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5119B1 - 물티슈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물티슈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5119B1
KR101425119B1 KR1020140043375A KR20140043375A KR101425119B1 KR 101425119 B1 KR101425119 B1 KR 101425119B1 KR 1020140043375 A KR1020140043375 A KR 1020140043375A KR 20140043375 A KR20140043375 A KR 20140043375A KR 101425119 B1 KR101425119 B1 KR 101425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utlet
hole
loading box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3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홍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홍옥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홍옥
Priority to KR10201400433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5119B1/ko
Priority to PCT/KR2014/007187 priority patent/WO201515645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5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5119B1/ko
Priority to CN201410394881.XA priority patent/CN104224013A/zh
Priority to US14/464,900 priority patent/US9186024B2/en
Priority to JP2014170605A priority patent/JP2015202396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6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front or sides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spray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2010/3266Wet wipes
    • A47K2010/3273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 A47K2010/3286Wet wipes moistened just before use by rollers

Abstract

본 발명은 물티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통체를 이루어 내부에 건티슈를 적재하며 제1 구멍을 갖는 적재함, 제2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구멍이 상기 제1 구멍과 대향하게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건티슈를 뽑아내는 출구부재,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 위에 설치되며 출수구를 갖는 물통, 상기 물통의 출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 사이에 위치하며 승강하며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상기 출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수단을 승강시키는 푸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의 물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 사이를 관통하는 상기 건티슈를 적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물티슈 공급장치{WET TISSUE SUPPLY APPARATUS}
본 발명은 물티슈 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정, 식당, 산업현장 등에서 물만을 사용하여 건티슈를 쉽게 물티슈로 만들어 쓸 수 있는 물티슈 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티슈는 밀폐된 상태에서 젖어 있기 때문에 곰팡이가 자라기에 딱 맞는 조건을 갖췄다. 물티슈 제조업계에서는 독성이 강한 방부제를 넣지 않으면 제품을 만드는게 불가능하다는게 일반적인 인식이다. 또한, 가습기 살균제 유해성분이 영유아용 물티슈에 들어 있는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물티슈 시장에 대한 소비심리가 급속도로 위축되고 있다.
최근에는 물티슈에 독한 방부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사용자가 물티슈를 장기간 보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술들이 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항균력이 있는 포장지와 캡을 사용하여 물티슈에 포함된 보존료량을 줄이는 것이다. 그러나 개시된 기술들은 방부제나 기타 화학성분의 함량을 줄일 뿐 근본적으로 사용하지 않겠다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다.
또한, 최근에는 물만을 이용하여 물티슈를 제조하는 장치가 개시되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298호 "물티슈 제조방법 및 보관함" 등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건티슈를 물에 적신 후 압축판을 이용하여 즉석에서 물티슈를 제조하는 기술이다. 선행기술은 물만을 사용하여 물티슈를 제조하기 때문에 방부제나 기타 화학성분에 대한 유해성은 없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7298호 "물티슈 제조방법 및 보관함"
본 발명의 목적은 물만을 사용하여 건티슈를 쉽게 물티슈로 만들어 쓸 수 있는 물티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물티슈로 만들지 않을 때에는 건티슈를 뽑아 쓸 수 있는 물티슈 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통체를 이루어 내부에 건티슈를 적재하며, 제1 구멍을 갖는 적재함; 제2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구멍이 상기 제1 구멍과 대향하게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건티슈를 뽑아내는 출구부재;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 위에 설치되며, 출수구를 갖는 물통; 상기 물통의 출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 사이에 위치하며, 승강하며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출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수단을 승강시키는 푸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의 물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 사이를 관통하는 상기 건티슈를 적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막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푸시부재가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켜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막대부는 하부로부터 상기 물통과의 사이에 제1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탄력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키는 돌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돌기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키며, 상기 푸시부재가 상기 적재함을 향해 전진하면 상기 막대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개방하고, 상기 푸시부재가 후진하면 상기 막대부가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돌기는 반원형을 이루어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키며, 상기 푸시부재가 상기 적재함을 향해 전진 및 후진하는 동안 상기 막대부가 상기 돌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2번 개방하고, 상기 막대부가 상기 돌기를 타고 넘으면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폐쇄할 수 있다..
상기 출수구가 다수개인 경우, 상기 막대부의 각 하부를 연결하는 판체가 더 설치되고, 상기 판체의 하부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반원돌기가 더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재에는 상기 제2 구멍 위로 홈 형태의 하우징이 더 형성되고,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푸시부재와 상기 막대부가 서로 접하게 위면이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는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안내구멍에 끼워지는 안내돌기를 갖을 수 있다.
상기 안내돌기가 형성된 상기 푸시부재의 면은 절개라인을 통해 상기 안내구멍에 탄력적으로 탈착되게 끼워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푸시부재를 탄력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탄성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재는 상기 제2 구멍이 형성되는 면에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구멍과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홈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홈에는 상기 제1 홈을 개폐하는 제1 덮개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1 홈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홈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물통에는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는 상기 제2 홈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2 홈을 수밀하게 개폐하여 상기 출수구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의 하부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상기 건티슈로 안내하기 위한 타원체 형태의 스커트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부는 상기 스커트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스커트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스커트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다수개의 물줄기로 살수하기 위한 살수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살수부재는 다수개의 살수공과 상기 출수구의 물을 상기 살수공들로 유도하기 위한 홈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에 각각 탈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은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이며, 상기 윗면은 상기 물통이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분리되면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물통은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이며, 상기 물통에는 그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제2 덮개가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물통에는 상기 제2 덮개와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제1 패킹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재의 하부 및 상기 적재함의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서랍식으로 출몰하는 물받이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재는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일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재는 그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제3 덮개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덮개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상기 물받이부재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물받이부재에는 상기 제3 덮개와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제2 패킹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재는 상기 적재함에 회전하며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적재함 및 상기 출구부재의 면에는 서로 접해 상기 건티슈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의 각 하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는 상기 건티슈를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밀판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출구부재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함수하여 상기 건티슈를 적시는 제1 함수부재가 상기 제2 구멍을 감싸도록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적재함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함수하여 상기 건티슈를 적시는 제2 함수부재가 상기 제1 구멍을 감싸도록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함수부재는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구멍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에 젖은 상기 건티슈를 상기 제2 구멍으로부터 뽑아낼 때에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누출방지부재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정, 식당, 산업현장 등에서 생수나 정수, 수돗물 등의 물만을 사용하여 건티슈를 쉽게 물티슈로 만들어 쓸 수 있기 때문에 방부제나 기타 화학성분에 대한 유해성이 전혀 없다. 또한, 컴팩트한 구조로 인해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인체에 무해하며 청결한 물티슈를 만들어 쓸 수 있다.
또한, 물티슈를 만들지 않을 때에는 건티슈를 뽑아서 쓸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에서 물티슈와 건티슈의 혼용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건티슈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물티슈 공급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물티슈 공급장치를 제1 및 제2 덮개, 물받이부재를 개방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물티슈 공급장치를 나타낸 분리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개폐부재와 푸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를 단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서 푸시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서 출구부재의 뒤에서 본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에서 표시 "B"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서 제2 덮개가 분리된 물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서 물통에 개폐부재가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서 스커트부재에 푸시부재가 위치한 물통의 하부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서 출구부재가 적재함으로부터 개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물티슈 공급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출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재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물받이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물티슈 공급장치는 적재함(100), 출구부재(200), 물통(300), 개폐부재(400) 및 푸시부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적재함(100), 출구부재(200), 물통(300), 개폐부재(400) 및 푸시부재(500)는 수지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부 구성요소는 수지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다른 구성요소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통(300)은 수위 측정이 쉽게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재함(100)은 통체를 이루어 내부에 건티슈를 적재하며 제1 구멍(101)을 갖는다. 출구부재(200)는 제2 구멍(201)을 갖는다. 출구부재(200)는 제2 구멍(201)이 제1 구멍(101)과 대향하게 적재함(100)에 설치된다. 적재함(100)에 적재된 건틱슈(1)는 제2 구멍(201)으로부터 제1 구멍(101)을 통해 외부로 뽑아진다.
건티슈(1)는 적재함(100)에 세로로 적재되어 제2 구멍(201)으로부터 제1 구멍(101)을 통해 외부로 뽑아진다. 하나의 건티슈(1)가 빠져나가는 동안 다른 하나의 건티슈(1)가 딸려나와 제2 구멍(201)과 제1 구멍(101) 사이에 걸쳐 대기한다. 딸려나온 다른 하나의 건티슈(1) 일부는 제2 구멍(201)으로부터 돌출되어 뽑기 좋게 대기한다.
물통(300)은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 위에 설치된다. 물통(300)은 출수구(301)를 형성하여 물통(300)에 담긴 물을 출수한다. 개폐부재(400)는 물통(300)의 출수구(301)에 설치되어 제1 구멍(101)과 제2 구멍(201) 사이에 위치하며 승강하며 출수구(301)를 개폐한다. 푸시부재(500)는 출구부재(200)에 설치되어 개폐부재(400)의 아래에 위치하며 개폐수단(400)을 승강시킨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물티슈 공급장치는 어느 한손으로 푸시부재(400)를 눌러 개폐부재(400)를 상승시킴으로써 물통(300)의 출수구(301)를 개방하여 물을 출수시키고, 다른 한손으로는 제2 구멍(201)과 제1 구멍(101)을 관통하여 놓인 건티슈(1)를 적재함(100)으로부터 뽑아낸다. 양손의 동작은 동시에 일어나며, 출수구(301)로 출수되는 물은 제1 구멍(101)과 제2 구멍(201) 사이를 관통하는 건티슈(1)를 적셔 물티슈를 만든다.
본 발명의 물티슈 공급장치는 푸시부재(400)를 작동하지 않으면 제2 구멍(201)과 제1 구멍(101)을 통해 적재함(100)에 적재된 건티슈(1)를 언제든 원하는 만큼 뽑아서 쓸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재(400)는 물통(300)의 출수구(301)에 끼워져 출수구(301)를 개폐하는 마개부(410)와, 마개부(410)의 하부에 연결되는 막대부(42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개폐부재(400)는 푸시부재(500)가 막대부(421)를 승강시킴으로써 마개부(410)가 출수구(301)로부터 빠져나와 출수구(301)를 개폐한다. 마개부(410)는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수지재질로 이루어져 출수구(301)를 수밀하게 폐쇄한다.
막대부(421)는 하부로부터 물통(300)과의 사이에 제1 탄성부재(423)를 설치하여 탄력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도 4 참조). 제1 탄성부재(423)는 푸시부재(500)가 막대부(421)를 밀어올려 상승시키면 수축하고, 푸시부재(500)의 밀어올리는 동작이 끝나면 원상태로 신장되어 막대부(421)를 원위치로 복귀시킨다. 제1 탄성부재(423)는 원위치로 복귀한 막대부(421)에 계속해서 탄성력을 부여함으로써 마개부(410)가 출수구(301)를 더 견고하게 수밀성을 갖고 폐쇄하도록 한다. 제1 탄성부재(423)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됨이 좋다. 제1 탄성부재(423)는 스프링 형태가 바람직하다.
도 7의 예시와 같이, 푸시부재(500)는 손가락 누름부를 형성하는 수평판부(501)와, 수평판부(501)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사각통부(503)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푸시부재(500)는 사각통부(503)의 상부에 돌기(505)를 형성하여 막대부(421)를 승강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예를 들면, 푸시부재(500)는 막대부(421)와 대면하는 돌기(505)의 면을 경사면으로 형성하여 막대부(421)를 승강시킬 수 있다. 푸시부재(500)의 수평판부(503)가 적재함(100)을 향해 전진하면, 막대부(421)가 경사면을 타고 올라가며 상승하고, 마개부(410)는 서서히 출수구(301)를 개방한다. 막대부(421)가 경사면의 상부 즉, 꼭대기에 위치하면 마개부(410)가 출수구(301)를 완전히 개방한다.
반대로 푸시부재(500)가 후진하면, 막대부(421)가 경사면을 타고 내려가며 하강하고, 막대부(421)가 경사면의 하부에 위치하면 마개부(410)가 출수구(301)를 완전히 폐쇄한다. 푸시부재(500)를 계속 누르면, 물이 충분히 젖은 물티슈가 제조된다. 그러나 아이들의 장난으로 푸시부재(500)가 계속 눌리면, 물이 멈추지 않고 출수되는 문제가 있다.
도 6의 예시와 같이, 푸시부재(500)는 돌기(503)를 반원형으로 형성하여 막대부(421)를 승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푸시부재(500)가 적재함(100)을 향해 전진 및 후진하는 동안, 막대부(421)가 돌기(505)의 상부 즉, 꼭대기에 2번 위치하므로, 마개부(410)는 출수구(301)를 2번 개방한다. 막대부(421)가 돌기(505)를 타고 넘으면 마개부(421)가 출수구(301)를 폐쇄한다.
즉, 푸시부재(500)가 적재함(100)을 향해 전진하면, 막대부(421)가 돌기(505)를 타고 올라가 상승하고, 마개부(410)는 출수구(301)를 개방한다. 푸시부재(500)가 더 전진하면, 막대부(421)가 돌기(505)를 타고 내려가 하강하고, 마개부(410)는 출수구(301)를 폐쇄한다. 푸시부재(500)를 계속 누르고 있으면, 출수구(301)는 폐쇄되어 물이 출수되지 않는다.
반대로 푸시부재(500)가 후진하면, 막대부(421)가 다시 돌기(505)를 타고 올라가 상승하고, 마개부(410)는 출수구(301)를 개방한다. 푸시부재(500)가 더 후진하면, 막대부(421)가 돌기(505)를 타고 내려가 하강하여 처음 위치로 복귀하고, 마개부(410)는 출수구(301)를 폐쇄한다.
푸시부재(500)의 작동은 탄력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의해 푸시부재(500)의 후진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푸시부재(500)의 전진 및 후진은 건티슈(1)가 제2 구멍(201)을 통해 빠져나가는 동안 이루어지며, 출수구(301)는 푸시부재(500)가 전진 및 후진하는 동안 2번 개방되어 물을 출수한다. 푸시부재(500)가 전진하는 동안 건티슈(1)는 선두 및 중간이 적셔지고, 푸시부재(500)가 후진하는 동안 건티슈(1)는 중간 및 후미가 적셔지기 때문에, 물이 충분히 젖은 물티슈가 제공된다. 아이들의 장난으로 푸시부재(500)가 계속 눌려도 출수구(301)가 단속적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물이 계속해서 출수되는 문제가 없다.
도 4, 도 8 및 도 9의 예시와 같이, 출구부재(200)에는 제2 구멍(201) 위로 홈 형태의 하우징(210)이 형성될 수 있고, 푸시부재(500)는 하우징(210)에 삽입 설치되어 개폐수단(400)의 막대부(421)를 승강시킬 수 있다.
하우징(210)은 푸시부재(500)와 계폐부재(400)의 막대부(421)가 서로 접하도록 위면이 개구된다. 하우징(210)의 좌우측면에는 길이를 갖는 안내구멍(211)이 형성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부재(500)는 안내구멍(211)에 끼워지는 안내돌기(507)를 갖을 수 있다. 안내구멍(211)에 끼워진 안내돌기(507)는 푸시부재(500)가 수평으로 전진 및 후진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안내돌기(507)가 형성된 푸시부재(500)의 면(사각통부(503)의 좌우측면)은 절개라인(509)을 통해 안내구멍(211)에 탄력적으로 탈착되게 끼워질 수 있다. 안내돌기(507)를 눌러 안내구멍(211)으로부터 이탈시키면, 푸시부재(500)가 하우징(210)로부터 쉽게 빠진다. 이에 의해, 푸시부재(500)를 세척하여 푸시부재(500)에 낀 이물질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다.
도 4 및 도 6의 예시와 같이,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제2 탄성부재(213)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13)는 푸시부재(500)에 탄성을 부여하여 푸시부재(500)가 탄력적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탄성부재(213)는 푸시부재(500)를 누르면 수축되고, 누르는 압이 제거되면 신장되어 푸시부재(500)가 누르기 전 위치로 위치하도록 한다. 제2 탄성부재(213)는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됨이 좋다. 제2 탄성부재(213)는 스프링 형태가 바람직하다.
출구부재(200)는 제2 구멍(201)이 형성되는 면에 제1 홈(21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구멍(201)과 하우징(210)은 제1 홈(215)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홈(215)에는 제1 홈(215)을 개폐하는 제1 덮개(61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구부재(200)는 적재함(100)과 대면하는 후면만을 개구한 통체일 수 있다. 출구부재(200)는 전면(217)에 제1 홈(215)을 형성하고, 그 제1 홈(215)의 바닥에 제2 구멍(201)과 하우징(21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출구부재(200)는 상면(219)에 관통공(221)을 형성하여 물통(300)의 출수구(301)에 설치된 개폐부재(400)의 막대부(421)가 관통공(211)을 관통하여 푸시부재(500)와 대응하도록 한다.
제1 덮개(610)는 푸시부재(500)와 건티슈(1)을 보호하고 출구부재(200)의 미관을 개선한다. 제1 덮개(610)는 제1 홈(215)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제1 홈(215)을 개폐하는 것이 좋다.
도 4의 예시와 같이, 제1 덮개(610)는 하부에 끼움홀(613)을 갖는 돌부(611)를 각각 거리를 두고 형성하고, 제1 홈(215)은 제1 덮개(610)의 하부와 대면하는 벽면에 끼움홀(613)에 끼워지는 끼움돌기(225)를 갖는 브라켓(223)을 각각 형성한다. 끼움돌기(225)에 끼움홀(613)을 끼운 제1 덮개(610)는 회전하며 제1 홈(215)을 개폐한다.
이때, 돌부(611)는 곡선을 이루며 길게 형성될 수 있고, 끼움홀(613)은 돌부(611)의 길이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홈(215)에는 돌부(611)가 삽입될 수 있는 삽입홀(227)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덮개(610)가 제1 홈(215)을 덮으면 돌부(611)가 삽입홀(227)에 삽입되어 출구부재(200)의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출구부재(200)의 내부로 들어간 돌부(611)의 부위는 물통(300)을 걸어 제1 덮개(610)가 제1 홈(215)을 덮으면 물통(300)이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도 10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물통(300)에는 제2 홈(303)이 형성될 수 있다. 출수구(301)는 제2 홈(303)에 형성될 수 있으며, 마개부(410)는 제2 홈(303)을 수밀하게 개폐하여 출수구(301)를 개폐할 수 있다.
물통(300)은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일 수 있다. 출수구(301)는 물통(300)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제2 홈(303)은 출수구(301)를 감싸도록 물통(300)의 바닥면에 형성된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마개부(410)는 제2 홈(302)에 수밀하게 끼워져 출수구(301)를 개폐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와 같이, 출수구(301)는 제2 홈(303)에 다수개로 형성될 수 있고, 도 5의 예시와 같이 계폐수단(400)의 막대부(421)는 출수구(301)의 수만큼 출수구(301)에 끼워져 마개부(41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막대부(410)의 각 하부에는 하부를 연결하는 판체(425)가 설치되어 막대부(410)를 고정하며, 제1 탄성부재(423)는 각 막대부(410)에 설치되어 탄성을 부여한다.
도 6의 예시와 같이, 판체(425)의 하부에는 푸시부재(500)의 돌기(505)와 대응하는 반원돌기(427)를 돌출 형성하여 푸시부재(500)의 작동시 막대부(421)를 승강시켜 마개부(410)가 제2 홈(303)을 개폐하도록 할 수 있다. 도 5에서는 판체(425)의 중간을 ㄷ자 모양으로 절곡하여 반원돌기(427)를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구조를 콤팩트하게 디자인하기 위해서이다.
제2 홈(303)이 개방되면 제2 홈(303)에 고인 물통(300)의 물은 다수개의 출수구(301)를 통해 여러 물줄기로 출수되기 때문에 적재함(100)의 제1 구멍(101)과 출구부재(200)의 제2 구멍(201)을 관통하는 건티슈(1)를 충분히 적셔 물티슈를 만들 수 있다.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물통(300)의 하부에는 출수구(301)의 물을 건티슈(1)로 안내하기 위한 타원체 형태의 스커트부재(305)가 설치될 수 있고, 막대부(421)는 스커트부재(305)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때, 푸시부재(500)는 스커트부재(305)를 관통하여 위치하여 막대부(421)를 승강시킨다. 스커트부재(305)는 전면과 후면에 홈(도면부호 미표시)을 형성하여 그 홈에 하우징(210)을 위치시킴으로써 푸시부재(500)가 스커트부재(305)를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한다.
스커트부재(305)는 출수구(301)를 통해 출수되는 물이 판체(425)나 하우징(210), 푸시부재(500) 등과 부딪혀 사방으로 튈 경우 이를 막아 건티슈(1)로 흘러가게 하고, 하기에서 설명되는 물받이부재(800)로 안전하게 모이게 한다. 스커트부재(305)는 제2 홈(303) 전체를 감싸거나 출수구(301)를 감싸는 크기가 될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스커트부재(305)의 내부에는 출수구(301)의 물을 샤워기와 같이 다수개의 물줄기로 살수하기 위한 살수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살수부재는 스커트부재(305)의 내벽면에 고정된다. 살수부재는 사각형상이며 다수개의 홈 라인과 홈라인을 따라 배열 형성된 다수개의 살수공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출수구(301)의 물은 홈라인을 따라 흐르고 살수공들은 여러 물줄기로 살수하여 건티슈(1)를 적신다. 살수부재는 출수구(301)의 물을 건티슈(1)에 골고루 뿌려줄 수 있다.
도 2,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물통(300)은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물통(300)에는 그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제2 덮개(311)가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물통(300)은 개구된 윗면의 일변에 끼움공(도면부호 미표시)을 형성하고, 제2 덮개(311)에는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도면부호 미표시)를 형성하여 물통(300)의 개구된 윗면을 회전되며 개폐할 수 있다. 제2 덮개(311)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물통(300)의 수위 측정을 쉽게 할 수 있다. 물통(300)의 개구된 윗면 테두리에는 제2 덮개(311)와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제1 패킹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물통(300)은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에 각각 탈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적재함(100)은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이며 물통(300)이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으로부터 분리되면 윗면이 개방된다. 적재함(100)은 물통(300)이 분리됨으로써 개방된 윗면을 통해 건티슈(1)를 다시 채운다.
도 11 및 도 12에 예시된 바와 같이, 물통(300)은 전면측에 제1 걸림돌기(307)를 형성하고 후면에는 제1 걸림구멍(309)을 형성하여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에 각각 탈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물통(300)의 분리는 물통(300)의 세척 및 건조 등을 용이하게 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출구부재(200)는 상면(219)에 제1 걸림돌기(307)를 끼워 거는 제2 걸림구멍(229)을 형성하여 물통(300)과 탈착되게 결합한다(도 13 참조). 제1 걸림돌기(307)는 끝단에 후크 모양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제2 걸림구멍(229)에 걸린다. 제1 걸림돌기(307)는 물통(300)의 전면으로부터 아래를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물통(300)은 전면에 절개라인을 통해 탄력적으로 작동하는 푸시버튼(313)을 형성하여 제1 푸시버튼(313)을 눌러 제1 걸림돌기(307)를 밀어 제2 걸림구멍(229)에 걸린 제1 걸림돌기(307)의 걸림턱을 빼낼 수 있다.
적재함(100)은 제1 걸림구멍(309)에 끼워져 걸리는 제2 걸림돌기(103)를 형성하여 물통(300)과 탈착되게 결합한다(도 13 참조). 제2 걸림돌기(103)는 끝단에 제1 걸림구멍(309)에 끼워지는 원형돌기(도면부호 미표시)를 형성하여 물통(300)과 탈착되게 결합한다. 제1 걸림구멍(309)에 끼워진 원형돌기를 밀어 빼내면, 물통(300)이 적재함(100)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도 1 내지 도 4의 예시와 같이, 출구부재(200)의 하부 및 적재함(100)의 하부에는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을 가로질러 물받이부재(800)가 설치된다. 물받이부재(800)는 서랍식으로 출몰한다. 물받이부재(800)는 건티슈(1)에 스며들지 않고 남은 출수구(301)의 물을 모아 회수한다.
물받이부재(800)는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일 수 있고, 그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제3 덮개(801)가 회전되게 설치될 수 있다. 물받이부재(800)는 개구된 윗면의 일변에 끼움공(도면부호 미표시)을 형성하고, 제3 덮개(801)에는 끼움공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도면부호 미표시)를 형성하여 물받이부재(800)의 개구된 윗면을 회전되며 개폐할 수 있다.
제3 덮개(801)는 물받이부재(800)에 고인 물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막는다. 제3 덮개(801)는 회수구멍(803)을 형성하여 그 회수구멍(803)을 통해 출수구(301)의 물을 물받이부재(800)로 회수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덮개(610)가 제1 홈(215)을 덮음으로 인해 출구부재(200)의 내부로 들어간 돌부(611)의 부위는 제3 덮개(801)의 회수구멍(803)에 끼워져 물통(300)이 빠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물받침부재(80)의 개구된 윗면 테두리에는 제3 덮개(803)와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제2 패킹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의 예시와 같이, 출구부재(200)의 하부에는 출몰구멍(231)을 형성하고, 적재함(100)의 하부에는 격벽(105)을 설치하여 출몰홈(107)을 형성하며, 물받이부재(800)는 출몰구멍(231)과 출몰홈(107)에 끼워져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을 가로질러 서랍식으로 출몰한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구부재(200)는 적재함(100)에 회전하며 탈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출구부재(200)는 적재함(100)에 고정되어 일체로 설치될 수 있으나, 탈착되게 설치됨으로써 청소 등을 용이하게 함이 좋다. 출구부재(200)는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으로부터 물통(300)이 분리되면 적재함(100)으로부터 회전하고 분리된다.
출구부재(200)는 좌우 내측면에 제3 걸림돌기(233)를 돌출 형성하고, 적재함(100)에는 제3 걸림돌기(233)와 대응하는 제3 걸림구멍(109)을 형성한다. 제3 걸림돌기(233)는 끝단에 원형돌기(도면부호 미표시)가 돌출 형성되며, 원형돌기가 제3 걸림구멍(109)에 끼워짐으로써 출구부재(200)가 적재함(100)에 회전하며 탈착되게 설치된다. 제3 걸림구멍(109)은 장공 형태이다. 출구부재(200)의 분리는 출구부재(200)를 적재함(100)으로부터 앞으로 당긴고 개방한 후 원형돌기를 밀어 제3 걸림구멍(109)으로부터 빼내면 된다.
또한, 출구부재(200)는 제4 걸림돌기(241)를 형성하여 적재함(100)에 견고히 탈착되게 결합된다. 제4 걸림돌기(241)는 출구부재(200)의 좌측면과 우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다. 적재함(100)은 전면에 제4 걸림돌기(241)와 대응하는 제4 걸림구멍(113)을 형성한다. 제4 걸림돌기(241)는 끝단에 후크 모양의 걸림턱을 형성하여 제4 걸림구멍(113)에 걸린다. 출구부재(200)는 좌측면과 우측면에 절개라인을 통해 탄력적으로 작동하는 제2 푸시버튼(243)을 형성하여 제2 푸시버튼(243)을 눌러 제4 걸림돌기(241)를 밀어 제4 걸림구멍(113)에 걸린 제4 걸림돌기(241)의 걸림턱을 빼낼 수 있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적재함(100) 및 출구부재(200)의 면에는 서로 접해 건티슈(1)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돌출부(111)(235)가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111)는 적재함(100)의 전면에 제1 구멍(101)을 감싸며 형성된다. 도면에서는 돌출부(111)가 ㄷ자 모양을 하고 있다. 돌출부(235)는 출구부재(200)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11)(235)는 적재함(100)과 출구부재(200)가 서로 결합하면 접해 건티슈(1)의 이동로를 형성한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의 각 하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901)가 설치되어 출구부재(200) 및 적재함(100)이 미끄러지지 않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출구부재(200)에는 제1 함수부재(911)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함수부재(911)는 물을 잘 흡수하는 스폰지 재질일 수 있다. 제1 함수부재(911)는 제2 구멍(201)을 감싸게 출구부재(200)의 전면 뒷쪽에 설치되어 출수구(301)의 물을 함수하여 건티슈(1)를 적신다. 출구부재(200)는 제2 구멍(201)을 감싸게 제1 설치돌기(915)를 돌출하여 그 제1 설치돌기(915)에 제1 함수부재(911)를 탈착되게 끼워 설치한다.
출수구(301)의 물은 제1 함수부재(911)로 출수되고, 건티슈(1)는 제1 함수부재(911)로부터 물을 흡수하여 젖는다. 제1 함수부재(911)는 제1 함수부재(911)를 통과하는 건티슈(1)에 균일한 물을 공급하여 건티슈(1)가 골고루 물에 젖도록 한다. 제1 함수부재(911)의 함수량을 초과한 물은 아래로 흘러 물통(300)으로 회수된다. 도면부호 916은 제1 함수부재(911)의 함수량을 초과한 물을 도 17에 예시된 물통(300)의 회수구멍(803)으로 유도하는 유도구멍을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917은 제1 설치돌기(915)에 끼워진 제1 함수부재(911)를 지지하는 지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00)에는 제2 함수부재(921)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함수부재(911)는 제1 함수부재(911)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함수부재(921)는 제1 구멍(101)을 감싸게 적재함(100)의 전면 앞쪽에 설치되어 제1 함수부재(911)와 접해 제1 함수부재(911)와 함께 건티슈(1)의 이동로를 형성한다. 적재함(100)은 제1 구멍(101)을 감싸게 제2 설치돌기(923)를 돌출하여 그 제2 설치돌기(923)에 제2 함수부재(921)를 탈착되게 끼워 설치한다.
제2 함수부재(921)는 출수구(301)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이 젖을 수 있고, 제1 함수부재(911)로부터 출수구(301)의 물을 간접 공급받아 젖을 수 있다. 제2 함수부재(921)는 제1 함수부재(911) 함께 통과하는 건티슈(1)에 균일한 물을 공급하여 건티슈(1)가 골고루 물에 젖도록 한다. 제2 함수부재(921)의 함수량을 초과한 물은 아래로 흘러 물통(300)으로 회수된다. 도면부호 925는 제2 함수부재(921)의 함수량을 초과한 물을 도 17에 예시된 물통(300)의 회수구멍(803)으로 유도하는 유도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부호 927은 제2 설치돌기(923)에 끼워진 제2 함수부재(921)를 지지하는 지그를 나타낸 것이다.
도 16의 예시와 같이, 적재함(100)의 내부에는 건티슈(1)를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밀판부재(903)가 설치될 수 있다. 밀판부재(903)는 적재함(100)과의 사이에 탄성스프링부재(미도시)를 설치하여 건티슈(1)를 탄력적으로 밀 수 있다. 밀판부재(903)는 건티슈(1)를 제1 구멍(101) 쪽으로 밀어 적은량의 건티슈(1)가 남아도 쉽게 빼낼 수 있도록 하고, 건티슈(1)가 넘어지지 않도록 잡아준다.
도 14의 예시와 같이, 제2 구멍(301)에는 누출방지부재(931)가 설치될 수 있다. 누출방지부재(931)는 고리 형태를 이루어 제2 구멍(301)에 끼워져 고정되며, 출수구(301)의 물에 젖은 건티슈(1)를 제2 구멍(301)으로부터 뽑아낼 때에 건티슈(1)에 초과 함수된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누출방지부재(931)는 탄성을 갖으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짐이 좋다. 누출방지부재(931)는 물에 젖은 건티슈(1)를 뽑아낼 때에 탄성을 주어 쓸면서 짜듯이 건티슈(1)에 초과 함수된 물을 빼내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정, 식당, 산업현장 등에서 생수나 정수, 수돗물 등의 물만을 사용하여 건티슈를 쉽게 물티슈로 만들어 쓸 수 있기 때문에 방부제나 기타 화학성분에 대한 유해성이 전혀 없다.
또한, 본 발명은 컴팩트한 구조로 인해 휴대가 간편하기 때문에 언제 어디서든지 인체에 무해하며 청결한 물티슈를 만들어 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물티슈를 만들지 않을 때에는 건티슈를 뽑아서 쓸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장치에서 물티슈와 건티슈의 혼용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건티슈를 준비할 필요가 없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적재함 101: 제1 구멍
103: 제2 걸림돌기 105: 격벽
107: 출몰홈 109 : 제3 걸림구멍
111: 돌출부 113: 제4 걸림구멍
200: 출몰부재 201: 제2 구멍
210: 하우징 211: 안내구멍
213: 제2 탄성부재 215: 제1 홈
217: 전면 219: 상면
221: 관통공 223: 브라켓
225: 끼움돌기 227: 삽입홀
229: 제2 걸림구멍 231: 출몰구멍
233: 제3 걸림돌기 235: 돌출부
241: 제4 걸림돌기 243: 제2 푸시버튼
300: 물통 301: 출수구
303: 제2 홈 305: 스커트부재
307: 제1 걸림돌기 309: 제1 걸림구멍
311; 제2 덮개 313: 제1 푸시버튼
400: 개폐부재 410: 마개부
421: 막대부 423: 제1 탄성부재
425: 판체 427: 반원돌기
500: 푸시부재 501: 수직판부
503: 사각통부 505: 돌기
507: 안내돌기 509: 절개라인
610: 제1 덮개 611: 돌부
613: 끼움홀 800: 물받이부재
801: 제3 덮개 803: 회수구멍
901: 미끄럼방지부재 903: 밀판부재
905: 탄성스프링부재 911: 제1 함수부재
921: 제2 함수부재 931: 누출방지부재

Claims (33)

  1. 통체를 이루어 내부에 건티슈를 적재하며, 제1 구멍을 갖는 적재함;
    제2 구멍을 갖고, 상기 제2 구멍이 상기 제1 구멍과 대향하게 상기 적재함에 설치되며, 상기 제2 구멍으로부터 상기 제1 구멍을 통해 상기 적재함에 적재된 상기 건티슈를 뽑아내는 출구부재;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 위에 설치되며, 출수구를 갖는 물통;
    상기 물통의 출수구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 사이에 위치하며, 승강하며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출구부재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의 아래에 위치하며, 상기 개폐수단을 승강시키는 푸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물통의 물로 상기 제1 구멍과 상기 제2 구멍 사이를 관통하는 상기 건티슈를 적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마개부와, 상기 마개부의 하부에 연결되는 막대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푸시부재가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켜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부는 하부로부터 상기 물통과의 사이에 제1 탄성부재를 설치하여 탄력적으로 승강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키는 돌기를 갖는 물티슈 공급장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키며,
    상기 푸시부재가 상기 적재함을 향해 전진하면 상기 막대부가 상기 경사면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개방하고, 상기 푸시부재가 후진하면 상기 막대부가 상기 경사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폐쇄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반원형을 이루어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키며,
    상기 푸시부재가 상기 적재함을 향해 전진 및 후진하는 동안 상기 막대부가 상기 돌기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2번 개방하고, 상기 막대부가 상기 돌기를 타고 넘으면 상기 마개부가 상기 출수구를 폐쇄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출수구가 다수개인 경우, 상기 막대부의 각 하부를 연결하는 판체가 더 설치되고, 상기 판체의 하부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하는 반원돌기가 더 돌출 형성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8.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재에는 상기 제2 구멍 위로 홈 형태의 하우징이 더 형성되고,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키는 물티슈 공급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푸시부재와 상기 막대부가 서로 접하게 위면이 개구되고, 상기 하우징의 좌우측면에는 안내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안내구멍에 끼워지는 안내돌기를 갖는 물티슈 공급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돌기가 형성된 상기 푸시부재의 면은 절개라인을 통해 상기 안내구멍에 탄력적으로 탈착되게 끼워지는 물티슈 공급장치.
  11.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푸시부재를 탄력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제2 탄성부재가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12.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재는 상기 제2 구멍이 형성되는 면에 제1 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2 구멍과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1 홈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1 홈에는 상기 제1 홈을 개폐하는 제1 덮개가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덮개는 상기 제1 홈에 회전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홈을 개폐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1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는 제2 홈이 형성되고, 상기 출수구는 상기 제2 홈에 형성되며, 상기 마개부는 상기 제2 홈을 수밀하게 개폐하여 상기 출수구를 개폐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1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의 하부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상기 건티슈로 안내하기 위한 타원체 형태의 스커트부재가 더 설치되고, 상기 막대부는 상기 스커트부재의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푸시부재는 상기 스커트부재를 관통하여 상기 막대부를 승강시키는 물티슈 공급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다수개의 물줄기로 살수하기 위한 살수부재가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부재는 다수개의 살수공과 상기 출수구의 물을 상기 살수공들로 유도하기 위한 홈라인을 포함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1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에 각각 탈착되게 결합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은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이며, 상기 윗면은 상기 물통이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으로부터 분리되면 개방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은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이며, 상기 물통에는 그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제2 덮개가 회전되게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21. 제20 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에는 상기 제2 덮개와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제1 패킹부재가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2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재의 하부 및 상기 적재함의 하부를 가로질러 설치되어 서랍식으로 출몰하는 물받이부재를 더 포함하는 물티슈 공급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재는 윗면만이 개구된 통체인 물티슈 공급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재는 그 개구된 윗면을 개폐하는 제3 덮개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상기 제3 덮개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상기 물받이부재로 회수하기 위한 회수구멍이 형성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25. 제24 항에 있어서,
    상기 물받이부재에는 상기 제3 덮개와의 사이에 수밀성을 부여하는 제2 패킹부재가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2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재는 상기 적재함에 회전하며 탈착되게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27. 제1 항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상기 적재함 및 상기 출구부재의 면에는 서로 접해 상기 건티슈의 이동로를 형성하는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2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재 및 상기 적재함의 각 하부에는 미끄럼방지부재가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2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의 내부에는 상기 건티슈를 탄력적으로 밀기 위한 밀판부재가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3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출구부재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함수하여 상기 건티슈를 적시는 제1 함수부재가 상기 제2 구멍을 감싸도록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함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을 함수하여 상기 건티슈를 적시는 제2 함수부재가 상기 제1 구멍을 감싸도록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32. 제3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함수부재는 탈착되게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3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멍에는 상기 출수구의 물에 젖은 상기 건티슈를 상기 제2 구멍으로부터 뽑아낼 때에 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방지하는 누출방지부재가 더 설치되는 물티슈 공급장치.
KR1020140043375A 2014-04-11 2014-04-11 물티슈 공급장치 KR101425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75A KR101425119B1 (ko) 2014-04-11 2014-04-11 물티슈 공급장치
PCT/KR2014/007187 WO2015156451A1 (ko) 2014-04-11 2014-08-04 물티슈 공급장치
CN201410394881.XA CN104224013A (zh) 2014-04-11 2014-08-12 湿巾供应装置
US14/464,900 US9186024B2 (en) 2014-04-11 2014-08-21 Wet tissue supply apparatus
JP2014170605A JP2015202396A (ja) 2014-04-11 2014-08-25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375A KR101425119B1 (ko) 2014-04-11 2014-04-11 물티슈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5119B1 true KR101425119B1 (ko) 2014-08-05

Family

ID=51749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375A KR101425119B1 (ko) 2014-04-11 2014-04-11 물티슈 공급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186024B2 (ko)
JP (1) JP2015202396A (ko)
KR (1) KR101425119B1 (ko)
CN (1) CN104224013A (ko)
WO (1) WO201515645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33B1 (ko) * 2014-07-30 2014-12-08 주식회사 홍옥 전동식 물티슈 공급장치
CN104433932A (zh) * 2014-12-25 2015-03-25 贵阳茂和润科技有限公司 一种两用纸巾盒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45634B (zh) * 2015-02-03 2019-11-05 林伟东 便携式湿巾制取装置
US9629509B1 (en) * 2015-06-15 2017-04-25 Dispensing Dynamics International Wet wipe dispenser
CN105581718A (zh) * 2016-03-03 2016-05-18 苏州奥通汽车用品有限公司 一种新型抽纸盒
WO2017158244A1 (en) * 2016-03-18 2017-09-21 Kleenu Oy Dispenser for moistening and dispensing hygienic towels
CN107752880A (zh) * 2017-11-01 2018-03-06 湖州南浔自在工艺品有限公司 木制干湿纸巾盒
KR101949806B1 (ko) * 2018-09-07 2019-02-19 주식회사 클린존 코인 티슈용 디스펜서
CA3060467C (en) * 2018-12-20 2023-08-01 Cascades Canada Ulc Sheet product dispenser and method and kit to convert a sheet product dispenser
KR101984459B1 (ko) * 2019-03-22 2019-05-30 주식회사 클린존 코인 티슈용 케이스
CN110304352B (zh) * 2019-07-11 2020-11-24 东阳市聚铕新材料有限公司 一种可依次取出面膜且防夹带的面膜盒
KR102076142B1 (ko) * 2019-07-31 2020-02-11 김병진 물티슈 제조시스템
KR102295620B1 (ko) * 2020-04-27 2021-08-31 주식회사 클린존 휴대용 압축티슈 케이스
CN111887756A (zh) * 2020-08-05 2020-11-06 佛山市亘拓科技有限公司 一种即时湿巾制作装置及方法
US20220279991A1 (en) * 2021-03-04 2022-09-08 Tammy Simmons Integrated Wet Wipe and Disposal Bag Dispenser Unit
US11141328B1 (en) * 2021-04-01 2021-10-12 The Tranzonic Companies High capacity hygiene product dispenser
WO2022236152A1 (en) * 2021-05-06 2022-11-10 Yates Shane L Bathroom product delivery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7321A (ja) * 1987-04-24 1988-11-04 吉田貿易株式会社 テイツシユペ−パおよびテイツシユペ−パへの液体供給装置
JPH0824157A (ja) * 1994-07-18 1996-01-30 Inaba Akira ウェットティシュの加温容器
KR100201546B1 (ko) 1997-03-25 1999-06-15 박주현 물수건 인출장치
KR20130093380A (ko) * 2012-02-14 2013-08-22 주식회사 킹스랜드 휴대용 물티슈 케이스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58667B1 (de) * 1970-11-28 1972-05-25 Weitmann & Konrad Vorrichtung in Druckereimaschinen,insbesondere Offsetmaschinen,zum Aufbringen von Fluessigkeit auf bewegte Flaechen
JPS5646639Y2 (ko) * 1978-08-04 1981-10-30
FR2554700B1 (fr) * 1983-11-14 1987-02-20 Ippolito Marceau Distributeur de papier hygienique perfectionne
JPS62243518A (ja) * 1986-04-16 1987-10-24 株式会社 磯村製作所 紙タオル等の加湿装置
DE69121729T2 (de) * 1991-05-07 1997-01-30 Remy Saleur Vorrichtung zum befeuchten von papier und abgabevorrichtung von befeuchtetem hygienepapier
US5375616A (en) * 1993-10-12 1994-12-27 Chen; Chi-Shan Wet toilet paper automatic supplier
JPH07204122A (ja) * 1994-01-21 1995-08-08 Mitsubishi Rayon Co Ltd ペーパータオル類の供給装置
KR0128003B1 (ko) 1995-08-09 1998-04-04 김회수 자동차 잔류 연료량 및 연료주입량 표시방법
JP3213837B2 (ja) * 1996-12-28 2001-10-02 滋胤 具 水タオル自動供給装置
US5887759A (en) * 1997-06-06 1999-03-30 Ayigbe; Ayomore Liquid dispenser for moistening paper articles
US6170426B1 (en) * 1997-10-03 2001-01-09 Arden L. Thorsbakk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wet and dry pads
US6668843B2 (en) * 2001-04-17 2003-12-30 Yen Sun Technology Corp. Method for manufacturing a wet towel and the apparatus thereof
KR20040023823A (ko) * 2002-09-12 2004-03-20 정용석 즉석 물휴지 시스템
KR200320406Y1 (ko) 2003-03-22 2003-07-22 (주)을지산업 일회용 티슈 및 그 생산 장치
KR200337091Y1 (ko) 2003-09-25 2003-12-31 조광래 전자동 일회용 압착 티슈 제조 시스템
KR100697346B1 (ko) * 2004-09-17 2007-03-20 엘릭스 주식회사 티슈 토출 장치
CN1748622A (zh) * 2005-10-08 2006-03-22 蔡志忠 干湿两用纸巾盒
US7648046B2 (en) * 2006-05-30 2010-01-1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ispensing system for dispensing warm wet wipes
US7856941B2 (en) * 2007-09-28 2010-12-28 Steven D. Nelson Wet wipe dispenser
CN201234949Y (zh) * 2008-06-24 2009-05-13 徐荣冠 携带式干巾变湿巾装置
KR100894991B1 (ko) * 2008-09-29 2009-04-29 정은희 물티슈를 공급하는 다기능 디스펜서
KR20110007298A (ko) * 2009-07-16 2011-01-24 안병록 물티슈 제조방법 및 보관함
KR20110020402A (ko) * 2009-08-24 2011-03-03 안병록 물티슈 제조방법 및 손세정제 보관함
AU2009356848A1 (en) * 2009-12-18 2012-07-05 Sca Hygiene Products Ab Dispenser for dispensing paper, nonwovens and/or wipes
KR101300834B1 (ko) 2010-09-13 2013-08-29 김형민 롤타입 물티슈 제조장치
JP2014503309A (ja) * 2010-12-30 2014-02-13 クリーン・フィンガ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CN202619535U (zh) * 2012-04-17 2012-12-26 南通市海宇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纸巾盒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67321A (ja) * 1987-04-24 1988-11-04 吉田貿易株式会社 テイツシユペ−パおよびテイツシユペ−パへの液体供給装置
JPH0824157A (ja) * 1994-07-18 1996-01-30 Inaba Akira ウェットティシュの加温容器
KR100201546B1 (ko) 1997-03-25 1999-06-15 박주현 물수건 인출장치
KR20130093380A (ko) * 2012-02-14 2013-08-22 주식회사 킹스랜드 휴대용 물티슈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0333B1 (ko) * 2014-07-30 2014-12-08 주식회사 홍옥 전동식 물티슈 공급장치
WO2016017848A1 (ko) * 2014-07-30 2016-02-04 주식회사 홍옥 전동식 물티슈 공급장치
CN104433932A (zh) * 2014-12-25 2015-03-25 贵阳茂和润科技有限公司 一种两用纸巾盒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224013A (zh) 2014-12-24
US9186024B2 (en) 2015-11-17
US20150289731A1 (en) 2015-10-15
WO2015156451A1 (ko) 2015-10-15
JP2015202396A (ja) 2015-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5119B1 (ko) 물티슈 공급장치
JP7078831B2 (ja) ペット用携帯水遣り器
US3953902A (en) Water closet additive means
US8510874B2 (en) Toilet plunger cleaning system
NO873371L (no) Skrubbekapsel/lukke-enhet.
KR20180013946A (ko) 화장실 클리너
KR101653379B1 (ko) 자력을 이용한 양변기의 배수밸브 개폐 장치
KR200417522Y1 (ko) 손 소독기
KR20140078505A (ko) 자동 물내림 변기 커버
KR101639047B1 (ko) 세제 인출 기능을 갖는 머리 세정기구
KR101470333B1 (ko) 전동식 물티슈 공급장치
KR20160129861A (ko) 위생 도기 제품에 대해 위생 첨가제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그 사용 방법
KR200395149Y1 (ko) 탈취 기능을 가진 발판
KR101538226B1 (ko) 건티슈 수분 공급장치
KR20090013300A (ko) 휴대용 비데
CN109693878B (zh) 一种旅行用毛巾收纳盒
KR20170001498U (ko) 휴대용 소변기
KR101914050B1 (ko)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CN205514325U (zh) 一种干湿两用纸巾盒
KR102295620B1 (ko) 휴대용 압축티슈 케이스
CN214433899U (zh) 一种红外感应式洗手液装置
CN213883022U (zh) 儿童坐便器
KR102043466B1 (ko) 변기세정장치
KR100957449B1 (ko) 분리세척이 용이한 배수장치
KR20150062337A (ko) 막힘 해소용 좌변기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