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546B1 - 물수건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물수건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546B1
KR100201546B1 KR1019970010286A KR19970010286A KR100201546B1 KR 100201546 B1 KR100201546 B1 KR 100201546B1 KR 1019970010286 A KR1019970010286 A KR 1019970010286A KR 19970010286 A KR19970010286 A KR 19970010286A KR 100201546 B1 KR100201546 B1 KR 100201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et towel
support plate
towel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0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446A (ko
Inventor
박주현
Original Assignee
박주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현 filed Critical 박주현
Priority to KR1019970010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546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54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ody Washing Hand Wipes And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서 물수건을 적당한 길이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피부나 의복에 묻은 먼지, 기름, 음식물 등을 닦아 내거나 또는 간편하게 물건에 쌓인 먼지나 때 등을 청소할 수 있게 한 물수건 인출장치에 것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기계적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300)과, 지지판(300)의 상부에 엊혀져 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와 지지판(300)의 내부에 수납되어 물수건이 감겨진 물수건 권취롤(600)과,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수건을 인출하는 인출롤러(800)와, 인출된 물수건을 절단하도록 레버(1000)에 의해 전후작동되는 블레이드(1200)와, 지지판(300)의 상부에 엊혀진 물통(500), 물의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밸브(1410)로 구성되어 물수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400)와, 상기 인출롤러(800)를 회전시키고 블레이드(1200)의 레버(10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00)로 이루어져 상기 기기를 공공장소의 여러곳에 비치하여 기기에서 인출되는 물수건을 다용도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물수건 인출장치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서 물수건을 적당한 길이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피부나 의복에 묻은 먼지, 기름, 음식물 등을 닦아 내거나 또는 간편하게 물건에 쌓인 먼지나 때 등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한 물수건 인출장치에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지나 티슈는 땀등과 같은 체액을 닦거나 또는 피부에 기름이나 음식물 같은 이물질이 묻었을 때 이를 간편하게 닦어 내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여성들의 경우에는 화장후 화장을 지우는 데에도 티슈를 사용하게 되는데, 건조한 화장지나 티슈로 지우는 경우에는 잘 닦여지지 않는 현상이 발생한다.
한편 화장지나 티슈로 피부에 생성된 땀등과 같은 체액을 닦거나 또는 음식물과 같은 이물질을 닦을 경우에도 체액이나 이물질이 피부면에서 굳은 상태라면 충분히 닦여지지 않는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적당한 수분을 포함한 물티슈가 있으나 이 또한 별도로 구입하여 개인이 소지해야 하는 불편함과 만약 소지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사용범위가 한정되는 단점이 있다.
특히 이는 공공장소에서 화장을 고치거나 피부에 묻은 이물질을 간편하게 닦아낼 때 그 필요성은 더욱 증대된다.
따라서 누구나 쉽게 접하는 장소에서 적당한 수분과 강도의 물수건을 1회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면 물수건의 사용범위를 확장시키고 생활의 편리함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사무실 근처의 공용 화장실이나 여객 대합실 같은 사람이 많이 모이는 곳에 물수건을 사용하기 쉽게 비치할 수 있다면 각종 물건이나 오염물질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는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전술한 불편함과 이를 해결하기 위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공공장소에서 물수건을 적당한 길이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피부나 의복에 묻은 먼지, 기름, 음식물 등을 닦어 내거나 또는 물건에 쌓인 먼지나 때 등을 간편하게 청소할 수 있게 한 물수건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부에 기계적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과, 지지판의 상부에 엊혀져 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와, 케이스와 지지판의 내부에 수납되어 물수건이 감겨진 물수건 권취롤과,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수건을 인출하는 인출롤러와, 인출된 물수건을 절단하는 블레이드와, 지지판의 상부에 엊혀진 물통, 물의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걔폐하는 개폐밸브로 구성되어 물수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와, 인출된 물수건을 절단하도록 레바에 의해 전후작동되는 블레이드와, 상기 안출롤러를 회전시키고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짐을 본 발명의 기본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물수건 인출장치를 벽에 고정하기 위한 구성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물수건 인출장치의 내부개방 구조를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구요 기계적 구성을 나타낸 전체 내부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작동구조를 보인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캠의 구조와 작동영역을 도시한 캠의 정면도.
제7a도 내지 제7e도는 본 발명의 물수건 인출과 절단과정을 나타낸 캠의 작동상태도.
제8도는 본 발명 물수건 인출장치의 구동부를 나타낸 제4도의 A방향에서 본 도면.
제9도는 본 발명의 물수건 절단을 위한 블레이드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물수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물수건에 물을 공급하기 위한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물공급 구조를 이루는 밸브의 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밸브작동구조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서 구동입력부와 물의 살균을 위한 자외선 살균등의 장착위치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케이스 110 : 손잡이
120 : 표시창 130 : 작동스위치
140 : 잠금버튼 150 : 힌지
200 : 수건받이 210 : 브라켓트
300 : 지지판 310 : 안착돌기
311 : 절결홈 312 : 고정편
320 : 바닥판 321 : 인출홈
400 : 물통받침대 410 : 유입공
500 : 물통 510 : 물통손잡이
520 : 캡(Cap) 600 : 물수건 권취롤
610 : 물수건 힌지축 700 : 구동부
710 : 모터 711 : 모터기어
720 : 중간기어 721 : 외측기어
722 : 중간기어 회전축 723 : 부쉬(Bush)
730 : 구동기어 730a : 치형
731 : 내측기어 732 : 연결축
740 : 캠 741 : 캠홈
741a-b : 레버작동영역 750 : 인출롤러 구동기어
800 : 인출롤러 810 : 원동롤러
811 : 원동롤러 회전축 820 : 피동롤러
821 : 피동롤러 회전축 900 : 원동롤러측 지지대
902 : 물공급홈 910 : 피동롤러측 지지대
912 : 토오션 스프링 1000 : 레버
1001 : 레버힌지 1002 : 안내롤러
1100 : 블레이드 안착대 1101 : 롤러
1200 : 블레이드(Blade) 1300 : 고정 블레이드
1310 : 지지턱 1400 : 물공급부
1410 : 개폐벨브 1411 : 제 1 유입통로
1412 : 노즐 1413 : 제 2 유입통로
1414 : 복귀 스프링 1415 : 누름편
1416 : 걸림레버 1420 : 솔레노이드
1500 : 자외선 살균등 S1 : 감지센서
H : 연결호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특징적 요소를 충족할 수 있는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전체 외관을 나타낸다.
즉, 본 발명 장치의 본체는 크게 물수건 인출을 위한 각종 기계적 요소를 지지하는 지지판(300)과 지지판(300)의 외부를 감싸 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로 구성된다.
먼저 케이스(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케이스(100)의 하부에는 인출된 물수건의 받침구조를 형성하는 물수건 받이(200)가 브라켓트(210)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물수건 받이(200)의 형태는 여러 가지의 구조로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가는 봉을 격자형으로 연결하여 기기에서 인출된 물수건을 받치도록 되어 있고 케이스(100)의 전면에는 거울(160)이 부착되어 있다.
한편 케이스(100)는 내부의 지지판(300)과 기계적 구성요소를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는 내부의 기기를 수리 및 청소하거나 또는 권취된 형태의 물수건 권취롤(600)을 새로 기기의 내부로 안착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케이스(100)의 개폐를 위한 구조는 제3도에서와 같이 내부의 지지판(300)과 케이스(100)를 연결하는 힌지(150)가 케이스(100)의 측면 하부에 형성되고 케이스(100)의 상면에는 케이스(100)의 잠금 및 해제작동을 수행하는 잠금버튼(14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케이스(100) 상부의 감금버튼(140)을 누르게 되면 지지판(300)과 케이스(100)의 걸림상태가 해제되어 하부의 힌지(150)를 중심으로 케이스(100)가 아래로 내려가 지지판(300)에 형성된 기계장치를 외부로 노출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기는 주로 벽에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기기의 벽에 대한 고정구조를 제2도에서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기기의 후면을 이루는 지지판(300)의 무게중심에 절결홈(311)이 도면에 표현된 형상으로 절결되고 양 절겸홈(311)에 의해 상하부만 지지판(300)에 구조적으로 연결된 고정편(3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형태는 기기를 벽에 고정할 때, 만약 벽면이 고르지 못하다면 양측은 지지판(300)에 일부분만 연결된 고정편(312)이 탄력적으로 벽면의 편차에 대응하여 밴딩(Banding)됨으로서 기기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스(100)의 전면 일측에는 기기를 사용자가 작동시키는 작동스위치(130)가 형성되고 케이스(100)의 측면 상부에는 물통(500)과 물수건 권취롤(600)의 용량 및 권취량을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표시창(120)이 형성되고 이의 하부에는 기기 전체의 이동과 개폐를 위한 손잡이(110)가 형성되어 있다.
이상은 본 발명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100)를 설명한 것으로, 케이스의 내부에 형성되는 본 발명의 주요 기계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기계적 구성을 나타낸 내부 전체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주요장치상의 구성을 나타낸다.
케이스(100)의 내부에는 각종 기계적 구성요소를 내재하는 지지판(300)이 양측벽과 후면판이 연결된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기계적 구성요소는 크게 지지판(300)에 회전 가능하게 수납되어 물수건을 인출하는 물수건권취롤(600)과, 물수건을 외부로 인출하는 인출롤러(800), 인출롤러(800)가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부여하는 구동부(700)와, 인출롤러(800)의 작동에 연관되어 물수건을 절단하는 블레이드(1200)와, 물이 적재된 물통(500) 및 물통(500)에서 유입되는 물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물수건에 공급하는 물공급부(140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에서 먼저 물통(500)은 지지판(300)의 상부에 형성된 물통받침대(400)에 안착되는데, 물통(500)의 구조는 상면의 무게중심에 물통손잡이(510)가 형성되고 상면 소정위치에서 물통(500)의 내부로 물을 채우기 위한 캡이 (520)형성된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물통받침대(400)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공(410)이 형성되고 유입공(410)에는 물의 공급통로를 형성하는 연결호스(H)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다.
한편 물수건 권취롤(600)은 지지판(300)의 양 측벽에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안착돌기(310)에 물수건권취롤(600)의 물수건힌지축(610)의 양단이 지지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물수건권취롤(600)의 하부에는 권취된 물수건을 인출하기 위한 인출롤러(800)가 두 개의 쌍으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은 인출롤러(800)는 회전가능하도록 구동력을 부여받는 원동롤러(810)와 이에 접하여 동시에 회전되는 피동롤러(820)로 구성된다.
이의 장착구조는 상기 원동롤러(810)는 원동롤러측 지지대(900)에 위치하고 피동롤러(820)는 피동롤러측 지지대(910)에 회전가능하게 위치하게 되는데, 이 때 상기 피동롤러(820)의 피동롤러 회전축(821)은 피동롤러측 지지대(910)에 형성된 토오션 스프링(912)에 의해 항상 원동롤러(810)측으로 밀게되어 있고 원동롤러 회전축(811)은 제6도에서와 같이 지지판(300)의 양측벽을 가로질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와 같은 원동롤러(810)와 피동롤러(820) 사이에 물수건이 삽입되어 회전되는 인출롤러(800)에 의해 물수건이 인출홈(321)을 통하여 외부로 인출된다.
이와 같이 하부로 인출되는 물수건을 적당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장치로는 제7도 및 제9도에서와 같이 레버(1000)에 의해 전후로 작동되는 블레이드(1200)와 피동롤러측 지지대(910)의 저면에 고정되는 고정블레이드(1300)로 구성되어 있다.
즉, 블레이드(1200)는 지지판(300)의 상부에 레버힌지(1001)로 지지되어 회동되는 레버(1000)의 하부에 블레이드 안착대(1100)가 수평으로 고정되고 이러한 블레이드 안착대(1100)에 블레이드(1200)가 고정된다.
상기 블레이드(1200)는 위에서 보았을 때 일방향으로 경사진 구조를 가지며 고정블레이드(1300)는 일측으로 고정브레이드(1300)가 항상 전후 작동되는 블레이드(1200)의 상부에 위치하기 위해 지지턱(1310)이 돌출형성된다.
또한 레버(1000)에 의해 전후 작동되는 블레이드(1200)는 구동부(700)에 의해 회전되는 캠(740)으로 작동되는데, 이러한 캠(740)의 구조는 제6도에서와 같이 일측이 타원의 형태를 갖는 캠(740)의 내부로 역시 동일한 형태의 캠홈(741)이 형성되고 또한 캠홈(741)에는 레버작동영역(741a-e)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캠홈(741)에 양측 레버(1000)의 안내롤러(1002)가 삽입되어 레버작동영역(741a-e)을 따라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 레버작동영역(741e)은 캠(740)의 회전중심과 동일반경을 가지며 레버작동영역(741a-d)에 대해 약간 안으로 형성되고 이 때 레버작동영역(741a),(741d)는 돌출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레버작동영역(741a),(741d)를 사이에 두고 대칭된 타원 형태의 레버작동영역(741c),(741b)이 형성된 구조를 이룬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각 레버작동영역(741a-e)을 본 발명에 대한 기능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레버작동영역(741a)는 초기작동시 레버를 약간 후퇴시킴과 동시에 손수건에 대한 물의 공급작동을 수행하기 시작하는 영역이며 레버작동영역(741e)는 레버가 약간 후퇴한 상태에서 물의 공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지는 영역이다.
상기 레버작동영역(741e)에 연장되는 레버작동영역(741d)는 레버가 약간 후퇴함과 동시에 물의 공급이 중단되는 영역을 이룬다.
다시 레버작동영역(741c)는 약간 후퇴한 레버가 크게 뒤로 당겨지는 영역을 도시하며 이와 대칭적으로 형성된 레버작동영역(741b)은 타원의 정점을 기준으로 다시 레버가 전진하여 다시 레버작동영역(741a)에 이르러 원래의 레버작동영역(741e)에 들어가기 전에 물수건을 절단하는 캠의 레버에 대한 작동영역을 이룬다.
한편 전술한 인출롤러(800)와 캠(740)은 구동부(700)에 의해 구동력을 부여받게 되는데, 상기 구동부(700)의 구성은 제8도에서와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10)와, 모터(710)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기어(711)와, 모터기어(711)에 연결되는 중간전달기어(720)와, 중간전달기어(72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730)로 이루고 지고, 상기 구동기어(730)의 외면에 형성된 치형(730a)은 인출롤러 구동기어(750)에 잇맞물림되어 인출롤러(800)를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때, 중간전달기어(720)에는 외측기어(721)가 형성되고 구동기어(730)에는 내측기어(731)가 형성되어 이들이 서로 잇맞물림됨으로서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되는 구동기어(730)는 연결축(732)에 의해 지지판(300)의 양 측벽을 가로질러 양 구동기어(730)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때 양 구동기어(730)의 일면에는 캠(740)이 고정되어 구동기어(730)와 같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동기어(730)의 회전에 의해 인출롤러(800)를 구성하는 원동롤러(810)와 캠(740)이 회전되도록 구동되며 구동기어(730)에는 치형(730a)이 일부분만 형성된다.
이것은 제5도 및 제7도에서와 같이 구동기어(73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730)의 치형(730a)과 잇맞물림된 인출롤러(800)의 원동롤러(810)를 회전시키게 되고 회전되는 원동롤러(810)와 피동롤러(820)에 의해 권취된 상태의 물수건이 기기의 하부로 인출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작동상태는 구동기어(730)의 치형(730a)에 인출롤러 구동기어(750)가 잇맞물림된 상태에서만 작동되며 치형(730a)이 형성되지 않는 부분이 회전할 때는 캠(740)에 의해 블레이드(1200)가 작동되면서 동시에 물수건의 인출작동이 정지되어 물수건을 절단하도록 되어 있다.
즉, 치형(730a)이 잇맞물림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회전되는 경우에는 캠(740)의 회전에 의해 레버(1000)가 전후로 작동되면서 레버(1000)에 고정된 블레이드(1200)가 이동되고 블레이드(1200)가 피동롤러 지지대(910)에 고정된 고정블레이드(1300)에 밀착되면서 물수건을 절단하게 된다.
이 때, 물수건이 절단되기 전에 물이 적당량 공급되어 수분을 포함시키게 되는데, 이의 작동은 전술한 제6도의 캠홈(741)에 연장 형성된 레버작동영역(741a)의 위치에 레버(1000)의 안내롤러(1002)가 위치하게 되면 레버(1000)는 액간 뒤로 당겨짐과 동시에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물의 공급구조는 제10도 내지 제13도에서와 같이 원동롤러 지지대(900)의 일측에 물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개폐밸브(1410)가 설치되고 원동롤러지지대(900)는 상하로 분리형성되어 내부로 물 공급홈(902)이 형성된 구조를 갖게 된다.
또한 개폐밸브(1410)는 연결호스(H)에 의해 물통(500)과 연결되어 개폐밸브(1410)의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물을 원동롤러 지지대(900)의 물공급홈(902)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기능을 갖는 개폐밸브(1410)의 상세한 구조는 제12도에서 일례를 나타낼 수 있는데, 이의 구조는 내부에 연결호스(H)와 연결된 제 1 유입통로(1411)가 형성되고 제 1 유입통로(1411)는 다시 노즐(1412)을 통하여 제 2 유입통로(1413)와 통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 2 유입통로(1413)는 다시 원동롤러측 지지대(900)의 물공급홈(902)에 연결된 구조를 가진다.
이때, 제 2 유입통로(1411)와 제 2 유입통로(1413)를 통하도록 연결하는 노즐(1412)은 누름편(1415)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되어 있으며 누름편(1415)의 단부는 노즐(1412)을 밀착하여 통로를 폐쇄하거나 또는 떨어져 물의 공급통로를 개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의 누름편(1415)이 노즐(1412)을 개방후 다기 복귀하여 폐쇄하는 동작은 누름편(1415)의 후방에 탄력적으로 설치된 복귀스프링(1414)의 탄성력에 의하여 복원력을 부여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누름편(1415)에 걸림레버(1416)가 블레이드(1200)측으로 연장되어 블레이드(1200)의 전후 작동에 의해 노즐(1412)을 개방 및 폐쇄함으로서 벨브(1410)의 개폐작동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다.
즉, 블레이드(1200)가 연결된 레버(1000)가 후퇴하게 되면서 블레이드(1200)가 걸림레버(1416)를 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게되고 걸림레버(1416)의 작동에 의해 이와 일체로 연결된 누름편(1415)이 개폐벨브(1410)의 노즐(1412)을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누름편(1415)을 작동시키기 위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3도에서 그 구성을 나타낼 수 있는데, 이의 구조는 누름편(1415)을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솔레노이드(1420)에 구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물의 공급위치에 캠(740)이 회전되면 전기적인 센서(도시않음)의 신호에 의해 누름편(1415)을 작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조의 개폐벨브(1410)는 연결호스(H)에 의해 기기 상부의 물통(500)과 연결되며 원동롤러 지지대(900)의 단부를 통과하는 건조된 상태의 섬유포에 물을 공급함으로서 물수건을 형성하게 된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기기를 사용자가 작동하기 위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케이스(100) 전면의 작동스위치(130) 외에 하부로 손의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1)가 부착되어 기기의 모터(710)를 작동시킴으로서 작동스위(130)치 조작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도 있다.
또한 기기 내부의 물통(500) 근처에 자외선 살균등(1500)을 설치하여 공급되는 물의 세균발생을 억제시킴으로서 보다 청결한 위생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케이스(100) 전면의 작동스위치(130)를 누르거나 또는 케이스(100)하부의 감지센서(S1) 부위에 손을 위치하면 모터(710)가 동작되게 된다.
이와 같이 모터(710)가 동작되면 먼저 전술한 실시예의 구동부(700)에 의해 제7a도에서와 같이 캠(740)이 동시에 시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동시에 초기의 캠의 레버작동영역(741b)의 위치한 안내롤러(1002)가 제7b도에서와 같이 직경이 약간 작은 원형의 레버작동영역(741a)으로 밀려 안내되면서 레버(1000)는 약간 뒤로 당겨져 블레이드(1200)와 고정블레이드(1300)에는 틈새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계속 캠(740)가 회전되면 제7c도에서와 같이 원형의 레버작동영역(741e)에서 안내롤러(1002)는 캠(740)의 회전중심과 안내롤러(1002)가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에 의해 약간 뒤로 밀린 레버(1000)와 블레이드(1200)는 그 위치를 유지한다.
다음 인출롤러 구동기어(750)에 의해 물수건이 인출되는 동안에 벨브(1410)의 걸림레버(1416)는 약간뒤로 젖혀져 위치한 블레이드(1200)에 밸브(1410)를 개방하여 물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레버작동영역(741e)에 레버(1000)의 안내롤러(1002)가 안내되다가 제7d도에서와 다시 레버작동영역(741d)에 위치하면 이와 동시에 인출롤러(800)를 구동시키는 구동기어(730)의 치형(730a)이 단락되고 물수건의 인출동작과 물의 공급을 멈추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레버의 안내롤러(1002)가 레버작동영역(741d)을 따라 안내되면 제7e도에서와 같이 안내롤러(1002)에 의해 레버는 크게 뒤로 밀리게 되고 동시에 캠홈(741)의 정점에 이루게 되면 레버(1002)의 후퇴작동은 일단멈춤과 동시에 다시 레버(1000)의 안내롤러(1002)는 반대로 전진하여 초기의 레버작동영역(741a)에 이르러 원래의 레버작동영역(741e)에 들어가기 전에 물수건을 절단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하여 물수건의 인출작업 및 절단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권취된 물수건을 기기의 외부로 적당량 절단하여 인출하게 하는 작동구조를 가짐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기기를 공공장소에 비치하게 된다면 사용자들의 물수건 사용범위를 확장시킬 수 있고 생활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사중 음식물을 옷이나 피부에 묻히게 되는 경우 적당한 수분을 포함한 본 발명의 물수건을 어디에서나 인출하여 사용하게 된다면 보다 음식물이 적당한 물기에 의해 용해되면서 보다 깨끗하고 용이하게 닦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공장소에서 물수건을 적당한 길이로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피부나 의복에 묻은 먼지, 기름, 음식물 등을 닦아내거나 또는 간편하게 물건에 쌓인 먼지나 때 등을 청소할 수 있게 한 발명이다.

Claims (14)

  1. 내부에 기계적 장치를 지지하는 지지판(300)과, 지지판(300)의 상부에 엊혀져 기기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100)와, 케이스(100)와 지지판(300)의 내부에 수납되어 물수건이 감겨진 물수건 권취롤(600)과, 케이스(10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수건을 인출하는 인출롤러(800)과, 인출된 물수건을 절단하도록 레버(1000)에 의해 전후작동되는 블레이드(1200)와, 지지판(300)의 상부에 엊혀진 물통(500), 물의 공급통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벨브(1410)로 구성되어 물수건에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1400)와, 상기 인출롤러(800)를 회전시키고 블레이드(1200)의 레버(1000)를 구동시키는 구동부(700)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200)는 일단이 지지판(30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 레버(1000)의 블레이드 안착대(1100)에 고정되어 레버(1000)의 회동에 의해 전후작동되고 고정블레이드(1300)는 인출롤러(800)의 하부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7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710)와, 모터기어(711)에 연결되는 중간전달기어(720)와, 중간전달기어(72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받는 구동기어(730)와, 구동기어(730)의 치형(730a)에 잇맞물림되어 회전되는 인출롤러 구동기어(750)와, 상기 구동기어(730)의 일면에 고정되어 동시에 회전되어 레버(1000)를 구동시키는 캠(74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기어(7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치형(730a)은 일부분만 형성되어 인출롤러 구동기어(750)에 잇맞물림되어 인출롤러(800)를 구동시키는 물수건 인출영역을 형성하고 치형(730a)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은 캠(740)의 레버작동영역(741a)에 의해 물수건에 대한 물공급영역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수건 권취롤(600)은 구동기어(730)의 일부분만 형성된 치형(730a)이 인출롤러 구동기어(750)와 잇맞물림된 상태에서만 작동되고 구동기어(730)의 치형(730a)이 인출롤러 구동기어(750)와 잇맞물림이 해제된 상태에서는 레버(1000)에 형성된 블레이드(1200)의 전후작동에 의해 절단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740)은 일측은 반원 이에 연장된 또 다른 일측은 타원의 형태를 이루고 캠홈(741)은 레버작동영역(741a-e)이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 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7. 제1항 내지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1000)는 구동기어(730)의 회전에 의해 작동되는 캠(740)의 캠홈(741)으로 안내롤러(1002)가 삽입되어 전후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8. 제1항에 있어서, 밸브(1410)는 물통(500)의 연결호스(H)와 연결된 제1 유입통로(1411)가 형성되고 제 1 유입통로(1411)는 다시 노즐(1412)을 통하여 제2 유입통로(1413)와 통하도록 형성되며 제 2 유입통로(1513)는 원통롤러 지지대(900)의 물 공급홈(902)에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노즐(1412)은 누름편(1415)의 전후 작동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1415)은 누름편(1415)에 걸림레버(1416)가 연장형성되어 블레이드(1200)의 후퇴동작에 의해 노즐(1412)의 개방작동이 이루어 지고 노즐(1412)의 폐쇄동작은 복귀스프링(1414)의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편(1415)은 솔레노이드(1420)와 연결되어 노즐(1412)에 대한 개폐작동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710)의 구동은 케이스(100)의 전면에 형성된 작동스위치(130)의 온,오프 작동에 의해 전원과 접속되어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710)의 구동은 케이스(100)의 저면에 부착된 감지센서(S1)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통(500)의 근방에는 자외선 살균등(1500)이 설치되어 물수건에 공급되는 물을 살균하여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에는 측면 하부의 힌지(15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내부의 지지판(300)과 연결되고 케이스(100)의 상부에는 지지판(300)과 결합되어 잠금 및 해제기능을 수행하는 잠금버튼(140)이 형성되어 기기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함을 특징으로 하는 물수건 인출기.
KR1019970010286A 1997-03-25 1997-03-25 물수건 인출장치 KR100201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286A KR100201546B1 (ko) 1997-03-25 1997-03-25 물수건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0286A KR100201546B1 (ko) 1997-03-25 1997-03-25 물수건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446A KR19980074446A (ko) 1998-11-05
KR100201546B1 true KR100201546B1 (ko) 1999-06-15

Family

ID=1950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0286A KR100201546B1 (ko) 1997-03-25 1997-03-25 물수건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54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91B1 (ko) * 2008-09-29 2009-04-29 정은희 물티슈를 공급하는 다기능 디스펜서
KR101425119B1 (ko) 2014-04-11 2014-08-05 주식회사 홍옥 물티슈 공급장치
KR101447329B1 (ko) 2012-11-12 2014-10-06 정재환 수동회전식 티슈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223110A1 (en) 2019-04-30 2020-11-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aper product dispenser cutting system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991B1 (ko) * 2008-09-29 2009-04-29 정은희 물티슈를 공급하는 다기능 디스펜서
KR101447329B1 (ko) 2012-11-12 2014-10-06 정재환 수동회전식 티슈공급장치
KR101425119B1 (ko) 2014-04-11 2014-08-05 주식회사 홍옥 물티슈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446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97577A (en) Premoistened toilet paper dispenser
US5439521A (en) Dispens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moistened toilet tissue
US6626395B1 (en) Dispenser for premoistened wipes
EP0584065B1 (fr) Dispositif humidificateur pour papier et distributeur de papier hygienique humidifie
US6585130B2 (en) Wipe dispenser
US5672206A (en) Moistening dispenser for a roll of paper sheets
JP4642427B2 (ja) ティッシュペーパ吐出装置
MXPA01010199A (es) Sistema surtidor y metodo para panos limpiadores prehumedecidos.
CA2613498A1 (en) Dispenser of sheets of material for household cleaning and/or personal hygiene
NO325504B1 (no) Dispenser for hygienepapir
US5806105A (en) Automatic toilet seat cleaning system
US20110068129A1 (en) Sheet roll dispenser
US20180049602A1 (en) Secondary dispenser method and apparatus
US20090194554A1 (en) Wipes Canister
KR100201546B1 (ko) 물수건 인출장치
EP2375949B1 (en) Wipe dispenser and collector unit
AU696977B2 (en) Water-shedding washroom dispenser
EP1164235A2 (en) Handle
KR200361344Y1 (ko) 물걸레 청소구
WO2022035993A1 (en) Cartridge for dispensing roll wipe material and dispenser incorporating same
KR100565416B1 (ko) 젖거나 마른 휴지의 자동인출장치
KR19990026112A (ko) 물수건 제조기
FR2653983A1 (fr) Dispositif humidificateur pour papier et distributeur de papier hygienique humidifie.
KR200340885Y1 (ko) 젖거나 마른 휴지의 자동인출장치
JP2015104492A (ja) トイレ用洗浄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