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050B1 -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 Google Patents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050B1
KR101914050B1 KR1020160162390A KR20160162390A KR101914050B1 KR 101914050 B1 KR101914050 B1 KR 101914050B1 KR 1020160162390 A KR1020160162390 A KR 1020160162390A KR 20160162390 A KR20160162390 A KR 20160162390A KR 101914050 B1 KR101914050 B1 KR 101914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tissue pack
pack
humidity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2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2296A (ko
Inventor
박성준
Original Assignee
말랑하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말랑하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말랑하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2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05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2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2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8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with provision for used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22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 B65D1/24Boxes or like containers with side walls of substantial depth for enclosing contents with moulded compartments or part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02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0202Removable lids or covers without integral tamper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1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 B65D81/2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providing specific environment for contents, e.g. temperature above or below ambient in moist conditions or immersed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3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lled out of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09/00Provisions for used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티슈팩 수용공간과 쓰레기 수용공간을 분리하여 쓰레기의 처리는 물론 물티슈팩을 보관할 수 있고,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상면이 개방되며 쓰레기와 물티슈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쓰레기와 격리하여 물티슈팩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물티슈수용 구획부와, 물티슈팩에 수납된 물티슈를 인출 또는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티슈 인출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에 대응하여 물티슈팩 수용 공간을 차폐하며, 쓰레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Wastebasket possibly keeping of wet tissue pack}
본 발명은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으로, 물티슈팩 수용공간과 쓰레기 수용공간을 분리하여 쓰레기의 처리는 물론 물티슈팩을 보관할 수 있고,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에 관한 것이다.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위생에 대한 관념이 높아짐에 따라 잦은 외부 활동에 대한 위생관리 방법에 대해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빠른 위생관리를 위해 물기를 갖는 일회용 티슈로 손발의 이물질을 닦아 제거하여 일회용 티슈의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다.
일회용 티슈는 펄프나 부직포로 제조되며, 수분의 함유 여부에 따라 건조티슈와 물티슈로 구분된다.
특히, 간편하게 손을 닦을 수 있는 물티슈는 가정이나 식당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환경에서 널리 사용된다. 특히, 일회용 사용을 위해 한 장의 물티슈가 포장된 상태가 아닌 여러 장의 물티슈가 포장된 제품, 이른바, 물티슈팩의 경우에는 비닐 등으로 제조되는 티슈 케이스 내에 다수의 물티슈가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씩 꺼내어 사용하기가 매우 용이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물티슈팩은 아이를 키울 때 필수품이 되고 있다. 물티슈는 아이 손이나 얼굴, 엉덩이까지 청결을 위한 용도로 어디에든 유용하게 쓰이기 때문에 아이를 키우는 집이라면 물티슈팩을 대량으로 구매해 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물티슈의 개폐구를 개폐하며 물티슈를 사용하면서 지속적으로 수분증발이 유발되므로, 일정시간 후에는 물티슈팩으로부터 물티슈를 꺼내도 물기가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 개봉후 물티슈의 수분함량이 지속적으로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한 물티슈를 버리는 휴지통은 따로 분리되어 있었으며, 각각 서로 다른 장소에 비치되어 물티슈를 버리기 위해서는 휴지통을 찾아다니면서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277호 (2016년 04월 18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사용한 물티슈를 버리기 위해서 휴지통을 찾아다니면서 버려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여 물티슈의 습도가 낮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상면이 개방되며 쓰레기와 물티슈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쓰레기와 격리하여 물티슈팩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물티슈수용 구획부 물티슈팩에 수납된 물티슈를 인출 또는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티슈 인출부 및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에 대응하여 상기 물티슈팩 수용 공간을 차폐하며 상기 쓰레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부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티슈 인출부는 상기 인출부 이동홀에 결합되어, 상기 물티슈팩의 크기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부 및 상기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측정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 및 물티슈팩의 일면을 관통하여 상기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 핀과, 상기 습도측정 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상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측정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습도조절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물티슈 조성액이 저장된 조성액 주머니를 수용하는 조성액 저장 케이스와, 상기 조성액 주머니와 맞닿도록 상기 조성액 저장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조성액 주머니가 터지도록 가압하는 상부버튼과, 상기 조성액 저장 케이스의 하면 및 물티슈팩의 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물티슈 조성액을 상기 물티슈팩의 내부로 배출하는 조성액 배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티슈수용 구획부 및 물티슈팩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물티슈팩을 가압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와 상기 물티슈팩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물티슈팩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물티슈팩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물티슈팩 내부에 기능성 미용 첨가제를 더 주입하는 첨가제 주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미용 첨가제는 증류수, 보습제, 세정제, 아로마, 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해, 본 발명의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물티슈수용 구획부를 이용하여 케이스부의 수용공간을 물티슈팩 수용공간 및 쓰레기 수용공간으로 분리함으로써, 케이스부에 물티슈팩을 수용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한 물티슈의 처리가 편리하여 실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습도측정부를 통해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고, 습도조절부를 통해 물티슈팩 내부에 물티슈 조성액을 배출시켜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물티슈팩 지지부를 포함하여 물티슈팩을 물티슈 인출부 측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물티슈 인출부와 물티슈팩 사이의 빈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물티슈팩이 흔들리거나 현재 위치하는 자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첨가제 주입부를 더 포함하므로, 사용목적에 따라 기존의 물티슈팩 내부에 기능성 미용 첨가제를 더 부여하여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측정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제1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제2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로부터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과 그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한 도시 및 상세한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부분들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케이스부(100), 물티슈수용 구획부(200), 물티슈 인출부(300), 커버부(400)를 포함한다.
케이스부(100)는 상면이 개방되며, 쓰레기와 물티슈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물티슈팩은 적층된 복수의 물티슈와, 이를 감싸는 합성수지 재질의 포장팩과, 물티슈를 인출하며 개폐가 가능한 개구부를 포함한다.
덧붙여, 케이스부(100)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부 이동홀(110)이 형성되며, 물티슈 인출부(300)는 인출부 이동홀(110)에 결합되어, 물티슈팩의 크기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물티슈 인출부(300)는 인출부 이동홀(110)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인출부 이동홀(110)에 결합되므로, 물티슈팩의 크기별로 서로 상이한 개구부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물티슈 인출부(300)의 위치를 이동할 수 있어 물티슈팩의 크기에 상관없이 편리하게 물티슈를 사용할 수 있다.
물티슈수용 구획부(200)는 케이스부(100)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쓰레기와 격리하여 물티슈팩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한다. 즉, 물티슈수용 구획부(200)를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설치하여 케이스부(100)의 수용 공간을 분리함으로써,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물티슈팩을 보관할 수 있음은 물론 사용한 물티슈를 즉각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물티슈 인출부(300)는 물티슈팩에 수납된 물티슈를 인출 또는 밀폐하기 위하여, 케이스부(100)의 외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인출부(300)는 물티슈팩의 개구부와 동일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물티슈를 인출 또는 밀폐하기 위한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커버부(400)는 케이스부(100)의 상면에 대응하여 물티슈팩 수용 공간을 차폐하며, 쓰레기 수용 공간을 개방한다. 커버부(400)를 통해 물티슈팩 수용 공간을 차폐하여 물티슈팩이 먼지 등 이물질에 노출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쓰레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여 쓰레기 처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부(100)는 내측면에 물티슈수용 구획부(200)를 가이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돌기(1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물티슈수용 구획부(200)가 가이드 돌기(101)를 따라 보다 더 용이하게 슬라이드 결합 또는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더 나아가, 가이드 돌기(101)를 복수개 형성하여 물티슈팩의 두께에 따라 물티슈팩 수용 공간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측정부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조절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케이스부(100), 물티슈수용 구획부(200), 물티슈 인출부(300), 커버부(400)에 더하여, 습도측정부(500) 및 습도조절부(600)를 더 포함한다.
습도측정부(500)는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케이스부(100)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측정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습도측정부(500)는 케이스부(100)의 외면 및 물티슈팩의 일면을 관통하여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 핀(510)과, 습도측정 핀(510)으로부터 연장되어 케이스부(100)의 외면에 설치되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측정 패널(520)을 포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덧붙여, 습도측정 패널(520)에 LED 램프(미도시)를 형성하여, 습도측정부(500)에 감지되는 습도값이 설정값 이하일 경우에 LED 램프를 구동시켜 물티슈팩 내부의 낮은 습도를 알릴 수 있다.
또한, 습도측정부(500)는 케이스부(100)의 외면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물티슈팩의 상부에 삽입되도록 커버부(400)의 상면에 설치되어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측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습도측정부(500)를 통해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습도조절부(600)는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케이스부(100)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조절한다.
구체적으로, 습도조절부(600)는 조성액 저장 케이스(610), 상부버튼(630) 및 조성액 배출 핀(640)을 포함한다.
조성액 저장 케이스(610)는 커버부(400)의 외면에 설치되며, 물티슈 조성액이 저장된 조성액 주머니(620)를 수용한다. 조성액 저장 케이스(610)는 조성액 주머니(620)에 저장된 물티슈 조성액이 증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 강도가 우수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물티슈 조성액은 물티슈팩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기존의 조성액과 동일한 성분 및 혼합비율을 가지도록 하여 기존의 조성액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조성액 주머니(620)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도록 조성액 주머니(620)의 외면에 다수의 파단홈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외력 작용시 파단홈의 두께가 얇은 부분이 먼저 파손되어 물티슈 조성액이 물티슈팩의 내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때, 파단홈은 한 점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형태이거나, 평행한 직선을 다수 형성한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조성액 주머니(620)는 가압에 의한 파손이 용이하도록 연성이 낮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코팅된 하드지 또는 얇은 플라스틱 필름 등 외력 작용시 쉽게 파손될 수 있는 경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버튼(630)은 조성액 주머니(620)와 맞닿도록 조성액 저장 케이스(610)의 상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조성액 주머니(620)가 터지도록 가압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조성액 주머니(620)가 외력에 의해 쉽게 파손될 수 있도록 조성액 주머니(620)와 맞닿는 상부버튼(630)의 일단에는 첨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성액 배출 핀(640)은 조성액 저장 케이스(610)의 하면 및 물티슈팩의 내부를 연결하며, 물티슈 조성액을 물티슈팩의 내부로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물티슈팩의 일면을 쉽게 관통하기 위해서 물티슈팩과 맞닿는 조성액 배출 핀(640)의 일단에는 첨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부버튼(630)을 가압하면 상부버튼(630)의 첨단부가 조성액 주머니(620)를 천공하여 토출구를 형성하고, 조성액 주머니(620)의 내부압력에 의해 물티슈 조성액이 천공된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고 조성액 배출 핀(640)을 통과하여 물티슈팩 내부의 물티슈에 공급되도록 한다.
한편, 조성액 주머니(620)의 물티슈 조성액을 저장하기 위해 크게 두 가지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직접 조성액 주머니(620)의 물티슈 조성액을 채우는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조성액 저장 케이스(6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버튼(630)을 이탈시킨 후, 물티슈 조성액이 배출되고 남은 조성액 주머니(620)를 제거한다. 그런 다음, 새로운 물티슈 조성액이 저장된 조성액 주머니(620)를 조성액 저장 케이스(610)에 수납하고, 상부버튼(630)을 다시 결합하여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가 낮아졌을 때 가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내부에 물티슈 조성액을 저장하며, 외부에 별도로 설치되는 조성액 공급부(미도시)와 조성액 주머니(620)를 연결하여 물티슈 조성액을 채우는 방식이 있다. 예를 들어, 호스 형상의 연결부재(미도시)를 더 구비하여 조성액 공급부와 조성액 주머니(620)를 연결하고, 조성액 주머니(620)에서 소모된 물티슈 조성액의 양에 대응하여 조성액 주머니(620)의 내부 압력이 낮아지면, 상대적으로 압력이 높은 조성액 공급부로부터 조성액 주머니(620)로 물티슈 조성액이 채워질 수 있다.
상술한 습도측정부(500)를 통해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 즉, 물티슈팩에 수납된 물티슈의 습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하여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가 일정 수치 미만일시, 습도조절부(600)를 통해 건조해진 물티슈에 물티슈 조성액을 공급하여 사용 초기와 같이 함수율이 높은 물티슈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제1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제2 사용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케이스부(100), 물티슈수용 구획부(200), 물티슈 인출부(300), 커버부(400), 습도측정부(500), 습도조절부(600)에 더하여, 물티슈팩 지지부(70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구조의 이해를 돕기 위해 물티슈 인출부(300), 습도측정부(500)와 물티슈팩(A)의 사이를 다소 넓게 도시하였으나 실제 사용할 시에는 물티슈 인출부(300), 습도측정부(500)와 물티슈팩(A)은 서로 밀착된다.
물티슈팩(A) 내부에 수납된 물티슈를 사용하다 보면, 물티슈팩(A)의 두께가 줄어듦에 따라 물티슈 인출부(300)와 물티슈팩(A) 사이에 빈틈이 생겨 물티슈의 인출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물티슈팩 지지부(700)는 물티슈수용 구획부(200) 및 물티슈팩(A)의 사이에 설치되어 물티슈팩(A)을 가압하는 탄성체(710)와, 탄성체(710)와 물티슈팩(A)의 사이에 형성되어 물티슈팩(A)을 지지하는 지지판(720)을 포함한다.
이때, 탄성체(710)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전체적인 구조가 단순해지도록 조립이 용이한 스프링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물티슈팩 지지부(700)는 물티슈팩(A)을 물티슈 인출부(300) 측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할 수 있으므로, 물티슈 인출부(300)와 물티슈팩(A) 사이의 빈틈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편리하게 물티슈를 인출할 수 있고, 외부 충격에 의해 물티슈팩(A)이 흔들리거나 현재 보관된 자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1 사용실시예>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제1 사용실시예를 살펴보면, 먼저 케이스부(100)의 내측에 물티슈수용 구획부(200)를 설치하고, 물티슈수용 구획부(200)에 의해 분리된 물티슈팩 수용 공간에 물티슈팩(A)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보관한다. 이때, 물티슈팩 지지부(700)는 물티슈팩(A)을 물티슈 인출부(300) 측으로 가압하면서 지지하므로, 물티슈팩(A)의 일면과 물티슈 인출부(300)는 밀착하게 된다.
그런 다음, 습도측정부(500)를 물티슈팩(A)의 일면에 관통시켜 물티슈팩(A)의 내측으로 삽입하고, 습도조절부(600)를 물티슈팩(A)의 상면에 관통시켜 물티슈팩(A)의 내측으로 삽입한다. 물티슈팩(A)을 사용하면서 습도측정부(500)에 표시된 습도가 일정 수치보다 낮으면, 습도조절부(600)를 가압하여 물티슈 조성액을 물티슈팩(A) 내부로 배출시켜 함수량을 조절한다.
<제2 사용실시예>
도 7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의 제2 사용실시예를 살펴보면, 물티슈를 사용하면서 물티슈팩(A)의 두께가 줄어들게 되는데, 사용 초기의 물티슈팩(A)에 의해 눌려진 탄성체(710)의 가압력이 일부 해제되어 줄어든 물티슈팩(A)의 두께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탄성체(710)의 길이가 늘어나게 된다.
이렇듯 물티슈를 사용하면서 물티슈팩(A)의 두께가 줄어들어도 물티슈팩 지지부(700)가 물티슈팩(A)의 일면을 가압하면서 지지하므로, 물티슈 인출부(300)와 물티슈팩(A)의 사이에 빈틈이 발생하지 않아 물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때,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물티슈팩 수용 공간을 차폐하는 커버부(400)의 상면에는 두께가 줄어든 물티슈팩(A)에 대응하는 위치에 습도조절부(600)를 설치할 수 있도록 다수의 결합공(미도시)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티슈팩(A)의 두께에 대응하여 습도조절부(600)의 위치 또는 개수를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은 첨가제 주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 주입부는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케이스부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물티슈팩 내부에 기능성 첨가제를 더 주입한다. 여기서 기능성 첨가제는 증류수, 알코올, 보습제, 세정제, 향료, 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 첨가제는 물티슈팩 내부에 충전되어 있던 기존의 조성액이 변질되는 것을 최소화하면서 미용, 세정 등 간단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첨가제 주입부를 이용하여 물티슈팩 기존의 조성액에 기능성 첨가제를 주입함으로써, 물티슈의 수분감을 유지하면서 선택적으로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어 다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용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유아피부를 청결하게 하는 용도로 증류수와 오일을 혼합하여 사용하고, 피부 보습용으로 사용할 때에는 증류수와 보습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향료 기능을 원하면 향료를 추가적으로 더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세정의 기능성을 부여하는 경우를 살펴보면, 물건에 묻은 오염물을 닦는 용도로 증류수, 알코올, 세정제를 혼합하여 사용하며, 향료 기능을 원하면 향료를 추가적으로 더 주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특별히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첨가제 주입부는 습도조절부와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 및 혼합비율에 따라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첨가제 주입부의 외면에 기능성 첨가제의 종류 및 혼합비율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형성하여 외부에서 판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발명의 청구범위를 더욱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상술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케이스부
101: 가이드 돌기
110: 인출부 이동홀
200: 물티슈수용 구획부
300: 물티슈 인출부
400: 커버부
500: 습도측정부
510: 습도측정 핀
520: 습도측정 패널
600: 습도조절부
610: 조성액 저장 케이스
620: 조성액 주머니
630: 상부버튼
640: 조성액 배출 핀
700: 물티슈팩 지지부
710: 탄성체
720: 지지판

Claims (7)

  1. 상면이 개방되며, 쓰레기와 물티슈팩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구획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쓰레기와 격리하여 물티슈팩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물티슈수용 구획부;
    물티슈팩에 수납된 물티슈를 인출 또는 밀폐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물티슈 인출부;
    상기 케이스부의 상면에 대응하여 물티슈팩 수용 공간을 차폐하며, 쓰레기 수용 공간을 개방하는 커버부;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부; 및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조절하는 습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습도조절부는,
    상기 커버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물티슈 조성액이 저장된 조성액 주머니를 수용하는 조성액 저장 케이스와,
    상기 조성액 주머니와 맞닿도록 상기 조성액 저장 케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조성액 주머니가 터지도록 가압하는 상부버튼과,
    상기 조성액 저장 케이스의 하면 및 물티슈팩의 내부를 연결하며, 상기 물티슈 조성액을 물티슈팩의 내부로 배출하는 조성액 배출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인출부 이동홀이 형성되며, 상기 물티슈 인출부는 상기 인출부 이동홀에 결합되어, 물티슈팩의 크기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도측정부는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 및 물티슈팩의 일면을 관통하여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측정 핀과,
    상기 습도측정 핀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설치되며, 물티슈팩 내부의 습도를 표시하는 습도측정 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티슈수용 구획부 및 물티슈팩의 사이에 설치되어 물티슈팩을 가압하는 탄성체와,
    상기 탄성체와 물티슈팩의 사이에 형성되어 물티슈팩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물티슈팩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7. 제1항에 있어서,
    물티슈팩의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외면에 관통하여 설치되고, 물티슈팩 내부에 기능성 첨가제를 더 주입하는 첨가제 주입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기능성 첨가제는 증류수, 알코올, 보습제, 세정제, 향료, 오일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KR1020160162390A 2016-11-30 2016-11-30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KR101914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390A KR101914050B1 (ko) 2016-11-30 2016-11-30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2390A KR101914050B1 (ko) 2016-11-30 2016-11-30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296A KR20180062296A (ko) 2018-06-08
KR101914050B1 true KR101914050B1 (ko) 2018-11-02

Family

ID=62600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2390A KR101914050B1 (ko) 2016-11-30 2016-11-30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4787B1 (ko) * 2023-03-13 2024-02-06 심정환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356A (ja) * 2001-05-07 2002-02-06 Combi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加熱装置
JP2011001122A (ja) * 2009-06-16 2011-01-06 Kaoru Kobori ごみ入れ付き携帯用ウェットティッシュ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1277U (ko) 2016-03-10 2016-04-18 유관식 두루마리화장지와 사각티슈 보관함을 가진 서랍식 휴지통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7356A (ja) * 2001-05-07 2002-02-06 Combi Corp ウェットティッシュの加熱装置
JP2011001122A (ja) * 2009-06-16 2011-01-06 Kaoru Kobori ごみ入れ付き携帯用ウェットティッシ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2296A (ko)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5202396A (ja) ウェットティッシュ供給装置
US7958994B2 (en) Device for disposal of an article of personal hygiene
RU2237603C1 (ru) Структура с одноразовыми салфетками
US20060094598A1 (en) Medium configured to be impregnated with a liquid, and a kit including such a medium
KR20140085080A (ko) 액상물질 팩을 포함하는 물티슈케이스
US9889963B2 (en) Refillable dispensing container for stacked moist wipes
WO2015130569A1 (en) Earring post wipe dispenser
US9125532B2 (en) Storing and dispensing container for wipes
CA2866970A1 (en) System for dispensing non-intertwined wet wipes in a flexible container
KR101914050B1 (ko)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KR101921835B1 (ko) 휴대용 물티슈 제조기
WO2015150935A1 (en) Dispensing container having flexible dispensing partition
KR101583489B1 (ko) 뚜껑에 물티슈가 구비된 테이크아웃 컵
KR101790244B1 (ko) 캡형 물티슈
JP5652979B1 (ja) シート収納器具
US20070289986A1 (en) Portable changing pad, system and dispenser
CN210680239U (zh) 一种方便卫生的财会用蘸水盒
KR20120029242A (ko) 내용물 용기 교체형 디스펜서 장치
KR101857877B1 (ko) 여성용품용 폐기통
JP3080704U (ja) 濡れナプキン様製品の収納容器
KR200482869Y1 (ko) 물티슈 용기용 캡
CN106137004B (zh) 一种自动加液盒
CN219858463U (zh) 一种包装筒
CN207356001U (zh) 一种折叠式抗菌案板
CN213621177U (zh) 一种消毒湿巾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