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8226B1 -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8226B1
KR101538226B1 KR1020130131001A KR20130131001A KR101538226B1 KR 101538226 B1 KR101538226 B1 KR 101538226B1 KR 1020130131001 A KR1020130131001 A KR 1020130131001A KR 20130131001 A KR20130131001 A KR 20130131001A KR 101538226 B1 KR101538226 B1 KR 1015382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moisture
dry
hous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310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9871A (ko
Inventor
이지연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연
정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연, 정지영 filed Critical 이지연
Priority to KR10201301310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8226B1/ko
Publication of KR20150049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9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롤 형태의 제1건티슈가 수용되고, 배출시 건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티슈공급부와, 수분티슈공급부 일측에 배치되어 수분티슈공급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저장부와, 수분티슈공급부 타측에 배치되어 롤 형태의 제2건티슈를 수용하는 제2티슈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티슈공급부는 상부에 제1건티슈가 수용되는 제1티슈저장부와, 제1티슈저장부와 연통되어 제1티슈저장부에 수용된 제1건티슈의 일측이 유입되는 티슈유입부와, 티슈유입부 상부에 배치되어 티슈유입부에 유입된 제1건티슈에 수분저장부의 수분을 분사하는 수분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는 수동으로 펌프를 구동시켜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으며, 롤 타입의 건티슈를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부를 개방시켜 롤 티슈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 티슈가 소모된 경우 쉽게 물티슈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롤 타입의 건티슈에 수분이 부족한 경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 수분저장부에 물을 용이하게 채워넣을 수 있으며, 건티슈와 물티슈를 하나의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본 발명은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 타입의 건조 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충분한 수분이 티슈에 함유되어 세척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거나, 유아들의 배변 후 피부를 닦는데 사용되는 등 각종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물티슈는 충분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제조되어 각종 용기에 수용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으로, 용기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필요시마다 용기의 뚜껑을 열어 물티슈를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물티슈는 용기의 뚜껑을 열어 물티슈를 하나씩 뽑아 쓰는 과정이 번거롭고, 손에 이물질이 묻어있는 상태에서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용기에 옮겨 묻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물티슈를 용기에 수용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조금씩 증발하여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문제 및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각종 세균이 용기 내의 물티슈에서 번식하여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물티슈가 오히려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물티슈는 메틸이소티아졸린(methyl-isothiazolin)등과 같은 화학적 방부재를 사용하여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 있으나, 화학적 방부재의 경우 알레르기, 세포상해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상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12-0078627호에는 낱장으로 구성된 건티슈를 컨베이어로 이송하고, 컨베이어 상에서 수분을 분사하여 공급하는 장치가 발명되었으나, 이러한 발명은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으로 에너지의 추가적 소비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으며,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곳에서는 사용이 불가능한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2-0078627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외부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롤 타입의 건티슈를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롤 타입의 물티슈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롤 타입의 건티슈에 수분이 부족한 경우 보다 용이하게 물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인 물티슈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다섯째, 일반 화장실용 휴지와 물티슈를 하나의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롤 형태의 제1건티슈가 수용되고, 배출시 건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티슈공급부와, 수분티슈공급부 일측에 배치되어 수분티슈공급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저장부와, 수분티슈공급부 타측에 배치되어 롤 형태의 제2건티슈를 수용하는 제2티슈저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티슈공급부는 상부에 제1건티슈가 수용되는 제1티슈저장부와, 제1티슈저장부와 연통되어 제1티슈저장부에 수용된 제1건티슈의 일측이 유입되는 티슈유입부와, 티슈유입부 상부에 배치되어 티슈유입부에 유입된 제1건티슈에 수분저장부의 수분을 분사하는 수분분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분사부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펌프와, 펌프의 유입구와 수분저장부를 연통시키는 연결관과, 펌프의 유출구의 일단에 형성된 복수 개의 노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펌프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펌프하우징과, 유출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관과, 이동관 외면에 결합된 실링부재와, 이동관의 일단에 삽입되는 플런저와, 플런저의 일단과 펌프하우징 내측에 배치된 탄성체와, 펌프하우징 내측 유입구 측에 배치된 볼로 구성되고, 이동관의 일단과 플런저 사이에는 이동관 내부와 연통되는 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티슈공급부는 제1티슈저장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전면에 티슈유입부과 연통된 수분티슈인출구가 형성된 수분티슈하우징과, 수분티슈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수분저장부를 거치시키는 수분저장부브래킷과, 수분티슈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건티슈를 배치시키는 제2건티슈안착봉을 포함하며, 수분티슈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는 수분저장부브래킷과 제2건티슈안착봉을 감싸는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티슈하우징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커버는 수분티슈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수분티슈하우징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고, 수분티슈하우징의 수분티슈인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인출구가 형성되며, 커버의 커버인출구에 인접하여 커버인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가 삽입되는 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되며, 도어의 상부에는 도어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도어탄성체가 배치되고, 도어의 하단에는 절단날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저장부는 수분저장탱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는 수동으로 펌프를 구동시켜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으며, 롤 타입의 건티슈를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우징의 상부를 개방시켜 롤 티슈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 티슈가 소모된 경우 쉽게 롤 티슈를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롤 타입의 건티슈에 수분이 부족한 경우, 하우징의 측면에 설치된 수분저장부에 물을 용이하게 보충할 수 있으며, 건티슈와 물티슈를 하나의 공간에서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분티슈공급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펌프 및 노즐의 확대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펌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분저장부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요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수분티슈공급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펌프 및 노즐의 확대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펌프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수분저장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커버가 폐쇄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커버의 요부가 도시된 분해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롤 형태의 제1건티슈가 수용되고, 배출시 건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티슈공급부(100)와, 수분티슈공급부(100) 좌측에 배치되어 수분티슈공급부(100)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저장부(200)와, 수분티슈공급부(100) 우측에 배치되어 롤 형태의 제2건티슈를 수용하는 제2티슈저장부(300)로 구성된다.
이러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중앙의 수분공급부(100)로부터 수분이 함유된 티슈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좌측에서 건티슈를 공급받을 수 있어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수분티슈공급부(100)를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에 제1건티슈가 수용되는 제1티슈저장부(110)와, 제1티슈저장부(110)와 연통되어 제1티슈저장부(110)에 수용된 제1건티슈의 일측이 유입되는 티슈유입부(120)와, 티슈유입부(120) 상부에 배치되어 티슈유입부(120)에 유입된 제1건티슈에 수분저장부의 수분을 분사하는 수분분사부(130)로 구성된다.
따라서 제1티슈저장부(110)에 수용된 제1건티슈는 티슈유입부(120)로 이송되며, 이송된 제1건티슈는 수분분사부(130)에서 공급된 수분에 의해 수분이 함유된 티슈가 된다. 이러한 수분분사부(130)는 도 2과 같이 펌프(132)와, 펌프(132)와 수분저장부(200) 사이에 연통된 연결관(134) 및 펌프(132)와 연결된 노즐(136)로 구성된다.
이때 노즐(136)은 도 3과 같이 분지관 형태로 형성되어 티슈유입부(120)으로 이동된 티슈에 골고루 수분이 분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티슈에 수분을 분사하는 펌프는 다양한 형태의 펌프가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132)는 도 4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관(132d)을 이동시켜 작동되는 펌프(132)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펌프(132)는 펌프하우징(132c)과, 이동관(132d) 및 이동관(132d)에 삽입되어 펌프하우징(132c) 내에 배치되는 플런저(132f)로 구성된다.
플런저(132f)는 도 4를 기준으로 우측으로 이동시 펌프하우징(132c) 내부의 물을 좌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플런저(132f)의 우측면과 펌프하우징(132c)의 내부 우측면 사이에는 도 4와 같이 탄성체(132g)가 결합되어 이동관(132d)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경우 플런저(132f) 및 이동관(132d)의 복귀시키게 된다.
이동관(132d)에 삽입되는 플런저(132f)의 좌측단부는 도 4의 확대도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며 확장되는 형태로 구성되어 이동관(132d)에 삽입시 플런저(132f)가 삽입된 이동관(132d) 사이에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홈(132i)이 형성된다.
이동관(132d)와 플런저(132f)가 삽입되는 펌프하우징(132c)은 도 4를 기준으로 우측에 수분저장부(200)와 연통되는 연결관(134)이 연통될 수 있도록 유입구(132a)가 형성되며, 좌측에 이동관(132d)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유출구(132b)가 형성된다.
유출구(132b)를 통해 삽입된 이동관(132d)에는 플런저(132f)에 의해 펌프하우징(132c)의 좌측으로 이동한 물이 이동관(132d)와 플런저(132f) 사이의 홈(132i)로 효과적으로 유입되고, 유출구(132b)와 이동관(132d) 사이로 새어나가지 않도록 실링부재(132e)가 결합된다.
또한, 펌프하우징(132c) 내측 유입구(132a) 측에는 플런저(132c)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펌프하우징(132c) 내의 물이 유입구(132a)를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체크밸브의 기능을 수행하는 볼(132h)이 배치된다.
펌프하우징(132c) 내부의 물을 이동시키는 이동관(132d)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버튼(138)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동관(132d)의 외면이 돌출되어 사용자가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버튼(138)이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하우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며, 도 3과 같이 펌프(132)의 외면에서 연장형성된 연결브래킷(138a)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펌프하우징(132c)의 유입구(132a)에 연결되는 연결관(134)은 도 2 및 도 5와 같이 수분저장부(200)와 연결되며, 이러한 수분저장부(20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사용에 의하여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물을 재충전이 가능하도록 본 실시예에 따른 수분저장부(200)는 상부에 연결관(134)이 삽입될 수 있도록 구멍(도면 미도시)이 형성된 캡과 결합되는 수분저장탱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설명한 수분티슈공급부(100)의 수분티슈하우징(101)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과 같이 제1건티슈(10)가 수용되는 제1티슈저장부(110)가 상부에 형성되고, 티슈유입부(120)로 이동하여 수분이 공급된 수분티슈를 인출할 수 있도록 전면에 수분티슈인출구(101a)가 형성된다.
제1티슈저장부(110)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도 1과 같이 수분티슈하우징(101) 상부에 형성되고, 수분티슈하우징(101) 상부에 제1티슈저장부(110)를 개폐시킬 수 있도록 제1티슈저장부커버(105a)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건티슈(10)를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수분티슈하우징(101)의 좌측에는 수분저장부(200), 즉 수분저장탱크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수분저장부브래킷(103)이 형성되며, 수분티슈하우징(101)의 우측에는 수분이 함유된 티슈와 건티슈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제2건티슈(20)가 배치되는 제2건티슈안착봉(301)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분티슈하우징(101)의 좌측과 우측에는 수분저장부브래킷(103)과 제2건티슈안착봉(301)을 감싸는 커버(105)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되어 도 6과 같이 커버(105)와, 제1티슈저장부커버(105a)가 수분티슈하우징(101) 중앙 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수분저장부(200)와 제2티슈저장부(300) 및 제1티슈저장부(110)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외부의 이물질로부터 티슈 및 수분저장부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개방시 물의 보충, 티슈의 교체 등을 용이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수분티슈하우징(101)의 우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커버(105)는 수분티슈하우징(101)의 우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수분티슈하우징(101)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며 수분티슈하우징(101)의 수분티슈인출구(101a)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인출구(105a)가 형성되어 수분이 공급된 티슈를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커버인출구(105a)에는 사용시 커버인출구(105a)를 개방시킬 수 있도록 도어(105b)가 배치되며, 이러한 도어는 실시예에 따라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도어(105b)의 하단면에 절단날(105e)을 형성하여 티슈를 절단할 수 있도록 도 7과 같이 상하로 이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7과 같이 커버인출구(105a)여 인접하여 도어(105b)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레일(105c)가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도어(105b)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사용하지 않는 경우, 커버인출구(105a)를 폐쇄시킬 수 있도록 도어탄성체(105d)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티슈유입부(120)의 내측저면에는 도어(105d)의 절단날(105e)이 손상되지 않도록 절단날삽입홈(120a)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수분티슈공급부 101 : 수분티슈하우징
101a: 수분티슈인출구 103 : 수분저장부브래킷
105 : 커버 105a : 상부커버
110 : 제1티슈저장부 120 : 티슈유입부
130 : 수분분사부 132 : 펌프
132a : 유입구 132b : 유출구
132c : 펌프하우징 132d : 이동관
132e : 실링부재 132f : 플런저
132g : 탄성체 132h : 볼
132i : 홈 134 : 연결관
136 : 노즐 138 : 버튼
200 : 수분저장부 300 : 제2티슈저장부
301 : 제2건티슈안착봉

Claims (6)

  1. 롤 형태의 제1건티슈가 수용되고, 배출시 건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티슈공급부; 상기 수분티슈공급부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분티슈공급부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저장부; 및 상기 수분티슈공급부 타측에 배치되어 롤 형태의 제2건티슈를 수용하는 제2티슈저장부를 포함하되,
    상기 수분티슈공급부는
    상기 제1건티슈가 수용되도록 설치되는 제1티슈저장부;
    상기 제1티슈저장부와 연통되어 상기 제1티슈저장부에 수용된 제1건티슈가 하방으로 안내되다가 가로로 누운상태로 유입되도록 상기 제1티슈저장부의 하부에 설치되는 티슈유입부; 및
    상기 티슈유입부에 가로로 누워 있는 제1건티슈의 윗면을 향하여 상기 티슈유입부의 천정에서 하방으로 상기 수분저장부의 수분을 분사하도록 상기 제1티슈저장부와 상기 티슈입부구 사이에 설치되는 수분분사부; 을 포함하고,
    상기 수분분사부는 펌프, 연결관, 및 노즐을 포함하며,
    상기 펌프는
    일측과 타측에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펌프하우징;
    상기 유출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된 이동관;
    상기 이동관 외면에 결합된 실링부재;
    상기 이동관의 일단에 삽입되되 상기 이동관 내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이동관과의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설치되는 플런저;
    상기 플런저의 일단과 펌프하우징 내측에 배치된 탄성체;
    상기 펌프하우징 내측 상기 유입구 측에 배치된 볼;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관은 상기 펌프하우징의 유입구와 상기 수분저장부를 연통시키도록 설치되며, 상기 노즐은 상기 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노즐은 상기 티슈유입부에 가로로 누운상태로 유입되는 제1건티슈의 윗면에 수분이 골고루 분사되도록 상기 티슈유입부의 천정에 복수개가 병렬적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티슈공급부는
    상기 제1티슈저장부가 상부에 형성되고, 전면에 상기 티슈유입부과 연통된 수분티슈인출구가 형성된 수분티슈하우징과,
    상기 수분티슈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분저장부를 거치시키는 수분저장부브래킷과,
    상기 수분티슈하우징의 타측에 배치되어 제2건티슈를 배치시키는 제2건티슈안착봉을 포함하며,
    상기 수분티슈하우징의 일측과 타측에는 상기 수분저장부브래킷과 제2건티슈안착봉을 감싸는 커버가 회동가능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티슈하우징의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커버는 상기 수분티슈하우징의 타측방향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수분티슈하우징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연장형성되고, 상기 수분티슈하우징의 수분티슈인출구와 대응되는 위치에 커버인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커버의 커버인출구에 인접하여 상기 커버인출구를 개폐시키는 도어가 삽입되는 슬라이딩레일이 형성되며, 상기 도어의 상부에는 상기 도어를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도어탄성체가 배치되고,
    상기 도어의 하단에는 절단날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저장부는 수분저장탱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수분공급장치.
KR1020130131001A 2013-10-31 2013-10-31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KR1015382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01A KR101538226B1 (ko) 2013-10-31 2013-10-31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1001A KR101538226B1 (ko) 2013-10-31 2013-10-31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871A KR20150049871A (ko) 2015-05-08
KR101538226B1 true KR101538226B1 (ko) 2015-07-20

Family

ID=53387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31001A KR101538226B1 (ko) 2013-10-31 2013-10-31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82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3246B1 (ko) * 2018-11-27 2019-05-28 홍서현 두루마리식 물티슈 조립체
KR102016873B1 (ko) * 2019-01-28 2019-09-02 김두훈 멀티 티슈 공급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924A (ja) * 1990-06-16 1992-02-20 Riyouzou Sugauchi トイレ用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0166804A (ja) * 1998-12-07 2000-06-20 Daiichi Seiko Kk ウェットティシュ供給器
KR200214628Y1 (ko) * 2000-05-02 2001-02-15 김민서 물통을 구비한 물 화장지와 일반 화장지의 일체형 케이스
JP2001275881A (ja) * 2000-03-31 2001-10-09 Masato Noguchi ペーパーホルダ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1924A (ja) * 1990-06-16 1992-02-20 Riyouzou Sugauchi トイレ用ペーパーホルダー
JP2000166804A (ja) * 1998-12-07 2000-06-20 Daiichi Seiko Kk ウェットティシュ供給器
JP2001275881A (ja) * 2000-03-31 2001-10-09 Masato Noguchi ペーパーホルダー
KR200214628Y1 (ko) * 2000-05-02 2001-02-15 김민서 물통을 구비한 물 화장지와 일반 화장지의 일체형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9871A (ko) 2015-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119B1 (ko) 물티슈 공급장치
US10294643B2 (en)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US20120000013A1 (en) Toilet plunger cleaning system
KR101538226B1 (ko)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KR200417522Y1 (ko) 손 소독기
KR20110038941A (ko) 비데 노즐 세척액 분사장치 및 비데 노즐 어셈블리
CN112779734B (zh) 一种洗衣机
CN112779732A (zh) 一种洗衣机
US20080135433A1 (en) Storage receptacle
KR20160093971A (ko) 텀블러 세척장치
JPH11137506A (ja) 内視鏡洗滌消毒装置
CN112093242A (zh) 倒置出液泵头及储液装置及自动皂液机
KR101574684B1 (ko)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CN213863415U (zh) 倒置出液泵头及储液装置及自动皂液机
KR101516646B1 (ko) 양변기
KR102186727B1 (ko) 애완견용 발 세척기
KR101418981B1 (ko) 세제가 내장된 샤워기 헤드
JP2014036707A (ja) 消毒液収容器および消毒液噴射装置
KR20100005243U (ko) 자가 세정형 노즐 소독 장치가 구비된 비데기
KR200410634Y1 (ko) 소독액 공급수단을 갖는 세수(洗手)장치
JP6813750B2 (ja) ディスペンサ
CN112779733A (zh) 一种洗衣机
KR101470333B1 (ko) 전동식 물티슈 공급장치
KR102043466B1 (ko) 변기세정장치
KR20230148923A (ko) 건티슈 공급 및 물티슈 제조가 가능한 티슈 케이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