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80163A -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80163A
KR20060080163A KR1020060054694A KR20060054694A KR20060080163A KR 20060080163 A KR20060080163 A KR 20060080163A KR 1020060054694 A KR1020060054694 A KR 1020060054694A KR 20060054694 A KR20060054694 A KR 20060054694A KR 20060080163 A KR20060080163 A KR 200600801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nonwoven
manufacturing
wet towe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67643B1 (ko
Inventor
정경래
Original Assignee
정경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경래 filed Critical 정경래
Priority to KR10200600546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67643B1/ko
Publication of KR2006008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6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6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02Towel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4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 D04H1/46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 D04H1/49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the fleeces or layers being consolidated by mechanical means, e.g. by rolling by needling or like operations to cause entanglement of fibres by fluid j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크기의 부직포가 압착성형된 부직포 볼을 하나씩 취출하여 이에 물을 분사하고 살균하여 물수건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부직포 롤을 사용한 컷팅의 방식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으며 컷팅의 어려움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소시킨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의 형상으로 된 부직포 볼을 하나씩 취출하고, 이에 물을 분사하여 부직포 물수건으로 제조하는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과, 다수개의 부직포 볼이 수납되고 하부에 취출구가 뚫린 볼탱크; 상기 취출구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직포 볼을 하나씩 취출하는 취출장치; 상기 취출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취출된 부직포 볼을 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부직포 볼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가 제공된다.
물수건, 부직포, 부직포 볼, 회전공급기

Description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A manufacturing method and its apparatus for making a disposable small damp tow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공급기의 사시도
도 3과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분사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6은 외부의 냉온수기와 연결되는 분사장치의 다른 실시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직포가 압착성형된 부직포 볼의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부직포 볼 2 : 취출구
3 : 볼탱크 4 : 이송장치
5 : 회전공급기 6 : 볼인출공
7 : 모터 8 : 공급기캡
9 : 반원형투입구 10 : 취출돌기
11 : 감지센서 12 : 물탱크
13 : 분사노즐 14 : 펌프
15 : 가열장치 16 : 살균램프
본 발명은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정 크기의 부직포가 압착성형된 부직포 볼을 하나씩 취출하여 이에 물을 분사하고 살균하여 물수건으로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의 부직포 롤을 사용한 컷팅의 방식보다 구조가 간단하고 부피가 작으며 컷팅의 어려움에 따른 여러가지 문제점을 해소시킨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레스토랑, 패스트푸드점 등 각종 요식업 식당 등에서는 위생을 위하여 물수건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물수건은 특정 회사에서 제조된 것을 공급받아 사용하거나, 직접 물수건 제조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특정 제조사에서 공급하는 물수건은 사용한 물수건을 세척하여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살균제나 표백제 등이 사용되는 문제점이 있고, 포장된 일회용 물수건을 사용하는 경우 비용적인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가게에 직접 설치하여 필요시마다 물수건을 생성시켜 사용하는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는데, 이와 같은 종래의 물수건 제조장치는 부직포를 감은 롤을 장착하고, 일정 길이 부직포를 당긴 후 이를 컷터로 절단하며, 절단된 부직포에 물 을 분사하여 물수건으로 제조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는 부직포를 롤의 형태로 감아 사용함으로써 부피가 크고, 이로 인해 업소의 설치공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컷터로써 잘라 사용하는데 이 때 컷터가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고장이 발생되는 문제가 빈번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장치 자체의 부피를 줄이고, 고장의 발생이 빈번한 컷팅장치를 사용하지 않도록 하는 데 있는 것으로, 일정 크기의 부직포가 구의 형상으로 압착성형된 부직포 볼을 다수개 수납하고, 이를 하나씩 취출하여 물을 품어 물수건으로 제조하는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은 미리 일정 형상과 크기로 재단된 부직포를 하나씩 용이하게 취출할 수 있도록 둥글게 압착 건조된 부직포 볼(1)을 하나씩 추출하고, 취출된 하나의 부직포 볼(1)에 온수 또는 냉수를 뿌려서 원래의 부직포 형상과 크기로 환원시킨 부직포 물수건으로 제조하는 방법이다.
상기의 방법에 의하여 종래의 부직포 롤을 사용함으로써 발생되는 공간의 과 다 소요와, 부직포를 롤에서 풀어 칼로 컷팅하는 과정에서의 고장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의 방법을 달성하기 위한 구조로서의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는 다수개의 부직포 볼(1)이 수납되고 하부에 취출구(2)가 뚫린 볼탱크(3); 상기 취출구(2)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직포 볼(1)을 하나씩 취출하는 취출장치; 상기 취출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취출된 부직포 볼(1)을 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4); 상기 이송장치(4)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부직포 볼(1)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취출장치는 회전공급기(5)로 실시될 수 있다. 즉, 회전공급기(5)는 취출구(2)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나의 부직포 볼(1)이 관통되는 크기의 볼인출공(6)이 동심원상에 다수개 형성되며, 모터(7)에 의해 회전되는 구조이다. 모터(7)와는 기어에 의한 치합 또는 벨트 등에 의한 결합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는 구조 또는 직접 모터(7)의 회전축이 회전공급기(5)에 체결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리고 회전공급기(5)의 상부와, 볼탱크(3)의 취출구(2) 하부 공간에 공급기캡(8)을 설치하여 부직포 볼(1)의 취출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공급기캡(8)은 상기 회전공급기(5)의 상부 절반의 크기인 반원형투입구(9)가 형성되고, 반원형투입구(9)의 가장자리에는 실리콘과 같이 부드럽고 플렉시블한 재질의 취출돌기(10)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공급기(5)의 상부에 고정설치된다.
회전공급기(5)의 하부에는 감지센서(11)가 부착되어 부직포 볼(1)의 취출을 감지하여 다른 장치들을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상기의 이송장치(4)는 취출된 부직포 볼(1)을 출구측으로 이송시키는 장치로서, 이는 스크류타입과 벨트 즉 컨베이어 벨트 타입 등 다양할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는 이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모터가 구비된다.
상기의 분사장치는 취출된 부직포 볼(1)에 물을 뿌려주는 장치로서, 자체적으로 물탱크(12)가 구비된 실시예와, 외부의 냉온수기와 연결하여 사용되는 실시예 등 다양할 수 있다.
우선 자체적으로 물탱크(12)를 가지는 경우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3)과, 상기 분사노즐(13)과 연결된 펌프(14)와, 상기 펌프(14)와 연결된 물탱크(12)로 구성된다. 물론 이 경우 온수로서 따뜻한 물수건을 위한 경우는 물탱크(12)와 펌프(14)의 사이에 가열장치(15)를 설치할 수도 있고, 물탱크(12)에 히터를 내장시켜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외부의 냉온수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실시예는 별도의 물탱크(12)가 불필요하고, 가열장치도 불필요하다. 이는 외부의 냉온수기의 가열장치나 냉각장치에 의해 발생된 온수와 냉수를 그대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이 경우의 분사장치는 온수와 냉수를 각각 분사하는 두개의 분사노즐(13)과; 상기 각각의 분사노즐(13)과, 외부에 설치된 냉온수기의 온수 및 냉수 관로와 연결된 펌프(14)로 구성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은 도 1에 일실시예의 전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회전공급기(5)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과 도 4 및 도 7에 다양한 실시예의 분사장치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 이송장치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 되어 있고, 도 6은 외부의 냉온수기와 연결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8에 부직포를 압착성형시킨 부직포 볼(1)이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수개의 부직포 볼(1)이 볼탱크(3)에 수납되어 사용된다.
사용자가 물수건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버튼으로 회전공급기(5)를 작동시키게 된다. 회전공급기(5)는 모터(7)에 의해 회전되고, 이에 형성된 볼인출공(6)에는 상부의 취출구(2)를 통해 낙하한 부직포 볼(1)이 하나씩 삽입된다.
볼인출공(6)에 부직포 볼(1)이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회전공급기(5)의 상부에는 공급기캡(8)이 설치된다. 따라서 볼인출공(6)에 두개 이상의 부직포 볼(1)이 끼이거나 한 경우에는 회전공급기(5)가 회전할 때 공급기캡(8)에 형성된 취출돌기(10)가 삽입된 않은 부직포 볼(1)을 밀어서 하나의 부직포 볼(1)만이 볼인출공(6)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볼탱크(3)에 있는 부직포 볼(1)이 볼인출공(6)에 투입되기 전에 부직포 볼(1)의 엉김과 이중으로 공급되는 현상이 있을 수 있는데, 뒤엉킴과 이중으로 공급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소하게 된다. 따라서 취출돌기(10)는 직각면에 대하여 약 45도의 각도를 가지면서 형성되어 부직포 볼(1)이 공급될 때 부드러운 재질의 취출돌기(10)가 부직포 볼(1)의 공급을 원활하게 한다.
회전공급기(5)의 볼인출공(6)에 부직포 볼(1)이 삽입되어 회전되면, 아래로 낙하하여 이송장치(4)에 의해 출구로 이송되면서 물수건으로 제조된다. 이 때 부직포 볼(1)이 취출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 취출되었을 경우 물을 분사하거나 살 균램프(16)를 작동 하는 등의 각종 제어를 위하여 감지센서(11)가 설치된다. 따라서 취출되어 이송장치(4)로 이송된 부직포 볼(1)을 감지센서(11)가 인식하여 다른 장치들의 제어에 활용된다.
감지센서(11) 또는 사용자의 버튼작동에 의해 이송장치(4)를 작동되고, 이에 의해 취출된 부직포 볼(1)은 출구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동중에는 물이 분사되어 물수건으로 환원되고, 다시 살균램프(16)에 의해 살균된다.
우선 이송장치(4)는 스크류 타입의 도 1과, 컨베이어 벨트 타입의 도 5와 같이 다양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송장치(4)에 의해 이송되면, 상부의 분사장치의 구성인 분사노즐(13)에 의해 물이 품어지고, 이에 의해 둥근 볼 형상의 부직포 볼(1)은 물을 함유하게 되어 물수건이 된다.
분사장치는 다양한 실시예를 가지는데, 도 1과 도 5는 자체적으로 물탱크(12)가 구비된 예이고, 도 6은 물탱크 없이 외부로부터 온수 또는 냉수가 공급되는 예이다.
도 1과 도 5의 경우는 물탱크(12)로 부터 물이 가열장치(15)로 유입된다. 가열장치(15)는 온수를 이용하여 물수건을 제조하고자 할 때 필요한 구성이고, 냉수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는 블필요하거나 내부의 히터를 사용하지 않으면 된다. 물론 물탱크(12)에 히터를 설치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온수 또는 냉수는 펌프(14)에 의해 이송되고, 이송장치(4)의 상측 공간에 설치된 분사노즐(13)을 통해 분사된다. 따라서 분사노즐(13)의 아래로 이송되는 부직 포 볼(1)은 분사된 물을 함유하게 되고, 구의 형태로 압착하기 전의 부직포의 형상으로 환원되어 물수건이 되거나, 구의 형상 그대로이면서 물을 함유할 수도 있다.
분사노즐(13)은 도 3과 도 7과 같이 설치되어 있는데, 냉수 또는 온수 중 어느 하나만을 사용할 경우는 도 3과 같이 하나의 분사노즐(13)이 설치되고, 특히 외부 냉온수기와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로서 온수와 냉수를 같이 사용하는 경우는 도 7과 같다. 물론 도 3의 경우에서도 온수와 냉수를 같이 사용할 수도 있다.
물을 함유한 부직포 볼(1)은 이송장치(4)에 의해 계속 이송되고, 살균램프(16)의 아래를 지나면서 각종 세균과 곰팡이가 살균 및 멸균된다.
이와 같이 부직포 볼(1)은 하나씩 취출되고, 물이 분사되어 물수건으로 제조되며, 이를 다시 살균처리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부직포 롤 타입보다 부피가 작아지게 되어 설치가 용이하고, 컷터 등으로 부직포를 절단하여 사용하던 종래의 문제점은 부직포 볼(1)을 사용함으로써 해소된다.

Claims (6)

  1. 구의 형상으로 된 부직포 볼(1)을 하나씩 취출하고, 이에 물을 분사하여 부직포 물수건으로 제조하는 일회용 물수건 제조방법.
  2. 다수개의 부직포 볼(1)이 수납되고 하부에 취출구(2)가 뚫린 볼탱크(3); 상기 취출구(2)의 하부에 설치되어 부직포 볼(1)을 하나씩 취출하는 취출장치; 상기 취출장치의 하부에 설치되어 취출된 부직포 볼(1)을 출구로 이송시키는 이송장치(4); 상기 이송장치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부직포 볼(1)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취출장치는 취출구(2)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나의 부직포 볼(1)이 관통되는 크기의 볼인출공(6)이 동심원상에 다수개 형성되며, 모터(7)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공급기(5)인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취출장치는 취출구(2)의 하부에 위치하고, 하나의 부직포 볼(1)이 관통되는 크기의 볼인출공(6)이 동심원상에 다수개 형성되며, 모터(7)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공급기(5)와; 상기 회전공급기(5)의 상부 절반의 크기인 반원형투입구(9)가 형성되고, 반원형투입구(9)의 가장자리에는 취출돌기(10)가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공급기(5)의 상부에 고정설치된 공급기캡(8)으로 구성된 일회 용 물수건 제조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분사장치는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13)과, 상기 분사노즐(13)과 연결된 펌프(14)와, 상기 펌프(14)와 연결된 물탱크(12)로 구성된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분사장치는 온수와 냉수를 각각 분사하는 두개의 분사노즐(13)과; 상기 각각의 분사노즐(13)과, 외부에 설치된 냉온수기의 온수 및 냉수 관로와 연결된 펌프(14)로 구성된 일회용 물수건 제조장치.
KR1020060054694A 2006-06-19 2006-06-19 일회용 물수건 제조 장치 KR10076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94A KR100767643B1 (ko) 2006-06-19 2006-06-19 일회용 물수건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4694A KR100767643B1 (ko) 2006-06-19 2006-06-19 일회용 물수건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0163A true KR20060080163A (ko) 2006-07-07
KR100767643B1 KR100767643B1 (ko) 2007-10-19

Family

ID=37171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4694A KR100767643B1 (ko) 2006-06-19 2006-06-19 일회용 물수건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6764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4B1 (ko) * 2006-07-03 2007-10-25 정경래 물수건 제조용 부직포 볼의 제조방법
KR200449254Y1 (ko) * 2008-01-23 2010-06-25 정기훈 물수건 공급기
WO2012091477A3 (ko) * 2010-12-30 2012-10-04 크린핑거 주식회사 물티슈 공급장치
KR102194693B1 (ko) * 2019-08-26 2020-12-24 황세영 물 티슈 공급장치
WO2022050458A1 (ko) * 2020-09-04 2022-03-10 황세영 물 티슈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2362B1 (ko) * 2010-12-24 2013-03-07 주식회사 동천테크 소독용 티슈제조기
KR102370740B1 (ko) * 2019-12-27 2022-03-03 주식회사 디앤티 무독성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3940A (ko) * 1994-10-20 1996-05-22 김성재 섬유로 이루어진 물수건 포장 방법
KR200260937Y1 (ko) * 2001-06-21 2002-01-17 옌선 테크놀로지 코포레이션 물티슈의 티슈원료와 그 제조장치
KR200320406Y1 (ko) * 2003-03-22 2003-07-22 (주)을지산업 일회용 티슈 및 그 생산 장치
KR20030081277A (ko) * 2003-09-26 2003-10-17 조광래 휴대용 압착 티슈 구조
KR100767644B1 (ko) * 2006-07-03 2007-10-25 정경래 물수건 제조용 부직포 볼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7644B1 (ko) * 2006-07-03 2007-10-25 정경래 물수건 제조용 부직포 볼의 제조방법
KR200449254Y1 (ko) * 2008-01-23 2010-06-25 정기훈 물수건 공급기
WO2012091477A3 (ko) * 2010-12-30 2012-10-04 크린핑거 주식회사 물티슈 공급장치
KR102194693B1 (ko) * 2019-08-26 2020-12-24 황세영 물 티슈 공급장치
WO2022050458A1 (ko) * 2020-09-04 2022-03-10 황세영 물 티슈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67643B1 (ko) 200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7643B1 (ko) 일회용 물수건 제조 장치
KR100645947B1 (ko) 다기능 청소기
KR101042155B1 (ko) 물티슈 자동 공급장치
KR200441147Y1 (ko) 소독기능을 겸비한 손 건조기
KR20050022356A (ko) 물수건 공급 장치
KR20160104955A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100970783B1 (ko) 손 세척장치
EP3660235B1 (en) Sterilized water spray device and bidet seat having same
KR20130070486A (ko) 자동 애완동물 목욕장치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KR101000416B1 (ko) 손 세척장치
KR101231844B1 (ko) 손 세척 건조장치
KR102053734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KR100256780B1 (ko) 물수건 제조기
KR20090108328A (ko) 식탁용 스팀 청소기
JP5130029B2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KR101870206B1 (ko) 자동 손 세척장치
KR20130096570A (ko) 양변기
KR200263197Y1 (ko)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KR102053732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JP6094299B2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
KR100365132B1 (ko)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JP2009148433A (ja) おしぼり製造装置
GB2423247A (en) A hand washing station
KR200289609Y1 (ko) 위생 물수건 즉석 제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