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4684B1 -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4684B1
KR101574684B1 KR1020140028927A KR20140028927A KR101574684B1 KR 101574684 B1 KR101574684 B1 KR 101574684B1 KR 1020140028927 A KR1020140028927 A KR 1020140028927A KR 20140028927 A KR20140028927 A KR 20140028927A KR 101574684 B1 KR101574684 B1 KR 101574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disposed
opening
pump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8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471A (ko
Inventor
이지연
정지영
Original Assignee
이지연
정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연, 정지영 filed Critical 이지연
Publication of KR20150037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4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4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7/00Body washing or cleaning imp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4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with mechanical dispensing means for prehension of the next sheet to be dispens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롤티슈가 권취되는 롤러와, 하우징 내면에 배치되어 롤러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으로 이루어진 회동롤러부와, 하우징의 내부 중 상부에 배치되어 롤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하여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외주전원이 안정적이지 않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건티슈를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물티슈의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건 티슈에 공급되는 물 또는 소독수를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가시킨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MOISTURE SUPPLYING DEVICE FOR DRY TISSUE PAPER}
본 발명은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롤 타입의 건조 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충분한 수분이 티슈에 함유되어 세척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식당이나 공공장소에서 피부를 청결하게 유지하는데 사용되거나, 유아들의 배변 후 피부를 닦는데 사용되는 등 각종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이와 같은 물티슈는 충분한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제조되어 각종 용기에 수용된 후 사용자에게 공급되는 것으로, 용기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이 마련되어 사용자가 필요시마다 용기의 뚜껑을 열어 물티슈를 뽑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물티슈는 용기의 뚜껑을 열어 물티슈를 하나씩 뽑아 쓰는 과정이 번거롭고, 손에 이물질이 묻어있는 상태에서는 용기의 뚜껑을 개방하는 과정에서 이물질이 용기에 옮겨 묻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물티슈를 용기에 수용 보관하는 과정에서 수분이 조금씩 증발하여 물티슈가 건조해지는 문제 및 장기간 보관되는 경우 각종 세균이 용기 내의 물티슈에서 번식하여 위생적인 목적으로 사용되어야 할 물티슈가 오히려 세균 감염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물티슈는 메틸이소티아졸린(methyl-isothiazolin)등과 같은 화학적 방부재를 사용하여 세균 감염을 방지하고 있으나, 화학적 방부재의 경우 알레르기, 세포상해 등을 유발할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상 다른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10-2012-0078627호에는 낱장으로 구성된 건티슈를 컨베이어로 이송하고, 컨베이어 상에서 수분을 분사하여 공급하는 장치가 발명되었으나, 이러한 발명은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되는 것으로 에너지의 추가적 소비가 필요한 문제가 있었으며, 외부전원이 안정적이지 않은 차량 등에서는 사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한국 공개특허 10-2012-0078627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해결과제를 목적으로 한다.
첫째, 외부전원을 공급받지 않고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둘째, 롤 타입의 건티슈를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셋째, 롤 타입의 건티슈의 교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넷째, 롤 타입의 건티슈에 수분이 필요한 경우 보다 용이하게 물을 채워넣을 수 있도록 하여 보다 위생적인 물티슈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다섯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크기를 콤펙트하게 구성하여 설치 및 이동을 용아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여섯째,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배치되고 롤티슈가 권취되는 롤러와, 하우징 내면에 배치되어 롤러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으로 이루어진 회동롤러부와, 하우징의 내부 중 상부에 배치되어 롤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상하로 이동되며 회동롤러부에 권취된 롤티슈를 절개하는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절개부는 개구부 양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딩레일과,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절개도어와, 슬라이딩레일의 상부에 연접하여 형성된 브레킷과, 일측과 타측이 절개도어와 브레킷 사이에 결합되어 절개도어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 절개도어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탄성체와, 절개도어 하면에 배치된 커팅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공급부는 저면에 분사공이 형성된 공급부하우징과, 공급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분사공에 연통된 노즐이 형성된 분지관과, 분지관에 연통된 펌프와, 펌프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와, 하우징 상부에 관통배치되어 펌프에 외력을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펌프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제1펌프하우징과,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제1펌프탄성체와, 상기 펌프탄성체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피스톤과, 일단에 피스톤이 삽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단에 분지관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제1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펌프하우징을 포함하며, 피스톤에는 유입공에 삽입되는 피스톤삽입편이 형성되어 유입공의 내면과 피스톤삽입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제1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는 제2펌프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제2펌프하우징의 일측 외면에는 제2실링부재가 배치되고, 세1실링부재에는 상기 제2실링부재 또는 제2펌프하우징의 외면 일측과 맞닿는 제2펌프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는 상하로 이동하는 제1링크와, 일측이 제1링크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링크와, 일측이 제2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3링크와, 일측에 제3링크의 타측에 배치된 제4링크와, 제4링크의 타측에 제2펌프하우징이 배치되어 제1링크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제2펌프하우징이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하우징 상면에는 버튼홀이 형성되고, 하우징 상면의 저면에는 버튼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링크가 삽입되는 링크삽입공이 형성된 버튼삽입관(130)이 형성되며, 버튼삽입관의 하부에는 제4링크이 삽입되는 링크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제4링크는 중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펌프하우징의 유출구와 분지관에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저장탱크는 하우징의 외면 일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공급부는 회동롤러부 하부에 배치되고, 하우징 내면 중 후면에 이격형성되어,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와 상기 회동롤러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롤러에 권취된 롤티슈는 하우징의 후면과 수분공급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우징의 개구부로 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공급부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하우징 내면에 결합된 수분공급부저면패널과, 분사공에 연통되는 분지관과, 분지관 상부에 배치되어 하우징 내면에 결합된 수분공급부상부패널을 포함하며, 분지관에는 펌프가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하우징의 내면 중 양측면에는 한쌍의 측면패널이 형성되고, 수분공급부저면패널의 양측단은 측면패널에 결합되며, 측면패널 중 일 측면패널에는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분지관과 일 측면패널의 타측면에 형성된 연결관 사이에는 제1수분공급관이 결합되며,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관과 펌프 사이에는 제2수분공급관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펌프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가 결합되며,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에는 수분저장탱크가 수용되는 탱크수용부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일 측면패널과 타 측면패널에는 한쌍의 개폐커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쌍의 개폐커버 중 일 개폐커버에는 제1수분공급관이 관통배치되는 장홀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한 쌍의 개폐커버는 일 측면패널과 타 측면패널과 축결합되며, 일 개폐커버와 타 개폐커버의 하부에는 상호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일 개폐커버를 회동시키는 경우, 타 개폐커버가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일 개폐커버의 상부에는 타 개폐커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타 개폐커버에는 돌출편이 안착되는 안착편이 형성되며, 일 캐폐커버에는 돌출편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걸림편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돌출편과, 안착편 및 걸림편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일 개폐커버와 타 개폐커버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걸림편에는 걸림편을 회전시키는 잠금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수분저장탱크에는 보충수공급관이 연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는 수동 조작에 의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여 구성하여 외부전원이 공급되지 않거나 외주전원이 안정적이지 않은 공간에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건티슈를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기간 보관시 발생되는 물티슈의 오염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건 티슈에 공급되는 물을 보다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는 구조를 채용하여 화학적 방부재의 사용 없이 위생적인 물티슈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또한, 롤티슈와 수분공급부를 같은 평면상에 배치하여 크기를 콤펙트하게 줄여 설치 및 이동을 용아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상부가 전후방으로 개폐되어 내부 청소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의 상부면이 개방된 정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일부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의 사시도이며,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의 작동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도 9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요부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개폐커버의 작동도이다.
도 12는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잡금손잡이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정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의 상부면이 개방된 정면 사시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 개구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과, 하우징 내부에서 롤티슈(10)를 권취하여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경우 개구부(110)를 통해 인출시키는 회동롤러부(200)와, 건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300) 및 롤티슈(10)를 절단시키는 절개부(4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회동롤러부(200), 수분공급부(300)가 설치되는 케이싱으로, 전면에 개구부(110)가 형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은 도 3과 같이 롤티슈(10)의 교체가 용이하도록 상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나 반드시 상부면이 개폐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을 참조하면, 회동롤러부(200)는 롤티슈(10)가 권취되는 롤러(210)와, 하우징(100) 내측면에 배치되어 롤러(210)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220)으로 구성되며, 롤러브래킷(220)은 상부가 개방된 'U'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개방된 롤러브래킷(220)으로 롤러(210)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브래킷(220)은 도 3과 형상으로 형성되나 반드시 이러한 형상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롤러(21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즉, 볼 스프링플런저 형태로 형성되어 롤러(210)의 단부가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수분공급부(300)는 롤티슈(10)에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롤러(210)가 회전되어 권취된 롤티슈가 전개되면 전개된 롤티슈 전체에 고르게 수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절개부(400)는 롤티슈(10)를 절개하는 것으로, 도 4와 같이 개구부(110)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롤티슈(10)를 절개하는 것으로, 개구부(110) 양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딩레일(410), 슬라이딩레일(410)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절개도어(420), 슬라이딩레일(410)의 상부에 연접하여 형성된 브레킷(430), 일측과 타측이 절개도어(420)와 브레킷(430) 사이에 결합되어 절개도어(420)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 절개도어(420)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탄성체(440) 및 절개도어(420) 하면에 배치된 커팅날(421)로 구성된다.
개구부(110) 양측면에는 도 4와 같이 상하로 형성된 슬라이딩레일(410)이 형성되며, 슬라이딩레일(410)에는 하면에 커팅날(421)이 배치된 절개도어(420)가 삽입된다. 따라서 절개도어(420)를 상하로 이동시켜 커팅날(421)이 롤티슈(10)에 맞닿으며, 롤티슈(10)가 절개된다.
이때, 개구부(110)가 형성된 하우징(100) 중 커팅날(421)에 대응되는 위치에는 커팅날(421)이 반복해서 승하강 하는 경우 커팅날(4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손상방지홈(422)이 형성될 수 있다.
슬라이딩레일(410)에 절개도어(420)가 삽입되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하여 절개도어(420)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나, 롤티슈(10)를 절단하기 위하여 절개도어(420)를 승하강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므로, 본 실시예의 경우 사용자는 절개도어(420)에 탄성체를 설치하여 상부방향으로의 절개도어(420)의 이동을 탄성체의 복원력에 이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4와 같이 슬라이딩레일(410)의 상부와 연접하여 브래킷(430)을 형성하고, 브래킷(430)과 절개도어(420)의 하부 사이에 도어탄성체(430)를 배치할 수도 있다.
앞에서 살펴본 도 3 및 수분공급부의 분해사시도인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부(300)는 저면에 분사공(311)이 형성된 공급부하우징(310)과, 공급부하우징(310)의 내부에 배치되고 분사공(311)에 연통된 노즐이 형성된 분지관(320)과, 분지관(320)에 연통된 펌프(330)와, 펌프(330)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340) 및 펌프(330)에 외력을 전달하여 구동시키는 버튼부(350)로 구성된다.
공급부하우징(310)은 분지관(320), 펌프(330) 및 버튼부(350)이 설치되는 것으로 하우징(100)에 배치된다. 이러한 공급부하우징(310)은 하우징(100)의 상면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되어 펌프(330) 및 분지관(320)의 점검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부하우징(31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의 경우 도 3 및 도 5와 같이 상부면이 개방된 트레이 형태로 형성된다.
이러한 공급부하우징(310)의 저면에는 수분을 분사할 수 있도록 분사공(311)이 형성되며, 분사공(311)에는 분지관(320)의 노즐(도면 미도시)이 배치된다.
분지관(320)은 펌프(330)로부터 공급된 수분을 하우징(100)의 내면에 균일하게 분사할 수 있도록 노즐이 일단에 형성된 다기관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분지관(320)에는 수분저장탱크(340)에 수용된 물을 이송시키는 펌프(330)가 연통된다.
이때, 수분저장탱크(34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될 수도 있으나 저장된 물의 상태 및 저장 수위를 확인하고, 보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도 2와 같이 하우징(100)의 외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따라서 소량의 물(예를 들어 300ml 정도의 물을 수분저장탱크(340)에 보충하여 매일 교환하여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버튼부(350)는 펌프(330)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버튼부(350)에 힘을 가하는 경우 버튼부(350)는 가해진 힘을 펌프(330)로 전달하여 수분저장탱크(340)에 저장된 물 또는 세정수를 분지관(320)으로 이동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단면도인 도 6을 참조하여 펌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펌프(330)는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330)는 제1펌프하우징(331)과, 제2펌프하우징(337)으로 구성되며, 제1펌프하우징(331)에는 수분저장탱크(340)와 연통된 유입구(331)가 일측에 형성되며, 타측에 유출구(331b)가 형성되며, 제1펌프하우징(331)에는 제1펌프탄성체(333)가 배치되며, 펌프탄성체(333)와 유출구(331b) 사이에는 제2펌프하우징(337)에 삽입되는 피스톤(335)이 배치된다.
이 상태에서 제1펌프하우징(331)의 유출구(331b)에는 일단에 피스톤(335)이 삽입되는 유입공(337a)이 형성되고 타단에 상기 분지관(320)과 연통되는 유출공(337b)이 형성된 제2펌프하우징(337)이 삽입된다.
이때, 피스톤(335)에는 제2펌프하우징(337)의 유입공(337a)에 삽입되는 피스톤삽입편(335a)이 형성되어 피스톤삽입편(335a)이 유입공(337a)에 삽입된 경우, 물이 유입공(337a)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유입공(337a)의 내면과 상기 피스톤삽입편(335a)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제1펌프하우징(331)의 유출구(331b)에는 제2펌프하우징(337)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339a)가 배치되고, 제2펌프하우징(337)의 일측 외면에는 제2실링부재(339b)가 배치되며, 세1실링부재(339b)에는 일단이 제2실링부재(339b) 또는 제2펌프하우징(337)의 외면 일측과 맞닿는 제2펌프탄성체(339c)가 배치된다.
또한, 도 6과 같이 제1펌프하우징(331)의 내면 일측에는 유입구(331c)를 개폐시키는 볼(331a)가 배치되어 제1펌프하우징(331) 내에서 물이 유입구(331a)방향으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펌프(330)는 제2펌프하우징(337)이 일측방향으로 이동하면 피스톤(335)은 제1펌프하우징(331) 내의 물을 제2펌프하우징(337)의 유입공(337a)을 통하여 유출공(337b)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제2펌프하우징(337)을 이송시키는 버튼부(35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의 사시도 도 7(a)와 도 7(a)에 도시된 수분공급장치의 버튼부의 작동도인 도 7 (b)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상하로 이동하는 제1링크(351), 일측이 제1링크(351)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링크(353), 일측이 제2링크(353)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3링크(355), 일측이 제3링크(355)의 타측에 배치된 제4링크(357)로 구성된다.
즉,버튼부(350)는 7과 같이 4개의 링크가 서로 연결된 링크 형태로 구성되어 제1링크(351)의 이동시 각각의 링크(353, 355, 357)가 연결된 링크에 연동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4링크(357)는 도 5와 같이 링크가이드(133)에 삽입되어 제1링크(351)의 이동시 제4링크(357)가 링크가이드(133)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제1링크(351)에는 제1링크(351)의 조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버튼(351a)이 결합된다.
이러한 링크가이드(133)는 도 5와 같이 하우징(100) 상면의 저면에 형성된 버튼삽입관(130)에 형성된 것으로, 링크가이드(133)의 방향은 제2펌프하우징(337) 방향으로 형성된다.
링크가이드(133)가 형성된 버튼삽입관(130)은 하우징(100) 상면에 형성된 버튼홀(120)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버튼삽입관(130)은 상하가 연통된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1링크(351)이 관통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링크삽입공(131)이 형성되고, 버튼삽입관(130)의 하부에는 앞에서 설명한 링크가이드(133)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4링크(357)의 측면에 판형 돌기가 형성되고, 링크가이드(133)가 이러한 판형 돌기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실시예에 따라 링크가이드(133)에 제4링크(13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실시예의 제4링크(457)는 중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펌프하우징(337)의 유출구(331b)와 분지관(320)에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되나, 실시예에 따라 제2펌프하우징(337)의 유출구(331b)와 분지관(320)에 별도의 관을 연결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제4링크(457)를 중공형 관 형상으로 형성하는 경우, 조립이 간단하며, 전체적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분해사시도인 도 8과,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단면도인 도 9와,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요부 사시도인 도 10과,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개폐커버의 작동도인 도 11 및 도 8에 도시된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잡금손잡이가 도시된 단면도인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회동롤러부(200)와 수분공급부(300)는 동일한 평면상에 상하로 배치하여 건티슈 수분공급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의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수분공급부(300)를 회동롤러부(200)에 하부에 배치하고, 수분공급부(300)를 하우징 내면 중 후면에서 이격형성하여, 회동롤러부(200)의 롤러(210)에 권취된 롤티슈(10)가 하우징(100) 내면과 수분공급부(300)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때, 하우징(100) 내면과 수분공급부(300) 사이의 공간은 하우징(100)의 개구부(110)와 연통시켜, 롤티슈(10)를 개구부로 인출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수분공급부(300)는 분사공(311)이 형성된 수분공급부저면패널(301), 분사공(311)과 연통되는 분지관(320) 및 분지관(320)의 상면에 배치된 수분공급부상부패널(303)으로 구성되며, 분지관(320)에는 펌프가 연통된다.
이때, 하우징(100)의 내면 중 양측면에 측면패널(101, 103)이 형성되어 수분공급부저면패널(301)의 양측단은 상기 측면패널(101, 103)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분공급부저면패널(301)의 후단면은 하우징 내면 중 후면과 이격하여 형성된다.
하우징(100)의 내면 중 도 8을 기준으로 우측의 측면패널(103)에는 우측면과 좌측면을 연통시키는 연결관(103b)이 돌출형성되며, 우측의 측면패널(103)의 좌측면으로 돌출형성된 연결관(103b)과 분지관(320) 사이에는 제1수분공급관(334)이 결합되고, 우측의 측면패널(103)의 우측면으로 돌출형성된 연결관(103b)과 펌프(330) 사이에는 제2수분공급관(332)이 결합된다.
도 8 및 도 10을 참조하면, 펌프(330)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340)가 결합되며, 하우징(100)의 측면패널(101, 103) 중 우측 측면패널(103)의 우측면에는 펌프(330)와 결합되는 수분저장탱크(340)가 배치되어 수분저장탱크(340)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여 건티슈 수분공급장치를 콤펙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건티슈 수분공급장치의 내부를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한쌍의 상기 측면패널(101, 103)에는 한쌍의 개폐커버(107, 109)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개폐커버(107, 109)에는 커버개폐축(107a, 109a)이 측면패널(101, 103) 방향으로 돌출되고, 측면패널(101, 103)에는 커버개폐축(107a, 109a)이 삽입되는 삽입홀(101a, 103a)이 형성된다. 이때, 한쌍의 개폐커버(107, 109) 중 하나의 개폐커버에는 도 8과 같이 제1수분공급관(334)이 관통배치되는 장홀(107d)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한쌍의 개폐커버(107, 109)의 하부에는 도 11과 같이 상호 치합되는 기어(107c, 109c)가 형성되어 일 개폐커버(109)를 회동시키는 경우, 타 개폐커버(107)가 연동하여 회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폐커버(107, 109) 중 도 8을 기준으로 후면 개폐커버(109)에는 돌출된 돌출편(520)이 형성되고, 전면 개폐커버(107)에는 돌출편(520)이 안착되는 안착편(510)이 형성되어 전면 개폐커버(107)와 후면 개폐커버(109)가 하우징(100)을 폐쇄시키는 경우 돌출편(520)이 안착편(510)에 안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후면 개폐커버(109)에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편(520)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걸림편(531)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돌출편(520)과, 안착편(510) 및 걸림편(531)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후면 개폐커버(109)와 전면 개폐커버(107)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걸림편(531)에는 손잡이회전축(109d)가 형성되어 걸림편(531)을 회전시키는 잠금손잡이(530)가 결합되는 바람직하고, 도 8과 같이 개폐도어(107, 109) 중 어느 하나에는 운반을 쉽게 할 수 있도록 손잡이(109b)가 형성될 수 있다.
전면 개폐커버(107)에는 버튼관통구(107b)가 형성되어 절개도어(420)를 승상시킬 수 있도록 결합된 절개도어버튼(420a)이 버튼관통구(107b)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잇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저장탱크(340)에는 수분을 수시로 용이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보충수공급관(342)이 연통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롤티슈 100 : 하우징
110 : 개구부 120 : 버튼홀
130 : 버튼삽입관 131 : 링크삽입공
133 : 링크가이드 140 : 차단벽
200 : 회동롤러부 210 : 롤러
220 : 롤러브래킷
300 : 수분공급부 310 : 공급부하우징
311 : 분사공 320 : 분지관
330 : 펌프 331 : 제1펌프하우징
331a : 유입구 331b : 유출구
333 : 펌프탄성체 335 : 피스톤
337 : 제2펌프하우징 337a : 유입공
337b : 유출공 340 : 수분저장탱크
350 : 버튼부 351 : 제1링크
353 : 제2링크 355 : 제3링크
357 : 제4링크
400 : 절개부 410 : 슬라이딩레일
420 : 절개도어 421 : 커팅날
430 : 브레킷 440 : 도어탄성체

Claims (16)

  1. 삭제
  2.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롤티슈가 권취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으로 이루어진 회동롤러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롤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회동롤러부에 권취된 롤티슈를 절개하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상기 절개부는
    상기 개구부 양측면에 배치된 슬라이딩레일과,
    상기 슬라이딩레일에 삽입되어 상하로 이동하는 절개도어와,
    상기 슬라이딩레일의 상부에 연접하여 형성된 브레킷과,
    일측과 타측이 상기 절개도어와 브레킷 사이에 결합되어 상기 절개도어에 가해진 외력이 소멸되는 경우 상기 절개도어를 상부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도어탄성체와,
    상기 절개도어 하면에 배치된 커팅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3.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롤티슈가 권취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으로 이루어진 회동롤러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롤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회동롤러부에 권취된 롤티슈를 절개하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분공급부는
    저면에 분사공이 형성된 공급부하우징과,
    상기 공급부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분사공에 연통된 노즐이 형성된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에 연통된 펌프와, 상기 펌프에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와, 상기 하우징 상부에 관통배치되어 상기 펌프에 외력을 전달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고, 타측에 유출구가 형성된 제1펌프하우징과,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제1펌프탄성체와, 상기 제1펌프탄성체와 유출구 사이에 배치된 피스톤과, 일단에 상기 피스톤이 삽입되는 유입공이 형성되며 타단에 상기 분지관과 연통되는 유출공이 형성되어, 상기 제1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펌프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피스톤에는 상기 유입공에 삽입되는 피스톤삽입편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공의 내면과 상기 피스톤삽입편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펌프하우징의 유출구에는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1실링부재가 배치되며,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일측 외면에는 제2실링부재가 배치되고,
    세1실링부재에는 일단이 상기 제2실링부재 또는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외면 일측과 맞닿는 제2펌프탄성체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는
    상하로 이동하는 제1링크;
    일측이 상기 제1링크의 하단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2링크;
    일측이 상기 제2링크의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제3링크;
    일측이 상기 제3링크의 타측에 배치된 제4링크;
    상기 제4링크의 타측에 상기 제2펌프하우징이 배치되어 상기 제1링크가 상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2펌프하우징이 상기 피스톤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상면에는 버튼홀이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상면의 저면에는 상기 버튼홀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1링크가 삽입되는 링크삽입공이 형성된 버튼삽입관이 형성되며,
    상기 버튼삽입관의 하부에는 상기 제4링크이 삽입되는 링크가이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4링크는 중공형 관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2펌프하우징의 유출구와 상기 분지관에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9. 전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고 롤티슈가 권취되는 롤러와, 상기 하우징 내면에 배치되어 상기 롤러의 양단이 회전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브레킷으로 이루어진 회동롤러부; 및
    상기 하우징에 배치되어 상기 롤티슈에 수분을 공급하는 수분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개구부에는 상하로 이동되며 상기 회동롤러부에 권취된 롤티슈를 절개하는 절개부가 마련되며,
    상기 수분공급부는
    상기 회동롤러부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하우징 내면 중 후면에 이격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전면 개구부와 상기 회동롤러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롤러에 권취된 롤티슈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과 수분공급부 사이의 공간을 통해 하우징의 개구부로 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공급부는 분사공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 내면에 결합된 수분공급부저면패널과, 상기 분사공에 연통되는 분지관과, 상기 분지관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 내면에 결합된 수분공급부상부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분지관에는 펌프가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면 중 양측면에는 한쌍의 측면패널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공급부저면패널의 양측단은 상기 측면패널에 결합되며,
    상기 측면패널 중 일 측면패널에는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연통되는 연결관이 형성되고,
    상기 분지관과 일 측면패널의 타측면에 연통하여 형성된 연결관 사이에는 제1수분공급관이 결합되며,
    상기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에 형성된 연결관과 상기 펌프 사이에는 제2수분공급관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에는 물을 공급하는 수분저장탱크가 결합되며,
    상기 일 측면패널의 일측면에는 상기 수분저장탱크가 수용되는 탱크수용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한쌍의 상기 측면패널에는 한쌍의 개폐커버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한쌍의 개폐커버 중 일 개폐커버에는 상기 제1수분공급관이 관통배치되는 장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개폐커버는 상기 일 측면패널과 타 측면패널과 축결합되며,
    상기 일 개폐커버와 타 개폐커버의 하부에는 상호 치합되는 기어가 형성되어 일 개폐커버를 회동시키는 경우, 타 개폐커버가 연동하여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일 개폐커버의 상부에는 상기 타 개폐커버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편이 형성되고,
    상기 타 개폐커버에는 상기 돌출편이 안착되는 안착편이 형성되며,
    상기 일 캐폐커버에는 상기 돌출편 하부로 이격 배치되는 걸림편이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돌출편과, 안착편 및 걸림편이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 일 개폐커버와 타 개폐커버가 회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걸림편에는 상기 걸림편을 회전시키는 잠금손잡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수분저장탱크에는 보충수공급관이 연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티슈 수분공급장치.

KR1020140028927A 2013-09-30 2014-03-12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KR101574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16520 2013-09-30
KR20130116520 201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71A KR20150037471A (ko) 2015-04-08
KR101574684B1 true KR101574684B1 (ko) 2015-12-04

Family

ID=5303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8927A KR101574684B1 (ko) 2013-09-30 2014-03-12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46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459B1 (ko) * 2019-03-22 2019-05-30 주식회사 클린존 코인 티슈용 케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455A (ja) * 2005-02-16 2006-08-31 Sanwa Shiko Kk ウエットタオル供給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23455A (ja) * 2005-02-16 2006-08-31 Sanwa Shiko Kk ウエットタオル供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71A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647B2 (en) Combination toilet paper dispenser, disinfecting station, and deodorizing station
KR100697346B1 (ko) 티슈 토출 장치
US10294643B2 (en) Sanitaryware cleaning system
CN214073095U (zh) 一种即时湿巾制作装置
WO1992019141A1 (fr) Dispositif humidificateur pour papier et distributeur de papier hygienique humidifie
US8499579B2 (en) Built-in refrigerator provided with a water and drinks dispenser
JP201520239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US20140000662A1 (en) Wet tissue feeding device
CN108086432B (zh) 一种隐蔽式卫生坐便器
KR20150070253A (ko) 도어 핸들 및 밀판용 클리닝 장치
US8322568B2 (en) Sheet product dispenser
KR101574684B1 (ko)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KR100555593B1 (ko) 물수건 공급 장치
KR101538226B1 (ko)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KR101363279B1 (ko) 휴대용 물티슈 케이스
JP2001169934A (ja) 洗浄機
KR101321907B1 (ko) 화장실 방향제분사장치
KR100894991B1 (ko) 물티슈를 공급하는 다기능 디스펜서
KR20170127789A (ko) 폴더형 변기
JP6813750B2 (ja) ディスペンサ
CN102844248A (zh) 便携式分配器
CN214911458U (zh) 医用加热盒及医用急救盒
KR101983246B1 (ko) 두루마리식 물티슈 조립체
KR20190054412A (ko) 염수캡슐 및 역세정밸브를 이용한 코세정기
CN109693878B (zh) 一种旅行用毛巾收纳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