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734B1 -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734B1
KR102053734B1 KR1020180161234A KR20180161234A KR102053734B1 KR 102053734 B1 KR102053734 B1 KR 102053734B1 KR 1020180161234 A KR1020180161234 A KR 1020180161234A KR 20180161234 A KR20180161234 A KR 20180161234A KR 102053734 B1 KR102053734 B1 KR 102053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p sheet
pack
pulp
discharge
discharg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윤
Original Assignee
김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윤 filed Critical 김경윤
Priority to KR1020180161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7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8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with tearing edges having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3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 A47K10/38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web, e.g.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the web being rolled up with or without tearing edge
    • A47K2010/389Accessories or combination with other devices, e.g. music boxes, clocks, heating devices or shelf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펄프롤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펄프롤에서 펄프 시트를 인출시켜 공급하는 이송롤러; 이송되는 펄프 시트에 팩 영양제를 공급하는 팩 영양제 공급부; 팩 영양제 공급부와 연동되어 펄프 시트에 에센스를 공급하는 에센스 공급부; 팩 영양제 공급부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이송되는 펄프 시트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이송되는 펄프 시트를 커터로서 일정 길이로 절취하는 절취부; 본체에서 회전되면서 절취부에 의해 절취된 일정 길이의 펄프 시트를 배출시키는 배출롤러; 배출롤러와 이격된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롤러와의 사이에서 배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펄프 시트를 롤 형태로 말아 배출시키는 가이더;를 포함하는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Manufacturing method for mask pack and wet tissue}
본 발명은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팩 및 물티슈를 필요시마다 자동으로 즉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음식을 먹기 전후에 손과 같은 신체를 닦거나 또는 음식물이 신체 또는 의류에 묻었을 때 청결을 위해 물티슈를 많이 사용한다.
기존의 물티슈는 티슈에 액체가 적셔진 상태로 하나씩 소포장 단위로 포장되어 유통이 이루어지므로, 필요한 경우 포장지를 벗겨내고 사용하는 형태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나, 이러한 형태는 제조 후에 사용될 때까지 포장지 내에서 티슈가 액체에 적셔진 상태로 냉장 또는 위생적으로 보관되어야 하므로 별도의 보관 비용이 소요되고, 제조하는 과정에서 포장지의 포장 작업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며, 사용한 다음에는 불필요한 포장지가 남게 되어 주위환경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었다.
최근에는 종래의 물티슈와 물수건을 대체하는 압축티슈가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압축티슈는 주로 코인(coin) 형태로 되어 있는데, 이 코인 형의 압축티슈는 펄프를 가공해서 부직포를 만든 다음, 이 부직포를 적당한 크기로 잘라서 하나씩 압축 프레스에 넣고 압축해서 동전 모양을 만든 것이다.
압축티슈는 소정량의 물을 가하면, 부피가 커지면서 압축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므로, 일반 물티슈와 동일한 상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압축티슈의 장점은 완전 건조한 상태로 보관되었다가 필요한 때에 물을 부어 사용하므로 세균번식이 불가능하고, 보관 및 운반이 간편하다는데 있다.
그러나, 일일이 물을 부어 사용해야 하므로 종래의 물티슈에 비해 사용이 불편하고, 음식점 등에서는 손님이 압축티슈를 담아 물을 부어 넣을 수 있도록 별도의 그릇을 제공해야 하므로 일손에 부담이 가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음식점의 종업원들이 압축티슈를 손에 들고 와서 손님에게 건네주는 과정에서 압축티슈가 오염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압축티슈를 미리 담아 두고 있다가 필요할 때에 압축티슈에 물을 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10618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압축티슈 보관 배출기가 개발되었는데, 기존의 압축티슈 보관 배출기는 압축티슈가 저장된 부분과 물이 나오는 부분이 서로 유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기능상 완전히 분리되어 있어서, 압축티슈를 사용하려면 일일이 압축티슈를 꺼내서 물이 나오는 부분에 올려놓고 물을 배출시켜야 하는 등 사용하기가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이로써, 압축티슈가 위생상 안전하고 보관이 편리한 장점을 가지고 있더라도, 이 압축티슈를 보다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물에 적셔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지 않는 한, 압축티슈의 활용도는 제한될 수밖에 없다.
한편, 얼굴의 미용, 보습 등의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되는 마스크팩은 얼굴을 덮어 일시적으로 외기를 차단하여 보습과 더불어 피부에 축적된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기 위해 시트에 유수분과 그리고 필요에 따라 기능성 앰플을 수용한 것이다.
이러한 마스크팩은 앰플을 피부에 전달하는 컨테이너 역할을 하는 것으로, 마스크팩의 시트는 순면 시트, 초극세사 그린 시트, 저자극 나노 시트,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와 같이 요구되는 기능에 따라 다양한 재료의 시트로부터 눈부분과 입부분을 절취한 둥근 형태로 제조된다.
이와 같은 마스크팩은 국내 등록특허 제10-1651803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와 같은 마스크팩 제조장치를 통해 대량 생산되고 낱개로 포장되어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이 제조된 마스크팩은 소비자에게 포장 형태로 제공되어 보관은 용이하나, 보관에 유통기한이 있으므로 필요치 않더라도 유통기한 이내에 보관 중인 마스크팩을 모두 사용하여 소진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마스크팩은 소진 후에는 매장에 들려 재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유통기한을 감안하면 많은 양의 마스크팩을 구매하는 것이 부담스럽기 때문에, 자주 매장을 방문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20-0410618호 국내 등록특허 제10-1651803호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제조장치로서 마스크팩 또는 물티슈를 선택하여 필요시마다 자동으로 즉시 만들어 제공할 수 있는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는, 펄프롤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펄프롤에서 펄프 시트를 인출시켜 공급하는 이송롤러; 이송되는 펄프 시트에 팩 영양제를 공급하는 팩 영양제 공급부; 팩 영양제 공급부와 연동되어 펄프 시트에 에센스를 공급하는 에센스 공급부; 팩 영양제 공급부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이송되는 펄프 시트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이송되는 펄프 시트를 커터로서 일정 길이로 절취하는 절취부; 본체에서 회전되면서 절취부에 의해 절취된 일정 길이의 펄프 시트를 배출시키는 배출롤러; 배출롤러와 이격된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롤러와의 사이에서 배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펄프 시트를 롤 형태로 말아 배출시키는 가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팩 영양제 공급부는, 본체에 구비되는 홀더와, 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팩 영양제가 저장되어 있는 원통의 앰플 용기들을 포함하고, 홀더에는 앰플 용기가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한편 그 내측에는 토출부가 있는 홀딩부가 구비되고, 각 홀딩부에는 각각의 공급노즐이 토출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각 공급노즐과 각 토출부 사이에는 공급노즐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각각의 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원통의 앰플 용기에는 홀더의 토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돌출된 토출부와, 에어홀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홀딩부의 상단부에는 앰플 용기의 상면에 형성된 고정홈에 결합되어 앰플 용기를 홀더에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돌부가 구비되어, 앰플 용기가 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에 따르면, 사용자가 마스크팩 모드 또는 물티슈 모드를 선택함에 따라 자동으로 마스크팩 또는 물티슈를 즉시 만들어 제공함으로써 필요시마다 간편하게 마스크팩 또는 물티슈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상부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2a는 가이드롤러 및 상부 가이더의 구성도이고, 도 2b는 가이드롤러와 상부 가이더 사이로 인출되는 펄프 시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내측 정면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절취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4a는 커터의 구성도이고, 도 4b는 커터를 회전시키는 회전캠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팩 영양제 공급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팩 영양제 공급부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팩 영양제 공급부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조장치의 배출롤러와 하부 가이더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6a는 펄프 시트의 배출 전 상태이고, 도 6b는 펄프 시트의 배출 시 상태의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이다.
그리고, 아래 실시예에서의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및 이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조장치의 외관을 이루는 본체(10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체(100)는 그 전면부에는 제조장치의 작동을 전반적으로 컨트롤하기 위한 컨트롤부(미도시)가 구비되고, 이 컨트롤부의 하부에는 롤 형태의 펄프 시트(121)가 인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된다.
게다가, 본체(100)는 그 내부에 펄프롤(120)이 수용되는 펄프롤 수용부(110)와, 펄프롤(120)에서 인출되는 펄프 시트(121)를 일정 길이로 절취하는 절취부와, 절취된 펄프 시트(121)에 팩 영양제를 공급하는 팩 영양제 공급부(P)와, 절취된 펄프 시트(121)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와, 팩 영양제 또는 물이 공급된 펄프 시트(121)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배출롤러(170)를 포함한다.
펄프롤 수용부(110)는 본체(100)의 내측 상부에 펄프롤(120)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부로 제공되고, 이 펄프롤 수용부(110) 내에는 펄프롤(120)이 회전가능한 상태로 수용되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펄프롤(120)에서 펄프 시트(121)를 인출시키면, 펄프롤(120)이 펄프롤 수용부(110) 내에서 제자리 회전되면서 펄프 시트(121)가 인출된다.
그리고, 펄프 시트(121)가 인출되는 펄프롤 수용부(110)의 출입구에는 도 1에서와 같이 이송롤러(1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롤러(130)는 후술될 배출롤러(170)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펄프 시트(121)에 의해 공회전되는 아이들링 상태로 구비될 수 있고, 또는 이송롤러(130)에 배출롤러(170)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이송롤러(130)를 배출롤러(170)와 같이 강제 구동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송롤러(130)의 외측면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감김된 펄프 시트(121)를 직접 이송시키는 다수의 고무링(131)이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어, 펄프 시트(121)를 정밀하게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고무링(131)은 이송롤러(130)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직경을 갖도록 구비되어 펄프 시트(121)와 직접 접촉되게 구비된다.
게다가, 이송롤러(130)와 이격된 본체(100)에는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의 상부 가이더(132)가 이송롤러(130)와 마주하도록 구비되고, 상부 가이더(132)는 이송롤러(130)의 외주면에 대응한 곡률을 갖는 원호로 형성되어 구비된다.
이로써, 펄프 시트(121)는 도 2b에서와 같이, 이송롤러(130)와 상부 가이더(132) 사이를 통해 가이드되어 이송됨으로써 이송롤러(130)에 접한 상태로 안정적이면서 정밀한 이송이 이루어지게 된다.
절취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롤러(130) 전방의 본체(100) 내에 구성되어, 이송되는 펄프 시트(121)를 일정 길이로 절취하게 된다.
이러한 절취부는 커터(140) 즉 칼날을 포함하고, 이 커터(140)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는 본체(100)에 회전가능하게 힌지 결합되고, 타단부 즉 선단부는 본체(100) 내측면의 상부 가이드공(101)을 따라 직선 이동되면서 펄프 시트(121)를 절취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커터(140)에 의해 절취되는 펄프 시트(121)는 이송롤러(13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컨트롤부에서 펄프 시트(121)의 인출량을 측정할 수 있으므로 컨트롤부에 설정된 셋팅값에 따라 일정 길이로 절취된다.
이때, 이송롤러(130)에 엔코더를 설치하여 이송롤러(130)의 회전수를 통해 펄프 시트(121)의 길이를 측정할 수도 있고, 또는 이송롤러(130)에 타이밍기어를 구비하여 펄프 시트(121)의 길이를 측정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커터(140)는 그 표면에 커터(14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된 절개공(141)이 형성되고, 이 절개공(141)은 직선 이동되는 커터(140)의 선단부까지 완전히 관통되게 절개 형성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커터(140)는 회전캠(150)에 의해 그 일단부를 축으로 선단부가 본체(100) 내에서 직선 이동되게 구비된다.
회전캠(150)은 본체(100)의 전방부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61)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고정브라켓(161)의 하면에는 회전모터(160)가 고정되게 구비되어, 고정브라켓(161) 상에서 회전캠(150)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회전캠(150)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일단부에 구비되어 고정브라켓(161)을 관통한 상태로 회전모터(160)에 연결되는 회전축(152)과, 타단부에는 커터(140)의 절개공(141)에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구비되는 캠축(151)을 포함한다.
특히, 회전모터(160)와 회전축(152) 사이에는 회전모터(160)의 동력을 회전축(152)의 회전력으로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이 구성되고, 이 동력전달수단은 베벨기어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모터(160)가 구동되면, 이의 동력이 회전캠(150)의 회전축(152)을 회전시키는 회전력으로 전달됨으로써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캠(150)이 회전되고, 회전캠(150)의 선단부에 구비된 캠축(151)이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원을 그리며 회전되므로 커터(140)가 본체(100)에 힌지 결합된 일단부를 기준으로 커터(140)의 선단부가 본체(100) 내에서 전후로 이동되면서 펄프 시트(121)를 컷팅하여 절취하게 된다.
팩 영양제 공급부(P)는 절취부 하부에 구성되어, 후술될 배출롤러(170) 측으로 유입되는 펄프 시트(121)에 다양한 기능성의 팩 영양제를 공급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펄프 시트(121)에 팩 영양제가 공급되면 펄프 시트(121)를 마스크팩으로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팩 영양제 공급부(P)는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더(400)와, 홀더(400)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각각의 팩 영양제가 저장되어 있는 원통의 앰플 용기(500)들을 포함한다.
홀더(400)는 도 5a에서와 같이, 바닥면을 형성하는 수평부(420)와, 수평부(420)에 각각 수직하게 돌출되는 다수의 수직부(410)로 구성된다.
홀더(400)의 수평부(420)는 그 중앙부에 함몰된 요홈의 토출부(421)가 형성되고, 수평부(420)의 하면에는 토출부(421)와 연통되게 설치되는 공급노즐(423)이 구비된다. 이때, 토출부(421)에는 앰플 용기(500) 내에 액체 상태로 저장된 팩 영양제가 스며들어 일정량씩 배출될 수 있도록 솜이나 부직포 등이 적층되게 구비될 수 있고, 공급노즐(423)은 후술될 배출롤러(170) 측으로 이송되는 펄프 시트(121)에 액상의 팩 영양제를 분사하여 도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공급노즐(423)과 토출부(421) 사이에는 공급노즐(423)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밸브(422)가 구비되고, 이 개폐밸브(422)는 컨트롤부에 의해 이의 개폐 타이밍 등이 제어되어 펄프 시트(121)로 공급되는 팩 영양제의 공급량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홀더(400)의 수직부(410)는 앰플 용기(500)에 대응한 높이로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는 수직부(410)에서 수직하게 돌출되는 고정돌부(411)가 수평부(420)와 나란히 구비되며, 이 고정돌부(411)는 앰플 용기(500)의 상면에 형성되는 고정홈(520)에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걸림 고정된다.
이때, 고정돌부(411)는 그 중앙부에 하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돌출부(411a)가 형성되고, 이에 대응한 앰플 용기(500)의 고정홈(520) 역시도 그 중앙부가 양 가장자리에서 완만하게 함몰되게 형성되어, 고정돌부(411)의 돌출부(411a)가 고정홈(520)에 삽입되어 결합됨으로써 앰플 용기(500)를 홀더(400)에 견고히 지지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고정돌부(411)의 선단부는 고정홈(520)에 삽입되지 않고 앰플 용기(500)의 상면에 접한 상태로 구비되어 있으므로 고정돌부(411)를 고정홈(520)에서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수직부(410)의 양단부에는 앰플 용기(500)의 원주에 대응한 곡률로서 라운드지게 돌출된 홀딩부(412)가 형성되고, 이 홀딩부(412)는 각 앰플 용기(5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구비되어 각각의 앰플 용기(500)가 이격된 상태로 홀더(400)에 견고히 결합 고정된다.
게다가, 각 홀딩부(412)에는 홀더(400)에 구비되는 앰플 용기(500)의 장착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13)가 구비될 수 있고, 이 감지센서(413)의 감지신호에 따라 컨트롤부가 개폐밸브(422)를 제어하여 해당 공급노즐(423)을 개폐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앰플 용기(500)는 원통으로 형성되고, 그 하면에 홀더(400)의 토출부(421)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토출부(510)가 돌출되게 구비되며, 이 토출부(510)는 앰플 용기(500)보다 작은 직경으로 경사지게 돌출됨으로써 앰플 용기(500) 내에 저장된 액상의 팩 영양제는 토출부(510) 측으로 유입되어 마지막까지 남김없이 모두 토출시킬 수 있고, 앰플 용기(500)의 토출부(510)는 홀더(400)의 토출부(42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앰플 용기(500)의 상면 가장자리 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400)의 고정돌부(411)가 탄력적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고정홈(520)이 형성되고, 고정홈(520)과 이격된 중앙부에는 미세한 에어홀(530)이 천공되며, 이 에어홀(530)은 방지테이프(531)로서 봉인되게 구비된다. 이후, 앰플 용기(500)를 홀더(400)에 장착한 후에는 방지테이프(531)를 떼어내 분리시킴으로써 앰플 용기(500) 내의 팩 영양제가 토출부(510)를 통해 토출될 수 있게 된다.
물 공급부는 전술한 팩 영양제 공급부(P)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배출롤러(170) 측으로 유입되는 펄프 시트(121)에 물을 분사하여 공급하게 되고, 이와 같이 펄프 시트(121)에 물이 공급되면 펄프 시트(121)를 물티슈로 제조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물 공급부와 팩 영양제 공급부(P)는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즉, 물티슈 제조시에는 물 공급부가 작동됨과 동시에 팩 영양제 공급부(P)는 중지되고, 마스크팩 제조시에는 팩 영양제 공급부(P)가 작동됨과 동시에 물 공급부는 중지될 수 있으며, 또는 물티슈 제조시에 물 공급부와 팩 영양제 공급부(P)가 함께 작동되어 제조되는 물 티슈에 마스크팩과 같은 기능성을 추가하여 제공할 수도 있다.
물 공급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프롤 수용부(110)의 후단부에 격리되게 실장되는 물통(190)과, 물통(190)에 연결되어 물을 배출롤러(170) 측으로 유입되는 펄프 시트(121)에 공급하기 위한 공급관(191)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물통(190)의 공급관(191)에는 히팅챔버(192)가 더 구비되고, 히팅챔버(192)에는 물통(190)의 공급관(191)을 통해 유입된 냉수를 가열시켜 온수화하는 히터(미도시)가 내장되게 구비되며, 히팅챔버(192)에는 이에 저장된 냉수 또는 온수를 배출롤러(170) 측으로 유입되는 펄프 시트(121)에 분사하여 공급하는 공급노즐(193)이 구비된다.
게다가, 물통(190)이 실장된 본체(100)에는 피부 보습을 위한 액상의 에센스가 저장되는 에센스통(194)이 더 구비될 수 있고, 에센스통(194)에는 펄프 시트(121)로 에센스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노즐(195)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에센스의 공급은 컨트롤부에 의해 팩 영양제 공급부(P) 또는 물 공급부의 작동과 연동되게 구비된다.
배출롤러(170)는 팩 영양제 공급부(P)와 이격된 본체(100)의 내측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영양제 또는 물이 공급된 펄프 시트(121)를 본체(100) 외측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러한 배출롤러(170)에는 이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인 모터(미도시)가 구비되어 배출롤러(170)를 강제 회전시키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출롤러(17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주면이 고무재질로 구비되고, 고무재질의 원주면에는 다수의 돌기(171)가 돌출 형성되며, 다수의 돌기(171)가 펄프 시트(121)에 점접촉된 상태로 배출롤러(170)의 회전방향을 따라 펄프 시트(121)를 이송시켜 배출시키게 된다.
그리고, 배출롤러(170)와 이격된 본체(100)의 내측 하부에는 배출롤러(170)에 의해 배출되는 펄프 시트(121)를 롤 형태로 말아 배출시키기 위한 고무재질의 하부 가이더(180)가 구비되고, 하부 가이더(180)와 배출롤러(170) 사이에는 펄프 시트(121)가 유입되어 이송될 수 있는 통로가 형성된다.
게다가, 배출롤러(170)와 마주하는 하부 가이더(180)의 일면에는 도 6b에서와 같이, 다수의 돌기(182)가 돌출 형성되고, 하부 가이더(180)의 선단부에는 가이드축(181)이 삽입되어 구비되며, 가이드축(181)은 본체(100)의 하부 가이드공(102)에 삽입되어 펄프 시트(121)의 배출시 롤 형태로 말린 펄프 시트(121)에 의해 탄성적으로 전진 이동되면서 배출롤러(170)의 간격을 확장시키게 되고, 펄프 시트(121)의 배출 후에는 가이드축(181)이 후진 이동되어 원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펄프 시트(121)는 배출롤러(170)와 하부 가이더(180) 사이로 유입되어 하부 가이더(180)에 부착되는데, 이 상태에서 펄프 시트(121)의 상면에 배출롤러(170)의 돌기(171)가 접하면서 펄프 시트(121)를 이의 회전방향으로 이송시킴으로써 펄프 시트(121)는 고정된 하부 가이더(180)와 회전되는 배출롤러(170) 사이에서 롤 형태로 말리면서 본체(10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에서와 같이, 펄프롤 수용부(110) 내의 펄프롤(120)에서 펄프 시트(121)를 인출시켜 이송롤러(130)에 감은 후, 이를 다시 배출롤러(170)와 하부 가이더(180) 사이로 유입시킨 상태에서 배출롤러(170)를 회전 구동시킨다.
그러면, 배출롤러(170)의 회전에 의해 펄프롤(120)에서 펄프 시트(121)가 풀리면서 인출되고, 이와 같이 인출되는 펄프 시트(121)는 컨트롤부가 이송롤러(130)의 회전수를 감지하여 절취부의 커터(140)로서 인출되는 펄프 시트(121)를 일정 길이로 절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취된 일정 길이의 펄프 시트(121)는 배출롤러(170)와 하부 가이더(180) 사이로 유입되어 롤 형태로 말린 상태로 본체(100)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때, 사용자가 제조장치 전면의 컨트롤부에서 물티슈 모드를 선택하면, 컨트롤부에 의해 팩 영양제 공급부(P)는 작동이 중지되고, 물 공급부가 작동되어 물통(190) 내의 물을 공급관(191)을 통해 히팅챔버(192)로 공급하게 되며, 히팅챔버(192)에 공급된 물은 공급노즐(193)을 통해 배출롤러(170)와 하부 가이더(180) 사이로 유입되는 펄프 시트(121)에 분사되어 공급된다.
따라서, 펄프 시트(121)는 물을 함유한 상태로 배출롤러(170)와 하부 가이더(180) 사이를 통과하면서 롤 형태로 말려 배출되고, 이를 사용자가 곧바로 사용하게 되므로 위생적이고 필요시마다 만들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만들어진 차가운 물티슈인데, 따뜻한 물티슈를 만들 경우에는 히팅챔버(192)의 히터를 작동시켜 히팅챔버(192) 내의 물을 가열하여 온수화시키고, 이 온수를 공급노즐(193)을 통해 펄프 시트(121)에 분사하여 공급함으로써 롤 형태로 말린 따뜻한 물티슈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가 제조장치 전면의 컨트롤부에서 마스크팩 모드를 선택하면, 컨트롤부에 의해 물 공급부는 작동이 중지되고, 팩 영양제 공급부(P)가 작동되어 홀더(400)의 개폐밸브(422)를 모두 개방시키게 된다.
그러면, 앰플 용기(500) 내의 팩 영양제가 홀더(400)의 토출부(421)를 통해 공급노즐(423)로 공급되고, 공급노즐(423)로 공급된 팩 영양제는 배출롤러(170)와 하부 가이더(180) 사이로 유입되는 펄프 시트(121)의 일면에 분사되어 공급된다.
그리고, 이때 에센스통(194)에 저장된 에센스 역시도 컨트롤부에 의해 제어되어 이의 공급노즐(195)을 통해 펄프 시트(121)의 반대면에 분사되어 공급된다.
따라서, 펄프 시트(121)는 다양한 팩 영양제와 에센스를 함유한 상태로 배출롤러(170)와 하부 가이더(180) 사이를 통과하면서 롤 형태로 말린 마스크팩을 배출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게 되고, 사용자는 롤 형태의 마스크팩을 자신의 이목구비 맞게 오린 후 사용한다.
또한, 컨트롤부의 설정에 따라, 물 티슈 제조시에 전술한 팩 영양제 공급부(P)를 물 공급부와 함께 작동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조되는 물 티슈는 팩 영양제가 더 첨가된 다양한 기능성을 갖는 물 티슈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본체 101,102 : 가이드공
110 : 펄프롤 수용부 120 : 펄프롤
121 : 펄프 시트 130 : 이송롤러
131 : 고무링 132 : 상부 가이더
140 : 커터 141 : 절개공
150 : 회전캠 151 : 캠축
152 : 회전축 160 : 회전모터
161 : 고정브라켓 170 : 배출롤러
171 : 돌기 180 : 하부 가이더
181 : 가이드축 182 : 돌기
190 : 물통 191 : 공급관
192 : 히팅챔버 193 : 공급노즐
194 : 에센스통 195 : 공급노즐
400 : 홀더 410 : 수직부
411 : 고정돌부 411a : 돌출부
412 : 홀딩부 413 : 감지센서
420 : 수평부 421 : 토출부
422 : 개폐밸브 423 : 공급노즐
500 : 앰플(ampoule) 용기 510 : 토출부
520 : 고정홈 530 : 에어홀
531 : 방지테이프

Claims (3)

  1. 펄프롤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본체;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펄프롤에서 펄프 시트를 인출시켜 공급하는 이송롤러; 이송되는 펄프 시트에 팩 영양제를 공급하는 팩 영양제 공급부; 팩 영양제 공급부와 연동되어 펄프 시트에 에센스를 공급하는 에센스 공급부; 팩 영양제 공급부와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이송되는 펄프 시트에 물을 공급하는 물 공급부; 이송되는 펄프 시트를 커터로서 일정 길이로 절취하는 절취부; 본체에서 회전되면서 절취부에 의해 절취된 일정 길이의 펄프 시트를 배출시키는 배출롤러; 배출롤러와 이격된 하부에 구비되어 배출롤러와의 사이에서 배출롤러에 의해 이송되는 펄프 시트를 롤 형태로 말아 배출시키는 가이더;를 포함하고,
    팩 영양제 공급부는, 본체에 구비되는 홀더와, 홀더에 착탈가능하게 구비되는 팩 영양제가 저장되어 있는 원통의 앰플 용기들을 포함하며,
    홀더에는 앰플 용기가 각각 삽입되어 수용되는 한편 그 내측에는 토출부가 있는 홀딩부가 구비되고, 각 홀딩부에는 각각의 공급노즐이 토출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각 공급노즐과 각 토출부 사이에는 공급노즐의 유로를 개폐시키는 각각의 개폐밸브가 구비되고,
    원통의 앰플 용기에는 홀더의 토출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돌출된 토출부와, 에어홀이 구비되는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홀딩부의 상단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는 고정돌부가 구비되고, 앰플 용기에는 고정돌부의 돌출부가 삽입 결합되는 고정홈이 형성되어, 고정돌부의 돌출부와 고정홈의 결합에 의해 앰플 용기가 홀더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KR1020180161234A 2018-12-13 2018-12-13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KR102053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234A KR102053734B1 (ko) 2018-12-13 2018-12-13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1234A KR102053734B1 (ko) 2018-12-13 2018-12-13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53734B1 true KR102053734B1 (ko) 2019-12-09

Family

ID=68837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1234A KR102053734B1 (ko) 2018-12-13 2018-12-13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73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60B1 (ko) * 2021-01-28 2021-09-30 (주)진코스텍 마스크 필름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618Y1 (ko) 2005-12-09 2006-03-09 김석화 압축티슈 보관/배출기
KR101651803B1 (ko) 2016-03-03 2016-08-26 최정회 마스크팩 제조장치
KR20170042103A (ko) * 2015-10-08 2017-04-18 주식회사 하이솔링스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618Y1 (ko) 2005-12-09 2006-03-09 김석화 압축티슈 보관/배출기
KR20170042103A (ko) * 2015-10-08 2017-04-18 주식회사 하이솔링스 물티슈 자동 제조장치
KR101651803B1 (ko) 2016-03-03 2016-08-26 최정회 마스크팩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5760B1 (ko) * 2021-01-28 2021-09-30 (주)진코스텍 마스크 필름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WO2022163896A1 (ko) * 2021-01-28 2022-08-04 (주)진코스텍 마스크 필름을 이용한 하이드로겔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77410B2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tissue
US20060070990A1 (en) Hygienic wipes steamer
KR102053734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KR100555593B1 (ko) 물수건 공급 장치
US643111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towels
KR102053732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CN111839314A (zh) 一种即抽即湿型湿巾
KR102054078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CN209153387U (zh) 纸巾分配器
US20020187276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towels
KR100256780B1 (ko) 물수건 제조기
CN210300678U (zh) 一种智能化一体饮茶机
KR200390511Y1 (ko) 즉석 물수건제조기
KR19990013665U (ko) 물수건 제조기
CN113367970A (zh) 一种带布套的艾灸盒
US20210289981A1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JP3081592B2 (ja) 巻おしぼり製造装置
CN206213987U (zh) 定量皂盒的定量调节装置
US6250499B1 (en) Tam box
CN206213988U (zh) 定量皂盒
CN206213986U (zh) 定量皂盒的皂盒
KR20000000242A (ko) 위생티슈 자동공급장치
TWM582367U (zh) Wet sanitary tissue water supply structure device
JPH0399619A (ja) 巻きおしぼり製造装置の運転方法
US20060289440A1 (en) Hygienic wipes steam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