을 형성시킨다. 상기 금속 차광막(224)은 상기 N형 불순물층(213)층 부분이 개방될 수 있도록 에칭에 의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금속 차광막(224)은 텅스텐(W), 몰리브덴(Mo), 티탄(Ti), 텅스텐실리사이드(WSi), 몰리브덴실리사이드(MoSi), 티탄실리사이드(TiSi) 중 하나 또는 적어도 두개 이상을 스퍼터(sputter) 또는 CVD(Chemical Vapor Deposition)법을 사용하여 소정 두께만큼 상기 제2 보호막(223)과 제1 보호막(221) 상부에 걸쳐 증착시키고, 상기 N형 불순물층(213)의 상부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상기 N형 불순물층(213) 상의 제1 보호막(221) 상부면에 적층된 텅스텐(W) 등만을 에칭에 의하여 제거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공정에 의하여 상기 금속 차광막(224)이 형성된 후에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 차광막(224)과 상기 제1 보호막(221) 상에 소정 두께의 BPSG막(225)을 형성시킨다.
상기 BPSG막(225)을 적층시키게 되면, 상기 금속 차광막(224)이 형성된 쪽은 볼록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개방된 N형 불순물층(213) 쪽은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상기 BPSG막(225)은 반드시 소정 두께 이상으로 적층되어야 한다. 즉, 상기 BPSG막(225)은 상기 금속 차광막(224)과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을 더한 두께(도 4에서 b로 표기됨)보다 더 크게 증착됨으로써 소정 두께(도 4에서 a로 표기됨) 이상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상기와 같이 소정 두께(도 4에서 a로 표기됨)로 BPSG막(225)이 형성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PSG막(225) 상부면을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법에 의하여 상기 BPSG막(225)을 평탄화시킨다. 그리고,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평탄화된 BPSG막(225) 상부면에 칼라필터 패턴(230)을 형성시킨다.
상기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법에 의한 상기 BPSG막(225) 상부면의 평탄화는 상기 BPSG막(225)의 오목형상이 없어질 때까지 진행한다. 왜냐하면, 상기 BPSG막(225)의 오목형상이 없어질 때, 상기 BPSG막(225) 상부면이 평탄화되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BPSG막(225)의 적층 두께(도 4에서 a로 표기됨)는 상기 금속 차광막(224)과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을 더한 두께(도 4에서 b로 표기됨)보다 더 크기 때문에, 상기 BPSG막(225)의 오목형상이 없어질까지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에 의하여 평탄화를 하더라도 상기 금속 차광막(224) 또는 폴리 실리콘전극(241, 243)이 손상될 염려가 없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그리고 바람직한 실시예를 가지는 본 발명인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제조 공정을 단순화시켜 필요 이상의 공정이 수행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여 생산 수율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굴절율이 서로 다른 물질이 적층되는 것을 피함으로써, 난반사가 증가 되는 방지하여 빛을 정상적으로 수집할 수 있고, 인접한 픽셀에 빛이 들어가는 것을 막아 화질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불순물층과 BCCD층을 구비한 CCD 고체촬상소자에 있어서,
    상기 N형 불순물층과 BCCD층 상부에 제1 보호막이 형성되고, 상기 BCCD층 상부의 제1 보호막 상에 폴리 실리콘전극이 마련되고,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 상에 제2 보호막과 금속 차광막이 순차적으로 씌어지며, 상기 금속 차광막과 상기 N형 불순물층 상부의 제1 보호막 상에 평탄화된 BPSG막이 형성되고, 그 상부에 칼라필터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보호막 또는 제2 보호막은 SiO2, SiON, SiN 중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속 차광막은 텅스텐(W), 몰리브덴(Mo), 티탄(Ti), 텅스텐실리사이드(WSi), 몰리브덴실리사이드(MoSi), 티탄실리사이드(TiSi) 중 하나로 형성되거나, 적어도 두개 이상 적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PSG막의 두께는 상기 제1 보호막에서 상기 금속 차광막까지의 적층 두께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BPSG막의 두께는 1200Å ~ 2000Å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6.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형성된 N형 불순물층과 BCCD층을 구비한 CCD 고체촬상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N형 불순물층과 BCCD층 상에 제1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BCCD층 상부의 제1 보호막 상에 두개의 폴리 실리콘전극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제2 보호막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제2 보호막 상에 상기 N형 불순물층이 개방되도록 금속 차광막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금속 차광막과 상기 제1 보호막 상에 BPSG막을 형성하고 상부면을 평탄화시켜 칼라필터 패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제조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금속 차광막을 형성시키는 단계는, 텅스텐 또는 텅스텐실리사이드를 스퍼터 또는 CVD법을 사용하여 소정 두께만큼 증착시키는 과정과, 에칭에 의하여 상기 N형 불순물층만을 개방시키는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제조방법.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BPSG막은 상기 금속 차광막과 상기 폴리 실리콘전극을 더한 두께보다 더 크게 퇴적시키고,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법에 의하여 상기 BPSG막을 평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는 BPSG막의 오목형상이 없어지는 지점까지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D 고체촬상소자 제조방법.
KR1020050006862A 2005-01-25 2005-01-25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6008605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862A KR20060086050A (ko) 2005-01-25 2005-01-25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PCT/KR2005/000252 WO2006080594A1 (en) 2005-01-25 2005-01-28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using charged-coupled devic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TW094130933A TW200627633A (en) 2005-01-25 2005-09-08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using charged-coupled devices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06862A KR20060086050A (ko) 2005-01-25 2005-01-25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6050A true KR20060086050A (ko) 2006-07-31

Family

ID=36740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06862A KR20060086050A (ko) 2005-01-25 2005-01-25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060086050A (ko)
TW (1) TW200627633A (ko)
WO (1) WO2006080594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48225B2 (ja) * 1992-04-08 2002-01-21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JP2755176B2 (ja) * 1994-06-30 1998-05-20 日本電気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JP2002319668A (ja) * 2001-04-24 2002-10-31 Fuji Film Microdevices Co Ltd 固体撮像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3229553A (ja) * 2002-02-05 2003-08-15 Sharp Corp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627633A (en) 2006-08-01
WO2006080594A1 (en)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9859B2 (en) Backside illuminated imaging sensor with silicide light reflecting layer
JP4235787B2 (ja) 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US9111829B2 (en) Color-optimized image sensor
US6525356B1 (en) Solid imaging device
JP4843951B2 (ja)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KR20100004961A (ko) 고체촬상소자, 고체촬상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7091463B2 (en)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with polysilicon transfer electrodes
TWI278231B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camera
KR100697700B1 (ko)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337371B2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JP3218324B2 (ja) 固体撮像素子
KR100697701B1 (ko)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JP4739706B2 (ja) 固体撮像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60086050A (ko) Ccd 고체촬상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697702B1 (ko) Ccd 고체촬상소자 제조방법
JP4645578B2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JP2007048967A (ja) 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及びレンズアレイ
WO2011101935A1 (ja) 固体撮像素子とその製造方法
JP4867309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カメラ
KR100209757B1 (ko) 고체촬상소자 제조방법
JP2004342783A (ja)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0969620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7150095A (ja) 固体撮像素子及び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JP2012015133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