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4787B1 -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 Google Patents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4787B1
KR102634787B1 KR1020230032537A KR20230032537A KR102634787B1 KR 102634787 B1 KR102634787 B1 KR 102634787B1 KR 1020230032537 A KR1020230032537 A KR 1020230032537A KR 20230032537 A KR20230032537 A KR 20230032537A KR 102634787 B1 KR102634787 B1 KR 102634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t tissue
tissue case
weight
valley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2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정환
Original Assignee
심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정환 filed Critical 심정환
Priority to KR1020230032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4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4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4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A47K10/421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dispensing from the top of the dispen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9/00Coated paper; Coating material
    • D21H19/10Coatings without pig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내부에 다수의 티슈가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된 물티슈 케이스에 있어서, 상호 적층된 다수의 티슈가 안착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 각각은, 상대적으로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주름산과 상대적으로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주름골이 연속하여 배치된 주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인,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RECYCLABLE WIPE CASE}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티슈는 합성섬유, 비스코스 섬유, 면 섬유, 셀룰로즈 섬유 및 천연 식물성 섬유 등을 얇은 조직화 하여 티슈(tissue)로 만들고, 여기에 물을 첨가하고 살균한 것으로, 장소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손과 얼굴을 닦는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물티슈는 휴대하기 용이하도록 비닐팩과 같은 포장체에 수납하여 판매되는데, 종래의 물티슈 케이스는 내부에 물티슈를 적층 수용하도록 비닐팩으로 형성되었다.
그런데 최근 환경오염 이슈가 크게 확대되면서 폐기물 배출에 대한 논의도 크게 증가하는 반면, 비닐재의 물티슈 케이스의 경우 완벽한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가 존재하였고, 물티슈의 사용량이 증가함에 따라 물티슈 케이스의 폐기량 역시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비닐재의 물티슈 케이스의 경우 미세플라스틱의 발생 우려가 존재하므로, 소비자 입장에서 인체에 직접 사용을 꺼리게 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21085호(2014.10.15)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전술한 종래 물티슈 케이스들의 문제점들을 개선한 물티슈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종이 재질로 형성하여 재활용이 용이하도록 하고 미세플라스틱 등의 발생 우려를 해소 가능한 물티슈 케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사항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 설명할 다양한 실시예들로부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다수의 티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된 물티슈 케이스에 있어서, 상호 적층된 다수의 티슈가 안착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 각각은, 상대적으로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주름산과 상대적으로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주름골이 연속하여 배치된 주름 구조로 형성되는 것인, 물티슈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물티슈 케이스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주름산 및 상기 복수의 주름골은,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주름산은 복수의 제1 산부 및 복수의 제2 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산부는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기 설정된 개수의 제1 산부들 마다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주름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닥부에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산부는 상기 가상의 평면으부터 상기 제1 산부보다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발수코팅이 마련되고, 상기 발수코팅은, 발수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53~66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수제는, 솔루빌라이저 5-6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2.5-3.5중량%와, 초산이 함유된 목초농축액 2-3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2-3중량%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4-5중량%와,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3-4중량%와, 일라이트분말 1-2중량% 및 나머지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티슈 케이스는, 습기에 따라 변색되는 물질을 갖는 습도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표시부는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상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습도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이 재질로 형성되어 재활용이 가능한바, 종래의 비닐재 케이스에 비해 폐기물 배출로 인한 환경오염 및 탄소배출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종이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미세플라스틱 발생 우려를 배제할 수 있는바, 사용자가 안전하게 인체에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압축 가능하여 전체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바, 사용자의 분리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설명의 일부로 포함된, 첨부 도면은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공하고, 상세한 설명과 함께 다양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가 압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의 연장상태 및 압축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의 측면부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의 측면부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7의 I-I 단면을 나타낸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와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의 실시예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일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10)가 압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10)의 연장상태 및 압축상태를 비교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물티슈 케이스(10)가 그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최대 높이를 형성하는 연장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물티슈 케이스(10)가 그 높이 방향으로 압축되어 최소 높이를 형성하는 압축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는 중공 형성될 수 있고, 내부에 다수의 티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는 바닥부(110), 복수의 측면부(120) 및 상면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닥부(110) 상에는 적층된 다수의 티슈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10)는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부(120)는 바닥부(1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물티슈 케이스(10)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부(120)는 바닥부(110)가 형성하는 평면으로부터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면부(130)는 복수의 측면부(120)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고, 상면부(130)는 바닥부(1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측면부(120)의 상단은 상면부(130)의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면부(130)의 중앙부에는 타원형의 개구(131)가 관통 형성될 수 있다. 물티슈 케이스(10)에 수용된 티슈는 상면부(130)의 개구(131)를 통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물티슈 케이스(10)에 수용된 복수의 티슈는 소독제 또는 물 등에 함침된 상태로 수용되는바, 물티슈 케이스(10)는 내수성을 갖는 종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성의 친환경 종이인 스톤페이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물티슈 케이스(10)가 종래의 비닐재 티슈와 달리 종이 재질로 형성되는바, 재활용이 가능하여 폐기물 배출을 감축할 수 있다. 또한, 폐기물의 처리 과정으로 인해 야기되는 환경오염 및 탄소배출을 감축할 수 있다. 또한, 비닐재의 케이스에 비해, 사용자가 미세플라스틱 발생의 우려 없이 물티슈를 인체에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측면부(120) 각각은, 상대적으로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주름산(121)과 상대적으로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주름골(122)이 연속하여 배치된 주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측면부(120)(바람직하게는 4개의 측면부(120)) 각각은 주름 구조 또는 자바라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주름산(121)은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고, 복수의 주름골(122)은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주름산(121) 및 주름골(122)은,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티슈 케이스(10) 내에 복수의 티슈가 가득 수용된 경우 측면부(120)는 높이 방향(즉, 바닥부(110)에서 상면부(130)로 이어지는 직선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고, 이 경우 측면부(120)의 주름 구조는 점차 평탄화될 수 있다. 또한,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티슈 케이스(10) 내의 티슈가 소진된 경우 측면부(120)는 높이 방향을 따라 압축될 수 있고, 이 경우 측면부(120)의 주름 구조는 더욱 조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압축상태에서 물티슈 케이스(10)의 측면부(120) 높이(h2)는 연장상태에서 물티슈 케이스(10)의 측면부(120) 높이(h1)의 대략 4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는 티슈를 사용하여 소진함에 따라 전체 부피가 용이하게 감소될 수 있고, 이를 통해 분리 배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10)의 측면부(120)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120)의 복수의 주름산(121)은 복수의 제1 산부(1211) 및 복수의 제2 산부(121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면부(120)의 복수의 주름골(122)은 복수의 제1 골부(1221) 및 복수의 제2 골부(1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름산(121) 중 제2 산부(1212)는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기 설정된 개수의 제1 산부(1211) 마다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산부(1211)는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3개가 마련될 수 있고, 연속된 3개의 제1 산부(1211)들과 이어지는 3개의 제1 산부(1211)들 사이에 제2 산부(1212)가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제1 산부(1211)와 제2 산부(1212)는 하나씩 교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름골(122) 중 제2 산부(1212)의 상하 양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주름골(122)은 제2 골부(1222)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름골(122) 중 나머지 주름골(122)은 제1 골부(1221)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 골부(1222)는 제2 산부(1212) 및 해당 제2 산부(1212)와 인접한 제1 산부(1211)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골부(1221)는 상호 인접한 제1 산부(1211)와 제1 산부(1211)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주름골(122) 중 적어도 일부는 바닥부(110)에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측면부(120)에 있어서, 복수의 주름골(122) 중 제1 골부(1221) 전체는 바닥부(110)에 직교하는 가상의 단일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골부(1221) 및 제2 골부(1222)는 동일한 가상의 평면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골부(1221) 및 제2 골부(1222)는 바닥부(110)에 직교하는 평면에 있어서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산부(1211)와 제2 산부(1212)는 물티슈 케이스(10)의 수평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수평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산부(1212)는 제1 골부(1221)가 배치된 가상의 평면으부터 제1 산부(1211)보다 물티슈 케이스(10)의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120)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120)에 구비된 제2 산부(1212)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1 산부(1211)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산부(1211)와 제1 골부(1221) 각각이 위치된 지면에 대한 수직면 사이의 이격 거리(d1)는, 제2 산부(1212)와 제2 골부(1222) 각각이 위치된 지면에 대한 수직면 사이의 이격 거리(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격 거리(d1)은 물티슈 케이스(10)의 중심으로부터 제1 산부(1211)와 제1 골부(1221) 위치까지의 수평 방향 폭 차이를 의미할 수 있고, 이격 거리(d2)는 물티슈 케이스(10)의 중심으로부터 제2 산부(1212)와 제2 골부(1222) 위치까지의 수평 방향 폭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티슈 케이스(10)는 단계적 중첩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 산부(1211)와 제1 산부(1211) 사이가 중첩되는 제1 중첩 구조, 그리고 제2 골부(1222)와 인접한 제2 골부(1222)가 중첩되는 제2 중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산부(1211)와 제1 산부(1211) 사이의 이격 거리가 제2 골부(1222)와 제2 골부(1222)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바, 물티슈 케이스(10)의 압축시 인접한 두 개의 제2 골부(1222) 및 그 사이의 제2 산부(1212)가 우선적으로 폴딩되어 중첩될 수 있고, 이후 순차적으로 제1 산부(1211) 및 제1 산부(1211)가 폴딩되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산부(1212)와 제2 골부(1222)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2)는 제1 산부(1211)와 제1 골부(1221)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1)의 1/2 내지 3/4배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2 산부(1212)와 제2 골부(1222)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2)가 제1 산부(1211)와 제1 골부(1221)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1)의 1/2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제2 산부(1212)와 제2 골부(1222)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10)의 중첩 및 압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제2 산부(1212)와 제2 골부(1222)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2)가 제1 산부(1211)와 제1 골부(1221)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1)의 3/4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제2 산부(1212)와 제2 골부(1222)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10) 중첩 및 높이 조절이 제1 산부(1211)와 제1 골부(1221)에 의한 중첩과 실질적으로 차별화되지 않게 되어 제2 산부(1212)와 제2 골부(1222)의 형성에 의한 순차적인 단계적 중첩 구조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10)의 측면부(120a)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120a)의 복수의 주름산(121a)은 복수의 제1-2 산부(1211a) 및 복수의 제2-2 산부(1212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측면부(120a)의 복수의 주름골(122a)은 복수의 제1-2 골부(1221a) 및 복수의 제2-2 골부(1222a)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주름산(121a) 중 제2-2 산부(1212a)는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나열된 기 설정된 개수의 제1-2 산부(1211a)마다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2 산부(1212a)는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하여 2개씩 배치될 수 있고, 제1-2 산부(1211a)는 연속한 2개의 제2-2 산부(1212a)의 상측 및 하측에 이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인접한 제1-2 산부(1211a)들 사이에 제2-2 산부(1212a)가 2개씩 연속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2 산부(1211a) 1개와 제2-2 산부(1212a) 2개가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주름골(122a) 중 제1-2 산부(1211a)의 상하 양측에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주름골(122a)은 제1-2 골부(1221a)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주름골(122a) 중 연속한 2개의 제2-2 산부(1212a) 사이에 배치된 주름골(122a)은 제2-2 골부(1222a)로 형성될 수 있다. 제2-2 골부(1222a)는 연속한 2개의 제2-2 산부(1212a)를 연결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2 골부(1221a) 2개와 제2-2 골부(1222a) 1개가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반복하여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주름골(122a) 중 적어도 일부는 바닥부(110)에 직교하는 가상의 단일 평면에 위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일의 측면부(120a)에 있어서, 복수의 주름골(122a) 중 제1-2 골부(1221a) 전체는 바닥부(110)에 직교하는 가상의 제1 평면(P1) 상에 위치될 수 있고, 복수의 주름골(122a) 중 제2-2 골부(1222a) 전체는 바닥부(110)에 직교하는 가상의 제2 평면(P2)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2 골부(1221a)가 위치된 제1 평면(P1)과 제2-2 골부(1222a)가 배치된 제2 평면(P2)은 상이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 평면(P2)은 물티슈 케이스(10)의 폭 방향에 있어서 제1 평면(P1)보다 수평 방향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2 산부(1211a)와 제2-2 산부(1212a)는 물티슈 케이스(10)의 수평 방향 또는 폭 방향에 있어서 상이한 수평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2-2 산부(1212a)는 제1-2 골부(1221a)가 배치된 제1 평면(P1)으부터 제1-2 산부(1211a)보다 물티슈 케이스(10)의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서로 대향하는 측면부(120a)에 각각 구비된 제2-2 산부(1212a)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제1-2 산부(1211a)들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2 산부(1211a)와 제1-2 골부(1221a) 각각이 위치된 지면에 대한 수직면 사이의 이격 거리(d3)는, 제2-2 산부(1212a)와 제2-2 골부(1222a) 각각이 위치된 지면에 대한 수직면 사이의 이격 거리(d4)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이격 거리(d3)은 물티슈 케이스(10)의 중심으로부터 제1-2 산부(1211a)와 제1-2 골부(1221a) 위치까지의 수평 방향 폭 차이를 의미할 수 있고, 이격 거리(d4)는 물티슈 케이스(10)의 중심으로부터 제2-2 산부(1212a)와 제2-2 골부(1222a) 위치까지의 수평 방향 폭 차이를 의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티슈 케이스(10)는 단계적 중첩 구조를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제1-2 골부(1221a)와 인접한 제1-2 골부(1221a) 사이가 중첩되는 제1-2 중첩 구조, 그리고 제2-2 산부(1212a)와 인접한 제2-2 산부(1212a)가 중첩되는 제2-2 중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2 골부(1221a)와 제1-2 골부(1221a) 사이의 이격 거리가 제2-2 산부(1212a)와 제2-2 산부(1212a) 사이의 이격 거리보다 크게 형성되는바, 물티슈 케이스(10)의 압축시 인접한 두 개의 제2-2 산부(1212a) 및 그 사이의 제2-2 골부(1222a)가 우선적으로 폴딩되어 중첩될 수 있고, 이후 순차적으로 제1-2 골부(1221a) 및 제1-2 골부(1221a)가 폴딩되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제2-2 산부(1212a)와 제2-2 골부(1222a)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4)는 제1-2 산부(1211a)와 제1-2 골부(1221a)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3)의 1/2 내지 2/3배의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2-2 산부(1212a)와 제2-2 골부(1222a)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4)가 제1-2 산부(1211a)와 제1-2 골부(1221a)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3)의 1/2배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제2-2 산부(1212a)와 제2-2 골부(1222a)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10)의 중첩 및 압축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제2-2 산부(1212a)와 제2-2 골부(1222a)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4)가 제1-2 산부(1211a)와 제1-2 골부(1221a) 사이의 지면에 평행한 방향 폭 차이(d3)의 2/3배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제2-2 산부(1212a)와 제2-2 골부(1222a)에 의한 물티슈 케이스(10) 중첩 및 높이 조절이 제1-2 산부(1211a)와 제1-2 골부(1221a)에 의한 중첩과 실질적으로 차별화되지 않게 되어 제2-2 산부(1212a)와 제2-2 골부(1222a)의 형성에 의한 순차적인 단계적 중첩 구조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다.
제2-2 산부(1212a) 내측의 오목한 절곡 영역에는 소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된 제1 절개홈(1213a)이 마련될 수 있고, 제2-2 골부(1222a) 외측의 오목한 절곡 영역에는 소정 깊이 함입되어 형성된 제2 절개홈(1223a)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절개홈(1213a)은 제2-2 산부(1212a)의 내외측면에 있어서 물티슈 케이스(10)의 수평 방향 내측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절개홈(1223a)은 제2-2 골부(1222a)의 내외측면에 있어서 물티슈 케이스(10)의 수평 방향 외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물티슈 케이스(10)의 측면부(120a)를 기준으로 좌측이 물티슈 케이스(10)의 내측일 수 있고, 우측이 물티슈 케이스(10)의 외측일 수 있다.
위와 같이, 제2-2 산부(1212a)와 인접한 제2-2 산부(1212a)가 중첩되는 제2-2 중첩 구조에는 제1 절개홈(1213a)과 제2 절개홈(1223a)이 구비되는바, 물티슈 케이스(10)의 높이 압축시 물티슈 케이스(10)의 제2-2 산부(1212a) 및 제2-2 골부(1222a)가 우선적으로 폴딩되어 중첩될 수 있고, 이후 순차적으로 제1-2 산부(1211a) 및 제1-2 골부(1221a)가 폴딩되어 상호 중첩될 수 있다. 즉, 제1-2 중첩 구조 및 제2-2 중첩 구조로 구성되는 단계적 중첩이 용이하고 확실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물티슈 케이스(10)는 그 높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압축될 수 있다. 또한, 물티슈 케이스(10)의 압축 정도에 따라 사용자는 내부에 잔여 티슈 양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주름진 측면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비닐형 케이스에 비해 미관이 향상될 수 있다.
물티슈 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발수코팅이 마련될 수 있다. 발수코팅은, 발수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53~66 중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발수제는, 솔루빌라이저 5-6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2.5-3.5중량%와, 초산이 함유된 목초농축액 2-3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2-3중량%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4-5중량%와,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3-4중량%와, 일라이트분말 1-2중량% 및 나머지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솔루빌라이저를 통해 발수코팅의 유화성과 가용화성을 구현하여 조성물들 사이의 층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하이드로콜로이드는 발수코팅의 방수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초안은 목초 농축액에 결합되어 물티슈 케이스(10)의 내측면의 유기물을 분해하여 발수코팅이 잘 접착되도록 하며, 물티슈 케이스(10)의 냄새를 제거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디메틸폴리실록산은 내화학성 및 발수성을 구비하여 발수코팅을 통해 물티슈 케이스(10)의 내측면의 오염방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프로스타글란딘은 세균 활성을 억제할 수 있고, 세균 사멸을 위해 첨가될 수 있다. DBNPA는 곰팡이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일라이트는 음이온 성질을 갖기 때문에 양이온의 부유물과 응집침전을 유발할 수 있고, 중금속, 유해물질 등을 흡착하고 박테리아 및 곰팡이 등을 살균 제거할 수 있다.
항균제는 인체에 전혀 무해하며 항균성과 소취성을 구비한 천연물 유래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항균제에 포함되는 천연물 유래 소재는, 어성초, 맥문동, 구절초, 감초, 녹차,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을 분말화하여 형성한 제1 분말, 그리고 마치현, 세신, 천궁, 박하, 쑥, 편백나무잎, 잣나무잎, 마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추출하여 분말화하여 형성한 제2 분말이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제1 분말 및 제2 분말은 접착부재에 의해 배합되어 혼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분말은 제1 분발의 100 중량부 대비 30 내지 35중량부가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30중량부 미만이면 항균 효과가 미비하고, 35중량부가 초과되면 코팅층의 물성에 영향을 주어 쉽게 크랙이 발생할 수 있어 내구성이 하락할 수 있다.
제1 분말의 천연재료는 어성초, 맥문동, 구절초, 감초, 녹차, 프로폴리스를 각각 2:3:1:1:2:1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각 재료의 특유 향이 너무 강해지거나 충분한 항균 및 소취능을 나타낼 수 없다. 제2 분말에 포함되는 마치현, 세신, 천궁, 박하, 쑥, 편백나무잎, 잣나무잎, 마늘은 모두 동일 중량비로 혼합된 것일 수 있다.
천연재료들은 항균력과 소취율이 매우 뛰어나며, 악취나 세균의 번식 등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천연 재료들을 혼합함으로써 특정세균에 대해 항균작용을 갖는 필수 재료들 간의 단점을 보완하고, 필수 재료들의 장점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접착부재는 아교로 이루어진 천연접착제로서, 안식향산나트륨을 0.3 내지 1.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고, 글리세롤을 0.5 내지 1.5중량%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천연접착제일 수 있다.
물티슈 케이스(10)는 적어도 일부가 생분해성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생분해성 조성물은 카제인 100 중량부에 대해서 종이분말 10 내지 50 중량부를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종이분말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물티슈 케이스(10)의 강도가 저하될 수 있고, 종이분말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종이의 향이 강해져 물티슈에 불필요한 종이 향이 가미될 수 있다.
생분해성 조성물은 가소제 및 강화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는 생분해성 조성물의 가공성을 향상시키고 탄성·강도를 조절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가소제는 예를 들어, 글리세롤, 글리세롤 에스테르류, 아세틸화된 모노 또는 디글리세리드, 글리세릴 모노스테 아레이트, 글리세릴 트리아세테이트, 글리세릴 트리부티레이트, 시트르산염, 아세틸시트르산 트리부틸에스테르, 아세틸시트르산 트리에틸에스테르, 트리부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부틸시트레이트,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식물성 유지, 푸마레이트류, 디에틸푸마레이트, 말레이트, 디에틸말레이트, 옥살레이트, 디에틸옥살레이트, 숙시네이트, 디부틸숙시네이트, 부티레이트, 세틸 알코올 에스테르, 말로네이트, 디에틸말로네이트 및 피마자유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생분해성 조성물은 카제인 100 중량부에 대해서 가소제 4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가소제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가소제 성분의 포함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울 수 있고, 반대로 가소제의 함량이 6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생분해성 조성물의 가공성이 낮아질 수 있다.
강화제는 생분해성 조성물의 결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첨가될 수 있다. 강화제는 당밀, 옥수수 전분, 밀전분, 감자전분, 폴리에틸렌글리, 폴리비닐알콜, 수크로오스, 액상 글루코오스, 아카시아 검, 젤라틴 및 알긴산 중 선택된 어느 하나 또는 두 개 이상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생분해성 조성물은 카제인 100 중량부에 대해서 강화제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강화제의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강화제 성분의 포함에 따른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울 있고, 반면 강화제의 함량이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생분해성 조성물의 가공성이 낮아질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1)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I-I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1)는 바닥부(110), 복수의 측면부(120) 및 상면부(130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1)의 바닥부(110), 측면부(120) 및 상면부(130a)는 상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의 바닥부(110), 측면부(120) 및 상면부(130)의 구성들을 그대로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부(130a)의 중앙부에는 타원형의 개구(131a)가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1)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티슈 케이스(10)와 비교하여, 습기에 따라 변색되는 물질을 갖는 습도표시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습도표시부(140)는 물티슈 케이스의 상면부(130a)에 마련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식별 가능하도록 적어도 일부가 물티슈 케이스(10-1)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습도표시부(140)는 습기에 의해 변색되는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부재(141), 및 표시부재(141)와 접촉 연결되어 물티슈 케이스(10-1) 내에 포함된 수분 일부를 표시부재(141)로 전달하는 흡습부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재(141)는 습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염화코발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습부재(142)는 흡습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펄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재(141)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의 패드 평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흡습부재(142) 또한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의 패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재(141) 및 흡습부재(142)는 상면부(130a) 상에서 상면부(130a)의 두께 방향을 따라 적층될 수 있다. 흡습부재(142)는 표시부재(141)와 면상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흡습부재(142)에 흡수된 수분은 접촉면을 통해 표시부재(141)로 전달될 수 있다.
습도표시부(140)는 상면부(130a)의 일 영역에 내삽될 수 있고, 습도표시부(140)가 배치된 상면부(130a)의 일 영역에는 노출구(1322)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습도표시부(140)는 노출구(1322)는 습도표시부(14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고, 노출구(1322)를 통해 습도표시부(140)의 적어도 일부(구체적으로, 표시부재(141))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면부(130a) 두께 방향에 있어서, 습도표시부(140)가 배치되는 상면부(130a)의 일 영역의 하면(물티슈 케이스(10-1)의 내부를 향하는 면)에는 복수의 유통구(1323)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유통구(1323)는 균일한 직경을 갖는 다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유통구(1323)를 통해 물티슈 케이스(10-1) 내부의 수분이 습도표시부(140)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습도표시부(140) 중 흡습부재(142)는 복수의 유통구(1323) 상부에 안착될 수 있고, 복수의 유통구(1323)를 통해 유동된 수분은 흡습부재(142)에 의해 흡습될 수 있다.
또한, 상면부(130a) 두께 방향에 있어서, 습도표시부(140)가 배치되는 상면부(130a)의 일 영역의 상면(물티슈 케이스(10-1)의 외부를 향하는 면)에는 걸림턱부(1321)가 형성될 수 있고, 노출구(1322)는 사각프레임 형상을 갖는 걸림턱부(1321)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부(1321)는 표시부재(141)의 상면 가장자리에 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사각프레임 형상의 걸림턱부(1321)는 습도표시부(140)의 폭 방향(즉, 물티슈 케이스(10-1)의 폭 방향) 두께보다 작은 폭 크기를 갖도록 노출구(1322)를 형성할 수 있고, 걸림턱부(1321)에 의해 습도표시부(140)가 상면부(130a)의 외부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습도표시부(140)를 통해, 사용자는 물티슈 케이스(10-1) 내부에 수용된 티슈의 수분 함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물티슈의 기능이 상실되기 전에 물티슈 케이스(10-1) 내에 수용된 물티슈를 용이하게 소진할 수 있다.
이상에서 대표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10-1: 물티슈 케이스
110: 바닥부
120, 120a: 측면부
121, 121a: 주름산
1211: 제1 산부
1212: 제2 산부
1211a: 제1-2 산부
1212a: 제2-2 산부
1213a: 제1 절개홈
122, 122a: 주름골
1221: 제1 골부
1222: 제2 골부
1221a: 제1-2 골부
1222a: 제2-2 골부
1223a: 제2 절개홈
130, 130a: 상면부
131, 131a: 개구
1321: 걸림턱부
1322: 노출구
1323: 유통구
140: 습도표시부
141: 표시부재
142: 흡습부재

Claims (5)

  1. 내부에 다수의 티슈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공간이 마련된 물티슈 케이스에 있어서,
    상호 적층된 다수의 티슈가 안착되는 바닥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측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측면부; 및 상기 복수의 측면부로부터 상기 바닥부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티슈의 배출을 위한 개구가 마련된 상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물티슈 케이스는 종이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측면부 각각은, 상대적으로 폭 방향 외측에 배치된 복수의 주름산과 상대적으로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주름골이 연속하여 배치된 주름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주름산 및 상기 복수의 주름골은,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교대로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주름산은 복수의 제1 산부 및 복수의 제2 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2 산부는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기 설정된 개수의 제1 산부들 마다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주름골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닥부에 직교하는 가상의 평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산부는 상기 가상의 평면으부터 상기 제1 산부보다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폭 방향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발수코팅이 마련되고,
    상기 발수코팅은, 발수제 60 중량부에 대하여 항균제 53~66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수제는, 솔루빌라이저 5-6중량%와, 하이드로콜로이드 2.5-3.5중량%와, 초산이 함유된 목초농축액 2-3중량%와, 디메틸폴리실록산 2-3중량%와,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4-5중량%와, DBNPA(2,2-Dibromo-3-nitrilopropionamide) 3-4중량%와, 일라이트분말 1-2중량% 및 나머지 폴리에틸렌수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물티슈 케이스는, 습기에 따라 변색되는 물질을 갖는 습도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습도표시부는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상면부에 마련되고, 상기 습도표시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티슈 케이스의 외부로 노출되고,
    상기 습도표시부는, 습기에 의해 변색되는 염화코발트 물질을 포함하는 표시부재와, 상기 표시부재와 접촉 배치되어 상기 물티슈 케이스 내에 포함된 수분 일부를 흡수하여 상기 표시부재로 전달하는 흡습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습도표시부가 배치된 상기 상면부의 일 영역에는 노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표시부재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노출구는 상기 습도표시부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노출구가 형성되는 상기 상면부의 일 영역의 하면에는 복수의 유통구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유통구를 통해 유동된 수분은 상기 흡습부재에 의해 흡습되는 것인, 물티슈 케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30032537A 2023-03-13 2023-03-13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KR102634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537A KR102634787B1 (ko) 2023-03-13 2023-03-13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2537A KR102634787B1 (ko) 2023-03-13 2023-03-13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4787B1 true KR102634787B1 (ko) 2024-02-06

Family

ID=89858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2537A KR102634787B1 (ko) 2023-03-13 2023-03-13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4787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228A (ja) * 1994-04-01 1995-10-17 Masaki Takakura ジャバラ式ティッシュケース
KR20060036648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습도 표시부를 구비한 반도체 칩 패키지
JP2010017672A (ja) * 2008-07-14 2010-01-28 Asahitekku Corporation:Kk 噴霧器
KR20110126910A (ko) * 2010-05-18 2011-11-24 강창일 휴대용 복합티슈팩
KR20140121085A (ko) 2013-04-05 2014-10-15 송순왕 홍보 및 마케팅용 휴대형 물티슈 겸용 휴지케이스
KR20180062296A (ko) * 2016-11-30 2018-06-08 박성준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KR20200059032A (ko) * 2018-11-20 2020-05-28 이명희 거실장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65228A (ja) * 1994-04-01 1995-10-17 Masaki Takakura ジャバラ式ティッシュケース
KR20060036648A (ko) * 2004-10-26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습도 표시부를 구비한 반도체 칩 패키지
JP2010017672A (ja) * 2008-07-14 2010-01-28 Asahitekku Corporation:Kk 噴霧器
KR20110126910A (ko) * 2010-05-18 2011-11-24 강창일 휴대용 복합티슈팩
KR20140121085A (ko) 2013-04-05 2014-10-15 송순왕 홍보 및 마케팅용 휴대형 물티슈 겸용 휴지케이스
KR20180062296A (ko) * 2016-11-30 2018-06-08 박성준 물티슈팩의 보관이 가능한 쓰레기통
KR20200059032A (ko) * 2018-11-20 2020-05-28 이명희 거실장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21276T2 (de) Unterteiltes Lagerungssystem
US20070141127A1 (en) Wet wipes with natural antimicrobial agents
KR20010082301A (ko) 냄새를 중화시키고 액체를 흡수하는 쓰레기 봉투
JP2008295837A (ja) 湿潤拭取りシート
CN1432332A (zh) 湿擦巾的折叠和堆叠构型
CN1374065A (zh) 湿擦拭巾
KR102634787B1 (ko) 재활용이 용이한 물티슈 케이스
JP2007098152A (ja) 衛生用紙
JP4339961B2 (ja) ウエットティシュ包装体
CN2701424Y (zh) 自粘抑菌止血快愈合医用敷料
CN105235023B (zh) 一种生态板材及其制造方法
JP2013245216A (ja) 拭取り用シート
KR101653020B1 (ko) 시트형상 화장료
JP4970740B2 (ja) 吸収体、シーツ及び包装材料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5765872B2 (ja) 拭取り用シート製品
CN103622869B (zh) 一种婴儿防蚊虫湿巾
JP3784288B2 (ja) 吸収体、シーツ及び包装材料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N1285867A (zh) 含磷酸单烷基酯的湿擦巾
GB2525520B (en) Water soluble farnesol analogs and their use
CN216762769U (zh) 具有高阻隔包装结构的清洁去污消毒湿巾
CN114059380A (zh) 一种除臭生活用纸及其制造方法
JP3968204B2 (ja) 体液吸収用物品
DE20002982U1 (de) Hygieneartikel
CN205184975U (zh) 一种生态板材
CN220977542U (zh) 一种抗菌效果好的吸水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