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3197Y1 -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 Google Patents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3197Y1
KR200263197Y1 KR2020010030584U KR20010030584U KR200263197Y1 KR 200263197 Y1 KR200263197 Y1 KR 200263197Y1 KR 2020010030584 U KR2020010030584 U KR 2020010030584U KR 20010030584 U KR20010030584 U KR 20010030584U KR 200263197 Y1 KR200263197 Y1 KR 2002631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torage container
valve
water supply
wet t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30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낙원
Original Assignee
정낙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낙원 filed Critical 정낙원
Priority to KR2020010030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1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1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197Y1/ko

Links

Landscapes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상측에 개구부(도시 안됨)가 형성되며, 하측에 펌프(52; 도 1에 도시됨)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111)를 구비하는 수조부(110)가 형성되는 저장케이스(100)와; 저장케이스(100)에 개구부를 통해 삽입 장착되고, 하측에 물주입구(210)가 형성되며, 물주입구(210)에 마개(2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장용기(200)와; 저장용기(200)의 마개(220)에 밸브몸체(310)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밸브몸체(310)의 중심부에 삽입홀(311)이 형성되며, 삽입홀(311)의 주위에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가 형성되고, 삽입홀(311)에 밸브레버(320)가 스프링(33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를 개폐하는 패킹(340)이 결합되며, 밸브레버(320)의 하단에 부력에 의해 밸브레버(3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패킹(340)이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부유물(350)이 결합되는 개폐밸브(30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물이 저장된 저장용기를 물수건 제작기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물수건 제작기에 물을 보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장용기를 청소할 수 있으며, 외측으로부터 저장용기 내측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이 원활하게 펌프측으로 공급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TANK FOR SUPPLYING WATER OF A WET TOWEL MANUFACTURE SYSTEM}
본 고안은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물이 저장된 저장용기를 물수건 제작기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이 원활하게 펌프측으로 공급되도록 공기가 저장용기 내측에 공급되는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수건은 음식점, 여객기 등의 다양한 장소에서 간편하게 손 등을 닦을 수 있도록 면재질의 종이류 또는 부직포에 물이 적셔진 상태로 제공된다. 이러한 물수건을 신속하고도 편리하게 제공되기 위하여 다양한 물수건 제조장치들이 개발되어 왔다.
물수건을 제조하기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물수건 제작기를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80460호에 공개된 것을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물수건 제작기는 본체(1) 후방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수건 원단이 롤형태로 감겨지는 수건원단장착부(10)와, 수건원단장착부(10)에 감겨진 수건을 일정한 길이로 인출하여 배출하는 배급수단(20)과, 배급수단(20)으로부터 배출된 수건을 일정한 길이로 절단하는 커팅수단(30)과, 커팅수단(30)에 의해 절단된 수건에 물을 분사함과 아울러 롤형태로 감아 공급하는 권취수단(40)과, 권취수단(40)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50)을 포함한다.
배급수단(20)은 제 1 전동기(21)의 의해 구동하는 복수의 고무밴드(22)와 고무밴드(22)의 상면에 접하여 회전하는 복수의 롤러(23)로 이루어져, 제 1전동기(21)의 1 회의 기동에 의해 고무밴드(22)와 롤러(23) 사이로 수건을 압착하여 이송시킨다.
커팅수단(30)은 제어부(도시 안됨)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받아 구동하는 제 2 전동기(31)와, 제 2 전동기(31)에 의해 회전하는 회전커터(32)와, 배급수단(20)의 선단부 하측에 고정되는 고정커터(33)로 이루어져, 배급수단(20)에 의해 배급된 수건은 회전커터(32)와 고정커터(33)의 오버랩에 의해 절단된다.
권취수단(40)은 제 3 전동기(41)에 의해 회전하는 컨베이어(42)와, 컨베이어(42)의 상측에 설치되는 물분사노즐(43)을 구비하여 커팅수단(30)에 의해 절단된 개개의 수건이 컨베이어(42)를 통과하게 되고, 이 때 컨베이어(42)를 통과하는 수건은 물공급수단(50)으로부터 공급되어 물분사노즐(43)을 통해 분사되는 물에 의해 수분을 함유하게 되며, 수분을 함유한 수건은 마찰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되는 컨베이어(42)상을 이동시 롤형태로 말려지게 되고, 롤형태로 말려진 개개의 물수건은 본체(1) 외부의 소정 케이스에 적재되어 공급된다.
물공급수단(50)은 물을 저장하는 물공급탱크(51)와, 물공급탱크(51)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펌프(52)의 펌핑에 의해 물이송관(53)을 통해 유입된 물을 일정한 온도로 냉각시키거나 가열시키는 냉온수탱크(54)와, 냉온수탱크(54)에 연결되어 권취수단(40)의 물분사노즐(43)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관(55)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물공급탱크(51)는 상측에 마개(51a)에 의해 개폐되는 물주입구(51b)가 형성되고, 하측에 펌프(52)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51c)가 형성되며, 물공급구(51c)에 연통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공간 내측에 이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51d)가 장착되는 필터장착부(51e)가 구비되고, 바닥면에 물이 없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51d)가 설치된다.
냉온수탱크(54)는 일측에 물공급탱크(5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냉각시키는 냉각팬(54a)이 부착된 방열판(54b)이 설치되고, 내측에 물공급탱크(51)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시키는 히터(54c)가 설치되며, 외측에 보온재(54d)로 감싸여져 있다.
물공급관(55)은 냉온수탱크(54)의 출수구에 연결되며, 그 끝단이 권취수단(40)의 물분사노즐(43)에 연결된다.
따라서, 물공급탱크(51)에 저장된 물을 펌프(52)의 펌핑에 의해 냉온수 탱크(54)를 통과시킴으로써 일정한 온도로 유지된 상태로 권취수단(40)의 물분사노즐(43)에 공급함으로써 권취수단(40)의 컨베이어(42)상을 이동하는 수건에 수분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물수건 제작기는 물공급탱크를 장치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없기 때문에 물공급탱크에 물을 채울 때는 물론 위생적인 물수건을 제조하기 위하여 물공급탱크를 청소시 매우 불편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물공급탱크에 저장된 물이 펌프에 의해 냉온수탱크로 공급되어질 때 물공급탱크 내부에 진공 내지는 저기압상태가 발생함에 따라 물공급탱크로부터 펌프로 물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물이 저장된 저장용기를 물수건 제작기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물수건 제작기에 물을 보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장용기를 청소할 수 있으며, 외측으로부터 저장용기 내측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이 원활하게 펌프측으로 공급되는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측에 펌프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를 구비하는 수조부가 형성되는 저장케이스와; 저장케이스에 개구부를 통해 삽입 장착되고, 하측에 물주입구가 형성되며, 물주입구에 마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장용기와; 저장용기의 마개에 밸브몸체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밸브몸체의 중심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삽입홀의 주위에 물배출구 및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삽입홀에 밸브레버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물배출구 및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패킹이 결합되며, 밸브레버의 하단에 부력에 의해 밸브레버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패킹이 물배출구 및 공기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부유물이 결합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폐밸브의 밸브레버 하단에는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밸브레버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저장용기에 물없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물수건 제작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의 개폐밸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저장케이스 110 ; 수조부
111 ; 물공급구 200 ; 저장용기
210 ; 물주입구 220 ; 마개
300 ; 개폐밸브 310 ; 밸브몸체
311 ; 삽입홀 312 ; 물배출구
313 ; 공기흡입구 320 ; 밸브레버
330 ; 스프링 340 ; 패킹
350 ; 부유물 400 ; 감지센서
이하, 본 고안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의 개폐밸브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는 상측에 개구부(도시 안됨)가 형성되며 하측에 수조부(110)가 형성되는 저장케이스(100)와, 저장케이스(100)에 개구부를 통해 삽입 장착되며 하측에 마개(2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물주입구(210)가 형성되는 저장용기(200)와, 저장용기(200)의 마개(220)에 관통하여 결합되는 개폐밸브(300)를 포함한다.
저장케이스(100)는 상측에 저장용기(200)가 삽입되도록 개방된 개구부가 형성되고, 하측에는 펌프(52; 도 1에 도시됨)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111)를 구비하는 수조부(110)가 형성되며, 수조부(110)의 물공급구(111)측에는 물공급구(111)에 연통되어 펌프(52;도 1에 도시됨)에 연결되는 공간을 형성함과 아울러 공간의 내측에 이를 통과하는 물에 포함된 불순물을 제거하는 필터(121)가 장착되는 필터장착부(120)가 구비된다.
저장용기(200)는 하측에 물주입구(210)가 형성되며, 물주입구(210)에 개폐밸브(300)를 삽입 장착하는 마개(220)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
한편, 마개(220)는 물주입구(210)와의 밀폐를 위하여 고무재질의 씰링부재(230)가 구비된다.
개폐밸브(300)는 저장용기(200)의 마개(220)에 밸브몸체(310)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밸브몸체(310)의 중심부에 삽입홀(311)이 형성되며, 삽입홀(311)의 주위에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가 형성되고, 삽입홀(311)에 밸브레버(320)가 스프링(330)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를 개폐하는 패킹(340)이 결합되며, 밸브레버(320)의 하단에 부력에 의해 밸브레버(320)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패킹(340)이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부유물(350)이 결합된다.
밸브몸체(310)는 마개(220)에 형성되는 결합홀(221)에 밸브몸체(310)를 억지 끼움으로써 결합시키거나 이들을 서로 나사결합시킬 수 있으며, 삽입홀(313)을 중심으로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가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로 형성된다.
밸브레버(320)는 스프링(330)에 의해 하방으로 탄성력을 제공받기 위하여 스프링(330)의 일단이 걸리도록 걸림턱(331)을 형성하고, 패킹(340)과 결합되기 위하여 상측에 걸림홈(332)을 형성하여 이 걸림홈(332)이 패킹(340)에 형성되는 관통홀(341)에 끼워지며, 하단이 부유물(350)에 형성되는 관통홀(351)에 억지 끼워진다.
한편, 밸브레버(320) 하단에는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밸브레버(320)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저장용기(200)에 물없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40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즉, 감지센서(400)는 그 몸체(410)에 밸브레버(320)의 하단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지는 삽입홀(411)을 형성하고, 삽입홀(411)의 내측에 부유물(350)의 부력에 의해 상승한 밸브레버(320)가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정해진 거리를 하강시 이를 감지하는 감지부(도시 안됨)를 구비함으로써 저장용기(200)에 물없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는 저장케이스(100)로부터 저장용기(200)를 분리하여 저장용기(200)의 물주입구(210)를 통해 물을 주입하고 마개(220)로 밀폐한 후 뒤집어서 저장케이스(100)에 개구부를 통해 삽입 장착시킨다. 이 때, 저장용기(200)를 뒤집더라도 개폐밸브(300)의 밸브레버(320)에 스프링(330)의 탄성력이 작용하게 되어 패킹(340)이 밸브몸체(310)의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를 막음으로써 물이 저장용기(200)의 외측으로 쏟아지지 않게 된다.
저장용기(200)를 저장케이스(100)에 삽입 장착시키면 저장케이스(100)의 수조부(110)에 일정 수위로 저장된 물로 인해 개폐밸브(300)의 부유물(350)이 부력에 의해 밸브레버(320)를 상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패킹(340)은 밸브몸체(310)의 물배출구(312) 및 공기흡입구(313)를 개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물이 물배출구(312)를 통해 저장케이스(100)의 수조부(110)로 공급되고, 수조부(110)로 공급된 물은 물공급구(111)를 통해 필터장착부(120)로 이동하여 필터(121)에 의해 불순물이 제거된 상태에서 펌프(52; 도 1에 도시됨)로 공급된다.
또한, 수조부(110)로부터 공기흡입구(313)를 통해 저장용기(200)내로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저장용기(200)에 저장된 물이 원활하게 물배출구(312)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한편, 저장용기(200)내에 저장된 물이 완전히 소모되면 저장케이스(100)의 수조부(110)에 저장된 물도 펌프(52; 도 1에 도시됨)측으로 공급됨으로써 밸브레버(320)의 부유물(350)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밸브레버(320)는 스프링(330)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여 감지센서(400)에 의해 감지된다.
감지센서(400)는 저장용기(200)내에 물없음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물수건 제작기의 제어부(도시 안됨)로 출력하며, 제어부는 저장용기(200)에 물없음을 외부에서 인식할 수 있도록 물수건 제작기의 본체(도시 안됨) 외측에 마련된 표시부(도시 안됨)에 이를 표시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물이 저장된 저장용기를 물수건 제작기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공기를 저장용기 내측에 주입함으로써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이 원활하게 펌프측으로 공급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는 물이 저장된 저장용기를 물수건 제작기로부터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용이하게 물수건 제작기에 물을 보충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저장용기를 청소할 수 있으며, 외측으로부터 저장용기 내측에 공기가 주입되도록 함으로써 저장용기에 저장된 물이 원활하게 펌프측으로 공급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Claims (2)

  1. 물공급탱크로부터 펌프의 펌핑에 의해 물을 공급받아 물수건을 제조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측에 개구부가 형성되며, 하측에 상기 펌프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구를 구비하는 수조부가 형성되는 저장케이스와;
    상기 저장케이스에 개구부를 통해 삽입 장착되고, 하측에 물주입구가 형성되며, 상기 물주입구에 마개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저장용기와;
    상기 저장용기의 마개에 밸브몸체가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밸브몸체의 중심부에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홀의 주위에 물배출구 및 공기흡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홀에 밸브레버가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어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그 상단에 상기 물배출구 및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폐하는 패킹이 결합되며, 상기 밸브레버의 하단에 부력에 의해 상기 밸브레버를 상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패킹이 상기 물배출구 및 상기 공기흡입구를 개방시키도록 하는 부유물이 결합되는 개폐밸브;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의 밸브레버 하단에는 상기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밸브레버에 의해 동작함으로써 상기 저장용기에 물없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KR2020010030584U 2001-10-08 2001-10-08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KR2002631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584U KR200263197Y1 (ko) 2001-10-08 2001-10-08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30584U KR200263197Y1 (ko) 2001-10-08 2001-10-08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197Y1 true KR200263197Y1 (ko) 2002-02-04

Family

ID=7311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30584U KR200263197Y1 (ko) 2001-10-08 2001-10-08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19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91B1 (ko) * 2008-09-29 2009-04-29 정은희 물티슈를 공급하는 다기능 디스펜서
KR101972824B1 (ko) * 2018-08-20 2019-04-26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91B1 (ko) * 2008-09-29 2009-04-29 정은희 물티슈를 공급하는 다기능 디스펜서
KR101972824B1 (ko) * 2018-08-20 2019-04-26 이지현 진공력을 이용한 커피추출용 물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57102B2 (en) Advanced drip filter coffee maker
CN209463915U (zh) 表面清洁设备
CN108201420B (zh) 带有速清罐的吸尘器
US20100107891A1 (en) Domestic appliance
KR101381948B1 (ko) 가습기
JPH10192186A (ja) 水タオル自動供給装置
KR100555593B1 (ko) 물수건 공급 장치
KR200263197Y1 (ko) 물수건 제작기의 물공급탱크
JP2006102052A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
JP2010063595A (ja) 飲料供給装置
JP2010069188A (ja) 飲料供給装置
JP2010057799A (ja) 飲料供給装置
JP2010063521A (ja) 飲料供給装置
KR20190000502A (ko) 음료 제조기
KR102053734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KR101538226B1 (ko)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KR101945403B1 (ko) 세제공급이 용이한 싱크대용 수전장치
JP2010061526A (ja) 飲料供給ノズル
KR102053732B1 (ko) 마스크팩 및 물티슈 제조장치
KR100517756B1 (ko) 냉온수기용 급수 안내구조
CN220360381U (zh) 用于器具的清洁头和器具
JP3081580B2 (ja) 巻おしぼり製造装置
CN220360379U (zh) 用于器具的清洁头和器具
JP3010969U (ja) 飲用水供給装置
KR102127173B1 (ko) 냉장고의 제빙용 급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