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5576A -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 Google Patents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5576A
KR20060085576A KR1020060006616A KR20060006616A KR20060085576A KR 20060085576 A KR20060085576 A KR 20060085576A KR 1020060006616 A KR1020060006616 A KR 1020060006616A KR 20060006616 A KR20060006616 A KR 20060006616A KR 20060085576 A KR20060085576 A KR 2006008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thick
box
packing
box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06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4069B1 (ko
Inventor
도시하루 스즈끼
모또시게 다나까
Original Assignee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또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8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55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4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40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4Fastening of cover or lid to bo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외관상도 미려하고, 또한 리사이클성이 용이한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자 본체 또는 도어(3)의 평판면(31)의 내측에 보강용 후육부(4)를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4)에 평판면(31)과 평행한 중공부(5)를 마련한다.
전자 기기 수납용 상자, 도어, 지지용 리브, 중공부, 패킹

Description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ELECTRICAL DEVICE CONTAINING BOX MADE OF SYNTHETIC RESIN}
도1은 본 발명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의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일부 절결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의 실시 형태의 도어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부분 단면도.
도3은 본 발명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의 정면도.
도5는 도4에 도시하는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의 C-C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6은 도어의 이면을 도시하는 배면도.
도7은 도6의 각 부의 부분 단면으로, (a)는 A-A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b)는 B-B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c)는 C-C선으로 절단하여 도시하는 단면도.
도8은 도어를 이면에서 본 사시도.
도9는 도6에 있어서의 게이트 노즐로부터의 가스의 흐름을 도시하는 부분 확대도.
도10은 기기 부착 베이스를 부착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1은 기기 부착 베이스의 부착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 단면도.
도12는 IEC 레일 기기를 부착한 상태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13은 종래예의 도어에 있어서의 패킹 지지용 리브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자 본체
3 : 도어
6 : 패킹
7 : 프레임판부
8 : 기기 부착 베이스
14, 17 : 오목부
43 : 차양부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31813호 공보
본 발명은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리사이클성이 양호한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는 강도가 우수한 것으로 하기 때문에, 글래스 수지제의 강화재를 포함하는 FRP 등의 열경화성 수지에 의해 성형한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그런데, 열경화성 수지의 것은 폐기 후의 리사이클성이 곤란하고, 비교적 고가이다. 또한, 장기간 옥외에서 사용하면, 내후열화에 의해 표면으로부터 글래스 수지가 떠오르는 문제가 있고, 이에 대처하기 위해 표면에 도장 처리를 실시할 필요가 있어 제조 비용이 보다 높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를 리사이클성이 양호한 것으로 하기 위해, ABS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한 예가 있지만, 이것에 강도를 갖게 하기 위해 유리 섬유 등의 강화재를 부가한 경우에는 마찬가지로 리사이클성이 곤란해진다. 그래서, 리사이클성을 양호하게 하여 강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한 바와 같이 강화재를 부가하지 않고 두께를 두껍게 하는 방법도 있지만, 이는 후육부(thick portion)의 외면에 싱크 마크(sink mark)가 발생하여 외관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는 방진, 방수를 위해 도어측에 패킹을 설치하고 상자 본체의 물 끊김용 개구 프레임부 단부면과의 사이에 개재시키고 있지만, 도어측에 부착용 리브를 설치하지 않고 도어의 평판면에 직접 패킹을 부착한 경우에, 패킹의 충분한 압축을 얻기 위해서는 상자 본체의 개구 프레임부의 돌출 길이를 길게 할 필요가 있고, 도어의 회전 작용에 간섭할 우려가 있다. 또한, 홈통 형상의 리브를 설치하고 그 사이에 둥근 패킹을 부착한 경우에는 패킹의 충분한 압축 을 얻을 수 없어 방수성이 떨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평판면에 얇은 패킹을 부착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러나, 그것으로는 홈통 형상의 리브의 바닥부를 높게 하는 것이 필요해지고, 그로 인해 내면을 두껍게 한 경우에는 도어 외면에「성형품의 표면에 발생하는 오목부」인「싱크 마크」가 생겨 외관상의 미관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어(100)의 평판면(101)의 상측에 홈통 형상의 리브(102)를 설치하고, 상기 리브(102)의 중앙에 지지용 리브(103)를 수직 상승시켜 상기 지지용 리브(103)의 선단부에 패킹(104)을 지지시킴으로써 도어의 회전 작용에 간섭하지 않는데다가, 도어에 싱크 마크가 생기지 않고 미관이 우수한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것으로는 패킹의 배면의 중앙만이 지지용 리브(103)의 선단부에서 지지되어 있으므로, 지지용 리브(103)와 상자 본체의 개구 프레임부의 돌출의 선단부의 수직 위치가 어긋나고, 패킹(104)이 홈통 형상의 리브(102)와 지지용 리브(103) 사이로 인입하여 방수 성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5-31813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외관상도 미려하고, 또한 리사이클성이 용이한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자 본체 또는 도어의 평판면의 내면에 보강용 후육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 육부에 평판면과 평행한 중공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으로 한다. 그리고, 이 청구항 1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보강용 후육부를 도어의 평판면의 상자 본체의 개구 단부면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의 상측에 패킹을 배치한 것을 청구항 2에 관한 발명으로 한다.
도어의 평면판에 설치한 보강용 후육부로부터 중심측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용 후육부로부터 외주 근방으로 가스를 주입하는 게이트 노즐을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판의 후육부로부터 내주 근방에 홈부를 마련한 것을 청구항 3에 관한 발명으로 한다.
상자 본체의 개구 단부의 상부 및 하부의 양쪽에 도어를 덮는 차양부를 설치한 것을 청구항 4에 관한 발명으로 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부호 1은 전방면에 개구(2)를 제공한 상자 본체, 3은 상기 개구(2)를 개폐하는 도어이다. 이들 상자 본체(1), 도어(3)는 폐기 후 재이용할 수 있는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PBT),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도어(3)의 평판면(31)의 내면에는 보강용 후육부(4)를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4)에는 중공부(5)를 마련하고 있다. 즉, 도어(3)의 평판면(31)의 내면의 주연측에 도1,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육부(4)를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4)에는 중공부(5)를 마련하여 폭 넓게 판두께 자체가 두꺼운 부분이 없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중공부(5)는 성형 시에 후육부로 하는 부위에, 소위 가스 어시 스트법을 이용하여 가스를 주입하여 일련으로 형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관한 것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도어(3)의 평판면(31)에 형성한 보강용 후육부(4)를 설치한 것이므로, 평판면(31)은 얇게 해도 내성이 증가하여 도어(3)의 강도가 강해지는 것이다. 따라서, 유리 섬유 등의 강화재를 더할 필요가 없으므로, 폐기 후의 리사이클성이 양호한 것이다. 또한, 보강용 후육부(4)에 중공부(5)를 형성한 것이므로, 판두께 자체가 두꺼운 부분이 없기 때문에, 싱크 마크가 생겨 외관 미관이 떨어지는 일도 없는 것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는 도어에 형성한 후육부와 중공부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상자 본체가 얕은 형상인 것에서는 상자 본체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보강용 후육부(4)는 도어(3)의 평판면(31)에 상자 본체(1)의 개구(2)의 단부면, 즉 개구 프레임부(21)의 선단부면(21a)이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한다. 그리고, 후육부(4)의 상측에 도어(3)를 폐쇄하였을 때에 도어 프레임부(21)의 선단부면(21a)이 접촉하는 패킹(6)을 배치하고 있다. 즉, 후육부(4)의 상측의 양측에 수직 상승시킨 프레임판부(7, 7) 사이에 패킹(6)을 장착한 것이고, 중공부(5)를 마련한 후육부(4)의 두께만큼 패킹(6)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도어(3)의 힌지에 인접한 변에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평판면(31)의 내측에 홈통 형상의 리브(302)(도6 참조)를 설치하고, 상기 리브(302)의 중앙에 지지용 리브를 수직 상승시켜 상기 지지용 리브의 선단부에 패킹을 지지시키고 있다. 이는 힌지에 인접하고 있으므로, 개구 프레임부(21)의 선단부면(21a)과 상기 리브(302)의 중앙에 설치된 지지용 리브의 선단부의 어긋남이 적고, 상기 리브(302)의 중앙에 설치된 지지용 리브와 홈통 형상의 리브(302) 사이에 패킹이 인입할 우려가 없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열가소성 수지의 주입구인 게이트(34)를 설치하는 부위는 제품의 중앙에 가까운 쪽이 균등하게 수지가 걸쳐지므로 바람직하지만, 가스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게이트(34)에 가까울수록 경화가 지연되므로 가스 주입구인 게이트 노즐(35)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게이트 노즐(35)은 후육부(4)의 근방에 설치하는 것이지만, 후육부(4)보다 중심측에서는 도어의 기기 부착 유효 면적이 작아져 후육부(4)의 상측, 즉 패킹(6)의 배치 부분에서는 성형 후에 표면이 요철이 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게이트 노즐(35)은 후육부(4)보다 더 외주 근방에 설치하고 있다. 그러나, 경화 도중에 가스를 주입하기 때문에, 가스는 후육부(4)로부터 도어의 한층 판두께 부분으로 인입하는 일이 있다. 그로 인해, 평면판(31)의 후육부(4)로부터 내주 근방에 홈부(36)가 마련되어 있다. 이 홈부(36)를 마련함으로써 판두께가 얇은 부분부터 경화가 진행되어 게이트 노즐(35)로부터의 가스가 열가소성 수지의 게이트나 핸들을 위한 구멍부(37)의 주위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8, 도9는 게이트 노즐(35)의 근방을 도시하는 것으로, 게이트 노즐(35)의 상하에도 규제 후육부(401)를 설치한 것에 의해 게이트 노즐(35)로부터의 가스는 화살표 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원활하게 상하로 흐르고, 또한 열가소성 수지의 게이트나 핸들을 위한 구멍부(37)의 주위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자 본체(1)의 측면판부에는 환기 팬이나 루버(louver)(51) 등의 기기 부착용 구멍을 개방할 때에 사용하는 각인(punch mark)(41)이 제공되어 있다. 각인(41)을 측면 판부에 제공함으로써 펀칭의 위치를 알 수 있고, 상자 본체(1)의 외면의 미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자 본체(1)의 상면에는, 도1, 도10 및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이 약간 높아지도록 능선(42)이 형성되어 있다. 이 능선(42)은 그 선으로부터 빗물이 좌우로 나뉘어 떨어지고, 상자 본체(1)의 상면에 빗물이 고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상자 본체(1)의 개구 단부의 상하에는 도어(3)를 덮는 차양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차양부(43)를 설치함으로써 도어(3)의 상변 단부에 직접 빗물이 고이지 않아 방수 성능이 향상된다. 차양부(43)를 상하에 설치한 것은 상자 본체(1)로부터 도어(3)를 제거하고, 상자 본체(1)를 상하 반전시켜 도어(3)를 부착하여 우측 개방, 좌측 개방을 선택하는 것으로 하였을 때에 어떠한 때라도 상측에 차양부(43)가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또한, 부호 32는 도어(3)의 외주연에 내향으로 설치한 주연 프레임부, 33은 잠금 장치이다. 또한, 상자 본체(1)의 배면 판부(13)의 중앙에 2단의 계단 형상의 오목부(14)에 형성하고 상기 오목부(14)의 1단째의 오목부(16)에 기기 부착 베이스(8)를 끼워 넣어 부착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14)의 2단째의 오목부(17)에는 그 측단부로부터 베이스 부착 구멍(15)에 해당하는 부분에 홀더 끼워 맞춤용 절결부(18)를 설치하고, 홀더 끼워 맞춤용 절결부(18)의 전방면측 에는 빠짐 방지의 돌출 부재(19)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절결부(18)에 너트(9a)를 조립한 너트 홀더(9)를 착탈 가능하게 부착하고, 상기 너트(9a)에 고정 나사(8b)를 나사 결합하여 기기 부착 베이스(8)를 부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기 부착 베이스(8)의 하단부는 오목부(16)의 하단부(16a)에 지지되므로 기기 부착 베이스(8)의 2군데를 나사 고정하는 것만으로 큰 하중에도 견딜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오목부(14)의 양측에 상하로 베이스 부착 구멍(15)을 복수 마련한 것으로 하면 기기 부착 베이스(8)의 나사 고정의 위치가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기기 부착 베이스(8)에 미리 마련한 나사 고정용 구멍(8a)과 부착 기기가 간섭하는 경우에는 기기 부착 베이스(8)의 다른 위치에 나사 고정용 구멍을 개방하여 회피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베이스 부착 구멍(15)을 오목부(14)의 양측에 상하에 다수 마련함으로써, 대향 위치에 있는 오목부(14)의 양측의 베이스 부착 구멍(15, 15)끼리의 사이에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IEC 레일(10)을 부착할 수 있는 것이고, 또한 부분용 기기 부착 베이스(8)와 IEC 레일(10)을 혼재시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도1 내지 도3 및 도10 내지 도13은 종형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로, 도4 내지 도9는 횡형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로 설명하였다. 외형은 종형과 횡형의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인 구조는 같은 것이고, 용도에 따라서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자 본체 또는 도어의 평판면의 내면에 형성한 보강용 후육부에 평판면과 평행한 중공부를 형성한 것이므로, 평판면은 강성이 증가하여 도어나 상자 본체의 강도가 강해지는 것이다. 또한, 유리 섬유 등의 강화재를 부가하지 않은 열가소성 수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폐기 후의 리사이클성이 양호하다. 또한, 보강용 후육부에 중공부를 형성한 것이므로 판두께 자체가 두꺼운 부분이 없으므로 싱크 마크가 생겨 외관 미관이 떨어지는 일도 없는 것이다.
또한,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보강용 후육부를 도어의 평판면의 상자 본체의 개구 단부면에 대응하는 부위에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의 상측에 패킹을 배치한 것이므로, 중공부를 마련한 후육부 전체의 두께를 비교적 크게 할 수 있음으로써 패킹이 두께를 얇게 할 수 있어 충분한 압축을 얻을 수 있어 방수성이 우수한 것이 된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도어의 평면판에 설치한 보강용 후육부로부터 중심측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를 설치하여 상기 보강용 후육부로부터 외주 근방으로 가스를 주입하는 게이트 노즐을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판의 후육부로부터 내주 부위에 홈부를 마련한 것이므로, 판두께의 얇은 부분으로부터 경화가 진행되어 게이트 노즐로부터의 가스가 열가소성 수지의 게이트나 핸들을 위한 구멍부의 주위로 돌아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상자 본체의 개구 단부의 상부 및 하부의 양쪽에 도어를 덮는 차양부를 설치하여 도어의 상변단부에 직접 빗물이 걸리지 않고 방수 성능이 향상되도록 하고, 또한 상자 본체(1)를 상하 반전시켜 도어를 부착하여 우측 개방 좌측 개방을 선택한 것 중 어떠한 경우라도, 상측에 차양부가 있도록 하여 이용 가능하다.

Claims (4)

  1.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상자 본체 또는 도어의 평판면의 내면에 보강용 후육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에 평판면과 평행한 중공부를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의 개구 단부면에 대응하는 상기 도어의 평면판의 내주를 따라서 상기 보강용 후육부를 형성하고, 상기 후육부의 상측에 패킹을 배치한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평면판에 설치한 보강용 후육부로부터 중심측으로 열가소성 수지를 주입하는 게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보강용 후육부로부터 외주 근방으로 가스를 주입하는 게이트 노즐을 설치하는 동시에, 평면판의 후육부로부터 내주 근방에 홈부를 마련한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 본체의 개구 단부의 상부 및 하부에 상기 도어를 덮는 차양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KR1020060006616A 2005-01-24 2006-01-23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KR100674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015016 2005-01-24
JP2005015016A JP4498151B2 (ja) 2005-01-24 2005-01-24 合成樹脂製の電気機器収納用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5576A true KR20060085576A (ko) 2006-07-27
KR100674069B1 KR100674069B1 (ko) 2007-01-29

Family

ID=36845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06616A KR100674069B1 (ko) 2005-01-24 2006-01-23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98151B2 (ko)
KR (1) KR100674069B1 (ko)
CN (1) CN100493307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102025B4 (de) * 2013-03-01 2022-10-20 HELLA GmbH & Co. KGaA Gehäuseeinheit für eine Elektronikeinheit
CN103346486A (zh) * 2013-07-11 2013-10-09 万能亿自动化科技(苏州)有限公司 一种开关控制柜
JP6682131B2 (ja) * 2015-09-16 2020-04-15 日東工業株式会社 電気機器収納用箱
JP2019133972A (ja) * 2018-01-29 2019-08-08 Sus株式会社 制御盤用筐体と制御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7938Y2 (ko) * 1989-10-09 1993-09-27
JPH0518335U (ja) * 1991-08-29 1993-03-09 キヨーラク株式会社 電気装置等の枠状ハウジングパネル
JPH08142230A (ja) * 1994-11-21 1996-06-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キャビネット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87944A (ja) * 1997-09-09 1999-03-30 Yokogawa Electric Corp 防水防塵通気ケース
JP4253135B2 (ja) * 2001-03-26 2009-04-0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防水ケース
JP3963801B2 (ja) * 2002-08-05 2007-08-2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気接続箱用グロメットのシール構造
JP2004260959A (ja) * 2003-02-27 2004-09-16 Yazaki Corp 電気接続箱の防水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98151B2 (ja) 2010-07-07
CN100493307C (zh) 2009-05-27
KR100674069B1 (ko) 2007-01-29
CN1812698A (zh) 2006-08-02
JP2006203093A (ja) 2006-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1353B2 (en) Quarter window
CN100369764C (zh) 机动车辆玻璃滑槽
CA2342547C (en) A refined assembly structure of hubbed door installed with glass
US6244653B1 (en) Resin molded objects
KR100674069B1 (ko) 합성 수지제의 전기 기기 수납용 상자
CN102438848A (zh) 一种机动车门的组装方法
AU72636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assembly with an electrical unit therein
US8443507B2 (en) Method for forming a reinforced toolbox
US6149218A (en) Raised roof for vehicles
JPH07228198A (ja) 自動車用ルーフレール
JP2006224916A (ja) グラスラン型成形部構造
KR100320850B1 (ko) 자동차의 서라운드 몰딩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20925A1 (en) Insulating unit for an electrical box
CN212926322U (zh) 一种水槽的加固结构
CN214420372U (zh) 一种汽车门饰板扬声器罩
CN220129918U (zh) 用于机动车辆的封装的固定窗模块、玻璃滑槽和机动车辆
CN209972127U (zh) 车辆角窗和车辆
CA2264357A1 (en) A one-piece door threshold and door sill assembly
CN213954111U (zh) 一种汽车用高性能自动居中门板卡扣
CN210652636U (zh) 一种汽车后门亮条总成及汽车后门
CN112406493B (zh) 一种车门总成及车辆
CN205310699U (zh) 一种汽车天窗框架注塑模具
KR19980043455U (ko) 자동차 도어의 풀 핸들 장착구조
AU2017100154A4 (en) A Fastening Assembly For Securing A Truck Bed Canopy To A Truck Bed
KR200354213Y1 (ko) 플라스틱 성형부재가 구비된 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3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