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844B1 - 손 세척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손 세척 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844B1
KR101231844B1 KR1020120096065A KR20120096065A KR101231844B1 KR 101231844 B1 KR101231844 B1 KR 101231844B1 KR 1020120096065 A KR1020120096065 A KR 1020120096065A KR 20120096065 A KR20120096065 A KR 20120096065A KR 101231844 B1 KR101231844 B1 KR 101231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sensor
washing
water
deter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9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무
김기성
Original Assignee
김기성
김용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성, 김용무 filed Critical 김기성
Priority to KR1020120096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47K7/04Mechanical washing or cleaning devices, hand or mechanically, i.e. power operat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48Drying by means of hot ai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having a heating or cooling apparatus in the supply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3/00Air heaters
    • F24H3/02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 F24H3/04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 F24H3/0405Air heaters with forced circulation the air being in direct contact with the heating medium, e.g. electric heating element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e.g. the heating medium being a resistive element; Heating by direct contact, i.e. with resistive elements, electrodes and fins being bonded together without additional element in-betwe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정시간에 따라 세제와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순차적으로 분사시켜 손의 세척은 물론 손의 건조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손 세척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되며 하부에 배수관이 구비된 세수대와; 상기 세수대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세제액과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각기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액 탱크의 세제액을 상기 배출부로 공급하는 세제액 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세수대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는 손 감지센서와; 상기 손 감지세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세제액 공급부와 세척수 공급부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 세척 건조장치{HAND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손 세척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설정시간에 따라 세제와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순차적으로 분사시켜 손의 세척은 물론 손의 건조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손 세척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손은 인간의 삶에 있어서 도구를 사용하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손은 여러 도구나 집기 등에 접촉하게 됨으로써 각종 세균이 상주하게 됨으로써, 비누나 세제를 이용하여 손을 자주 씻는 것만으로도 질병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종래에는 공중 화장실 등과 같은 공공장소에 비치하여 손을 씻을 수 있도록 하는 여러 종류의 손 세척장치가 알려져 있다. 그 일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0416호의 “손 세척장치”(이하, “종래의 손 세척장치”라 한다.)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손 세척장치는, 손의 접근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상면에 설치된 세수대가 케이스의 전면에 마련됨과 함께,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관과 저장된 세제를 세제공급관을 통해 공급하는 세제공급부가 구비되어,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제어부가 상기 세척수와 세제의 공급을 제어하는 손 세척장치에 있어서, 상기 세수대의 상면에는 상기 공급되는 세척수와 세제를 하향 분사하는 이중관노즐부가 설치되되, 상기 이중관노즐부는 상기 세척수공급관에 연결되면서 하단에 세척수를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공이 형성되는 노즐외관과, 상기 노즐외관의 내부 중앙을 관통하도록 노즐외관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세제공급관에 연결되면서 하단에 세제를 분사하는 분사구가 형성되는 노즐내관으로 이루어짐과 함께, 상부 이중관노즐부와 하부 이중관노즐부로 분리되어 상호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손 세척장치는, 세척수와 세제가 분사되는 노즐부를 이중관 형태로 구성하여 설정시간에 따라 중심부에서는 세제가, 주변부에는 세척수가 분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손을 노즐부 아래에 위치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편리하게 손을 세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손 세척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먼저, 종래의 손 세척장치는, 설정시간에 따라 세제와 세척수가 분사됨으로써 편리하게 손을 세척할 수 있으나, 별도의 건조 수단이 없어 손을 세척한 후, 수건이나 손수건 등을 이용하여 손을 닦아야 하는 불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손 세척장치는, 온수의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정시간에 따라 세제액과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순차적으로 분사시켜 손의 세척은 물론, 손의 건조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손 세척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온수의 사용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손 세척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스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되며 하부에 배수관이 구비된 세수대와; 상기 세수대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세제액과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각기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액 탱크의 세제액을 상기 배출부로 공급하는 세제액 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세수대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는 손 감지센서와; 상기 손 감지세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세제액 공급부와 세척수 공급부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세수대의 상부에 구비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관통홀을 커버하는 안전망와; 상기 안전망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에는 다수의 세척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부로 세척수 인입관이 연결된 세척수 배출노즐과; 상기 세척수 배출노즐의 둘레 일측에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되게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세제액 인입관이 연결된 세제액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척수 공급부는, 상기 수도관과 상기 세척수 인입관을 연결하는 세척수 공급관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수동밸브, 전자변, 감압변, 상기 감압변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물의 공급상태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수 감지센서와; 상기 입수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는 유량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수 감지센서는, 상기 세척수 공급관이 연결되면서 입,출수구 및 설치구가 형성되는 'T'자형의 센서몸체가 구비되고, 상기 입,출수구 사이의 센서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세척수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축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몸체의 설치구에 장착되어 이송축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레버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가 스위치를 가압하면, 입,출수구로 이동되는 물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입수 감지센서와 유량센서 사이의 세척수 공급관에 구비되어 입수 감지센서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열하는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히터부는,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입,출구 및 내부에 세척수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온도센서와 과열감지센서가 구비된 케이스와; 상기 유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통과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며, 외부에는 다수의 스크류형 방열핀이 구비된 히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제액 공급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전방으로 서랍식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세제액통이 구비된 세제액 보충서랍과; 상기 세제액통의 하부와 상기 세제액 인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펌프가 구비된 세제액 공급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안전망의 상부에 구비되어 안전망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압축공기를 불어주고, 공기의 배출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모터를 가지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설정시간에 따라 세제와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순차적으로 분사시켜 손의 세척은 물론, 손의 건조도 가능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온수의 사용도 가능하게 함으로써, 동절기에도 사용이 가능한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후방에서 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입수 감지센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일부 절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6의 배출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수 감지센서의 작동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측면구성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의 내부를 나타낸 후방에서 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입수 감지센서 사시도이며, 도 5은 도 4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일부 절개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구성된 케이스(1)를 포함하며, 케이스(1)의 전방에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된 세수대(2)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세수대(2)는, 함몰부(21)와 함몰부(21)의 하부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어 설치되는 세면대야(22)로 구성되며, 상기 세수대(2)의 하부에는 케이스(1)의 내부를 통과하여 배수통로(미도시됨)와 연결되는 배수관(23)이 구비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는, 상기 세수대(2)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세제액과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각기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부(3)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의 수도관(미도시됨)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3)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4)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액통(52)의 세제액을 상기 배출부(3)로 공급하는 세제액 공급부(5)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3)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6)와; 상기 세수대(2)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는 손 감지센서(7)와; 상기 손 감지센서(7)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세제액 공급부(5)와 세척수 공급부(4) 및 공기 공급부(6)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됨)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세제액 공급부(5)와 세척수 공급부(4) 및 공기 공급부(6)를 기 설정된 설정시간마다 순차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제어부에서는 기 설정된 설정시간마다, 상기 세제액 공급부(5)와 세척수 공급부(4) 및 공기 공급부(6)를 각기 작동시켜 세제액과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순차적으로 세수대(2)에 공급시키는 제어를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출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6의 배출부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배출부(3)는, 도 3 또는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제액과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각기 하부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배출부(3)는, 상기 세수대(2)의 상부에 구비된 관통홀(31)과; 상기 관통홀(31)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관통홀(31)을 커버하는 안전망(32)과; 상기 안전망(32)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에는 다수의 세척수 배출공(332)이 형성되고, 상부로 세척수 인입관(331)이 연결된 세척수 배출노즐(33)과; 상기 세척수 배출노즐(33)의 둘레 일측에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되게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세제액 인입관(341)이 연결된 세제액 배출구(3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세제액 배출구(34)는 상기 손 감지센서(7)와 간섭이 되지 않도록 세척수 배출노즐(33)의 둘레 일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통홀(31)과 안전망(32)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첨부된 도면에서는 사각형으로 구성된 상태를 도시하였다. 그리고 상기 안전망(32)은 강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둘레틀체와 둘레틀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세척수 배출노즐(33)을 지지하는 종형대와 횡형대를 포함한다.
상기 세척수 배출노즐(33)은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에 다수의 세척수 배출공(332)이 형성된 수직관의 형상으로 구성됨으로써, 세척수를 하부로 배출 분사하는 과정에서 세척수를 확산되게 분사할 수 있는 것이다.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입수 감지센서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히터부를 나타낸 것으로, a는 측면구성도이고, b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척수 공급부(4)는, 도 2와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세척수 배출노즐(33)에 구비된 세척수 인입관(331)으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수 공급부(4)는, 상기 수도관과 상기 세척수 인입관(331)을 연결하는 세척수 공급관(41)과, 상기 세척수 공급관(41)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수동밸브(42), 전자변(43), 감압변(44), 상기 감압변(44)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물의 공급상태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수 감지센서(45)와; 상기 입수 감지센서(45)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는 유량센서(47)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수동밸브(42)는 수도관과 직결되어 수동으로 수도관과 연결된 세척수 공급관(41)을 개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자변(43)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세척수 공급관(41)을 개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감압변(44)은 세척수 공급관(41)을 통과하는 세척수의 압력을 적정한 압력으로 조정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 입수 감지센서(45)는, 상기 세척수 공급관(41)이 연결되면서 입,출수구(452)(453) 및 설치구(454)가 형성되는 'T'자형의 센서몸체(451)가 구비되고, 상기 입,출수구(452)(453) 사이의 센서몸체(451) 내부에 장착되어 세척수 공급관(41)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축(455)이 구비되며, 상기 센서몸체(451)의 설치구(454)에 장착되어 이송축(455)의 이송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457)를 작동시키는 레버(456)가 구비되고, 상기 레버(456)가 스위치(457')를 가압하면, 입,출수구(452)(453)로 이동되는 물의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스위치(457)를; 포함한다. 즉 상기 센서몸체(451)의 입수구(452)로 유입되는 물의 수압으로 이송축(455)이 이송됨은 물론 출구수(453)로 물이 배출되는데, 상기 이송축(455)의 이송에 따라 이송축(455)에 결합된 레버(456)가 설치구(454)를 중심으로 상향으로 회전하여 레버(456)가 마이크로스위치(457)의 스위치(457')에 접지됨과 동시에 물의 이동을 감지하게 되고, 감지된 데이터를 제어부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입수 감지센서(45)에서 물의 공급상태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상기 제어부에서는, 상기 히터부(46)에 전기를 공급하여 히터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N)은, 상기 설치구(454)에 장착된 레버(456)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설치구(454)에 체결되는 너트이다.
또한, 상기 입수 감지센서(45)와 유량센서(47) 사이의 세척수 공급관(41)에 구비되어 입수 감지센서(45)를 통과한 물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열하는 히터부(46)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히터부(46)는,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입,출구(461a)(461b) 및 내부에 세척수가 통과되는 유로(462)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온도센서(463)와 과열감지센서(464)가 구비된 히터케이스(461)와; 상기 유로(462)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통과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며, 외부에는 다수의 스크류형 방열핀(466)이 구비된 히터봉(465)을; 포함한다. 즉 상기 온도센서(463)는 유로(462)를 통과되는 세척수의 온도를 측정하며, 상기 과열감지센서(464)는 히터봉(465)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히터부(46)에는 히터봉(465)의 온도를 감지하는 과열감지센서(464)가 구비됨에 따라, 히터부(46)의 가동중에 이상과열로 문제가 발생될 위험에 있을 때 히터부(46) 전원을 차단하여 장치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유량센서(47)는 세척수 공급관(41)을 통과하는 세척수가 일정유량 이상이 감지되면, 제어부에 신호를 보냄으로서 상기 히터부(46)에 전기를 공급하여 히터를 가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세제액 공급부(5)는, 도 2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제액 배출구(34)에 구비된 세제액 인입관(341)으로 세제액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세제액 공급부(5)는, 케이스(1)의 하부에 전방으로 서랍식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세제액통(52)이 구비된 세제액 보충서랍(51)과; 상기 세제액통(52)의 하부와 상기 세제액 인입관(341)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펌프(531)가 구비된 세제액 공급관(53)를; 포함한다. 즉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펌프(531)의 작동을 통해 세제액을 상기 세제액 배출구(34)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기 공급부(6)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3)로 압축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손의 세척후 손을 건조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부(6)는, 상기 안전망(32)의 상부에 구비되어 안전망(32)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압축공기를 불어주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모터(611)를 가지는 송풍기(61)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송풍기(61)의 공기 배출측에는 공기를 가열할 있도록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히터(612)가 더 구비될 수도 있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먼저 세수대(2)에 손을 투입하면, 손 감지센서(7)가 손의 투입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출력한다.
그러면 제어부에서는 손 투입을 감지하여 세제액 공급부(5)를 구성하는 펌프(531)를 가동시켜 배출부(3)의 세제액 배출구(34)로 세팅된 설정시간동안 세제액을 투입한 후, 펌프(531)를 정지시켜 세제액의 투입을 중지한다.
다음 제어부에서는 세척액 투입부의 전자변(43)을 개방시켜 세척수 공급관(41)을 개방시킴에 따라, 세척수 배출노즐(33)로 세팅된 설정시간동안 세척액을 투입한 후, 전자변(43)을 폐쇄하는 과정을 통해, 손의 세척을 완료한다.
상기 손 세척이 완료되면,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전자변(43)에서 물의 공급이 중단됨과 아울러 수압에 의해 이송된 입수 감지센서(45)의 레버(456)는 스프링(S)의 복원력으로 복원됨과 동시에 스위치(457')에서 이탈되므로 마이크로스위치(457)의 작동이 중단되며, 상기 레버(456)에 결합된 이송축(455)이 복원되면서 다음의 동작을 대기하게 된다.
다음 제어부에서는 공기 공급부(6)의 모터(611)를 가동시켜 세팅된 설정시간동안 송풍기(61)를 작동시킴에 따라, 상기 배출부(3)의 안전망(32)으로 압축공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압축된 건조공기를 하향 배출시키는 과정을 통해 손의 건조를 완료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손 세척 건조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손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도 세척은 물론 건조까지도 가능한 장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스위치(미도시됨) 조작이나 제어부의 세팅을 통해, 선택적으로 히터부(46)를 가동시켜 온수의 사용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케이스
2 : 세수대
21 : 함몰부
22 : 세면대야 23 : 배수관
3 : 배출부
31 : 관통홀
32 : 안전망
33 : 세척수 배출노즐
331 : 세척수 인입관, 332 : 세척수 배출공
34 : 세제액 배출구
341 : 세제액 인입관
4 : 세척수 공급부
41 : 세척수 공급관
42 : 수동밸브
43 : 전자변
44 : 감압변
45 : 입수 감지센서
451 : 센서몸체, 452 : 입수구, 453 : 출수구,
454 : 설치구, 455 : 이송축,
456 : 레버, 457 : 마이크로스위치
46 : 히터부
461 : 히터케이스, 462 : 유로, 463 : 온도센서,
464 : 과열감지센서, 465 : 히터봉, 466 : 스크류형 방열핀
47 : 유량센서
5 : 세제액 공급부
51 : 세제액 보충서랍
52 : 세제액통
53 : 세제액 공급관
531 : 펌프
6 : 공기 공급부
61 : 송풍기
611 : 모터, 612 : 히터
7 : 손 감지센서

Claims (8)

  1. 케이스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함몰되게 구비되며 하부에 배수관이 구비된 세수대와;
    상기 세수대의 상부 중앙에 구비되어 세제액과 세척수 및 건조공기를 각기 하부로 배출하는 배출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며, 외부의 수도관과 연결되어 상기 배출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도록 상기 수도관과 상기 세척수 인입관을 연결하는 세척수 공급관이 구비되고, 상기 세척수 공급관에 순차적으로 설치된 수동밸브, 전자변, 감압변이 구비되며, 상기 감압변을 통과하여 공급되는 물의 공급상태를 제어부로 전송하는 입수 감지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입수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물을 감지하는 유량센서가 구비되는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세제액 탱크의 세제액을 상기 배출부로 공급하는 세제액 공급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부로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부와;
    상기 세수대의 상부 전방에 구비되는 손 감지센서와;
    상기 손 감지세서의 감지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세제액 공급부와 세척수 공급부 및 공기 공급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척 건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세수대의 상부에 구비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수평으로 장착되어 관통홀을 커버하는 안전망와;
    상기 안전망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되게 장착되며, 상부가 막혀있고 하부에는 다수의 세척수 배출공이 형성되고, 상부로 세척수 인입관이 연결된 세척수 배출노즐과;
    상기 세척수 배출노즐의 둘레 일측에 상부가 막히고 하부가 개방되게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부로 세제액 인입관이 연결된 세제액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척 건조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감지센서는,
    상기 세척수 공급관이 연결되면서 입,출수구 및 설치구가 형성되는 'T'자형의 센서몸체와;
    상기 입,출수구 사이의 센서몸체 내부에 장착되어 세척수 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이송하는 이송축과;
    상기 센서몸체의 설치구에 장착되어 이송축에 의해 마이크로스위치를 작동시키는 레버와;
    상기 레버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면, 물이 이동되는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에 출력하는 마이크로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척 건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입수 감지센서와 유량센서 사이의 세척수 공급관에 구비되어 입수 감지센서를 통과하는 물을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가열하는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척 건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부는,
    세척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입,출구 및 내부에 세척수가 통과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온도센서와 과열감지센서가 구비된 히터케이스와;
    상기 유로의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를 통해 통과되는 세척수를 가열하며, 외부에는 다수의 스크류형 방열핀이 구비된 히터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척 건조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액 공급부는,
    상기 케이스의 하부에 전방으로 서랍식으로 개방되게 구비되며, 내부에는 세제액통이 구비된 세제액 보충서랍과;
    상기 세제액통의 하부와 상기 세제액 인입관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펌프가 구비된 세제액 공급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척 건조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부는,
    상기 안전망의 상부에 구비되어 안전망의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압축공기를 불어주고, 공기의 배출측에는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히터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는 모터를 가지는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척 건조장치.
KR1020120096065A 2012-08-31 2012-08-31 손 세척 건조장치 KR101231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065A KR101231844B1 (ko) 2012-08-31 2012-08-31 손 세척 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96065A KR101231844B1 (ko) 2012-08-31 2012-08-31 손 세척 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844B1 true KR101231844B1 (ko) 2013-02-08

Family

ID=47899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96065A KR101231844B1 (ko) 2012-08-31 2012-08-31 손 세척 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8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969A (zh) * 2014-08-29 2014-12-03 深圳市高科金信净化科技有限公司 全自动洁净洗手机及清洁方法
WO2016114650A3 (en) * 2015-01-13 2016-09-22 Hydrowashr B.V. Washing device for washing objects, and heater and method therefor
KR101855180B1 (ko) 2017-01-20 2018-06-14 백병선 에어타월이 구비된 자동수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784U (ja) * 1998-02-25 1998-11-13 株式会社シルク工芸 洗浄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784U (ja) * 1998-02-25 1998-11-13 株式会社シルク工芸 洗浄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172969A (zh) * 2014-08-29 2014-12-03 深圳市高科金信净化科技有限公司 全自动洁净洗手机及清洁方法
WO2016114650A3 (en) * 2015-01-13 2016-09-22 Hydrowashr B.V. Washing device for washing objects, and heater and method therefor
NL2014125A (nl) * 2015-01-13 2016-09-26 Hydrowashr B V Wasinrichting voor het wassen van objecten, en verwarmer en werkwijze daarvoor.
KR101855180B1 (ko) 2017-01-20 2018-06-14 백병선 에어타월이 구비된 자동수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76278B1 (en) Auto cleaning toilet seat and drying system
KR101231844B1 (ko) 손 세척 건조장치
KR100718696B1 (ko) 자동 손 소독기
KR20160003378U (ko) 수전부의 손 건조장치
CN105195481A (zh) 器皿清洗消毒机
KR101581447B1 (ko) 도기 일체형 비데의 물공급 장치
CA3049106A1 (en) Bidet device
KR20030078508A (ko)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스팀진공청소기와 이를 이용한스팀발생 및 자동세척방법
CN214208189U (zh) 一种智能清洗消毒干手一体机
KR100585485B1 (ko) 비데 변좌 및 변기 제균장치
US20130256294A1 (en) Device for heating water for a combination shower-wc
JP2004011315A (ja) 手の洗浄・乾燥・消毒セット
JP3491085B2 (ja) 蛇口ユニット
KR101282971B1 (ko) 자동 손 세척기
KR20160066117A (ko) 손 건조기가 구비된 수전
KR100821680B1 (ko) 인출식 건조노즐이 장착된 비데
KR101277632B1 (ko) 샤워기
KR101561927B1 (ko) 비데의 온수장치
KR101855180B1 (ko) 에어타월이 구비된 자동수전
KR100550600B1 (ko) 훈증장치가 구비된 비데
KR101000416B1 (ko) 손 세척장치
KR101945403B1 (ko)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KR101144441B1 (ko) 절수 기능이 구비된 욕실의 샤워장치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102180145B1 (ko) 건조 기능을 구비한 전자식 비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